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1993A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1993A
KR20090121993A KR1020080048179A KR20080048179A KR20090121993A KR 20090121993 A KR20090121993 A KR 20090121993A KR 1020080048179 A KR1020080048179 A KR 1020080048179A KR 20080048179 A KR20080048179 A KR 20080048179A KR 20090121993 A KR20090121993 A KR 20090121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word line
memory cell
region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2175B1 (ko
Inventor
송기환
이영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8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175B1/ko
Priority to US12/453,595 priority patent/US8179707B2/en
Publication of KR20090121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8Bit line organisation; Bit line lay-ou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7Bit-line organisation, e.g. bit-line layout, folded bit l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0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comprising amorphous/crystalline phase transition ce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23Address circuits or decod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23Address circuits or decoders
    • G11C13/0026Bit-line or colum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23Address circuits or decoders
    • G11C13/0028Word-line or row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08Word line control circuits, e.g. drivers, boosters, pull-up circuits, pull-down circuits, precharging circuits, for word l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4Word line organisation; Word line lay-o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07Geometrical layout of the components, e.g. computer aided design; custom LSI, semi-custom LSI, standard cell techniqu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20DRAM devices comprising floating-body transistors, e.g. floating-body ce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48Data lines or contacts therefor
    • H10B12/488Word l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gital store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2211/4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2211/4016Memory devices with silicon-on-insulator ce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3/00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is group
    • G11C2213/70Resistive array aspects
    • G11C2213/79Array wherein the access device being a transis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 배치 방법을 공개한다. 이 장치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워드 라인과 제2 워드 라인을 구비하는 워드 라인쌍, 상기 제1 워드 라인과 상기 제2 워드 라인 사이에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된 소스 라인,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된 제1 비트 라인과 제2 비트 라인을 구비하는 비트 라인쌍, 상기 제1 워드 라인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제2 비트 라인 및 상기 소스 라인과 각각 연결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사이의 제3 방향으로 배치된 제1 메모리 셀, 및 상기 제2 워드 라인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제1 비트 라인 및 상기 소스 라인과 각각 연결된 제3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치된 제2 메모리 셀을 구비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워드 라인과 상기 제2 워드 라인은 동시에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인접한 메모리 셀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교란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집적도를 높을 수 있고, 구동하여야 할 워드 라인의 수가 감소하여 서브 워드 라인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 방법{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arrangement methode of memory cell array thereof}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패시터가 없는 메모리 셀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동적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은 하나의 셀 커패시터와 하나의 억세스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레이아웃 면적을 증가함이 없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용량을 증기사키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미국 등록 특허 제 6,621,725호 및 미국 특허 공개 공보 제 2007/0058427호 등에 커패시터가 없는 플로팅 바디 트랜지스터를 가지는 동적 메모리 셀이 소개되었으며, 이에 따라 일반적인 동적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에 비해서 동일한 면적에 보다 많은 수의 메모리 셀을 집적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플로팅 바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메모리 셀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10)은 i개의 워드 라인들(WL1, WL2, ..., WLi), j개의 비트 라인들(BL1, BL2, ..., BLj), 및 i개의 소스 라인들(SL1, SL2, ..., SLi) 각각에 연결된 게이트, 드레인, 소스 및 플로팅 바디를 가진 메모리 셀들(MC11, MC12, MC21, MC22, ..., MCn1, MCn2)로 구성되어 있다.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10)의 워드 라인들(WL1, WL2, ..., WLi)과 소스 라인들(SL1, SL2, ..., SLi)은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고, 비트 라인들(BL1, BL2, ..., BLj)은 워드 라인들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10)의 메모리 셀들(MC11, MC12, MC21, MC22, ..., MCn1, MCn2) 각각의 게이트는 해당 워드 라인(WL1, WL2, ..., WLi)과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소스는 해당 소스 라인(SL1, SL2, ..., SLi)과 각각 연결되고, 인접한 두 개씩의 메모리 셀들(MC11과 MC12, MC21과 MC22, ..., MCn1과 MCn2)의 드레인은 공통으로 연결되어 해당 비트 라인(BL1, BL2, ..., BLj)과 각각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블록들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10)은 워드 라인들(WL1, WL2, ..., WLi)중 선택된 하나의 워드 라인, 소스 라인들(SL1, SL2, ..., SLi)중 선택된 하나의 소스 라인, 및 비트 라인들(BL1, BL2, ..., BLj)에 의해서 선택된 메모리 셀들을 통하여 데이터를 라이트/리드 한다. 즉, 메모리 셀들(MC11, MC12, MC21, MC22, ..., MCn1, MCn2) 각각은 해당하는 워드 라인 및 소스 라인에 의해 선택되고, 선택된 메모리 셀은 해당 하는 비트 라인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출력한다. 또한, 해당하는 워드 라인 및 소스 라인에 의해 선택된 메모리 셀의 경우에도 해당하는 비트 라인에 의해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워드 라인들(WL1, WL2, ..., WLi) 및 소스 라인들(SL1, SL2, ..., SLi)은 로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고, 비트 라인들(BL1, BL2, ..., BLj)은 컬럼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그런데,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경우, 인접한 메모리 셀들(MC11과 MC12, MC21과 MC22, ..., MCn1과 MCn2) 각각에 있어서, 하나의 메모리 셀(예를 들면, MC11)만 선택되고, 다른 하나의 메모리 셀(예를 들면, MC12)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 선택되지 않은 메모리 셀(예를 들면, MC12)에 교란(disturbance)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선택되지 않은 메모리 셀(예를 들면, MC12)에 데이터 "0"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선택된 메모리 셀(예를 들면, MC11)에 데이터 "1"을 저장하는 동작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선택된 메모리 셀(예를 들면 MC11)로 유입되는 홀(hole) 중 일부가 선택되지 않은 메모리 셀로 유입되어 선택되지 않은 메모리 셀(예를 들면, MC12)의 데이터가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구동하여야 할 워드 라인의 수가 많기 때문에 이를 제어하기 위한 로우 제어부가 조밀하게 구현되어야 하고, 결과적으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집적도를 제한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더불어, 필요한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의 수가 많아 서브 워드 라인 구조를 채택하기 힘든 문제점도 있었다.
