KR20100028564A - 인서트를 포함하는 시일을 이용하여 유리 요소를 오버몰딩하는 방법 및 장치, 유리, 및 이 방법을 위한 인서트 - Google Patents

인서트를 포함하는 시일을 이용하여 유리 요소를 오버몰딩하는 방법 및 장치, 유리, 및 이 방법을 위한 인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8564A
KR20100028564A KR1020097026452A KR20097026452A KR20100028564A KR 20100028564 A KR20100028564 A KR 20100028564A KR 1020097026452 A KR1020097026452 A KR 1020097026452A KR 20097026452 A KR20097026452 A KR 20097026452A KR 20100028564 A KR20100028564 A KR 20100028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insert
mold
glass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6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9787B1 (ko
Inventor
세드릭 보댕
쟝-피에르 로즈
베아트리체 모뗄렛
요앙 마치조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84832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0002856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00028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29C45/14377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using an additional insert, e.g. a fasten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4Mounting of windows
    • B60J1/006Mounting of windows characterised by fixation means such as clips, adhesiv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535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with additional, spatially distinct nonmetal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 요소(V)의 주연부 위에 시일의 적어도 일부를 오버몰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시일은 하나 이상의 인서트(1)를 포함하며, 이 인서트는 기부판을 포함하는 오버몰드 부분, 및 폐쇄될 개구에 유리 요소(V)를 사전위치시키거나 위치시키거나 고정시키도록 축(A)을 따라 배향된 돌출 부분(4)을 가지며, 상기 방법은, 사출 중에, 인서트가, 상기 오버몰드 부분 상에 위치된 위치설정 수단(5)과 협력하는 하나 이상의 핀(11)을 사용하여 몰딩 공동부에 위치되어, 상기 기부판(2)은 유리 요소를 향한 면 상에 유리 요소를 향해 연장되고 이와 접촉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 탭(6)을 포함하고 대향면 상에 상기 돌출부(4)를 지지하는 자유면을 갖고 시일을 형성하는 플라스틱으로 피복되지 않은 마운트(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몰드로부터의 이형 중에, 몰드가 개방되어 인서트(1)의 돌출부(4)가 상기 하우징(10)의 벽과 접촉하지 않고 오버몰드 유리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버몰딩, 유리 요소, 시일, 인서트, 몰딩 공동부

Description

인서트를 포함하는 시일을 이용하여 유리 요소를 오버몰딩하는 방법 및 장치, 유리, 및 이 방법을 위한 인서트{METHOD AND DEVICE FOR OVERMOULDING A GLASS ELEMENT USING A SEAM PORTION INCLUDING AN INSERT, GLASS PANEL AND INSERT FOR SAID METHOD}
본 발명은 유리 요소의 주연부 위에 폴리우레탄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하나 이상의 시일을 오버몰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시일은 하나 이상의 인서트를 포함하고, 이 인서트는 상기 시일 내부에 위치된 오버몰드 부분, 및 폐쇄될 개구 내에, 특히, 차체의 개구 내에 유리 요소를 사전위치시키거나, 위치시키거나, 고정시키도록 상기 시일 외부로 돌출된 돌출 부분을 갖는다.
인서트의 오버몰드 부분은 통상적으로 사실상 평평한 형상의 기부판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 부분은 축을 따라 배향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통상 다음을 포함한다.
a - 하나 이상의 이동 몰드부, 및 고정부 또는 이동부일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몰드부를 포함하는 몰드 내에 유리 요소 중 적어도 상기 주연 영역을 위치시키는 단계,
b - 돌출부가 몰드부 내에 형성된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인서트를 몰드 내에 위치시키는 단계,
c - 고정된 몰드부 위에 상기 이동부를 폐쇄시켜 몰딩 공동부를 형성하고, 상기 기부판은 상기 몰딩 공동부 내에 위치되는 단계,
d - 상기 몰딩 공동부 내에서 시일을 형성하는 플라스틱을 사출하는 단계, 및
e - 돌출부의 축과 상이하게 배향된 몰드-이형 축을 따라 상기 이동 몰드부를 이동시킴으로써 몰드로부터 이형시키는 단계.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유형의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 이러한 하나 이상의 인서트를 둘러싸는 오버몰딩을 구비한 유리, 및 이러한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오버몰딩은 유리의 가장자리 전체를, 유리의 에지면 및 대향하는 2개의 주 표면의 에지에 대해 둘러쌀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오버몰딩은 일반적으로 "캡슐화제"로 지칭되며, 오버몰딩 공정은 일반적으로 "캡슐화"로 공지된다. 그러나, 특정 유리의 경우, 플라스틱은 유리의 일면의 한 에지 상에만 또는 유리의 일면의 한 에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그의 에지면에 대해 침착된다. 따라서, 본원의 나머지 부분에서, 용어 "오버몰딩"은 또한 캡슐화를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러한 유형의 유리의 예로서, 특히 외부로부터 차체에 대해 적용되고 내부로부터 나사결합됨으로써 이에 고정되도록 의도된 자동차 고정 측부 유리 또는 자동차 고정 코너 유리를 들 수 있다. 이 목적으로, 유리의 일면 상의 오버몰딩으로부터 돌출하는 인서트의 부분들은 일반적으로 차체 내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는 섕크를 포함하며, 대부분의 경우 차체의 내부로부터 적용된 너트와 협력하도록 나 사산이 형성되며, 나머지의 경우, 사전위치시키거나 위치시키는 패드를 형성하도록 평평하다.
기존에 사용된 인서트는 나사가 중앙부를 통과하는 판 또는 기부판으로 제조되고, 그 헤드를 가압하여 판의 일면에 대해 임의의 수단 및 다른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섕크에 의해 판에 대해 직각으로 고정된다.
첨부된 도 1은 오버몰딩된 시일을 갖는 굴곡된 유리 요소(V)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유리의 두 대향 코너에 2개의 인서트가 위치되고, 나사형 돌출 섕크(104)를 볼 수 있다. 대개, 보다 많은 인서트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도 1은 몰드-이형 축(D), 및 두 인서트의 돌출부의 2개의 축(A)을 나타낸다. 이들은 유리의 두 대향 코너에 위치되기 때문에, 도시된 나사형 섕크의 축은 몰드-이형 축에 대해 가장 가파르게 경사진 돌출부의 축이다. 실제로, 유리가 만곡된 경우, 나사형 섕크의 축은 몰드-이형 축에 대해 경사지며, 이러한 경사의 각도는 오버몰딩 내의 인서트의 위치에 의존한다.
