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996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996A
KR20100004996A KR1020097018341A KR20097018341A KR20100004996A KR 20100004996 A KR20100004996 A KR 20100004996A KR 1020097018341 A KR1020097018341 A KR 1020097018341A KR 20097018341 A KR20097018341 A KR 20097018341A KR 20100004996 A KR20100004996 A KR 20100004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car
drive
deflecting
re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8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7326B1 (ko
Inventor
에이지 안도
요시히코 고이즈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04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구동장치는 구동쉬브의 회전축이 연직(鉛直)이 되도록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의 상부에는 현가수단이 감아 걸려진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 균형추 리턴쉬브 및 디플렉팅 쉬브가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 균형추 리턴쉬브 및 디플렉팅 쉬브의 회전축은 각각 수평이다.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에 대한 현가수단의 굽힘방향과 디플렉팅 쉬브에 대한 현가수단의 굽힘방향은 서로 역방향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구동쉬브의 회전축이 연직(鉛直)이 되도록 승강로의 상부에 구동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구동쉬브의 회전축이 연직이 되도록 승강로의 상부에 구동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쉬브에는 제1 및 제2 메인로프가 감아 걸려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에는 제1 및 제2 메인로프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메인로프의 일단부는 제1 메인로프 접속부에 접속되고, 제1 메인로프 타단부는 균형추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메인로프의 일단부는 제2 메인로프 접속부에 접속되며, 제2 메인로프 타단부는 균형추에 접속되어 있다.
승강로의 상부에는 제1 메인로프를 제1 메인로프 접속부로 유도하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 제1 메인로프를 균형추로 유도하는 제1 균형추 리턴쉬브, 제2 메인로프를 제2 메인로프 접속부로 유도하는 제2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 제2 메인로프를 균형추로 유도하는 제2 균형추 리턴쉬브 및 제2 메인로프를 구동쉬브로부터 제2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로 유도하는 방향전환풀리가 배치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W02003/074409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치수가 바뀌면 쉬브류(類)의 장착각도가 바뀌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의 치수변경으로의 대응이 번거로워 생산성이 낮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엘리베이터 칸의 치수변경으로의 대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구동쉬브와, 구동쉬브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본체를 가지고, 구동쉬브의 회전축이 연직이 되도록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구동장치, 구동쉬브에 감아 걸려진 현가수단, 현가수단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엘리베이터 칸의 위쪽에 배치되며, 또한 구동쉬브의 일측에서 현가수단이 감아 걸려져 현가수단을 엘리베이터 칸으로 유도하는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 균형추의 위쪽에 배치되고, 또한 구동쉬브의 타측에서 현가수단이 감아 걸려져 현가수단을 균형추로 유도하는 균형추 리턴쉬브 및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어 구동쉬브와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와의 사이에 현가수단이 감아 걸려져 있는 디플렉팅 쉬브를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 균형추 리턴쉬브 및 디플렉팅 쉬브의 회전축이 각각 수평이며,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에 대한 현가수단의 굽힘방향과 디플렉팅 쉬브에 대한 현가수단의 굽힘방향이 서로 역방향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 및 디플렉팅 쉬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의 사이즈를 변경한 경우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엘리베이터 칸의 사이즈를 변경한 경우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a, 1b)과,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2a, 2b)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a, 1b)로 안내되어 승강로 내를 승강한다. 균형추(4)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2a, 2b)로 안내되어 승강로 내를 승강한다. 균형추(4)는 엘리베이터 칸(3)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에 엘리베이터 칸(3)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칸(3)의 폭방향(도 1의 좌우방향)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 내의 상부에는 구동장치(5)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장치(5)는 구동쉬브(6)와, 구동쉬브(6)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본체(7)를 가지고 있다. 구동장치(5)는 구동쉬브(6)의 회전축이 연직(대략 연직을 포함함)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동장치본체(7)는 구동쉬브(6)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구동쉬브(6)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를 가지고 있다.
또, 구동장치(5)로서는 축방향치수가 축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도 작은 박형(薄型) 권상기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구동장치(5)는 수직투영면에서 엘리 베이터 칸(3)과 겹치도록 엘리베이터 칸(3)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쉬브(6)는 구동장치본체(7)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즉, 구동쉬브(6)는 승강로 천장에 대향하고 있다.
구동쉬브(6)에는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4)를 현가하는 현가수단이 감아 걸려져 있다. 현가수단은 복수 개의 메인로프(8)를 포함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4)는 메인로프(8)에 의해 1 : 1 로핑방식으로 승강로 내에 매달려 구동장치(5)에 의해 승강된다.
