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825B1 - 당뇨병 환자의 동맥경화증 예방을 위한 혈당강하제, 에이치엠지이-씨오에이 환원효소 저해제 및 장용코팅된 아스피린을 함유하는 복합 펠렛 - Google Patents

당뇨병 환자의 동맥경화증 예방을 위한 혈당강하제, 에이치엠지이-씨오에이 환원효소 저해제 및 장용코팅된 아스피린을 함유하는 복합 펠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825B1
KR100648825B1 KR1020050014306A KR20050014306A KR100648825B1 KR 100648825 B1 KR100648825 B1 KR 100648825B1 KR 1020050014306 A KR1020050014306 A KR 1020050014306A KR 20050014306 A KR20050014306 A KR 20050014306A KR 100648825 B1 KR100648825 B1 KR 100648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mg
aspirin
coa reductase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3467A (ko
Inventor
유창훈
길영식
김혜경
정상영
안기영
양근우
신현모
박상만
하대철
Original Assignee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4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825B1/ko
Publication of KR20060093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26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noise generated by amplify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65A filter circuit coupled to the input of an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92A hybrid coupler being used at the input of an amplifier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04A hybrid coupler being used at the output of an amplifier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72Noise reduction and elimination in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suitable for CATV appl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피린, 혈당강하제 및 HMG-CoA 환원 효소 저해제를 포함하는 복합 펠렛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아스피린을 포함하는 주층의 외부에 장용 코팅 및 HMG-CoA 환원 효소제와 혈당강하제로 외부 코팅이 된 복합 펠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펠렛은 40 내지 55 중량%의 불활성 설탕 입자에 25 내지 35 중량%의 아스피린으로 코팅된 주층; 상기 주층의 외부에 10 내지 15 중량%의 장용기제로 코팅된 장용 기제층;및 상기 장용 기제층의 외부에 0.2 내지 2.5 중량%의 설포닐우레아계 혈당강하제와 2.5 내지 15 중량%의 HMG-CoA 환원 효소 저해제로 코팅된 외층을 포함하고, 상기에서 혈당강하제는 설포닐우레아계(sulfonyl urea) 약물 중 글리벤클라미드(glibenclamide), 글리메피리드(glimepiride)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약물이며, HMG-CoA 환원 효소 저해제는 심바스타틴, 아토바스타틴 칼슘 및 로슈바스타틴 칼슘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약물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펠렛, 아스피린, 혈당강하제,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

Description

당뇨병 환자의 동맥경화증 예방을 위한 혈당강하제, 에이치엠지이-씨오에이 환원효소 저해제 및 장용코팅된 아스피린을 함유하는 복합 펠렛 {A Formulation of single dosage form containing hypoglycemic agents, HMG-CoA reductase inhibitors and enteric coated Aspirin for the prevention of atherosclerosis in diabetic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펠렛을 형성하는 층들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스피린, 혈당강하제 및 HMG-CoA 환원 효소 저해제를 포함하는 복합 펠렛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아스피린을 포함하는 주층의 외부에 장용 코팅 및 HMG-CoA 환원 효소제와 혈당강하제로 외부 코팅이 된 복합 펠렛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이란 유전적 또는 비만, 잘못된 식습관등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인슐린 분비 부족이나 인슐린에 대한 세포 반응성 저하로 음식물이 소화되어 얻어지는 포도당이 우리 몸에서 적절하게 사용되지 못하고 혈액내에 축적되는 질병이다.
당뇨병은 인슐린 의존형(제 1형)과 인슐린 비의존형(제 2형)으로 분류되며 제 2형 당뇨병이 한국인 당뇨병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당뇨병 치료를 위하여 혈당강하제가 주로 사용되고, 그 중 경구용 혈당강하제는 일반적으로 설포닐우레아계(sulfonyl urea), 비구아니드계(biguanide),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제(Alpha glucosidae inhibitor) 및 인슐린 증감제(insulin sensitiser)로 분류된다. 상기 설포닐우레아계 당뇨병 치료제는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의 베타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여 칼륨이온의 세포 외 이동을 저해하여 탈분극을 유도해 칼슘이온의 세포 내 이동을 증가시켜 인슐린 분비가 촉진되도록 작용한다. 상기 설포닐우레아계의 주요 약물은 클로르프로파미드(chlorpropamide), 글리벤클라미드(glibenclamide), 글리클라지드(gliclazide), 글리메피리드(glimepiride) 등이 있는데 주로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으로 혈당이 적절히 조절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한다. 메트포르민(metformin)은 비구아니드계 대표 약물로써, 소장에서 당흡수 억제, 근육 및 지방조직 등의 말초조직에서의 인슐린작용의 강화, 간에서의 포도당 신생 억제등으로 혈당을 저하하지만 설포닐우레아계 약물과는 달리 인슐린분비를 증가시키지는 않는다.
