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569A -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569A
KR20140143569A KR1020130065270A KR20130065270A KR20140143569A KR 20140143569 A KR20140143569 A KR 20140143569A KR 1020130065270 A KR1020130065270 A KR 1020130065270A KR 20130065270 A KR20130065270 A KR 20130065270A KR 20140143569 A KR20140143569 A KR 20140143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vel
road
asphalt
tension member
road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혁
이진욱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65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3569A/ko
Publication of KR20140143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5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1Track with ballas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3/00Arrangements preventing shifting of the trac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자갈도상궤도의 도상자갈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도상자갈 개개의 진동을 감소시키고 도상자갈간의 맞물림(Interlocking)을 증가시킴으로써 진동에 의한 도상자갈의 침하 및 측방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자갈도상궤도의 도상자갈 하부에 일정 두께의 아스팔트 노반을 부설하여 우수 침투를 방지함으로써 노반의 연약화로 인해 발생하는 도상자갈의 관입 및 궤도침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별도의 도상자갈의 비산 방지를 위한 장치 또는 구조물을 시공하지 않고도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시공시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도상자갈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BALLAST TRACK STRUCTURE ON ASPHALT ROADBED WITH TENSILE FORC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도상궤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자갈도상궤도와 같은 유도상궤도의 시공시 도상자갈의 비산 등을 방지하도록 긴장력이 도입되는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 등이 주행하게 되는 궤도(Track)는 노반 위에 도상을 마련하고, 그 도상 위에 침목 및 레일을 배치한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여기서, 도상은 레일 및 침목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차 하중을 넓게 분산시켜 노반에 전달하고, 침목을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궤도 재료로서, 자갈(또는 쇄석)이나 콘크리트가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자갈도상 궤도를 유도상궤도라 한다.
이러한 궤도의 구조는, 노반 위에 형성한 도상에 침목을 배열하고, 그 위에 한 쌍의 레일을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부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궤도를 구성하는 도상으로는 밸러스트(Ballast), 슬라브(Slab) 등이 있으며, 노선의 다양한 조건을 고려하여 선정되고 있다. 특히, 자갈, 쇄석 등의 밸러스트를 이용한 밸러스트 도상 궤도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밸러스트를 이용한 도상은 그 성질상 무거운 차량의 주행을 합리적으로 지지하면서 경제적으로도 우수하기 때문에, 오랜 세월동안 채용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자갈, 쇄석 등의 밸러스트는 침목을 확실하게 유지하고, 열차로부터 레일 및 침목을 거쳐 전해지는 하중을 노반에 균등하게 분산시키며, 궤도에 탄성을 갖게 하며, 댐핑 등의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야 하고, 궤도의 배수를 좋게 하여 분니나 잡초의 발생을 방지하는 등의 기능을 갖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갈도상 궤도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갈도상 궤도의 도상자갈의 손상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갈도상 궤도(10)는 강화노반(11) 상에 형성되며, 철도 차륜으로부터 재하된 하중이 레일(14)과 침목(13)을 통하여 자갈도상(12)으로 전달되고, 이러한 자갈도상(12)에서 각 도상입자의 접촉점을 통하여 하중이 분산된다.
