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7217A - 밸러스트 유지체 및 유도상 궤도 - Google Patents

밸러스트 유지체 및 유도상 궤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7217A
KR20100017217A KR1020097024271A KR20097024271A KR20100017217A KR 20100017217 A KR20100017217 A KR 20100017217A KR 1020097024271 A KR1020097024271 A KR 1020097024271A KR 20097024271 A KR20097024271 A KR 20097024271A KR 20100017217 A KR20100017217 A KR 20100017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ballast
laminated body
laminate
slee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4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키 세키
타카시 카치
미키히토 고바야시
주니치 고세키
Original Assignee
센트럴 제팬 레일웨이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트럴 제팬 레일웨이 컴퍼니 filed Critical 센트럴 제팬 레일웨이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00017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72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1Track with ballas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00General structure of permanent wa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7/00Making, maintaining, renewing, or taking-up the ballastway or the track,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E01B27/00 - E01B35/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ilway Tracks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밸러스트 유지체는, 노반(路盤) 위에 밸러스트를 부설하고, 사다리꼴 등의 소정 단면 형상의 마루형 구조가 되도록 다져서, 상기 노반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설치함으로써 형성된 도상(道床)과, 그 길이 방향이 상기 도상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도록 상기 도상 위에 배열 설치된 복수의 침목과, 상기 복수의 침목의 상면에 상기 도상의 연장 방향을 따라 체결된 한 쌍의 레일을 구비하는 유도상 궤도에 이용되며, 상기 도상의 횡단 방향의 양측에 상기 도상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도상을 그 횡단 방향의 양측에서 지지한다. 상기 도상의 경사면 바닥부로부터 경사면 숄더부에 걸쳐 봉지 모양으로 형성된 복수의 백에 밸러스트를 각각 포함시켜 쌓아올리고, 상기 노반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제1 적층체를 구비하며, 상기 백에는 그 적어도 상면 및 하면에 상기 백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밸러스트 유지체, 유도상 궤도{BALLAST STOPPING WORK, BEDDED TRACK}
본 발명은 노반(路盤) 위에 도상(道床)을 마련하고, 그 도상 위에 침목 및 레일을 배치한 유도상(有道床) 궤도, 및 유도상 궤도의 도상의 양측에 설치되는 밸러스트 유지체(ballast retaining structure)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알려져 온 궤도로서는, 노반 위에 도상을 마련하고, 그 도상 위에 침목 및 레일을 배치한 유도상 궤도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도상 궤도의 구조로서는, 노반 위에 형성한 도상에 침목을 배열하고, 그 위에 한 쌍의 레일을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부착한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유도상 궤도를 구성하는 도상에는, 밸러스트, 슬라브 등이 있으며, 노선의 다양한 조건을 고려하여 선정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도 5A 및 도 5B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자갈·쇄석 등의 밸러스트(2)를 이용한 밸러스트 도상 궤도(1000)가 종래부터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밸러스트(2)를 이용한 도상(1003)은 그 성질상 무거운 차량의 주행을 합리적으로 지지하면서도 경제적으로도 우수하기 때문에, 오랜 세월동안 채용되어 오고 있다. 또한, 자갈·쇄석 등의 밸러스트(2)는 침목(4)을 확실히 유지하고, 열차로부터 레일(5) 및 침목(4)을 거쳐 전해지는 하중을 노반에 균등하게 분산시키며, 궤도에 탄성을 갖게 함과 함께, 댐핑 등의 보수 작업의 용이한 실시 및, 궤도의 배수를 좋게 하고 분니(噴泥)나 잡초의 발생을 방지하는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밸러스트를 이용한 도상은, 그 표면 부근에서 개개의 자갈·쇄석 등이 이동하기 쉽고, 통과하는 열차 하중이나, 고온시의 레일 축력에 기인하는 팽창력, 지진시의 응력 등을 받았을 경우나 성토 구조물의 침하 등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어, 궤도의 높낮이 어긋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궤도의 높낮이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에는, 밸러스트를 보충하거나 도상을 다지거나 하여 수정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궤도의 높낮이 어긋남을 수정하는 작업은 막대한 노력·비용을 필요로 한다.
한편, 밸러스트 위의 복수의 침목 사이에 단단한 판을 설치하고, 침목의 아래로 집어넣은 상향(上向)의 'コ'자형 앵커로 그 단단한 판끼리를 연결하는 밸러스트를 이용한 도상도 알려져 있지만(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도상의 경사면 바닥부로부터 경사면 숄더부에 이르는 부분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표면 부근에서 개개의 자갈·쇄석 등이 이동하기 쉽고, 통과하는 열차 하중이나, 고온시의 레일 축력에 기인하는 팽창력, 지진시의 응력 등을 받았을 경우나 성토 구조물의 침하 등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어, 궤도의 높낮이 어긋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도 5C 및 도 5D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노반(1) 위에 있어서의 도상(1103)의 양측에 밸러스트 유지체(1010)를 설치하고, 그 밸러스트 유지체(1010)에 의해 밸러스트(2)의 변형을 방지하는 밸러스트 도상 궤도(1100)가 고려되고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2 참조.). 이 밸러스트 유지체(1010)는 프리스트레스트 콘 크리트 등의 콘크리트제이며, 벽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밸러스트 유지체(1010)에 있어서는, 예컨대 폭 50 cm의 벽 모양으로 형성된 것은 1기(基)가 약 200 kg이 되기 때문에, (1) 시공시에 보관 장소로부터 보수용 차량 등으로 현지에 운반할 필요가 있다는 것, (2) 시공시에 중장비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 (3) 밸러스트 유지체(1010)가 돌기부(1010a)를 갖는 경우에 그 돌기부(1010a)를 노반(1)에 매설시키기 때문에 레일 직각의 단면 방향으로 도상을 크게 파내어 설치한 후에 다시 묻을 필요가 있다는 것 등의 시공면에 있어서 과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밸러스트 유지체(1010)를 사용한 공법은 일반적으로 비용이 비싸다고 알려져 있다.
그래서, 천이나 폴리에틸렌 등으로 만들어진 가요성의 흙부대 봉지에 자갈·쇄석 등의 충전재를 채운 것을 노반 위에 설치하고, 그 표면을 쇄석 등으로 덮어서 평평하게 한 다음에 침목을 배열하여 레일을 고정하는 수법이 고려되고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3~6 참조.). 이러한 충전재가 들어있는 흙부대 봉지를 이용하는 수법에 의하면, 종래의 자갈·쇄석 등을 깔았을 뿐인 수법에 비해, 철도 차량의 통과에 수반되는 반복 하중에 의한 레일의 침하가 적어지며, 그 만큼 레일이나 도상의 보수 작업이 경감됨과 함께, 철도 차량의 통과시의 진동이나 소음도 저감시킬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허 공개 평 9-111704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국 특허 공개 평 8-144206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국 특허 공개 평 8-151601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국 특허 공개 평 8-74201호 공보
특허 문헌 5 : 일본국 특허 공개 2000-86890호 공보
특허 문헌 6 : 일본국 특허 공개 2001-271301호 공보
특허 문헌 7 : 일본국 특허 공개 평 8-27701호 공보
특허 문헌 8 : 일본국 특허 공개 평 9-137422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충전재가 들어있는 흙부대 봉지를 이용하는 수법 에 있어서는, 흙부대 봉지의 다일레이턴시(dilatancy)에 의한 응력 증가가 기대되지만, 흙부대 봉지끼리의 경계에 있어서 밸러스트와 밸러스트 사이의 흙부대 봉지의 소재가 밸러스트간의 맞물림을 방해하여 마찰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아, 흙부대 봉지간에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도상이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노반 위에 허니콤(honeycomb) 모양의 보강재를 설치하고, 그 보강재 공간에 위쪽에서 밸러스트를 충전함으로써 도상을 형성하는 수법도 고려되지만(예컨대, 특허 문헌 7 참조.), 허니콤 모양의 보강재 위쪽에 위치하는 밸러스트가 붕괴되어 도상의 표면 부분이 변형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흙부대 봉지의 상면 및 하면에 스트립형 부재를 부착하고, 그 스트립형 부재에 삽입 관통시킨 로프 등의 선형 부재로 결속함으로써 흙부대 봉지끼리를 연결하는 수법도 고려되지만(예컨대, 특허 문헌 8 참조.), 흙부대 봉지끼리의 경계 에 있어서 밸러스트와 밸러스트 사이의 흙부대 봉지의 소재가 밸러스트간의 맞물림을 방해하여 마찰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다는 과제는 여전히 존재하며, 흙부대 봉지간에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도상이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흙부대 봉지를 쌓아올렸을 경우에는, 스트립형 부재가 흙부대 봉지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흙부대 봉지끼리가 잘 밀착되지 않아, 흙부대 봉지간에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도상이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상에 있어서 밸러스트 표면 혹은 밸러스트간에 접착성이 높은 수지등의 약제를 산포하여 밸러스트를 굳힘으로써 이동을 억제하는 수법이 고려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수지 등의 