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551A - 인쇄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551A
KR20100008551A KR1020080069096A KR20080069096A KR20100008551A KR 20100008551 A KR20100008551 A KR 20100008551A KR 1020080069096 A KR1020080069096 A KR 1020080069096A KR 20080069096 A KR20080069096 A KR 20080069096A KR 20100008551 A KR20100008551 A KR 20100008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wiring
circuit board
base film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1717B1 (ko
Inventor
김기현
박세호
강석명
이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9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717B1/ko
Priority to EP09163914A priority patent/EP2146560B1/en
Priority to JP2009163053A priority patent/JP4728417B2/ja
Priority to US12/504,339 priority patent/US8474135B2/en
Publication of KR20100008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038Through-connections; Vertical interconnect access [VIA] connections
    • H05K3/4053Through-connections; Vertical interconnect access [VIA] connections by thick-film techniques
    • H05K3/4069Through-connections; Vertical interconnect access [VIA] connections by thick-film techniques for via connections in organic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9Use of materials for the conductive, e.g. metallic pattern
    • H05K1/092Dispersed materials, e.g. conductive pastes or inks
    • H05K1/095Dispersed materials, e.g. conductive pastes or inks for polymer thick films, i.e. having a permanent organic polymeric bind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32Structure of the conductor
    • H05K2201/0335Layered conductors or foils
    • H05K2201/0347Overplating, e.g. for reinforcing conductors or bumps; Plating over filled via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32Structure of the conductor
    • H05K2201/0335Layered conductors or foils
    • H05K2201/0352Differences between the conductors of different layers of a multilay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818Shape or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5K2201/09009 - H05K2201/09809
    • H05K2201/09981Metallised wal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4Reinforcing the conductive pattern
    • H05K3/245Reinforcing conductive patterns made by printing techniques or by othe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s, inks or powders; Reinforcing other conductive patterns by such techniques
    • H05K3/246Reinforcing conductive paste, ink or powder patterns by other methods, e.g. by pl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5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5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 Y10T29/4916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by forming conductive walled aperture in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rinting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Between Printed Circuit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을 제작하는 필름 제작단계; 5,000 내지 300,000 CPS(centi poise)의 점도를 가지는 고점도 도전성 물질로 상기 제1 면에 제1 배선을 인쇄하는 제1 인쇄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의 양면을 관통하되 상기 제1 배선을 지나는 비아 홀(via hole)을 형성하는 드릴링(drilling) 단계; 및 100 내지 5,000 CPS의 점도를 가지는 저점도 도전성 물질로 상기 제2 면에 제2 배선을 인쇄하는 제2 인쇄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쇄단계에서의 배선 형성 과정에서, 상기 비아 홀의 내벽에 상기 저점도 도전성 물질이 도포되어, 상기 제1 배선과 제2 배선을 도통시키는 인쇄회로 기판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인쇄회로 기판 제조 방법은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불량률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인쇄회로 기판, 저점도 도전성 물질, 비아 홀,

Description

인쇄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FABRICATION METHOD FOR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인쇄회로 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면에 각각 인쇄회로 패턴 등의 배선이 인쇄되는 인쇄회로 기판에서 기판 양면의 배선을 서로 접속시킨 구조를 가지는 인쇄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휴대용 단말기, 게임기 등 휴대성이 요구되는 소형 전자 기기가 보편화되고, 가전제품 또한 실질적인 부피, 크기가 줄어드는 반면에 그 기능이 고도화됨에 따라 전자 부품의 집적도가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다.