이때, 자갈도상(12)의 기능은 침목(13) 저면의 압력을 균등하게 강화노반(11)에 분포시키는 것으로서, 침목(13)의 길이방향의 도상저항력을 확보하고, 이러한 침목(13)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충격력을 완화함으로써, 선로의 파괴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자갈도상(12)은 침목(13)을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고, 궤도틀림을 정정할 수 있고, 침목의 갱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갈도상(12)을 형성하는 도상자갈의 재료는 주로 깬 자갈이 사용되며, 예를 들면, 경암을 쇄석기로 쇄석한 것으로서 입경이 10~65㎜의 입도분포가 적당히 혼합되어 있는 것이 된다. 이때, 도상자갈의 두께는 침목(13)의 형상치수, 침목(13)의 간격, 도상재료의 하중분산성, 열차하중의 크기 및 노반의 지지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도상자갈은 열차의 동하중에 의해 손상이 발생하며, 예를 들면 이러한 도상자갈의 손상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밀, 측방유동, 노반관입, 세립화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압밀과 측방유동은 열차주행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것으로, 자갈도상의 궤도틀림의 원인이 되어 빈번한 유지보수가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자갈도상궤도의 손상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동적하중에 의한 진동발생과 이러한 진동발생에 기인하는 도상자갈의 침하 및 도상자갈의 측방유동, 및 우수에 의한 노반의 연약화 영향이 가장 크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갈도상은 건설당시의 단면형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존 및 관리되어야 하지만, 열차운행시 진동으로 인한 도상이완 및 자갈비산, 유지보수요원의 선로내 출입으로 인한 도상어깨 단면 붕괴, 선로변의 집수구 또는 배수로 등으로의 자갈유입으로 인한 손실 등으로 지속적인 도상정리 및 자갈보충 등을 시행하여 도상단면 유지 및 저항력을 확보토록 상시 관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들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14268호에 "자갈도상용 자갈막이 방호패널"이라는 명칭의 발명,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818936호에 "철도용 자갈 흐름 방지 측구"라는 명칭의 발명,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568935호에 "자갈도상 궤도용 자갈막이 방호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 등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선행기술들의 경우, 유도상궤도의 시공 후에 별도의 장치 또는 구조물을 설치해야 하며, 그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14268호(출원일: 2008년 5월 14일), 발명의 명칭: "자갈도상용 자갈막이 방호패널"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922836호(출원일: 2007년 12월 18일), 발명의 명칭: "섬유보강 피씨 침목"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612755호(출원일: 2003년 12월 17일), 발명의 명칭: "고속철도용 방진침목 및 그 제작방법" 일본 공개특허번호 제2004-156284호(출원일: 2004년 6월 3일), 발명의 명칭: "침목 및 침목의 높이 조정 방법 "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818936호(출원일: 2008년 1월 21일), 발명의 명칭: "철도용 자갈 흐름 방지 측구"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568935호(출원일: 2004년 3월 16일), 발명의 명칭: "자갈도상 궤도용 자갈막이 방호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갈도상궤도의 도상자갈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도상자갈 개개의 진동을 감소시키고 도상자갈간의 맞물림(Interlocking)을 증가시킴으로써 진동에 의한 도상자갈의 침하 및 측방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자갈도상궤도의 도상자갈 하부에 일정 두께의 아스팔트 노반을 부설하여 우수 침투를 방지함으로써 노반의 연약화로 인해 발생하는 도상자갈의 관입 및 궤도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는, 강화 노반, 아스팔트 노반, 자갈도상 및 침목 및 레일을 포함하는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강화 노반상에 부설되는 아스팔트 노반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고정되고, 긴장력이 부여되는 긴장재; 상기 자갈도상 상부에서 상기 긴장재의 상부가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도상 고정판; 및 상기 도상 고정판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기 긴장재의 상부에 체결되는 고정 너트를 포함하되, 상기 자갈도상의 도상자갈은 상기 긴장재에 의해 긴장력이 부여되고, 상기 긴장력에 의해 상기 지지대 및 상기 도상 고정판 사이에 부설된 도상자갈의 비산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긴장재는, 열차진동 및 하중 등에 의해 상기 도상자갈의 침하가 발생할 때 초기의 긴장력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이 삽입되는 관으로서, 상기 도상자갈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자갈도상에 의한 상기 스프링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며, 우수에 의한 상기 스프링의 부식을 방지하는 스프링 보호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긴장재의 하부에 상기 지지대에 삽입 고정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긴장재의 상부에 상기 도상 고정판과 체결되는 숫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긴장재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 