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5054A - 스피닝 릴의 스풀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스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5054A
KR20090115054A KR1020090035847A KR20090035847A KR20090115054A KR 20090115054 A KR20090115054 A KR 20090115054A KR 1020090035847 A KR1020090035847 A KR 1020090035847A KR 20090035847 A KR20090035847 A KR 20090035847A KR 20090115054 A KR20090115054 A KR 20090115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drag
bearing member
spinning reel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9601B1 (ko
Inventor
신고 마츠오
케이고 키타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90115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스피닝 릴(spinning reel)의 스풀(spool)에 있어서,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스풀 축과의 덜걱거림을 생기기 어렵게 한다.
[해결 수단] 스피닝 릴의 스풀(4)은, 릴 본체에 대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고 또한 회전 불가능한 스풀 축(15)의 선단부(先端部)에 형성된 비(非)원형부(15a)에 장착 가능한 것이고, 스풀 본체(7)와 베어링 부재(8)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 본체(7)는, 낚싯줄을 감기 가능한 권사(倦絲) 몸통부(7a)와, 권사 몸통부(7a)의 내주부에 드래그 와셔(62a ~ 62c)를 수납 가능하게 형성된 드래그 수납부(7d)를 가지고 있다. 베어링 부재(8)는, 스풀 축(15)의 비원형부(15a)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는 계합 구멍(8a)을 가지고, 권사 몸통부(7a)의 내주 측에 배치되어, 스풀 본체(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합성 수지제의 통상(筒狀) 부재이다.
스피닝 릴, 스풀, 베어링 부재, 권사 몸통부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스풀{SPOOL FOR SPINNING REEL}
본 발명은, 스풀(spool), 특히, 릴 본체에 대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고 또한 회전 불가능한 스풀 축의 선단부(先端部)에 형성된 비(非)원형부에 장착 가능한 스피닝 릴(spinning reel)의 스풀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 특히, 프론트 드래그(front-drag)형의 스피닝 릴에는, 스풀에 드래그력을 작용시키기 위하여, 스풀 축의 선단부에 평행한 대향면으로 구성된 비원형부가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드래그형의 스피닝 릴의 경우, 스풀 축은, 릴 본체에 대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고 또한 회전 불가능하며, 스풀은, 스풀 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그리고, 스풀은, 드래그 기구에 의하여 줄 방출 시에 제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프론트 드래그형의 스피닝 릴에 있어서, 드래그 작동 시의 스풀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매끄럽게 하기 위하여, 스풀 축과 스풀과의 사이에 볼 베어링을 배치한 스풀이 종래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스피닝 릴의 스풀은, 스풀 본체와, 스풀 축의 비원형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통상(筒狀) 부재와, 통상 부재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스풀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1쌍의 볼 베어링을 가지고 있다. 통상 부재는, 비원형부에서 스풀 축을 관통하는 나사 부재에 의하여 스풀 축에 전후 이동 불가능하고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 축과 스풀 본체와의 사이에서의 덜걱거림이 생기기 어려워져, 드래그 작동 시의 회전이 매끄럽게 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139286호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스풀 축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통상 부재를 설치하고, 그것에 1쌍의 베어링을 배치하고 있으므로, 드래그 작동 시의 회전이 매끄럽게 된다. 그러나, 통상 부재나 볼 베어링이 필요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것과 함께, 비교적 고가의 볼 베어링을 2개 이용하고 있으므로, 스풀의 가격의 상승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피닝 릴의 스풀에 있어서,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스풀 축과의 덜걱거림이 생기기 어렵게 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릴 본체에 대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고 또한 회전 불가능한 스풀 축의 선단부에 형성된 비원형부에 장착 가능한 스풀이고, 스풀 본체와 베어링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 본체는, 낚싯줄을 감기 가능한 권사(倦絲) 몸통부와, 권사 몸통부의 내주부(內周部)에 드래그 와셔(drag washer)를 수납 가능하게 형성된 드래그 수납부를 가지고 있다. 베어링 부재는, 스풀 축의 비원형부에 회전 불능하게 계합(係合)하는 계합 구멍을 가지며, 권사 몸통부의 내주(內周) 측에 배치되고, 스풀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합성 수지제의 통상 부재이다.
