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523A - 강판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강판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0523A
KR20100020523A KR1020107000834A KR20107000834A KR20100020523A KR 20100020523 A KR20100020523 A KR 20100020523A KR 1020107000834 A KR1020107000834 A KR 1020107000834A KR 20107000834 A KR20107000834 A KR 20107000834A KR 20100020523 A KR20100020523 A KR 20100020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steel sheet
steel plate
value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0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나리타
코지 도죠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0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34Methods of heating
    • C21D1/42Induction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1/00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for heat treat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1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hot wor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involving a particular fabrication or treatment of ingot or slab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ntrol Of Heat Treatment Processes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정지형 가열 처리에 있어서, 재질 모델의 예측 정밀도가 향상되고, 그에 수반하는 가열 조건의 고정밀화에 따라, 고품질의 강판을 얻는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소망하는 제품을 얻기 위해 가열 조건을 제어하여 강판을 가열하는 강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측정되는 상기 강판의 소정 위치의 재질치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강판의 소정 위치의 재질 목표치의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가열 조건이 설정되고, 상기 강판을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강판의 소정 위치를 상기 가열 조건으로 가열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강판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제조 장치{PROCESS, AND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FOR MANUFACTURING STEEL SHEET}
본 발명은, 정지형 가열 처리에 의해, 소망하는 강판 제품을 얻기 위해 강판의 가열 제어를 행하는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지형 가열 처리에 있어서, 강판을 유도가열 장치로 사전에 상정한 가열 조건으로 가열하고, 소망하는 강판 제품을 얻고 있다.
종래, 가열 조건에 대해, 가열 온도 목표치는 제품 사양마다 오랜 기간에 걸치는 경험에 의거하여 결정되고, 이것을 달성하도록, 온도 제어를 행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였다. 그런데, 근래, 제품 사양에의 요구의 고도화, 다양화가 현저하고, 경험에 의거한 결정 방법으로는 목표치를 반드시 적정하게 정할 수가 없게 되어 왔다.
그래서, 승온이나 균열(均熱)을 목적으로 하여, 라인상에 배치된 온도계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를 이용하여, 유도가열 장치의 공급 전력을 제어하여, 목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즉, 강판은, 압연, 단조 또는 교정 라인에, 적절히, 복수, 배치되는 유도가열 장치에 의해 온도가 제어되어 가열된 후, 압연기에 의해 가공되어 소망하는 제품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 유도가열 장치는, 인버터를 전원 장치로서 갖고 있고, 이 인버터에의 가열 전력 기준 출력과 그 제어를 행하는 장치로서 유도가열 장치용 제어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품 치수, 재질, 온도 조건 등으로부터 설정치를 계산하고 유도가열 장치용 제어 장치에 전력 설정치를 출력하는 설정 계산 수단과, 유도가열 장치의 입측 온도계 또는 출측 온도계로부터의 측정치에 의한 수정 계산 수단을 갖는 계산기가 있다. 계산기는 전력 설정치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제품 치수 등의 정보를 상위 계산기로부터 주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의해, 유도가열 장치용 제어 장치에 의한 가열 제어는, 계산기에 의해 기본이 되는 가열 설정 모델 계산을 전력 설정치의 기초가 되는 온도 설정치로서 정하고, 그 전력 설정치에 의거하여, 유도가열 장치용 제어 장치가 유도가열 장치의 가열 전력 제어를 행하게 된다. 