제 1형 및 2형 당뇨병 환자의 관리에 있어서 임상적으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혈관성 만성 합병증의 발생이라고 볼 수 있으며, 특히 동맥경화증으로 인한 대혈관 합병증은 당뇨병 환자의 주된 사망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동맥경화증의 발생요인으로서 고콜레스테롤과 혈전생성을 들 수 있고, 이를 적절히 관리함으로써 당뇨병 환자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지혈증이란 혈장 내에 콜레스테롤이나 트리글리세라이드등과 같은 지질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 고지혈증, 특히 고콜레스테롤 혈증은 동맥 혈전증을 유발하여 혈관벽을 따라 지질이 두껍게 쌓이는 동맥 경화증을 유발시키는데 이는 혈류를 감소시켜 허혈성 심장질환과 협심증, 심근경색의 원인이 되므로 임상적으로 중요한 문제가 된다. 따라서 고지혈증과 동맥경화증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질환으로서, 고지혈증을 치료함으로써 동맥경화증을 예방할 수 있다. 고지혈증을 치료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 중 콜레스테롤 합성 억제제인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는 고지혈증 치료제 중 가장 효과적인 약물로서 알려져 있다.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는 간 세포 내에서 콜레스테롤 합성시의 속도 결정 단계 효소인 HMG-CoA 환원효소를 억제하여 담즙산 등의 합성에 필요한 콜레스테롤을 저하시켜 이를 보상하기 위해 죽상동맥경화를 유발하는 저밀도 지단백인 LDL(Low Density Lipoprotein) 수용체 수를 증가시켜 혈액으로부터 더욱 많은 LDL을 가져와 혈액내 LDL 농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약효를 발현한다.
동맥경화증을 유발하는 또 하나의 기전인 혈전은 혈관의 상처부위 즉 손상된 혈관에 혈소판과 혈장 응고인자들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형성되며 이 또한 동맥경화를 유발한다. 아스피린은 해열, 진통제로 사용이 되며 가정상비약으로 그 역할을 톡톡히 해온 약물이며,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해열, 진통 작용 외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매일 저용량인 100 mg의 아스피린 제제를 복용하면 동맥 혈전증의 예방약으로 작용한다는 보고로 인하여 최근 주목받고 있는 약물이다. 이는 아스피린의 성분인 아세틸 살리실산이 혈소판의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를 비가역적으로 아세틸화시켜 혈소판 응집 유도체인 트롬복산 A2(thromboxane A2: TXA2) 합성을 차단하여 혈액속의 혈소판이 서로 달라붙는 것을 차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혈당강하제인 설포닐우레아계(sulfonyl urea) 약물 중 글리벤클라미드(glibenclamide) 또는 글리메피리드(glimepiride) 중의 어느 하나,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인 심바스타틴(Simvastatin), 아토바스타틴 칼슘(Atorvastatin Calcium) 및 로슈바스타틴 칼슘(Rosuvastatin calcium)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및 아스피린을 정제 또는 펠렛과 같은 하나의 제형에 함유되도록 복합제제로서 사용되는 경우, 당뇨병 환자에 있어서 복용이 간편하고 임상적으로 가장 문제가 되는 혈관성 만성 합병증, 특히 동맥경화증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당뇨병 환자를 위하여 위에서 제시된 성분을 포함하는 복합 제제를 제안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포닐우레아계 혈당강하제 중 글리벤클라미드 및 글리메피리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 중 심바스타틴(Simvastatin), 아토바스타틴 칼슘(Atorvastatin Calcium) 및 로슈바스타틴 칼슘(Rosuvastatin calcium)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약물 및 아스피린 을 포함하는 하나의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하나의 제형으로 세 가지 유효약물을 함유하는 제형을 제공하는 이점을 가진다. 제시된 두 가지 유효 약물을 함유하는 하나의 제형은 경질캡슐에 충전할 수 있는 이중 펠렛의 형태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이중 펠렛의 형태는 불활성 설탕입자에 아스피린을 코팅하고, 이어서 아스피린의 위장 장애를 개선하기 위해 장용코팅을 실시한 다음 글리메피리드를 비롯한 설포닐우레아계 혈당강하제와 심바스타틴을 비롯한 여러 가지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를 함유하는 층을 형성시켜 다층의 형태를 가지는 복합펠렛으로 제조되거나, 서로 다른 층을 가지는 정제의 형태로 제조하거나, 또는 장용코팅된 아스피린은 핵정의 형태 그리고 다른 혈당강하제와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는 외부층에 함유되도록 이중핵정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상기에서 제시된 방법 중 바람직하게는 다층펠렛 또는 핵정이 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이중펠렛 또는 이중정제는 환자가 복용시 우선적으로 제형의 가장 외부층에 존재하는 혈당강하제와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가 먼저 붕해되어 약물이 용출됨으로써 혈액내 과량 존재하고 있는 당과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질의 양을 감소시키고, 위장장애를 개선하기 위해 장용코팅된 아스피린이 소장의 상부에 이르게 되면 용출되어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함으로써 하여 혈전 생성을 방지하여 당뇨병 환자에 있어 동맥경화증의 예방에 상당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종래 발명에서 제시된 방법에 의하면 혈당강하제,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 및 아스피린을 각각 복용함으로써 환자들로 하여금 여러 번의 복용으로 인한 불편 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제제에 의하여 환자들의 복약순응도가 개선되어 최대의 치료 효과가 나타나도록 한다.
