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3660B1 -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 - Google Patents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3660B1
KR100383660B1 KR10-2000-0079198A KR20000079198A KR100383660B1 KR 100383660 B1 KR100383660 B1 KR 100383660B1 KR 20000079198 A KR20000079198 A KR 20000079198A KR 100383660 B1 KR100383660 B1 KR 100383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leeve
outer ring
handle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5091A (ko
Inventor
정대현
Original Assignee
이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필균 filed Critical 이필균
Priority to KR10-2000-0079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3660B1/ko
Priority to JP2001032944A priority patent/JP2002209485A/ja
Publication of KR20010035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5091A/ko
Priority to US09/859,445 priority patent/US6481656B2/en
Priority to DE10158089A priority patent/DE10158089B4/de
Priority to CNB011433507A priority patent/CN1167337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6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7Anti-revers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용 릴에 설치되어 핸들의 양방향 또는 일방향 회전을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들의 역방향 회전시 외륜의 경사면에 쐐기식으로 박히게 되는 롤러를 자성을 가지는 롤러지지체의 일측에 부착되어 지지되도록 하고, 롤러지지체의 타측은 롤러와 간극을 두고 이격되는 비자성체로 형성함으로서, 핸들의 회전저항을 극소화 시킴과 동시에 핸들의 역회전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는, 바닥면이 개구된 몸체의 내측에는 끼움돌부(23)와 수납부(24)가 형성되고, 몸체의 바닥부 일측에는 레버돌출공(26)과 레버암(22)이 형성되며, 몸체의 외측에는 체결부(21)와 축공부(25)가 형성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끼움돌부(23)에 끼워지는 원형의 몸체에 오목부(31)와 경사면(32)이 연이어 형성된 외륜(30)과, 상기 외륜(30)의 내주면으로 삽입되어 외륜(30)의 경사면(32)과 슬리브(11)의 외주면 사이에서 쐐기식으로 박히게 되는 롤러(40)와, 상기 하우징(20)의 개구된 바닥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부커버(60)와, 상기의 롤러(40)를 지지한 상태로 외륜(30)의 내주면으로 삽입되는 롤러지지체(51)가 축공(50a)의 주변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조정레버(52)가 형성된 롤러홀더(50)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롤러홀더(50)의 롤러지지체(51)는 슬리브의 역회전 방향과 마주보는 측에 형성된자성체부(51a)와 슬리브의 정회전 방향과 마주보는 측에 형성된 비자성체부(51b)로 나뉘어 형성되며, 상기 롤러지지체(51)의 사이에 삽입되는 롤러(40)는 비자성체부(51b)와 소정의 간극으로 이격되도록 자성체부(51a)에 부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A reverse circulation preventive device of a spinning reel for a fishing}
본 발명은 낚시용 릴에 설치되어 핸들의 양방향 또는 일방향 회전을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들의 역방향 회전시 외륜의 경사면에 쐐기식으로 박히게 되는 롤러를 자성을 가지는 롤러지지체의 일측에 부착되어 지지되도록 하고, 롤러지지체의 타측은 롤러와 간극을 두고 이격되는 비자성체로 형성함으로서, 핸들의 회전저항을 극소화 시킴과 동시에 핸들의 역회전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스피닝 릴에는 역회전 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핸들의 양방향 회전과 일방향 회전을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역회전 방지구가 릴 본체와 로터의 사이에서 주축상에 설치되어, 낚시바늘에 미끼를 끼우거나 미끼를 끼운 낚시채비를 원거리로 투척하기 위하여 낚시줄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스풀에 낚시줄이 감기는 방향(이하 "정방향"이라 한다)과 스풀로부터 낚시줄이 풀리는 방향(이하 "역방향"이라 한다)으로 핸들을 동시에 조작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낚시채비를 투척한 후에는 핸들의 정방향 회전만을 가능하도록 조작하므로서, 낚시줄에 적절한 텐션(Tension)을 가하여 물고기의 입질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고, 챔질을 할 경우에도 낚시줄이 스풀로부터 풀려나가지 않게 하여 보다 확실하게 낚시바늘에 물고기가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핸들의 양방향 또는 일방향 회전을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종래의 역회전 방지구로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장치(등록번호 