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841B1 -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 및 그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 및 그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841B1
KR101625841B1 KR1020140022039A KR20140022039A KR101625841B1 KR 101625841 B1 KR101625841 B1 KR 101625841B1 KR 1020140022039 A KR1020140022039 A KR 1020140022039A KR 20140022039 A KR20140022039 A KR 20140022039A KR 101625841 B1 KR101625841 B1 KR 101625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ylinder rod
concrete
gravel
sett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0338A (ko
Inventor
이성혁
이진욱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22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841B1/ko
Priority to US15/120,524 priority patent/US10138604B2/en
Priority to PCT/KR2014/011794 priority patent/WO2015129996A1/ko
Priority to EP14883822.0A priority patent/EP3112533B1/en
Publication of KR20150100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4Lifting or levelling of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28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 E01B3/30Hollow slee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1Track with ballas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2/00Characteristics of moving parts of rail systems, e.g. switches, special frogs, tongues
    • E01B2202/02Nature of the movement
    • E01B2202/027Including a component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콘크리트 침목 하부의 도상자갈 또는 아스팔트노반의 침하로 인해 발생되는 공간을 실린더로드로 지지하고, 콘크리트 침목의 좌우에 각각 한 개씩 분리 설치함으로써, 자동으로 침하를 복원하고, 열차하중에 의한 궤도의 좌우레일 부등침하에 대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감압밸브를 콘크리트 침목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침목을 해체하지 않고도 궤도시스템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감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콘크리트 침목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도상자갈 궤도뿐만 아니라 아스팔트노반 직결궤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국부적 아스팔트노반의 침하에도 대응할 수 있는,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 및 그 보정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 및 그 보정 방법 {CONCRETE SLEEPER FOR EMBEDD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DIFFERENTIAL SETTLEMENT OF RAILWAY TRACK USING OIL PRESSURE, AND CORRECT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도상자갈 또는 아스팔트노반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침목(Concrete Sleeper)에 매립 설치되어 열차의 이동 하중에 따른 궤도 부등침하(Differential Settlement)를 유압(Oil Pressure)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는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 및 그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 등이 주행하게 되는 궤도(Track)는 노반 위에 도상을 마련하고, 그 도상 위에 침목 및 레일을 배치한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여기서, 도상은 레일 및 침목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차 하중을 넓게 분산시켜 노반에 전달하고, 침목을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궤도 재료로서, 자갈(또는 쇄석)이나 콘크리트가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도상자갈(또는 자갈도상) 궤도를 유도상 궤도라 한다.
이러한 궤도의 구조는, 노반 위에 형성한 도상에 침목을 배열하고, 그 위에 한 쌍의 레일을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부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궤도를 구성하는 도상으로는 밸러스트(Ballast), 슬래브(Slab) 등이 있으며, 노선의 다양한 조건을 고려하여 선정되고 있다. 특히, 자갈, 쇄석 등의 밸러스트를 이용한 밸러스트 도상 궤도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밸러스트를 이용한 도상은 그 성질상 무거운 차량의 주행을 합리적으로 지지하면서 경제적으로도 우수하기 때문에, 오랜 세월동안 채용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자갈, 쇄석 등의 밸러스트는 침목을 확실하게 유지하고, 열차로부터 레일 및 침목을 거쳐 전해지는 하중을 노반에 균등하게 분산시키며, 궤도에 탄성을 갖게 하며, 댐핑 등의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야 하고, 궤도의 배수를 좋게 하여 분니나 잡초의 발생을 방지하는 등의 기능을 갖고 있다.
도 1은 도상자갈 궤도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상자갈 궤도의 도상자갈의 손상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상자갈 궤도(10)는 강화노반(11) 상에 형성되며, 철도 차륜으로부터 재하된 하중이 레일(14)과 침목(13)을 통하여 도상자갈(12)로 전달되고, 이러한 도상자갈(12)에서 각 도상 입자의 접촉점을 통하여 하중이 분산된다.