이 스풀에서는, 스풀 축에 장착하면, 권사 몸통부의 내주면에 배치된 베어링 부재의 계합 구멍이 비원형부에 계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합성 수지제의 베어링 부재가 스풀 축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되는 것과 함께, 베어링 부재의 외주면(外周面)과 권사 몸통부의 내주면과의 사이에서 스풀 본체와 베어링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권사 몸통부가 베어링 부재의 원형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드래그가 작동하여도 스풀 본체가 스풀 축에 대하여 부드럽게 회전한다. 여기에서는, 합성 수지제의 통상의 베어링 부재의 계합 구멍에서 스풀 축의 비원형부에 계합시키고 있으므로, 간소한 구성으로 베어링 부재를 정도(精度) 좋게 회전 멈춤할 수 있고, 가격 상승을 억제하여 스풀 축과 베어링 부재와의 덜걱거림을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발명 1에 기재의 스풀에 있어서, 비원형부에는, 다른 부분보다 둘레 방향으로 파여 형성된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베어링 부재는, 홈부에 계지 가능하게 계합 구멍에 직경 방향 내방(內方)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빠짐 방지 돌기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스풀 축에 설치된 홈부에 의하여 베어링 부재에 형성된 빠짐 방지 돌기가 계지되므로, 스풀을 스풀 축으로부터 떼어내어도, 베어링 부재가 스풀 축에 남는다. 이 때문에, 베어링 부재가 스풀 본 체로부터 빠지는 것에 의한 베어링 부재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발명 2에 기재의 스풀에 있어서, 계합 구멍은, 대향하여 동심(同芯, 원의 같은 중심)으로 배치된 2개의 원호(圓弧) 부분의 양단을 평행한 2개의 선분으로 연결한 단면 형상을 가진다. 이 경우에는, 스풀 축의 비원형부에 계합하는 계합 구멍이 1쌍의 원호 부분과 선분으로 구성되므로, 비원형부나 계합 구멍을 형성하기 쉬워진다.
발명 4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발명 3에 기재의 스풀에 있어서, 빠짐 방지 돌기는, 2개의 원호 부분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스풀 축심(軸芯)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로터를 떼어내기 위하여 베어링 부재를 떼어낼 필요가 있는 경우, 원호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만 빠짐 방지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베어링 부재를 떼어내기 쉬워진다. 즉, 스풀 축의 선단 측을 향하여 베어링 부재를 당기면, 합성 수지의 탄성에 의하여 빠짐 방지 돌기가 휘어 홈부로부터 빠져, 베어링 부재를 스풀 축으로부터 떼어내기 쉬워진다. 특히, 빠짐 방지 돌기를 원호 부분의 일부에 형성하면, 빠짐 방지 돌기가 보다 휘어지기 쉬워져, 베어링 부재를 떼어내기 쉬워진다.
발명 5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발명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스풀에 있어서, 빠짐 방지 돌기는, 계합 구멍의 일단 측 내주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빠짐 방지 돌기가 베어링 부재의 일단 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빠짐 방지 돌기를 형성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합성 수지제의 통상의 베어링 부재의 계합 구멍에서 스풀 축의 비원형부에 계합시키고 있으므로, 간소한 구성으로 베어링 부재를 정도 좋게 회전 멈춤할 수 있고,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스풀 축과 베어링 부재와의 덜걱거림을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핸들 조립체(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3)는, 스풀(4)에 낚싯줄을 감는 것이고, 릴 본체(2)의 전부(前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외주면에 낚싯줄을 감아 내는 것이고, 로터(3)의 전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핸들 조립체(1)는, 도 1에 도시하는 릴 본체(2)의 좌측과 릴 본체(2)의 우측의 어느 쪽에도 장착 가능하다.
릴 본체(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開口, 2d)를 가지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이나 합성 수지제의 릴 보디(reel body, 2a)와, 개구(2d)를 막도록 릴 보디(도 2, 2a)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된,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이나 합성 수지제의 덮개 부재(도 1, 2b)와, 릴 보디(2a)로부터 비스듬히 상전방(上前方)으로 연장되는 장대 취부 다리(2c)를 가지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보디(2a)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있고, 그 공간 내에는, 로터(3)를 핸들 조립체(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로터 구동 기구(5)와, 스풀(4)을 전후로 이동시켜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아 내기 위한 오실레 이팅(oscillating)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조립체(1)의 핸들 축(10)이 고정된 메인 기어 축(11a)과 함께 회전하는 메인 기어(11)와, 이 메인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부(12a)는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있고, 너트(13)에 의하여 로터(3)에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그 축 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가, 릴 보디(2a)에 간격을 두고 장착된 베어링(14a, 14b)에 의하여 릴 보디(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4)이 드래그 기구(60)를 통하여 선단부에 연결된 스풀 축(15)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을 동(同)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 축(15)의 하방(下方)에 평행하게 배치된 나축(螺軸, 21)과, 나축(2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slider, 22)와, 나축(21)의 선단에 고정된 중간 기어(23)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22)에는 스풀 축(15)의 후단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중간 기어(23)는,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려 있다.
