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6337A - 니더의 반죽부재와 니더 및 제빵기 - Google Patents

니더의 반죽부재와 니더 및 제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6337A
KR20100016337A KR1020097023318A KR20097023318A KR20100016337A KR 20100016337 A KR20100016337 A KR 20100016337A KR 1020097023318 A KR1020097023318 A KR 1020097023318A KR 20097023318 A KR20097023318 A KR 20097023318A KR 20100016337 A KR20100016337 A KR 20100016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portion
kneading
dough
pot
knea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3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조 오오치
Original Assignee
니혼 니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02758A external-priority patent/JP3970919B1/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니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니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6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63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2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vertically-mounted tools; Machines for whipping or b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01F27/1123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sickle-shaped, i.e. curved in at least on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08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stirrers driven from the bottom of the recepta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포트 내의 저부에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어 포트 내의 재료를 반죽하는 반죽부재로서, 저면 주연(周緣) 형상이 대략 반타원의 블레이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블레이드부의 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블레이드부의 회전 방향 배면에는 세움면이 형성되고, 경사면은 반죽되는 재료를 이 경사면상에서 회전시키는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포트 내의 생지 재료를 떠 올려 반죽부재상에서 회전시키고, 또한 포트 내주면을 향해 튀어올리도록 방출할 수 있기 때문에 반죽부재에 의해 압압된 생지 재료에 대해 포트 내주면의 모든 영역으로부터도 직접 큰 압압력을 가할 수 있어, 포트 내주면의 전역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재료를 효과적으로 반죽할 수 있다.

Description

니더의 반죽부재와 니더 및 제빵기{Kneading member of kneader, kneader, and bread machine}
본 발명은 빵 생지나 우동·메밀 국수 등의 면 생지, 과자 생지, 떡 등의 생지 재료를 혼합 반죽함과 아울러 치대기에 적합한 니더의 반죽부재와 이 반죽부재를 구비한 니더 및 제빵기에 관한 것이다.
빵 생지나 우동·메밀 국수 등의 면 생지, 과자 생지, 떡 등의 반죽물은 소정 재료를 혼합 반죽하고 치대는 공정을 거쳐 만들어진다.
이들 공정은 예를 들어, 빵 생지를 직날법(直捏法)으로 만들 경우, 우선 밀가루, 물, 이스트, 설탕, 소금, 쇼트닝 등의 재료를 혼합한 후 이 혼합한 재료를 반죽하고 개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정을 적절하고도 충분하게 수행해야 비로소 수화(水和), 즉 글루텐의 생성과 결합이 촉진된다.
그런데, 상기 공정을 손반죽, 즉 사람의 손으로 하는 것은 엄청난 노력을 필요로 하고 또 실제로 어렵다. 따라서 최근에는 가정뿐만 아니라 대량 생산하는 빵공장에서도 사람의 손이 아닌, 전기적, 기계적인 동력을 이용한 니더로 상기 공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니더(kneader)는 반죽물을 제작하는 장치로서, 이 니더가 구비한 포트 안에 반죽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포트 저면의 직교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죽부재가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포트 내에 투입된 재료를 혼합하여 반죽할 수 있다.
지금까지도 이와 같은 니더나 니더에 사용되는 반죽부재에 관한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본원 발명자는 손반죽인 경우의 「반죽」과 마찬가지의 작용을 반복함으로써 반죽 공정에서의 글루텐 결합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반죽부재를 제안하였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2 참조).
이 특허문헌 1,2에 기재된 니더의 반죽부재는 포트 내저면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원반을 가진다. 이 원반은 그 위의 소정 위치에 중심부의 소정 높이 부위로부터 원반 주연(周緣)에 도달하는 포물선 방사형의 돌기부를 가진다. 이 돌기부는 그 회전 방향 후단의 단면(端面)을 절벽형의 세움면(立設面)으로 한다. 또한, 반죽부재는 포트 내주면에 마련된 돌출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한 압접 효과를 높이기 위해 세움면보다 회전 방향의 전방이, 세움면에 대해 90°이하인 포물선형 면 또는 원호형 면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2에 기재된 니더의 반죽부재는 모두, 포트 내저면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원반형 기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 반죽부재와 포트 내저면 사이에 재료나 생지가 끼어들어가고 이 끼어들어간 생지 등을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생지의 구름은, 원반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과 구름 마찰에 의해 행해 지고 그 구름 마찰은 생지의 수화 진전에 의해 증대된다. 따라서 구름 마찰력이 원심력을 이겨내면 생지는 원반에 달라붙어 원반과 일체적으로 회전하여 양호한 반죽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니더를 사용할 때에는 생지 덩어리의 직경을, 반죽부재의 원반의 반경 이내로 줄여야 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포트 내저면과 반죽부재 사이에 생지 등이 끼어들어가는 것을 가급적 방지하고, 또한, 가령 생지 등이 끼어들어가더라도 이것을 즉각 제거할 수 있는 소형 경량의 반죽부재를 제안하였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이 반죽부재는 생지 덩어리의 직경을 반죽부재의 블레이드부 길이 또는 포트 내저면의 반경보다도 크게 할 수 있다.
도 20은,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반죽부재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a)의 A-A선 단면도이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반죽부재는 회전축의 축심 및 회전축을 지나는 직경 방향의 선을 사이에 두고 한쪽 블레이드부의 길이가 다른 쪽 블레이드부의 길이보다 긴 장단(長短) 1쌍의 대략 반타원형의 블레이드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블레이드부는 그 직선부에 접하여 형성되고 모두, 회전축의 축심에서 한쪽(회전 방향 전방)이 다른 쪽(회전 방향 후방)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블레이드부는 상기 한쪽 블레이드부의 한쪽과, 상기 다른 쪽의 블레이드부의 다른 쪽이 같은 길이로 그 저부(底部) 주연이 동일한 원호로 연속되어 있다. 또한, 양쪽 블레이드부는,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저부 주연으로부터 꼭대기면에 걸친 측면부가, 상기 한쪽에서 다른 쪽에 걸쳐 점차 급격해지는 포물선상의 경사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한쪽 블레이드부의 다른 쪽 회전 방향 배면(후단부)에는 깊은 절벽형 세움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른 쪽 블레이드부의 한쪽 끝은 한쪽 블레이드부의 상기 세움면 저부와 연속되어 있고 또한 다른 쪽의 회전 방향 배면(후단부)에는 얕은 절벽형 세움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반죽부재에 의하면 한쪽 블레이드부의 경사면에 의해 재료나 생지 덩어리를 이동시키면서 상승시키고 깊은 절벽형 세움면 영역에서 낙하시켜 재료나 생지 덩어리가 혼합 및 반죽된다. 또한, 이 반죽부재에서는 생지가 반죽부재와 포트 내저면 사이로 끼어들어가 들러붙더라도 상기 끼어들어간 생지는 다른 쪽 블레이드부의 한쪽으로부터 한쪽 블레이드부의 다른 쪽에 걸친 저부 주연에 의해 포트 내주면 방향으로 긁어내어진다. 또한, 긁어내어지지 않고 남은 생지는 반죽부재의 회전에 따라 한쪽 블레이드부의 세움면에서 낙하되는 생지 덩어리와의 접착에 의해 즉각 제거된다.
또한, 반죽부재의 절벽형 세움면의 배면 영역(후방 영역)에서는 반죽시에 생지 덩어리와 반죽부재 사이에 감압 공기층이 생기기 때문에, 상기 배면 영역에서는 감압 공기층에 의해 보다 강력하게 생지를 회전시키는 힘이 작용함과 동시에 생지가 포트 저면이나 반죽부재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도 생긴다. 따라서 포트 저부의 반경 이상의 큰 생지 덩어리를 반죽할 경우에도 생지가 반죽부재에 들러붙는 일이 줄어들기 때문에 생지가 반죽부재와 일체적으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로써 반죽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반죽부재는, 특허문헌 1,2에 기재된 반죽부재와 마찬가지로, 포트 내주면에 마련된 돌출부 측면으로부터의 압접 효과를 기대한 것이다. 즉, 특허문헌 1 내지 3 중 어떠한 반죽부재에서도 반죽부재의 측면 형상은,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벽형 세움면으로부터 회전 방향 전방이 급격하게 하강하는 포물선형 또는 원호형 급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반죽부재는 이 급경사면에 의해 상기 돌출부의 방향으로, 다시 말하면, 절벽형 세움면에 대해 대략 직각 방향으로 생지 덩어리를 압압하고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생지 덩어리가,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 반죽부재에 의해 압압된 경우에는, 상기 생지 덩어리가 포트 내주면으로부터 받는 압력은 그리 크지는 않다. 또한, 이 포트 내주면에서의 돌출부의 존재는, 니더 사용 후의 포트 내 클리닝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가능하다면 포트 내주면의 돌출부를 없애고, 반죽부재로 압압된 생지 덩어리가 포트 내주면의 모든 영역에서, 상기 포트 내주면으로부터 직접 큰 압압력을 받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생지 덩어리를 직접 포트 내측면을 향해 압압하도록 된 반죽부재의 형상이 바람직하다.
