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0622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0622A
KR20060060622A KR1020050115392A KR20050115392A KR20060060622A KR 20060060622 A KR20060060622 A KR 20060060622A KR 1020050115392 A KR1020050115392 A KR 1020050115392A KR 20050115392 A KR20050115392 A KR 20050115392A KR 20060060622 A KR20060060622 A KR 20060060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wiring member
contact
bla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오노
아키요시 오시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45426A external-priority patent/JP424718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6574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172979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Publication of KR20060060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6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01R12/67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bstract

플러그 부재는 소켓 본체에 제1 방향으로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플러그 부재는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마련된 플러그 본체와, 각각이 소정 간극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제1 컨택트 부재와 제2 컨택트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플러그 컨택트를 포함한다. 제1 블레이드부는 제2 컨택트 부재와 대향하도록 제1 컨택트 부재로부터 연장된다. 플러그 컨택트는 제1 컨택트 부재가 홈에 배치되고 제2 컨택트 부재가 플러그 본체의 측벽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소켓 본체와 전기 접속되도록, 제2 방향으로 배치된다. 절연성 피복으로 덮힌 복수 개의 코어 도체가 제2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배선 부재는 홈에 제1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 부분을 포함한다. 가압 부재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홈에 삽입되도록 플러그 본체에 부착되는 제1 부분을 포함하여,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을 제1 컨택트 부재에 대하여 제1 및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가압한다. 제1 컨택트 부재와 제2 컨택트 부재는 제3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여, 제1 블레이드부 각각이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에 있는 관련된 하나의 코어 도체와 맞물리고,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은 제1 컨택트 부재와 가압 부재의 제1 부분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클램핑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플러그 본체의 사시도.
도 2는 전기 커넥터의 소켓 본체의 사시도.
도 3a는 가압 부재와 플러그 컨택트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플러그 본체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선 IIIB-III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하나의 플러그 컨택트의 사시도.
도 5a는 가압 부재의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선 VB-V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소켓 리테이너와 소켓 컨택트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소켓 본체의 사시도.
도 7은 하나의 소켓 컨택트의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하나의 소켓 리테이너의 사시도.
도 9a는 소켓 본체에 접속되는 케이블의 평면도.
도 9b는 도 9a의 선 IXB-IX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c는 도 9a의 선 IXC-IXC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은 케이블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의 플러그 본체의 단면도.
도 11은 케이블이 삽입된 상태의 플러그 본체의 단면도.
도 12는 케이블과 가압 부재가 부착된 플러그 본체의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선 XIII-XIII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선 XIV-XIV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5는 내부에 플러그 부재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의 소켓 본체의 단면도.
도 16은 내부에 플러그 부재가 장착된 상태의 소켓 본체의 단면도.
도 17a 내지 도 17b는 케이블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러그 부재 4 : 소켓 부재
7 : 케이블 10 : 플러그 본체
11 : 홈 14 : 위치 설정 홈
20 : 플러그 컨택트 28 : 제1 블레이드부
29 : 제2 블레이드부 30 : 가압 부재
31 : 수직 연장부 32 : 측방 연장부
70 : 플랫 케이블 75 : 코어 도체
77 : 절연성 피복 79 : 슬릿
본 발명은 절연성 피복 케이블을 가압 접촉 방식으로 전기 접속시키는 데 적 절히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절연성 피복 케이블들(이하, 케이블이라고 칭함) 각각은 절연성 피복으로 덮히고, 복수 개의 와이어 요소가 함께 꼬여 형성된 코어 도체를 구비하며, 현재 보다 컴팩트하고 보다 얇은 구성으로 제조되는 전자 장치에 있는 배선 부재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11-345640A호에는, 그러한 케이블들을 접속시키는 구성으로서, 전기 커넥터가 땜납을 사용하지 않고 가압 접촉 방식으로 복수 개의 케이블을 전기 접속시키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뚜껑 형상의 가압 부재가 하우징 상에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가압 부재는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되는 케이블에 대하여 컨택트의 블레이드부를 집합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여, 개개의 케이블이 일시에 대응하는 컨택트에 전기 접속할 수 있고, 실행 가능성이 증대될 수 있다.
