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431Y1 -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431Y1
KR200260431Y1 KR2020010026244U KR20010026244U KR200260431Y1 KR 200260431 Y1 KR200260431 Y1 KR 200260431Y1 KR 2020010026244 U KR2020010026244 U KR 2020010026244U KR 20010026244 U KR20010026244 U KR 20010026244U KR 200260431 Y1 KR200260431 Y1 KR 2002604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lower cover
stopper
magne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2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대호
Original Assignee
(주)정우월드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우월드피싱 filed Critical (주)정우월드피싱
Priority to KR20200100262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4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4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43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용 릴에 설치되어 핸들의 양방향 또는 일방향 회전을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하는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들의 역방향 회전시 스토퍼(Stopper)의 내주면에 쐐기식으로 박히게 되는 롤러를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하여 리테이너(Retainer)에서 지지되도록 하므로서, 역회전 방지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 지지체의 사용에 따른 역회전 방지구의 수명 저하와 잦은 고장을 방지하고, 핸들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는, 중앙에 축공(64b)이 형성된 몸체의 바닥부 일측에 레버돌출공(61)이 형성되고, 몸체의 내측에는 리테이너 수납부(64)와 스토퍼 안치홈(63)이 형성된 하부커버(60)와, 상기 하부커버(60)의 리테이너 수납부(64)에 삽입되는 원판형상의 몸체 중앙에 축공(50a)이 형성되고, 몸체의 상부에는 축공(50a)의 주변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마그네트(53)가 삽입된 마그네트 홀더(52)가 배열 형성되며, 몸체의 일측에는 하부커버(60)의 레버돌출공(61)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조정레버(51)가 형성된 리테이너(50)와, 상기 리테이너(50)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마그네트 홀더(52) 사이에 삽입되어 마그네트(53)의 자력에 의하여 리테이너(50)의 상부면에서 지지되는 롤러(40)와, 상기 하부커버(60)의 스토퍼 안치홈(63)에 삽입되는 끼움돌부(31)가 몸체의 외주면에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몸체의 내주면에는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대경부(30a)와 소경부(30b)가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30)와, 상기 하부커버(60)의 상면에서 하부커버(60)와 일체로 체결되는 몸체의 중앙에 베어링(10)이 수납되는 베어링 수납부(21)가 형성된 상부커버(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A device of reverse circulation preventive in a reel for a fishing}
본 고안은 낚시용 릴에 설치되어 핸들의 양방향 또는 일방향 회전을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하는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들의 역방향 회전시 스토퍼(Stopper)의 내주면에 쐐기식으로 박히게 되는 롤러를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하여 리테이너(Retainer)에서 지지되도록 하므로서, 역회전 방지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 지지체의 사용에 따른 역회전 방지구의 수명 저하와 잦은 고장을 방지하고, 핸들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릴에는 핸들의 양방향 회전과 일방향 회전을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역회전 방지구가 주축상에 설치되어, 낚시바늘에 미끼를 끼우거나 미끼를 끼운 낚시채비를 원거리로 투척하기 위하여 낚시줄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스풀에 낚시줄이 감기는 방향(이하 '정방향'이라 한다)과 스풀로부터 