이 밖에도 반죽부재가 생지에 들러붙는 것을 줄이고, 생지에 대해 연속적으로 압축하여 반죽하는 반죽부재가 제안되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4 참조).
이 특허문헌 4에 기재된 반죽부재는, 측면이 회전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에서 단면되었을 때, 측면상의 1점으로부터 회전 중심축까지의 거리가 저부로부터 꼭대기면을 향해 갈수록 감소되거나 또는 일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중심축에 직교하는 면에서 단면되었을 때, 측면상의 1점으로부터 회전 중심축까지의 거 리가 1회전하는 도중에 항상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4에 기재된 반죽부재는 저부로부터 꼭대기면을 향하는 측면이 저부 전 둘레에 걸쳐 절벽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생지 재료를 떠 올림에 의한 반죽 효과가 크다고는 볼 수 없다.
또한, 생지 덩어리가 된 단계에서의 이상적인 반죽으로서는, 생지 덩어리 저부에 반죽부재의 주연부를 쐐기 형태로 파고들게 하여 생지 덩어리를 반죽부재의 측면상에 얹은 후, 이 생지 덩어리를 회전시키면서 이동시켜 반죽부재의 회전 방향 후단부의 절벽형 세움면 영역에서 낙하시키는 것이 좋다. 이 일련의 흐름에 의해 생지 덩어리에 대한 이른바 「손반죽」의 「반죽」과 「치대는」 효과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4에 기재된 반죽부재는 저부로부터 꼭대기면을 향하는 측면이 저면 전 둘레에 걸쳐 절벽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일련의 흐름에 의한 이 「손반죽」 효과도 크다고는 볼 수 없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 소62-12692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고 평5-78375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실용신안공고 평5-38828호 공보
특허문헌 4: 국제특허 WO2003/073860호 공보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생지 재료가 매우 효율적으로 반죽되고, 압압된 생지 덩어리가 포트 내주면의 모든 영역으로부터도 직접 큰 압압력을 받을 수 있는 니더의 반죽부재와, 이 반죽부재를 이용한 니더 및 제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반죽부재는, 포트 내의 저부(低部)에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어 포트 내의 재료를 반죽하는 반죽부재로서, 저면 주연 형상이 대략 반타원의 블레이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블레이드부의 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블레이드부의 회전 방향 배면에는 세움면이 형성되고, 경사면은 반죽되는 재료를 이 경사면상에서 회전시키는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반죽부재는, 「블레이드부의 저면에 대해 직교하며」 또한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단면되었을 때, 블레이드부의 회전 방향 전방으로부터 회전 방향 후방에 걸친 일부 영역에서의 경사면의 단면 형상은 블레이드부의 저면측으로 만곡된 곡선이며, 이 곡선의 곡률은 회전 방향 전방으로부터 회전 방향 후방에 걸쳐 점차 작아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반죽부재는, 블레이드부의 회전 방향 후단에서의 경사면의 단면 형상은, 직선 또는 블레이드부의 저면과 반대측으로 만곡된 곡선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반죽부재는, 경사면의 표면에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반죽부재는, 포트 내의 저부에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어 포트 내의 재료를 반죽하는 반죽부재로서, 제1 블레이드부와 제2 블레이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제1 블레이드부와 제2 블레이드부가 접합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블레이드부와 제2 블레이드부 모두, 저면 주연 형상은 대략 반타원이고, 제1 블레이드부의 저면 직선부의 길이는 제2 블레이드부의 저면 직선부의 길이보다 짧고, 제1 블레이드부와 제2 블레이드부는 각각의 저면 직선부가 회전축의 축심과 이 축심을 지나는 직선을 사이에 두도록 접하고, 또한 「제1 블레이드부의 저면 곡선부의 회전 방향 후단」과 「제2 블레이드부의 저면 곡선부의 회전 방향 전단」이 원호형으로 연속되도록 접해 있고, 제1 블레이드부의 측면에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제2 블레이드부의 측면에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고, 제2 블레이드부의 회전 방향 배면에는 제1 경사면의 회전 방향 전단과 연속되어 있는 세움면이 형성되고, 제2 경사면은 반죽되는 재료를 이 제2 경사면상에서 회전시키는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반죽부재는, 「제2 블레이드부의 저면에 대해 직교하고」 또한 「회전축을 포함하는」평면에서 단면되었을 때, 제2 블레이드부의 회전 방향 전방으로부터 회전 방향 후방에 걸친 일부 영역에서의 제2 경사면의 단면 형상은, 제2 블레이드부의 저면측으로 만곡된 곡선이며, 이 곡선의 곡률은 회전 방향 전방으로부터 회전 방향 후방에 걸쳐 점차 작아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반죽부재는, 제2 블레이드부의 회전 방향 후단에서의 제2 경사면의 단면 형상은, 직선 또는 제2 블레이드부의 저면과 반대측으로 만곡된 곡선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반죽부재는 제2 경사면의 표면에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반죽부재는 「제1 블레이드부의 저면에 대해 직교하고」 또한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단면되었을 때, 제1 블레이드부의 회전 방향 전방으로부터 회전 방향 후방에 걸친 일부 영역에서의 제1 경사면의 단면 형상은, 제1 블레이드부의 저면측으로 만곡된 곡선이며, 이 곡선의 곡률은 회전 방향 전방으로부터 회전 방향 후방에 걸쳐 점차 작아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반죽부재는, 제1 블레이드부의 회전 방향 후단에서의 제1 경사면의 단면 형상은, 직선 또는 제1 블레이드부의 저면과 반대측으로 만곡된 곡선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반죽부재는, 제1 경사면의 표면에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니더는, 포트와, 이 포트 내의 재료를 반죽하는 반죽부재와, 이 반죽부재를 포트 내의 저부에서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니더로서, 반죽부재는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반죽부재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빵기는, 빵의 재료를 반죽할 때 사용되는 반죽용 포트와, 반죽된 빵의 생지 덩어리를 구울 때에 사용되는 굽기용 포트를 설치할 수 있는 제빵기로서, 반죽용 포트 내에 장착되어 빵의 재료를 반죽하는 반죽부재는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반죽부재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빵기는, 반죽용 포트와 굽기용 포트가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빵기는, 반죽용 포트와 굽기용 포트가 병설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트 내의 생지 재료를 떠 올려 반죽부재상에서 회전시키고, 또한 포트 내주면을 향해 튀어올리도록 방출할 수 있기 때문에 반죽부재로 압압된 생지 재료에 대해, 포트 내주면의 모든 영역으로부터도 직접 큰 압압력을 줄 수 있어 포트 내주면의 전역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재료의 반죽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생지를 절단하지 않고 반죽할 수 있기 때문에 반죽에 의해 형성된 점착성과 탄성을 적절히 겸비한 양호한 글루텐을 분리시키지 않는다. 절단에 의한 마찰이 없기 때문에 생지에 국부적인 발열이 생기지 않아 생지에 발열에 의한 악영향을 미치지도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죽부재에 설치한 세움면과 포트 저면간의 공간의 작용에 의해, 가령 생지 덩어리의 직경이 크더라도, 생지가 반죽부재에 들러붙는 일이 줄어든다. 또한, 이 공간에 의해 생지가 끼워넣어지기 때문에 보다 양호한 반죽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반죽부재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은, 상기 반죽부재의 저면 주연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면로서, (a)는 제1 블레이드부의 저면 주연 형상, (b)는 제2 블레이드부의 저면 주연 형상, (c)는 제1 블레이드부와 제2 블레이드부를 접합한 상태의 저면 주연 형상이다.
도 3은, 상기 반죽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반죽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반죽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반죽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반죽부재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상기 반죽부재의 좌측면도이다.
도 9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단면되었을 때의 상기 반죽부재의 경사면의 단면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a)A-A선의 종단면도, (b)B-B선의 종단면도, (c)C-C선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반죽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반죽부재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반죽부재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빵기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제빵기의 다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제빵기에 설치되는 반죽용 포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8은, 상기 제빵기에 설치되는 굽기용 포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빵기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은, 종래의 니더의 반죽부재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a)의 평면도 중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반죽부재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로서, 니더의 반죽부재의 저면 주연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니더의 반죽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에 도시한 니더의 반죽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1에 도시한 니더의 반죽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25는, 도 21에 도시한 니더의 반죽부재의 우측면도이다.
