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3822A - 작업기 - Google Patents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3822A
KR20090123822A KR1020090046658A KR20090046658A KR20090123822A KR 20090123822 A KR20090123822 A KR 20090123822A KR 1020090046658 A KR1020090046658 A KR 1020090046658A KR 20090046658 A KR20090046658 A KR 20090046658A KR 20090123822 A KR20090123822 A KR 20090123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ylinder
case
cassette
work machine
cylind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9213B1 (ko
Inventor
도모키 이토
히데아키 고바야시
도모미 나카야
마사유키 사사오카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39965A external-priority patent/JP448493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39935A external-priority patent/JP450035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40019A external-priority patent/JP46194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39893A external-priority patent/JP4619422B2/ja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3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17C13/084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for small-sized storage vessels, e.g. compressed gas cylinders or bottles, disposable gas vessels, vessels adapted for automotive u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B51/00 - A01B75/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60K15/07Mounting of tanks of gas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5/00Adaptations of engines for special u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61/00 or F02B63/00;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other devices, e.g. with non-drive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17C13/084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for small-sized storage vessels, e.g. compressed gas cylinders or bottles, disposable gas vessels, vessels adapted for automotive use
    • F17C13/085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for small-sized storage vessels, e.g. compressed gas cylinders or bottles, disposable gas vessels, vessels adapted for automotive use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04Shape cylindr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8Size portable (<30 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03Exterior arrangements
    • F17C2205/0107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03Exterior arrangements
    • F17C2205/0119Vessel walls form part of another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23Moun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number of vessels
    • F17C2205/0126One vess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3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7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for trans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2Improving properties related to fluid or fluid transfer
    • F17C2260/025Reducing transfer ti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65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 F17C2270/0184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카세트 가스 실린더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작업기를 개시한다. 카세트 가스 실린더(21)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다. 카세트 가스 실린더를 수용하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는, 카세트 가스 실린더가 수용되어 있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를 실린더와 함께 운반할 수 있도록 작업기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작업기{WORK MACHINE}
본 발명은 작업기의 본체에 탑재된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카세트 가스 실린더를 구비하는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10-131809호(JP 10-131809A)로부터 가스 엔진 동력식 작업기가 공지되어 있다. 공지의 가스 엔진 동력식 작업기는 작업기의 본체에 탑재된 가스 엔진과, 작업기 본체의 후방부로부터 상향 후방으로 연장되는 핸들 포스트와, 핸들 포스트에 설치된 가스 실린더 케이스와, 가스 실린더 케이스에 수용된 카세트 가스 실린더를 포함한다.
작업기에 있어서, 카세트 가스 실린더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를 통하여 핸들 포스트에 부착되어 있다. 카세트 가스 실린더가 핸들 포스트에 부착된 상태로, 카세트 가스 실린더로부터 가스 엔진으로 연료가 공급되어 엔진을 구동시킨다.
그러나 가스 실린더 케이스가 핸들 포스트에 부착되어 있는 구조를 통하여 카세트 가스 실린더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손으로 운반할 때에는, 카세트 가스 실린더를 가스 실린더 케이스로부터 분리하여 별도로 운반해야만 한다. 따라서 운반 시에 카세트 가스 실린더가 충격 또는 열을 받을 수도 있고, 또한 카세트 가스 실린더에 먼지가 부착될 수도 있다.
카세트 가스 실린더는 원통형의 용기이므로, 가스 실린더 케이스 내에 보관할 때에 카세트 가스 실린더가 오정렬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카세트 가스 실린더를 부착하는 작업이 복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세트 가스 실린더의 운반 중에, 카세트 가스 실린더가 충격 또는 열을 받지 않게 할 수 있고, 카세트 가스 실린더에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카세트 가스 실린더를 적절한 방위로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는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작업기 본체와, 작업기 본체에 장착된 엔진과,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카세트 가스 실린더와, 카세트 가스 실린더를 수용하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를 포함하고, 가스 실린더 케이스가 작업기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작업기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가스 실린더 케이스를 작업기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로써, 카세트 가스 실린더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로 운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세트 가스 실린더를 운반할 때에, 카세트 가스 실린더를 가스 실린더 케이스로 덮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카세트 가스 실린더가 직접적인 충격 또는 열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카세트 가스 실린더에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세트 가스 실린더는 베이스를 구비하고, 베이스의 플랜지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결부와 결합할 수 있는 위치 결정 돌기가 가스 실린더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카세트 가스 실린더가 가스 실린더 케 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는 때에 플랜지의 절결부와 위치 결정 돌기를 결합함으로써 카세트 가스 실린더를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는, 수직 방향으로부터 플랜지의 외측 둘레부를 클램핑하는 상반부 케이스와 하반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반부 케이스와 하반부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로킹 탭이 마련되며, 상반부 케이스와 하반부 케이스의 다른 하나에 로킹 탭을 구속하기 위한 로킹 탭 수용부가 마련되며, 상반부 케이스와 하반부 케이스는 로킹 탭을 로킹 탭 수용부에 의해 구속함으로써 조립 상태로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절결부가 위치 결정 돌기와 결합하고 있지 않고, 예컨대 플랜지가 예정된 위치에 있지 않으면, 플랜지에 의해 상반부 케이스와 하반부 케이스의 조립이 방해 받을 수 있다. 이로써 카세트 가스 실린더가 예정된 위치에 위치 결정되지 않은 상태로 가스 실린더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반부 케이스와 하반부 케이스는 정합부를 구비하고, 정합부는 래비린스 구조이다. 이에 따라 상반부 케이스와 하반부 케이스 각각의 정합부의 내수성(耐水性)이 증가하여, 물이 가스 실린더 케이스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업기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를 작업기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부재와,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상태와 엔진으로의 연료 공급을 정지시키는 연료 차단 상태 사이를 전환시키는 스위치 밸브와, 유지 부재에 의한 가스 실린더 케이스의 유지가 해제될 때에 유지 부재의 이동에 따라 연료 공 급 상태로부터 연료 차단 상태로 스위치 밸브를 전환시키는 밸브 결합 수단을 더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카세트 가스 실린더가 수용되어 있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를 작업기로부터 분리하는 때에, 연료 공급 상태로부터 연료 차단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스위치 밸브를 별도로 조작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가스 실린더 케이스를 간단한 조작 절차에 의해 작업기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스위치 밸브는 연료 공급 상태와 연료 차단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밸브 결합 수단은 조작 레버로부터 돌출하는 종동 돌기와, 종동 돌기가 접촉할 수 있는 구동 돌기를 구비하고, 구동 돌기는 유지 부재에 설치되어 있으며; 종동 돌기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가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작 레버에 의해 연료 공급 상태로 전환될 때에 구동 돌기와 접촉하며; 유지 부재가 가스 실린더 케이스의 유지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종동 돌기가 구동 돌기에 의해 이동하여, 조작 레버는 연료 차단 상태의 위치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스위치 밸브는, 간단한 구조로 유지 부재의 이동에 따라 연료 공급 상태로부터 연료 차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로서, 가스 실린더 케이스는 유지 부재를 적소에 고정하기 위한 래치부를 구비하고, 유지 부재는 로킹 스프링에 의해 래치부에 결합되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로킹 스프링에 의해 압박된다. 결과적으로, 로킹 스프링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단순히 유지 부재를 래치부로부터 해제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가스 실린더 케이스를 작업기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는 상반부 케이스와 하반부 케이스를 포함한 2개의 절반부를 포함하며, 래치부는 상반부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반부 케이스 및 하반부 케이스에 오정렬 방지 수단이 설치되어, 유지 부재가 래치부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반부 케이스가 하반부 케이스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오정렬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상반부 케이스와 하반부 케이스, 즉 가스 실린더 케이스를 유지 부재에 의해 만족스럽게 유지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오정렬 방지 수단은 하반부 케이스에 설치되는 좌우 스토퍼와, 좌우 스토퍼와 각각 결합하는 좌우 래치부를 구비하고, 래치부는 상반부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반부 케이스와 하반부 케이스로 구성된 가스 실린더 케이스를 간단한 구조에 의해 만족스럽게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는 작업기에 설치된 케이스 장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케이스 장착부는 카세트 가스 실린더에 설치된 베이스를 지지하는 베이스 지지부를 포함하고, 가스 실린더 케이스와 케이스 장착부 중 어느 하나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와 케이스 장착부 중 다른 하나와 결합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가스 실린더 케이스와 케이스 장착부 중 다른 하나는 베이스 지지부를 향하여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를 지지하는 슬라이더 가이드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슬라이더가 슬라이더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므로, 슬라이더는 슬라이더 가이드로부터 빠지지 않고 베이스 지지부를 향하여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를 미끄럼 이동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가스 실린더 케이스를 베이스 지지부에 대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카세트 가스 실린더가 수 용되어 있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를 간단한 조작 절차에 의해 케이스 장착부에 부착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케이스 장착부는 부스러기를 배출하기 위한 부스러기 배출구를 구비하고, 부스러기 배출구는 케이스 장착부의 바닥부의 가장 낮은 부분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 장착부의 내부로부터 모래, 고엽 및 기타 부스러기를 제거하는 유지보수 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로서, 작업기는 카세트 가스 실린더에 설치되는 베이스를 지지하는 베이스 지지부를 구비하고, 베이스 지지부는 베이스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와 접촉하는 플랜지 수용부를 구비한다.
