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4556A - 높은 투과성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높은 투과성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4556A
KR20100014556A KR1020097019919A KR20097019919A KR20100014556A KR 20100014556 A KR20100014556 A KR 20100014556A KR 1020097019919 A KR1020097019919 A KR 1020097019919A KR 20097019919 A KR20097019919 A KR 20097019919A KR 20100014556 A KR20100014556 A KR 20100014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erabsorbent polymer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
borate
inorganic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9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2310B1 (ko
Inventor
스콧 제이. 스미스
스탠 매킨토시
데이비드 엘. 버먼
Original Assignee
에보닉 스톡하우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보닉 스톡하우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보닉 스톡하우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14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16Solid 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08J3/245Differential crosslinking of one polymer with one crosslinking type, e.g. surface crosslin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0Liquid-swellable gel-forming materials, e.g. super-ab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성 그룹들을 갖는 부분적으로 중화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기재로 하고, 흡수성의 가교결합된 중합체는 중합체 코팅제로 코팅될 수 있으며, 특히, 팽윤된 상태에서 액체 수송에 대한 용량에 대하여 개선된 특성을 가지며, 높은 용량 및 높은 겔 베드 투과율을 갖는, 흡수성의 가교결합된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1020097019919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수불용성 무기 금속염, 중합체 코팅제

Description

높은 투과성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High permeability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s}
초흡수성 재료는 일반적으로, 물 중의 0.9중량%의 염화나트륨 용액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자체 중량의 약 10배 이상, 자체 중량의 약 30배 이하로 흡수할 수 있는 수팽윤성이고 수불용성인 재료를 말한다. 본 발명은 물, 수성 액체 및 혈액을 흡수하는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초흡수성 중합체는, 팽윤 및 하이드로겔의 형성을 동반하여, 다량의 수성 액체 및 체액, 예를 들면, 소변 또는 혈액을 흡수할 수 있고, 초흡수성 재료의 일반적인 정의에 따라 소정의 압력하에서 이들을 보유할 수 있는, 가교결합된 부분적으로 중화된 중합체이다.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은 초흡수성 중합체의 후처리, 예를 들면, 표면 가교결합, 표면 처리 및 기타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는 초흡수성 중합체의 입자 또는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입자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두문자어 SAP가 초흡수성 중합체,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및 입자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초흡수성 중합체 및 이들의 용도 및 제조에 관한 종합적인 조사가 문헌[F. L. Buchholz and A. T. Graham (editors) in "Modern Superabsorbent Polymer Technology," Wiley-VCH, New York, 1998]에 제공되어 있 다.
구매 가능한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은, 몇 개의 카복실 그룹이 수산화나트륨 용액 또는 수산화칼륨 용액에 의해 중화된,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산 또는 가교결합된 전분-아크릴산 그래프트 중합체를 포함한다.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주요 용도는, 위생 제품, 예를 들면, 아기용 기저귀, 요실금용 제품 또는 생리대에서의 용도이다.
착용감, 편안함 및 미용상의 이유로, 및 환경상의 측면에서, 위생 제품을 더욱 작고 더욱 얇게 만들려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이들 제품에서 높은 용적의 플러프(fluff) 섬유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되고 있다. 위생 제품에서 체액의 일정한 총 체류 용량(retention capacity)을 확보하기 위해, 더욱 초흡수성인 중합체 내용물이 이들 위생 제품에서 사용되고 있다.
투과율은 다공성 구조물(이는 섬유의 매트이거나, 발포체의 슬래브(slab)이거나, 이 경우에는 가교결합된 중합체이다)의 효과적인 연결성(connectedness)의 척도이며,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공극 분율 및 연결성의 범위의 관점에서 규정될 수 있다. 겔 투과율은 전체로서 입자들의 집단(mass)에 관한 특성이며, 입자 크기 분포, 입자 형상 및 입자들 사이의 개구부의 연결성, 전단 모듈러스, 및 팽윤된 겔의 표면 개질에 관련된다. 실무 용어에서,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겔 투과율은, 팽윤된 입자들의 집단을 통하여 액체가 급속히 유동하는 정도 척도이다. 낮은 겔 투과율은 액체가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을 통하여 용이하게 유동할 수 없다는 것(이를 일반적으로 겔 블로킹이라 함)과, 액체의 임의의 강제적인 유동(예를 들면, 기저귀를 사용하는 동안에 소변의 2번째 적용)이 대체 경로(예를 들면, 기저귀 누설)를 취해야 함을 지칭한다.
낮은 섬유 함량을 갖는 초박형 기저귀에서 투과율을 증가시키는 한 가지 방법은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가교결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초흡수성 중합체의 가교결합이 증가되는 경우,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흡수값 및 체류값은 원치 않게 낮은 수준으로 감소된다.
무하중(no load)하에 유체를 보유하는 높은 흡수능(absorption capacity), 가압하에 유체를 보유하는 높은 흡수능, 및 개선된 겔 베드 투과율을 포함한 개선된 응용 특성을 갖는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양태는, 무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2중량%의 무기 금속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를 포함하고, 원심분리기 체류 용량(centrifuge retention capacity)이 약 30g/g 이상이고, 자유 팽윤 겔 베드 투과율 시험(Free Swell Gel Bed Permeability Test)에 의해 측정된 자유 팽윤 겔 베드 투과율이 약 10Darcy 이상을 나타내는, 높은 투과율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을 적어도 포함한다.
추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a)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를 공급하는 단계; (b) 제1 무기 금속염의 제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b)의 제1 용액에 제2 무기 금속염의 제2 용액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용액 및 제2 용액이 혼합시에 반응하여 제3 수불용성 금속염을 침강시켜, 수불용성 금속염 슬러리를 형성시키는 단계; (d) 상기 수불용성 금속염 슬러리의 금속을 더 높은 원자가 상태로 임의로 산화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수불용성 금속염 슬러리를 분리시키고 건조시키지 않고, 상기 수불용성 금속염 슬러리를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분된 수불용성 무기 금속염에 의해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를 처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추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a)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를 공급하는 단계; (b) 제1 무기 금속염의 제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제2 무기 금속염의 제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제1 용액 및 제2 용액을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에 도포하여,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의 표면 위에 직접 또는 상기 표면 부근에 수불용성 무기 금속염 침전물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분된 수불용성 무기 금속염에 의해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를 처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 많은 다른 특징 및 이점이 하기 설명으로부터 나타날 것이다. 하기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관하여 기술한다. 이러한 양태들은 본 발명의 전체 범위를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체 범위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본 명세서의 청구항을 참고하여야 한다. 간략함 및 간결함의 이익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기재되는 임의의 범위의 값들은 이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고려하며, 문제로 되어 있는 규정된 범위 내의 실수값들인 종점들을 갖는 임의의 하위-범위들을 기재하는 청구항을 뒷받침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가설상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1 내지 5 범위의 본 명세서의 개시 내용이 하기 범위들 중 임의의 것에 대하여 청구항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고려될 것이다: 1-5; 1-4; 1-3; 1-2; 2-5; 2-4; 2-3; 3-5; 3-4; 및 4-5.
추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을 함유할 수 있는 흡수제 조성물 또는 위생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 측면 및 이점이 하기 설명, 첨부되는 청구항 및 부수되는 도면에 의해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자유 팽윤 겔 베드 투과율 시험에 사용되는 시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유 팽윤 겔 베드 투과율 시험 장치에 사용되는 실린더/컵 조립체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자유 팽윤 겔 베드 투과율 시험 장치에 사용되는 플런저의 상면도이다.
도 4는 하중 하 흡수성 시험(Absorbency Under Load Test)에 사용되는 시험 장치의 측면도이다.
정의
주목해야 할 것은, 본 개시 내용에 사용되는 경우,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는" 및 기본형 "포함하다"의 다른 파생어는 임의의 기술된 특징, 요소, 완전품, 단계 또는 성분의 존재를 규정하는 개방형(open-ended) 용어인 것으로 의도되며,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요소, 완전품, 단계, 성분 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시키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용어 "흡수 제품"은 일반적으로 유체를 흡수하고 함유할 수 있는 고안품을 말한다. 예를 들면, 개인 위생용 흡수 제품은 피부에 닿거나 가까이에 위치시켜, 몸에서 방출되는 각종 유체를 흡수하고 함유하는 고안품을 말한다.
용어 "일회용"은 본 명세서에서 1회 사용 후에 흡수 제품으로서 세탁되거나 달리 복구시키거나 재사용하지 않으려는 흡수 제품을 기술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일회용 흡수 제품의 예에는 개인 위생용 흡수 제품, 건강/의료용 흡수 제품 및 가정/산업용 흡수 제품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초흡수성 중합체에 관련하여 사용되는 용어 "가교결합된"은 정상적으로는 수용성인 물질을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지만 팽윤 가능하게 하기 위한 효과적인 임의의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가교결합 방법에는, 예를 들면, 물리적 개입(physical entanglement), 결정 영역(crystalline domain), 공유 결합, 이온 착물 및 회합, 친수성 회합, 예를 들면, 수소 결합, 소수성 회합 또는 반데르발스힘이 포함될 수 있다.
용어 "Darcy"는 투과율의 CGS 단위이다. 1Darcy란, 고체의 2개 면 사이의 압력차가 1기압일 경우, 점도 1cP의 1㎤의 유체가 두께 1cm, 단면적 1㎠의 단면을 통하여 1초에 유동하는 고체의 투과율이다. 결국 투과율은 면적과 동일한 단위를 갖게 되는데, 투과율의 SI 단위가 없기 때문에, ㎡가 사용된다. 1Darcy는 약 0.98692×10-12㎡ 또는 약 0.98692×10-8㎠와 동일하다.
용어 "무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약 10% 미만의 수분을 갖는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을 말한다.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입자의 소정의 샘플의 "질량 중간 입자 크기(mass median particle size)"라는 용어는 질량 기준으로 샘플을 절반으로 나누는 입자 크기로 정의되며, 즉 중량 기준으로 샘플의 절반은 질량 중간 입자 크기 초과의 입자 크기를 갖고, 질량 기준으로 샘플의 절반은 질량 중간 입자 크기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중량 기준으로 샘플의 1/2가 2마이크론 초과로 측정되는 경우,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입자의 샘플의 질량 중간 입자 크기는 2마이크론이다.
용어 "입자(particle)" 및 "미립자(particulate)" 등은, 용어 "초흡수성 중합체"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개별 유닛의 형태를 말한다. 이들 단위는 플레이크, 섬유, 응집체, 과립, 분말, 구 또는 분쇄형(pulverized) 재료 등, 및 이들의 조합도 포함할 수 있다. 입자는, 예를 들면, 입방형, 봉상, 다각형, 구형 또는 반구형, 원형 또는 반원형, 각형, 불규칙형 등의 임의의 원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늘, 플레이크 및 섬유와 같이 높은 종횡비를 갖는 형상 또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용어 "입자(particle)" 또는 "미립자(particulate)"는 또한 하나 초과의 개개의 입자 또는 미립자 등을 포함하는 응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입자, 미립자, 또는 임의의 원하는 이들의 응집체는 하나를 초과하는 많은 유형의 물질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어 "중합체"에는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예를 들면, 블록, 그래프트, 랜덤 및 교호 공중합체, 3원중합체 등, 및 이들의 혼합물 및 개질물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달리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 한, 용어 "중합체"는 당해 물질의 모든 가능한 배위 이성체를 포함할 것이다. 이들 배위에는, 아아이소택틱, 신디오택틱 및 어택틱 대칭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폴리올레핀"에는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스티렌 및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등과 같은 재료, 이들의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3원중합체 등, 및 이들의 블렌드 및 개질물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 "폴리올레핀"은 이의 모든 가능한 구조를 포함할 것이며, 이러한 구조에는 아이소택틱, 신디오택틱 및 랜덤 대칭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공중합체에는 어택틱 및 블록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용어 "초흡수성 재료"는 0.9중량%의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가장 유리한 조건하에, 자체 중량의 약 10배 이상 또는 자체 중량의 약 15배 이상 또는 자체 중량의 약 25배 이상 흡수할 수 있는 초흡수성 중합체 및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팽윤성이고 수불용성인 유기 또는 무기 재료를 말한다.
용어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라 표면 첨가제를 포함하는 초흡수성 중합체를 말한다.
용어 "초흡수성 중합체" 및 "초흡수성 중합체 전구생성물(preproduct)"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초흡수성 중합체를 제조하는 모든 단계들을 수행하고(당해 물질을 건조시키는 단계까지 포함한다), 분쇄기에서 조분쇄(coarse grinding)함으로써 생성되는 물질을 말한다. 용어 "전구생성물 미분말(preproduct fine)"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초흡수성 중합체를 제조하는 모든 단계들을 수행하고(당해 물질을 건조 시키는 단계까지 포함한다), 분쇄기에서 조분쇄하고, 약 150마이크론 초과의 입자를 제거함으로써 생성되는 물질을 말한다.
