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1682A -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682A
KR20060111682A KR1020067015677A KR20067015677A KR20060111682A KR 20060111682 A KR20060111682 A KR 20060111682A KR 1020067015677 A KR1020067015677 A KR 1020067015677A KR 20067015677 A KR20067015677 A KR 20067015677A KR 20060111682 A KR20060111682 A KR 20060111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elevator
machine room
hoist
hoist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기가와
다카시 유무라
겐이치 오카모토
히데아키 고데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1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6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Abstract

본 발명은 가이드 레일(4)을 따라서 승강하는 카(2) 및 이 카의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쪽 또는 배면 쪽을 따라서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3)를 승강로 정상부에 설치된 권상기(11)에 의하여 구동하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일단이 각각 상기 카의 좌우 양쪽의 카의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카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인 위치에 가까운 위치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균형추에 고정된 2 계통의 제 1 및 제 2 권상 로프(7a, 7b)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권상 로프의 한쪽을 상기 권상기로 구동하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MACHINE ROOM-LESS ELEVATOR}
본 발명은 권상기를 설치하는 기계실을 필요없게 한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조권 문제 때문에 승강로 정상부에 설치된 기계실을 갖지 않는, 이른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로서, 권상기 또는 구동 시브를 2 계통으로 분할하여, 승강로 정상부의 높이를 보다 낮게 한 엘리베이터가 있다. 균형추가 카의 출입구에서 보아 배면 쪽에 배치된 엘리베이터[이하, 추 후락(後落) 엘리베이터라고 기재](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01-261257 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1999-157762 호 참조), 균형추가 카의 출입구에서 보아 오른쪽 또는 왼쪽 중 어느 한쪽의 측부에 배치된 엘리베이터[이하, 추 횡락(橫落) 엘리베이터라고 기재](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1999-106159 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1998-167609 호 참조)가 있다.
이들 종래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에서는 권상 로프가 2 계통이고 구동 시브도 두 개 필요하다는 것 등 때문에 권상기 구조, 권상 로프의 권회 기구가 복잡 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또, 되돌림 활차나 권상기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승강로 정상부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없다는 등의 과제가 있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보다 간단한 구조로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승강하는 카 및 이 카의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쪽 또는 배면 쪽을 따라서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를 승강로 정상부에 설치된 권상기에 의하여 구동하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일단이 각각 상기 카의 좌우 양쪽의 카의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카의 중심(重心)에 대하여 대칭인 위치에 가까운 위치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균형추에 고정된 2 계통의 제 1 및 제 2 권상 로프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권상 로프의 한쪽을 상기 권상기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카의 카 매다는 점 위치 등을 고안함으로써 2 계통의 권상 로프 중 1 계통만을 권상기로 구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권상기 등의 구조가 보다 간단한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정상부에서 아래쪽을 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정상부에서 아래쪽을 본 구성도,
도 4는 도 3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변형예를 도시한 승강로 정상부에서 아래쪽을 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승강로 정상부에서 아래쪽을 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정상부에서 아래쪽을 본 구성도,
도 8은 도 7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정상부에서 아래쪽을 본 구성도,
도 10은 도 9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변형예를 도시한 승강로 정상부에서 아래쪽을 본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승강로 정상부에서 아래쪽을 본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정상부에서 아래쪽을 본 구성도,
도 14는 도 13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정상부에서 아래쪽을 본 구성도,
도 16은 도 15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의 변형예를 도시한 승강로 정상부에서 아래쪽을 본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승강로 정상부에서 아래쪽을 본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정상부에서 아래쪽을 본 구성도,
도 20은 도 19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측면도.