이때, 도상자갈(12)의 기능은 침목(13) 저면의 압력을 균등하게 강화노반(11)에 분포시키는 것으로서, 침목(13)의 길이방향의 도상저항력을 확보하고, 이러한 침목(13)을 탄성 지지하여 충격력을 완화함으로써, 선로의 파괴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도상자갈(12)은 침목(13)을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고, 궤도틀림을 정정할 수 있고, 침목의 갱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상자갈(12)을 형성하는 도상자갈의 재료는 주로 깬 자갈이 사용되며, 예를 들면, 경암을 쇄석기로 쇄석한 것으로서 입경이 10~65㎜의 입도분포가 적당히 혼합되어 있다. 이때, 도상자갈의 두께는 침목(13)의 형상치수, 침목(13)의 간격, 도상재료의 하중분산성, 열차하중의 크기 및 노반의 지지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도상자갈은 열차의 동하중에 의해 손상이 발생하며, 예를 들면 이러한 도상자갈의 손상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밀, 측방유동, 노반관입, 세립화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중에서도 압밀과 측방유동은 열차주행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발생하며, 도상자갈의 궤도틀림의 원인이 되고, 이로 인해 빈번한 유지보수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도상자갈 궤도의 손상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동적 하중에 의한 진동 발생과 이러한 진동 발생에 기인하는 도상자갈의 침하 및 도상자갈의 측방유동, 및 우수에 의한 노반의 연약화 영향이 가장 큰 손상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도상자갈은 건설당시의 단면 형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존 및 관리되어야 하지만, 열차운행시 진동으로 인한 도상이완 및 자갈비산, 유지보수요원의 선로내 출입으로 인한 도상어깨 단면 붕괴, 선로변의 집수구 또는 배수로 등으로의 자갈유입으로 인한 손실 등으로 지속적인 도상정리 및 자갈보충 등을 시행하여 도상단면 유지 및 저항력을 확보토록 상시 관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b는 각각 궤도상에서 뜬침목이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러스트 궤도는 강화노반(11) 상에 밸러스트(12)가 형성되고, 상기 밸러스트(12) 및 레일(14) 사이에 콘크리트 침목(13)이 배치되는 구조이고, 상기 콘크리트 침목(13) 및 레일(14)은 레일체결장치(15)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이때, 콘크리트 침목(13)은 열차(21)가 반복적으로 통과하게 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21)의 수직하중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침목(13)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고, 시간이 경과하면 자갈 등의 밸러스트(12)가 침하되어, 도면부호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침목(13) 하부의 공간이 확대된다.
결국, 일정 기간이 경과한 콘크리트 침목(13)은 그 하부 면에 공간이 형성된 침목의 들뜸 현상이 발생하고,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 침목을 뜬침목이라 하며, 뜬침목 위로 열차(21)가 지나갈 때마다 콘크리트 침목(13)이 상하로 움직이고, 그 정도가 점점 심해지게 되면 승차감이 악화되며, 열차(21)의 통과 시에 과대한 충격이 콘크리트 침목(13) 등에 전달되어 유지 보수량이 증가하고, 유지보수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하면, 밸러스트 궤도에 있어서 무부하시에 콘크리트 침목(13)이 밸러스트(12), 예를 들면, 자갈이나 쇄석 등에 접촉되지 않아, 레일(14)에 매달려 있는 상태를 뜬침목이라 한다. 이러한 뜬침목이 발생하면, 열차(21) 주행시에 밸러스트(12)와 침목(14)이 충돌하여 밸러스트(12)가 파쇄하거나, 분니가 발생하는 등에 의해 궤도 상태가 급속히 악화된다. 뿐만 아니라, 뜬침목이 많이 발생한 구간은 콘크리트 침목(13)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레일(14)에 상하방향 변위가 발생하여 궤도틀림이 진전됨으로써 궤도의 파손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콘크리트 침목(13) 하부의 도상자갈 다짐정도 및 강화노반을 포함한 상부 노반의 강성 차이로 인해 궤도의 부등침하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승차감 저하, 열차운행의 안정성 저감 및 유지보수비용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부등침하 발생은 열차가 운행하지 않는 경우, 궤광의 강성에 의해 침목이 레일에 매달려 들뜬 침목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육안으로는 판단하기가 어려워 적절한 유지보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충진재를 충진하여 궤도접속부 침목의 밸러스트를 유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유압을 이용하여 궤도접속부 침목의 밸러스트를 유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침하보정 장치로서, 모래주머니, 안정화액 살포, 가용성 백에 자갈 등을 채워 넣고 궤도 하부에 설치하는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밸러스트 침하 시 철로 하방의 밸러스트에 설치된 하우징 내부에 침하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형상의 하우징(31)에 고형(자갈 등)의 충진재(32)를 충진하여, 밸러스트를 안정화시키거나,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밸브(42)를 통해 제공된 유압(41)을 이용하고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 침하보정 장치에서, 도 5에 도시된 유압을 이용한 침하보정 장치의 경우, 침목의 좌우에서 발생하는 부등침하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없고 자동으로 보정하지 않기 때문에 유지 보수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3-0137465호에는 "궤도접속부의 침목 자동 침하보정 장치 및 그 시공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직결 궤도(Directly fastened track)와 밸러스트 궤도(Ballast track) 사이의 궤도 접속부에서 궤도 침하 발생시, 하우징의 상하 기계적 물림작용 및 에어백(Air bag)의 팽창력에 의하여 밸러스트 침하 시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고, 또한, 침목의 좌우에 침목 자동 침하보정 장치가 각각 배치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거동하여 침하를 보정함으로써 침목의 좌우에서 발생하는 부등침하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궤도접속부의 침목 자동 침하보정 장치의 경우, 침목 자동 침하보정 장치의 내통 및 외통을 침목에 체결하게 된다.