도 2는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11)의 워드 라인들(WL1, WL2, ..., WLn)과 소스 라인들(SL1, SL2, ..., SLn)은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고, 비트 라인들(BL1, BL2, ..., BLm)은 워드 라인들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11)의 메모리 셀들(MC11, MC12, MC21, MC22, ..., MCn1, MCn2) 각각의 게이트는 해당 워드 라인(WL1, WL2, ..., WLn)과 각각 연결되고, 인접한 두 개씩의 메모리 셀들(MC11과 MC12, MC21과 MC22, ..., MCn1과 MCn2) 각각과 연결된 워드 라인들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인접한 두 개씩의 메모리 셀들(MC11과 MC12, MC21과 MC22, ..., MCn1과 MCn2)의 소스는 공통으로 형성되어 해당하는 소스 라인(SL1, SL2, ..., SLn)과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인접한 두 개씩의 메모리 셀들(MC12와 MC21, ...)의 드레인은 공통으로 형성되어 해당하는 비트 라인(BL1, BL2, ..., BLm)과 각각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블록들 각각의 기능은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인접한 두 개씩의 메모리 셀들(MC11과 MC12, MC21과 MC22, ..., MCn1과 MCn2) 각각과 연결된 워드 라인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소스를 공통으로 형성함으로써 로우 제어부(미도시)에서 구동하여야 할 워드 라인 및 소스 라인의 수가 감소하고, 따라서, 로우 제어부(미도시)의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다. 그러나, 인접한 두 개씩의 메모리 셀들(MC12와 MC21, ...)의 드레인이 공통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 기 메모리 셀들(MC12와 MC21, ...) 사이에 상술한 교란(disturbance)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셀들(MC11, MC12, MC21, MC22, ..., MCn1, MCn2)이 비트 라인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집적도를 높이는데도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한 메모리 셀들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교란(disturbance)을 방지하고,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집적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서브 워드 라인 구조를 채용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워드 라인과 제2 워드 라인을 구비하는 워드 라인쌍, 상기 제1 워드 라인과 상기 제2 워드 라인 사이에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된 소스 라인,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된 제1 비트 라인과 제2 비트 라인을 구비하는 비트 라인쌍, 상기 제1 워드 라인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제2 비트 라인 및 상기 소스 라인과 각각 연결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사이의 제3 방향으로 배치된 제1 메모리 셀, 및 상기 제2 워드 라인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제1 비트 라인 및 상기 소스 라인과 각각 연결된 제3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치된 제2 메모리 셀을 구비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워드 라인과 상기 제2 워드 라인은 동시에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메모 리 셀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비트 라인과 중첩되고, 상기 제2 메모리 셀의 제3 영역은 상기 제1 비트 라인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상기 워드 라인 쌍의 상기 제1 워드 라인과 상기 제2 워드 라인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상기 제1 메모리 셀의 1형태는 상기 제1 영역은 드레인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소스 영역인 플로팅 바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메모리 셀의 1형태는 상기 제3 영역은 드레인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소스 영역인 플로팅 바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메모리 셀의 2형태는 상기 제2 영역이 소스 영역이고 게이트가 상기 제1 워드 라인과 연결된 제1 억세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억세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상기 제1 영역 사이에 연결된 제1 가변성 저항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메모리 셀의 2형태는 상기 제2 영역이 소스 영역이고 게이트가 상기 제2 워드 라인과 연결된 제2 억세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억세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상기 제3 영역 사이에 연결된 제2 가변성 저항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메모리 셀의 3형태는 상기 제2 영역이 소스 영역이고 게이트가 상기 제1 워드 라인과 연결된 제1 선택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선택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상기 제1 영역 사이에 연결된 제1 메모리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메모리 셀의 3형태는 상기 제2 영역이 소스 영역이고 게이트가 상기 제2 워드 라인과 연결된 제2 선택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선택 트랜지스터 의 드레인과 상기 제3 영역 사이에 연결된 제2 메모리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1 및 제2 메모리 셀의 3형태의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트랜지스터 각각은 SONOS 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는 리드 동작 시 상기 제1 비트 라인 및 상기 제2 비트 라인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증폭하는 전류 센스 증폭기 또는 상기 제1 비트 라인 및 상기 제2 비트 라인의 전압을 증폭하는 전압 센스 증폭기를 구비하는 센싱 블록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워드 라인쌍 및 상기 소스 라인들을 제어하는 로우 제어부, 및 상기 제1 비트 라인과 상기 제2 비트 라인을 제어하는 컬럼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다른 형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된 메인 워드 라인 및 메인 소스 라인을 더 구비하고, 상기 메인 워드 라인 및 상기 메인 소스 라인 각각은 상기 워드 라인쌍 및 상기 소스 라인과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또다른 형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된 메인 워드 라인, 메인 소스 라인, 및 복수개의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라인을 더 구비하고,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는 상기 제1 메모리 셀 및 제2 메모리 셀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상기 복수 개의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라인 중 해당하는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라인과 연결된 복수개의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드라이버들, 상기 복수개의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드라이버들 중 해당하는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드라이버의 출력 신호 라인 및 상기 메인 워드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워드 라인 쌍을 구동하는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 및 상기 복수개의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드라이버들 중 해당하는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드라이버의 출력 신호 라인 및 상기 메인 소스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소스 라인을 구동하는 서브 소스 라인 드라이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또다른 형태의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는 상기 복수개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각각을 기준으로 