승강로 내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 균형추 리턴쉬브(10) 및 디플렉팅 쉬브(11)가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는 엘리베이터 칸(3)의 위쪽에 배치되어 메인로프(8)를 엘리베이터 칸(3)의 상부로 유도한다.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에는 구동쉬브(6)의 일측에서 메인로프(8)가 감아 걸려져 있다. 균형추 리턴쉬브(10)는 균형추(4)의 위쪽에 배치되어 메인로프(8)를 균형추(4)의 상부로 유도한다. 균형추 리턴쉬브(10)에는 구동쉬브(6)의 타측에서 메인로프(8)가 감아 걸려져 있다. 디플렉팅 쉬브(11)에는 구동쉬브(6)와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와의 사이에 메인로프(8)가 감아 걸려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 균형추 리턴쉬브(10) 및 디플렉팅 쉬브(11)의 회전축은 각각 수평이며, 또한 서로 평행이다. 즉,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 균형추 리턴쉬브(10) 및 디플렉팅 쉬브(11)의 회전축은 엘리베이터 칸(3)의 안길이방향(도 1의 상하방향)에 평행이다.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에 대한 메인로프(8)의 굽힘방향과 디플렉팅 쉬 브(11)에 대한 메인로프(8)의 굽힘방향은 서로 역방향이다.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는 메인로프(8)의 구동쉬브(6)와 디플렉팅 쉬브(11)와의 사이의 부분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와 그 바로 위에 위치하는 메인로프(8)와의 사이에는 틈새(g)가 형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의 상면의 중앙부(중심위치 근방)에는 메인로프(8)를 엘리베이터 칸(3)에 접속하는 현가수단 접속부로서의 메인로프 접속부(12)가 설치되어 있다. 수직투영면에서 구동장치(5)와 디플렉팅 쉬브(11)는 메인로프 접속부(1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는 디플렉팅 쉬브(11)보다도 구동장치(5)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메인로프(8)는 구동쉬브(6)로부터 디플렉팅 쉬브(11)까지의 사이와, 구동쉬브(6)로부터 균형추 리턴쉬브(10)까지의 사이에서 수평(대략 수평을 포함한다)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메인로프(8)의 구동쉬브(6)로부터 디플렉팅 쉬브(11)까지의 부분과, 메인로프(8)의 구동쉬브(6)로부터 균형추 리턴쉬브(10)까지의 부분은 엘리베이터 칸(3)의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구동장치(5),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 균형추 리턴쉬브(10) 및 디플렉팅 쉬브(11)는 구동장치 유니트(14)로서 유니트화되어 공통의 직사각형의 지지프레임(13)에 장착되어 있다. 지지프레임(13)은 직사각형의 네 변을 구성하는 제1 ~ 제4 지지빔(13a ~ 13d)을 가지고 있다. 또, 지지프레임(13)은 승강로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a, 1b) 및 균형추 가이드 레일(2a, 2b)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 및 디플렉팅 쉬브(1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에는 메인로프(8)가 삽입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 홈(9a, 9b, 9c)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균형추 리턴쉬브(10)에는 메인로프(8)가 삽입되는 복수의 균형추 리턴쉬브 홈(10a, 10b, 10c)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디플렉팅 쉬브(11)에는 메인로프(8)가 삽입되는 복수의 디플렉팅 쉬브 홈(11a, 11b, 11c)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 홈(9a, 9b, 9c)의 간격(P1)은 디플렉팅 쉬브 홈(11a, 11b, 11c)의 간격(P2)보다도 크다. 메인로프 접속부(12)에서의 메인로프(8)의 간격(P3)은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 홈(9a, 9b, 9c)의 간격(P1)보다도 크다(P2 < P1 < P3). 또, 엘리베이터 칸(3)이 최상층에 위치할 때의 메인로프 접속부(12)와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와의 사이의 부분의 메인로프(8)가 홈(9a)에 진입하는 각도(θ1)는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와 디플렉팅 쉬브(11)와의 사이의 부분의 메인로프(8)가 홈(11a, 9a)에 침입하는 각도(θ2)보다도 크다.