베이스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는 비교적 큰 반경의 칼라(collar)로서 작용한다. 이에 따라, 카세트 가스 실린더는, 카세트 가스 실린더의 플랜지가 플랜지 수용부와 접촉하는 것에 기인하여 플랜지부에 의해 확실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카세트 가스 실린더가 작업기의 진동에 의해 요동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카세트 가스 실린더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세트 가스 실린더가 수용되어 있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는 카세트 가스 실린더의 플랜지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구를 갖고, 개구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의 말단에 있으며, 가스 실린더 케이스의 선단에 카세트 가스 실린더를 개구를 향하여 압박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카세트 가스 실린더가 탄성 부재에 의해 압박되어, 플랜지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카세트 가스 실린더가 작업기의 진동에 의해 요동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카세트 가스 실린더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는 작업기에 설치된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되고, 유지 부재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에 마련되는 래치부에 결합되며, 가스 실린더 케이스는 래치부에 결합되어 있는 유지 부재에 의해 플랜지 수용부를 향하여 압박되어, 카세트 가스 실린더의 플랜지가 플랜지 수용부와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유지 부재는 래치부에 의해 적소에 고정되어, 가스 실린더 케이스가 유지 부재에 의해 플랜지 수용부를 향하여 압박될 수 있고, 카세트 가스 실린더의 플랜지가 플랜지 수용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로써, 카세트 가스 실린더를 플랜지부에 의해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가스 실린더 케이스 내에 수용된 카세트 가스 실린더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일 수도 있고; 가스 실린더 케이스는 상반부 케이스와 하반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가스 실린더 케이스는 코일 스프링의 선단이 끼워지는 피팅 홈과, 코일 스프링의 선단을 피팅 홈에 끼워진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피팅 홈과 유지 돌기는 상반부 케이스와 하반부 케이스 중 하나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에 의해 가스 실린더 케이스 내측에 탄성 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단지 예시적인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세트 가스 실린더의 운반 중에, 카세트 가스 실린더가 충격 또는 열을 받지 않게 할 수 있고, 카세트 가스 실린더에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카세트 가스 실린더를 적절한 방위로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는 작업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밀면서 걷는 형태의 경운기로 구체화된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지만, 경운기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용례가 그러한 경운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기(10)는 작업기 본체(11)의 상단에 장착된 가스 엔진(12); 가스 엔진(12)의 아래에 설치된 경운기 샤프트(13); 경운기 샤프트(13)에 설치된 복수의 경운기 클로(15; claw); 작업기 본체(11)에 설치된 지지 브래킷(16); 지지 브래킷(16)으로부터 상향 후방으로 연장되는 핸들 칼럼(18); 핸들 칼럼(18)에 설치된 카세트 가스 실린더 부착 구조(20); 카세트 가스 실린더 부착 구조(20)에 부착된 카세트 가스 실린더(21; 도 10); 카세트 가스 실린더 부착 구조(20)의 둘레에 설치되어 운반에 사용되는 운반 핸들(22); 핸들 칼럼(18)의 상단에 설치되는 조작 핸들(23)을 구비한다.
이 작업기(10)는, 가스 엔진(12)의 동력이 경운기 샤프트(13)에 전달되어 경운기 샤프트(13)를 회전시키는 밀면서 걷는 형태의 경운기로서, 경운기는 복수의 경운기 클로(15)에 의해 토지를 경작하면서 주행한다.
가스 엔진(12)은, 카세트 가스 실린더(21)로부터 공급되는 액체 연료 가스(이하에서 연료로서 지칭함)(24; 도 10 참조)의 공급에 의해 구동되는 엔진이다.
카세트 가스 실린더 부착 구조(20)는 핸들 칼럼(18)에 설치되는 수용부(25; 케이스 장착부)와, 수용부(25)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를 구비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8을 기초로 하여 수용부(25)를 설명한다.
수용부(25)는 핸들 칼럼(18)에 설치된 수용부 본체(31)와, 수용부 본체(31)의 말단(31a)에 설치되는 부착 브래킷(32)과, 부착 브래킷(32)에 의해 수용부 본체(31)의 말단(31a)에 함께 체결되는 베이스 지지부/스위치 밸브(33)와, 부착 브래킷(32)에 설치되는 케이스 유지 수단(34)과, 스위치 밸브(38)를 케이스 유지 수단(34)에 결합하는 밸브 결합 수단(35)을 구비한다.
수용부(25)에 있어서,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는, 소정의 유지 위치(P1; 도 2)에서 케이스 유지 수단(34)의 유지 로드(유지 부재; 41)를 래치부(42)로 고정시킴으로써 수용부(25) 내에 유지될 수 있다.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는 수용부(25) 내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카세트 가스 실린더(21)는 작업기(10)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는, 래치부(42)로부터 유지 로드(41)를 제거하고 유지 로드(41)를 해제 위치(P2; 도 3 참조)에 배치함으로써 수용부(25)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스 실린더 케이스(26)가 수용부(25)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므로, 수용부(25)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로써, 가스 실린더 케이스(26) 내에 수용된 상태로 카세트 가스 실린더(21; 도 8)를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카세트 가 스 실린더(21)의 운반 중에 카세트 가스 실린더(21)를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로 덮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카세트 가스 실린더(21)가 충격 또는 열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먼지 등이 카세트 가스 실린더(21)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도 5,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 본체(31)는 위에서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부(44)와, 바닥부(44)의 말단(44a)에 마련되는 좌우 융기부(45, 46)와, 좌측 융기부(45)로부터 바닥부(44)의 좌측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하는 좌측벽(47)과, 우측 융기부(46)로부터 바닥부(44)의 우측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하는 우측벽(48)과, 바닥부(44)의 선단(44b)에 설치되는 장식용 커버(49)를 구비한다.
바닥부(44)에 있어서는, 말단(44a)의 폭 방향으로 중심에 전방 부착 구멍(51)이 형성되어 있고, 선단(44b)의 폭방향으로 중심에 후방 부착 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44)에 있어서는, 바닥부(44)의 후반부 케이스에 오목부(53)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53)의 전방에 제1 함몰부(54)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함몰부(54)의 전방 우측 단부에 제2 함몰부(55)가 형성되어 있고, 제2 함몰부(55)의 말단(55a)[즉, 우측 융기부(46)의 후방]에 배출용의 부스러기 배출구(56)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 본체(31)가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위치 결정되어 있으므로, 제2 함몰부(55)의 말단(55a)은 바닥에 있다. 따라서 부스러기 배출구(56)는 바닥부(44)의 가장 낮은 위치에 마련된다.
수용부 본체(31)의 바닥부(44)의 가장 낮은 부분에 부스러기 배출구(56)를 제공함으로써, 수용부 본체(31) 내의 부스러기(모래, 고엽 등)를 부스러기 배출구(56)로부터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 본체(31)의 부스러기를 제거하기 위한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바닥부(44)는 수용부 본체(31)로부터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를 제거함으로써 노출될 수 있다. 이로써, 부스러기를 수용부 본체(31)의 바닥부(44)로부터 훨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전후 부착 구멍(51, 52) 각각에 볼트(57; 도 6a)가 삽입되고, 삽입된 볼트(57)는 브래킷(58)을 통하여 핸들 칼럼(18)에 부착된다. 이로써, 수용부 본체(31)는 브래킷(58; 도 6a)을 통하여 핸들 칼럼(18)에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핸들 칼럼(18)의 상단부(18a; 도 2)와 조작 핸들(23)의 하단부(23a)는 장식용 커버(49)로 덮혀 있다.
볼트(59; 도 3)에 의해 부착 브래킷(32)과 베이스 지지부/스위치 밸브(33)를 함께 체결하기 위한 부착 구멍(45a, 46a)이 좌우 융기부(45, 46)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벽(48)의 후반부 케이스(48a)는 우측 외벽(61), 우측 내벽(62) 및 우측 상부(63)에 의해 단면 U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내벽(62)의 말단(62a)에 근접한 위치에 우측 안내 홈(64)이 형성되어 있고, 우측 안내 홈(64)의 전방에 우측 전방 슬라이더 가이드(슬라이더 가이드; 65)가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 안내 홈(64)의 후방[즉, 우 측 내벽(62)의 선단]에 우측 후방 슬라이더 가이드(슬라이더 가이드; 66)가 형성되어 있다. 우측 안내 홈(64)은 경사면(64a)을 갖고, 우측 안내 홈(64)의 하부는 바닥부(44)에 연결되어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전방 슬라이더 가이드(65)는 바닥부(44)의 우측에 설치된 하부 안내부(65a)와, 우측 내벽(62)의 하단에 형성된 상부 안내부(65b)를 갖는다. 하부 안내부(65a)와 상부 안내부(65b)는 예정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우측 전방 슬라이더(82)가 우측 전방 슬라이더 가이드(65) 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우측 전방 슬라이더(82)는 상부 안내부(65b)에 의해 바닥부(44)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써, 우측 전방 슬라이더(82)는 우측 전방 슬라이더 가이드(65) 내에 구속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후방 슬라이더 가이드(66)는 바닥부(44)의 우측에 설치된 하부 안내부(66a)와 우측 내벽(62)의 하단에 형성된 상부 안내부(66b)를 갖는다. 하부 안내부(66a)와 상부 안내부(66b)는 우측 전방 슬라이더 가이드(65)에서와 동일하게 예정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우측 후방 슬라이더(84)가 우측 후방 슬라이더 가이드(66) 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우측 후방 슬라이더(84)는 상부 안내부(66b)에 의해 바닥부(44)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써, 우측 후방 슬라이더(84)는 우측 후방 슬라이더 가이드(66) 내에 구속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좌측벽(47)은 우측벽(48)에 대하여 좌우 대칭이다.
