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521B1 - 낚시용스피닝릴 - Google Patents

낚시용스피닝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521B1
KR100430521B1 KR1019970002209A KR19970002209A KR100430521B1 KR 100430521 B1 KR100430521 B1 KR 100430521B1 KR 1019970002209 A KR1019970002209 A KR 1019970002209A KR 19970002209 A KR19970002209 A KR 19970002209A KR 100430521 B1 KR100430521 B1 KR 100430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fishing
rolling
drive shaf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2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067A (ko
Inventor
에이지 시노하라
도모유키 아마노
Original Assignee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45359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2386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46753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31585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6001675U external-priority patent/JP3030528U/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61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7Anti-revers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Abstract

(과제)
베어링의 외륜과 내륜의 위상 어긋남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여, 로터의 스무스한 회전성과 원활한 권취조작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해결수단)
릴본체(1)의 앞측의 지지부(1a)내에 전방부베어링(2)과 후방부베어링(3)으로 구동통축(4)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전방부베어링(2)의 외륜(2a)의 외측부(2b)와 후방부베어링(3)의 외륜(3a)의 외측부(3b)와 컬러(10)가 지지부(la)의 내주(1b)에 끼워맞춤되고 외측부(2b)와 외측부(3b)가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되어 있다.
구동통축(4)의 외주에 끼워맞춤된 후방부베어링(3)의 내륜(3c)의 앞측에는 로터(5)의 중심통부(5a)가 회전방지 끼워맞춤되고 내륜(3c)의 안쪽부(3d)는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되어 있다.
중심통부(5a)의 외주에 전방부베어링(2)의 내륜(2c)의 안쪽부(2d)가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전방부베어링(2)의 외륜(2a)과 내륜(2c)및 후방부베어링(3)의 외륜(3a)과 내륜(3c)의 사이에는 각각 구름 볼(15,16)이 넣어져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스피닝릴{SPINNING REEL FOR FISHING}
본 발명은 로터를 2개의 베어링으로 지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핸들축상에 구동톱니바퀴에 맞물리는 피니온을 가지고, 로터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축통을 릴본체 전방부에 설치한 전·후방부의 2개의 구름베어링으로 지지한 것이 예컨대 일본 실공평6-42461호 공보로 알려지고 있다.
그렇지만, 전·후방부의 2개의 구름베어링의 내륜을 회전축통 외주에 컬러를 끼워 맞춰, 로터의 통부와 함께 너트로 회전축통에 설치하고, 전·후방부의 2개의 구름베어링의 외륜은 로터의 지지부의 내주에 끼워 맞춰 빠짐방지하고 있기 때문에 컬러의 축방향의 길이의 불균형에 의해서 구름베어링의 내륜과 외륜의 각각이 서로 축방향으로 위상 어긋남하여 구름 볼이 내륜과 외륜으로부터 받는 저항이 커져 베어링의 회전이 무겁게 되어, 로터의 스무스한 회전성을 얻을 수 없고 원활한 권취조작을 행할 수 없는 등의 과제가 남겨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름식 한방향클러치를 사용하여 구동통축의 역회전을 저지하는 낚시용 스피닝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핸들에 연동회전하는 구동통축과 릴본체전방부와의 사이에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를 설치하여 역전방지장치를 구성한 것이 예컨대 일본 실개소64-38964호 공보로 알려지고 있다.
그렇지만, 릴본체전방부의 베어링과 구동통축의 톱니부와의 사이에,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를 설치하고 있기때문에 역전유극이 적은 쐐기작용하는 한방향클러치에 실제 낚시할때의 권취시 또는 역전시에 스피닝릴 특유의 로터를 통해 구동통축에 불규칙하게 비트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내구성의 면에서 뒤떨어지고, 상시 안정된 확실한 쐐기작용에 의한 역전방지기능을 유지할 수 없음과 동시에 한방향클러치의 구동통축과 릴본체에의 설치 정밀도를 향상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구동통축의 기단을 릴본체에 일체의 베어링부에 지지함과 동시에, 구동톱니 바퀴에 맞물리는 구동통축의 톱니부보다 전방에 구름식 한방향클러치를 릴본체전방부의 베어링에 축방향으로 병설하였기 때문에 릴본체의 전후방향의 길이가 길게 되고 대형화하여 한방향클러치에 의한 고정밀도의 역전방지기능의 유지를 꾀하면서 릴전체를 소형 컴팩트화할 수 없는 등의 과제가 남겨지고 있다.
또한, 본발명은 낚시용릴에 관하여, 특히, 낚시줄 권취조작용핸들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핸들에 연동회전하는 로터에 베일, 낚시줄 안내부를 가지는 지지부재를 낚시줄 권취상태와 낚시줄방출상태로 반전이 자유롭게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낚시용 스피닝릴에 있어서, 상기 베일을 일으켜 낚시줄방출상태로 변환한 후, 낚시대를기세좋게 흔들어내려 낚시줄의 장치를 방출하였을 때의 핸들회전에 의한 로터 회전의 베일 오복귀를 방지하기 위해서, 권취구동용의 핸들을 한쌍의 아암부의 각각에 핸들손잡이를 설치한 소위 더블핸들의 스피닝릴이 일본 실개평4-9496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구름베어링의 내륜과 외륜의 각각이 서로 축방향으로 위상 어긋남하여 구름 볼이 내륜과 외륜으로부터 받는 저항이 커져 베어링의 회전이 무겁게 되어, 로터의 스무스한 회전성을 얻을 수 없고, 원활한 권취조작을 행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점을 감안하여, 베어링의 외륜과 내륜의 위상 어긋남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여, 로터의 스무스한 회전성과 원활한 권취조작을 할 수 있는 낚시용 스피닝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릴본체전방부의 베어링과 구동통축의 톱니부와의 사이에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를 설치하고 있기때문에 로터를 통해 구동통축에 불규칙한 비트는 힘이 작용하면, 내구성의 면에서 뒤떨어지고 상시 안정된 확실한 쐐기작용에 의한 역전방지기능을 유지할 수 없음과 동시에 한방향클러치의 구동통축과 릴본체에의 설치정밀도를 향상하는 것이 어렵고, 릴본체의 전후방향의 길이가 길게 되어 대형화하여 한방향 클러치에 의한 고정밀도의 역전방지기능의 유지를 꾀하면서 릴전체를 소형 컴팩트화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점에 감안하여,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의 쐐기작용에 의한 역전방지기능을 고정밀도로 안정되어 상시 얻을 수 있고, 릴전체가 소형 컴팩트화할 수 있는 낚시용 스피닝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실개평 4-94969호 공보의 것에 있어서는 한쌍의 아암부의 형성에 의해 핸들중량의 언밸런스의 개선이 도모되어 낚시줄방출시의 불필요한 회전이 방지되지만 그만큼 핸들전체가 중량화하여 관성모멘트가 커져 권취조작시에 핸들의 오버런에 의해서 과도하게 감기기도 하는 등의 권취조작성이 나쁘다. 또한, 이와 같이 핸들의 중량화는 릴전체의 중량화로 되어 릴본체의 핸들장착측의 중량편위가 한층더 커져 낚시대로의 장착하였을 때의 좌우의 중량균형이 나쁘고 낚시조작시의 유지성이 저하하는 등의 과제가 남겨지고 있었다.