스풀 축(15)은, 피니언 기어(12)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스풀 축(15)은, 피니언 기어(12)의 내부를 오실레이팅 기구(6)에 의하여 전후로 왕복 이동한다. 스풀 축(15)은, 중간부가 너트(13) 내에 장착된 베어링(16)에 의하여, 후부(後部)가 피니언 기어(12)의 후부 내주면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 축(15)이 피니언 기어(12)와 상대 회전하면서 전후 이동할 때에, 피니언 기어(12)에 스풀 축(15)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풀 축(15)의 표면에는, 무전해(無電解, electroless) Ni 도금이 행하여져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축(15)의 선단부에는, 서로 평행한 면으로 구성된 회전 멈춤을 위한 비원형부(15a)와, 드래그 조정용의 수나사부(15b)가 형성되어 있다. 비원형부(15a)는, 대향하여 배치된 1쌍의 원호부와 1쌍의 평행한 현부(弦部)로 구성된 대체로 타원형의 슬롯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 비원형부(15a)의 기단(基端, base end) 측에는, 다른 부분보다 둘레 방향으로 파여 형성된 홈부(15c)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15c)는, 도 4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대향하는 원호부는 비원형부(15a)보다 약간 소경(小徑)이고, 평행하게 배치된 대향하는 현부는 비원형부(15a)와 같은 간격이다. 스풀 축(15)에는, 후술하는 드래그 발음 기구(85)를 구성하는 발음 부재(86)가 장착되어 있는 것과 함께, 발음 부재(86)의 전면에는, 스풀(4)의 스풀 축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3매(枚)의 조정 와셔(88)가 장착되어 있다.
발음 부재(86)는, 금속제의 부재이고, 비원형부(15a)에 계합하는 슬롯 형상의 계합 구멍(86a)을 가지고 있다. 발음 부재(86)는, 스풀(4)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여 드래그력을 발생시키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조정 와셔(88)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이고, 홈부(15c)에 계합하는 슬롯 형상의 계합 구멍(88a)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조정 와셔(88)는, 홈부(15c)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로터(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의 연결부(30)와, 연결부(30)의 측방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및 제2 로터 암(31, 32)을 가지는 로터 본체(33)와, 로터 본체(33)에 줄 권취(卷取) 자세와 줄 개방(開放) 자세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베일 암(bail arm, 34)을 가지고 있다. 연결부(30)와 양 로터 암(31, 32)을 가지는 로터 본체(33)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이나 합성 수지제이며 일체 성형되어 있다.
<스풀의 구성>
스풀(4)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제1 로터 암(31)과 제2 로터 암 (32)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스풀 축(15)의 선단부의 비원형부(15a)에 드래그 기구(60)를 통하여 장착 가능한 것이다. 스풀(4)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본체(7)와, 스풀 본체(7)에 장착된 베어링 부재(8)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 본체(7)는, 낚싯줄을 외주에 감기 가능한,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의 권사 몸통부(7a)와, 권사 몸통부(7a)의 후부에 일체로 형성된 스커트부(7b)와, 권사 몸통부(7a)의 전단에 일체 형성된 전(前) 플랜지부(7c)와, 권사 몸통부(7a)의 내주부에 드래그 기구(60)를 장착 가능하게 형성된 드래그 수납부(7d)를 가지고 있다.