실시형태 1.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1은 승강로 정상부에서 아래쪽을 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승강로(1)에 있어서, 2 계통의 권상 로프(7a, 7b)는 일단을 카(2)의 양 옆에 설치된 카 매다는 점(2a, 2b)에, 타단을 균형추(3)의 중심에 설치된 추 매다는 점(3a, 3b)에 고정하고, 권상 로프(7a, 7b)는 각각 편향 활차(8a, 8b), 시브(6a), 활차(6b), 되돌림 활차(9a, 9b, 10a, 10b)에 감아 걸린다. 여기서, 편향 활차(8a, 8b)는 카 매다는 점(2a, 2b)의 위쪽의 승강로 정상부에 설치되고, 시브(6a), 활차(6b)에 권상 로프가 감기는 각을 크게 하는 동시에, 카 매다는 점(2a, 2b)을 연결하는 직선을 도 1에 있어서 카의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중심(G) 위치에 접근시키는 역할을 갖고 있다. 또한, 두 개의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이 중심 위치(G)의 가까이 통과한다는 것은 이들 두 개의 위치가 중심에 대하여 대칭인 위치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시브(6a), 활차(6b)는 승강로 정상부의 카의 수평 투영면의 외부이면서 균형추(3)가 승강하는 영역, 즉 카 도어(20)에서 보아 카의 배면 쪽에, 편향 활차(8a, 8b)와 평행인 회전축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되돌림 활차(9a, 9b, 10a, 10b)는 도 1에 있어서 시브(6a), 활차(6b)의 끝점부터 추 매다는 점(3a, 3b)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시브(6a)는 승강로 정상부에 있어서 카(2)가 승강하는 수평 투영면 영역의 외부이면서 균형추(3)가 승강하는 쪽에 배치된 권상기(11)(균형추나 권상 로프 등의 구성과 겹치기 때문에 도면에 파선으로 표시, 이하 동일)에 의하여 구동된다.
균형추(3)는 승강로와 카에 설치된 출입구에서 보아 배면 쪽에 배치되어 있다. 카(2) 및 균형추(3)는 각각 상하 좌우(네 귀퉁이)에 설치된 가이드(12, 13)에 의해서 가이드 레일(4) 또는 가이드 레일(5)에 지지된다. 카(2)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4)에 의하여, 균형추(3)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5)에 의하여 안내된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4)은 그 선단을 연결하는 직선이 카의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카 중심(G)(이하 동일)의 근방을 통과하고, 카 매다는 점(2a, 2b)을 연결하는 직선과의 사이에 카 중심(G)이 존재하도록 설치된다. 편향 활차(8a, 8b), 시브(6a), 활차(6b), 되돌림 활차(9a, 9b, 10a, 10b), 권상기(11)는 가이드 레일(4, 5)에 의하여 그 하중이 지지되는 것으로 한다.
도 2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카 위치는 카의 도달 상한이며, 권상기(11)는 시브(6a)의 외경과 동일한 지름 또는 그보다도 작게 구성되어 있어, 카가 상한에 도달하더라도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종래에 2 계통의 로프를 가진 엘리베이터의 경우, 양쪽의 로프에 구동력을 부여하고 있었으므로 권상기가 복수 개 필요하거나, 하나의 모터로 두 개의 시브를 구동하는 등의 복잡한 구성이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2 계통의 권상 로프 중 어느 한쪽만으로 충분히 트랙션 능력을 확보하고, 다른 1 계통에 대해서는 트랙션 능력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시브(6a)만을 권상기의 토오크가 전달되도록 구성하고, 도면부호(6b)는 단순한 활차로 한다. 이 경우, 카에 대하여 좌우의 매다는 하중이 다르나, 가이드(12)의 강도를 크게 하여(예를 들면, 후술하는 H자형의 레일과 C자형의 가이드 사용), 지지 하중 영역을 넓힘(카 매다는 점 위치의 선택 등)으로써, 카를 균형이 잘 잡히게 승강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3,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도시하며, 도 3은 승강로 정상부에서 아래쪽을 본 구성도, 도 4는 도 3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실시형태 1과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균형추는 균형추(31, 32) 두 개로 분할되어 있고, 양쪽 모두 하나의 승강로 벽면에 대하여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다. 추 매다는 점(31a, 32b)은 각각 시브(6a), 활차(6b)의 수직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균형추(31, 32)는 각각 한 개의 가이드 레일(51a, 51b)에 안내되어 승강한다. 여기서, 가이드 레일(51a, 51b)은 종래의 T자형 레일보다 가이드와 맞닿는 레일 헤드 부분이 큰 H자형의 레일로 하고 있다. 또한, 균형추의 가이드(131a, 131b)는 레일 헤드를 둘러싸는 것 같은 C자형의 가이드이며, 권상 로프(7a, 7b)의 장력에 발생하는 균형추(31, 32)의 회전 모멘트를 전후 좌우로 지지하면서 승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권상기(11)는 카(2)의 수평 투영면과 일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카(2)가 승강로 내 가동 범위의 상한까지 도달하였을 때(도 4에 파선으로 도시) 카의 일부와 권상기 등, 승강로 정상부에 설치되는 기기가 간섭한다. 이 때문에, 카 상부의 권상기와 간섭하는 부분을 잘라내고 있다. 카의 상부는 승객을 수용하는 카 실(室)과, 카 실을 지지하는 강도 부재, 또한 각종 부속 기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카와 간섭하는 기기의 크기에 따라, 카 실보다 위쪽 부분을 잘라내면 되는 경우, 카 실 자체를 잘라내는 경우가 있다. 카 실 자체를 잘라내는 경우에는 승객을 수용하는 공간에 지장이 없도록, 잘라내는 부분은 천정부만으로 하는 등, 최소한에 그친다.