도 26은, 도 21에 도시한 니더의 반죽부재의 좌측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반죽부재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반죽부재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반죽부재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평면 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반죽부재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도시한 니더의 반죽부재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1,32에 도시한 니더의 반죽부재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요철면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니더 본체
2 반죽부재
3 포트
10 니더
20 연속부
21 제1 블레이드부
22 제2 블레이드부
23 꼭대기면
24 저면
25 제1 경사면
26 제2 경사면
27 제1 세움면
28 제2 세움면
29 제3 세움면
100 제빵기
210 반죽용 포트
220 굽기용 포트
300 반죽부재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반죽부재와 니더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반죽부재(이하, 단순히 「반죽부재」로 칭함)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반죽부재는, 반죽물을 제조하는 니더가 구비한 포트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포트 저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여 회전 구동되어 포트 내의 재료를 반죽하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반죽부재 형상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마치 2개의 블레이드부를 별도로 제작하고 이들을 접합하여 반죽부재가 제작되는 것처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반죽부재의 실제 제작시에, 예를 들어 알루미늄 블럭을 절삭 가공, 프레스 가공, 기타 제작 방법에 의해 2개의 블레이드부를 일체적으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또한, 최종적으로 반죽부재의 표면을 테플론(등록상표) 처리하면 좋다. 혹은 폴리프로필렌을 금형 성형하여 반죽부재를 제작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길이」란, 회전축 방향과 직교 방향의 거리를 가리키며, 「높이」란, 회전축 방향의 거리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죽부재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화살표는 반죽부재(2)의 회전 방향을 가리킨다. 부호 O는 회전축의 축심을 나타낸다.
도 4는, 반죽부재(2)의 저면도이다. 반죽부재(2)의 저면(24)에는 반죽부재(2)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의 회전 구동축(니더에 마련되어 있는)과 연결 가능한 축구멍(30)이 형성되어 있다.
도 1로 되돌아가기로 한다.
반죽부재(2)는 블레이드부(21)과 블레이드부(22)가 접합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호 23은 경사면(26)의 상측가장자리와 세움면(28)의 상측가장자리에 주연이 연접된, 반죽부재(2)의 꼭대기면을 나타낸다. 경사면(26)과 세움면(28)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꼭대기면(23)은 대략 반타원으로 형성되어 있다. 꼭대기면(23)의 면적은 블레이드부(22) 저면의 면적보다도 작다.
블레이드부(21)는 대략 반원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 측면에는 경사면(25)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25)은 반죽부재(2)의 꼭대기면(23)측으로부터 저면(24)측에 걸쳐, 블레이드부(21)의 꼭지점 부근에서 블레이드부(21)의 저면 외측가장자리를 향하는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부(22)의 측면에는 경사면(26)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26)은 반죽부재(2)의 꼭대기면(23)측으로부터 저면(24)측에 걸쳐, 꼭대기면(23)의 주연(대략 반타원의 곡선부)에서 블레이드부(22)의 저면 외측가장자리를 향하는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반죽부재(2)의 배면도이고, 도 8은, 반죽부재(2)의 좌측면도이다.
도 6,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부(21)의 회전 방향 배면에는 세움면(27)이 형성되어 있고, 블레이드부(21)의 회전 방향 후단(21b)과 블레이드부(22)의 회전 방향 전단(22a)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반죽부재(2)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반죽부재(2)의 우측면도이다.
도 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부(22)의 회전 방향 배면에는 세움면(28)이 형성되어 있고, 블레이드부(22)의 회전 방향 후단(22b)과 반죽부재(2)의 저면(24)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25)의 회전 방향 전단(21a)은 세움면(28)과 연속되고 경사면(26)의 회전 방향 전단(22a)은 세움면(27)과 연속되어 있다.
또한, 도 6,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부(22)의 저면(24)과 경사면(26) 사이에는 세움면(27)의 외측가장자리와, 경사면(26)의 하측테두리와, 블레이드부(22)의 저면(24)과, 세움면(28)의 외측가장자리에 연접한 세움면(29)이 형성되어 있다. 세움면(29)의 높이는 회전 방향 전방으로부터 회전 방향 후방에 걸쳐 점차 높아지게 되어 있다.
세움면(27),(28),(29)은 모두, 반죽부재(2)의 저면(24)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벽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이하, 블레이드부(21)와 블레이드부(22)의 저면 형상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의 (a)는, 블레이드부(21)의 저면 주연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중의 화살표는, 반죽부재(2)의 회전 방향을 가리킨다.
실선으로 표시하는 블레이드부(21)의 저면 주연 형상은, 저면 직선부(31)와 저면 곡선부(131)로 둘러싸인 대략 반타원이다.
부호 31a는, 저면 곡선부(131)의 회전 방향 전단(저면 직선부(31)의 회전 방향 전단이기도 하다)을 나타낸다. 또한, 부호 31b는, 저면 곡선부(131)의 회전 방향 후단(저면 직선부(31)의 회전 방향 후단이기도 하다)을 나타낸다.
점선으로 표시하는 타원(S1)은, 블레이드부(21)의 저면 주연 형상 결정에 사용한 타원으로서, 부호 P1은 타원(S1)의 중심점을 나타내고, 부호 231은 타원(S1)의 단축을 나타낸다.
타원(S1)의 어스펙트비(장축:단축)는 11:10이다.
부호 α는, 타원(S1)의 단축(231)에 대한 저면 직선부(31)의 기울기(회전면 내에서의)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α≒15°이다.
도 2의 (b)는, 블레이드부(22)의 저면 주연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중의 화살표는 반죽부재(2)의 회전 방향을 가리킨다.
실선으로 나타내는 블레이드부(22)의 저면 주연 형상은 저면 직선부(32)와 저면 곡선부(132)로 둘러싸인 대략 반타원이다.
부호 32a는, 저면 곡선부(132)의 회전 방향 전단(저면 직선부(32)의 회전 방향 전단이기도 하다)을 나타낸다. 또한, 부호 32b는, 저면 곡선부(132)의 회전 방 향 후단(저면 직선부(32)의 회전 방향 후단이기도 하다)을 나타낸다.
점선으로 나타내는 타원(S2)은 블레이드부(22)의 저면 주연 형상의 결정에 사용한 타원으로서, 부호 P2는 타원(S2)의 중심점을 나타내고, 부호 232는 타원(S2)의 장축을 나타낸다.
타원(S2)의 어스펙트비는 17:14이다.
부호 β는, 타원(S2)의 장축(232)에 대한 저면 직선부(32)의 기울기(회전면 내에서의)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β≒25°이다.
타원(S1)의 장축 길이는 타원(S2)의 장축 길이의 1/2로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어스펙트비로부터 알 수 있듯이, 타원(S1)은 타원(S2)에 비해 보다 원에 가까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타원(S1)과 타원(S2)의 어스펙트비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어스펙트비가 1:1인 원도 타원의 일종으로서 받아들여도 좋다.
도 2의 (c)는, 블레이드부(21)과 블레이드부(22)가 접합된 상태에서의 각 블레이드부의 저면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블레이드부(21)의 저면 직선부(31)의 길이는, 블레이드부(22)의 저면 직선부(32)의 길이보다도 짧다.
또한, 블레이드부(21)와 블레이드부(22) 모두, 저면 직선부(31,32)의 회전 방향 전단(31a,32a)으로부터 회전축의 축심(O)까지의 길이는, 저면 직선부(31,32)의 회전 방향 후단(31b,32b)으로부터 회전축의 축심(O)까지의 길이보다도 짧다.
또한 블레이드부(21)의 저면 직선부(31)의 회전 방향 후단(31b)으로부터 회 전축의 축심(O)까지의 길이와, 블레이드부(22)의 저면 직선부(32)의 회전 방향 전단(32a)으로부터 회전축의 축심0까지의 길이는 같다.
블레이드부(21)과 블레이드부(22)는, 저면 직선부(31)과 저면 직선부(32)가 회전축의 축심(O)(미도시)와 축심0를 지나는 직선을 사이에 두고 접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또한, 블레이드부(21)과 블레이드부(22)는 저면 곡선부(131)의 회전 방향 후단(31b)와 저면 곡선부(132)의 회전 방향 전단(32a)이 원호형으로 연속되도록 접합되어 있다.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부(21)의 저면 곡선부(131)는 회전 방향 전방으로부터 타원(S1)의 내측(중심점(P1)측)으로 변위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부(21)의 저면 곡선부(131)의 회전 방향 전단(31a)에서의, 저면 곡선부(131)과 저면 직선부(32)의 각도(γ)를 크게 할 수 있다.
