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4857A -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4857A
KR20100014857A KR1020097017821A KR20097017821A KR20100014857A KR 20100014857 A KR20100014857 A KR 20100014857A KR 1020097017821 A KR1020097017821 A KR 1020097017821A KR 20097017821 A KR20097017821 A KR 20097017821A KR 20100014857 A KR20100014857 A KR 20100014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coat
coat layer
panel
convex portion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7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히로 니시카와
타카오 하시모토
요시히로 카이
타카쿠니 수나하세
카즈토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4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8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9Textured surface identifying touch areas, e.g. overlay structure for a virtual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개구를 갖는 케이싱(19)의 패널감입부(19a)에, 그 외측의 표면이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간극없이 끼워넣어 보관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과 동시에, 투명창부(18)를 통해 외부로부터 시인가능하게 그 아래측에 배치된 디스플레이(20)를 보호하는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1)이며, 하드코트층(24)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미세요철부(22)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PROTECTION PANEL HAVING TOUCH INPUT FUNCTION FOR ELECTRONIC DEVICE DISPLAY WINDOW}
본 발명은, PDA, 핸디 터미널(handy terminal) 등 휴대 정보 단말, 복사기, 팩시밀리 등 OA 기기, 스마트폰, 휴대전화기, 카메라, 휴대 게임기기, 전자 사전, 카네비게이션시스템, 소형 PC, 각종 가전제품 등의 용도에 이용되며, 종래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에는 없는 고부가 가치의 외측 표면을 갖는,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케이싱은, 합성 수지제의 전면 케이싱과 배면 케이싱을 조합해 구성된 것이 일반적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 케이싱의 표면에는 LCD 등의 디스플레이(120)의 표시창을 보호하기 위해서, 보호패널(100)이 융착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보호패널(100)은, 종래, 무색 투명한 수지의 패널이 이용되어 왔지만, 전자기기의 패션화에 수반해, 인쇄에 의해 가두리 장식 등의 장식을 가하도록 되어 오고 있다.
또, 근래, 휴대전화기에서는, 다음 인터페이스로서, 도 2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해당 보호패널(100)에 입력디바이스 기능을 갖춘 보호패널(101)이 기대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등에 개시되어 있다.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101)에 대해, 도 23의 분해도를 이용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3에 있어서,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101)은, 비가요성(非可撓性)의 보호패널 본체의 윗 표면에 하부 투명전극(105)과 해당 하부 투명전극(105)의 주위에 설치된 하부 회로(107a, 107b)를 갖는 하부 전극패널(103)과, 가요성의 투명 절연 필름의 아랫 표면에 상기 하부 투명전극(105)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상부 투명전극(104)과 해당 상부 투명전극(104)의 주위에 설치된 상부 회로(106a~106d, 107c, 107d)를 갖는 상부 전극 시트(102a)와, 가요성의 투명 절연 필름에 상기 하부 회로(107a, 107b) 및 상기 상부 회로(106a~106d, 107c, 107d)를 도안층(117)으로 은폐하여 투명창부(118)를 형성하는 가식층(加飾層)을 갖는 가식시트(102b)를 갖추고 있다.
상기 상부 전극 시트(102a) 및 상기 하부 전극패널(103)의 내면에는, 각 투명전극(104,105)으로서 ITO(산화 인듐·주석) 등이 스퍼터링이나 진공 증착에 의해 직사각형(矩形)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전극 시트(102a)에는, 투명전극(104)과 접속되는 은페이스트로 된 띠모양의 베이스바(106a, 106b)가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 전극패널(103)에는 상기 베이스바(106a, 106b)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투명전극(105)과 접속되는 은페이스트로 된 띠모양의 베이스바(107a, 107b)가 형성되어 있다. 각 베이스바(106a, 106b, 107a, 107b)는, 상부 전극 시트(102a)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접속부(108)까지 회로가 연장하여 설치되어 1개소에 합쳐져 있다.
상기 가식시트(102b)는, 상기 상부 전극 시트(102a)의 전면 전체에 첩합되어 있으며(이후, 상부 전극 시트(102a) 및 그 표면에 적층된 시트 전체를 가동 시트(102)라고 부른다), 손가락이나 펜 등으로 상기 가식시트(102b) 표면을 누르면, 가동 시트(102)가 일체가 되어 하부로 휘며, 그 결과, 상기 상부 전극 시트(102a) 및 하부 전극패널(103)의 내면에 형성된 각 투명 전극(104,105)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입력 위치가 검출된다.
한편, 도 23에서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 패널(101)과는 달리, 상기 접속부(108)에 있어서의 각 전극단(106c, 107c, 106d, 107d)에 대응해 상기 하부 전극패널(103)에는 관통공(109a~109d)이 Z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관통공(109a~109d)에 대응해 FPC(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110)의 접속측 단부(110a)에 4개의 금속핀(111~114)이 서 있도록 설치되며, 도시하지 않는 도전성 접착제를 개입시켜 해당 금속핀(111~114)이 상기 전극단(106c, 107c, 106d, 107d)과 도통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하부 전극패널(103)의 이면으로부터의 FPC 접속 방법에 있어서는,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국제 공개 제2005/064451호 팜플렛
특허 문헌 2: 국제 공개 제2006/077784호 팜플렛
상기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101)은, 케이싱(119)의 패널감입부에, 그 터치 입력면(외측의 표면)이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간극없이 끼워넣어 보관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고(도 22 참조), 케이싱(119)의 표면과 마 찬가지로, 제품 표면의 중요한 요소가 되어 있는 것이지만, 문헌 1 및 문헌 2에는 전면적으로 하드 코트 처리나 저반사 처리가 베풀어지고 있는 정도로, 외측의 표면에 대해 부가가치성이 부족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고려해, 종래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에는 없는 고부가가치의 외측의 표면을 갖는,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의하면, 비가요성의 보호 패널 본체의 윗 표면에, 하부 투명전극을 가짐과 동시에 해당 하부 투명전극의 주위에 설치된 하부 회로를 갖는 하부 전극 패널과, 가요성의 투명 절연 필름의 아랫 표면에, 상기 하부 투명 전극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상부 투명 전극을 가짐과 동시에 해당 상부 투명 전극의 주위에 설치된 상부 회로를 가져, 상기 하부 전극패널와 전극 간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주변부에서 접착된 상부 전극 시트와, 가요성의 투명 절연 필름의 적어도 한편의 면에, 상기 하부 회로 및 상기 상부 회로를 은폐하는 은폐부와 상기 은폐부에 의해 둘러싸여진 투명창부를 갖는 가식층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부 전극 시트의 윗 표면에 첩합된 가식시트와, 가요성의 투명 절연 필름의 윗 표면에 하드 코트층이 설치되어, 상기 가식시트의 윗 표면에 상기 투명 절연 필름의 아랫 표면이 첩합된 하드 코트 필름과,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설치된 미세 요철부를 갖추는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의하면, 상기 미세 요철부가,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을 매트 상태로 한 매트부인 제1 태양으로 기재한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의하면, 상기 미세 요철부가,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형성된 홈 포지션용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인 제1의 태양으로 기재한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의하면, 상기 미세 요철부가,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형성된 확정 키용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인 제1의 태양으로 기재한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의하면, 상기 미세 요철부가,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형성된 오입력을 방지하기 위한 오목부인 제1의 태양으로 기재한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의하면, 상기 미세 요철부가,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형성된 스크롤바부용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인 제1의 태양으로 기재한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7 태양에 의하면, 상기 미세 요철부가,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형성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 오픈 조작용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인 제1의 태양으로 기재한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8 태양에 의하면, 상기 미세 요철부가,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형성된 카메라의 렌즈용의 돌기인 제1의 태양으로 기재한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9 태양에 의하면, 상기 미세 요철부가,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형성된 카메라의 렌즈 손상 방지용의 오목부인 제1의 태양으로 기재한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0 태양에 의하면, 상기 하드 코트층의 막두께가 7μm~ 50μm인, 제1 내지 제9 태양 중 어느 한 태양으로 기재한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1 태양에 의하면,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이 상기 케이싱의 표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개구를 갖는 케이싱의 패널감입부에 끼워넣어 보관 유지 가능하게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투명창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그 아래 쪽에 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보호 가능하게 구성하는, 제1~ 제9의 태양 중 어느 한 태양으로 기재한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2 태양에 의하면, 제1~ 제9의 태양으로 기재한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 패널의 외측의 표면인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이 케이싱의 표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개구를 갖는 상기 케이싱의 패널감입부에 끼워넣어 보관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싱의 상기 개구 및 상기 보호 패널의 상기 투명창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그 아래 쪽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외면(最外面)이 되는 하드 코트층 표면에 부분적인 미세 요철부를 설치하기 때문에, 종래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에는 없는 고부가 가치의 외측의 표면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하드 코트층 표면에 부분 매트 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디자인적으로 고급감/촉감을 갖게 하거나, 상기 하드 코트층 표면에 홈 포지션용, 확정 키에 대한 확실한 입력용, 오입력 방지용, 스크롤바부용, 휴대기기의 슬라이드 오픈 조작용, 카메라의 렌즈용, 또는 카메라의 렌즈 손상 방지용 등의 미세 요철부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여러가지 기능을 발휘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다음의 기술로부터 명확하게 된다. 