종래 기술의 유럽 특허 출원 제 EP 468 713호는 평평한 유리 요소 위에 고무 링을 가진 마운트를 갖는 인서트를 구비한 시일을 오버몰딩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문헌에서, 유리 요소는 평평하기 때문에, 돌출부의 축은 몰드-이형 축과 평행하다.
따라서, 이 방법은 만곡된 유리 요소 상에 시일을 오버몰딩하는데는 적용될 수 없다.
또한, 이 방법은 시간이 지나면서, 시일 기능을 하도록 충분히 유연해야 하 고, 동시에 돌출부와 인서트가 캡슐화제 내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충분히 강성이어야 하는 링의 탄성에 대한 조절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만족스럽지 못하다.
또한, 종래 기술의 미국 특허 제 US 4 723 809호는 평평한 유리 요소 위에 마운트를 가진 인서트를 구비한 시일을 오버몰딩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마운트는 시일을 형성하는 플라스틱으로 피복되기 때문에 자유롭지 못한 돌출부를 지지하는 면을 갖는다.
또한, 인서트는 오버몰딩을 위한 기준 프레임 내에 인덱싱되게 하는 특별한 위치설정 수단을 갖지 않는다.
최근 대부분의 차량 유리는 적어도 약간 만곡 또는 굴곡되거나, 뚜렷하게 만곡되며, 오버몰딩 플라스틱을 사출하고 오버몰딩 이후에 만곡된 유리를 몰드로부터 이형하는 동안 인서트를 제자리에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서트의 돌출부의 축이 몰드-이형 축과 상이하기 때문에 이동 블록을 갖는 복잡한 몰드가 사용된다. 따라서, 몰드가 인서트의 돌출부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개방되도록 각각의 이동부는 2개의 극단 위치, 플라스틱을 사출하는 동안 인서트를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한 위치, 및 인서트와 더이상 접촉하지 않는 후퇴 위치를 갖는다.
또한, 기부판에 대해 인서트를 밀봉함으로써, 유체 플라스틱이 돌출부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 부분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오버몰딩에서 종종 원추형인 리세스가 일반적으로 돌출부 주위에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은 공지된 인서트를 도시한다. 도 2는 몰드(M)에 인덱싱되는 인서트(101)의 영역에서 몰드 이형 이전에 오버몰딩된 유리 요소(V) 및 몰드(M)에 대해 축(A)를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 블록(m)으로 덮인 나사형 돌출 섕크(104)를 포함하는 몰드(M)의 상부를 도시한다. 이동 블록(m)은 인서트(101)의 기부판(102)이 중심부에 의해 가압되는 단부를 향해 테이퍼링된 부분에서 종결된다. 몰딩된 위치에서, 시일(J)의 오버몰딩에서 전체 가장자리 주위에 매립된 인서트(101)의 기부판(102)은 시일의 수평 중앙면에 놓인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차체(C) 상의 위치에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을 도시하며, 조임 너트(112)가 인서트(101)의 나사형 섕크(104)와 협력하여 폐쇄될 구멍 내에 유리를 고정시키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3은 완전히 조여진 상태의 나사형 섕크를 도시하며, 이러한 조임 때문에 기부판(102)은 "험프(hump)" 형상으로 굴곡되어, 기부판의 중앙선을 따라 대향하는 두 가장자리가 유리에 대해 견고하게 지지되어 유리가 파손될 위험이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공지된 구조를 이용하는 경우, 돌출부가 구멍에 고정될 때 과도한 장력이 인서트의 돌출부 상에 가해지는 경우, 인서트가 오버몰딩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매우 빈번하다. 따라서 시일의 플라스틱 상에서 조임이 수행되었다.
또한, 도 3은 인서트(101)의 나사부(104) 주위에 오버몰딩된 시일의 밀봉이 불완전하여 위에서 언급된 문제를 초래함을 보여준다.
요약하면, 기존의 시스템은 많은 단점을 갖는다:
- 인서트를 몰드에 대해 지지하는 고정점을 갖지 않기 때문에 몰딩 중에 인서트를 정확하기 위치시키기가 쉽지 않다; 부분의 단 하나의 인서트의 열악한 위치설정은, 돌출부의 축의 위치설정을 열악하게 하거나 인서트 삽입 높이를 부정확하게 하며, 몰드 이형시 또는 나사결합 중에 인서트가 인출되게 하여 전체 구성요소를 결함있게 만들 수 있다.
- 나사결합 중에, 인서트는 매우 높은 부하를 받으며, 기울어 만곡되도록 가압될 수 있으며, 이는 유리에 파괴를 야기하는 응력을 인가한다.
- 인서트의 나사형 섕크가 몰딩시 제대로 밀봉되지 않으므로, 플라스틱 -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 이 스크류 나사산에 도달하며, 이는 스크류 나사산이 손상되는 경우 고정의 어려움이 생겨 결함있는 구성요소를 야기하기 때문에 방지될 필요가 있다.
- 최종 조립체는 인서트의 나사형 섕크 주위에서 제대로 밀봉되지 않는다.
- 몰드는 이동 블럭의 존재로 인해 복잡해지며, 따라서 몰드 이형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하기와 같은 전술된 문제점 중 하나 이상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였다:
- 굴곡된 유리 요소 상의 돌출 인서트(들)을 갖는 오버몰딩에 통상 사용되는 이동 블록(들)을 이용하여 몰드의 높은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
- 유리와 구멍 사이의 조립체의 협력을 개선시켜, 인서트의 돌출부에 인가되는 고 인장력이 이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
- 돌출부의 위치설정, 특히 굴곡된 유리의 경우 몰드-이형 축에 대한 경사를 개선시키는 것;
- 마감 공정, 특히 오버몰딩 이후에 디버링(deburring) 필요성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몰딩 구성을 개선시키는 것; 및
- 몰딩 중 및 그 이후 인서트의 나사부 주위의 밀봉을 개선시키는 것.
이 목적으로,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다음을 가능케하는 신규한 인서트 구조를 제안한다:
- 유리에 대해 지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지지 탭(들)에 의해, 및 몰드의 패드와 대응하고 가능한 넓게 이격될 수 있는 특히 컷아웃(cutout) 또는 노치를 포함한 인덱싱 수단에 의해 몰드 내에 정확하게 위치설정하는 것;
- 지지 탭(들) 및 유리와 접촉하기 위한 특수 접촉면(들)의 유연성의 결과로서 유리에 인가되는 응력의 제거;
- 이동 블록이 없는 몰드;
- 플라스틱이 없는 체적을 유지하여 인서트의 스핀들부가 몰드로부터 쉽게 이형되도록, 오버몰딩의 플라스틱 위가 아니라 이번에는 인서트에 부속된 숄더 - 오버몰딩 표면과 같은 높이로 놓이거나 이를 넘어서 돌출함 - 와, 이와 대면하는 몰드의 부분 사이에 클램핑함으로써 정확하게 밀봉시키는 것;
- 오버몰딩 내에 인서트를 정확하게 고정시키는 것.