권사 몸통부(7a)는, 원통형의 부재이고, 외주면은 스풀 축(15)과 평행한 둘레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사 몸통부(7a)는, 낚싯줄이 감겨지는 통상부(7e)와, 통상부(7e)의 내주면에 일체 형성된 원판상(圓板狀)의 지지 벽부(7f)와, 지지 벽부(7f)의 내주 측에 형성된 통상의 축 지지부(7g)를 가지고 있다. 이 축 지지부(7g)의 내주면에 베어링 부재(8)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커트부(7b)는, 권사 몸통부(7a)의 후방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後) 플랜지부(7h)와, 후 플랜지부(7h)의 외주 측으로부터 후방으로 통상으로 연장되는 원통부(7i)를 가지고 있다. 이 원통부(7i)의 내측에 로터(3)의 연결부(30)가 배치되어 있다. 스커트부(7b)의 원통부(7i)에는, 모따기(chamfer, 재목의 모서리를 따서 둥그스름하게 하거나 새로운 평면을 만듦)된 환상(環狀) 홈(7k)과, 환상 홈(7k) 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슬릿(slit, 7m)이 형성되어 있다.
전 플랜지부(7c)는, 이 실시예에서는, 권사 몸통부(7a)와 일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 플랜지부는, 권사 몸통부와 별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전 플랜지부를 볼트 등에 의하여 권사 몸통부에 고정해도 무방하고, 권사 몸통부에 고정 가능한 플랜지 고정 부재에 의하여 권사 몸통부에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드래그 수납부(7d)는, 권사 몸통부(7a)의 내부에 있어서, 지지 벽부(7f)의 전방(前方)에 원형으로 파여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드래그 수납부는, 권사 몸통부와 별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드래그 수납부(7d)의 내부에는, 드래그 기구(60)의 후술하는 마찰부(62)가 수납되어 있다. 드래그 수납부(7d)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예를 들어, 2개)의, 단면이 비원형(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계지 홈(7j)을 내주면에 가지고 있다.
베어링 부재(8)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폴리아 세탈 수지와 같이 접동성(摺動性)이 높고 경질이며 또한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의 통상 부재이고, 롤링 베어링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베어링 부재(8)는, 스풀 축(15)의 비원형부(15a)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는 계합 구멍(8a)을 가지고, 권사 몸통부(7a)의 축 지지부(7g)의 축 방향 길이와 실질적으로 같은 길이를 가지고 있다. 베어링 부재(8)는, 축 지지부(7g)의 내주 측에 배치되어, 스풀 본체(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계합 구멍(8a)은, 대향하여 동심으로 배치된 2개의 원호 부분(8c)의 양단을 2개의 선분(8d)으로 연결한, 비원형부(15a)와 마찬가지인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베어링 부재(8)는, 홈부(15c)에 계지 가능하게 계합 구멍(8a)에 직경 방향 내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빠짐 방지 돌기(8b)를 더 가지고 있다. 빠짐 방지 돌기(8b)는, 계합 구멍(8a)의 후단에 있어서, 2개의 원호 부분(8c)의 일부인 중앙부로부터 스풀 축심 X를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풀(4)을 스풀 축(15)에 장착하면, 권사 몸통부(7a)의 내주면에 배치된 베어링 부재(8)의 계합 구멍(8a)이 비원형부(15a)의 외주면의 대략 전면(全面)에 접촉하여 계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합성 수지제의 베어링 부재(8)가 스풀 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되는 것과 함께, 베어링 부재(8)의 외주면과 권사 몸통부(7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서 스풀 본체(7)와 베어링 부재(8)가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권사 몸통부(7a)가 베어링 부재(8)의 원형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드래그가 작동하여도 스풀 본체(7)가 스풀 축(15)에 대하여 부드럽게 회전한다.
여기에서는, 합성 수지제의 통상의 베어링 부재(8)의 계합 구멍(8a)에서 스 풀 축(15)의 비원형부(15a)에 계합시키고 있으므로, 간소한 구성으로 베어링 부재(8)를 정도 좋게 회전 멈춤할 수 있고, 가격 상승을 억제하여 스풀 축(15)과 베어링 부재(8)와의 덜걱거림을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드래그 기구의 구성>
드래그 기구(6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4)의 줄 방출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동하여 스풀(4)에 드래그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드래그 기구(60)는, 드래그력을 손으로 조정하기 위한 드래그 손잡이 조립체(61)와, 드래그 손잡이 조립체(61)에 의하여 스풀(4) 측에 압압(押壓)되어 드래그력이 조정되는, 예를 들어 3매의 드래그 와셔(62a ~ 62c)를 가지는 마찰부(62)와, 드래그 작동 시에 발음하는 드래그 발음 기구(85)를 구비하고 있다.