고밀도의 콤팩트한 구성과 관련하여, 점점 진보해 온 전자 장치에서, 케이블들을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회로 기판에 접속시키는 데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의 장착 면적에 관련하여 공간 절약형 구성을 달성하는 것, 즉 회로 기판 상에서 커넥터 장착 영역을 절약할 것이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는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키고, 또한 접속 실현성을 증대시키는 형태일 것이 요망된다.
상기 공보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각각의 컨택트의 블레이드부의 엣지는 케이블을 가로지르는 방향이나 케이블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블레이드 엣지는 케이블의 피복 내에 맞물려서 코어 도체와 접촉하게 된다. 특히 확실한 접촉 상태를 달성하기 위해서 높은 가압력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블레이드가 과도하게 코어 도체 내에 맞물리고, 그 결과 블레이드 엣지가 코어 도체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존재하여[또는 맞물리는 정도가 과도한 경우에는 코어 도체를 절단하여], 접속 성능에 불리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한편 후자의 경우, 블레이드 엣지가 케이블을 접속시키는 작업 중에 측면의 아치형 외측 둘레를 갖는 케이블 피복 위에서 미끄러진다. 특히, 케이블의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강성의 피복재가 사용되는 경우, 블레이드 엣지가 미끄러질 가능성이 있어, 블레이드 엣지가 코어 도체의 중심에 맞물리지 않고, 이에 따라 블레이드부가 코어 도체에 확실히 접속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는 결합 커넥터에 장착되는 접속부를 포함한다. 이 접속부는 블레이드부를 구비하는 컨택트의 확장부로 형성된다. 접속부가 회로 기판의 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커넥터가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경우, 커넥터와 결합 커넥터를 장착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이 측방으로 넓게 확장된다. 따라서, 공간 절약형 구조를 달성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착 면적과 관련하여 공간 절약형 구조를 달성하고, 신뢰성이 높은 케이블 접속을 달성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켓 본체에 제1 방향으로 장착되는 플러그 부재로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마련된 플러그 본체와;
각각이 서로 소정 간극으로 대향하는 제1 컨택트 부재 및 제2 컨택트 부재와, 이 제1 컨택트 부재로부터 제2 컨택트 부재와 대향하도록 연장되는 제1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플러그 컨택트로서, 상기 제1 컨택트 부재가 홈에 배치되고 제2 컨택트 부재가 플러그 본체의 측벽에 있는 외측면에 배치되어 소켓 본체와 전기 접속되도록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플러그 컨택트
를 포함하는 플러그 부재와,
절연성 피복으로 덮힌 복수 개의 코어 도체가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배선 부재로서, 상기 홈에 제1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 부분을 포함하는 배선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을 구비하고, 이 제1 부분이 상기 홈에 삽입되도록 플러그 본체에 부착되어, 상기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을 제1 컨택트 부재에 대하여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
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제1 컨택트 부재 및 제2 컨택트 부재는 제3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여, 블레이드부 각각이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에 있는 관련된 하나의 코어 도체에 맞물리며, 상기 가압 부재의 제1 부분은 제1 컨택트 부재와 가압 부재의 제1 부분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클램핑되는 것인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소켓 본체에 접속되는 플러그 부재의 접속부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3 방향으로의 전기 커넥터의 치수를 감소시킬 수있어서, 장착 면적에 있어서 공간 절약형 구조가 달성될 수 있다.
배선 부재에 있는 제1 부분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블레이드부가 배선 부재의 절연성 피복을 피어싱(piercing)하는 두께가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제3 방향으로의 커넥터의 치수가 감소될 수 있다.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에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슬릿 각각은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이 홈에 삽입될 때, 제1 블레이드부와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슬릿이 제1 블레이드부의 삽입을 보조하기 때문에, 코어 도체가 비교적 얇은 경우에도 제1 블레이드부가 코어 도체의 중심부 근처를 쉽게 피어싱할 수 있고, 이것이 콤팩트한 구조에 기여한다. 또한, 제1 블레이드부가 코어 도체의 중심부 근처를 피어싱할 수 있기 때문에, 코어 도체의 와이어 요소의 개수가 증가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부에 대향하는 배선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편평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블레이드부가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을 피어싱할 때, 제1 블레이드부의 말단부가 적절한 피어싱 위치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코어 도체가 얇은 경우에도 제1 블레이드부가 코어 도체의 중심부 근처를 쉽게 피어싱할 수 있다.