따라서, 본 발명은 유리 요소의 주연부 위에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시일의 적어도 일부를 오버몰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시일은 하나 이상의 인서트를 포함하고, 이 인서트는 상기 시일 내부에 위치된 오버몰드 부분 및 폐쇄될 구멍 내에 유리 요소를 사전위치시키거나 위치시키거나 고정시키도록 상기 시일 외부로 돌출하는 돌출 부분을 가지며, 상기 오버몰드 부분은 (구체적으로 사실상 평평한 형태인) 기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 부분은 축을 따라 배향되며, 상기 방법은:
a - 하나 이상의 이동 몰드부 및 (고정부 또는 이동부일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몰드부를 포함하는 몰드에 유리 요소 중 적어도 상기 주연 영역을 위치시키는 단계,
b - 몰드부에 형성된 하우징 내에 돌출부가 위치되는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인서트를 몰드 내에 위치시키는 단계,
c - 고정 몰드부 위에 상기 이동부를 폐쇄시켜 몰딩 공동부를 형성하고, 상기 기부판이 상기 몰딩 공동부에 위치되는 단계,
d - 시일을 형성하는 플라스틱을 상기 몰딩 공동부 내에 사출하는 단계, 및
e - 돌출부의 축과 상이하게 배향된 몰드-이형 축을 따라 상기 이동 몰드부를 이동시킴으로써 몰드로부터 이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사출 중에, 상기 오버몰드 부분 상에 위치된 위치설정 수단(또는 인덱싱)과 협력하는 하나 이상의 핀을 사용하여 인서트가 몰딩 공동부 내에 위치되어, 상기 기부판이, 유리 요소를 향한 면 상에 유리 요소를 향해 연장되고 이와 접촉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 탭을 포함하고 대향 면(유리 요소를 향한 면에 대향하는 면) 상에 상기 돌출부를 지지하는 자유면을 갖고 시일을 형성하는 플라스틱으로 피복되지 않은 마운트를 포함한다는 점과, 몰드로부터 이형 중에, 몰드가 개방되어 인서트의 돌출부가 상기 하우징의 벽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오버몰드 유리가 제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사출 중에:
- 돌출부의 축은 기부판의 중앙면에 대해 사실상 직각으로 배향되며;
- 상기 지지 탭은 유리 요소의 표면에 대해 압축되며;
- 마운트의 자유면은 하우징 주위로 몰드 벽에 대해 밀봉 방식으로 지지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리 요소의 주연부 위에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시일의 적어도 일부를 오버몰딩하기 위한 장치,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시일은 하나 이상의 인서트를 포함하며, 이 인서트는 상기 시일 내부에 위치된 오버몰드 부분, 및 폐쇄될 구멍 내에 유리 요소를 사전위치시키거나 위치시키거나 고정시키도록 상기 시일 외부로 돌출하는 돌출 부분을 가지며, 상기 오버몰드 부분은 기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 부분은 축을 가지며, 상기 장치는:
ⅰ - 유리 요소 중 적어도 상기 주연 영역을 위치시키기 위한 몰드 - 상기 몰드는 다른 몰드부에 대해 몰드-이형 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이동 몰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몰드부는 폐쇄 상태로 서로 협력하여 몰딩 공동부를 형성함 -, 및
ⅱ - 상기 몰드 공동부 내로 개방되고, 부분이 몰드-이형 축과 상이한 축을 따라 배향되는 인서트의 상기 돌출부를 수납하는 몰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몰딩 공동부가, 유리 요소를 향한 상기 기부판의 일 면 상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지지 탭이 유리 요소를 향해 연장되고 재료가 사출될 때 이와 접촉하게 되며, 상기 기부판의 대향면 상에 마운트가 시일을 형성하는 플라스틱으로 피복되지 않은 상기 돌출부를 지지하는 자유면을 갖는 방식으로 상기 오버몰드 부분 상에 위치된 위치설정 수단과 협력하는 하나 이상의 핀을 포함한다는 점과, 몰드가 개방되어 인서트의 돌출부가 상기 하우징의 벽과 (직접 및 간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면서 오버몰드 유리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하우징이 충분히 크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은:
- 돌출부의 축이 기부판의 중앙면에 대해 사실상 직각으로 배향될 수 있도록 충분히 크며,
- 이동 블록이 없으며,
- 몰드-이형 축을 따라 배향된 원통 형상이며,
- 상기 돌출부를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한 자석, 전자석, 또는 흡인 시스템을 포함하며,
- 이동 몰드부 내에 형성되지만, 고정 몰드부에도 형성 가능하다.
또한, 몰딩 공동부는 바람직하게는 인서트의 오버몰드 부분, 바람직하게는 기부판 상에 형성되는 노치(들) 및/또는 개구(들)의 위치설정 수단과 협력하는 내부 패드를 갖는다. 인서트를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해, 또한 각각의 핀이 인서트의 자석부 또는 별법으로 접착성을 나타내는 인서트의 부분과 협력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위치설정/인덱싱 수단이 서로 직각인 적어도 두 방향, 및 바람직하게는 공간의 세 방향 모두에서 몰딩 공동부 내부에서 위치설정/인덱싱을 위한 고정된 기준 프레임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는 오버몰딩에 대한 기준 프레임 내에 절대적인 위치설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리,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함으로써 수득된 유리, 특히,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시일의 적어도 일부를 구비한 주연 영역을 갖는 하나 이상의 유리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 유리에 관한 것이며, 상기 시일은 하나 이상의 인서트(또는 복수의 인서트, 특히 단일 시일 부분 내에 복수의 인서트)를 포함하며, 이 인서트는 상기 시일 내부에 위치된 오버몰드 부분, 및 폐쇄될 구멍 내에 유리를 사전위치시키거나 위치시키거나 고정시키도록 상기 시일의 외부로 돌출하는 돌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오버몰드 부분은 기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 부분은 축을 가지며, 상기 유리는, 인서트의 오버몰드 부분이 노치(들) 및/또는 개구(들) 형태의 위치설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부판이 유리 요소를 향한 면 상에 유리 요소를 향해 연장되고 이와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 탭을 포함하고 대향면 상에 상기 돌출부를 지지하는 자유면을 갖고 시일을 형성하는 플라스틱으로 피복되지 않는 마운트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인서트의 상기 돌출부의 축은 오버몰드 유리에 대한 몰드-이형 축과 상이한 축을 따라 배향된다.