20-0153576)에 기재되어 있는 역회전 방지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니들롤러(5d)가 탄성지지체(5c)에 의하여 지지되는 니들롤러 수용부(5b)를 원통형상으로 되는 내륜(5a)의 원주면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시킨 내륜체(5)와, 전기한 내륜체(1)가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몸체 내부에 니들롤러(5d)가 내접하게 되는 오목부(6e)와 경사면(6f)이 형성되고, 몸체의 하측에는 환상돌출부(6c)에 의한 걸림홈(6b)이 형성된 역전방지체(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역회전 방지구의 작용관계를 도 3a 및 도 3b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역전방지체(6)의 걸림홈(6b)에 걸림구(12)가 걸리지 않은 오프(OFF)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핸들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주축(10)에 삽입된 슬리브(11)가 도면상에서 우회전 또는 좌회전하게 되는 데, 슬리브(11)의 우회전시에는 내륜체(5)가 슬리브(11)와 함께 우회전하여 내륜체(5)의 니들롤러(5d)가 역전방지체(6)의 오목부(6e)에 걸리게 됨으로서, 내륜체(5)와 역전방지체(6)가 슬리브(11)와 함께 우회전하게 되며, 슬리브(11)의 좌회전시에는 내륜체(5)가 슬리브(11)와 함께 좌회전하여 내륜체(5)의 니들롤러(5d)가 슬리브(11)의외주면과 역전방지체(6)의 경사면(6f)사이에서 쐐기식으로 박히게 됨으로서, 내륜체(5)와 역전방지체(6)가 슬리브(11)와 함께 좌회전하게 되어 핸들의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역전방지체(6)의 걸림홈(6b)에 걸림구(12)가 걸린 온(ON)상태가 되면, 도시되지 않은 핸들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리브(11)가 도면상에서 우회전하게 되고, 내륜체(5)가 슬리브(11)와 함께 우회전하여 내륜체(5)의 니들롤러(5d)가 역전방지체(6)의 오목부(6e)에 걸리게 되는 데, 역전방지체(6) 자체는 걸림홈(6b)에 걸림구(12)가 걸려 있으므로 회전이 불가능하지만, 니들롤러(5d)는 역전방지체(6)의 오목부(6e)에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한 상태로 탄성지지체(5c)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서, 슬리브(11)의 우회전에 따라 각각의 니들롤러(5d)가 오목부(6e)의 여유공간측으로 밀리게 되어 핸들의 정방향 회전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역회전 방지구의 온(ON)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핸들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륜체(5)가 슬리브(11)와 함께 좌회전하여 내륜체(5)의 니들롤러(5d)가 슬리브(11)의 외주면과 역전방지체(6)의 경사면(6f)사이에서 쐐기식으로 박히게 되는 데, 이 경우에는 역전방지체(6) 자체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슬리브(11)의 회전공간 또한 확보되지 않게 됨으로서, 슬리브(11)의 좌회전, 다시 말해서 핸들의 역방향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는 작용관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는 역회전 방지구의 주된 구성요소인 니들롤러(5d)가 판 스프링과 같은 탄성 지지체(5c)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탄성지지체(5c)의 탄성이 저하될 경우에는 탄성지지체(5c)가 니들롤러(5d)를 슬리브(11)의 외주면과 역전방지체(6)의 경사면(6f) 사이로 원활하게 밀어주지 못하게 됨과 동시에 슬리브(11)의 외주면과 역전방지체(6)의 경사면(6f) 사이로 니들롤러(5d)가 쐐기식으로 박히기 전에 슬리브(11)의 회전에 의하여 니들롤러(5d) 자체가 자전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역회전 방지구를 작동시킨 온(ON) 상태에서도 핸들이 역회전하게 되며, 니들롤러(5d)가 역전방지체(6)의 오목부(6e)에 위치할 경우에는 탄성지지체(5c)의 탄성 저하로 인하여 니들롤러(5d)가 니들롤러 수용부(5b)로부터 오목부(6e)측으로 이탈되어 핸들의 회전시 덜걱거림(단락)이 발생하는 등 핸들의 원할한 작동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역회전 방지구의 작동이 니들롤러(5d)를 지지하는 탄성지지체(5c)의 탄성력에 의하여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역회전 방지구의 전체적인 사용수명이 탄성지지체(5c)의 사용수명 정도로 짧아지게 되며, 탄성지지체(5c)가 내륜체(5)에 정확히 결합되지 못하거나, 니들롤러(5d)가 탄성지지체(5c)에 의하여 니들롤러 수용부(5b)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지 않을 경우에는 역회전 방지구의 작동시 고장이 자주 발생하고, 역회전 방지구의 제조 과정에서도 불량품이 다량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역회전 방지구의 오프(OFF)상태에서 핸들을 양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핸들의 회전에 의하여 내륜체(5)와 역전방지체(6)까지 슬리브(11)와 함께 회전하게 됨으로서 핸들의 회전시 회전저항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한 역전방지체(6)의 환상돌출부(6c)가 다소 큰 폭을 가지는 기어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역회전 방지구를 온(ON) 상태로 조작하더라도 역전방지체(6)의 걸림홈(6b)에 걸림구(12)가 바로 걸리지 않고 환상돌출부(6c)상에 놓이게 될 확률이 크게 되며, 이 경우에는 실질적인 역회전 방지구의 작동이 이루어지기까지 어느 정도의 역회전이 발생하는 회전갭이 생기게 된다.
