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3297A - 단자 조립체, 커넥터 및 그 제조 - Google Patents

단자 조립체, 커넥터 및 그 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3297A
KR20090113297A KR1020097017281A KR20097017281A KR20090113297A KR 20090113297 A KR20090113297 A KR 20090113297A KR 1020097017281 A KR1020097017281 A KR 1020097017281A KR 20097017281 A KR20097017281 A KR 20097017281A KR 20090113297 A KR20090113297 A KR 20090113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s
fixing member
longitudinal directio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7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히로 니이츠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0973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17706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0980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17707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1274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181700A/ja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113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2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단자 조립체들, 커넥터들 및 상기 단자 조립체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다수의 연장된 단자들은 미리 정의된 피치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단자 고정 부재에 의해 부분적으로 밀폐되며, 상기 단자들은 물질 제거 공정동안 서로 분리된다.
단자 조립체, 커넥터, 프레임 부재, 단자, 단자 고정 부재, 피치, 베이스 단부, 암부, 정점 단부

Description

단자 조립체, 커넥터 및 그 제조{TERMINAL ASSEMBLIES, CONNECTORS AND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단자 조립체, 커넥터 및 단자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전에는, 연성 인쇄회로 기판이라고 하는 연성 평판형 케이블, 연성 평면 케이블 또는 그와 유사한 것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연성 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FPC) 커넥터 및 연성 평면 케이블(flexible flat cable:FFC) 커넥터와 같은 케이블 연결 커넥터들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일본미심사특허공보:KOKAI) 번호 제2001-057260호 참조).
도 28은 종래의 케이블 연결 커넥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러한 종래 커넥터는 하우징(701)에 의해 고정된 제1 전도성 단자(702) 및 제2 전도성 단자(703)를 구비한 상기 절연 하우징(701)을 가진다. 상기 제1 단자(702)는 부착시, 케이블 삽입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된 슬릿(silit)으로 삽입된다. 상기 제2 단자(702)는 부착시, 상기 케이블 삽입부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701) 내에 구비된 슬릿으로 또한 삽입된다. 더욱이, 절연 엑츄에이터(704)는 상기 하우징(701)의 상면에 배치된다. 상기 엑츄에이터(704)는 상기 하우징(701)에 회전가능하게 부 착되며, 도시된 닫힌 위치 및 열린 위치(미 도시) 사이를 회전한다. 즉, 상기 엑츄에이터(704)는 그들의 반대측 단부들(ends)이 상기 하우징(701)에 의해 지지되고, 그들의 중간부가 상기 제1 단자(702)에 의해 지지되는 형상으로 인하여 회전한다. 상기 엑츄에이터(704)가 그것의 열린 위치에 있을 때, 평판형 케이블(705)은 상기 하우징(701)의 개구부로부터 삽입된다. 더욱이, 상기 케이블(705)이 말단 단부(distal end)으로 내측으로 삽입될 때, 작업자(operator)는 그것의 닫힌 위치로 상기 엑츄에이터(704)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엑츄에이터(704)의 잠금부(lock portion)(706)는 상기 하우징(701)의 잠금부(미 도시)와 맞물림을 야기하여 상기 엑츄에이터(704)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705)는 상기 엑츄에이터(704)에 의해 상부로부터 가압되고, 상기 케이블(705)의 하부면 상으로 노출된 다수의 연결부들은 상기 제1 단자(702) 및 상기 제2 단자(703)와 접촉하여 상기 각각의 단자들로 전기를 유도하고, 그리고 상기 엑츄에이터(704)는 고정된 위치에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케이블(705)은 때때로 주위로 인출되고 그리고 위치되어 장착면(도 28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 경우에, 상기 잠금부(706)로부터 상기 엑츄에이터(704)의 회전 중심(707)까지의 거리는 인장력이 상기 회전 중심(707)으로 수용되는 상기 엑츄에이터(704)의 지점(708)으로부터 거리보다 길다. 따라서, 지레(leverage)의 원리로 인하여, 상기 엑츄에이터(704)의 잠금부(706)와 상기 하우징(701)의 잠금부와의 맞물림은 해지되지 않으며, 상기 케이블(705)이 주위로 인출되어 상기 엑츄에이터(704)의 원하지 않은 해 제가 야기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 28의 상기 종래의 커넥터에서, 상기 제1 단자(702) 및 상기 제2 단자(703)가 상기 하우징(701)에 제공된 상기 각각의 슬릿들로 삽입되고 안착되기 때문에, 상기 단자들 배치에서 피치(pitch)를 감소시키는 것은 제한된다. 상기 단자 피치의 감소는 이와 같은 배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단자들(702, 703)의 폭들을 감소시키는 것이 시도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작은 폭의 제1 및 제2 단자들(702, 703)이 금속 물질로부터 생성될 때, 단자 생성 물질들의 두께에 대한 작업성(workability)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들의 두께를 설정하여 충분한 스프링력(spring force), 즉, 상기 케이블(705)에 대한 상기 제1 및 제2 단자들(702, 703)의 충분한 압축력을 얻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그 결과로 인하여, 상기 제1 및 제2 단자들(702, 703)의 상기 피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가능성은 제한된다.
더욱이, 상기 하우징(701) 및 상기 엑츄에이터(704)의 복합적인 구조(complicated structure)는 상기 엑츄에이터(704)의 상기 잠금부(706)가 상기 하우징(701)의 잠금부(미 도시)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상기 엑츄에이터(704)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때문에 필요하였다. 상기 엑츄에이터(704)가 상기 하우징(701)의 상기 개구부의 입구 단부쪽으로 회전할 때, 상기 엑츄에이터(704)는 그들의 상기 닫힌 위치로 이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엑츄에이터(704)가 상기 하우징(701)의 상기 개구부가 기판에 수직하게 위치되도록 장착된 소위 직선 타입 커넥터로 적용되는 경우, 동작가능성(operability)은 저하시켜야만 하며, 상기 커넥터의 높이는 증가 할 것이다. 더욱이, 상기 제1 및 제2 단자들(702, 703)의 상기 피치를 감소시키는 것은 어렵다.
다른 종래의 커넥터들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회로 기판들의 각각의 표면들에 부착되고, 상기 각각의 표면들로부터 서로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커넥터 위치들에서 회로 기판들과 같은 한 쌍의 전기적 또는 전자적 구성 성분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일본 특허 공개 번호 제2004-55463호 참조).
도 29는 다른 종래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이것은 하나의 회로 기판(미 도시)에 부착된 제1 커넥터(801) 및 다른 회로 기판(미 도시)에 부착된 제2 커넥터(811)를 보여준다. 상기 제1 커넥터(801)은 다수의 제1 단자들(80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811)은 다수의 제2 단자들(812)을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제1 커넥터(801) 및 상기 제2 커넥터(811)가 서로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들이 서로 접촉할 때, 연결은 한 쌍의 회로 기판들 사이에 제공된다.
종래의 도 29에서, 부착 돌출부(803)는 상기 제1 커넥터(801)의 부착홀에 압입되어 상기 제1 커넥터(801)로 상기 제1 단자들(802)을 고정시킨다. 더욱이, 각각의 제1 단자(802)의 말단부(tail portion)(804)는 솔더링(soldering)에 의해 상기 하나의 회로 기판의 상기 표면 상에 형성된 배선에 연결된다. 상기 한쌍의 제2 단자들(812)을 코팅하도록 상기 제2 커넥터(811)는 오버 몰딩(over-molding)에 의해 형성된다. 더욱이, 각각의 제2 단자(812)의 정점 단부(813)는 솔더링에 의해 상기 다른 회로 기판의 상기 표면 상에 형성된 배선에 연결된다.
더욱이, 상기 제1 커넥터(801)가 상기 제2 커넥터(811)에 장착될 때, 각각의 제1 단자(802)의 연결부(805)의 끝에서의 연결 돌출부(806)는 각각의 제2 단자(812)의 연결부(814)에 형성된 연결 오목부(815)와 접촉하여 한 쌍의 회로 기판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연결 돌출부(806)는 상기 연결 오목부(815)와 연계되어 상기 제1 단자들(802) 및 상기 제2 단자들(812)을 서로 고정시키고, 서로 장착된 상기 제1 및 제2 단자들(801, 811)을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 상술한 종래의 커넥터들에서, 각각의 연결부(806)가 장착 방향(도 29에서 수직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배치된 스프링으로서 기능할 때, 상기 제1 단자들(802)과 상기 제2 단자들(812) 사이의 전기적 접촉은 확고하게 유지된다. 더욱이,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들(801, 802) 사이의 장착된 상태는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된 연결부(805)의 길이가 증가되어 충분한 스프링 길이를 얻어야만 하기 때문에, 특히, 충분한 스프링 길이를 확보함과 동시에 상기 커넥터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이 요구될 때, 상기 연결부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단자들(802)의 형상은 복합적이어야만 한다.
더욱이, 상기 제1 단자들(802)은 일반적으로 충분한 스프링력을 가하도록 다이-컷(die-cut)되고 형성된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각각의 제1 단자들(802)은 부착시에, 하나씩 상기 제1 단자(801)의 부착홀에 압입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비용은 증가한다. 더욱이, 상기 부착홀에서, 벽(wall)은 인접한 제1 단자들(802) 사이에 전기적 절연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단자들 사이에 형성되며, 그에 따라, 그들 사이의 피치를 감소시키는 것은 어렵게 된다.
한쌍의 전기적 또는 전자적 구성 성분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또는 상기 전기적 또는 전자적 구성 성분들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다른 종래의 커넥터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연장된 단자들을 포함한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번호 제7-282912호 참조).
도 30은 참조 번호 901이 서로 평행한 배열로 커넥터 하우징(미 도시)에 장착될 다수의 단자들을 일반적으로 의미하는, 그들의 제조 중간 단계에서의 또 다른 종래의 단자 조립체를 보여주는 도식적인 평면도이다. 각 단자(901)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longitudianl end)는 대응 단자(counterpart terminal)(미 도시)와 접촉하도록 제공된 접촉부(902)이며, 각 단자의 다른 단부는 회로 기판 또는 그와 유사한 것(미 도시)에 연결된 정점 단부(903)이다.
캐리어부(carrier portion)(905)는 상기 각각의 정점 단부(903)의 끝 단부들(tip ends)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커넥터 또는 상기 단자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에서, 상기 단자 조립체의 운반 또는 전달 및 배치와 같은 동작들을 쉽게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캐리어부(905)는 운반 및 전달 기계, 기계 공구, 작업 공구, 지그(jig), 작업자의 손, 또는 다른 유사한 것에 의해 파지(grasped)되며, 상기 캐리어부(905)는 상기 단자 조립체의 최종 조립 단계에서 절단되고 제거된다.
더욱이, 상기 단자들(901)은 상기 접촉부(902) 및 상기 정점 단부(903) 사이의 일부에서 서버-캐리어부(sub-carrier portion)(904)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 조립체의 제조 동안, 상기 단자들(901)의 배열은 정밀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절연 수지 물질(906)이 제공되어 상기 서버-캐리어부들(904) 및 상가 연결부들의 주변 영역으로 상기 단자들(901)의 전체 연결부들을 코팅한다. 상기 절연 수지 물질 부재(906)는 상기 접촉부들(902) 및 상기 정점 단부들(903) 사이의 상기 단자들(901)의 일부들의 삽입 몰딩(insert molding)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단자들(901)은 고정되고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절연 수지 물질 부재(906)는 상기 삽입 몰딩동안 형성된 다수의 윈도우부들(window portions)(907)을 가진다. 각각의 윈도우부(907)는 인접한 단자들(901) 사이의 상기 서버-캐리어부(904)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후속 공정에서, 상기 윈도우부들(907)에 노출된 상기 서버-캐리어부들(904)은 다이-커팅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부(905)는 상기 후속 공정에서 유사하게 절단된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자들(901)이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되거나,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단자들(901)은 상기 절연 수지 물질 부재(906)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윈도우부들(907) 대신에, 컷아웃부들(cutout portions)이 상기 절연 수지 물질 부재(906)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 30의 이러한 종래의 단자 조립체에서, 상기 윈도우부들(907) 또는 상기 컷아웃부들은 상기 절연 수지 물질 부재(906)의 몰딩 동안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절연 수지 물질 부재(906)의 몰딩을 위한 다이(die)의 캐비티(cavity)에서, 상기 윈도우부들(907) 또는 상기 컷아웃부들에 상응하는 볼록부들이 제공되어야만 하며, 복합적인 다이가 요구된다. 상기 단자 조립체가, 예를 들어, 휴대폰과 같은 작은 크기를 갖는 전기 장치의 커넥터에서 사용될 때, 인접한 단자들(901) 사이의 간격은 약 1 mm 또는 그 이하이다. 이러한 작은 장치에 형성된 작은 윈도우부 들(907) 또는 컷아웃부들에 상응하는 볼록부들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더욱이, 상기 윈도우부들(907) 또는 상기 컷아웃브들에 노출된 상기 서버-캐리어부들(904)은 다이-컷되고 제거된다. 상술한 작은 윈도우부들(907) 또는 상기 컷아웃부들로 삽입되어 다이-컷팅에 의해 상기 서버-캐리어부들(904)을 제거할 수 있는 금속성 부품 또는 공구를 준비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종래의 단자 조립체들에 의해 부닥힌 상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자 조립체, 커넥터 및 상기 단자 조립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단자 조립체에서, 서버-캐리어부를 통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된 단자들을 가지는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품이 다음의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서버-캐리어부의 적어도 일부를 코팅하고 밀폐하도록 단자 고정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서버-캐리어부의 일부 및 상기 단자 고정 부재의 일부 둘 다는 최종적으로 절개되어 서로로부터 별개로 될 상기 단자들을 분리한다. 따라서, 비록 좁은 피치가 요구되더라도, 상기 단자들의 정확한 배열을 확실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단자 조립체 및 상기 커넥터는 짧은 시간에 쉽게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상기 단자 조립체 및 상기 커넥터의 전체 크기는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조립체는: 서로 평행하게 소정의 피치로 배열된 다수의 단자들; 및 상기 단자들을 고정하는 단자 고정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단자들 각각은 베이스 단부; 상기 단자 고정 부재로 코팅되는 상기 베이스 단수의 적어도 일부의 주변부; 및 적어도 일부가 대응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고정 부재는 상기 단자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그들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단자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형 절개부들을 구비하고, 각각의 절개부는 상기 단자들 사이에 정의된 각각의 슬릿형 갭과 표시되게 배열되어 상기 단자 고정 부재를 관통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자 조립체에서, 상기 암부는 상기 베이스 단부에 연결된 제1 경사부 및 상기 피크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경사부에 연결된 제2 경사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 경사부 및 상기 제2 경사부는 상기 피크부의 둔각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자 조립체는 상기 다수의 단자들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단자들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한 쌍의 프레임 부재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단자 고정 부재는 그들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단자 고정 부재의 반대측 단부들에서, 상기 평행한 프레임 부재들에 연결되어, 그 결과 상기 단자들의 상기 베이스 단부들을 고정시킨다.
