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4322A - 심혈관계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 - Google Patents

심혈관계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4322A
KR20090114322A KR1020090037374A KR20090037374A KR20090114322A KR 20090114322 A KR20090114322 A KR 20090114322A KR 1020090037374 A KR1020090037374 A KR 1020090037374A KR 20090037374 A KR20090037374 A KR 20090037374A KR 20090114322 A KR20090114322 A KR 20090114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ulose
pharmaceutical formulation
release
candesaltan
tab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욱
전성수
이아람
손재운
Original Assignee
한올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올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올제약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114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3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Diabet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리학적 활성성분으로 심바스타틴(Simvastatin), 그의 이성질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하는 염을 포함하는 선방출성 구획, 및 약리학적 활성성분으로 칸데살탄(Candesartan), 그의 프로드럭,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하는 염을 포함하는 지연방출성 구획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는 두 성분의 시간차 용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두 성분을 단일제로 따로 복용하는 경우보다 약효를 증가시키고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심혈관계 질환 합병증 발생 위험도가 가장 높은 일중 시간대에 그 약효를 최대한 유지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심바스타틴, 칸데살탄, 시간차 투약 이론, 심혈관계 질환, 선방출성, 지연방출성

Description

심혈관계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treating cardiovascular disease}
본 발명은 칸데살탄과 심바스타틴을 함유하는 심혈관계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두 약물을 동시에 투여할 때 약물상호작용으로 인해 약효가 감소하는 것을 억제하고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기능성 복합제의 제제화 기술에 대한 발명이다.
모든 약물은 두 성분 이상을 복용할 때 개개 약물의 흡수, 대사, 분포, 약효발현 및 배설에 관여하는 약물수송체(Transporter), 약물대사효소(Metabolic Enzyme), 유전자 등의 작용 특성을 면밀히 검토하여 배합 성분의 용출 순서와 시간차를 결정하고, 흡수 시간차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약물간의 체내에서의 상호 길항 작용을 최소해 줄 수 있다 그 결과 약물배합으로 인한 부작용을 감소시키 고 약효를 증강시켜줄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더욱 상세하게 서명한다면 약물이 1차 단계로 장벽을 통과할, 2차단계로 간으로 유입될 때, 3차 단계로 간 세포 내에서 대사되어 활성화될 때, 그리고 4차 단계로 담도 등을 통해 간 세포 밖으로 빠져나갈 때 등 각 단계마다 약물을 곳곳에서 흡수, 대사, 배설시키는 배출수송체(Efflux transporter), 흡수수송체(Influx transporter), 대사효소 등이 곳곳에 존재한다.
그러나 약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이러한 수송체와 효소와 유전자의 작용을 억제하기도 한다.
따라서 두 종류의 약물이 동시에 각 단계에 통과하는 경우, 한 성분이 다른 성분의 흡수, 분포, 대사를 방해하여 약효를 감소하거나 부작용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한 성분을 먼저 통과시키고 다른 성분은 시간차를 두고 통과시켜 약물간 상호길항작용을 없애주어야 한다.
이러한 수송체는 현재 300여종 발견되어 있고, 대사효소는 500여종 발견되어 있으며, 유전자도 57종이 발견되어 있다. 머지않아 유전자 게놈 해석기술을 통해 모든 약물에 대한 수송체와 효소가 발견될 것이다.
따라서 현재 대사 효소나 수송체가 알려져 있지 않은 어떤 약물이라 할지라도 곧 발견 될 것임은 사필귀정이므로 두 종 이상의 약물의 상호작용이 없다라고 주장할 수는 없다. 따라서 대사 효소나 수송체가 알려져 있지 아니한 두 성분의 약물이라 할지라도 두 성분간 용출 시간차이를 두고 흡수시키는 것이 합리적이다.
본 발명의 배경은 이상 언급한 바와같이 모든 약물을 이종 이상 복합 투여할 때 이상적인 복합 방식을 실현시키려는 목적으로 두 성분간 상호 길항 작용이 확실한 것 들을 중심으로 성분간 용출순서를 결정하고 시간차를 유지시켜 흡수되어 약효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극소화한 기능성 복합제를 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기능성 복합제를 제제화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거나 그 자료를 검토한 수송체와 약물 대사 효소를 예시하면 아래와 같다.
1)배출수송체(Efflux Transporter): P-glycoprotein(P-gp), Multidrug resistance(MDR), Multidrug resistance associated protein(MRP)
2)흡수수송체(Influx Transporter): Organic anion transport protein(OATP), Sodium taurocholate cotransporting polypeptide(NTCP), Organic cation transporter(OCT)
3)약물대사효소: Cytochrome P450 1A2, 2A6, 2B6, 2C8, 2C9, 2C19, 2E1, 3A4/5
4)기타 대사효소: Uridine-5-phophate-glucuronosyltransferase(UDP-gt), Sulfatase, Sulfotransferase(1a1, 2a1, 1e1)
5)핵수용체(Nucleic Receptor): Pregnane-X-Receptor(PXR), Constitutive Androstane Receptor(CAR)
한편, 고혈압과 관상동맥질환은 공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잠재적인 공동 메커니즘으로 심장 질환을 초래한다. 또한, 고혈압과 고지질혈증에 기인한 동맥 경화는 평행적으로 악순환되는 병태로서 혈압이 오르면 동맥경화가 더욱 악화되고 동맥경화가 더욱 악화되면 혈압이 더욱 오르게 되므로, 이들은 심혈관 질환을 발병시키는 심각한 위험인자로 간주되고 있다. 또한,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고지혈증은 관상 동맥, 경동맥 및 말초 동맥을 포함하는 동맥 내에 지질 침적물이 불균등하게 분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상인 죽상동맥경화증의 초기 발병에 관여하며, 불규칙한 지질 분포는 관상 심장 손상, 심혈관 질환을 유발한다[Wilson et al., Am.J.Cardiol., vol.59(14)(1987), p.91G-94G]. 즉, 동맥경화와 고혈압은 악순환적으로 증상을 상호 악화시키므로, 고지혈증 환자나 고혈압 환자는 동맥경화와 고혈압을 동시에 치료해야 한다[HypertensRes;24:3-11(2001), HypertensRes;26:1-36(2003), HypertensRes;26:979-990(2003)]. 이에 따라, 심혈관 질환 및 신장 질환의 치료제로서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와 안지오텐신―Ⅱ―수용체 차단제를 병용 및 배합 투여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국제공개공보 WO 00/45818에는 당뇨 신경병증을 완화시키고 특히 당뇨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신경의 전달 속도 및 신경으로의 혈류의 전달 속도를 개선시키기위한 치료제로서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와 안지오텐신―Ⅱ―수용체 차단제의 배합 용도가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의 혼합 가능한 활성성분으로 칸데살탄과 심바스타틴이 언급되어 있다.
또한, 국제공개공보 WO 01/15674에는 심혈관 사고 예방용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 억제제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의 활성 성분으로 칸데살탄과 심바스타틴은 사용될 수 있다고 언급되어 있다. 국제공개공보 WO 04/062729에는 심혈관 질환, 심폐 질환, 폐 질환 또는 신장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복합제가 기재되어 있으며, 이 역시 활성성분으로 칸데살탄과 심바스타틴이 사용될 수 있다고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공지된 기술은 이 두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등의 약리 기전을 고려하여 각 약물의 방출성을 제어한 약제학적 제제는 아니다.
한편, 심바스타틴은 HMG-CoA 환원효소[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릴-코엔자임에이(HMG-CoA)]의 메발로네이트로 전환시키는 촉매작용을 억제하여 간에서의 콜레스테롤 생성을 억제하고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LDL-C)을 저하시킨다.
또한, 심바스타틴은 그 자체가 불활성 락톤(Lactone)계 화합물나, 간으로 들어가서 지질 저하 작용을 지닌 활성형인 β-히드록시산 형태로 전환되며, 이들은 간 내의 효소인 사이토크롬 P450 3A4 에 의해 대사되고 간 내에서 작용하면서 간에 서부터 배설된다. 그러나, 간에서 대사되지 않은 5% 내외의 심바스타틴이 혈중으로 이행하여 전신에 도달하기도 하여, 근육 융해증과 같은 근육 장애를 유발시키기도 한다[참조: Drug Metab Dispos 1990; 18: 138-145, Drug Metab Dispos 1990; 18: 476-483, Drug Metab Dispos 1997; 25: 1191-1199, Clin Pharmacol Ther 1998; 63: 332-341 ; Clin Pharmacol Ther 1998; 64: 177-182 ; Physicians Desk Reference 2006 (Zocor) ; J Pharmacol Exp Ther 1997; 282: 294-300 ; Pharmacol Exp Ther 1999; 290: 1116-1125 ; Life Sci 2004; 76: 281-292]. 또한, 심바스타틴의 복용은 기타 스타틴계 지질저하제와 달리 짧은 반감기(3시간)를 가지고 간 내에서의 지질 합성이 초저녁 식사 이후 왕성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초저녁에 복용되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참조: Arterioscler Thromb 11: 816-826, Clinic Pharmacol Ther 40: 338-343].
칸데살탄은 2-에틸옥시-1-({4-[2-(2H-1,2,3,4-테트라졸-5-일)페닐]-페닐}-1H-1,3-벤조디아졸-6-카르복실산으로서, 혈압 상승, 좌심 비대, 혈관 비대, 죽상 경화, 신부전, 뇌졸중 등을 유발 하는 인자인 안지오텐신―Ⅱ (AⅡ)가 혈관벽 수용체(AⅡ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길항하는 항압제이다. (미국특허 제 5,196,444호 공보) 칸데살탄은 생체이용률이 낮기 때문에 칸데살탄 실렉세틸의 프로드럭 형태로 시판되고 있으며(칸데살탄 실렉세틸 생체이용률: 정제 15%, 용액 40%), 이는 소장 벽에서 칸데살탄으로 분리되어 흡수되고 흡수 속도는 Tmax 3~4시간이다. 따라서 칸데살탄 복용은 안지오텐신과 알도스테론이 분비되는 자정 이후부터 아침까지 혈압 을 강하시키기 위해, 늦은 저녁이 바람직하다[참조: Easthope SE et al.: Candesartan Cilexetil: An Update of its Use in Essential Hypertension, Drugs Volume 62(8)2002 pp 1253-1287 ].