이 각도(γ)를 크게 함으로써 반죽부재(2)를 포트 내에서 회전시켰을 때 저면 곡선부(131)과 저면 직선부(32)로 둘러싸인 영역에서의 재료의 체류를 방지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 곡선부(131)와 저면 직선부(32)로 둘러싸인 영역에 원호형 연속부(20)를 설치함으로써 세움면(28)의 저부와 경사면(25)이 원호형으로 연속되도록 접합되어 상술한 재료의 체류 방지 효과를 더욱 높이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부(21)의 저면 직선부(31)는 중심점(P1)으로부터 변위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저면 곡선부(131)의 회전 방향 후단(31b)(즉, 저면 곡선부(132)의 회전 방향 전단(32a))에서, 저면 곡선부(131)과 저면 곡선부(132)가 보다 완만한 원호형으로 연속되도록 반죽부재(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부(22)의 저면 곡선부(132)는 회전 방향 후방에서 타원(S2)의 내측(중심점(P2)측)으로 변위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반죽부재(2)와 생지 덩어리간의 마찰을 줄일 수 있어 생지 덩어리에 대한 압압력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타원(S1)과 타원(S2)의 크기나 어스펙트비, 회전축의 축심(O)의 위치 등은 축심(O)에서 반죽부재(2)의 저면 주연까지의 길이가 반죽부재(2)의 회전에 따라 점차 길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반죽부재(2)의 평면도인 도 3에서, 축심(O)에서 블레이드부(22)의 회전 방향 후단의 외측가장자리(28a)까지의 길이(L1), 축심(O)에서 블레이드부(22)의 회전 방향 전단의 외측가장자리(블레이드부(21)의 회전 방향 후단의 외측가장자리이기도 하다)(27a)까지의 길이(L2), 블레이드부(22)의 폭 방향의 길이(L3), 블레이드부(21)의 폭 방향의 길이(L4) 사이에 「L1>L2」「L3>L4」의 관계가 성립하도록 타원(S1)의 크기 등이 설정되어 있다.
길이(L1)∼(L4)간의 관계를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반죽부재(2)와 포트 내저면 사이에 생지가 끼어들어가 들러붙더라도, 이 생지는 서서히 회전폭이 증대되는 반죽부재(2)의 회전에 따라 그 저면 외주에 의해 효율적으로 긁어내어지는 효과가 더욱 높아져 즉각 제거할 수 있다.
길이(L1)은 포트 내저면의 반경보다 약간 약간 짧게 설정되어 있다.
실험했을 때, 길이(L1)은 길이(L2)의 2.0∼3.5배가 바람직하고, 여기에서는 길이(L1)은 길이(L2)의 약 2.5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길이(L3)은 길이(L4)의 1.0∼2.5배가 바람직하고, 여기에서는 길이(L3)은 길이(L4)의 약 2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반죽부재(2)의 높이는 L1의 0.3∼0.7배가 바람직하고, 경사면(26)의 경사 각도δ는 20°∼60°가 바람직하다.
상기 각 배율 등은 표준적인 것이지만, 실제 생지 덩어리의 움직임 등을 관찰하여 적절히 조정하면 된다. 대체로 L1이 짧아짐에 따라 이들 배율 등을 크게 하면 된다.
다음으로, 블레이드부(21)과 블레이드부(22)의 측면의 형상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블레이드부(21)과 블레이드부(22) 모두, 블레이드부(21,22)의 저면에 직교하고 또한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단면되었을 때, 블레이드부(21,22)의 회전 방향 전방으로부터 회전 방향 후방에 걸친 일부 영역에서의 경사면(25,26)의 단면 형상은 블레이드부(21,22)의 저면측으로 만곡된 곡선이다. 또한, 이 곡선의 곡률은 회전 방향 전방으로부터 회전 방향 후방에 걸쳐 점차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이 경사면의 형상에 대해서 도 9, 10을 참조하여 경사면(26)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반죽부재(2)의 평면도로서, 도면 중의 화살표는 반죽부재(2)의 회전 방향을 가리킨다. 도 10은 상술한 경사면(26)의 단면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도 9의 A-A선, (b)는 도 9의 B-B선, (c)는 도 9의 C-C선 각각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26)의 단면 형상은, 대체로 블레이드부(22)의 저면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고, 반죽부재(2)의 회전 방향 전방으로부터 회전 방향 후방에 걸쳐 그 곡률은 점차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부(22)의 경사면(26)의 단면 형상은 회전 방향 전방에서는 움푹 팬 만곡형이며, 회전 방향 후방에 걸쳐 이 홈의 깊이가 점차 얕아지도록 되어 있다.
블레이드부(22)의 회전 방향 후단에서의 경사면(26)의 단면 형상은, 곡선(2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선으로 되어 있는데, 그 대신에, 예를 들어 블레이드부(26)의 저면과 반대쪽(반죽부재(2)의 상면측)으로 만곡된 곡선이 되도록 경사면(26)을 형성해도 좋다.
한편, 블레이드부(21)의 경사면(25)의 단면 형상도, 경사면(26)의 단면 형상과 마찬가지로 블레이드부(21)의 저면측으로 만곡된 곡선이 되도록 형성되고, 또한 반죽부재(2)의 회전 방향 전방으로부터 회전 방향 후방에 걸쳐 그 곡률은 점차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블레이드부(21)의 회전 방향 후단에서의 경사면(25)의 단면 형상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간 블레이드부(21)의 저면과 반대측으로 만곡된 곡선으로 되어 있는데, 대략 직선이 되도록 형성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경사면의 단면 형상을 채용함으로써, 반죽부재(2)의 회전에 따 라 경사면에 올라탄 재료나 생지 덩어리를, 경사면을 따라서 회전 방향 후방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특히 블레이드부(22)의 경사면(26)은 상술한 회전 방향 전방으로부터 회전 방향 후방에 걸쳐 높아지도록 되어 있는 세움면(29)과의 상승 효과로, 경사면(26)을 따라서 회전 방향 후방으로 가이드된 생지 덩어리 등을, 포트 내벽(주면) 위쪽을 향해 세게 내던질 수 있다. 그 결과, 생지 덩어리에 대해 포트 내벽의 전영역에서 직접 큰 압압력을 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세움면(27)의 형성 위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블레이드부(21)의 회전 방향 배면에 마련된 세움면(27)은, 도 1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죽부재(2)의 회전 평면 내에서 세움면(27)의 외측가장자리(27a)와 회전축의 축심(O)를 지나는 직선과, 세움면(28)의 외측가장자리(28a)와 회전축의 축심0을 지나는 직선이 대략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반해 도 11에는, 세움면(27)의 외측가장자리(27a)가 세움면(28)을 따라서 회전축의 축심(O)를 지나는 직선상에서, 블레이드부(22)쪽에 위치하도록 세움면(27)이 형성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12에는 세움면(27)의 외측가장자리(27a)가 세움면(28)을 따라서 회전축의 축심(O)를 지나는 직선상에서 블레이드부(21)측에 위치하도록 세움면(27)이 형성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세움면(28)에 대한 세움면(27)의 형성 위치의 차이는, 생지 덩어리에 대해 세움면(27)에 의한 낙하 효과를 늦은 단계에서 부여하는지(도 11), 빠른 단계에서 부여하는지(도 12)의 차이이다. 따라서 세움면(28)에 대한 세움면(27)의 형성 위치는, 재료의 원료나 질 등에 따라 적절히 최적화를 꾀하도록 하면 된다.
세움면(27)의 존재는, 이 부분에 대한 생지 재료의 부착과 클리닝 세정을 어렵게 하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반죽부재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움면(27)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술한 세움면(27)을 가진 반죽부재에 비해 세움면(27)에서의 생지 덩어리의 낙하가 없어지는 만큼 반죽 효과는 감소되지만, 생지 덩어리가 반죽부재상에서 구름운동에 따른 반죽 효과는 증대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니더(10)는 니더 본체(1)와, 반죽부재(2)와, 포트(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니더 본체(1)는 반죽부재(2)를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미도시)이나, 이용자가 반죽부재(2)의 회전 개시·중단·재개·종료 등을 지시하는 버튼이나, 반죽부재(2)의 회전 시간을 설정하는 다이얼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반죽부재(2)는 포트 내의 재료를 반죽하는 부재로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반죽부재를 사용한다.
포트(3)는 재료가 투입되는 반죽용 용기이다. 포트(3)의 내주면에는 종래의 니더의 포트가 구비한 돌출부는 존재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니더(10)는 대략 400∼600g의 생지량을 상정하였다. 따라서 포트(3)의 내경은, 예를 들어 23.0㎝, 높이는 15.0㎝, 반죽부재(2)의 길이 방향의 길 이는 12.5㎝, 높이는 3.1㎝로 되어 있다.
니더(10)에서의 생지량이나 포트의 높이는 상술한 값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히 최적화하면 된다.
또한, 포트(3)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해도 좋고, 혹은 저부 영역이 위쪽으로 감에 따라 그 직경이 커지도록 한 형상으로 해도 좋다.