낚시줄이 풀리는 방향(이하 '역방향'이라 한다)으로 핸들을 동시에 조작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낚시채비를 투척한 후에는 핸들의 정방향 회전만을 가능하도록 조작하므로서, 낚시줄에 적절한 텐션(Tension)을 가하여 물고기의 입질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고, 챔질을 할 경우에도 낚시줄이 스풀로부터 풀려나가지 않게 하여 보다 확실하게 낚시바늘에 물고기가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핸들의 양방향 또는 일방향 회전을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종래의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니들롤러(1d)가 판 스프링(1c)과 지지체(1e)의 의하여 지지되는 니들롤러 수용부(1b)를 원통형상으로 되는 내륜(1a)의 원주면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시킨 내륜체(1)와, 전기한 내륜체(1)가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몸체 내부에 내륜체(1)의 니들롤러(1d)가 내접하게 되는 오목부(2b)와 경사면(2c)이 형성되고, 몸체의 외부에는 전기한 오목부(2b)와 경사면(2c)에 의한 돌출부(2a)가 형성되며, 몸체의 상부에는 내부에 삽입된 내륜체(1)가 빠지지 않도록 내향 절곡된 칼라부(2d)가 형성된 외륜(2)으로서 원웨이 롤러 베어링(3)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의 원웨이 롤러베어링(3)의 원웨이 작동(핸들을 정방향으로만 회전시키게 하는 작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원웨이 롤러베어링(3)이 내부에 수납되는 원통형상의 몸체 내주면에 외륜(2)의 돌출부(2a)가 걸리게 되는 요홈(4b)과 돌부(4c)가 형성된 베어링 삽입체(4a)와, 전기한 베어링 삽입체(4a)의 하측에서 베어링 삽입체(4a)와 일체로 형성되는 환상돌출부(4e)와, 전기한 환상돌출부(4e)에 의하여 형성되는 걸림홈(4d)으로 이루어지는 역전방지체(4)가 상기의 원웨이 롤러베어링(3)을 삽입시킨 상태로 낚시용 릴의 주축상에 설치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의 작용관계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역전방지체(4)의 걸림홈(4d)에 걸림구(12)가 걸리지 않은 오프(OFF)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핸들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주축(71)에 삽입된 슬리브(70)가 도면상에서 우회전 또는 좌회전하게 되는 데, 슬리브(70)의 우회전시에는 내륜체(1)가 슬리브(70)와 함께 우회전하여 내륜체(1)의 니들롤러(1d)가 외륜(2)의 오목부(2b)에 걸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외륜(2)이 슬리브(70)과 함께 우회전하여 외륜(2)의 돌출부(2a)가 역전방지체(4)의 요홈(4b)에 걸리게 되므로서, 내륜체(1)와 외륜(2) 및 역전방지체(4)가 슬리브(70)와 함께 우회전하게 되며, 슬리브(70)의 좌회전시에는 내륜체(1)가 슬리브(70)와 함께 좌회전하여 내륜체(1)의 니들롤러(1d)가 슬리브(70)의 외주면과 외륜(2)의 경사면(2c)사이에서 쐐기식으로 박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외륜(2)이 슬리브(70)와 함께 좌회전하여 외륜(2)의 돌출부(2a) 경사면이 역전방지체(4)의 요홈(4b)에 걸리게 되어, 내륜체(1)와 외륜(2) 및 역전방지체(4)가 슬리브(70)와 함께 좌회전하게 되므로서 핸들의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역전방지체(4)의 걸림홈(4d)에 걸림구(12)가 걸린 온(ON)상태가 되면, 도시되지 않은 핸들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주축(71)에 삽입된 슬리브(70)가 도면상에서 우회전하게 되고, 내륜체(1)가 슬리브(70)와 함께 우회전하여 내륜체(1)의 니들롤러(1d)가 외륜(2)의 오목부(2b)에걸리게 되며, 이로 인하여 외륜(2)이 슬리브(70)와 함께 우회전하여 외륜(2)의 돌출부(2a)가 역전방지체(4)의 내부에 형성된 요홈(4b)에 걸리게 되는 데, 역전방지체(4) 자체는 걸림홈(4d)에 걸림구(12)가 걸려 있으므로 회전이 불가능하지만, 니들롤러(1d)는 외륜(2)의 오목부(2b)에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한 상태로 판 스프링(1c)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므로서, 슬리브(70)의 우회전에 따라 각각의 니들롤러(1d)가 오목부(2b)의 여유공간측으로 밀리거나, 니들롤러(1d) 자체가 좌회전으로 자전하게 되어 핸들의 정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는 반대로 역회전 방지구의 온(ON)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핸들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내륜체(1)가 슬리브(70)와 함께 좌회전하여 내륜체(1)에 고정된 니들롤러(1d)가 슬리브(70)의 외주면과 