가압 부재는 제1 부분으로부터 연속되고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배선 부재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가압 부재의 제2 부분에 의해 굴곡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 부재가 얇은 시트 부재로 제조되었더라도, 곡력(bending force)과 같은 우연한 외력이 인가될 때에 변형될 가능성이 적으며, 이것은 콤팩트한 구조의 달성에 기여한다.
각각의 제1 컨택트 부재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배선 부재의 제2 부분에 있는 관련된 하나의 코어 도체에 맞물리는 제2 블레이드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플러그 부재에 대하여 배선 부재를 유지하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배선 부재에 있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두께는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방향으로의 전기 커넥터의 치수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켓 본체에 제1 방향으로 장착되는 플러그 부재로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마련된 플러그 본체와;
각각이 제1 블레이드부를 포함하고, 이 블레이드부 각각이 홈에 배치되도록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플러그 컨택트
를 포함하는 플러그 부재와,
절연성 피복으로 덮힌 복수 개의 코어 도체가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배선 부재로서, 상기 홈에 제1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 부분을 포함하는 배선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을 구비하고, 이 제1 부분이 상기 홈에 삽입되도록 플러그 본체에 부착되어, 상기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을 제1 컨택트 부재에 대하여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 블레이드부 각각이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에 있는 관련된 하나의 코어 도체에 맞물리는 것인 가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의 두께가 감소되는 것인 전기 커넥터도 또한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제1 블레이드부가 배선 부재의 절연성 피복을 피어싱하는 깊이가 감소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3 방향으로의 커넥터의 치수가 감소될 수 있다.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에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슬릿 각각은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이 홈에 삽입될 때에 제1 블레이드부에 대향된다.
이 경우, 슬릿이 제1 블레이드부의 삽입을 보조하기 때문에, 코어 도체가 비교적 얇은 경우에도 제1 블레이드부가 코어 도체의 중심부 근처를 쉽게 피어싱할 수 있고, 이것은 콤팩트한 구조에 기여한다. 또한, 제1 블레이드부가 코어 도체의 중심부 근처를 피어싱할 수 있기 때문에, 코어 도체의 와이어 요소의 개수가 증가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부에 대향하는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편평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블레이드부가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을 피어싱할 때, 제1 블레이드부의 말단부가 적절한 피어싱 위치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코어 도체가 얇은 경우에도 제1 블레이드부가 코어 도체의 중심부 근처를 쉽게 피어싱할 수 있다.
가압 부재는 제1 부분으로부터 연속되고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배선 부재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가압 부재의 제2 부분에 의해 굴곡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 부재가 얇은 시트형 부재로 제조되었을지라도, 곡력과 같은 우연한 외력이 인가될 때에 변형될 가능성이 적고, 이것은 콤팩트한 구조의 달성에 기여한다.
각각의 플러그 컨택트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배선 부재의 제2 부분에 있는 하나의 관련된 코어 도체에 맞물리게 되어 있는 제2 블레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러그 부재에 대해 배선 부재를 유지하는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배선 부재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두께는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방향으로의 전기 커넥터의 치수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케이블(7)이 접속되는 플러그 부재(1)는 단면 형상이 거의 정사각형이고, 가늘고 긴 플러그 본체(10)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플러그 컨택트(20)가 플러그 본체(10)의 종방향으로 소정 피치를 두고 배열된다. 가압 부재(30)는 대향하는 종방향 단부(33)로부터 각각 연 장되는 연장부(34)를 구비하며, 플러그 본체(10)의 상측면에 부착되어 케이블(7)을 부분적으로 덮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부재(4)는 단면 형상이 거의 직사각형이고 가늘고 긴 소켓 본체(40)와, 플러그 부재(1)의 플러그 컨택트(20)의 배열에 대응하는 관계로 소켓 본체(40)의 종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배열된 복수 개의 소켓 컨택트(50), 그리고 가압 부재(30)의 연장부(34)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도록 소켓 본체(40)의 대향하는 종단부에 개별적으로 부착되는 소켓 리테이너(60)를 포함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본체(10)에 홈(11)이 형성되며, 이 홈은 플러그 본체의 대향 단부 근처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홈(11)은 그 저부(15)를 상측면에서 볼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방된다. 플러그 본체(10)의 외측면(13)과 내벽(12)에는, 플러그 컨택트(20)를 소정 피치로 배열시키기 위한 위치 설정 홈(14)이 형성된다.