본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에 주목하여 제안된 것으로, 핸들전체의 중량화에 의하는 권취조작성의 개선및 낚시대로 장착하였을 때의 좌우의 중량균형의 개선을 꾀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핸들로 연동회전하여 내부에 스풀축이 끼워 넣음되는 구동통축을 릴본체의 앞측에 형성한 지지부내의 전방부베어링과 후방부베어링을 통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여, 그 구동통축에 상기 스풀축의 전방부에 설치한 스풀에 낚시줄을 두루 감는 낚시줄안내부를 가지는 로터를 부착시킨 낚시용 스피닝릴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 및 후방부베어링의 적어도 한쪽을 구름베어링으로 형성하고 그 전·후방부의 양베어링의 외측부을 릴본체지지부에 축방향으로 협착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전·후방부의 양베어링의 어느 한쪽의 구름베어링의 내륜을 상기 구동통축에 축방향으로 협착지지하여 다른쪽의 베어링의 안쪽부를 상기 구동통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한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에 의해서, 로터(5)가 회전될때 구동통축(4)과 구동통축(4)에 회전방지 끼워맞춤된 로터(5)의 중심통부(5a)는 전방부베어링(2)과 후방부베어링(3)으로 지지되어 전방부베어링(2)의 외측부(2b)와 후방부베어링(3)의 외측부(3b)가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되어 내륜(3c)은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되고, 또한 전방부베어링(2)은 내륜(2c)의 안쪽부(2d)가 로터(5)의 중심통부(5a)의 외주에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부베어링(2)의 외륜(2a)과 내륜(2c) 및 후방부베어링(3)의 외륜(3a)과 내륜(3c)의 사이에 위상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고, 각각 내륜과 외륜으로부터 구름 볼(15,16)이 받는 저항이 작고, 전방부베어링(2)과 후방부베어링(3)의 회전이 가볍게 되어 로터(5)의 스무스한 회전성을 얻을 수 있고, 로터(5)는 2개의 전방부베어링(2)과 후방부베어링(3)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줄(36)의 조출로 낚시줄안내부(A)의 라인 롤러(34)측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원활한 권취조작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핸들로 연동회전하여 내부에 스풀축이 끼워 넣음되는 구동통축을 릴본체의 앞측에 형성한 지지부내의 베어링을 통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그 베어링의 후측에 구름식 한방향클러치를 설치하여 그 구동통축의 한방향의 회전을 허용하고 다른방향의 회전을 저지하여, 상기 구동통축에 상기 스풀축의 전방부에 설치한 스풀에 낚시줄을 두루 감는 낚시줄안내부를 가지는 로터를 부착시킨 낚시용 스피닝릴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을 전방부와 후방부의 베어링으로 하여 그전방부베어링과후방부베어링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릴본체와 구동통축사이에 한방향의 회전을 허용하고 다른방향의 회전을 저지하는 구름식 한방향클러치를 설치한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구동통축을 전방부베어링과 후방부베어링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스풀축을 전후 왕복운동장치의 미끄럼부재를 핸들축상의 구동톱니 바퀴에 맞물리는 상기 구동통축의 톱니부근처까지 근접가능하게 한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구름식 한방향클러치의 구름부재를 유지하는 고리형상 유지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여 그유지부재에 설치한 걸어맞춤부에 릴본체에 지지한 전환부재의 작동부를 걸어맞춤시켜 상기 구름식 한방향클러치를 쐐기작용하는 작동상태와 쐐기작용하지않은 비작동상태로 전환가능하게 한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에 의하면,
낚시용 스피닝릴에 의하면 로터(106)가 회전될때, 구동통축(104)과 구동통축(104)에 회전방지 끼워맞춤된 로터(106)의 중심통부(106a)는 전방부베어링(102)과 후방부베어링(103)으로 지지되어,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가 전방부베어링(102)과 후방부베어링(103)의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에 실제 낚시할때의 권취시 또는 역전시에 로터(106)를 통해 구동통축(104)에 작용하는 불규칙한 비트는 힘이 경감되어, 구동통축(104)의 지지 및 설치 정밀도가 안정 향상됨과 동시에 내구성이 개선되어,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의 쐐기작용에 의한 고정밀도의 역전방지기능을 안정되게 유지발휘할 수 있다.
더욱이 본발명의 낚시용 스피닝릴에 의하면, 구동통축(104)을 전방부베어링(102)과 후방부베어링(103)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함과 동시에, 스풀축(117)을 전후 왕복운동장치(B)의 트래버스캠축(121)은 릴본체(101)내의 앞측의 베어링(122)과 후측의 베어링(123, 124)으로 지지되어 트래버스캠축(121)의 선단에 회전방지 끼워맞춤된 소톱니 바퀴(126)가 구동통축(104)의 톱니부(104a)에 맞물림되어 있기때문에 구동통축(104)의 기단을 축지지하는 릴본체(101)내의 베어링부를 불필요로 하고, 전후 왕복운동장치(B)의 미끄럼부재(118)를 핸들축(120)상의 구동톱니 바퀴(107)에 맞물리는 상기 구동통축(104)의 톱니부(104a)의 근처까지 근접가능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본발명의 낚시용 스피닝릴에 의하면, 구름식 한방향클러치(A)의 구름부재(128)를 유지하는 고리형상 유지부재(108)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여 고리형상유지부재(108)에 설치한 걸어맞춤부(108b)에서 릴본체(101)에 지지한 전환부재(131)의 작동부(132)를 걸어맞춤시켜, 구름식 한방향클러치(A)를 쐐기작용하는 작동상태와 쐐기작용하지않은 비작동상태로 전환가능하게 하였기때문에 막대모양 구름부재(128)의 쐐기작용에 의한 역전시의 유극이 더욱이 적어지므로 신속히 로터(106)의 역회전이 정지된다.
본 발명은 더욱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단부에 핸들손잡이가 부착된 한쌍의 아암부를 가지는 핸들본체의 중앙부를 구동축과의 연결부로 하는 낚시용릴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아암부의 각각에 관통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발명은 상기 핸들에 연동회전하는 로터에 베일을 가지는 베일지지부재를 낚시줄 권취상태와 낚시줄방출상태로 반전이 자유롭게 지지하여 되는 릴본체의 구동권취기구에 상기 핸들의 구동축연결부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발명은 상기 아암부의 단면형상을 대략 U 자형상으로 형성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제1실시예로 낚시용 스피닝릴의 주요부단면측면도,
도 2는 동 낚시용 스피닝릴의 주요부 확대단면 측면도,
도 3은 제2실시예로 낚시용 스피닝릴의 주요부 확대단면 측면도,
도 4는 제3실시예로 낚시용 스피닝릴의 주요부 확대단면 측면도,
도 5는 제4실시예로 낚시용 스피닝릴의 주요부 확대단면 측면도,
도 6은 제5실시예로 낚시용 스피닝릴의 주요부 단면측면도,
도 7는 낚시용 스피닝릴의 주요부 확대단면측면도,
도 8은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의 확대단면정면도,
도 9는 구름식 한방향클러치의 확대단면측면도,
도 10은 제6실시예로 낚시용 스피닝릴의 주요부 확대단면측면도,
도 11은 제7실시예로 낚시용 스피닝릴의 주요부 확대단면측면도,
도 12는 제8실시예로 낚시용 스피닝릴의 주요부 확대단면측면도,
도 13은 제9 실시예에 있어서의 낚시용 스피닝릴의 측면도,
도 14는 제9 실시예에 있어서의 낚시용 스피닝릴의 핸들부를 가리키는 정면도,
도 15는 도 14에 있어서의 A-A 단면도,
도 16은 제10 실시예에 있어서의 낚시용 스피닝릴의 핸들부를 가리키는 측면도,
도 17은 제11 실시예에 있어서의 낚시용 스피닝릴의 핸들부를 가리키는 측면도.
(발명의실시의형태)
이하, 도시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하면, 도 1, 도 2는 제1실시예로, 도 1은 낚시용 스피닝릴의 주요부단면측면도, 도 2는 낚시용 스피닝릴의 주요부 확대단면측면도이다.
도 1, 도 2로 낚시용 스피닝릴은 릴본체(1)의 앞측의 지지부(1a)내에 소지름의 구름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전방부베어링(2)과 큰직경의 구름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후방부베어링(3)으로 구동통축(4)의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전방부베어링(2)의 외륜(2a)의 외측부(2b)와 후방부베어링(3)의 외륜(3a)의 외측부(3b)와 컬러(10)가 지지부(la)의 내주(1b)에 끼워맞춤되어 지지부(1a)의 후측의 맞닿음 부(lc)에 후방부베어링(3)의 외륜(3a)이 접촉되어 지지부(1a)의 전단에 나사맞춤된 비스(11)의 머리 부분으로 빠짐방지되고 외측부(2b)와 외측부(3b)가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되어 있다.