또한, 라인상에 배치된 온도계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를 이용하여 유도가열 장치의 공급 전력을 제어하여, 승온, 균열, 목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재질 센서에 의한 측정 결과에 의해 재질 모델에 의거한 가열 제어를 행함에 의해, 소망하는 재질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일본 특개평9-314216호 공보 일본 특개평10-202311호 공보 일본 특개평5-171258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온도계에 의한 온도 제어에서는, 가열 조건과 강판의 재질과 그 강판 내면 온도로서의 목표치 설정과, 온도계의 검출 정밀도가 중요해지다. 그런데, 온도계의 검출은 어디까지나 표면 온도의 측정인 것과, 수증기나 스케일 등의 영향에 의한 측정 오차도 생겨서, 다이내믹한 제어를 행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이 때문에, 사전에 측정한 제품 온도를 기초로 한 온도 설정에 의한 가열밖에 할 수가 없고, 소망하는 재질을 얻을 수가 없는 케이스가 생기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재질 모델에 의거한 제어 방법에서는, 제품의 재질을 목표치에 일치시키기 위해, 재질 모델의 예측 정밀도가 중요해지다. 그런데, 가열 조건과 제품의 재질의 관계는 극히 복잡하고, 그 예측 정밀도는 반드시 충분하지가 않았다. 특히, 제품이 재질 모델 동정(同定)의 대상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예측 정밀도의 악화가 현저하였다. 또한, 재질 모델을 구성하는 다수에 걸치는 모델식(式)의 개개의 정밀도는 양호하여도, 그들의 오차가 축적되기 때문에, 토탈의 정밀도를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재질 모델의 예측 정밀도가 향상되고, 그에 수반하는 가열 조건의 고정밀화에 따라, 고품질의 강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강판의 제조 방법은, 소망하는 제품을 얻기 위해 가열 조건을 제어하여 강판을 가열하는 강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측정되는 상기 강판의 소정 위치의 재질치(材質値)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강판의 소정 위치의 재질 목표치의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가열 조건이 설정되고, 상기 강판을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강판의 소정 위치를 상기 가열 조건으로 가열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질 모델의 예측 정밀도가 향상되고, 그에 수반하는 가열 조건의 고정밀화에 따라, 고품질의 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강판의 제조 장치의 주요부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강판의 제조 장치의 주요부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강판의 제조 장치의 주요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강판의 제조 장치의 주요부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의 강판의 제조 장치의 주요부 개략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의 강판의 제조 장치의 주요부 개략 구성도로서, 유도가열 장치에 강판을 반입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의 강판의 제조 장치의 주요부 개략 구성도로서, 유도가열 장치에 강판을 반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의 강판의 제조 장치의 주요부 개략 구성도로서, 유도가열 장치로부터 강판을 반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서의 강판의 가열 제어 장치의 개략 구성도.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 따라 이것을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중복 설명은 적절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강판의 제조 장치의 주요부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서, 1은 강판, 2는 반입되는 강판(1)을 폭방향 전체에 걸쳐서 정지형 가열 처리를 행하는 솔레노이드형의 유도가열 장치로서, 전원 장치로서 인버터(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다. 인버터는 반도체 소자 회로에 의해 유도가열 코일(2a)에 공급하는 전력을 임의로 또한 재빠르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도가열 장치(2)는, 적절히, 제품 사양 등에 응하여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3은 인버터에의 가열 전력 기준 출력과 그 제어, 설정을 행하는 유도가열 장치용 제어 장치이다. 4는 유도가열 장치(2)의 가열 조건을 제어하기 위해, 이 가열 조건에 대응한 전력 설정치를 유도가열 장치용 제어 장치(3)에 출력하는 계산기이다. 5는 강판(1)의 치수 형상, 제품의 목표 치수 형상, 금속 소재의 조성(합금 성분의 함유율) 등의 목표치를 계산기(4)에 주는 상위 계산기이다.
여기서, 유도가열 장치(2)의 상류측에는, 재질 센서(6)가 마련되어 있다. 이 재질 센서(6)는, 소정 위치에서, 시시각각 변화하는 강판(1)의 유도가열 장치(2)에의 반입 방향의 재질치를 측정하는 것이다. 또한, 재질 센서(6)는, 내구성 등의 관점에서 비접촉, 비파괴의 것이 바람직하고, 투자율 등의 재질을 직접 측정하는 것 외에, 전기 저항, 초음파의 전파 특성, 방사선의 산란 특성 등 재질과 강한 상관을 나타내는 물리량을 검출하고, 결정 입경(粒徑), 성형성 등의 재질로 환산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와 같은 재질 센서(6)는 다양한 것이 있고, 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57-5725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재료 내에 타입한 초음파의 강도 변화 또는 전파 속도의 검출치에 의거하여 재료의 결정 입경 또는 집합 조직을 측정하는 것인 경우도 있다.