상기와 같은 회전갭이 발생하게 되면, 낚시줄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하여 물고기의 입질을 정확히 감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역회전 방지구를 온(ON) 상태로 조작하고 난 이후에도 핸들을 조금씩 회전시켜 걸림구(12)가 역전방지체(6)의 걸림홈(6c)에 정확히 걸릴 수 있도록 조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핸들의 역방향 회전시 외륜의 경사면에 쐐기식으로 박히게 되는 롤러를 자성을 가지는 롤러지지체의 일측에서 지지되도록 하고, 롤러지지체의 타측은 롤러와 간극을 두고 이격되는 비자성체로 형성함으로서, 슬리브의 회전방향에 따라 롤러지지체의 사이에서 롤러가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 핸들의 회전저항을 극소화시킴과 동시에 핸들의 역회전시에는 롤러가 외륜의 경사면과 슬리브의 외주면 사이로 신속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핸들의 역회전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는, 바닥면이 개구된 몸체의 내측에는 끼움돌부와 수납부가 형성되고, 몸체의 바닥부 일측에는 레버돌출공과 레버암이 형성되며, 몸체의 외측에는 체결부와 축공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끼움돌부에 끼워지는 원형의 몸체에 오목부와 경사면이 연이어 형성된 외륜과, 상기 외륜의 내주면으로 삽입되어 외륜의 경사면과 슬리브의 외주면 사이에서 쐐기식으로 박히게 되는 롤러와,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바닥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부커버와, 상기의 롤러를 지지한 상태로 외륜의 내주면으로 삽입되는 롤러지지체가 축공의 주변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조정레버가 형성된 롤러홀더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롤러홀더의 롤러지지체는 슬리브의 역회전 방향과 마주보는 측에 형성된 자성체부와 슬리브의 정회전 방향과 마주보는 측에 형성된 비자성체부로 나뉘어 형성되며, 상기 롤러지지체의 사이에 삽입되는 롤러는 비자성체부와 소정의 간극으로 이격되도록 자성체부에 부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에 사용되는 롤러홀더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축 11 : 슬리브 17: 스풀축
20 : 하우징 21 : 체결부 22 : 레버암
23 : 끼움돌부 24 : 수납부 25 : 축공부
26 : 레버돌출공 30 : 외륜 31 : 오목부
32 : 경사면 33 : 끼움면 40 : 롤러
50 : 롤러홀더 51 : 롤러지지체 51a : 자성체부
51b : 비자성체부 52 : 조정레버 60 : 하부커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에 사용되는 롤러홀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1a는 체결공, 50a 및 60a는 축공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 역할을 하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의 바닥부에 삽입되는 하부커버(60)와, 하우징(6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외륜(30)과, 롤러(40)를 개재시킨 상태로 외륜(30)의 내주면으로 삽입되는 롤러지지체(51)가 형성된 롤러홀더(5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하우징(20)은 바닥면이 개구된 몸체의 내측에 외륜(30)이 끼워지는 끼움돌부(23)와 롤러홀더(50)가 위치하는 수납부(24)가 형성되고, 몸체의 바닥부 일측에는 롤러홀더(50)의 조정레버(52)가 돌출되어 일정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레버돌출공(26)과 레버암(22)이 형성되며, 몸체의 외주면에는 체결공(21a)을 통하여 하우징(20)을 릴 본체의 전방면에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부(21)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몸체의 상면 중앙에는 주축(10)이 관통하는 축공부(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외륜(30)은 하우징(20)의 끼움돌부(23)에 끼워지도록 고리형상의 몸체에 끼움면(33)이 형성되고, 몸체의 전체에 걸쳐 롤러(40)와 롤러지지체(51)가 내접하게 되는 오목부(31)와 경사면(32)이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롤러홀더(50)는 원판형상의 몸체 중앙에 슬리브(11)와 주축(10)이 삽입되는 축공(50a)이 형성되고, 상기 외륜(30)의 내주면으로 삽입되는 롤러지지체(51)가 축공(50a)의 주변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의 일측에는 하우징(20)의 레버돌출공(26)으로 돌출되는 조정레버(5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롤러홀더(50)의 롤러지지체(51)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리브(11)의 역회전 방향과 마주보는 측에 자성체가 착자(着磁)되어 형성된 자성체부(51a)와 슬리브(11)의 정회전 방향과 마주보는 측에 형성된 비자성체부(51b)로 나뉘어 형성되어 있으며, 전기한 롤러지지체(51)의 사이에 삽입되어 외륜(30)의 내주면과 슬리브(11)의 외주면에 접촉하게 되는 상기의 롤러(40)는 비자성체부(51b)와 소정의 간극으로 이격되도록 