플러그 컨택트(20)는 양호한 전기 전도성과 스프링 특성을 지닌 얇은 금속 시트로부터 블랭킹(blanking)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컨택트(20)는 제1 부분(22), 제2 부분(23) 및 제3 부분(26)을 연결시키는 빔부(beam portion)(21)를 포함한다. 돌출부(24, 25)는 각각 제1 편(22) 및 제2 편(23)의 말단부에 형성된다. 소정 힘이 인가되어 돌출부(24, 25)가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제1 및 제2 편(22, 23)이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따라서 두 개의 편(22, 23)을 서로를 향해 개별적으로 압박하는 탄성 복원력이 생성된다. 또한, 제1 블레이드부(28)가 제2 편(23)과 대향하도록 돌출부(24)에 형성 되고, 또한 제2 블레이드부(29)가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부(24)에 형성된다.
가압 부재(30)는 전기 전도성을 지닌 얇은 금속 시트를 블랭킹한 후에, 이 단편을 소정 형상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부재(30)는 내측면(37)의 수직면(38)과 수평면(39)이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록, 측방 연장부(32)와, 이 측방 연장부(32)와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31)를 포함한다. 수직 연장부(31)의 길이는 플러그 본체(10)에 있는 홈(11)의 길이보다 약간 짧다. 윈도우(36)를 각각 구비하는 연장부(34)가 측방 연장부(32)의 양단부(33)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부재(1)의 하부를 수용하는 가늘고 긴 오목부가 소켓 본체(40)에 형성되어, 이 가늘고 긴 오목부의 저부(42)를 상측에서 볼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방된다. 플러그 컨택트(20)의 배열 피치에 대응하는 소정 피치로 소켓 컨택트(50)를 배열시키는 위치 설정 홈(44)이 가늘고 긴 오목부(41)의 내측면(43)에 형성된다. 장착 홈(45)이 소켓 본체(4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소켓 리테이너(60)가 이들 장착 홈(45)에 각각 장착된다.
소켓 컨택트(50)는 양호한 전도성과 스프링 특성을 지닌 얇은 금속 시트로부터 블랭킹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컨택트(50)는 탄성부(51)와, 측방 연장 테일(52)을 포함한다. 소켓 부재(4)가 회로 기판에 장착될 때, 측방 연장 테일(52)은 납땜 등에 의해 이 회로 기판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소켓 리테이너(60)는 전도성을 지닌 얇은 금속 시트를 블랭킹한 후, 이것을 소정 형상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리테이너(60)는 한 쌍의 대향하는 유지부(62)와 측방 연장 테일(61)을 포함한다. 소켓 부재(4)가 회로 기판에 장착될 때, 측방 연장 테일(61)은 납땜 등에 의해 이 회로 기판에 결합되어 고정된다(필요하다면 회로 기판에 전기 접속됨). 유지부(62) 사이의 거리는, 플러그 부재가 소켓 부재에 삽입되어 장착될 때에 이들 유지부가 가압 부재(30)의 연장부(34)에 맞물릴 수 있도록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연장부(34)는 유지부(62) 사이에서 유지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7) 각각은 연질의 동 와이어가 함께 꼬인 것과 같은 복수 개의 전도성 와이어 요소(76)로 이루어진 코어 도체(75)와, 비닐 또는 불소 수지와 같은 절연성 수지재로 제조된 코어 도체(75)를 덮는 절연성 피복(77)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케이블은 그들의 코어 도체(75)가 플러그 부재(1)의 플러그 컨택트(20)의 배열 피치에 대응하는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접합, 특수 열처리 접착 등에 의해 결합되어, 플랫 케이블(70)을 형성한다. 