한편, 심바스타틴 및 칸데살탄은 모두 Tmax가 3~5시간이므로 이들 단일제의 동시 복용시 짧은 시간에 약물의 높은 혈중농도로 인해 부작용 발현 가능성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심바스타틴과 칸데살탄의 단순 복합 제제는 각 성분의 최고 약리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시간대에 투여되지 않기 때문에 최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없다.
구체적으로 심바스타틴과 칸데살탄의 단순 복합 제제를 오전 시간 중에 투여될 경우에는 짧은 반감기로 인해 지질 저하 작용을 수면시간까지 유지할 수 없으며, 수면 시간 중 합성되는 혈관수축유발물질의 합성을 억제할 수 없다. 또한, 단일 제제를 저녁 시간 중에 동시 투여할 경우에는 심바스타틴은 간 내에서 지질의 합성이 왕성하게 이루어지는 초저녁 식사 이후에 복용되어 최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지만 칸데살탄에 의한 오전 시간때까지 혈압 강하 효과를 유지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약리학적 활성성분으로 심바스타틴 및 칸데살탄을 포함하고 시간 및 작용기전에 따라 각각의 약물의 체내 흡수 및 약물의 방출 속도를 제어하여 병용투여시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약물 송달 시스템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심바스타틴과 칸데살탄을 복합제로 체내흡수될 때 약물상호작용에 의한 부작용 및 약효감소를 최소화하여, 당뇨병, 비만증, 고지혈증, 관상 동맥 질환 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이른바 대사성 증후군을 지닌 자들의 고혈압 치료와 합병증 예방에 유용한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약리학적 활성성분으로 심바스타틴(Simvastatin), 그의 이성질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선방출성 구획, 및 약리학적 활성성분으로 칸데살탄(Candesartan), 그의 프로드럭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지연방출성 구획을 포함하는 시간차 방출 제제인 약제학적 제제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심바스타틴”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그의 이성질체 및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칸데살탄”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그의 프로드럭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칸데살탄 프로드럭"은 신체 내에서 효소·화학 물질로 인해 그 활성성분인 "칸데살탄"으로 분해되는 것을 의미하며, 칸데살탄 실렉세틸이 바람 직하다.
본 발명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의약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염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칼슘, 칼륨, 나트륨 및 마그네슘 등으로 제조된 무기이온염, 염산, 질산, 인산, 브롬산, 요오드산, 과염소산, 주석산 및 황산 등으로 제조된 무기산염,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술폰산, 나프탈렌설폰산,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인산,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만데르산, 프로피온산, 구연산, 젖산, 글리콜산 , 글루콘산,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 글루쿠론산,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하이드로 아이오딕산 등으로 제조된 유기산염,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및 나트탈렌설폰산 등으로 제조된 설폰산염, 글리신, 아르기닌, 라이신 등으로 제조된 아미노산염 및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암모니아, 피리딘, 피콜린 등으로 제조된 아민염 등이 있으나, 열거된 이들 염에 의해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염의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제제는 두 활성성분간의 방출성을 제어하는 물리적인 구획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단일제제의 병용투여 또는 동시투여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보다 유용한 치료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심바스타틴 용출 개시 후 30분 이내에 심바스타틴 총량의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 방출되는 약제학적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구투여시 칸데살탄이 심바스타틴 용출개시 후 2시간까지 단위 제제내 칸데살탄 총량의 35% 이내로 방출되는 약제학적 제제, 바람직하게는 20% 이내로 용출되는 약제학적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칸데살탄이 심바스타틴보다 2 내지 4시간 늦게 간에서 흡수되는 약제학적 제제를 제공한다.
상기 약물 송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는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구획되어 2개의 약물의 상이한 방출 시간 및 속도를 얻을 수 있도록, 심바스타틴, 그의 이성질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원하는 부형제로 이루어지는 선방출성 구획과 칸데살탄, 그의 프로드럭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원하는 부형제로 이루어지는 지연방출성 구획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시된 선방출성 구획과 지연방출성 구획은 다양한 제형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의 각 구성성분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선(先)방출성 구획
선방출성 구획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에 있어서 지연방출성 구획에 비해 먼저 방출되는 구획을 의미하며, 약리학적 활성성분인 심바스타틴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선방출성 구획은 심바스타틴 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 가제와 함께 혼합, 연합, 건조 및 제립 등의 경구투여제를 제조하기 위한 통상의 과정을 통하여 혼합물, 과립, 펠렛, 또는 정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유동성이 좋지 않아 직접 타정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는 압착, 제립, 및 정립하여 과립화할 수 있다.
(1)약리학적 활성성분
선방출성 구획은 약리학적 활성성분으로 심바스타틴, 그의 이성질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제에서 선방출성 구획 중 활성성분인 심바스타틴은 성인(체중 65~75 kg의 성인 남자) 1일 기준으로 제제(전체 100mg~800mg) 중 1 내지 160mg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80 mg 을 포함한다.
(2)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
본 발명의 선방출성 구획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희석제, 결합제, 붕해제, 윤활제, pH 조절제, 산화방지제, 용해보조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방출성 구획에서, 첨가제는 심바스타틴 1중량부에 대하여 0.01-10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선방출성 구획에서 희석제는 슈가,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유당수화물), 포도당, 디-만니톨, 알기네이트, 알칼리토금속류염, 클레이, 폴리에틸렌글리콜, 무수인산수소칼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방출성 구획에서 결합제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고분산성 실리카, 만니톨, 디-만니톨, 자당, 유당수화물,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포비돈), 폴리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코포비돈), 히프로멜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천연검, 합성검, 코포비돈, 젤라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방출성 구획에서 붕해제는 전분글리콘산나트륨,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또는 전호화전분(전젤라틴화전분) 등의 전분 또는 변성전분;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또는 비검(veegum) 등의 클레이; 미결정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알긴산나트륨 또는 알긴산 등의 알긴류; 크로스카멜로스(croscarmellose)나트륨 등의 가교 셀룰로오스류; 구아검, 잔탄검 등의 검류;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crospovidone) 등의 가교 중합체; 중탄산나트륨, 시트르산 등의 비등성 제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방출성 구획에서 윤활제는 탈크,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칼슘, 라우릴설페이트나트륨, 수소화식물성오일, 나트륨벤조에이트, 나트륨스테아릴푸마레이트,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글리세릴 모노레이트,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팔미토스테아레이트,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방출성 구획에서, pH 조절제는 초산, 아디프산,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빈산 나트륨, 사과산, 숙신산, 주석산, 푸마르산, 구연산(시트르산)과 같 은 산성화제와 침강 탄산 칼슘, 암모니아수, 메글루민, 탄산 나트륨, 산화 마그네슘, 탄산 마그네슘, 구연산 나트륨, 삼염기칼슘인산염과 같은 염기성화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방출성 구획에서 산화방지제는 디부틸 히드록시 톨루엔, 부틸레이티드 히드록시아니솔, 초산 토코페롤, 토코페롤, 프로필 갈레이트, 아황산수소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본 발명의 선방출성 구획에서, 용해보조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소르베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류, 도큐세이트 나트륨, 폴록사머(poloxam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착색제, 향료 중에서 선택된 다양한 첨가제로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선택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제를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방출성 구획에서 사용가능한 첨가제의 범위가 상기 첨가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첨가제를 선택에 의하여 통상 범위의 용량을 함유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2. 지연방출성 구획
본 발명에서 지연방출성 구획은 선방출성 구획 활성성분의 방출 일정 시간 후에 그 활성성분이 방출되는 구획을 의미한다. 지연방출성 구획은 (1)약리학적 활성성분인 칸데살탄, 이의 프로드럭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2-1)방출제어물질 또는 (2-2)삼투압 조절제 및 반투과성막 코팅기제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3)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1) 약리학적 활성성분
지연방출성 구획의 약리학적 활성성분은 칸데살탄, 그의 프로드럭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며, 지연방출성 구획 중 활성성분은 단위제제 중 칸데살탄은 약 2 내지 64mg 포함될 수 있으며 4 내지 32mg이 바람직하다.