이러한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와 관련된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와 관련된 상기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로 사용하는 하드 코트 필름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와 관련된 상기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을 디스플레이와 함께 케이싱의 패널감입부에 끼워넣어 보관 유지하여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와 관련된 상기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 패널을 디스플레이와 함께 케이싱의 패널감입부에 끼워넣어 보관 유지하여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상태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해하기 쉽게하기 위해, 각 부재 간에 큰 간극을 형성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거의 간극이 없음)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와 관련된 상기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의 표면의 터치 패널의 입력 화면 영역의 전체에 매트부가 형성되어, 매트부에, 펜(stylus)으로 입력하고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와 관련된 상기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에 있어서, 터치 패널의 입력 화면 영역의 홈 포지션 상에 대응하는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미세 요철부의 다른 예로서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배치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와 관련된 상기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에 있어서, 터치 패널의 입력 화면 영역의 홈 포지션상에 대응하는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미세 요철부의 다른 예로서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배치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와 관련된 상기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에 있어서, 터치 패널의 입력 화면 영역의 확정 키상에 대응하는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배치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와 관련된 상기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에 있어서, 터치 패널의 입력 화면 영역의 확정 키에 대응하는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오목부를 배치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와 관련된 상기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 패널에 있어서, 터치 패널의 입력 화면 영역 이외의 은폐부에 배치된 기계적 스위치에 대응하는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오목부를 배치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a는, 도 9 또는 도 10의 보호 패널에 있어서, 단지 하드 코트층의 표면을 손가락으로 미끄러지게 하고 있는 것일 뿐인 때, 오목부의 저부까지는, 손가락이 닿지 않던가 또는 손가락의 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11b는, 도 9 또는 도 10의 보호 패널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의 표면의 오목부 내를 향해 손가락으로 누르는 때, 오목부의 저부까지, 손가락이 닿아, 손가락의 압력에 의해, 오목부의 저부에 위치하는 확정 키 또는 기계적 스위치를 누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와 관련된 상기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에 있어서, 전원 키의 오입력 방지용의 오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와 관련된 상기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에 있어서, 카메라의 셔터 키의 오입력 방지용의 오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와 관련된 상기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오목부 또는 볼록부(범프)를 임의의 패턴으로 배열해 형성한 스크롤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5a는, 도 14의 보호패널에 있어서, 터치 패널의 입력 화면 영역의 스크롤바부를 구성하는 미세 요철부의 제1의 예로서, 원형도트 형상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일정 간격마다 분산하여 배치하는 경우의 확대 평면도이며,
도 15b는, 도 14의 보호패널에 있어서, 터치 패널의 입력 화면 영역의 스크롤바부를 구성하는 미세 요철부의 제2의 예로서, 횡방향으로 길고 가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b)를 일정 간격마다 가로 줄무늬 모양으로 배치하는 경우의 확대 평면도이며,
도 15c는, 도 14의 보호패널에 있어서, 터치 패널의 입력 화면 영역의 스크롤바부를 구성하는 미세 요철부의 제3의 예로서, 세로 방향으로 길고 가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c)를 일정 간격마다 세로 줄무늬 모양으로 배치하는 경우의 확대 평면도이며,
도 16a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와 관련된 상기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 패널에 있어서, 휴대기기를 닫는 때에, 가동부에 슬라이드 계지부용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미세 요철부로서 배치되어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6b는, 도 16a의 보호 패널에 있어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 오픈 도중 또는 오픈 완료시에, 손가락이 슬라이드 계지부용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에 걸려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6c는, 도 16a의 보호 패널에 있어서, 슬라이드 계지부용의 볼록부의 예로서, 횡방향으로 길고 가는 직사각형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22Ha)를 일정 간격마다 가로 줄무늬 모양으로 배치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며,
도 16d는, 도 16a의 보호패널에 있어서, 슬라이드 계지부용의 볼록부의 예로서, 원형도트 형상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22Hb)를 일정 간격마다 분산해 배치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며,
도 17a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와 관련된 상기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의 미세 요철부의 어스펙트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17b는, 도 17a의 보호패널의 미세 요철부의 어스펙트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17c는, 도 17a의 보호패널의 미세 요철부의 어스펙트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와 관련된 상기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의 미세 오목부를 스피커 홀로서 이용하는 경우의 단면도이며,
도 19a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와 관련된 상기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의 미세 볼록부를 카메라의 렌즈로서 이용하는 경우의 사시도이며,
도 19b는, 도 19a의 보호패널의 미세 볼록부를 카메라의 렌즈로서 이용하는 경우의 측면도이며,
도 20a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와 관련된 상기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 패널의 미세 오목부를 카메라의 렌즈의 흠집 방지에 이용하는 경우의 사시도이며,
도 20b는, 도 20a의 보호 패널의 미세 오목부를 카메라의 렌즈의 흠집 방지에 이용하는 경우의 측면도이며,
도 21은, 종래의 전자기기 표시창의 보호 패널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2는, 종래의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 패널과 제품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3은, 종래의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 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을 계속하기 전에, 첨부 도면에 있어서 같은 부품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 부호를 붙인다.
이하,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된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1)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1)은, 하부 전극패널(3)과 상부 전극 시트(2a)와, 가식시트(2b)를 갖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례로서, 직사각형 형상의 보호패널(1)을 도시하고 있지만, 정사각형 등이어도 좋다. 상기 보호패널(1)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19b)를 갖는 케이싱(19)의 패널감입부(19a)에, 보호패널(1)의 터치 입력면(외측의 표면)(후술하는 하드 코트층(24))이 케이싱(19)의 표면(19c)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가능한 한 극간 없이, 끼워 넣어 보관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액정 패널이나 유기 EL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20)는, 패널감입부(19a)보다도 안쪽의 디스플레이용 감입부(19d)에 끼워 넣어져 있다. 따라서, 보호 패널(1)과 디스플레이(20)가 케이싱(19)의 패널감입부(19a)와 디스플레이용 감입부(19d)에 각각, 끼워넣어져 보관 유지되는 것에 의해, 보호 패널(1)이 디스플레이(20)의 표면측을 보호한 상태로 전자기기를 구성하고 있다.
하부 전극패널(3)은, 비가요성의 보호 패널 본체의 윗 표면에, 하부 투명 전극(5)을 구비함과 동시에, 해당 하부 투명 전극(5)의 주위(예를 들면, 대향하는 한 벌의 긴 방향에 따른 변부)에 설치된 하부 회로(7a, 7b)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 전극 시트(2a)는, 가요성의 투명 절연 필름의 아랫 표면에, 상기 하부 투명 전극(5)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상부 투명 전극(4)을 가짐과 동시에, 해당 상부 투명 전극(4)의 주위에 설치된 상부 회로(6a~6d, 7c, 7d)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 회로(6a, 6b)는, 대향하는 한 벌의 짧은 방향에 따른 변부에 설치되어 있다. 접속용 상부 회로(전극단)(6d)는 상부 회로(6a)에 접속되어 있고, 접속용 상부 회로(전극단)(6c)는 상부 회로(6b)에 접속되어 있으며, 접속용 상부 회로(전 극단)(6d)와 접속용 상부 회로(전극단)(6c)와 상부 회로(7c, 7d)는 각각, 상부 전극 시트(2a)의 아랫 표면까지 돌아 넣어져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용 상부 회로(전극단)(7c)가 하부 회로(7a)에 접속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접속용 상부 회로(전극단)(7d)는 하부 회로(7b)에 접속되어 있다.
가식시트(2b)는, 가요성의 투명 절연 필름에, 상기 하부 회로(7a, 7b) 및 상기 상부 회로(6a~6d, 7c, 7d)를 도안부(17a)로 은폐하여 투명창부(터치 입력 가능한 윈도우)(18)를 형성하는 가식층(17)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안부(17a)는, 은폐부의 일례로서 기능한다.
상기 하부 전극패널(3)과 상기 상부 전극 시트(2a)는, 전극간에 공기층을 개입시켜 그 주변부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양면 접착 테이프에 의해 접착되어, 상기 가식시트(2b)가 상기 상부 전극 시트(2a)의 윗 표면에 투명 점착제에 의해 첩합되어 있다.