구동쉬브(6)의 회전축은 연직이며, 디플렉팅 쉬브(11)의 회전축의 방향은 수평이기 때문에, 구동쉬브(6)와 디플렉팅 쉬브(11)와의 사이에 메인로프(8)는 조여(비틀어)지는 것 같은 모습이 된다. 이 때문에, 구동쉬브(6)와 디플렉팅 쉬브(11)와의 사이의 중간점에서의 메인로프(8)들의 간격은 디플렉팅 쉬브 홈(11a, 11b, 11c)의 간격(P2)보다도 작게 된다. 따라서, 간격(P2)은 구동쉬브(6)와 디플렉팅 쉬브(11)와의 사이의 중간점에서의 메인로프(8)들이 접촉하지 않는 최소의 치수로 설 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 균형추 리턴쉬브(10) 및 디플렉팅 쉬브(11)의 회전축이 각각 수평이며,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에 대한 메인로프(8)의 굽힘방향과 디플렉팅 쉬브(11)에 대한 메인로프(8)의 굽힘방향이 서로 역방향이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3)의 치수변경으로의 대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3)의 사이즈를 변경(소형화)한 경우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구동장치(5)와,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 균형추 리턴쉬브(10) 및 디플렉팅 쉬브(11)와의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것만으로 되고, 메인로프(8)의 배치각도 등은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 즉, 구동장치 유니트(14)의 길이치수를 변화시키는 것만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사이즈 변경에 대응할 수 있다.
또, 구동장치(5),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 균형추 리턴쉬브(10) 및 디플렉팅 쉬브(11)는 구동장치 유니트(14)로서 유니트화해 두기 때문에, 공장으로부터의 출하시에 일체화해 둠으로써, 설치공사할 때에는 일체로 올려 지지프레임(13)에 고정할 수 있어 설치공사의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구동장치 유니트(14)가 장착된 지지프레임(13)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a, 1b) 및 균형추 가이드 레일(2a, 2b)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3)이나 균형추(4)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한 수직하중을 4개의 레일(1a, 1b, 2a, 2b)로 균등하게 지지시킬 수 있어 작은 단면의 레일(1a, 1b, 2a, 2b)을 이용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는 메인로프(8)의 구동쉬브(6)와 디플렉팅 쉬브(11)와의 사이의 부분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틈새(g)를 작게 하는 것에 의해 구동장치 유니트(14)의 높이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구동장치(5)는 수직투영면에서 엘리베이터 칸(3)과 겹치도록 엘리베이터 칸(3)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구동쉬브(6)는 구동장치본체(7)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구동장치본체(7)에 대한 보수작업을 엘리베이터 칸(3) 위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로프 접속부(12)에서의 메인로프(8)의 간격(P3)은 메인로프 접속부(12)의 크기로 정해지고, 디플렉팅 쉬브 홈(11a, 11b, 11c)의 간격(P2)보다도 꽤 크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 홈(9a, 9b, 9c)의 간격(P1)을 작게 하거나, 엘리베이터 칸(3)이 최상층에 위치할 때의 엘리베이터 칸(3)과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와의 사이의 간격을 작게 하거나 하면, 메인로프(8)의 진입각도(플릿 앵글(fleet angle)(θ1, θ2)가 크게 된다. 예를 들면, 만일 P1 = P2로 한 경우, 진입각도(θ1)는 도 3 상태보다도 꽤 크게 된다. 또, 만일 P1 = P3로 한 경우, 진입각도(θ2)는 도 4 상태보다도 꽤 크게 된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형태 1에서는 P2 < P1 < P3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진입각도(θ1, θ2)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메인로프(8)가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 홈(9a, 9c)으로부터 어긋나거나 메인로프(8)의 표면이 마모하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구동장치 유니트(14)의 수평방향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한, 엘리베이터 칸(3)이 최상층에 위치할 때의 엘리베이터 칸(3)과 구동장치 유니트(14)와의 사이의 상하방향의 틈새를 작게 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균형추(4)는 엘리베이터 칸(3)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에 엘리베이터 칸(3)의 배면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칸(3)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 균형추 리턴쉬브(10) 및 디플렉팅 쉬브(11)의 회전축은 엘리베이터 칸(3)의 폭방향에 평행하다.
메인로프(8)의 구동쉬브(6)로부터 디플렉팅 쉬브(11)까지의 부분과, 메인로프(8)의 구동쉬브(6)로부터 균형추 리턴쉬브(10)까지의 부분은 엘리베이터 칸(3)의 안길이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4 지지빔(13d)에는 균형추 리턴쉬브(10)와 균형추(4)와의 사이의 부분의 메인로프(8)를 통과시키는 구멍(13e)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균형추(4)가 엘리베이터 칸(3)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장치 유니트(14)의 길이치수를 변화시키는 것만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사이즈 변경에 대응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2조(組)의 구동장치 유니트(14A, 14B)가 지지프레임(13) 에 지지되어 있다. 즉, 실시형태 3에서의 구동장치는 제1 구동쉬브(6A)와 제1 구동장치본체(7A)를 가지는 제1 구동장치(5A)와, 제2 구동쉬브(6B)와 제2 구동장치본체(7B)를 가지는 제2 구동장치(5B)를 포함하고 있다.