구동통축(4)의 기단의 앞측에 일체적으로 피니온(4a)이 형성되어, 피니온(4a)의 앞측에 연동톱니바퀴(12)와 역전방지클릭차(13)가 회전방지 끼워맞춤되고 그 앞측에 후방부베어링(3)의 내륜(3c)이 맞닿음 접촉되어 있다.
구동통축(4)의 외주에 끼워맞춤된 후방부베어링(3)의 내륜(3c)의 앞측에는 로터(5)의 중심통부(5a)가 회전방지 끼워맞춤되어 구동통축(4)의 전단에 나사맞춤된 너트(14)로 부착되고 내륜(3c)의 안쪽부(3d)는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되어 있다.
중심통부(5a)의 외주에 전방부베어링(2)의 내륜(2c)의 안쪽부(2d)가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전방부베어링(2)의 외륜(2a)과 내륜(2c) 및 후방부베어링(3)의 외륜(3a)과 내륜(3c)의 사이에는 각각 구름 볼(15,16)이 넣어져 있다.
구동통축(4)의 기단은 베어링부(1d)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기단의 앞측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피니온(4a)에 구동톱니바퀴(6)가 맞물림되어 로터(5)는 핸들(17)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구동통축(4)의 중심구멍에는 선단에 스풀(18)이 부착된 스풀축(19)이 전후 왕복운동가능하게 미끄럼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스풀축(19)의 후단부에는 미끄럼부재(20)가 걸어멈춤판(21)에 부착되어 있다.
구동톱니바퀴(6)의 회동축(6a)은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으로 축지지되어 회동축(6a)의 중심다각형 구멍에 핸들(17)이 고정된 핸들축(22)이 좌우교환이 자유롭게 삽입 끼워맞춤되어 있다.
스풀축(19)은 베어링부(ld)에 러프하게 끼워 맞추더라도 좋고, 생략하더라도 좋다. 생략하면 릴본체(1)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상기 릴본체(1)내의 구동통축(4)의 피니온(4a)보다 앞측에 상기 연동톱니바퀴(12)와 역전방지클릭차(13)가 구동통축(4)에 회전방지 끼워맞춤되어 있다.
릴본체(1)내에는 스풀축(19)과 평행하게 미끄럼기구의 트래버스캠축(23)이 베어링부(1d)와 릴본체(1)의 후측에 부착된 측판(24)으로 지지되어 있다.
트래버스캠축(23)의 선단에는 소톱니바퀴(25)가 회전방지 끼워맞춤되고 소톱니바퀴(25)는 상기 연동톱니바퀴(12)에 맞물림되어 있다.
상기 트래버스캠축(23)에는 상기 미끄럼부재(20)가 끼워맞춤되어 미끄럼부재(20)에 설치한 걸어맞춤부재(26)의 클릭이 트래버스캠축(23)의 캠홈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역전방지클릭차(13)에는 도시하지 않은 역전방지클릭이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면하고 있다.
릴본체(1)에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조작레버(27)의 앞측에 도시하지 않은 역전방지클릭이 부착되고 릴본체(1)의 후측 외부에 돌출한 조작레버(27)에 조작손잡이(28)가 부착되어있다.
로터(5)의 한쌍의 베일지지아암(5b, 5c)의 선단부 외측에 한쪽의 베일지지부재(29)와 다른쪽의 베일지지부재(30)가 비스(31,32)로 낚시줄 권취위치와 도시하지 않은 낚시줄 방출위치로 반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한쪽의 베일지지부재(29)에는 낚시줄안내부(A)의 롤러부착부(33)가 부착되어 라인 롤러(34)가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되어 있다.
다른쪽의 베일지지부재(30)와 롤러부착부(33)의 사이에 베일(35)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낚시용 스피닝릴의 동작은 낚시줄(36)이 스풀(18)에 감기는 방향으로 핸들(17)이 회전되면, 구동톱니바퀴(6)가 회전되고 피니온(4a)을 통해 구동통축(4)과 로터(5)가 정회전된다.
더욱이 연동톱니바퀴(12)와 소톱니바퀴(25)를 통해 트래버스캠축(23)이 연동회전되고 미끄럼부재(20)와 스풀축(19)과 스풀(18)이 전후로 왕복운동된다.
낚시줄(36)이 스풀(18)에 감길 때 한쪽의 베일지지부재(29)에 설정된 낚시줄안내부(A)의 라인 롤러(34)로 낚시줄(36)이 안내되고 전후로 왕복운동되는 스풀(18)에 평행하게 감긴다.
로터(5)가 역회전방지될때 조작손잡이(28)와 조작레버(27)와 도시하지않은 역전방지클릭이 회동되어 역전방지클릭이 역전방지클릭차(13)에 걸어맞춤된다.
로터(5)가 회전될때 구동통축(4)과 구동통축(4)에 회전방지 끼워맞춤된 로터(5)의 중심통부(5a)는 전방부베어링(2)과 후방부베어링(3)으로 지지되어, 전방부베어링(2)의 외측부(2b)와 후방부베어링(3)의 외측부(3b)가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되어 내륜(3c)의 안쪽부(3d)는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되고, 또한 전방부 베어링(2)은 내륜(2c)의 안쪽부(2d)가 로터(5)의 중심통부(5a)의 외주에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부베어링(2)의 외륜(2a)과 내륜(2c)및 후방부베어링(3)의 외륜(3a)과 내륜(3c)의 사이에 위상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고, 각각 내륜과 외륜으로부터 구름 볼(15,16)이 받는 저항이 작고, 전방부베어링(2)과 후방부베어링(3)의 회전이 가볍게 되어 로터(5)의 스무스한 회전성을 얻을 수 있고, 로터(5)는 2개의 전방부베어링(2)과 후방부베어링(3)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줄(36)의 조출로 낚시줄안내부(A)의 라인 롤러(34)측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원활한 권취조작을 할 수 있다.
낚시용 스피닝릴은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면 전방부베어링(2)의 외륜(2a)과 내륜(2c) 및 후방부베어링(3)의 외륜(3a)과 내륜(3c)의 사이에 위상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고, 각각 내륜과 외륜으로부터 구름 볼(15,16)이 받는 저항이 작아지고, 전방부베어링(2)과 후방부베어링(3)의 회전이 가볍게 되어 로터(5)의 스무스한 회전성을 얻을 수 있고, 로터(5)는 2개의 전방부베어링(2)과 후방부베어링(3)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줄(36)의 조출로 낚시줄안내부(A)의 라인 롤러(34)측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원활한 권취조작을 할 수 있다.
도 3은 제2실시예로, 도 3은 낚시용 스피닝릴의 주요부 확대 단면측면도이다.
제2실시예로 낚시용 스피닝릴은, 릴본체(1)의 앞측의 지지부(la)내에 소지름의 구름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전방부베어링(2)과 큰직경의 구름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후방부베어링(3)으로 구동통축(4)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통축(4)의 기단의 앞측에 일체적으로 피니온(4a)이 형성되어, 피니온(4a)의 앞측에 연동톱니바퀴(12)의 역전방지클릭차(13)가 회전방지 끼워맞춤되고 그 앞측에 후방부베어링(3)의 내륜(3c)이 맞닿음 접촉되어 있다.
구동통축(4)의 외주에는 후방부베어링(3)의 내륜(3c)이 끼워맞춤됨과 동시에, 컬러(37)와 로터(5)의 짧은 중심통부(5d)가 회전방지 끼워맞춤되어 구동통축(4)의 전단에 나사맞춤된 너트(14)로 부착되어 내륜(3c)은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되어 있다.