구체적으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벽(47)의 후반부 케이 스(47a; 도 5)는 좌측 외벽(71b)과, 좌측 내벽(72) 및 좌측 상부(73)에 의해 단면 U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내벽(72)의 말단(72a)에 근접한 위치에 좌측 안내 홈(74)이 형성되어 있고, 좌측 안내 홈(74)의 전방에 좌측 전방 슬라이더 가이드(슬라이더 가이드; 75)가 형성되어 있으며, 좌측 안내 홈(74)의 후방[즉, 좌측 내벽(72)의 선단]에 좌측 후방 슬라이더 가이드(슬라이더 가이드; 76)가 형성되어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전방 슬라이더 가이드(75)는 바닥부(44)의 좌측에 설치된 하부 안내부(75a)와, 좌측 내벽(72)의 하단에 형성된 상부 안내부(75b)를 구비한다. 하부 안내부(75a)와 상부 안내부(75b)는 예정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좌측 전방 슬라이더(81)가 좌측 전방 슬라이더 가이드(75)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좌측 전방 슬라이더(81)는 상부 안내부(75b)에 의해 바닥부(44)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써, 좌측 전방 슬라이더(81)는 좌측 전방 슬라이더 가이드(75) 내에 구속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후방 슬라이더 가이드(76)는 바닥부(44)의 좌측에 설치된 하부 안내부(76a)와 좌측 내벽(72)의 하단에 형성된 상부 안내부(76b)를 구비한다. 하부 안내부(76a)와 상부 안내부(76b)는 좌측 전방 슬라이더 가이드(75)에서와 동일하게 예정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좌측 후방 슬라이더(83)가 좌측 후방 슬라이더 가이드(76)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좌측 후방 슬라이더(83)는 상부 안내부(76b)에 의해 바닥부(44)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 것이 방지 된다. 이로써, 좌측 후방 슬라이더(83)는 좌측 후방 슬라이더 가이드(76) 내에 구속된 상태로 유지된다.
좌우 전방 슬라이더 가이드(75, 65)는, 좌우 전방 슬라이더(81, 82)가 베이스 지지부(37; 도 3)를 향하여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의 좌우 전방 슬라이더(81, 82; 도 13)를 지지한다.
좌우 후방 슬라이더 가이드(76, 66)는, 좌우 후방 슬라이더(83, 84)가 베이스 지지부(37; 도 3)를 향하여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의 좌우 후방 슬라이더(83, 84; 도 13)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좌우 전방 슬라이더 가이드(75, 65)와 좌우 후방 슬라이더 가이드(76, 66)는 수용부 본체(31)에 설치되고, 좌우 전방 슬라이더(81, 82)와 좌우 후방 슬라이더(83, 84)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에 설치되어 있다. 좌우 전방 슬라이더(81, 82)는 좌우 전방 슬라이더 가이드(75, 65)에 의해 지지되고, 좌우 후방 슬라이더(83, 84)는 좌우 후방 슬라이더 가이드(76, 66)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따라, 좌우 전방 슬라이더(81, 82)와 좌우 후방 슬라이더(83, 84)는 수용부 본체(31)로부터 상승하지 않으면서 베이스 지지부(37; 도 3)를 향하여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카세트 가스 실린더(21)]는 단지 좌우 전방 슬라이더(81, 82)와 좌우 후방 슬라이더(83, 84)를 미끄럼 이동시키는 간단한 과정에 의해 예정된 부착 위치에 위치 결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스 실린더 케이스(26)가 용이하게 부착된다(위치 결정된다).
또한,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는 좌우 전방 슬라이더(81, 82) 또는 좌우 후 방 슬라이더(83, 84)를 좌우 전방 슬라이더 가이드(75, 65) 또는 좌우 후방 슬라이더 가이드(76, 66)에 삽입함으로써 적소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의 진동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이용하여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를 수용부 본체(31)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5)의 베이스 지지부/스위치 밸브(33)는, 베이스 지지부(37)와 스위치 밸브(3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부재로서, 한 쌍의 볼트(59)(도면에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음)에 의해 좌우 융기부(45, 46)에 부착되어 있다.
베이스 지지부(37)는 카세트 가스 실린더(21)의 베이스(86)를 지지한다. 베이스 지지부(37)에 있어서, 카세트 가스 실린더(21)의 노즐(87)을 수용하기 위한 노즐 수용 함몰부(88)가 베이스 지지부(37)와 동심으로 설치되어 있고, 카세트 가스 실린더(21)의 밀봉부(90)에 접촉하는 O 링(91)이 노즐 수용 함몰부(88)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플랜지 수용부(92)가 노즐 수용 함몰부(88)와 동심으로 설치되어 있다.
카세트 가스 실린더(21)의 밀봉부(90)는, 카세트 가스 실린더(21)가 수용되어 있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를 수용부(25)에 부착함으로써 O 링(91)과 접촉하게 된다. 밀봉부(90)는 O 링(91)과 접촉하고 있으므로, O 링(91)은 노즐(87)의 둘레에 시일을 유지한다.
플랜지 수용부(92)는 베이스 지지부(37)의 외측 둘레벽(37a)을 따라 형성된 링 형상의 수용부이다. 플랜지 수용부(92)는 외측 둘레벽(37a)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랜지 수용부(92)의 반경(R)은 비교적 크게 유지된다.
카세트 가스 실린더(21)가 베이스 지지부(37) 상에 설정되어 있을 때에, 플랜지 수용부(92)는 카세트 가스 실린더(21)의 플랜지(95)와 접촉하고 있다. 플랜지(95)는 베이스(86)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비교적 큰 반경의 칼라부이다. 카세트 가스 실린더(21)의 플랜지(95)는 비교적 큰 반경(R)의 플랜지 수용부(92)와 접촉하여, 카세트 가스 실린더(21)는 플랜지 수용부(92)에 의해 확실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위치 밸브(38)에 있어서는, 베이스 지지부(37)와 일체로 형성된 코크 바디(97; cock body)와, 코크 바디(97) 내측의 밸브 바디(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밸브 바디에 조작 레버(98)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98)를 연료 공급 위치(P3; 도 2 참조)에 배치함으로써, 밸브 바디는 코크 바디(97) 내측의 유동 채널을 개방하도록 위치 결정된다. 이에 따라, 스위치 밸브(38)는 도 1에 도시된 가스 엔진(12)에 연료(24; 도 10 참조)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조작 레버(98)를 연료 차단 위치(P4; 도 3 참조)에 배치함으로써, 밸브 바디는 코크 바디(97) 내측의 유동 채널을 폐쇄하도록 위치 결정된다. 이에 따라, 스위치 밸브(38)는 가스 엔진(12)으로의 연료(24) 공급을 정지시키는 연료 차단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수용부(25)는 베이스 지지부(37)를 막기 위한 셔터 부재(99)를 구비한다. 셔터 부재(99)는 카세트 가스 실린더(21)가 수용부(25)로부터 분리되는 때에 스프 링 부재(101)의 압박력에 의해 베이스 지지부(37)를 막는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5)의 케이스 유지 수단(34)은,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 브래킷(32)에 설치되는 유지 로드(유지 부재; 41)와, 유지 로드(41)에 설치된 베이스 커버(104)와, 유지 로드(41)를 유지 위치(P1)에 유지하기 위한 로킹 스프링 부재(105)를 구비한다.
유지 로드(41)의 좌우 레그부(106, 107)의 선단은 각각 부착 브래킷(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좌우 후크부(108, 109)가 좌우 레그부(106, 107)의 말단(106a, 107a)으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좌우 후크부(108, 109)의 말단(108a, 109a)은 파지부(11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베이스 커버(104)는 좌우 레그부(106, 107)의 선단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카세트 가스 실린더(21)의 베이스(86) 또는 베이스(86)의 근방을 덮는다.
로킹 스프링 부재(105)는 유지 로드(41)를 유지 위치(P1)에 유지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이며, 부착 브래킷(32)과 우측 레그부(107)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다.
좌우 레그부(106, 107)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의 외측에서 위치 결정되어 있다.