약제는 비 등에 의해 유출되거나 경시적 변화에 의해 열화되기 때문에 그 효과는 항구적인 것이 아니므로, 전술한 약제의 산포를 단기간에 반복 실시할 필요가 있는데, 그 작업에는 막대한 노력·비용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중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시공성이 좋으면서 저비용인 유도상 궤도의 도상의 변형을 억제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밸러스트 유지체(110:이 란에 있어서는, 발명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란에서 이용한 부호를 붙이지만, 이 부호에 의해 청구 범위를 한정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는, 노반(1) 위에 밸러스트(2)를 부설하고, 사다리꼴 등의 소정 단면 형상의 마루형 구조가 되도록 다져서, 상기 노반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설치함으로써 형성된 도상(3)과, 그 길이 방향이 상기 도상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도록 상기 도상 위에 배열 설치된 복수의 침목(4)과, 상기 복수의 침목의 상면에 상기 도상의 연장 방향을 따라 체결된 한 쌍의 레일(5)을 구비하는 유도상 궤도(100)에 이용되며, 상기 도상의 횡단 방향의 양측에 상기 도상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도상을 그 횡단 방향의 양측에서 지지하는 밸러스트 유지체로서, 상기 도상의 경사면 바닥부로부터 경사면 숄더부에 걸쳐 봉지 모양으로 형성된 복수의 백(bag)(32)에 밸러스트를 각각 포함시켜 쌓아올려고, 상기 노반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제1 적층체(31)를 구비하며, 상기 백은 그 적어도 상면 및 하면에 상기 백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3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백의 연통 구멍에 대해서는, 밸러스트가 통과할 수 없을 정도의 크기인 것이 고려된다. 일례를 들면, 전술한 백의 연통 구멍의 지름 치수가 밸러스트의 평균 입경(粒徑)의 1/2~1/4 정도로 형성되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밸러스트 유지체에 의하면, 백에 넣어진 밸러스트가 서로 분리되지 않으면서도, 밸러스트의 일부가 백의 연통 구멍을 통해 돌출하게 되고, 그리고, 상하 인접하는 백의 연통 구멍을 통해 그 일부가 돌출하는 밸러스트끼리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이들 백끼리가 도상의 횡단 방향으로 잘 어긋나지 않게 되므로, 밸러스트 유지체가 잘 변형되지 않으며, 따라서 도상이 잘 변형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 구성에 비해 중장비가 불필요하고, 시공성이 좋으면서도 저비용으로 유도상 궤도의 도상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백에 대해서는, 그 적어도 상면 및 하면에 연통 구멍이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 고려된다(본 발명의 제2 양태).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백의 연통 구멍을 통해 그 일부가 돌출하는 밸러스트가 증가하고, 서로 맞물리는 밸러스트의 수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하 인접하는 백끼리가 도상의 횡단 방향으로 한층 더 잘 어긋나지 않게 되므로, 밸러스트 유지체가 한층 더 잘 변형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도상이 한층 더 잘 변형되지 않게 된다.
한편, 전술한 복수의 연통 구멍에 대해서는, 백의 상면 및 하면에 불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전술한 복수의 연통 구멍에 대해서는, 백의 상면 및 하면에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고려된다. 복수의 연통 구멍을 규칙적으로 배치한 예로서는, 백의 적어도 상면 및 하면이 메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나, 백의 적어도 상면 및 하면이 그물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본 발명의 제3 양태), 백의 적어도 상면 및 하면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백의 연통 구멍을 통해 그 일부가 돌출하는 밸러스트가 증가하고, 서로 맞물리는 밸러스트의 수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하 인접하는 백끼리가 도상의 횡단 방향으로 한층 더 잘 어긋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밸러스트 유지체가 한층 더 잘 변형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도상이 한층 더 잘 변형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양태와 같이, 백의 적어도 상면 및 하면이 네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고려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다음의 (1)~(7)과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1) 밸러스트를 채운 그물코가 큰 네트를 이용하며, 네트를 컴팩터 등으로 롤링하여 다짐으로써 밸러스트 입자의 맞물림에 의한 마찰이 증대한다.
(2) 또한, 네트의 중량이 밸러스트를 채워도 인력으로 운반할 수 있을 정도이며, 또한 굴삭 단면이 작고, 중장비 등의 대형 건설기계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시공성이 좋아 하룻밤당의 시공 연장을 늘일 수 있다.
(3) 또한, 큰 비 등에 의해 노반에 함몰, 침하가 발생한 경우에도 네트 전체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밸러스트의 함몰은 발생하지 않아 열차의 안전한 주행을 확보할 수 있다.
(4) 네트 내의 밸러스트는 유출되지 않기 때문에, 백을 도상 위 등에 여분으로 설치해 두면, 비축 밸러스트로서 밸러스트 유출 구간에 대한 산포 등에 활용할 수 있다.
(5) 네트 내의 밸러스트는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캔트(cant) 구간 등에 있어서 발생하고 있는 밸러스트의 유동화를 억제할 수 있다.
(6) 네트 등을 이용함으로써 재료비가 싸게 되며, 시공에 대형의 중장비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시공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7) 백에 의한 도상의 구배를 한층 더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수용 통로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밸러스트 유지체가 도상의 횡단 방향으로 잘 변형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제1 적층체를 구성하는 백의 서로 대향하는 연통 구멍에 봉재(棒材) 등의 연결 부재를 삽입 관통시키는 것이 고려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제5 양태와 같이, 백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 연통 구멍 중 어느 하나가, 그 백과 인접하는 백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 연통 구멍 중 어느 하나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봉형상으로 구성되며, 제1 적층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백의 연통 구멍 중의 서로 대향하는 연통 구멍을 관통한 상태로 제1 적층체의 내부에 위치함과 함께 그 선단부가 노반에 매설됨으로써 제1 적층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백끼리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재(35)를 구비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적층체를 구성하는 백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연통 구멍에 삽입 관통시킨 제1 연결 부재가 제1 적층체의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 연결 부재가 인접하는 백끼리를 연결하며, 또한 제1 연결 부재의 선단부가 노반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제1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된 백끼리가 도상의 횡단 방향으로 잘 어긋나지 않게 되어, 도상의 횡단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 밸러스트 유지체가 잘 변형되지 않게 된다. 즉, 제1 연결 부재에 의해 제1 적층체에 프레스트레스(구속력)를 부가하는 것에 의해, 제1 적층체의 전단 응력을 향상시키고, 고온시나 지진시 등에 도상에 충격적인 응력이 작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도상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열차의 안전한 주행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제1 연결 부재에 대해서는, 제1 적층체의 상면을 아래쪽으로 누르기 위한 상측 걸림부(41)를 그 상단 부근에 갖는 것이 고려된다(본 발명의 제6 양태).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연결 부재의 상측 걸림부가 제1 적층체의 상면을 아래쪽으로 누름으로써, 상하 인접하는 백의 연통 구멍을 통해 그 일부가 돌출하는 밸러스트끼리가 보다 강고하게 맞물려, 상하 인접하는 백끼리가 도상의 횡단 방향으로 한층 더 잘 어긋나지 않게 되므로, 밸러스트 유지체가 한층 더 변형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도상이 한층 더 잘 변형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전술한 제1 연결 부재에 대해서는, 제1 적층체의 하면을 위쪽으로 누르기 위한 하측 걸림부(39)를 그 하단 부근에 갖는 것이 고려된다(본 발명의 제7 양태).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연결 부재의 하측 걸림부가 제1 적층체의 하면을 위쪽으로 누름으로써, 상측 걸림부와 하측 걸림부가 협동하여 제1 적층체를 상하로부터 누르며, 상하 인접하는 백의 연통 구멍을 통해 그 일부가 돌출하는 밸러스트끼리가 보다 강고하게 맞물려, 상하 인접하는 백끼리가 도상의 횡단 방향으로 한층 더 잘 어긋나지 않게 되므로, 밸러스트 유지체가 한층 더 잘 변형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도상이 한층 더 잘 변형되지 않게 된다.
그런데, 도상에 있어서는, 제1 적층체와 침목 사이에 밸러스트가 부설되게 되지만, 그 밸러스트가 부설되는 폭 치수가 큰 경우에는, 밸러스트끼리가 구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부분이 변형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전술한 제1 적층체와 다른 제2 적층체가 제1 적층체와 침목 사이에도 설치되어 있는 것이 고려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제8 양태와 같이, 제1 적층체와 침목 사이에, 봉지 모양으로 형성된 백(34)에 밸러스트를 포함시켜 쌓아올리고, 상기 노반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제2 적층체(33)를 구비하며, 백은 그 적어도 상면 및 하면에 백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34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고려된다.