드래그 손잡이 조립체(61)는, 제1 부재(66) 및 제1 부재(66)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는 제2 부재(67)를 가지는 손잡이부(63)와, 손잡이부(63)와 스풀(4)과의 간극(間隙) 및 제1 부재(66)와 제2 부재(67)와의 간극을 실(seal)하는 실 부재(64)와, 제1 부재(66)와 제2 부재(67)와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발음하는 손잡이 발음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제1 부재(66)는, 링 형상의 테두리부(66a)와, 테두리부(66a)보다 소경의 원통부(66b)를 가지는 테두리붙이 통상의,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다. 제1 부재(66)는, 스풀 축(15)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테두리부(66a)의 전단면(前端面)에는, 손잡이 발음 기구를 구성하는 음출(音出) 오목부(69)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원통부(66b)의 내주부에는, 스풀 축(15)의 비원형부(15a)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는 타원상의 계지 슬롯(66c)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66b)의 외주면의 실 부재(64)의 장착 부분의 후부에는, 실 부재(64)를 장착하기 위한 환상 홈(66d)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통부(66b)의 후단면이 마찰부(62)의 드래그 와셔(62a)에 당접(當接, 부딪는 상태로 접함)한다.
제2 부재(67)는, 제1 부재(66)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1 부재(66)와 상대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함)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부재(67)는, 스풀 축(15)에 나합(螺合)하는 것과 함께, 테두리부(66a)를 덮도록 제1 부재(66)를 향하여 통상으로 돌출하는 부재이다. 제2 부재(67)는, 손잡이체(71)와, 손잡이체(71)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풀 축(15)에 나합하는 너트부(72)와, 너트부(72)와 제1 부재(66)와의 사이에 압축 상태로 배치된 코일 용수철로 이루어지는 용수철 부재(73)을 가지고 있다.
손잡이체(71)는, 합성 수지제의 통상의 손잡이 본체(75)와, 손잡이 본체(75)의 전면에 직경 방향을 따라 고정된 금속제의 조작 손잡이(76)를 가지고 있다.
너트부(72)는, 예를 들어 육각 너트이고, 스풀 축(15)의 선단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15b)에 나합하고, 손잡이 본체(75)의 회동에 따라 용수철 부재(73)를 압축한다.
실 부재(64)는, 예를 들어 합성 고무제의 원판상의 부재이다. 실 부재(64)는, 스풀(4)의 전 플랜지부(7c)의 내주면과 제1 부재(66)의 원통부(66b)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실 부재(64)는, 환상 홈(66d)에 장착되는 환상 돌 기(64a)를 내주면에 가지고 있다. 또한, 원통부(66b)의 장착면으로부터 손잡이 본체(75)의 후단면에 접촉하고, 나아가 전 플랜지부(7c)의 내주면에 S자 형상으로 만곡(彎曲)하여 직경 방향 외방(外方)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결과, 실 부재(64)는, 스풀(4)과 드래그 손잡이 조립체(61)와의 간극 및 제1 부재(66)와 제2 부재(67)와의 간극의 2개의 간극을 동시에 실할 수 있다.
마찰부(6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드래그 수납부(7d)에 장착되어 있다. 드래그 와셔(62a)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부재(66)에 접촉하고, 또한 스풀 축(15)의 비원형부(15c)에 계합하여 스풀 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금속제의 원판 부재이다. 드래그 와셔(62b)는, 스풀(4)의 드래그 수납부(7d)에 형성된 계지 홈(7j)에 계합하여 스풀(4)과 일체 회전 가능한 금속제의 원판 부재이다. 드래그 와셔(62c)는, 드래그 와셔(62a)와 마찬가지로 스풀 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금속제의 원판 부재이다. 드래그 와셔(62a ~ 62c)의 사이 및 드래그 와셔(62c)와 드래그 수납부(7d)의 사이에는, 드래그 디스크(62d)가 배치되어 있다. 드래그 디스크 (62d)는, 스풀(4) 및 스풀 축(1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예를 들어 펠트(felt)제 또는 그라파이트(graphite)제의 원판 부재이다.
