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8997A -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8997A
KR20090118997A KR1020097020784A KR20097020784A KR20090118997A KR 20090118997 A KR20090118997 A KR 20090118997A KR 1020097020784 A KR1020097020784 A KR 1020097020784A KR 20097020784 A KR20097020784 A KR 20097020784A KR 20090118997 A KR20090118997 A KR 20090118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polyurethane elastic
polymer
acid dye
elastic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0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2417B1 (ko
Inventor
쥰이치 고지마
다이스케 이와나미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18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4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02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 D06P3/04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 D06P3/06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using acid dy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8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9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other polycondensation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30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 C08F8/32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by reaction with amin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7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2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oxidation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00/00Copolymer characterised by the proportions of the comonomers expressed
    • C08F2800/10Copolymer characterised by the proportions of the comonomers expressed as molar percent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40Knit fabric [i.e., knit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413Including an elastic stra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Woven Fabrics (AREA)
  • Colo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산성 염료에서의 염색에 있어서 교편직물의 상대 소재인 폴리아미드 섬유 등과 동등한 농염성과 높은 견뢰도를 지니고, 방사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는, 하기 식(Ⅰ)으로 표시되는 이소부틸렌 단위와 하기 식(Ⅱ)(식에서, R1은 탄소 수2∼6의 직쇄 혹은 분기된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2 및 R3은 동일하거나 다르더라도 좋으며, 각각 탄소수 1∼6의 직쇄 혹은 분기된 알킬기를 나타냄)으로 표시되는 말레이미드 단위로 이루어지는 말레이미드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0.2 중량%∼10 중량% 함유하고, 특정한 청색 산성 염료로 염색한 원통상 편성물의 JIS L0844 A2법에 의한 세탁 후의 블루 L치가 20 이상 50 이하이며, 또한 나일론 백포에 대한 오염도가 3.5급 이상인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이다.
Figure 112009060902662-PCT00010
(I)

Description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POLYURETHANE ELASTIC FIBER}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는, 산성 염료에서의 염색에 있어서 색얼룩 및 벗겨짐이 적은 균일한 염착성과 높은 견뢰도를 지니고, 종래의 산성 염료 가염형 섬유인 폴리아미드 섬유 등과 동등한 농염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탄이나 폴리우레탄우레아를 주된 구성 단위로 하는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탄성 섬유(이하,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라고 함)는, 탄성적 성질 및 내약품성 등이 우수한 성능을 가지므로, 주로 폴리아미드 섬유나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과 교편직되어, 파운데이션, 양말, 팬티스타킹 및 스포츠웨어 등 많은 분야에서 신축 기능 소재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의류의 스트레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 포백 중의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함유율을 높일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는, 구성하는 폴리우레탄 중합체나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이하, 폴리우레탄계 중합체라 부른다) 분자 중에, 산성 염료에 유효한 염착 좌석이 없으므로, 폴리아미드 섬유 등과 교편직된 옷감을 산성 염료로 염색했을 때에, 염착 좌석이 많은 폴리아미드 섬유 등에 비하여, 폴리우레탄 탄성 섬 유는 염료가 염착되기 어렵고, 단순히 염료를 품은 상태, 다시 말해서 염료에 오염되었을 뿐인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폴리아미드 섬유 등과 동등한 농염성을 확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세탁 등에 의해서 색이 빠지기 쉬워, 최종적으로 제품의 외관 품위를 매우 저하시키는 「벗겨짐」 및 「번들거림」의 원인으로 되고 있었다. 특히 짙은 색의 제품에서는 이 경향이 현저하여, 의복으로 만든 경우의 옷감색의 깊은 맛인 농색 선명성의 부족에 의한 외관 품위 저하가 발생하여, 용도에 따라서는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의 혼율(混率)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색이 빠짐에 의한 다른 천의 오염도 큰 문제가 되며, 이것도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의 사용이 제한되는 한가지 원인으로 되고 있었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폴리우레탄 중합체의 분자쇄 중에 제3급 질소 원자를 함유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지만(특허문헌 1∼4 및 비특허문헌 1 참조), 이들 방법에서는 폴리아미드 섬유 등과의 동등한 농염성을 달성하기가 곤란할 뿐만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의 물리 특성을 저하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산성 염료와 결합하는 염색성 개량제를 폴리우레탄 중합체에 혼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특허문헌 5∼7 참조), 편성물에 있어서의 농염성 및 높은 세탁 견뢰도를 달성하는 것은 얻지 못하고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 그 자체를 착색한 소위 원착사가 개발되어 있지만(특허문헌 8 참조), 다양한 색상에는 대응할 수가 없어, 사용 용도가 한정되는 것이었다.