다른 실시예에 다른 단자 조립체에서, 상기 단자 고정 부재는 상기 베이스 단부들 및 상기 프레임 부재들의 적어도 일부를 코팅하기 위하여 오버-몰딩에 의해 절연 물질로 형성된 부재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하우징; 서로 평행하게 소정의 피치로 배열된 다수의 단자들; 및 상기 단자들을 고정시키는 단자 고정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단자들의 각각은: 베이스 단부; 상기 단자 고정 부재에 의해 밀폐되는 그들의 주변부를 가지는 일부; 및 상기 베이스 단부로부터 연장하고, 대응 단자와 접촉할 수 잇는 그들의 적어도 일부를 가지는 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고정 부재는 상기 단자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그들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단자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슬릿형 절개부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절개부는 상기 인접한 단자들 사이에 정의된 각각의 슬릿형 갭과 기재되며, 상기 단자 고정 부재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서, 케이블 고정 이동가능 부재는 상기 하우징 상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블 고정 이동가능 부재의 위치는 상기 평판형 케이블이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는 제 1 위치 및 상기 평판형 케이블이 단단히 고정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변경되며, 상기 케이블 고정 이동가능 부재는 상기 제2 위치에서 각각의 단자의 상기 피크부와 접촉하여, 그 결과 상기 피크부의 각을 크게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평판형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베이스 단부를 단단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된 단자 고정 부재; 상기 베이스부의 타단에 연결된 내벽부; 및 상대 단자를 포함하는 평판형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수용 오목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대응 단자들을 구비하는 평판형 케이블이 삽이되도록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내벽부 사이에 형성된 케이블 수용 오목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자의 상기 암부는 상기 내벽부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단자의 상기 정점 단부는 상기 케이블 수용 오목부에 인접한 위치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서, 상기 하우징은 그들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그들의 중심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여 대응 커넥터가 그들 내에 삽입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단자들은 그들의 베이스 단부들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반대측들 상에 위치되도록, 그리고 그들의 정점 단부들이 그들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중심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배열된 두 세트의 단자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로 평행하게 소정의 피치로 배열된 다수의 단자들 및 상기 단자들을 단단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된 단자 고정 부재를 가지는 단자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금속판의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품을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품은 서로 평행하게 소정의 피치로 배열된 다수의 단자들 및 상기 다수의 단자들의 배열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단자들에 연결되고, 그리고 서버-캐리어부의 두께를 관통하고, 상기 피치에 배열되고, 그리고 서로 평행한 다수의 슬릿들을 구비하는 상기 서버-캐리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슬릿의 적어도 일단은 밀접하고; 그 두께를 통하여 반대측들로부터 상기 서버-캐리어부의 적어도 중심을 채우고, 절개하고, 그리고 덮는 절연 물질의 상기 단자 고정 부재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슬릿들의 상기 단부들을 덮는 상기 서버-캐리어부의 일부를 절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캐리어부를 통하여 연결된 상기 단자들을 서로 분리하도록 상기 인접한 단자들 사이의 각각의 갭에 연속하게 각각의 슬릿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단자 조립체의 제조 방법은 상기 슬릿들은 상기 연장 방향으로 그들의 반대측 단부들에 밀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자 고정 부재는 적어도 상기 슬릿들 전체를 코팅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자 고정 부재의 일부는 상기 슬릿들의 상기 단부들을 닫는 상기 서버-캐리어부의 상기 일부와 함께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자 조립체는: 서로 평행하도록 그리고 상기 서버-캐리어부를 통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되도록 상기 소정의 피치로 배열된 상기 단자들을 가지는 상기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캐리어부의 적어도 일부를 코팅하는 상기 단자 고정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단자들을 분리하도록 상기 서버-캐리어부 및 상기 단자 고정 부재 둘 다의 일부를 절개하는 단계를 통하여 제조된다. 따라서, 비록 작은 피치를 가지는 상기 단자 조립체라도 짧은 시간에 쉽게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단자들의 배열이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상기 단자 조립체는 그들의 전체 크기에서 작게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들은 지금까지의 종래 기술에서는 보여지지 않은 크기로 감소된 커넥터들을 제공한다. 다수의 실시예들은 다음을 적용함으로서 개시된다. 도시된 실시예들은 제1 및 제2 실시예들과 같이 여기에서 참조된 것들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9 및 24 내지 27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평판 연성 회로(FFC, FPC 및 그와 유사한 것)를 위한 감소된 크기의 커넥터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실시예가 기판-대-기판 커넥터를 형성하는 것과 처럼 여기에서 참조된 것들은 도 10 내지 23에서 보여진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도 1A는 인접한 단자들의 일부들 및 그들의 공간 및 피치를 보여주는, 도 1로부터 획득된 상세화된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넥터의 다양한 도면이며, 도 2A는 상면도, 도2B는 후면도, 및 도 2C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B의 화살표 Z-Z를 따라 절개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자 조립체의 제조 단계들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4A는 상기 제조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구성 요소들의 제1 사시도이고, 도 4B는 요부(main part)의 확대 평면도이고, 도 4C는 도 4B의 라인 C-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D는 도 4B의 라인 D-D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자 조립체의 제조 단계들을 보여주는 개략적 도면이며, 도 5A는 상기 제조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구성 요소들의 제2 사시도이고, 도 5B는 요부의 확대 평면도이고, 도 5C는 도 5B의 라인 C-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D는 도 5B의 라인 D-D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자 조립체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6A는 사시도, 도 6B는 정면도, 도 6C는 측면도, 도 6D는 요부의 확대 평면도, 도 6E는 도 6D의 라인 E-E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F는 도 6D의 라인 E-F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G는 도 6D의 라인 G-G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및 도 6H는 도 6D의 라인 H-H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케이블에 연결된 상기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평판형 케이블에 연결된 상기 커넥터의 측면도 및 단면도를 갖는 복합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넥터를 보여주는 두 개의 측면도들 및 단면도를 갖는 복합도이며, 도 11A는 정면도, 도 11B는 측면도, 도 11C는 도 11A의 화살표 Y-Y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자 조립체의 제조 단계들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12A는 제1 사시도, 및 도 12B는 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자 조립체의 제조 단계들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13A는 제2 사시도, 및 도 13B는 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자 조립체의 제조 단계들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14A는 사시도, 도 14B는 정면도, 도 14C는 측면도, 및 도 14D는 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대응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대응 커넥터로 상기 커넥터를 장착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제1 개략도이다.
도 1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대응 커넥터로 상기 커넥터를 장착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제2 개략도이다.
도 1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대응 커넥터로 상기 커넥터를 장착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제3 개략도이다.
도 2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넥터 및 상기 대응 커넥터가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된 경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20은 측면도이고, 도 20A는 상기 측면도의 일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2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넥터가 상기 대응 커넥터로 장착되는 경우 힘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대응 커넥터로 상기 커넥터를 삽입하는 동안 접촉 및 연결력들(mating forces)의 영향들을 보여주는 연속적인 개략도들이며, 도 22A, 22C, 22E 및 22G는 전체 연결점을 통한 제1 접촉점으로부터 상기 단자 조립체와 연결하는 커넥터의 진행을 보여주며, 도 22B, 22D, 22F 및 22H는 상기 단자가 상기 커넥터와 접촉하는 지점에서 접촉 및 연결력들의 힘 벡터들(force vectors)을 보여준다.
도 2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대응 커넥터로 상기 커넥터를 삽입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연속적인 사시도들이며, 도 23A는 도 17에 대응하고, 도 23B는 도 18에 대응하고, 도 23C는 도 19에 대응한다.
도 2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5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넥터의 측면도이며, 도 25B는 단면도이 다.
도 2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케이블에 연결된 상기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7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평판형 케이블에 연결된 상기 커넥터의 측면도이며, 도 27B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종래의 케이블 연결 커넥터의 요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9는 다른 종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30은 제조된 종래 단자 조립체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들이 여기에 개시된다. 그러나,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여기에 개시된 특정 상세한 설명들은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특허청구범위를 위한 기초로서, 그리고 여기에 명확하게 개시되지는 않은 조합들로 여기에 개시된 다양한 특징들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실질적인 임의의 적당한 방법으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적용하도록 당업자를 교수하기 위한 전형적인 기초로서 단지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여기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들에서, 각 단자는 약 0.05 mm의 폭(도 1A에서 "W"로 도시됨)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단자들 사이의 간격들 각각은 또한 약 0.05 mm의 간격(도 1A에서 "S"로 도시됨)을 가져서 약 0.1 및 약 0.2 mm 사이의 단자 피치(도 1A에서 "P"로써 보여진 중심 대 중심 간격), 전형적으로 약 0.1 및 약 0.15 mm 사이, 일반적으로 약 0.1 mm의 단자 피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약 2.5 mm 깊이 및 약 0.5 mm 높이 만큼 약 4.5 mm 넓이의 치수들를 바람직하게 갖는 제1 및 제2 실시예들의 커넥터들(도 1 내지 9 및 도 24 내지 27에서 도시됨)을 구비한 매우 작은 패키지 또는 풋프린트(footprint)에서 보다 더 성취될 수 있다. 도 2C에서 보여진 위치에서 회로 기판(circuit board)와 엑츄에이터(22)의 상부 사이의 높이는 바람직하게 1.6 mm가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도 10 내지 23에서 보여진 기판 대 기판 다양성(board-to-board variety)을 위하여, 커넥터 하우징은 약 0.5 mm의 리셉터클(receptacle)의 높이를 유지하는 동안 대략 5 mm의 길이(깊이) 및 3.2 mm의 폭을 가진다.
도 1, 2A, 2B 및 C에서, 참조 번호 1은 후술할 단자 조립체(60)를 구비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이다. 커넥터(1)가 임의의 타입일 때, 여기에 도시된 것은 상기 커넥터가 후술할 기판(substrate), 연성 인쇄회로 기판(FPC)이라고 하는 연성 평판형 케이블(101), 연성 평면 케이블(FFC) 또는 그와 유사한 것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회로 기판(미 도시)과 같은 기판 상에 장착된 케이블-연결 커넥터의 일 예인 경우를 보여준다.
이러한 도시된 커넥터(1)는 소위 직선 타입이며, 케이블로서 평판형 케이블(101)은 상기 기판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삽입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이 삽입될 케이블 삽입 개구부가 직립하도록 상기 커넥터(1)가 장착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은, 예를 들어, FPC, FFC, 또는 그와 유사한 것으로 언급되는 평판형 연성 케이블이지만, 상기 케이블이 대응 단자들(미 도시)로서 커넥터 배선들을 구비하는 한 임의의 타입이 될 수 있다는 것에 유념하여야 한다. 상기 케이블은 경성 기판(rigid substrate)으로서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인쇄 배선 기판(printed wiring board)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구조 및 운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상방, 하방, 좌측, 우측, 전방, 후방 및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방향들을 표현들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것이다. 상기 커넥터들이 도면에서 보여진 것과 같이 위치될 때, 이러한 표현들은 적당하다. 만일, 임의의 이와 같은 커넥터의 위치가 변한다면, 이러한 표현들은 상기 위치의 변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된다.
커넥터(1)는 합성 수지와 같은 절연 물질로 일체로 형성된 커넥터 메인 바디로서 하우징(11), 상기 하우징(11)에 장착된 케이블 고정 이동가능 부재(cable fixing movable member)로서 엑츄에이터(21) 및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된 다수의 단자들(61)을 가진다.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이 삽입되고 인출될 수 있는 그들의 열린 위치(제 1 위치)와 상기 삽입된 평판형 케이블(101)이 고정적으로 고착될 수 있는 그들의 닫힌 위치(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엑츄에이터의 위치가 변경가능하도록 상기 엑츄에이터(21)는 상기 하우징(11) 상에 장착된다. 상기 도시된 엑츄에이터(21)는 실질적인 사각 평판형 동작부(22), 상기 동작부(22)의 하나의 모서리에 형성된 캠(cam)의 기능을 짧은 방향 또는 측면 방향으로 수행하는 동작면(24) 및 상술한 하나의 모서리의 반대측들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회전축부(23)를 가진다. 도 1 내지 3은 상기 엑츄에이터(21)가 그들의 열린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보여 준다.
상기 도시된 하우징(11)은 실질적인 사각 평판형 베이스부(12), 상기 베이스부(12)의 한 모서리를 따라 짧은 방향 또는 측면 방향으로 연장하는 두꺼운 평판형 내벽부(13), 상기 베이스부(12)의 다른 모서리리 따라 짧은 방향 또는 측면 방향으로 연장하는 얇은 평판형 단자 고정부(14), 및 상기 베이스부(12)의 반대측 모서리들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는 두꺼운 평판형 측벽부들(15)을 가진다. 상기 측벽부(15)의 내측면은 상기 엑츄에이터(21)의 상기 회전축부(23)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회전축 수용 개구부(16) 및 상기 회전축 수용 개구부(16)와 연통하는 슬라이드 홈(17)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부(23)이 상기 슬라이드 홈(17)으로 안내되고, 상기 회전축부(23)가 상기 회전축 수용 개구부(16)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엑츄에이터(21)는 상기 베이스부(12)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단자 고정부(14)의 상면은 단자 고정 부재(31)가 수용된 수용홈부(accommodating recessed portion)(14a)를 구비한다. 상기 내벽부(13)에 인접한 상기 베이스부(12)의 상기 상면의 일부에는, 다수의 가이드 돌출부들(12a)가 제공되어 상기 단자들(61)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한다. 인접한 각각의 가이드 돌출부들(12a)은 각 단자(61)의 정점 단부(65)가 수용된 단자 가이드 홈(12b)으로서 기능하는 갭(gap)을 정의한다.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베이스부(12)의 하부면이 상기 기판의 장착면을 마주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케이블 수용 오목부 또는 슬롯(18)이 상기 베이스부(12)와 상기 내벽부(13)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슬롯은 소 정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자들이 연장하는 방향에 일반적으로 수직하는 각도로 연장한다.