전자 부품의 높은 집적도가 요구되며, 특히, 휴대성이 요구되는 소형 전자 기기, 좁은 공간에서의 배선이 요구되는 기기에서는 폴리이미드 수지를 이용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이 이용된다. 이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이 그 두께를 줄이는데 용이하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폴리이미드 수지는 내열성과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여 이러한 소형 전자 기기나 가전 제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 기판, 더 구체적으로는 가 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 기판(10)은 베이스 필름(11)의 양면에 각각 배선(13)이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비아 홀(15)을 통해 상기 베이스 필름(11)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 배선(13)을 도통시킨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 필름(11)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 배선(13)을 보호하기 위하여 커버 층(17)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접착제(19) 등을 이용하여 상기 배선(13)들이 형성된 베이스 필름(11)의 양면에 상기 커버 층(17)이 부착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인쇄회로 기판(10)은 베이스 필름(11)의 일면 또는 양면에 배선(13)을 형성하기 위한 동박을 적층하고, 동박을 적층한 후 필요한 위치에 비아 홀(15)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적층된 동박으로 원하는 패턴의 배선(13)을 형성하기 위하여, 감광성 필름(dry film photoregist)을 도포하고 노광, 현상 과정을 거쳐 원하는 패턴의 배선 형태와 일치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감광성 필름을 제거한 후, 에칭을 함으로써 불필요한 부분의 동박을 제거하여 배선(13)을 완성하게 된다.
이때, 베이스 필름(11)에 형성된 비아 홀(15)에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주입하여 베이스 필름의 양면에 형성된 배선을 통전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인쇄회로 기판 제조 방법은, 감광성 필름을 노광, 현상하기 위한 공정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부분의 동박을 제거하기 위한 에칭 공정에 이르기까지 그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이는 제품 가격에 반영되어 사용자에게는 가격적인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또한, 비아 홀에 주입된 도전성 페이스트는 비아 홀의 벽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전성 페이스트를 주입하더라도 도전성 페이스트가 비아 홀의 벽면에 밀착되지 않아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경우, 배선 또는 운반 과정에서 외력에 의해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이 굴곡지게 변형되면, 비하 홀의 벽면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로 경화된 도전성 페이스트에 균열이 발생되어 불량률이 증가될 위험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조 공정을 단순화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인쇄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제조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제품 구입에 소요되는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인쇄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베이스 필름의 양면에 형성된 배선을 통전시키기 위한 비아 홀의 벽면에만 저점도 도전성 물질을 도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불량률을 개선할 수 있는 인쇄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을 제작하는 필름 제작단계;
5,000 내지 300,000 CPS(centi poise)의 점도를 가지는 고점도 도전성 물질로 상기 제1 면에 제1 배선을 인쇄하는 제1 인쇄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의 양면을 관통하되 상기 제1 배선을 지나는 비아 홀(via hole)을 형성하는 드릴링(drilling) 단계; 및
100 내지 5,000 CPS의 점도를 가지는 저점도 도전성 물질로 상기 제2 면에 제2 배선을 인쇄하는 제2 인쇄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쇄단계에서의 배선 형성 과정에서, 상기 비아 홀의 내벽에 상기 저점도 도전성 물질이 도포되어, 상기 제1 배선과 제2 배선을 도통시키는 인쇄회로 기판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이때, 상기 필름 제작단계는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halate)로 상기 베이스 필름을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인쇄단계 후, 상기 베이스 필름의 양면을 코팅하는 보호코팅 단계와,