컬러(37)의 외부 지름은 중심통부(5d)의 외부 지름보다 얼마쯤 큰직경으로 컬러(37)의 외주에 전방부베어링(2)의 내륜(2c)의 안쪽부(2d)가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제2실시예로 로터(5)가 회전될때 구동통축(4)과 구동통축(4)에 회전방지 끼워 맞춤된 로터(5)의 중심통부(5d)는 전방부베어링(2)과 후방부베어링(3)으로 지지되어, 전방부베어링(2)의 외측부(2b)와 후방부베어링(3)의 외측부(3b)가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되어 내륜(3c)의 안쪽부(3d)는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되고, 또한 전방부베어링(2)은 내륜(2c)의 안쪽부(2d)가 컬러(37)의 외주에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부베어링(2)의 외륜(2a)과 내륜(2c)및 후방부베어링(3)의 외륜(3a)과 내륜(3c)의 사이에 위상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고, 각각 내륜과 외륜으로부터 구름 볼(15,16)이 받는 저항이 작고, 전방부베어링(2)과 후방부베어링(3)의 회전이 가볍게 되어 로터(5)의 스무스한 회전성을 얻을 수 있고, 로터(5)는 2개의 전방부베어링(2)과 후방부베어링(3)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줄(36)의 조출로 낚시줄안내부(A)의 라인 롤러(34)측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원활한 권취조작을 할 수 있다.
도 4는 제3실시예로, 도 4는 낚시용 스피닝릴의 주요부 확대단면측면도이다.
제3실시예로 낚시용 스피닝릴은 릴본체(1)의 앞측의 지지부(1a)내에 큰직경의 구름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전방부베어링(7)과 소지름의 구름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후방부베어링(8)으로 구동통축(4)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통축(4)의 외주에는 컬러(38)가 회전방지 끼워맞춤되어 있다.
전방부베어링(7)의 외륜(7a)의 외측부(7b)와 후방부베어링(8)의 외륜(8a)의 외측부(8b)와 컬러(10)가 지지부(1a)의 내주(1b)에 끼워맞춤되어 지지부(1a)의 후측 맞닿음부(1c)에 후방부베어링(8)의 외륜(8a)이 접촉되어 지지부(1a)의 전단에 나사맞춤된 비스(11)의 머리 부분으로 빠짐방지되고 외측부(7b)와 외측부(8b)가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되어 있다.
구동통축(4)의 소지름부(4c)의 외주에는 전방부베어링(7)의 내륜(7c)이 끼워맞춤되고 컬러(38)의 외주에는 후방부베어링(8)의 내륜(8c)의 안쪽부(8d)가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구동통축(4)의 외주에 로터(5)의 짧은 중심통부(5d)가 회전방지 끼워맞춤되어 중심통부(5d)와 전방부베어링(7)의 내륜(7c)과 컬러(38)가 구동통축(4)의 전단에 나사맞춤된 너트(14)로 부착되고, 내륜(7c)은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되어 있다.
전방부베어링(7)의 외륜(7a)과 내륜(7c) 및 후방부베어링(8)의 외륜(8a)과 내륜(8c)의 사이에는 각각 구름 볼(15,16)이 넣어져 있다.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제3실시예로 로터(5)가 회전될때 구동통축(4)과 구동통축(4)에 회전방지 끼워맞춤된 로터(5)의 중심통부(5d)는 전방부베어링(7)과 후방부베어링(8)으로 지지되어 전방부베어링(7)의 외륜(7a)의 외측부(7b)와 후방부베어링(8)의 외륜(8a)의 외측부(8b)가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됨과 동시에 전방부베어링(7)의 내륜(7c)의 안쪽부(7d)는 축방향으로 협착 지지되고, 또한 후방부베어링(8)은 내륜(8c)의 안쪽부(8d)가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부베어링(7)의 외륜(7a)과 내륜(7c) 및 후방부베어링(8)의 외륜(8a)과 내륜(8c)의 사이에 위상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고, 각각 내륜과 외륜으로부터 구름 볼(15,16)이 받는 저항이 작고, 전방부베어링(7)과 후방부베어링(8)의 회전이 가볍게 되어 로터(5)의 스무스한 회전성을 얻을 수 있고, 로터(5)는 2개의 전방부베어링(7)과 후방부베어링(8)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줄(36)의 조출로 낚시줄안내부(A)의 라인 롤러(34)측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원활한 권취조작을 할 수 있다.
도 5는 제4실시예로, 도 5는 낚시용 스피닝릴의 주요부 확대단면측면도이다.
제4실시예로 낚시용 스피닝릴은, 릴본체(1)의 앞측의 지지부(1a)내에 소지름의 금속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전방부베어링(9)과 큰직경의 구름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후방부베어링(3)으로 구동통축(4)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전방부베어링(9)의 외측부(9a)와 후방부베어링(3)의 외륜(3a)의 외측부(3b)와 컬러(10)가 지지부(1a)의 내주(1b)에 끼워맞춤되어 지지부(1a)의 후측의 맞닿음부(lc)에 후방부베어링(3)의 외륜(3a)이 접촉되어 지지부(1a)의 전단에 나사맞춤되어 있는 비스(11)의 머리 부분으로 빠짐방지되고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되어 있다.
금속베어링은 합성수지 베어링이라도 좋다.
구동통축(4)의 기단의 앞측에 일체적으로 피니온(4a)이 형성되어, 피니온(4a)의 앞측에 연동톱니바퀴(12)와 역전방지클릭차(13)가 회전방지 끼워맞춤되고 그 앞측에 후방부베어링(3)의 내륜(3c)이 맞닿음 접촉되어 있다.
구동통축(4)의 외주의 후방부베어링(3)의 내륜(3c)의 앞측에는 로터(5)의 중심통부(5a)가 회전방지 끼워맞춤되어 구동통축(4)의 전단에 나사맞춤된 너트(14)로 부착되고 내륜(3c)의 안쪽부(3d)는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되어 있다.
중심통부(5a)의 외주에 전방부베어링(9)의 안쪽부(9b)가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후방부베어링(3)의 외륜(3a)과 내륜(3c)의 사이에는 각각 구름 볼(16)이 넣어져 있다.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제4실시예로 로터(5)가 회전될때 구동통축(4)과 구동통축(4)에 회전방지 끼워맞춤된 로터(5)의 중심통부(5a)는 전방부베어링(9)과 후방부베어링(3)으로 지지되어 전방부베어링(9)의 외측부(9a)와 후방부베어링(3)의 외측부(3b)가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되어 내륜(3c)의 안쪽부(3d)는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되고, 또한 전방부베어링(9)은 안쪽부(9b)가 로터(5)의 중심통부(5a)의 외주에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부베어링(3)의 외륜(3a)과 내륜(3c)의 사이에 위상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고, 내륜과 외륜으로부터 구름 볼(16)이 받는 저항이 작고, 후방부베어링(3)의 회전이 가볍게 되어 로터(5)의 스무스한 회전성을 얻을 수 있고 로터(5)는 2개의 전방부베어링(9)과 후방부베어링(3)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줄(36)의 조출로 낚시줄안내부(A)의 라인 롤러(34)측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원활한 권취조작을 할 수 있다.
도 6로 부터 도 9는 제5실시예로 도 6은 낚시용 스피닝릴의 주요부단면측면도, 도 7은 낚시용 스피닝릴의 주요부 확대단면측면도, 도 8은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의 확대단면정면도, 도 9는 구름식 한방향클러치의 확대단면측면도이다.
도 6, 도 7 에서 낚시용 스피닝릴은, 릴본체(101)의 앞측의 지지부(101a)내에 소지름의 구름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전방부베어링(102)과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와 큰직경의 구름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후방부베어링(103)으로 구동통축(104)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전방부베어링(102)의 외륜(2a)의 외측부(102b)와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의 외프레임(105)의 외측부(105a)와 후방부베어링(103)의 외륜(103a)의 외측부(103b)가 지지부(101a)의 내주(101b)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더욱이 지지부(101a)의 후측의 맞닿음부(101c)에 후방부베어링(103)의 외륜(103a)이 접촉되어 지지부(101a)의 전단에 나사맞춤된 비스(110)의 머리 부분으로 전방부베어링(102)과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와 후방부베어링(103)이 빠짐방지되고 외측부(102b)와 외측부(103b)가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됨과 동시에, 외프레임(105)의 외측부(105a)가 지지부(101a)의 내주(101b)에 회전방지 끼워맞춤되어 있다.