한편, 전술한 백의 연통 구멍에 대해서는, 밸러스트가 통과할 없을 정도의 크기인 것이 고려된다. 일례를 들면, 전술한 백의 연통 구멍의 지름 치수가 밸러스트의 평균 입경의 1/2~1/4 정도로 형성되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상에 있어서의 제1 적층체와 침목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도, 제2 적층체를 구성하는 백에 넣어진 밸러스트가 서로 분리되지 않으면서도 밸러스트의 일부가 백의 연통 구멍을 통해 돌출하게 되며, 그리고, 백의 연통 구멍을 통해 그 일부가 돌출하는 밸러스트와 다른 밸러스트가 서로 맞물려, 백이 도상의 횡단 방향으로 잘 어긋나지 않게 되므로, 밸러스트 유지체가 잘 변형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도상이 잘 변형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 구성에 비해, 중장비가 불필요하고, 시공성이 좋으면서도 저비용으로 유도상 궤도의 도상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상에 있어서, 제1 적층체와 침목 사이에 밸러스트가 부설되는 폭치수를 한층 더 작게 하기 위해, 제1 적층체와 침목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적층체가, 제1 적층체와 침목 모두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고려된다(본 발명의 제9 양태).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적층체와 침목 사이에 밸러스트가 부설되는 부분이 없어지고, 밸러스트 유지체가 잘 변형되지 않게 되어, 도상이 잘 변형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상의 양측에 설치된 밸러스트 유지체 사이에 침목을 끼우게 되어, 열차 하중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침목의 좌우 방향의 어긋남이 억제된다.
이 경우, 전술한 제2 적층체를 구성하는 백에 대해서는, 그 적어도 상면 및 하면에 연통 구멍이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 고려된다(본 발명의 제10 양태).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백의 연통 구멍을 통해 그 일부가 돌출하는 밸러스트가 증가하여, 서로 맞물리는 밸러스트의 수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하 인접하는 백끼리가 도상의 횡단 방향으로 한층 더 잘 어긋나지 않게 되므로, 밸러스트 유지체가 한층 더 잘 변형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도상이 한층 더 잘 변형되지 않게 된다.
한편, 전술한 복수의 연통 구멍에 대해서는, 제2 적층체를 구성하는 백의 상면 및 하면에 불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전술한 복수의 연통 구멍에 대해서는, 제2 적층체를 구성하는 백의 상면 및 하면에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고려된다. 복수의 연통 구멍을 규칙적으로 배치한 예로서는, 백의 적어도 상면 및 하면이 메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나, 백의 적어도 상면 및 하면이 그물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본 발명의 제11 양태), 백의 적어도 상면 및 하면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2 적층체를 구성하는 백의 연통 구멍을 통해 그 일부가 돌출하는 밸러스트가 증가하여, 서로 맞물리는 밸러스트의 수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하 인접하는 백끼리가 도상의 횡단 방향으로 한층 더 잘 어긋나지 않게 되므로, 밸러스트 유지체가 한층 더 잘 변형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도상이 한층 더 잘 변형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2 양태와 같이, 제2 적층체를 구성하는 백의 적어도 상면 및 하면이 네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고려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술한 (1)~(7)의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더욱이, 밸러스트 유지체가 도상의 횡단 방향으로 잘 변형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제2 적층체를 구성하는 백의 서로 대향하는 연통 구멍에 봉재 등의 제2 연결 부재를 삽입 관통시키는 것이 고려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제13 양태와 같이, 제2 적층체가, 제1 적층체와 침목 사이에, 복수의 백에 밸러스트를 각각 포함 시켜 쌓아올리고, 상기 노반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설치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제2 적층체를 구성하는 백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 연통 구멍 중 어느 하나가 그 백과 인접하는 백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 연통 구멍 중 어느 하나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봉형상으로 구성되며, 제2 적층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백의 연통 구멍 중의 서로 대향하는 연통 구멍을 관통한 상태로 제2 적층체의 내부에 위치함과 함께 그 선단부가 상기 노반에 매설됨으로써 제2 적층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백끼리를 연결하는 제2 연결 부재(835)를 구비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2 적층체를 구성하는 백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연통 구멍에 삽입 관통시킨 제2 연결 부재가 제2 적층체의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2 연결 부재가 인접하는 백끼리를 연결하며, 또한 제2 연결 부재의 선단부가 노반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제2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된 백끼리가 도상의 횡단 방향으로 잘 어긋나지 않게 되어, 도상의 횡단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 밸러스트 유지체가 잘 변형되지 않게 된다. 즉, 제2 연결 부재에 의해 제2 적층체에 프레스트레스(구속력)를 부가하는 것에 의해, 제2 적층체의 전단 응력을 향상시키고, 고온시나 지진시 등에 도상에 충격적인 응력이 작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도상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열차의 안전한 주행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유도상 궤도로서도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4 양태의 유도상 궤도는, 노반 위에 밸러스트를 부설하고, 사다리꼴 등의 소정 단면 형상의 마루형 구조가 되도록 다져서, 상기 노반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설치함으로써 형성된 도상과, 그 길이 방향이 상기 도상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도록 상기 도상 위에 배열 설치된 복수의 침목과, 상기 복수의 침목의 상면에 상기 도상의 연장 방향을 따라 체결된 한 쌍의 레일을 구비하는 유도상 궤도로서, 상기 도상의 일부가 본 발명의 제1 양태~본 발명의 제1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밸러스트 유지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제1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며, 도 1B는 제1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100)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제1 실시 형태의 밸러스트 유지체(110)의 적층체(31)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B는 네트를 봉지 모양으로 형성한 백(32)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A는 제2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B는 제3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C는 제4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4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D는 제5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5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제6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6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B는 제7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7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C는 제8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8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D는 제9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9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5D는 종래의 유도상 궤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5A는 밸러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B는 종래의 유도상 궤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C는 종래의 밸러스트 유지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D는 종래의 밸러스트 유지체를 구비하는 유도상 궤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노반, 2...밸러스트,
3,203,303,403,503,603,703,803,903,1003,1103...도상,
4...침목, 5...레일,
31,33,633...적층체, 32,34,43...백,
32a,34a...연통 구멍, 35,835...철근봉,
35a...선단부, 35b...중앙부,
35c...후단부, 37...철망,
39,41...L형 앵글,
100,200,300,400,500,600,700,800,900...유도상 궤도,
110,210,310,410,510,610,710,810,910,1010...밸러스트 유지체,
1000,1100...밸러스트 도상 궤도, 1010a...돌기부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A는 본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또한, 도 1B는 본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100)의 평면도이며, 도 2A는 본 실시 형태의 밸러스트 유지체(1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B는 네트를 봉지 모양으로 형성한 백(32)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유도상 궤도(100)의 구성의 설명]
도 1A, 도 1B 및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유도상 궤도(100)는 노반(1) 위에 쇄석 등의 밸러스트(2)를 부설하고, 사다리꼴 등의 소정 단면 형상의 마루형 구조가 되도록 다져서, 유도상 궤도(10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설치함으로써 형성된 도상(3)과, 그 길이 방향이 도상(3)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도록 도상(3) 위에 배열 설치된 복수의 침목(4)(도 1A에서는 1개의 침목(4)만을 도시하고 있다.)과, 복수의 침목(4)의 상면에 도상(3)의 연장 방향을 따라 체결된 한 쌍의 레일(5)을 구비하고 있다.
[도상(3)의 구성의 설명]
도상(3)은 전술한 바와 같이, 노반(1) 위에 쇄석 등의 밸러스트(2)를 부설하고, 사다리꼴 등의 소정 단면 형상의 마루형 구조가 되도록 다져서, 유도상 궤도(10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설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상(3)은 도상(3)의 경사면 바닥부로부터 경사면 숄더부에 걸쳐 배치된 적층체(31)와, 적층 체(31)와 침목(4) 사이에 배치된 적층체(33)와, 적층체(31)에 삽입 관통된 철근봉(35)과, 철망(37)과, L형 앵글(39)과, L형 앵글(41)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체(31), 적층체(33), 철근봉(35), 철망(37), L형 앵글(39) 및 L형 앵글(41)이 밸러스트 유지체(110)를 구성한다.