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 1과 같은 되돌림 활차에 의한 로프의 움직임이 적어, 로프 구성이 단순하고 길이도 짧아도 된다. 또, 카를 잘라냄으로써 승강로 상부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는 데다가 권상기 등의 설계의 자유도가 늘고, 각 기기 배치의 자유도도 늘어,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권상기(11)는 시브(6a)만을 구동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활차(6b)만을 구동하거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상기를 2대로 하여 활차(6b)도 구동하거나,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브(6a), 활차(6b)를 동일한 축 상에 구성하고, 1대의 모터(권상기)(11a)로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형태 3.
도 7,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도시하며, 도 7은 승강로 정상부에서 아래쪽을 본 구성도, 도 8은 도 7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설명을 생략한다. 2 계통의 권상 로프(72a, 72b)는 일단을 카(2)의 양 옆에 설치된 카 매다는 점(2a, 2b)에, 타단을 균형추(3)의 중심에 설치된 추 매다는 점(33)에 고정된다. 권상 로프(72a)는 편향 활차(8a), 시브(62), 되돌림 활차(92, 102)에 감아 걸린다. 권상 로프(72b)는 편향 활차(82b), 수평 활차(되돌림 활차)(142, 141)를 거쳐, 시브(62), 되돌림 활차(92, 102)에 감아 걸린다. 따라서 시브(62)로부터 추 매다는 점(33)까지는 권상 로프(72a)와 동일한 경로가 된다.
편향 활차(82b)는 카 매다는 점(2b)의 위쪽의 승강로 정상부에 설치되고, 카 매다는 점(2a, 2b)을 연결하는 직선을 도 7에 있어서 카의 중심(G) 위치에 접근시키는 역할을 갖고 있다. 시브(62)는 승강로 정상부의 카의 수평 투영면의 외부에서, 균형추(3)가 승강하는 영역, 즉 카 도어(20)에서 보아 카의 배면 쪽에, 편향 활차(8a)와 평행인 회전축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고, 권상기(11)에 의하여 구동된다. 또, 되돌림 활차(92, 102)는 도 7에 있어서 시브(62)의 끝점부터 추 매다는 점(33)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수평 활차(141, 142)는 승강로 정상부의 카의 도달점의 상한보다 위쪽에 수직 방향으로 축을 갖도록 배치되고, 시브(62)를 경유한 권상 로프(72b)를 승강로 천정 근방을 통과하여 편향 활차(82b)에 안내하는 역할을 갖는다. 수평 활차(141, 142)에는 카나 균형추가 승강로 바닥부의 완충기에 충돌하여, 권상 로프의 장력이 해제된 경우이더라도 활차의 홈으로부터 로프가 벗겨지지 않도록 벗겨짐 제지부(151, 152)가 부착되어 있다. 편향 활차(8a, 82b), 시브(62), 수평 활차(141, 142), 되돌림 활차(92, 102), 권상기(11)는 가이드 레일(4, 5)에 의하여 그 하중이 지지되는 것으로 한다.
카의 양 옆에 매다는 점을 갖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하나의 시브로 구동할 수 있어, 권상기의 구조가 단순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권상 로프(72b)는 시브(62)와의 감기는 각을 90° 밖에 취할 수 없다. 그 때문에, 권상 로프에는 수지 피복 로프 등, 종래의 강제(鋼製) 로프에 비하여 마찰계수가 높은 것을 사용하여, 충분한 트랙션 능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 실시형태 1과 같이 시브(62) 중 권상 로프(72b)가 감아 거는 부분만을 별개의 활차로 하고, 권상기(11)의 구동축에 대하여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하는 등으로, 구동력을 전달하지 않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형태 4.