고정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아스팔트 노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도상 고정판은 상기 긴장재 상부에 형성된 숫나사와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긴장재의 상부는 상기 도상 고정판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너트와 체결될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의 시공 방법은, 강화 노반, 아스팔트 노반, 자갈도상 및 침목 및 레일을 포함하는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a) 철도궤도가 시공될 강화노반 상에 지지대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아스팔트 노반을 부설하는 단계; b) 상기 지지대에 긴장재를 연결하는 단계; c) 상기 긴장재가 매립되도록 자갈도상을 포설하고, 상기 자갈도상 상부에 침목 및 레일로 이루어진 궤도를 부설하는 단계; d) 외부로 노출된 긴장재 상부에 도상 고정판을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긴장재에 긴장력을 부여하는 단계; 및 f) 상기 긴장재 상부에 형성된 숫나사에 고정너트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자갈도상 도상자갈은 상기 긴장재에 의해 긴장력이 부여되고, 상기 긴장력에 의해 상기 지지대 및 상기 도상 고정판 사이에 부설된 도상자갈의 비산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b) 단계의 긴장재는, 열차진동 및 하중 등에 의해 상기 도상자갈의 침하가 발생할 때 초기의 긴장력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이 삽입되는 관으로서, 상기 도상자갈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자갈도상에 의한 상기 스프링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며, 우수에 의한 상기 스프링의 부식을 방지하는 스프링 보호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 단계의 긴장재의 하부에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긴장재의 상부에 상기 도상 고정판과 체결되는 숫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a) 단계의 지지대는 상기 긴장재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 고정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아스팔트 노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 단계의 도상 고정판은 상기 긴장재 상부에 형성된 숫나사와 체결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긴장재의 상부는 상기 도상 고정판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너트와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갈도상궤도의 도상자갈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도상자갈 개개의 진동을 감소시키고 도상자갈간의 맞물림(Interlocking)을 증가시킴으로써 진동에 의한 도상자갈의 침하 및 측방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갈도상궤도의 도상자갈 하부에 일정 두께의 아스팔트 노반을 부설하여 우수 침투를 방지함으로써 노반의 연약화로 인해 발생하는 도상자갈의 관입 및 궤도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도상자갈의 비산 방지를 위한 장치 또는 구조물을 시공하지 않고도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시공시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도상자갈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갈도상 궤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갈도상 궤도의 도상자갈의 손상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의 전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에서 지지대, 긴장재, 도상 고정판 및 고정 너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에서 긴장재의 스프링 및 긴장재의 스프링 보호관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의 시공 방법에 대한 동작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의 전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는, 강화 노반(210), 아스팔트 노반(220), 자갈도상(230) 및 침목(240) 및 레일(250)을 포함하며, 도상자갈에 긴장력을 부여하기 위해서 지지대(110), 긴장재(120), 도상 고정판(130) 및 고정 너트(140)를 포함한다.
지지대(110)는 상기 강화 노반(210)상에 부설되는 아스팔트 노반(220) 의 하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110)는 상기 긴장재(120)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 고정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아스팔트 노반(220) 하부에 설치된다.
긴장재(120)는 상기 지지대(110)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고, 긴장력이 도입된다. 여기서, 상기 긴장재(120)는, 열차진동 및 하중 등에 의해 상기 도상자갈의 침하가 발생할 때 초기의 긴장력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121); 및 상기 스프링(121)이 삽입되는 관으로서, 상기 도상자갈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자갈도상에 의한 상기 스프링(121)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며, 우수에 의한 상기 스프링(121)의 부식을 방지하는 스프링 보호관(1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긴장재(120)의 하부에 상기 지지대(110)에 삽입 고정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긴장재(120)의 상부에 상기 도상 고정판(130)과 체결되는 숫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도상 고정판(130)은 상기 자갈도상(230) 상부에서 상기 긴장재(120)의 상부가 관통하도록 체결된다.