상기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과 상기 서브 소스 라인 드라이버가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 방법은 제1 워드 라인과 제2 워드 라인을 구비하는 워드 라인쌍을 제1 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제1 워드 라인과 상기 제2 워드 라인 사이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소스 라인을 배치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제1 비트 라인과 제2 비트 라인을 구비하는 비트 라인쌍을 배치하고, 상기 제1 워드 라인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제2 비트 라인 및 상기 소스 라인과 각각 연결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구비하는 제1 메모리 셀을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사이의 제3 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제2 워드 라인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제1 비트 라인 및 상기 소스 라인과 각각 연결된 제3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구비하는 제2 메모리 셀을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제1 워드 라인과 상기 제2 워드 라인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 방법은 상기 제1 메모리 셀의 상기 제1 영역을 상기 제2 비트 라인과 중첩되게 배치하고, 상기 제2 메모리 셀의 제3 영역을 상기 제1 비트 라인과 중첩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 방법의 다른 형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메인 워드 라인 및 메인 소스 라인을 추가적으로 배치하고, 상기 메인 워드 라인 및 상기 메인 소스 라인 각각을 상기 워드 라인쌍 및 상기 소스 라인과 각각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 방법의 또다른 형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메인 워드 라인, 메인 소스 라인, 및 복수개의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라인들을 추가적으로 배치하고,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 내부에 상기 제1 메모리 셀 및 제2 메모리 셀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및 상기 복수개의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라인 중 해당하는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라인과 연결된 복수개의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드라이버들을 배치하고, 상기 복수개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각각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개의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드라이버들 중 해당하는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드라이버의 출력 신호 라인 및 상기 메인 워드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워드 라인 쌍을 구동하는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와 상기 복수개의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드 라이버들 중 해당하는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드라이버의 출력 신호 라인 및 상기 메인 소스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소스 라인을 구동하는 서브 소스 라인 드라이버를 교대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 방법은 인접하는 메모리 셀 간의 교란을 방지할 수 있고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서브 워드 라인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실시예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에서 WL11, WL21, WL31은 제1 워드 라인들을, WL12, WL22, WL32는 제2 워드 라인들을, SL1, SL2, SL3은 소스 라인들을, BL11, BL21, BL31은 제1 비트 라인들을, BL12, BL22, BL32는 제2 비트 라인들을, MC11, MC21은 제1 메모리 셀들을, MC12, MC22는 제2 메모리 셀들을 각각 나타낸다.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워드 라인(WL11, WL21, WL31) 및 제2 워드 라인(WL12, WL22, WL32)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소스 라인들(SL1, SL2, SL3) 각각은 제1 워드 라인(WL11, WL21, WL31) 및 제2 워드 라인(WL12, WL22, WL32) 사이 각각에 상기 제1 및 제2 워 드 라인들과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고, 제1 비트 라인들(BL11, BL21, BL31) 및 제2 비트 라인들(BL12, BL22, BL32)은 상기 제1 및 제2 워드 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 메모리 셀들(MC11, MC21) 각각은 제1 워드 라인(WL11, WL21), 제2 비트 라인(BL21), 및 소스 라인(SL1, SL2) 각각의 사이에 연결되고, 제2 메모리 셀들(MC12, MC22) 각각은 제2 워드 라인(WL12, WL22), 제1 비트 라인(BL11), 및 소스 라인(SL1, SL2) 각각의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제1 메모리 셀들(MC11, MC21)은 소스 라인(SL1, SL2)과 제2 비트 라인(BL12)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 메모리 셀들(MC12, MC22)은 소스 라인(SL1, SL2)과 제1 비트 라인(BL11) 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제1 메모리 셀들(MC11, MC21)의 제2 비트 라인(BL12)과 연결되는 영역은 제2 비트 라인(BL12)과 중첩되어 형성되고, 제2 메모리 셀들(MC12, MC22)의 제1 비트 라인(BL11)과 연결되는 영역은 제1 비트 라인(BL11)과 중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1 메모리 셀(MC11) 및 제2 메모리 셀(MC12)의 소스 라인(SL1)과 연결되는 영역은 공통으로 형성되어 소스 라인(SL1)과 중첩되어 형성된다. 즉, 제2 메모리 셀(MC12)의 비트 라인과 연결되는 영역은 제1 메모리 셀(MC21)의 비트 라인과 연결되는 영역과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워드 라인과 제2 워드 라인(WL11과 WL12, WL21과 WL22, WL31과 WL32) 각각은 동시에 활성화되도록 구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및 제2 워드 라인은 로우 제어부(미도시)에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로우 제어부가 제1 워드 라인과 제2 워드 라인(WL11과 WL12, WL21과 WL22, WL31과 WL32) 각각을 동시에 활성화시키거나, 제1 워드 라인과 제2 워드 라인(WL11과 WL12, WL21과 WL22, WL31과 WL32)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로우 제어부(미도시)가 연결된 워드 라인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제1 메모리 셀과 제2 메모리 셀(MC11과 MC12, MC21과 MC22) 각각에 연결되는 제1 워드 라인과 제2 워드 라인(WL11과 WL12, WL21과 WL22)은 동시에 활성화되고, 제1 메모리 셀과 제2 메모리 셀(MC11과 MC12, MC21과 MC22) 각각은 동일한 소스 라인(SL1, SL2)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메모리 셀과 제2 메모리 셀(MC11과 MC12, MC21과 MC22)은 항상 같이 선택되기 때문에 메모리 셀들(MC11과 MC12, MC21과 MC22) 사이의 교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메모리 셀(MC12)과 제1 메모리 셀(MC21)은 각각 제1 비트 라인(BL11)과 제2 비트 라인(BL12)과 연결된다. 즉, 제2 메모리 셀(MC12)과 제1 메모리 셀(MC21) 각각의 비트 라인과 연결되는 영역은 분리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메모리 셀들(MC12와 MC21) 사이의 교란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셀들(MC11, MC12, MC21, MC22)을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집적도를 높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메모리 셀과 제2 메모리 셀(MC11과 MC12, MC21과 MC22) 각각에 연결되는 제1 워드 라인과 제2 워드 라인(WL11과 WL12, WL21과 WL22)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동시에 활성화되도록 구성할 경우, 로우 제어부(미도시)가 구동하여야 할 워드 라인의 수가 감소하여 로우 제어부(미도시)의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으 며, 서브 워드 라인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게 된다.