이 중 적층체(31)는 도상(3)의 경사면 바닥부로부터 경사면 숄더부에 걸쳐, 네트를 봉지 모양으로 형성한 복수의 백(32)에 밸러스트(2)를 포함시켜 상하 방향으로 쌓아올리고, 또한 유도상 궤도(10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도록 배치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적층체(31)는 노반(1) 위에 부설된 철망(37) 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적층체(31)는 컴팩터에 의해 롤링으로 다져져 있다. 한편, 백(3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를 봉지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도 2B와 같이, 백(3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32a)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다만, 도 2B에 있어서는, 도면이 복잡하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1개소의 연통 구멍(32a)에만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한편, 백(32)의 연통 구멍(32a)에 대해서는, 밸러스트(2)가 통과할 수 없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백(32)으로서, 밸러스트(2)의 평균 입경의 1/2~1/4 정도의 그물코의 네트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적층체(31)를 구성하는 백(32)의 연통 구멍(32a)은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백(32)의 연통 구멍(32a) 중 어느 하나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후술하는 철근봉(35)을 삽입 관통시킬 수 있다.
또한, 적층체(33)는 도상(3)의 적층체(31)와 침목(4) 사이에, 네트를 봉지 모양으로 형성한 복수의 백(34)에 밸러스트(2)를 포함시켜 상하 방향으로 쌓아올리 고, 또한 유도상 궤도(10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도록 배치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적층체(33)는 노반(1) 위에 부설된 밸러스트(2) 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적층체(31)는 컴팩터에 의해 롤링으로 다져져 있다. 한편, 적층체(33)는 적층체(31)와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 적층체(33)와 침목(4) 사이에는 밸러스트(2)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백(34)은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를 봉지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백(32)과 마찬가지로, 백(34)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34a)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다만, 도 2B에 있어서는, 연통 구멍(32a)과 마찬가지로, 도면이 복잡하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1개소의 연통 구멍(34a)에만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한편, 백(34)의 연통 구멍(34a)에 대해서는, 밸러스트(2)가 통과할 수 없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백(34)으로서, 밸러스트(2)의 평균 입경의 1/2~1/4 정도의 그물코의 네트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적층체(33)를 구성하는 백(34)의 연통 구멍(34a)은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백(34)의 연통 구멍(34a) 중 어느 하나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후술 하는 철근봉(35)을 삽입 관통시킬 수 있다.
철근봉(35)은 철제의 봉재로 구성되고, 적층체(31)에 위쪽에서부터 하래쪽으로 삽입 관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철근봉(35)은 적층체(31) 상면의 연통 구멍(32a)을 통해 내부로 그 선단부(35a)를 선두로 하여 삽입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는 백(32)의 연통 구멍(32a)을 관통한 상태로, 선단부(35a)가 적층체(31) 아래의 노반(1)에 매설됨과 함께, 중앙부(35b)가 적층체(31)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철근봉(35)은 적층체(31)를 구성하는 복수의 백(32)끼리를 연결한다.
또한, 철근봉(35)의 선단부(35a)에는 L형 앵글(39)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L형 앵글(39)은 적층체(31)를 구성하는 백(32) 중의 가장 하측에 설치되는 백(32)의 내측의 코너부에 할당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는 관통 구멍 내에 철근봉(35)의 선단부(35a)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철근봉(35)의 선단부(35a)에 형성된 나사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너트가 부착되어 있고, 너트를 회전시킴으로써 L형 앵글(39)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철근봉(35)의 후단부(35c)에는 L형 앵글(4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L형 앵글(41)은 적층체(31)를 구성하는 백(32) 중의 가장 상측에 설치되는 백(32)의 외측의 코너부에 할당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는 관통 구멍 내에 철근봉(35)의 후단부(35c)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철근봉(35)의 후단부(35c)에 형성된 나사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너트가 부착되어 있고, 너트를 회전시킴으로써 L형 앵글(4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철근봉(35)의 선단부(35a)에 부착된 너트 및 철근봉(35)의 후단부(35c)에 부착된 너트를 회전시킴으로써, L형 앵글(39)이 적층체(31)의 하면을 위쪽으로 누름과 함께, L형 앵글(41)이 적층체(31)의 상면을 아래쪽으로 누르며, 철근봉(35), L형 앵글(39) 및 L형 앵글(41)이 협동하여 적층체(31)를 상하에서 누르고 있다.
한편, 적층체(31)는 제1 적층체에 해당한다. 또한, 적층체(33)는 제2 적층체에 해당한다. 또한, 철근봉(35)은 제1 연결 부재에 해당한다. 또한, L형 앵글(39)은 하측 걸림부에 해당하고, L형 앵글(41)은 상측 걸림부에 해당한다.
[제1 실시 형태의 효과]
(1) 이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100)에 의하면, 밸러스트 유지체(110)의 적층체(31)가 도상(3)의 경사면 바닥부로부터 경사면 숄더부에 걸쳐 네트를 봉지 모양으로 형성한 백(32)에 밸러스트(2)를 포함시켜 쌓아올리고, 유도상 궤도(10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도록 배치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백(32)이 네트를 봉지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백(3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32a)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백(32)으로서, 밸러스트(2)의 평균 입경의 1/2~1/4 정도의 그물코의 네트를 이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백(32)에 넣어진 밸러스트(2)가 서로 분리되지 않으면서, 밸러스트(2)의 일부가 백(32)의 연통 구멍(32a)을 통해 돌출하게 되고, 그리고, 상하 인접하는 백(32)의 연통 구멍(32a)을 통해 그 일부가 돌출하는 밸러스트(2)끼리가 서로 맞물려, 이들 백(32)끼리가 도상(3)의 횡단 방향으로 잘 어긋나지 않게 되므로, 밸러스트 유지체(110)가 잘 변형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도상(3)이 잘 변형되지 않게 된다.
즉, 백(32)에 네트를 사용함으로써 밸러스트(2) 상호의 맞물림에 의한 마찰력을 해치지 않으며, 또한 롤링에 의해 다져서 백(32)에 텐션을 줌으로써 백(32)에 포함된 밸러스트(2)를 구속하고, 철근봉(35)에 의해 적층체(31)의 전단 강도를 향상시켜, 응력이 작용했을 경우의 밸러스트(2)의 변형을 억제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구성에 비해, 중장비가 불필요하고, 시공성이 좋으면서도 저비용으로 유도상 궤도(100)의 도상(3)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2)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100)에 의하면, 백(32)이 밸러스트(2)의 평균 입경의 1/2~1/4 정도의 그물코의 네트를 봉지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고, 백(3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32a)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백(32)의 연통 구멍(32a)을 통해 그 일부가 돌출하는 밸러스트(2)가 증가하고, 서로 맞물리는 밸러스트(2)의 수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하 인접하는 백(32)끼리가 도상(3)의 횡단 방향으로 한층 더 잘 어긋나지 않게 되므로, 밸러스트 유지체(110)가 한층 더 잘 변형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도상(3)이 한층 더 잘 변형되지 않게 된다.
(3)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100)에 의하면, 백(32) 및 백(34)이 밸러스트(2)의 평균 입경의 1/2~1/4 정도의 그물코의 네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3-1) 밸러스트(2)를 채운 네트의 백(32)을 이용하며, 백(32)을 컴팩터 등으로 롤링하여 다짐으로써 밸러스트 입자의 맞물림에 의한 마찰이 증대된다.
(3-2) 또한, 네트의 백(32)의 중량이 밸러스트(2)를 채워도 인력으로 운반할 수 있을 정도이며, 또한 굴삭 단면이 작고, 중장비 등의 대형 건설기계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시공성이 좋고, 하룻밤당의 시공 연장을 늘릴 수 있다.
(3-3) 또한, 큰 비 등에 의해 노반에 함몰, 침하가 발생한 경우에도 네트 백(32) 전체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밸러스트(2)의 함몰은 발생하지 않아 열차의 안전한 주행을 확보할 수 있다.
(3-4) 네트의 백(32) 내의 밸러스트(2)는 유출되지 않기 때문에, 백(32)을 도상(3) 위 등에 여분으로 설치해 두면, 비축 밸러스트로서 밸러스트 유출 구간에 대한 산포 등에 활용할 수 있다.
(3-5) 네트의 백(32) 내의 밸러스트(2)는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캔트 구간등에 있어서 발생하고 있는 밸러스트(2)의 유동화를 억제할 수 있다.
(3-6) 네트의 백(32)을 이용함으로써 재료비가 싸게 되며, 시공에 대형의 중장비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시공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3-7) 네트의 백(32)에 의한 도상(3)의 구배를 한층 더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수용 통로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4)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100)에 의하면, 밸러스트 유지체(110)의 철근봉(35)이, 철제의 봉재로 구성되고, 적층체(31)의 상면의 연통 구멍(32a)을 통해 내부에 그 선단부(35a)를 선두로 하여 삽입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하는 백(32)의 연통 구멍(32a)을 관통한 상태로, 선단부(35a)가 적층체(31) 아래의 노반(1)에 매설됨과 함께, 중앙부(35b)가 적층체(31)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철근봉(35)은 선단부(35a)가 노반(1)에 매설됨과 함께, 적층체(31)를 구성하는 복수의 백(32)끼리를 연결하고 있고, 철근봉(35)에 의해 연결된 백(32)끼리가 도상(3)의 횡단 방향으로 잘 어긋나지 않게 되어, 도상(3)의 횡단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 밸러스트 유지체(110)가 잘 변형되지 않게 된다. 즉, 철근봉(35)에 의해 적층체(31)에 프레스트레스(구속력)를 부가함으로써, 적층체(31)의 전단 응력을 향상시키고, 고온시나 지진시 등에 도상(3)에 충격적인 응력이 작용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도상(3)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열차의 안전한 주행을 확보할 수 있다.