기부판은 바람직하게는, 유리 요소의 인접 표면과 사실상 평행하게 위치되며, 돌출부의 축은 바람직하게는 기부판의 중앙면에 대해 사실상 직각으로 배향된다.
마운트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부판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부판 두께의 적어도 2배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는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인서트를 포함하며, 2개 이상의 인서트의 돌출부의 축은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지 않는다. 또한, 적어도 이들 2개의 인서트 각각의 돌출부의 축은 오버몰드 유리의 몰드-이형 축과 상이한 축을 따라 배향된다.
본 발명은 특히, 약간의 곡률을 나타내는 비평면 유리에 적용된다.
대안적인 형태에서, 기부판, 마운트, 및 돌출부는 단일편으로, 특히 강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다른 대안적인 형태에서, 기부판, 마운트, 및 돌출부는 플라스틱,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제조된 몇 개의 조립된 편으로 형성된다.
매우 유리하게, 지지 탭은 유리 요소의 표면에 대해 압축된다. 이는 오버몰드 유리의 시일을 통하는 단면을 취함으로써 보여질 수 있다: 인서트의 구성은 유리 요소의 표면에 대해 압축되지 않은 휴지 위치와 비교함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대안적인 형태에서, 상기 기부판은 기부판의 재료의 하나 이상의 절첩부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단부 지지 탭을 포함하며, (그 일 단부에서) 이 절첩부는 기부판의 중앙면을 향한 반환부(turn back)에서 종료되고/되거나 상기 기부판은 유리 요소를 향해 개방된 플랩을 생성하도록 기부판의 재료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플랩형 지지 탭을 포함하며, 기부판의 중앙면을 향한 반환부에서 종료된다.
다른 대안적인 형태에서, 상기 기부판은 주 표면 상에 하나 이상의 개구 및/또는 하나 이상의 노치, 특히 반원형 바닥을 갖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노치는 종방향 중앙선을 따라 기부판의 횡방향 에지에 형성된다(예컨대, 종방향 중앙선을 따라 기부판의 두 대향 에지에 2개의 노치가 형성됨).
기부판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기부판 및 탭(들)을 형성하는 재료가 매우 유연할 때, 둘 이상의 종방향 에지를 따라 리브 또는 비드형의 보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마운트의 자유면의 가장자리는 O-링형의 밀봉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기부판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이고 중심부에서 마운트를 지지하며, 상기 기부판은 잠재적으로 시일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내에 고정을 개선시키기 위한 개구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를 위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시일의 일부를 구비한 주연 영역을 갖는 유리 요소의 시일의 일부에 대한 오버몰딩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이 인서트는 오버몰딩되고 시일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 및 폐쇄될 구멍 내에 유리 요소를 사전위치시키거나 위치시키거나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시일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된 돌출 부분을 가지며, 상기 오버몰드 부분은 기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 부분은 축을 가지며, 이는 인서트의 오버몰드 부분은 오버몰딩 몰드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핀과 협력할 수 있는 위치설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기부판은 유리 요소를 향할 수 있는 면 상에 유리 요소를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이와 접촉하게 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지탭을 포함하며, 대향면 상에 상기 돌출부를 지지하는 자유면을 갖고 시일을 형성하는 플라스틱으로 피복되지 않을 수 있는 마운트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인서트를 위치시키기 위한 특수한 수단은 이 인서트를 오버몰딩에 대한 기준 프레임 내에 절대적으로 위치시키고자 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인서트의 기부판 상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복수의 특정 실시양태가 이하에 기술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차량용 코너 유리의 사시도이며, 상기 유리는 주연부에 돌출하는 고정 인서트를 이용하여 오버몰딩함으로써 형성된 시일을 구비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유리의 고정 인서트 및 그의 오버몰딩 영역의 부분 단면의 정면 확대도이며, 오버몰딩의 유리는 아직 몰드 내부에 놓여있고 인서트는 종래 기술의 인서트이다.
도 3은 차체의 구멍에 장착된 위치로 유리를 도시하는 도 2와 유사한 도면이며, 여기서 차체와 협력하는 인서트의 나사는 완전히 조여진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위에서 본, 인서트의 종방향 중앙선을 따른 단면에서 본, 그리고 단부에서 본, 본 발명의 제1 실시양태를 따라 제조된 고정 인서트를 도 시한다.
도 7 및 도 8은 제1 실시양태에 따른 인서트를 구비한, 각각 도 2 및 도 3과 유사한 도면이며, 인서트는 도 7에서 단면으로, 도 8에서 정면으로 도시된다.
도 9는 도 4와 유사하고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의 제2 실시양태에 따른 인서트의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양태에 따른 인서트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먼저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제1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인서트(1)를 도시하며, 여기 도시된 인서트는 고정 인서트이다.
인서트(1)는 일반적으로 긴 직사각형의 판 - 본원 나머지 부분에서 기부판(2)으로 칭함 - 을 포함하며, 판은 면 중 하나에서 및 중앙에서 축을 따라 외부 및 중앙에 장착되는 디스크형 돌출부 - 본원 나머지 부분에서 마운트(3)로 공지됨 - 를 지지하고, 나사형 섕크의 경우에, 돌출부(4)를 구성하고 차체에 유리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섕크(4a)를 지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부판(2), 마운트(3), 및 섕크는 유익하게는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강성 또는 비교적 강성인 플라스틱을 몰딩함으로써 수득된 일편 부품을 형성한다. 그러나 이 부품은 몇 개의 부품으로 용이하게 제조되어 임의의 수단을 사용하여 이 다양한 부품을 조립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부품들 각각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마운트를 형성하는 재료 또는 재료들은 가장 유익하게는 녹슬지 않는 재료이거나, 그러한 재료로 제조되지 않는 경우, 내식성 표면 처리가 된 재료이다.
종방향 중심 축을 따라 위치된 2개의 노치(5)가 기부판(2)의 짧은 두 측부에서 형성된다. 각각의 노치(5)는 반원형의 바닥(5b)에 의해 연결된 2개의 대향하는 종방향 가장자리(5a)에 의해 경계를 이룬다. 비교적 가요성인 4개의 탭(6)은 각각의 가장자리(5a)와 기부판(2)의 종방향 외부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며, 예로서 탭은 기부판(2)의 중앙면에 대해 약 45도 각도로 절곡되고 한 면 및 동일면 내에 놓인 외부 영역(6a)을 구성하기 위해 기부판(2)의 중앙면을 향해 단부에서 절곡되어, 이후 상세하게 설명될 바와 같이 유리에 대해 유연하게 가압할 수 있다.