드래그 발음 기구(85)는, 드래그의 작동에 의하여 스풀 축(15)과 스풀(4)이 상대 회전하면 발음하는 기구이다. 드래그 발음 기구(85)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축(15)의 비원형부(15a)의 후단부에 장착되는 원판상의 발음 부재(86)와, 권사 몸통부(7a)의 후단면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발음 부재(86)에 대하여 타격을 반복하는 멈춤쇠 부재(87)를 가지고 있다. 발음 부재(86)는, 도 4에 도시하 는 바와 같이,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비원형부(15a)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원판상의 부재이고, 외주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요철부(凹凸部, 86b)를 가지고 있다. 이 요철부(86b)에 멈춤쇠 부재(87)가 충돌을 반복하는 것에 의하여, 드래그 작동 시에 스풀(4)이 회전하면 발음한다.
<릴의 조작 및 동작>
낚시를 행하기 전에 물고기의 크기나 종류에 맞추어 드래그력을 조정한다. 드래그력을 조정하려면, 드래그 손잡이 조립체(61)를 돌린다. 드래그 손잡이 조립체(61)를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스풀 축(15)에 나합하는 너트부(72)에 의하여 용수철 부재(73)를 통하여 제1 부재(66)가 마찰부(62) 측으로 압압된다. 이것에 의하여 드래그력이 커진다.
캐스팅 시에는, 베일 암(34)을 줄 개방 자세로 반전시킨다. 이 상태로 낚싯대를 잡는 손의 집게 손가락으로 낚싯줄을 걸면서 낚싯대를 캐스팅한다. 그러면 낚싯줄은 채비의 무게에 의하여 힘차게 방출된다. 이 상태에서 핸들 조립체(1)를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터 구동 기구(5)에 의하여 로터(3)가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고, 베일 암(34)이 베일 반전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줄 권취 위치로 복귀하여, 낚시줄이 베일 암(34)으로부터 스풀(4)에 감겨진다.
낚시를 행하고 있을 때에, 큰 물고기가 걸려 설정된 드래그력을 넘은 힘이 낚싯줄에 작용하면, 드래그가 작동하여 스풀(4)이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스풀 본체(7)가, 스풀 축(15)의 비원형부(15a)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는 계합 구멍(8a)이 설치된 합성 수지제의 베어링 부재(8)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간소한 구성으로 베어링 부재(8)를 정도 좋게 회전 멈춤할 수 있고, 가격 상승을 억제하여 스풀 축(15)과 베어링 부재(8)의 덜걱거림을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풀 축(15)에 설치된 홈부(15c)에 의하여, 베어링 부재(8)에 형성된 빠짐 방지 돌기(8b)가 계지되므로, 스풀(4)을 스풀 축(15)으로부터 떼어내어도, 베어링 부재(8)가 스풀 축(15)에 남는다. 이 때문에, 베어링 부재(8)가 스풀 본체(7)로부터 빠지는 것에 의한 베어링 부재(8)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스풀 축(15)의 비원형부(15a)에 계합하는 계합 구멍(8a)이 1쌍의 원호 부분과 현으로 구성되므로, 비원형부(15a)나 계합 구멍(8a)을 형성하기 쉬워진다.
또한, 로터(3)를 떼어내기 위하여 베어링 부재(8)를 떼어낼 필요가 있는 경우, 원호 부분(8c)의 적어도 일부에만 빠짐 방지 돌기(8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베어링 부재(8)를 떼어내기 쉬워진다. 즉, 스풀 축(15)의 선단 측을 향하여 베어링 부재(8)를 당기면, 합성 수지의 탄성에 의하여 빠짐 방지 돌기(8b)가 휘어 홈부(15c)로부터 빠져, 베어링 부재(8)를 스풀 축(15)으로부터 떼어내기 쉬워진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빠짐 방지 돌기(8b)를 원호 부분(8c)의 일부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빠짐 방지 돌기(8b)가 보다 휘어지기 쉬워져, 베어링 부재(8)를 한층 더 떼어내기 쉬워진다.