구동통축(104)의 기단의 앞측에 일체적으로 톱니부(104a)와 맞닿음 부(104b)가 형성되고, 맞닿음부(104b)에 후방부베어링(103)의 내륜(103c)이 맞닿음 접촉되어 있다.
구동통축(104)의 외주의 후방부베어링(103)의 내륜(103c)의 앞측에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의 내륜(111)과 로터(106)의 중심통부(106a)가 끼워맞춤되어, 내륜(111)과 중심통부(106a)가 회전방지 끼워맞춤되어 구동통축(104)의 전단에 나사맞춤된 너트(112)로 부착되어 내륜(103c)의 안쪽부(103d)는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되어 있다.
중심통부(106a)의 외주에 전방부베어링(102)의 내륜(102c)의 안쪽부(102d)가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전방부베어링(102)의 외륜(102a)과 내륜(102c) 및 후방부베어링(103)의 외륜(103a)과 내륜(103c)의 사이에는 각각 구름 볼(113, 114)이 넣어져 있다.
소지름의 구름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전방부베어링(102)은 금속베어링이나 합성수지 베어링으로서도 좋다.
구동통축(104)의 기단의 앞측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톱니부(104a)에 구동톱니바퀴(107)가 맞물림되어 로터(106)는 핸들(115)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구동통축(104)의 중심구멍에는 선단에 스풀(116)이 부착된 스풀축(117)이 전후 왕복운동가능하게 미끄럼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스풀축(117)의 후단부에는 전후 왕복운동장치(B)의 미끄럼부재(118)가 비스(119)로 부착되어 있다.
구동톱니바퀴(107)의 회동축(107a)은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으로 축지지되어, 회동축(107a)의 중심다각형구멍에 핸들(115)이 고정된 핸들축(120)이 좌우교환이 자유롭게 삽입 끼워맞춤되어 있다.
릴본체(101)내에는 스풀축(117)과 평행하게 전후 왕복운동장치(B)의 트래버스캠축(121)이 앞측의 베어링(122)과 후측의 베어링(123, 124)으로 지지되어 릴본체(101)의 후측에 캡(125)이 부착되어 있다.
트래버스캠축(121)의 선단에는 소톱니 바퀴(126)가 회전방지 끼워맞춤되고 소톱니 바퀴(126)는 상기 톱니부(104a)에 맞물림되어 있다.
상기 트래버스캠축(121)에는 상기 미끄럼부재(118)가 끼워맞춤되어 미끄럼부재(118)에 설치한 걸어맞춤부재(127)의 클릭이 트래버스캠축(121)의 캠홈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는 도 8, 도 9와 같이 외프레임(105)과 내륜(111)과 내륜(111)의 외주에 있는 복수의 막대모양 구름부재(128)와 고리형상 유지부재(108)와 스프링(129)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리형상 유지부재(108)의 복수의 관통공에는 복수의 막대모양 구름부재(128)가 삽입되고 유지됨과 동시에 스프링(129)으로 억압 가압되어 있다.
더욱이 외프레임(105)의 내주면에는 막대모양 구름부재(128)의 자유회전역(α)과 막대모양 구름부재(128)가 접촉되고 회전이 저지되는 저지면(β)이 구성되어 있다.
외프레임(105)의 내주면에 스프링(129)의 돌기부가 걸어맞춤하는 클릭스톱용 오목부(105c, 105d)가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상 유지부재(108)의 1측에는 레버(108a)가 형성되어 레버(108a)는 외프레임(105)의 관통구멍(105b)과 지지부(10la)의 관통구멍(101d)에 삽입되고 지지부(101a)의 외측에 돌출되어 있다.
레버(108a)의 선단에는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부(108b)가 형성되어 있다.
릴본체(101)에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조작레버(130)의 앞측에 전환부재(131)가 부착되고 전환부재(131)에 고정된 핀으로 이루어지는 작동부(132)가 걸어맞춤부(108b)에 삽입되어 있다.
전환부재(131)에 고정된 핀(133)과 릴본체(101)에 고정된 핀(134)의 사이에 데드포인트 스프링(135)이 장설되어 있다.
릴본체(101)의 후측 외부에 돌출한 조작레버(130)에 조작손잡이(136)가 부착되어 있다.
로터(106)의 한쌍의 베일지지아암(106b, 106c)의 선단부외측에 한쪽의 베일지지부재(137)와 다른쪽의 베일지지부재(138)가 비스(139, 140)로 낚시줄 권취위치와 도시하지 않은 낚시줄 방출위치로 반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한쪽의 베일지지부재(137)에는 낚시줄안내부(C)의 롤러부착부(141)가 부착되어 라인 롤러(142)가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되어 있다. 다른쪽의 베일지지부재(138)와 롤러부착부(141)의 사이에 베일(143)이 부착되어 있다.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의 동작은 도 6, 도 8 에서 조작손잡이(136)와 조작레버(130)와 전환부재(131)가 회동조작되어 도 8의 실선의 위치에 회동되면, 고리형상 유지부재(108)의 레버(108a)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막대모양 구름부재(128)가 자유회전역(α)에 위치하여 쐐기작용하지 않은 비작동상태가 되기 때문에 로터(106)와 구동통축(104)의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조작손잡이(136)와 조작레버(130)와 전환부재(131)가 회동조작되어 도 8의 2점 쇄선의 위치에 회동되면, 고리형상 유지부재(108)의 레버(108a)가 반시계방향에 회동되어 막대모양 구름부재(128)가 접촉되어 회전이 저지되는 저지면(β)에 위치하여 쐐기작용하는 작동상태가 되기 때문에, 로터(106)와 구동통축(104)의 정회전으로서는 스프링(129)에 저항하여 막대모양 구름부재(128)가 시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므로 정회전이 가능하나 역회전으로 막대모양 구름부재(128)가 저지면(β)에 접촉하여 쐐기작용으로 역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 낚시용 스피닝릴의 동작은, 조작손잡이(136)와 조작레버(130)와 전환부재(131)와 고리형상 유지부재(108)가 회동조작되어 도 8에서 실선의 막대모양 구름부재(128)가 자유회전역(α)에서 쐐기작용하지 않은 비작동상태로, 낚시줄(144)이 스풀(116)에 감기는 방향으로 핸들(115)이 회전되면, 구동톱니 바퀴(107)가 회전되고 톱니부(104a)를 통해 구동통축(104)과 로터(106)가 정회전된다.
더욱이 소톱니바퀴(125)를 통해 트래버스캠축(121)이 연동회전되고 미끄럼부재(118)와 스풀축(117)과 스풀(116)이 전후로 왕복운동된다.
낚시줄(144)이 스풀(116)에 감길때는, 한쪽의 베일지지부재(137)에 설정된 낚시줄안내부(C)의 라인롤러(142)로 낚시줄(144)이 안내되고 전후로 왕복운동되는 스풀(116)에 평행하게 감긴다.
로터(106)의 역회전이 방지될 때는 조작손잡이(136)와 조작레버(130)가 그리고 전환부재(131)와 고리형상 유지부재(108)가 회동조작되어 도 8 에서 2점쇄선의 막대모양 구름부재(128)가 접촉되어 회전이 저지되는 저지면(β)에 위치하여 쐐기작용하는 작동상태로 전환된다.
포획물의 당김으로 낚시줄(144)이 풀어 내여지고 로터(106)가 반시계방향에역회전되면, 구동통축(104)과 로터(106)가 역회전된다. 그러나, 막대모양 구름부재(128)가 접촉되어 회전이 저지되는 저지면(β)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쐐기작용으로 역회전이 저지된다.
더욱이 이때, 막대모양 구름부재(128)의 쐐기작용에 의한 역전시의 유극이 적으므로 지극히 신속히 로터(106)의 역회전이 정지된다.