더욱이 또한 3급 질소를 갖는 말레이미드 구조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염색 개 량제로서 첨가함으로써 농염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지만(특허문헌 9 참조), 공지의 3급 질소를 갖는 말레이미드 구조를 포함하는 중합체 중에는 원료의 하나인 디아민의 미반응분 등의 반응성 아민이 적지 않게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이 중합체가 첨가된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는 염색 후에 나일론 백포와 함께 세탁했을 때에 나일론 백포로 염료가 이동하기 쉽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중합체를 이용한 염색 개량제는 시간이 흐름에 따른 변화에 의한 착색과 겔화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 착색과 겔화는 섬유의 색 조합이나 방사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고 소39-2309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고 소47-51645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고 소59-12789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고 소61-7212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소64-52889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 특허 공개 2000-313802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 특허 공개 2001-40587호 공보
특허문헌 8: 일본 특허 공개 2004-60062호 공보
특허문헌 9: 일본 특허 공고 평3-6177호 공보
비특허문헌 1: 일본 레올로지학회지, 2001년, Vol. 29, P 191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감안하여, 산성 염료에서의 염색에 있어서 교편직물의 상대 소재인 폴리아미드 섬유 등과 동등한 농염성과 높은 견뢰도를 지니고, 방사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특정한 말레이미드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함유한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가, 폴리아미드 섬유 등과 동등한 농염성과 높은 견뢰도를 지니고, 또한 안정 방사가 가능한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1) 하기 식(Ⅰ)으로 표시되는 이소부틸렌 단위와 하기 식(Ⅱ)(식에서, R1은 탄소수 2∼6의 직쇄 혹은 분기된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2 및 R3은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좋으며, 각각 탄소수 1∼6의 직쇄 혹은 분기된 알킬기를 나타냄)으로 표시되는 말레이미드 단위로 이루어지는 말레이미드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0.2 중량%∼10 중량% 함유하고, 특정한 청색 산성 염료로 염색한 1구 원통상 편성물의 JIS L0844 A2법에 대한 세탁 후의 블루 L치가 20 이상 50 이하이며, 또한 나일론 백포에 대한 오염도가 3.5급 이상인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Figure 112009060902662-PCT00001
(I)
Figure 112009060902662-PCT00002
(Ⅱ)
(2) 산성 염료에 대한 염착 좌석이 섬유 1 g 당 7.0×10-3 밀리몰 당량 이상 3.5×10-1 밀리몰 당량 이하인 상기 (1)에 기재한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3) 말레이미드 구조를 갖는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가 80,000∼150,000이며, Mw/Mn(Mn은 수평균분자량)이 3.5 이하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4) 상기 (1)∼(3) 중 어느 것에 기재한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와 다른 산성 염료 가염형 섬유와의 혼용품.
(5) 다른 산성 염료 가염형 섬유가 폴리아미드 섬유인 상기 (4)에 기재한 혼용품.
(6) 상기 (1)∼(3) 중 어느 것에 기재한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와 다른 산성 염료 비가염형 섬유와의 혼용품.
(7) 다른 산성 염료 비가염형 섬유가 폴리에스테르 섬유인 상기 (6)에 기재한 혼용품.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산성 염료에 염착하는 성분이 고분자량 중합체이기 때문에, 섬유 표면에 번지지 않고서, 높은 견뢰도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높은 염착성을 가지므로, 염색 후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파운데이션, 양말, 팬티스타킹 및 스포츠웨어 등의 폴리아미드 섬유나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과 교편직 되는 많은 종류의 제품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더욱이 염착 성분은 겔화되기 어렵기 때문에,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에 관해서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는 말레이미드 구조를 갖는 중합체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말레이미드 구조를 갖는 중합체로서는, 하기 식(Ⅰ)으로 표시되는 이소부틸렌 단위와 하기 식(Ⅱ)(식에서, R1은 탄소수 2∼6의 직쇄 혹은 분기된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2 및 R3은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좋으며, 각각 탄소수 1∼6의 직쇄 혹은 분기된 알킬기를 나타냄)으로 나타내어지는 말레이미드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소부틸렌 단위와 말레이미드 단위가 교대로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9060902662-PCT00003