 또한, 빠짐 방지 돌기(8b)가, 계합 구멍(8a)의 일단 측 내주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빠짐 방지 돌기(8b)를 형성하기 쉬워진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베어링 부재(8)를 축 지지부(7g)와 같은 축 방향 길이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104)에서는, 스풀 본체(107)의 권사 몸통부(107a)의 축 지지부(107g)의 반분(半分)보다 약간 긴 축 방향 길이로 베어링 부재(108)가 형성되어 있다. 축 지지부(107g)의 내주면은,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스풀 축(15)의 외형보다 근소(예를 들어 : 0.1mm 내지 2mm)하게 대경(大徑)으로 형성되어 있어, 비원형부(15a)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덧붙여, 스풀(104)의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부호 및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베어링 부재를 통상 부재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204)에서는, 스풀 본체(207)의 권사 몸통부(207a)의 축 지지부(207g)에 단붙이의 장착 구멍(207k)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부재(208)는, 대경의 테두리부(208e)와 통상부(208f)를 가지는 테두리붙이 원통상(圓筒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스풀(204)을 스풀 축(15)으로부터 떼어내는 경우, 플랜지부(208e)에 의하여 스풀 본체(207)와 함께 베어링 부재(208)는 스풀 축(15)으로부터 빠진다. 이 때문에, 빠짐 방지 돌기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덧붙여, 스풀(204)의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부호 및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풀 축(15)의 비원형부(15a)를 1쌍의 원호 부분과 선분을 가지는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하고, 비원형부(15a)에 계합하는 베어링 부재(8)의 계합 구멍(8a)도 마찬가지인 형상이지만, 비원형부 및 계합 구멍의 형상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원형부의 형상은 직사각형 등의 다각형 단면이나 타원 단면 등이어도 무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그 종단면도.
도 3은 스풀의 단면 확대도.
도 4는 베어링 부재와 그 주변의 부재와 스풀 축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베어링 부재의 배면도.
도 6은 도 5의 VI-VI 단면도.
도 7은 다른 실시예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릴 본체
4, 104, 204 : 스풀
7, 107, 207 : 스풀 본체
7a, 107a, 207a : 권사 몸통부
7d : 드래그 수납부
8, 108, 208 : 베어링 부재
8a : 계합 구멍
8b : 빠짐 방지 돌기
8c : 원호 부분
8d : 선분

Claims (5)

  1. 릴(reel) 본체에 대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고 또한 회전 불가능한 스풀(spool) 축의 선단부(先端部)에 형성된 비(非)원형부에 장착 가능한 스피닝 릴(spinning reel)의 스풀이고,
    낚싯줄을 감기 가능한 권사(倦絲)몸통부와, 상기 권사 몸통부의 내주부(內周部)에 드래그 와셔(drag washer)를 수납 가능하게 형성된 드래그 수납부를 가지는 스풀 본체와,
    상기 스풀 축의 비원형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係合)하는 계합 구멍을 가지고,
    상기 권사 몸통부의 내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풀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합성 수지제의 통상(筒狀)의 베어링 부재
    를 구비한 스피닝 릴의 스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원형부에는, 다른 부분보다 둘레 방향으로 파여 형성된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홈부에 계지(係止) 가능하게 상기 계합 구멍에 직경 방향 내방(內方)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빠짐 방지 돌기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스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구멍은, 대향하여 동심(同芯)으로 배치된 2개의 원호(圓弧) 부분의 양단을 평행한 2개의 선분으로 연결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스피닝 릴의 스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빠짐 방지 돌기는, 상기 2개의 원호 부분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스풀 축심(軸芯)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스풀.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빠짐 방지 돌기는, 상기 계합 구멍의 일단 측 내주부에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스풀.