좌우 후크부(108, 109)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의 외측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연장된다. 좌우 후크부(108, 109)가 중심을 향하여 연장됨으로써, 좌우 후크부(108, 109)가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의 래치부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좌우 후크부(108, 109)를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의 래치부(42)에 결합시킴으로써, 가스 실린더 케이스(26)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좌우 전방 슬라이더(81, 82)가 좌우 전방 슬라이더 가이드(75, 65)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도 6 참조)를 유지할 수 있고, 도 13에 도시된 좌우 후방 슬라이더(83, 84)는 좌우 후방 슬라이더 가이드(76, 66)에 유지되어 있다(도 6 참조). 이로써, 수용부(25)에 대한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의 부착을 유지할 수 있다.
유지 로드(41)를 래치부(42)에 결합함으로써, 유지 로드(41)에 의해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를 베이스 지지부(37)의 플랜지 수용부(92; 또한 도 7 참조)를 향하여 압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를 플랜지 수용부(92)를 향하여 압박함으로써, 카세트 가스 실린더(21)의 플랜지(95)가 플랜지 수용부(92)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세트 가스 실린더(21)는 플랜지 수용부(92)에 의해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로써,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에 수용된 카세트 가스 실린더(2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가스 실린더(21)의 밀봉부(90)는 O 링(91)과 적절하게 접촉하고 있다. 밀봉부(90)가 O 링(91)과 적절하게 접촉함으로써 O 링(91)에 의해 노즐(87) 둘레의 시일이 확보된다.
유지 로드(41)가 래치부(42)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의 말단(26a)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지지부(37)와 접촉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의 말단(26a)은 자유 상태로 유지되고, 베이스 지지부(37)에 의해 구속되어 있지 않다. 이로써,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는 카세트 가스 실린더(21)의 플랜지(95)가 플랜지 수용부(92)와 접촉할 때 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세트 가스 실린더(21)의 플랜지(95)가 플랜지 수용부(92)와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의 래치부(42)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파지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파지부(111)를 손으로 잡을 수 있고, 유지 로드(41)를 로킹 스프링 부재(105)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유지 위치(P1)로부터 해제 위치(P2)로 당길 수 있다.
수용부(25)의 밸브 결합 수단(35)은, 조작 레버(98)로부터 돌출하는 종동 돌기(114)와, 베이스 커버(104)의 좌측 에지(104a)에 설치된 구동 접촉자(구동 돌기; 116)를 구비한다.
종동 돌기(114)는 조작 레버(98)의 상단(98a)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L 형상의 영역(117)과, L 형상의 영역(117)의 말단(117a; 도 7 참조)으로부터 유지 로드(41)를 향하여 오버행 방식(overhang fashion)으로 연장되는 종동 래치 부재(118; 도 7 참조)를 구비한다.
구동 접촉자(116)는, 베이스 커버(104)의 좌측 에지로부터 외측[조작 레버(98)의 측]으로 오버행 방식으로 연장하는 오버행 부재(121)와, 오버행 부재(121)로부터 좌측 레그(106)를 따라 종동 래치 부재(118)로 연장하는 구동 래치 부재(122)를 구비한다. 오버행 부재(121)와 구동 래치 부재(122)는 조작 레버(98)의 종동 래치 부재(118)와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밸브 결합 수단(35)에 의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가 스 실린더(21)가 유지 로드(41)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작 레버(98)가 연료 공급 위치(P3)로 전환되면, 종동 래치 부재(118)가 구동 래치 부재(122)와 접촉하게 된다.
유지 로드(41)가 이러한 상태로부터 카세트 가스 실린더(21)의 유지가 해제되어 있는 해제 위치(P2)의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종동 래치 부재(118)는 구동 접촉자(116)[구동 래치 부재(122) 또는 오버행 부재(121)]에 의해 이동하고, 조작 레버(98)는 연료 차단 위치(P4)로 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스위치 밸브(38)는, 케이스 유지 수단(34)에 의한 카세트 가스 실린더(21)의 유지가 해제되는 때에 유지 로드(41)의 이동에 따라 연료 공급 상태로부터 연료 차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를 수용부 본체(31)로부터 제거할 때에 스위치 밸브(38)를 연료 차단 상태로 전환하도록 개별적으로 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를 간단한 조작 과정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가스 엔진(12)의 시동 시에, 조작자는 조작 레버(98)를 연료 차단 위치(P4)로부터 연료 공급 위치(P3)로 이동시키고, 스위치 밸브(38)를 연료 공급 상태로 전환시킨다. 이로써, 가스 엔진(12)의 시동 중에 조작자의 인식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6을 기초로,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를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는, 카세트 가스 실린더(21)가 내부 공간(125)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용부(25)에 분리 가 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는 그 말단(26a)에 개구(126)를 구비한다. 개구(126)는 카세트 가스 실린더(21)의 베이스(86)를 외부에 노출시킨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86)를 개구(126)로부터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카세트 가스 실린더(21)가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에 수용되어 있을 때에 캡(126)을 카세트 가스 실린더(21)에 대하여 부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카세트 가스 실린더(21)가 가스 실린더 케이스(26) 내에 수용되어 있는 중에 캡(128)을 카세트 가스 실린더(21)에 대하여 부착하거나 분리하는 능력에 의해, 사용 편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는, 수용부 본체(31)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반부 케이스(131)와 이 하반부 케이스(131)와 조립되는 상반부 케이스(132)를 포함한 2개의 절반부로 구성되어 있다. 하반부 케이스(131)에는 코일 스프링(탄성 부재; 133)이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33)은 카세트 가스 실린더(21)를 개구(126)를 향하여 압박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반부 케이스(131)의 하부 전방 둘레벽(144)과 하부 후방 둘레벽(145)이 각각 실질적으로 단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 중심 둘레벽(146)은 실질적으로 U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 중심 둘레벽(146)은 좌우 측벽부(161, 162)와 바닥부(163)에 의해 실질적으로 단면 U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15 참조).
하부 전방 둘레벽(144)의 말단(144a)에 하부 전방벽(147)이 마련되어 있다. 하부 후방 둘레벽(145)의 선단(145a)에 하부 후방벽(148)이 마련되어 있다.
하부 전방 둘레벽(144)과, 하부 후방 둘레벽(145)과, 하부 중심 둘레벽(146)과, 하부 전방벽(147) 및 하부 후방벽(148)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하부 공간(149)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공간(149)은 카세트 가스 실린더(21)의 하반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다.
상반부 케이스(132)에 있어서는, 상부 둘레벽(151)이 실질적으로 반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부 전방벽(152)이 상부 둘레벽(151)의 말단(151a)에 설치되고, 상부 후방벽(153)이 상부 둘레벽(151)의 선단(151b)에 설치되어 있다. 상부 둘레벽(151)과, 상부 전방벽(152) 및 상부 후방벽(153)에 의해 바닥이 개방된 상부 공간(154; 도 10)이 형성된다. 상부 공간(154)은 카세트 가스 실린더(21)의 상반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다.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는 상반부 케이스(132)와 하반부 케이스(131)를 조립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로써,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의 내부 공간(125)은 하부 공간(149)과 상부 공간(154)에 의해 형성된다.
카세트 가스 실린더(21)는 상반부 케이스(132)와 하반부 케이스(131)로 구성되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의 내측[내부 공간(125)]에 수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카세트 가스 실린더(21)에 마련된 플랜지(95)의 외측 둘레부(95c; 도 8을 참조)가 하반부 케이스(131)와 상반부 케이스(13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클램핑되어 있다.
카세트 가스 실린더(21)는, 용기(89)가 주로 부탄으로 구성되는 액화 부 탄(24; 액체 연료 가스)으로 채워지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가스 실린더이다. 카세트 가스 실린더(21)에 있어서, 베이스(86)는 용기(89)의 말단에 설치되어 있고, 노즐(87)이 베이스(86)의 중심으로부터 돌출하며, 실질적으로 U 형상의 도입 튜브(135)가 용기(89)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노즐(87)을 용기(89)를 향하여 가압함으로써, 용기(89) 내에 저장된 액체 연료(24)가 도입 튜브(135)로부터 노즐(87)로 안내되고, 노즐(87)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된다. 도입 튜브(135)는, 노즐(87)과 동심으로 연장하는 제1 도입 튜브부(136)와, 제1 도입 튜브부(136)의 단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하는 제2 도입 튜브부(137)에 의해 실질적으로 L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도입 튜브부(137)는 하향 연장되므로, 제2 도입 튜브부(137)의 도입구(137a)가 용기(89)의 전방 하부 둘레벽(89a)의 근처에 위치 결정된다.
플랜지(95)가 베이스(86)의 외측 둘레(86a)에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95)에 절결부(141)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141)는 위치 결정 돌기(142)와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돌기(142)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의 내측[즉, 개구(126) 근처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141)는, 카세트 가스 실린더(21)가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에 수용되어 있을 때 위치 결정 돌기(142)와 결합한다. 이로써, 카세트 가스 실린더(21)는 적절한 부착 위치에서 용이하게 위치 결정될 수 있고, 이 위치에서 제2 도입 튜브부(137)의 도입구(137a)는 아래를 향하고 있다.