상기 마감 단계를 통해 제작된 인쇄회로 기판에 도금을 하여 도금층을 형성하는 도금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금층은 상기 제1, 제2 배선에 모두 형성되거나, 상기 인쇄회로 기판의 접속 단자에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은 고점도 도전성 물질로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직접 배선을 인쇄하기 때문에, 감광성 필름을 노광, 현상하는 공정이나 동박을 에칭하는 공정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공정이 단순화되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는 같은 제품을 좀더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필름의 양면에 배선들을 각각 형성하고 비아 홀을 통해 배선들을 서로 통전시키는 경우, 제2 면에는 저점도 도전성 물질을 이용하여 배선을 인쇄 함으로써, 저점도 도전성 물질이 베이스 필름의 표면을 따라, 더 나아가서는 비아 홀의 벽면을 따라 인쇄된다. 따라서 베이스 필름의 제2 면에 형성되는 배선을 인쇄함과 동시에 제1 면에 형성된 배선과의 통전이 이루어진다. 이로써 비아 홀에 별도로 도전성 물질을 주입할 필요가 없으며, 저점도 도전성 물질 자체로서 비아 홀의 벽면을 따라 인쇄되어 제1, 제2 면 각각에 형성된 배선들을 도통시키기 때문에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불량률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 기판(100)의 제조 방법은 필름 제작단계, 제1 인쇄단계, 드릴링(drilling) 단계 및 제2 인쇄단계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보호코팅 단계와 도금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기판에 도면부호 '100'을 부여하고는 있지만 아직 완성되기 전의 기판이며,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완성된 기판은 도 5에 도시되고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필름 제작단계는, 제작하고자 하는 인쇄회로 기판(100)의 규격에 적합하도록 필름을 재단하여 베이스 필름(101)을 제작하는 단계로서, 상기 베이스 필름(101)은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필름(101)의 재질로는 내열성,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Polyimide)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halate) 또한 상기 베이스 필름(101)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필름(101)은 그 일측에 제공되는 리드들(191)을 구비하며, 상기 리드들(191)의 단부에는 접속단(193)이 형성될 것이다. 상기 리드들(191) 또한 상기 베이스 필름(101)의 일부분이지만, 설명의 편의상, 상기 베이스 필름(101)과는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리드들(191)은 완성된 인쇄회로 기판(100)을 다른 인쇄회로 기판 등에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 단자로서 활용되는데, 그 자체로서는 접속 단자의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며, 하기에서 설명될 제2 배선(121) 등이 그 일면(구체적으로는 제2 면)에 형성됨으로써 접속 단자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인쇄단계는 제작된 베이스 필름(101)의 제1 면에 제1 배선(111)을 인쇄하는 단계로서, 고점도 도전성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면에 직접 인쇄회로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제1 배선(111)을 인쇄하게 된다. 이때, 고점도 도전성 물질이란 은(Ag), 구리(Cu), 은과 니켈의 합금(Ag+Ni) 재질 중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며, 5,000 내지 300,000 CPS(centi poise)의 점도를 가지는 도전성 인쇄물질로서, 상기 제1 면에 인쇄회로 패턴을 형성한 후 경화되어 상기 제1 배선(111)을 완성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리드들(191)의 접속단(193)에도 고점도 도전성 물질이 도포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릴링 단계는 상기 베이스 필름(101)의 제2 면에 형성될 제2 배선(121)과 상기 제1 배선(111)을 도통시키는 비아 홀(115, 195)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비아 홀(115, 195)은 제작하고자 하는 인쇄회로 기판에 따라 그 수와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배선(111)의 양단과 상기 접속단(193)에 각각 상기 비아 홀(115, 195)을 형성한 예가 개시되고 있다.
도 4의 (a)는 상기 제2 인쇄단계를 마친 후 상기 베이스 필름(101)의 배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 인쇄단계는, 상기 베이스 필름(101)의 제2 면에 제2 배선(121)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저점도 도전성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면에 인쇄회로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2 배선(121)을 직접 인쇄하게 된다. 이때, 저점도 도전성 물질이란 100 내지 5,000 CPS의 점도를 가지는 도전성 인쇄물질로서, 상기 제2 면에 인쇄회로 패턴을 형성한 후 경화되어 상기 제2 배선(121)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 제2 배선(121)은 인접하는 비아 홀들(115, 195)을 서로 연결하는 형태로 인쇄된다. 즉, 상기 제2 배선(121)을 통해, 상기 제1 배선(111)의 일단에 위치된 비아 홀은 상기 접속단(193)에 형성된 비아 홀들 중 하나에, 상기 제1 배선(111)의 타단에 위치된 비아 홀은 상기 접속단(193)에 형성된 비아 홀들 중 다른 하나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 배선(121)을 형성하기 위해 저점도 도전성 물질을 토출하는 과정에서, 저점도 도전성 물질은 상기 비아 홀(115, 195)의 내벽을 따라 도포(도 1의 '123'으로 지시됨)된다. 