아래에서 제시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합 펠렛은 30 내지 55 중량%의 불활성 설탕 입자에 25 내지 35 중량%의 아스피린으로 코팅된 주층; 상기 주층의 외부에 10 내지 15 중량%의 장용기제로 코팅된 장용 기제층;및 상기 장용 기제층의 외부에 0.2 내지 2.5 중량%의 혈당강하제와 2.5 내지 15 중량%의 HMG-CoA 환원 효소 저해제로 코팅된 외층을 포함하고, 상기에서 혈당강하제는 설포닐우레아계(sulfonyl urea) 약물 중 글리벤클라미드, 글리메피리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약물이며, HMG-CoA 환원 효소 저해제는 심바스타틴, 아토바스타틴 칼슘 및 로슈바스타틴 칼슘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약물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장용 코팅기제는 프탈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트리멜리테이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쉘락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0.1 내지 1 중량%의 안정화제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안정화제는 토코페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등과 아스코르빈산, 아황산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및 아황산수소나트륨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항산화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5 내지 15 중량%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또는 그 유도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0.5 내지 2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청구항 1의 복합 펠렛이 충전된 경질 젤라틴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경질 젤라틴 캡슐은 캡슐 당 80 내지 100 mg의 아스피린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경질 젤라틴 캡슐은 1 캡슐 당 1 내지 8 mg의 설포닐우레아계 혈당강하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경질 젤라틴 캡슐은 1 캡슐 당 10 내지 40 mg의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합 펠렛은 경구 투여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 실시 예로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펠렛을 형성하는 층들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복합 펠렛은 가장 안쪽에 불활성 입자로 이루어진 코어, 아스피린을 함유하고 상기 코어에 코팅된 아스피린 함유층, 장용 기제를 포함하고 상기 아스피린 함유층 외부에 코팅된 장용 코팅층 및 설포닐우레아계 혈당강하제 및 HMG-CoA 환원효소저해제를 포함하고 상기 장용 코팅층의 외부에 코팅된 설포닐우레아계 혈당강하제 및 HMG-CoA 환원 효소 저해제 함유층을 포함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 층들의 구성비를 살펴보면, 내용물 전체 중량대비, 아스피린 25 내지 35중량%, 설포닐우레아계 혈당강하제 0.2 내지 2.5%,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 2.5 내지 15 중량%,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또는 그 유도체 5 내지 15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0.5 내지 2 중량%, 장용기제 10 내지 15 중량%, 안정화제 0.1 내지 1 중량%, 불활성 설탕 입자 30 내지 55 중량%가 될 수 있다. 상기 층들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펠렛을 형성하거나 또는 캡슐의 내부에 충전될 수 있다.