카세트 가스 실린더(21)는, 작업기(10)에 부착될 때에 용기(89)의 전방 하부 둘레벽(89a)이 바닥 상에 있도록 위치 결정된다. 이에 따라, 제2 도입 튜브부(137)의 도입구(137a)는 용기(89)의 전방 하부 둘레벽(89a)의 근처에 위치 결정되며, 이로써 용기(89) 내의 모든 연료(24)를 도입구(137a) 내로 보낼 수 있다. 용기(89) 내에 어떠한 연료(24)도 남기지 않고, 용기(89) 내의 연료(24)를 완전하게 소비할 수 있다.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는 상반부 케이스(132)와 하반부 케이스(131)로 구성되고, 플랜지(95)의 외측 둘레부(95c)가 상반부 케이스(132)와 하반부 케이스(131)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클램핑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절결부(141)가 위치 결정 돌기(142)와 결합하지 않을 경우에, 예컨대 플랜지(95)가 예정된 위치에 위치 결정(설정)되지 않을 경우에, 플랜지(95)에 의해 상반부 케이스(132)와 하반부 케이스(131)의 조립이 방지된다. 이로써, 카세트 가스 실린더(21)가 예정된 위치에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카세트 가스 실린더(21)가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에 수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플랜지(95)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에 마련된 개구(126)의 둘레 에지(126a)와 접촉할 수 있는 외측 둘레부(95a)와, 베이스 지지부(37)의 플랜지 수용부(92; 도 7 참조)와 접촉할 수 있는 내측 둘레부(95b)를 갖는다. 카세트 가스 실린더(21)는 개구(126)의 둘레 에지(126a)와 접촉하는 플랜지(95)의 외측 둘레부(95a)에 의해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의 내측에 유지될 수 있다.
플랜지(95)의 내측 둘레부(95b)는 베이스 지지부(37)의 플랜지 수용부(92; 도 7 참조)와 접촉한다. 플랜지 수용부(92)에는 비교적 큰 반경(R; 도 7 참조)이 유지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세트 가스 실린더(21)의 플랜지(95)는 플랜지 수용부(92)와 접촉하며, 이로써 카세트 가스 실린더(21)는 플랜지 수용부(92)에 의해 확실하게 지지된다. 이에 의해, 카세트 가스 실린더(21)가 작업기(10; 도 1 참조)의 진동에 의해 요동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카세트 가스 실린더(21)를 플랜지 수용부(92)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2,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반부 케이스(131)의 하부 전방 둘레벽(144)의 바닥은 말단(144a)이 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돌기(142)는 상향 경사지는 말단(144a)의 피크(144b)의 중심에서 상향 돌출하고 있다. 플랜지(95)의 절결부(141; 도 9 참조)가 위치 결정 돌기(142)와 결합한다. 절결부(141)를 위치 결정 돌기(142)와 결합함으로써, 카세트 가스 실린더(21)를 적절한 부착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도입 튜브부(137)의 도입구(137a)가 아래쪽을 향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반부 케이스(131)에 있어서, 하부 전방 둘레벽(144)의 외면 상에서, 좌측 둘레 에지 말단(144c)에 좌측 로킹 탭 수용부(15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전방 둘레벽(144)의 외면상에서, 우측 둘레 에지 말단(144d)에는 우측 로킹 탭 수용부(157)가 설치되어 있다.
좌우 로킹 탭 수용부(156, 157)는, 상반부 케이스(132)에 설치되는 좌우 로킹 탭(158, 159; 도 14)을 수용하도록 내부에 각각 형성되는 래치 구멍(156a, 157a)을 구비한다. 좌측 로킹 탭(158)을 좌측 로킹 탭 수용부(156)의 래치 구멍(156a) 내로 삽입함으로써, 좌측 로킹 탭(158)이 좌측 로킹 탭 수용부(156)에 결 합될 수 있다. 우측 로킹 탭(159)을 우측 로킹 탭 수용부(157)의 래치 구멍(157a) 내로 삽입함으로써 우측 로킹 탭(159)이 우측 로킹 탭 수용부(157)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하반부 케이스(131)와 상반부 케이스(132)는 조립 상태로 유지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중심 둘레벽(146)의 좌측벽(161)은 측부에서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우측벽(162)은 좌측벽(161)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측벽(161)의 외면상에서 좌측 둘레 에지 중심부(161a)에 좌측 스토퍼(165)가 설치되어 있고, 우측벽(162)의 외면상에서 우측 둘레 에지 중심부(162a)에 우측 스토퍼(166)가 설치되어 있다.
좌우 스토퍼(165, 166)에는, 상반부 케이스(132)에 설치되는 좌우 래치부(167, 168)와 각각 접촉할 수 있는 후방벽(165a, 166a)이 마련되어 있다.
좌우 스토퍼(165, 166)와 좌우 래치부(167, 168)는 오정렬 방지 수단(164)을 구성한다.
오정렬 방지 수단(164)은, 유지 로드(41; 도 3 참조)가 래치부(42)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반부 케이스(132)가 하반부 케이스(131)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전방을 향하여) 오정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정렬 방지 수단(164)은 하반부 케이스(131)의 좌우 스토퍼(165, 166)와 상반부 케이스(132)의 좌우 래치부(167, 168)로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상반부 케이스(132)와 하반부 케이스(131), 즉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는 좌우 스토퍼(165, 166)와 좌우 래치부(167, 168)로 구성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만족스럽게 유지될 수 있다.
좌우 돌출부(171, 172)가 하부 후방 둘레벽(145)의 내면 상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다. 좌우 돌출부(171, 172)는 하부 후방벽(148)으로부터 예정된 거리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좌측 돌출부(171)와 하부 후방벽(148)에 의해 좌측 피팅 홈(174)이 형성되고, 우측 돌출부(172)와 하부 후방벽(148)에 의해 우측 피팅 홈(175)이 형성된다.
코일 스프링(133)의 선단(133a)이 좌우 피팅 홈(174, 175)에 끼워진다. 이 선단(133a)은 유지 돌기(176)와 접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선단(133a)이 유지 돌기(176)에 의해 좌우 피팅 홈(174, 175)의 밖으로 빠져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유지 돌기(176)는 하부 후방벽(148)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코일 스프링(133)의 선단(133a)이 좌우 피팅 홈(174, 175)에 끼워지고, 선단(133a)이 유지 돌기(176)에 의해 유지된다. 이로써, 코일 스프링(133)이 간단한 구조에 의해 가스 실린더 케이스(26)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일 스프링(133)의 선단(133a)은 하반부 케이스(131)의 선단(131a)[가스 실린더 케이스(26)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133)의 말단(133b)은 카세트 가스 실린더(21)의 바닥부(21a, 도 10 참조)에 대하여 압박되므로, 카세트 가스 실린더(21)는 개구(126)를 향하여 압박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가스 실린더(21)는 코일 스프링(133)에 의해 압박되어, 플랜지(95)가 개구(126)와 마주하게 되며, 플랜지(95)가 외측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한, 카세트 가스 실린더(21)는 코일 스프링(133)에 의해 압박되어, 카세트 가스 실린더(21)가 작업기(10)의 진동에 의해 요동치는 것이 방지되므로, 카세트 가스 실린더(2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하반부 케이스(131)의 좌우 측벽부(161, 162)의 외면 상에서, 좌우 전방 슬라이더(81, 82)가 하부 말단(161b, 162b)에서 외측으로 연장된다. 좌우 전방 슬라이더(81, 82)는 하부 중심 둘레벽(146)의 바닥부(163; 도 15 참조)와 동일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 전방 슬라이더(81, 82)는 말단(81a, 81b)의 폭 치수가 말단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테이퍼져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전방 슬라이더(81, 82)는 말단(81a, 82a)의 두께 치수가 말단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테이퍼져 있다.
좌우 측벽부(161, 162)의 외면 상에는, 좌우 후방 슬라이더(83, 84)가 하부 선단(161c, 162c)에서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좌우 후방 슬라이더(83, 84)는 좌우 전방 슬라이더(81, 82)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좌우 후방 슬라이더(83, 84)는 하부 중심 둘레벽(146)의 바닥부(163; 도 15 참조)와 동일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 후방 슬라이더(83, 84)는 그 말단(83a, 84a)의 폭 치수가 말단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테이퍼져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후방 슬라이더(83, 84)는 그 말단(83a, 84a)의 두께 치수가 말단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테이퍼져 있다.
좌우 전방 슬라이더(81, 82)는 도 6에 도시된 수용부 본체(31)에 설치된 좌 우 전방 슬라이더 가이드(75, 65) 내로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는 돌출 탭이다. 좌우 후방 슬라이더(83, 84)는 도 6a에 도시된 수용부 본체(31)에 설치된 좌우 후방 슬라이더 가이드(76, 66) 내로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는 돌출 탭이다. 하반부 케이스(131)는, 좌우 전방 슬라이더(81, 82)를 좌우 전방 슬라이더 가이드(75, 65) 내로 삽입하고 좌우 후방 슬라이더(83, 84)를 좌우 후방 슬라이더 가이드(76, 66) 내로 삽입함으로써 수용부 본체(31)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좌우 전방 슬라이더(81, 82)의 말단(81a, 82a)과 좌우 후방 슬라이더(83, 84)의 말단(83a, 84a)은 테이퍼져 있다. 이에 따라, 좌우 전방 슬라이더(81, 82) 또는 좌우 후방 슬라이더(83, 84)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 본체(31)의 좌우 전방 슬라이더 가이드(75, 65) 또는 좌우 후방 슬라이더 가이드(76, 66) 내로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다.