(I)
Figure 112009060902662-PCT00004
(Ⅱ)
본 발명에 있어서의 말레이미드 구조를 갖는 중합체는, 하기 식(Ⅰ)으로 나타내어지는 이소부틸렌 단위와 하기 식(Ⅲ)으로 나타내어지는 무수말레산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와, 하기 식(Ⅳ)으로 나타내어지는 디아민을 탈수 축합 반응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이소부틸렌와 무수말레산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는, 중합 방법 및 모노머비 등의 선택에 따라서, 그 비율이 다른 중합체도 제조할 수 있는데, 제조의 용이성이나 비용의 관점에서 양자의 비가 1이고 또 교대로 공중합되어 있는 중합체가 바람직하며, 예컨대 이소반04(쿠라레사 제조)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60902662-PCT00005
(I)
Figure 112009060902662-PCT00006
(Ⅲ)
Figure 112009060902662-PCT00007
(Ⅳ)
말레이미드를 형성할 때에 이용되는 디아민으로서는, 형성되는 말레이미드 구조가 상기 식(Ⅱ)을 만족하는 것이면 되며, 예컨대, 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민, 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민, 2-디-n-프로필아미노에틸아민, 2-디이소프로필아미노에틸아민, 2-디-n-부틸아미노에틸아민, 2-디이소부틸아미노에틸아민, 2-디-tert-부틸아미노에틸아민, 2-디-n-펜틸아미노에틸아민, 2-디-n-헥실아미노에틸아민, 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3-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민, 3-디-n-프로필아미노프로필아민, 3-디이소프로필아미노프로필아민, 3-디-n-부틸아미노프로필아민, 3-디이소부틸아미노프로필아민, 3-디-tert-부틸아미노프로필아민, 3-디-n-펜틸아미노프로필아민, 3-디-n-헥실아미노프로필아민, 4-디메틸아미노부틸아민, 4-디에틸아미노부틸아민, 4-디-n-프로필아미노부틸아민, 4-디이소프로필아미노부틸아민, 4-디-n-부틸아미노부틸아민, 4-디이소부틸아미노부틸아민, 4-디-tert-부틸아미노부틸아민, 4-디-n-펜틸아미노부틸아민, 4-디-n-헥실아미노부틸아민, 2-디메틸아미노-2-메틸프로필아민, 2-디에틸아미노-2-메틸프로필아민, 2-디-n-프로필아미노-2-메틸프로필아민, 2-디이소프로필아미노-2-메틸프로필아민, 2-디-n-부틸아미노-2-메틸프로필아민, 2-디이소부틸아미노-2-메틸프로필아민, 2-디-tert-부틸아미노-2-메틸프로필아민, 2-디-n-펜틸아미노-2-메틸프로필아민, 2-디-n-헥실아미노-2-메틸프로필아민, 2-디메틸아미노-1,1-디메틸에틸아민, 2-디에틸아미노-1,1-디메틸에틸아민, 2-디-n-프로필아미노-1,1-디메틸에틸아민, 2-디이소프로필아미노-1,1-디메틸에틸아민, 2-디-n-부틸아미노-1,1-디메틸에틸아민, 2-디이소부틸아미노-1,1-디메틸에틸아민, 2-디-tert-부틸아미노-1,1-디메틸에틸아민, 2-디-n-펜틸아미노-1,1-디메틸에틸아민, 2-디-n-헥실아미노-1,1-디메틸에틸아민, 5-디메틸아미노펜틸아민, 5-디에틸아미노펜틸아민, 5-디-n-프로필아미노펜틸아민, 5-디이소프로필아미노펜틸아민, 5-디-n-부틸아미노펜틸아민, 5-디이소부틸아미노펜틸아민, 5-디-tert-부틸아미노펜틸아민, 5-디-n-펜틸아미노펜틸아민, 5-디-n-헥실아미노펜틸아민, 3-디메틸아미노-2,2-디메틸프로필아민, 3-디에틸아미노-2,2-디메틸프로필아민, 3-디-n-프로필아미노-2,2-디메틸프로필아민, 3-디이소프로필아미노-2,2-디메틸프로필아민, 3-디-n-부틸아미노-2,2-디메틸프로필아민, 3-디이소부틸아미노-2,2-디메틸프로필아민, 3-디-tert-부틸아미노-2,2-디메틸프로필아민, 3-디-n-펜틸아미노-2,2-디메틸프로필아민, 3-디-n-헥실아미노-2,2-디메틸프로필아민, 6-디메틸아미노헥실아민, 6-디에틸아미노헥실아민, 6-디-n-프로필아미노헥실아민, 6-디이소프로필아미노헥실아민, 6-디-n-부틸아미노헥실아민, 6-디이소부틸아미노헥실아민, 6-디-tert-부틸아미노헥실아민, 6-디-n-펜틸아미노헥실아민, 6-디-n-헥실아미노헥실아민 또는 이들 혼합물 등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민, 3-디부틸아미노프로필아민 또는 3-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민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에 포함되는 말레이미드 구조를 갖는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80,000∼15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Mw/Mn(Mn은 수평균분자량)이 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Mw가 90,000∼120,000이며, Mw/Mn이 3.0 이하이다. 분자량이 지나치게 낮으면 그 중합체가 표면으로 흘러나와서 탈락하기 쉽게 되고, 반대로 분자량이 너무 높으면 그 중합체가 방사 원액 중에 균일하게 분산되기 어렵게 된다. 또한 분자량 분포가 지나치게 넓은 경우에라도, 일부의 저분자량 성분 또는 고분자량 성분에 의해 상기와 같은 현상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 말하는 분자량은,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PMMA 환산의 분자량이며, GPC(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말레이미드 구조를 갖는 중합체는, 중합체 1 g 중의 반응성 아민량이 5.0×10-2 밀리몰 당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5×10-2 밀리몰 당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10-2 밀리몰 당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0×10-2 밀리몰 당량 이하이다. 이러한 중합체를 함유시킴으로써, 산성 염료로 염색한 경우의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의 견뢰도, 특히 나일론 백포에의 오염성을 개량할 수 있다.