도 9,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도시하며, 도 9는 승강로 정상부에서 아래쪽을 본 구성도, 도 10은 도 9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설명을 생략한다. 2 계통의 권상 로프(73a, 73b)는 일단을 카(2)의 양 옆에 설치된 카 매다는 점(23a, 23b)에, 타단을 균형추(3)의 중심에 설치된 추 매다는 점(33a, 33b)에 고정한다. 권상 로프(73a)는 시브(63a), 되돌림 활차(93a, 103a)에 감아 걸린다. 권상 로프(73b)는 편향 활차(83b), 수평 활차(되돌림 활차)(143), 활차(63b), 되돌림 활차(93b, 103b)에 감아 걸린다. 카 매다는 점(23a, 23b)은 양자를 연결하는 직선이 카 중심(G) 근방을 통과하도록 카에 대하여 대각 배치되어 있다. 즉, 카 매다는 점(23a, 23b)은 양자를 연결하는 직선이 카 중심(G) 근방을 통과하고, 또한 카 중심(G)에 점 대칭에 가까우면서 카의 대각적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카(2)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43a, 43b)도 레일 선단을 연결하는 직선이 카 중심(G)의 근방을 통과하도록, 수평 투영면 상에서 카 매다는 점보다 카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카에 대하여 대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가이드 레일(43a, 43b)도 양자를 연결하는 직선이 카 중심(G) 근방을 통과하고, 또한 카 중심(G)에 점 대칭에 가까우면서 카의 대각적인 위치에 배치되고, 그 위치는 카 매다는 점보다 카 중심에 가까운 위치가 되어 있다.
여기서, 편향 활차(83b)는 카 매다는 점(23b)의 위쪽의 승강로 정상부에 설치되고, 카 매다는 점(23a, 23b)을 연결하는 직선을 도 9에 있어서 카의 중심(G) 위치에 접근시키는 역할을 갖고 있다. 수평 활차(143)는 카 도달점의 상한보다 위에 수직 방향으로 축을 갖도록 배치되고, 활차(63b)를 경유한 권상 로프(73b)를 승강로 천정 근방을 통과하여 편향 활차(83b)에 안내하는 역할을 갖는다. 또, 수평 활차(143)에는 카나 균형추가 승강로 바닥부의 완충기(도시하지 않음)에 충돌하여, 권상 로프의 장력이 해제된 경우이더라도 활차의 홈으로부터 로프가 벗겨지지 않도록 벗겨짐 제지부(153)가 부착되어 있다. 시브(63a)는 승강로 정상부의 카의 수평 투영면의 외부이면서 균형추(3)가 승강하는 영역, 즉 카 도어(20)에서 보아 카의 측면 쪽에(도면에서는 균형추가 왼쪽에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좌우 어느 쪽이어도 됨), 도 9에 있어서 균형추의 긴 쪽 방향, 즉 카의 안쪽 길이 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되돌림 활차(93a, 93b, 103a, 103b)는 도 9에 있어서 시브(63a), 활차(63b)로부터 추 매다는 점(33a, 33b)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편향 활차(83b), 시브(63a), 수평 활차(143), 활차(63b), 되돌림 활차(93a, 93b, 103a, 103b), 권상기(11)는 가이드 레일(43a, 43b, 53)에 의하여 그 하중이 지지되는 것으로 한다. 시브(63a)는 승강로 정상부에 있어서 카(2)가 승강하는 수평 투영면 영역의 외부이면서 균형추(3)가 승강하는 쪽에 배치된 권상기(11)(도면에 파선으로 표시)에 의하여 구동된다.
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는 이상과 같이 구성하고, 수직 방향으로 회전축을 갖는 수평 활차에 의하여 승강로 천정 근방에 권상 로프를 배치하기 때문에, 종래의 균형추가 카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 비하여 승강로의 높이가 낮아도 된다. 또, 카의 가이드 레일(43a, 43b)을 카에 대하여 대각 배치로 하였으므로, 가이드 레일(43a)의 위치가 승강로 전방[출입구(20) 쪽]에 접근하여, 균형추(3)의 가이드 레일(53)의 레일 스팬을 크게 잡을 수 있다. 따라서, 균형추의 긴 쪽(안쪽 길이) 방향 길이가 길어져, 동일한 무게를 확보하기 위하여 추의 가로 폭 또는 수직 방향 높이를 종래보다 작게 할 수 있다. 균형추의 가로 폭이 작아지면 평면 공간, 수직 방향 높이가 짧아지면 승강로 높이를 각각 작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권상기(11)는 시브(63a)만을 구동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상기(실선으로 나타냄)를 두 대로 하여 활차(63b)도 구동하거나, 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브(63a), 활차(63b)를 동일한 축 상에 구성하고, 한 대의 모터(권상기)(11a)로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활차(63b)만을 구동해도 되나, 그 경우, 권상 로프(73b)가 활차(63b)에 감기는 각은 90˚이하가 되기 때문에, 권상 로프로는 수지 피복 로프 등, 종래의 강제 로프에 비하여 마찰계수가 높은 것을 사용하여, 충분한 트랙션 능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실시형태 5.