상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반원형의 하반부 개구(126b)가 하부 전방벽(147)의 폭 방향으로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상반부 케이스(132)의 하반부 개구(126b)와 상반부 개구(126c; 도 11 참조)의 조립에 의해 개구(126; 도 9 및 도 10 참조)가 형성된다.
좌우 지지 핀(181, 182)이 하부 후방벽(148)의 둘레 에지의 좌우 단부(148a, 148b)에 설치되어 있고, 좌우 지지 핀(181, 182) 사이에서 힌지 로드(183)가 연장된다. 힌지 로드(183)는 하부 후방벽(148)으로부터 예정된 거리에 설치되어 있고, 하부 후방벽(148)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반부 케이스(132)에 형성된 힌지 지지부(184)가 힌지 로드(183)에 회전 가 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반부 케이스(132) 및 하반부 케이스(131)의 힌지 지지부(184)와 힌지 로드(183)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반부 케이스(132)는 힌지 로드(183)의 축을 중심으로 하반부 케이스(131)에 대하여 개방 및 폐쇄된다.
상반부 케이스(132)의 상부 둘레벽(151)의 말단(151a)의 피크(151b)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좌측 로킹 탭(158)이 상반부 케이스(132)의 상부 둘레벽(151)의 외면 상에서 좌측 둘레 에지 말단(151c)에 설치되어 있다. 상부 둘레벽(151)의 외면 상에는, 우측 로킹 탭(159)이 우측 둘레 에지 말단(151d)에 설치되어 있다.
좌측 로킹 탭(158)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158a)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고, 좌측 로킹 탭(158)의 하단에 클립 탭(158b)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 로킹 탭(159)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로킹 탭(158)에 좌우 대칭인 부재이다. 우측 로킹 탭(159)은 상단부(159a)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고, 우측 로킹 탭(159)의 하단에 클립 탭(159b)이 형성되어 있다.
도 15, 도 16a 및 도 16b를 이용하여, 좌우 로킹 탭 수용부(156, 157)에 좌우 로킹 탭(158, 159)을 결합하는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좌측 둘레 에지 중심부(151e)에 좌측 래치부(167)가 설치되고, 우측 둘레 에지 중심부(151f)에 우측 래치부(168)가 설치된다. 좌측 래치부(167)는 좌측 스토퍼(165)의 후방벽(165a; 도 13 참조)과 접촉하고 있고, 우측 래치부(168)는 우측 스토퍼(166)의 후방벽(166a; 도 13 참조)과 접촉하고 있다.
도 17b를 이용하여 좌우 래치부(167, 168)가 좌우 스토퍼(165, 166)의 후방벽(165a, 166a)과 접촉하고 있는 이유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향 개방되는 반원형의 상반부 개구(126c; 도 11 참조)가 상반부 케이스(132)의 상부 전방벽(152)의 폭 방향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반부 개구(126c)는 하반부 케이스(131)의 하반부 개구(126b)와 조립되어 개구(126)를 형성한다(도 9 및 도 11 참조).
힌지 지지부(184)가 상부 후방벽(153)의 둘레 에지부(153a)에 설치되어 있다. 힌지 지지부(184)는 힌지 로드(183)와 결합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단면 U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힌지 지지부(184)를 힌지 로드(183)와 결합함으로써, 힌지 지지부(184)를 힌지 로드(18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반부 케이스(13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반부 케이스(132)와 하반부 케이스(131)가 힌지 로드(183) 및 힌지 지지부(184)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힌지 로드(183)의 축을 중심으로 하반부 케이스(131)에 대하여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래치부(4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둘레벽(151)의 중심부(151g)에 설치되어 있다. 래치부(42)는 좌우 래치부(185, 186)를 구비한다. 좌측 래치부(185)는 상부 둘레벽(151)의 중심 좌측(151h)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릿지 형상(ridge shape)으로 융기되어 있다. 우측 래치부(186)는 상부 둘레벽(151)의 중심 우측(151i)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릿지 형상으로 융기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유지 로드[41; 즉, 좌우 후크부(108, 109)]는 좌우 래치부(185, 186) 상에 결합 된다.
도 15,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반부 케이스(131)의 상부 에지(191) 상에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부 케이스 쇼율더(192)가 전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반부 케이스(132)의 하부 에지(194) 상에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상부 케이스 쇼울더(195)가 전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반부 케이스(132)와 하반부 케이스(131)가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부 에지(191)의 볼록하게 각진 부분(193)은 상부 케이스 쇼울더(195)와 접촉하고 있고, 하부 에지(194)의 오목하게 각진 부분(196)은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 쇼울더(192)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하반부 케이스(131)의 상부 에지(191)와 상반부 케이스(132)의 하부 에지(194)의 정합부(198)가 실질적으로 크랭크의 형상으로 구부러져 있는 래비린스 구조(도 16a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정합부(918)의 내수성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물이 가스 실린더 케이스(26)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 내지 도 19를 참고로 하여,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를 수용부(25)에 부착하는 절차를 설명한다.
수용부(25)와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는 각각 실질적으로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도 17a 및 도 18b를 참고로 우측 부재를 설명하고, 좌측 부재는 설명하지 않는다.
도 17a에 있어서,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를 수용부(25)에 부착하기 위하여, 먼저, 유지 로드(41)를 로킹 스프링(105; 도 3 참조)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해제 위치(P2)에 유지한다. 스위치 밸브(38)는 연료 차단 상태, 즉 연료 차단 위치(P4)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는 수용부(25)의 수용부 본체(31) 위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그 후,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의 우측 전방 슬라이더(82)는 우측 안내홈(64)의 경사면(64a)을 따라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한다. 동시에,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의 우측 후방 슬라이더(84)는 화살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한다.
우측 전방 슬라이더(82)는 수용부 본체(31)의 바닥부(44)와 접촉하고 있고, 우측 전방 슬라이더 가이드(65)의 삽입 마우스(65c; insertion mouth)의 후방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동시에, 우측 후방 슬라이더(84)는 우측 후방 슬라이더 가이드(66)의 삽입 마우스(66c)의 후방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의 바닥부(163; 도 15 참조)가 수용부 본체(31)의 바닥부(44)에 배치되어 있다.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우측 전방 슬라이더(82)는 화살표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 마우스(65c)로부터 우측 전방 슬라이더 가이드(65) 내로 삽입된다. 동시에, 우측 후방 슬라이더(84)는 화살표 D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 마우스(66c)로부터 우측 후방 슬라이더 가이드(66) 내로 삽입된다. 이로써, 우측 전방 슬라이더(82)는 우측 전방 슬라이더 가이드(65)에 의해 지지되고,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수용부 본체(31)의 부착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카세트 가스 실린더(21)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26) 내에 수용되어 있다. 카세트 가스 실린더(2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돌기(142)와 결합하는 플랜지(95)의 절결부(141)에 의해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에 대하여 적절한 부착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를 위치 결정함으로써, 카세트 가스 실린더(21)는 수용부(25)[수용부 본체(31)]에 대하여 적절하게 위치 결정된다.
도 17b에 있어서, 유지 로드(41)는 로킹 스프링(105; 도 3)의 압박력에 의해 화살표 E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위치(P1)로 복귀한다. 좌우 후크부(108, 109)는 좌우 래치부(185, 186; 도 11)를 갖는 래치부(42) 상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는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되어 있다. 이로써, 가스 실린더 케이스(26)가 수용부(25)에 부착된다.
오정렬 방지 수단(164)에 있어서, 좌측 래치부(167)는 좌측 스토퍼(165)의 후방벽(165a) 상에 결합되고, 우측 래치부(168)는 우측 스토퍼(166)의 후방벽(166a) 상에 결합된다. 이로써, 유지 로드(41)가 래치부(42)에 결합되어 있을 때, 상반부 케이스(132)가 길이 방향으로 하반부 케이스(131)에 대하여 전방으로 오정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반부 케이스(132)와 하반부 케이스(131), 즉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를 유지 로드(41)에 의해 만족스럽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슬라이더가 슬라이더 가이드 내로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18a에 있어서, 좌측 후방 슬라이더(83)는 좌측 후방 슬라이더 가이드(76)에 유지되고, 우측 후방 슬라이더(84)는 우측 후방 슬라이더 가이드(66)에 유지되어 있다.
도 18b에 있어서, 좌측 전방 슬라이더(81)는 좌측 전방 슬라이더 가이드(75)에 유지되고, 우측 전방 슬라이더(82)는 우측 전방 슬라이더 가이드(65)에 유지되어 있다.