기부판(2)은 이후 설명될 목적으로 중심부 - 2개의 노치(5) 사이 - 에 두 종방향 에지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된 개구(7)를 포함한다.
또한, 중심부의 기부판(2)의 두 종방향 에지는 마운트(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그 자체 상에서 절곡되어 강화 비드 또는 리브(8)를 형성한다. 이러한 수단이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며, 기부판(2)을 형성하기 위해 선택된 재료에 따라 이러한 비드 또는 리브의 존재 여부가 결정된다.
마운트(3)는 상부 원형 가장자리를 따라 O-링형 시일(9)을 수납하기 위한 챔퍼(chamfer) 또는 릴리프(relief)(3a)를 가지며, 이는 다시 이후 기술될 바와 같이 선택적 수단이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 경우의 인서트(1)가 나사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인서트이기 때문에 섕크(4a)는 스크류 나사산을 갖는다.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 상에 끼워질 때 나사산(1)이 유리를 인덱싱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경우, 섕크(4a) 는 이러한 스크류 나사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몰드부(M)의 제자리에 그리고 몰드 이형 이전에, 방금 기술된 인서트(1)의 오버몰드 부분이 위치되지만 돌출부는 위치되지 않은 오버몰드 주연 시일(J)을 구비한 유리 요소(V)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유리 요소의 도시된 부분은 수평으로 배향되어 있지만, 물론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본원에서 고려된 배향에 따라, 인서트(1)의 영역 내의 유리 요소(V)의 주연부와 함께 몰드(M)의 상부만이 도 7에 도시되었다.
이 도면은 또한 돌출부(4)의 섕크(4a)의 축(A), 및 부분이 몰드로부터 이를 따라 이형되는 몰드-이형 축(D)을 도시하며, 즉, 축을 따라 오버몰딩 이후 몰드(M)의 상부 이동부가 후퇴되어 사출 성형기(미도시)를 사용하여 만곡부가 형성되며, 이 두 축(A 및 D)는 평행하지 않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시일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몰드(M)의 상부의 벽은, 오버몰딩을 구비한 유리 요소(V)에 대해 인서트(1)가 존재하는 만큼의 원통형 하우징(10)을 가지며, 내부적으로 (몰딩 공동부와 경계를 이루는 표면에서) 각각의 하우징(10)과 연계하여, 임의의 수단에 의해 몰드 벽에 고정된 2개의 원통형 핀(11)을 지지하며, 하우징(10) 및 핀(11)의 축은 몰드-이형 축(D)을 따라 배향되며, 몰딩 위치에서 - 이하 기술될 바와 같이 - 인서트(1)의 돌출부(4)가 하우징(10)에 끼워지고 적어도 반원형 또는 원형 단면의 2개의 핀(11) 각각이 인서트(1)의 기부판(2)의 각각의 반원형 노치(5B)에 끼워져서, 몰드가 폐쇄되고 사출되 는 동안 상기 인서트(1)를 위치시키며 몰드(M)의 제자리에 유지시키는 방식으로 위치된다.
마운트(3)의 표면은 몰드-이형 축(D)에 대한 돌출부(4)의 섕크(4a)의 축(A)의 경사 각도에 대한 가장 임계적인 경우에도, 부분이 몰드로부터 이형될 수 있도록 치수 결정된다.
몰딩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 공지된 방법으로 몰드의 하부에 유리(V)가 위치된다;
- 섕크(4a)가 몰드(M)의 하우징(10)에 끼워지면서 인서트(1)가 몰드의 상부의 내부 벽에 대해 위치되며, 마운트(3)가 몰드(M)에 대해 가압하며, 몰드의 2개의 핀(11)이 노치(5B)에 끼워짐으로써 각각의 인서트(1)에 고정되며, 몰드가 폐쇄되면서 각각의 하우징(10)의 공동부의 바닥의 자석(미도시)이 인서트(1)를 제자리에 유지시킬 수 있다;
- 몰드가 폐쇄되며, 가요성 탭(6)이 유리 요소에 대해 유연하게 지지하여 표면에 대한 손상 위험을 방지하고, 임의의 국지적 곡률에 적합하고 유리 요소의 곡률의 임의의 공차를 완화시키도록 구성되며; 몰드는 종래 기술의 몰드에 비해서 보다 단순해진다: 더이상 이동 블럭 또는 슬라이드가 존재하지 않고, 단지 하우징(10)은 몰드가 몰드 이형 중에 섕크(4a)와 접촉하지 않으면서 몰드(M)가 개방되도록 충분히 크다;
- 몰딩 공동부 내로 재료를 사출함으로써 몰딩이 수행되며, 이러한 사출 성형 중에, 유체 플라스틱은 밀봉을 제공하는 O-링(9)에 의해 섕크(4a)에 도달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밀봉은 특히 마운트(3)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경우, O-링(9) 없이 마운트(3)와 몰드(M)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용이하게 수득될 수도 있다.
- 몰딩 공동부가 가득 차고 시일의 플라스틱이 충분히 고화되면, 몰드의 이동부는 몰드-이형 축을 따라 성형기를 사용하여 이동되며 몰드는 개방된다; 인서트의 오버몰드 부분을 도입한 오버몰드 시일을 구비한 유리(20)는 이후 몰드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핀(11)은 이들이 고정될 몰드 부분 내에 영구적으로 유리된다: 이들은 오버몰드 유리 상에 남지 않으며 이들 핀 각각을 보완하는 형상의 공동부는, 따라서 핀이 사출시 위치되는 각각의 장소에서 시일에 존재한다.
이는 인서트(1)의 기부판(2)을 정확하게 제자리에 유지하는 오버몰딩을 달성하며, 기부판은 플라스틱에 매립되고,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개구(7)는 기부판(2) 내에 형성되며, 플라스틱은 개구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기부판의 주 표면 둘 다 위의 개구는 기부판의 고정을 개선시킨다.
오버몰드 시일을 구비한 유리는 종래 기술에서와 완전히 동일한 방식으로 장착되지만, 이러한 고정은 보다 신뢰성이 있다.
도 8은 섕크(4a)의 나사 부분과 협력하는 너트(12)를 사용하여 나사에 의해 장착되는 실시예를 도시하지만, 이러한 장착은 종래 기술에서보다 훨씬 신뢰성있고 효과적이다: 더이상 차체(C)의 구멍과 고정 영역 내의 인서트의 오버몰드 부분 사이에 임의의 밀봉 플라스틱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 위치에서 인서트가 방해받을 위험을 방지한다.