이러한 궤도접속부의 침목 자동 침하보정 장치 및 그 시공 방법의 경우, 직결 궤도와 밸러스트 궤도 사이의 궤도 접속부에서 궤도 침하 발생
침목 자동 침하보정 장치의 내통 및 외통을 침목에 체결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3-0137465호(공개일: 2013년 12월 17일), 발명의 명칭: "궤도접속부의 침목 자동 침하보정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1-52617호(공개일: 2011년 5월 18일), 발명의 명칭: 밸러스트 유지체, 공구용 지그, 유도상 궤도" 일본 공개특허번호 제2012-41795호(공개일: 2012년 3월 1일), 발명의 명칭: "입상체를 이용한 자동 침하보정 장치 및 자동 침하보정 침목" 일본 공개특허번호 제2012-41691호(공개일: 2012년 3월 1일), 발명의 명칭: "자동 침하보정장치 및 자동 침하보정 침목" 일본 공개특허번호 제2011-47143호(공개일: 2011년 3월 10일), 발명의 명칭: "자동 침하보정 침목 및 자동 침하보정 시스템" 일본 공개특허번호 제2008-274627호(공개일: 2008년 11월 13일), 발명의 명칭: "밸러스트 고정부를 구비한 도상궤도"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콘크리트 침목 하부의 도상자갈 또는 아스팔트노반의 침하로 인해 발생되는 공간을 실린더로드로 지지하고, 콘크리트 침목의 좌우에 각각 한 개씩 분리 설치함으로써, 자동으로 침하를 복원하고, 열차하중에 의한 궤도의 좌우레일 부등침하에 대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 및 그 부등침하보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감압밸브를 콘크리트 침목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침목을 해체하지 않고도 궤도시스템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감압시킬 수 있고, 콘크리트 침목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 및 그 부등침하보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은, 도상자갈 또는 아스팔트노반 상에 설치되어, 열차의 이동 하중을 상기 도상자갈 또는 아스팔트노반에 전달하는 콘크리트 침목; 상기 콘크리트 침목의 일측 하부에 매립 설치되고, 상기 열차의 이동 하중에 따른 뜬침목이 발생할 경우, 유압을 사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침목의 부등침하를 자동으로 보정하는 제1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 및 상기 제1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와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작동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침목의 타측 하부에 매립 설치되고, 뜬침목 발생시 유압을 사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침목의 부등침하를 자동으로 보정하는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는 상기 콘크리트 침목의 좌우에 각각 분리되어 설치됨으로써 열차의 이동 하중에 의한 궤도의 좌우 레일 부등침하를 자동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는 각각 상기 콘크리트 침목 하부의 도상자갈 또는 아스팔트노반의 침하로 인해 발생되는 공간이 실린더로드에 의해 각각 지지되도록 유압을 이용하여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는 각각, 일측이 유압실린더에 고정되고 타측이 실린더로드에 고정되어 뜬침목 발생시 상기 실린더로드가 전진할 수 있는 팽창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열차의 이동 하중에 의한 도상자갈 또는 아스팔트노반의 부등침하로 인해 뜬침목이 발생할 경우, 침하한 도상자갈 또는 아스팔트노반과 접촉하도록 유압에 의해 전진하는 실린더로드; 상기 콘크리트 침목 하부에 매립되고, 오일이 저장된 오일탱크; 상기 실린더로드의 전진에 따른 진공압(부압)이 발생시 상기 오일탱크로부터 오일을 공급받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오일탱크로부터 상기 유압실린더로의 오일 공급을 개폐하도록 상기 오일탱크 및 상기 유압실린더 사이에 설치되는 체크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실린더로드의 전진에 따른 상기 유압실린더 내의 진공압 발생시 개방되고, 상기 오일탱크로부터 공급된 오일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 내의 진공압이 제거되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체크밸브 내에서 상기 유압실린더 방향으로는 상기 오일탱크로부터 유압에 의해 오일이 이동하지만, 반대방향으로는 상기 체크밸브 내에 설치된 볼에 의해 상기 오일탱크 방향으로는 오일이 흐르지 않게 함으로써 상기 실린더로드가 상기 침하한 도상자갈 또는 아스팔트노반과 접촉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는 각각, 상기 콘크리트 침목 상에 노출되도록 상기 오일탱크에 부착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로드가 한계값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유압실린더 내의 오일을 감압시킴으로써 상기 오일탱크로 회수하고 상기 실린더로드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감압밸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의 부등침하보정 방법은, 제1 및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양측에 각각 매립된 침목의 부등침하 보정 방법에 있어서, a) 열차의 이동 하중이 레일과 침목을 거쳐 상기 제1 및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 각각의 실린더로드를 통해 도상자갈 또는 아스팔트노반에 전달되는 단계; b) 뜬침목 발생시 상기 제1 및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의 유압실린더 내의 스프링이 팽창하여 전진하는 단계; c) 상기 스프링에 연결된 실린더로드가 전진하여 침하한 도상자갈 또는 아스팔트노반과 접촉하고 상기 유압실린더 내부에 진공압(부압)이 발생하는 단계; d) 상기 진공압 발생에 대응하여 체크밸브가 개방되면서 오일탱크 내의 오일이 상기 유압실린더 내부로 이동하는 단계; e) 상기 실린더로드의 전진이 종료되면 상기 유압실린더 내의 진공압이 없어지면서 상기 체크밸브가 닫히는 단계; 및 f) 고정된 실린더로드가 상기 도상자갈 또는 아스팔트노반에 접촉되어 침목의 부등침하를 자동으로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는 각각 상기 콘크리트 침목 하부의 도상자갈 또는 아스팔트노반의 침하로 인해 발생되는 공간을 유압을 이용하여 팽창되는 실린더로드로 각각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의 부등침하보정 방법은, g) 상기 콘크리트 침목 상에 노출되도록 상기 오일탱크에 부착 형성된 감압밸브를 통해 상기 실린더로드가 한계값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유압실린더 내의 오일을 감압시킴으로써, 상기 오일탱크로 회수하고 상기 실린더로드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침목 하부의 도상자갈 또는 아스팔트노반의 침하로 인해 발생되는 공간을 실린더로드로 지지하고, 콘크리트 침목의 좌우에 각각 한 개씩 분리 설치함으로써, 자동으로 침하를 복원하고, 열차하중에 의한 궤도의 좌우레일 부등침하에 대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압밸브를 콘크리트 침목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침목을 해체하지 않고도 궤도시스템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감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콘크리트 침목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상자갈 궤도뿐만 