(5)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100)에 의하면, 철근봉(35)의 선단부(35a)에 부착된 너트 및 철근봉(35)의 후단부(35c)에 부착된 너트를 회전시킴으로써, L형 앵글(39)이 적층체(31)의 하면을 위쪽으로 누름과 함께, L형 앵글(41)이 적층체(31)의 상면을 아래쪽으로 누르며, 철근봉(35), L형 앵글(39) 및 L형 앵글(41)이 협동하여 적층체(31)을 상하로 누르고 있다. 이에 의해, 상하 인접하는 백(32)의 연통 구멍(32a)을 통해 그 일부가 돌출하는 밸러스트(2)끼리가 한층 더 강고하게 맞물려, 상하 인접하는 백(32)끼리가 도상(3)의 횡단 방향으로 한층 더 잘 어긋나지 않게 되므로, 밸러스트 유지체(110)가 한층 더 잘 변형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도상(3)이 한층 더 잘 변형되지 않게 된다.
(6)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100)에 의하면, 밸러스트 유지체(110)의 적층체(33)가 도상(3)의 적층체(31)와 침목(4) 사이에, 네트를 봉지 모양으로 형성한 백(34)에 밸러스트(2)를 포함시켜 쌓아올리고, 유도상 궤도(10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도록 배치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백(34)이 네트를 봉지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백(34)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34a)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백(34)으로서 밸러스트(2)의 평균 입경의 1/2~1/4 정도의 그물코의 네트를 이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도상(3)에 있어서의 적층체(31)와 침목(4)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도, 백(34)에 넣어진 밸러스트(2)가 서로 분리되지 않으면서, 밸러스트(2)의 일부가 백(34)의 연통 구멍(34a)을 통해 돌출하게 되며, 그리고, 상하 인접하는 백(34) 의 연통 구멍(34a)을 통해 그 일부가 돌출하는 밸러스트(2)끼리가 서로 맞물려, 이들 백(34)끼리가 도상(3)의 횡단 방향으로 잘 어긋나지 않게 되므로, 밸러스트 유지체(110)가 한층 더 잘 변형되지 않으며, 따라서, 도상(3)이 한층 더 잘 변형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 구성에 비해, 중장비가 불필요하고, 시공성이 좋으면서도 저비용으로 유도상 궤도(100)의 도상(3)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7)또한, 제1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100)에 의하면, 백(34)이 네트를 봉지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고, 백(34)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34a)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백(34)의 연통 구멍(34a)을 통해 그 일부가 돌출하는 밸러스트(2)가 증가하고, 서로 맞물리는 밸러스트(2)의 수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하 인접하는 백(34)끼리가 도상(3)의 횡단 방향으로 한층 더 잘 어긋나지 않게 되므로, 밸러스트 유지체(110)가 한층 더 잘 변형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도상(3)이 한층 더 잘 변형되지 않게 된다.
[제2 실시 형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체(31)와 침목(4) 사이에 설치되는 적층체(33)가 적층체(31)에 접하도록 배치됨과 함께, 적층체(33)와 침목(4) 사이에는 밸러스트(2)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도 3A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상(203)에 있어서, 적층체(31)와 침목(4) 사이에 밸러스트(2)가 부설되는 폭치수를 작게 하기 위하여, 적층체(31)와 침목(4) 사이에 설치되는 적층체(33)가 적층체(31)와 침목(4) 모두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제2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200)가 구비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 다. 한편, 도 3A는 제2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대부분이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므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상(203)의 구성의 설명]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도상 궤도(200)의 도상(203)은 적층체(31)와, 적층체(33)와, 철근봉(35)과, 철망(37)과, L형 앵글(39)과, L형 앵글(41)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중의 적층체(33)가 적층체(31)와 침목(4) 모두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체(31), 적층체(33), 철근봉(35), 철망(37), L형 앵글(39) 및 L형 앵글(41)이 밸러스트 유지체(210)를 구성한다.
[제2 실시 형태의 효과]
이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200)에 의하면, 밸러스트 유지체(210)에 있어서, 적층체(33)가 적층체(31)와 침목(4) 모두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적층체(31)와 침목(4) 사이에 밸러스트(2)가 부설되는 부분이 거의 없어져, 밸러스트 유지체(210)가 잘 변형되지 않으며, 따라서 도상(203)이 잘 변형되지 않는다. 또한, 도상(203)의 양측에 설치된 밸러스트 유지체(210) 사이에 침목(4)을 끼우게 되어, 열차 하중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침목(4)의 좌우 방향의 어긋남이 억제된다.
[제3 실시 형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침목(4)이, 그 길이 방향이 도상(3)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도록 도상(3) 위에 배열 설치되고, 이들 복수의 침목(4)의 상면에 도상(3)의 연장 방향을 따라 한 쌍의 레일(5)이 체결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도 3B에 나타내는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침목(4)과 침목(4) 사이에 백(43)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제3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300)가 구비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3B는 제3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대부분이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므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상(303)의 구성의 설명]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도상 궤도(300)의 도상(303)은 적층체(31)와, 적층체(33)와, 철근봉(35)과, 철망(37)과, L형 앵글(39)과, L형 앵글(41)과, 백(43)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체(31), 적층체(33), 철근봉(35), 철망(37), L형 앵글(39), L형 앵글(41) 및 백(43)이 밸러스트 유지체(310)를 구성한다.
백(43)은 백(32)과 마찬가지로, 네트를 봉지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고, 백(43)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백(43)의 연통 구멍에 대해서는, 밸러스트(2)가 통과할 수 없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백(43)으로서 밸러스트(2)의 평균 입경의 1/2~1/4 정도의 그물코의 네트를 이용하고 있다. 한편, 연통 구멍은 도 2B에 나타내는 32a, 34a와 마찬가지로, 네트의 구멍이며 도시는 생략한다.
그리고, 백(43)은 침목(4)과 침목(4)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효과]
(1) 이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300)에 의하면, 백(43)이 침목(4)과 침목(4)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침목(4)과 침목(4) 사이의 거리 치수가 잘 어긋나지 않게 되어, 열차 하중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침목(4)의 전후 방향의 어긋남이 억제된다.
(2) 또한, 네트의 백(43) 내의 밸러스트(2)는 유출되지 않기 때문에, 백(43)을 도상(303) 위 등에 여분으로 설치해 두면, 비축 밸러스트로서 밸러스트 유출 구간에 대한 산포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철근봉(35)이 적층체(31)의 위쪽에서 하래쪽으로 삽입 관통되어 있고, 철근봉(35)의 선단부(35a)에는 L형 앵글(39)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됨과 함께, 철근봉(35)의 후단부(35c)에는 L형 앵글(4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적층체(31)와 침목(4) 사이에 설치되는 적층체(33)가 적층체(31)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침목(4)과의 사이에는 밸러스트(2)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도 3C에 나타내는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하측의 L형 앵글(39)을 구비하지 않으며, 철근봉(35)이 적층체(31)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삽입 관통되며, 철근봉(35)의 후단부(35c)에는 L형 앵글(4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적층체(31)와 침목(4) 사이에 밸러스트(2)가 부설되는 폭 치수를 작게 하기 위해, 적층체(31)와 침목(4) 사이에 설치되는 적층체(33)가 적층체(31)와 침목(4) 모두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제4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400)가 구비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3C는 제4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4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본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대부분이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므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상(403)의 구성의 설명]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도상 궤도(400)의 도상(403)은 적층체(31)와, 적층체(33)와, 철근봉(35)과, 철망(37)과, L형 앵글(41)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도상(403)은 제1 실시 형태의 도상(3)과 같은 L형 앵글(39)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또한, 적층체(33)가 적층체(31)와 침목(4) 모두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체(31), 적층체(33), 철근봉(35), 철망(37) 및 L형 앵글(41)이 밸러스트 유지체(410)를 구성한다.
그리고, 철근봉(35)의 후단부(35c)에 부착된 너트를 회전시킴으로써, L형 앵글(41)이 적층체(31)의 상면을 아래쪽으로 누른다.