고정 너트(140)는 상기 도상 고정판(130)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기 긴장재(120)의 상부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도상 고정판(130)은 상기 긴장재(120) 상부에 형성된 숫나사와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긴장재(120)의 상부는 상기 도상 고정판(130)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너트(140)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갈도상(230)의 도상자갈은 상기 긴장재(120)에 의해 긴장력이 부여되고, 상기 긴장력에 의해 도상자갈 개개의 진동을 감소시키고 도상자갈간의 맞물림(Interlocking)을 증가시킴으로써 진동에 의한 도상자갈의 침하 및 측방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d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에서 지지대, 긴장재, 도상 고정판 및 고정 너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에서 지지대(11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긴장재(120)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 고정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아스팔트 노반(220) 상에 설치된다. 즉, 도면부호 A로 도시된 관통공에 상기 긴장재(120)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 고정된다. 또한, 상기 긴장재(120) 하부가 상기 지지대(110)에 일체형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에서 긴장재(12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에 상기 지지대(110)에 삽입 고정되는 돌출부(120a)가 형성되고, 상기 긴장재(120)의 상부에 상기 도상 고정판(130)과 체결되는 숫나사(120b)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에서 도상 고정판(130)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긴장재(120) 상부에 형성된 숫나사와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면부호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상 고정판(130)은 상기 긴장재(120) 상부에 형성된 숫나사와 체결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에서 고정 너트(140)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긴장재(120)의 상부가 상기 도상 고정판(130)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긴장재(120)의 상부와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에서 긴장재의 스프링 및 긴장재의 스프링 보호관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에서, 상기 긴장재(120)는 스프링(121) 및 스프링 보호관(122)을 포함한다.
스프링(121)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진동 및 하중 등에 의해 상기 도상자갈의 침하가 발생할 때 초기의 긴장력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설치된다.
스프링 보호관(122)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121)이 삽입되는 관으로서, 상기 도상자갈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자갈도상에 의한 상기 스프링(121)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며, 우수에 의한 상기 스프링(121)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는, 아스팔트 노반(220) 하부에 지지대(110)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110)의 관통공에 긴장재(120)가 수직 방향으로 삽입 고정된다. 즉, 상기 긴장재(120)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120a)가 상기 지지대(110)의 관통공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긴장재(120)의 상부에 형성된 숫나사(120b)에 도상 고정판(130)이 관통 체결되고, 상기 긴장재(120)에 긴장력을 도입한 후, 외부로 노출된 긴장재(120)의 상부에 고정 너트(140)가 체결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는, 자갈도상궤도의 도상자갈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도상자갈 개개의 진동을 감소시키고 도상자갈간의 맞물림(Interlocking)을 증가시킴으로써 진동에 의한 도상자갈의 침하 및 측방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는, 자갈도상궤도의 도상자갈 하부에 일정 두께의 아스팔트 노반을 부설하여 우수 침투를 방지함으로써 노반의 연약화로 인해 발생하는 도상자갈의 관입 및 궤도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의 시공 방법]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의 시공 방법에 대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의 시공 방법은, 강화 노반(210), 아스팔트 노반(220), 자갈도상(230) 및 침목(240) 및 레일(250)을 포함하는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의 시공 방법으로서, 먼저, 철도궤도가 시공될 강화노반(210) 상에 지지대(110)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아스팔트 노반(220)을 부설하고(S110), 상기 지지대(110)에 긴장재(120)를 연결한다(S120). 즉, 아스팔트 노반(220)의 하부에 지지대(110)를 설치하고, 아스팔트 노반(220)을 부설한 후 스프링(121)과 스프링 보호관(122)으로 구성된 긴장재(120)와 지지대(110)를 연결한 후 도상자갈을 포설하고 궤도를 부설한다.
다음으로, 상기 아스팔트 노반(220)상에 자갈도상(230)을 포설하고, 궤도, 즉, 침목(240) 및 레일(250)을 부설한다(S130).