아니라 아스팔트노반 직결궤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국부적 아스팔트노반의 침하에도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도상자갈 궤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상자갈 궤도의 도상자갈의 손상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궤도상에서 뜬침목이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충진재를 충진하여 궤도접속부 침목의 밸러스트를 유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유압을 이용하여 궤도접속부 침목의 밸러스트를 유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이 도상자갈 또는 아스팔트노반 상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의 측면도, 저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에서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의 체크밸브 원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에서 부등침하의 자동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의 부등침하보정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가 매립된 침목(130)]
도 6a 내지 도 6c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이 도상자갈 또는 아스팔트노반 상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노반(110) 상에 도상자갈(120)이 형성되고, 도상자갈(120) 및 레일(140) 사이에 콘크리트 침목(130)이 설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 및 레일(140)은 레일체결장치(150)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의 양측 하부에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a, 200b)가 매립 설치되며,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의 상부에 감압밸브(220)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노반(110) 상에 아스팔트노반(160)이 형성되고, 아스팔트노반(160) 및 레일(140) 사이에 콘크리트 침목(130)이 설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 및 레일(140)은 레일체결장치(150)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노반(110) 상에 도상자갈(120) 및 아스팔트노반(160)이 형성되고, 도상자갈(120) 및 레일(140) 사이에 콘크리트 침목(130)이 설치되고, 이때,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 및 레일(140)은 레일체결장치(150)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의 경우, 콘크리트 침목 하부의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의 침하로 인해 발생되는 공간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 내의 실린더로드로 지지하고, 이때,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의 좌우에 각각 한 개씩 분리 설치함으로써 자동으로 침하를 복원하고, 열차 하중에 의한 궤도의 좌우레일 부등침하에 대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의 측면도, 저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은, 콘크리트 침목(130), 제1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a) 및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b)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a, 200b) 각각은, 오일탱크(210), 감압밸브(220), 체크밸브(230), 유압실린더(240), 실린더로드(250), 스프링(260) 및 지지대(270)를 포함한다.
콘크리트 침목(130)은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 상에 설치되어, 열차(300)의 이동 하중을 상기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에 전달한다.
제1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a)는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의 일측 하부에 매립 설치되고, 상기 열차(300)의 이동 하중에 따른 뜬침목이 발생할 경우, 유압을 사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의 부등침하를 자동으로 보정한다.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b)는 상기 제1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a)와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작동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의 타측 하부에 매립 설치되고, 뜬침목 발생시 유압을 사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의 부등침하를 자동으로 보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a, 200b)는, 도 8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 하부의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의 침하로 인해 발생되는 공간이 실린더로드(250)에 의해 각각 지지되도록 유압을 이용하여 팽창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a, 200b)는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의 좌우에 각각 분리되어 설치됨으로써 열차(300)의 이동 하중에 의한 궤도의 좌우 레일(140) 부등침하를 자동으로 보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a, 200b)에 각각 형성된 오일탱크(210)는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 하부에 매립되고, 오일이 저장된다.
감압밸브(220)는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 상에 노출되도록 상기 오일탱크(210)에 부착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로드(250)가 한계값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유압실린더(240)내의 오일을 감압시킴으로써 상기 오일탱크(210)로 회수하고 상기 실린더로드(25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체크밸브(230)는 상기 오일탱크(210)로부터 상기 유압실린더(240)로의 오일 공급을 개폐하도록 상기 오일탱크(210) 및 상기 유압실린더(240)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체크밸브(230)는 상기 실린더로드(250)의 전진에 따른 상기 유압실린더(240) 내의 진공압 발생시 개방되고, 상기 오일탱크(210)로부터 공급된 오일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240) 내의 진공압이 제거되면 폐쇄된다. 예를 들면, 상기 체크밸브(230) 내에서 상기 유압실린더(240) 방향으로는 상기 오일탱크(210)로부터 유압에 의해 오일이 이동하지만, 반대방향으로는 상기 체크밸브(230) 내에 설치된 볼(231)에 의해 상기 오일탱크(210) 방향으로는 오일이 흐르지 않게 함으로써 상기 실린더로드(250)가 상기 침하한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과 접촉되어 고정된다.