(2-1)방출제어물질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 중 지연방출성 구획은 장용성 고분자, 수불용성 중합체, 소수성 화합물, 및 친수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방출제어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수불용성 중합체 및 장용성 고분자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방출제어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지연방출성 구획에서 방출제어물질은 칸데살탄 1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100 중량부 사용가능한데, 사용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충분한 지연방출성을 얻을 수 없고, 사용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약물방출이 지연되어 유의성 있는 임상적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상기 장용성 고분자는 pH5 미만의 산성 조건하에서 불용성이거나 또는 안정한 것으로, pH5 이상인 특정 pH 조건하에서 용해되거나 또는 분해되는 고분자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장용성 고분자는 장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장용성 아크릴산계 공중합체, 장용성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장용성 말레인산계 공 중합체 및 장용성 폴리비닐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장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히프로멜로오스아세테이트숙시네이트(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히프로멜로오스프탈레이트(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히드록시메틸에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숙시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말레이트, 셀룰로오스벤조에이트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프탈레이트, 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카르복시메틸에틸셀룰로오스 및 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메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장용성 아크릴산계 공중합체는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산메틸-아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 공중합체(예컨대, 아크릴-이즈), 아크릴산부틸-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아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아크릴산옥틸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장용성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예컨대, 유드라짓 L, 유드라짓 S, 에보닉, 독일), 폴리 (메타크릴산 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예컨대, 유드라짓 L100-55)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장용성 말레인산계 공중합체는 아세트산비닐-말레인산 무수물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인산 무수물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인산모노에스테르 공중합체, 비닐메틸에테르-말레인산 무수물 공중합체, 에틸렌-말레인산 무수물 공중합체, 비닐부틸에테르-말레인산 무수물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크릴산메틸ㆍ말레인산 무수물 공중합체, 및 아크릴산부틸-스티렌-말레인산 무수물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장용성 폴리비닐 유도체는 폴리비닐알콜프 탈레이트, 폴리비닐아세탈프탈레이트, 폴리비닐부틸레이트프탈레이트 및 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다. 본 발명 제제에서, 장용성 고분자는 히프로멜로오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또는 아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장용성 고분자는 칸데살탄 1중량부 대비 0.1~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pH 5 미만에서 쉽게 용해되는 문제점이 있고, 20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제제 총중량이 커지거나 과도하게 용출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수불용성 중합체는 약물의 방출을 제어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물(예를 들면, 정제수)에 용해되지 않는 고분자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수불용성 중합체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예컨대, 콜리코트 SR30D), 수불용성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예컨대,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예컨대, 유드라짓 NE30D),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메틸 메타크릴레이트-트리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클로라이드)공중합체(예컨대, 유드라짓RSPO, RL, RS)등], 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셀룰로오스 에테르,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실레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실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및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제에서 수불용성 중합체는 폴리(에틸 아크릴레이트-메틸 메타크릴레이트-트리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클로라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또는 에틸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수불용성 중합체는 칸데살탄 1중량부 대비 0.1~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0.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약물의 방출이 제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30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과도하게 용출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소수성 화합물은 약물의 방출을 제어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물에 용해되지 않는 물질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소수성 화합물은 지방산 및 지방산 에스테르류, 지방산 알코올류, 왁스류, 무기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며, 상기 지방산 및 지방산 에스테르류는 글리세릴 팔미토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비헤네이트, 세틸 팔미테이트, 글리세릴 모노 올레이트 및 스레아린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지방산 알코올류는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세틸알코올 및 스테아릴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왁스류는 카르나우바왁스, 밀납, 및 미결정왁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무기물질은 탈크, 침강탄산칼슘, 인산일수소칼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카올린,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및 비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제제에서 소수성 화합물은 카르나우바왁스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소수성 화합물은 칸데살탄 대비 0.1~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10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며,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약물의 방출이 제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20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과도하게 용출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약물의 방출을 제어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물에 용해되는 고분자 물질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친수성 고분자는 당류, 셀룰로오스 유도체, 검류, 단백질류, 폴리비닐 유도체, 친수성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유도체,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며, 상기 당류는 덱스트린, 폴리덱스트린, 덱스트란, 펙틴 및 펙틴 유도체, 알긴산염, 폴리갈락투론산, 자일란, 아라비노자일란, 아라비노갈락탄,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아밀로오스, 및 아밀로펙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히프로멜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상기 검류는 구아검, 로커스트 콩 검, 트라가칸타, 카라기난, 아카시아검, 아라비아검, 젤란검, 및 잔탄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상기 단백질류는 젤라틴, 카제인, 및 제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상기 폴리비닐 유도체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폴리비닐아세탈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상기 친수성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폴리(부틸 메타크릴레이트-(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예컨대, 유드라짓E100, 에보닉, 독일)이고; 상기 폴리에틸렌 유도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상기 카르복시비닐폴리머는 카보머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제에서 친수성 고분자는 히프로멜로오스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친수성 고분자는 칸데살탄 1중량부에 대하여 0.05~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0.05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방출속도가 조절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30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방출속도가 조절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30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과도하게 용출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2-2) 삼투압 조절제 및 반투과성막 코팅기제
본 발명의 지연방출성 구획은 삼투압조절제를 포함하며, 반투과성막 코팅기제로 코팅된 구획일 수 있다. 삼투압 조절제에 의한 정제와 소화관 내의 삼투압 차이로 인해 물이 정제 표면의 반투과성막을 통과하여 정제 내의 압력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약물은 삼투 수송 구멍이나 코팅막의 세공을 통하여 방출되거나 코팅 기제의 탄성을 넘는 압력이 발생하면 코팅층이 붕괴되어 방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연방출성 구획에서, 삼투압조절제는 삼투압조절제는 삼투압의 원리를 이용하여 약물의 방출속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성분을 말하며 예컨데, 황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염화나트륨, 염화리튬, 황산칼륨, 황산나트륨, 황산리튬, 황산나트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이다. 바람직 하게는 염화나트륨, 황산나트륨을 사용한다.
여기서, 삼투압조절제는 칸데살탄 1중량부에 0.05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0.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삼투압 발생 효과가 미약한 문제점이 있고, 30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제제 총중량을 증가시키거나 적합한 약물 방출속도를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지연방출성 구획에서, 반투과성막 코팅기제는 약제학적으로 사용가능한 코팅기제로서, 약제학적 제제의 코팅층에 배합하여 일부 성분은 통과시키지만, 다른 성분은 통과시키지 않는 막을 형성하는데 사용하는 물질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반투과성막 코팅기제는 예컨대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수불용성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셀룰로오스 에테르,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실레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실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에서 반투과성막 코팅기제는 에틸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반투과성막 코팅기제는 칸데살탄 1 중량부에 대해서 0.05 중량부 ~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부 ~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0.0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지연 시간을 갖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30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약물의 방출이 일어나지 않거나 지연시간이 9시간 이상이 되어 지나 치게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3)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
본 발명의 제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2-1) 방출제어물질 및 (2-2) 삼투압 조절제 및 반투과성막 코팅기제로 언급한 것 이외의 희석제, 결합제, 붕해제, 윤활제, pH 조절제, 소포제, 용해보조제 등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지연방출성의 성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추가로 사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희석제로 슈가,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유당수화물, 포도당, 만니톨, 디-만니톨, 알기네이트, 알칼리토금속류염, 클레이, 폴리에틸렌글리콜, 무수인산수소칼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결합제로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고분산성 실리카, 만니톨, 자당, 유당수화물,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 히프로멜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천연검, 합성검, 코포비돈, 포비돈, 젤라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붕해제로는 전분글리콘산나트륨,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또는 전호화전분(전젤라틴화전분) 등의 전분 또는 변성전분;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또는 비검(veegum) 등의 클레이; 미결정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알긴산나트륨 또는 알긴산 등의 알긴류; 크로스카멜로스(croscarmellose)나트륨 등의 가교 셀룰로오스류; 구아검, 잔탄검 등의 검류;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crospovidone) 등의 가교 중합체; 중탄산나트륨, 시트르산 등의 비등성 제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윤활제로 탈크,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칼슘, 라우릴황산나트륨, 수소화식물성오일, 나트륨벤조에이트,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나트륨스테아릴푸마레이트,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글리세릴 모노레이트,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팔미토스테아레이트,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로서 pH 조절제는 초산, 아디프산,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빈산 나크륨, 에테르산 나트륨, 사과산, 숙신산, 주석산, 푸마르산, 구연산(시트르산)과 같은 산성화제와 침강 탄산 칼슘, 암모니아수, 메글루민, 탄산 나트륨, 산화 마그네슘, 탄산 마그네슘, 구연산 나트륨, 삼염기칼슘인산염과 같은 염기성화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허용 가능한 첨가제로서 소포제는 디메시콘, 올레일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알지네이트, 시메티콘 에멀젼과 같은 시메티콘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에서, 용해보조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소르베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도큐세이트 나트륨, 폴록사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트리에틸시트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가소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착색제, 향료 중에서 선택된 다양한 첨가제로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선택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제를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첨가제의 범위가 상기 첨가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첨가제는 선택에 의하여 통상 범위의 용량을 함유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연방출제제에서, 결합용매와 지연 방출성 첨가제의 용매로 정제수, 에탄올, 메탄올, 염화메틸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에서, 사용가능한 첨가제의 범위가 상기 첨가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첨가제는 선택에 의하여 통상 범위의 용량을 함유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는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나정, 코팅정, 다층정, 또는 유핵정 등의 정제, 분말제, 과립제, 또는 캡슐제 등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는 선방출성 구획을 이루는 과립 등과 지연방출성 구획을 이루는 과립 등에 선택적으로 첨가제를 후혼합하여 타정한 것으로 단일 정제 내에 선방출성 구획과 지연방출성 구획을 갖게 되어 각각의 구획의 활성성분이 별도로 용출하게 되어 각각의 약효를 나타내게 되는 나정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는 상기 지연방출성 구획과, 이를 둘러싸는 선방출성 구획으로 이루어진 2상의 매트릭스 정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제는 지연방출성 구획으로 이루어진 정제와 상기 정제의 외부를 둘러싸는 선방출성 구획으로 이루어진 필름코팅층으로 구성된 필름코팅정 형태일 수 있으며, 필름코팅층이 용해함에 따라 필름코팅층의 심바스타틴이 먼저 용출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제는 지연방출성 구획과 선방출성 구획을 구성하는 과립물에 약제학적인 첨가제를 혼합하고, 다중 타정기를 사용하여 2중정 혹은 3중정으로 타정하여 얻어진, 지연방출성 구획과 선방출성 구획이 다층구조를 이루는 다층정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다층정을 이루는 각각의 층은 평행한 상태일 수 있다. 이 제제는 층별로 선방출과 지연방출이 가능하도록 제제화된 경구 투여용 정제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제는 지연방출성 구획으로 이루어진 내핵과 상기 내핵의 외면을 둘러싸고 있는 선방출성 구획으로 이루어진 외층으로 구성된 유핵정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유핵정은 반투과성막 유핵정일 수 있으며, 상기 반투과성막 유핵정은 지연방출을 위해 삼투압 조절제를 정제의 내부에 함유하게 하여 타정한 후, 반투과성막 반투막 코팅기제로 정제의 표면을 코팅하여 이를 내핵으로 하고, 선방출성 구획을 구성하는 과립물을 약제학적인 첨가제와 혼합한 뒤 외층으로 하여 타정함으로써 지연방출성의 내핵을 갖고 상기 내핵의 표면을 선방출층이 둘러싼 형태의 제형이다.
본 발명의 제제는 지연방출성 구획으로 이루어진 입자, 과립, 펠렛, 또는 정제와 선방출성 구획으로 이루어진 입자, 과립, 펠렛, 또는 정제를 포함하는 캡슐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캡슐제의 지연방출성 구획으로 이루어진 정제는 삼투압 조절제를 정제 내부에 포함하고, 정제의 표면에 반투과성막 코팅기제를 갖는 반투과성막 코팅정일 수 있다.
상기 캡슐제의 재질은 젤라틴, 숙시네이트 젤라틴, 또는 히프로멜로오스, 그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는 지연방출성 구획, 또는/및 선방출성 구획의 외부에 코팅층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지연방출성 구획, 또는/및 선방출성 구획으로 이루어진 입자, 과립, 펠렛, 또는 정제 등의 표면에 방출지연 또는 제제 안정을 위한 목적으로 코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추가의 코팅이 없는 나정 등의 상태로도 제공되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제제의 외부에 코팅층을 형성시켜,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코팅정 형태의 제제일 수 있다.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활성성분의 안정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는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정제층의 표면에 필름상의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 중에서 당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유동층 코팅법, 팬 코팅법 등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팬 코팅법을 적용할 수 있다.