즉, 상기 제2 배선(121)의 형성을 위한 저점도 도전성 물질을 도포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배선(111)과 제2 배선(121)의 통전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제1, 제2 배선(111, 121)을 도통시키기 위하여 별도로 상기 비아 홀(115, 195)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주입할 필요가 없으며, 비아 홀에 형성된 통전 구조(경화된 도전성 페이스트)가 비아 홀의 내벽에 밀착되지 않아 발생되는 신뢰성 저하 등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12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배선(111)은 다른 인쇄회로 기판 등에 접속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면에만 소용돌이 형상의 상기 제1 배선(111)을 형성한다면, 내측에 위치된 상기 제1 배선(111)의 단부에 접속 단자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배선(111)의 사이 공간으로 또 다른 배선을 형성해야만 한다. 그러나 이는 상기 제1 면에 형성되는 인쇄회로 패턴을 복잡하게 하고, 회로 패턴의 집적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반면에, 상기 제2 배선(121)을 형성하고 상기 비아 홀(115, 195)들을 통해 상기 제1, 제2 배선(11, 121)을 도통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배선(111)을 단순화하고 상기 인쇄회로 기판(100)의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보호코팅 단계 또는 도금 단계를 마치고 완성된 인쇄회로 기판(100)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보호코팅 단계 또는 도금 단계는, 상기 제1, 제2 배선(111, 121)이 산화되거나 물리적인 접속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한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베이스 필름(101)과 같은 재질의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상기 베이스 필름(101)의 양면에 부착하여 보호코팅층(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제2 배선(111, 121), 특히, 상기 접속단(193)에는 도금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인쇄회로 기판(100)을 다른 인쇄회로 기판에 접속시킬 때에는 흔히 납땜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접속단(193)에서의 제1, 제2 배선(111, 121)이 구리 재질이라면 솔더와의 친화력이 낮아 납땜이 원활하지 못하다. 따라서 상기 접속단(193)에 주석-납 합금이나 금으로 도금층(129)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상기 인쇄회로 기판(100)과 다른 인쇄회로 기판 사이의 접속 구조를 더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배선(111, 121)이 구리 재질인 경우에는, 외부 공기와의 접촉으로 쉽게 산화되는데 상기 도금층(129)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제2 배선(111 ,121)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 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 기판 제조 방법에 따라 제작되는 인쇄회로 기판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Claims (7)

  1.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을 제작하는 필름 제작단계;
    5,000 내지 300,000 CPS(centi poise)의 점도를 가지는 고점도 도전성 물질로 상기 제1 면에 제1 배선을 인쇄하는 제1 인쇄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의 양면을 관통하되 상기 제1 배선을 지나는 비아 홀(via hole)을 형성하는 드릴링(drilling) 단계; 및
    100 내지 5,000 CPS의 점도를 가지는 저점도 도전성 물질로 상기 제2 면에 제2 배선을 인쇄하는 제2 인쇄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쇄단계에서의 배선 형성 과정에서, 상기 비아 홀의 내벽이 상기 100 내지 5,000 CPS의 점도를 가지는 저점도 도전성 물질로 도포되어 상기 제1 배선과 제2 배선을 도통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 기판 제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제작단계는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halate)로 상기 베이스 필름을 제작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 기판 제조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단계 후, 상기 베이스 필름의 양면을 코팅하는 보호코팅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 기판 제조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단계 후, 도금을 실시하여 상기 제1, 제2 배선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도금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 기판 제조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은 상기 제1, 제2 배선에 모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 기판 제조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은 상기 인쇄회로 기판의 접속 단자에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 기판 제조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쇄단계에서, 상기 제1, 제2 배선을 인쇄하는 도전성 물질은 은(Ag), 구리(Cu), 은과 니켈의 합금(Ag+Ni) 중 어느 하나임 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 기판 제조 방법.