부하가 화살표(F) 방향으로 인가되면, 압축 하중을 받는 것은 시일의 플라스틱이 아니라 마운트(3)이다.
또한, 오버몰딩 장치의 몰드가 더이상 이동 블록 또는 슬라이드를 갖지 않기 때문에, 설계, 제조, 및 유지가 훨씬 단순하다.
도 9 및 도 10은 다른 두 실시양태에 따른 각각의 마운팅 인서트(1A 및 1B)를 도시한다.
도 9의 인서트(1A)는 더이상 노치(5B)를 갖지 않으며, 이는 단부 지지 탭(6A)이 기부판(2)의 전체 길이 위로 연장됨을 의미한다. 몰드(M)에 속한 대응 형상의 원통형 패드와 협력하는 노치(5B)에 의해 수행되던 위치설정 기능은 여기서 판(2) 자체에 형성된 개구(5A)에 의해 수행되며, 이 개구는 삼각형 형상이어서 몰드에 속한 대응 프리즘형 패드와 협력할 수 있다. 개구 및 핀의 패드가 사출 중에 몰드의 제자리에 기부판(2)을 유지시키도록 서로 협력하는 보완 형상을 갖는다면, 삼각형 이외의 임의의 다각형 형상도 적합하다.
도 10의 인서트(1B)는, 예컨대 기부판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때 금속 기부판 또는 기부판(2)의 성형 중에 직접적으로 가압함으로써, 탭(6)과 동일한 방식으로 배향된 플랩형 지지 탭(6B)이 이와 함께 단일편으로 기부판(2) 내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인서트(1)와 일부 상이하며, 이는 기부판의 횡방향 가장자리를 따라서가 아닌 마운트(3)의 각 측면 상에 위치된다. 이후 이들 가장자리는 단순히 제1 실시양태의 노치(5B)와 유사한 노치(5B)를 갖는다.
또한, 사출시 마운트(3) 및/또는 몰드의 인접 벽은 (또는 양자 모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마운트의 자유 표면 또는 몰드의 인접 표면에 밀봉 수단을 더이상 제공할 필요가 없지만, 이들 두 요소가 모두 금속으로 제조될 때, 마운트(3)의 자유 표면의 가장자리 또는 몰드의 표면에 하우징(10)이 몰드의 표면 위에 개방되는 구멍 주위에서 O-링형의 밀봉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실시양태는 비제한적인 표시로서 제공되었으며, 청구 범위에 의해 정위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이 이뤄질 수 있다.

Claims (28)

  1. 유리 요소(V)의 주연부 위에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시일(J)의 적어도 일부를 오버몰딩하는 방법이며, 상기 시일은 하나 이상의 인서트(1)를 포함하며, 이 인서트는 상기 시일 내부에 위치된 오버몰드 부분, 및 폐쇄될 구멍에 유리 요소(V)를 사전위치시키거나 위치시키거나 고정시키도록 상기 시일의 외부로 돌출하는 돌출 부분(4)를 가지며, 상기 오버몰드 부분은 기부판(2)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 부분은 축(A)을 따라 배향되며, 상기 방법은,
    a - 하나 이상의 이동 몰드부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몰드부를 포함하는 몰드(M) 내의 유리 요소 중 적어도 상기 주연 영역을 위치시키는 단계,
    b - 돌출부(4)가 몰드부 내에 형성된 하우징(10)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인서트(1)를 몰드 내에 위치시키는 단계,
    c - 고정 몰드부 위에 상기 이동부를 폐쇄시켜 몰딩 공동부를 형성하고, 상기 기부판(2)이 상기 몰딩 공동부에 위치되는 단계,
    d - 시일을 형성하는 플라스틱을 상기 몰딩 공동부 내에 사출하는 단계, 및
    e - 돌출부(4)의 축(A)과 상이하게 배향된 몰드-이형 축(D)을 따라 상기 이동 몰드부를 이동시킴으로써 몰드로부터 이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사출 중에, 인서트는 상기 오버몰드 부분 상에 위치된 위치설정 수단(5)과 협력하는 하나 이상의 핀(11)을 사용하여 몰딩 공동부 내에 위치되어, 상기 기부판(2)은 유리 요소를 향한 면 상에, 유리 요소를 향해 연장되고 이와 접촉하게 되 는 하나 이상의 지지 탭(6)을 포함하고, 대향면 상에, 상기 돌출부(4)를 지지하는 자유면을 갖고 시일을 형성하는 플라스틱으로 피복되지 않은 마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몰드로부터의 이형 중에, 몰드는 개방되어, 인서트(1)의 돌출부(4)가 상기 하우징(10)의 벽과 접촉하지 않고 오버몰드 유리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사출 중에, 돌출부(4)의 축은 기부판(2)의 중앙면에 대해 사실상 직각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출 중에, 상기 지지 탭(6)은 유리 요소(V)의 표면에 대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출 중에, 마운트(3)의 자유면은 하우징(10) 주위 몰드 벽에 대해 밀봉 방식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유리 요소(V)의 주연부 위에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시일(J)의 적어도 일부를 오버몰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이며, 상기 시일은 하나 이상의 인서트(1)를 포함하며, 이 인서트는 상기 시일 내 부에 위치된 오버몰드 부분, 및 폐쇄될 구멍에 유리 요소(V)를 사전위치시키거나 위치시키거나 고정시키도록 상기 시일 외부로 돌출하는 돌출 부분(4)을 가지며, 상기 오버몰드 부분은 기부판(2)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 부분은 축(A)을 가지며, 상기 장치는,
    ⅰ- 유리 요소 중 적어도 상기 주연 영역을 위치시키기 위한 몰드(M) - 상기 몰드는 다른 몰드부에 대해 몰드-이형 축(D)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이동 몰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부는 몰드 공동부를 형성하도록 폐쇄 상태에서 서로 협력함 -, 및
    ⅱ- 상기 몰딩 공동부로 개방되고 부분이 몰드-이형 축과 상이한 축을 따라 배향된 인서트의 상기 돌출부(4)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하우징(10)을 포함하는 몰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몰딩 공동부는, 유리 요소를 향한 상기 기부판의 일면 상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지지 탭(6)이 유리 요소를 향해 연장되고 재료가 사출될 때 이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기부판(2)의 대향면 상에, 마운트(3)는 시일을 형성하는 플라스틱으로 피복되지 않은 상기 돌출부(4)를 지지하는 자유면을 갖는 방식으로, 상기 오버몰드 부분 상에 위치된 위치설정 수단(5)과 협력하는 하나 이상의 핀(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우징(10)은 몰드가 개방될 수 있고, 인서트(1)의 돌출부(4)가 상기 하우징의 벽과 접촉하지 않고 오버몰드 유리가 제거되도록 충분히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하우징(10)은 돌출부의 축이 기부판(2)의 중앙면에 대해 사실상 직각으로 배향될 수 있도록 충분히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하우징(10)은 이동 블록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10)은 몰드-이형 축(D)을 따라 배향된 원통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10)은 상기 돌출부(4)를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한 자석, 전자석 또는 흡인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10)은 이동 몰드부 내에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고정 몰드부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5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몰드 공동부는 인서트(1)의 오버몰드 부분에 형성된 노치(들)(5B) 또는 개구(들)(5A) 형태의 위치설정 수단과 협력하는 내부 패드를 갖는 장치.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함으로써 수득되는 유리(20), 특히 차량 유리가며,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시일(J)의 적어도 일부를 구비한 주연 영역을 갖는 하나 이상의 유리 요소(V)를 포함하며, 상기 시일은 하나 이상의 인서트(1)를 포함하며, 이 인서트는 상기 시일 내부에 위치된 오버몰드 부분, 및 폐쇄될 구멍에 유리를 사전위치시키거나, 위치시키거나, 고정시키도록 상기 시일 외부로 돌출하는 돌출 부분(4)을 가지며, 상기 오버몰드 부분은 기부판(2)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 부분은 축(A)을 가지며,