반죽부재(2)는 포트(3) 중앙부에 설치된 회전 구동축을 수납하는 오목부를 가지며, 이 오목부에 회전 구동축을 끼워 넣고 구동 수단에 의해 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죽부재(2)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포트(3) 내의 재료를 반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반죽부재(2)를 회전시키지 않고 포트(3)를 회전시키는 구성이어도 좋고 혹은 반죽부재(2)와 포트(3) 모두를 회전시키는 구성이어도 좋다. 반죽부재(2)와 포트(3) 모두를 회전시킬 경우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혹은 같은 방향으로 다른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반죽부재(2) 혹은 포트(3)의 회전 속도는 일정해도 좋고 혹은 가스를 뺄 때나 재료 가루와 물이 점차 혼합되는 상태 변화 등에 따라 간헐 제어 또는 변동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니더(10)에 생지의 반죽 상태를 감시하는 센서를 설치한 후에 센서로 감시한 반죽상태에 맞춘 속도 제어를 행하는 수단을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이하, 포트(3) 안에 투입된 재료가 반죽부재(2)의 회전에 따라 반죽되는 상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포트(3) 안에 투입된 재료는 반죽부재(2)의 회전에 따라 블레이드부(21)의 저면 외주연(外周緣) 및 경사면(25)에 의해 떠 올려져 경사면(215) 위를 이동하면서 꼭대기면(23) 방향으로 상승하고 세움면(27)에서 중력에 의해 낙하한다. 제1 세움면(27)에서 낙하한 재료는 블레이드부(22)의 저면 외주연 및 경사면(26)에 의해 떠올려져 경사면(26) 위를 이동하면서 꼭대기면(23) 방향으로 상승하고 세움면(28)에서 중력에 의해 낙하한다. 동시에 경사면(25),(26) 및 세움면(29)에 의해 포트 내주면 방향으로 압압된다.
이상의 움직임이 반복됨으로써 포트(3) 내의 재료가 혼합되어 가루 형태에서 점차 경단 형태가 되고 더 반죽된다.
여기에서 생지가 반죽부재(2)와 포트(3) 내저면 사이에 끼어들어가 들러붙으면, 끼어들어간 생지는 블레이드부(21)의 회전 방향 전단부(21a)에서 블레이드부(22)의 회전 방향 후단부(22b)에 이르는 저면 외주연에 의해 포트 내주면 방향으로 긁어내어진다.
또한, 긁어내어지지 않고 남은 반죽부재(2)와 포트(3)의 내저면 사이에 끼어들어간 생지는, 블레이드부(22)의 세움면(28)에서 낙하하는 「반죽부재(2)의 회전에 따라 점차 형성되는 생지 덩어리」와 접착하여 즉각 제거된다.
반죽부재(2)의 회전에 따라 점차 형성되는 생지 덩어리는, 그 하부 영역이 반죽부재(2)의 저면 외주연에 의해 쐐기 형태로 파고들어, 우선 그 하부 영역이 압압된다. 다음으로, 생지 덩어리는 반죽부재(2)의 측면(경사면(25),(26))에 올라타 회전하면서 그 측면에 의해 압압된다. 그 후, 생지 덩어리는 회전 방향 후단부의 절벽형 세움면에서 낙하한다. 이 움직임이, 블레이드부(21)에서 블레이드부(22)로, 블레이드부(22)에서 블레이드부(21)로, 다시 블레이드부(21)에서 블레이드부(22)로 반복된다.
생지 덩어리는 반죽부재(2)의 원심력 및 반죽부재(2)의 측면으로부터의 압압력에 의해 포트(3) 내주면 방향으로 눌림과 동시에 포트(3) 내주면으로부터도 응력으로서의 압압력을 받는다.
또한, 생지 덩어리는 통상 반죽부재(2)를 덮는 정도의 크기가 된다. 따라서 반죽부재(2)의 세움면(28)과 포트(3) 저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감압 상태가 되고 또한 생지 덩어리에는 반죽부재(2)와는 반대의 회전이 주어진다. 그 결과, 이 영역의 생지 덩어리는 이 공간으로 흡입되어 전도(轉倒)되도록 끼워넣어진다.
이와 같이 생지 덩어리에 대해 이른바 「손반죽」, 즉, 생지 덩어리를 절단하지 않고 또한, 생지 덩어리 표면에 대한 마찰이 없는 「반죽」이 반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죽부재는 매우 우수한 반죽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니더에서는 생지 덩어리의 제작이 어려웠던 「메밀 국수 생지」도 양호한 생지 덩어리를 단시간에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생지 덩어리에 대한 반죽부재(2)로부터의 압압력을 더욱 높이고, 또한, 포트(3) 내주면올부터의 생지 덩어리에 대한 압압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세움면(29)이나 반죽부재(2)의 높이를 조절하면(더욱 높게 하면) 된다. 또한, 블레이드부(22)의 회전 방향 후단부(22b)의 측면 경사 각도(δ)(도 5 참조)를 더욱 크게 하면 된다. 또한, 경사면(26)의 단면 형상을 직선 혹은 바깥쪽(반죽부재(2)의 상면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만곡된 곡선 형태로 해도 좋다.
또한, 최근 「반죽」에서 「굽기」까지를 전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각종 제빵기(홈베이커리 등)이 보급되고 있다. 이들 제빵기는 큰 수고 없이 빵을 구울 수 있어 편리하다.
그러나 종래의 제빵기에는 적절한 블레이드부(반죽부재)가 사용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양호한 니딩(반죽)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충분한 탄성과 점착력을 가진 글루텐이 형성되지 않는다는 결점도 있다. 적정량의 양호한 글루텐이 생기지 않으면 탄력성 있는 폭신한 빵은 만들 수 없다. 또한, 종래의 제빵기는 포트 안에 블레이드부를 남긴 채 생지를 굽기 때문에, 구워진 빵의 저부에는 블레이드부에 의한 구멍이 뚫려 보기에도 안좋고 식욕도 돋구지 못한다.
그래서 우선 본 발명의 반죽부재로 생지 덩어리를 제작한 후, 포트마다 굽기용 포트와 교체하면 된다. 혹은 단일의 제빵기가 「본 발명의 반죽부재를 구비한 반죽용 포트」와 「굽기용 포트」 모두를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빵기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빵기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모식도로서, 제빵기의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제빵기(100)의 내부에는 빵 재료를 넣는 포트가 배치되는 소성실(101)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포트에는 빵 재료를 반죽할 때 사용하는 반죽용 포트(210)와, 반죽된 빵 재료를 가열할 때 사용하는 굽기용 포트(220)의 2종류가 있는데, 모두 바닥이 있는 원통체이다.
반죽용 포트(210)와 굽기용 포트(220) 모두, 소성실(101) 안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15는, 반죽용 포트(210)가 배치된 상태, 도 16은, 굽기용 포트(220)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소성실(101)은 개폐 가능한 뚜껑(102)으로 덮여 있다. 뚜껑(102)에는 뚜껑(102)의 개폐용 손잡이(103)와, 제빵기(100)의 이용자가 소성실(101) 내의 제빵 상태를 눈으로 확인하기 위해 들여다보는 감시창(104)이 마련되어 있다.
도 17은, 반죽용 포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반죽용 포트(210)의 내저면에는 빵 재료의 반죽용 반죽부재(300)가 배치된다. 반죽용 포트(210)의 저면 중앙부에는 종동축(211)이 마련되어 있다. 종동축(211)의 일단은 반죽부재(300)의 저면에 설치된 오목부에 끼워넣어지고, 종동축(211)의 타단은 반죽용 포트(210)의 외저면에 설치된 종동 커넥터(212)에 장착되어 있다.
종동 커넥터(212)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다. 반죽용 포트(210)를, 미도시된 수단에 의해 소성실(101) 안에 고정시켰을 때, 제빵기(100) 내의 구동 커넥터(105)에 장착된 구동축(106)의 일단이 종동 커넥터(212)의 오목부에 끼워진다.
반죽부재(300)는 종동축(211), 종동 커넥터(212), 구동 커넥터(105), 구동축(106), 큰 풀리(107), 벨트(108), 작은 풀리(109), 모터축(110)을 통해 모터(111)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반죽부재(300)로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반죽부재를 사용한다.
도 18은, 굽기용 포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굽기용 포트(220)의 내면에는 반죽용 포트(210)에 마련되어 있는 종동축(211)과 같은 돌기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굽기용 포트(220)는 미도시된 수단에 의해 소성실(101) 안에 고정되면 제빵기(100) 내의 가열 수단인 히터(112)에 의해 가열된다.