아스피린, 설포닐우레아계 혈당강하제 및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가 제시된 중량% 범위의 하한치에 미달하는 경우 약물로서 기대되는 효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용코팅기제가 10 중량%에 미달 시 장용코팅기제로서 기능을 하지 못하고, 15 중량% 초과 시 펠렛 제조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장에서의 신속한 용출을 기대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진다. 그리고 안정화제가 0.1 중량% 미달 시 안정화제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고, 1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오히려 안정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펠렛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아스피린 25내지 35 중량%, 설포닐우레아계 혈당강하제 0.2 내지 2.5%,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 2.5내지 15 중량%,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또는 그 유도체 5 내지 15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0.5 내지 2 중량%, 장용코팅기제 10 내지 15 중량%, 안정화제 0.1 내지 1 중량%, 정제가 타정되기 위한 각종 부형제 즉 증량제 또는 결합제 등을 40 내지 55 중량%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이중정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스피린을 전체중량대비 20 내지 50 중량%까지 용해하여 사용 할 수 있으나 혈전증의 예방을 목적으로 한 최적효과의 발현을 위해서는 25 내지 35 중량%까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적당한 용매는 아세톤, 에탄올, 디클로로메탄, 이소프로필알콜 및 정제수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내지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가장 바람직한 용매는 아세톤으로 주약의 30 내지는 100배량을 사용하여 용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용매의 양이 주약의 30배량 이하일 경우에는 약물의 완전한 용해를 기대할 수 없고 100배량 이상일 경우에는 작업시간의 지연 및 약물의 불안정성이 초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혈전 생성을 방지하여 동맥경화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아스피린의 꾸준한 복용이 필요한데, 아스피린은 위장장애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장용코팅을 하는데, 아스피린을 복용시 위장에선 아스피린이 방출 없이 통과되고 소장 상부에서 용출되어 흡수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위와 같은 효과를 가진 장용코팅을 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장용코팅 기제를 전체 중량대비 10 내지 20 중량% 정도가 되도록 코팅을 실시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위와 같은 방법으로 코팅을 실시할 경우에는 제제의 표면에 약 10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가지는 필름층이 형성된다. 만약 코팅 층이 상기 두께보다 얇아질 경우에는 산성용액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지 못하며, 이보다 두꺼워질 경우에는 작업시간의 지연과 장에서의 용출율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장용코팅이 완료된 제제의 외부층에는 설포닐우레아게 혈당강하제와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층을 형성시켜주는데 보통 전체 중량대비 각각 0.2 내지 2.5중량% 및 2.5 내지 15 중량%가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가 발효산물이라 항산화제 0.1 내지 1 중량%를 첨가시켜 약물의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중펠렛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장비는 독일 Glatt사의 GPCG1 유동층코팅기이지만, 이 분야에서 알려진 공지의 코팅기를 사용할 수 있다. 기기의 가동 조건은 유입공기온도 50℃, 배출공기 40℃, 공기흐름량 7m/sec, 노즐의 직경 1.0 mm, 분사압력 1.3bar, 코팅액 유입속도 25 g/min로 조절되고, 상기 조건 아래에서 각 공정을 실시하였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실시 예 및 비교 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 예 및 비교 예에서 첨가된 성분인 불활성 설탕입자는 대략적인 입자도가 직경 0.2∼0.6 mm로 일정한 크기를 가지도록 선별하여 사용한다.
실시 예
실시 예 1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 및 심바스타틴 복합 펠렛의 조성비를 표 1로서 제시하였다.
표 1.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와 심바스타틴 복합펠렛의 조성
(단위:그람, 1,000캡슐분량)
성 분 명 내층(주약1층) 장용코팅층 외층(주약2층)
불활성 설탕입자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 심바스타틴 부틸히드록시아니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산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탈크 155 100 - - - 10 - 1 1 - - - - - - 40 4 4 - - 2 20 1 10 - 1 1
합 계(중량, 그람) 267 48 35
표 1에서 제시된 각각의 층의 형성 방법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주약1 코팅(내층)
유동층 코팅기에 155 그람의 불활성 설탕입자를 넣고 가동하여 코팅할 입자들을 유동화시킨다. 동시에 에탄올 및 메틸렌클로라이드가 1:1 질량비로 혼합된 용매 2,000 그람에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10 그람,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1 그람을 용해하고, 상기 용액에 아스피린 100 그람을 넣고 완전히 용해한 다음 탈크 1그람을 넣고 교반한다. 주약1 함유 코팅액을 유동층코팅기를 통해 분사하면서 설 탕입자에 약물을 코팅한다.
장용코팅
에탄올 및 메틸렌클로라이드가 1:1 질량비로 혼합된 용매 1,000 그람에 프탈산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40 그람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4 그람 첨가하여 완전히 용해한 다음 탈크 4 그람을 넣고 교반 분산 후 주약1 코팅이 완료된 펠렛에 분사하여 장용코팅을 실시한다.
주약2 코팅(외층)
에탄올 및 메틸렌클로라이드가 1:1 혼합된 용매 2,000 그람에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10 그람,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1 그람을 넣고 용해한 다음 이어서 부틸히드록시아니솔 1 그람, 글리메피리드 2 그람, 심바스타틴 20 그람을 넣고 완전히 용해하고 탈크 1 그람를 넣고 교반하여 주약2 코팅액을 제조한다. 이어서 장용코팅이 완료된 펠렛에 분사하여 주약2가 코팅된 펠렛을 얻는다.