상기 하부 전극패널(3) 및 상기 상부 전극 시트(2a)는, 상기 하부 투명 전극(5)이나 상기 상부 투명 전극(4)과 동일면에 베이스바나 인회선(引き回し線) 등의 소정의 패턴의 회로, 즉, 상기 하부 회로(7a, 7b) 및 상기 상부 회로(6a~6d, 7c, 7d)가 형성되어 FPC(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10)에 의해 외부로 출력된다. 상기 하부 전극패널(3)과 상기 상부 전극 시트(2a)와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도시하지 않는 다수의 스페이서가 상기 하부 전극패널(3) 또는 상기 상부 전극 시트(2a)에 설치되어 있어서, 각각의 대향면에 설치되어 있는 양 전극(4, 5)이 오접촉하지 않게 구성되어 있다.
스페이서로서는, 투명한 광경화형 수지를 포토 프로세스로 미세한 도트 모양으로 형성해 얻을 수 있다. 또, 인쇄법에 의해 미세한 도트를 다수 형성하여 스페이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부 전극패널(3)의 상기 비가요성의 보호 패널 본체의 재질로서는, 투시성이 뛰어나고, 액정 패널이나 유기 EL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20)를 파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한다. 예를 들면, 메타크릴 수지(PMMA), 아크릴로니트릴 스틸렌 공중합체 수지(AS),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 공중합체 수지(ABS), 셀룰로스 프로피네오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PS),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플라스틱판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보호 패널 본체의 재질로서는, 특히 메타아크릴레이트(PMMA)가 투명성이 우수하다. 또, 보호 패널 본체의 재질로서 유리판을 이용해도 괜찮다.
또, 이러한 판의 상기 하부 투명 전극(5)을 형성하는 면에,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계, 폴리아미드계, 혹은 폴리에테르 케톤계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아크릴계,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계, 또는,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계 등의 필름을 첩합시켜, 해당 필름을 개입시켜 상기 하부 투명 전극(5)을 상기 하부 전극패널(3)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상부 전극 시트(2a)의 상기 가요성의 투명 절연 필름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계, 폴리아미드계, 혹은 폴리에테르 케톤계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아크릴계,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계, 또는,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계 등의 필름을 이용할 수가 있다.
상기 상부 전극 시트(2a)와 상기 하부 전극패널(3)은, 상기 투명 전극(4,5) 간에 틈새를 형성하도록 대향 배치되어, 주변부에 접착되어 있다. 상기 투명 전극(4,5)으로서는, 각각 산화 주석, 산화 인듐, 산화 안티몬, 산화 아연, 산화 카드뮴, 혹은 인듐틴옥사이드(ITO) 등의 금속 산화물막, 또는, 이러한 금속 산화물을 주체로 하는 복합막, 또는, 금, 은, 동, 주석, 니켈, 알루미늄, 혹은 파라듐 등의 금속막등이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 이온플레이팅, 혹은 CVD 법에 의해 투명 도전막을 형성한 후, 불필요한 부분을 에칭 제거해 구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전극 시트(2a)에는, 상기 상부 투명 전극(4)과 상부 회로로서 접속되고, 또, 금, 은, 동, 혹은 니켈 등의 금속, 혹은 카본 등의 도전성을 갖는 페이스트로 구성되는 띠모양의 베이스바(6a, 6b)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하부 전극패널(3)에는, 상기 하부 투명 전극(5)과 하부 회로로서 접속되는 한편, 상기 베이스바(6a, 6b)에 직교하도록 배치된 띠모양의 베이스바(7a, 7b)가 형성되어 있다. 띠모양의 베이스바(7a, 7b)는, 띠모양의 베이스바(6a, 6b)와 마찬가지로, 금, 은, 동, 혹은 니켈 등의 금속, 혹은 카본 등의 도전성을 갖는 페이스트로 구성되어 있다. 띠모양의 베이스바(6a, 6b, 7a, 7b)는, 스크린 인쇄, 오프셋 인쇄(offset printing), 그라비아 인쇄, 혹은 플렉소(flexo) 인쇄 등의 인쇄법,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법, 또는 쇄모도법(刷毛塗法) 등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바(7a, 7b, 6a, 6b)의 형성 위치는, 가능한 한 단부로서, 상기 베이스바(7a, 7b, 6a, 6b)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을, 중앙부에, 가능한 한 넓게 취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덧붙여, 각 베이스바(6a, 6b, 7a, 7b)는, 상부 전극 시트(2a)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접속부(8)까지 회로가 연장하여 설치되어 1개소에 정리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 시트(2a)의 각 베이스바(6a, 6b)가 접속부(8)의 전극단(6d, 6c)까지 연장되어, 상기 하부 전극패널(3)의 각 베이스바(7a, 7b)로부터 연장된 하부 회로는, 상기 전극단(6d, 6c)과 함께, 상기 상부 전극 시트(2a)의 접속부(8)에 형성된 전극단(7c, 7d)과, 하부 전극패널(3)을 관통하는 관통공 내의 도시하지 않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접속된다.
이 접속부(8)에 있어서의 각 전극단(6c, 7c, 6d, 7d)에 대응해, 하부 전극패널(3)에는, 드릴 또는 프레스기에 의해 관통공(9a, 9b, 9c, 9d)이 형성되어, 각각 도시하지 않는 도전성 접착제가 충전되어 있다.
게다가 이러한 관통공(9a~9d)에 대응해, FPC(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10)의 접속측 단부에 4개의 금속 핀(11,12,13,14)이 세워 설치되어, 해당 금속 핀(11~14)이, 도 1 중에 도시하지 않는 도전성 접착제를 개입시켜, 상기 전극단(6c, 7c, 6d, 7d)과 도통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상부 전극 시트(2a) 표면에는, 투명창(18)을 갖는 가식시트(2b)가 첩합되어 있다. 해당 가식시트(2b)는, 가요성의 투명 절연 필름,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계, 폴리아미드계, 혹은 폴리에테르 케톤계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아크릴계, 폴리에틸렌 텔레프탈계, 혹은 폴리부틸렌텔레프탈계 등의 필름의 한 면에, 투명창(18)의 주위, 즉, 상기 상부 회로나 상기 하부 회로 등에 대향하는 영역을 은폐하도록 하는 도안부(17a)로 가식층(17)이 형성되어 있다. 즉, 가식층(17)의 형성 부분이 도안부(17a), 비형성 부분이 투명창부(18)가 된다.
상기 가식층(17)은, 폴리비닐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타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우레탄계 수지, 혹은 알키드 수지 등의 수지를 바인더로 해, 적절한 색의 안료 또는 염료를 착색제로서 함유하는 착색 잉크를 이용하면 좋다. 상기 가식층(17)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스크린 인쇄, 오프셋 인쇄(offset printing), 그라비아 인쇄, 혹은 플렉소(flexo) 인쇄 등의 통상 인쇄법 등을 이용하면 좋다. 특히, 다색 인쇄나 계조 표현을 실시하려면, 오프셋 인쇄(offset printing)법이나 그라비아 인쇄법이 적합하다.
또, 상기 가식층(17)은, 금속 박막층으로부터 되는 것, 혹은 도안 인쇄층과 금속 박막층과의 조합으로부터 되는 것이라도 좋다. 금속 박막층은, 상기 가식층(17)으로서 금속 광택을 표현하는 것이며,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 도금법, 혹은 도금법등으로 형성한다. 이 경우, 표현하고 싶은 금속 광택색에 따라, 알루미늄, 니켈, 금, 백금, 크롬철, 동, 주석, 인듐, 은, 티타늄, 납, 혹은 아연 등의 금속, 또는 이러한 합금 또는 화합물을 사용한다. 금속 박막층의 막두께는, 0.05μm 정도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금속 박막층을 마련할 때에, 다른 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전 앵커층이나 후 앵커층을 마련해도 좋다.
또, 상기 가식시트(2b)의 표면에는, 하드 코트층(2c)(도 2 참조)이 첩합되어 있다. 해당 하드 코트층(2c)은, 가요성의 투명 절연 필름(23), 예를 들면 폴리카 보네이트(polycarbonate)계, 폴리아미드계, 혹은 폴리에테르 케톤계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아크릴계, 폴리에틸렌 텔레프탈계, 혹은 폴리부틸렌 텔레프탈계 등의 필름(23)을 본체로서, 그 가요성의 투명 절연 필름(23)의, 상기 가식시트(2b)와의 첩합면(아랫 표면)의 반대면(윗 표면)에, 하드 코트층(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드 코트층(24)으로서는, 아크릴 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의 광경화형 수지를 이용하면 좋다. 상기 하드 코트층(24)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롤코터 등의 통상 코트법 등을 이용해 하드 코트막을 형성하고, UV 조사에 의해 경화한다. 덧붙여, 이 UV 조사 경화시의 하드 코트막의 수축량에 맞춰, 하드 코트 필름이 구부러지지 않게, 상기 가식시트(2b)와의 첩합면에 백층을 마련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의 특징은, 최외면이 되는 상기 하드 코트층(24)의 표면의 일부에,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세 오목부 또는 미세 볼록부와 같은 미세 요철부(21, 22)를 마련해 종래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 패널에는 없는 고부가가치의 외측의 표면을 얻는 것에 있다.