용어 "표면 가교결합"은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의 표면 부근에서의 관능성 가교결합의 수준이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의 내부에서의 관능성 가교결합 수준보다 높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표면"은 입자에서 외부에 접하는 경계를 기술한다. 다공성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에 대해서는, 노출된 내부 표면이 또한 표면의 정의에 포함된다.
용어 "열가소성"은 열에 노출될 때 연화되고, 실온으로 냉각되는 경우 비-연화된 상태로 실질적으로 되돌아오는 물질을 기술한다.
용어 "%중량"는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성분을 말할 때, 본 명세서에서 달리 규정되지 않는 한, 무수 초흡수성 중합체의 중량에 기초한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이들 용어는 본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추가의 언어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는, 무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2중량%의 무기 금속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를 포함하고, 원심분리기 체류 용량이 약 30g/g 이상이고, 자유 팽윤 겔 베드 투과율 시험에 의해 측정된 자유 팽윤 겔 베드 투과율이 약 10Darcy 이상을 나타내는, 높은 투과율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을 적어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고흡수능의 초흡수성(high-capacity superabsorbent) 중합체 조성물로서,
초흡수성 중합체로,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약 55 내지 약 99.9중량%의 중합가능한 불포화 산 그룹 함유 단량체(a) 및 상기 중합가능한 불포화 산 그룹 함유 단량체를 기준으로 하여 약 0.001 내지 약 5중량%의 내부 가교결합제(b)를 포함하는 초흡수성 중합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가 약 25%를 초과하는 중화도를 갖고, 성분(a) 및 성분(b)가 중합되어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로 제조되며;
표면 처리된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1 내지 약 5중량%의 표면 가교결합제(i),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2중량%의 수불용성 무기 금속 화합물(ii) 및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 내지 약 5중량%의 중합체 코팅제(iii)인 표면 첨가제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a)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를 공급하는 단계; (b) 제1 무기 금속염의 제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b)의 제1 용액에 제2 무기 금속염의 제2 용액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용액 및 제2 용액이 혼합시에 반응하여 제3 수불용성 금속염을 침강시켜, 수불용성 금속염 슬러리를 형성시키는 단계; (d) 상기 수불용성 금속염 슬러리의 금속을 더 높은 원자가 상태로 임의로 산화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수불용성 금속염 슬러리를 분리시키고 건조시키지 않고, 상기 수불용성 금속염 슬러리를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분된 수불용성 무기 금속염에 의해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를 처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a)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를 공급하는 단계; (b) 제1 무기 금속염의 제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제2 무기 금속염의 제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제1 용액 및 제2 용액을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에 도포하여,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의 표면 위에 직접 또는 상기 표면 부근에 수불용성 무기 금속염 침전물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분된 수불용성 무기 금속염에 의해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를 처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서 기술되는 초흡수성 중합체는,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약 55 내지 약 99.9중량%의 중합가능한 불포화 산 그룹 함유 단량체의 초기 중합에 의해 수득된다. 적합한 단량체에는 카복실 그룹,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설폰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임의의 것들이 포함된다. 상기 산 그룹의 약 50중량% 이상이 카복실 그룹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산 그룹의 약 75중량% 이상이 카복실 그룹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산 그룹은 약 25mol% 이상의 범위까지 중화되며, 즉, 상기 산 그룹은 바람직하게는 나트륨염, 칼륨염 또는 암모늄염으로서 존재한다. 몇 가지 측면에서, 중화의 정도는 약 50mol% 이상일 수 있다. 몇 가지 측면에서, 내부 가교결합제의 존재하에서, 카복실 그룹이 약 50 내지 약 80mol%의 범위까지 중화되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중합에 의해 수득되는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몇 가지 측면에서,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와 공중합될 수 있는 적합한 단량체에는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또는 아크릴아미도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가 포함될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단량체는 공중합된 단량체의 0 내지 약 40중량% 범위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흡수성 중합체는 또한 내부 가교결합제를 포함한다. 내부 가교결합제는 2개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거나, 1개의 에틸렌계 불포화 이중 결합과 중합가능한 불포화 산 그룹 함유 단량체의 산 그룹과 반응성인 1개의 관능성 그룹을 갖거나, 산 그룹과 반응성인 몇 개의 관능성 그룹을 갖고, 당해 내부 가교 결합제는 내부 가교결합제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중합가능한 불포화 산 그룹 함유 단량체의 중합 과정에서 존재한다.
내부 가교결합제의 예에는 지방족 불포화 아미드, 예를 들면, 메틸렌비스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아미드 또는 에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폴리올 또는 알콕실화 폴리올의 에틸렌계 불포화 산과의 지방족 에스테르, 예를 들면, 부탄디올이나 에틸렌 글리콜, 폴리글리콜이나 트리메틸롤프로판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약 1 내지 약 30mol의 알킬렌 옥사이드로 옥시알킬화, 바람직하게는 에톡시화될 수 있는 트리메틸롤프로판의, 디- 및 트리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글리세롤 및 펜타에리트리톨,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30mol의 에틸렌 옥사이드로 옥시에틸화된 글리세롤 및 펜타에리트리톨의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테르; 알릴 화합물, 예를 들면, 알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30mol의 에틸렌 옥사이드와 반응하는 알콕실화 알릴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말레산 디알릴 에스테르, 폴리-알릴 에스테르, 테트라알릴옥시에탄, 트리알릴아민, 테트라알릴에틸렌디아민, 디올, 폴리올, 하이드록시 알릴 또는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인산 또는 아인산의 알릴 에스테르; 및 가교결합할 수 있는 단량체, 예를 들면, 불포화 아미드의 N-메틸롤 화합물, 예를 들면, 메타크릴아미드 또는 아크릴아미드의 N-메틸롤 화합물, 및 이들로부터 유래되는 에테르가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가 금속염과 같은 이온 가교결합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언급된 가교결합제의 혼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내부 가교결합제의 함량은, 중합가능한 불포화 산 그룹 함유 단량체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1 내지 약 5중량%, 예를 들면, 약 0.2 내지 약 3중량%이다.
몇 가지 측면에서, 자유-라디칼 중합의 개시를 위한 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개시제에는, 아조 또는 페록소 화합물, 레독스계 또는 UV 개시제, 증감제(sensitizer) 및/또는 방사선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중합 후에, 초흡수성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입자로 형성된다. 이어서,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는 표면 가교결합제의 첨가에 의한 중합 및 열처리 후에 표면 가교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표면 가교결합은 입자 내부의 가교결합 밀도에 대하여, 초흡수성 입자 표면의 부근에서 중합체 매질의 가교결합 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사료되는 과정이다.
몇 가지 특정 측면에서, 바람직한 표면 가교결합제에는 중합체 쇄들의 펜던트 그룹과 반응하는 하나 이상의 관능성 그룹, 통상적으로는 산 그룹을 갖는 화학물질이 포함된다. 표면 가교결합제는 무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약 0.001 내지 약 5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무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 내지 약 3중량%, 예를 들면, 약 0.1 내지 약 1중량%이다. 발명자들은 표면 가교결합제 첨가 후의 열처리 단계가 바람직함을 알아내었다.
하나의 특정 측면에서, 미립자 초흡수성 중합체가 알킬렌 카보네이트로 코팅되거나 표면 처리되고, 이어서, 가열하여 표면 가교결합을 수행하는데, 이는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의 표면 가교결합 밀도 및 겔 강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면 가교결합제는 중합체 미립자를 알킬렌 카보네이트 표면 가교결합제의 수성 알코올 용액과 혼합함으로써, 초흡수성 중합체 미립자 상으로 코팅된다. 알코올의 양은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용해도에 의해 결정되며, 다양한 이유로 가능한 한 낮게 유지된다. 적합한 알코올은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탄올, 부탄올, 부틸 글리콜, 및 이들 알코올의 혼합물이다. 몇 가지 측면에서,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이며, 통상적으로 무수 초흡수성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3 내지 약 5.0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다른 측면에서, 알킬렌 카보네이트 표면 가교결합제가 어떠한 알코올도 함유하지 않는 물에 용해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알킬렌 카보네이트 표면 가교결합제는, 예를 들면, 무기 담체 재료(예를 들면, 이산화실리콘(SiO2))와의 분말 혼합물로 도포될 수도 있거나,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승화에 의해 증기 상태로 도포될 수도 있다.
원하는 표면 가교결합 특성을 얻기 위해, 알킬렌 카보네이트가 미립자 초흡수성 중합체 상에 골고루 분포된다. 이를 위해, 혼합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적합한 혼합기, 예를 들면, 유동상 혼합기, 패들 혼합기, 회전 드럼 혼합기 또는 트윈-웜(twin-worm) 혼합기에서 수행된다. 또한, 미립자 초흡수성 중합체의 제조시에 공정 단계 중 한 단계 동안에 미립자 초흡수성 중합체의 코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의 특정 측면에서, 이를 위한 적합한 공정은 역상 현탁 중합(inverse suspension polymerization) 공정이다.
열처리는 코팅 처리 후에 수행할 수 있는데, 하기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열처리는 약 100 내지 약 300℃의 온도이다. 매우 반응성인 에폭사이드 가교결합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보다 낮은 온도가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알킬렌 카보네이트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열처리가 적합하게는 약 150 내지 약 250℃의 온도이다. 이러한 특정 측면에서, 처리 온도는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체류 시간 및 종류에 좌우된다. 예를 들면, 약 150℃의 온도에서는, 열처리가 1시간 이상 동안 수행된다. 반면, 약 250℃의 온도에서는, 수 분(예를 들면, 약 0.5분 내지 5분)이면 원하는 표면 가교결합 특성을 얻기에 충분하다. 열처리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의 건조기 또는 오븐에서 수행될 수 있다.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물리적 형태의 예로서 입자가 사용될 수 있지만, 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섬유, 발포체, 필름, 비즈 및 막대 등과 같은 다른 형태로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측면에서,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이 입자로서 또는 과립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 이들 입자는 초흡수제 산업에서 공지된 씨빙(sieving) 공정에 기초하여 약 150 내지 약 850㎛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몇 가지 측면에서, 본 발명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은 무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 내지 약 5중량%, 약 0.001 내지 약 5중량%, 약 0.01 내지 약 0.5중량%의 중합체 코팅제, 예를 들면, 열가소성 코팅제, 또는 양이온성 코팅제, 또는 열가소성 코팅제와 양이온성 코팅제의 조합을 포함한다. 몇 가지 특정 측면에서, 중합체 코팅제는 바람직하게는 고체, 유화액, 현택액, 콜로이드 상태 또는 가용화 상태,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는 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적합한 중합체 코팅제에는, 중합체 코팅제가 입자 표면에 도포되는 열가소제 용융 온도가, 대략 당해 열가소제 용융 온도에서 처리된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의 온도와 동시에 일어나거나 이에 앞서서 일어나는 열가소성 코팅제가 포함될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열가소성 중합체의 예에는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스티렌 폴리부타디엔, 직쇄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에틸렌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A), 폴리프로필렌(PP), 말레에이티드(maleated)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가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으며, 폴리올레핀의 모든 패밀리의 블렌드, 예를 들면, PP, EVA, EMA, EEA, EBA, HDPE, MDPE, LDPE, LLDPE 및/또는 VLDPE의 블렌드 또한 이롭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폴리올레핀은 위에 정의되어 있다. 특정 측면에서, 출원인들은 말레에이티드 폴리프로필렌이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열가소성 중합체임을 알아내었다. 열가소성 중합체는 수용해성 또는 수분산성과 같은 추가의 이익을 갖도록 관능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체 코팅제는 양이온성 중합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양이온성 중합체는 수용액에서 이온화시에 양으로 하전된 이온으로 될 잠재성을 갖는 관능성 그룹 또는 그룹들을 포함하는 중합체 또는 중합체의 혼합물을 말한다. 양이온성 중합체를 위한 적합한 관능성 그룹에는, 1급, 2급 또는 3급 아미노 그룹, 이미노 그룹, 이미도 그룹, 아미도 그룹 및 4급 암모늄 그룹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합성 양이온성 중합체의 예에는 폴리(비닐 아민), 폴리(알릴아민), 폴리(에틸렌 이민), 폴리(아미노 프로판올 비닐 에테르), 폴리(아크릴아미도프로필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폴리(디알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의 염 또는 부분 염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비닐 아민)에는 BASF Corporation(미국 뉴저지주 마운트 올리브 소재)으로부터 입수 가능한 LUPAMIN® 9095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천연계 양이온성 중합체의 예에는 부분적으로 탈아세틸화된 키틴, 키토산 및 키토산 염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합성 폴리펩티드, 예를 들면, 폴리아스파라긴, 폴리리신, 폴리글루타민 및 폴리아르기닌이 또한 적합한 양이온성 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은, 무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2중량%, 또는 약 0.01 내지 약 1중량%의 수불용성 무기 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수불용성 무기 금석 화합물에는 알루미늄, 티탄, 칼슘 또는 철로부터 선택되는 양이온, 및 인산염, 붕산염 또는 크롬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수불용성 무기 금속 화합물의 예에는 인산알루미늄및 불용성 금속 붕산염이 포함된다. 불용성 금속 붕산염은 붕산티탄, 붕산알루미늄, 붕산철, 붕산마그네슘, 붕산망간 또는 붕산칼슘으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TiBO가 본 명세서에서 붕산티탄 및 유사 화합물, 예를 들면, 붕산티탄(III)(TiBO3)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추가로, 이 화학식은 또한 붕산티탄(III)(TiBO3)이 과산화수소로 처리되어 붕산티탄(IV)를 수득할 때의 경우도 나타낸다. 무기 금속 화합물은 약 2㎛ 미만의 질량 중간 입자 크기를 가질 수도 있고, 약 1㎛ 미만의 질량 중간 입자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무기 금속 화합물은 초흡수성 중합 입자의 표면에 건조 상태의 물리적 형태로 도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는 미분된 무기 금속 화합물과 직접적으로 혼합될 수 있다. 미분된 무기 금속 화합물이 대체로 약 실온에서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에 첨가되고, 균질한 혼합물이 존재할 때까지 혼합된다. 이를 위해, 혼합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적합한 혼합기, 예를 들면, 유동상 혼합기, 패들 혼합기, 회전 드럼 혼합기 또는 트윈-웜 혼합기에서 수행된다. 미분된 수불용성 무기 입자 화합물과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의 혼합은 임의의 표면 가교결합의 전이나 후에, 예를 들면, 표면 가교결합제의 도포 동안에 수행시킬 수 있다.