KR1020080069096A 2008-07-16 2008-07-16 인쇄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KR101411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096A KR101411717B1 (ko) 2008-07-16 2008-07-16 인쇄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EP09163914A EP2146560B1 (en) 2008-07-16 2009-06-26 Method for Fabricating Printed Circuit Board
JP2009163053A JP4728417B2 (ja) 2008-07-16 2009-07-09 印刷回路基板の製造方法
US12/504,339 US8474135B2 (en) 2008-07-16 2009-07-16 Method for fabricating printed circuit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096A KR101411717B1 (ko) 2008-07-16 2008-07-16 인쇄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551A true KR20100008551A (ko) 2010-01-26
KR101411717B1 KR101411717B1 (ko) 2014-06-26

Family

ID=40886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096A KR101411717B1 (ko) 2008-07-16 2008-07-16 인쇄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74135B2 (ko)
EP (1) EP2146560B1 (ko)
JP (1) JP4728417B2 (ko)
KR (1) KR1014117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2723A1 (ko) 2010-04-02 2011-10-06 주식회사 잉크테크 양면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JP6311200B2 (ja) * 2014-06-26 2018-04-18 住友電工プリントサーキット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電子部品及び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777A (en) * 1978-07-14 1980-01-29 Fujitsu Ltd Method of manufacturing ceramic substrate
US4567542A (en) * 1984-04-23 1986-01-28 Nec Corporation Multilayer ceramic substrate with interlayered capacitor
DE3429236A1 (de) * 1984-08-08 1986-02-13 Krone Gmbh, 1000 Berlin Folie mit beidseitig aufgedruckten elektrischen leiterbahnen
JPH0666548B2 (ja) * 1985-09-20 1994-08-24 北陸電気工業株式会社 電子回路基板のスルーホール接続部形成方法
JPH07249866A (ja) * 1994-03-09 1995-09-26 Tokuyama Corp 硬化性ペーストの充填方法
US5601672A (en) * 1994-11-01 1997-02-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ceramic substrates from thin and thick ceramic greensheets
JPH08316600A (ja) * 1995-03-15 1996-11-29 Tokuyama Corp 両面回路基板
JPH09260801A (ja) * 1996-03-25 1997-10-03 Soshin Denki Kk スルーホール基板及びその製法
JPH10256687A (ja) * 1997-03-14 1998-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アホール充填用導体ペースト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基板
JP2000200951A (ja) * 1999-01-05 2000-07-18 Alps Electric Co Ltd プリント基板、およびプリント基板の製造方法
JP2000299560A (ja) * 1999-04-15 2000-10-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セラミック回路板の製造方法
JP3867455B2 (ja) 1999-11-02 2007-01-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
US6337037B1 (en) * 1999-12-09 2002-01-08 Methode Electronics Inc. Printed wiring board conductive via hole filler having metal oxide reducing capability
JP2003234572A (ja) * 2002-02-06 2003-08-22 Nitto Denko Corp 両面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2007220764A (ja) 2006-02-15 2007-08-30 Murata Mfg Co Ltd 積層型セラミック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066444A (ja) * 2006-09-06 2008-03-21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 配線基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28417B2 (ja) 2011-07-20
US20100011573A1 (en) 2010-01-21
KR101411717B1 (ko) 2014-06-26
EP2146560A1 (en) 2010-01-20
US8474135B2 (en) 2013-07-02
EP2146560B1 (en) 2012-05-16
JP2010028111A (ja) 201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959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rinted wiring board
US20120012379A1 (en) Printed circuit board
JP2005243911A (ja) 多層積層配線板
US20080099237A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component device
JP3842267B2 (ja) 少なくとも1つの電子部品を備えた回路基板
US10531569B2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4228677B2 (ja) 回路基板
CN103871996A (zh) 封装结构及其制作方法
JP2003100371A (ja) 端子付き配線基板
US20070246248A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101411717B1 (ko) 인쇄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US20140353017A1 (en) Printed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7645855B (zh) 无导线电镀电路板及其制作方法
JP2003031916A (ja) 印刷配線基板
JPH1070363A (ja) 印刷配線板の製造方法
KR100498977B1 (ko) E-bga 인쇄회로기판의 공동 내벽을 도금하는 방법
KR20030011433A (ko)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숨겨진 레이저 비아홀 제조방법
JP2007115954A (ja) 多層プリント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45605A (ja) プリント配線板
JP2008235346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JP2000164270A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11434A (ko)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숨겨진 레이저 비아홀 제조방법
JPH03255691A (ja) プリント配線板
JP2013153114A (ja) プリント配線板及び該プリント配線板を用いてなるプリント配線板の接続構造、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KR200257974Y1 (ko) 숨겨진 레이저 비아홀을 갖는 다층 인쇄회로기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