자성체부(51a)에 부착되어 지지되고, 각각의 롤러지지체(51)는 롤러(40)를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양측면이 원호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하부커버(60)는 하우징(20)의 개구된 바닥부로 삽입되어 하우징(20)과 일체로 결합되는 원판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몸체의 중앙에는 슬리브(11)와 주축(10)이 삽입되는 축공(60a)이 형성되고, 롤러홀더(50)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몸체의 외주면이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역회전 방지구의 조립 및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하우징(20)의 끼움돌부(23)에 외륜(30)의 끼움면(33)을 맞추어 끼우고, 롤러홀더(50)의 롤러지지체(51) 사이에 롤러(40)를 삽입하여 자성체부(51a)의 자력에 의하여 롤러(40)가 지지되도록 한 다음, 롤러(40)와 롤러지지체(51)가 외륜(30)의 내주면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조정레버(52)가 하우징(20)의 레버돌출공(26)을 통하여 돌출되도록 롤러홀더(50)를 하우징(20)의 수납부(24)에 위치시키고, 하우징(20)의 개구된 바닥면을 통하여 하부커버(50)를 결합하게 되면 본 발명에 의한 역회전 방지구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에 의한 역회전 방지구를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축(10)상에 슬리브(11)를 개재시킨 상태로 릴 본체의 전방면으로 삽입시킨 다음, 하우징(20)에 형성된 체결부(21)의 체결공(21a)을 통하여 릴 본체의 전방면에 나사결합하고, 롤러홀더(50)의 조정레버(52)와 하우징(20)의 레버암(22) 사이에 스프링(70)을 개재시켜 도시되지 않은 역회전 레버의 절환조작에 의하여 조정레버(52)가 소정각도(롤러와 롤러지지체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역회전 방지구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 및 설치된 본 발명에 의한 역회전 방지구의 조정레버(52)가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역회전 레버의 절환조작에 따라 누름구(80)에 의하여 도면상에서 우측방향으로 밀려있는 오프(OFF) 상태가 되면, 롤러지지체(51)의 사이에서 자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롤러(40)가 외륜(30)의 오목부(31)에 위치하게 되는 데, 이 경우에는 슬리브(11)의 외주면과 외륜의(30)의 오목부(31) 사이에서 롤러(40)가 충분한 공간을 확보한 상태로 슬리브(11)와 외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오프(OFF)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핸들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핸들의 회전에 따라 주축(10)이 삽입된 슬리브(11)가 도면상에서 우회전 또는 좌회전하게 되는 데, 하우징(20)은 릴 본체의 전방면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되고, 외륜(30)은 하우징(20)의 끼움돌부(23)에 끼워져 고정되며, 롤러홀더(50)는 누름구(8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핸들의 회전에 의하여 주축(10)이 삽입된 슬리브(11)만이 회전하게 되며, 슬리브(11)의 회전에 따라 롤러(40)가 외륜(30)의 오목부(31)측 공간으로 용이하게 밀려날 수 있게 됨으로서, 슬리브(11)의 회전이 롤러(40)에 의하여 전혀 지장을 받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핸들의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역회전 레버의 절환조작에 따라 롤러홀더(50)의 조정레버(52)가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면상에서 소정각도로 좌회전하게 되면, 조정레버(52)가 롤러홀더(5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롤러홀더(50) 자체가 도면상에서 좌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롤러홀더(50)의 롤러지지체(51) 뿐만 아니라, 각각의 롤러지지체(51) 사이에서 지지되는 롤러(40) 또한 롤러홀더(50)와 함께 좌회전하게 되므로서, 도 6b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롤러(40)가 외륜(30)의 경사면(32)상에 위치하는 온(ON)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온(ON)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핸들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핸들의 회전에 따라 주축(10)이 삽입된 슬리브(11)가 도면상에서 우회전하게 되는 데, 하우징(20)은 릴 본체의 전방면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되고, 외륜(30)은 하우징(20)의 끼움돌부(23)에 끼워져 고정되며, 롤러홀더(50)는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핸들의 회전에 의하여 주축(10)이 삽입된 슬리브(11)만이 우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슬리브(11)가 우회전하게 되면, 슬리브(11)에 