도 13,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도시하며, 도 13은 승강로 정상부에서 아래쪽을 본 구성도, 도 14는 도 13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설명을 생략한다. 2 계통의 권상 로프(74a, 74b)는 일단을 카(2)의 양 옆에 설치된 카 매다는 점(23a, 23b)에, 타단을 균형추(3)의 중심에 설치된 추 매다는 점(34)에 고정한다. 권상 로프(74a)는 시브(64), 되돌림 활차(94, 104)에 감아 걸린다. 권상 로프(74b)는 편향 활차(83b), 수평 활차(143), 시브(64), 되돌림 활차(94, 104)에 감아 걸린다. 따라서, 시브(64)로부터 균형추(3)의 추 매다는 점(34)까지는 권상 로프(74a)와 동일한 경로가 된다. 카 매다는 점(23a, 23b)은 양자를 연결하는 직선이 카 중심(G) 근방을 통과하도록 카에 대하여 대각 배치되어 있다. 즉, 카 매다는 점(23a, 23b)은 양자를 연결하는 직선이 카 중심(G) 근방을 통과하고, 또한 카 중심(G)에 점 대칭에 가까우면서 카의 대각적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카(2)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44a, 44b)도 레일 선단을 연결하는 직선이 카 중심(G)의 근방을 통과하도록, 카 매다는 점보다 카 중심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가이드 레일(44a, 44b)도 양자를 연결하는 직선이 카 중심(G) 근방을 통과하고, 또한 카 중심(G)에 점 대칭에 가까우면서 카의 대각적인 위치에 배치되고, 그 위치는 카 매다는 점보다 카 중심으로부터 먼 위치가 되어 있다.
시브(64)는 승강로 정상부의 카의 수평 투영면의 외부이면서 출입구에서 보아 균형추가 승강하는 카의 측면 쪽(도면에서는 균형추가 좌측에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좌우 어느 쪽이어도 됨)에, 도 13에 있어서 균형추의 긴 쪽 방향, 즉 카의 안쪽 길이 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되돌림 활차(94, 104)는 도 13에 있어서 시브(64)의 끝점으로부터 추 매다는 점(34)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편향 활차(83b), 시브(64), 수평 활차(143), 되돌림 활차(94, 104), 권상기(11)는 가이드 레일(44a, 44b, 53)에 의하여 그 하중이 지지되는 것으로 한다. 시브(64)는 승강로 정상부에 있어서 카(2)가 승강하는 수평 투영면 영역의 외부이면서 균형추(3)가 승강하는 쪽에 배치된 권상기(11)(도면에 파선으로 표시)에 의하여 구동된다.
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카의 양 옆에 매다는 점을 갖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하나의 시브로 구동할 수 있어, 권상기의 구조가 단순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는 이상과 같이 구성하고, 수직 방향으로 회전축을 갖는 수평 활차에 의하여 승강로 천정 근방에 권상 로프를 배치하기 때문에, 종래의 균형추가 카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 비하여 승강로 높이가 작아도 된다. 또, 카의 가이드 레일(44a, 44b)을 카에 대하여 대각적 배치로 하였으므로, 가이드 레일(44a)의 위치가 승강로 전방[출입구(20) 쪽]에 접근하여, 균형추(3)의 가이드 레일(53)의 레일 스팬을 크게 잡을 수 있다. 따라서, 균형추의 긴 쪽(안쪽 길이) 방향 길이가 길어져서, 동일한 무게를 확보하기 위하여 추의 가로 폭 또는 수직 방향 높이를 종래보다 작게 할 수 있다. 균형추의 가로 폭이 작아지면 평면 공간을, 수직 방향 높이가 짧아지면 승강로 높이를 각각 작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권상 로프(74b)는 시브(64)와의 감기는 각을 90˚ 밖에 취할 수 없다. 그 때문에, 권상 로프에는 수지 피복 로프 등, 종래의 강제 로프에 비하여 마찰계수가 높은 것을 사용하여, 충분한 트랙션 능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 실시형태 1과 같이 시브(64) 중 권상 로프(74b)가 감아 걸리는 부분만을 별개의 활차로 하여, 권상기(11)의 구동축에 대하여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하는 등으로, 구동력을 전달하지 않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형태 6.