코팅층은 피막제, 피막 보조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피막제는 히프로멜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당 유도체, 폴리비닐 유도체, 왁스류, 지방류, 젤라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피막 보조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셀룰로 오스, 글리세라이드류, 산화티탄, 탈크, 디에틸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코팅층은 정제 총 중량에 대하여 0.5 ~ 15 중량% 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는 당 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일예로 Chronotherapeutics(2003, Peter Redfern, PhP) 에 개시되어 있는 시간차 투약 원리를 이용하여 제제화 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이하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제 1 단계는 칸데살탄을 장용성 고분자, 수불용성 중합체, 소수성 화합물, 친수성 고분자 중에서 선택된 방출제어물질 1종 또는 2종과 약제학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첨가제를 투여하여 혼합, 연합, 건조, 제립 또는 코팅, 및 타정을 통해 지연방출성 과립 또는 정제를 얻거나, 칸데살탄 을 삼투압조절제와 약제학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첨가제를 투여하여 혼합, 연합, 건조, 정립 또는 타정한 후 반투과성막 코팅기제로 코팅하여 지연방출성 과립 또는 정제를 얻는 단계이다.
제 2 단계는 심바스타틴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의 첨가제를 투여하여 혼합, 연합, 건조, 제립 혹은 코팅, 및 타정을 통해 경구 고형제를 생산하기 위한 통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선방출성 과립 또는 정제를 얻는 단계이다.
제 3 단계는 상기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에서 얻어진 각각의 과립 혹은 정제를 약제학적인 부형제와 혼합하여 타정 또는 충전하여 경구 투여용 제제를 얻는 단계이다.
상기 제 1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는 순서를 바꾸거나, 동시에 실시할 수 있 다.
상기 과정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복합제제가 제조될 수 있으며, 제제화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 2상의 매트릭스 정제의 제조
제 1 단계에서 얻어진 입자 또는 과립을 그대로 또는 방출제어물질로 추가 코팅한 후, 제 2 단계에서 제조한 과립과 혼합하여 일정량의 무게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얻어진 정제를 안정성 또는 성상 개선의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 필름 코팅을 할 수 있다.
[나] 활성성분을 함유한 필름코팅정의 제조
제 1 단계에서 얻어진 코팅정 또는 과립을 그대로 또는 방출제어물질로 추가 코팅하고 건조한 후 일정량으로 타정하여 그대로 혹은 추가로 코팅하여 정제를 제조한 후, 따로 심바스타틴을 수용성의 필름코팅용액에 용해 후 분산시켜 제 1 단계에서 얻은 정제 외층에 코팅함으로써 필름코팅에 활성성분을 함유한 경구투여형 필름코팅정제를 제조할 수 있다.
[다] 다층정의 제조
제 1 단계에서 얻어진 과립을 그대로 또는 방출제어물질로 추가 코팅하고 건조하여 얻은 과립과 제 2 단계에서 얻어진 과립을 타정기를 이용하여 2중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제형설계 또는 필요에 따라 방출 보조층을 추가하여 3중 또는 그 이상의 다층정을 제조하거나 코팅하여 코팅 다층정을 제조할 수 있다.
[라] 유핵정의 제조
제 1 단계에서 얻어진 코팅정 또는 과립을 그대로 또는 방출제어물질로 추가 코팅하고 건조한 후 일정량으로 타정하여 그대로 혹은 추가로 코팅을 하여 내핵으로 한 후, 제 2 단계에서 얻은 과립과 함께 유핵정타정기로 타정하여 1단계 정제의 표면을 선방출층이 둘러싼 형태의 유핵정을 제조하거나 코팅하여 코팅 유핵정을 제조할 수 있다.
[마] 캡슐제(과립 또는 정제 함유)의 제조
제 1 단계에서 얻어진 과립을 그대로 또는 방출제어물질로 추가 코팅하고 건조한 과립 또는 정제와, 제 2 단계에서 얻은 과립 또는 정제를 캡슐충전기에 넣고 일정 크기의 캡슐에 각 주성분 유효량 해당 량만큼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할 수 있다.
[바] 캡슐제(펠렛)의 제조
(1) 칸데살탄 과 방출제어물질, 필요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물, 유기용매, 또는 혼합용매에 용해시키거나 현탁시켜 슈가 시드에 코팅, 건조 후 필요에 따라 방출제어물질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여 물, 유기용매, 또는 혼합용매에 용해시킨 후 코팅, 건조한 후 제 2 단계에서 얻은 과립 또는 제 3 단계에서 얻은 정제와 혼합 후 캡슐충진기로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할 수 있다.
(2) 심바스타틴과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물, 유기용매, 또는 혼합용매에 용해시키거나 현탁시켜 슈가 시드에 코팅, 건조 후 상기(1)의 칸데살탄 을 함유한 방출제어 펠렛과 혼합 후 캡슐충진기로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 할 수 있다.
[사] 키트의 제조
제 1 단계에서 얻어진 칸데살탄 함유 제제와, 제 2 단계에서 얻은 심바스타틴 함유 제제를 호일, 블리스터, 병 등에 같이 충전하여 동시에 복용이 가능한 키트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 제제의 인체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불활성화율 및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일반적으로는 성인에게 칸데살탄 과 심바스타틴의 합계량으로, 1일 7 내지 224 mg 투여하며, 바람직하게는 1일 14 내지 112mg을 투여하여 항압작용과 합병증 예방 작용을 발휘토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를 포유류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를 포유류에게 1일 1회 오후 5시 내지 11시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혈압 및 고지혈증 또는 그로 인한 심혈관계 질환 또는 대사증후군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심혈관계 질환은 심장혈관과 뇌혈관을 포함한 기타 혈관질환을 모두 일컫는 매우 광범위한 질환이다. 심장질환의 종류에는 동맥경화 진행에 의한 허혈성 심장질환(심근경색, 협심증 등)을 대표로 하여 고혈압, 심부전, 부정맥, 심근증, 심내막염 등이 있으며 혈관질환에는 뇌졸중(중풍)과 말초혈관질환 등이 있다. 또 한, 고혈압, 당뇨병, 비만증, 고지혈증, 관상 동맥 질환 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이른바 대사성 증후군을 지닌 자들의 고혈압과 합병증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는 고혈압 및 고지혈증 치료와 합병증 예방에 매우 효과적이며 환자순응도 향상, 약물전달시간의 최적화, 약물상호작용의 회피 및 각 약물의 부작용의 감소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상 매트릭스 정제의 제조
1) 심바스타틴 선방출성 과립의 제조
표1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으로 심바스타틴과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옥수수전분을 35호체로 체과하고 고속혼합기로 혼합하였다. 따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시트르산을 정제수 (1정당 60mg)에 녹여 결합액을 제조하고 이를 주성분 혼합물과 함께 고속혼합기에 투입하고 연합하였다. 연합이 끝나면 18호체로 오실레이터를 이용하여 제립하고 이를 온수 건조기를 이용하여 30 ℃에서 건조하였다. 건조가 끝나면 다시 20호체가 장착된 F형 정립기를 사용하여 정립하여 심바스타틴 선방 출성 과립을 제조하였다.
2) 칸데살탄 실렉세틸의 지연방출성 과립의 제조
표1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으로 유당, 옥수수전분,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을 35호체로 체과하고 더블콘믹서로 혼합하였다. 따로 폴리에틸렌글리콜6000을 정제수 (1정당 310mg)에 녹힌 후 칸데살탄 실렉세틸을 분산시킨 다음 유동층 과립기에 혼합물을 넣고 이 액을 분무하였다. 얻어진 물질에 따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정제수 (1정당 20mg)에 녹인 액을 분무하여 과립을 형성하였다. 따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라우릴설페이트 나트륨을 정제수 (1정당 600mg)에 분산시킨 후 위에서 형성된 과립에 분무하여 과립을 코팅한 다음 건조 하였다. 건조가 끝나면 다시 20호체가 장착된 F형 정립기를 사용하여 정립하여 칸데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과립을 제조하였다.
3) 타정 및 코팅
표1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으로 위의 1), 2)의 방법으로 제조된 두 과립물과 항산화제 부틸레이트 히드록시아니솔을 더블콘믹서에 넣고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넣어 최종 혼합하였다. 최종 혼합물을 로타리 타정기(MRC-33: 세종)를 사용하여 타정하였다. 따로 히프로멜로오스 2910,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산화티탄, 탈크를 정제수 (1정당 350mg)에 용해 및 분산시킨 코팅액을 조제하여 위의 정제를 하이코터(SFC-30N: 세종 기계, 한국)로서 필름 코팅 층 을 형성하여 2상 매트릭스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2상 매트릭스 정제의 제조
1) 심바스타틴 선방출성 과립의 제조
표1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을 이용하여 실시예1의 1) 방법으로 표제의 심바스타틴 선방출성 과립을 제조하였다.
2) 칸데살탄 실렉세틸의 지연방출성 과립의 제조
표1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으로 유당, 옥수수전분,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을 35호체로 체과하고 더블콘믹서로 혼합하였다. 따로 폴리에틸렌글리콜6000을 정제수 (1정당 310mg)에 녹힌 후 칸데살탄 실렉세틸을 분산시킨 다음 유동층 과립기에 혼합물을 넣고 이 액을 분무하였다. 얻어진 물질에 따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정제수 (1정당 20mg)에 녹인 액을 분무하여 과립을 형성하였다. 따로 카르바우나 왁스,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라우릴설페이트 나트륨을 정제수 (1정당 265mg)에 분산시킨 후 위에서 형성된 과립에 분무하여 과립을 코팅한 다음 건조 하였다. 따로 히프로멜로오스를 정제수 (1정당 300mg)에 녹인 액을 분무하여 2차 코팅한다. 건조가 끝나면 다시 20호체가 장착된 F형 정립기를 사용하여 정립하여 칸데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과립을 제조하였다.