[제4 실시 형태의 효과]
(1) 이와 같이 제4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400)에 의하면, 밸러스트 유지 체(410)에 있어서, 철근봉(35)이 적층체(31)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삽입 관통되고, 철근봉(35)의 후단부(35c)에는 L형 앵글(4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철근봉(35)의 후단부(35c)에 부착된 너트를 회전시킴으로써, L형 앵글(41)이 적층체(31)의 상면을 아래쪽으로 누른다. 이에 의해, 철근봉(35)에 의해 연결된 백(32)끼리가 도상(403)의 횡단 방향으로 잘 어긋나지 않게 되어, 도상(403)의 횡단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 밸러스트 유지체(410)가 잘 변형되지 않게 된다. 즉, 철근봉(35)에 의해 적층체(31)에 프레스트레스(구속력)를 부가하는 것에 의해, 적층체(31)의 전단 응력을 향상시켜, 고온시나 지진시 등에 도상(403)에 충격적인 응력이 작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도상(403)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열차의 안전한 주행을 확보할 수 있다.
(2) 또한, 제4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400)에 의하면, 적층체(33)가 적층체(31)와 침목(4) 모두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적층체(31)와 침목(4) 사이에 밸러스트(2)가 부설되는 부분이 없어져, 밸러스트 유지체(410)가 잘 변형되지 않으며, 따라서 도상(403)이 잘 변형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상(403)의 양측에 설치된 밸러스트 유지체(410) 사이에 침목(4)을 끼움으로써, 열차 하중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침목의 좌우 방향의 어긋남이 억제된다.
[제5 실시 형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철근봉(35)이 적층체(31)의 위쪽에서 하래쪽으로 삽입 관통되어 있고, 철근봉(35)의 선단부(35a)에는 L형 앵글(39)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됨과 함께, 철근봉(35)의 후단부(35c)에는 L형 앵글(4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적층체(31)와 침목(4) 사이에 설치되는 적층체(33)가 적층체(31)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침목(4)과의 사이에는 밸러스트(2)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도 3D에 나타내는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하측의 L형 앵글(39)을 구비하지 않으며, 철근봉(35)이 적층체(31)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삽입 관통되고, 철근봉(35)의 후단부(35c)에는 L형 앵글(4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제5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500)가 구비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3D는 제5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5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본 제5 실시 형태에서는, 대부분이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므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상(503)의 구성의 설명]
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도상 궤도(500)의 도상(503)은 적층체(31)와, 적층체(33)와, 철근봉(35)과, 철망(37)과, L형 앵글(41)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도상(403)은 제1 실시 형태의 도상(3)과 같은 L형 앵글(39)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체(31), 적층체(33), 철근봉(35), 철망(37) 및 L형 앵글(41)이 밸러스트 유지체(510)를 구성한다.
그리고, 철근봉(35)의 후단부(35c)에 부착된 너트를 회전시킴으로써, L형 앵글(41)이 적층체(31)의 상면을 아래쪽으로 누른다.
[제5 실시 형태의 효과]
이와 같이 제5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500)에 의하면, 밸러스트 유지체(510)에 있어서, 철근봉(35)이 적층체(31)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삽입 관통되고, 철근봉(35)의 후단부(35c)에는 L형 앵글(4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철근봉(35)의 후단부(35c)에 부착된 너트를 회전시킴으로써, L형 앵글(41)이 적층체(31)의 상면을 아래쪽으로 누른다. 이에 의해, 철근봉(35)에 의해 연결된 백(32)끼리가 도상(503)의 횡단 방향으로 잘 어긋나지 않게 되어, 도상(503)의 횡단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 밸러스트 유지체(510)가 잘 변형되지 않게 된다. 즉, 철근봉(35)에 의해 적층체(31)에 프레스트레스(구속력)를 부가함으로써, 적층체(31)의 전단 응력을 향상시키고, 고온시나 지진시 등에 도상(503)에 충격적인 응력이 작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도상(503)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열차의 안전한 주행을 확보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밸러스트 유지체(110)의 적층체(33)가 도상(3)의 적층체(31)와 침목(4) 사이에, 네트를 봉지 모양으로 형성한 복수의 백(34)에 밸러스트(2)를 포함시켜 상하 방향으로 쌓아올리고, 또한 유도상 궤도(10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도록 배치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적층체(31)와 침목(4) 사이에 설치되는 적층체(33)가 적층체(31)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적층체(33)와 침목(4) 사이에는 밸러스트(2)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도 4A에 나타내는 제6 실시 형태에서는, 밸러스트 유지체(610)의 적층체(633)가 도상(603)의 적층 체(31)와 침목(4) 사이에, 네트를 봉지 모양으로 형성한 하나의 백(34)에 밸러스트(2)를 포함시켜 쌓아올리고, 또한 도상(603)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도록 배치한 구조를 가지며, 더욱이, 적층체(31)와 침목(4) 사이에 밸러스트(2)가 부설되는 폭치수를 작게 하기 위해, 적층체(31)와 침목(4) 사이에 설치되는 적층체(633)가 적층체(31)와 침목(4) 모두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제6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600)가 구비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4A는 제6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6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본 제6 실시 형태에서는, 대부분이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므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상(603)의 구성의 설명]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도상 궤도(600)의 도상(603)은 적층체(31)와, 적층체(633)와, 철근봉(35)과, 철망(37)과, L형 앵글(39)과, L형 앵글(41)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체(31), 적층체(633), 철근봉(35), 철망(37), L형 앵글(39) 및 L형 앵글(41)이 밸러스트 유지체(610)를 구성한다.
적층체(633)는 도상(603)의 적층체(31)와 침목(4) 사이에, 네트를 봉지 모양으로 형성한 하나의 백(34)에 밸러스트(2)를 포함시켜 쌓아올리고, 또한 유도상 궤도(60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도록 배치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적층 체(633)는 노반(1) 위에 부설된 밸러스트(2) 위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적층체(633)는 적층체(31)와 침목(4t) 모두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6 실시 형태의 효과]
(1) 이와 같이 제6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600)에 의하면, 밸러스트 유지체(610)의 적층체(633)가 도상(603)의 적층체(31)와 침목(4) 사이에, 네트를 봉지 모양으로 형성한 백(34)에 밸러스트(2)를 포함시켜 쌓아올리고, 도상(603)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도록 배치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백(34)이 네트를 봉지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백(34)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34a)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상(603)에 있어서의 적층체(31)와 침목(4)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도, 백(34)에 넣어진 밸러스트(2)가 서로 분리되지 않으면서, 밸러스트(2)의 일부가 백(34)의 연통 구멍(34a)을 통해 돌출하게 되며, 그리고, 상하 인접하는 백(34)의 연통 구멍(34a)을 통해 그 일부가 돌출하는 밸러스트(2)끼리가 서로 맞물려, 이들 백(34)끼리가 도상(603)의 횡단 방향으로 잘 어긋나지 않게 되므로, 밸러스트 유지체(610)가 한층 더 잘 변형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도상(603)이 한층 더 잘 변형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 구성에 비해, 중장비가 불필요하고, 시공성이 좋으면서도 저비용으로 도상(603)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2) 또한, 제6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600)에 의하면, 적층체(633)가 적층체(31)와 침목(4) 모두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적층체(31)와 침목(4) 사이에 밸러스트(2)가 부설되는 부분이 없어져 밸러스트 유지체(610)가 잘 변형되지 않 게 되며, 따라서 도상(603)이 잘 변형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상(603)의 양측에 설치된 밸러스트 유지체(610) 사이에 침목(4)을 끼우게 되어, 열차 하중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침목의 좌우 방향의 어긋남이 억제된다.
[제7 실시 형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밸러스트 유지체(110)의 적층체(33)가 도상(3)의 적층체(31)와 침목(4) 사이에, 네트를 봉지 모양으로 형성한 복수의 백(34)에 밸러스트(2)를 포함시켜 상하 방향으로 쌓아올리고, 또한 유도상 궤도(10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도록 배치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해서 도 4B에 나타내는 제7 실시 형태에서는, 도상(703)의 적층체(31)와 침목(4) 사이에 적층체(33)를 설치하지 않고, 적층체(31)와 침목(4) 사이에 밸러스트(2)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침목(4)과 침목(4) 사이에 백(43)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제7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700)가 구비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4B는 제7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7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본 제7 실시 형태에서는, 대부분이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므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상(703)의 구성의 설명]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도상 궤도(700)의 도상(703)은 적층체(31)와, 철근봉(35)과, 철망(37)과, L형 앵글(39)과, L형 앵글(41)과, 백(43)을 구비하고 있다. 이 도상(703)의 적층체(31)와 침목(4) 사이에는 밸러스트(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체(31), 철근봉(35), 철망(37), L형 앵글(39), L형 앵글(41) 및 백(43)이 밸러스트 유지체(710)를 구성한다.