외륜(2)의 경사면(2c)사이에서 쐐기식으로 박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외륜(2)이 슬리브(70)와 함께 좌회전하여 외륜(2)의 돌출부(2a) 경사면이 역전방지체(4)의 내부에 형성된 요홈(4b)에 걸리게 되는 데, 이 경우에는 역전방지체(4) 자체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니들롤러(1d)가 슬리브(70)의 외주면과 외륜(2)의 경사면(2c) 사이에서 쐐기식으로 박히게 되어 슬리브(70)의 회전공간 또한 확보되지 않게 되므로서, 슬리브(70)의 좌회전, 다시 말해서 핸들의 역방향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는 작용관계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는 니들롤러(1d)를 판 스프링(1c)과 지지체(1e)에 의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매우 복잡한 형상의 내륜체(1) 뿐만 아니라, 전기한 내륜체(1)가 내부에 삽입되는 외륜(2) 및내륜체(1)와 외륜(2)으로 구성된 원웨이 롤러 베어링(3)이 내부에 삽입되는 역전방지체(4)의 형상 또한 복잡하게 되어, 역회전 방지구의 제작 및 조립이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역회전 방지구를 릴 본체의 전방(로터의 후방)에서 주축(71)상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역회전 방지구를 수납시키기 위한 별도의 하우징을 릴 본체에 형성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주축(71)의 회전을 고려하여 베어링이 수납될 수 있는 별도의 커버를 전기한 하우징의 전방에 설치하여야 하므로서, 낚시용 릴의 전체적인 제작 및 조립 공정이 번거럽게 되고, 이로 인하여 낚시용 릴의 생산단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역회전 방지구의 주된 구성요소인 원웨이 롤러 베어링(3)의 니들롤러(1d)가 판 스프링(1c)과 같은 탄성 지지체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판 스프링(1c)의 탄성이 저하될 경우에는 판 스프링(1c)이 니들롤러(1d)를 슬리브(70)의 외주면과 외륜(2)의 경사면(2c) 사이로 원활하게 밀어주지 못하게 됨과 동시에 슬리브(70)의 외주면과 외륜(2)의 경사면 사이로 니들롤러(1d)가 쐐기식으로 박히기 전에 슬리브(70)의 회전에 의하여 니들롤러(1d) 자체가 자전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역회전 방지구를 작동시킨 온(ON) 상태에서도 핸들이 역회전하게 되며, 니들롤러(1d)가 외륜(2)의 오목부(2b)에 위치할 경우에는 판 스프링(1c)의 탄성 저하로 인하여 니들롤러(1d)가 니들롤러 수용부(1b)로부터 오목부(2b)측으로 이탈되어 핸들의 회전시 덜걱거림(단락)이 발생하는 등 핸들의 원할한 작동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역회전 방지구의 작동이 니들롤러(1d)를 지지하는 판스프링(1c)의 탄성력에 의하여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역회전 방지구의 전체적인 사용수명이 판 스프링(1c)의 사용수명 정도로 짧아지게 되며, 판 스프링(1c)이 내륜체(1)에 정확히 결합되지 못하거나, 니들롤러(1d)가 판 스프링(1c)과 지지체(1e)에 의하여 니들롤러 수용부(1b)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지 않을 경우에는 원웨이 롤러 베어링(3)의 작동시 고장이 자주 발생하고, 역회전 방지구의 제조 과정에서도 불량품이 다량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역회전 방지구의 오프(OFF)상태에서 핸들을 양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핸들의 회전에 의하여 내륜체(1)와 외륜(2)으로 구성된 원웨이 롤러 베어링(3) 뿐만 아니라, 원웨이 롤러베어링(3)이 삽입되는 역전방지체(4)까지 슬리브(70)와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서 핸들의 회전시 회전저항이 발생하게 되고, 특히 역회전 방지구의 오프(OFF) 상태에서 핸들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전기한 회전저항과 더불어 판 스프링(1c)의 탄성력에 의해서도 슬리브(70)의 회전이 저항을 받기 때문에 핸들을 부드럽게 회전시키는 데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역전방지체(4)의 환상돌출부(4e)가 개략 기어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낚시바늘에 물고기가 걸렸을 때나 암초에 낚시바늘이 걸리게 되어 낚시줄에 인장력이 작용할 경우, 낚시줄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하여 환상돌출부(4e)가 파손되지 않도록 다소 큰 폭의 기어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역회전 방지구를 온(ON) 상태로 조작하더라도 역전방지체(4)의 걸림홈(4d)에 걸림구(12)가 바로 걸리지 않고 환상돌출부(4e)상에 놓이게 될 확률이 크게 되며, 이 경우에는 실질적인 역회전 방지구의 작동이 이루어지기까지 어느 정도의 역회전이 발생하는회전갭이 생기게 된다.