실시 예 2
표 2에서 제시된 양의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 및 심바스타틴을 함유하는 복합 펠렛이 제조되었다.
표 2.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 및 심바스타틴 복합펠렛의 조성
(단위:그람, 1,000캡슐분량)
성 분 명 내층(주약1층) 장용코팅층 외층(주약2층)
불활성 설탕입자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 심바스타틴 부틸히드록시아니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산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탈크 122 100 - - - 10 - 1 1 - - - - - - 40 4 4 - - 2 40 2 20 - 2 2
합 계(중량, 그람) 234 48 68
표 2에서 제시된 각각의 층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되었다.
주약1 코팅(내층)
실시 예 1의 주약1 코팅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불활성 설탕입자 122 그람을 사용하였다.
장용코팅
실시 예 1의 장용코팅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주약2 코팅(외층)
에탄올 및 메틸렌클로라이드가 1:1 질량비로 혼합된 용매 4,000 그람에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20 그람,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2그람 그람을 넣고 용해한 다음 이어서 부틸히드록시아니솔 2 그람, 글리메피리드 2 그람, 심바스타틴 40 그람을 넣고 완전히 용해하고 탈크 2그람을 넣고 교반하여 주약2 코팅액을 제조한다. 이어서 장용코팅이 완료된 펠렛에 분사하여 주약2가 코팅된 펠렛을 얻었다.
실시 예 3
표 3에서 제시된 양의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 및 심바스타틴을 함유하는 복합 펠렛이 제조되었다.
표 3.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와 심바스타틴 복합펠렛의 조성
(단위:그람, 1,000캡슐분량)
성 분 명 내층(주약1층) 장용코팅층 외층(주약2층)
불활성 설탕입자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 아토바스타틴 칼슘 부틸히드록시아니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산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탈크 171.5 100 - - - 10 - 1 1 - - - - - - 40 4 4 - - 2 10 0.5 5 - 0.5 0.5
합 계(중량, 그람) 283.5 48 18.5
표 3에서 제시된 각각의 층들은 아래와 같은 방법에 따라 형성되었다.
주약1 코팅(내층)
실시 예 1의 주약1 코팅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불활성 설탕입자 171.5 그람을 사용하였다.
장용코팅
실시예 1의 장용코팅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주약2 코팅(외층)
에탄올 및 메틸렌클로라이드가 1:1의 질량비로 혼합된 용매 1,000 그람에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5 그람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을 0.5 그람을 넣고 용해한 다음 이어서 부틸히드록시아니솔 0.5 그람 및 글리메피리드 2 그람, 아토바스타틴 칼슘 10 그람을 넣고 완전히 용해하고 탈크 0.5 그람을 넣고 교반하여 주약2 코팅 액을 제조한다. 이어서 장용코팅이 완료된 펠렛에 분사하여 주약2가 코팅된 펠렛을 얻었다.
실시 예 4
표 4에서 제시된 것과 같은 양을 포함하는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 및 아토바스타틴 칼슘을 포함하는 복합 펠렛이 제조되었다.
표 4.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 및 아토바스타틴 칼슘 복합펠렛의 조성
(단위:그람, 1,000캡슐분량)
성 분 명 내층(주약1층) 장용코팅층 외층(주약2층)
불활성 설탕입자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 아토바스타틴 칼슘 부틸히드록시아니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산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탈크 155 100 - - - 10 - 1 1 - - - - - - 40 4 4 - - 2 20 1 10 - 1 1
합 계(중량, 그람) 267 48 35
표 4에서 제시된 각각의 층들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주약1 코팅(내층)
실시 예 1의 주약1 코팅과 동일하게 제조되었고, 단지 불활성 설탕 입자의 양은 155 그람이 사용되었다.
장용코팅
실시 예 1의 장용코팅과 동일하게 제조되었다.
주약2 코팅(외층)
실시 예 1의 주약2 코팅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아토바스타틴 칼슘 20 그람이 사용되었다.
실시 예 5
표 5에 제시된 양의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 및 아토바스타틴 칼슘을 포함하 는 복합 펠렛이 제조되었다.
표 5.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 및 아토바스타틴 칼슘 복합펠렛의 조성 (단위:그람, 1,000캡슐분량)
성 분 명 내층(주약1층) 장용코팅층 외층(주약2층)
불활성 설탕입자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 아토바스타틴 칼슘 부틸히드록시아니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산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탈크 122 100 - - - 10 - 1 1 - - - - - - 40 4 4 - - 2 40 2 20 - 2 2
합 계(중량, 그람) 234 48 68
표 5에서 제시된 각각의 층들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주약1 코팅(내층)
실시 예 1의 주약1 코팅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불활성 설탕입자 122 그람을 사용하였다.