유압실린더(240)는 상기 실린더로드(250)의 전진에 따른 진공압(부압)이 발생시 상기 오일탱크(210)로부터 오일을 공급받는다.
실린더로드(250)는 열차(300)의 이동 하중에 의한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의 부등침하로 인해 뜬침목이 발생할 경우, 침하한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과 접촉하도록 유압에 의해 전진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이 d만큼 침하하게 되면, 상기 실린더로드(250)가 이러한 침하량에 대응하여 상기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에 접촉하여 고정되도록 자동으로 전진하게 된다.
스프링(260)은 일측이 유압실린더(240)에 고정되고 타측이 실린더로드(250)에 고정되어 뜬침목 발생시 상기 실린더로드(250)가 전진할 수 있는 팽창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260)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지지대(270)는 상기 오일탱크(210) 및 상기 유압실린더(24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실린더(240) 상에서 상기 오일탱크(2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에서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의 체크밸브 원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은, 콘크리트 침목(130) 내에 유압을 이용한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를 설치한 구조로서, 상기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탱크(210), 감압밸브(220), 체크밸브(230), 유압실린더(240), 실린더로드(250), 스프링(260) 및 패킹(280)으로 구성될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는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의 좌우에 각각 한 개씩 분리 설치함으로써 열차(300)의 이동 하중에 의한 궤도의 좌우 레일의 부등침하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열차 하중에 의한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의 부등침하로 인해 뜬침목이 발생할 경우, 스프링(260)에 의해 실린더로드(250)가 전진하여 침하한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과 접촉하게 되고 유압실린더(240)의 내부는 부압(진공압) 발생한다.
이러한 진공압이 발생하면 체크밸브(230)의 원리에 따라 오일탱크(210)의 오일이 유압실린더(240)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실린더로드(250)의 전진이 끝나면 상기 유압실린더(240) 내에 진공압이 없어지게 되고, 이때, 상기 체크밸브(230)는 닫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유압실린더(240) 내의 스프링(260) 및 실린더로드(250) 사이의 공간의 압력을 P1이라고 하면, 열차 하중에 의한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의 부등침하로 인해 뜬침목이 발생할 경우, 스프링(260)에 의해 실린더로드(250)가 전진할 경우, 상기 스프링(260) 및 실린더로드(250) 사이의 공간에 진공압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체크밸브(230)가 열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오일탱크(210) 내의 오일이 유압 P2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240)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진공압이 없어지게 되면 상기 체크밸브(230)는 닫히게 된다.
특히, 상기 체크밸브(230)는 상기 오일탱크(210)에서 실린더 방향으로는 유압에 의해 오일이 이동하지만, 반대방향으로는 체크밸브(230) 내에 있는 볼(231)에 의해 오일탱크(210) 방향으로는 오일이 흐르지 않게 되므로 상기 실린더로드(250)가 고정되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 이때, 상기 체크밸브(230) 내에 있는 볼(231)은 스프링(232)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열차(300)의 이동 하중은 레일(140)과 콘크리트 침목(130)을 거쳐 자동보정장치(200)의 실린더로드(250)를 통하여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으로 전달된다.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의 침하가 증가하여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의 실린더로드(250)가 한계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오일탱크(210)에 부착되어 있는 감압밸브(220)를 열어서 상기 유압실린더(240) 내의 오일을 오일탱크(210)로 회수함과 동시에 실린더로드(250)를 원위치 시킴으로써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감압밸브(220)는 콘크리트 침목(130)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설치된 콘크리트 침목(130)을 해체하지 않고도 궤도시스템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감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감압밸브(220)를 열어서 감압시키게 되면, 상기 실린더로드(250) 및 상기 유압실린더(240) 사이의 공간의 오일은 배관을 따라 오일이 회수되고, 상기 실린더로드(250)는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에서 부등침하의 자동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콘크리트 침목(130)은,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의 침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a, 200b)는 각각 d1만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돌출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열차 하중에 의한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의 부등침하로 인해 우측 레일에서만 d2만큼 뜬침목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b)는 d1에서 d2만큼 전진하여 d3이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콘크리트 침목(130)의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a, 200b)가 각각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작동함으로써 부등침하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콘크리트 침목 대신에 유압을 이용한 자동복원장치를 설치하여 콘크리트 침목(130) 하부의 도상자갈 침하로 인해 발생되는 공간을 실린더로드(250)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서, 기존 자갈궤도뿐만 아니라 아스팔트노반 직결궤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국부적 아스팔트노반의 침하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가 매립된 침목(130)의 보정 방법]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의 부등침하보정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의 부등침하보정 방법은, 제1 및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a, 200b)가 양측에 각각 매립된 콘크리트 침목(130)의 부등침하 보정 방법으로서, 먼저, 제1 및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a, 200b)가 매립된 콘크리트 침목(130)을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 상에 설치하고 정렬한다(S110).