또는, 미분된 수불용성 무기 금속 화합물의 현탁액이 제조되고, 미립자 수-흡수성 중합체에 도포될 수 있다. 현탁액은, 예를 들면, 분무에 의해 도포된다. 현탁액을 제조하는 데 유용한 분산 매질에는 물, 유기 용매, 예를 들면, 알코올,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케톤, 예를 들면,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또는 위에 언급된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다른 유용한 분산 매질에는 분산 보조제, 계면활성제, 보호 콜로이드, 점도 조정제 및 현탁액의 제조에 도움이 되는 기타 보조제가 포함된다. 현탁액은 통상의 반응 혼합기나 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혼합 및 건조 장치에서 실온 내지 분산 매질의 비점 미만의 범위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약 실온에서 도포될 수 있다. 표면 가교결합제의 용액에 미분된 수불용성 금속염을 분산시킴으로써, 현탁액의 도포를 표면 가교결합 단계와 조합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는, 현탁액은 또한 표면 가교결합 단계 전이나 후에 도포될 수 있다. 슬러리의 도포가 건조 단계를 뒤따를 수 있다.
몇 가지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은 무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 내지 약 5중량%, 또는 약 0.01 내지 약 3중량%의 실리카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리카의 예에는 건식 실리카, 정제 실리카, 이산화규소, 규산 및 규산염이 포함된다. 몇 가지 특정 측면에서, 미시적인(microscopic) 비결정성 이산화규소가 바람직하다. 제품에는 Degussa Corporation(미국 뉴저지주 파시파니 소재)으로부터 입수 가능한 SIPERNAT 22S 및 AEROSIL 200이 포함된다. 몇 가지 측면에서, 무기 분말의 입자 직경은 1,000㎛ 이하, 예를 들면, 1OO㎛ 이하일 수 있다.
몇 가지 측면에서,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은 또한 무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 내지 약 30중량%의 수용성 중합체, 예를 들면, 무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 내지 약 5중량%의 수용성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용성 중합체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가수분해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전분 또는 전분 유도체, 폴리글리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또는 폴리아크릴산이다.
몇 가지 측면에서, 추가의 표면 첨가제가 선택적으로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에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악취-결합 물질, 예를 들면, 사이클로덱스트린, 제올라이트, 무기 염 또는 유기 염 및 유사 재료; 케이크 형성 방지 첨가제, 유동 조절제, 계면활성제 및 점도 조절제 등이다. 추가로, 표면 개질 동안에 여러 역할을 수행하는 표면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일 첨가제는 계면활성제, 점도 조절제일 수 있으며, 이들은 반응하여 중합체 쇄를 가교결합시킬 수 있다.
몇 가지 측면에서, 본 발명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은, 열처리 단계 후에,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이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약 10% 이하의 물 함량을 갖도록 물로 처리될 수 있다. 이 물은 위에서 초흡수성 중합체에 첨가된 것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표면 첨가제와 함께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두 가지 방법으로 제조된다. 본 조성물은 대규모의 산업적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후-가교결합(after-crosslinking)이 수행될 수 있다.
한 가지 방법에 따르면, 부분적으로 중화된 단량체, 예를 들면, 아크릴산이 가교결합제 및 임의의 추가의 성분의 존재하에서 수용액에서 자유-라디칼 중합에 의해 겔로 변환되고, 이 겔이 세분되고(comminuted), 건조되고, 그라인딩되고, 씨빙되어 원하는 입자 크기로 걸러진다. 이 중합은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입자의 크기가 밀링 및 씨빙을 포함한 제조 공정에 좌우된다.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의 입자 크기 분포는 정규 분포 또는 종모양 곡선과 유사하다는 것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또한, 다양한 이유로, 입자 크기 분포의 정규 분포가 어느 한 방향으로 하더라도 비대칭일(skew)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는 일반적으로 약 50 내지 약 lOOO마이크론, 또는 약 150 내지 약 850마이크론 범위의 입자 크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미국 표준 30메쉬 스크린은 통과하고 미국 표준 50메쉬 스크린 위에 보유되는 선별에 의해 측정했을 때, 입자 크기가 약 300 내지 약 600㎛인 입자를 약 40중량% 이상, 입자 크기가 약 300 내지 약 600㎛인 입자를 약 50중량% 이상, 또는 입자 크기가 약 300 내지 약 600㎛인 입자를 약 6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의 크기 분포는, 예를 들면, W. S. Tyler, Inc.(미국 오하이오주 멘토 소재)로부터 입수 가능한 RO-TAP® 기계적 체 진탕기 모델 B(Mechanical Sieve Shaker Model B)를 사용하여 측정했을 때, 크기가 약 600마이크론 초과인 입자를 약 30중량% 미만, 크기가 약 300마이크론 미만인 입자를 약 30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에 따르면, 역상 현탁 및 유화 중합이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성물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이들 공정에 따르면, 수성의 부분적으로 중화된 단량체 용액, 예를 들면, 아크릴산 용액이 보호 콜로이드 및/또는 유화제의 도움을 받아 소수성 유기 용매에 분산되고, 자유 라디칼 개시제에 의해 중합이 개시된다. 내부 가교결합제가 단량체 용액 중에 용해되고, 이와 함께 처리될 수 있거나, 중합 동안에 별도로 선택적으로 첨가된다. 그래프트 기재로서 수용성 중합체의 첨가는 선택적으로 단량체 용액을 거쳐 수행되거나, 유기 용매 내로의 직접 도입에 의해 수행된다. 이어서, 물이 혼합물로부터 공비 제거되고, 이 혼합물이 여과되고, 선택적으로 건조된다. 내부 가교결합은 단량체 용액에 용해된 다작용성 결합제에서 중합시키고/시키거나, 중합 단계 동안에 적합한 가교결합제를 중합체의 관능성 그룹과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들 방법의 결과는 초흡수성 전구생성물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초흡수성 전구생성물은 초흡수성 재료를 제조하는 모든 단계들을 반복하고(당해 물질을 건조시키는 단계까지 포함한다), 분쇄기에서 조분쇄하고, 약 850마이크론 초과 약 150마이크론 미만의 입자를 제거함으로써 생성되는 물질을 말한다.
본 발명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은 자유 팽윤 겔 베드 투과율(Free Swell Gel Bed Permeability, FSGBP), 원심분리기 체류 용량(Centrifuge Retention Capacity, CRC) 및 약 0.9psi의 하중 하 흡수성(absorbency under load at about 0.9psi, AUL(0.9psi)에 의해 측정했을 때, 소정의 특징이나 특성을 나타낸다. 자유 팽윤 겔 베드 투과율 시험은 일반적으로 "자유 팽윤" 상태라 불리는 상태 후에 봉압(confining pressure) 하에서 초흡수성 재료의 팽윤된 베드의 투과율(단위: Darcy(Darcy))(예를 들면, 흡수제 구조와는 구별됨)의 측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용어 "자유 팽윤"은, 이후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초흡수성 재료가 시험 용액을 흡입할 때, 팽윤을 억제하는 하중 없이 팽윤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원심분리기 체류 용량(CRC) 시험은 초흡수제 조성물이 제어된 조건 하에서 포화되고 원심분리를 수행한 후에, 초흡수성 재료가 내부에 액체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한다. 그 결과 수득된 체류 용량은 샘플 1g 중량당 유지되는 액체의 g(g/g)으로서 기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은 생리대, 기저귀 또는 상처 피복재를 포함하는 다수의 제품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제품은 대량의 생리혈, 소변 또는 기타 체액을 빠르게 흡수하는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제는 가압하에서도 흡수된 액체를 보유하고, 또한 팽윤된 상태에서 구성물 내에 추가의 액체를 분포시킬 수 있기 때문에, 통상적인 현재의 초흡수제 조성물과 비교할 때, 친수성 섬유 재료(예를 들면, 플러프)에 대하여, 당해 제제는 더 높은 농도로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은 또한 기저귀 구성물 내부에 플러프 내용물을 함유하지 않고 균질한 초흡수체 층으로서 사용하는 데 적합하며, 그 결과로서 특히 얇은 제품이 가능하다. 이들 중합체는 더욱이 성인용 위생 제품(요실금용 제품)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넓은 의미에서의 적층물(laminate)의 제조, 및 압출된 및 공압출되고 습윤- 및 건조-결합될 뿐만 아니라 후속적으로 결합된 구조물의 적층물의 제조가, 추가의 제조 공정으로서 가능하다. 이들 가능한 공정들의 조합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은 또한 추가의 사용에 적합한 흡수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은 물이나 수성 액체용 흡수제를 위한 흡수제 조성물에; 바람직하게는 체액 흡수용 구성물에; 발포형 및 비-발포형 시트상 구조물에; 포장용 재료에; 토양 개량제로서의 또는 활성 화합물 담체로서의 식물 성장용 구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들은 종이 또는 플러프 또는 합성 섬유를 혼합함으로써, 또는 종이, 플러프 또는 부직포 직물의 기재들 사이에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입자를 분포시킴으로써, 또는 담체 재료로 가공함으로써 웹(web)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들은 흡수제 조성물, 예를 들면, 상처 피복재, 포장재, 농업용 흡수제, 식품 트레이 및 패드 등에서의 사용에 추가로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은, 공지된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과 비교할 때, 높은 흡수능 및 체류 용량을 유지하면서, 투과율의 상당한 개선, 즉 팽윤된 상태에서의 액체 수송의 개선을 보여준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더욱 잘 이해될 수 있다.
시험 절차
자유-팽윤 겔 베드 투과율 시험( FSGBP )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자유-팽윤 겔 베드 투과율 시험은 0psi 팽윤 압력하에서의 겔 베드 투과율(GBP) 시험(Gel Bed Permeability(GBP) Under 0psi Swell Pressure Test)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자유 팽윤" 상태라 불리는 상태하에서 겔 입자(예를 들면, 표면 처리된 흡수성 재료 또는 표면 처리되기 전의 초흡수성 재료)의 팽윤된 베드의 투과율을 결정한다. 용어 "자유 팽윤"은, 이후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겔 입자가 시험 용액을 흡입할 때, 억제하는 하중 없이 팽윤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겔 베드 투과율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적합한 장치가 도 1, 2 및 3에 나타나 있으며, 일반적으로 500으로 표시되어 있다. 시험 장치 조립체(528)는 샘플 용기(일반적으로 530으로 표시됨) 및 플런저(일반적으로 536으로 표시됨)를 포함한다. 플런저는 종축 아래로 뚫린 실린더 홀을 갖는 샤프트(538) 및 샤프트의 바닥에 위치된 헤드(550)를 포함한다. 샤프트 홀(562)은 직경이 약 16mm이다. 플런저 헤드는,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해 샤프트에 부착되어 있다. 12개의 구멍(544)이 샤프트의 방사축으로 뚫려 있으며, 90°마다 위치한 3개는 직경이 약 6.4mm이다. 샤프트(538)는 LEXAN 막대 또는 동등한 재료로부터 기계가공되며, 외경이 약 2.2cm이고 내경이 약 16mm이다.