로터(106)가 회전될때 구동통축(104)과 구동통축(104)에 회전방지 끼워맞춤된 로터(106)의 중심통부(106a)는 전방부베어링(102)과 후방부베어링(103)으로 지지되어,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가 전방부베어링(102)과 후방부베어링(103)의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실제 낚시할때의 권취시 또는 역전시에 로터(106)를 통해 구동통축(104)에 작용하는 불규칙한 비트는 힘이 경감되어 구동통축(104)의 지지 및 설치 정밀도가 안정 향상되고 동시에 내구성이 개선되어, 구동통축(104)의 지지 및 설치 정밀도가 안정 향상하고 불규칙한 비트는 힘이 경감됨으로써, 구름식의 한방향 클러치(A)의 쐐기작용에 의한 고정밀도의 역전방지기능을 안정되고 유지발휘할 수 있다.
구동통축(104)을 전방부베어링(102)과 후방부베어링(103)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함과 동시에, 스풀축(117)을 전후 왕복운동장치(B)의 트래버스캠축(121)은 릴본체(101)내의 앞측의 베어링(122)과 후측의 베어링(123, 124)으로 지지되어 트래버스캠축(121)의 선단에 회전방지 끼워맞춤된 소톱니 바퀴(126)가 구동통축(104)의 톱니부(104a)에 맞물림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구동통축(104)의 기단을 지지하는 릴본체(101)내의 베어링부를 불필요로 하여, 전후 왕복운동장치(B)의 미끄럼부재(118)를 핸들축(120)상의 구동톱니바퀴(107)에 맞물림하는 상기 구동통축(104)의 톱니부(104a) 근처까지 근접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구름식 한방향클러치(A)의 구름부재(128)를 유지하는 고리형상 유지부재(108)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여 고리형상 유지부재(108)에 설치한 걸어맞춤부(108b)에 릴본체(101)에 지지한 전환부재(131)의 작동부(132)를 걸어맞춤시켜, 구름식 한방향클러치(A)를 쐐기작용하는 작동상태와 쐐기작용하지 않은 비작동상태로 전환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막대모양 구름부재(128)의 쐐기작용에 의한 역전시의 유극이 더욱이 적어지므로 지극히 신속히 로터(106)의 역회전이 정지된다.
더욱이 로터(106)가 회전될때, 구동통축(104)과 구동통축(104)에 회전방지 끼워맞춤된 로터(106)의 중심통부(106a)는 전방부베어링(102)과 후방부베어링(103)으로 지지되어, 전방부베어링(102)의 외측부(102b)와 후방부베어링(103)의 외측부(103b)가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되어 내륜(103c)의 안쪽부(103d)는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되고, 또한 전방부베어링(102)은 내륜(102c)의 안쪽부(102d)가 로터(106)의 중심통부(106a)의 외주에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있기때문에 전방부베어링(102)의 외륜(102a)과 내륜(102c) 및 후방부베어링(103)의 외륜(103a)과 내륜(103c)의 사이에 위상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고, 각각 내륜과 외륜으로부터 구름 볼(113, 114)이 받는 저항이 작고, 전방부베어링(102)과 후방부베어링(103)의 회전이 가볍게 되어 로터(106)의 스무스한 회전성을 얻을 수 있고, 로터(106)는 2개의 전방부베어링(102)과 후방부베어링(103)으로 지지되어 있기때문에낚시줄(144)의 조출로 낚시줄안내부(C)의 라인 롤러(142)측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원활한 권취조작할 수 있다.
낚시용 스피닝릴이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구동통축(104)과 구동통축(104)에 회전방지 끼워맞춤된 로터(106)의 중심통부(106a)는 전방부베어링(102)과 후방부베어링(103)으로 지지되어,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가 전방부베어링(102)과 후방부베어링(103)의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에 실제 낚시할때의 권취시 또는 역전시에 로터(106)를 통해 구동통축(104)에 작용하는 불규칙한 비트는 힘이 경감되어, 구동통축(104)의 지지 및 설치 정밀도가 안정 향상됨과 동시에 내구성이 개선되고,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의 쐐기작용에 의한 고정밀도의 역전방지기능을 안정되고 유지발휘할 수 있다.
더욱이 구름식 한방향클러치(A)의 구름부재(128)를 조작손잡이(136)와 조작레버(130)와 전환부재(131)와 고리형상 유지부재(108)의 회동조작으로 쐐기작용하는 작동상태와 쐐기작용하지 않은 비작동상태로 전환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막대모양 구름부재(128)의 쐐기작용에 의한 역전시의 유극이 더욱이 적어지므로 지극히 신속히 로터(106)의 역회전이 정지된다.
또한, 구동통축(104)을 전방부베어링(102)과 후방부베어링(103)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함과 동시에, 전후 왕복운동장치(B)의 미끄럼부재(118)를 핸들축(120)상의 구동톱니 바퀴(107)에 맞물리는 상기 구동통축(104)의 톱니부(104a)근처까지 근접가능하게 할수 있기 때문에 구름식 한방향클러치(A) 에 의한 고정밀도의 역전방지기능의 유지를 꾀하면서 릴전체를 소형 컴팩트화할 수 있다.
도 10은 제6실시예로, 도 10은 낚시용 스피닝 릴의 주요부 확대단면측면도이다.
제6실시예로 낚시용 스피닝릴은 릴본체(101)의 앞측의 지지부(101a)내에 구름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전방부베어링(102)과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와 구름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후방부베어링(103')으로 구동통축(104)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전방부베어링(102)의 외륜(102a)의 외측부(102b)와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의 외프레임(105)의 외측부(105a)와 후방부베어링(103')의 외륜(103a)의 외측부(103b)가 지지부(101a)의 내주(10lb)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더욱이 지지부(10la)의 후측의 맞닿음 부(101c)에 후방부베어링(103')의 외륜(103a)이 접촉되어 지지부(101a)의 전단에 나사맞춤되어서 비스(110)의 머리 부분으로 전방부베어링(102)과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와 후방부베어링(103')이 빠짐방지되어 외측부(102b)와 외측부(103b)가 축방향으로 협착 지지됨과 동시에 외프레임(105)의 외측부(105a)가 지지부(10la)의 내주(10lb)에 회전방지 끼워맞춤되어 있다.
구동통축(104)의 기단의 앞측에 일체적으로 톱니부(104a)와 맞닿음 부(104b)가 형성되고, 맞닿음부(104b)에 후방부베어링(103')의 내륜(103c)이 맞닿음 접촉되어 있다. 구동통축(104)의 외주에는 후방부베어링(103')의 내륜(103c)이 끼워맞춤됨과 동시에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의 긴 내륜(145)과 로터(106)의 짧은 중심통부(106d)가 회전방지 끼워맞춤되어 구동통축(104)의 전단에 나사맞춤된 너트(112)로 부착되어 내륜(103c)의 안쪽부(103d)는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되어 있다.
구동통축(104)의 외주의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의 긴 내륜(145)의 외주에 전방부베어링(102)의 내륜(102c)의 안쪽부(102d)가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내륜(145)의 외부지름은 중심통부(106d)의 외부지름보다 얼마쯤 큰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제5실시예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도 11은 제7실시예로, 도 11은 낚시용 스피닝릴의 주요부 확대단면측면도이다.
제7실시예로 낚시용 스피닝릴은, 릴본체(101)의 앞측의 지지부(101a)내에 큰직경의 구름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전방부베어링(102')과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와 소지름의 구름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후방부베어링(103")으로 구동통축(104)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전방부베어링(102')의 외륜(102a)의 외측부(102b)와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의 외프레임(105)의 외측부(105a)와 후방부베어링(103")의 외륜(103a)의 외측부(103b)가 지지부(101a)의 내주(10lb)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더욱이 지지부(101a)의 후측의 맞닿음부(10lc)에 후방부베어링(103")의 외륜(103a)이 접촉되어 지지부(101a)의 전단에 나사맞춤된 비스(110)의 머리 부분으로 전방부베어링(102')과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와 후방부베어링(103")이 빠짐방지되고 외측부(102b)와 외측부(103b)가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됨과 동시에 외프레임(105)의 외측부(105a)가 지지부(101a)의 내주(10lb)에 회전방지 끼워맞춤되어 있다.