각 단자(61)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형성된 연장된 스트립형 부재이며, 상기 하우징(11)의 짧은 방향 또는 측면 방향, 즉 상기 단자 고정부(14)로부터 상기 내벽부(13)로 연장한다. 상기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단자들은 서로 평행한 소정의 피치(예를 들어, 약 100 [μm] 또는 그 이하)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11)의 상기 단자 고정부(14)에 부착된다. 단자들(61)은 일반적으로 인광 브론즈(phosphor bronze), 구리-베릴리윰 합금(copper-beryllium alloy) 또는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스프링 특성을 갖는 금속들로 만들어진 금속판이다. 커넥터 단자들을 위한 어떤 물질들은 동일한 물질들이 얇고 소형화될 때, 상기 대응 단자들에 대항하는 약한 압축력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심지어 이와 같은 일반적인 물질이 미세하고 얇은 프로파일 또는 형태를 가지는 단자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더라도, 필수적인 압축력은 확보될 수 있다. 슬릿형 갭(slit-like gap)은 상기 단자들(61)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단자들은(61) 베이스 단부들(66)이 상기 하우징(11)의 상기 단자 고정부(14) 상에 실질적으로 배치되도록, 그리고 상기 정점 단부들(65)이 상기 하우징(11)의 상기 내벽부(13)을 마주하고, 상기 베이스부(12)의 상기 상면에서 상기 단자 가이드 홈(12b) 내에 배치되도록 배열된다. 상기 정점 단부들(65)은 상기 케이블 수용 홈부(18)에 인접한 위치, 즉 상기 하우징(11)의 상기 측면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12)의 상기 내측 단부면(12c)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열되어 상기 정점 단부들(65)이 상기 내측 단부면(12c)으 로부터 상기 케이블 수용 오목부(18)로 실질적으로 연장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할 수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들(61)은 서로 평행하고, 합성 수지와 같은 절연 물질로 일체로 형성된 단자 고정 부재(31)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기 하우징(11)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된 베이스 단부들(66); 상기 베이스 단부들(66)로부터 상기 하우징(11)의 중심으로 길이 방향 연장하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 그들의 삼각형 모양으로 중심이 상승한 부분을 가지는 암부들(68); 상기 암부들(68)의 자유 단부들(free ends)인 상기 정점 단부들(65); 및 상기 베이스 단부들(66)의 암부들(68)에 반대하는 측으로 연장하고, 상기 하우징(11)의 상기 단자 고정부(14)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납땜된 부들로서 말단부들(tail portions)(62)을 포함한다. 상기 말단부들(62)은 솔더링 또는 그와 유사한 것에 의해 상기 기판(미 도시)의 표면에 연결된다는 것을 주목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말단부(62)는 크랭크형 단차부(crank-like stepped portion)(62a)를 경유하여 상기 베이스 단부(66)에 연결되어 하측 단부 면이 상기 단자 고정부(14)의 상기 하부면과 실질적으로 평평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각각의 암부(68)는 상기 베이스 단부(66)에 연결된 제1 경사부(68a), 상기 제1 경사부(68a)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피크된(peaked) 제2 경사부 및 상기 제1 경사부(68a)를 상기 제2 경사부(68b)에 연결시키는 부분으로서 피크부(68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경사부(68a)는 상기 베이스 단부(66)으로부터 상기 피크부(68c)로 경사지게 상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2 경사부(68b)는 상기 피 크부(68c)로부터 상기 정점 단부(65)로 경사지게 하방으로 연장하며, 상기 피크부(68c)는 상기 베이스 단부(66) 및 상기 정점 단부(65) 상으로 도달하도록 돌출한다. 상기 피크부(68c)의 각도, 즉, 상기 제1 경사부(68a) 및 상기 제2 경사부(68b)에 의해 형성된 각도(θ)는 180도 보다 크지 않은 선형(linerar) 또는 평면(180도)에 근접할 수 있어, 좌우지간 피크를 형성하도록 충분하여 여기서 주목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할 수 있다. 이 피크각은 자의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상기 각도는 약 90도 내지 약 180도(90°< θ < 180°) 사이, 다시 말해, 둔각(obtuse angle)이 전형적이다. 둔각이 형성될 때, 상기 단자들의 힘은 길이 방향으로 더욱 충분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각(68a)의 길이에 대한 상기 제2 경사각(68b)의 길이 비(ratio)는 1:2 및 2:1 사이와 같이 자의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대략 1:1의 비가 전형적이다. 상기 비가 1:1인 경우, 상기 제1 경사부(68a) 및 상기 제2 경사부(68b)에 작용하는 스트레스(stress)는 상기 암부들(68)이 대응 단자들로서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의 도선들(conductor wires)에 대하여 압축될 때, 동시에 균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암부들(68)은 상기 배선들과 안정적인 접촉 상태가 된다.
이러한 도시된 배열에서, 각 피크부(68c)는 상기 엑츄에이터(21)의 동작면(24)과 접촉한다. 상기 엑츄에이터(21)가 상기 열린 위치로부터 상기 닫힌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피크부(68c)는 상기 동작면(24)에 의해 눌러진다. 상기 피크부(68c)가 눌러지면, 상기 정점 단부(65)(상기 암부(68)의 자유 단부로서)는 상기 내벽부(13)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내측 단부면(12c)으로부터 상기 케이블 수용 오목부(18)로 돌출하며, 상기 케이블 수용 오목부(18)에 삽입되는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의 도선들에 의해 압축된다. 상기 엑츄에이터(21)가 상기 피크부(68c)와 접촉하고 그리고 누르면, 상기 경사부들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단자 고정 부재(31)는 상방 및 하방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단부들(66)을 둘러싸도록 오버-몰딩(즉,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에 의해 실행된 인테그럴 성형(integral molding))에 의해 형성된 부재이다. 따라서,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는 상기 단자들(61)이 잇달아 배열된 방향으로, 다시 말해, 상기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된 사각 6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술한 방향으로 잇달아 배열된 상기 베이스 단부들(66) 모두를 일체로 고정시킨다. 상기 베이스 단부들(66) 아래의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의 일부는 상기 단자 고정부(14)에 형성된 수용 홈부(14a)에 수용된다.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는 접착제와 같은 적당한 고착 수단(securing means)에 의해 상기 단자 고정부(14)에 고착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단부들(66)은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1)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더하여, 금속으로 만들어진 프레임 부재들(71)은 이러한 부재들이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 즉,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1)의 반대 단부들에 부착된다. 상기 프레임 부재들(71)은 접착제와 같은 고착 수단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11)에 고착되며, 상기 프레임 부재들(71)의 일부는 상기 오버-몰딩으로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단자 고정부(14)에 인접한 측 상에 배치된 상기 프레임 부재(21)의 단부는 상기 단자 고정부(14)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부착부(75)이다. 상기 부착부(75)가 솔더링 또는 그와 유사한 것에 의해 연계된 기판의 표면에 연결될 때, 상기 부착부(75)는 크랭크형 단차부(75a)를 통해 상기 기판에 연결되어 상기 부착부(75)의 하측 단부 면이 말단부(6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단자 고정부(14)의 하부면의 위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는 상기 커넥터(1)를 상기 기판의 상기 표면에 고정되게 고착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부착 고정 부재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슬릿들(74)과 같은 제1 실시예의 서버캐리어(subcarrier)의 상기 슬롯들 그들 사이 및 그들 둘레에서 몰딩 물질의 통로(passage)를 허용하는 밀폐된 개구부들을 구비한 희생 골격 네트워크(sacrificial skeletal network)를 제공한다. 이러한 골격 네트워크는 제1 실시예의 도 4B, 4C 및 4D에서 제1 및 제2 단자 연결부들(73a, 73b)과 같은 상호연결 교량부들(interconnecting bridging portions)로 고려될 수 있는 이격된 정렬(또는 피치)로 유지되는 제1 실시예의 참조 번호 61과 같은 상기 단자들의 가로 바디부들(lengthwise body portions)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교량부들은 상기 단자들을 이격시키는 두 개의 연속 레일들(continuous rails)을 형성한다.
도 4D에서 슬롯들(74)로서 도시된 상기 슬롯들을 참조하면, 상기 슬롯들은 도 5B, 5C 및 5D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주위를 유동하도록하는 중합 하우징 물질(polymeric housing material)을 위한 개구부들을 제공하며, 중합 물질과 단자 바디부들의 일체화된 조립체는 몰딩 동안 형성된다. 여기의 다른 곳에서 보다 자세 히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 바디부들은 도 6D에서 보여지며, 도 6E, 6F, 6G 및 6H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것과 같이 상기 플라스틱-금속-플라스틱부들을 천공하거나 제거하는 스템핑(stamping), 시어링(shearing), 레이저 에칭 또는 그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 서로 독자적으로 되거나 또는 분리된다. 이러한 제거 공정은 단지 상기 교량부들의 영역에서 발생하며, 상기 슬롯들과 조화하여 그들의 일 부분들을 상기 단자 캐리어로부터 제거하여 도 6E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단자들을 서로 분리시킨다. 상기 단자들은 도 6E 및 6F에서 예로서 보여진 상기 플라스틱 오버몰더(plastic overmold)에 의해 고정된다.
도 4 및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자 조립체의, 커넥터(1)를 포함하는 커넥터들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단계들을 보여준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자 조립체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며, 도 7은 상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전도성 금속판은 프레스 장치와 같은 기계 공구의 수단에 의해 다이 커팅 및 밴딩 작업이 수행되어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품(preliminarily formed terminal product)(70)을 일체로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다이 커팅 및 밴팅은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품(70)은 레이저 작업 또는 에칭과 같은 임의의 타입의 작업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품(70)은 서로 평행한 한 쌍의 프레임 부재들(71) 및 상기 프레임 부재들(71)과 평행하게 연장하고 서로 평행한 소정의 피치 로 배열되는 다수의 단자들(61)을 갖는다. 상기 프레임 부재들(71) 및 상기 단자들(61)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금속판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길이 방향으로 각 단자(61)의 일단은 캐리어 연결부(67)를 통하여 평판형 캐리어부(72)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캐리어부(72)는 운반 또는 전달 기계, 기계 공구, 작업 공구, 지그, 작업자의 손, 또는 다른 유사한 것에 의해 파지되어 상기 사전에 형성된 단자 예품(70)의 운반 또는 전달 및 배치와 같은 모든 작업이 상기 커넥터(1) 또는 상기 단자 조립체(60)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쉽게 수행된다. 상기 캐리어부(72)는 최종 제조 단계에서 제거된다. 도면들에 도시된 예에서, 상기 캐리어부(72)에 연결된 단일(single)의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품(70)이 보여지지만, 상기 캐리어부(72)는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품들(70)에 연결된 긴 스트립형 평판 물질(long strip-like plate material)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예에서, 상기 캐리어부(72)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단자(61)의 일단에만 연결되지만, 상기 캐리어부들(72)은 필요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상기 단자(61)의 반대측 단부들에 연결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프레임 부재(71)는 상기 캐리어부(72)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단자들(61) 각각의 일단은 단차부(62a) 및 말단부(62)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말단부(62)는 상기 단자(61)를 상기 캐리어부(72)에 연결하는 상기 캐리어 연결부(67)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부재(71)의 일단 또한 상기 단차부(75a) 및 상기 부착부(75)를 유사하게 구비한다.
반대측 상의 프레임 부재들(71)은 상기 단차부(75a)보다 타측 단부에 보다 근접하는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각 부재(71)의 일단부의 근처에서 서버-캐리어부(73)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상기 서버-캐리어부(73)은 상기 프레임 부재(71) 및 상기 단자(61)와 동일한 금속판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부재(7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며, 그 반대 단부들은 상기 프레임 부재들(71)에 연결된다. 상기 서버-캐리어부(73)는 상기 프레임 부재들(71)와 평행하게 연장하고, 서로 평행한 상기 단자들(61)과 동일한 피치로 배열된 다수의 슬릿들(74)을 구비한다. 상기 슬릿들(74)은 상기 서버-캐리어부(73)의 두께 및 깊이 방향으로 절개하여 형성되며, 인접한 슬릿들(74) 사이의 스트립형부는 결국 각 단자(61)의 상기 베이스 단부(66)의 일부가 된다.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각 슬롯(74)의 반대측 단부들은 그들의 폭 방향으로 상기 서버-캐리어부(73)의 반대측 단부들로 연장하지 않는다. 상기 서버-캐리어부(73)의 상기 길이 방향(즉, 상기 프레임 부재(7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트립형 제1 및 제2 단자 연결부들(73a, 73b)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슬릿(74)의 반대측 단부들 및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서버-캐리어부(73)의 반대측 단부들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단자들(61)은 상기 제1 단자 연결부(73a) 및 상기 제2 단자 연결부(73b)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반대측 상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들(71)에 또한 연결된다. 더욱이, 각 단자(61)에서, 상기 암부(68), 상기 말단부(62) 및 상기 슬릿들 사이의 상기 스트립형부는 상기 단자의 상면 상으로부터 보여질 때 동일한 직선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모든 단자들(61)의 상기 제2 경사부들(68b)은 단자 서버-캐리어부(78) 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단자 서버-캐리어부(78)는 상기 단자(61)와 동일한 금속판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단자(61)에 직교하는 방향, 다시 말해, 상기 단자(61)가 배열된 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단자 서버-캐리어부(78)는 상기 프레임 부재들(71)에 연결되지 않는 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밴딩이 상기 암부(68)의 연결부, 상기 베이스 단부(66) 및 상기 암부(68)의 중간 매개부에 적용되어 상기 베이스 단부(66)에 대하여 경사진 상기 제1 경사부(68a), 상기 제1 단부(68a)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피크된 제2 경사부(68b) 및 상기 제1 경사부(68a)를 상기 제2 경사부(68b)에 연결하는 상기 피크부(68c)를 형성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품(70)의 일부는 상기 오버-몰딩이 수행되어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합성 수지와 같은 절연 물질로 일체로 형성된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를 형성한다.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는 상방 및 하방으로부터 상기 서버-캐리어부(73)의 적어도 중심을 밀폐하도록 오버-몰딩된 부재이며, 상기 서버-캐리어부(73)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된 사각 6면체 형상을 가진다. 이 경우, 단자 고정 부재(31)는 모든 슬릿들(74)을 채우며, 그 결과 상기 슬릿들 상부의 일부 및 상기 슬릿들 하부의 일부 사이의 연결을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는 상기 반대측 상의 상기 프레임 부재들(71)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모든 방향의 단자들(61)의 상기 베이스 단부들(66)의 적어도 일부에서 코팅된 길이 방향으로의 그들 반대측 단부들이 상기 배열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는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품(70)을 잡거나 또는 파지하도록 제공되며, 결국, 장측들이 되는 제1 측(31a) 및 제2 측(31b) 및 단측들이 되는 제2 측(31c) 및 제4 측(31d)을 가지는 사각 6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양쪽 프레임 부재들(71)의 치수와 관련하여,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는 상기 슬릿들(74)의 전체를 코팅하기 위하여 형성되며, 상기 사각 6면체 제1 측(31a)이 상기 제1 단자 연결부(73a)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측(31a)에 평행한 상기 제3 측(31b)이 상기 제2 단자 연결부(73b) 상에 배치되게 연장하도록 더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연결부들(73a, 73b)을 일부들을 각각 코팅한다.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 부재(71)의 치수는 상기 모든 슬릿들(74)이 코팅될 수 있는 크기로, 그리고 상기 반대측들 상의 상기 프레임 부재들(71)의 일부가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의 상기 제2 측(31d) 및 상기 제4 측(31d)로 덮여질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를 형성하기 위한 다이에서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에 상응하는 캐비티의 둘레를 둘러싸는 평면형 다이 분할 면(flat-surface-like die parting surface)은 평판형 부재들인 상기 제1 단자 연결부(73a), 상기 제2 단자 연결부(73b) 및 상기 프레임 부재(71)에 대항하여 인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술한 단자 고정 부재(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 연결부(73a) 및 상기 제2 단자 연결부(73a)가 각각 절개되어 상기 단자들(61)이 상기 프레임 부재들(71)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는 상기 단자들(61) 및 상기 프레임 부재들(71)을 일체로 고정시켜 상기 각각의 단자들(61) 및 상기 각각의 프레임 부재들(71) 사이의 위치 관계가 변하지 않는다.
즉,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가 상기 오버-몰딩에 의해 형성될 때, 상기 서버-캐리어부(73)는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의 형상의 절반에 실질적으로 해당하는 형상을 가지는 오목부로서 캐비티를 구비한 상기 다이 분할 면을 각각이 갖는 한 쌍의 다이들 사이에 수직적으로 잡히거나 또는 파지된다. 그 후에, 용융된 절연 물질은 상기 반대측 상에서 상기 캐비티들에 의해 형성된 밀접한 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캐비티들의 원주를 둘러싸는 한 쌍의 다이들의 상기 평면형 다이 분할 면들은 상기 서버-캐리어부(73)의 상부 및 하부 면들 둘 다에 인접하여 밀접한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캐비티들의 원주들을 둘러싸는 상기 평판형 다이 분할 면들 및 상기 서버-케리어부(73)의 상기 상부 및 상부 면들 둘 다 사이에 갭이 발생한다면, 상기 용융된 절연 물질은 상기 갭으로 누출되며,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는 적절하게 형성될 수 없다. 그러나, 상기 캐비티들의 상기 원주들을 둘러싸는 상기 평판형 다이 분할 면들이 상기 제1 단자 연결부(73a), 상기 제2 단자 연결부(73b) 및 상기 프레임 부재(71)의 상기 평면들에 인접할 때, 상기 캐비티들의 상기 원주들을 둘러싸는 상기 평판형 다이 분할 면들은 상기 제1 단자 연결부(73a), 상기 제2 단자 연결부(73b) 및 상기 프레임 부재(71)의 상기 평면들과 밀접하게 접촉한다. 이 경우, 상기 갭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용융된 절연 물질은 누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는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형성된 절연 물질의 "수축(burrs)" 또는 "긁힘(flash)"의 형성 또는 전개는 상기 절연 물질이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로 코팅될 부분 또는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로 코팅되지 않은 부분에 부착되지 않는 다는 점에서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프레임 부재들(71), 상기 제1 단자 연결부(73a) 및 상기 제2 단자 연결부(73b)를 코팅할 때,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의 수지에 의한 밀봉 또는 밀폐 정도는 절개부들(79)이 후술하는 것과 같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리고 상기 단자들(61) 및 상기 프레임 부재들(71)이 일체로 고정되게 고착된 상태에서 적절하게 결정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부재(71)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상술한 슬릿형 절개부들(79)은 상기 제1 단자 연결부(73a) 및 상기 제2 단자 연결부(73b) 내에 형성된다. 더욱이, 절반으로 상기 캐리어 연결부(67)의 일부를 절개하는 동작은 상기 캐리어부(72)를 제거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그 결과, 상기 단자 조립체(60)가 얻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개부들(79)은 상기 제1 단자 연결부(73a) 및 상기 제2 단자 연결부(73b)를 통하여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슬릿들(74)이 그들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상기 인접한 단자들(61) 사이의 갭들을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그 결과, 상기 단자들(61)의 상기 전체 길이 방향 전반으로 연장하는 슬릿형 갭은 상기 단자들(61) 사이에 형성된다.