3) 타정 및 코팅
표1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을 이용하여, 위의 1) 및 2)의 방법으로 제조된 두과립물을 실시예1의 3)의 방법으로 표제의 2상 매트릭스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다층정 제조
1) 심바스타틴 선 방출성 층의 제조
표1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으로, 심바스타틴과 부형제인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옥수수전분을 35호체로 체과하고 고속혼합기로 혼합하였다. 따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시트르산을 정제수 (1정당 60mg)에 녹여 결합액을 제조하고 이를 주성분 혼합물과 함께 고속혼합기에 투입하고 연합하였다. 연합이 끝나면 18호체로 오실레이터를 이용하여 제립하고 이를 온수 건조기를 이용하여 30 ℃에서 건조하였다. 건조가 끝나면 다시 20호체가 장착된 F형 정립기를 사용하여 정립하였다. 이 정립물을 더블콘믹서에 넣고 부틸레이트 히드록시아니솔을 넣고 혼합 한 뒤 이 혼합물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넣고 최종 혼합하여 심바스타틴 선방출성 층을 제조하였다.
    
2) 칸데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층의 제조
표1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으로, 유당, 옥수수전분,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염화나트륨을 35호체로 체과하고 더블콘믹서로 혼합하였다. 따로 폴리에틸렌글리콜6000을 정제수 (1정당 310mg)에 녹힌 후 칸데살탄 실렉세틸을 분산시킨 다음 유동층 과립기에 혼합물을 넣고 이 액을 분무하였다. 얻어진 물질에 따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정제수 (1정당 20mg)에 녹인 액을 분무하여 과립을 형 성하였다. 따로 에틸셀룰로오스와 유드라짓 RL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에탄올의 1:1 혼합액 (1정당 270mg)에 용해시킨 후 위에서 형성된 과립에 분무하여 과립을 코팅한 다음 건조 하였다. 건조가 끝나면 다시 20호체가 장착된 F형 정립기를 사용하여 정립한다. 상기 정립물을 더블콘 믹서에 넣고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투입한 뒤 혼합하여 칸데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층을 제조하였다.
3) 타정 및 코팅
상기 1)의 반제품을 1차 분말공급기에 넣고, 2)의 반제품을 2차 분말 공급기에 넣어 층간의 혼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으로 다층정 타정기(MRC-37T: 세종)를 사용하여 타정하였다. 따로 히프로멜로오스 2910,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산화티탄, 탈크를 정제수 (1정당 270mg)에 용해 및 분산시킨 코팅액을 조제하여 위의 정제를 하이코터(SFC-30N: 세종 기계, 한국)로서 필름 코팅 층을 형성하여 다층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내지 6: 다층정의 제조
표1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실시예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표제의 다층정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유핵정 제조
1) 심바스타틴 선방출성 과립의 제조
표1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심바스타틴과 부형제인 미결정셀룰로오스, 전분글리콘산 나트륨, 유당, 옥수수전분을 35호체로 체과하고 고속혼합기로 혼합하였다. 따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시트르산을 정제수 (1정당 100mg)에 녹여 결합액을 제조하고 이를 주성분 혼합물과 함께 고속혼합기에 투입하고 연합하였다.
연합이 끝나면 18호체로 오실레이터를 이용하여 제립하고 이를 온수 건조기를 이용하여 30 ℃에서 건조하였다. 건조가 끝나면 다시 20호체가 장착된 F형 정립기를 사용하여 정립하였다. 이 정립물을 더블콘믹서에 넣고 부틸레이트 히드록시아니솔을 넣고 혼합 한 뒤 이 혼합물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넣고 최종 혼합하여 심바스타틴 선방출성 과립을 제조하였다.    
.
2) 칸데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코팅 내핵정의 제조
표1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칸데사르탄 실렉세틸, 유당, 옥수수전분,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을 35호체로 체과하고 고속혼합기로 혼합하였다.
따로 폴리에틸렌글리콜6000,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정제수 (1정당 300mg)에 녹여 결합액을 제조하고 이를 주성분 혼합물과 함께 고속혼합기에 투입하고 연합하였다. 연합이 끝나면 18호체로 오실레이터를 이용하여 제립하고 이를 온수 건조기를 이용하여 30 ℃에서 건조하였다. 건조가 끝나면 다시 20호체가 장착된 F형 정립기를 사용하여 정립하였다. 이 정립물을 더블콘믹서에 넣고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넣고 최종혼합 후 로타리 타정기(MRC-33: 세종)를 사용하여 타정하였다.
타정이 완료된 정제에 히프로멜로오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를 에탄올과 정 제수 (8:2(v/v)) 혼합용매 (1정당 200mg)에 용해시켜 제조한 코팅액으로 코팅하여 칸데사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코팅 내핵정을 제조하였다.
3) 타정 및 코팅
유핵정 타정기(RUD-1: Kilian)를 사용하여 공정2)의 칸데살탄 실렉세틸 코팅 핵정을 내핵정으로 하고 공정1)의 심바스타틴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외층으로 하여 유핵정제의 제조를 완료한 후, 따로 히프로멜로오스 2910,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산화티탄, 탈크를 정제수 (1정당 470mg)에 용해 및 분산시켜 코팅액을 조제하였다. 위의 유핵정을 하이코터(SFC-30N: 세종)에 투입한 후 코팅액으로 코팅하여 필름 코팅 유핵정 제조를 완료하였다.
실시예 8: 유핵정의 제조
1) 심바스타틴 선방출성 과립의 제조
표1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을 이용하여 실시예7의 1) 방법으로 표제의 심바스타틴 선방출성 과립을 제조하였다.
2) 칸데살탄 실렉세틸의 지연방출성 코팅 내핵정의 제조
표1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으로 유당, 옥수수전분,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을 35호체로 체과하고 더블콘믹서로 혼합하였다. 따로 폴리에틸렌글리콜6000을 정제수 (1정당 310mg)에 녹힌 후 칸데살탄 실렉세틸을 분산시킨 다음 유동 층 과립기에 혼합물을 넣고 이 액을 분무하였다. 얻어진 물질에 따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정제수 (1정당 20mg)에 녹인 액을 분무하여 과립을 형성한 다음 건조 하였다. 건조가 끝나면 더블콘믹서에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 라우릴설페이트 나트륨을 투입한 후 혼합한다. 혼합이 끝나면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다시 투입하고 최종혼합을 한 후 로타리 타정기(MRC-33: 세종)를 사용하여 타정하였다. 타정이 완료된 정제를 하이코터(SFC-30N: 세종)에 투입한 후 따로 폴리비닐아세테이트를 정제수 (1정당 360mg)에 용해시켜 제조한 코팅액으로 코팅하여 칸데사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코팅 내핵정을 제조하였다.
3) 타정 및 코팅
표1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을 실시예7의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표제의 필름 코팅 유핵정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유핵정의 제조
1) 심바스타틴 선방출성 과립의 제조
표1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을 이용하여 실시예7의 1) 방법으로 표제의 심바스타틴 선방출성 과립을 제조하였다.
2) 칸데살탄 실렉세틸의 지연방출성 코팅 내핵정의 제조
표1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으로 유당, 옥수수전분,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 스 칼슘을 35호체로 체과하고 더블콘믹서로 혼합하였다. 따로 폴리에틸렌글리콜6000을 정제수 (1정당 310mg)에 녹힌 후 칸데살탄 실렉세틸을 분산시킨 다음 유동층 과립기에 혼합물을 넣고 이 액을 분무하였다. 얻어진 물질에 따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정제수 (1정당 20mg)에 녹인 액을 분무하여 과립을 형성한 다음 건조 하였다. 건조가 끝나면 더블콘믹서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투입하여 최종혼합을 한 후 로타리 타정기(MRC-33: 세종)를 사용하여 타정하였다. 타정이 완료된 정제를 하이코터(SFC-30N: 세종)에 투입한 후 따로 카르바우나 왁스를 정제수 (1정당 80mg)에 용해시켜 제조한 코팅액으로 코팅한 다음 건조 하였다. 추가적으로 히프로멜로오스를 정제수 (1정당 80mg)에 녹인 액을 코팅액으로 하여 2차 코팅하여 칸데사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코팅 내핵정을 제조하였다.
3) 타정 및 코팅
표1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을 실시예7의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표제의 필름 코팅 유핵정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반투과성막 유핵정 제조
1) 심바스타틴 선 방출성 과립의 제조
표 1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실시예 7의 1)의 동일한 방법에 따라 선방출성 과립을 제조하였다.
2) 칸데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반투과성막 코팅 내핵정의 제조
표1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칸데사르탄 실렉세틸, 유당, 옥수수전분,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염화나트륨을 35호체로 체과하고 고속혼합기로 혼합하였다. 따로 폴리에틸렌글리콜6000,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정제수 (1정당 300mg)에 녹여 결합액을 제조하고 이를 주성분 혼합물과 함께 고속혼합기에 투입하고 연합하였다. 연합이 끝나면 18호체로 오실레이터를 이용하여 제립하고 이를 온수 건조기를 이용하여 30 ℃에서 건조하였다. 건조가 끝나면 다시 20호체가 장착된 F형 정립기를 사용하여 정립하였다. 이 정립물을 더블콘믹서에 넣고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넣고 최종혼합 후 로타리 타정기(MRC-33: 세종)를 사용하여 타정하였다. 타정이 완료된 정제에 에틸셀룰로오스를 메틸렌클로라이드와 에탄올의 1:1 (w/w)혼합액 (1정당 200mg)에 용해시켜 제조한 코팅액으로 코팅하여 칸데사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반투과성막 코팅 내핵정을 제조하였다.  
3) 타정 및 코팅
공정2)의 칸데살탄 실렉세틸 반투과성막 코팅 내핵정을 내핵으로 하고 공정1)의 심바스타틴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외층으로 하여 실시예 7의 3) 공정으로 반투과성막 필름 코팅 유핵정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캡슐제 제조 (과립- 펠렛 )
1) 심바스타틴 선방출성 과립의 제조
표 2의 성분 및 함량으로, 실시예 1의 1)의 방법에 따라 과립을 제조 한 후 상기 정립물에 부틸레이트 히드록시아니솔을 더블콘믹서에 넣고 최종혼합 하여 심바스타틴 선방출성 과립을 제조하였다.