도 5는 도 4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A-B 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 메모리 셀(MC11) 및 제2 메모리 셀(MC12)이 플로팅 바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메모리 셀들(MC11, MC12)은 기판(1), 기판(1) 상에 형성된 절연층(2), 절연층(2) 상에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드레인 영역(4)과 소스 영역(5), 상기 드레인 영역(4)과 상기 소스 영역(5) 사이의 플로팅 바디 영역(3), 플로팅 바디 영역(3) 상에 절연되게 형성된 게이트 영역(6)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 메모리 셀(MC11) 및 제2 메모리 셀(MC12)은 소스 영역(5)을 공유한다. 게이트 영역(6)은 게이트 폴리로 형성되며, 게이트 폴리가 워드 라인들(WL11, WL12)이 된다. 워드 라인들(WL11, WL12)의 상부 층에 워드 라인들(WL11, WL12)과 절연되게 소스 라인(SL1)이 형성되고, 소스 라인(SL1)은 소스 영역(5)과 콘택(9)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소스 라인(SL1)이 배치되는 층의 상부에 소스 라인(SL1)과 절연되게 비트 라인들(BL11, BL12)이 형성되고, 제1 메모리 셀(MC11)의 드레인 영역(4)은 콘택(9)에 의해 제2 비트 라인(BL12)과 연결되고, 제2 메모리 셀(MC12)의 드레인 영역(4)은 콘택(9)에 의해 제1 비트 라인(BL11)과 연결된다. 메모리 셀들(MC11, MC12)의 드레인 영역(4)들 각각의 플로팅 바디 영역(3)과 인접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절연물질로 채워지게 된다. 즉, 제2 메모리 셀(MC12)의 드레인 영역과 제1 메모리 셀(MC21)의 드레인 영역은 분리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실시예로서 메모리 셀이 플로팅 바 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6에서,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12)은 n개의 제1 워드 라인들(WL11, WL21, ..., WLn1), m개의 제2 비트 라인들(BL12, BL22, ..., BLm2), 및 n개의 소스 라인들(SL1, SL2, ..., SLn) 각각에 연결된 게이트, 드레인, 및 소스를 가진 플로팅 바디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제1 메모리 셀들(MC11, MC21, ..., MCn1), 및 n개의 제2 워드 라인들(WL12, WL22, ..., WLn2), m개의 제1 비트 라인들(BL11, BL21, ..., BLm1), 및 n개의 소스 라인들(SL1, SL2, ..., SLn) 각각에 연결된 게이트, 드레인, 및 소스를 가진 플로팅 바디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제2 메모리 셀들(MC12, MC22, ..., MCn2)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에서, 제1 메모리 셀과 제2 메모리 셀(MC11과 MC12, MC21과 MC22, ..., MCn1과 MCn2) 각각은 도 5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12)의 배치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또한, 도 6에서, 상기 메모리 셀들은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동작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라이트 및 리드할 수도 있고, 기타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라이트 및 리드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12)의 제1 워드 라인들(WL11, WL21, ..., WLn1)과 제2 워드 라인들(WL12, WL22, ..., WLn2)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소스 라인들(SL1, SL2, ..., SLn) 각각은 제1 워드 라인과 제2 워드 라인(WL11과 WL12, WL21과 WL22, ..., WLn1과 WLn2) 사이에 상기 워드 라인들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 비트 라인들 및 제2 비트 라인들(BL11, BL12, BL21, BL22, ..., BLm1, BLm2)은 워드 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제1 메모리 셀들(MC11, MC21, ..., MCn1) 각각의 게이트는 해당 제1 워드 라인(WL11, WL21, ..., WLn1)에 연결되고, 제 2 메모리 셀들(MC12, MC22, ..., MCn2) 각각의 게이트는 해당 제2 워드 라인(WL12, WL22, ..., WLn2)에 연결된다. 또한, 제1 메모리 셀과 제2 메모리 셀(MC11과 MC12, MC21과 MC22, ..., MCn1과 MCn2) 각각의 소스들은 공통으로 형성되어 해당하는 소스 라인(SL1, SL2, ..., SLn)에 연결된다. 또한, 제1 메모리 셀들(MC11, MC21, ..., MCn1) 각각의 드레인은 해당하는 제2 비트 라인(BL12, BL22, ..., BLm2)과 연결되고, 제2 메모리 셀들(MC12, MC22, ..., MCn2) 각각의 드레인은 해당하는 제1 비트 라인(BL11, BL21, ..., BLm1)과 연결된다. 이 때, 메모리 셀들(MC11, MC12, MC21, MC22, ..., MCn1, MCn2) 각각의 드레인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메모리 셀의 드레인과 분리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1 워드 라인과 제2 워드 라인(WL11과 WL12, WL21과 WL22, ..., WLn1과 WLn2) 각각은 워드 라인들(WL1, WL2, ...,WLn) 중 해당하는 워드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워드 라인들(WL1, WL2, ..., WLn)은 로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도 6에 나타낸 블록들 각각의 기능은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다만, 제1 메모리 셀과 제2 메모리 셀(MC11과 MC12, MC21과 MC22, ..., MCn1과 MCn2) 각각은 동일한 소스 라인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연결된 워드 라인들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항상 같이 선택된다. 따라서, 메모리 셀들(MC11과 MC12, MC21과 MC22, ..., MCn1과 MCn2)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교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메모리 셀(MC12)과 제1 메모리 셀(21) 각각의 드레인은 분리되어 형성되고, 각각 제1 비트 라인(BL11, BL21, ..., BLm1)과 제2 비트 라인(BL12, BL22, ..., BLm2)과 연결된다. 따라서 메모리 셀들(MC12와 MC21,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교란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메모리 셀 어레이(15), 컬럼 제어부(20), 및 로우 제어부(30)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모리 셀 어레이(15)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12) 및 센싱 블록(14)으로 구성된다.(메모리 셀 어레이(15)는 복수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및 복수개의 센싱 블록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에서, WL11, WL21, ..., WLn1은 제1 워드 라인들을, WL12, WL22, ..., WLn2는 제2 워드 라인들을, SL1, SL2, ..., SLn은 소스 라인들을, BL11, BL21, ..., BLm1은 제1 비트 라인들을, BL12, BL22, ..., BLm2는 제2 비트 라인들을 각각 나타내며, 제1 워드 라인과 제2 워드 라인(WL11과 WL12, WL21과 WL22, ..., WLn1과 WLn2) 각각은 워드 라인들(WL1, WL2, ..., WLn) 중 해당하는 워드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블록들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12)은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선택된 메모리 셀을 통하여 데이터를 라이트/리드 한다. 센싱 블록(14)은 전류 센스 증폭기 또는 전압 센스 증폭기를 구비하여 제1 및 제2 비트 라인(BL11, BL12, ..., BLm1, BLm2)의 전류 차 또는 전압 차를 증폭한다. 로우 제어부(30)는 라이트 신호(WR) 또는 리드 신호(RD) 및 어드레스 신호(ADD)에 응답하여 워드 라인들(WL1, WL2, ..., WLn) 및 소스 라인들(SL1, SL2, ..., SLn)을 제어하여 메모리 셀을 선택한다. 또한, 리프레쉬 명령(REF)에 응답하여 워드 라인들(WL1, WL2, ..., WLn) 및 소스 라인들(SL1, SL2, ..., SLn)을 제어하여 메모리 셀들을 리프레쉬한다. 