케이블의 단부(71)에서는, 절연성 피복(77)이 그 두께(즉, 도 9b에서의 상하방으로의 치수)가 감소되도록 핫 롤링 등에 의해 압착되고, 또한 절연성 피복(77)은 두께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하는 편평한 면을 지니도록 소성 변형된다. 각각의 케이블(7)의 일측면(73)에는 슬릿(79)이 형성되는데, 이 슬릿은 절연성 피복(77)의 일측면을 코어 도체(75)의 중심을 향해 블레이드형 공구 등으로 피어싱함으로써 형성된다. 케이블(7)에 개별적으로 형성된 슬릿(79)은 케이블(7)의 단부(71)가 플러그 본체(10)의 개구(11)에 삽입될 때, 플러그 컨택트(20)의 제1 블레이드부(28) 각각을 향하도록 배열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컨택트(20)는 그 하측부로부터 플러그 본체(10)에 부착되고, 그 결과 제1 부분(22)의 돌출부(24)는 홈(11)의 제1 내측벽(12)으로부터 돌출되며, 또한 제2 부분(23)은 제1 블레이드부(28)가 외측면(13)으로부터 노출되고, 제2 부분(23)의 돌출부(25)와 제3 부분(26)의 돌출부(27)가 플러그 본체(10)를 클램핑하도록, 위치 설정 홈(14)에 의해 안내된다. 이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제1 블레이드부(28)와 제2 내측벽(17) 사이의 거리(또는 간극)는 케이블(7) 각각의 단부(71) 두께와 가압 부재(30)의 수직 연장부(31)의 두께의 합보다 약간 작다. 제1 부분(22)은 빔부(21)의 스프링 기능으로 인해서 측방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도 11은 케이블(7)의 단부(71)가, 슬릿(79)이 각각 제1 블레이드부(28)와 대향하도록 개구(11)를 통해 플러그 본체(10)로 삽입된 상태를 보여준다. 두께가 감소된 단부(71)는 폭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도 개구(11)를 통해 쉽게 삽입될 수 있으며, 따라서 플러그 본체(10)의 폭(즉, 도 11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의 치수)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커넥터가 콤팩트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케이블(7)의 단부(71)와, 가압 부재(30)의 수직 연장부(31)가 상측부로부터 저부(15)를 향해 개구(11)로 삽입된 상태를 보여준다. 케이블(7) 각각에 있는 단부(71)의 다른 측부(74)와 개구(11)의 제2 내측벽(17) 사이의 간극에 삽입되는 수직 연장부(31)는 단부(71)에 위치하는 코어 도체(75)와 빔부(21)의 제1 부분(22)을 측방(도 13에서 좌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 상태에서, 단부(71)는 빔부(21)의 탄성 스프링 기능으로 인한 제2 부분(23)의 압박 효과의 보 조에 의해, 수직 연장부(31)와 제1 부분(22) 사이에서 단단히 유지된다.
또한, 슬릿(79)이 코어 도체(75)의 중심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절결되기 때문에 각각의 블레이드부(28)는 코어 도체(75)의 중심으로 용이하게 안내되어, 슬릿(79)을 통해 코어 도체(75)의 중심부 근처에 맞물린다. 슬릿(79)이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맞물림 하중이 감소되기 때문에, 각각의 제1 블레이드부(28)가 복수 개의 와이어 요소(76)와 만족스럽게 접속된다[즉, 와이어 요소(76)와의 접촉 정도가 증대됨]. 이 경우에는, 납땜을 하지 않고도 케이블(7)의 코어 도체(75)가 각각의 플러그 컨택트(20)에 전기 접속된다.