    인서트(1)의 오버몰드 부분은 노치(들) 또는 개구(들) 형상의 위치설정 수단(5)을 포함하며, 상기 기부판(2)은 유리 요소(V)를 향한 면 상에 유리 요소를 향해 연장되고 이와 접촉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 탭(6)을 포함하고 대향면 상에 상기 돌출부를 지지하는 자유면을 갖고 시일을 형성하는 플라스틱으로 피복되지 않는 마운트(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판(2)은 유리 요소의 인접 표면에 사실상 평행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마운트(3)는 상기 기부판(2) 두께의 2배 이상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인서트(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2개 이상의 인서트의 돌출부의 축은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부판(2), 마운트(3), 및 돌출부(4)는 단일편, 특히 강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18.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부판(2), 마운트(3), 및 돌출부(4)는 플라스틱,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제조된 몇 개의 조립된 편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탭(6)은 유리 요소(V)의 표면에 대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20.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판(2)은 기부판(2)의 재료의 하나 이상의 절첩부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단부 지지 탭(6A)을 포함하며, 이 절첩부는 기부판(2)의 중앙면을 향한 반환부에서 종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하거나), 상기 기부판(2)은 기부판(2)의 재료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플랩형 지지 탭(6B)을 포함하여 유리 요소를 향해 개방된 플랩을 생성하고 기부판(2)의 중앙면을 향해 반환부에서 종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21. 제13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판(2)은 주 표면 상에 하나 이상의 개구(5A) 및/또는 특히 반원형 바닥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노치(5B)를 포함하며, 상기 노치는 종방향 중앙선을 따라 기부판(2)의 횡방향 에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22. 제13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부판(2)은 종방향 에지 중 적어도 2개를 따라 리브 또는 비드 형태의 보강 수단(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23. 제13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운트(3)의 자유면의 가장자리는 O-링 형태의 밀봉 수단(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24. 제13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부판(2)은 직사각형이고 중심부에서 마운트(3)를 지지하며, 상기 기부판(2)은 시일을 형성하는 플라스틱에 고정을 개선하기 위해 잠재적으로 개구(7)를 갖는 유리.
  2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또는 제13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의 유리를 위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시일의 일부를 구비한 주연 영역을 갖는 유리 요소(V)의 시일(J) 일부를 위한 오버몰딩 인서트(1)이며, 상기 인서트는 오버몰드되고 시일 내에 위치되는 부분, 및 폐쇄될 구멍에 유리 요소를 사전위치시키거나 위치시키거나 고정시키도록 상기 시일 외부로 돌출하는 돌출 부분(4)을 가지며, 상기 오버몰드 부분은 기부판(2)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 부분은 축(A)을 가지며,
    인서트(1)의 오버몰드 부분은 오버몰드 몰드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핀(11)과 협력할 수 있는 위치설정 수단(5)을 포함하며, 상기 기부판(2)은, 유리 요소(V)를 향할 수 있는 면 상에, 유리 요소를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이와 접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지 탭(6)을 포함하며 대향면 상에, 상기 돌출 부분을 지지하는 자유면을 갖고 시일을 형성하는 플라스틱으로 피복되지 않을 수 있는 마운트(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판(2)은 기부판의 재료의 하나 이상의 절첩부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단부 지지 탭(6A)을 포함하며, 이 절첩부는 기부판(2)의 중앙면을 향한 반환부에서 종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하거나), 상기 기부판(2)은 기부판(2)의 재료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플랩형 지지 탭(6B)을 포함하여 유리 요소를 향해 개방된 플랩을 생성하고 기부판(2)의 중앙면을 향한 반환부에서 종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판(2)은 주 표면 상에 하나 이상의 개구(5A) 및/또는 특히 반원형 바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노치(5B)를 포함하며, 상기 노치는 종방향 중앙선을 따라 기부판(2)의 횡방향 에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28.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3)는 상기 기부판(2) 두께의 2배 이상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KR1020097026452A 2007-05-21 2008-05-19 인서트를 포함하는 시일을 이용하여 유리 요소를 오버몰딩하는 방법 및 장치, 유리, 및 이 방법을 위한 인서트 KR1015397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55166 2007-05-21
FR0755166A FR2916380B1 (fr) 2007-05-21 2007-05-21 Procede et dispositif de surmoulage d'un element vitre par une portion de joint comportant un insert, vitrage et insert notamment pour ce proce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564A true KR20100028564A (ko) 2010-03-12
KR101539787B1 KR101539787B1 (ko) 2015-07-27

Family

ID=38848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6452A KR101539787B1 (ko) 2007-05-21 2008-05-19 인서트를 포함하는 시일을 이용하여 유리 요소를 오버몰딩하는 방법 및 장치, 유리, 및 이 방법을 위한 인서트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850760B2 (ko)
EP (1) EP2155462B1 (ko)
JP (1) JP2010527812A (ko)
KR (1) KR101539787B1 (ko)
CN (1) CN101754843B (ko)
BR (1) BRPI0811896B1 (ko)
ES (1) ES2526821T3 (ko)
FR (1) FR2916380B1 (ko)
MX (1) MX2009012571A (ko)
PL (1) PL2155462T3 (ko)
PT (1) PT2155462E (ko)
WO (1) WO2008145938A2 (ko)
ZA (1) ZA20090815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584A (ko) * 2017-08-14 2019-02-25 (주)엘지하우시스 루프레일 및 루프 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5647B2 (en) * 2009-11-19 2013-10-01 Pilkington Group Limited Item of hardware and method of making and bonding same
FR2961440B1 (fr) * 2010-06-16 2014-10-10 Saint Gobain Vitrage comprenant un insert a element de pression, procede de fabrication du vitrage et insert pour le vitrage.