상기와 같은 회전갭이 발생하게 되면, 낚시줄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하여 물고기의 입질을 정확히 감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역회전 방지구를 온(ON) 상태로 조작하고 난 이후에도 핸들을 조금씩 회전시켜 걸림구(12)가 역전방지체(4)의 걸림홈(4d)에 정확히 걸릴 수 있도록 조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는 핸들의 역방향 회전시 스토퍼의 내주면에 쐐기식으로 박히게 되는 롤러를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하여 리테이너의 상부면에서 지지되도록 하므로서, 역회전 방지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 지지체의 사용에 따른 역회전 방지구의 수명 저하와 잦은 고장을 방지하고, 핸들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을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는, 중앙에 축공이 형성된 몸체의 바닥부 일측에 레버돌출공이 형성되고, 몸체의 내측에는 리테이너 수납부와 스토퍼 안치홈이 형성된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리테이너 수납부에 삽입되는 원판형상의 몸체 중앙에 축공이 형성되고, 몸체의 상부에는 축공의 주변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마그네트가 삽입된 마그네트 홀더가 배열 형성되며, 몸체의 일측에는 하부커버의 레버돌출공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조정레버가 형성된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마그네트 홀더 사이에 삽입되어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하여 리테이너의 상부면에서 지지되는 롤러와, 상기 하부커버의 스토퍼 안치홈에 삽입되는 끼움돌부가 몸체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몸체의 내주면에는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대경부와 소경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와, 상기 하부커버의 상면에서 하부커버와 일체로 체결되는 몸체의 중앙에 베어링이 수납되는 베어링 수납부가 형성된 상부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에 사용되는 스토퍼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의 (가) 및 (나)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에 사용되는 리테이너에서 롤러가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및 평면도
도 7의 (가) 및 (나)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어링 20 : 상부커버 21 : 베어링 수납부
22 : 체결부 30 : 스토퍼 30a : 대경부
30b : 소경부 31 : 끼움돌부 40 : 롤러
50 : 리테이너 51 : 조정레버 52 : 마그네트 홀더
52a : 개방부 53 : 마그네트 60 : 하부커버
61 : 레버돌출공 62 : 체결부 63 : 스토퍼 안치홈
64 : 리테이너 수납부 70 : 슬리브 71 : 주축
72 : 스풀축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에 사용되는 스토퍼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6의 (가) 및 (나)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에 사용되는 리테이너의 마그네트 홀더 사이에 롤러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7의 (가) 및 (나)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a, 21b, 50a, 64b는 축공, 21a, 64a는 걸림턱, 21c는 체결부, 21d, 22a, 62a는 체결공, 24, 25는 나사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역회전 방지구의 케이스 역할을 하는 상부커버(20)와 하부커버(60), 그리고, 역회전 방지구의 원웨이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주요 구성요소로서 리테이너(50)와, 리테이너(59)의 마그네트 홀더(52)사이에 삽입되는 롤러(40)와, 롤러(40)가 내접되는 스토퍼(3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하부커버(60)는 리테이너(50)와 스토퍼(30)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된 원형상자 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몸체의 바닥부 중앙에는 슬리브(70)가 삽입되는 축공(64b)이 형성되고, 몸체의 바닥부 일측에는 리테이너(50)의 조정레버(51)가 삽입되어 약 30°(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롤러를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사용되는 롤러의 개수에 따라 조정레버의 회전각도는 달라질 수 있다)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는 레버돌출공(61)이 부채꼴 형태로 절개 형성되며, 몸체의 내부에는 축공(64b)에 의하여 형성된 걸림턱(64a)을 