이하, 미세 오목부 또는 미세 볼록부와 같은 미세 요철부(21,22)의 여러가지 예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디자인적으로 고급감/촉감을 갖게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드 코트층(24)의 표면의 전면 또는, 상기 표면의 일부의 영역(예를 들면, 투명창부(터치 입력 가능한 윈도우)(18)의 전면이나, 반대로 그 주위의 은폐부)에, 미세 요철부의 예로서 부분 매트 가공을 실시해 매트부(21)를 형성한다. 가공 방법으로서는, 가요성의 투명 절연 필름(23)의 표면에 도포한 하드 코트막을 온풍 및 UV 조사에 의해 건조, 반경화 상태로 하며, 이 반경화 상태의 하드 코트막을 부분적으로 미세 요철부를 형성한 형태로 누르면서, UV 조사하여 하드 코트막을 완전 경화시킨다. 덧붙여, 도 1 및 도 2에서는, 도면 매수를 생략하기 위해, 홈 포지션용의 미세 요철부(22)와 매트부(21)의 양쪽 모두를 도시하고 있지만, 반드시 양쪽 모두 배치할 필요는 없고, 어느 한쪽이어도 좋다.
덧붙여, 상기 투명창부(터치 입력 가능한 윈도우)(18)의 전면의 내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터치 패널의 입력 화면 영역(18a)」이라고, 이하, 칭한다.
도 5는, 하드 코트층(24)의 표면의 터치 패널의 입력 화면 영역(18a)의 전체에 매트부(21)가 형성되어, 매트부(21)에, 펜(stylus)(30)으로 입력하고 있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20)의 화면부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의 입력 화면 영역(18a)에 미세한 요철의 매트부(21)를 마련하는 것으로, 종이에 펜으로 쓰고 있는 것 같은 입력감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종이에 펜으로 쓰고 있는 것 같은 입력감을 가능하게 하는 매트부(21)의 미세한 요철의 사이즈로서는, 최대 높이 RZ(JIS B0601:2001년)는 1~ 100μm, 평균 길이 RSm (JIS B0601:2001 년)은 10~ 500μ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Z가 1μm 보다 작은 경우에는 입력감을 얻을 수 없는 한편, RZ가 100μm 보다 큰 경우에는 화면의 시인성을 저해한다. RSm가 10μm 보다 작은 경우에는 입력감을 얻을 수 없는 한편, RSm가 500μm 보다 큰 경우에는 입력감을 얻을 수 없다.
또, 최외면이 되는 상기 하드 코트층(24)의 표면에 부분적인 미세 요철부(22)를 마련하는 다른 예로서는, 블라인드 터치(blind touch)용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범프)(22A)를 형성할 수가 있다. 즉, 오목부 또는 볼록부(범프)(22A)에 의해, 터치 입력 기능을 갖는 보호 패널(1)의 표면에 있어서, 촉감만으로 입력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키를 하나 하나 보지 않고, 터치 패널의 입력 화면 영역(18a)에 대해서 입력하는 블라인드 터치를 행하는 경우, 홈 포지션으로 불리는 키 영역상에서의 손가락의 위치가 중요하지만, 상기 오목부 또는 볼록부(22A)에 의해 손가락의 위치를 용이하게 또 정확하게 결정할 수가 있기 때문에, 홈 포지션에 손가락을 재빠르게 위치시킬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듯이, 터치 패널의 입력 화면 영역(18a)의 홈 포지션상에 대응하는 하드 코트층(24)의 표면에, 미세 요철부(22)의 다른 예로서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22)를 배치하는 것으로, 블라인드 터치나 확실한 입력이 가능해진다. 도 6에서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22A)를, 상향 키(UP 키)(31u)와 하향 키(DOWN 키)(31d)와 좌향 키(LEFT 키)(31l)와 우향 키(RIGHT 키)(31r)의 중앙에 배치해, 홈 포지션으로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7에서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22A)를, 다수 배열된 숫자나 알파벳의 키(32) 중 중앙의 키(32c)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해, 홈 포지션으로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홈 포지션용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22A)로서는, 원형 등이 있어, 직경 은 0.1~ 10mm가 바람직하다. 직경이 0.1mm 보다 작은 경우에는, 입력감을 얻을 수 없는 한편, 직경이 10mm 보다 큰 경우에는, 화면의 시인성을 저해한다.
도 8에 나타내듯이, 터치 패널의 입력 화면 영역(18a)의 확정 키(32k) 상에 대응하는 하드 코트층(24)의 표면에, 확정 키(32k)와 거의 같은 크기의, 예를 들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또는 원형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22B)를 배치하는 것으로, 확정 키(32k)에 대한 블라인드 터치 입력이나 확정 키(32k)에 대한 확실한 입력이 가능해진다.
상기 확정 키용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22B)로서는, 원형 등이 있으며, 직경은 0.1~ 10mm가 바람직하다. 직경이 0.1mm 보다 작은 경우에는, 입력감을 얻을 수 없는 한편, 직경이 10mm 보다 큰 경우에는, 화면의 시인성을 저해한다.
상기 미세 요철부(22)의 예로서의 오목부(22C, 22D)에 대해,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내듯이, 터치 패널의 입력 화면 영역(18a)의 확정 키(예를 들면, 통상은 빈번하게 사용하지 않는 키로서, 메일 송신 키 등의 동작을 확정하기 위한 키)(32m)에 대응하는 하드 코트층(24)의 표면에, 확정 키(32m)와 거의 같은 크기 또는 확정 키(32m) 보다 작은 형상(예를 들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또는 원형)의 오목부(22C)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확정 키(32m)에 대한 오입력을 막아, 확실한 입력이 가능해진다. 또, 도 10에 나타내듯이, 터치 패널의 입력 화면 영역(18a)의 확정 키 뿐만 아니라, 터치 패널의 입력 화면 영역(18a) 이외의 은폐부(도안부)(17a)에 배치된 기계적 스위치(33)에 대응하는 하드 코트층(24)의 표면에, 기계적 스위치(33)와 거의 같은 크기 또는 기계적 스위치(33) 보다 작은 형상(예를 들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또는 원형)의 오목부(22D)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기계적 스위치(33)에 대한 오입력을 막아, 확실한 입력이 가능해진다.
즉, 도 11a에 나타내듯이, 단지, 하드 코트층(24)의 표면을 손가락(34)으로 미끄러지게 하고 있는 것일 뿐인 때에는, 오목부(22C 또는 22D)의 저부까지는, 손가락(34)이 닿지 않던가 또는 손가락(34)의 압력이 작용하지 않고, 오목부(22C 또는 22D)의 저부에 위치하는 확정 키(32m) 또는 기계적 스위치(33)를 누르는 동작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도 11b에 나타내듯이, 하드 코트층(24)의 표면의 오목부(22C 또는 22D) 내로 향해 손가락으로 누르는 경우에는, 오목부(22C 또는 22D)의 저부까지, 손가락(34)이 닿아, 손가락(34)의 압력에 의해, 오목부(22C 또는 22D)의 저부에 위치하는 확정 키(32m) 또는 기계적 스위치(33)를 누르는 동작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확정 키(32m)의 경우에는, 상부 전극(4)과 하부 전극(5)이 접촉하게 된다. 기계적 스위치(33)의 경우에는 스위치 온이 된다. 이것에 의해, 확실히 의도해, 손가락(34)으로, 오목부(22C 또는 22D)의 저부의 확정 키(32m) 또는 기계적 스위치(33)를 누를 때만, 확정 키(32m) 또는 기계적 스위치(33)를 온으로 할 수가 있어, 확정 키(32m) 또는 기계적 스위치(33)에 대한 오입력을 막아, 확실한 입력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오목부(22C 또는 22D)의 깊이 d는, 예를 들면, 0.01~ 2mm 정도가 바람직하다. 깊이 d가 0.01mm 미만으로는, 입력감을 얻을 수 없는 한편, 깊이 d가 2mm를 넘으면, 오입력 방지 기능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상기 오입력 방지용의 오목부의 다른 용도로서, 도 12에는 전원 키(35)의 오입력 방지용의 오목부(22E)를 나타내는 것과 동시에, 도 13에는 카메라의 셔터 키(36)의 오입력 방지용의 오목부(22F)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오입력을 방지하고 싶은 키(35 또는 36)에 대응하는 하드 코트층(24)의 표면에, 오목부(22E 또는 22F)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키(35 또는 36)에 대한 오입력을 막아, 키(35 또는 36)에 대해서 확실한 입력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오입력 방지용의 오목부(22C, 22D, 22E, 22F)로서는, 원형 등이 있어, 직경은 0.1 ~ 10mm가 바람직하다. 직경이 0.1mm 보다 작은 경우에는, 눌러도 오목부의 저부까지 손가락이 닿지 않던가 또는 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편, 직경이 10mm 보다 큰 경우에는, 항상 오목부의 저부까지 손가락이 닿기 때문에, 오입력 방지성이 떨어진다.