장용코팅
실시 예 1의 장용코팅과 동일하게 제조되었다.
주약2 코팅(외층)
실시 예 2의 주약2 코팅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아토바스타틴 칼슘 40 그람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6
표 6에 제시된 양의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 및 로슈바스타틴 칼슘을 포함하는 복합 펠렛이 제조되었다.
표 6.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 및 로슈바스타틴 칼슘 복합펠렛의 조성
(단위:그람, 1,000캡슐분량)
성 분 명 내층(주약1층) 장용코팅층 외층(주약2층)
불활성 설탕입자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 로슈바스타틴 칼슘 부틸히드록시아니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산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탈크 171.1 100 - - - 10 - 1 1 - - - - - - 40 4 4 - - 2 10.4 0.5 5 - 0.5 0.5
합 계(중량, 그람) 283.1 48 18.9
표 6에서 제시된 각각의 층들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주약1 코팅(내층)
실시 예 1의 주약1 코팅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불활성 설탕입자 171.1 그람을 사용하였다.
장용코팅
실시 예 1의 장용코팅과 동일하게 제조되었다.
주약2 코팅(외층)
실시 예 3의 주약2 코팅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로슈바스타틴 칼슘 10.4 그람을 사용하였다.
실시 예 7
표 7에서 제시된 것과 같은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 및 로슈바스타틴 칼슘을 포함하는 복합 펠렛이 제조되었다.
표 7.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 및 로슈바스타틴 칼슘 복합펠렛의 조성
(단위:그람, 1,000캡슐분량)
성 분 명 내층(주약1층) 장용코팅층 외층(주약2층)
불활성 설탕입자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 로슈바스타틴 칼슘 부틸히드록시아니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산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탈크 154.2 100 - - - 10 - 1 1 - - - - - - 40 4 4 - - 2 20.8 1 10 - 1 1
합 계(중량, 그람) 266.2 48 35.8
표 7에서 제시된 각각의 층들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주약1 코팅(내층)
실시 예 1의 주약1 코팅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불활성 설탕입자 154.2 그람을 사용하였다.
장용코팅
실시 예 1의 장용코팅과 동일하게 제조되었다.
주약2 코팅(외층)
실시 예 1의 주약2 코팅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로슈바스타틴 칼슘 20.8 그람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아래의 비교 예와 같은 복합 펠렛이 제조되었다.
비교 예
비교 예 1
표 8에서 제시된 양의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 및 심바스타틴을 함유하는 복합 펠렛이 제조되었다.
표 8.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 및 심바스타틴 복합펠렛의 조성
(단위:그람, 1,000캡슐분량)
성 분 명 내층(주약1층) 장용코팅층 외층(주약2층)
불활성 설탕입자 아스피린 심바스타틴 글리메피리드 부틸히드록시아니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산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탈크 179 100 - - - 10 - 1 1 - - - - - - 20 2 2 - - 20 2 1 10 - 1 1
합 계(중량, 그람) 291 24 35
표 8에서 제시된 각각의 층들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주약1 코팅(내층)
실시 예 1의 주약1 코팅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불활성 설탕입자 179 그람을 사용하였다.
장용코팅
실시 예 1의 장용코팅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프탈산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20그람을 사용하였다.
주약2 코팅(외층)
실시 예 1의 주약2 코팅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 예 2
표 9에서 제시된 양의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 및 심바스타틴을 함유하는 복 합 펠렛이 제조되었다.
표 9.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 및 심바스타틴 복합펠렛의 조성
(단위:그람, 1,000캡슐분량)
성 분 명 내층(주약1층) 장용코팅층 외층(주약2층)
불활성 설탕입자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 심바스타틴 부틸히드록시아니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산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탈크 156 100 - - - 10 - 1 1 - - - - - - 40 4 4 - - 2 20 - 10 - 1 1
합 계(중량, 그람) 268 48 34
표 9에서 제시된 각각의 층들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주약1 코팅(내층)
실시 예 1의 주약1 코팅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불활성 설탕입자 156 그람을 사용하였다.
장용코팅
실시 예 1의 장용코팅과 동일하게 제조되었다.
주약2 코팅(외층)
실시 예 1의 주약2 코팅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부틸히드록시아니솔을 사용하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작용 효과를 비교 예와 대비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이 실시되었다.
실험 예
실험 예 1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 및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의 경구 복합 펠렛 제제중 글리메피리드의 약물 방출율(%)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 예 1-7의 용출 시험을 실시하였다.