도 6에서 잘 보여지는 것과 같이, 상기 절개부들(79)은 또한 상기 제1 단자 연결부(73a)의 일부 및 상기 제2 단자 연결부(73b)의 일부를 코팅하는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와 일체로 형성된다는 것에 유의할 수 있다. 즉, 상기 절개부들(79)은 상기 단자들(61)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단자 연결부(73a), 상기 제2 단자 연결부(73b) 및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의 반대측 단부들과 서로 함께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들(79)은 상기 단자들(61) 사이의 상기 슬릿형 갭들과 조화되며,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를 통하여 연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절개부들(79)은 절개를 위한 타켓으로의 부재가 레이저 빔의 발산에 의해 절개되는 레이저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절개부들은 임의의 타입의 처리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단자 서버-캐리어부(78)(도 5)는 또한 상기 서버-캐리어부(73)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방법으로 절개된다. 이 경우, 상기 단자 서버-캐리어부(78)는 상기 단자 서버-캐리어부(78)의 반대측에 연결되고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각각의 인접한 제2 경사부들(68b) 사이에 형성된 갭들 사이에 서로의 연결을 제공하도록 절개된다. 따라서, 절개될 때, 왼쪽의 상기 단자 서버-캐리어부(78)는 상기 제2 경사부(68b)의 일부를 형성한다. 그 결과, 상기 단자 서버-캐리어부(78)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 상기 제2 경사부들(68b)은 서로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제2 경사부들(68b)은 상기 슬릿들(74) 및 상기 절개부들(79)을 통하여 상기 서버-캐리어부(73)로부터 절개되고, 상기 인접한 단자들(61) 및 상기 프레임 부재들(71)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단자 서버-캐리어부(78)는 상기 제2 경사부들(68b)을 서로 분리하도록 절개된다. 각 단자(61)는 상기 정점 단부(65)로부터 상기 말단부(62)로 연속하는 하나의 연장된 스트립형 독립 부재로 형성된다. 이 경 우, 모든 단자들(61)은 각 베이스 단부(66)의 적어도 일부의 둘러싸는 영역이 밀폐된 상태로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의 상기 반대측 단부들은 그들의 상기 반대측 상에서 상기 프레이 부재들(71)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부재(71)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단자들(61)이 상기 프레임 부재(71)의 측면 방향에 병렬로 배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소정의 피치로 배열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단자들(61)은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에 의해 고정된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기 단자 조립체(60)는 상기 프레임 부재들(71); 서로 평행하게 소정의 피치로 배열된 상기 다수의 단자들(61); 및 상기 프레임 부재들(71)에 연결되어 상기 단자들(61)을 고정시키는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를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프레임 부재들(71)은 평행하게 연장하고 서로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열된 한 쌍의 부재들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들(61)은 상기 반대측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프레임 부재들(71)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베이스 단부들(66)이 그들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각각의 프레임 부재들(71)의 하나의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정점 단부들(75)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양 프레임 부재들(71)의 타측 단부들로 방향으로 향한다.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그들의 상기 반대측 단부들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들(71)에 연결되고, 상기 단자들(61)의 상기 베이스 단부들(66)을 고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시된 제품은 다음의 순서에 따른다. 상기 단자 조립체(60)는 한 쌍의 프레임 부재들(71)를 가지는 상기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 품(70) 및 상기 프레임 부재들(7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단자들(61)을 먼저 형성함으로써 제조되며,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프레임 부재들(71)의 측면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소정의 피치로 서로 병렬로 배치되며, 그들 내에 상기 슬릿들(74)을 가지는 상기 서버-캐리어부(73)를 통하여 상기 프레임 부재(71)에 일체로 연결되고, 이들은 상기 단자 서버-캐리어부(78)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어서, 상기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품(70)은 오버-몰딩에 의해 상기 몰딩 물질로 코팅되어 상기 서버-캐리어부(73)의 적어도 일부를 코팅하는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를 형성한다. 최종적으로, 상기 서버-캐리어부(73)의 일부, 다시 말해서, 절개부들(79)은 상기 제1 단자 연결부(73a) 및 상기 제2 단자 연결부(73b)를 절개하여 형성된다. 상기 단자 서버-캐리어부(78)는 상기 단자들(61)을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하도록 절개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부재들(71) 및 모든 단자들(61)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자 조립체(60)는 감소된 시간으로 쉽게 생산될 수 있다. 비록 상기 단자들(61)의 상기 피치가 마이크로 값, 예를 들어, 100 [μm] 또는 그 이하라 하더라도, 상기 단자들(61)의 배열은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단자들(61) 및 상기 프레임 부재들(71) 사이의 위치 관계는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 조립체(60)은 자의적으로, 그러나 접착제와 같은 적당한 고착 수단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11)에 고착되며, 상기 회전축부(23)는 상기 회전축 수용 개구부(16) 내에 삽입되어 상기 엑츄에이터(21)를 상기 하우징(11)에 부착시킨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1)는 도 1 내지 3에 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을 상기 커넥터(1)에 연결하기 위한 일반적인 동작의 설명은 아래에 제공된다. 특히,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평판평 케이블(101)은 연장된 스트립형 형상을 가지는 절연 박막 평판 부재인 기판부(111) 및 상기 기판부(111)의 일 표면 상에 배열된 다수의 도선들(미 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도선들은 구리와 같은 도전성 물질로 만들어진 선형 포일형 물질들이며, 서로 평형하게 소정의 피치(예를 들어, 100 [μm] 또는 그 이하)에 배열된다. 더욱이, 상기 도선들의 상측들은 절연층(121)으로 코팅된다.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의 반대측 단부들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영역들에서, 상기 절연층(121)은 상기 도선들의 상면들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거된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각각의 도선들의 노출된 부분은 상기 단자(61)의 상기 정점 단부(65)와 접촉하여 전기를 유도하는 대응 단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이 상기 커넥터(1)에 연결될 때, 상기 엑츄에이터(21)는 도 1 내지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열린 위치가 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의 위치는 상기 케이블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조절된다.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의 하부 정점 단부, 즉, 그들의 하측 단부는 상기 커넥터(1)의 상기 케이블 수용 오목부(18)의 상방향으로 향하는 케이블 삽입 개구부와 마주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의 위치는 노출된 측 상의 상기 도선들은 상기 단자 고정부(14)를 향하도록, 그리고 비-노출된 측 상의 상기 도선들은 상기 내벽부(13)를 향하도록 조절된다.
이어서,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은 상기 커넥터(1) 방향으로, 다시 말해,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의 상기 하측 단부를 상기 커넥터(1)의 상기 케이블 수용 오목부(18)로 삽입하도록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 경우, 상기 평판평 케이블(101)의 하부 모서리는 상기 케이블 수용 오목부(18)의 내측 바닥면 상에 인접하여 삽입 및 연장 방향으로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을 위치시킨다.
이어서, 상기 엑츄에어터(21)는 상기 회전축부들(23)의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하여 그들의 방향을 변경하고, 도 8 및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위치가 된다. 상기 엑츄에이터(21)가 상기 열린 위치로부터 상기 닫힌 위치로 변경될 때, 상기 엑츄에이터(21)의 상기 동작부(22)의 일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동작면(24)은 캠으로서 기능하고, 상기 피크부(68c)에 인접하며, 상기 피크부(68c)를 누른다. 그런 다음, 상기 암부(68)는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상기 피크부(68c)의 각도는 커지며, 상기 제1 경사부(68a) 및 상기 제2 연장부(68b)의 일부는 상기 베이스부(12)의 상기 상면에 대하여 압축된다. 따라서, 상기 암부(68)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암부(68)의 자유단인 상기 정점 단부(65)는 상기 내벽부(13)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케이블 수용 오목부(18)로 돌출하고, 상기 케이블 수용 오목부(18)에 삽입된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의 도선에 대하여 압축된다.
이 경우, 상기 피크부(68c)는 상기 엑츄에어(21)의 상기 동작면(24)에 의해 눌려져서 상기 암부(68)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변형된 암부(68)가 스프링력을 가하기 때문에, 상기 정점 단부(65)는 상기 평판형 케이 블(101)의 상기 도선에 대한 상기 스프링력에 의해 강제된다. 상기 정점 단부(65)로부터 상기 평판평 케이블(101)의 상기 도선으로 인가된 상기 암부(68)의 상기 스프링력은 상기 암부(68)의 연장 방향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나타난다.
더욱이, 상기 피크부(68c)의 각은 둔각이고, 수평 방향에 대한 상기 제1 경사부(68a) 및 상기 제2 경사부(68b)의 각은 45도보다 매우 작기 때문에, 상기 수직 방향으로 상기 피크부(68c)에 인가되고, 상기 제1 경사부(68a) 및 상기 제2 경사부(68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힘의 성분(component)은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인가된 힘보다 크다. 더욱이, 상기 베이스부(12)가 고정되고, 상기 정점 단부(65)가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경사부(68a) 및 상기 제2 경사부(68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상기 암부(68)의 상기 스프링력의 상기 성분들의 합은 상기 정점 단부(65)로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정점 단부(65)는 상기 암부(68)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큰 스프링력을 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정점 단부(65)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보다 큰 스프링력을 가한다. 따라서, 비록 상기 단자(61)가 연장된 스트립형 부재라고 하더라도, 충분히 큰 접촉력이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00 [μm]의 피치로 상기 단자들(61)을 배열하기 위하여, 각 단자(61)의 폭은 금소판의 작업의 차원에서, 약 50 [μxa] 또는 그 이상으로 선택될 수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경사부(68a) 및 상기 제2 경사부(68b)의 각각의 길이가 약 1 [mm]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부(12)로부터 상기 피크부(68c)의 높이는 대략 0.3 [mm]로 설정되고, 판 두께는 대략 0.05 [mm]로 설정되며, 상기 엑츄에이터(21)의 상기 동작 면(24)이 8 [gf]의 하방 힘을 각 단자(61)의 상기 피크부(68c)에 인가할 때, 각 정점 단부(65)는 약 36 [gf]의 접촉력을 가할 수 있는 것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들(61)은 충분한 스프링력을 가하여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의 상기 도선들과의 접촉을 유지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단자들(61)은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을 확고하게 그리고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내벽부(13)의 상기 전방 단부면(13a)의 수직 치수는 상기 베이스부(12)의 상기 내측 단부면(12c)의 수직 치수보다 크다는 것에 유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은 그들의 배면측으로부터 상기 전방 단부면(12a)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단자들(61)에 의해 가해진 접촉력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정점 단부들(65)의 각각이 상기 내벽부(13)로 이동할 때, 상기 정점 단부들(65) 및 상기 정점 단부들(65)에 인접한 상기 제2 경사부들(68b) 각각의 일부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들(12a) 사이의 상기 단자 가이드홈(12b) 내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정점 단부(65)의 위치는 상기 단자들(61)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정점 단부들(65)의 위치들이 상기 단자들(61)이 배열된 방향으로 이탈(deviate)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정점 단부들(65)은 상기 해당 도선들과 확실하게 접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품(70)은 서로 평행한 상기 소정의 피치로 배열되고, 상기 서버-캐리어부(73)를 통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상기 단자들(61)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캐리어부(72)는 상기 단자들(61) 각각의 일 단부에 연결되고, 모든 단자들(61)의 상기 제2 경사부들(68b)은 상기 단자 서버-캐리어부(78)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는 것을 주목한다. 상기 반대측 상의 상기 프레임 부재들(71)은 상기 서버-캐리어부(7)를 통하여 상기 단자들(61)에 연결된다. 더욱이, 상기 프레임 부재(71)는 오버-몰딩되어 상기 서버-캐리어부(73)의 적어도 일부를 코팅하는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서버-캐리어부(73)의 일부 및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의 일부는 둘 다 절개된다. 더욱이, 상기 단자 서버-캐리어부(73)은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단자들(61)을 분리하도록 절개되며, 상기 단자 조립체(60)는 얻어진다. 따라서, 비록 상기 단자들(61)이 작은 피치로 배열되더라도, 상기 단자 조립체(60) 및 상기 커넥터(1)는 짧은 시간에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단자들(61)의 배열이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소형화된 단자 조립체(60) 및 커넥터(1)를 얻는 것은 가능하다.
각각의 단자(61)는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에 의해 고정된 상기 베이스 단부; 상기 베이스 단부(66)로부터 연장하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암부(68); 상기 암부(68)의 상기 자유단에서 상기 대응 단자와 접촉하는 상기 정점 단부(65); 및 상기 정점 단부(65) 및 상기 베이스 단부(66) 사이의 상기 암부(68)에 형성된 상기 피크부(68c)를 포함한다. 상기 피크부(68c)의 상기 각이 커질 때, 상기 정점 단부(65)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단자(61)의 힘에 의해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의 상기 도선에 대하여 압축된다. 따라서, 심지어 단순한 구조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압축력이 가해져서 상기 단자들이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의 상기 도선들과의 접촉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상기 단자 조립체(60) 및 상기 커넥터(1)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은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단자들(61)의 상기 피치는 감소될 수 있고, 상기 단자 조립체(60) 및 상기 커넥터(1)의 높이도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단자 조립체(60) 및 상기 커넥터(1)는 쉽게 제조될 수 있고, 비용은 감소될 수 있으며, 전체 크기의 소형화도 얻어질 수 있다.
각각의 암부(68)는 상기 피크부(68c)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 단부(66)에 연결된 상기 제1 경사부(68a) 및 상기 제1 경사부(68a)에 연결된 상기 제2 경사부(68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경사부(68a) 및 상기 제2 경사부(68b)는 상기 피크부(68c)의 둔각을 형성한다. 따라서, 비록 적은 힘이 상기 엑츄에이터(21)의 상기 동작면(24)에 의해 상기 피크부(68c)에 인가되더라도, 상기 정점 단부(65)는 상기 암부(68)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큰 스프링력을 실질적으로 가할 수 있다. 상기 단자들은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의 도선들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은 확고하고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도 24, 25A 및 25B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엑츄에이터(41)는 케이블 고정 이동가능 부재로서 이용된다. 상기 엑츄에이터(41)는 하우징(11)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열린 위치로부터 닫힌 위로로 슬라이드된다. 더욱이, 상기 엑츄에이터(41)는 실질적인 사각 평판형 동작부(42), 베이스부(12)를 대면하고 각 단자(61)의 피크부(68c)와 접촉하는 상기 동작부(42)의 동작면(42a), 상기 동작부(42)의 반대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열된 돌출부들(44) 및 상기 하우징(11)의 측부들로부터 내측으로 배치된 슬라이드 홈들(17)과 맞물리도록 제공된 슬라이드 돌출부들(45)을 포함한다.