구비하는 리테이너 수납부(64)와 스토퍼(30)의 끼움돌부(31)가 삽입되는 4개의 스토퍼 안치홈(63)이 형성되고, 몸체의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체결부(62)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체결부(62)에는 체결공(6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체결공(62a) 중 1/2은 상부커버(20)를 하부커버(60)에 체결하기 위한 것이며, 나머지 1/2은 조립이 완료된 본 고안에 의한 역회전 방지구를 도시되지 않은 릴 본체의 전방에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역회전 방지구의 조립 및 설치관계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리테이너(50)는 도 4와 도 6의 (가) 및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커버(60)의 리테이너 수납부(64)에 삽입되는 원판 형상의몸체를 가지며, 몸체의 중앙에는 하부커버(60)와 마찬가지로 슬리브(70)가 삽입되는 축공(50a)이 형성되고, 몸체의 상부면에는 축공(50a)의 주변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마그네트(53)가 삽입된 마그네트 홀더(52)가 배열 형성되며,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한 하부커버(60)의 레버돌출공(61)을 통하여 하부커버(60)의 외부로 돌출되는 조정레버(5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마그네트 홀더(52)와 조정레버(51)는 리테이너(50)의 몸체와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마그네트 홀더(52)의 개수는 축공(50a)의 직경, 마그네트 홀더(52)와 롤러(4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축공(50a)의 주변으로 6개의 마그네트 홀더(52)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거나, 4개 또는 8개의 마그네트 홀더(52)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여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며, 마그네트 홀더(52)의 사이에 롤러(40)를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마그네트 홀더(52)의 양측면은 원호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마그네트 홀더(52)에는 리테이너(50)의 하부를 통하여 삽입된 마그네트(53)가 노출되도록 개방부(52a)를 형성하여, 롤러(40)가 마그네트(53)의 자력에 의하여 마그네트 홀더(52)사이에서 원활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마그네트 홀더(52)에 별도의 개방부(52a)를 형성시키지 않더라도 롤러(40)가 마그네트(53)의 자력에 의하여 마그네트 홀더(52)의 사이에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롤러(40)는 리테이너(50)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마그네트 홀더(52) 사이에 삽입되어 마그네트(53)의 자력에 의하여 리테이너(50)의 상부면에서 지지됨과 동시에 리테이너(50)의 축공(50a)을 통하여 삽입되는 슬리브(70)의 외주면과 접촉하게 되며, 도시되지 않은 핸들의 회전에 의하여 슬리브(70)의 외주면과 스토퍼(30)의 내주면 사이에 쐐기식으로 박히게 되므로서 발생하는 강한 마찰력을 견딜 수 있도록 강 또는 경질의 금속 재질로 제작된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의 스토퍼(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커버(30)의 스토퍼 안치홈(63)에 삽입되는 4개의 끼움돌부(31)가 고리형상의 몸체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몸체의 내주면에는 스토퍼(30)의 도형상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대경부(30a)와 소경부(30b)가 연이어 형성되어 있으며, 핸들의 회전에 의하여 전기한 스토퍼(30)의 소경부(30b)와 슬리브(70)의 외주면 사이에서 롤러(40)가 쐐기식으로 박히게 되는 것으로서, 스토퍼(30) 또한 핸들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롤러(40)와의 강한 마찰력을 견딜 수 있도록 강 또는 경질의 금속 재질로서 제작된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의 상부커버(20)는 하부커버(60)의 상면에서 하부커버(60)와 일체로 체결될 수 있도록 원판 형상의 몸체 외주면에 하부커버(60)와 동일한 형태로 체결부(22)가 형성되고, 각각의 체결부(22)에는 체결공(22a)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의 중앙에는 주축(71)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베어링(10)이 수납되는 베어링 수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베어링 수납부(21)는 상부커버(20)의 중앙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원형의 몸체 내부에 주축(71)이 삽입되는 축공(21b)에 의하여 베어링(10)이 안치될 수 있는 