도 17, 도 18에 도시한 반죽용 포트와 굽기용 포트의 형상은, 포트의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에 걸쳐 대략 동일 직경의 중공 원통형인데, 포트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포트의 아래쪽 영역은 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가면서 점차 직경이 커지고, 위쪽 영역은 동일 직경의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이어도 좋다.
모터(111)와 히터(112)는 제빵기(100) 내의 제어 수단인 제어 회로(113)의 명령에 의해 동작하여 빵 재료의 반죽 공정, 숙성 공정, 가스 빼기 공정, 마무리 발효 공정, 굽기 공정 등 제빵 공정을 수행한다.
제빵기(100)의 상면에는 제빵기(100)의 이용자가 제빵기를 동작시킬 때에 사용하는 각종 버튼이나 타이머 등이 마련된 제어 패널(114)이 배치되어 있다. 제어 회로(113)는 제어 패널(114)로부터의 신호 등에 기초하여 모터(111)나 히터(112)를 동작시키는 명령을 내린다.
이하, 제빵기(100)에 의한 제빵 공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반죽 공정에 대해서)
반죽 공정에서는, 수화를 효율적으로 수행시키기 위해 재료를 2회로 나누어 반죽하는, 소위 중종법(重腫法)이 채용된다.
첫번째 반죽과 2번째 반죽 사이에는 소정의 중지 시간이 마련된다.
(숙성 공정 1)
다음으로, 반죽용 포트(210) 안을 소정의 발효 온도로 유지하면서 소정 시간 반죽물을 숙성시킨다.
(가스 빼기 공정 1)
다음으로, 숙성 공정(1)에서 부풀어 오른 생지를 찌부러뜨려 생지 내의 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잠시동안 반죽부재(300)를 회전시킨다.
(숙성 공정 2)
다음으로, 반죽용 포트(210) 안을 소정의 발효 온도로 유지하면서 소정 시간 반죽물을 숙성시킨다.
(가스 빼기 공정 2)
다음으로, 숙성 공정(2)에서 부풀어 오른 생지를 찌부러뜨려 생지 내의 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잠시동안 반죽부재(300)를 회전시킨다.
(생지 덩어리의 교체)
다음으로, 가스 빼기 공정 종료 후 반죽용 포트(210)를 소성실(101)에서 꺼내고 굽기용 포트(220)를 소성실(101)에 설치하여 포트를 교체한다.
또한, 반죽용 포트(210) 내의 생지 덩어리를 굽기용 포트(220)에 바꿔넣는다. 생지 덩어리를 바꿔넣는 것은 사람 손으로 행한다. 포트의 교체와 생지 덩어리의 교체 순서는 바뀌어도 상관 없다.
가스 빼기 공정의 종료를 제빵기(100)의 이용자에게 알리는 고지수단을 제빵 기(100)에 마련해도 좋다.
(마무리 발효 공정)
다음으로, 살짝 데운 굽기용 포트(220) 안에 생지 덩어리를 소정 시간 방치하여 마무리 발효를 시킨다.
(굽기 공정)
다음으로, 굽기용 포트(220) 안을 소정의 제1 온도로 설정하여 소정 시간 생지를 굽는다. 그 후, 굽기용 포트(220) 내의 온도를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로 올려 소정 시간 더 생지를 굽는다.
이상 설명한 공정을 거침으로써 제빵기(100)는 빵 재료의 반죽부터 빵 굽기까지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빵기(100)가 빵 재료를 반죽할 때 사용하는 반죽부재(300)는, 본 발명에 따른 반죽부재이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생지의 양호한 반죽이 가능하여 충분한 탄성과 점착력을 가진 글루텐이 형성되고, 부드럽게 부풀어 오른 폭신한 빵을 만들 수 있다.
또한, 굽기용 포트(220)의 내면에는 돌기가 존재하지 않고 또한, 포트 내에 반죽부재를 장착하지도 않기 때문에, 상술한 종래의 제빵기와 같이 구운 빵의 저부에 큰 구멍이 뚫리지도 않는다.
이상 설명한 제빵기는 반죽용 포트와 굽기용 포트가 교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제빵기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죽용 포트와 굽기용 포트가 병설 가능하게 구성된 것 이어도 좋다.
제빵기(100b)는 반죽용 포트(210)가 설치되는 반죽·숙성실(101a)과, 굽기용 포트(220)가 설치되는 소성실(101b)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공간(101a)은 개폐 가능한 뚜껑(102a)으로 덮여 있다. 소성실(101b)은 개폐 가능한 뚜껑(102b)으로 덮여 있다.
반죽부재(300)는, 도 15에 도시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종동축, 종동 커넥터(212a), 구동 커넥터(105a), 구동축(106a), 큰 풀리(107a), 벨트(108a), 작은 풀리(109a), 모터축(110a)을 통해 모터(111a)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한편, 굽기용 포트(220)는 히터(112b)에 의해 가열된다.
모터(111a)와 히터(112a),(112b)는 제어 회로(113c)가 내리는 명령에 따라 동작한다. 제어 회로(113c)는 제빵기(100b)의 제어 패널(미도시)로부터의 신호 등에 기초하여 명령을 내린다.
이 양 포트 병설형 제빵기(100b)의 제빵 공정은 상술한 제빵 공정과 대략 마찬가지이다. 단, 생지 덩어리의 교체 공정에서의 포트 교환은 불필요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반죽부재와 니더 및 제빵기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니더의 반죽부재는, 저면 주연 형상이 대략 반타원인 하나의 블레이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점에서, 저면 주연 형상이 대략 반타원인 2개의 블레이드부를 접합한 형상으로 형성된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도 22는, 반죽부재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 중의 화살표는 반죽부재(402)의 회전 방향을 가리키고 있다. 또한, 부호 O1은 회전축의 축심을 나타내고 있다.
반죽부재(402)는 저면 주연 형상이 대략 반타원인 블레이드부(42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블레이드부(422)의 측면에는 경사면(426)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426)은 반죽부재(402)의 꼭대기면(423)측으로부터 저면(424)쪽에 걸쳐, 꼭대기면(423)의 주연에서 블레이드부(422)의 저면 외측가장자리를 향하는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반죽부재(402)는 경사면(426)의 회전 방향 전단부(422a)와 회전 방향 후단부(422b)가 대략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경사면의 회전 방향 전단부와 후단부의 위치 관계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방향 전단부(522a)가 회전 방향 후단부(522b)에 비해 회전 방향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즉, 회전 방향 전단(522a)과 회전 방향 후단(522b)은 대략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방향 전단부(622a)와 회전 방향 후단부(622b)를 대략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면서 회전축의 축심(O3)을, 이들 회전 방향 전단부와 회전 방향 후단부를 연결하는 직선상에 설치하여 반죽부재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의 회전 방향 전단부(722a)를 곡선 형태로 형성, 즉, 예를 들어 경사면의 회전 방향 전단부를 반죽부재의 저면 주연측 이 정면측에 비해 회전 방향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해도 좋다.
여기에서 도 27∼29는 반죽부재의 평면도로서, 도면 중의 화살표는 반죽부재의 회전 방향을 가리킨다.
도 23은, 반죽부재(402)의 정면도(도 22의 H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부호 4δ는, 블레이드부(422)의 회전 방향 후단부(422b)의 측면 경사 각도이다.
도 25는, 반죽부재(402)의 우측면도(도 22의 G방향에서 본 도)이다. 도 23,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부(422)의 회전 방향 배면에는 세움면(428)이 형성되어 있다.
도 24는, 반죽부재(402)의 배면도(도 22의 J방향에서 본 도)이다. 또한, 도 26은, 반죽부재(402)의 좌측면도(도 22의 I방향에서 본 도)이다.
도 24,25,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부(422)의 저면(424)과 경사면(426) 사이에는 세움면(429)이 마련되어 있고 세움면(429)의 높이는 회전 방향 전방으로부터 회전 방향 후방에 걸쳐 점차 높아지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블레이드부(422)의 저면 형상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은, 블레이드부(422)의 저면 주연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중의 화살표는 반죽부재(402)의 회전 방향을 가리킨다.
실선으로 표시하는 블레이드부(422)의 저면 주연 형상은 저면 직선부(432)와 저면 곡선부(132a)로 둘러싸인 대략 반타원이다.
도 21에 도시한 저면 직선부(432)는 기본적인 형상으로서, 실제로는 반죽하는 재료의 종류 등에 따라, 예를 들어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절 히 변경하면 된다.
점선으로 표시하는 타원(4S2)은, 블레이드부(422)의 저면 주연 형상 결정에 사용한 타원이다. 부호 4P2는, 타원(4S2)의 중심점을 가리키고, 부호 232a는, 타원(4S2)의 장축을 가리킨다. 또한, 부호 4β는, 타원(4S2)의 장축(232a)에 대한 저면 직선부(432)의 기울기(회전면 내에서의)를 나타낸다.