또, 현가수단은 제1 구동쉬브(6A)에 감아 걸려진 복수 개의 제1 메인로프(8A)와, 제2 구동쉬브(6B)에 감아 걸려진 복수 개의 제2 메인로프(8B)를 포함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는 제1 메인로프(8A)가 감아 걸려진 제1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A)와, 제2 메인로프(8B)가 감아 걸려진 제2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B)를 포함하고 있다.
균형추 리턴쉬브는 제1 메인로프(8A)가 감아 걸려진 제1 균형추 리턴쉬브(10A)와, 제2 메인로프(8B)가 감아 걸려진 제2 균형추 리턴쉬브(10B)를 포함하고 있다. 디플렉팅 쉬브는 제1 메인로프(8A)가 감아 걸려진 제1 디플렉팅 쉬브(11A)와, 제2 메인로프(8B)가 감아 걸려진 제2 디플렉팅 쉬브(11B)를 포함하고 있다.
제1 구동장치(5A), 제1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A), 제1 균형추 리턴쉬브(10A) 및 제1 디플렉팅 쉬브(11A)는 제1 구동장치 유니트(14A)로서 유니트화되어 지지프레임(13)에 장착되어 있다. 또, 제2 구동장치(5B), 제2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B), 제2 균형추 리턴쉬브(10B) 및 제2 디플렉팅 쉬브(11B)는 제2 구동장치 유니트(14B)로서 유니트화되어 지지프레임(13)에 장착되어 있다.
제2 구동장치 유니트(14B)에서의 제2 구동장치(5B), 제2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B), 제2 균형추 리턴쉬브(10B) 및 제2 디플렉팅 쉬브(11B)의 배치위치는 제1 구동장치 유니트(14A)에서의 제1 구동장치(5A), 제1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A), 제1 균형추 리턴쉬브(10A) 및 제1 디플렉팅 쉬브(11A)의 배치위치에 대해서 대칭이다.
제4 지지빔(13d)에는 제1 균형추 리턴쉬브(10A)와 균형추(4)와의 사이의 부분의 제1 메인로프(8A)를 통과시키는 구멍(13e)과, 제2 균형추 리턴쉬브(10B)와 균형추(4)와의 사이의 부분의 제2 메인로프(8B)를 통과시키는 구멍(13f)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2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2조의 구동장치 유니트(14A, 14B)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구동장치 유니트(14A, 14B)의 길이치수를 변화시키는 것만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사이즈 변경에 대응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다음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제2 구동장치 유니트(14B)에서의 제2 구동장치(5B), 제2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B), 제2 균형추 리턴쉬브(10B) 및 제2 디플렉팅 쉬브(11B)의 배치위치는 제1 구동장치 유니트(14A)에서의 제1 구동장치(5A), 제1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A), 제1 균형추 리턴쉬브(10A) 및 제1 디플렉팅 쉬브(11A)의 배치위치와 동일하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3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동일구성의 2조의 구동장치 유니트(14A, 14B)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구동장치 유니트(14A, 14B)의 길이치수를 변화시키는 것만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사이즈 변경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3, 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후방에 균형추(4)를 배치하 였으나,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칸(3)의 측방에 균형추(4)를 배치해도 된다.
또, 실시형태 3, 4에서는 제1 및 제2 메인로프(8A, 8B)를 공통의 균형추(4)에 접속하였으나, 균형추(4)를 2개로 분할해도 된다.
실시형태 5.
다음으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 내의 상부에는 구동장치(15)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장치(15)는 구동쉬브(16)와, 구동쉬브(16)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본체(17)를 가지고 있다. 구동장치(15)는 구동쉬브(16)의 회전축이 연직(대략 연직을 포함한다)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동장치본체(17)는 구동쉬브(6)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구동쉬브(16)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를 가지고 있다.
또, 구동장치(15)로서는 축방향치수가 축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도 큰 세장형(細長型) 권상기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구동장치(15)는 수직투영면에서 엘리베이터 칸(3)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구동장치본체(17)는 수직투영면에서 균형추(4)와는 반대 측의 엘리베이터 칸(3)의 측면과 승강로벽과의 사이의 틈새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쉬브(16)는 구동장치본체(17)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즉, 구동쉬브(16)는 승강로 천장에 대향하고 있다.