외접하는롤러(40)가 외륜(30)의 경사면(31)에서 오목부(32)측으로 밀리게 되는 데, 롤러(40)는 롤러지지체(51)의 비자성체부(51b)와 간극을 두고 자성체부(51a)에서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슬리브(11)의 우회전에 따라 롤러(40)가 외륜(30)의 경사면(32)에서 오목부(31)측으로 매우 용이하게 밀려날 수 있게 됨으로서, 슬리브(70)가 회전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 발생하게 되어 슬리브(70)의 우회전, 다시 말해서 핸들의 정방향 회전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온(ON)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핸들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핸들의 회전에 따라 주축(10)이 삽입된 슬리브(11)가 도면상에서 좌회전하게 되는 데, 이 경우에는 롤러(40)가 자력에 의하여 자성체부(51a)측으로 부착됨과 동시에 슬리브(11)의 외주면과 외륜(30)의 경사면(32) 사이에서 쐐기식으로 박히게 되어 슬리브(11)의 회전공간이 확보되지 않게 됨으로서, 슬리브(11)의 좌회전, 다시 말해서 핸들의 역방향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는 작용관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롤러홀더(50)의 롤러지지체(51)가 슬리브(11)의 역회전 방향과 마주보는 측에 형성된 자성체부(51a)와 슬리브(11)의 정회전 방향과 마주보는 측에 형성된 비자성체부(51b)로 나뉘어 형성되어 있으며, 전기한 롤러지지체(51)의 사이에 삽입되어 역회전 방지구의 온(ON), 오프(OFF) 작동에 주된 역할을 하는 롤러(40)는 비자성체부(51b)와 소정의 간극으로 이격되도록 자성체부(51a)에서 자력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서, 역회전 방지구의 온(ON) 상태에서 핸들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슬리브(11)의 회전에 따라 롤러(40)가 비자성체부(51b)와 형성된 간극으로 용이하게 밀려날 수 있게 되어 핸들의 회전시 발생하는 저항이 극소화 되며, 핸들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핸들의 회전방향이 변하는 시점과 동시에 롤러(40)가 자력에 의하여 자성체부(51a)측으로 신속히 복귀하여 슬리브(11)의 외주면과 외륜(30)의 경사면(32) 사이에 박히게 되므로 핸들의 역회전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와 같이 실질적인 역회전 방지구의 작동이 이루어지기까지 어느 정도의 역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갭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여 낚시줄의 텐션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고, 역회전 방지구를 온(ON) 상태로 조작시킨 이후에 실질적인 역회전 방지구의 작동을 위하여 핸들을 조금씩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러운 조작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역회전 방지구의 오프(OFF) 상태에서 핸들을 양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슬리브(11)의 회전에 따라 롤러(40)가 비자성체부(51b)와 형성된 간극을 통하여 외륜(30)의 오목부(31)측 공간으로 매우 용이하게 밀려날 수 있게 되어 핸들의 회전시 발생하는 저항이 극소화 되며, 핸들의 정지시에는 롤러(40)가 자력에 의하여 자성체부(51a)측으로 신속하게 복귀하여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롤러(40)가 롤러지지체(51)로부터 이탈되어 핸들의 회전시 덜걱거림(단락)이 발생하는 것과 같은 역회전 방지구의 고장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역회전 방지구의 주된 구성요소인 롤러(40)가 자성체부(51a)의 자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별도의 부품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서는 역회전 방지구의 전체적인 사용수명이 거의 반영구적으로 되며, 롤러(40)가 롤러지지체(51)의 사이에서 항상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에 역회전 방지구의 조립과정에서 롤러(40)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불량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는 핸들의 역방향 회전시 외륜의 경사면에 쐐기식으로 박히게 되는 롤러를 자성을 가지는 롤러지지체의 일측에서 지지되도록 하고, 롤러지지체의 타측은 롤러와 간극을 두고 이격되는 비자성체로 형성함으로서, 역회전 방지구의 온(ON) 상태에서 핸들의 정방향 회전시에 발생하는 저항을 극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핸들의 역방향 회전시에는 핸들의 회전방향이 변하는 시점에서 롤러가 자력에 의하여 외륜과 슬리브의 사이에 쐐기식으로 신속하게 박힐 수 있게 되어 핸들의 역회전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역회전 방지구의 오프(OFF) 상태에서 핸들을 양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 발생하는 회전저항 또한, 극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핸들의 정지시에는 롤러가 자력에 의하여 자성체부측으로 신속하게 복귀하여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핸들의 회전시 덜걱거림이 발생하는 것과 같은 역회전 방지구의 고장을 방지하고 전체적인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바닥면이 개구된 몸체의 내측에는 끼움돌부(23)와 수납부(24)가 형성되고, 몸체의 바닥부 일측에는 레버돌출공(26)과 레버암(22)이 형성되며, 몸체의 외측에는 체결부(21)와 축공부(25)가 형성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끼움돌부(23)에 끼워지는 원형의 몸체에 오목부(31)와 경사면(32)이 연이어 형성된 외륜(30)과,