도 15,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도시하며, 도 15는 승강로 정상부에서 아래쪽을 본 구성도, 도 16은 도 15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균형추(35, 36)는 두 개로 분할되어 있고, 양쪽 모두 카 출입구(20)에서 보아 측면(도면에서는 균형추가 좌측에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좌우 어느 쪽이어도 됨)의 하나의 승강로 벽면에 대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추 매다는 점(35a, 36b)은 각각 시브(65a), 활차(65b)의 수직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2 계통의 권상 로프(75a, 75b)는 일단을 카(2)의 양 옆에 설치된 카 매다는 점(25a, 25b)에, 타단을 균형추(35, 36)의 추 매다는 점(35a, 36b)에 고정한다. 권상 로프(75a)는 시브(65a), 되돌림 활차(95a, 105a)에 감아 걸린다. 권상 로프(75b)는 활차(65b), 수평 활차(143), 편향 활차(83b)에 감아 걸린다.
또, 균형추(35, 36)는 각각 한 개의 가이드 레일(55a, 55b)에 안내되어 승강한다. 여기서, 가이드 레일(55a, 55b)은 종래의 T자형의 레일보다 가이드와 맞닿는 레일 헤드 부분이 큰 H자형의 레일로 하고 있다. 균형추의 가이드(135a, 135b)는 레일 헤드를 둘러싸는 것 같은 C자형의 가이드이며, 권상 로프(75a, 75b)의 장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균형추(35, 36)의 회전 모멘트를 전후 좌우로 지지하면서 승강할 수 있다.
카 매다는 점(25a, 25b)과 카(2)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45a, 45b)은 각각을 연결하는 직선이 출입구 면과 평행이면서 양 직선 사이에 카 중심(G)이 존재하고, 양 직선이 카 중심(G) 근방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편향 활차(83b)는 카 매다는 점(25b)의 위쪽의 승강로 정상부에 설치되고, 카 매다는 점(25a, 25b)을 연결하는 직선을 도 15에 있어서 카의 중심(G) 위치에 접근시키는 역할을 갖고 있다. 시브(65a)는 승강로 정상부의 카의 수평 투영면의 외부이면서 카 도어(20)에서 보아 균형추가 승강하는 카의 측면 쪽(도면에서는 균형추가 좌측에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좌우 어느 쪽이어도 됨)에 도 15에 있어서 균형추의 긴 쪽 방향, 즉 카의 안쪽 길이 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되돌림 활차(95a, 105a)는 도 15에 있어서 시브(65a)로부터 카 매다는 점(25a)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편향 활차(83b), 수평 활차(143), 활차(65b), 시브(65a), 되돌림 활차(95a, 105a), 권상기(11)는 가이드 레일(45a, 45b, 55a, 55b)에 의하여 그 하중이 지지되는 것으로 한다. 시브(65a)는 승강로 정상부에 있어서 카(2)가 승강하는 수평 투영면 영역의 외부이면서 균형추(35, 36)가 승강하는 쪽에 배치된 권상기(11)(도면에 파선으로 표시)에 의하여 구동된다.
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시형태 4와 같은 되돌림 활차에 의한 로프의 움직임이 작아, 로프 구성이 단순하고 길이도 짧아도 된다. 또, 균형추를 분할하였으므로, 카의 가이드 레일 배치를 카 중심 근처에 카 도어(20)에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권상기(11)는 시브(65a)만을 구동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상기(11)(실선으로 나타냄)를 두 대로 하여 시브(65a), 활차(65b)의 양 바퀴를 구동하거나, 또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브(65a), 활차(65b)를 동일한 축 상에 구성하여 한 대의 모터(권상기)(11a)로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활차(65b)만을 구동해도 되나, 그 경우, 권상 로프(75b)가 활차(65b)에 감기는 각은 90˚이하가 되기 때문에, 권상 로프에는 수지 피복 로프 등, 종래의 강제 로프에 비하여 마찰계수가 높은 것을 사용하여 충분한 트랙션 능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실시형태 7.