백(43)은 백(32)과 마찬가지로, 네트를 봉지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고, 백(43)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백(43)의 연통 구멍에 대해서는, 밸러스트(2)가 통과할 수 없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백(32)으로서, 밸러스트(2)의 평균 입경의 1/2~1/4 정도의 그물코의 네트를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백(43)은 침목(4)과 침목(4)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7 실시 형태의 효과]
(1) 이와 같이 제7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700)에 의하면,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효과 (1)~(5)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2) 또한, 제7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700)에 의하면, 백(43)이 침목(4)과 침목(4)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침목(4)과 침목(4) 사이의 거리 치수가 잘 어긋나지 않게 되어, 열차 하중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침목(4)의 전후 방향의 어긋남이 억제된다.
(3) 또한, 네트의 백(43) 내의 밸러스트(2)는 유출되지 않기 때문에, 백(43)을 도상(703) 위 등에 여분으로 설치해 두면, 비축 밸러스트로서 밸러스트 유출 구간에 대한 산포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제8 실시 형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철근봉(35)이 적층체(31)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삽입 관통되어 있고, 철근봉(35)의 선단부(35a)에는 L형 앵글(39)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됨과 함께, 철근봉(35)의 후단부(35c)에는 L형 앵글(4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도 4C에 나타내는 제8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철근봉(35), L형 앵글(39) 및 L형 앵글(41)을 구비하지 않고, 철근봉(835)이 적층체(31)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삽입 관통되며, 또한 적층체(31)와 침목(4) 사이에 밸러스트(2)가 부설되는 폭치수를 작게 하기 위해, 적층체(31)와 침목(4) 사이에 설치되는 적층체(33)가 적층체(31)와 침목(4) 모두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제8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800)가 구비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4C는 제8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8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본 제8 실시 형태에서는, 대부분이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므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상(803)의 구성의 설명]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도상 궤도(800)의 도상(803)은 적층체(31)와, 적층체(33)와, 철근봉(835)과, 철망(37)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적층체(33)가 적층체(31)와 침목(4) 모두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체(31), 적층체(33), 철근봉(835) 및 철망(37)이 밸러스트 유지체(810)를 구성한다.
철근봉(835)은 철근봉(35)과 마찬가지로, 철제의 봉재로 구성되고, 적층체(33)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철근봉(835)은 적층체(33)의 상면의 연통 구멍(34a)을 통해 내부에 그 선단부를 선두로 하여 삽입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는 백(34)의 연통 구멍(34a)을 관통한 상태로, 선단부가 적층체(33) 아래의 노반(1)에 매설됨과 함께, 중앙부가 적층체(33)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철근봉(835)은 제2 연결 부재에 해당한다.
[제8 실시 형태의 효과]
(1) 이와 같이 제8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800)에 의하면, 밸러스트 유지체(810)의 철근봉(835)이 적층체(33)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에 의해, 철근봉(835)에 의해 연결된 백(34)끼리가 도상(803)의 횡단 방향으로 잘 어긋나지 않게 되어, 도상(803)의 횡단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 밸러스트 유지체(810)가 잘 변형되지 않게 된다. 즉, 철근봉(835)에 의해 적층체(33)에 프레스트레스(구속력)를 부가함으로써, 적층체(33)의 전단 응력을 향상시키고, 고온시나 지진시 등에 도상(803)에 충격적인 응력이 작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도상(803)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열차의 안전한 주행을 확보할 수 있다.
(2) 또한, 제8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800)에 의하면, 적층체(33)가 적층체(31)와 침목(4) 모두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적층체(31)와 침목(4) 사이에 밸러스트(2)가 부설되는 부분이 없어져, 밸러스트 유지체(810)가 잘 변형되지 않으며, 따라서 도상(803)이 잘 변형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상(803)의 양측에 설치된 밸러스트 유지체(810) 사이에 침목(4)을 끼우게 되어, 열차 하중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침목의 좌우 방향의 어긋남이 억제된다.
[제9 실시 형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철근봉(35)이 적층체(31)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삽입 관통되어 있고, 철근봉(35)의 선단부(35a)에는 L형 앵글(39)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됨과 함께, 철근봉(35)의 후단부(35c)에는 L형 앵글(4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도 4D에 나타내는 제9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철근봉(35), L형 앵글(39) 및 L형 앵글(41)을 구비하지 않고, 철근봉(835)이 적층체(31)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삽입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제9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900)가 구비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4D는 제9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9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본 제9 실시 형태에서는, 대부분이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므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상(903)의 구성의 설명]
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도상 궤도(900)의 도상(903)은 적층체(31)와, 적층체(33)와, 철근봉(835)과, 철망(37)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적층체(33)는 적층체(31)와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 적층체(33)와 침목(4) 사이에는 밸러스트(2)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체(31), 적층체(33), 철근봉(835) 및 철망(37)이 밸러스트 유지체(910)를 구성한다.
[제9 실시 형태의 효과]
이와 같이 제9 실시 형태의 유도상 궤도(900)에 의하면, 밸러스트 유지체(910)의 철근봉(835)이 적층체(33)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에 의해, 철근봉(835)에 의해 연결된 백(34)끼리가 도상(903)의 횡단 방향으로 잘 어긋나지 않게 되어, 도상(903)의 횡단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 밸러스트 유지체(910)가 잘 변형되지 않게 된다. 즉, 철근봉(835)에 의해 적층체(33)에 프레스트레스(구속력)를 부가함으로써, 적층체(33)의 전단 응력을 향상시키고, 고온시나 지진시 등에 도상(903)에 충격적인 응력이 작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도상(903)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열차의 안전한 주행을 확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와 같은 각종 양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체(31)의 백(32)이 네트를 봉지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고, 백(3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32a)이 다수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백(32)의 적어도 상면 및 하면에, 백(3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32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적층체(33)를 구성하는 백(3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상 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2)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층체(31)의 백(32)이 네트를 봉지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고, 백(3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32a)이 다수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격자나 메쉬 등, 그 양면을 연통시키는 구멍이 다수 마련되어 있는 것이라면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한편, 적층체(33)를 구성하는 백(3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3)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층체(31)의 백(32)이 네트를 봉지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고, 백(3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32a)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복수의 연통 구멍(32a)이 백(32)에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백(32)의 연통 구멍(32a) 중 어느 하나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철근봉(35)을 삽입 관통 가능하다면, 복수의 연통 구멍(32a)이 백(32)에 불규칙적으로 배치되고 있어도 좋다. 한편, 적층체(33)를 구성하는 백(3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4)

  1. 노반(路盤) 위에 밸러스트를 부설하고, 사다리꼴 등의 소정 단면 형상의 마루형 구조가 되도록 다져서, 상기 노반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설치함으로써 형성된 도상(道床)과, 그 길이 방향이 상기 도상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도록 상기 도상 위에 배열 설치된 복수의 침목과, 상기 복수의 침목의 상면에 상기 도상의 연장 방향을 따라 체결된 한 쌍의 레일을 구비하는 유도상 궤도에 이용되며, 상기 도상의 횡단 방향의 양측에 상기 도상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도상을 그 횡단 방향의 양측에서 지지하는 밸러스트 유지체로서,
    상기 도상의 경사면 바닥부로부터 경사면 숄더부에 걸쳐 봉지 모양으로 형성된 복수의 백에 밸러스트를 각각 포함시켜 쌓아올리고, 상기 노반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제1 적층체를 구비하며,
    상기 백에는 그 적어도 상면 및 하면에 상기 백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유지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은 그 적어도 상면 및 하면에 상기 연통 구멍이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유지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백은 그 적어도 상면 및 하면이 그물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유지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은 그 적어도 상면 및 하면이 네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유지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 연통 구멍 중 어느 하나는, 그 백과 인접하는 백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 연통 구멍 중 어느 하나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봉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적층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백의 연통 구멍 중의 서로 대향하는 연통 구멍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제1 적층체의 내부에 위치함과 함께 그 선단부가 상기 노반에 매설됨으로써 상기 제1 적층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백끼리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유지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적층체의 상면을 아래쪽으로 누르기 위한 상측 걸림부를 그 상단 부근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유지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적층체의 하면을 위쪽으로 누르기 위한 하측 걸림부를 그 하단 부근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유지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층체와 상기 침목 사이에, 봉지 모양으로 형성된 백에 밸러스트를 포함시켜 쌓아올리고, 상기 노반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제2 적층체를 구비하며,
    상기 백은 그 적어도 상면 및 하면에 상기 백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유지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적층체는 상기 제1 적층체 및 상기 침목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유지체.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적층체를 구성하는 백은 그 적어도 상면 및 하면에 상기 연통 구멍이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유지체.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적층체를 구성하는 백은 그 적어도 상면 및 하면이 그물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유지체.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적층체를 구성하는 백은 그 적어도 상면 및 하면이 네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유지체.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적층체는 상기 제1 적층체와 상기 침목 사이에, 복수의 상기 백에 밸러스트를 각각 포함시켜 쌓아올리고, 상기 노반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설치됨으로써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적층체를 구성하는 백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 연통 구멍 중 어느 하나는, 그 백과 인접하는 백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 연통 구멍 중 어느 하나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봉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적층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백의 연통 구멍 중의 서로 대향하는 연통 구멍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제2 적층체의 내부에 위치함과 함께 그 선단부가 상기 노반에 매설됨으로써 상기 제2 적층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백끼리를 연결하는 제2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유지체.