다음으로, 외부로 노출된 긴장재(120) 상부에 도상 고정판(130)을 설치한다(S140). 이때, 상기 도상 고정판(130)은 상기 긴장재(120) 상부에 형성된 숫나사와 체결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긴장재(120)의 상부는 상기 도상 고정판(130)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너트(140)와 체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긴장재(120)에 일정한 긴장력을 부여하고(S150), 이후, 상기 긴장재(120)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고정너트(140)를 체결하여 긴장력을 유지시킨다(S160).
이에 따라 상기 자갈도상(230)의 도상자갈은 상기 긴장재(120)에 의해 긴장력이 부여되고, 상기 긴장력에 의해 상기 지지대(110) 및 상기 도상 고정판(130) 사이에 부설된 도상자갈의 비산이 방지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의 시공 방법에 따르면, 별도의 도상자갈의 비산 방지를 위한 장치 또는 구조물을 시공하지 않고도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시공시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도상자갈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지지대
120: 긴장재
121: 스프링
122: 스프링 보호관
130: 도상 고정판
140: 고정 너트
210: 강화 노반
220: 아스팔트 노반
230: 자갈도상
240: 침목
250: 레일

Claims (10)

  1. 강화 노반(210), 아스팔트 노반(220), 자갈도상(230) 및 침목(240) 및 레일(250)을 포함하는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강화 노반(210)상에 부설되는 아스팔트 노반(2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대(110);
    상기 지지대(110)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고정되고, 긴장력이 부여되는 긴장재(120);
    상기 자갈도상(230) 상부에서 상기 긴장재(120)의 상부가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도상 고정판(130); 및
    상기 도상 고정판(130)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기 긴장재(120)의 상부에 체결되는 고정 너트(140)
    를 포함하되,
    상기 자갈도상(230)의 도상자갈은 상기 긴장재(120)에 의해 긴장력이 부여되고, 상기 긴장력에 의해 상기 지지대(110) 및 상기 도상 고정판(130) 사이에 부설된 도상자갈의 비산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120)는,
    열차진동 및 하중 등에 의해 상기 도상자갈의 침하가 발생할 때 초기의 긴장력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121); 및
    상기 스프링(121)이 삽입되는 관으로서, 상기 도상자갈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자갈도상에 의한 상기 스프링(121)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며, 우수에 의한 상기 스프링(121)의 부식을 방지하는 스프링 보호관(122)
    을 포함하는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120)의 하부에 상기 지지대(110)에 삽입 고정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긴장재(120)의 상부에 상기 도상 고정판(130)과 체결되는 숫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10)는 상기 긴장재(120)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 고정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아스팔트 노반(220)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상 고정판(130)은 상기 긴장재(120) 상부에 형성된 숫나사와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긴장재(120)의 상부는 상기 도상 고정판(130)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너트(140)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
  6. 강화 노반(210), 아스팔트 노반(220), 자갈도상(230) 및 침목(240) 및 레일(250)을 포함하는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a) 철도궤도가 시공될 강화노반(210) 상에 지지대(110)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아스팔트 노반(220)을 부설하는 단계;
    b) 상기 지지대(110)에 긴장재(120)를 연결하는 단계;
    c) 상기 긴장재(120)가 매립되도록 자갈도상(230)을 포설하고, 상기 자갈도상(230) 상부에 침목(240) 및 레일(250)로 이루어진 궤도를 부설하는 단계;
    d) 외부로 노출된 긴장재(120) 상부에 도상 고정판(130)을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긴장재(120)에 긴장력을 부여하는 단계; 및
    f) 상기 긴장재(120)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122)에 고정너트(140)를 체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자갈도상(230)의 도상자갈은 상기 긴장재(120)에 의해 긴장력이 부여되고, 상기 긴장력에 의해 상기 지지대(110) 및 상기 도상 고정판(130) 사이에 부설된 도상자갈의 비산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의 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긴장재(120)는,
    열차진동 및 하중 등에 의해 상기 도상자갈의 침하가 발생할 때 초기의 긴장력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121); 및
    상기 스프링(121)이 삽입되는 관으로서, 상기 도상자갈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자갈도상에 의한 상기 스프링(121)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며, 우수에 의한 상기 스프링(121)의 부식을 방지하는 스프링 보호관(122)
    을 포함하는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의 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긴장재(120)의 하부에 상기 지지대(110)와 연결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긴장재(120)의 상부에 상기 도상 고정판(130)과 체결되는 숫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의 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지지대(110)는 상기 긴장재(120)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 고정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아스팔트 노반(220)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의 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도상 고정판(130)은 상기 긴장재(120) 상부에 형성된 숫나사와 체결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긴장재(120)의 상부는 상기 도상 고정판(130)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너트(140)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의 시공 방법.