다음으로, 열차(300)의 이동 하중이 레일(140)과 콘크리트 침목(130)을 거쳐 상기 제1 및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a, 200b) 각각의 실린더로드(250)를 통해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에 전달된다(S120).
다음으로, 뜬침목 발생시 상기 제1 및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a, 200b)의 유압실린더(240) 내의 스프링(260)이 팽창하여 전진하게 된다(S130).
다음으로, 상기 스프링(260)에 연결된 실린더로드(250)가 전진하여 침하한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과 접촉하고 상기 유압실린더(240) 내부에 진공압(부압)이 발생한다(S140).
다음으로, 상기 진공압 발생에 대응하여 체크밸브(130)가 개방되면서 오일탱크(110) 내의 오일이 상기 유압실린더(240) 내부로 이동하며(S150), 이후, 상기 실린더로드(250)의 전진이 종료되면 상기 유압실린더(240) 내의 진공압이 없어지면서 상기 체크밸브(120)가 닫히게 된다(S160). 즉, 상기 체크밸브(230)는 상기 유압실린더(240) 내에서 진공압 발생시 개방되고, 상기 오일탱크(210)로부터 공급된 오일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240) 내의 진공압이 제거되면 폐쇄된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230) 내에서 상기 유압실린더(240) 방향으로는 상기 오일탱크(210)로부터 유압에 의해 오일이 이동하지만, 반대방향으로는 상기 체크밸브(230) 내에 설치된 볼(231)에 의해 상기 오일탱크(210) 방향으로는 오일이 흐르지 않음으로써 상기 실린더로드(250)가 상기 침하한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과 접촉되어 고정된다.
다음으로, 고정된 실린더로드(250)가 상기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에 접촉되어 콘크리트 침목(130)의 부등침하를 자동으로 보정하게 된다(S17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의 부등침하보정 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a, 200b)는 각각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 하부의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의 침하로 인해 발생되는 공간을 유압을 이용하여 팽창되는 실린더로드(250)로 각각 지지하게 된다.
후속적으로,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 상에 노출되도록 상기 오일탱크(210)에 부착 형성된 감압밸브(220)를 통해 상기 실린더로드(250)가 한계값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유압실린더(240)내의 오일을 감압시킴으로써, 상기 오일탱크(210)로 회수하고 상기 실린더로드(25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압밸브(220)는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 상부에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을 해체하지 않고도 궤도시스템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감압이 가능하며, 이에 따른 콘크리트 침목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침목 하부의 도상자갈 또는 아스팔트노반의 침하로 인해 발생되는 공간을 실린더로드로 지지하고, 콘크리트 침목의 좌우에 각각 한 개씩 분리 설치함으로써, 자동으로 침하를 복원하고, 열차하중에 의한 궤도의 좌우레일 부등침하에 대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또한, 감압밸브를 콘크리트 침목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침목을 해체하지 않고도 궤도시스템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감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콘크리트 침목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상자갈 궤도뿐만 아니라 아스팔트노반 직결궤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국부적 아스팔트노반의 침하에도 대응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노반(Roadbed)
120: 도상자갈(Ballast
130: 콘크리트 침목
140: 레일
150: 레일체결장치
160: 아스팔트노반
200: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
200a: 제1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
200b: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
210: 오일탱크
220: 감압밸브
230: 체크밸브(Check Valve)
240: 유압실린더
250: 실린더로드(Cylinder Rod)
260: 스프링
270: 지지대
280: 패킹(Packing)
300: 열차

Claims (10)

  1.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 상에 설치되어, 열차(300)의 이동 하중을 상기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에 전달하는 콘크리트 침목(130);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의 일측 하부에 매립 설치되고, 상기 열차(300)의 이동 하중에 따른 뜬침목이 발생할 경우, 유압을 사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의 부등침하를 자동으로 보정하는 제1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a); 및
    상기 제1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a)와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작동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의 타측 하부에 매립 설치되고, 뜬침목 발생시 유압을 사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의 부등침하를 자동으로 보정하는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는 각각,