이로써,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는 수용부(25)[수용부 본체(31)]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19는 스위치 밸브(38)가 연료 공급 상태로 전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조작자는 화살표 F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98)를 연료 차단 위치(P4)로부터 연료 공급 위치(P3)로 이동시키도록 스위치 밸브(38)의 조작 레버(98)를 조작한다. 이로써, 스위치 밸브(38)는 도 1에 도시된 가스 엔진(12)에 연료(24)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상태로 유지되어, 가스 엔진(12)을 기동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 레버(98)의 종동 래치 부재(118)는 위로부터 구동 접촉자(116)[구동 래치 부재(122) 또는 오버행 부재(121)]와 접촉한다.
이에 따라, 조작 레버(98)는 연료 공급 위치(P3)에 배치되고, 스위치 밸브(38)는 가스 엔진(12)이 시동되기 전에 연료 공급 상태로 전환된다.
다음으로, 도 20a 및 도 20b를 기초로 하여, 수용부(25)로부터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를 제거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한다.
도 20a에 있어서, 유지 로드(41)는 래치부(42)로부터 제거되고 화살표 G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 위치(P2)를 향하여 상승한다. 구동 접촉자(116)는 화살표 G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로드(41)와 함께 이동한다.
구동 접촉자(114)의 이동에 의해, 종동 돌기(114)의 종동 래치 부재(118)는 구동 접촉자(116)에 의해 상향 압박되어 화살표 H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한다. 이에 따라, 종동 돌기[114; 종동 래치 부재(118)]가 구동 접촉자(116)에 의해 이동되고, 조작 레버(98)는 연료 차단 위치(P4)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스위치 밸브(38)는, 구동 접촉자(116)가 유지 로드(41)에 설치되어 있고 종동 돌기(114)가 조작 레버(98)에 설치되어 있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유지 로드(41)의 이동에 따라 연료 공급 상태로부터 연료 차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20b에 있어서, 래치부(42)[좌우 래치부(185, 186)]로부터 유지 로드(41)[좌우 후크부(108, 109)]를 제거함으로써,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를 화살표 I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를 화살표 I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시킴으로써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를 수용부(25)의 수용부 본체(31)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는 단지 유지 로드(41)를 로킹 스프링(105; 도 3)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래치부(42)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수용부 본체(31)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을 개선할 수 있다.
그 후, 스위치 밸브(38)는 유지 로드(41)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여, 연료 차단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된 카세트 가스 실린더(21)의 노즐(87)이 베이스 지지부(37)로부터 제거될 때, 카세트 가스 실린더(21) 내의 연료(24; 도 10 참조)가 노즐(87)로부터 흘러나갈 위험이 없다.
유지 로드(41)에 의한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카세트 가스 실린더(21)]의 유지가 해제되면, 스위치 밸브(38)가 유지 로드(41)의 이동에 따라 연료 공급 상태로부터 연료 차단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카세트 가스 실린더(21)]가 수용부(25)의 수용부 본체(31)로부터 제거될 때에 스위치 밸브(38)를 연료 공급 상태로부터 연료 차단 상태로 전환하도록 개별적으로 조작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카세트 가스 실린더(21)]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 수용부 본체(31)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카세트 가스 실린더 부착 구조(20)가 적용되어 있는 밀면서 걷는 형태의 경운기를 작업기(10)의 일례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잔디 깎는 기계, 선외기(船外機), 전기 발전기, 또는 기타 작업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를, 좌우 로킹 탭(158, 159)이 상반부 케이스(132)에 설치되어 있고, 좌우 로킹 탭 수용부(156, 157)가 하반부 케이스(131)에 설치되어 있는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예는 한정의 의도는 없으며, 좌우 로킹 탭 수용부(156, 157)가 상반부 케이스(132)에 설치되어 있고 좌우 로킹 탭(158, 159)이 하 반부 케이스(131)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를, 슬라이더(81 내지 84)가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에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더 가이드(65, 66, 75, 76)가 수용부(25)에 설치되어 있는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예는 한정의 의도는 없으며, 슬라이더 가이드(65, 66, 75, 76)가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에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더(81 내지 84)가 수용부(25)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모래, 고엽 등을 부스러기 배출구(56)로부터 배출되는 부스러기의 예로 설명하였지만, 부스러기가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카세트 가스 실린더(21), 수용부(25), 가스 실린더 케이스(26), 수용부 본체(31), 밸브 결합 수단(35), 베이스 지지부(37), 스위치 밸브(38), 유지 로드(41), 래치부(42), 부스러기 배출구(56), 슬라이더 가이드(65, 66, 75, 76), 슬라이더(81 내지 84), 플랜지 수용부(92), 플랜지(95), 조작 레버(98), 로킹 스프링 부재(105), 종동 돌기(114), 구동 접촉자(116), 개구(126), 하반부 케이스(131), 상반부 케이스(132), 코일 스프링(133), 절결부(141), 위치 결정 돌기(142), 좌측 로킹 탭 수용부(156), 우측 로킹 탭 수용부(157), 좌측 로킹 탭(158), 우측 로킹 탭(159), 오정렬 방지 수단(164), 좌우 스토퍼(165, 166), 좌우 래치부(167, 168), 좌측 피팅 홈(174), 우측 피팅 홈(175), 유지 돌기(176), 정합부(198), 그리고 그 외의 부품은 설명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하게 변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작업기의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카세트 가스 실린더가 가스 실 린더 케이스를 통하여 작업기의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 작업기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1은 카세트 가스 실린더를 수용하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스 실린더 케이스의 부착 방식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수용부로부터 분리된 가스 실린더 케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수용부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수용부 본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6a는 도 5의 6A-6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5의 6B-6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수용부의 베이스 지지부와 스위치 밸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수용부의 베이스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카세트 가스 실린더의 베이스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9는 카세트 가스 실린더와 가스 실린더 케이스의 하반부 케이스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카세트 가스 실린더가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가스 실린더 케이스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가스 실린더 케이스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화살표 13의 방향에서 본 하반부 케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4는 도 11의 화살표 14의 방향에서 본 상반부 케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5는 도 3의 15-15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6a 및 도 16b는 도 15에서 16으로 표시된 부분을 도시하는 확대도이고,
도 17a 및 도 17b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를 수용부에 부착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8a 및 도 18b는 슬라이더 가이드에 끼워진 슬라이더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9는 연료 공급 상태로 전환된 스위치 밸브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0a 및 도 20b는 유지 로드와 관련하여 이동하고 연료 차단 상태로 전환된 스위치 밸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작업기
11 : 작업기 본체
12 : 엔진
21 : 카세트 가스 실린더
26 : 가스 실린더 케이스

Claims (16)

  1. 작업기 본체(11);
    상기 작업기 본체에 장착된 엔진(12);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를 저장하는 카세트 가스 실린더(21);
    상기 카세트 가스 실린더(21)를 수용하고, 작업기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26)
    를 포함하는 작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가스 실린더(21)는 절결부(141)가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95)를 갖춘 베이스(86)를 구비하고, 상기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는 상기 절결부(141)와 결합할 수 있는 위치 결정 돌기(142)를 구비하는 것인 작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는 플랜지(95)의 외측 둘레부(95c)를 수직 방향으로 클램핑하는 상반부 케이스(132)와 하반부 케이스(131)를 포함하고, 상반부 케이스와 하반부 케이스 중 하나에 로킹 탭(158, 159)이 마련되고, 상반부 케이스와 하반부 케이스 중 다른 하나에는 로킹 탭을 구속하기 위한 로킹 탭 수용부(156, 157)가 마련되며, 상반부 케이스와 하반부 케이스는 로킹 탭이 로킹 탭 수용부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조립 상태로 유지되는 것인 작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반부 케이스와 하반부 케이스는 정합 시에 래비린스 구조(labyrinth structure)를 형성하는 정합부(198)를 구비하는 것인 작업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를 작업기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부재(41);
    상기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상태와 엔진으로의 연료 공급을 정지시키는 연료 차단 상태 사이를 전환시키는 스위치 밸브(38);
    상기 유지 부재에 의한 가스 실린더 케이스(26)의 유지가 해제될 때 유지 부재의 이동에 따라 스위치 밸브를 연료 공급 상태로부터 연료 차단 상태로 전환시키는 밸브 결합 수단(35)