도 24, 25A 및 25B는 상기 엑츄에이터(41)가 그들의 열린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준다. 이 경우, 상기 동작면(42a)은 상기 단자(61)의 암부(68)와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엑츄에이터(41)가 삽입된 열린 위치로부터 상기 닫힌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동작염(42a)는 제1 경사부(68a)와 인접하고, 상기 피크부(68c)를 압축하기 위하여 상기 피크부(68c)에 인접한다. 이 경우, 상기 엑츄에이터(41)는 정점 단부(65)가 내벽부(13)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단자(61) 상에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정점 단부(65)는 더욱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양한 특징들은 상기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하며, 그들의 설명은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을 커넥터(1)에 연결하는 설명은 도 26, 27A 및 27B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제2 실시예에서,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의 하측 단부가 상기 커넥터(1)의 케이블 수용 오목부(18)로 삽입될 때를 포함하는 동작들일 수행되고, 상기 제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그들의 설명들은 생략될 것이다.
더욱이,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의 상기 하측 단부가 상기 커넥터(1)의 상기 케이블 수용 오목부(18)로 삽입될 때, 상기 엑츄에이터(41)는 상기 하우징(11)에 대하여 슬라이드되며, 도 24, 25A 및 25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닫힌 위치로 된다. 상기 엑츄에이터(41)가 상기 내벽부(13) 방향으로 슬라이드될 때, 상기 슬라이드 돌출부(45)는 상기 하우징(11)의 측벽부(15)의 내측면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드 홈(17)으로 들어가서 상기 슬라이드 홈(17)과 맞물린다. 따라서, 상기 엑츄에이 터(41)는 상기 하우징(11)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다.
상기 엑츄에이터(41)가 상기 내벽부(13) 방향으로 슬라이드될 때, 상기 동작면(42a)은 상기 피크부(68c)에 인접하여 상기 피크부(68c)를 압축한다. 그런 다음, 상기 암부(68)는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상기 피크부(68c)의 각은 커지며, 상기 제1 경사부(68a) 및 상기 제2 경사부(68b)의 큰 부분은 상기 베이스부(12)의 상면에 대하여 압축된다. 따라서, 상기 암부(68)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정점 단부(65)(상기 암부(68)의 자유단이다)는 상기 내벽부(13)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케이블 수용 오목부(18)로 들어가고, 상기 케이블 수용 오목부(18) 내에 삽입된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의 도선 상으로 압축된다.
이 경우에, 상기 피크부(68c)는 상기 엑츄에이터(41)의 상기 동작면(42a)에 의해 눌려져서 상기 암부(68)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변형된 암부(68)가 스프링력을 가하기 때문에, 상기 엑츄에이터(41)는 상기 암부(68)로부터 상방향 스프링력을 수용한다. 그러나, 상기 슬라이드 돌출부들(45)이 상기 슬라이드 홈(17)과 맞물리기 때문에, 상기 엑츄에이터(41)는 하방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엑츄에이터(41)는 상기 열린 위치로부터 상기 닫힌 위치로 변화도록 슬라이드한다. 따라서, 상기 엑츄에이터(41)가 상기 열린 위치에 존재할 때에도, 상기 커넥터(1)의 높이는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우징(11)이 상기 단자 조립체(60)에 부착되어 상기 커넥터(1)를 제조하고, 상기 평판형 케이블(101)이 상기 커넥터(1) 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단자 조립체(60)는 상기 하우징(11)에 부착되지 않고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자 조립체(60)가 상기 기판의 표면에 그대로 장착될 수 있다. 더욱이, 홈부(recessed portion)가 상기 회로 기판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단자 조립체(60)가 상기 홈부 내에 상기 단자 조립체를 수용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단차부들(75a, 62a)은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부착부(75) 및 상기 말단부(62)는 상기 단자(61)의 상기 프레임 부재(71) 및 상기 베이스 단부(66)와 동일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피크부(68c)는 상술한 엑츄에이터들(21, 41) 대신에 상기 기판에 고정된 바형 또는 평판형 부재에 의해 눌려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도 11A, 11B 및 11C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부들 및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낼 것이며, 그들의 설명들은 생략될 것이라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상기 두 실시예들과 동일한 동작 및 효과를 가지는 성분들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참조 번호 201은 본 실시예의 커넥터를 나타낸다. 상기 커넥터는 후술한 단자 조립체(260)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201)는 임의의 타입의 커넥터일 수 있으나, 여기서는, 상기 커넥터가 후술할 회로 기판(291)의 표면 상에 장착될 표면 장착형 커넥터인 것으로 설명될 것이다. 상기 회로 기판(291)은,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이지만, 임의의 타입이 될 수도 있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커넥터(201)는 합성 수지와 같은 절연 물질로 일체로 형성된 커넥터 메인 바디로서 하우징(211) 및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된 다수의 단자들(261)을 포함한다. 도면들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11)은 상부 절반부(212) 및 하부 절반부(216)를 포함하며, 대략적으로 사각형의 두꺼운 평판형 형상을 가진다. 상기 단자들(261)은 상기 하우징(211)의 길이 방향(도 11B 및 도 11C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절반부(212)는 상기 상부 절반부(212)의 중심에 형성되고, 두께 방향(도 11에서 수직 방향)으로 상기 상부 절반부(212)를 통하여 연장하며, 대응 커넥터(301)가 후술하는 것과 같이 삽입되는 개구부로서 배치되는 사각 상부 개구부(213)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절반부(216)는 상기 하부 절반부(216)의 중심에 형성되고, 두께 방향으로 상기 하부 절반부(216)를 통하여 연장하며, 상기 대응 커넥터(301)가 삽입되는 개구부로서 배치되는 사각 하부 개구부(217)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개구부(213)는 비교적 크게 형성되어 상기 두께 방향으로 상기 단자들(261)의 암부들(268)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반면에, 하측 개구부(217)는 상기 대응 커넥터(301)의 정점 단부가 수용될 수 있게 연장하도록 비교적 작게 형성된다. 상기 하측 개구부(217)에 대응하는 상기 상측 개구부(213)의 일부는 확장부(213a)를 구비하여 상기 대응 커넥터가 수용될 수 있게 한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개구부(217)의 반대측들에 인접하는 상기 하부 절반부(216)의 일부들은 상기 하측 개구부(217) 방향 하향지게 경사진 경사면들(219)을 구비하여 상기 두께 방향으로 상기 단자들(261)의 상기 암부들(268)의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대응 커넥터(301)의 상기 정점 단부가 조금 하방으로 돌출하는 경우, 상기 하측 개구부(217)는 상기 커넥터가 연장하는 개구부를 필수적으로 가지지는 않으며, 밀접한 하부면을 가지는 홈부일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대응 커넥터(301)의 상기 정점 단부가 조금 하방으로 돌출할 때, 상기 하측 개구부(217)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도시된 단자들(261)은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을 만들어진 연장된 스트립형 부재들이며, 상기 하우징(211)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하우징(211)의 측 방향으로 배열되고, 서로 평행한 소정의 피치(예를 들어, 100 [μm] 또는 그 이하)로 배열된다. 상기 단자들(261)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211)의 반대측 단부들의 근처에서 일부분들에 각각 부착된다. 상기 단자들(261)은 단자들(261)은 인광 브론즈, 구리-베릴리윰 합금 또는 그와 유사한 것, 일반적으로, 스프링 특성을 갖는 금속들로 만들어진 금속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들로서 대항하는 압축력들은 상기 대응 단자들에 대하여 상기 단자들을 약하게 하는 의도로 이용되며, 특히, 상기 단자들이 본 발명에 의해 처리되는 얇고 그리고/또는 소형화됨에 따라 상기 단자들을 약하게 하는 의도로 이용된다. 비록 이러한 일반적인 물질이 상기 미세한 형상을 가지는 상기 단자들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필수적인 압축력은 확보될 수 있다. 슬릿형 갭은 상기 단자들(261)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단부들(266)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211)의 상기 반대측들 상에 배치되도록, 그리고 상기 정점 단부들(265)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211)의 중심을 향하고, 상기 상측 개구부(213) 내에 위치되도록 배열된 두 세트의 단자들을 상기 단자들(261)은 포함한다.
특히,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들(261)은 서로 평행하도록 상기 하우징(211)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되고, 합성 수지와 같은 절연 물질로 일체로 형성된 단자 고정 부재(231)에 의해 고정된 베이스 단부들(66); 상기 베이스 단부들(266)로부터 상기 하우징(211)의 중심으로 길이 방향으로 그리고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하는 암부들(268); 상기 암부들(268)의 자유 단부들(free ends)인 상기 정점 단부들(65); 및 상기 암부들(268)에 반대하는 상기 베이스 단부들(266)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211)의 상기 반대측 단부들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용융된 부분들로서 말단부들(262)을 포함한다. 상기 정점 단부들(262)은 솔더링 또는 그와 유사한 것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291)의 표면에 연결된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점 단부들(262)은 크랭크형 단차부(crank-like stepped portion)(62a)를 경유하여 상기 베이스 단부(266)에 연결되어 상기 말단부들(262)의 하측 단부면들이 상기 하부 절반부(216)의 하부면과 실질적으로 평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는 상방 및 하방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단부들(266)을 둘러싸도록 오버-몰딩에 의해 형성된 부재이다.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는 상기 단자들(261)이 잇달아 배열된 방향으로, 다시 말해, 상기 하우징(2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된 사각 6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술한 방향으로 잇달아 배열된 상기 베이스 단부들(266) 모두를 일체로 고정시킨다. 상기 베이스 단부들(266) 아래의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의 일부는 상기 하부 절반부(216)에 형성 된 수용 오목부(218)에 수용된다. 상기 수용 오목부(218)는 상기 하우징(211)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경사면(219) 외측에 배치되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는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가 상기 상부 절반부(212) 및 상기 하부 절반부(216) 사이에서 잡히거나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11)에 고정되게 고착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단부들(266)은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211)에 의해 고정된다.
그 결과, 상기 말단부들(262)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211)의 상기 반대측 단부들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암부들(268)이 상기 반대측들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211)의 중심으로 그리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211)의 일 측 방향으로, 다시 말해, 상방향 경사지도록, 그리고 상기 정점 단부들(265)이 상기 상측 개구부(213) 내에 위치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하우징(211)의 상기 반대측 단부들의 근처에서 상기 하우징(211) 상에 장착된 상기 단자들(261)은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말단부들(265)이 상기 상부 절반부(212)의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금속으로 만들어 지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프레임 부재들(271)이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 즉, 측면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상기 측면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211)의 상기 반대측 단부들에 부착된다. 더욱이,
각각의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이 상기 상부 절반부(212) 및 상기 하부 절반부(216) 사이에서 수직으로 잡히거나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 은 상기 하우징(211)에 고정되게 고작된다.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 각각의 일부는 상기 오버-몰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 각각의 반대측 단부들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211)의 상기 반대측 단부들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부착 돌출부들(275)이다. 상기 말단부들(262)에서와 같은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들(275)은 크랭크형 단차부들(275a)을 통하여 솔더링 또는 그와 유사한 것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291)의 표면에 연결되어 상기 부착부들의 하측 단부면들이 상기 하부 절반부(216)의 하부면과 실질적으로 평탄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는 상기 커넥터(201)을 상기 회로 기판(291)의 상기 표면에 고정되게 고착하기 위한 부가적인 부착 고정 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넥터(201)의 제조 방법의 설명은 본 발명의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자 조립체의 제조 단계를 보여주는 도 12A, 12B, 13A, 13B, 14A, 14B, 14C, 14D 및 15를 특히 참조하여 아래에서 제공된다.
먼저, 전도성 금속판은 프레스 장치와 같은 기계 공구의 수단에 의해 다이 커팅 및 밴딩 작업이 수행되어 도 1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품(270)을 일체로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다이 커팅 및 밴팅은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품(270)은 레이저 작업 또는 에칭과 같은 임의의 타입의 작업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할 수 있다.
상기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품(270)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프레 임 부재들(271) 및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과 평행하게 연장하고 서로 평행한 소정의 피치로 배열되는 다수의 단자들(261)을 갖는다.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 및 상기 단자들(261)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금속판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도시된 배열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 각각의 일단부는 제1 캐리어 연결부(276)를 통하여 평판형 캐리어부(272)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캐리어부(272)는 운반 또는 전달 기계, 기계 공구, 작업 공구, 지그, 작업자의 손, 또는 다른 유사한 것에 의해 파지되어 상기 사전에 형성된 단자 예품(270)의 운반 또는 전달 및 배치와 같은 모든 작업이 상기 커넥터(201) 또는 상기 단자 조립체(260)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쉽게 수행된다. 상기 캐리어부(272)는 최종 제조 단계에서 제거된다. 도면들에 도시된 예에서, 상기 캐리어부(272)에 연결된 단일(single)의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품(270)이 보여지지만, 상기 캐리어부(272)는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품들(270)에 연결된 긴 스트립형 평판 물질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예에서, 상기 캐리어부(272)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 각각의 일단에만 연결되지만, 상기 캐리어부들(272)은 필요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 부재(271)의 반대측 단부들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 각각의 반대측 단부들은 단차부들(275a) 및 부착부들(275)를 각각 구비한다. 캐리어부(272) 측 상의 상기 부착부(275)는 상기 제1 캐리어 연결부(276)와 일체로 만들어진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단자들(261) 각각의 상기 베이스 단부(266)의 일단은 단차 부(262a) 및 말단부(262)를 또한 유사하게 구비한다. 캐리어부(272) 측 상의 상기 말단부(262)는 상기 단자들(261)을 상기 캐리어부(272)에 연결하는 제2 캐리어 연결부(267)와 일체로 만들어진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반대측 상의 프레임 부재들(271)은 상기 단차부(275a)보다 상기 중심에 보다 근접하는 부분들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각 부재들(271)의 각각의 반대측 단부들의 근처에서 서버-캐리어부(273)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상기 서버-캐리어부(273)은 상기 프레임 부재(271) 및 상기 단자들(261)과 동일한 금속판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며, 그들의 상기 반대 단부들은 상기 프레임 부재(71)에 연결된다. 더욱이, 상기 각각의 서버-캐리어부(273)는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와 평행하게 연장하고, 서로 평행한 상기 단자들(261)과 동일한 피치로 배열된 다수의 슬릿들(274)을 구비한다. 상기 각각의 슬릿들(274)은 상기 서버-캐리어부(73)의 두께 방향으로 절개하여 형성되며, 상기 인접한 슬릿들(274) 사이의 스트립형부는 각 단자(261)의 상기 베이스 단부(266)의 일부가 된다.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각 슬롯(274)의 반대측 단부들은 그들의 폭 방향으로 상기 서버-캐리어부(273)의 반대측 단부들로 연장하지 않는다. 상기 서버-캐리어부(273)의 상기 길이 방향(즉, 상기 프레임 부재(27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트립형 제1 및 제2 단자 연결부들(273a, 273b)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슬릿(274)의 반대측 단부들 및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서버-캐리어부(273)의 반대측 단부들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단자들(261)은 상기 제1 단자 연결 부(273a) 및 상기 제2 단자 연결부(273b)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그들의 상기 반대측 상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에 또한 연결된다.