걸림턱(21a)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외주면에는 수 개의 체결부(21c)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체결부(21c)에는 체결공(21d)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기한 체결공(21d)에 베어링 수납부(21)의 상면 테두리 간격보다 큰 머리를 구비하는 나사(24)를 체결하므로서, 나사(24)의 머리부에 의하여 베어링 수납부(21)로부터 베어링(10)이 이탈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역회전 방지구의 롤러(40) 대신에 구형의 볼 베어링을 마그네트 홀더(52)의 사이에 삽입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이 경우에는 마그네트 홀더(52)를 볼 베어링이 수납될 수 있는 형상으로 제작하여야 하며, 마찰접촉면적이 비교적 적게 되는 볼 베어링의 원활한 원웨이 작동을 위하여 각각의 볼 베어링이 스토퍼(30)의 내주면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스토퍼(30)의 두께를 볼 베어링의 두께보다 다소 크게 제작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역회전 방지구의 조립 및 설치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리테이너(50)의 마그네트 홀더(52)사이에 롤러(40)를 삽입하여 롤러(40)가 마그네트(53)의 자력에 의하여 리테이너(50)의 상부면에서 지지되도록 한 다음, 롤러(40)가 삽입된 리테이너(50)를 하부커버(60)의 리테이너 수납부(64)에 안치시켜 리테이너(50)의 조정레버(51)가 하부커버(60)의 레버돌출공(61)을 통하여 돌출되도록 하고, 스토퍼(30)의 끼움돌부(31)를 하부커버(60)의 스토퍼 안치홈(63)에 삽입하므로서 스토퍼(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대경부(30a)와 소경부(30b)의 내측으로 리테이너(50)의 마그네트 홀더(52)와 롤러(40)가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60)의 상면에 상부커버(20)를 맞대어 각각의 체결부(22,62)를 대응시키고, 각각의 체결부(22,62)를 하나씩 건너뛰는 식으로 하여 전체 체결부(22,62) 중 1/2에 해당하는 체결부(22,62)의 체결공(22a,62a)에 나사(25)를 체결하므로서 상부커버(20)와 하부커버(60)를 일체로 형성시키며, 상부커버(20)의 베어링 수납부(21)에 베어링(10)을 안치시켜 베어링 수납부(21)의 체결부(21c)에 형성된 체결공(21d)에 나사(24)를 체결시키므로서, 나사(24)의 머리 부분에 의하여 베어링(10)이 베어링 수납부(2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 본 고안에 의한 역회전 방지구의 조립이 완료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고안에 의한 역회전 방지구의 하부커버(60)에 형성된 축공(64b)과 리테이너(50)에 형성된 축공(50a)을 통하여 슬리브(70)를 삽입시키므로서 슬리브(70)의 외주면과 스토퍼(30)의 내주면 사이에 롤러(40)가 접하도록 하고, 슬리브(70)가 삽입된 본 고안에 의한 역회전 방지구를 릴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주축(71)에 삽입한 다음, 상부커버(20)와 하부커버(60)를 체결하고 남은 나머지 체결공(22a,62a)을 통하여 역회전 방지구를 릴 본체의 전방에 체결시키면 본 고안에 의한 역회전 방지구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 및 설치된 본 고안에 의한 역회전 방지구의 작용관계를 도 7의 (가) 및 (나)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레버(55)의 작동에 의하여 리테이너(50)의 조정레버(51)가 도면상에서 우측방향으로 밀려있는 오프(OFF)상태가 되면, 마그네트(53)의 자력에 의하여 리테이너(50)에서 지지되는 롤러(40)가 스토퍼(30)의 대경부(30a)상에 위치하게 되는 데, 이 경우에는 슬리브(70)의 외주면과 스토퍼(30)의 대경부(30a)사이에서 롤러(40)가 충분한 공간을 확보한 상태로슬리브(70)와 외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오프(OFF)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핸들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핸들의 회전에 따라 주축(71)이 삽입된 슬리브(70)가 도면상에서 우회전 또는 좌회전하게 되는 데, 하부커버(60)와 스토퍼(30) 및 리테이너(50)는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핸들의 회전에 의하여 주축(71)이 삽입된 슬리브(70)만이 회전하게 되며, 슬리브(70)의 회전에 따라 롤러(40)가 스토퍼(30)의 대경부(30a)측 공간으로 용이하게 밀려날 수 있게 되므로서, 슬리브(70)의 회전이 롤러(40)와 스토퍼(30)에 의하여 전혀 지장을 받지 않게 되어 핸들의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회전레버(55)의 작동에 따라 리테이너(50)의 조정레버(51)를 도면상에서 약 30°정도로 좌회전시키게 되면, 조정레버(51)가 리테이너(5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리테이너(50) 자체가 도면상에서 약 30°정도 좌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리테이너(50)의 마그네트 홀더(52) 뿐만 아니라, 각각의 마그네트 홀더(52)의 사이에서 지지되는 롤러(40) 