플런저 헤드(550)는 7개 구멍(560)의 동심의 내측 고리와 14개 구멍(554)의 외측 고리를 가지며, 모든 구멍은 직경이 약 8.8mm이며, 또한 약 16mm의 구멍이 샤프트와 일직선으로 되어 있다. 플런저 헤드(550)는 LEXAN 막대 또는 균등한 재료로부터 기계가공되며, 높이가 약 16mm이고, 직경은 최소한의 벽 간격(wall clearance)을 갖고 실린더(534) 내부에 꼭 맞지만 여전히 자유롭게 움직일 정도의 크기로 만들어져 있다. 플런저 헤드(550)와 샤프트(538)의 총 길이는 약 8.25cm이지만, 샤프트의 상부에서 기계가공되어 플런저(536)의 원하는 크기를 획득할 수 있다. 플런저(536)는 2축으로 신장되어 팽팽하고, 플런저(536)의 하단에 부착된 100메쉬의 스테인리스강 클로스 스크린(564)을 포함한다. 스크린을 플런저 헤드(550)에 확실히 접착시키는 적절한 용매를 사용하여 플런저 헤드(550)에 이 스크린을 부착시킨다. 과잉의 용매가 스크린의 개구부로 이동하여, 액체 유동을 위한 구멍 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피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IPS Corporation(사업장 소재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가데나)로부터의 아크릴 용매 Weld-on 4가 적합한 용매이다.
샘플 용기(530)는 실린더(534) 및 2축으로 신장되어 팽팽하고 실린더(534)의 하단에 부착된 400메쉬 스테인리스강 클로스 스크린(566)을 포함한다. 스크린을 실린더에 확실히 접착시키는 적절한 용매를 사용하여 실린더에 이 스크린을 부착시킨다. 과잉의 용매가 스크린의 개구부로 이동하여, 액체 유동을 위한 구멍 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피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IPS Corporation(사업장 소재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가데나)로부터의 아크릴 용매 Weld-on 4가 적합한 용매이다. 도 2에 568로 표시된 겔 입자 샘플은, 시험하는 동안에 실린더(534) 내부의 스크린(566) 위에 받쳐져 있다.
실린더(534)는 투명한 LEXAN 막대 또는 균등한 재료로부터 구멍을 뚫을 수 있거나, LEXAN 관(tubing) 또는 균등한 재료로부터 절단할 수 있으며, 내경이 약 6cm(예를 들면, 단면적이 약 28.27cm), 벽 두께가 약 0.5cm, 높이가 약 7.95cm이다. 스텝은 외경 66mm를 갖는 부위(534a)가 실린더(534)의 바닥 31mm에 존재하도록 하는 실린더(534)의 외경으로 기계가공된다. 부위(534a)의 직경을 맞게 하는 오-링(540)을 스텝의 상부에 둘 수 있다.
환형 추(annular weight)(548)는 직경 약 2.2cm 깊이 1.3cm의 반대로 뚫어진(counter-bored) 홀을 갖고, 따라서 이것은 샤프트(538) 상으로 자유롭게 미끄러진다. 환형 추는 또한 약 16mm의 스루-보어(thru-bore)(548a)를 갖는다. 환형 추(548)는 스테인리스강 또는 0.9중량%의 염화나트륨 증류수 용액인 시험 용액의 존재하에 부식에 저항하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플런저(536)와 환형 추(548)의 조합 중량은 약 596g과 같으며, 이것은, 샘플(568)에 가해지는 압력이 약 28.27㎠의 샘플 면적에 걸쳐 약 0.3psi 또는 약 20.7dyne/㎠(2.07kPa)인 것에 상응한다.
하기에 기재한 바와 같이 시험하는 동안에 시험 용액이 시험 장치를 통과하여 유동할 때, 샘플 용기(530)는 일반적으로 웨어(weir)(600) 상에 놓인다. 웨어의 목적은 샘플 용기(530)의 상부에서 오버플로우하는 액체를 우회시키는 것이며, 오버플로우 액체는 별도의 수집 장치(601)로 우회시킨다. 웨어는 비커(603)가 놓여 있는 저울(602) 위에 위치시켜, 팽윤된 샘플(568)을 통과하는 식염 용액을 수집할 수 있다.
"자유 팽윤" 상태에서 겔 베드 투과율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 추(548)가 장치된 플런저(536)를 빈 샘플 용기(530) 안에 위치시키고, 적합한 게이지를 사용하여 정확도 0.01mm까지, 추(548)의 상부로부터 샘플 용기(530)의 바닥까지의 높이를 측정한다. 측정하는 동안에 두께 게이지가 인가하는 힘은 가능한 작아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약 0.74뉴턴 미만이다. 각각의 비어 있는 샘플 용기(530), 플런저(536) 및 추(548) 조합의 높이를 측정하는 것과, 이의 트랙을, 다중 시험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되는 플런저(536)와 추(548)가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샘플(568)이 포화된 후 나중에 팽윤될 때의 측정을 위해 동일한 플런저(536)와 추(548)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샘플 컵(530)이 놓여 있는 받침대(base)는 편평하고, 추(548)의 표면은 샘플 컵(530)의 바닥 표면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미국 표준 30메쉬 스크린은 통과하고, 미국 표준 50메쉬 스크린 위에는 유지되어 미리 선별(prescreen)된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입자로부터 시험할 샘플을 제조한다. 그 결과, 시험 샘플은 약 300 내지 약 600마이크론 범위의 크기로 된 입자를 포함한다.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는, 예를 들면, W. S. Tyler, Inc.(미국 오하이오주 멘토 소재)로부터 입수 가능한 RO-TAP 기계적 체 진탕기 모델 B를 사용하여 미리 선별할 수 있다. 10분 동안 씨빙을 수행한다. 약 2.0g의 샘플을 샘플 용기(530) 안에 넣고, 샘플 용기의 바닥 위에 골고루 펼친다. 이어서, 플런저(536)와 추(548)는 들어 있지 않고 2.0g의 샘플이 담긴 이 용기를 0.9% 식염 용액 속에 약 60분의 기간 동안 담가서 샘플을 포화시키고, 어떠한 억제하는 하중 없이 이 샘플이 팽윤할 수 있게 한다. 포화되는 동안에, 샘플 컵(530)은 액체 저장소 안에 위치된 메쉬 위에 놓여 있어서, 샘플 컵(530)은 액체 저장소의 바닥 위로 서서히 상승한다. 메쉬는 식염 용액이 샘플 컵(530) 안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적합한 메쉬는 Eagle Supply and Plastic(사업장 소재지: 미국 위스콘신주 애플톤)으로부터 부품 번호 7308로 획득할 수 있다. 식염수는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입자를 완전히 덮지는 않는데, 이는 시험 셀(cell)에서 완전하게 편평한 식용수 표면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식염수 깊이는 셀 내의 표면이, 식염수가 아니라, 팽윤된 초흡수제만에 의해 규정될 정도로 너무 낮게 떨어지게 해서는 안 된다.
이 기간의 종료시에, 플런저(536)와 추(548)의 조립체를 샘플 용기(530) 내의 포화된 샘플(568) 위에 올려놓고, 다음에, 샘플 용기(530), 플런저(536), 추(548) 및 샘플(568)을 용액으로부터 꺼낸다. 꺼낸 후 및 측정하기 전에, 샘플 용기(530), 플런저(536), 추(548) 및 샘플(568)을 적합한 편평하고 큰 그리드의 균일한 두께의 비-변형성 플레이트 상에 약 30초 동안 그대로 두어야 한다. 초기 높이 측정으로부터 제로 지점이 변하지 않았다면, 앞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두께 게이지를 사용하여, 추(548)의 상부로부터 샘플 용기(530)의 바닥까지의 높이를 다시 측정하여, 포화된 샘플(568)의 두께를 결정한다. 샘플 용기(530), 플런저(536), 추(548) 및 샘플(568)을 편평하고 큰 그리드의 균일한 두께의 비-변형성 플레이트 위에 올려놓을 수 있으며, 이 플레이트는 샘플 용기 내의 액체가 표면 장력으로 인해 편평한 표면 상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이 플레이트는 전체 치수가 7.6cm×7.6cm이며, 각각의 그리드는 셀 크기 치수가 길이 1.59cm×폭 1.59cm×깊이 1.12cm이다. 적합한 편평하고 큰 그리드의 비-변형성 플레이트 재료는 McMaster Carr Supply Company(사업장 소재지: 미국 일리노이즈주 시카고)로부터 입수 가능한 포물선형 확산판, 카탈로그 번호 1624K27이며, 이어서, 이것은 적절한 치수로 절단할 수 있다. 편평하고 큰 메쉬의 비-변형성 플레이트는 또한 초기 빈 조립체의 높이를 측정할 때에도 있어야 한다. 높이 측정은 두께 게이지를 장치한 후 가능한 한 빨리 이루어져야 한다. 빈 샘플 용기(530), 플런저(536) 및 추(548)의 측정으로부터 획득된 높이 측정값을 샘플(568)을 포화시킨 후에 획득된 높이 측정값에서 빼야 한다. 그 결과 수득된 값이 팽윤된 샘플의 두께 또는 높이 "H"이다.
투과율 측정은 포화된 샘플(568), 플런저(536) 및 추(548)가 들어 있는 샘플 용기(530) 안으로 0.9% 식염 용액의 유동을 전달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식염 용액이 실린더(534)의 상부로 오버플로우되도록 용기 안으로의 시험 용액의 유량(flow rate)을 조정하고, 이에 의해 샘플 용기(530)의 높이와 동등한 일관된 헤드 압력이 수득된다. 계기 펌프(604) 등이 구비된 실린더의 상부로부터 소량이지만 일관된 양의 오버플로우를 확보하기에 충분한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시험 용액을 첨가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 액체는 별도의 수집 장치(601) 안으로 우회시킨다. 저울(602) 및 비커(603)를 사용하여, 샘플(568)을 통과하는 용액의 양 대 시간을 중량측정법으로 측정한다. 일단 오버플로우가 시작되면, 60초 이상 동안 매초마다 저울(602)로부터 데이터 포인트들을 수집한다. 데이터 수집은 수동으로 또는 데이터 수집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팽윤된 샘플(568)을 통과하는 유량(Q)은, 샘플(568)을 통과하는 유체(g) 대 시간(sec)의 선형 최소제곱 적합(linear least-square fit)에 의해 g/sec 단위로 결정한다.
투과율(㎠)은 식 K = [Q * H * μ]/[A * ρ * P]에 의해 산출되며, 여기서 K는 투과율(㎠)이고, Q는 유량(g/sec)이고, H는 팽윤된 샘플의 높이(cm)이고, μ는 액체 점도(P)(이번 시험에 사용하는 시험 용액에 대해서는 약 1cP)이고, A는 액체 유동에 대한 단면적(이번 시험에 사용하는 샘플 용기에 대해서는 28.27㎠)이고, ρ는 액체 밀도(g/㎤)(이번 시험에 사용하는 시험 용액에 대해서는 약 1 g/㎤)이고, P는 정수압(dyne/㎠)(정상적으로는 약 7,797dyne/㎠)이다. 정수압은 식 P = ρ * g * h로부터 계산되며, 여기서 ρ는 액체 밀도(g/㎤)이고, g는 중력 가속도(공칭적으로는 981cm/sec2)이고, h는 유체 높이(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겔 베드 투과율 시험에 대해서는 7.95cm)이다.
최소 2개의 샘플을 시험하고, 그 결과를 평균하여 샘플의 겔 베드 투과율을 결정한다.
함수량
함수량은 "수분(%)"으로서 측정되는데, 이것은 다음과 같이 측정할 수 있다: 1) 미리 측량한 알루미늄 계량팬에서 4.5 내지 5.5g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SAP)을 정확하게 측량하고; 2) SAP와 팬을 150℃로 예열된 표준 랩 오븐 안에 30분 동안 넣어 두고; 3) 팬과 내용물을 꺼내어 재측량하고; 4) 하기 식을 사용하여 함수량을 계산한다:
수분(%) = {((팬 중량 + 초기 SAP 중량) - (건조된 SAP와 팬 중량)×100} / 건조된 SAP 중량
원심분리기 체류 용량 시험
원심분리기 체류 용량(CRC) 시험은 초흡수성 중합체가 제어된 조건하에 포화되고 원심분리를 수행한 후에, 초흡수성 중합체가 내부에 액체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한다. 그 결과 수득된 체류 용량은 샘플 1g 중량당 유지되는 액체의 g(g/g)으로서 기술된다. 미국 표준 30메쉬 스크린을 통과시켜 미리 선별(prescreen)하고, 미국 표준 50메쉬 스크린 위에 보유되는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입자로부터 시험할 샘플을 제조한다. 그 결과, 초흡수성 중합체 샘플은 약 300 내지 약 600마이크론 범위의 크기로 된 입자를 포함한다. 이들 입자는 수동이나 자동으로 미리 선별할 수 있다.
체류 용량은 미리 선별한 초흡수성 중합체 샘플 약 0.2g을 수투과성 백 안에 넣어서 측정하는데, 이 수-투과성 백은 샘플을 담고 있는 동안에 시험 용액(0.9중량%의 염화나트륨 증류수 용액)이 샘플에 의해 자유롭게 흡수될 수 있게 할 것이다. 열 밀봉형 티백 재료, 예를 들면, Dexter Corporation(사업장 소재지: 미국 코네티컷주 윈드서 락스)으로부터 모델명 1234T 열 밀봉형 필터 종이로서 입수 가능한 것이 대부분의 응용에 잘 작용한다. 이 백은 5인치×3인치 샘플의 백 재료를 반으로 접고, 개방된 가장자리 중 두 군데를 열 밀봉하여 2.5인치×3인치의 직사각형 파우치를 형성하여 만든다. 열 밀봉은 재료의 가장자리 안쪽으로 약 0.25인치이다. 샘플을 파우치 안에 넣은 후에, 파우치의 남은 개방된 가장자리 또한 열 밀봉한다. 빈 백들을 또한 만들어 대조군으로서 사용한다. 이들 샘플은 시험하려는 각각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에 대해 제조한다.