케이블(7)의 단부(71)는 가압 부재(30)의 측방 연장부(32)에 의해 덮히고 구부러지며, 각각의 플러그 컨택트(20)의 제1 부분(22)에 있는 제2 블레이드부(29)는 절연성 피복(77)과 맞물리는 관계로 이 케이블(7)의 굴곡부의 내측부 또는 내측면과 접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케이블(7)의 단부(71)로부터 측방(도 13에서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72)에 외부의 당기는 힘이 우연히 인가되는 경우에도, 케이블(7)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달성된다. 여기에서, 각각의 플러그 컨택트(20)의 제2 블레이드부(29)가 절연성 피복(77)에 맞물리며, 대응하는 케이블(7)의 코어 도체(75)에 대하여 가압되고 이 코어 도체에 맞물리는 경우, 코어 도체(75)와 플러그 컨택트(20) 사이의 전기 접속도 또한 제2 블레이드부(29)를 통해 달성된다. 게다가, 단부(71)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배치된 측방 연장부(32)는 케이블(7) 단부(72)가 도 13의 상방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소켓 컨택트(50)는 탄성부(51)의 말단부 에 형성된 돌출부(53)가 가늘고 긴 오목부의 내측면(43)으로부터 돌출하고, 테일(52)이 소켓 본체(40)의 외측면(46)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소켓 본체(40)에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탄성편(51)의 돌출부(53)는 측방, 즉 탄성편(51)을 넓히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도 16은 케이블(7)이 접속된 플러그 부재(1)가 임의의 배선을 지닌 회로 기판(100)에 장착된 소켓 부재(4)에 삽입되어 장착된 상태를 보여준다. 저부(15)가 하방을 지향하는 상태로, 소켓 본체(40)의 가늘고 긴 오목부(41)에 삽입되는 플러그 부재(1)는 각각의 소켓 컨택트(50)의 탄성부(51)가 대응하는 플러그 컨택트(20)의 제2 부분(23)과 제3 부분(26)을 파지하도록 소켓 부재(4) 내에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측방(도 16에서 우측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되는 탄성부(51)의 돌출부(53)는 탄성부(51)의 탄성 스프링 기능에 의해서 생성되는 탄성력에 의해 제2 부분(23)을 가압하여, 노출부(19)와 돌출부(53)가 서로 접하는 방식으로 플러그 컨택트(20)와 소켓 컨택트(50)가 서로 전기 접속된다. 플러그 부재(1)가 소켓 부재(4) 내에 거의 완전히 수납되는 이러한 장착 구조에 있어서, 완전히 장착된 상태의 [회로 기판(100)의 상부면에서부터 플러그 부재(1)의 상면까지의] 전기 커넥터의 높이를 용이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결합 커넥터가 접속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제공되는 전술한 종래예에 비해, 커넥터 장착 면적이 공간 절약 방식으로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각각의 케이블(7)의 절연성 피복이 미리 압착되고 소성 변형되어, 제1 블레이드부(28)의 피어싱 방향으로의 두께가 감소되는 경우, 전기 커넥터를 위한 장착 공간이 적절히 감소되고, 또한 구부러진 플 랫 케이블(7)의 감소된 두께로 인하여 전기 커넥터의 높이가 적절히 감소될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c를 참조하여, 케이블(7) 단부(7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겠다.
도 17a에서, 절연성 피복(77)의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 시트재(78)가 제1 몰드(110)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케이블(7)이 코어 도체(75)가 소정 피치로 배열되도록 시트재(78)에 배치된다. 제1 몰드(110)는 상부면에 형성된 오목부(111)를 지니며, 이 오목부는 코어 도체(75)의 피치에 대응하는 피치로 배치된다. 제2 몰드(120)가 제1 몰드(110) 위에 배치되어, 방향 P1으로 하방으로 가압되거나 하방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제2 몰드(120)는 제1 몰드(110)의 상부면을 향하는 하부면에 형성된 오목부(121)를 지니고, 이 오목부는 코어 도체(75)의 피치에 대응하는 피치로 배치된다.