컬럼 제어부(20)는 라이트 신호(WR) 또는 리드 신호(RD) 및 어드레스 신호(ADD)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비트 라인들(BL11, BL12, BL21, BL22, ..., BLm1, BLm2)을 제어하여 선택된 메모리 셀에/로부터 데이터를 라이트/리드 하고, 원하지 않는 메모리 셀에/로부터 데이터를 라이트/리드 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리프레쉬 명령(REF)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비트 라인들(BL11, BL12, BL21, BL22, ..., BLm1, BLm2)을 제어하여 메모리 셀을 리프레쉬한다. 로우 제어부(30)로 인가되는 어드레스 신호는 로우 어드레스이고, 컬럼 제어부(20)로 인가되는 어드레스 신호는 컬럼 어드레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경우, 메모리 셀 간의 교란을 방지함과 동시에, 로우 제어부(30)가 구동하여야 할 워드 라인의 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로우 제어부(30) 내의 워드 라인 구동 회로 등을 구현할 자리를 확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메모리 셀 어레이(15-1), 컬럼 제어부(20), 및 로우 제어부(32)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모리 셀 어레이(15-1)는 복수개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12-1, 12-2, 12-3, ...) 및 복수개의 센싱 블록들(14)로 구성되어 있다. 도 8에서, WL11, WL21, ..., WLn1은 제1 워드 라인들을, WL12, WL22, ..., WLn2는 제2 워드 라인들 을, SL1, SL2, ..., SLn은 소스 라인들을, BL11, BL21, ..., BLm1은 제1 비트 라인들을, BL12, BL22, ..., BLm2는 제2 비트 라인들을, NWL1, NWL2, ..., NWLn은 메인 워드 라인들을, NSL1, NSL2, ..., NSLn은 메인 소스 라인들을 각각 나타낸다. 메인 워드 라인들(NWL1, NWL2, ..., NWLn) 및 메인 소스 라인들(NSL1, NSL2, ..., NSLn)은 일반적으로 메탈 라인으로 구성되고, 각각 해당하는 워드 라인쌍(WL11과 WL12, WL21과 WL22, ..., WLn1과 WLn2) 및 소스 라인(SL1, SL2, ..., SLn)과 연결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블록들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수개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12-1, 12-2, ...) 각각은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선택된 메모리 셀을 통하여 데이터를 라이트/리드 한다. 메모리 셀 어레이(15-1)의 기능은 도 7에서 설명한 메모리 셀 어레이(15)의 기능과 동일하며, 센싱 블록(14), 및 컬럼 제어부(20)의 기능은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로우 제어부(32)는 라이트 신호(WR) 또는 리드 신호(RD) 및 어드레스 신호(ADD)에 응답하여 메인 워드 라인들(NWL1, NWL2, ..., NWLn) 및 메인 소스 라인들(NSL1, NSL2, ..., NSLn)을 제어하여 메모리 셀을 선택한다. 또한, 리프레쉬 명령(REF)에 응답하여 메인 워드 라인들(NWL1, NWL2, ..., NWLn) 및 메인 소스 라인들(NSL1, NSL2, ..., NSLn)을 제어하여 메모리 셀들을 리프레쉬한다.
즉, 도 8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워드 라인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워드 라인 스트랩 구조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면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메모리 셀 어레이(19), 컬럼 제어부(20), 및 로우 제어부(32)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모리 셀 어레이(19)는 복수개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12-1, 12-2, ...), 복수개의 워드 라인 선택신호 드라이버들(16), 복수개의 센싱 블록들(14), 복수개의 서브 소스 라인 드라이버들(17), 및 복수개의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들(18)로 구성되어 있다. 도 8에서 WL은 서브 워드 라인쌍들을, SL은 서브 소스 라인들을, BL11,... 등은 제1 비트 라인들을, BL12, ...등은 제2 비트 라인들을, NWL1, NWL2, ..., NWLn은 메인 워드 라인들을, NSL1, NSL2, ..., NSLn은 메인 소스 라인들을, PX1, PX2, ... 등은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라인들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인접한 두 개씩의 메모리 셀(즉, 제1 메모리 셀과 제2 메모리 셀)의 게이트들에 연결되는 서브 워드 라인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서브 워드 라인쌍(WL)을 구성한다.
도 9에 나타낸 블록들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수개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12-1, 12-2, ...) 각각은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선택된 메모리 셀을 통하여 데이터를 라이트/리드 한다. 복수개의 센싱 블록들(14) 각각은 전류 센스 증폭기 또는 전압 센스 증폭기를 구비하여 비트 라인의 전류 차 또는 전압 차를 증폭한다. 복수개의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드라이버들(16) 각각은 해당하는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라인의 신호를 구동하여 출력한다. 복수개의 서브 소스 라인 드라이버들(17) 각 각은 해당하는 메인 소스 라인(NSL1, NSL2, ..., NSLn) 및 해당하는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드라이버(16)의 출력 신호 라인과 연결되고, 해당하는 서브 소스 라인(SL)을 구동한다. 복수개의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들(18) 각각은 해당하는 메인 워드 라인(NWL1, NWL2, ..., NWLn) 및 해당하는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드라이버(16)의 출력 신호 라인과 연결되고 해당하는 서브 워드 라인쌍(WL)을 구동한다. 또한, 서브 소스 라인 드라이버들(17)과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들(18)은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12-1, 12-2, ...) 각각의 상하에 교대로 배치된다. 로우 제어부(34)는 라이트 신호(WR) 또는 리드 신호(RD) 및 어드레스 신호(ADD)에 응답하여 메인 워드 라인들(NWL1, NWL2, ..., NWLn), 메인 소스 라인들(NSL1, NSL2, ..., NSLn) 및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라인들(PX1, PX2, ...)을 제어하여 메모리 셀을 선택한다. 또한, 리프레쉬 명령(REF)에 응답하여 메인 워드 라인들(NWL1, NWL2, ..., WLn) 및 메인 소스 라인들(NSL1, NSL2, ..., NSLn)을 제어하여 메모리 셀들을 리프레쉬한다. 컬럼 제어부(20)의 기능은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로우 제어부(34)로 인가되는 어드레스 신호는 로우 어드레스이고, 컬럼 제어부(20)로 인가되는 어드레스 신호는 컬럼 어드레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9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는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경우, 구동하여야 할 워드 라인(또는 서브 워드 라인)의 수가 많았기 때문에 필요한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의 수도 많았다. 따라서,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를 설치할 공간을 확보하기가 어려웠고, 현실적으로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 구조를 채택하기 가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경우, 인접한 두 개씩의 메모리 셀의 게이트들에 연결되는 서브 워드 라인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서브 워드 라인쌍(WL)을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필요한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18)의 수를 반으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 셀 어레이(19)내의 공간상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게 되어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 구조를 채택하기가 용이해진다.