여기서 반응성 아민량이란, 상기 말레이미드 구조를 갖는 중합체에 있어서, 주로 원료 유래의 1급 아민 등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골격 이외의 잔류 아민량을 나타내며,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산염기 적정 실험으로부터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체 1 g 중의 반응성 아민량이 3.0×10-2 밀리몰 당량 이하가 되면 실험 조작 상의 검출 한계가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말레이미드 구조를 지니고, 중합체 1 g 중의 반응성 아민량이 5.0×10-2 밀리몰 당량 이하인 중합체는, 원료인 이소부틸렌과 무수말레산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에 대하여, 또 하나의 원료인 디아민의 몰당량을 적게 하거나, 반응 종료 후에 잔류 휘발분을 가열 감압 하에서 유거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서 적합하게 얻어진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에 포함되는 말레이미드 구조를 갖는 중합체의 전단 점도는, 방사 안정성의 관점에서, 50%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용액으로 했을 때에 60∼300 포이즈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80∼300 포이즈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200 포이즈의 범위에 있는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90∼200 포이즈의 범위에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전단 점도가 이 범위라면 겔화를 일으키는 일은 없다. 더욱이, 상기 중합체 용액을 55℃에서 20일 방치했을 때의 전단 점도가 60∼400 포이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반응성 아민량이 5.0×10-2 밀리몰 당량 이하의 중합체라면, 상기 중합체 용액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여기에 말하는 전단 점도는,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E형 점도계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이 말레이미드 구조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폴리우레탄계 중합체에 대하여 0.2 중량%∼10 중량% 첨가시킴으로써,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의 염색성 및 견뢰도를 높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중량%∼10 중량%이다. 0.2 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염착 성능이 발현되지 않고, 10 중량%을 넘으면, 지나치게 농염으로 되기 때문에 역으로 벗겨짐이 발생하고, 나아가서는 견뢰도가 악화된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는 폴리아미드 섬유 등과 동등한 농염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의 베어(bare) 1구 원통상 편성물을 특정 청색 산성 염료로 염색하여, JIS L0844 A2법에 따른 세탁을 한 후의 블루 L치가 20 이상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35 이하이다.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이 경우의 블루 L치란 청색 염착한 원통상 편성물의 명도이며, 분광 광도계로 측정할 수 있다. L치는 클수록 색이 엷고, 작을수 색이 짙음을 나타낸다. 많은 경우 폴리아미드 섬유의 블루 L치는 대개 28∼32이다. 블루 L치가 50보다 크면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의 색이 엷기 때문에, 폴리아미드 섬유 등의 교편(交編) 옷감에 있어서 벗겨짐이 발생하기 쉽다. 반대로 20 미만에서는 지나치게 진하게 발색하기 때문에, 옷감의 표면에서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의 색이 두드러져, 옷감 전체의 색 밸런스를 무너트려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말레이미드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세탁 후에 있어서도 충분한 농염도를 유지하고 있는 데다, 세탁 견뢰성도 우수하며, 세탁 견뢰도(JIS L0844 A2법)에 의한 나일론 백포에의 오염도가 3.5급 이상이다. 오염도가 나쁘면 색 빠짐에 의한 다른 천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후술하지만, 오염도 평가는 산성 염료 가염형 섬유에 대한 오염도를 검사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는, 말레이미드 구조를 포함하는 중합체가 첨가되어 있음으로 인해, 산성 염료에 대한 염착 좌석을 갖는다. 염착 좌석의 수는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1 g 당 7.0×10-3 밀리몰 당량 이상 3.5×10-1 밀리몰 당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염착 좌석이란, 염산 등의 산에 의해 적정 가능한 염기성을 갖는 아민 부위와 동의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폴리우레탄계 중합체는, 예컨대 수평균분자량이 600∼5000인 중합체 글리콜과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소프트 세그멘트가 되는 우레탄 중간 중합체를 합성한 후, 쇄연장제로 하드 세그멘트를 중합하고, 말단 정지제로 말단 봉쇄한다고 하는 공지의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쇄연장제로서, 저분자 디올을 이용하면 하드 세그멘트가 우레탄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 중합체로 되고, 또한, 2관능성 아민을 이용하면 하드 세그멘트가 우레아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중합체 글리콜로서는,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리콜 및 폴리옥시펜타메틸렌글리콜 등의 호모 폴리에테르디올, 탄소 원자수 2에서 6의 2종 이상의 옥시알킬렌으로 구성되는 공중합 폴리에테르디올, 아디프산, 세바신산, 말레산, 이타콘산, 아젤라산 및 말론산 등의 이염기산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3-부탄디올, 헥사메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10-데칸디올, 1,3-디메틸올시클로헥산 및 1,4-디메틸올시클로헥산 등의 글리콜의 1종 또는 2종 이상에서 얻어진 폴리에스테르디올, 폴리에스테르아미드디올, 폴리에스테르에테르디올, 폴리-ε-카프로락톤디올 및 폴리발레로락톤디올 등의 폴리락톤디올, 폴리카보네이트디올, 폴리아크릴디올, 폴리티오에테르디올, 폴리티오에스테르디올 또는 이들 디올의 공중합물 내지는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컨대 메틸렌-비스(4-페닐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3-메틸-4-페닐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m- 및 p-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α,α,α',α'-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m- 및 p-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메틸-1,3-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알킬페닐렌-2,4 및 2,6-디이소시아네이트, 3-(α-이소시아네이트에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 2,6-디에틸페닐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디메틸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에테르-4,4'-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틸렌-1,5-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4-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1,3- 및 1,4-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성 활성 수소 원자를 갖는 쇄연장제로서는, 예컨대 히드라진, 폴리히드라진, 탄소 원자수 2∼10의 직쇄 또는 분기된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의 활성 수소를 갖는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로 예컨대 에틸렌디아민, 1,2프로필렌디아민 및 일본 특허 공개 평5-15584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우레아기를 갖는 디아민류 등의 디아민, 히드록실아민, 물 및 저분자량의 글리콜,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3-부탄디올, 헥사메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10-데칸디올, 1,3-디메틸올시클로헥산 및 1,4-디메틸올시클로헥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디아민 및 1,2-프로필렌디아민이다.
단관능성 활성 수소 원자를 갖는 말단 정지제로서는, 예컨대 디에틸아민과 같은 디알킬아민 등이나 에탄올과 같은 알킬알코올 등이 이용된다. 이들 쇄연장제 및 말단 정지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이용하더라도 좋다.