전기 히터와 같은 히터(도시하지 않음)가 고정 부재(110)와 제2 몰드(120) 중 하나 이상에 제공된다. 케이블(7)과 시트재(78)는 압착 방식으로 제1 몰드(110)와 제2 몰드(12) 사이에서 유지되어, 히터의 가열 효과의 도움으로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성 피복(77)과 시트재(78)가 융해하는 방식으로 대체로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성형된다. 이 상태에서, 쌍을 이루는 오목부(111, 121) 각각의 저면 사이의 거리는 이들 저면 사이에 있는 성형된 편평한 부분의 두께가 아직 압착하기 전의 케이블(7) 피복의 외경보다 작도록 결정된다. 다음 단계에서, 제2 몰드(120)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코어 도체(75)가 소정 피치로 배열된 얇고 코 어가 복수 개인 도체 케이블이 제1 몰드(110) 상에 남는다.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7a 및 도 17b의 단계에 의해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된 플랫 케이블(70)은 코어 도체(75)가 각각의 오목부(131)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제3 몰드(130)의 상부면에 배치된다. 제4 몰드(140)가 제3 몰드(130) 위에 위치하여 P2 방향으로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4 몰드(140)는 제3 몰드(130)의 상부면을 향하는 하부면 상에 형성된 블레이드형 부분(141)을 구비하고, 이 블레이드형 부분은 코어 도체(75)의 피치에 대응하는 피치로 배열된다. 각각의 블레이드형 부분(141)의 돌출 길이와 제4 몰드(140)의 가압량(즉, 하방 이동량)은, 가압 작동이 끝났을 때, 블레이드형 부분(141)의 말단부가 절연성 피복(77)을 절결하고, 또한 코어 도체(75)의 중심부 근처에 맞물리도록 결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4 몰드(140)가 다음 단계(도시하지 않음)에서 상방으로 이동되면, 각각이 상향 개구를 지닌 슬릿(79)이 플랫 케이블(70)에 형성된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가압 부재(30)가 얇은 금속 시트로 제조되었지만, 합성 수지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수직 연장부(31)와 측방향 연장부(32)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 형상이 대체로 역L형으로 제한되지 않고, 가압 부재(30)가 바람직한 강성을 가질 수만 있다면 대체로 T형과 같은 다른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플랫 케이블(70)의 형상에 관하여, 각각의 절연성 피복(77)의 외측 둘레는 원호 형상으로만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코어 도체(75)가 서로 평행한 관계로 병렬되기만 한다면 임의의 다른 적절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한, 플랫 케이블은 (예컨대, 공급되는 전류값에 따라) 상이한 단면적을 갖는 코어 도체(75)가 혼합 방식으로 병렬되는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한, 플랫 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은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열융해 방법으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초음파 융해 방법, 압출법 및 사출법과 같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각각의 케이블(7) 단부(71)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는, 가열을 포함하는 가압 공정에 의한 소성 변형 방법, 가열을 포함하지 않는 가압 공정에 의한 소성 변형 방법 및 열융해를 포함하는 방법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슬릿(79)의 형성이 항상 플랫형 케이블(70)을 형성하는 단계에 후속하는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계에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슬릿(79)의 형성은 플랫 케이블이 형성되는 단계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플러그 컨택트(20)가 하나의 제1 블레이드부(28)를 구비하고 있지만, 플러그 컨택트(20)는 복수 개의 제1 블레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각각의 케이블(7)을 위한 슬릿(79)의 개수는 증가한다.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있는 교시로부터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와 같이 명백한 본 발명의 변형과 수정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서 규정된 본 발명의 사상, 범위 및 계획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착 면적과 관련하여 공간 절약형 구조를 달성하고, 신뢰성이 높은 케이블 접속을 달성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Claims (13)

  1. 소켓 본체에 제1 방향으로 장착되는 플러그 부재로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마련된 플러그 본체와;
    각각이 서로 소정 간극으로 대향하는 제1 컨택트 부재 및 제2 컨택트 부재와, 이 제1 컨택트 부재로부터 제2 컨택트 부재와 대향하도록 연장되는 제1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플러그 컨택트로서, 상기 제1 컨택트 부재가 홈에 배치되고 제2 컨택트 부재가 플러그 본체의 측벽에 있는 외측면에 배치되어 소켓 본체와 전기 접속되도록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플러그 컨택트
    를 포함하는 플러그 부재와,
    절연성 피복으로 덮힌 복수 개의 코어 도체가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배선 부재로서, 상기 홈에 제1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 부분을 포함하는 배선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을 구비하고, 이 제1 부분이 상기 홈에 삽입되도록 플러그 본체에 부착되어, 상기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을 제1 컨택트 부재에 대하여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
    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제1 컨택트 부재 및 제2 컨택트 부재는 제3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여, 블레이드부 각각이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에 있는 관련된 하나의 코어 도체에 맞물리며, 상기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은 제1 컨택트 부재와 가압 부재의 제1 부분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클램핑되는 것인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제1 부분으로부터 연속되고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배선 부재는 가압 부재의 제2 부분에 의해 굴곡되어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택트 부재 각각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선 부재의 제2 부분에 있는 관련된 하나의 코어 도체와 맞물리는 제2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의 두께는 감소되는 것인 전기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부재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두께는 감소되는 것인 전기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에는 슬릿이 형성되며, 이 슬릿 각각은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이 홈에 삽입될 때에 제1 블레이드부와 대향하도록 되 어 있는 것인 전기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부에 대향하는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편평하게 형성되는 것인 전기 커넥터.