2) 칸데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펠렛의 제조
표2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슈가 시드를 35호체로 체과하고 유동층 과립기(GPCG 1: Glatt)에 투입한 뒤, 따로 에탄올과 정제수 (8:2(v/v)) 혼합용매 (1정당 530mg)에 칸데살탄 실렉세틸,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폴리에틸렌글리콜6000을 용해시킨 결합액을 분무하여 칸데살탄 실렉세틸 함유 펠렛을 형성, 건조하였다. 다시 상기의 과립에 히프로멜로오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를 에탄올과 염화메틸렌 (1:1(w/w)) 혼합용매 (1정당 760mg)에 녹인 액을 분무하여 칸데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펠렛을 제조하였다.
3) 혼합 및 캡슐 충전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공정 1)과 2)의 최종 조성물을 더블콘믹서로 혼합하였다. 혼합물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투입하고 더블콘믹서로 최종 혼합하였다. 최종 혼합된 혼합물을 분말 공급기에 투입하고 캡슐충전기를 이용하여 제1호의 경질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형태의 제어 방출 제제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실시예 12: 캡슐제 제조 ( 팰렛 - 펠렛 )
1) 심바스타틴 선방출성 팰렛의 제조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슈가 시드를 35호체로 체과하고 유동층 과립기(GPCG 1: Glatt)에 투입한 뒤, 따로 에탄올 (1정당 100mg)에 시트르산, 용해시킨 후 이 용액에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과 심바스타틴을 용해시킨 결합액을 분무, 건조하여 심바스타틴 함유 선방출성 펠렛을 제조하였다.
2) 칸데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펠렛의 제조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슈가 시드를 35호체로 체과하고 유동층 과립기(GPCG 1: Glatt)에 투입한 뒤, 따로 에탄올과 정제수 (8:2(v/v)) 혼합용매 (1정당 530mg)에 칸데살탄 실렉세틸,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폴리에틸렌글리콜6000을 용해시킨 결합액을 분무하여 칸데살탄 실렉세틸 함유 펠렛을 형성, 건조하였다. 다시 상기의 과립에 아크릴이즈를 정제수 (1정당 500mg)에 녹인 액을 분무하여 칸데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펠렛을 제조하였다.        
3) 혼합 및 캡슐 충전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공정 1)과 2)의 최종 조성물을 더블콘믹서로 혼합하였다. 혼합물에 부틸레이트 히드록시아니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투입하고 더블콘믹서로 최종 혼합하였다. 최종 혼합된 혼합물을 분말 공급기에 투입하 고 캡슐충전기를 이용하여 제1호의 경질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형태의 제어 방출 제제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실시예 13: 캡슐제 제조 (정제- 펠렛 )
1) 심바스타틴 선방출성 정제의 제조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실시예 11의 1)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심바스타틴 선방출성 과립과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더블콘믹서에 넣고 최종 혼합한 후 로타리 타정기 (MRC-33:  세종기계, 한국)를 사용하여 타정하여 선방출성 정제를 제조하였다.
2) 칸데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펠렛의 제조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슈가 시드를 35호체로 체과하고 유동층 과립기(GPCG 1: Glatt)에 투입한 뒤, 따로 에탄올과 정제수 (8:2(v/v)) 혼합용매 (1정당 530mg)에 칸데살탄 실렉세틸,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폴리에틸렌글리콜6000을 용해시킨 결합액을 분무하여 칸데살탄 실렉세틸 함유 펠렛을 형성, 건조하였다. 다시 상기의 과립에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히프로멜로오스를 에탄올과 염화메틸렌 (1:1)(w/w)혼합용매 (1정당 550mg)에 녹인 액을 분무하여 칸데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펠렛을 제조하였다.
3) 혼합 및 캡슐 충전
실시예 11의 3)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캡슐제 제조 (과립-과립)
1) 심바스타틴 선방출성 과립의 제조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실시예 11의 1)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2) 칸데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과립의 제조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유당, 옥수수전분,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을 35호체로 체과하고 더블콘믹서로 혼합하였다. 따로 폴리에틸렌글리콜6000을 정제수 (1정당 310mg)에 녹인 후 칸데살탄 실렉세틸을 분산시킨 다음 유동층 과립기에 혼합물을 넣고 이 액을 분무하였다. 얻어진 물질에 따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정제수 (1정당 20mg)에 녹인 액을 분무하여 과립을 형성하였다. 따로 히프로멜로오스를 정제수(1정당 500mg)에 분산시킨 후 위에서 형성된 과립에 분무하여 과립을 코팅한 다음 건조 하였다. 건조가 끝나면 다시 20호체가 장착된 F형 정립기를 사용하여 정립하여 칸데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과립을 제조하였다.        
3) 혼합 및 캡슐 충전
실시예 11의 3)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캡슐제 제조 ( 팰렛 -과립)
1) 심바스타틴 선방출성 팰렛의 제조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실시예 12의 1)의 방법에 따라 제조 하였다.
 
2) 칸데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과립의 제조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유당, 옥수수전분,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염화나트륨을 35호체로 체과하고 더블콘믹서로 혼합하였다. 따로 폴리에틸렌글리콜6000을 정제수 (1정당 350mg)에 녹인 후 칸데살탄 실렉세틸을 분산시킨 다음 유동층 과립기에 혼합물을 넣고 이액을 분무하였다. 얻어진 물질에 따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정제수 (1정당 20mg)에 녹인 액을 분무하여 과립을 형성하였다. 따로 에틸셀룰로오스를 메틸렌클로라이드와 에탄올의 1:1(w/w) 혼합액 (1정당 300mg)에 용해시킨 후 위에서 형성된 과립에 분무하여 과립을 코팅한 다음 건조 하였다. 건조가 끝나면 다시 20호체가 장착된 F형 정립기를 사용하여 정립하여 칸데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과립을 제조하였다.
3) 혼합 및 캡슐 충전
실시예 12의 3)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캡슐제 제조 (정제-과립)
1) 심바스타틴 선방출성 정제의 제조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실시예 13의 1)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2) 칸데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과립의 제조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실시예14의 2)방법 중 히프로멜로오스 이용한 코팅액 대신에, 히프로멜로오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를 에탄올과 정제수 (8:2(v/v)) 혼합용매 (1정당 500mg)에 용해시킨 코팅액을 조제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의 2)의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칸데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과립을 제조하였다.
3) 혼합 및 캡슐 충전
실시예 11의3)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캡슐제 제조 (과립-정제)
1) 심바스타틴 선방출성 과립의 제조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실시예 11의 1)의 방법에 따라 제조 하였다.
2) 칸데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정제의 제조
표 2에 기재된성분 및 함량으로, 실시예 7의 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칸데살탄실렉세틸 나정을 타정한다. 타정이 완료된 정제를 하이코터(SFC-30N: 세종)에 투입한 후 따로 카르바우나 왁스를 정제수 (1정당 65mg)에 용해시켜 제조한 코팅액 으로 코팅한 다음 건조 하였다. 추가적으로 히프로멜로오스를 정제수 (1정당 65mg)에 녹인 액을 코팅액으로 하여 2차 코팅하여 칸데사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정제를 제조하였다.
3) 혼합 및 캡슐 충전
실시예 11의 3)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18: 캡슐제 제조 ( 팰렛 -정제)
1) 심바스타틴 선방출성 팰렛의 제조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실시예 12의 1)의 방법에 따라 제조 하였다.
2) 칸데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정제의 제조
표 2에 기재된성분 및 함량으로, 실시예 7의 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칸데살탄실렉세틸 나정을 타정한다. 타정이 완료된 정제를 하이코터(SFC-30N: 세종)에 투입한 후 따로 유드라짓 RL을 정제수 (1정당 40mg)에 용해시켜 제조한 코팅액으로 코팅한 다음 건조 하였다. 추가적으로 아크릴이즈를 정제수 (1정당 150mg)에 녹인 액을 코팅액으로 하여 2차 코팅하여 칸데사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정제를 제조하였다.
3) 혼합 및 캡슐 충전
실시예 12의 3)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19: 캡슐제 제조 (정제-정제)
1) 심바스타틴 선방출성 정제의 제조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실시예 13의 1)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2) 칸데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정제의 제조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실시예 7의 2)의 방법에 따라 칸데살탄 실렉세틸 나정을 타정한다. 타정이 완료된 정제를 하이코터(SFC-30N: 세종)에 투입한 후 따로 폴리비닐아세테이트를 에탄올과 염화메틸렌 (1:1(w/w))혼합용매 (1정당 250mg)에 녹인 액을 조제하여 위의 나정을 하이코터(SFC-30N, 세종)에 투입한 후 코팅액으로 코팅하여 칸데살탄 실렉세틸 지연방출성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 충전
공정 1)과 2)의 최종 조성물을 더블콘믹서로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분말 공급기에 투입하고 캡슐충전기를 이용하여 충전하여 캡슐형태의 제어 방출 제제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실시예 20: 칸데살탄 실렉세틸 - 심바스타틴 블러스터 포장 키트
실시예 3의 1) 심바스타틴 선방출 과립과 실시예3의 2) 칸데살탄 실렉세틸 시간차 방출 과립 최종 조성물을 혼합하여 타정하는 대신에 각각 로타리 타정기(MRC-33: 세종)를 사용하여 타정하고 블리스터 포장용기에 각각의 정제가 포함되어 동시복용 가능하도록 포장하였다.