KR1020090035847A 2008-04-30 2009-04-24 스피닝 릴의 스풀 KR101549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18674A JP5205121B2 (ja) 2008-04-30 2008-04-30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JP-P-2008-118674 2008-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054A true KR20090115054A (ko) 2009-11-04
KR101549601B1 KR101549601B1 (ko) 2015-09-02

Family

ID=40908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847A KR101549601B1 (ko) 2008-04-30 2009-04-24 스피닝 릴의 스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62489B2 (ko)
EP (1) EP2113170B1 (ko)
JP (1) JP5205121B2 (ko)
KR (1) KR101549601B1 (ko)
CN (1) CN101569299B (ko)
MY (1) MY149065A (ko)
SG (1) SG156570A1 (ko)
TW (1) TWI47109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7942A (ko) * 2013-11-19 2015-05-28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스피닝 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0335B2 (ja) * 2010-05-18 2015-03-04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5401411B2 (ja) * 2010-07-23 2014-01-2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TWI509160B (zh) * 2011-11-10 2015-11-21 Asia Vital Components Co Ltd 軸承結構及其散熱風扇
EP2749164A4 (en) * 2012-05-29 2016-02-24 Globeride Inc REEL LANCER LIGHT
JP7065626B2 (ja) * 2018-01-31 2022-05-12 株式会社シマノ ドラグつまみ
JP7213677B2 (ja) * 2018-12-26 2023-01-2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3901A (en) * 1968-11-01 1972-09-26 Berkley & Co Inc Quick-change cartridge spool
JPH0753496Y2 (ja) * 1986-07-21 1995-12-13 リョービ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軸受機構
FR2643544B1 (fr) * 1989-02-27 1991-05-10 Mitchell Sports Moulinet de peche a bobine demontable a reduction de jeu
JPH0646300Y2 (ja) * 1989-02-28 1994-11-30 島野工業株式会社 釣用リールにおけるスプール軸の調心装置
JPH086459Y2 (ja) * 1989-10-13 1996-02-28 島野工業株式会社 釣り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538893Y2 (ja) 1991-02-20 1997-06-1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機構
KR100430521B1 (ko) * 1996-02-07 2004-08-31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낚시용스피닝릴
JP3439137B2 (ja) 1998-11-04 2003-08-2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1204319A (ja) * 2000-01-26 2001-07-31 Mamiya Op Co Ltd 釣り用リール
TW528576B (en) * 2000-12-08 2003-04-21 Strike Technology Ltd Fishing reel
TW518205B (en) * 2001-02-23 2003-01-21 Shimano Kk Spool of spinning reel
TW534795B (en) * 2001-05-18 2003-06-01 Shimano Kk Spinning-reel spool
JP3854823B2 (ja) * 2001-07-02 2006-12-06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3052585A (ja) * 2001-08-20 2003-02-25 Toshiba Tec Corp 回転清掃体及びこれを備える吸込口体及び該吸込口体を備える電気掃除機
JP3981325B2 (ja) * 2002-12-06 2007-09-26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JP2004298012A (ja) * 2003-03-28 2004-10-28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TWI315185B (en) 2003-05-15 2009-10-01 Shimano Kk Drag adjustment knob for a spinning reel
JP4266718B2 (ja) * 2003-06-13 2009-05-2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US6874718B1 (en) * 2003-09-16 2005-04-05 Liang-Jen Chang Fishing spinning reel
US6938847B1 (en) * 2004-03-02 2005-09-06 Shih-Yuan Yeh Spool for a fishing reel
US7222810B1 (en) 2006-04-18 2007-05-29 W.C. Bradley/Zebco Holdings, Inc. Magnetic fishing reel click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7942A (ko) * 2013-11-19 2015-05-28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스피닝 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71092B (zh) 2015-02-01
CN101569299B (zh) 2012-04-25
US7762489B2 (en) 2010-07-27
KR101549601B1 (ko) 2015-09-02
TW201008483A (en) 2010-03-01
EP2113170A3 (en) 2010-03-10
JP5205121B2 (ja) 2013-06-05
MY149065A (en) 2013-07-15
EP2113170A2 (en) 2009-11-04
SG156570A1 (en) 2009-11-26
JP2009268354A (ja) 2009-11-19
CN101569299A (zh) 2009-11-04
EP2113170B1 (en) 2012-11-14
US20090272831A1 (en)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5054A (ko) 스피닝 릴의 스풀
KR101442569B1 (ko)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TWI395546B (zh) 紡車式捲線器的捲線器本體
US7314192B2 (en) Spinning reel
KR20140113475A (ko) 낚시용 릴의 래칫 휠
JP6134133B2 (ja) ドラグつまみ、及びこれを用いた釣り用リール
KR20070077067A (ko) 낚시용 릴의 기어 부품 장착 구조
KR100938377B1 (ko) 낚시용 릴의 소리 발생 장치
JP2006217848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KR101031524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JP2001112383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US7165736B2 (en) Rear drag operation structure for a spinning reel
KR101403928B1 (ko) 스피닝 릴의 드랙 손잡이 조립체
KR101004263B1 (ko)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US7198218B2 (en) Brake operation structure for fishing reel spool
JP2008148640A5 (ko)
JP562406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切換装置
KR20040019250A (ko)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US6971599B2 (en) Spinning reel rotor braking device
JP2006217849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KR20070033885A (ko) 스피닝 릴의 스풀
JP2013146245A5 (ko)
JP2009148173A5 (ko)
JP438189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JP2006296204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