타원(4S2)의 어스펙트비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어스펙트비가 1:1인 원도 타원의 일종으로서 받아들여도 좋다.
축심(O1)에서 반죽부재(402)의 저면 주연까지의 길이는 반죽부재(402)의 회전에 따라 점차 길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도 22에서, 축심(O1)에서 블레이드부(422)의 회전 방향 후단의 외측가장자리(428a)까지의 길이「11」, 축심(O1)에서 블레이드부(422)의 회전 방향 전단의 외측가장자리(427a)까지의 길이「12」, 블레이드부(422)의 짧은 방향의 길이「13」 사이에는 「11>13>12」의 관계가 성립하도록 타원(4S2)의 크기 등이 설정되어 있다.
길이「11」「12」「13」간의 대소 관계를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반죽부재(402)와 포트 내저면 사이에 생지가 끼어들어가 들러붙더라도, 이 생지는 서서히 회전폭이 증대되는 반죽부재(402)의 회전에 따라 그 저면 외주에 의해 효율적으로 긁어내어지는 효과가 더욱 높아져 즉각 제거할 수 있다.
길이11은 포트 내저면의 반경보다 약간 짧게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블레이드부(422)의 측면(426) 형상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블레이드부의 저면에 대해 직교하며」 또한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서 단면되었을 때, 블레이드부(422)의 회전 방향 전방으로부터 회전 방향 후방에 걸친 일부 영역에서의 블레이드부(422)의 경사면(426)의 단면 형상은, 블레이드부(422)의 저면(24)측으로 만곡된 곡선이다. 또한, 이 곡선의 곡률은 회전 방향 전방으로부터 회전 방향 후방에 걸쳐 점차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부(422)의 경사면(426)의 단면 형상은, 회전 방향 전방에서는 움푹 팬 만곡 형태로 회전 방향 후방에 걸쳐 이 홈의 깊이가 점차 얕아지도록 되어 있다.
블레이드부의 회전 방향 후단에서의 경사면의 단면 형상은, 도 23에서는 대략 직선으로 되어 있는데, 그 대신에 예를 들어 블레이드부의 저면과 반대쪽(반죽부재의 상면측)으로 만곡된 곡선이 되도록 형성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경사면의 단면 형상을 채용함으로써 반죽부재(402)의 회전에 따라 경사면(426)의 회전 방향 전단부(422a)에서 경사면(426)에 올라탄 재료나 생지 덩어리를 경사면(426)을 따라 회전 방향 후방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특히, 회전 방향 전방으로부터 회전 방향 후방에 걸쳐 높아지는 세움면(429)과의 상승 효과로, 경사면(426)을 따라 회전 방향 후방으로 가이드된 생지 덩어리 등을 포트 내벽(주면)의 위쪽을 향해 세게 내던질 수 있다. 그 결과, 생지 덩어리에 대해 포트 내벽의 모든 영역에서 직접 큰 압압력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한 니더(10)의 반죽부재(2) 대신에 이상 설명한 반죽부재(402)를 포트(3) 내의 저부에 배치하여 완성하는 도 30에 도시한 니더(10x)는 니더(10)와 마찬가지의 효과, 즉, 생지 덩어리를 절단하지 않고 또한 생지 덩어리 표 면에 대한 마찰이 없는 「반죽」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5, 19에 도시한 제빵기(100),(100b)의 반죽부재(300) 대신에 이상 설명한 반죽부재(402)를 사용함으로써 제빵기(100)나 (100b)와 마찬가지의 효과, 즉, 충분한 탄성과 점착력을 가진 글루텐이 형성되어 폭신한 빵을 만들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니더의 반죽부재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니더의 반죽부재는 표면 전부 또는 일부가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31,32는, 반죽부재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면 중의 점은 요철면을 형성하는 돌기를 나타내고 있다. 반죽부재(802)는 표면이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꼭대기면(823), 경사면(825), 경사면(826)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부호 827,828은 세움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부호 830은 반죽부재(802)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의 회전 구동축과 연결 가능한 축구멍을 나타내고 있다.
부호 Kl,K2,K3,K4는 경사면의 입체 형상을 드러내기 위한 참고선이다.
도 33은, 반죽부재(802)의 표면에 설치된 요철의 예를 도시한 모식도로서, 꼭대기면(823)에 마련된 돌기의 단면도로서, 꼭대기면(823)의 지표면(823)에는 돌기(901),(902)가 마련되어 있고 각 돌기(901),(902)의 표면에 여러 개의 돌기(901a),(902a)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반죽부재(802)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를 설치함으로써 돌기 주위에 는 오목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반죽부재(802)의 표면에 요철면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돌기(901),(902)나 돌기(901a),(902a)의 높이는 반죽물의 특성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하면 되고, 예를 들어 돌기(901),(902)의 높이는 150∼300㎛m, 402나 돌기(901a),(902a)의 높이는 30∼140㎛m로 한다.
이와 같은 미세한 요철면을 반죽부재(802)의 표면에 형성함으로써 반죽부재(802)의 지표면에 다수의 작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작은 공간에는 반죽부재(802)에 의한 반죽 도중에 공기가 파고들어가 잔류한다. 따라서 반죽부재(802)에 의해 반죽되는 반죽물은 이들 작은 공간에 잔류하는 공기에 의해 반죽부재(802)의 지표면에 부착되지 않게 된다.
또한, 경사면의 표면에 설치된 돌기에 의해, 경사면을 따라 반죽부재의 회전 방향 후방으로 가이드되어 반죽되는 생지 덩어리의 경사면상에서의 회전을 촉진할 수 있어 반죽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반죽부재의 표면이 요철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죽 도중에 생지 덩어리는 반죽부재의 지표면에 부착되지 않고 반죽부재의 표면상에서 반죽부재의 회전 방향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가이드된다. 그 결과, 생지 덩어리를 니더의 포트 내벽의 위쪽을 향해 세게 내던질 수 있어 상술한 반죽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반죽부재(802)의 표면에 제1 돌기(901),(902)를 마련하고 또한, 제1 돌기(901),(902)의 표면에 제2 돌기(901a),(902a)를 마련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그 대신에, 예를 들어 반죽부재의 표면에는 제1 돌기(901),(902) 만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 31,32에 도시한 예에서는, 반죽부재(802)의 경사면(825), 경사면(826)과 꼭대기면(802)에 요철면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 대신에, 예를 들어 경사면(826)에만 요철면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어, 경사면(826)의 전면이 아닌 일부분에만 요철면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도 31,32에 도시한 반죽부재는, 도 1 등에 도시한 저면 주연 형상이 대략 반타원인 2개의 블레이드부를 접합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었으나, 그 대신에, 도 22 등에 도시한 저면 주연 형상이 대략 반타원인 하나의 블레이드부를 가지고 있는 반죽부재의 표면에 요철면을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은 빵 생지나 우동·메밀 국수 등의 면 생지, 과자 생지, 떡 등의 생지 재료를 혼합 반죽함과 아울러 치대는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포트 내의 저부에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어 포트 내의 재료를 반죽하는 반죽부재로서,
    저면 주연 형상이 대략 반타원의 블레이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블레이드부의 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부의 회전 방향 배면에는 세움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은 반죽되는 재료를 이 경사면상에서 회전시키는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더의 반죽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블레이드부의 저면에 대해 직교하며」 또한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단면되었을 때, 블레이드부의 회전 방향 전방으로부터 회전 방향 후방에 걸친 일부 영역에서의 경사면의 단면 형상은 상기 블레이드부의 저면측으로 만곡된 곡선이며, 이 곡선의 곡률은 회전 방향 전방으로부터 회전 방향 후방에 걸쳐 점차 작아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더의 반죽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블레이드부의 회전 방향 후단에서의 경사면의 단면 형상은, 직선 또는 블레이드부의 저면과 반대측으로 만곡된 곡선임을 특징으로 하는 니더의 반죽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경사면의 표면에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더의 반죽부재.