KR1020130065270A 2013-06-07 2013-06-07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1401435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270A KR20140143569A (ko) 2013-06-07 2013-06-07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270A KR20140143569A (ko) 2013-06-07 2013-06-07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569A true KR20140143569A (ko) 2014-12-17

Family

ID=52674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270A KR20140143569A (ko) 2013-06-07 2013-06-07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35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945B1 (ko) * 2022-01-06 2022-03-28 주식회사 브리텍 철도용 레일 베드 보수.보강 공법
KR102434861B1 (ko) * 2021-03-29 2022-08-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궤도강성 조정장치를 구비한 열차하중 분산전달장치 및 그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861B1 (ko) * 2021-03-29 2022-08-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궤도강성 조정장치를 구비한 열차하중 분산전달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2378945B1 (ko) * 2022-01-06 2022-03-28 주식회사 브리텍 철도용 레일 베드 보수.보강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007B1 (ko) 궤도용 레일 매립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KR102199351B1 (ko) 침하 노반 콘크리트궤도 복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780224B1 (ko) 열차 운행을 고려하여 철도궤도를 개량하기 위한 급속경화궤도용 콘크리트 장침목 블록의 시공 방법
KR20150111547A (ko) 아스팔트 노반상 직결궤도용 광폭침목 및 그 시공 방법
KR101266111B1 (ko) 아스팔트 노반용 탄성패드와 전단고정 장치를 구비한 침목 및 그 시공 방법
KR20140143569A (ko) 긴장력이 도입된 아스팔트 노반 유도상궤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US10138604B2 (en) Rail tie having embedded automatic differential settlement compensation apparatus using oil pressure for railroad tracks
KR100709099B1 (ko) 아스팔트계 충전형 포장궤도의 시공방법과 구조
KR101670587B1 (ko) 철도궤도용 z형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이용한 철도궤도구조
KR102282132B1 (ko) 고기능성 자갈을 이용한 자갈궤도 및 그 시공방법
KR101510833B1 (ko)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관 직결 궤도 및 그 시공 방법
CN108252177A (zh) 改善有轨电车轨旁沥青路面开裂的加固结构
KR101534797B1 (ko) 유도상궤도의 도상자갈 측방유동 방지 펜스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807625B1 (ko) 강관 형태의 궤도변위 저항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634127B1 (ko) 광폭 침목 및 슬래브 패널의 수평-수직 이동 구속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20170075480A (ko) 철도용 레일 지지장치
JP5292011B2 (ja) 軌道構造
Lund et al. Transition Zones between Ballasted and Ballast less Tracks
Orel Comparison of ballasted and slab track based on LCC analysis
KR102537981B1 (ko) 레일매립형궤도의 보호장치
KR200235967Y1 (ko) 콘크리트도상 궤도 구조
WO2017061596A1 (ja) 軌道、走行路形成部、軌道の敷設方法、及び軌道のメンテナンス方法
CN208167437U (zh) 改善有轨电车轨旁沥青路面开裂的加固结构
KR102307449B1 (ko) 자갈궤도용 고기능성 자갈
JP5922594B2 (ja) 踏切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