밀봉한 백들을 약 23℃에서 시험 용액을 담고 있는 팬 속에 담그고, 이들 백들이 완전히 젖을 때까지 확실히 담귀두도록 한다. 젖은 후에는, 샘플들을 약 30분 동안 용액 안에 그대로 두고, 30분에는 이들을 용액으로부터 꺼내고, 일시적으로 비-흡수성의 편평한 표면 위에 눕혀 놓는다.
다음에, 젖은 백들을 바스킷 안에 넣는데, 이 바스킷 안에서 젖은 백들은 서로 분리되고 양동이의 외부 둘레 가장자리에 위치하게 되며, 이 바스킷은 샘플들이 약 350의 g-포스(g-force)하에 놓일 수 있는 적합한 원심분리기이다. 하나의 적합한 바스킷은 CLAY ADAMS DYNAC II, 모델 #0103이며, 이 제품은 물 수집 바스킷, 디지털rpm 게이지 및 편평한 백 샘플들을 잡고 배수(drainage)하도록 되어 있는 기계가공된 배수 바스킷을 구비한다. 다수의 샘플을 원심분리하는 경우, 샘플들을 원심분리기 내부의 반대편 위치에 놓아, 회전할 때 바스킷의 균형을 잡는다. 이들 백(젖은 빈 백들을 포함한다)을 약 1,600rpm(예를 들면, 약 290g 힘(약 280 내지 약 300g 힘의 변경을 갖는다)의 목표 g-포스를 얻기 위해)으로 약 3분 동안 원심분리시킨다. g-포스는 해수면에서 32ft/sec2와 동등한, 빠른 가속 또는 중력을 받는 물체에 대한 관성력의 단위로서 정의된다. 백들을 꺼내어 중량을 재는데, 빈 백(대조군)들을 먼저 측량하고, 이어서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샘플을 담고 있는 백들을 측량한다. 초흡수성 중합체 샘플에 의해 유지되는 용액의 양은 백 자체에 의해 유지되는 용액을 고려하여, 초흡수성 중합체의 원심분리기 체류 용량(CRC)이며, 초흡수성 중합체 1g당 유체의 g으로서 표현된다. 보다 특별하게는, 체류 용량은 하기 식에 의해 결정된다:
(원심분리 후 샘플/백 - 원심분리 후 빈 백 - 건조 샘플 중량) / 건조 샘플 중량
Figure 112009058550815-PCT00001
3개의 샘플을 시험하고, 그 결과를 평균하여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원심분리기 체류 용량(CRC)을 결정한다.
하중 하 흡수성 시험( AUL O.9psi)
하중 하 흡수성(AUL) 시험은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입자가, 실온에 있는 0.9중량%의 염화나트륨 증류수 용액(시험 용액)을, 당해 물질이 0.9psi 하중 하에 있으면서,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한다. AUL을 시험하는 장치는 하기로 구성된다:
● 실린더, 4.4g 피스톤 및 표준 317gm 추를 구비하는 AUL 조립체. 이들 조립체의 구성요소는 하기에 추가로 기술된다.
● 유리 프리트(frit)가 트레이 벽에 접촉하는 일 없이, 유리 프리트를 바닥에 깔 수 있기에 충분히 넓은 편평한 바닥의 사각형 플라스틱 트레이. 9"×9" (22.9cm×22.9cm)이고, 깊이가 0.5 내지 l"(1.3 내지 2.5cm)인 플라스틱 트레이가 이번 시험 방법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 'C' 다공도(25 내지 50마이크론)를 갖는 12.5cm 직경의 소결 유리. 이 프리트는 식염수(증류수 중 0.9중량% 염화나트륨)에서 평형을 통하여 먼저 제조된다. 새로운 식염수를 2 분획 이상으로 하여 세정하는 것에 추가하여, 이 프리트는 AUL 측정하기 전에 12시간 이상 동안 침지(immersion)하여야 한다.
● 와트만 등급 1, 12.5cm 직경의 원형 여과지(filter paper circles)
● 식염수(증류수 중 0.9중량%의 염화나트륨)의 공급
도 4를 참고하면,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입자를 담는 데 사용하는 AUL 조립체(400)의 실린더(412)는, 확실한 동심성을 갖도록 약간 기계가공된(machined-out) 1인치(2.54cm) 내경의 열가소성 관으로 제조된다. 기계가공 후에는, 400메쉬 스테인리스강 와이어 클로스(414)를, 화염에서 스틸 와이어 클로스(414)를 적열될 때까지 가열하여, 실린더(412) 바닥에 부착시키고, 이후에, 실린더(412)는 냉각될 때까지 스틸 와이어 클로스 상에 대고 있게 된다. 이 밀봉에 실패하거나 이것이 깨질 경우에는, 솔더링 철을 사용하여 밀봉을 손볼 수 있다. 평활한 바닥을 유지하고, 실린더(412) 내부를 변형시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4.4g의 피스톤(416)은 1-인치 직경의 고체 재료(예를 들면, PLEXIGLAS®)로 만들며, 실린더(412)에 구속되는 일 없이 딱 맞게 기계가공된다.
62,053dyne/㎠(약 0.9psi)의 억제 하중을 제공하기 위해 표준 317 gm 추(418)를 사용한다. 추는 원통형의 1in.(2.5cm) 직경의 스테인리스강 추이며, 이것은 실린더에 구속되는 일 없이 딱 맞게 기계가공된다.
달리 규정되지 않는 한, 약 300gsm(0.16g) 이상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입자의 층에 상응하는 샘플(410)이 AUL의 시험에 사용된다. 샘플(410)은 미국 표준 #30메쉬를 통과하고, 미국 표준 #50메쉬 위에 유지되는 미리 선별된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입자로부터 획득된다.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입자는, 예를 들면, W. S. Tyler, Inc.(미국 오하이오주 멘토 소재)로부터 입수 가능한 RO-TAP® 기계적 체 진탕기 모델 B를 사용하여 미리 선별할 수 있다. 씨빙은 약 10분 동안 수행한다.
실린더(412) 내부를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입자(410)를 실린더(412) 안에 넣기 전에 대전방지 클로스로 닦는다.
씨빙한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입자(410)의 샘플의 원하는 양(약 0.16g)을 측량지(weigh paper) 위에 달아서 나누고, 실린더(412)의 바닥에 있는 와이어 클로스(414) 위에 골고루 분포시킨다. 실린더 바닥에 있는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입자의 중량을 'SA'라 기록하며, 이는 아래에 기술되는 AUL 계산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실린더의 벽에 달라붙는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가 확실히 없도록 주의해야 한다. 4.4g의 피스톤(412)과 317g의 추(418)를 실린더(412)에서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입자(410) 위에 조심스럽게 올려 놓은 후에, 실린더, 피스톤, 추 및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입자를 구비하는 AUL 조립체(400)를 측량하고, 그 중량을 중량 'A'로 기록한다.
소결 유리 프리트(424)(위에 기술됨)를 플라스틱 트레이(420)에 넣고, 식염수(422)를 유리 프리트(424)의 상부 표면의 레벨과 동등한 레벨로 첨가한다. 단일 원형(single circle)의 여과지(426)를 유리 프리트(424) 위에 천천히 올려놓고, 다음에,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입자(410)를 담고 있는 AUL 조립체(400)를 여과지(426)의 상면에 올려놓는다. 이어서, 트레이 안의 수용액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주의하면서, 1시간의 시험 기간 동안 AUL 조립체(400)를 여과지(426)의 상면에 그대로 유지시켜 둔다. 1시간 시험 기간의 종료시, 이때의 AUL 장치를 측량하고, 그 값을 중량 'B'로 기록한다.
AUL(0.9psi)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AUL(0.9psi) = (B - A) / SA
여기서,
A는 건조 SAP를 담고 있는 AUL 유닛의 중량이고,
B는 60분 흡수 후의 SAP를 담고 있는 AUL 유닛의 중량이고,
SA는 실제의 SAP 중량이다.
최소 2회 수행하고, 그 결과를 평균하여 0.9psi 하중 하 AUL 값을 결정한다. 샘플들은 약 23℃, 약 50% 상대 습도에서 시험한다.
하기의 실시예 및 이들 실시예의 생성물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해 제공되고, 청구항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모든 부 및 백분율은 중량 기준이다.
전구생성물 미분말
교반기와 냉각 코일이 구비된 폴리에틸렌 용기 안으로 25.0kg의 50% NaOH를 37kg의 증류수에 첨가하고, 20℃로 냉각하였다. 이어서, 9.6kg의 글라실 아크릴산을 가성 용액에 첨가하고, 이 용액을 다시 20℃로 냉각하였다. 47.8g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알릴에테르 아크릴레이트, 47.8g의 에톡시화 트리메틸롤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SARTOMER® 454 제품 및 19.2kg의 글라실 아크릴산을 제1 용액에 첨가하고, 이어서, 4 내지 6℃로 냉각하였다. 단량체 용액을 통하여 약 10분 동안 질소를 버블링하였다. 이어서, 단량체 용액을 7.7kg 배치(batch)로 직사각형 트레이 안으로 방출시켰다. 각 배치마다, 8Og의 1중량% H2O2 수용액, 12Og의 2중량% 과황산나트륨 수용액 및 72g의 0.5중량% 에리토르브산나트륨 수용액을, 단량체 탱크로부터 트레이 안으로 수송되고 있는 단량체 용액의 스트림 속으로 상기 에리토르 브산나트륨 용액을 분사함으로써, 단량체 용액 스트림 속으로 균질하게 첨가하였다. 개시된 단량체를 20분 동안 중합시킨 후에 그라인딩하고 175℃에서 건조시켰다. 이 생성물을 Minox MTS 600DS3V를 사용하여 씨빙하여 850마이크론 초과 150마이크론 미만의 입자를 제거하였다. 150마이크론 미만의 입자들이 전구생성물 미분말이다.
전구생성물 A
교반기와 냉각 코일이 구비된 폴리에틸렌 용기 안으로 25.0kg의 50% NaOH를 37kg의 증류수에 첨가하고, 20℃로 냉각하였다. 이어서, 9.6kg의 글라실 아크릴산을 가성 용액에 첨가하고, 이 용액을 다시 20℃로 냉각하였다. 47.8g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알릴에테르 아크릴레이트, 47.8g의 에톡시화 트리메틸롤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SARTOMER® 454 제품 및 19.2kg의 글라실 아크릴산을 제1 용액에 첨가하고, 이어서, 4 내지 6℃로 냉각하였다. 단량체 용액을 통하여 약 10분 동안 질소를 버블링하고, 이어서, 1.88kg의 전구생성물 미분말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단량체 용액을 7.7kg 배치로 직사각형 트레이 안으로 방출시켰다. 각 배치마다, 8Og의 1중량% H2O2 수용액, 12Og의 2중량% 과황산나트륨 수용액 및 72g의 0.5중량% 에리토르브산나트륨 수용액을, 단량체 탱크로부터 트레이 안으로 수송되고 있는 단량체 용액의 스트림 속으로 상기 에리토르브산 나트륨 용액을 분사함으로써, 단량체 용액 스트림 속으로 균질하게 첨가하였다. 개시된 단량체를 20분 동안 중합시켰다. 수득한 겔을 초핑(chopping)하고, Hobart 4M6 공업용 압출기로 압출하고, 이어서, 175℃의 Procter & Schwartz 모델 062 강제 공기 오븐에서, 20in×40in의 천공된 금속 트레이 상에서 공기의 상향 유동(up flow) 상태에서 10분 동안, 공기의 하향 유동(down flow) 상태에서 6분 동안 건조시켜, 최종 생성물의 수분 수준을 5중량% 미만으로 하였다. 건조시킨 물질을 Prodeva 모델 315-S 분쇄기에서 조분쇄하고, MPI 666-F 3단계 롤러 밀에서 밀링하고, Minox MTS 600DS3V로 씨빙하여, 850㎛ 초과 150㎛ 미만의 입자를 제거하였다.
전구생성물 AlPO 4 코팅 슬러리
1269g의 황산알루미늄 테트라데카하이드레이트를 온도 약 85 내지 약 95℃의 150Og의 탈이온수에 용해시켰다. 86Og의 인산3나트륨을 120Og의 뜨거운 탈이온수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황산알루미늄 용액을 즉시 인산3나트륨 용액으로 부었다. 수득한 슬러리를 BASF Corporation(미국 뉴저지주 마운트 올리브 소재)으로부터 입수 가능한 1Og의 PLURONIC® 25R2 계면활성제와 즉시 블렌딩하고, 충분한 50% NaOH를 첨가하여, pH가 중성(pH 7)이 되게 하였다. 1413g의 순수한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이 용액에 첨가하여 순 중량이 6.14kg이 되게 하였다. 액체 슬러리를 100메쉬 스크린을 통과시켜 여과하여, 큰 입자들을 제거한 후, 전구생성물 A 상으로 분무하였다.