또한, 초음파의 송수신에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1-25530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근래 개발된 레이저 초음파 장치 또는 전자 초음파 장치(모두 도시 생략) 등이 사용된다. 특히, 레이저 초음파 장치는, 재료 표면부터 재질 센서(6)까지의 거리를 길게 취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특히, 열간 측정 및 온라인 측정을 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이용 가치가 높은 것이다. 또한, 재질 센서(6)는, 일본 특개소56-8244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자속 검출기(도시 생략)로 검출되는 자속 강도로부터 강재의 변태량을 측정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와 같은 재질 센서(6)로 측정된 강판(1)의 소정 위치의 재질치는, 계산기(4)에 보내진다. 계산기(4)에는, 상위 계산기(5)로부터 강판(1)의 치수 형상 등의 목표치에 더하여, 재질 센서(6)에 의한 측정 위치에서 달성하여야 할 재질 목표치가 주어진다. 여기서, 재질 목표치란, 재질 센서(6)에 의해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재질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인장강도, 내력(耐力), 인성, 및, 연성 등의 기계적 특성, 투자율 등의 전자기적 특성, 또는, 그들과 강한 상관을 갖는 결정 입경, 결정 방위의 배향성, 각종의 결정 조직의 존재 비율중의 몇가지로, 재질 센서(6)로 측정되는 강판(1)의 재질치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이면 좋다. 그리고, 계산기(4)는, 재질 센서(6)로 측정된 강판(1)의 소정 위치의 재질치에 의해 재질 모델 계산을 행하고, 강판(1)의 재질 목표치와 비교하여 유도가열 장치(2)의 가열 조건이 계산된다. 그 후, 강판(1)의 소정 위치는, 유도가열 장치(2)에 반입되고, 정지한 상태에서 계산기(4)에 의한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설정된 가열 조건으로 가열된다.
다음에, 유도가열 장치(2)의 가열 조건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재질 센서(6)에 의해, 가열 전의 강판(1)의 소정 위치의 재질치가 측정된다. 그 후, 계산기(4)에 의해, 강판(1)의 재질 모델 계산이 행하여진 측정 위치의 재질치와 재질 목표치가 비교되고, 그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유도가열 장치용 제어 장치(3)에서 행하는 전력 제어에 의해 유도가열 장치(2)의 가열 설정 온도에 수정이 가하여진다. 이것은, 예를 들면, 이하의 (1)식에 의해 행하여진다.
TSET=TCAL-TSTA×((RCAL-RSIM)/RCAL×K1) … (1)
여기서, TSET는 보정 후의 가열 설정 온도치(℃), TCAL는 보정 전의 가열 설정 온도치(=설정 계산치)(℃), TSTA는 가열 온도치(℃), RCAL은 가열 전의 재질 설정치(=재질 목표 치), RSIM은 재질 측정치, K1은 게인(-)이다. 또한, 게인(K1)은 유도가열 장치(2)의 응답성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다.
또한, 유도가열 장치용 제어 장치(3)의 전력 제어치는, 강판(1)의 치수, 특성(비중, 비열) 및 반송 속도의 값을 이용하여 처리량과 승온 열량으로부터 필요 승온량에 대한 전력치를 전력 제어 모델로 하여 정하여진다. 예를 들면, 이하의 (2)식으로 행하여진다.
PSET=WS×TS×SPD×G×△T2×C … (2)
여기서, PSET는 전력 제어치(㎾), WS는 강재 폭(㎜), TS은 강재 두께(㎜), SPD는 강재의 반송 속도(㎜/sec), G는 강재의 질량(g/㎟), △T2는 필요 승온량(℃), C는 강재의 비열(cal/g·℃)이다.
계산기(4)에 의해 계산된 (2)식을 강판(1)의 승온에 필요한 기준 전력치로서 유도가열 장치용 제어 장치(3)에 주는 것으로 한다. 유도가열 장치(2)의 전원 장치인 인버터로부터는, 유도가열 장치용 제어 장치(3)에 의해, 상기한 전력 제어치(PSET)에 유도가열 장치(2)의 가열 효율을 가미한 값이 출력된다.
따라서 전력 제어의 수정 계산은 상기 (2)식과 동등식을 이용하여, 재질 센서(6)의 측정치로부터의 수정 계산으로 얻어진 보정 후의 가열 설정치 온도(TSET)를 △T에 대입함에 의해 행하여진다. 즉, 이하의 (3)식으로 행해진다.