FR3024506B1 (fr) * 2014-07-30 2016-07-29 Saint Gobain Vitrage comprenant un pion et procede de fabrication du vitrage.
DE102014118417A1 (de) * 2014-12-11 2016-06-16 Rehau Ag + Co Verbundbautei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bauteils
US10562274B1 (en) * 2016-02-22 2020-02-18 Apple Inc. Glass fastening and sealing systems
CN107698790B (zh) 2016-08-05 2023-10-03 法国圣戈班玻璃公司 用于玻璃上的薄膜及其制造方法以及车窗
EP3284571B2 (en) 2016-08-16 2022-05-11 Magna Engineered Glass Europe S.à.r.l. Window surround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6614110B2 (ja) * 2016-11-24 2019-12-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窓ガラスのモール構造
FR3070631B1 (fr) * 2017-09-04 2019-08-30 Hutchinson Insert pour une coulisse de vitrage de vehicule
CN109987855B (zh) 2017-12-29 2022-08-12 法国圣戈班玻璃公司 隔热玻璃、制备方法及隔热玻璃产品
DE102019204582A1 (de) * 2019-04-01 2020-10-0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Hinterspritzen von kaltverformten Glaskomponenten mit Kunststoff
CN111421757A (zh) * 2019-04-15 2020-07-17 法国圣戈班玻璃公司 车窗玻璃组件及其制造方法
FR3110161B1 (fr) * 2020-05-13 2022-05-27 Saint Gobain Vitrage de véhicule avec excitateur audi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2522A (en) * 1977-06-16 1980-05-13 Honeywell Inc. Injection molding apparatus for accommodating various sizes of molding die inserts
JPH0537686Y2 (ko) * 1986-03-28 1993-09-24
JPH01178422A (ja) * 1988-01-07 1989-07-14 Nissan Motor Co Ltd ガラスアッセンブリの製造方法
GB9016059D0 (en) * 1990-07-21 1990-09-05 Pilkington Glass Ltd Edge encapsulated panel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5551197A (en) * 1993-09-30 1996-09-03 Donnelly Corporation Flush-mounted articulated/hinged window assembly
US5595771A (en) * 1994-11-04 1997-01-21 Foltuz; Eugene L. Modular mold for injection molding and method of use thereof
JP4010467B2 (ja) * 1997-05-12 2007-11-21 マツダ株式会社 コンバーチブル・トップ組立体、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3488094B2 (ja) * 1998-09-03 2004-01-19 日本板硝子株式会社 板状体のシール枠成形方法及びシール枠付き板状体
JP2001252943A (ja) * 2000-03-10 2001-09-18 Hori Glass Kk 樹脂部品のガラス一体成形方法
DE20006330U1 (de) * 2000-04-07 2001-05-23 Bbg Braunsberger Gmbh & Co Kg Glasscheibe mit Kunststoff-Umrandung
JP2003071871A (ja) * 2001-08-31 2003-03-12 Asmo Co Ltd インサート成形装置および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
US6942280B2 (en) * 2003-06-12 2005-09-13 Guardian Industries Corp. System for attaching colored insert to vehicle frame assembly
JP3988082B2 (ja) * 2004-02-12 2007-10-10 株式会社サカイヤ 合成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8056233B2 (en) * 2006-06-27 2011-11-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n automotive component memb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584A (ko) * 2017-08-14 2019-02-25 (주)엘지하우시스 루프레일 및 루프 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811896B1 (pt) 2018-09-11
EP2155462A2 (fr) 2010-02-24
JP2010527812A (ja) 2010-08-19
MX2009012571A (es) 2010-02-12
ES2526821T3 (es) 2015-01-15
FR2916380B1 (fr) 2009-07-31
WO2008145938A3 (fr) 2009-02-19
CN101754843A (zh) 2010-06-23
US8850760B2 (en) 2014-10-07
CN101754843B (zh) 2013-06-12
PL2155462T3 (pl) 2015-03-31
WO2008145938A2 (fr) 2008-12-04
US20100166987A1 (en) 2010-07-01
BRPI0811896A2 (pt) 2014-11-18
ZA200908153B (en) 2010-09-29
KR101539787B1 (ko) 2015-07-27
PT2155462E (pt) 2015-01-14
FR2916380A1 (fr) 2008-11-28
EP2155462B1 (fr) 201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8564A (ko) 인서트를 포함하는 시일을 이용하여 유리 요소를 오버몰딩하는 방법 및 장치, 유리, 및 이 방법을 위한 인서트
US20100104803A1 (en) Glass with molding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900549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etainer ring of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device
KR101958290B1 (ko) 내부 뒤틀림-방지 보호부를 갖는 배터리 부싱
EP1415101B1 (en) Appliance with seal between two housing shells
JPH07296611A (ja) 車両用灯具とそ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EP1487248B1 (en) Holding structure and a molded part with the same
KR20050024608A (ko) 차량용 배터리의 고정 구조
JP2008089573A (ja) センサー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そのセンサー
US6715821B2 (en) Molding fastening assembly and molding clip
KR20040014284A (ko) 구성 요소에 체결되는 플라스틱 너트
US5154645A (en) Bulb socket
US10730215B2 (en) Insert molded article, insert molding method, and insert molding apparatus
JP4812615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ボールジョイントの製造方法
JP2009156290A (ja) 車両用クリップ及びその製法
JP2007162733A (ja) クッション部材およびクッション部材の成形方法
US5360088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bicycle brake block and the block
JPH06178514A (ja) モールドモータ
JP5640871B2 (ja) 樹脂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法
US20130266399A1 (en) Mounting structure
JP7157911B2 (ja) インサート成形品及び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
JPH02155618A (ja) ナットインサート成形方法
JP2004001362A (ja) 機能性レンズの製造用治具、及び機能性レンズの製造方法
JP3966038B2 (ja) 樹脂部品のインサート材セット構造およびこの構造による成形方法
JPH01178422A (ja) ガラスアッセンブリ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