AlPO 4 프레스케이크( presscake )
1269g의 황산알루미늄 테트라데카하이드레이트를 150Og의 뜨거운 탈이온수에 용해시켰다. 86Og의 인산3나트륨을 약 85 내지 약 95℃의 120Og의 뜨거운 탈이온수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황산알루미늄 용액을 즉시 인산3나트륨 용액으로 부었 다. 수득한 슬러리를 1Og의 PLURONIC® 25R2 계면활성제와 즉시 블렌딩하고, 충분한 50% NaOH를 첨가하여, pH가 중성(pH 7)이 되게 하였다. AlPO4의 침전 후에, 현탁액을 부흐너 깔때기에서 여과하고, 수득한 케이크를 3,50Oml의 추가의 탈이온수로 세정하였다. 오븐 건조에 의해 프레스케이크가 20중량% 고체로서 측정되었다.
붕산티탄 프레스케이크
20Og의 테트라붕산 2나트륨을 800ml의 뜨거운 탈이온수에 용해시켰다. 물은 약 85 내지 약 95℃의 온도 범위에 있다. 15Og의 45% 황산티탄(III)을 위의 용액에 첨가하여 어두운(dark)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균질한 황색의 현탁액이 수득될 때까지 이 슬러리에 35% H2O2를 적가하였다. 생성물을 부흐너 깔때기에서 여과하고, 케이크를 탈이온수로 세정하였다. 오븐 건조에 의해 고체가 19.8%인 것으로 결정되었다.
비교예 1 및 2와 실시예 1 내지 7
전구생성물 A를 20중량% 수용액을 사용하여 1중량%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4중량% 물로 코팅하였다. 코팅한 전구생성물 A를 60 내지 70g/min의 속도로 피크 온도가 215℃이고 체류 시간이 약 50분인 연속형 패들 반응기 안으로 공급하여, 미립자 중합체의 표면 가교결합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표면 가교결합된 미립자 물질을 표 1에 기재한 표면 처리에 의해 후처리하였다.
비교예 1 및 2와 실시예 1 내지 7
표면 처리1 CRC g/g 자유 팽윤 (0psi) GBP, Darcy AUL (0.9psi)
비교예 1 5중량%의 1.6중량% PEG 8000 수용액 34.7 3 16.4
비교예 2 5중량% 물에 이어서, 0.5중량% Sipernat® 22S 실리카 34.8 7 14.4
실시예 1 0.5% AlPO4 및 5% 물을 전달하기 위한, 5.5중량%의 9.09중량% AlPO4 슬러리 (2.5부 AlPO4 프레스케이크와 3부 물로 제조됨) 35.1 19 17.8
실시예 2 0.25중량% AlPO4 및 5중량% 물을 전달하기 위한, 5.25중량%의 4.76중량% AlPO4 슬러리 (1.25부 AlPO4 프레스케이크와 4.25부 물로 제조됨) 34.8 19 18.4
실시예 3 0.025중량% AlPO4, 0.25중량% Lupamin® 9095 및 4.75중량% 물을 전달하기 위한, 5.025중량%의 0.498중량% AlPO4 슬러리 (0.125부 AlPO4 프레스케이크, 2.5부 10% 수성 Lupamin® 9095 및 2.4부 물로 제조됨) 35.5 17 16
실시예 4 0.25중량% AlPO4, 0.25중량% Lupamin® 9095 및 4.75중량% 물을 전달하기 위한, 5.25중량%의 4.76중량% AlPO4 슬러리 (1.25부 AlPO4 프레스케이크, 2.5부 10% 수성 Lupamin® 9095 및 1.75부 물로 제조됨) 34.8 22 17.3
실시예 5 0.5% TiBO 및 5% 물을 전달하기 위한, 5.5중량%의 9.09중량% TiBO 슬러리 (2.52부 TiBO 프레스케이크와 2.97부 물로 제조됨) 35.1 24 16
실시예 6 0.25중량% TiBO 및 5중량% 물을 전달하기 위한, 5.25중량%의 4.76중량% TiBO 슬러리 (1.26부 TiBO 프레스케이크와 4.24부 물로 제조됨) 35.1 19 18
실시예 7 0.025중량% TiBO, 0.25중량% Lupamin® 9095 및 4.75중량% 물을 전달하기 위한, 5.025중량%의 0.498중량% TiBO 슬러리 (0.126부 TiBO 프레스케이크, 2.5부 10% 수성 Lupamin® 9095 및 2.4부 물로 제조됨) 35 13 15.5
1. 5중량% 물과 조합하여 첨가되는, 전구생성물의 후처리 성분
2. 폴리비닐 아민의 Lupamin® 9095 수용액
실시예 8
2.5부의 AlPO4 프레스케이크, 1부의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2부의 물의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이 블렌드를 공기 아토마이저 노즐을 사용하여 100부의 전구생성물 A 상으로 분무하였다. 코팅한 전구생성물 A를 60 내지 70g/min의 속도로 피크 온도가 215℃이고 체류 시간이 약 50분인 연속형 패들 반응기 안으로 공급하여, 미립자 중합체의 표면 가교결합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표면 가교결합된 미립자 2중량%의 10중량% LUPAMIN® 9095 수용액으로 후처리하였다. 실시예 8의 특성은 CRC가 34.38g/g, 자유 팽윤(0psi) GBP이 51.0Darcy, AUL(0.9psi)이 16.2이다.
전구생성물 B
단열된 편평한 바닥의 반응기 용기 안에, 1866.7g의 50중량% NaOH를 3090.26g의 증류수에 첨가하고, 25℃로 냉각하였다. 이어서, 800g의 아크릴산을 가성 용액에 첨가하고, 이 용액을 다시 25℃로 냉각하였다. 이어서, 교반하에, 아크릴산 중에 120g의 50중량%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1600g의 아크릴산의 제2 용액 및 14.4g의 에톡시화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를 제1 용액에 첨가하고, 교반하에 5℃로 냉각하였다. 이어서, 이 단량체 용액을 단열 조건하에 100ppm 과산화수소, 200ppm 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펜)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00ppm 과황산나트륨 및 40ppm 아스코르브산(모두 수용액)의 혼합물로 중합하고, 25분 동안 최대 온도(Tmax) 가까이로 유지하였다. 수득한 겔을 초핑하고, Hobart 4M6 공업용 압출기로 압출하고, 175℃의 Procter & Schwartz 모델 062 강제 공기 오븐에서, 20in×40in의 천공된 금속 트레이 상에서 공기의 상향 유동 상태에서 10분 동안 건조시키고, 공기의 하향 유동 상태에서 6분 동안 건조시켜, 최종 생성물의 수분 수준을 5중량% 미만으로 하였다. 건조시킨 물질을 Prodeva 모델 315-S 분쇄기에서 조분쇄하고, MPI 666-F 3단계 롤러 밀에서 밀링하고, Minox MTS 600DS3V로 씨빙하여, 850㎛ 초과 150㎛ 미만의 입자를 제거하였다.
실시예 9
전구생성물 B를 Anvil MIX9180 혼합기에서, 무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1% 에틸렌 카보네이트, 4% 물, 위에 기재한 0.5% 전구생성물 AlPO4 슬러리, 350ppm Chemcor 43G40SP(Chemcor Corporation(미국 뉴욕주 체스터 소재)으로부터 입수 가능) 말레에이티드 폴리프로필렌 및 0.2% SIPERNAT® 22S 실리카로 코팅하였다. 중합체 입자의 표면 가교결합을 이루기 위해, 코팅한 초흡수성 중합체를 약 45 내지 50분 체류 시간 동안 약 205℃로 열처리하였다.
표면 가교결합 후에, 수득한 입자를 실온으로 냉각하고, 다음에, 철사 거품기가 구비된 주방용 믹서에서 5부의 LUPAMIN® 9095 폴리비닐 아민 용액 및 95부의 물로 제조한 2중량%의 용액을 이들 입자에 분무함으로써 후처리하였다. 수득한 생성물은 2시간 이상 동안 평형 상태로 유지시키고, 다음에, 미국 표준 #20메쉬를 통과하고, 미국 표준 #100 메쉬 스크린 위에 유지되어 씨빙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금속 화합물 중합체성 코팅물 CRC g/g 자유 팽윤 (0psi) GBP, Darcy
9 0.5% AlPO4 350ppm MPP2 2중량%의 5중량% LUPAMIN 90951 33.1 42.13
1. LUPAMIN T® 9095 폴리비닐 아민 용액
2. 말레에이티드 폴리프로필렌
추가로, 상기의 실시예를 W. S. Tyler, Inc.(미국 오하이오주 멘토 소재)로부터 입수 가능한 RO-TAP® 기계적 체 진탕기 모델 B를 사용하여 씨빙하고, 표 3에 기재한 바와 같은 입자 분포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의 입자 분포 크기
입자 크기 평균(%)
20메쉬 상의 백분율(%) (850㎛ 초과) 0.22
30메쉬 상의 백분율(%) (60 내지 850㎛) 20.79
50메쉬 상의 백분율(%) (300 내지 600㎛) 63.35
170메쉬 상의 백분율(%) (45 내지 90㎛) 15.6
325메쉬 상의 백분율(%) (45 내지 90㎛) 0.04
325메쉬 상의 백분율(%) (45㎛ 미만) 0
실시예 10
전구생성물 B를 Shugi 혼합기에서, 전구생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3%의 33% 수성 EC 용액, 2.5%의 20% 인산알루미늄 슬러리, 및 0.2%의 SIPERNAT® S22S로 연속해서 코팅하였다. 인산알루미늄 슬러리를 Chemcor 43G40SP 말레에이티드 폴리프로필렌(MPP)과 블렌드하여 인산알루미늄 스프레이에 350ppm MPP를 전달하였다. 코팅한 전구생성물 B를 체류 시간이 약 30분이고, 피크 초흡수제 온도가 약 199℃인 연속형 패들 반응기 안으로 공급하였다. 이어서, 표면 가교결합된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를 냉각하고, 철사 거품기가 구비된 Anvil 모델 번호 MIX9180의 주방형 믹서에서 5부의 LUPAMIN® 폴리비닐 아민 용액 및 95부의 물로 제조한 2중량%의 용액으로 후처리하였다. 후처리 후에,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입자를 2시간 이상 동안 방치 후에, 미국 표준 #20메쉬를 통과하고, 미국 표준 #100 메쉬 스크린 위에 유지되어 씨빙하였다. 실시예 10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입자의 특성이 표 4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10
실시예 CRC, g/g 0.0 GBP, Darcy AUL (0.9psi)
10 33.2 47 16.6
조작 예 또는 달리 지시되는 곳을 제외하고, 본 명세서 및 청구항에 사용되는 성분 및 반응 조건 등의 양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는 모든 경우에서 용어 "약"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별도로 지시되지 않는 한, 명세서 및 첨부되는 청구항에 기술되는 수치 파라미터는 본 발명에 의해 획득하려고 하는 원하는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근사값이다. 적어도, 균등론의 적용을 제한하려는 시도로서가 아니라, 각각의 수치 파라미터는 유효숫자의 개수 및 통상의 반올림 접근을 감안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수치 범위 및 파라미터가 본 발명의 광범위한 범위를 기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예에서 기재된 수치값은 가능한 한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임의의 수치값은 본질적으로, 이들 각각의 시험 측정에서 발견되는 표준 편차로부터 필수적으로 기인되는 어느 정도의 오차를 포함하고 있다.