  5. 포트 내의 저부에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어 포트 내의 재료를 반죽하는 반죽부재로서,
    제1 블레이드부와 제2 블레이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블레이드부와 제2 블레이드부가 접합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블레이드부와 제2 블레이드부 모두, 저면 주연 형상은 대략 반타원이고,
    상기 제1 블레이드부의 저면 직선부의 길이는 상기 제2 블레이드부의 저면 직선부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1 블레이드부와 제2 블레이드부는 각각의 저면 직선부가 상기 회전축의 축심과 이 축심을 지나는 직선을 사이에 두도록 접하고, 또한 「제1 블레이드부의 저면 곡선부의 회전 방향 후단」과 「제2 블레이드부의 저면 곡선부의 회전 방향 전단」이 원호형으로 연속되도록 접해 있고,
    상기 제1 블레이드부의 측면에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블레이드부의 측면에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블레이드부의 회전 방향 배면에는 상기 제1 경사면의 회전 방향 전 단과 연속되어 있는 세움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경사면은, 반죽되는 재료를 이 제2 경사면상에서 회전시키는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더의 반죽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제2 블레이드부의 저면에 대해 직교하고」 또한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단면되었을 때, 제2 블레이드부의 회전 방향 전방으로부터 회전 방향 후방에 걸친 일부 영역에서의 제2 경사면의 단면 형상은, 제2 블레이드부의 저면측으로 만곡된 곡선이며, 이 곡선의 곡률은 회전 방향 전방으로부터 회전 방향 후방에 걸쳐 점차 작아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더의 반죽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제2 블레이드부의 회전 방향 후단에서의 제2 경사면의 단면 형상은, 직선 또는 제2 블레이드부의 저면과 반대측으로 만곡된 곡선임을 특징으로 하는 니더의 반죽부재.
  8. 제5항에 있어서,
    제2 경사면의 표면에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더의 반죽부재.
  9. 제5항에 있어서,
    「제1 블레이드부의 저면에 대해 직교하고」 또한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단면되었을 때, 제1 블레이드부의 회전 방향 전방으로부터 회전 방향 후방에 걸친 일부 영역에서의 제1 경사면의 단면 형상은, 제1 블레이드부의 저면측으로 만곡된 곡선이며, 이 곡선의 곡률은 회전 방향 전방으로부터 회전 방향 후방에 걸쳐 점차 작아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더의 반죽부재.
  10. 제9항에 있어서,
    제1 블레이드부의 회전 방향 후단에서의 제1 경사면의 단면 형상은, 직선 또는 제1 블레이드부의 저면과 반대측으로 만곡된 곡선임을 특징으로 하는 니더의 반죽부재.
  11. 제5항에 있어서,
    제1 경사면의 표면에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더의 반죽부재.
  12. 포트와, 이 포트 내의 재료를 반죽하는 반죽부재와, 이 반죽부재를 포트 내의 저부에서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니더로서,
    상기 반죽부재는 제1항 또는 제5항에 기재된 니더의 반죽부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니더.
  13. 빵의 재료를 반죽할 때 사용되는 반죽용 포트와, 반죽된 빵의 생지 덩어리를 구울 때에 사용되는 굽기용 포트를 설치할 수 있는 제빵기로서,
    상기 반죽용 포트 내에 장착되어 빵의 재료를 반죽하는 반죽부재는, 제1항 또는 제5항에 기재된 니더의 반죽부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
  14. 제13항에 있어서,
    반죽용 포트와 굽기용 포트가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
  15. 제13항에 있어서,
    반죽용 포트와 굽기용 포트가 병설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
KR1020097023318A 2007-04-10 2008-04-09 니더의 반죽부재와 니더 및 제빵기 KR201000163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02758 2007-04-10
JP2007102758A JP3970919B1 (ja) 2007-04-10 2007-04-10 ニーダの混捏子とニーダ並びに製パン機
JPJP-P-2007-214167 2007-08-20
JP2007214167 2007-08-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337A true KR20100016337A (ko) 2010-02-12

Family

ID=3986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3318A KR20100016337A (ko) 2007-04-10 2008-04-09 니더의 반죽부재와 니더 및 제빵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07757B2 (ko)
EP (1) EP2153760A1 (ko)
KR (1) KR20100016337A (ko)
CN (1) CN101677723A (ko)
AU (1) AU2008238987A1 (ko)
CA (1) CA2683850A1 (ko)
WO (1) WO20081269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6491A (ja) * 2009-04-17 2010-11-04 Japan Kneader Inc ニーダのポット、ニーダ並びに製パン機
US8720325B2 (en) 2010-04-29 2014-05-13 Whirlpool Corporation Food processor with a lockable adjustable blade assembly
US10449685B2 (en) 2010-04-29 2019-10-22 Whirlpool Corporation Food processor with adjustable blade assembly
AT513079B1 (de) * 2012-06-21 2015-05-15 Haas Food Equipment Gmbh Mischapparat
US9237825B2 (en) * 2013-03-01 2016-01-19 Whirlpool Corporation Cooking vessel for a cooking and mixing appliance kit
US9241595B2 (en) * 2013-03-01 2016-01-26 Whirlpool Corporation Cooking and mixing appliance kit
US9808774B2 (en) 2013-03-01 2017-11-07 Whirlpool Corporation Stirring wand
US20140245902A1 (en) * 2013-03-01 2014-09-04 Whirlpool Corporation Mixing mechanism for a cooking and mixing appliance kit
US20140245900A1 (en) * 2013-03-01 2014-09-04 Whirlpool Corporation Mixing tool set for a cooking and mixing appliance kit
US10588444B2 (en) * 2013-04-04 2020-03-1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Heating cooker
CN103478185B (zh) * 2013-10-08 2018-06-05 王忠财 一种摔面机
US10085599B2 (en) 2014-12-19 2018-10-02 Whirlpool Corporation Multi-cook and food processing prep product
USD853782S1 (en) 2017-02-20 2019-07-16 Whirlpool Corporation Food processor
USD867051S1 (en) 2017-10-04 2019-11-19 Whirlpool Corporation Grinder attachment for a stand mixer
USD885822S1 (en) 2018-12-14 2020-06-02 Whirlpool Corporation Food grind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2258A (en) * 1978-11-24 1980-05-13 France Bed Co., Ltd. Cooking apparatus
JPS61126928A (ja) 1984-11-26 1986-06-14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トリツプ先端検出装置
JPS62126928A (ja) 1985-11-29 1987-06-09 大地 修造 ニ−ダ
JPS62132528A (ja) 1985-12-03 1987-06-15 Shuzo Ochi ニ−ダ
US4885176A (en) * 1986-06-20 1989-12-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of making bread
JPH0538828Y2 (ko) 1989-05-29 1993-09-30
JPH0538828A (ja) 1991-05-29 1993-02-19 Aoi Denshi Kk サーマルヘツド
JP3017323B2 (ja) 1991-06-17 2000-03-06 日本酸素株式会社 珪素を有する新規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5839358A (en) * 1997-10-08 1998-11-24 Malecki; Edward Kneading paddle extraction device
JP2000093318A (ja) 1998-09-18 2000-04-04 Sanyo Electric Co Ltd 調理器
US6029563A (en) * 1998-09-18 2000-02-29 Sanyo Electric Co., Ltd. Cooking machine
US6321641B1 (en) * 1999-07-02 2001-11-27 Donglei Wang Multi-chamber bread-baking machine
JPWO2003073860A1 (ja) 2002-03-06 2005-06-23 株式会社愛工舎製作所 捏和装置の混捏子及びこの混捏子を備えた捏和装置
KR20040096247A (ko) * 2003-05-07 2004-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83850A1 (en) 2008-10-23
US20100147160A1 (en) 2010-06-17
EP2153760A1 (en) 2010-02-17
WO2008126934A1 (ja) 2008-10-23
US8307757B2 (en) 2012-11-13
CN101677723A (zh) 2010-03-24
AU2008238987A1 (en) 200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6337A (ko) 니더의 반죽부재와 니더 및 제빵기
EP2418957B1 (en) Compact appliance for making flat edibles
WO2004073470A1 (ja) 自動製パン器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パンの製造方法
JP5824616B2 (ja) パン生地生成機及びそのパン生地を用いた製パン機
JP3970919B1 (ja) ニーダの混捏子とニーダ並びに製パン機
JP6172606B2 (ja) 自動製パン機
JPH07148074A (ja) 製パン器
WO2003073860A1 (fr) Element de petrissage pour petrisseur, et petrisseur comprenant cet element de petrissage
JP2517069B2 (ja) 自動製パン機
JP4468483B2 (ja) ニーダの混捏子とニーダ並びに製パン機
JPH0538828Y2 (ko)
EP1787517B1 (en) Mixer for combining powder material with liquid material
KR20200015130A (ko) 또띠아용 반죽볼 성형기의 롤링 유니트
JP3157044U (ja) 皮状食品の製造機器
JP5097813B2 (ja) ニーダの混捏子、ニーダ及び製パン機
JP6065326B2 (ja) 自動製パン機
JP5824617B2 (ja) パン生地生成機及びそのパン生地を用いた製パン機
JP2010246491A (ja) ニーダのポット、ニーダ並びに製パン機
WO2012056764A1 (ja) 自動製パン器
JPH05154056A (ja) パン製造機とそのパン製造機を用いたパンの製造方法
JP5516325B2 (ja) 自動製パン器
JP4222959B2 (ja) 自動製パン器
WO2012008263A1 (ja) 自動製パン器
JPH037120A (ja) 自動製パン機の練り羽根
KR20230001345U (ko) 빵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