용출시간 방출율(%)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30분 98.7 97.5 97.2 98.3 99.5 98.3 99.5
실험 예 2
아스피린, 글리메피리드 및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의 경구 복합 펠렛 제제중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의 약물 방출율(%)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 예 1-7의 용출 시험을 실시하였다.
용출시간 방출율(%)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30분 96.7 99.3 97.3 98.1 98.9 97.8 99.7
실험 예 3
아스피린과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의 경구 복합 펠렛 제제중 장용코팅된 아스피린의 산저항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0.1M/L 염산 용액에서, 실시예 1-7과 비교예 1의 용출 시험을 실시하였다.
용출시간 방출율(%)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1
120분 3.2 4.5 4.7 3.2 2.7 3.8 4.7 41.3
위 결과와 같이 장용코팅 기제인 프탈산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를 전체중량 대비 10% 이상 코팅 제품(실시예1-7)은 위액 조건에서의 약물 용출이 거의 되지 않았으나, 비교 예 1과 같이 10% 이하 코팅한 제품은 위액 조건에서 저항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많은 양이 용출되었다.
실험 예 4
아스피린과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의 경구 복합 펠렛 제제 중 장용코팅된 아스피린의 약물방출율(%)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 예 1-7의 용출 시험을 실시하였다.
용출시간 방출율(%)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45분 92.3 91.5 90.2 92.8 93.1 91.7 92.7
실험 예 5
아스피린과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의 경구 복합 펠렛 제제중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의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 예 1-7과 비교 예 2의 함량 시험을 실시하였다.
보관조건 함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2
실온, 90일 99.8 98.5 99.7 99.9 98.9 97.2 98.2 98.9
40℃ 75%RH, 90일 98.9 98.5 98.7 98.1 98.5 97.1 98.1 94.8
위 결과와 같이 안정화제인 부틸히드록시아니솔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 예 2는 안정성이 실시 예 1-7에 비해 저하 되었다.
본 발명은 당뇨병 환자에게 있어 동맥경화증을 예방하는데 여러 가지의 약물을 별도로 처방한 다음 환자에게 복용토록 함으로써 정확한 복용시간은 물론 복용 방법도 복잡하여 환자들에 대한 복약순응도가 매우 불량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펠렛은 당뇨병 한자의 동맥경화증의 예방에 많이 사용되는 설포닐우레아계 혈당강하제,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 및 아스피린을 하나의 제형에 복합적으로 처방하여 단일제형화 함으로써 복용이 간편하고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현재 전 세계적으로 제형화되어 있지는 않으나 환자의 치료를 위해 복 합적으로 투여되는 약물을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의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 매우 효과적이고 복용이 간편한 제형이 지속적으로 개발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Claims (9)

  1. 아스피린, 설포닐우레아계 혈당강하제 및 HMG-CoA 환원 효소 저해제를 함유하는 복합 펠렛에 있어서,
    전체 중량 대비 30 내지 55 중량%의 불활성 설탕 입자에 25 내지 35 중량%의 아스피린을 포함하는 약물로 코팅된 주층;
    상기 주층의 외부에 전체 중량 대비 10 내지 15 중량%의 장용기제로 코팅된 장용 기제층; 및
    상기 장용 기제층의 외부에 전체 중량 대비 0.2 내지 2.5 중량%의 글리메피리드 및 전체 중량 대비 2.5 내지 15 중량%의 심바스타틴, 아토바스타틴 칼슘 또는 로슈바스타틴 칼슘으로부터 하나 선택되는 HMG-CoA 환원 효소 저해제로 코팅된 외층을 포함하고,
    상기에서 장용기제는 전체 중량 대비 10 내지 15 중량%의 프탈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1 내지 1.5 중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이고,
    상기 HMG-CoA 환원 효소 저해제 코팅 외층에는 토코페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아스코르빈산, 아황산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및 아황산수소나트륨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항산화제가 전체 중량 대비 0.1 내지 1 중량%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투여용 복합 펠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는 전체 중량 대비 0.1 내지 0.3 중량%의 부틸히드록시아니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펠렛.
  6. 청구항 1의 복합 펠렛이 충전된 경질 젤라틴 캡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캡슐당 80 내지 100 mg의 아스피린, 1 내지 8 mg의 설포닐우레아계 혈당강하제 및 10 내지 40 mg의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젤라틴 캡슐.