구동장치(15),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9), 균형추 리턴쉬브(10) 및 디플렉팅 쉬브(11)는 구동장치 유니트(14)로서 유니트화되어 공통의 직사각형의 지지프레 임(13)에 장착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구동장치 유니트(14)의 길이치수를 변화시키는 것만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사이즈 변경에 대응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지지프레임(13)을 가이드 레일(1a, 1b, 2a, 2b)에 의해 지지하는 구조로 하였으나, 건물의 들보 등에 의해 지지해도 된다.
또, 메인로프(8)는 단면 원형의 로프로 하여도, 벨트모양의 로프로 하여도 된다.
또한, 구동쉬브의 회전축은 완전하게 연직이 아니어도 되고, 어느 정도 경사져 있어도 된다(예를 들면 연직선에 대해서 30°미만).
더욱이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1 : 1 로핑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3)의 상부에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를 설치함과 동시에, 균형추(4)의 상부에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를 설치하여, 2 : 1 로핑방식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동쉬브의 회전축이 연직이 되도록 승강로의 상부에 구동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14)

  1. 구동쉬브와, 상기 구동쉬브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본체를 가지고, 상기 구동쉬브의 회전축이 연직(鉛直)이 되도록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구동장치,
    상기 구동쉬브에 감아 걸려진 현가수단,
    상기 현가수단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에 매달려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쪽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구동쉬브의 일측에서 상기 현가수단이 감아 걸려져 상기 현가수단을 상기 엘리베이터 칸으로 유도하는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
    상기 균형추의 위쪽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구동쉬브의 타측에서 상기 현가수단이 감아 걸려져 상기 현가수단을 상기 균형추로 유도하는 균형추 리턴쉬브 및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쉬브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와의 사이에 상기 현가수단이 감아 걸려져 있는 디플렉팅 쉬브를 구비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 상기 균형추 리턴쉬브 및 상기 디플렉팅 쉬브의 회전축이 각각 수평이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에 대한 상기 현가수단의 굽힘방향과 상기 디플렉팅 쉬브에 대한 상기 현가수단의 굽힘방향이 서로 역방향인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 상기 균형추 리턴쉬브 및 상기 디플렉팅 쉬브의 회전축이 서로 평행이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는 상기 현가수단의 상기 구동쉬브와 상기 디플렉팅 쉬브와의 사이의 부분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상면의 중앙부에는 상기 현가수단을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접속하는 현가수단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고,
    수직투영면에서 상기 구동장치와 상기 디플렉팅 쉬브는 상기 현가수단 접속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는 상기 디플렉팅 쉬브보다도 상기 구동장치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현가수단은 상기 구동쉬브로부터 상기 디플렉팅 쉬브까지의 사이와, 상기 구동쉬브로부터 상기 균형추 리턴쉬브까지의 사이에서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현가수단은 복수 개의 메인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에는 상기 메인로프가 삽입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 홈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디플렉팅 쉬브에는 상기 메인로프가 삽입되는 복수의 디플렉팅 쉬브 홈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 홈의 간격은 상기 디플렉팅 쉬브 홈의 간격보다도 큰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는 상기 메인로프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접속하는 메인로프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메인로프 접속부에서의 상기 메인로프의 간격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 홈의 간격보다도 큰 엘리베이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쉬브는 상기 구동장치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축방향치수가 축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도 작은 박형(薄型) 권상기이고, 수직투영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 는 엘리베이터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축방향치수가 축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도 큰 세장형(細長型) 권상기이고, 수직투영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 상기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 상기 균형추 리턴쉬브 및 상기 디플렉팅 쉬브는 구동장치 유니트로서 유니트화되어 공통의 지지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의 승강을 안내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승강로 내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 장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제1 구동쉬브와 제1 구동장치본체를 가지는 제1 구동장치 와, 제2 구동쉬브와 제2 구동장치본체를 가지는 제2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현가수단은 상기 제1 구동쉬브에 감아 걸려진 제1 메인로프와, 상기 제2 구동쉬브에 감아 걸려진 제2 메인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는 상기 제1 메인로프가 감아 걸려진 제1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와, 상기 제2 메인로프가 감아 걸려진 제2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를 포함하고,
    상기 균형추 리턴쉬브는 상기 제1 메인로프가 감아 걸려진 제1 균형추 리턴쉬브와, 상기 제2 메인로프가 감아 걸려진 제2 균형추 리턴쉬브를 포함하며,