Claims (44)

  1. 고흡수능의 초흡수성(high-capacity superabsorbent) 중합체 조성물로서,
    초흡수성 중합체로,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약 55 내지 약 99.9중량%의 중합가능한 불포화 산 그룹 함유 단량체(a) 및 상기 중합가능한 불포화 산 그룹 함유 단량체를 기준으로 하여 약 0.001 내지 약 5중량%의 내부 가교결합제(b)를 포함하는 초흡수성 중합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가 약 25%를 초과하는 중화도를 갖고, 성분(a) 및 성분(b)가 중합되어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로 제조되며;
    표면 처리된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1 내지 약 5중량%의 표면 가교결합제(i),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2중량%의 수불용성 무기 금속 화합물(ii) 및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 내지 약 5중량%의 중합체 코팅제(iii)인 표면 첨가제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이, 원심분리기 체류 용량 시험(Centrifuge Retention Capacity Test)에 의해 측정된 원심분리기 체류 용량이 약 30g/g 이상을 나타내고, 자유 팽윤 겔 베드 투과율 시험(Free Swell Gel Bed Permeability Test)에 의해 측정된 자유 팽윤 겔 베드 투과율이 약 10Darcy 이상 인,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불용성 무기 금속 화합물이 금속 인산염, 붕산티탄, 붕산알루미늄, 붕산철, 붕산마그네슘, 붕산망간 및 붕산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금속 화합물의 입자가 약 2㎛ 미만의 질량 중간 입자 크기(mass median particle size)를 갖는,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코팅제가 무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0.5중량%의 열가소성 중합체인,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코팅제가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직쇄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스티렌 공중합체, 에틸렌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말레에이티드(maleated)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블렌드 및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코팅제가 양이온성 중합체인,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코팅제가 폴리비닐아민인,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심분리기 체류 용량 시험에 의해 측정된 원심분리기 체류 용량이 약 32g/g 이상이고, 자유 팽윤 겔 베드 투과율 시험에 의해 측정된 자유 팽윤 겔 베드 투과율이 약 20Darcy 이상인,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코팅제가 말레에이티드 폴리프로필렌인,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인산염이 인산알루미늄인,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심분리기 체류 용량 시험에 의해 측정된 원심분리기 체류 용량이 약 32 내지 약 40g/g이고, 자유 팽윤 겔 베드 투과율 시험에 의해 측정된 자유 팽윤 겔 베드 투과율이 약 40Darcy 이상인,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약 40중량% 이상이 약 300 내지 약 600㎛의 입자 크기를 갖는,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약 50중량% 이상이 약 300 내지 약 600㎛의 입자 크기를 갖는,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15. 불용성 인산알루미늄 또는 불용성 금속 붕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무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2중량%의 무기 금속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초흡수성 중합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자유 팽윤 겔 베드 투과율 시험에 의해 측정된 초흡수성 중합체의 자유 팽윤 겔 베드 투과율이 약 10Darcy 이상을 나타내는,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불용성 붕산염이 붕산티탄, 붕산알루미늄, 붕산철, 붕산마그네슘, 붕산망간 및 붕산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 체 조성물.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금속 화합물의 입자가 약 2㎛ 미만의 중간 입자 크기를 갖는,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심분리기 체류 용량 시험에 의해 측정된 원심분리기 체류 용량이 약 32g/g 이상이고, 자유 팽윤 겔 베드 투과율 시험에 의해 측정된 자유 팽윤 겔 베드 투과율이 약 20Darcy 이상인,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약 40중량% 이상이 약 300 내지 약 600㎛의 입자 크기를 갖는,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20. (a) 초흡수성 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약 55 내지 약 99.9중량%의 중합가능한 불포화 산 그룹 함유 단량체와, 상기 중합가능한 불포화 산 그룹 함유 단량체를 기준으로 하여 약 0.001 내지 약 5중량%의 내부 가교결합제를 중합시키는 공정에 의해 초흡수성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는 약 25%를 초과하는 중화도를 갖는다);
    (b)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로부터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1 내지 약 5중량%의 표면 가교결합제(i),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2중량%의 수불용성 무기 금속 화합물(ii) 및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약 5중량%의 중합체 코팅제(iii)를 포함하는 표면 첨가제로,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를 처리하는 단계; 및
    (d) 상기 코팅된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를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이, 원심분리기 체류 용량이 약 30g/g 이상이고 자유 팽윤 겔 베드 투과율 시험에 의해 측정된 자유 팽윤 겔 베드 투과율이 약 10Darcy 이상인 특성을 갖는,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단계(a)에서 상기 산 그룹의 약 50중량% 이상이 카복실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산 그룹이 50mol% 이상으로 중화되고, 상기 내부 가교결합제가 상기 중합가능한 불포화 산 그룹 함유 단량체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2 내지 약 3중량%인,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된 초흡수성 중합체의 열처리가 약 150 내지 약 250℃에서 수행되는,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불용성 무기 금속 화 합물이 금속 인산염; 및 붕산티탄, 붕산알루미늄, 붕산철 붕산마그네슘, 붕산망간 및 붕산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불용성 붕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24. 제20항 내지 제2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금속 화합물의 입자가 약 2㎛ 미만의 질량 중간 입자 크기를 갖는,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25. 제20항 내지 제2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이 원심분리기 체류 용량이 약 32g/g 이상이고, 자유 팽윤 겔 베드 투과율 시험에 의해 측정된 자유 팽윤 겔 베드 투과율이 약 20Darcy 이상인,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26. 제20항 내지 제2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코팅제가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직쇄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스티렌 공중합체, 에틸렌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말레에이티드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블렌드 및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27. 제20항 내지 제2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코팅제가 말레에이티드 폴리프로필렌인,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28. 제20항 내지 제2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코팅제가 말레에이티드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의 블렌드인,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29. 제20항 내지 제2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첨가제가 양이온성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30. 제20항 내지 제2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중합체가 폴리비닐아민인,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31. 제20항 내지 제3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불용성 무기 금속 화합물이 현탁액 형태인,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32. 제20항 내지 제3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불용성 무기 금속 화합물이 무수 형태로 도포되는,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33. 제20항 내지 제3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이 원심분리기 체류 용량이 약 32g/g 이상이고, 자유 팽윤 겔 베드 투과율 시험에 의해 측정된 자유 팽윤 겔 베드 투과율이 약 40Darcy 이상인,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34. 제20항 내지 제3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이 입자 크기 약 300 내지 약 600㎛의 상기 무수 초흡수성 중합체를 약 40중량% 이상으로 갖는,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35. (a) 붕산염을 물에 용해시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티탄 금속염의 용액을 상기 (a)의 용액에 첨가하는 단계, 및 (c) 과산화수소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여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붕산티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d) 상기 현탁액을 여과하여 케이크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붕산티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37.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의해 제조된 붕산티탄 화합물.
  38. (a)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를 공급하는 단계;
    (b) 제1 무기 금속염의 제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b)의 제1 용액에 제2 무기 금속염의 제2 용액을 첨가하여 혼 합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용액 및 제2 용액이 혼합시에 반응하여 제3 수불용성 금속염을 침강시켜, 수불용성 금속염 슬러리를 형성시키는 단계;
    (d) 상기 수불용성 금속염 슬러리의 금속을 더 높은 원자가 상태로 임의로 산화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수불용성 금속염 슬러리를 분리시키고 건조시키지 않고, 상기 수불용성 금속염 슬러리를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분된 수불용성 무기 금속염에 의해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를 처리하는 방법.
  39. (a)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를 공급하는 단계;
    (b) 제1 무기 금속염의 제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제2 무기 금속염의 제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제1 용액 및 제2 용액을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에 도포하여,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의 표면 위에 직접 또는 상기 표면 부근에 수불용성 무기 금속염 침전물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분된 수불용성 무기 금속염에 의해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를 처리하는 방법.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기 금속염이 알루미늄, 티탄, 칼슘 또는 철로부터 선택되는 양이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무기 금속염이 인산염, 붕산염 또는 크롬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을 포함하는, 방법.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기 금속염이 알루미늄, 티탄, 칼슘 또는 철로부터 선택되는 양이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무기 금속염이 인산염, 붕산염 또는 크롬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을 포함하는, 방법.
  42. 제38항 내지 제4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기 금속염이 황산알루미늄 테트라데카하이드레이트이고 상기 제2 무기 금속염이 인산3나트륨인, 방법.
  43. 제38항 내지 제4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기 금속염이 황산알루미늄 테트라데카하이드레이트이고 상기 제2 무기 금속염이 인산3나트륨인, 방법.
  4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된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가 열처리된, 고흡수능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KR1020097019919A 2007-03-23 2007-12-28 높은 투과성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KR101502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690,611 US8236884B2 (en) 2007-03-23 2007-03-23 High permeability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s
US11/690,611 2007-03-23
PCT/US2007/089033 WO2008118237A1 (en) 2007-03-23 2007-12-28 High permeability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556A true KR20100014556A (ko) 2010-02-10
KR101502310B1 KR101502310B1 (ko) 2015-03-18

Family

ID=39323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919A KR101502310B1 (ko) 2007-03-23 2007-12-28 높은 투과성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8236884B2 (ko)
EP (1) EP2137240B1 (ko)
JP (2) JP2010522255A (ko)
KR (1) KR101502310B1 (ko)
CN (1) CN101679648B (ko)
TW (1) TWI449733B (ko)
WO (1) WO2008118237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7029A1 (ko) * 2013-09-30 2015-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WO2015088200A1 (ko) * 2013-12-10 2015-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20150143624A (ko) * 2013-04-10 2015-12-23 에보닉 코포레이션 개선된 안정성을 갖는 미립자형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WO2016089005A1 (ko) * 2014-12-04 2016-06-09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US9517446B2 (en) 2012-04-25 2016-12-13 Lg Chem, Ltd. Super absorbent polymer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16200054A1 (ko) * 2015-06-09 2016-12-15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고흡수성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
US9701796B2 (en) 2013-12-10 2017-07-11 Lg Chem, Ltd. Preparation method of superabsorbent polymer
KR20200026307A (ko) * 2017-07-28 2020-03-1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나노기공 초흡수성 입자
KR20210006014A (ko) * 2018-06-27 2021-01-15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나노기공 초흡수성 입자
US11648531B2 (en) 2018-11-14 2023-05-16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super absorbent polym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09653A1 (de) 1999-03-05 2000-09-07 Stockhausen Chem Fab Gmbh Pulverförmige, vernetzte, wässrige Flüssigkeiten sowie Blut absorbierende Polymer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7169843B2 (en) * 2003-04-25 2007-01-30 Stockhausen, Inc. Superabsorbent polymer with high permeability
DE10334286B4 (de) 2003-07-25 2006-01-05 Stockhausen Gmbh Pulverförmige,wasserabsorbierende Polymere mit mittels thermoplastischen Klebstoffen gebundenen Feinteilch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iese beinhaltende chemische Produkte und Verbunde
US7173086B2 (en) 2003-10-31 2007-02-06 Stockhausen, Inc. Superabsorbent polymer with high permeability
US8580953B2 (en) 2004-06-21 2013-11-12 Evonik Degussa Gmbh Water-absorbing polysaccharid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8017549B2 (en) 2006-11-10 2011-09-13 Basf Se Superabsorbents having superior permeability and conveying properties
DE102006060156A1 (de) * 2006-12-18 2008-06-19 Evonik Stockhausen Gmbh Wasserabsorbierende Polymergebilde, welche unter Einsatz von Polymerdispersionen hergestellt wurden
US8236884B2 (en) * 2007-03-23 2012-08-07 Evonik Stockhausen, Llc High permeability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s
US7816426B2 (en) * 2007-07-16 2010-10-19 Evonik Stockhausen, Llc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s having color stability
US8318306B2 (en) 2008-01-30 2012-11-27 Evonik Stockhausen, Llc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s having a triggering composition
US8222477B2 (en) 2008-10-20 2012-07-17 Evonik Stockhausen, Llc Superabsorbent polymer containing clay, particulat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910688B2 (en) * 2008-10-22 2011-03-22 Evonik Stockhausen Inc. Recycling superabsorbent polymer fines
CN105237672A (zh) * 2008-11-21 2016-01-13 巴斯夫欧洲公司 一种通过单体溶液液滴的聚合而制备渗透性吸水聚合物颗粒的方法
US8361926B2 (en) 2008-11-25 2013-01-29 Evonik Stockhausen, Llc Water-absorbing polysaccharid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8795834B2 (en) * 2009-02-09 2014-08-05 Sapturf, Llc Synthetic turf having cooling layer
EP2504037A1 (de) * 2009-11-23 2012-10-03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wasserabsorbierender, aufgeschäumter polymerpartikel
EP2371869A1 (en) 2010-03-30 2011-10-05 Evonik Stockhausen GmbH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superabsorbent polymer
US8304369B2 (en) 2010-05-07 2012-11-06 Evonik Stockhausen, Llc Superabsorbent polymer having a capacity increase
DE102011004815A1 (de) 2011-02-28 2012-08-30 Evonik Stockhausen Gmbh Haut- und Handreinigungsmittel enthaltend superabsorbierende Partikel
US8802786B2 (en) 2011-04-21 2014-08-12 Evonik Corporation Particulate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 having improved performance properties
DE102011086516A1 (de) 2011-11-17 2013-05-23 Evonik Degussa Gmbh Superabsorbierende Polymere mit schnellen Absorptionseigenschaften sowie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9440220B2 (en) 2011-12-30 2016-09-13 Evonik Corporation Superabsorbent polymer with crosslinker
US8420567B1 (en) 2011-12-30 2013-04-16 Evonik Stockhausen, Llc Process for superabsorbent polymer and crosslinker composition
EP2614841B1 (en) * 2012-01-12 2014-09-10 Evonik Industries AG Process for the continuous preparation of water-absorbent polymers
EP2620465B2 (en) 2012-01-27 2018-03-28 Evonik Degussa GmbH Heat-treatment of water-absorbing polymeric particles in a fluidized bed at a fast heat-up rate
TWI531390B (zh) 2012-10-24 2016-05-01 贏創德固賽有限公司 氣味與顏色穩定之吸水組合物
WO2014119553A1 (ja) 2013-01-29 2014-08-07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性樹脂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9302248B2 (en) 2013-04-10 2016-04-05 Evonik Corporation Particulate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tability
EP2915548B1 (de) 2014-03-05 2017-11-01 Evonik Degussa GmbH Superabsorbierende polymere mit verbesserter geruchskontrolleigenschaft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101720423B1 (ko) 2014-07-25 2017-03-27 에보니크 데구사 게엠베하 점착 방지 가공 조제 및 흡수성 입자 제조에 이들을 이용하는 방법
KR101790241B1 (ko) 2014-08-04 2017-10-26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6021914A1 (ko) * 2014-08-04 2016-0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JP6460495B2 (ja) * 2015-06-19 2019-01-30 株式会社日本触媒 ポリ(メタ)アクリル酸(塩)系粒子状吸水剤及び製造方法
KR102077816B1 (ko) * 2016-10-12 2020-0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JP7064614B2 (ja) * 2018-09-21 2022-05-10 株式会社日本触媒 キレート剤を含む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
WO2021019437A1 (en) * 2019-07-29 2021-02-04 Bharat Petroleum Corporation Limited Super absorbent polymer (sap) particles with enhanced absorption rate
KR20220033234A (ko) * 2020-09-09 2022-03-16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전자부품 내장기판
WO2022094592A1 (en) * 2020-10-29 2022-05-05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Open cell hydrogel network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230249155A1 (en) * 2020-12-07 2023-08-10 Lg Chem, Ltd. Preparation method of super absorbent polymer
WO2022124136A1 (ja) * 2020-12-09 2022-06-16 住友精化株式会社 吸水性樹脂粒子、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TWI805461B (zh) 2022-08-04 2023-06-11 臺灣塑膠工業股份有限公司 吸水性樹脂與其製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494A (en) * 1977-07-01 1979-01-31 Hitachi Ltd Sludge treating method
JPS60163956A (ja) * 1984-02-04 1985-08-26 Arakawa Chem Ind Co Ltd 吸水性樹脂の製法
US4771105A (en) 1986-02-05 1988-09-13 Sekisui Kaseihin Kogyo Kabushiki Kaisha Water-absorbent resi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TW320647B (ko) * 1993-02-24 1997-11-21
US5451613A (en) 1993-09-17 1995-09-19 Nalco Chemical Company Superabsorbent polymer having improved absorption rate and absorption under pressure
US5849405A (en) * 1994-08-31 1998-1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materials having improved absorbent property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AU1691895A (en) 1994-02-17 1995-09-04 Procter & Gamble Company, The Porous absorbent materials having modified surfac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5599335A (en) 1994-03-29 1997-0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members for body fluids having good wet integrity and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of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
US6011196A (en) 1995-10-03 2000-0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material having improved absorbent permeability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JP3103754B2 (ja) 1995-10-31 2000-10-30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改質された吸水性樹脂粒子およびその製法
US6623576B2 (en) 1998-10-28 2003-09-23 Basf Aktiengesellschaft Continuous manufacture of superabsorbent/ion exchange sheet material
JP4168161B2 (ja) 1997-11-19 2008-10-22 アンコル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コーポレイション ポリ(ビニルアミン)型高吸収性ゲ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121509A (en) 1998-01-07 2000-09-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polymer compositions having high sorption capacities under an applied pressure and improved integrity when wet
US6562743B1 (en) * 1998-12-24 2003-05-13 Bki Holding Corporation Absorbent structures of chemically treated cellulose fibers
US6297335B1 (en) 1999-02-05 2001-10-02 Basf Aktiengesellschaft Crosslinked, hydrophilic, highly swellable hydrogels,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ES2228492T3 (es) 1999-03-12 2005-04-16 Basf Aktiengesellschaft Composicion polimerica super absorbente de color estable.