또, 도 14에 나타내듯이, 터치 패널의 입력 화면 영역(18a) 상에서, 손가락(34)을 슬라이드했을 때에, 손가락(34)의 촉감만으로 손가락(34)의 슬라이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드 코트층(24)의 표면에, 오목부 또는 볼록부(범프)(22G)를 임의의 패턴으로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오목부 또는 볼록부(범프)(22G)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상기 하드 코트층(24)을 형성하기 위해서 도포한 하드 코트막을 온풍 및 UV 조사에 의해 건조해 반경화 상태로 하고, 이 반경화 상태의 하드 코트막 위에, 하드 코트층(24)의 형성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재료로 되는 UV 잉크를 디스펜서에 의해 도포해, UV 조사하고 하드 코트막 및 오목부 또는 볼록부(범프)(22G)를 완전 경화시킨다. 상기 오목부 또는 볼록부(범프)(22G)는, 하드 코트막과 함께 경화하므로, 오목부 또는 볼록부(범프)(22G)와 막과의 밀착성이 매우 뛰어나, 펜이나 손톱으로의 반복 입력에 있어서도, 오목부 또는 볼록부(범프)(22G)가 하드 코트막으로부터 잡힐 것은 없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범프)(22G)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도 14에 나타내듯이, 터치 패널의 입력 화면 영역(18a)의 스크롤바부(예를 들면, 도 15a의 우단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하드 코트층(24)의 표면에, 복수의 미세 요철부(22G)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미세 요철부(22G)를 펜 또는 손가락으로 접동할 때, 확실한 입력감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복수의 미세 요철부(22G)의 제1의 예로서 도 15a에 나타내듯이, 원형도트 형상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a)를 일정 간격마다 분산해 배치하는 경우에는, 원형 도트를 구성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a)의 직경은 0.01~ 1mm, 인접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a) 간의 피치는 0.01~ 5mm가 바람직하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a)의 직경을 0.01~ 1mm로 하는 이유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a)의 직경이 0.01mm 보다 작으면,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a)로서 확실한 입력감을 얻는 것이 불가능한 한편,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a)의 직경이 1mm를 넘으면,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a)에서 펜 또는 손가락이 걸려,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a)를 원활히 접동시킬 수가 없기 때문이다. 또, 인접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a) 간의 피치를 0.01~ 5mm로 하는 이유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a)의 피치가 0.01mm 보다 좁으면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a)로서 확실한 입력감을 얻는 것이 불가능한 한편, 오 목부 또는 볼록부(22Ga)의 피치가 5mm를 넘으면, 각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a)에서 펜 또는 손가락이 걸려,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a)에 대해서 펜 또는 손가락을 원활히 접동시킬 수가 없기 때문이다.
상기 복수의 미세 요철부(22G)의 제2의 예로서 도 15b에 나타내듯이, 횡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b)를 일정 간격마다 가로 줄무늬 모양으로 배치하는 경우에는, 오목부(22Gb)의 깊이 또는 볼록부(22Gb)의 높이는 0.01~ 1mm, 인접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b) 간의 피치는 0.01~ 5mm가 바람직하다. 오목부(22Gb)의 깊이를 0.01~ 1mm로 하는 이유는, 오목부의 깊이가 0.01mm 보다 얕으면, 오목부로서 확실한 입력감을 얻을 수 없는 한편, 오목부(22Gb)의 깊이가 1mm를 넘으면, 각 오목부(22Gb)에 펜 또는 손가락이 걸려, 복수의 오목부(22Gb)를 원활히 접동시킬 수가 없기 때문이다. 또, 볼록부(22Gb)의 높이가 0.01mm 보다 낮으면, 볼록부(22Gb)로서 확실한 입력감을 얻을 수 없는 한편, 볼록부(22Gb)의 높이가 1mm 보다 높으면, 각 볼록부(22Gb)에서 펜 또는 손가락이 걸려, 복수의 볼록부(22Gb)를 원활히 접동시킬 수가 없기 때문이다. 또,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b)의 피치를 0.01~ 5mm로 하는 이유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b)의 피치가 0.01mm 보다 좁으면,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b)로서 확실한 입력감을 얻을 수 없는 한편, 5mm를 넘으면, 각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b)에서 펜 또는 손가락이 걸려,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b)에 대해서 펜 또는 손가락을 원활히 접동시킬 수가 없기 때문이다.
상기 복수의 미세 요철부(22G)의 제3의 예로서 도 15c에 나타내듯이, 세로 방향으로 길고 가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c)를 일정 간격마다 세로의 줄무늬 모양으로 배치하는 경우에는, 오목부(22Gc)의 깊이 또는 볼록부(22Gc)의 높이는 0.01~ 1mm, 인접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c) 간의 피치는 0.01~ 5mm가 바람직하다. 오목부(22Gc)의 깊이를 0.01~ 1mm로 하는 이유는, 오목부(22Gc)의 깊이가 0.01mm 보다 낮으면, 오목부(22Gc)로서 확실한 입력감을 얻을 수 없는 한편, 오목부(22Gc)의 깊이가 1mm를 넘으면, 각 오목부(22Gc)에서 펜 또는 손가락이 걸려, 복수의 오목부(22Gc)를 원활히 접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 볼록부(22Gc)의 높이를 0.01~ 1mm로 하는 이유는, 볼록부(22Gc)의 높이가 0.01mm 보다 낮으면, 볼록부(22Gc)로서 확실한 입력감을 얻을 수 없는 한편, 볼록부(22Gc)의 높이가 1mm 보다 높으면, 각 볼록부(22Gc)에서 펜 또는 손가락이 걸려, 복수의 볼록부(22Gc)를 원활히 접동시킬 수가 없기 때문이다. 또,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c)의 피치를 0.01~ 5mm로 하는 이유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c)의 피치가 0.01mm 보다 좁으면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c)로서 확실한 입력감을 얻을 수 없는 한편,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c)의 피치가 5mm를 넘으면, 가이드 기능을 얻지 못하고, 손가락이나 펜이 스크롤 바로부터 어긋나거나 너무 미끄러져 버리는 것과 동시에, 이것들에 가세해, 입력감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도 16a는, 휴대기기(40), 예를 들면 휴대전화를 닫는 때에, 가동부(40b)의 도 16a의 하단 측에 슬라이드 계지부용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22H)가 배치되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6b는, 상기 휴대전화(40)의 슬라이드 오픈 조작 도중 또는 오픈 조작 완료시에서, 손가락(34)이 슬라이드 계지부용의 오목부 또는 볼록 부(22H)에 걸쳐 멈춰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상기 휴대기기(40)는, 고정부(40a)에 대해서 가동부(40b)가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기기(40)로서, 가동부(40b)의 단부에, 미세 요철부(미세 오목부 또는 미세 볼록부)를 슬라이드 계지부용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22H)로서 배치해 손가락(34)을 거는 부분으로서 기능시키도록 해도 괜찮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슬라이드 계지부용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22H)의 존재에 의해, 가동부(40b)의 단부에 건 손가락(34)이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부(40a)에 대해서 가동부(40b)를 확실히 슬라이드시킬 수가 있다.
이 슬라이드 계지부용의 볼록부(22H)의 예로서 도 16c에 나타내듯이, 횡방향으로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22Ha)를 일정 간격마다 가로 줄무늬 모양으로 배치하는 경우에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22Ha)의 폭은 0.01~ 10mm, 인접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22Ha) 간의 피치는 0.01~ 5mm가 바람직하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22Ha)의 폭을 0.01~ 10mm로 하는 이유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22Ha)의 폭이 0.01mm 보다 작으면, 계지감(係止感)을 얻지 못하고, 즉, 오목부 또는 볼록부(22Ha)에 대해서 손가락(34)이 미끄러지지 않고 계지되지 않으며, 휴대기기(40)의 가동부(40b)를 슬라이드시킬 수가 없다. 한편, 오목부 또는 볼록부(22Ha)의 폭이 10mm를 넘으면, 키 입력을 저해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 오목부 또는 볼록부(22Ha)의 피치를 0.01~ 5mm로 하는 이유는, 피치가 0.01mm 보다 작은 경우에는, 계지감을 얻을 수 없는 한편, 피치가 5mm 보다 큰 경우에는, 키 입력을 저해하게 된다.