상술한 실시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메모리 셀이 플로팅 바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커패시터가 없는 메모리 셀(예를 들면 가변성 저항체(variable resistor)를 데이터 저장 요소로 채택하는 메모리 셀 또는, 플래시 메모리)을 구비하는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메모리 셀의 다른 실시예로서, 가변성 저항체를 데이터 저장요소로 채택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메모리 셀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메모리 셀이 플래쉬 메모리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경우, 복수개의 제1 메모리 셀들(MC11, MC21, .., MCn1) 각각은 복수개의 제1 워드 라인들(WL11, WL21, ..., WLn1) 중 해당하는 제1 워드 라인과 연결된 게이트와 복수개의 소스 라인(SL1, SL2, ..., SLn) 중 해당하는 소스 라인과 연결된 소스를 구비하는 제1 억세스 트랜지스터(T1) 및 상기 제1 억세스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과 복수개의 제2 비트 라인들(BL12, BL22, ..., BLm2) 중 해당하는 제2 비트 라인 사이에 연결된 제1 가변 성 저항체(R1)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제2 메모리 셀들(MC12, MC22, ..., MCn2) 각각은 복수개의 제2 워드 라인들(WL12, WL22, ..., WLn2) 중 해당하는 제2 워드 라인과 연결된 게이트와 복수개의 소스 라인들(SL1, SL2, ..., SLn) 중 해당하는 소스 라인과 연결된 소스를 구비하는 제2 억세스 트랜지스터(T2) 및 상기 제2 억세스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과 복수개의 제1 비트 라인들(BL11, BL21, ..., BLm1) 중 해당하는 제1 비트 라인 사이에 연결된 제2 가변성 저항체(R2)를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4 및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동일하다. 도 10에서, 메모리 셀들 각각은 상변이 메모리 셀(phase change memory cell), 저항성 램(resistance RAM:RRAM), 또는 자기 램(magnetic RAM:MRAM)일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경우, 복수개의 제1 메모리 셀들(MC11, MC21, ..., MCn1) 각각은 복수개의 제1 워드 라인들(WL11, WL21, ..., WLn1) 중 해당하는 제1 워드 라인과 연결된 게이트와 복수개의 소스 라인들(SL1, SL2, ..., SLn) 중 해당하는 소스 라인에 연결된 제1 선택 트랜지스터(T11) 및 상기 제1 선택 트랜지스터(T11)의 드레인과 복수개에 제2 비트 라인들(BL12, BL22, ..., BLm2) 중 해당하는 제2 비트 라인 사이에 연결된 제1 메모리 트랜지스터(T21)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제2 메모리 셀들(MC12, MC22, ..., MCn2) 각각은 복수개의 제2 워드 라인들(WL12, WL22, ..., WLn2) 중 해당하는 제2 워드 라인과 연결된 게이트 및 복수개의 소스 라인들(SL1, SL2, ..., SLn) 중 해당하는 소스 라인과 연결된 소스를 구비하는 제2 선택 트랜지스터(T12) 및 상기 제2 선택 트랜지스터(T12)의 드레인과 복수개의 제1 비트 라인들(BL11, BL21, ..., BLm1) 중 해당하는 제1 비트 라인 사이에 연결된 제2 메모리 트랜지스터(T22)를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4 및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동일하다. 도 11에서 CG1, CG2, ..., CGn은 제어 게이트 라인을 나타낸다. 또한, 도 11에서 제1 메모리 트랜지스터들(T21) 및 제2 메모리 트랜지스터들(T22) 각각은 게이트와 기판 사이에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및 실리콘 산화물이 차례로 적층된 형태인 SONOS 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제2 메모리 셀(MC12)의 비트 라인과 연결되는 영역은 제1 비트 라인과 중첩되게 형성하여 제1 비트 라인과 연결하고, 제1 메모리 셀(MC21)의 비트 라인과 연결되는 영역은 제2 비트 라인과 중첩되게 형성하여 제2 비트 라인과 연결함으로써 제2 메모리 셀(MC12)과 제1 메모리 셀(MC21) 각각의 비트 라인과 연결되는 영역을 분리시켜 형성하고, 제1 메모리 셀(MC11) 및 제2 메모리 셀(MC12)과 연결된 워드 라인 및 소스 라인은 동시에 활성화되기 때문에 메모리 셀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교란(disturbance)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셀들을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제1 메모리 셀(MC11) 및 제2 메모리 셀(MC12)과 연결되는 워드 라인들(또는 서브 워드 라인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로우 제어부가 구동하여야 할 워드 라인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로우 제어부의 레이 아웃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필요한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 구조를 채택하기가 용이해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일실시예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실시예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A-B 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실시예로서 플로팅 바디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메모리 셀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실시예로서 가변성 저항체를 데이터 저장 요소로 채택한 메모리 셀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실시예로서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24)

  1. 제1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워드 라인과 제2 워드 라인을 구비하는 워드 라인쌍;
    상기 제1 워드 라인과 상기 제2 워드 라인 사이에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된 소스 라인;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된 제1 비트 라인과 제2 비트 라인을 구비하는 비트 라인쌍;
    상기 제1 워드 라인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제2 비트 라인 및 상기 소스 라인과 각각 연결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사이의 제3 방향으로 배치된 제1 메모리 셀; 및
    상기 제2 워드 라인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제1 비트 라인 및 상기 소스 라인과 각각 연결된 제3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치된 제2 메모리 셀을 구비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워드 라인과 상기 제2 워드 라인은 동시에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메모리 셀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비트 라인과 중첩되고, 상기 제2 메모리 셀의 제3 영역은 상기 제1 비트 라인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워드 라인 쌍의 상기 제1 워드 라인과 상기 제2 워드 라인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메모리 셀은 상기 제1 영역은 드레인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소스 영역인 플로팅 바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메모리 셀은 상기 제3 영역은 드레인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소스 영역인 플로팅 바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는
    리드 동작 시 상기 제1 비트 라인 및 상기 제2 비트 라인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증폭하는 전류 센스 증폭기를 구비하는 센싱 블록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워드 라인쌍 및 상기 소스 라인들을 제어하는 로우 제어부, 및 상기 제1 비트 라인과 상기 제2 비트 라인을 제어하는 컬럼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는
    리드 동작 시 상기 제1 비트 라인 및 상기 제2 비트 라인의 전압을 증폭하는 전압 센스 증폭기를 구비하는 센싱 블록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워드 라인쌍 및 상기 소스 라인을 제어하는 로우 제어부, 및 상기 제1 비트 라인과 상기 제2 비트 라인을 제어하는 컬럼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된 메인 워드 라인 및 메인 소스 라인을 더 구비하고,
    상기 메인 워드 라인 및 상기 메인 소스 라인 각각은 상기 워드 라인쌍 및 상기 소스 라인과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는
    리드 동작 시 상기 제1 비트 라인 및 상기 제2 비트 라인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증폭하는 전류 센스 증폭기를 구비하는 센싱 블록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메인 워드 라인 및 상기 메인 소스 라인을 제어하는 로우 제어부 및 상기 제1 비트 라인과 상기 제2 비트 라인을 제어하는 컬럼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는