  14. 노반 위에 밸러스트를 부설하고, 사다리꼴 등의 소정 단면 형상의 마루형 구조가 되도록 다져서 상기 노반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설치함으로써 형성된 도상과,
    그 길이 방향이 상기 도상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도록 상기 도상 위에 배열 설치된 복수의 침목과,
    상기 복수의 침목의 상면에 상기 도상의 연장 방향을 따라 체결된 한 쌍의 레일을 구비하는 유도상 궤도로서,
    상기 도상의 일부가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밸러스트 유지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상 궤도.
KR1020097024271A 2007-04-27 2008-04-22 밸러스트 유지체 및 유도상 궤도 KR201000172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18847A JP4921236B2 (ja) 2007-04-27 2007-04-27 バラスト止め工、有道床軌道
JPJP-P-2007-118847 2007-04-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7217A true KR20100017217A (ko) 2010-02-16

Family

ID=39943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4271A KR20100017217A (ko) 2007-04-27 2008-04-22 밸러스트 유지체 및 유도상 궤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240580B2 (ko)
EP (2) EP3098348A1 (ko)
JP (1) JP4921236B2 (ko)
KR (1) KR20100017217A (ko)
CN (1) CN101680194B (ko)
BR (1) BRPI0811423A2 (ko)
TW (1) TWI437153B (ko)
WO (1) WO20081363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06273A1 (de) * 2008-01-25 2009-07-30 Deutsche Bahn Ag Schallschutz und seitliche Einfassung des Schotteroberbaus für Gleisanlagen schienengebundener Fahrzeuge
JP5379422B2 (ja) * 2008-08-05 2013-12-25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バラスト止め工、有道床軌道
JP5797975B2 (ja) * 2011-08-25 2015-10-21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プレストレスト・バラスト軌道
JP5513643B1 (ja) * 2013-02-26 2014-06-04 京成建設株式会社 曲線部軌道構造、バラスト整形材
HUP1300644A2 (en) * 2013-11-08 2015-05-28 Jozsef Szabo Structural arrangement and method for stabilizing earthworks and formations
KR101625841B1 (ko) 2014-02-25 2016-06-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 및 그 보정 방법
JP2016180205A (ja) * 2015-03-23 2016-10-13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耐震補強構造物
JP6823442B2 (ja) * 2015-12-24 2021-02-03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道床形状保持プレート、道床形状保持プレートの設置方法及び道床形状保持構造体
CN106436493A (zh) * 2016-10-24 2017-02-22 北京交通大学 一种有砟高速铁路飞砟防治装置
JP6423899B2 (ja) * 2017-02-13 2018-11-14 大森建設株式会社 保線作業用通路
JP7107665B2 (ja) 2017-11-17 2022-07-27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路盤改良工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14712C3 (de) * 1969-03-22 1973-09-27 Stahlwerke Peine-Salzgitter Ag, 3150 Pein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Eisen bahngleises
US3841554A (en) * 1972-05-03 1974-10-15 Phillips Petroleum Co Stabilized railway bed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4486121A (en) * 1982-04-15 1984-12-04 Ercon Corporation Stabilization against water erosion
EP0105560B1 (en) * 1982-10-06 1986-04-23 Akzo N.V. Railway track structure, and a method of building such structure
JPH0340337A (ja) 1989-07-05 1991-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高圧金属蒸気放電灯の製造方法
JPH0340337U (ko) * 1989-08-25 1991-04-18
JPH0827701A (ja) 1994-07-20 1996-01-30 Railway Technical Res Inst バラスト道床の補強構造およびバラスト交換方法
JP3473998B2 (ja) 1994-09-08 2003-12-08 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線路地盤の改良工法
JP3520294B2 (ja) 1994-11-17 2004-04-19 独立行政法人鉄道建設・運輸施設整備支援機構 枕木軌道の築造方法
JPH08151601A (ja) 1994-11-28 1996-06-11 Railway Technical Res Inst パイル布帛製袋
DE19529754C2 (de) * 1995-05-11 2002-07-11 Pfleiderer Infrastrukturt Gmbh Vorrichtung zur Verminderung von Luftschall bei Festen Fahrbahnen für schienengebundenen Verkehr sowie Verfahren zu deren Einbau
JP2925990B2 (ja) 1995-10-23 1999-07-28 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バラスト軌道強化構造
JPH09137422A (ja) 1995-11-13 1997-05-27 Kanegafuchi Chem Ind Co Ltd 連結性土嚢および土嚢連結体
JP3040337B2 (ja) 1995-11-30 2000-05-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用吸い込み具
JP3040337U (ja) * 1997-02-07 1997-08-19 工藤建設株式会社 道路,河川,盛土または切土法面などに用いる補強・緑化促進部材
JP3679235B2 (ja) * 1997-11-28 2005-08-03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バラスト流出防止ブロックの継足しブロック
JP4433512B2 (ja) 1998-04-28 2010-03-17 東レ株式会社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29044B2 (ja) 2000-03-27 2006-10-04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鉄道マクラギの支持力補強構造及び支持力補強方法
US6672515B2 (en) * 2001-09-18 2004-01-06 Konkan Railwary Corporation Ltd. Self stabilizing track system
JP2005171679A (ja) * 2003-12-12 2005-06-30 Takushin Koken:Kk フトン篭工用成形具及びフトン篭工法
KR100557703B1 (ko) * 2005-10-18 2006-03-10 신승종 결합부재와,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축조방법
JP5379422B2 (ja) * 2008-08-05 2013-12-25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バラスト止め工、有道床軌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12094A (en) 2009-03-16
EP3098348A1 (en) 2016-11-30
EP2154290A4 (en) 2013-12-11
TWI437153B (zh) 2014-05-11
CN101680194B (zh) 2012-05-23
JP4921236B2 (ja) 2012-04-25
US20100193596A1 (en) 2010-08-05
US8240580B2 (en) 2012-08-14
JP2008274627A (ja) 2008-11-13
EP2154290A1 (en) 2010-02-17
CN101680194A (zh) 2010-03-24
WO2008136313A1 (ja) 2008-11-13
BRPI0811423A2 (pt) 201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7217A (ko) 밸러스트 유지체 및 유도상 궤도
KR20110052617A (ko) 밸러스트 유지체, 공구용 지그, 유도상 궤도
CN204418003U (zh) 一种桥梁台后处理组合系统
CN107905089A (zh) 一种防治桥头跳车的加强台背及其施工方法
CN108103867B (zh) 一种带有道路系统的棚洞式抗滑结构及施工方法
JP2014122537A (ja) 構造体の施工方法および構造体の施工構造
KR20170100773A (ko)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의 지지력 강화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2012136854A (ja) 道床縦抵抗力強化形ラダーマクラギとその軌道
CN110735390A (zh) 用于防治桥头跳车的支撑组件及其施工方法
JP2015017374A (ja) 構造体の敷設工法および構造体の敷設構造
KR102369701B1 (ko) 변형흡수 및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CN210481897U (zh) 一种路堤大坡度齿轨铁路结构
CN210481898U (zh) 一种路堤齿轨铁路增强型道床结构
ZA200406976B (en) Rail sleeper and ballast-free track structure.
CN110857544B (zh) 高速铁路安全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WO2004079094A2 (en) Civil engineering support structures
KR102562385B1 (ko) 교량상부구조 변형흡수가 가능한 돌출형 교량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CN110055828B (zh) 一种路堤大坡度齿轨铁路结构的构筑方法
KR101350485B1 (ko) 일체형 전면 블록을 포함하는 교량-토공 접속구간용 보강토 옹벽
JP3829044B2 (ja) 鉄道マクラギの支持力補強構造及び支持力補強方法
CN213708995U (zh) 跨座式单轨低置线路道岔区与非道岔区过渡段基础结构
CN211922132U (zh) 一种缓解桥头跳车的结构
KR101429058B1 (ko) 철도 자갈도상궤도에서의 침목결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궤도 구조 보강방법
KR102268770B1 (ko) 토목섬유튜브 지지대를 이용한 연약지반의 지지력 강화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10055827B (zh) 一种路堑大坡度齿轨铁路结构的构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675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116

Effective date: 2017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