이 폴리우레탄계 중합체에는, 본 발명의 말레이미드 구조를 포함하는 중합체 이외에,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에 통상 이용되는 다른 화합물, 예컨대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내염소취화제, 내가스안정제, 착색제, 무광택제 및 충전제 등을 첨가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폴리우레탄계 중합체는 공지의 건식 방사, 습식 방사 또는 용융 방사 등으로 섬유형으로 성형하여,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얻어진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에,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스테르 변성 실리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 광물유, 광물성 미립자, 예컨대 실리카, 콜로이달알루미나 및 탈크 등, 고급 지방산 금속염 분말, 예컨대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및 스테아린산칼슘 등, 고급 지방족 카르복실산, 고급 지방족 알코올, 파라핀 및 폴리에틸렌 등의 상온에서 고형상 왁스 등의 유제를 단독 또는 필요에 따라서 임의로 조합하여 부여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는, 산성 염료 가염형 섬유와의 혼용품에 있어서, 산성 염료로 염착되었을 때에, 발색성 및 세탁 견뢰도가 양호하고, 벗겨짐을 억제할 수 있다. 산성 염료 가염형 섬유로서는, 주로 나일론6 섬유 및 나일론66 섬유 등의 공지의 폴리아미드 섬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는, 산성 염료 비가염형 섬유와의 혼용품에 있어서도, 예컨대 먼저 산성 염료 비가염형 섬유를 분산 염료 등으로 염색한 후에,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를 산성 염료로 염색하는 방법에 의해서, 산성 염료 비가염형 섬유와의 동색성을 얻을 수 있으므로 벗겨짐을 억제할 수 있고, 견뢰도도 양호하기 때문에, 우수한 혼용품을 얻을 수 있다. 산성 염료 비가염형 섬유로서는, 공지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사용 목적에 맞춰 다른 소재와 혼용하여 이용되는데, 다른 소재의 종류, 형태 및 섬도는 적절하게 선택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면, 견, 양모 및 마 등의 천연 섬유, 큐프라레이온, 비스코스레이온 및 아세테이트레이온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등에 있어서의 측정치는 하기의 측정법에 의해 구한 것이다.
(1) 세탁 후 블루 L치 및 오염도의 평가
1구 환편기(고이케기까이세이사쿠쇼 제조; CR-C형 3.5인치 380 라인)을 이용하여, 시험 섬유의 베어 편성물을 제작한다. 시험 섬유의 베어 편성물을 1.2 g 계량한다. 폴리아미드 섬유 편성물은 도레이사 제조 6나일론의 미라코스모(56 dT/17 필라멘트) 4 라인을 당겨 갖추고 1구 환편기(고이케기까이세이사쿠쇼; TN-7형 3.5 인치 200 라인)으로 베어 편성물을 제작하여, 4.8 g을 계량한다. 시험 섬유 편성물과 폴리아미드 섬유 편성물을 80℃×20분 정련한 후, 같은 욕에서 산성 하프밀링 염료(Telon BLUE A2R; DyStar사 제조) 1% owf, 균염제(SeraGalN-FS; DyStar사 제조) 0.6% owf, 황산암모늄 4.0% owf 및 욕비 1:50의 조건으로 90℃에서 60분간 염색 처리를 한다.
염색된 시험 섬유의 베어 편성물을 JIS L0844 A2법에 따라서 세탁한다. 첨부 백포는 JIS L0803에 규정되어 있는 나일론을 이용한다. 풍건시킨 샘플을 원통상 편성물 그대로 블루 L치를 분광색차계(니혼덴쇼쿠고교사 제조 SQ-2000)로 측정한다. L치가 낮은 쪽이, 짙게 염색된 상태로 바람직하다. 또한, 첨부 백포의 오염 상태를 JIS L0805에 따라서, 담염 5급에서부터 농염 1급의 5 단계 평가를 하여, 이것을 오염도 평가로 한다. 급수가 높은 쪽이 착색 오염이 적은 상태로 바람직하다.
(2) 염착 좌석의 측정
말레이미드 구조를 갖는 중합체의 50%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용액 약 400 mg을 정확하게 칭량하여, 10 mL의 디메틸아세트아미드에 용해하고, 브롬페놀 블루를 지시약으로 하여, 염산-메탄올 용액(0.16 mol/L)으로 중화 적정하고, 상기 중합체 1 g 중의 아민가를 측정한다. 방사 중합체 중의 말레이미드 구조를 갖는 중합체 첨가량과 아민가로부터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1 g 당 염착 좌석의 수를 산출한다.
(3) 중량 평균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의 측정
디메틸아세트아미드에 LiBr를 10 mmol/L이 되도록 녹인 용리액을 이용하여, 말레이미드 구조를 갖는 중합체가 1.0 mg/mL 가 되도록 조정한 것을 시료로 하여 GPC로 측정한다.
측정 조건
데이터 처리 : 도소 GPC-8020
컬럼 : TSKgel α-M(7.8 mmx30cm) 2 라인
오븐 : 60℃
용리액 : 디메틸아세트아미드(LiBr 10 mmol/L) 1.0 m L/min
시료량 : 200 μL
검출기 : RI
교정 곡선 : PMMA
(4) 반응성 아민량의 측정
말레이미드 구조를 갖는 중합체의 50%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용액 약 400 mg을 정확히 칭량하여, 10 mL의 디메틸아세트아미드에 용해하고, 100 μL의 이소시안산페닐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0분 교반한다. 그 후 메탄올을 1 mL 가하여, 실온에서 10분 교반한다. 이 용액에 브롬페놀 블루를 지시약으로 하고, 염산-메탄올 용액(0.16 mol/L)으로 중화 적정을 하여, 반응성 아민을 제외한 형태에서의 상기 중합체 1 g 중의 아민가를 측정한다. (2)에서 측정된 아민가가, 반응성 아민과 반응성 아민 이외의 아민가의 합계량이므로, 이들의 차로부터 상기 중합체 1 g 중의 반응성 아민량을 산출한다.