    리드 동작 시 상기 제1 비트 라인 및 상기 제2 비트 라인의 전압을 증폭하는 전압 센스 증폭기를 구비하는 센싱 블록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메인 워드 라인 및 상기 메인 소스 라인을 제어하는 로우 제어부 및 상기 제1 비트 라인과 제2 비트 라인을 제어하는 컬럼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된 메인 워드 라인, 메인 소스 라인, 및 복수개의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라인을 더 구비하고,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는 상기 제1 메모리 셀 및 제2 메모리 셀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상기 복수개의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라인 중 해당하는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라인과 연결된 복수개의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드라이버들, 상기 복수개의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드라이버들 중 해당하는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드라이버의 출력 신호 라인 및 상기 메인 워드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워드 라인 쌍을 구동하는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 및 상기 복수개의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드라이버들 중 해당하는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드라이버의 출력 신호 라인 및 상기 메인 소스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소스 라인을 구동하는 서브 소스 라인 드라이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는
    상기 복수개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각각을 기준으로 상기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과 상기 서브 소스 라인 드라이버가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는
    리드 동작 시 상기 제1 비트 라인 및 제2 비트 라인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증폭하는 전류 센스 증폭기를 구비하는 센싱 블록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메인 워드 라인, 상기 메인 소스 라인, 및 상기 복수개의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라인들을 제어하는 로우 제어부 및 상기 제1 비트 라인과 상기 제2 비트 라인을 제어하는 컬럼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는
    리드 동작 시 상기 제1 비트 라인 및 제2 비트 라인의 전압을 증폭하는 전압 센스 증폭기를 구비하는 센싱 블록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메인 워드 라인, 상기 메인 소스 라인, 및 상기 복수개의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라인들을 제어하는 로우 제어부 및 상기 제1 비트 라인과 상기 제2 비트 라인을 제어하는 컬럼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메모리 셀은 상기 제2 영역이 소스 영역이고, 게이트가 상기 제1 워드 라인과 연결된 제1 억세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억세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상기 제1 영역 사이에 연결된 제1 가변성 저항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메모리 셀은 상기 제2 영역이 소스 영역이고, 게이트가 상기 제2 워드 라인과 연결된 제2 억세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억세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상기 제3 영역 사이에 연결된 제2 가변성 저항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메모리 셀은 상기 제2 영역이 소스 영역이고, 게이트가 상기 제1 워드 라인과 연결된 제1 선택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선택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상기 제1 영역 사이에 연결된 제1 메모리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메모리 셀은 상기 제2 영역이 소스 영역이고, 게이트가 상기 제2 워드 라인과 연결된 제2 선택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선택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상기 제3 영역 사이에 연결된 제2 메모리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트랜지스터 각각은
    SONOS 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7. 제1 워드 라인과 제2 워드 라인을 구비하는 워드 라인쌍을 제1 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제1 워드 라인과 상기 제2 워드 라인 사이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소스 라인을 배치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제1 비트 라인과 제2 비트 라인을 구비하는 비트 라인쌍을 배치하고,
    상기 제1 워드 라인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제2 비트 라인 및 상기 소스 라인과 각각 연결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구비하는 제1 메모리 셀을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사이의 제3 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제2 워드 라인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제1 비트 라인 및 상기 소스 라인과 각각 연결된 제3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구비하는 제2 메모리 셀을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제1 워드 라인과 상기 제2 워드 라인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방법은
    상기 제1 메모리 셀의 상기 제1 영역을 상기 제2 비트 라인과 중첩되게 배치하고, 상기 제2 메모리 셀의 제3 영역을 상기 제1 비트 라인과 중첩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방법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메인 워드 라인 및 메인 소스 라인을 추가적으로 배치하고,
    상기 메인 워드 라인 및 상기 메인 소스 라인 각각을 상기 워드 라인쌍 및 상기 소스 라인과 각각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방법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메인 워드 라인, 메인 소스 라인, 및 복수개의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라인들을 추가적으로 배치하고,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 내부에 상기 제1 메모리 셀 및 제2 메모리 셀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및 상기 복수개의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라인 중 해당하는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라인과 연결된 복수개의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드라이버들을 배치하고,
    상기 복수개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각각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개의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드라이버들 중 해당하는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드라이버의 출력 신호 라인 및 상기 메인 워드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워드 라인 쌍을 구동하는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와 상기 복수개의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드라이버들 중 해당하는 워드 라인 선택 신호 드라이버의 출력 신호 라인 및 상기 메인 소스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소스 라인을 구동하는 서브 소스 라인 드라이버를 교대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방법은
    상기 제1 메모리 셀은 상기 제1 영역은 드레인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소스 영역인 플로팅 바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메모리 셀은 상기 제3 영역은 드레인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소스 영역인 플로팅 바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방법은
    제1 메모리 셀은 상기 제2 영역이 소스 영역인 제1 억세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메모리 셀은 상기 제2 영역이 소스 영역인 제2 억세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억세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상기 제1 워드 라인과 연결하고, 상기 제2 억세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상기 제2 워드 라인과 연결하고,
    제1 가변성 저항체를 상기 제1 억세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상기 제1 영역 사이에 배치하고, 제2 가변성 저항체를 상기 제2 억세스 트랜지스트의 드레인과 상기 제3 영역 사이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 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방법은
    상기 제1 메모리 셀은 상기 제2 영역이 소스 영역인 제1 선택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메모리 셀은 상기 제2 영역이 소스 영역인 제2 선택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선택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상기 제1 워드 라인과 연결하고, 상기 제2 선택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상기 제2 워드 라인과 연결하고,
    제1 메모리 트랜지스터를 상기 제1 선택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상기 제1 영역 사이에 배치하고, 제2 메모리 트랜지스터를 상기 제2 선택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상기 제3 영역 사이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방법은
    제1 및 제2 메모리 트랜지스터 각각이 SONOS 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 방법.