PSET1=WS×TS×SPD×G×TSET×C … (3)
여기서, PSET1는 보정 후의 전력 제어치(㎾)이다. 즉, 이 보정 후의 전력 제어치(PSET1)를 수정치로 하여 유도가열용 제어 장치(2)에 의해 수정이 가하여지고, 유도가열 장치(2)의 가열 조건이 제어된다. 이로써, 재질 센서(6)에 의해 측정된 강판(1)의 소정 위치가 유도가열 장치(2)에 의해 가열되게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의 형태 1에 의하면, 인버터는 반도체 소자 회로에 의해 유도가열 코일(2a)에 공급하는 전력을 임의로 또한 재빠르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1)식으로 표시되는 게인(K1)이 높아져서 유도가열 장치(2)의 응답성이 향상한다. 또한, 유도가열 장치용 제어 장치(3)는, 계산기(4)로부터 출력되는 전력 제어치에, 강판(1)의 재질 모델 계산이 행하여진 측정 위치의 재질치와 재질 목표치가 비교되고, 그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구하여진 수정치를 가하여, 유도가열 장치(2)의 가열 조건이 제어된다. 이 때문에, 강판(1)의 유도가열 장치(2)에의 반입 방향 전체에 걸쳐서, 보다 정밀도가 높은 다이내믹한 가열 조건의 제어가 가능해지고, 일정한 재질이 유지되어 고품질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마찬가지로 온도계로 측정된 강판(1) 표면 온도도 고려하여 재질 모델 계산하여도 좋음은 말할 것도 없다.
실시의 형태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강판의 제조 장치의 주요부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강판의 제조 장치의 주요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강판의 제조 장치의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또한, 실시의 형태 1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유도가열 장치(2)의 상류측에 재질 센서(6)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유도가열 장치(2)에는, 유도가열 코일(2a)을 덮는 가열 코일 커버(2b)에 마련되는 측정용 엿보기 창(2c) 부근에 재질 센서(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측정용 엿보기 창(2c)은, 유도가열 코일(2a)의 턴 사이에 배치되고, 재질 센서(7)가 유도가열 코일(2a) 내에서 가열 도중인 강판(1)을 직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유도가열 장치(2)는, 재질 센서(6)에 의해 강판(1)의 소정 위치의 재질치가 측정되고 있는 상태에서, 강판(1)을 가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의 형태 2에 의하면, 가열 도중에 있어서의 강판(1)의 재질치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의 형태 1보다도 정밀도가 높은 다이내믹한 가열 조건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실시의 형태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의 강판의 제조 장치의 주요부 개략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의 강판의 제조 장치의 주요부 개략 구성도로서, 유도가열 장치에 강판을 반입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의 강판의 제조 장치의 주요부 개략 구성도로서, 유도가열 장치에 강판을 반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의 강판의 제조 장치의 주요부 개략 구성도로서, 유도가열 장치로부터 강판을 반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실시의 형태 1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의 형태 1에서는, 강판(1)의 유도가열 장치(2)에의 반입출(搬入出)의 상세는 언급되어 있지 않았다. 한편, 실시의 형태 3에서는, 강판(1)의 유도가열 장치(2)에의 반입출에 특징을 갖는 것이다. 이하, 실시의 형태 3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8은 유도가열 장치(2)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강판(1)을 압출하여 유도가열 장치(2)에 반입시키는 압출 장치, 9는 일단이 강판(1)의 상류측에 강선(鋼線) 고정구(9a)를 통하여 고정되는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권취선(卷取線), 10은 권취선(9)의 타단이 고정되고, 가열 후에 권취선(9)을 권취하여 강판(1)을 재질 센서(6)측으로 반출시키는 권취기이다. 이 경우, 우선, 재질 센서(6)에 의해, 가열 전의 강판(1)의 소정 위치의 재질치가 측정된다. 그 후, 계산기(4)에 의해, 측정되는 재질치에 의거하여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유도가열 장치(2)의 가열 조건이 계산된다. 뒤이어, 강판(1)이, 압출 장치(8)에 의해 압출되어, 유도가열 장치(2)에 반입된다. 그리고, 강판(1)은, 소정 시간 가열된 후, 권취기(10)에 의해 재질 센서(6)측으로 반출되고, 재차, 재질 센서(6)에 의해 소정 위치의 재질치가 측정된다. 이 때, 강판(1)의 소정 위치의 재질치가 재질 목표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가열 후의 재질치가 재질 목표치에 일치할 때까지, 압출 장치(8) 및 권취기(10)에 의해 강판(1)을 반입출시켜, 강판(1)의 가열이 반복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의 형태 3에 의하면, 가열 전후의 강판(1)의 재질 평가가 행하여져서, 보다 고품질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압출 장치(8) 등을 유도가열 장치(2)의 상류측에 배치함에 의해, 강판(1)의 유도가열 장치(2)에의 반입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4.