    상기 외륜(30)의 내주면으로 삽입되어 외륜(30)의 경사면(32)과 슬리브(11)의 외주면 사이에서 쐐기식으로 박히게 되는 롤러(40)와,
    상기 하우징(20)의 개구된 바닥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부커버(60)와,
    상기의 롤러(40)를 지지한 상태로 외륜(30)의 내주면으로 삽입되는 롤러지지체(51)가 축공(50a)의 주변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조정레버(52)가 형성된 롤러홀더(50)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롤러홀더(50)의 롤러지지체(51)는 슬리브의 역회전 방향과 마주보는 측에 형성된 자성체부(51a)와 슬리브의 정회전 방향과 마주보는 측에 형성된 비자성체부(51b)로 나뉘어 형성되며,
    상기 롤러지지체(51)의 사이에 삽입되는 롤러(40)는 비자성체부(51b)와 소정의 간극으로 이격되도록 자성체부(51a)에 부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
KR10-2000-0079198A 2000-12-20 2000-12-20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 KR100383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198A KR100383660B1 (ko) 2000-12-20 2000-12-20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
JP2001032944A JP2002209485A (ja) 2000-12-20 2001-02-08 釣り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逆回転防止装置
US09/859,445 US6481656B2 (en) 2000-12-20 2001-05-18 Reverse rotation preventing apparatus for a spinning reel
DE10158089A DE10158089B4 (de) 2000-12-20 2001-11-27 Rückwärtsdreh-Verhinderungsvorrichtung für eine Angelrolle
CNB011433507A CN1167337C (zh) 2000-12-20 2001-12-20 绕线筒的防反转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198A KR100383660B1 (ko) 2000-12-20 2000-12-20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781U Division KR200227071Y1 (ko) 2000-12-20 2000-12-20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091A KR20010035091A (ko) 2001-05-07
KR100383660B1 true KR100383660B1 (ko) 2003-05-12

Family

ID=19703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198A KR100383660B1 (ko) 2000-12-20 2000-12-20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81656B2 (ko)
JP (1) JP2002209485A (ko)
KR (1) KR100383660B1 (ko)
CN (1) CN1167337C (ko)
DE (1) DE10158089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4579B2 (en) * 2002-02-13 2003-11-11 Eugene Hong Fishing reel rotor with one-way brake assembly
JP4300392B2 (ja) * 2002-06-27 2009-07-2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一方クラッチ
US7284745B2 (en) * 2003-02-18 2007-10-23 British Columbia Institute Of Technology Portable raising and lowering device and equipment therefor
CN100450333C (zh) * 2005-07-15 2009-01-07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磁吸式枢接定位结构
JP5030488B2 (ja) * 2006-06-30 2012-09-19 Ntn株式会社 一方向クラッチユニット
JP2009159850A (ja) * 2007-12-28 2009-07-23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MX2010002057A (es) * 2010-02-22 2011-08-31 Luis Gerardo Oyervides Ochoa Llave de rodillos auto-ajustabl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786A (ko) * 1994-03-14 1995-12-18 모리 히데따로 낚시용 릴의 역전 방지 장치
JPH08336348A (ja) * 1996-06-20 1996-12-24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JP2000116289A (ja) * 1998-10-14 2000-04-25 Daiwa Seiko Inc 逆転防止装置