더욱이, 실질적인 사각형 암부 수용 개구부(277)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 부재(271)의 상기 반대측들 상의 상기 서버-캐리어부들(273)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반대측들 상의 상기 베이스 단부들(266)로부터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의 상기 중심으로 연장하는 상기 암부들(268)은 상기 암부 수용 개구부(277) 내에 배열된다. 상기 각각의 암부(268)는 베이스 단부(266) 측 상에 밴드부(bend portion)(268a)를 구비하고, 각 θ로 피크되며, 상기 암부(268)는 상방향으로 약 5도 및 약 20도 사이(θ는 일반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약 10도이다)에서 경사진다. 상기 해당 말단부들(262)들 사이 및 상기 부재의 상면 상으로부터 볼 때, 상기 슬릿들(274) 사이에서 스트립형부들과 동일한 직선을 형성하도록 상기 암부들(268)은 배열된다.
간격 "Ll"은 서로 마주보는 상기 단자들(261)의 상기 정점 단부들(265)의 정점 단부들 사이, 다시 말해, 대응 접촉부들(364)과 접촉하는 접촉부들(265a) 사이에 제공된다. 각각의 간격 "Ll"는 후술될 대응 커넥터(201)의 상기 대응 접촉부들(364)에 의해 형성된 접촉부 노출부들 사이의 간격 "El"보다 약간 크게 만들어진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들(265a)은 상기 대응 커넥터(301)의 대응 단자들(361)을 수용하여 결국, 전자의 접촉부들이 후자의 단자들과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로 인하여, 상기 간격 "Ll"은 그들의 최상단 위치로부터 상기 정점 단부들(265)의 하방 이동 영역으로 변경되고, 상기 간격 "Ll"는 상기 정점 단부 들(265)의 이동과 함께 상기 간격 "El"보다 더 작게된다. 더욱이, 상기 절곡 또는 단자 각 "θ", 상기 간격 "Ll", 상기 암부(268)의 길이, 상기 정점 단부(265)의 길이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다양한 가변성을 포함하는 각 단자(261)의 형상은 상기 단자들(261) 및 상기 대응 단자들(361) 사이의 접촉력, 상기 대응 커넥터(301)가 상기 커넥터(201)와 맞춰지게 될 때 촉감(tactile feeling)(클릭의 느낌), 잠긴 상태(locked state) 및 그와 유사한 것의 필수적인 요구들에 따라 적절하게 판단된다.
다음으로, 상기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품(270)의 일부는 상기 오버-몰딩이 수행되어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합성 수지와 같은 절연 물질로 일체로 형성된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를 형성한다.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는 상방 및 하방으로부터 상기 서버-캐리어부(273)의 상기 중심을 밀폐하도록 오버-몰딩된 부재이며, 상기 서버-캐리어부(273)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된 사각 6면체 형상을 가진다. 이 경우, 단자 고정 부재(231)는 모든 슬릿들(274)을 채우며, 그 결과 상기 슬릿들(274) 상부의 일부 및 상기 슬릿들(274) 하부의 일부 사이의 연결을 제공한다.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는 상기 반대측 상의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모든 단자들(261)의 상기 베이스 단부들(266)의 적어도 일부에서 코팅된 길이 방향으로의 그들 반대측 단부들이 상기 배열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는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의 두께의 방향으로 상기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품(270)을 잡거나 또는 파지하도록 제공 되며, 결국, 상기 부재의 상면 상으로부터 볼 때, 장측들이 되는 제1 측(231a) 및 제2 측(231b) 및 단측들이 되는 제2 측(231c) 및 제4 측(231d)을 가지는 사각 6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의 치수와 관련하여,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는 상기 슬릿들(274)의 전체를 코팅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사각 6면체 제1 측(231a)이 상기 제1 단자 연결부(273a)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측(231a)에 평행한 상기 제3 측(231b)이 상기 제2 단자 연결부(273b) 상에 배치되게 연장하도록 더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연결부들(273a, 273b)을 일부들을 각각 코팅한다. 상기 프레임 부재(271)은 상기 모든 슬릿들(274) 및 반대측 상의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의 일부를 코팅하기 위하여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넓이를 가진다.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의 상기 제2 측(231d) 및 상기 제4 측(231d)은 상기 표면들을 코팅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의 상기 표면들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를 형성하기 위한 다이에서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에 상응하는 캐비티의 둘레를 둘러싸는 평판형 다이 분할 면이 평판형 부재들인 상기 제1 단자 연결부(273a), 상기 제2 단자 연결부(273b) 및 상기 프레임 부재(271)에 대항하여 인접할 수 있으며, 상기 상술한 단자 고정 부재(2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 고정 부재(31)가 본 실시예에서 성형되는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서,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가 상기 오버-몰딩에 의해 형성될 때, 상기 서버-캐리어부(273)는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의 형상의 절반에 실질적으로 해당하는 형상을 가지는 오목부로서 캐비티를 구비한 상기 다이 분할 면을 각각이 갖는 한 쌍의 다이들 사이에 수직적으로 잡히거나 또는 파지된다. 그 후에, 용융된 절연 물질은 상기 반대측 상에서 상기 캐비티들에 의해 형성된 밀접한 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캐비티들의 원주를 둘러싸는 한 쌍의 몰드들의 평면형 다이 분할 면들은 상기 서버-캐리어부(273)의 상부 및 하부 면들 둘 다에 인접하여 밀접한 공간을 형성한다. 그 결과, 만일 상기 캐비티들의 원주들을 둘러싸는 상기 평판형 다이 분할 면들 및 상기 서버-케리어부(273)의 상기 상부 및 상부 면들 둘 다 사이에 갭이 발생한다면, 상기 용융된 절연 물질은 상기 갭으로 누출되며,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는 적절하게 형성될 수 없다. 그러나, 상기 캐비티들의 상기 원주들을 둘러싸는 상기 평판형 다이 분할 면들이 상기 제1 단자 연결부(273a), 상기 제2 단자 연결부(273b) 및 상기 프레임 부재(271)의 상기 평면들에 인접할 때, 상기 캐비티들의 상기 원주들을 둘러싸는 상기 평판형 다이 분할 면들은 상기 제1 단자 연결부(273a), 상기 제2 단자 연결부(273b) 및 상기 프레임 부재(271)의 상기 평면들과 밀접하게 접촉한다. 상기 갭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용융된 절연 물질은 누출되지 않는다.
그 결과,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는 제조 동안 누출될 수도 있는 절연 물질로부터 "수축(burrs)" 또는 "긁힘(flash)" 없이 적절하게 형성되어, 상기 절연 물질이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로 코팅될 부분 또는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로 코팅되지 않은 부분에 부착되지 않는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 상기 제1 단자 연결부(273a) 및 상기 제2 단자 연결부(273b)를 코팅하기 위하여 적용된 상기 단자 고 정 부재(231)의 수지에 의한 밀봉 또는 밀폐 정도는 절개부들(279)이 후술하는 것과 같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리고 상기 단자들(261) 및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이 일체로 고정되게 고착된 상태에서 적절하게 결정된다.
다음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부재(271)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슬릿형 절개부들(279)은 상기 제1 단자 연결부(273a) 및 상기 제2 단자 연결부(273b)에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제1 캐리어 연결부(276) 및 상기 제2 캐리어 연결부(267)의 일부를 절개하는 동작은 상기 캐리어부(272)를 제거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그 결과, 상기 단자 조립체(260)가 얻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개부들(279)은 상기 제1 단자 연결부(273a) 및 상기 제2 단자 연결부(273b)를 통하여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고, 길이 방향으로 상기 슬릿들(274)의 반대측 단부들을 상기 서버-캐리어부(273)의 반대측 단부들에 연결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그 결과, 상기 단자들(261)의 상기 전체 길이 방향 전반으로 연장하는 슬릿형 갭은 상기 단자들(261) 사이에 형성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들(279)은 또한 상기 제1 단자 연결부(273a)의 일부 및 상기 제2 단자 연결부(273b)의 일부를 코팅하는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절개부들(279)은 상기 제1 단자 연결부(273a), 상기 제2 단자 연결부(273b) 및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 함께 절개하여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들(279)은 상기 단자들(261) 사이의 상기 슬릿형 갭들과 조화되며,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를 통하여 연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절개부들(279)은 절개를 위한 타켓으로의 부재가 레이저 빔의 발산에 의해 절개되는 레이 저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절개부들은 임의의 타입의 처리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그 결과, 상기 단자들(261)은 상기 슬릿들(274) 및 상기 절개부들(279)을 통하여 상기 서버-캐리어부(273)로부터 절개되고, 상기 인접한 단자들(261) 및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로부터 분리된다. 각 단자(261)는 상기 정점 단부(265)로부터 상기 말단부(262)로 연속하는 하나의 연장된 스트립형 독립 부재로 형성된다. 이 경우, 모든 단자들(261)은 각 베이스 단부(266)의 적어도 일부의 둘러싸는 영역이 밀폐된 상태로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의 상기 반대측 단부들은 그들의 상기 반대측 상에서 상기 프레이 부재들(271)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부재(271)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단자들(261)이 상기 프레임 부재(271)의 측면 방향에 병렬로 배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소정의 피치로 배열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단자들(261)은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기 단자 조립체(260)는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 서로 평행하게 소정의 피치로 배열된 상기 다수의 단자들(261); 및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에 연결되어 상기 단자들(261)을 고정시키는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를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은 평행하게 연장하고 서로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열된 한 쌍의 부재들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들(261)은 상기 반대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단부들(266)이 그들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각각의 프레임 부재들(271)의 상기 반대측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정점 단부 들(275)이 그들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의 중심으로 향하는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 사이에 배열된 두 세트의 단자들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부재들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그들의 상기 반대측 단부들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에 연결되고,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는 한 세트의 단자들(261)의 상기 베이스 단부들(266)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단자 조립체(260)는 한 쌍의 프레임 부재들(271)를 가지는 상기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품(270) 및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의 측면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소정의 피치로 서로 병렬로 배치되며, 그들 내에 상기 슬릿들(274)을 포함하는 상기 서버-캐리어부(273)를 통하여 상기 프레임 부재(271)에 일체로 연결되는 단자들(261)을 먼저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이어서, 상기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품(270)은 오버-몰딩에 의해 상기 몰딩 물질로 코팅되어 상기 서버-캐리어부(273)의 적어도 일부를 코팅하는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를 형성한다. 최종적으로, 상기 서버-캐리어부(273)의 일부, 다시 말해서, 상기 절개부들(279)은 상기 제1 단자 연결부(273a) 및 상기 제2 단자 연결부(273b)를 절개하여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단자 서버-캐리어부(273)는 상기 단자들(261)을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하도록 절개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 및 모든 단자들(261)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자 조립체(260)는 감소된 시간으로 쉽게 생산될 수 있다. 비록 상기 단자들(261)의 상기 피치가 마이크로 값, 예를 들어, 100 [μm] 또는 그 이하라 하더라도, 상기 단자들(261)의 배열은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단자들(261) 및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 사이의 위치 관계는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단자 조립체(260)이 상기 하우징(211)의 상기 상부 절반부(212) 및 상기 하부 절반부(216) 사이에서 잡히거나 파지될 때, 상기 커넥터(201)는 도 10 및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절반부(212) 및 상기 하부 절반부(216)은 자의적으로, 그러나 접착제와 같은 적당한 고착 수단에 의해 상기 단자 조립체(260)의 상기 상부 및 하부면들에 고착된다는 것을 유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넥터(201)를 상기 대응 커넥터(301) 안으로 삽입하여 상기 제3 실시예의 상기 단자들(261)을 상기 대응 단자들(361)을 연결하는 동작은 도 16, 17, 18, 19, 20, 21 및 2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대응 커넥터로 상기 커넥터를 삽입하는 동안 접촉 및 연결력들(mating forces)의 영향들을 보여주는 연속적인 개략도들이며, 도 22A, 22C, 22E 및 22G는 전체 연결점을 통한 제1 접촉점으로부터 상기 단자 조립체와 연결하는 커넥터의 진행을 보여주며, 도 22B, 22D, 22F 및 22H는 상기 단자가 상기 커넥터와 접촉하는 지점에서 접촉 및 연결력들의 힘 벡터들(force vectors)을 보여주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대응 커넥터로 상기 커넥터를 삽입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연속적인 사시도들이며, 도 23A는 도 17에 대응하고, 도 23B는 도 18에 대응하고, 도 23C는 도 19에 대응한다.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대응 커넥터(301)는 합성 수지와 같은 절연 물질로 형성된 대응 하우징(311) 및 전도성 금속으로 만들어진 다수의 대응 단자들(361)을 포함한다. 도 1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대응 하우징(311)은 사각 6면체 두꺼운 평판형 형상을 가지며, 각각이 사각 단면을 가지고, 사각 정점 단부면(3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홈부들(313)은 상기 사각 정점 단부면(312)의 반대측들 상의 모서리부들에 형성된다. 각각의 홈부(313)는 상기 정점 단부면(312)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압축면(313a) 및 상기 정점 단부면(31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대응 단자들(361)을 고정하는 고정부들(313b)를 구비한다. 상기 대응 단자들(361)은 상기 대응 하우징(311)에 배치된 개구부(311a)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들(313b)에 의해 고정된다.
더욱이, 상기 대응 단자들(361)은 오른쪽 각으로 상기 부재의 매개부를 밴딩함으로써 형성된 L-형상을 각각이 실질적으로 가지는 연장된 스트립형 부재들이다. 더욱이, 상기 대응 하우징(311)의 상기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는 각각의 대응 단자(361)의 일부는 상기 대응 하우징(311)에 매립되고 고정된다. 상기 대응 단자(361)의 정점 단부의 주변에서 상기 대응 단자(361)의 일부는 상기 대응 하우징(311)의 상기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홈부(313)의 표면을 따라 상기 대응 접촉부(364)로서 배치된다. 즉, 상기 대응 접촉부들(364)은 상기 홈부(313)에 노출된다. 더욱이, 상기 대응 하우징(311)의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대응 단자들(361)의 일부들은 상기 대응 하우징(311)의 하부면의 반대측들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용융된 부분들로서 대응 말단부들이다. 상기 대응 말단부들(362)이 솔더링 또는 그와 유사한 것에 의해 대응 회로 기판(391)의 표면에 연결되고, 상기 대 응 말단부들(361)의 하측 단부면들은 상기 대응 하우징(311)의 상기 하부면과 실질적으로 평탄하도록 배치된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들의 측면 방향으로 상기 대응 하우징(311)의 폭 "E2"는 상기 간격 "Ll"보다 크다. 상기 폭 "E2" 및 상기 간격 "El" 사이의 차이로 인하여, 상기 반대측들 상의 상기 압축면들(313a)이 형성된다. 상기 대응 커넥터(301)가 상기 커넥터(201)에 부착될 때, 서로 마주보는 상기 단자들(261)의 상기 정점 단부들(265)은 함께 압축된다.
도 2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201)는 상기 회로 기판(291)의 상기 표면 상에 장착되고, 상기 대응 커넥터(301)는 상기 대응 회로 기판(391)의 상기 표면 상에 장착된다. 도 17 내지 19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회로 기판(291) 및 상기 대응 회로 기판(391)은 도면에서 생략되었다는 것을 주목할 수 있다. 도 17 내지 20에서 도시된 상기 커넥터(201)의 부분은 도 11C에서 보여진 부분과 유사하다.