[표 1]
Figure 112009025939911-PAT00001
Figure 112009025939911-PAT00002
[표 2]
Figure 112009025939911-PAT00003
Figure 112009025939911-PAT00004
실험예 1 : 비교 용출시험(comparative dissolution profile test)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심바스타틴/칸데살탄 2상 매트릭스 정제이며 이와 각 성분 단일제 대조약(조코정, 한국 MSD: 심바스타틴 단일제 / 아타칸정, 한국아스트라제네카: 칸데살탄 단일제)의 비교 용출시험을 실시하였다. 심바스타틴 성분 용출시험의 경우 미국약전 (USP31)에 근거하여 용출시험을 진행하였고, 칸데살탄 성분 용출 시험의 경우 칸데살탄이 난용성 물질이므로 계면 활성제 폴리소르베이트 80을 1% 농도로 용출액에 첨가하여 120분을 기점으로 용출액을 인공 위액에서 인공 장액으로 변경하여 총 360분간 용출시험을 진행하였다. 각 성분의 용출시 험 방법은 아래와 같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심바스타틴 선방출 구획 시험방법]
용출시험 근거: 미국약전(USP30)중의 '심바스타틴 정제'항
시험 방법: 패들법(Paddle method), 50회전/분
시험약: pH=7.0 완충액 (조성 = 계면활성제로서 라우릴설페이트 나트륨 0.5% 중량/중량을 함유하는 0.01M 인산이수소나트륨 용액), 900mL
분석 방법: 자외가시부흡광광도법 (검출 파장 = 최대 247, 최소 257nm) 
[칸데살탄 시간차 방출 구획 시험방법]
용출시험 근거: 대한약전 제 8개정 중 일반시험법의 용출시험법
시험 방법: 패들법, 50회전/분
시험약: 1% 폴리소르베이트80을 함유한 0.01M 염산용액, 750mL (인공위액) / 1% 폴리소르베이트80을 함유한 pH 6.8 인산완충액, 총 1000mL (인공장액)
분석 방법: 자외가시부흡광광도법
도 1에 의하면 상기 용출 시험 시 본 발명의 2상 매트릭스 정제 심바스타틴 성분은 대조 제제인 조코정과 비교하여 거의 동등한 용출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칸데살탄 성분은 대조 제제인 아타칸정과 비교할 때 매우 지연된 용출 속도를 확인 할 수 있다. 칸데살탄 성분의 용출 시험 결과를 보면, 인공 위액 구간인 120분까지의 칸데살탄 성분의 용출률은 본 발명의 심바스타틴/칸데살탄 2상 매트릭스 정제에서 칸데살탄 총량의 30% 이내이나, 대조 제제는 약 70%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후 인공 장액 구간에서 칸데살탄 성분의 용출률은 대조제제에서 총 150분에 100%이나, 본 발명의 심바스타틴/칸데살탄 2상 매트릭스 정제에서는 총 150분에 약 40%로 훨씬 느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비교 용출시험(comparative dissolution profile test)
상기 실시예 3 내지 6에서 제조된 약제학적 제제(다층정)에서의 칸데살탄의 비교 용출시험을 실시하였다. 칸데살탄의 용출시험 방법은 실험예 1과 같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의하면 실험예 1의 조건에서 용출 시험 시 본 발명의 다층정은 에틸셀룰로오스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칸데살탄 성분이 다소 지연된 용출 속도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에틸셀룰로오스를 사용하여 코팅한 본발명의 약제학적 제제에서 칸데사르탄의 용출률은 용출시험 시작후 150분까지 40% 이내였다.
실험예 3 : 비교 용출시험(comparative dissolution profile test)
상기 실시예 7에 따라 제조된 심바스타틴/칸데살탄 유핵정과 각 성분 단일제 대조약(조코정, 한국 MSD: 심바스타틴 단일제 / 아타칸정, 한국 아스트라제네카: 칸데살탄 단일제)의 비교 용출시험을 실시하였다. 각 성분별 용출시험 방법은 실험 예 1과 같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의하면 상기 용출 시험 시 본 발명의 유핵정 중 심바스타틴 성분은 대조 제제인 조코정과 비교하여 거의 동등한 용출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칸데살탄 성분은 대조 제제인 아타칸와 비교할 때 실험예 1과 같이 매우 지연된 용출 속도를 확인 할 수 있다.
실험예 4 : 비교 용출시험(comparative dissolution profile test)
상기 실시예 10에 따라 제조된 심바스타틴/칸데살탄 반투과성막 유핵정과 각 성분 단일제 대조약(조코정, 한국 MSD: 심바스타틴 단일제 / 아타칸정, 한국 아스트라제네카: 칸데살탄 단일제)의 비교 용출시험을 실시하였다. 각 성분별 용출시험 방법은 실험예 1과 같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의하면 실험 예 1의 조건에서 용출 시험 시 본 발명의 반투과성막 유핵정 중 심바스타틴 성분은 대조 제제인 조코정과 비교하여 거의 동등한 용출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칸데살탄 성분은 대조 제제인 아타칸정과 비교할 때 매우 지연된 용출 속도를 확인 할 수 있다.
실험예 5 : 비교 용출시험(comparative dissolution profile test)
상기 실시예 12, 14에 따라 제조된 심바스타틴/칸데살탄 캡슐제(펠렛-펠렛) 또는 캡슐제(과립-과립)이며 이와 각 성분 단일제 대조약(조코정, 한국 MSD: 심바스타틴 단일제 / 아타칸정, 한국 아스트라제네카: 칸데살탄 단일제)의 비교 용출시 험을 실시하였다. 각 성분별 용출시험 방법은 실험예 1과 같으며, 그 결과를 도 5와 같이 나타내었다.
도 5에 의하면 실험 예 1의 조건에서 용출 시험 시 본 발명의 캡슐제(펠렛-펠렛),(과립-과립)중 심바스타틴 성분은 대조 제제인 조코정과 비교하여 거의 동등한 용출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에 반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에서 칸데살탄은 대조 제제인 아타칸와 비교할 때 매우 지연된 용출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는 대조약인 칸데살탄 단일제와 심바스타틴 단일제를 동시 복용하였을 경우의 용출 양상과는 달리 칸데살탄의 초기 방출이 심바스타틴보다 매우 느리기 때문에 심바스타틴이 먼저 간에서 대사를 받은 후 대사 관련 효소인 사이토크롬 P450이 재생될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약제학적 제제이다.
도 1은 조코(심바스타틴 단일제), 아타칸(칸데살탄 단일제), 실시예 1의 제제의 용출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3 내지6의 제제의 용출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시판중인 조코(심바스타틴 단일제), 아타칸(칸데살탄 단일제), 실시예 7의 제제 용출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시판중인 조코(심바스타틴 단일제), 아타칸(칸데살탄 단일제), 실시예 10의 제제의 용출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은 조코(심바스타틴 단일제), 아타칸(칸데살탄 단일제), 실시예 12 및 14의 제제의 용출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39)

  1. 약리학적 활성성분으로 심바스타틴(Simvastatin), 그의 이성질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하는 염을 포함하는 선방출성 구획, 및 약리학적 활성성분으로 칸데살탄 (Candesartan), 그의 프로드럭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하는 염을 포함하는 지연방출성 구획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바스타틴이 용출 개시 후 30분 이내에 심바스타틴 총량의 80% 이상이 방출되는 약제학적 제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칸데살탄이 경구투여시 심바스타틴 용출개시 후 2시간까지 단위제제 내 칸데살탄 총량의 35% 이내로 방출되는 약제학적 제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칸데살탄 프로드럭이 칸데살탄 실렉세틸인 약제학적 제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바스타틴은 단위제제 중 1 내지 160mg 인 약제학적 제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칸데살탄은 단위제제 중 2 내지 64mg인 약제학적 제 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방출성 구획은 장용성 고분자, 수불용성 중합체, 소수성 화합물 및 친수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방출제어물질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제어물질이 장용성 고분자 및 수불용성 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약제학적 제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제어물질이 칸데살탄 1중량부에 대하여 0.05중량부 내지 10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약제학적 제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용성 고분자는 장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장용성 아크릴산계 공중합체, 장용성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장용성 말레인산계 공중합체 및 장용성 폴리비닐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약제학적 제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히프로멜로오스아세테이트숙시네이트, 히프멜로오스프탈레이트, 히드록시메틸에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숙시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말레이트, 셀룰로오스벤조에이트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프 탈레이트, 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카르복시메틸에틸셀룰로오스, 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및 메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장용성 아크릴산계 공중합체는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산메틸-아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산부틸-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아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아크릴산옥틸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장용성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 (메타크릴산 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장용성 말레인산계 공중합체는 아세트산비닐-말레인산 무수물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인산 무수물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인산모노에스테르 공중합체, 비닐메틸에테르-말레인산 무수물 공중합체, 에틸렌-말레인산 무수물 공중합체, 비닐부틸에테르-말레인산 무수물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크릴산메틸ㆍ말레인산 무수물 공중합체 및 아크릴산부틸-스티렌-말레인산 무수물 공중합체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또는 상기 장용성 폴리비닐 유도체는 폴리비닐알콜프탈레이트, 폴리비닐아세탈프탈레이트, 폴리비닐부틸레이트프탈레이트, 및 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약제학적 제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장용성 고분자가 히프로멜로오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또는 아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인 약제학적 제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용성 고분자가 칸데살탄 1 중량부에 대해서 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인 약제학적 제제.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불용성 중합체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불용성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셀룰로오스 에테르,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실레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실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및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약제학적 제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불용성 중합체는 수불용성 폴리메타크릴레이트인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메틸 메타크릴레이트-트리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클로라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또는 에틸셀룰로오스 인 약제학적 제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불용성 중합체가 칸데살탄 1 중량부에 대해서 0.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인 약제학적 제제.
  1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화합물은 지방산 및 지방산 에스테르류, 지방산 알코올류, 왁스류 및 무기물질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약제학적 제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및 지방산 에스테르류로는 글리세릴 팔미토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비헤네이트, 세틸 팔미테이트, 글 리세릴 모노 올레이트 및 스테아린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이고; 상기 지방산 알코올류는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세틸알코올 및 스테아릴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이며; 상기 왁스류는 카르나우바왁스, 밀납 및 미결정왁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이고; 상기 무기물질은 탈크, 침강탄산칼슘, 인산일수소칼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카올린,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및 비검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약제학적 제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소수성 화합물이 칸데살탄 1 중량부에 대해서 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인 약제학적 제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화합물이 카르나우바왁스인 약제학적 제제.
  2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당류, 셀룰로오스 유도체, 검류, 단백질류, 폴리비닐 유도체, 친수성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유도체 및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약제학적 제제.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당류는 덱스트린, 폴리덱스트린, 덱스트란, 펙틴 및 펙틴 유도체, 알긴산염, 폴리갈락투론산, 자일란, 아라비노자일란, 아라비노갈락탄,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아밀로오스 및 아밀로펙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히프로멜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 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및 히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검류는 구아검, 로커스트 콩검, 트라가칸타, 카라기난, 아카시아검, 아라비아검, 젤란검 및 잔탄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단백질류는 젤라틴, 카제인 및 제인 중에서 선택 1종 이상이며; 상기 폴리비닐 유도체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폴리비닐아세탈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친수성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폴리(부틸 메타크릴레이트-(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이고; 상기 폴리에틸렌 유도체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카르복시비닐폴리머는 카보머인 것인 약제학적 제제.
  23. 제 21 항에 있어서, 친수성 고분자는 히프로멜로스 인 약제학적 제제.