도 19,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도시하며, 도 19는 승강로 정상부에서 아래쪽을 본 구성도, 도 20은 도 19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는 권상 로프(76)를 1 계통으로 한 점과, 균형추(3)를 매다는 활차(30)로 지지한 점 이외에는 도 1과 동일하다. 균형추(3)에는 매다는 활차(30)를 설치하고, 권상 로프(76)는 균형추에 고정되지 않고 매다는 활차에 감아 걸어 균형추를 지지한다. 권상 로프(76)는 일단이 카의 지지부(2a)에 고정되고, 편향 활차(8a)를 거쳐, 시브(6a)에 감아 걸리고, 두 개의 되돌림 활차(9a, 10a)로 방향을 변환한 후, 균형추의 매다는 활차(30)에 감아 걸려 전술한 것과 동일한 되돌림 활차(10b, 9b), 활차(6b), 편향 활차(8b)를 거쳐 카의 지지부(2b)에 타단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권상 로프는 1 계통이 된다. 권상 로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늘어남이 생긴다. 이 늘어남은 권상 로프의 제조상의 불균일 등에 의하여 일정하지는 않다. 따라서, 2 계통의 권상 로프의 경우, 승강 행정이 길수록 늘어남의 차이는 커져, 카에 기울어짐이 발생한다. 이를 수정하기 위하여 조정하는 수고로움이 필요하게 된다. 권상 로프를 1 계통으로 함으로써, 보수에 필요로 하는 관리 비용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매다는 활차(30)를 균형추의 상부에 설치한 예로 설명하였으나, 하부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매다는 활차를 균형추에 설치한 예로 설명하였으나, 카에 설치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에 균형추의 매다는 활차(30)를 설치하여 2 계통의 로프를 1 계통으로 한 것이나, 실시형태 3, 실시형태 4 및 실시형태 5에 있어서 균형추에 매다는 활차를 설치하여 2 계통의 로프를 1 계통으로 해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의 가능한 조합도 포함하는 것이며, 2 계통의 권상 로프의 한쪽을 권상기로 구동하는 것, 균형추를 각각 한 개의 가이드 레일로 안내되는 두 개의 균형추로 구성하는 것, 특히 승강로 정상부에 있어서 수직 방향의 축으로 축 지지된 되돌림 활차를 사용하는 것, 카가 승강로의 상한에 도달하였을 때에 권상기와 간섭하는 카의 부분을 잘라내는 것, 카의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쪽에 균형추가 설치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권상 로프가 감아 걸린 구동 시브의 축 방향이 카의 안쪽 길이 방향이 되도록 배치하는 것, 및 균형추에 매다는 활차를 설치하고, 권상 로프를 일단이 카의 좌우 한쪽의 측면 쪽에 고정되며, 제 1 시브, 매다는 활차, 제 2 시브의 순서로 감아 걸리고 타단이 카의 반대쪽의 위치이면서 상기 일단과 카의 중심에 대하여 대략 대칭이 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권회하는 것 등에 의하여, 권상기 구조 또는 권상 로프의 권회 기구를 간단하게 하거나 승강로 정상부의 높이를 보다 낮게 하는 것이 그 요지이다.