더욱이, 상기 커넥터(201)가 상기 대응 커넥터(301)로 삽입될 때, 상기 커넥터(201) 및 상기 대응 커넥터(301)의 형태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11)의 상기 상부 절반부(212)의 상기 상면이 상기 대응 하우징(311)의 상기 정점 단부면(312)을 마주보도록 조절된다. 이 때, 상기 커넥터(201) 및 상기 대응 커넥터(301)의 행태가 조절되어 상기 하우징(211)의 상기 상부 절반부(212)의 상기 상면이 상기 대응 하우징(311)의 상기 정점 단부면(312)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211)의 상기 길이 방향은 상기 대응 하우징(311)과 직교하며, 상기 하우 징(211)의 상기 상부 절반부(212)의 상기 상측 개구부(213)의 상기 확장부(213a) 및 상기 하부 절반부(216)의 상기 하측 개구부(217)는 상기 대응 커넥터(301)에 대응한다.
더욱이, 상기 커넥터(201) 및/또는 상기 대응 커넥터(301)는 대응 측으로 이동한다. 도 1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응 하우징(311)의 상기 정점 단부면(312)는 상기 하우징(211)의 상기 상부 절반부(212)의 상기 상측 개구부(213)에 들어간다. 이 때, 상기 단자들(261)의 상기 정점 단부들(265)은 상기 하우징(211)의 상기 반대측들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211)의 상기 중심으로 향하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대응 하우징(311)의 상기 홈부(313)로 들어가도록 상방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정점 단부들(265)과 상기 홈부(313)를 맞물리게 하기 위하여 연장한다. 상기 정점 단부(265)가 상기 암부(268)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암부(268)에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정점 단부(265)는 상기 홈부(313)와 확고하게 맞물린다. 심지어 상기 대응 커넥터(301)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도, 상기 정점 단부(265)는 상기 홈부(313)로부터 맞물린다.
이어서, 상기 커넥터(201) 및/또는 상기 대응 커넥터(301)이 더 이동할 때, 상기 정점 단부들(265)은 상기 정점 단부면(312)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상기 홈부(313)의 표면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암부들(268)은 상방으로 경사진다. 그 결과, 상기 정점 단부들(265)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반대측들 상의 상기 정점 단부들(265) 사이의 간격은 감소되며, 상기 정점 단부들(265)는 상기 대응 하우징(311)의 상기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홈부(313) 의 상기 표면을 따라 배열된 상기 대응 접촉부들(364)에 대하여 압축된다. 더욱이, 상기 정점 단부들(265)이 상기 대응 접촉부들(364)로부터 반응력(reactive forces)을 수용할 때, 상기 암부들(268)은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이 경우, 상기 정점 단부들(265)은 상기 대응 접촉부들(364)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암부들(268)을 압축하는 힘을 수용한다. 상기 암부들(268)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압축하는 힘을 수용하고,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반면에, 상기 변형된 암부들(268)은 스프링력을 가하기 때문에, 상기 정점 단부들(265)은 상기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대응 접촉부들(364) 방향으로 강제된다. 이 경우, 상기 정점 단부들(265)로부터 상기 대응 커넥터(301)로 인가된 상기 암부들(268)의 상기 스프링력은 상기 암부들(268)의 연장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상기 정점 단부들(265)이 상기 베이스 단부들(266) 상에 실질적을 배치될 때, 상기 정점 단부들(265)로부터 상기 대응 커넥터(301)로 인가된 상기 암부들(268)의 상기 스프링력은 상기 대응 접촉부들(364)에 수직하는 방향을 가지는 힘, 다시 말해, 상기 반대측들로부터 상기 대응 커넥터(301)의 상기 중심으로 향하는 수평 성분 및 상기 정점 단부(312)와 평행하게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상기 홈부(313)의 상기 표면에 수직하는 방향을 가지는 힘, 다시 말해, 상기 대응 커넥터(301)을 상방으로 압축하기 위하여 향하는 수직 성분(vertical component)으로 분해된다.
더욱이, 상기 커넥터(201) 및/또는 상기 대응 커넥터(301)가 더 이동할 때, 도 19 및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201)는 상기 대응 커넥터(301) 내부 로 완전히 삽입되고, 상기 단자들(261)은 상기 대응 단자들(361)에 완전히 연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대응 회로 기판(391)이 상기 하우징(211)의 상기 상부 절반부(212)에 대응하여 인접하기 때문에, 상기 대응 커넥터(301)는 하방으로 더 이동할 수 없다.
더욱이, 상기 정점 단부들(265)이 상기 베이스 단부들(266) 아래에 실질적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정점 단부들(265)로부터 상기 대응 커넥터(301)로 인가된 상기 암부들(268)의 상기 스프링력의 상기 수직 성분, 다시 말해, 상기 대응 커넥터(301) 또는 상기 대응 단자들(361)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암부들(268)의 상기 스프링력의 성분들은 상기 대응 커넥터(301)을 하방으로 압축하는 이와 같은 방향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201)가 상기 정점 단부들(265)로부터 상기 대응 커넥터(301)로 인가된 힘의 하방 성분에 의해 상기 대응 커넥터(301)로 확실하게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201) 및 상기 대응 커넥터(301)는 임의의 특정 잠금 장치를 부가하지 않고도 잠금 상태와 유사한 상태가 된다.
상기 정점 단부들(265)이 절곡되어 상기 정점 단부들(265)의 접촉부들(265a)이 상기 암부들(268)로부터 상방향으로 더 향하고, 그리고 사전에 상기 암부들(268)에 연결된다. 이 경우에, 심지어 상기 대응 커넥터(301)가 하방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접촉부들(265a)은 압축면(313a)의 일 측상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부들(265a)과 다른 부분들은 상기 압축면(313a)과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응 접촉부(364)의 길이는 감소될 수 있고, 상기 정점 단부들(265)는 상기 홈부(313)와 보다 더 확실하게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커넥터(201)이 상기 대응 커넥터(301)에 삽입될 때, 상기 정점 단부들(265)로부터 상기 대응 커넥터(301)로 인가된 힘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된다. 도 21에서, 횡좌표(abscissa)는 상기 커넥터(201)에 대한 상기 대응 커넥터(301)의 하방 배치의 양을 나타내며, 상기 세로 좌표(ordinate)는 상기 정점 단부들(265)로부터 상기 대응 커넥터(301)로 인가된 힘의 세기를 나타낸다. 더욱이, 커버 "A"는 상기 단자들(261)의 상기 정점 단부들(265)로부터 상기 대응 커넥터(301)로 인가되고, 상기 대응 접촉부들(364)에 수직하는 방향을 가지는 성분, 다시 말해, 상기 단자들(261)과 상기 대응 접촉부들(364) 사이의 접촉력의 변화를 나타낸다. 곡선 "B"는 상기 단자들(261)의 상기 정점 단부들(265)로부터 상기 대응 커넥터(301)로 인가되고, 상기 대응 커넥터(301)를 밀어 올리는 방향을 가지는 성분, 다시 말해, 상기 커넥터(201) 및/또는 상기 대응 커넥터(301)를 상기 대응측 방향으로의 이동에서 각각의 단자(261)를 위하여 요구된 미는 힘(push-in force)의 변화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정점부들(265)로부터 상기 대응 커넥터(301)로 인가된 상기 암부들(268)의 상기 스프링력은 상기 암부들(268)의 연장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상기 암부들(268)의 각이 상기 커넥터(201)에 대하여 상기 대응 커넥터(301)의 하방 이동과 함께 변할때, 상기 대응 커넥터(301) 또는 상기 대응 단자들(361)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정점 단부들(265)로부터 상기 대응 커넥터(301)로 인가된 상기 암부들(268)의 상기 스프링력의 상기 성분은 변한다. 따라서, 상기 곡선 "B"에 의해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커넥 터(201)에 대하여 상기 대응 커넥터(301)의 하방 이동이 소정의 지점을 초과할 때, 상기 미는 힘은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201)가 상기 대응 커넥터(301) 내로 삽입될 때, 작업자는 촉각 스위치의 동작동안 발생된 클릭의 느낌과 유사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암부들(268)이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각은 45도보다 매우 작으며, 상기 정점 단부들(265)로부터 상기 대응 커넥터(301)로 인가된 상기 암부들(268)의 상기 스프링력은 상기 수직 성분보다 매우 크다. 따라서, 상기 곡선 "A"에 의해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단자(261) 및 상기 대응 접촉부들(364) 사이의 상기 접촉력은 상기 미는 힘보다 매우 크다. 즉, 비록 단지 적은 힘의 미는 힘이 요구되더라도, 큰 접촉력이 얻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정점 단부들(265)이 상기 베이스 단부들(266) 아래에 위치될 때, 상기 대응 커넥터(301) 또는 상기 대응 단자들(361)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힘의 성분은 마이너스(minus) 성분이다. 도 21의 그래프에 보여진 곡선 "B"는, 상기 정점 단부들(265)이 상기 베이스 단부들(266) 바로 아래에 위치될 때, 상기 이동 방향으로의 상기 성분이 상기 마이너스 성분으로부터 상기 대응 커넥터(301)의 미는 힘이 제로(zero)가 되는 제로 성분으로 실질적으로 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정점 단부들(265)이 하방으로 더 이동하는 것으로 가정되는 경우, 상기 정점 단부들(265)로부터 상기 대응 커넥터(301)로 인가된 상기 힘의 상기 하방 성분으로 인하여, 상기 대응 커넥터(301)는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커넥터의 삽입된 상태는 안정화된다는 것을 주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단자들(261) 및 상기 대응 단자들(361) 사이의 접촉력은 약하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점 단부들(265)의 하방 이동량(downward movement amount)은 상방 이동량보다 작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2B는 상기 정점 단부들(265)이 상기 대응 커넥터(301)와 접촉할 때, 상기 접촉력 및 상기 연결력이 실질적으로 제로인 것을 나타낸다. 도 22D는 상기 대응 커넥터(301)가 상기 커넥터(201)로 눌려짐에 따라, 상방향으로의 연결력 및 길이 방향으로의 접촉력을 나타낸다. 도 22F는 상기 정점 단부들(265)이 기준선(datum line) "D"(도 20A에서도 또한 보여짐)에 의해 나타난 수직점에 도달할 때, 수직 연결력이 제로로 떨어지고, 상기 접촉력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최대에 도달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22H는 상기 정점 단부들(265)이 기준선(datum line) "D" 아래로 갈 때, 수직 연결력이 하방으로 발생하고, 상기 접촉력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유지되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상기 정점 단부들(265)이 기준선 아래일 때, 상기 대응 커넥터(301)는 상기 연결력에 의해 상측 수직 방향으로 강제된다. 더욱이, 상기 정점 단부들(265)이 기준선 아래일 때, 상기 대응 커넥터(301)는 상기 연결력에 의해 하측 수직 방향으로 강제되어, 본질적으로 상기 커넥터들을 함께 고정시킨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암부들(268)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압축력을 수용하고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암부들(268)이 상기 수직 방향으로 변형되는 경우와 비교해 볼 때, 큰 스프링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상기 단 자들(261)이 연장된 스트립형 부재들일 때도, 충분하게 큰 접촉력이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100 [μm]의 피치로 상기 단자들(261)을 배열하기 위하여, 각 단자(261)의 폭이 상기 금속판의 작업성을 관점으로부터 약 50 [μm] 또는 그 이상으로 선택될 수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암부들(268)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압축력을 수용하고, 탄성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각 단자(261)를 위하여 약 40 [gf]의 접촉력이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이 계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211)이 상기 단자 조립체(260)에 부착되어 상기 커넥터(201)를 제조하고, 상기 커넥터(201)가 상기 대응 커넥터(301)에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단자 조립체(260)는 상기 하우징(211)에 부착되지 않고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자 조립체(260)는 상기 회로 기판(291)의 표면에 그대로 장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홈부(recessed portion)가 상기 회로 기판(291)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단자 조립체(260)가 상기 홈부 내에 상기 단자 조립체를 수용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단차부들(275a, 262a)은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부착부(275) 및 상기 말단부(262)는 상기 단자(261)의 상기 프레임 부재(271) 및 상기 베이스 단부들(266)과 평탄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275)는 사용시에 접지(grounding)를 제공하는 풋(foot)으로서 기능하며, 생산 동안, 싱글레이트(singulated)될 때, 그리고 완료될 대, 적당한 자리(in place)에 상기 단자들을 고정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품(270)이 형 성된다. 상기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품(270)은 한 쌍의 프레임 부재들(271) 사이에서 서로 평행한 상기 소정의 피치로 배열되고, 상기 서버-캐리어부(273)를 통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에 연결된 상기 단자들(261)을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품(270)은 오버-몰딩되어 상기 서버-캐리어부(273)의 적어도 일부를 코팅하는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서버-캐리어부(273)의 일부 및 상기 단자 고정 부재(231)의 일부는 상기 단자들(261)이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되도록 둘 다 절개된다. 그 결과, 상기 단자 조립체(260)는 얻어진다. 따라서, 비록 상기 단자들(261)이 작은 피치로 배열되더라도, 상기 단자 조립체(260) 및 상기 커넥터(201)는 짧은 시간에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단자들(261)의 배열이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소형화된 단자 조립체(260) 및 커넥터(201)를 얻는 것은 가능하다.