또, 슬라이드 계지부용의 볼록부(22H)의 다른 예로서, 도 16d에 나타내듯이, 원형도트 형상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22Hb)를 일정 간격마다 분산해 배치하는 경우에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22Hb)의 폭은 0.01~ 10mm, 인접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22Hb) 간의 피치는 0.01~ 5mm가 바람직하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22Hb)의 폭을 0.01~ 10mm로 하는 이유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22Hb)의 폭이 0.01mm 보다 작으면 계지감을 얻지 못하고, 즉, 오목부 또는 볼록부(22Hb)에 대해서 손가락(34)이 미끄러지지 않고 계지하지 못하며, 휴대기기(40)의 가동부(40b)를 슬라이드시킬 수가 없다. 한편, 오목부 또는 볼록부(22Hb)의 폭이 10mm를 넘으면, 키 입력을 저해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 오목부 또는 볼록부(22Hb)의 피치를 0.01~ 5mm로 하는 이유는, 피치가 0.01mm 보다 작은 경우에는, 계지감을 얻을 수 없는 한편, 피치가 5mm 보다 큰 경우에는, 키 입력을 저해하게 된다.
또, 디스플레이(20)의 일부가 상기한 볼록부(예를 들면, 22, 22B, 22E, 22F, 22G, 22H)에서 렌즈화하여 보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바꾸어 말하면, 볼록부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동시에, 디스플레이(20)의 화면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상기 볼록부(22, 22B, 22E, 22F, 22G, 22H)에 필러(충전제)를 각각 혼합해 빛을 산란시키도록 해도 좋다. 디스플레이(20)의 화면 부분에, 투명한 요철이 존재하면, 요철의 렌즈 효과에 의해, 화소가 확대되어 버려, 시인성을 해치는 경우가 있어, 이러한 불편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필러의 재질과 분산량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다. 예를 들면, 볼록부를 투명하게 하는 경우에는, 착색 필러는 없는 편이 좋다. 볼록부를 매트 상태로 하는 경 우에는, 필러로서는 글라스 비즈, 분산량은 1~ 80중량%가 좋다. 글라스 비즈의 첨가에 의해, 착색(유백색)과 렌즈효과 저감을 겸할 수가 있다. 볼록부를 흑색으로 하는 경우에는, 필러로서는 카본가루, 분산량은 1~ 80중량%가 좋다. 볼록부를 메탈릭으로 하는 경우에는, 필러로서는 알루미늄가루 또는 은가루, 분산량은 1~ 95중량%가 좋다. 각각의 필러의 분산량은, 하한치 미만에서는 필러의 혼입이 곤란한 한편, 상한치를 넘으면, 필러를 포함한 볼록부의 제조가 곤란하기 때문이다.
또, 상기 볼록부(예를 들면, 22, 22B, 22E, 22F, 22G, 22H)가 하드 코트층(24)으로부터 누락하지 않기 위한 조건으로서, 도 17a~ 도 17c에 나타내듯이, 어스펙트비(볼록부(22)의 높이 H/ 볼록부(22)의 직경 D 또는 볼록부(22S)의 폭 W)는 0.001~ 1이 바람직하다. 어스펙트비가 1을 넘으면, 쉐어 강도를 충분히 얻을 수 없는 한편, 어스펙트비가 0.001 미만에 볼록부를 형성하는 것은, 제조상 곤란하기 때문이다.
도 18에 나타내듯이, 미세 오목부의 다른 예로서 스피커홀(22L)로서 기능시키도록 해도 좋다. 즉, 스피커홀(22L)의 오목형상에 맞추어, 하드 코트층(24)에 반경화 상태의 하프 큐어 하드 코트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피커홀(22L)은, 미세 오목부의 저부가 없는 예로서 취급할 수가 있다.
또, 도 19a 및 도 19b는 각각,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와 관련된 상기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의 미세 볼록부(22J)를 카메라(39)의 렌즈로서 이용하는 경우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휴대기기의 카메라(39)의 광학계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의 하드 코트층(24)에 미세 볼록부(22J)를 형성해 배치한 다. 이러한 미세 볼록부(22J)를 휴대기기의 카메라(39)의 렌즈로서 사용하는 것으로, 저비용화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외측의 하드 코트층(24)의 표면에 카메라 렌즈용의 미세 볼록부(22J)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카메라 렌즈용의 미세 볼록부(22J)로서는, 원형 등이 있어서, 카메라 렌즈용의 미세 볼록부(22J)의 직경은 0.01~ 10mm가 바람직하다. 직경이 0.01mm 보다 작은 경우에는, 미세 볼록부(22J)로서의 렌즈 효과를 얻을 수 없는 한편, 직경이 10mm 보다 큰 경우에는, 미세 볼록부(22J)의 형성이 곤란하다.
또,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와 관련된 상기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의 미세 오목부(22K)를 카메라(39)의 렌즈의 흠집 방지에 이용하는 경우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미세 오목부(22K)를 휴대기기의 카메라(39)의 광학계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의 하드 코트층(24)에 형성해 배치하는 것에 의해, 카메라(39)의 광학계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의 보호패널 표면에 대해 흠집 방지를 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39)의 광학계 부분, 예를 들면, 카메라 렌즈의 외측의 하드 코트층(24)의 표면에 미세 오목부(22K)를 카메라 렌즈 흠집방지용으로서 형성하는 경우에는, 미세 오목부(22K)로서는, 원형 등이 있으며, 직경은 0.1~ 10mm가 바람직하다. 직경이 0.1mm 보다 작은 경우에는, 카메라 렌즈보다 작은 일부분만 흠집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직경이 10mm 보다 큰 경우에는, 흠집 방지성이 떨어진다.
상기 하드 코트층(24)의 두께는 7~ 50μm이다. 이 두께가 7μm보다 얇아지 면, 하드 코트막이 단번에 완전 경화까지 진행되어 버리는 우려가 있어서, 반경화 상태를 만드는 것이 어려워지는 한편, 이 두께가 50μm 보다 두꺼워지면, 투명성을 잃게 되거나 너무 딱딱해 입력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실용상의 관점으로부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드 코트층(24)의 두께는 7~ 30μm이다.
덧붙여,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 패널(1)을 휴대전화 등에 탑재하는 경우에, 표면의 내찰상성으로서, 연필 경도로 4H 이상이 요구되어, 약간 단단한 것으로 마찰하여도 흠이 생기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하드 코트막을 딱딱하게 하면 할수록, 휨에 약해져, 약간의 휨 응력으로, 크랙이 들어가는 문제가 있던, 예를 들면, 휴대전화용의 보호 패널의 경우, 스피커용의 구멍이나 로고 마크 등을 설치하기 위한 구멍 가공이 필요하게 되어, 드릴, 루터(router), 펀칭 등의 구멍 가공을 실시하면, 표면의 하드 코트에 부하가 걸려, 하드 코트층에 골이나 마이크로 크랙이 들어가는 우려가 있다. 그런데, 상기 하드 코트층(24)의 표면에 부분적인 미세 요철부를 마련하는 상기 각 예에 있어서는, 반경화 상태의 하드 코트막에 대해서 미세 요철부를 마련해, 완전 경화는 뒤로 미룰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드릴 가공, 루터 가공, 또는 펀칭 가공 등에서의 부하에 대해서도, 이러한 가공 후에 하드 코트막을 완전 경화하면, 하드 코트층(24)에 크랙 등이 들어가지 않고, 단면에 골이나 마이크로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종래, 상기 하드 코트층(24)의 두께가 7μm 미만인 경우, 반경화 상태를 만들기 위해 7μm 이상의 두꺼운 막이 되기 때문에, 펜 입력 등의 내찰상성이 뛰어나고, 연필 경도로 4H 이상의 경도를 갖는 하드 코트층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상부 전극 시트(2a)와 가식시트(2b)와 상기 하드 코트 필름(2c)은 첩합되어 일체가 되어, 가동 시트(2)를 구성하고 있다. 손가락이나 펜 등으로 상기 하드 코트 필름(2c) 표면을 누르면, 가동 시트(가요성 시트)(2)가 일체가 되어 아랫 방향으로 휘며, 그 결과, 상기 상부 전극 시트(2a) 및 하부 전극패널(3)의 내면에 형성된 각 투명 전극(4,5)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입력 위치가 검출된다. 첩합에 이용하는 접착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혹은, 폴리아미드계 수지, 염화비닐, 초산비닐, 혹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등을 사용하면 좋다. 접착층(5d)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스크린 인쇄, 오프셋 인쇄(offset printing), 그라비아 인쇄, 혹은, 플렉소(flexo) 인쇄 등의 통상 인쇄법 등을 이용하면 좋다.