Claims (12)

  1.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승강하는 카 및 상기 카의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쪽 또는 배면 쪽을 따라서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를 승강로 정상부에 설치된 권상기에 의하여 구동하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일단이 각각 상기 카의 좌우 양쪽의 카의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카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인 위치에 가까운 위치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균형추에 고정된 2 계통의 제 1 및 제 2 권상 로프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권상 로프의 한쪽을 상기 권상기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권상 로프의 타단이 상기 균형추에 함께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추가 각각 1개의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제 1 및 제 2 균형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권상 로프의 타단이 상기 제 1 및 제 2 균형추에 각각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균형추가 상기 승강로의 카 측면 쪽 또는 배면 쪽에 있어서 사이에 각각의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도록 하여 양쪽으로 나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승강로 정상부에 있어서 수직 방향의 축으로 축 지지된 되돌림 활차에 의하여 적어도 1 계통의 상기 권상 로프의 방향 및 위치를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권상 로프를 동일한 권상기에 의하여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7. 제 5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상기 권상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권상 로프를 각각 다른 권상기에 의하여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카가 승강로의 상한에 도달하였을 때에 권상기와 간섭하는 카의 부분을 잘라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를 안내하는 두 개의 상기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2개의 상기 가이드 레일을 카의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카의 중심에 대하여 점 대칭에 가까운 위치이면서 카의 대각적인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권상 로프를 동일한 권상기에 의하여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11. 제 9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상기 권상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권상 로프를 각각 다른 권상기에 의하여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12.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승강하는 카 및 상기 카의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쪽 또는 배면 쪽을 따라서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를 승강로 정상부에 설치된 권상기에 의하여 구동하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균형추에 매다는 활차를 설치하는 동시에, 일단이 상기 카의 좌우 한쪽의 측면 쪽에 고정되고, 제 1 시브, 상기 매다는 활차, 제 2 시브의 순서로 감아 걸리고 타단이 상기 카의 반대쪽 위치이면서 상기 일단과 카의 수평면 내에 있어서 카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에 가까운 위치에 고정된 권상 로프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KR1020067015677A 2004-02-19 2005-02-17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KR200601116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43049 2004-02-19
JP2004043049 2004-0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682A true KR20060111682A (ko) 2006-10-27

Family

ID=34879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677A KR20060111682A (ko) 2004-02-19 2005-02-17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170005A1 (ko)
JP (2) JPWO2005080250A1 (ko)
KR (1) KR20060111682A (ko)
CN (1) CN1922092A (ko)
DE (1) DE112005000398B4 (ko)
WO (1) WO20050802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00225A1 (ja) * 2004-04-14 2005-10-2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装置
ES2294943B1 (es) * 2006-09-25 2009-02-16 Orona S. Coop Aparato elevador sin sala de maquinas.
CN102099280A (zh) * 2008-07-23 2011-06-15 因温特奥股份公司 具有自行的电梯轿厢的电梯设备
WO2013084310A1 (ja) * 2011-12-07 2013-06-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6321255B1 (ja) * 2017-03-28 2018-05-0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リニューアル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9787A (ja) * 1990-08-01 1992-03-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駆動装置
PT846645E (pt) * 1996-12-03 2004-10-29 Inventio Ag Ascensor de construcao modular
JPH1160117A (ja) * 1997-08-25 1999-03-02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
JP4255523B2 (ja) * 1997-10-06 2009-04-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
JP4145977B2 (ja) * 1997-09-26 2008-09-0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KR100297123B1 (ko) * 1997-09-26 2002-12-18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엘리베이터
JPH11310372A (ja) * 1998-04-28 1999-11-0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MY121775A (en) * 1998-04-28 2006-02-28 Toshiba Kk Traction type elevator apparatus
JP2000211851A (ja) * 1999-01-22 2000-08-02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タ
KR100351275B1 (ko) * 1999-07-19 2002-09-09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머신룸 레스 엘리베이터
JP2001261257A (ja) * 2000-03-23 2001-09-2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EP2042462B1 (en) * 2000-09-12 2011-05-1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apparatus
JP4726295B2 (ja) * 2000-12-19 2011-07-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JP2003104657A (ja) * 2001-09-28 2003-04-0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JP3991657B2 (ja) * 2001-11-15 2007-10-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
KR100567364B1 (ko) * 2002-04-26 2006-04-0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CN1220618C (zh) * 2002-06-10 2005-09-28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2004075270A (ja) * 2002-08-14 2004-03-1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4080875A1 (ja) * 2003-03-10 2006-06-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5056455A1 (ja) * 2003-12-09 2007-07-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05000398T5 (de) 2007-02-01
US20070170005A1 (en) 2007-07-26
DE112005000398B4 (de) 2013-09-12
JP2012056773A (ja) 2012-03-22
JPWO2005080250A1 (ja) 2007-10-25
CN1922092A (zh) 2007-02-28
WO2005080250A1 (ja) 200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846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6619433B1 (en) Elevator system using minimal building space
JPH11106159A (ja) エレベーター
WO2011018838A1 (ja) エレベータ装置
US7413055B2 (en) Elevator
JPWO2007069311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60111682A (ko)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JP5235577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870389B1 (ko) 승강기 장치
JP6432926B1 (ja) エレベータ装置
EP1512652B1 (en) Elevator
KR20050002816A (ko) 엘리베이터 장치
EP1741660A1 (en) Elevator apparatus
JPWO2004022471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195044B2 (ja) エレベーター
EP1481934B1 (en) Elevator
JP505667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4101419A1 (ja) エレベータ装置
EP1736431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80488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75286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288350Y1 (ko) 엘리베이터
KR20060006001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76665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0488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