(5) 전단 점도의 측정
E형 점도계(도키산교사 제조 RE105U)로 측정한다.
측정 조건
온도 : 30℃
시료량 : 0.5 mL
로터 : 3°×R14
회전수 : 10 rpm
(6) 파단 강신도의 측정
인장력시험기(오리엔테크(주) 제조; 상품명 UTM-III 100형)을 사용하여, 20℃, 습도 65%의 조건 하에서 시료 길이 5 cm의 시험사를 50 cm/분의 속도로 인장하여 파단 강신도를 측정한다.
(7) 벗겨짐
오쿠마 싱글 환편기(30 인치 24 게이지)를 이용하고, 시험 섬유를 드래프트 1.7배 하에서 2 라인을 1구에 당겨 갖추고, 나일론6(도레이사 제조 미라코스모) 56 dT/17 필라멘트 3 라인을 1 라인당 1구 사용하여, 계 4구에서 당겨 갖추어 교편 옷감을 제작한다. 이것을 80℃×20분 정련한 후, 염색한다.
염색은 혼용 옷감을 6 g 계량하여 염색한다. 염료에는 산성 하프밀링 염료(Telon BLUE A2R; DyStar사 제조) 1% owf를 이용하고, 균염제(SeraGalN-FS; DyStar사 제조) 0.6% owf, 황산암모늄 4.0% owf 및 욕비 1:50의 조건으로 90℃에서 60분간 염색 처리를 한다.
혼용 염색품(포백)을 잡아당겨, 눈으로 보아 판정하여 벗겨짐 상태를 1급에서부터 4급으로 판정했다. 4급은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와 폴리아미드 섬유의 염착 농담차를 전혀 인식할 수 없는 레벨이며, 3급은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가 충분히 염색되어 있지만, 폴리아미드 섬유와의 농담의 차이를 간신히 확인할 수 있는 레벨이며, 2급은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는 염색되어 있지만 폴리아미드 섬유와의 농담차가 크고,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를 분명히 인식할 수 있는 레벨이며, 1급은 벗겨져 분명하게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를 확인할 수 있고, 그것이 거의 염색되어 있지 않다고 인식할 수 있는 레벨이다.
(8) 방사 안정성
단일 엔드 방사기로, 방사 속도 800 m/분 및 열풍 온도 325℃에서 건식 방사하여 44 dT/4 필라멘트의 섬유를 제조한다. 1시간 방사를 하여, 하기에 나타낸 평가 기준에 따라서 평가한다.
평가 기준
A : 실 끊어짐 없음
B : 실 끊어짐 1∼2회
C : 실 끊어짐 3∼5회
D : 실 끊어짐 6회 이상(방사 불가)
[실시예 1]
평균 분자량 약 60,000의 이소부틸렌-무수말레산 교대 공중합체(쿠라레사 제조 이소반04)을 40 g,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민을 32.1 g 및 디메틸아세트아미드를 160 g 혼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50℃에서 1시간 및 100℃에서 1시간 교반하고, 이어서 180℃ 환류 하에서 생성되는 물을 유거하면서 4시간 가열했다. 잔류 휘발분을 감압 하에서 유거하고, 이로써 얻어진 중합체를 디메틸아세트아미드에 용해하여, 50% 용액으로 했다. 얻어진 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 Mw=1.0×105, 분자량 분포 Mw/Mn=2.7, 아민가=3.64 mmol/g, 반응성 아민량은 3.0×10-2 밀리몰 당량 이하였다. 또한 50%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용액의 전단 점도는 102 포이즈였다. 또한, 이것을 55℃에서 20일간 방치한 바 전단 점도는 145 포이즈이고, 착색도 거의 보이지 않았다.
평균 분자량 1,800의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1,500 g 및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312 g을 질소 가스 기류 하 60℃에서 90분간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얻었다. 이어서, 이것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 디메틸아세트아미드 2,700 g을 가하고, 용해하여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용액을 조제했다.
에틸렌디아민 23.4 g 및 디에틸아민 3.7 g을 건조 디메틸아세트아미드 1,570 g에 용해하여, 이것을 상기 예비중합체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하여, 점도 2,200 포이즈(30℃)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이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 용액에, 폴리우레탄 고형분에 대하여, p-크레졸과 디시클로펜타디엔의 중부가체의 이소부틸렌 부가물을 1.0 중량%, Sumilizer GA-80(스미토모가가쿠사 제조)를 0.4 중량%,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2-페닐프로판-2-일)페놀을 0.2 중량%, 히드로탈사이트를 5.0 중량% 및 제작한 상기 말레이미드 구조를 갖는 중합체(전단 점도 104 포이즈)를 1.0 중량% 혼합하여 방사 원액으로 했다.
이 방사 원액을 방사 속도 800 m/분 및 열풍 온도 325℃에서 건식 방사하여, 44 dT/4 필라멘트의 섬유를 제조했다. 실 끊어짐은 발생하지 않고 방사 안정성은 양호했다. 이들 섬유의 인장 파단 강도를 표 1에 나타낸다. 44 dT의 탄성 섬유의 파단 강도는 40 cN 이상이면 실제 사용상 문제는 없다.