또한 리테이너(50)와 함께 좌회전하게 되므로서, 도 7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마그네트(53)의 자력에 의하여 리테이너(50)에서 지지되는 롤러(40)가 스토퍼(30)의 소경부(30b)상에 위치하는 온(ON)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온(ON)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핸들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핸들의 회전에 따라 주축(71)이 삽입된 슬리브(70)가 도면상에서 우회전하게 되는 데, 하부커버(60)와 스토퍼(30) 및 리테이너(50)는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핸들의 정방향 회전에 의하여 주축(71)이 삽입된 슬리브(70)만이 우회전하게 되며, 이 경우에는 슬리브(70)에 외접하는 롤러(40)가 소경부(30b)측에서 대경부(30a)측으로 밀리는 상태가 되어, 슬리브(70)가 회전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 발생하게 됨과 동시에 슬리브(70)와 스토퍼(30)의 사이에서 롤러(40) 자체가 좌회전으로 자전할 수 있게 되므로서 슬리브(70)의 우회전, 다시 말해서 핸들의 정방향 회전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온(ON)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핸들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핸들의 회전에 따라 주축(71)이 삽입된 슬리브(70)가 도면상에서 좌회전하게 되는 데, 이 경우에는 슬리브(70)에 외접하는 롤러(40)가 슬리브(70)의 외주면과 스토퍼(30)의 소경부(30b)사이에 쐐기식으로 박히게 되어 슬리브(70)의 회전공간이 확보되지 못하게 되므로서, 슬리브(70)의 좌회전, 다시 말해서 핸들의 역방향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는 작용관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부커버(60)는 릴 본체에서 고정되고, 스토퍼(30)는 하부커버(60)에 의하여 고정되며, 리테이너(50)는 조정레버(51)가 회전레버(55)에 걸려 있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의 양방향 또는 일방향 회전시 주축(71)이 삽입된 슬리브(70)만이 회전하게 되므로서, 종래의 경우와 같이 역회전 방지구 자체가 슬리브(70)와 함께 회전하여 발생하는 회전저항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며, 특히, 역회전 방지구의 롤러(40)가 마그네트(53)의 자력에 의하여 리테이너(55)상에서 지지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종래의 경우와 같이 슬리브(70)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니들롤러(1d)를 지지하는 판 스프링(1c)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것과 같은 별도의 회전저항 또한 발생하게 않게 되어, 핸들의 원할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리테이너(50)와 일체로 형성된 조정레버(51)를 약 30°의 각도로 좌회전 또는 우회전시켜 리테이너(50)상에서 지지되는 롤러(40) 자체가 스토퍼(30)의 대경부(30a)와 소경부(30b)에 직접 위치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역회전 방지구의 온(ON) 상태와 오프(OFF) 상태를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하므로서, 역회전 방지구를 온(ON) 상태로 조작함과 동시에 핸들의 역방향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어, 종래의 경우와 같이 실질적인 역회전 방지구의 작동이 이루어지기 까지 어느 정도의 역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갭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낚시줄의 텐션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고, 역회전 방지구를 작동시키고 난 이후에 실질적인 역회전 방지구의 작동을 위하여 핸들을 조금씩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러운 조작을 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는 원웨이 작동에 주된 역할을 하는 롤러(40)를 마그네트(53)의 자력에 의하여 리테이너(50)의 마그네트 홀더(52) 사이에 간단히 삽입시킬 수 있으며, 리테이너(50)와 스토퍼(30) 또한 하부커버(60)에 삽입식으로 간단히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역회전 방지구의 제작 및 조립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리테이너(50)와 스토퍼(30)를 하부커버(60)의 내부에 개재시킨 상태로 베어링(10)이 삽입된 상부커버(20)를 하부커버(60)와 일체로 조립하게 되면, 역회전 방지구 자체가 하나의 완성된 릴 부품으로 되기 때문에, 별도의 부품을 릴 본체에 추가적으로 설치할 필요없이 역회전 방지구 자체를 릴 본체의 전방에 직접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낚시용 릴의 전체적인 제작 및 조립 공정이 단순하게 되고, 역회전 방지구를 구성하는 부품의 관리 또한 매우 용이하게 된다.