구동통축(104)의 기단의 앞측에 일체적으로 톱니부(104a)와 맞닿음 부(104b)가 형성되고, 맞닿음 부(104b)에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의 긴 내륜(145)이 맞닿음 접촉되어 있다.
맞닿음부(104b)의 외부 지름은 긴 내륜(145)의 외부 지름보다 다소 소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동통축(104)의 외주에는 전방부베어링(102')의 내륜(102c)의 안쪽부(102d)가 끼워맞춤됨과 동시에,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의 긴 내륜(145)과 로터(106)의 짧은 중심통부(106d)가 회전방지 끼워맞춤되어 구동통축(104)의 전단에 나사맞춤된 너트(112)로 부착되고, 내륜(102c)의 안쪽부(102d)는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되어 있다.
구동통축(104)의 외주의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의 긴 내륜(145)의 외주에 후방부베어링(103")의 내륜(103c)이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소지름의 구름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후방부베어링(103")은 금속베어링이나 합성수지 베어링으로서도 좋다. 다른 구성은 제5실시예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도 12는 제8실시예로, 도 12는 낚시용 스피닝릴의 주요부 확대단면측면도이다.
제8실시예로 낚시용 스피닝릴은, 릴본체(101)의 앞측의 지지부(101a)내에 큰직경의 구름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전방부베어링(102')과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와 큰직경의 구름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후방부베어링(103)으로 구동통축(104)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전방부베어링(102')의 외륜(102a)의 외측부(102b)와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의 외프레임(105)의 외측부(105a)와 후방부베어링(103)의 외륜(103a)의 외측부(103b)가 지지부(101a)의 내주(10lb)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더욱이 지지부(101a)의 후측의 맞닿음 부(101c)에 후방부베어링(103)의 외륜(103a)이 접촉되어 지지부(101a)의 전단에 나사맞춤된 비스(110)의 머리 부분으로 전방부베어링(102')과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와 후방부베어링(103)이 빠짐 방지되고 외측부(102b)와 외측부(103b)가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됨과 동시에 외프레임(105)의 외측부(105a)가 지지부(10la)의 내주(101b)에 회전방지 끼워맞춤되어 있다.
구동통축(104)의 기단의 앞측에 일체적으로 톱니부(104a)와 맞닿음 부(104b)가 형성되고, 맞닿음부(104b)에 후방부 베어링(103)의 내륜(103c)이 맞닿음 접촉되어 있다.
구동통축(104)의 외주에는 전방부베어링(102')의 내륜(102c)의 안쪽부(102d)와 후방부베어링(103)의 내륜(103c)의 안쪽부(103d)가 끼워맞춤됨과 동시에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A)의 내륜(111)과 로터(106)의 짧은 중심통부(106d)가 회전방지 끼워맞춤되어, 구동통축(104)의 전단에 나사맞춤된 너트(112)로 부착되어 내륜(102c)의 안쪽부(102d)와 내륜(103c)의 안쪽부(103d)는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제5실시예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도 13은 본발명의 제9 실시예를 개시하는 것으로, 릴본체(201)의 한쪽의 측면측에 돌출한 권취구동기구의 구동축에는 핸들본체(202)가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핸들본체(202)는, 릴본체(201)에 내장되고 있는 권취구동기구의 구동축(211)에의 부착부인 연결부(220)와, 그 연결부(220)로부터 연재하는 아암부(221a, 221b)로 구성되어 있는 소위 더블핸들형식이고 이 아암부(221a, 221b)의 단부에는 낚시하는 사람이 핸들조작을 행하기 위한 핸들손잡이(223a, 223b)가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아암부(221a, 221b)에는 각각 연결부(220)로부터 단부에 향하여 가늘고 긴 형상의 관통공간부(224a, 224b)가 펀칭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간부(224a, 224b)를 형성함에 의해 경량화되어 관성모멘트를 절감시킬 수 있다.
아암부(221a, 221b)는 평판모양이더라도 또한,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꺼운 부분의 단면이 U 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강도의 유지를 꾀하면서 보다 중량을 경량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9 실시예에 있어서는, 관통공간부(224a, 224b)를 각각 연결부(220)로부터 핸들손잡이(223a, 223b)가 설치되어 있는 단부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각각 긴 구멍형상으로 한 개씩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발명의 도 16에 있어서의 제10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각의 아암부(231a, 231b)에 형성된 관통공간부(234a, 234b, 235a, 235b)를 길이방향으로 2분할한 것이다. 또, 본발명에 있어서는 각 아암부(221a, 221b)에 형성하는 관통공간부를 복수로 하여 이 복수를 대략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는 도 17의 제11 실시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소의 원형형상의 관통공간부(244a∼244e, 245a∼245e)를 일렬에 배치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원형형상의 관통공간부를 2열이상으로 배치하여 놓더라도 좋고 또한, 열방향으로 배치가 아니고, 점으로 배치하더라도 좋다. 더욱이 관통공간부는 진원형형상일 필요는 없고, 타원형상이더라도 구형형상이더라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제9실시형태예로 도시된 것 같은 직선형상의 것과 맞출 수 있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아암부를 평판모양으로서 이것에 관통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아암부를 2개의 로드형상으로 하고 적당의 장소에 바아를 설치하여 놓는 것 같은 형식의 것이더라도 좋다. 즉, 이 바아의 부분에 구동축의 연결부를 형성하여 두고 단부의 바아의 부분에 핸들손잡이를 설치하여 둔다. 그 밖의 부분에도 보강용의 대들보를 설치하여 놓으면 강도가 향상한다.
또, 본발명은 스피닝릴을 전제로서 발명된 것이지만, 각 실시형태예에 도시된 것 같은 구조는 양베어링형 릴의 핸들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의 청구항 1 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전방부베어링의 외측부와 후방부베어링의 외측부가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되고 한쪽의 구름베어링의 내륜은 축방향으로 협착지지되어, 또한 다른쪽의 베어링의 안쪽부를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하였기 때문에 베어링의 외륜과 내륜의 사이에 위상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고, 회전저항이 작아져 베어링의 회전이 가볍게 되어 로터의 스무스한 회전성을 얻을 수 있고, 로터는 2개의 베어링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줄(36)의 조출로 낚시줄안내부측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원활한 권취조작을 할 수 있는 등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낚시용 스피닝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바와같이 청구항 2 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로터는 전방부베어링과 후방부베어링으로 지지되어,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가 전방부베어링과 후방부베어링의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로터를 통해 구동통축에 작용하는 불규칙한 비트는 힘이 경감되어 구동통축의 지지 및 설치 정밀도가 안정 향상됨과 동시에 내구성이 개선되어 구름식의 한방향클러치의 쐐기 작용에 의한 고정밀도의 역전방지기능을 안정되게 유지발휘할 수 있다.
청구항 3 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구동통축을 전방부베어링과 후방부베어링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였기 때문에 전후 왕복운동장치의 미끄럼부재를 구동통축의 톱니부근처까지 근접가능하게 할 수 있고 구름식 한방향클러치에 의한 고정밀도의 역전방지기능의 유지를 꾀하면서 릴전체를 소형 컴팩트화할 수 있다.
청구항 4 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구름식 한방향클러치의 구름부재를 쐐기작용하는 작동상태와 쐐기작용하지 않은 비작동상태로 전환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막대모양 구름부재의 쐐기작용에 의한 역전시의 유극이 더욱이 적어지므로 지극히신속히 로터의 역회전이 정지된다.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낚시용 스피닝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의 청구항 5 에 의하면, 더블핸들식의 낚시용릴에서도 핸들 본체의 아암부에 관통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만큼 중량이 경감할 수 있고 관성모멘트를 절감시키는 수 있고 권취조작시의 핸들의 오버런에 의한 과도한 감기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릴을 낚시대에 설치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핸들장착측의 중량편위가 적어져 권취조작성이 향상한다.