    일측이 유압실린더(240)에 고정되고 타측이 실린더로드(250)에 고정되어 뜬침목 발생시 상기 실린더로드(250)가 전진할 수 있는 팽창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60); 열차(300)의 이동 하중에 의한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의 부등침하로 인해 뜬침목이 발생할 경우, 침하한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과 직접 접촉하도록 유압에 의해 전진하는 실린더로드(250);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 하부에 매립되고, 오일이 저장된 오일탱크(210); 상기 실린더로드(250)의 전진에 따른 진공압(부압)이 발생시 상기 오일탱크(210)로부터 오일을 공급받는 유압실린더(240); 및 상기 오일탱크(210)로부터 상기 유압실린더(240)로의 오일 공급을 개폐하도록 상기 오일탱크(210) 및 상기 유압실린더(240) 사이에 설치되는 체크밸브(230);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 상에 노출되도록 상기 오일탱크(210)에 부착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로드(250)가 한계값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유압실린더(240) 내의 오일을 감압시킴으로써 상기 오일탱크(210)로 회수하고 상기 실린더로드(25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감압밸브(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a, 200b)는 각각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 하부의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의 침하로 인해 발생되는 공간이 실린더로드(250)에 의해 각각 지지되도록 유압을 이용하여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230)는 상기 실린더로드(250)의 전진에 따른 상기 유압실린더(240) 내의 진공압 발생시 개방되고, 상기 오일탱크(210)로부터 공급된 오일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240) 내의 진공압이 제거되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230) 내에서 상기 유압실린더(240) 방향으로는 상기 오일탱크(210)로부터 유압에 의해 오일이 이동하지만, 반대방향으로는 상기 체크밸브(230) 내에 설치된 볼(231)에 의해 상기 오일탱크(210) 방향으로는 오일이 흐르지 않게 함으로써 상기 실린더로드(250)가 상기 침하한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과 접촉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
  6. 삭제
  7. 제1 및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a, 200b)가 양측에 각각 매립된 콘크리트 침목(130)의 부등침하 보정 방법에 있어서,
    a) 열차(300)의 이동 하중이 레일(140)과 콘크리트 침목(130)을 거쳐 상기 제1 및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a, 200b) 각각의 실린더로드(250)를 통해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에 전달되는 단계;
    b) 뜬침목 발생시 상기 제1 및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a, 200b)의 유압실린더(240) 내의 일측이 유압실린더(240)에 고정되고 타측이 실린더로드(250)에 고정되는 스프링(260)이 팽창하여 전진하는 단계;
    c) 상기 스프링(260)에 연결된 실린더로드(250)가 전진하여 침하한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유압실린더(240) 내부에 진공압(부압)이 발생하는 단계;
    d) 상기 진공압 발생에 대응하여 체크밸브(230)가 개방되면서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 하부에 매립되는 오일탱크(210) 내의 오일이 상기 유압실린더(240) 내부로 이동하는 단계;
    e) 상기 실린더로드(250)의 전진이 종료되면 상기 유압실린더(240) 내의 진공압이 없어지면서 상기 오일탱크(210)로부터 상기 유압실린더(240)로의 오일 공급을 개폐하도록 상기 오일탱크(210) 및 상기 유압실린더(240) 사이에 설치되는 체크밸브(230)가 닫히는 단계;
    f) 고정된 실린더로드(250)가 상기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에 접촉되어 콘크리트 침목(130)의 부등침하를 자동으로 보정하는 단계; 및
    g)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 상에 노출되도록 상기 오일탱크(210)에 부착 형성된 감압밸브(220)를 통해 상기 실린더로드(250)가 한계값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유압실린더(240)내의 오일을 감압시킴으로써, 상기 오일탱크(210)로 회수하고 상기 실린더로드(25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200a, 200b)는 각각 상기 콘크리트 침목(130) 하부의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의 침하로 인해 발생되는 공간을 유압을 이용하여 팽창되는 실린더로드(250)로 각각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의 보정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체크밸브(230)는 상기 유압실린더(240) 내에서 진공압 발생시 개방되고, 상기 오일탱크(210)로부터 공급된 오일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240) 내의 진공압이 제거되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의 보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230) 내에서 상기 유압실린더(240) 방향으로는 상기 오일탱크(210)로부터 유압에 의해 오일이 이동하지만, 반대방향으로는 상기 체크밸브(230) 내에 설치된 볼(231)에 의해 상기 오일탱크(210) 방향으로는 오일이 흐르지 않음으로써 상기 실린더로드(250)가 침하한 도상자갈(120) 또는 아스팔트노반(160)과 접촉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의 보정 방법.