특히, 역회전 방지구의 주된 구성요소인 롤러(40)가 마그네트(53)의 자력에 의하여 리테이너(50) 상에서 지지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별도의 부품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서는 역회전 방지구의 전체적인 사용수명이 마그네트(53)의 사용수명(거의 반 영구적)으로 매우 길어지게 되며, 롤러(40)가 마그네트(53)의 자력에 의하여 항상 마그네트 홀더(52) 사이의 일정한 위치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종래의 경우와 같이 역회전 방지구의 조립과정에서 롤러(40)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불량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고, 릴을 사용할 때에도 역회전 방지구의 롤러(40)가 마그네트 홀더(52)로부터 스토퍼(30)의 대경부(30a)측으로 이탈되어 핸들의 회전시 덜걱거림(단락)이 발생하는 것과 같은 역회전 방지구의 고장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는 핸들의 역방향 회전시 스토퍼의 내주면에 쐐기식으로 박히게 되는 롤러를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하여 리테이너상에서 지지되도록 하므로서, 역회전 방지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역회전 방지구를 하나의 완성된 릴 부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낚시용 릴의 전체적인 제작 및 조립 공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역회전 방지구의 조립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과 릴의 사용시에 발생하의 역회전 방지구의 고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역회전 방지구의 전체적인 사용수명을 마그네트의 사용수명 정도로 매우 길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핸들의 회전시 발생하는 회전저항을 최소화하여 핸들을 원할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리테이너 자체를 회전시켜 역회전 방지구의 온(ON), 오프(OFF) 상태를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하므로서, 역회전 방지구를 온(ON) 상태로 조작함과 동시에 핸들의 역방향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어, 낚시줄의 텐션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며, 역회전 방지구를 작동시키고 난 이후에 실질적인 역회전 방지구의 원웨이 작동을 위하여 핸들을 조금씩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러운 조작을 배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중앙에 축공(64b)이 형성된 몸체의 바닥부 일측에 레버돌출공(61)이 형성되고, 몸체의 내측에는 리테이너 수납부(64)와 스토퍼 안치홈(63)이 형성된 하부커버(60)와,
    상기 하부커버(60)의 리테이너 수납부(64)에 삽입되는 원판형상의 몸체 중앙에 축공(50a)이 형성되고, 몸체의 상면에는 축공(50a)의 주변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마그네트(53)가 삽입된 마그네트 홀더(52)가 배열 형성되며, 몸체의 일측에는 하부커버(60)의 레버돌출공(61)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조정레버(51)가 형성된 리테이너(50)와,
    상기의 리테이너(50)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마그네트 홀더(52) 사이에 삽입되어 마그네트(53)의 자력에 의하여 리테이너(50)의 상부면에서 지지되는 롤러(40)와,
    상기 하부커버(60)의 스토퍼 안치홈(63)에 삽입되는 끼움돌부(31)가 몸체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몸체의 내주면에는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대경부(30a)와 소경부(30b)가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30)와,
    상기 하부커버(60)의 상면에서 하부커버(60)와 일체로 체결되는 몸체의 중앙에 베어링(10)이 수납되는 베어링 수납부(21)가 형성된 상부커버(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
KR2020010026244U 2001-08-29 2001-08-29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 KR2002604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244U KR200260431Y1 (ko) 2001-08-29 2001-08-29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244U KR200260431Y1 (ko) 2001-08-29 2001-08-29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445A Division KR100344298B1 (ko) 2000-09-26 2000-09-26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431Y1 true KR200260431Y1 (ko) 2002-01-10

Family

ID=7310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244U KR200260431Y1 (ko) 2001-08-29 2001-08-29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4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2837A1 (ko) 2013-01-18 2014-07-24 (주)테라솔라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2837A1 (ko) 2013-01-18 2014-07-24 (주)테라솔라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9188B2 (en) Fitting structure for knobs
US7849474B2 (en) Motor having chucking device and disk driv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505300B1 (ko) 낚시용양베어링형릴의스풀제동장치
US7814506B2 (en) Turntable allowing easy assembly of magnetizing yoke
US20030066667A1 (en) Tool head attachment mechanism
KR20200024384A (ko) 핸드 그라인더의 디스크 고정장치
KR200260431Y1 (ko)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
KR100344298B1 (ko)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구
US5918825A (en) Reversal preventive device
KR100383660B1 (ko)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
KR200260432Y1 (ko)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장치
US20050223400A1 (en) Spindle motor
KR100344297B1 (ko)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장치
JP4510659B2 (ja) 研磨装置
KR200227071Y1 (ko)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
KR20010054311A (ko)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
CN110012879B (zh) 双轴承渔线轮
JP2004011784A (ja) 一方向クラッチ
KR100370469B1 (ko) 도어 록 손잡이의 안전 잠금장치
CN117628082A (zh) 单向离合器及钓鱼用卷线器
JP2000125720A (ja) 魚釣用リール
JPH119153A (ja) 魚釣り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着脱機構
JPH10178981A (ja) 魚釣り用両軸受リール
JPH0640335Y2 (ja) 軸受装置
JP3087797U (ja) 一方向クラッチ付きの魚釣り用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