또한, 청구항 6 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덧붙여 낚시줄 방출시의 베일 오복귀도 방지할 수 있고 낚시조작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더욱이, 청구항 7 의 발명에 의하면, 핸들본체의 아암부의 강도를 한층더 꾀할 수 있다.

Claims (7)

  1. 핸들로 연동회전하여 내부에 스풀축이 끼워 넣음되는 구동통축을 릴본체의 앞측에 형성한 지지부내의 전방부베어링과 후방부베어링을 통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여 그 구동통축에 상기 스풀축의 전방부에 설치한 스풀에 낚시줄을 두루 감는 낚시줄안내부를 가지는 로터를 부착시킨 낚시용 스피닝릴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 및 후방부베어링의 적어도 한쪽을 구름베어링으로 형성하고 그 전·후방부의 양베어링의 외측부를 릴본체지지부에 축방향으로 협착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전·후방부의 양베어링의 어느 한쪽의 구름베어링의 내륜을 상기 구동통축에 축방향으로 협착지지하여 다른쪽의 베어링의 안쪽부를 상기 구동통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릴.
  2. 핸들로 연동회전하여 내부에 스풀축이 끼워 넣음되는 구동통축을 릴본체의 앞측에 형성한 지지부내의 베어링을 통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여, 그 베어링의 후측에 구름식 한방향클러치를 설치하여 그 구동통축의 한방향의 회전을 허용하고, 다른 방향의 회전을 저지하여, 상기 구동통축에 상기 스풀축의 전방부에 설치한 스풀에 낚시줄을 두루 감는 낚시줄안내부를 가지는 로터를 부착시킨 낚시용 스피닝릴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을 전방부와 후방부의 베어링으로 하여, 그 전방부베어링과 후방부베어링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릴본체와 구동통축 사이에 한방향의 회전을 허용하고 다른방향의 회전을 저지하는 구름식 한방향클러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통축을 전방부베어링과 후방부베어링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스풀축을 전후 왕복운동장치의 미끄럼부재를 핸들축상의 구동톱니 바퀴에 맞물리는 상기 구동통축의 톱니부근처까지 근접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식 한방향클러치의 구름부재를 유지하는 고리형상 유지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여 그 유지부재에 설치한 걸어맞춤부에 릴본체에 지지한 전환부재의 작동부를 걸어맞춤시켜 상기 구름식 한방향클러치를 쐐기작용하는 작동상태와 쐐기작용하지 않은 비작동상태로 전환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릴.
  5. 단부에 핸들손잡이가 부착된 한쌍의 아암부를 가지는 핸들본체의 중앙부를 구동축과의 연결부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릴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아암부의 각각에 관통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 연동회전하는 로터에 베일을 가지는 베일지지부재를 낚시줄 권취상태와 낚시줄방출상태로 반전이 자유롭게 지지하여 되는 릴본체의 구동권취기구에 상기 핸들의 구동축연결부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의 단면형상을 대략 U 자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릴.
KR1019970002209A 1996-02-07 1997-01-27 낚시용스피닝릴 KR1004305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4535996A JP3238623B2 (ja) 1996-02-07 1996-02-07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96-45359 1996-02-07
JP96-46753 1996-02-08
JP04675396A JP3315855B2 (ja) 1996-02-08 1996-02-08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1996001675U JP3030528U (ja) 1996-02-19 1996-02-19 魚釣用リール
JP96-1675 1996-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067A KR970061067A (ko) 1997-09-12
KR100430521B1 true KR100430521B1 (ko) 2004-08-31

Family

ID=2727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2209A KR100430521B1 (ko) 1996-02-07 1997-01-27 낚시용스피닝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5871165A (ko)
EP (1) EP0788739B1 (ko)
KR (1) KR100430521B1 (ko)
DE (1) DE6971548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40425B (en) * 1999-07-14 2001-06-16 Shimano Kk Rotor drive for spinning reel and spinning reel
US6457661B1 (en) * 2000-06-14 2002-10-01 Pacp, Inc. Fishing reel with faster spool oscillation
KR100383660B1 (ko) 2000-12-20 2003-05-12 이필균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
JP2003225038A (ja) * 2002-02-04 2003-08-1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3983151B2 (ja) * 2002-09-25 2007-09-2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20070267529A1 (en) * 2006-04-12 2007-11-22 Pure Fishing, Inc. Clutch Assembly For A Fishing Reel
JP5205121B2 (ja) * 2008-04-30 2013-06-0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US9578860B2 (en) 2013-08-23 2017-02-28 Allen Fly Fishing Llc Fly reel with ratcheting dra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35970A (en) * 1931-10-19 1933-11-21 Philip A Wooster Indicating means
US3144217A (en) * 1957-08-12 1964-08-11 Jr Garfield A Wood Fishing reel
US4199118A (en) * 1979-01-10 1980-04-22 The Black Clawson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braking system for an unwinder
US4427162A (en) * 1981-01-31 1984-01-24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Fishing reel
JPH0618459Y2 (ja) * 1986-07-21 1994-05-18 リョービ株式会社 スピニングリール
JPH0753496Y2 (ja) * 1986-07-21 1995-12-13 リョービ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軸受機構
JPH0415016Y2 (ko) * 1986-09-30 1992-04-03
JPS6438964U (ko) 1987-08-28 1989-03-08
US4848698A (en) * 1988-06-02 1989-07-18 Newell Research Corporation Method for writing and means for reading position-indicating markers on tape
US5273234A (en) * 1989-06-16 1993-12-28 Shimano, Inc. Spinning reel with spool shaft and slider
US5570851A (en) * 1990-02-02 1996-11-05 Daiwa Seiko, Inc. Reverse rotation preventing mechanism in spinning reel for fishing
JPH0494969A (ja) * 1990-08-13 1992-03-27 Ricoh Co Ltd 熱転写記録媒体
US5350130A (en) * 1991-10-15 1994-09-27 Shimano Inc. Spinning reel with removable cover
US5547140A (en) * 1992-05-13 1996-08-20 Shimano, Inc. Spinning reel having an anti-reverse mechanism
JPH063079U (ja) * 1992-06-19 1994-01-1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3084145B2 (ja) * 1992-07-20 2000-09-04 トキコ株式会社 往復動圧縮機
JP2583835Y2 (ja) * 1992-11-25 1998-10-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乗員保護装置用センサ
JP2544753Y2 (ja) * 1992-11-30 1997-08-20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US5364194A (en) * 1993-01-04 1994-11-15 Ampex Systems Corporation Axially displaced flexural bearing support
US5308172A (en) * 1993-07-19 1994-05-03 General Electric Company Bearing assembly
JP3337603B2 (ja) * 1996-03-13 2002-10-2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15485T2 (de) 2003-01-16
DE69715485D1 (de) 2002-10-24
EP0788739A3 (en) 1998-08-19
EP0788739B1 (en) 2002-09-18
US6073870A (en) 2000-06-13
EP0788739A2 (en) 1997-08-13
KR970061067A (ko) 1997-09-12
US5871165A (en) 1999-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0521B1 (ko) 낚시용스피닝릴
KR101201670B1 (ko) 스피닝 릴
KR20090025152A (ko) 롤러 클러치
TWI272903B (en) Reciprocating device for spinning reel
US5494232A (en) Reversal preventive device
US5927630A (en) Fishing reel
EP0054425B1 (en) Fishing reel
US20030075631A1 (en) Fishing reel
JP2530523Y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339223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KR100332053B1 (ko)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
KR101031523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GB2260679A (en) Oscillating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US5564639A (en) Slide mechanism for spinning reels used in fishing
US6199783B1 (en) Spinning reel for fishing having spool support structure
US5931398A (en) Long stroke spinning reels
KR0153357B1 (ko) 롱스트로크 스피닝릴
JP3355063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3860051B2 (ja)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JP3502276B2 (ja) 魚釣用リ−ル
JP3315855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S621906Y2 (ko)
JP2002176887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209665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CN116195560A (zh) 钓鱼用旋压式卷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