KR20020024675A (ko) * 2000-09-26 2002-04-01 공대호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3128A (ja) * 1982-10-04 1984-04-1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ル
JPH0610230Y2 (ja) 1988-11-17 1994-03-16 エヌティエヌ株式会社 一方向クラッチ付き回転体
US5570851A (en) 1990-02-02 1996-11-05 Daiwa Seiko, Inc. Reverse rotation preventing mechanism in spinning reel for fishing
US5370330A (en) 1991-02-28 1994-12-06 Daiwa Seiko, Inc. One-way clutch for a fishing reel with an improved contact surface configuration
US5547140A (en) 1992-05-13 1996-08-20 Shimano, Inc. Spinning reel having an anti-reverse mechanism
JPH0624472U (ja) 1992-09-01 1994-04-0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逆転防止装置
JP2544753Y2 (ja) 1992-11-30 1997-08-20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JPH0914301A (ja) 1995-06-27 1997-01-14 Ntn Corp 一方向クラッチ
US6056222A (en) 1995-10-08 2000-05-02 Shimano, Inc. Spinning reel anti-reverse device
JP3584592B2 (ja) 1996-02-07 2004-11-04 株式会社デンソー 一方向クラッチ
KR100430521B1 (ko) 1996-02-07 2004-08-31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낚시용스피닝릴
KR200153576Y1 (ko) * 1997-07-09 1999-08-02 정대인 낚시용리일의 역회전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786A (ko) * 1994-03-14 1995-12-18 모리 히데따로 낚시용 릴의 역전 방지 장치
JPH08336348A (ja) * 1996-06-20 1996-12-24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JP2000116289A (ja) * 1998-10-14 2000-04-25 Daiwa Seiko Inc 逆転防止装置
KR20020024675A (ko) * 2000-09-26 2002-04-01 공대호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158089B4 (de) 2004-02-05
DE10158089A1 (de) 2002-07-04
KR20010035091A (ko) 2001-05-07
CN1359615A (zh) 2002-07-24
JP2002209485A (ja) 2002-07-30
US6481656B2 (en) 2002-11-19
CN1167337C (zh) 2004-09-22
US20020074439A1 (en) 200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18852A1 (en) Automatic line trimmer head
KR100383660B1 (ko)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
US4352474A (en) Drag control for fishing reels
US5120002A (en) Spool detachable mechanism for fishing reel
KR19990072952A (ko) 낚시용스피닝릴
EP0573992A2 (en) Reversal preventive device
KR200227071Y1 (ko)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
EP0707790B1 (en) Spinning reel anti-reverse device
US6155508A (en) Large arbor fly fishing reel
EP0824085B1 (en) Belt hoist
KR100344298B1 (ko)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
KR100344297B1 (ko)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장치
KR200260431Y1 (ko)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
KR200260432Y1 (ko)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장치
KR200174209Y1 (ko) 스풀 착탈 기구를 갖는 베이트 캐스팅 릴
US6446894B1 (en) Planetary gear assembly for fishing reel
KR950002578A (ko) 낚시용 릴의 역전방지장치
JP2875247B1 (ja) リールの組付け装置
JPH08336348A (ja)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KR900010252Y1 (ko) 낚시용 스피닝리일의 역전 방지기구
KR950016505A (ko) 낚시용 스피닝 릴
JP2001145795A (ja) ミシンの糸巻き装置
JP398121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駆動装置
JP3087797U (ja) 一方向クラッチ付きの魚釣り用リール
US5878972A (en) Release preventing device for fishing r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