    을 더 포함하는 작업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밸브(38)는 연료 공급 상태와 연료 차단 상태 사이를 전환시키는 조작 레버(98)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결합 수단(35)은 조작 레버로부터 돌출하는 종동 돌기(114)와 종동 돌기가 접촉할 수 있는 구동 돌기(116)를 구비하고, 구동 돌기(116)는 유지 부재(41)에 형성되어 있고, 종동 돌기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26)가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작 레버에 의해 연료 공급 상태로 전환될 때에 구동 돌기와 접촉하며, 상기 유지 부재가 가스 실린더 케이스의 유지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종동 돌기가 구동 돌기에 의해 이동되어, 조작 레버가 연료 차단 상태의 위치(P4)로 이동하는 것인 작업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는 유지 부재(41)를 적소에 고정시키기 위한 래치부(42; latching part)를 구비하고, 유지 부재는 로킹 스프링에 의해 래치부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로킹 스프링(105)에 의해 압박되는 것인 작업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는 상반부 케이스(132)와 하반부 케이스(131)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부(42)는 상반부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으며, 유지 부재(41)가 래치부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반부 케이스가 하반부 케이스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오정렬되지 않도록 상반부 케이스 및 하반부 케이스에 오정렬 방지 수단(164)이 설치되어 있는 것인 작업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정렬 방지 수단(164)은 하반부 케이스(131)에 설치되는 좌우 스토퍼(165, 166)와, 좌우 스토퍼와 결합하며 상반부 케이스(132)에 설치되어 있는 좌우 래치부(167, 168)를 구비하는 것인 작업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는 작업기에 설치되는 케이스 장착부(25)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케이스 장착부는 카세트 가스 실린더(21)에 설치되는 베이스(86)를 지지하는 베이스 지지부(37)를 구비하고, 가스 실린더 케이 스와 케이스 장착부 중 하나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와 케이스 장착부 중 다른 하나와 결합하기 위한 슬라이더(81, 82, 83, 84)를 구비하고, 가스 실린더 케이스와 케이스 장착부 중 다른 하나는 슬라이더가 베이스 지지부를 향해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를 지지하는 슬라이더 가이드(65, 66, 75, 76)를 구비하는 것인 작업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가스 실린더(21)는 플랜지(95)에 절결부(141)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86)를 구비하고, 절결부와 결합할 수 있는 위치 결정 돌기(142)가 가스 실린더 케이스(26) 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인 작업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장착부(25)는 부스러기를 배출하기 위한 부스러기 배출구(56)를 구비하고, 부스러기 배출구는 케이스 장착부의 바닥부(44)의 가장 낮은 부분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것인 작업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는 카세트 가스 실린더(21)에 설치되는 베이스(86)를 지지하는 베이스 지지부(37)를 구비하고, 베이스 지지부는 베이스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95)가 접촉하는 플랜지 수용부(92)를 구비하는 것인 작업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가스 실린더(21)가 수용되어 있는 상기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는 카세트 가스 실린더의 플랜지(95)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구(126)를 갖고, 이 개구가 가스 실린더 케이스의 말단에 있으며, 상기 가스 실린더 케이스의 선단(131a)에 카세트 가스 실린더를 개구를 향하여 압박하는 탄성 부재(13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인 작업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는 작업기에 설치된 유지 부재(41)에 의해 유지되고, 유지 부재는 가스 실린더 케이스에 마련되는 래치부(42) 상에 결합되고, 가스 실린더 케이스는 래치부에 결합되어 있는 유지 부재에 의해 플랜지 수용부(92)를 향하여 압박되어, 카세트 가스 실린더(21)의 플랜지(95)가 플랜즈 수용부에 접촉하게 되는 것인 작업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133)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 실린더 케이스(26)는 상반부 케이스(132)와 하반부 케이스(131)를 포함하며, 가스 실린더 케이스는 코일 스프링의 선단(133a)이 끼워지는 피팅 홈(174, 175; fitting groove)과, 코일 스프링의 선단을 피팅 홈에 끼워진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돌기(176)를 구비하고, 피팅 홈과 유지 돌기는 상반부 케이스와 하반부 케이스 중 하나의 선단(131a)에 설치되는 것인 작업기.
KR1020090046658A 2008-05-28 2009-05-27 작업기 KR101049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39965A JP4484937B2 (ja) 2008-05-28 2008-05-28 作業機のカセットガスボンベ取付構造
JP2008139935A JP4500355B2 (ja) 2008-05-28 2008-05-28 作業機のカセットガスボンベ取付構造
JPJP-P-2008-140019 2008-05-28
JP2008140019A JP4619423B2 (ja) 2008-05-28 2008-05-28 作業機のカセットガスボンベ取付構造
JPJP-P-2008-139893 2008-05-28
JPJP-P-2008-139965 2008-05-28
JP2008139893A JP4619422B2 (ja) 2008-05-28 2008-05-28 作業機のカセットガスボンベ取付構造
JPJP-P-2008-139935 2008-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822A true KR20090123822A (ko) 2009-12-02
KR101049213B1 KR101049213B1 (ko) 2011-07-14

Family

ID=41050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658A KR101049213B1 (ko) 2008-05-28 2009-05-27 작업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07803B2 (ko)
EP (1) EP2128513B1 (ko)
KR (1) KR101049213B1 (ko)
DE (1) DE602009000332D1 (ko)
TW (1) TWI38655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0808A (ko) * 2016-05-19 2017-11-29 박정원 엔진의 산소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1372B2 (en) * 2007-02-06 2015-09-01 Bernardo J. Herzer Portable gas power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arrangement
JP4802237B2 (ja) * 2008-11-26 2011-10-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カセットガスボンベ取付構造
GB201018167D0 (en) 2010-10-27 2010-12-08 Linde Ag Demountable connecting device
US8657143B2 (en) * 2012-04-12 2014-02-25 Honda Motor Co., Ltd. Small engine fuel tank systems and mounting methods
GB201213203D0 (en) * 2012-07-25 2012-09-05 Linde Ag Wheels for pressure vessel
RU2662031C2 (ru) * 2013-01-25 2018-07-23 Ликвидпистон, Инк. Роторный двигатель с воздушным охлаждением
US10081243B2 (en) 2015-05-03 2018-09-25 Natural Gas Fuel Systems, Inc. Apparatuses for mounting tanks to vehicles and rel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54507A1 (fr) 1976-06-11 1978-01-06 Antargaz Procede et dispositif d'alimentation en gaz d'un appareil generateur d'energie
JPS62167201A (ja) 1986-01-17 1987-07-23 Daido Steel Co Ltd 水素貯蔵合金の活性化処理方法
JPS62132269U (ko) 1986-02-13 1987-08-20
KR910007171Y1 (ko) * 1989-01-19 1991-09-24 주식회사 대 명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가스통 회동방지장치
JPH03110432A (ja) 1989-09-25 1991-05-10 Kubota Corp トルクセンサ軸の製造方法
JPH0622762U (ja) 1992-04-03 1994-03-25 新富士バーナー株式会社 ガス充填装置
JPH0737562A (ja) 1993-07-22 1995-02-07 Sharp Corp 電池収納装置
JPH07117496A (ja) 1993-10-20 1995-05-09 Nissan Motor Co Ltd 簡易型lpgボンベ取付け構造
JP3024966U (ja) 1994-12-13 1996-06-07 ジュシクホェサ テェウンガスキグ ブタンガス容器の接続アダプター
JPH10131809A (ja) 1996-10-30 1998-05-19 Honda Motor Co Ltd ガスエンジン及びガスエンジン作業機
JP3469019B2 (ja) 1996-12-10 2003-11-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小形ガスエンジンにおけるボンベホルダ
JPH11170876A (ja) * 1997-12-12 1999-06-29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管理機
JP2001106147A (ja) 1999-10-04 2001-04-17 Suzuki Motor Corp Lpgカセット式ガスボンベの原動機付自動二輪車
JP3869697B2 (ja) * 2001-10-19 2007-01-17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FR2875749B1 (fr) 2004-09-29 2006-11-24 Air Liquide Dispositif de stockage et de fourniture de fluide sous pression, groupe electrogene et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FR2882011B1 (fr) * 2005-02-11 2008-10-1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verrouillage d'un rack amovible et voiture equipee d'un tel dispositi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0808A (ko) * 2016-05-19 2017-11-29 박정원 엔진의 산소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28513B1 (en) 2010-11-10
US8307803B2 (en) 2012-11-13
US20090293837A1 (en) 2009-12-03
DE602009000332D1 (de) 2010-12-23
TW201013037A (en) 2010-04-01
KR101049213B1 (ko) 2011-07-14
TWI386550B (zh) 2013-02-21
EP2128513A1 (en)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213B1 (ko) 작업기
JP5581447B2 (ja) 車両盗難防止装置
JP2007125946A (ja) 車両用ワイパ
KR20170000950A (ko)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JP2011070801A (ja) バッテリの固定構造
JP5846992B2 (ja) 鞍乗型電動車両
KR101053965B1 (ko) 카세트 가스 실린더 장착 구조
JP4619422B2 (ja) 作業機のカセットガスボンベ取付構造
JP4500355B2 (ja) 作業機のカセットガスボンベ取付構造
JP4669035B2 (ja) 作業機
JP4484937B2 (ja) 作業機のカセットガスボンベ取付構造
TW557258B (en) Vehicle engine having an air filter
JP4619423B2 (ja) 作業機のカセットガスボンベ取付構造
JP6466915B2 (ja) 不適切な燃料ノズルの挿入抑止システム
JP2006015208A (ja) 背負式噴霧装置
JP4864859B2 (ja) ガスエンジン搭載型作業機
JP5780121B2 (ja) リッドの取付構造
JP4403192B2 (ja) ガスエンジン搭載型作業機のガスボンベ保持構造
JP6423748B2 (ja) 充電コネクタ
JP5296308B2 (ja) 燃焼力作動型打ち込み装置用の燃料容器及び打ち込み装置の燃料容器収容部
JP4962250B2 (ja) 燃料電池搭載電動車両の燃料供給装置
EP4279367A1 (en) Straddle-type vehicle
KR20170125607A (ko) 급수장치
JP2007056743A (ja) ガスエンジン及びガスエンジン発電機
JP2019210627A (ja) 原水改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