이하에,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두께 0.1mm의 PET 필름의 일면에 두께 20 nm의 ITO 막을 스퍼터링에 의해 전면에 형성하고, ITO 막의 주변부분을 제거하여 폭이 넓은 직사각형 모양을 한 투명 전극으로 했다. 또, 투명 전극의 횡방향에 대향하는 2변에 배치되는 베이스바와 해당 베이스바로부터 각각 외부에 출력하기 위한 인회선을, 은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하여 형성하였다. 또, 종횡이 상기 PET 필름과 동일 치수로, 두께 0.7mm의 아크릴판을, 상기 PET 필름의 투명 전극을 형성한 면과는 반대면에 두께 0.025mm의 기재 레스(レス) 투명 점착제로 첩합한 후, 가장자리에 후술하는 핀부 FPC의 핀 축을 삽입하기 위한 직경 1mm의 관통공을 4개 드릴법에 의해 천공하여 설치해 하부 전극패널(3)을 얻는다.
또, 종횡이 하부 전극패널(3)과 동일 치수로 두께 190μm의 PET 필름을 이용하여, 그 일면에 두께 20nm의 ITO 막을 스퍼터링에 의해 전면에 형성해, ITO막의 주변부분을 제거해 폭이 넓은 직사각형 모양을 한 투명 전극으로 했다. 또, 투명 전극의 세로 방향으로 대향하는 두 변에 배치되는 베이스바와 해당 베이스바로부터 각각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인회선을, 은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해 형성하여 상부 전극 시트(2a)를 얻는다.
게다가, 종횡이 하부 전극패널와 동일 치수로, 두께 50μm의 PET 필름을 이용해, 그 일면에 투명창부를 갖는 가식층(17)을 그라비아 인쇄에 의해 형성해 가식시트(2b)를 얻었다.
게다가, 종횡이 하부 전극패널과 동일 치수로, 두께 125μm의 PET 필름을 이용해, 그 일면에 아크릴 아크릴레이트계의 광경화형 수지를 롤코터로 두께 15μm로 도포해, 온풍 및 UV 조사에 의해 건조, 반경화 상태의 하드 코트막을 형성했다. 그 다음에, 반경화 상태의 하드 코트막을 가열하면서, 엠보스형으로 틀대로 눌러, 상기 가식시트의 도안과 일치하도록 부분적으로 매트 상태로 해 매트부(21)를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가식시트(2b)의 가식층(17)측의 면을 상기 상부 전극 시트(2a)의 투명 전극측과는 반대면과, 또 상기 가식시트(2b)의 가식층(17)측과는 반대면을 상기 하드 코트막을 형성한 필름(23)의 하드 코트막측과는 반대면과, 각각 두께 0.025mm의 투명 점착제로 첩합시켜 가동 시트를 얻었다.
그 후, 상기 하부 전극패널(3)과 상기 상부 전극 시트(2a)를, 각각 형성된 전극간을 멀리하도록 대향 배치시켜, 투명창부분 및 전 각 접속 홀을 구멍뚫은 액자 모양의 양면 접착 테이프에 의해 첩합시켜, 가식층(17)의 안쪽 주변부에 따라 절단했다.
다음으로, UV 조사에 의해 반경화 상태의 하드 코트막을 완전 경화하여 하드 코트층(24)을 형성했다.
그 후, 상기 하부 전극패널(3)에 천공되어 설치된 관통공에 도전성 접착제의 잉크를 디스펜서에 의해 주입한 후, 핀부 FPC(10)의 금속 핀을 관통공의 입구에 인접시켜, 초음파 인서트 장치에 의해 상기 금속핀의 머리 부분에 초음파 진동과 압력을 가하면서 상기 금속 핀의 축부를 상기 관통공에 압입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금속 핀의 각 축부를 상기 하부 전극패널(3)에 천공설치된 관통공의 벽면을 형성하고 있는 수지를 녹이면서 삽입해, 보호패널(1)을 얻었다.
상기 보호패널(11)은, 휴대전화기 등의 전자기기의 표시창에 있어서의 터치 입력이 가능해, 게다가 투명창부(18)의 주위를 은폐하는 도안이 매트조(調)이기 때문에, 종래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에는 없는 고급감이나 촉감을 갖는 것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반경화 상태의 하드 코트막을 부분적으로 매트 상태로 한 후,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의 UV 잉크를 디스펜서에 의해 도포해, 미세 요철부, 예를 들면, 홈 포지션용의 볼록부(범프)(22A)를 형성했다. 이 볼록부(범 프)(22A)는, 상기 하드 코트막을 완전 경화시킬 때의 UV 조사에 의해 함께 경화시켰다. 그 외는 실시예 1과 같다.
이 보호패널은, 실시예 1의 효과 외에, 블라인드 터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덧붙여, 상기 여러가지 실시 형태 중 임의의 실시 형태를 적당히 조합하는 것에 의해, 각각이 갖는 효과를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은, PDA, 핸디 터미널 등 휴대 정보 단말, 복사기, 팩시밀리 등 OA 기기, 스마트 폰, 휴대전화기, 카메라, 휴대 게임기기, 전자 사전, 카네비게이션시스템, 소형 PC, 각종 가전 제품 등의 용도에 이용할 수가 있어서,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설치된 미세 요철부를, 홈 포지션용, 확정 키에 대한 확실한 입력용, 오입력 방지용, 스크롤바부용, 휴대기기의 슬라이드 오픈 조작용, 카메라의 렌즈용, 또는 카메라의 렌즈 흠집 방지용 등 여러가지 기능을 용도에 응해 부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련해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여러 가지의 변형이나 수정은 명백하다.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은, 청구의 범위에 의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그 중에 포함된다고 이해되어야 하는 것이다.

Claims (12)

  1. 비가요성의 보호 패널 본체의 윗 표면에, 하부 투명 전극(5)을 가짐과 동시에 해당 하부 투명 전극의 주위에 설치된 하부 회로(7a, 7b)를 갖는 하부 전극 패널(3)과,
    가요성의 투명 절연 필름의 아랫 표면에, 상기 하부 투명 전극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상부 투명 전극(4)을 가짐과 동시에 해당 상부 투명 전극의 주위에 설치된 상부 회로(6a~ 6d, 7c, 7d)를 갖고, 상기 하부 전극 패널과 전극간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주변부에서 접착된 상부 전극 시트(2a)와,
    가요성의 투명 절연 필름의 적어도 한편의 면에, 상기 하부 회로 및 상기 상부 회로를 은폐하는 은폐부(17a)와 상기 은폐부에 의해 둘러싸여진 투명창부(18)를 갖는 가식층(17)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 전극 시트의 윗 표면에 첩합된 가식시트(2b)와,
    가요성의 투명 절연 필름(23)의 윗 표면에 하드 코트층(24)이 설치되어, 상기 가식시트의 윗 표면에 상기 투명 절연 필름(23)의 아랫 표면이 첩합된 하드코트필름(2c)과,
    상기 하드코트층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설치된 미세 요철부(21,22)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요철부가,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을 매트 상태로 한 매트부(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요철부가,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형성된 홈 포지션용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요철부가,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형성된 확정 키용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22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요철부가,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형성된 오입력 방지용의 오목부(22C, 22D, 22E, 22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 능부착 보호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요철부가,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형성된 스크롤바부용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2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요철부가,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형성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 오픈 조작용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22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요철부가,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형성된 카메라의 렌즈용의 돌기(22J)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요철부가,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형성된 카메라의 렌즈 흠집 방지용의 오목부(22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트층의 막두께가 7μm ~ 50μ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트층의 표면이 상기 케이싱의 표면(19c)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개구(19b)를 갖는 케이싱(19)의 패널감입부(19a)에 끼워 넣어 보관 유지 가능하게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투명창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그 아래 쪽에 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20)를 보호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 능부착 보호 패널의 외측의 표면인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이 케이싱의 표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개구(19b)를 갖는 상기 케이싱(19)의 패널감입부(19a)에 끼워 넣어 보관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싱의 상기 개구 및 상기 보호 패널의 상기 투명창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그 아래 쪽에 배치된 디스플레이(20)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97017821A 2007-03-09 2008-03-07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 KR201000148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61105 2007-03-09
JP2007061105 2007-03-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857A true KR20100014857A (ko) 2010-02-11

Family

ID=39759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821A KR20100014857A (ko) 2007-03-09 2008-03-07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013786A1 (ko)
EP (1) EP2124137A4 (ko)
JP (1) JPWO2008111505A1 (ko)
KR (1) KR20100014857A (ko)
CN (1) CN101632058A (ko)
TW (1) TW200847777A (ko)
WO (1) WO200811150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625B1 (ko) * 2010-08-13 2012-05-16 주식회사 제이앤티에스 요철 장식부를 갖는 터치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US9688051B2 (en) 2013-07-17 2017-06-27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membe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6374A (zh) * 2009-03-17 2012-02-15 日本电气株式会社 便携式电子设备的输入装置、其控制方法及程序
WO2011067786A1 (en) * 2009-12-02 2011-06-09 Iyer Vandana S An electronic device for written examination and a method thereof
CN102667695B (zh) 2009-12-22 2013-09-18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触摸面板以及利用该触摸面板的便携设备
JP5509866B2 (ja) * 2010-01-20 2014-06-04 日本電気株式会社 皮膚模様画像採取装置、採取方法、皮膚模様照合システム
US9535500B2 (en) * 2010-03-01 2017-01-03 Blackberry Limited Method of providing tactile feedback and apparatus