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서의 강판의 가열 제어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또한, 실시의 형태 3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의 형태 1의 유도가열 장치(2)는, 솔레노이드형이였다. 한편, 실시의 형태 4의 유도가열 장치(11)는, 강판(1) 폭방향 양측부의 상방 및 하방에 유도가열 코일(11a)이 배치되는 트랜스버스형이다. 이 트랜스버스형의 유도가열 장치(11)는, 강판(1)중 중앙부에 비하여, 폭방향 양측부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 유도가열 코일(11a)로 해당 양측부를 가열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의 형태 4에 의하면, 각 상황에 적합한 유도가열 장치를 선택할 수 있어서, 보다 고품질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강판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제조 장치에 의하면, 재질 모델의 예측 정밀도가 향상되고, 그에 수반하는 가열 조건의 고정밀화에 따라, 고품질의 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1 : 강판
2 : 유도가열 장치
2a : 유도가열 코일,
2b : 가열 코일 커버
2c : 측정용 엿보기 창
3 : 유도가열 장치용 제어 장치,
4 : 계산기
5 : 상위 계산기
6 : 재질 센서
7 : 재질 센서,
8 : 압출 장치
9 : 권취선
9a : 강선 고정구
10 : 권취기
11 : 유도가열 장치
11a : 유도가열 코일

Claims (9)

  1. 소망하는 제품을 얻기 위해 가열 조건을 제어하여 강판을 가열하는 강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측정되는 상기 강판의 소정 위치의 재질치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강판의 소정 위치의 재질 목표치의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가열 조건이 설정되고, 상기 강판을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강판의 소정 위치를 상기 가열 조건으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제조 방법.
  2. 소망하는 제품을 얻기 위해 가열 조건을 제어하여 강판을 가열하는 강판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강판의 소정 위치의 재질치를 측정하는 재질 센서와,
    상기 재질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강판의 소정 위치의 재질치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강판의 소정 위치의 재질 목표치와 비교하는 계산기와,
    상기 계산기에 의한 상기 재질치와 상기 재질 목표치의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가열 조건이 설정되고, 상기 강판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강판의 소정 위치를 상기 가열 조건으로 가열하는 가열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제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가열 장치는, 재질 센서에 의해 강판의 재질치가 측정되는 후에, 상기 강판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제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가열 장치는,
    재질 센서에, 가열 후의 강판의 재질치를 측정시키고,
    계산기에, 상기 재질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가열 후의 상기 강판의 재질치를, 상기 강판의 재질 목표치와 비교시키고,
    상기 재질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가열 후의 상기 강판의 재질치가 상기 강판의 재질 목표치에 일치할 때까지, 상기 강판의 가열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제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가열 장치는,
    강판을 압출하여 반입시키는 압출 장치와,
    일단이, 상기 강판에 고정되는 권취선과,
    상기 권취선의 타단이 고정되고, 가열 후에 상기 권취선을 권취하여 상기 강판을 재질 센서측으로 반출시키는 권취기를 구비하고,
    상기 강판의 가열을 반복할 때는, 상기 압출 장치 및 상기 권취기에 의해 상기 강판을 반입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제조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가열 장치는, 재질 센서에 의해 강판의 재질치가 측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강판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제조 장치.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 장치는, 강판 폭방향 전체에 걸쳐서 가열하는 솔레노이드형 유도가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제조 장치.
  8.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 장치는, 강판 폭방향 양측부를 가열한 트랜스버스형 유도가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제조 장치.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가열 장치는,
    가열 코일과,
    상기 가열 코일을 덮는 가열 코일 커버와,
    상기 가열 코일 커버에 마련되고, 재질 센서로 상기 가열 코일의 턴 사이로부터 강판의 재질치를 측정시키는 측정용 엿보기 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제조 장치.