KR1020140022039A 2014-02-25 2014-02-25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 및 그 보정 방법 KR101625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039A KR101625841B1 (ko) 2014-02-25 2014-02-25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 및 그 보정 방법
US15/120,524 US10138604B2 (en) 2014-02-25 2014-12-04 Rail tie having embedded automatic differential settlement compensation apparatus using oil pressure for railroad tracks
PCT/KR2014/011794 WO2015129996A1 (ko) 2014-02-25 2014-12-04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 및 그 보정 방법
EP14883822.0A EP3112533B1 (en) 2014-02-25 2014-12-04 Rail tie having embedded automatic differential settlement compensation apparatus using oil pressure for railroad trac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039A KR101625841B1 (ko) 2014-02-25 2014-02-25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 및 그 보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338A KR20150100338A (ko) 2015-09-02
KR101625841B1 true KR101625841B1 (ko) 2016-06-01

Family

ID=54009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039A KR101625841B1 (ko) 2014-02-25 2014-02-25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 및 그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38604B2 (ko)
EP (1) EP3112533B1 (ko)
KR (1) KR101625841B1 (ko)
WO (1) WO20151299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107B1 (ko) 2019-11-27 2020-11-05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콘크리트 궤도의 부등침하 방지 및 밀림 방지 구조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69000B (zh) * 2016-07-07 2019-11-01 上海理工大学 一种转弯弯道导轨及其设计方法
CN111235967A (zh) * 2020-03-09 2020-06-05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季节性冻土区高速铁路浸水路堤结构及构筑方法
CN113417173B (zh) * 2021-08-04 2022-11-01 杨清福 适用于超高速列车的轨道结构
CN113984004B (zh) * 2021-09-28 2022-07-12 北京大成国测科技有限公司 路基工程线状沉降变形监测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4720A (ja) * 2005-03-30 2006-10-12 Railway Technical Res Inst 自動沈下調整機能付きまくらぎ
JP2013044189A (ja) * 2011-08-25 2013-03-04 Railway Technical Research Institute プレストレスト・バラスト軌道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2302B2 (ja) 1994-09-08 2003-08-04 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線路軌道の築造方法および改修方法
WO1999064679A1 (en) * 1998-06-09 1999-12-16 Coventry University Rail support
JP4921236B2 (ja) 2007-04-27 2012-04-25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バラスト止め工、有道床軌道
JP5379422B2 (ja) 2008-08-05 2013-12-25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バラスト止め工、有道床軌道
JP5403745B2 (ja) 2009-08-26 2014-01-29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自動沈下補正まくらぎおよび自動沈下補正システム
JP5510930B2 (ja) 2010-08-17 2014-06-04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自動沈下補正装置および自動沈下補正まくらぎ
JP2012041795A (ja) 2010-08-23 2012-03-01 Railway Technical Research Institute 粒状体を用いた自動沈下補正装置および自動沈下補正まくらぎ
US9689116B2 (en) 2011-04-05 2017-06-27 Newstyle Nominees Pty Ltd. Rail track sleeper support
KR101331013B1 (ko) * 2012-05-22 2013-11-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침목의 자동 높이유지 장치, 이를 구비한 자동 높이유지 기능의 침목, 및 이를 이용한 침목의 자동 높이유지 방법
KR101374526B1 (ko) 2012-06-07 2014-03-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궤도접속부의 침목 자동 침하보정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1353466B1 (ko) * 2013-06-28 2014-01-21 박창진 침목 높이 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4720A (ja) * 2005-03-30 2006-10-12 Railway Technical Res Inst 自動沈下調整機能付きまくらぎ
JP2013044189A (ja) * 2011-08-25 2013-03-04 Railway Technical Research Institute プレストレスト・バラスト軌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107B1 (ko) 2019-11-27 2020-11-05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콘크리트 궤도의 부등침하 방지 및 밀림 방지 구조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38604B2 (en) 2018-11-27
EP3112533A4 (en) 2017-10-18
EP3112533B1 (en) 2019-03-13
EP3112533A1 (en) 2017-01-04
US20170009405A1 (en) 2017-01-12
WO2015129996A1 (ko) 2015-09-03
KR20150100338A (ko)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841B1 (ko) 유압을 이용한 궤도 부등침하 자동보정장치가 매립된 침목 및 그 보정 방법
CA2587142C (en) Method of adjusting the height of a fixed rail carriageway
JP4463137B2 (ja) 自動沈下調整機能付きまくらぎ
KR101260397B1 (ko) 단일말뚝지지 콘크리트 궤도 구조 및 그 구조의 침하복원장치
KR101780224B1 (ko) 열차 운행을 고려하여 철도궤도를 개량하기 위한 급속경화궤도용 콘크리트 장침목 블록의 시공 방법
CN110195382B (zh) 路基结构和采用该路基结构抬升轨道结构的方法
CN105803922A (zh) 一种高路堤填土桥头防沉降结构
CN106436495A (zh) 宽枕板式粘结型有砟轨道
CN107587420B (zh) 一种桥台引道路面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80013795A (ko) 철도선로
JP2008190165A (ja) 不静定構造物の支持構造
KR100948279B1 (ko) 레일조정장치를 구비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JP3432302B2 (ja) 線路軌道の築造方法および改修方法
JP2007162293A (ja) 自動沈下補正装置
CN112176793A (zh) 一种用于无砟轨道沉降的修复方法
KR101331013B1 (ko) 침목의 자동 높이유지 장치, 이를 구비한 자동 높이유지 기능의 침목, 및 이를 이용한 침목의 자동 높이유지 방법
KR101374526B1 (ko) 궤도접속부의 침목 자동 침하보정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JP5403745B2 (ja) 自動沈下補正まくらぎおよび自動沈下補正システム
KR100967180B1 (ko) 팽창백을 이용하는 도로용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공법 과 도로 보수 공법
CN208415006U (zh) 磁砂填充型补偿钢枕
KR101807625B1 (ko) 강관 형태의 궤도변위 저항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615770B1 (ko) 볼 충전 방식의 자갈도상용 자동 침하복원 장치 및 방법
KR20170075480A (ko) 철도용 레일 지지장치
KR20140143569A (ko)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N110258209A (zh) 一种高铁无砟过渡板支撑体系的更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