    상기 디플렉팅 쉬브는 상기 제1 메인로프가 감아 걸려진 제1 디플렉팅 쉬브와, 상기 제2 메인로프가 감아 걸려진 제2 디플렉팅 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장치,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 상기 제1 균형추 리턴쉬브 및 상기 제1 디플렉팅 쉬브는 제1 구동장치 유니트로서 유니트화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구동장치,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 상기 제2 균형추 리턴쉬브 및 상기 제2 디플렉팅 쉬브는 제2 구동장치 유니트로서 유니트화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장치 유니트에서의 상기 제2 구동장치,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 상기 제2 균형추 리턴쉬브 및 상기 제2 디플렉팅 쉬브의 배치위치는 상기 제1 구동장치 유니트에서의 상기 제1 구동장치,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 상기 제1 균형추 리턴쉬브 및 상기 제1 디플렉팅 쉬브의 배치위치에 대해서 대칭인 엘리베이터 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장치 유니트에서의 상기 제2 구동장치,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 상기 제2 균형추 리턴쉬브 및 상기 제2 디플렉팅 쉬브의 배치위치는 상기 제1 구동장치 유니트에서의 상기 제1 구동장치,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리턴쉬브, 상기 제1 균형추 리턴쉬브 및 상기 제1 디플렉팅 쉬브의 배치위치와 동일한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97018341A 2007-06-01 2007-06-01 엘리베이터 장치 KR1010773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61165 WO2008146403A1 (ja) 2007-06-01 2007-06-01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996A true KR20100004996A (ko) 2010-01-13
KR101077326B1 KR101077326B1 (ko) 2011-10-26

Family

ID=40074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8341A KR101077326B1 (ko) 2007-06-01 2007-06-01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54099B1 (ko)
JP (1) JP5078998B2 (ko)
KR (1) KR101077326B1 (ko)
CN (1) CN101622186B (ko)
WO (1) WO20081464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75153A1 (en) * 2009-12-09 2011-06-16 Thyssenkrupp Elevator Capital Corporation Elevator apparatus yielding no reverse rope bend
EP2921446A1 (en) * 2014-03-18 2015-09-23 Kone Corporation An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5268U (ja) * 1981-11-11 1983-05-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のロ−プ端末連結装置
ES2197280T3 (es) * 1996-11-11 2004-01-01 Inventio Ag Instalacion de ascensor con una unidad de accionamiento dispuesta en la caja de ascensor.
JP4675548B2 (ja) * 2000-08-21 2011-04-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1174910C (zh) * 2000-08-28 2004-11-10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CN1184131C (zh) * 2000-08-29 2005-01-12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WO2002098782A1 (fr) * 2001-06-04 2002-12-1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ascenseur
JP4110096B2 (ja) 2002-03-01 2008-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4416381B2 (ja) * 2002-06-14 2010-02-1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CN1251954C (zh) * 2002-07-08 2006-04-19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4108454B2 (ja) 2002-11-21 2008-06-25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JPWO2005056455A1 (ja) * 2003-12-09 2007-07-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WO2006033146A1 (ja) * 2004-09-22 2006-03-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装置
JP4757803B2 (ja) * 2004-09-30 2011-08-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4580749B2 (ja) * 2004-12-20 2010-11-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システム
EP1886956A4 (en) * 2005-06-02 2013-01-16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22186B (zh) 2011-06-22
JPWO2008146403A1 (ja) 2010-08-19
KR101077326B1 (ko) 2011-10-26
EP2154099A1 (en) 2010-02-17
EP2154099A4 (en) 2014-01-15
WO2008146403A1 (ja) 2008-12-04
JP5078998B2 (ja) 2012-11-21
CN101622186A (zh) 2010-01-06
EP2154099B1 (en)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5212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96103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889412B2 (ja) エレベータの懸架構造およびガイドシュー構造
US6619433B1 (en) Elevator system using minimal building space
KR10133580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1481935A1 (en) Elevaltor apparatus
JPWO2007069311A1 (ja) エレベータ装置
EP1591405B9 (en) Elevator
CN101837921B (zh) 电梯的轿厢
JP5235577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07732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50002816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60111682A (ko)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EP1512652A1 (en) Elevator
EP1586525B1 (en) Elevator equipment
KR10091107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1736431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80488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20194523A1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機械台
KR10076665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0488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5225627A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7039926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7010589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60031626A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