  8. 삭제
  9. 삭제
KR1020050014306A 2005-02-22 2005-02-22 당뇨병 환자의 동맥경화증 예방을 위한 혈당강하제, 에이치엠지이-씨오에이 환원효소 저해제 및 장용코팅된 아스피린을 함유하는 복합 펠렛 KR100648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306A KR100648825B1 (ko) 2005-02-22 2005-02-22 당뇨병 환자의 동맥경화증 예방을 위한 혈당강하제, 에이치엠지이-씨오에이 환원효소 저해제 및 장용코팅된 아스피린을 함유하는 복합 펠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306A KR100648825B1 (ko) 2005-02-22 2005-02-22 당뇨병 환자의 동맥경화증 예방을 위한 혈당강하제, 에이치엠지이-씨오에이 환원효소 저해제 및 장용코팅된 아스피린을 함유하는 복합 펠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467A KR20060093467A (ko) 2006-08-25
KR100648825B1 true KR100648825B1 (ko) 2006-11-24

Family

ID=37601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306A KR100648825B1 (ko) 2005-02-22 2005-02-22 당뇨병 환자의 동맥경화증 예방을 위한 혈당강하제, 에이치엠지이-씨오에이 환원효소 저해제 및 장용코팅된 아스피린을 함유하는 복합 펠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8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321B1 (ko) * 2006-11-29 2008-01-1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후각장애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955669B1 (ko) * 2007-08-13 2010-05-06 한올바이오파마주식회사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와 아스피린을 포함하는 복합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114333A (ko) * 2008-04-29 2009-11-03 한올제약주식회사 약제학적 제제
WO2009134056A2 (ko) * 2008-04-29 2009-11-05 한올제약주식회사 약제학적 제제
WO2009142421A2 (ko) * 2008-05-17 2009-11-26 한올제약주식회사 약제학적 제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34546A1 (en) 1998-03-18 2002-03-21 Ismat Ullah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 combination of a statin and aspirin and method
KR20050012720A (ko) * 2002-03-22 2005-02-02 노파르티스 아게 유기 화합물의 배합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34546A1 (en) 1998-03-18 2002-03-21 Ismat Ullah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 combination of a statin and aspirin and method
KR20050012720A (ko) * 2002-03-22 2005-02-02 노파르티스 아게 유기 화합물의 배합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467A (ko) 200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6519B1 (en) Controlled release complex composition comprising angiotensin-ii-receptor blockers and hmg-coa reductase inhibitors
TWI240637B (en) Oral pharmaceutical pulsed release dosage form
KR101181172B1 (ko) 방출성이 제어된 시간차 투여 약제학적 제제
RU2380093C2 (ru) Лечение и предотвращение сердечно-сосудистых заболеваний
KR100955669B1 (ko)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와 아스피린을 포함하는 복합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10213004A1 (en) Method of using combination preparation comprising angiotensin-ii-receptor blocker and hmg-coa reductase inhibitor
KR19980702828A (ko) 양성자 펌프 억제제 및 프로키네틱제 함유 경구 제약 제형
US2006014102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abiguanide-glitazone combination
KR100646576B1 (ko) 고지혈증 환자의 동맥경화증 예방을 위한 에이치엠지이-씨오에이 환원효소 저해제 및 장용코팅된 아스피린을 함유하는 복합 펠렛
KR100648825B1 (ko) 당뇨병 환자의 동맥경화증 예방을 위한 혈당강하제, 에이치엠지이-씨오에이 환원효소 저해제 및 장용코팅된 아스피린을 함유하는 복합 펠렛
KR20090114332A (ko) 약제학적 제제
TW201138775A (en) Coated drug spheroids and uses thereof for eliminating or reducing conditions such as emesis and diarrhea
TW201834655A (zh) 包含特力利汀之草酸鹽及其溶劑合物之配方
KR20130126253A (ko) 복용순응도가 향상된 서방성 당뇨병 치료용 복합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10212175A1 (en) Combination preparation comprising angiotensin-ii-receptor blocker and hmg-coa reductase inhibitor
KR20090091081A (ko) 약제학적 제제
CN102247366B (zh) 包括依那普利和非洛地平的药物组合物缓释制剂
KR102369679B1 (ko) 다파글리플로진 l-프롤린과 메트포르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복합제제
KR101265491B1 (ko) 사포그릴레이트염산염을 함유하는 용출률이 조절된 경구용 다층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
MX2011004559A (es) Agente antidiabetico.
KR102496851B1 (ko) 아나글립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메트포르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90030452A (ko)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와 아스피린을 함유하는복합제제
EP4197543A1 (en) Composition and use of sglt-2 inhibitor and angiotensin receptor blockers
KR100657785B1 (ko) 글리메피리드, 메트포르민 및 은행엽엑스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TWI817307B (zh) 多扎格列艾汀(dorzagliatin)和胰高血糖素樣肽-1類似物的藥物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