  24. 제 21 항에 있어서, 친수성 고분자가 칸데살탄 1 중량부에 대해서 0.05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인 약제학적 제제.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방출성 구획은 삼투압 조절제를 포함하며 반투과성막 코팅기제로 코팅된 것인 약제학적 제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삼투압 조절제는 황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염화나트륨, 염화리튬, 황산칼륨, 황산나트륨, 황산리튬, 황산나트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약제학적 제제.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삼투압 조절제는 염화나트륨, 황산나트륨인 약제학적 제제.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성막 코팅기제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수불용성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셀룰로오스 에테르,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실레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실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약제학적 제제.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성막 코팅기제는 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인 약제학적 제제.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상기 지연방출성 구획과, 이를 둘러싸는 선방출성 구획으로 이루어진 2상의 매트릭스 정제 형태인 약제학적 제제.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지연방출성 구획으로 이루어진 정제와 상기 정제의 외부를 둘러싸는 선방출성 구획으로 이루어진 필름코팅층으로 구성된 필름코팅정 형태인 약제학적 제제.
  3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상기 지연방출성 구획과 상기 선방출성 구획이 층을 이루는 다층정 형태인 약제학적 제제.
  3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지연방출성 구획으로 이루어진 내핵과, 상기 내핵의 외면을 둘러싸고 있는 선방출성 구획으로 이루어진 외층으로 구성된 유핵정 형태인 약제학적 제제.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유핵정은 반투과성막 유핵정인 약제학적 제제.
  3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지연방출성 구획으로 이루어진 입자, 과립, 펠렛, 또는 정제와, 선방출성 구획으로 이루어진 입자, 과립, 펠렛, 또는 정제를 포함하는 캡슐제 형태인 약제학적 제제.
  3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방출성 구획, 또는 상기 선방출성 구획 중 하나 이상의 외부에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제.
  37.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에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코팅정 형태인 약제학적 제제.
    형태인 약제학적 제제.
  3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오후 5시 내지 11시 투여용인 약제학적 제제.
  39. 제 1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의 약제학적 제제를 포유류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치료방법.
KR1020090037374A 2008-04-29 2009-04-29 심혈관계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 KR200901143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39864 2008-04-29
KR1020080039864 2008-04-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322A true KR20090114322A (ko) 2009-11-03

Family

ID=41255555

Famil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380A KR101238156B1 (ko) 2008-04-29 2009-04-29 약제학적 제제
KR1020090037371A KR101205633B1 (ko) 2008-04-29 2009-04-29 심혈관계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
KR1020090037373A KR20090114321A (ko) 2008-04-29 2009-04-29 심혈관계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
KR1020090037372A KR20090114320A (ko) 2008-04-29 2009-04-29 심혈관계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
KR1020090037422A KR20090114333A (ko) 2008-04-29 2009-04-29 약제학적 제제
KR1020090037375A KR20090114323A (ko) 2008-04-29 2009-04-29 약제학적 제제
KR1020090037374A KR20090114322A (ko) 2008-04-29 2009-04-29 심혈관계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
KR1020090037381A KR20090114329A (ko) 2008-04-29 2009-04-29 약제학적 제제
KR1020090037376A KR20090114324A (ko) 2008-04-29 2009-04-29 약제학적 제제
KR1020090037379A KR101230731B1 (ko) 2008-04-29 2009-04-29 약제학적 제제
KR1020090037377A KR20090114325A (ko) 2008-04-29 2009-04-29 약제학적 제제
KR1020090037420A KR20090114331A (ko) 2008-04-29 2009-04-29 약제학적 제제
KR1020090037421A KR20090114332A (ko) 2008-04-29 2009-04-29 약제학적 제제
KR1020090037382A KR20090114330A (ko) 2008-04-29 2009-04-29 약제학적 제제
KR1020090037378A KR20090114326A (ko) 2008-04-29 2009-04-29 약제학적 제제

Family Applications Before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380A KR101238156B1 (ko) 2008-04-29 2009-04-29 약제학적 제제
KR1020090037371A KR101205633B1 (ko) 2008-04-29 2009-04-29 심혈관계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
KR1020090037373A KR20090114321A (ko) 2008-04-29 2009-04-29 심혈관계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
KR1020090037372A KR20090114320A (ko) 2008-04-29 2009-04-29 심혈관계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
KR1020090037422A KR20090114333A (ko) 2008-04-29 2009-04-29 약제학적 제제
KR1020090037375A KR20090114323A (ko) 2008-04-29 2009-04-29 약제학적 제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381A KR20090114329A (ko) 2008-04-29 2009-04-29 약제학적 제제
KR1020090037376A KR20090114324A (ko) 2008-04-29 2009-04-29 약제학적 제제
KR1020090037379A KR101230731B1 (ko) 2008-04-29 2009-04-29 약제학적 제제
KR1020090037377A KR20090114325A (ko) 2008-04-29 2009-04-29 약제학적 제제
KR1020090037420A KR20090114331A (ko) 2008-04-29 2009-04-29 약제학적 제제
KR1020090037421A KR20090114332A (ko) 2008-04-29 2009-04-29 약제학적 제제
KR1020090037382A KR20090114330A (ko) 2008-04-29 2009-04-29 약제학적 제제
KR1020090037378A KR20090114326A (ko) 2008-04-29 2009-04-29 약제학적 제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5) KR101238156B1 (ko)
WO (3) WO200913408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804B1 (ko) * 2010-05-14 2013-03-29 한미사이언스 주식회사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및 이베살탄을 포함하는 이층정 약제학적 복합제제
SI2787993T1 (sl) * 2011-12-09 2017-04-26 Ims Medical D.O.O. Tretiranje arterijskih sten s kombinacijo raas zaviralcev in zaviralcev hmg-coa reduktaze
KR20130076015A (ko) 2011-12-28 2013-07-08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높은 경도를 갖는 속붕정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30505A (ko) * 2012-08-31 2014-03-12 한미약품 주식회사 이베살탄 및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캡슐 복합제제
KR20140028971A (ko) * 2012-08-31 2014-03-10 한미약품 주식회사 아토바스타틴, 이르베살탄 및 탄산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이층정 복합제제
KR20160105662A (ko) * 2015-02-27 2016-09-07 대원제약주식회사 에페리손과 펠루비프로펜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145853B1 (ko) * 2018-06-19 2020-08-19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실로스타졸과 스타틴계약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42626B1 (ko) 2019-06-26 2019-11-11 한미약품 주식회사 이베살탄 및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캡슐 복합제제
KR102104507B1 (ko) * 2019-08-23 2020-04-24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주) 팔미토일-l-프롤릴-l-프롤릴-글리실-l-타이로신 나트륨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4910B1 (ko) * 2021-01-11 2021-09-27 알리코제약(주) 칸데사르탄을 함유하는 안정한 약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2508A (ko) * 1997-07-31 2001-03-15 추후보정 3-히드록시-3-메틸글루타릴 조효소 a 환원 효소 억제제와니코틴산 화합물의 조성물 및 야간에 1일 1회 투여하여고지질혈증을 치료하는 방법
US6682759B2 (en) * 2002-02-01 2004-01-27 Depomed, Inc. Manufacture of oral dosage forms delivering both immediate-release and sustained-release drugs
US20050013863A1 (en) * 2003-07-18 2005-01-20 Depomed, Inc., A Corporation Of The State Of California Dual drug dosage forms with improved separation of drugs
KR100582347B1 (ko) * 2004-12-30 2006-05-22 한미약품 주식회사 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릴 조효소 a 환원효소 억제제및 고혈압 치료제의 복합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48825B1 (ko) * 2005-02-22 2006-11-24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당뇨병 환자의 동맥경화증 예방을 위한 혈당강하제, 에이치엠지이-씨오에이 환원효소 저해제 및 장용코팅된 아스피린을 함유하는 복합 펠렛
KR100762847B1 (ko) * 2006-01-27 2007-10-04 씨제이 주식회사 멀티플 유닛 타입 서방성 경구 제제 및 그 제조방법
WO2008023869A1 (en) * 2006-08-24 2008-02-28 Hanall Pharmaceutical Co., Ltd. Combined pharmeceutical formulation with controlled-release comprising dihydropyridine calcium channel blockers and hmg-coa reductase inhibi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319A (ko) 2009-11-03
KR101238156B1 (ko) 2013-02-27
KR20090114328A (ko) 2009-11-03
KR20090114332A (ko) 2009-11-03
WO2009134086A3 (ko) 2010-01-21
WO2009134079A3 (ko) 2010-01-21
WO2009134086A2 (ko) 2009-11-05
WO2009134086A9 (ko) 2010-03-11
KR20090114331A (ko) 2009-11-03
WO2009134076A3 (ko) 2010-02-18
WO2009134079A9 (ko) 2010-03-11
KR101230731B1 (ko) 2013-02-07
KR20090114320A (ko) 2009-11-03
KR20090114329A (ko) 2009-11-03
KR20090114324A (ko) 2009-11-03
KR20090114325A (ko) 2009-11-03
KR20090114333A (ko) 2009-11-03
KR101205633B1 (ko) 2012-11-27
KR20090114321A (ko) 2009-11-03
KR20090114327A (ko) 2009-11-03
WO2009134079A2 (ko) 2009-11-05
KR20090114330A (ko) 2009-11-03
KR20090114323A (ko) 2009-11-03
KR20090114326A (ko) 2009-11-03
WO2009134076A2 (ko)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633B1 (ko) 심혈관계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
CA2664893C (en) Controlled release complex composition comprising angiotensin-ii-receptor blockers and hmg-coa reductase inhibitors
KR101181172B1 (ko) 방출성이 제어된 시간차 투여 약제학적 제제
US20110111022A1 (en) Pharmaceutical formulation
KR101164300B1 (ko) 약제학적 제제
KR20090091075A (ko) 심혈관계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
KR20090107959A (ko) 약제학적 제제
KR20110129405A (ko) 약제학적 제제
KR20090107960A (ko) 심혈관계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
KR20110117758A (ko) 베타 아드레날린 차단제 및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제
KR20090107961A (ko) 심혈관계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
KR20090107953A (ko) 약제학적 제제
KR20090107952A (ko) 약제학적 제제
KR20090107956A (ko) 약제학적 제제
KR20090107955A (ko) 약제학적 제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