KR1020107000834A 2007-07-26 2007-07-26 강판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제조 장치 KR201000205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64640 WO2009013827A1 (ja) 2007-07-26 2007-07-26 鋼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製造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523A true KR20100020523A (ko) 2010-02-22

Family

ID=40281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0834A KR20100020523A (ko) 2007-07-26 2007-07-26 강판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09013827A1 (ko)
KR (1) KR20100020523A (ko)
CN (1) CN101765667A (ko)
WO (1) WO20090138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2151B2 (ja) * 2015-03-09 2018-07-25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圧延設備
DE102019211862A1 (de) * 2019-08-07 2021-02-1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induktiven Wärmebehandlung und verfahrenstechnische Anordnung zur Ausführung des Verfahrens
JP7348138B2 (ja) 2020-06-16 2023-09-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誘導加熱方法および誘導加熱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849A (en) * 1977-06-16 1979-01-17 Nippon Steel Corp Apparatus for heating end of metal strip piece
JPS57137417A (en) * 1981-02-17 1982-08-25 Michio Sugiyama Semicontinuous vacuum heat treatment furnace and operating method
JPS6013022A (ja) * 1983-07-04 1985-01-23 Kobe Steel Ltd 非磁性鋼板の製造方法
JPS6342152U (ko) * 1986-09-05 1988-03-19
JP2984869B2 (ja) * 1991-12-16 1999-11-2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材質制御による高品質加工用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H05171528A (ja) * 1991-12-19 1993-07-09 Kanai Hiroyuki 紡機用リング
JP4066603B2 (ja) * 2001-02-02 2008-03-2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材の熱処理方法
JP2002294331A (ja) * 2001-03-30 2002-10-09 Chugai Ro Co Ltd 加熱炉における鋼片の装入方法
JP3954480B2 (ja) * 2002-11-14 2007-08-08 電気興業株式会社 クランクシャフトの高周波焼入方法及び装置
JP4113813B2 (ja) * 2003-08-08 2008-07-09 日本アジャックス・マグネサーミ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
JP4153895B2 (ja) * 2003-12-25 2008-09-2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金属帯板の誘導加熱装置および誘導加熱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013827A1 (ja) 2010-09-30
WO2009013827A1 (ja) 2009-01-29
CN101765667A (zh) 201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2764B2 (ja) 圧延、鍛造又は矯正ラインの材質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CN108779508B (zh) 用于轧制和/或热处理金属产品的方法
JP5685208B2 (ja) 薄板用熱間圧延機の制御装置および薄板用熱間圧延機の制御方法
KR20090115195A (ko) 퀴리점을 가진 강 스트립의 연속 소둔 방법 및 연속 소둔 설비
JP2006508803A (ja) 金属の成形、冷却、及び/又は熱処理をするための設備のプロセス制御又はプロセス調整をするための方法
KR20100020523A (ko) 강판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제조 장치
JP5293022B2 (ja) 連続焼鈍炉における温度制御方法および連続焼鈍炉
KR101592741B1 (ko) 온도 분포 예측 장치
JPWO2008090597A1 (ja) 鋼板製造ラインの加熱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CN111886364B (zh) 酸洗设备以及酸洗设备的运转方法
JP2006291248A (ja) 高周波熱処理方法、高周波熱処理設備、薄肉部材およびスラスト軸受
TWI504872B (zh) 紅外線溫度計的校正方法與應用此方法之生產控制系統
JP2011173153A (ja) 厚鋼板の冷却制御装置、冷却制御方法、及び、製造方法
JP4962005B2 (ja) 鋼材の製造方法、鋼材の冷却制御装置、及び、鋼材の製造装置
JP4408221B2 (ja) 鋼板の水冷プロセスにおける熱伝達係数推定方法および冷却制御方法
JP2008297583A (ja) 表面硬度の上限規定が設けられている厚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設備
KR20080083097A (ko) 강판 제조 라인의 가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4686924B2 (ja) 熱間圧延鋼板の板厚測定方法、板厚測定装置および板厚制御方法
CN113281118A (zh) 钢材试样连续退火模拟装置及实验方法
JP6627609B2 (ja) 冷却制御方法及び冷却装置
JP4762758B2 (ja) 線状加熱方法及び線状加熱制御システム
JP7444125B2 (ja) 金属板の表面温度測定装置、焼鈍設備及び表面温度測定方法
JP7414044B2 (ja) 金属帯の温度測定方法、金属帯の温度測定装置、金属帯の製造方法、金属帯の製造設備、及び、金属帯の品質管理方法
US20090071954A1 (en) Induction Tempering Method, Induction Tempering Apparatus, and Induction Tempered Product
JP6052023B2 (ja) 鋼板の熱処理温度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