얻어진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의 베어 편성물을 청색 염색하여, 세탁 후의 블루 L치 및 오염도를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얻어진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와 나일론6 섬유로 교편 옷감을 제작하고, 염색한 후, 벗겨짐 평가를 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말레이미드 구조를 갖는 중합체의 첨가량이 2.0 중량%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와 같은 방사 원액을 이용하여 같은 조건으로 방사를 실시했다. 방사 안정성은 양호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인장 파단 강도, 세탁 후 블루 L치, 오염도 및 벗겨짐 평가를 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말레이미드 구조를 갖는 중합체의 첨가량이 4.0 중량%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사 원액을 이용하여 같은 조건으로 방사를 실시했다. 방사 안정성은 양호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인장 파단 강도, 세탁 후 블루 L치, 오염도 및 벗겨짐 평가를 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말레이미드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방사를 실시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인장 파단 강도, 세탁 후 블루 L치, 오염도 및 벗겨짐 평가를 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말레이미드 구조를 갖는 중합체의 첨가량이 15 중량%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사 원액을 이용하여 같은 조건으로 방사를 실시했다. 약간 실 끊어짐이 발생하고, 방사는 약간 불안정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세탁 후 블루 L치, 오염도 및 벗겨짐 평가를 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특허문헌 9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1에 기재한 이소반04를 40 g,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민을 33.8 g 및 디메틸아세트아미드를 160 g 혼합하여, 질소 분위기 하 50℃에서 1시간 및 100℃에서 1시간 교반하고, 이어서 180℃ 환류 하에서 생성되는 물을 유거하면서 4시간 가열한 후, 잔류 휘발분을 유거하지 않고서 말레이미드 구조를 갖는 중합체의 50%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용액을 제작했다. 이 중합체의 반응성 아민량은 5.5×10-2 밀리몰 당량, 전단 점도는 140 포이즈였다. 이 중합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방사를 실시하고, 세탁 후 블루 L치, 오염도 및 벗겨짐 평가를 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한편, 이 용액을 55℃에서 20일간 방치한 바 중합체는 전단 점도가 550 포이즈이며, 착색, 겔화가 보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방사안정성 A A A A C A
염착좌석수 (mmol/g) 3.3 x 10-2 6.6 x 10-2 1.3 x 10-1 O 4.9 x 10-1 3.4 x 10-2
파단강도 (cN) 54.8 53.9 52.5 52.4 47.4 54.1
파단신도 (%) 624 616 614 623 572 626
세탁 후 블루 L치 35 28 25 73 18 36
오염도 (급) 4.5 4.5 4.0 5.0 2.0 3.0
벗겨짐 (급) 3.5 4.0 3.5 1.0 2.0 3.5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는 염색성 및 견뢰도가 양호하고, 벗겨짐이 없는 상품 가치가 높은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는, 방사 안정성이 우수하고, 산성 염료가 충분히 염착되며 또한 견뢰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이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를 함유하는 혼용품에서, 벗겨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외관 품위가 우수한 의류 제품 등을 적합하게 얻을 수 있고, 또한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Claims (7)

  1. 하기 식(Ⅰ)으로 표시되는 이소부틸렌 단위와 하기 식(Ⅱ)(식에서, R1은 탄소수 2∼6의 직쇄 혹은 분기된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2 및 R3은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좋으며, 각각 탄소수 1∼6의 직쇄 혹은 분기된 알킬기를 나타냄)으로 표시되는 말레이미드 단위로 이루어지는 말레이미드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0.2∼10 중량% 함유하고, 특정한 청색 산성 염료로 염색한 1구 원통상 편성물의 JIS L0844 A2법에 의한 세탁 후의 블루 L치가 20 이상 50 이하이며, 또한 나일론 백포에 대한 오염도가 3.5급 이상인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Figure 112009060902662-PCT00008
    (I)
    Figure 112009060902662-PCT00009
    (Ⅱ).
  2. 제1항에 있어서, 산성 염료에 대한 염착 좌석이 섬유 1 g 당 7.0×10-3 밀리 몰 당량 이상 3.5×10-1 밀리몰 당량 이하인 것인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말레이미드 구조를 갖는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가 80,000∼150,000이며, Mw/Mn(Mn은 수평균분자량)이 3.5 이하인 것인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와 다른 산성 염료 가염형 섬유와의 혼용품.
  5. 제4항에 있어서, 다른 산성 염료 가염형 섬유가 폴리아미드 섬유인 것인 혼용품.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와 다른 산성 염료 비가염형 섬유와의 혼용품.
  7. 제6항에 있어서, 다른 산성 염료 비가염형 섬유가 폴리에스테르 섬유인 것인 혼용품.