KR101067164B1 (ko) * 2010-05-03 2011-09-22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TWI456443B (zh) * 2010-06-07 2014-10-11 Wintek Corp 觸控裝置及觸控顯示裝置
JP5533364B2 (ja) * 2010-07-06 2014-06-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JP5541513B2 (ja) * 2010-08-09 2014-07-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153389B1 (ko) * 2010-09-27 2012-06-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어셈블리
KR20120038823A (ko) * 2010-10-14 2012-04-24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
TW201224875A (en) * 2010-12-03 2012-06-16 jian-xian Yu Re-attachable touch input device
TWI412826B (zh) * 2010-12-31 2013-10-21 Dongguan Masstop Liquid Crystal Display Co Ltd 觸控面板
CN107577368A (zh) * 2011-03-03 2018-01-12 宸鸿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感测装置
JP5066272B2 (ja) 2011-03-29 2012-11-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097840B2 (ja) * 2011-03-29 2012-12-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902351A (zh) * 2011-07-25 2013-01-30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触摸式电子装置
JP2013152562A (ja) * 2012-01-24 2013-08-08 Japan Display West Co Ltd 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表示装置、ならびに電子機器
JP6170280B2 (ja) * 2012-04-09 2017-07-2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タッチ入力装置
JP2013218645A (ja) * 2012-04-12 2013-10-24 Sharp Corp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KR20150031445A (ko) * 2012-06-28 2015-03-24 블랙베리 리미티드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 및 방법
JP5912985B2 (ja) * 2012-08-09 2016-04-27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40055731A1 (en) * 2012-08-23 2014-02-27 Microsoft Corporation Integrated force localizer and digitizer and/or lcd drive for cholesteric liquid crystal display
US20150187707A1 (en) * 2012-10-14 2015-07-02 Synaptics Incorporated Biometric Image Sensor Packaging and Mounting
KR101476893B1 (ko) * 2012-11-29 2014-1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스크래치 방지 필름
JP6013202B2 (ja) * 2013-01-15 2016-10-25 株式会社ダイセル 触感改良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9235299B2 (en) * 2013-02-06 2016-01-1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Touch sensitive surface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false touch protection
TW201447668A (zh) * 2013-06-14 2014-12-16 Wintek Corp 裝飾蓋板及其觸控面板
KR20150092725A (ko) * 2014-02-05 2015-08-13 (주)삼원에스티 전자기기용 투명커버
JP2016062204A (ja) * 2014-09-17 2016-04-25 アルパイン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
KR102320640B1 (ko) * 2015-04-29 2021-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407539B1 (ko) * 2015-08-26 2022-06-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하드코팅층,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T518250B1 (de) * 2016-03-17 2017-09-15 Bernecker + Rainer Industrie-Elektronik Ges M B H Touchscreen
US11419231B1 (en) 2016-09-22 2022-08-16 Apple Inc. Forming glass covers for electronic devices
US10800141B2 (en) 2016-09-23 2020-10-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glass component with crack hindering internal stress regions
US11535551B2 (en) 2016-09-23 2022-12-27 Apple Inc. Thermoformed cover glass for an electronic device
US11565506B2 (en) 2016-09-23 2023-01-31 Apple Inc. Thermoformed cover glass for an electronic device
JP7003877B2 (ja) 2018-08-23 2022-01-2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入力装置
US11420900B2 (en) 2018-09-26 2022-08-23 Apple Inc. Localized control of bulk material properties
CN110134288A (zh) * 2019-05-31 2019-08-16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触控面板、应用其的触控显示模组及触控面板的制作方法
US11680010B2 (en) 2019-07-09 2023-06-20 Apple Inc. Evaluation of transparent components for electronic devices
US11460892B2 (en) * 2020-03-28 2022-10-04 Apple Inc. Glass cover member for an electronic device enclosure
CN113453458B (zh) 2020-03-28 2023-01-31 苹果公司 用于电子设备壳体的玻璃覆盖构件
US11666273B2 (en) 2020-05-20 2023-06-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enclosure including a glass ceramic region
CN116783152A (zh) 2020-12-23 2023-09-19 苹果公司 用于电子设备的透明部件的基于激光的切割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9623A (ja) * 1994-05-25 1995-12-08 Canon Inc タッチパネル型液晶ディスプレイ
JPH08249103A (ja) * 1995-03-09 1996-09-27 Oki Electric Ind Co Ltd 座標入力装置
US6498601B1 (en) * 1999-11-29 2002-12-24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input modes on a palmtop computer
JP2005301322A (ja) * 2002-02-07 2005-10-27 Kathenas Inc 入力装置、携帯電話機及び携帯情報機器
JP2003281959A (ja) * 2002-03-25 2003-10-03 Toyota Motor Corp 入力装置
US7352355B2 (en) * 2002-10-28 2008-04-01 Delphi Technologies, Inc. Transparent overlay input device
KR100543285B1 (ko) * 2002-11-15 2006-01-20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터치패널용 광투과성 경질 피복 필름
US20060046031A1 (en) * 2002-12-04 2006-03-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Graphic user interface having touch detectability
JP2004227222A (ja) * 2003-01-22 2004-08-12 Toshiba Corp 電子機器
US7554624B2 (en) * 2003-12-26 2009-06-30 Nissha Printing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protection panel, protection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protection panels
JP2006127170A (ja) * 2004-10-29 2006-05-18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情報端末入力システム
CN101238244B (zh) 2005-01-24 2011-03-30 株式会社昭和 采用阳极电解氧化处理的结晶性氧化钛被膜的制造方法
JP4572696B2 (ja) * 2005-02-17 2010-11-04 ソニー株式会社 制御信号入力システム、制御信号入力方法。
JP2006293945A (ja) * 2005-04-15 2006-10-26 Sony Corp 入力装置、入力装置の形成方法および機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625B1 (ko) * 2010-08-13 2012-05-16 주식회사 제이앤티에스 요철 장식부를 갖는 터치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US9688051B2 (en) 2013-07-17 2017-06-27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membe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47777A (en) 2008-12-01
US20100013786A1 (en) 2010-01-21
CN101632058A (zh) 2010-01-20
EP2124137A4 (en) 2012-10-10
WO2008111505A1 (ja) 2008-09-18
EP2124137A1 (en) 2009-11-25
JPWO2008111505A1 (ja)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4857A (ko)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
CN102265249B (zh) 电子设备显示窗的带触摸输入功能的保护面板及其制造方法
JP4729560B2 (ja) タッチパネルユニット
JP5364384B2 (ja) 電子機器表示窓のタッチ入力機能付き保護パネル及び電子機器
TWI474249B (zh) 具備觸控輸入功能的保護面板
US8427820B2 (en) Protective panel with touch input function superior in surface flatness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protective panel
EP2182425A1 (en) Protection panel with touch input func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protection panel
TWI765870B (zh) 薄膜及其製造方法、包含該薄膜的電性作用件及其製造方法
KR101334532B1 (ko) 터치 입력 디바이스 및 전자기기
JP4616251B2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表示窓の保護パネル
JP4753918B2 (ja) アナログ抵抗膜方式のタッチ入力機能を備えた保護パネル
US20160239121A1 (en) Curved capacitive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047279B2 (ja) 静電容量センサ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113373A (ja) 保護パネル付き電子機器、及び、保護パネル
KR20080089205A (ko) 터치 패널
JP2008287670A (ja) 電子機器表示窓のタッチ入力機能付き保護パネル
JP4908280B2 (ja) 導光板の製造方法
US20220184868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ous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housing
EP3293568A1 (en) Display device having detachable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9288902A (ja) タッ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