US6229062B1 (en) 1999-04-29 2001-05-08 Basf Aktiengesellschaft Corporation Superabsorbent polymer containing odor controlling compound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6414214B1 (en) 1999-10-04 2002-07-02 Basf Aktiengesellschaft Mechanically stable hydrogel-forming polymers
DE10053858A1 (de) 2000-10-30 2002-05-08 Stockhausen Chem Fab Gmbh Absorbierendes Gebilde mit verbesserten Blockingeigenschaften
WO2002053198A1 (de) 2000-12-29 2002-07-11 Basf Aktiengesellschaft Aborbierende zusammensetzungen
WO2002060983A2 (de) 2001-01-19 2002-08-08 Basf Aktiengesellschaft Wasserabsorbierendes mittel,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US6906131B2 (en) 2001-09-17 2005-06-14 Stockhausen Gmbh & Co. Kg Cellulose material with improved absorbency
DE60236752D1 (de) 2001-11-21 2010-07-29 Basf Se Vernetzte polyaminbeschichtung auf superabsorbierenden hydrogelen
US6998367B2 (en) 2001-12-06 2006-02-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composition containing transitional crosslinking points
US20030219594A1 (en) 2002-05-23 2003-11-27 Jian Qin Meltblown absorbent fibers and composit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DE10225944A1 (de) 2002-06-11 2004-01-08 Basf Ag Verfahren zum Binden von teilchenförmigen, wasserabsorbierenden, Säuregruppen enthaltenden Polymeren an ein Trägermaterial
ATE319485T1 (de) 2002-08-23 2006-03-15 Supersaugfähige polymer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10239074A1 (de) 2002-08-26 2004-03-11 Basf Ag Wasserabsorbierendes Mitte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4119964B2 (ja) 2002-09-04 2008-07-16 株式会社Yooコーポレーション 消臭剤の製造方法
US7169843B2 (en) 2003-04-25 2007-01-30 Stockhausen, Inc. Superabsorbent polymer with high permeability
US20040214499A1 (en) 2003-04-25 2004-10-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structure with superabsorbent material
DE10329672B4 (de) * 2003-07-02 2007-02-15 Koenig & Bauer Ag Punkturzylinder eines Falzapparates mit wenigstens einer Punkturleiste
DE10334286B4 (de) 2003-07-25 2006-01-05 Stockhausen Gmbh Pulverförmige,wasserabsorbierende Polymere mit mittels thermoplastischen Klebstoffen gebundenen Feinteilch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iese beinhaltende chemische Produkte und Verbunde
US7696401B2 (en) 2003-07-31 2010-04-13 Evonik Stockhausen, Inc. Absorbent materials and absorbent articles incorporating such absorbent materials
US7179851B2 (en) 2003-09-05 2007-02-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amage-resistant superabsorbent materials
JP2005095759A (ja) 2003-09-24 2005-04-14 San-Dia Polymer Ltd 吸収剤とこれを用いてなる吸収性物品
US7163969B2 (en) 2003-10-14 2007-01-16 Stockhausen, Inc. Superabsorbent polymer aqueous paste and coating
US7291674B2 (en) 2003-10-28 2007-11-06 Stockhausen, Inc. Superabsorbent polymer
US7173086B2 (en) 2003-10-31 2007-02-06 Stockhausen, Inc. Superabsorbent polymer with high permeability
US7579402B2 (en) 2003-11-12 2009-08-25 Evonik Stockhausen, Inc. Superabsorbent polymer having delayed free water absorption
EP1588723B1 (en) 2004-03-29 2009-06-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member for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swellable polymers of high permeability which are capable of forming hydrogels
DE102004015686A1 (de) 2004-03-29 2005-10-27 Basf Ag Quellbare hydrogelbildende Polymere mit hoher Permeabilität
US8580953B2 (en) 2004-06-21 2013-11-12 Evonik Degussa Gmbh Water-absorbing polysaccharid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6131767A (ja) 2004-11-05 2006-05-25 San-Dia Polymer Ltd 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
TW200704689A (en) 2005-02-01 2007-02-01 Basf Ag Polyamine-coated superabsorbent polymers
US20060173432A1 (en) 2005-02-01 2006-08-03 Laumer Jason M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polyamine-coated superabsorbent polymers
US20060173431A1 (en) 2005-02-01 2006-08-03 Laumer Jason M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polyamine-coated superabsorbent polymers
TW200700095A (en) 2005-02-01 2007-01-01 Basf Ag Polyamine-coated superabsorbent polymers
US20060173433A1 (en) 2005-02-01 2006-08-03 Laumer Jason M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polyamine-coated superabsorbent polymers
TW200639200A (en) 2005-02-01 2006-11-16 Basf Ag Polyamine-coated superabsorbent polymers
TWI522092B (zh) 2005-02-28 2016-02-21 贏創德固賽有限責任公司 丙烯酸和基於可再生原料之吸水聚合物結構及二者之製備方法
US7312286B2 (en) 2005-12-02 2007-12-25 Stockhausen, Inc. Flexible superabsorbent binder polymer composition
US7335713B2 (en) 2005-12-02 2008-02-26 Stockhausen, Inc. Method for preparing a flexible superabsorbent binder polymer composition
US20070135785A1 (en) 2005-12-12 2007-06-14 Jian Qin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thermoplastic coated superabsorbent polymer materials
US7812082B2 (en) 2005-12-12 2010-10-12 Evonik Stockhausen, Llc Thermoplastic coated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s
DE102006060156A1 (de) 2006-12-18 2008-06-19 Evonik Stockhausen Gmbh Wasserabsorbierende Polymergebilde, welche unter Einsatz von Polymerdispersionen hergestellt wurden
US8236884B2 (en) * 2007-03-23 2012-08-07 Evonik Stockhausen, Llc High permeability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s
US7816426B2 (en) 2007-07-16 2010-10-19 Evonik Stockhausen, Llc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s having color stability
US8318306B2 (en) 2008-01-30 2012-11-27 Evonik Stockhausen, Llc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s having a triggering composition
US8222477B2 (en) 2008-10-20 2012-07-17 Evonik Stockhausen, Llc Superabsorbent polymer containing clay, particulat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910688B2 (en) 2008-10-22 2011-03-22 Evonik Stockhausen Inc. Recycling superabsorbent polymer fines
CN105237672A (zh) 2008-11-21 2016-01-13 巴斯夫欧洲公司 一种通过单体溶液液滴的聚合而制备渗透性吸水聚合物颗粒的方法
US8361926B2 (en) 2008-11-25 2013-01-29 Evonik Stockhausen, Llc Water-absorbing polysaccharid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8304369B2 (en) 2010-05-07 2012-11-06 Evonik Stockhausen, Llc Superabsorbent polymer having a capacity increase
US8802786B2 (en) 2011-04-21 2014-08-12 Evonik Corporation Particulate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 having improved performance properties
US8420567B1 (en) 2011-12-30 2013-04-16 Evonik Stockhausen, Llc Process for superabsorbent polymer and crosslinker compositio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7446B2 (en) 2012-04-25 2016-12-13 Lg Chem, Ltd. Super absorbent polymer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50143624A (ko) * 2013-04-10 2015-12-23 에보닉 코포레이션 개선된 안정성을 갖는 미립자형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WO2015047029A1 (ko) * 2013-09-30 2015-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US9656242B2 (en) 2013-09-30 2017-05-23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a super absorbent polymer
WO2015088200A1 (ko) * 2013-12-10 2015-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US9701796B2 (en) 2013-12-10 2017-07-11 Lg Chem, Ltd. Preparation method of superabsorbent polymer
WO2016089005A1 (ko) * 2014-12-04 2016-06-09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6200054A1 (ko) * 2015-06-09 2016-12-15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고흡수성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00026307A (ko) * 2017-07-28 2020-03-1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나노기공 초흡수성 입자
KR20210006014A (ko) * 2018-06-27 2021-01-15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나노기공 초흡수성 입자
US11648531B2 (en) 2018-11-14 2023-05-16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super absorbent poly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19041B2 (en) 2013-08-27
JP5844852B2 (ja) 2016-01-20
CN101679648A (zh) 2010-03-24
JP2014198853A (ja) 2014-10-23
WO2008118237A1 (en) 2008-10-02
US8822582B2 (en) 2014-09-02
JP2010522255A (ja) 2010-07-01
US20080234420A1 (en) 2008-09-25
US20140031498A1 (en) 2014-01-30
EP2137240B1 (en) 2018-10-17
EP2137240A1 (en) 2009-12-30
US8236884B2 (en) 2012-08-07
TWI449733B (zh) 2014-08-21
US20120277096A1 (en) 2012-11-01
CN101679648B (zh) 2013-08-07
KR101502310B1 (ko) 2015-03-18
TW200906923A (en) 2009-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310B1 (ko) 높은 투과성의 초흡수성 중합체 조성물
JP6720271B2 (ja) 安定性が改良された粒子状超吸収性ポリマー組成物
KR101672564B1 (ko) 초흡수성 중합체 미분을 사용하는 초흡수성 중합체 겔의 제조 방법
TWI654236B (zh) 具有改良穩定性之粒狀超吸收性聚合物組成物
TWI526478B (zh) 含有黏土、微粒狀物質之超吸收性聚合物及其製造方法
KR101598006B1 (ko) 용량이 증가된 미립자형 초흡수성 중합체
KR101655104B1 (ko) 가교결합제를 갖는 초흡수성 중합체
EP1969053A2 (en) Thermoplastic coated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