KR1020080048179A 2008-05-23 2008-05-23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방법 KR101442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179A KR101442175B1 (ko) 2008-05-23 2008-05-23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방법
US12/453,595 US8179707B2 (en) 2008-05-23 2009-05-15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arranging memory cell array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179A KR101442175B1 (ko) 2008-05-23 2008-05-23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993A true KR20090121993A (ko) 2009-11-26
KR101442175B1 KR101442175B1 (ko) 2014-09-18

Family

ID=41342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179A KR101442175B1 (ko) 2008-05-23 2008-05-23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79707B2 (ko)
KR (1) KR1014421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137A (ko) * 2018-05-16 2020-11-11 실리콘 스토리지 테크놀로지 인크 바이트 소거 동작을 갖는 분리형 게이트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283B1 (ko) * 2007-01-25 2008-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적층구조를 가지는 저항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그의 워드라인 디코딩 방법
JP2010192718A (ja) * 2009-02-19 2010-09-02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894254B2 (en) * 2009-07-15 2011-02-22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Refresh circuitry for phase change memory
WO2012002186A1 (en) 2010-07-02 2012-01-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JP2012256821A (ja) 2010-09-13 2012-12-27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記憶装置
JP2012204399A (ja) 2011-03-23 2012-10-22 Toshiba Corp 抵抗変化メモリ
US9076505B2 (en) 2011-12-09 2015-07-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mory device
US9355725B2 (en) 2013-12-12 2016-05-31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Non-volatile memor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263127B1 (en) * 2014-08-12 2016-02-16 Winbond Electronics Corp. Memory with specific driving mechanism applied on source line
KR20170027493A (ko) * 2015-09-02 2017-03-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레이아웃 구조
JP2019054206A (ja) 2017-09-19 2019-04-04 東芝メモリ株式会社 記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5031B2 (ja) * 1991-08-06 1998-11-18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メモリ装置
JP3368002B2 (ja) * 1993-08-31 2003-01-20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3983960B2 (ja) * 2000-07-14 2007-09-26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6621725B2 (en) * 2000-08-17 2003-09-16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floating storage bulk reg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4221473A (ja) * 2003-01-17 2004-08-05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20040228168A1 (en) 2003-05-13 2004-11-18 Richard Ferrant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7184298B2 (en) 2003-09-24 2007-02-27 Innovative Silicon S.A. Low power programming technique for a floating body memory transistor, memory cell, and memory array
JP4255797B2 (ja) 2003-10-06 2009-04-15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6156986A (ja) 2004-10-28 2006-06-15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20060092739A1 (en) * 2004-10-28 2006-05-04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476939B2 (en) * 2004-11-04 2009-01-13 Innovative Silicon Isi Sa Memory cell having an electrically floating body transistor and programming technique therefor
US7251164B2 (en) * 2004-11-10 2007-07-31 Innovative Silicon S.A. Circuitry for and method of improving statistical distribution of integrated circuits
US7301838B2 (en) * 2004-12-13 2007-11-27 Innovative Silicon S.A. Sense amplifier circuitry and architecture to write data into and/or read from memory cells
US7301803B2 (en) * 2004-12-22 2007-11-27 Innovative Silicon S.A. Bipolar reading technique for a memory cell having an electrically floating body transistor
US20070023833A1 (en) * 2005-07-28 2007-02-01 Serguei Okhonin Method for reading a memory cell having an electrically floating body transistor, and memory cell and array implementing same
US7606066B2 (en) * 2005-09-07 2009-10-20 Innovative Silicon Isi Sa Memory cell and memory cell array having an electrically floating body transistor,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US7355916B2 (en) * 2005-09-19 2008-04-08 Innovative Silicon S.A. Method and circuitry to generate a reference current for reading a memory cell, and device implementing same
US20070085140A1 (en) * 2005-10-19 2007-04-19 Cedric Bassin One transistor memory cell having strained electrically floating body region,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WO2007051795A1 (en) * 2005-10-31 2007-05-10 Innovative Silicon S.A. Method and apparatus for varying the programming duration and/or voltage of an electrically floating body transistor, and memory cell array implementing same
US7683430B2 (en) * 2005-12-19 2010-03-23 Innovative Silicon Isi Sa Electrically floating body memory cell and array, and method of operating or controlling same
KR100675297B1 (ko) 2005-12-19 2007-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캐패시터가 없는 동적 메모리 셀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이 장치의 배치 방법
JP2007266569A (ja) * 2006-02-28 2007-10-11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06817B1 (ko) * 2006-03-13 2007-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KR100790449B1 (ko) * 2006-10-31 2008-01-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상변환 기억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8130995A (ja) * 2006-11-24 2008-06-05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2009152407A (ja) * 2007-12-20 2009-07-09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7961506B2 (en) * 2008-02-05 2011-06-14 Micron Technology, Inc. Multiple memory cells with rectify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137A (ko) * 2018-05-16 2020-11-11 실리콘 스토리지 테크놀로지 인크 바이트 소거 동작을 갖는 분리형 게이트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90402A1 (en) 2009-11-26
US8179707B2 (en) 2012-05-15
KR101442175B1 (ko) 201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175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배치방법
CN108140416B (zh) 多层面存储器装置及操作方法
US9953717B2 (en) NAND structure with tier select gate transistors
JP5897433B2 (ja) 記憶装置
KR100735748B1 (ko) 가변성 저항체들을 데이터 저장요소들로 채택하는 메모리셀들을 갖는 반도체 소자들, 이를 채택하는 시스템들 및 그구동방법들
KR100709538B1 (ko) 반도체 메모리
JP2008034057A (ja) 半導体記憶装置
JP2009146942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5867704B2 (ja) 不揮発性メモリセルアレイ
TW201322275A (zh) 半導體裝置
KR102414814B1 (ko) 저항형 메모리
US8503223B2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US5392238A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08269741A (ja) 不揮発性記憶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2069605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6381461B2 (ja)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
JP2012064258A (ja) 半導体記憶装置
JP2014192243A (ja) 半導体記憶装置
TW412861B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US11238934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US20230274783A1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for increasing reliability of data detected through page buffer
US11744088B2 (en) Memory device
KR20130084834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11587619B2 (en) Block configuration for memory device with separate sub-blocks
JP2755232B2 (ja)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