KR1020097020784A 2007-06-12 2008-06-11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KR101162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55236 2007-06-12
JPJP-P-2007-155236 2007-06-12
PCT/JP2008/060709 WO2008153080A1 (ja) 2007-06-12 2008-06-11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997A true KR20090118997A (ko) 2009-11-18
KR101162417B1 KR101162417B1 (ko) 2012-07-03

Family

ID=40129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0784A KR101162417B1 (ko) 2007-06-12 2008-06-11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00184347A1 (ko)
EP (1) EP2157215B1 (ko)
JP (1) JP5307711B2 (ko)
KR (1) KR101162417B1 (ko)
CN (1) CN101680127B (ko)
AT (1) ATE539185T1 (ko)
BR (1) BRPI0812272B8 (ko)
ES (1) ES2376698T3 (ko)
HK (1) HK1141843A1 (ko)
MX (1) MX2009012884A (ko)
TW (1) TWI357940B (ko)
WO (1) WO20081530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182A1 (ko) 2017-12-27 2019-07-04 효성티앤씨 주식회사 염색성이 개선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1331B2 (ja) * 2012-11-06 2016-11-24 旭化成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036145B (zh) 2016-10-05 2020-11-27 三光株式会社 聚氨酯弹性纤维及聚氨酯弹性纤维的制造方法
WO2020102044A1 (en) 2018-11-12 2020-05-22 The Lycra Company Llc Spandex fiber with reduced visibility
WO2022054811A1 (ja) * 2020-09-11 2022-03-17 旭化成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並びにそれを含むギャザー部材、及び衛生材料
CN113897703B (zh) * 2021-10-25 2024-01-23 华峰化学股份有限公司 一种具备超声波粘合性能的聚氨酯弹性纤维及其制备方法
CN115627554B (zh) * 2022-09-28 2024-04-05 清华大学 制备酰亚胺共聚物的纤维的方法和由其制备的纤维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5415A (en) * 1968-06-27 1970-10-20 Du Pont Production of cross-linked elastomeric yarns by dry spinning
JPS5912789B2 (ja) 1975-01-10 1984-03-26 株式会社クラレ 染色性良好な皮革様シ−ト物質の製造法
GB2105734B (en) * 1981-08-05 1984-12-12 Toyo Boseki Urethane polymers containing a tertiary nitrogen atom and their production
JPS5845221A (ja) 1981-09-10 1983-03-16 Toyobo Co Ltd ウレタン重合体
JPS6245650A (ja) 1985-08-23 1987-02-27 Asahi Chem Ind Co Ltd ポリウレタン組成物
JPS6452889A (en) 1987-08-18 1989-02-28 Kanebo Ltd Production of porous sheet like article improved in dyeability
JP3352105B2 (ja) 1991-04-12 2002-12-03 旭化成株式会社 ジアミノウレア化合物とその製法及び高耐熱性ポリウレタンウレアとその製造法
JP3006177B2 (ja) 1991-07-12 2000-02-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ワーク洗浄装置
JP4264912B2 (ja) 1999-04-28 2009-05-20 オペロンテ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ウレア組成物および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
JP3574762B2 (ja) 1999-07-22 2004-10-06 明成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の染色性改良剤及びそれを使用したポリウレタンの染色性改良法
JP4002440B2 (ja) 2002-01-04 2007-10-31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分散染料可染型繊維とポリウレタン繊維との混用染色品
JP2004060062A (ja) 2002-07-25 2004-02-26 Du Pont Toray Co Ltd ポリウレタン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182A1 (ko) 2017-12-27 2019-07-04 효성티앤씨 주식회사 염색성이 개선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57215A1 (en) 2010-02-24
EP2157215A4 (en) 2010-09-22
EP2157215B1 (en) 2011-12-28
JP5307711B2 (ja) 2013-10-02
BRPI0812272A2 (pt) 2014-11-18
BRPI0812272B8 (pt) 2019-09-03
US20100184347A1 (en) 2010-07-22
TWI357940B (en) 2012-02-11
ES2376698T3 (es) 2012-03-16
WO2008153080A1 (ja) 2008-12-18
HK1141843A1 (en) 2010-11-19
CN101680127A (zh) 2010-03-24
MX2009012884A (es) 2009-12-10
ATE539185T1 (de) 2012-01-15
JPWO2008153080A1 (ja) 2010-08-26
KR101162417B1 (ko) 2012-07-03
CN101680127B (zh) 2012-09-19
BRPI0812272B1 (pt) 2018-06-12
TW200909625A (en) 2009-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417B1 (ko)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US6468652B1 (en) Elastic polyurethane-urea fib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322054B1 (ko) 고속 방사용 스판덱스 조성물
KR101972611B1 (ko) 탄성 직물
US9441314B2 (en) Spandex from high molecular weight poly (tetramethylene-co-ethyleneether) glycols
JP2007531796A (ja) ポリオールを混合した溶融紡糸ポリエーテルtpu繊維およびプロセス
CN101313002A (zh) 获自与聚合二醇共混的聚(四亚甲基-共聚-亚乙基醚)二醇的弹力纤维
US20060276610A1 (en) Spandex from poly(tetramethylene-co-ethyleneether)glycols having high ethyleneether content
JP2009074185A (ja) 織物
JP4363718B2 (ja) ポリウレタンポリウレア含有交編織物
CN101171276A (zh) 由具有高亚乙基醚含量的聚(四亚甲基-共聚-亚乙基醚)二醇形成的斯潘德克斯
JP3836241B2 (ja)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及びそれを使用した弾性布帛
JP2009084728A (ja) ストッキング
KR20100074587A (ko) 이염색성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10151B1 (ko) 점도 안정성 및 염색 견뢰도가 향상된 탄성사 및 그제조방법
JP3108530B2 (ja) 染色されたポリウレタン繊維または繊維製品の製造方法
JP2009084729A (ja) レース編地
JP2009074184A (ja) 編地
JPH08337631A (ja) ポリウレタンウレア組成物
JP2009084765A (ja) テープ
KR20070072028A (ko) 폴리우레탄 탄성사와 폴리에스테르 섬유로부터 제조되는신축성 편, 직물
CN101313003A (zh) 获自高分子量聚(四亚甲基-共聚-亚乙基醚)二醇的弹力纤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