더욱이, 각각의 단자(261)는 상기 베이스 단부(266), 상기 베이스 단부(266)로부터 연장하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암부(268) 및 상기 암부(268)의 상기 자유단에 배열된 상기 정점 단부(265)를 포함하여 상기 대응 커넥터(301)의 상기 대응 단자와 접촉한다. 상기 정점 단부(265)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단자(261)의 상기 압축력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심지어 단순한 구조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압축력이 가해져서 상기 단자들이 상기 대응 단자와 접촉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상기 단자 조립체(260) 및 상기 커넥터(201)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대응 단자들(361)은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단자들(261)의 상기 피치는 감소될 수 있고, 상기 단자 조립체(260) 및 상기 커넥터(201)의 높 이도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단자 조립체(260) 및 상기 커넥터(201)는 쉽게 제조될 수 있고, 비용은 감소될 수 있으며, 전체 크기의 소형화도 얻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암부들(268)은 상기 대응 단자들(361)에 연결되기 전에, 상기 프레임 부재들(271)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일 측을 향하도록, 다시 말해, 상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단자들이 상기 대응 단자들(361)에 완벽하게 연결될 때, 상기 암부들(268)은 상기 프레임 부재(271)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타측을 향하며, 다시 말해, 하방으로 경사진다. 더욱이, 상기 정점 단부들(265)은 상기 단자들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압축력을 수용할 때, 동시에 가해지는 상기 스프링력을 상기 대응 단자들(361)로 인가하고,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상기 대응 단자들(361)의 상기 이동 방향에서 상기 스프링력의 성분은, 상기 단자들이 상기 대응 단자들(361)에 완벽하게 연결될 때, 상기 대응 단자들(361)의 상기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암부들(268)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압축력을 수용하고, 탄성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큰 스프링력이 가해진다. 상기 정점 단부들(265)은 큰 스프링력을 가지고 상기 대응 단자들(361)에 대하여 강제되며, 상기 단자들은 상기 대응 단자들(361)에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201)은 상기 대응 단자들(361)의 상기 이동 방향으로 상기 정점 단부들(265)로부터 상기 대응 커넥터(301)로 인가된 상기 힘의 성분에 의해 상기 대응 커넥터(301)로 단단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3 실시예들에서, 상기 단자들(61, 261)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서버-캐리어부들(73, 273)에 모두 연결된다는 것을 주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정의 조합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자 고정 부재들(31, 231)은 사각 6면체 수지 성형된 물질로 형성되지만, 상기 단자 고정 부재들(31, 231)의 형상들은 상기 서버-캐리어부들(73, 273)의 배열들, 상기 단자들(61, 261)의 형상들 및 그와 유사한 것에 따라 적절하게 판단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점에 근거한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Claims (28)

  1. (a) 프레임 부재들;
    서로 평행하게 소정의 피치로 배열된 다수의 단자들; 및
    상기 프레임 부재들에 연결되어 상기 단자들을 고정하는 단자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단자 조립체에 있어서,
    (b) 상기 단자들 각각은:
    상기 단자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된 베이스 단부;
    상기 베이스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암(arm)부; 및
    대응 단자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암부의 자유단(free end)에 배열되고, 그들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단자의 압축력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정점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a) 상기 프레임 부재들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부재들을 포함하고,
    (b) 상기 단자들은 상기 베이스 단부들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 부재들 각각의 반대측들 상에 배치되도록, 그리고 상기 정점 단부들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 부재들의 중심들을 향하도록 반대측 상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들 사이에 배열된 두 세트의 단자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c) 상기 단자 고정 부재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부재들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그들의 반대측 단부들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들에 연결되어 한 세트의 단자들의 상기 베이스 단부들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자 고정 부재는 상기 단자들 및 상기 프레임 부재들의 상기 베이스 단부들의 적어도 일부를 코팅하기 위하여 오버-몰딩된 절연 물질로 형성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단자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부는 상기 대응 단자에 연결되기 전에 상기 프레임 부재들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그들의 일측 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단자들이 상기 대응 단자들에 완전하게 연결된 때, 상기 암부는 상기 프레임 부재들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그들의 타측 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a) 각각의 정점 단부는 상기 정점 단부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단자의 상기 압축력을 수용할 때 가해지는 스프링력을 상기 대응 단자에 인가하고,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그리고
    (b) 상기 대응 단자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력의 성분은, 상기 단자들이 상기 대응 단자들에 완전하게 연결된 때, 상기 대응 단자의 상기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피치는 인접한 단자들 사이에서 중심에서 중심까지를 근거로 약 0.1 및 약 0.2 m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
  7. (a) 하우징; 및
    서로 평행하게 소정의 피치로 배열된 다수의 단자들을 포함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b) 상기 단자들 각각은:
    상기 하우징에 의해 고정된 베이스 단부;
    상기 베이스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암부; 및
    상기 암부의 자유단에 배열되어 대응 커넥터의 대응 단자와 접촉하고, 길이 방향으로 상기 단자의 압축력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정점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a)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 기 대응 커넥터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b) 상기 단자들은 상기 단자들은 상기 베이스 단부들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반대측들 상에 배치되도록, 그리고 상기 정점 단부들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 중심을 향하고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되도록 배열된 두 세트의 단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청구항 7에 있어서,
    각각의 암부는 상기 대응 단자에 삽입되기 전에 상기 하우징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그들의 일측 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가 상기 대응 단자들에 완전하게 삽입될 때, 상기 암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그들의 타측 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a) 상기 정점 단부는 상기 단자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압축력을 수용할 때 가해지는 스프링력을 상기 대응 단자에 인가하고,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그리고
    (b) 상기 대응 단자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력의 성분은, 상기 커넥터가 상기 대응 단자들에 완전하게 삽입될 때, 상기 대응 단자의 상기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a) 프레임 부재들;
    서로 평행하게 소정의 피치로 배열된 다수의 단자들; 및
    상기 프레임 부재들에 연결되어 상기 단자들을 고정하는 단자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단자 조립체에 있어서,
    (b) 각각의 단자는:
    상기 단자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된 베이스 단부;
    상기 베이스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암부;
    상기 암부의 자유단에 배열되어 대응 단자와 접촉하는 정점 단부; 및
    상기 정점 단부 및 상기 베이스 단부 사이의 상기 암부에 형성되고, 그들의 각이 커질 때, 그들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단자의 힘과 함께 상기 대응 단자 상으로 압축되는 피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a) 상기 프레임 부재들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부재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b) 그들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단자 고정 부재의 반대측 단부들은 상기 프레임 부재들에 연결되고, 상기 단자 고정 부재는 상기 단자들의 베이스 단부들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단자 고정 부재는 상기 단자들 및 상기 프레임 부재들의 상기 베이스 단부들의 적어도 일부를 코팅하기 위하여 오버-몰딩된 절연 물질로 형성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단자 조립체.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a) 상기 암부는 상기 베이스 단부에 연결된 제1 경사부 및 상기 피크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경사부에 연결된 제2 경사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b) 상기 제1 경사부 및 상기 제2 경사부는 상기 피크부의 둔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
  15. (a) 하우징; 및
    서로 평행하게 소정의 피치로 배열된 다수의 단자들을 포함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b) 상기 단자들 각각은:
    상기 하우징에 의해 고정된 베이스 단부;
    상기 베이스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암부;
    상기 암부의 자유단에서 대응 단자와 접촉하는 정점 단부; 및
    상기 정점 단부 및 상기 베이스 단부 사이의 상기 암부에 형성되고, 그들의 각이 커질 때, 그들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단자의 힘과 함께 상기 대응 단자 상으로 압축되는 피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a) 상기 하우징은:
    평판형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베이스 단부를 고정하는 단자 고정 부재;
    상기 베이스부의 타단에 연결된 내벽부; 및
    상대 단자를 포함하는 평판형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수용 오목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b) 상기 단자의 상기 암부는 상기 내벽부로 연장하고, 상기 단자의 상기 정점 단부는 상기 케이블 수용 오목부의 반대 위치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엑츄에이터는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고, 상기 평판형 케이블이 삽입되고 인출되는 제1 위치 및 상기 평판형 케이블이 고정되는 제2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제1 및 제2 위치들 사이를 이동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단자의 피크부와 접촉하여 상기 피크부의 각을 크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피치는 인접한 단자들 사이에서 중심에서 중심까지를 근거로 약 0.1 및 약 0.2 m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단자 고정 부재 절개부들은 중합 물질이 인접한 단자들 상으로 그리고 둘레를 제조동안 유동하는 개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
  21. (a) 서로 평행하게 소정의 피치로 배열되는 다수의 단자들; 및
    상기 단자들을 고정하는 단자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단자 조립체에 있어서,
    (b) 상기 다수의 단자들 각각은:
    베이스 단부;
    상기 단자 고정 부재로 코팅된 상기 베이스 단부의 적어도 일부의 주변부; 및
    상기 베이스 단부 및 대응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일부로부터 연장하는 암부를 포함하고,
    (c) 상기 단자 고정 부재는 상기 단자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그들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단자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슬릿형 절개 부들을 구비하고, 그리고
    (d) 상기 절개부들의 각각은 상기 단자들 사이에 정의된 각 슬릿형 갭으로 조절되도록 배열되어 상기 단자 고정 부재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자들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한 쌍의 프레임 부재들을 더 포함하되,
    (b) 상기 단자 고정 부재는 그들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그들의 반대측 단부들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들에 연결되어 상기 단자들의 상기 베이스 단부들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단자 고정 부재는 상기 베이스 단부들 및 상기 프레임 부재들의 적어도 일부를 코팅하기 위하여 오버-몰딩에 의해 절연 물질로 형성된 부재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
  24. (a) 하우징:
    서로 평행하게 소정의 피치로 배열된 다수의 단자들; 및
    상기 단자들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단자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b) 상기 단자들의 각각은:
    베이스 단부;
    상기 단자 고정 부재로 코팅된 그들의 적어도 일부에서의 주변부; 및
    상기 베이스 단부 및 대응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일부로부터 연장하는 암부를 포함하고,
    (c) 상기 단자 고정 부재는 상기 단자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그들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단자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슬릿형 절개 부들을 구비하고, 그리고
    (d) 상기 절개부들의 각각은 상기 단자들 사이에 정의된 각 슬릿형 갭으로 조절되도록 배열되어 상기 단자 고정 부재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a) 상기 하우징은:
    평판형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베이스 단부를 단단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된 단자 고정 부재;
    상기 베이스부의 타단에 연결된 내벽부; 및
    상대 단자를 포함하는 평판형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수용 오목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대응 단자들을 구비하는 평판형 케이블이 삽이되도록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내벽부 사이에 형성된 케이블 수용 오목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자의 상기 암부는 상기 내벽부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단자의 상기 정점 단부는 상기 케이블 수용 오목부에 인접한 위치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
  26. 청구항 24에 있어서,
    (a) 상기 하우징은 그들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그들의 중심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여 대응 커넥터가 그들 내에 삽입되도록 하고, 그리고
    (b) 상기 단자들은 그들의 베이스 단부들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반대측들 상에 위치되도록, 그리고 그들의 정점 단부들이 그들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중심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배열된 두 세트의 단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
  27. 서로 평행하게 소정의 피치로 배열된 다수의 단자들 및 상기 단자들을 단단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된 단자 고정 부재를 가지는 (a) 단자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b) 금속판의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품을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전에 형성된 단자 제품은 서로 평행하게 소정의 피치로 배열된 다수의 단자들 및 상기 다수의 단자들의 배열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단자들에 연결되고, 그리고 서버-캐리어부의 두께를 관통하고, 상기 피치에 배열되고, 그리고 서로 평행한 다수의 슬릿들을 구비하는 상기 서버-캐리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슬릿의 적어도 일단은 밀접하고;
    (c) 그 두께를 통하여 반대측들로부터 상기 서버-캐리어부의 적어도 중심을 채우고, 절개하고, 그리고 덮는 절연 물질의 상기 단자 고정 부재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리고
    (d) 상기 슬릿들의 상기 단부들을 덮는 상기 서버-캐리어부의 일부를 절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캐리어부를 통하여 연결된 상기 단자들을 서로 분리하도록 상기 인접한 단자들 사이의 각각의 갭에 연속하게 각각의 슬릿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를 제조하는 단계.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각 슬릿의 반대측 단부들은 닫히고, 상기 단자 고정 부재는 적어도 전체 슬릿들을 코팅하기 위해 형성되며, 상기 단자 고정 부재의 일부는 상기 슬릿들의 상기 단부들을 덮는 상기 서버-캐리어부의 상기 일부와 함께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를 제조하는 단계.
KR1020097017281A 2007-01-19 2008-01-18 단자 조립체, 커넥터 및 그 제조 KR200901132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9736 2007-01-19
JPJP-P-2007-009809 2007-01-19
JP2007009736A JP2008177066A (ja) 2007-01-19 2007-01-19 端子組立体及びコネクタ
JP2007009809A JP2008177072A (ja) 2007-01-19 2007-01-19 端子組立体及びコネクタ
JPJP-P-2007-012747 2007-01-23
JP2007012747A JP2008181700A (ja) 2007-01-23 2007-01-23 端子組立体、コネクタ及び端子組立体の製造方法
PCT/US2008/051514 WO2008089456A2 (en) 2007-01-19 2008-01-18 Terminal assemblies, connectors and manufactur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297A true KR20090113297A (ko) 2009-10-29

Family

ID=39580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281A KR20090113297A (ko) 2007-01-19 2008-01-18 단자 조립체, 커넥터 및 그 제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06168B2 (ko)
JP (1) JP5015268B2 (ko)
KR (1) KR20090113297A (ko)
CN (1) CN101669254B (ko)
WO (1) WO2008089456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358B1 (ko) * 2012-02-08 2013-06-18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KR101279594B1 (ko) * 2011-11-29 2013-06-27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가요성 회로케이블용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43451B (zh) * 2013-07-30 2016-07-2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及其組合
US10135204B2 (en) * 2015-06-05 2018-11-20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auxiliary contact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5529A (en) * 1983-11-01 1985-03-19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between circuit boards
JPS63230383A (ja) 1987-03-19 1988-09-26 Nec Corp インクリボンカ−トリツジ
US4865562A (en) * 1988-02-01 1989-09-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vermolded electrical contact for the manufacture of connectors
JPH0245096A (ja) 1988-08-04 1990-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機の制御装置
JPH0278170A (ja) * 1988-09-13 1990-03-19 Nec Corp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US4943242A (en) 1989-05-05 1990-07-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Zero insertion force high density connector system
US5248262A (en) 1992-06-19 1993-09-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 density connector
JPH0636843A (ja) * 1992-07-16 1994-02-10 Texas Instr Japan Ltd ソケット
JPH0698204A (ja) 1992-09-11 1994-04-08 Toshiba Corp 2次元適応形ノイズリダクション装置
JPH0725063A (ja) 1993-07-14 1995-01-27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のレーザ出力制御装置
JPH07282912A (ja) * 1994-04-11 1995-10-27 Omron Corp 端子列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222332A (ja) * 1995-02-14 1996-08-30 Hosiden Corp カードコネクタの多ピンコンタクト装置とその製造方法
US5871375A (en) 1996-10-15 1999-02-16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High temperature sensor assembly
JP4079492B2 (ja) 1998-02-12 2008-04-23 コスモ工機株式会社 仕切弁装置の設置方法
JP2000030783A (ja) * 1998-07-13 2000-01-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6179659B1 (en) 1998-08-11 2001-01-30 Micron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tact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of manufacture
US6083051A (en) * 1999-03-02 2000-07-0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Miniature electrical connector
TWI234909B (en) * 2000-11-21 2005-06-21 Hon Hai Prec Ind Co Ltd Manufacture method for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core base thereof
KR100598250B1 (ko) 2001-06-08 2006-07-07 신에츠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음향 부품용 커넥터 및 그 접속 구조체
US6796852B2 (en) * 2001-07-23 2004-09-2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6402552B1 (en) * 2001-08-07 2002-06-11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overmolded and snap locked pieces
JP3969229B2 (ja) * 2002-07-23 2007-09-05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4276884B2 (ja) * 2003-04-30 2009-06-1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接続構造
JP2004342466A (ja) 2003-05-15 2004-12-02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の組立方法
JP5049003B2 (ja) * 2006-05-25 2012-10-17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及びハウジングSubAssyの製造方法
JP4963988B2 (ja) * 2007-03-01 2012-06-2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端子組立体及び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594B1 (ko) * 2011-11-29 2013-06-27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가요성 회로케이블용 커넥터
KR101276358B1 (ko) * 2012-02-08 2013-06-18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89456A3 (en) 2008-12-11
JP5015268B2 (ja) 2012-08-29
JP2010517227A (ja) 2010-05-20
WO2008089456A2 (en) 2008-07-24
US8206168B2 (en) 2012-06-26
US20100120297A1 (en) 2010-05-13
CN101669254B (zh) 2013-03-20
CN101669254A (zh)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1579B2 (en) Connector
JP5881666B2 (ja)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20060128204A1 (en) Electric connector
US20120289096A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1134582A (ja) 平型ケーブル用コネクタ、その製造方法及びロック機構
US20090081900A1 (en) Electric connector
KR20090113297A (ko) 단자 조립체, 커넥터 및 그 제조
JP2683709B2 (ja) 無挿入力電気コネクタ
KR101588098B1 (ko) 회로체 및 커넥터 구조
KR100710447B1 (ko) 플러그 커넥터, 플러그 컨택트, 및 플러그 커넥터의조립방법
CN110800093B (zh) 电路装置、电路装置的制造方法以及连接器
US11942737B2 (en) Joint connector
KR20060060622A (ko) 전기 커넥터
JP2007234490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20160071607A (ko) 무접촉단자형 fpc 커넥터
JP2004342414A (ja) コネクタ
JP2002270978A (ja) 導電部材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JP4837631B2 (ja) 電気接続部品
JP2017195032A (ja) プラグコネクタ
JP6055939B2 (ja)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07234491A (ja) コネクタ
JP7330051B2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CN220652406U (zh) 连接器以及连接器组装体
JP2004134257A (ja) 基板用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ケース
JP2008181700A (ja) 端子組立体、コネクタ及び端子組立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