  8. 소켓 본체에 제1 방향으로 장착되는 플러그 부재로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마련된 플러그 본체와;
    각각이 제1 블레이드부를 포함하고, 이 블레이드부 각각이 홈에 배치되도록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플러그 컨택트
    를 포함하는 플러그 부재와,
    절연성 피복으로 덮힌 복수 개의 코어 도체가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배선 부재로서, 상기 홈에 제1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 부분을 포함하는 배선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을 구비하고, 이 제1 부분이 상기 홈에 삽입되도록 플러그 본체에 부착되어, 상기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을 제1 컨택트 부재에 대하여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 블레이드부 각각이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에 있는 관련된 하나의 코어 도체에 맞물리는 것인 가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의 두께가 감소되는 것인 전기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에는 슬릿이 형성되며, 이 슬릿 각각은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이 홈에 삽입될 때에 제1 블레이드부와 대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전기 커넥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부에 대향하는 배선 부재의 제1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편평하게 형성되는 것인 전기 커넥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제1 부분으로부터 연속되고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배선 부재는 가압 부재의 제2 부분에 의해 굴곡되어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전기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컨택트 각각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선 부재의 제2 부분에 있는 관련된 하나의 코어 도체와 맞물리는 제2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 커넥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부재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두께는 감소되는 것인 전기 커넥터.
KR1020050115392A 2004-11-30 2005-11-30 전기 커넥터 KR200600606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45426 2004-11-30
JP2004345426A JP4247180B2 (ja) 2004-11-30 2004-11-30 電気コネクタ
JPJP-P-2004-00365746 2004-12-17
JP2004365746A JP2006172979A (ja) 2004-12-17 2004-12-17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622A true KR20060060622A (ko) 2006-06-05

Family

ID=35925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392A KR20060060622A (ko) 2004-11-30 2005-11-30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07829B2 (ko)
EP (1) EP1662615A3 (ko)
KR (1) KR20060060622A (ko)
TW (1) TWI3524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9856A (ja) 2006-08-30 2008-03-13 Sumitomo Wiring Syst Ltd 基板用コネクタ
WO2008114929A1 (en) * 2007-03-16 2008-09-25 Absco., Ltd. Connector device
TW201121150A (en) * 2009-12-08 2011-06-16 Adv Flexible Circuits Co Ltd Flexible cable plug connector for vertical plugging.
US8894493B2 (en) 2012-12-13 2014-11-25 Wms Gaming, Inc. Opt-in proximity alert
JP6583643B2 (ja) * 2017-04-27 2019-10-02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0228A (en) * 1982-10-12 1984-07-17 Amp Incorporated Pitch change connector
US5902147A (en) * 1997-03-07 1999-05-11 Circuit Assembly Corp. Multi-conductor cable connector with integral grounding bus
JP3297390B2 (ja) 1998-04-02 2002-07-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圧接電気コネクタ
JP3378983B2 (ja) * 1998-09-30 2003-02-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4269031B2 (ja) * 1999-03-03 2009-05-2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細線同軸ケーブルの接続方法および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07829B2 (en) 2007-04-24
TWI352469B (en) 2011-11-11
TW200635160A (en) 2006-10-01
EP1662615A2 (en) 2006-05-31
US20060116020A1 (en) 2006-06-01
EP1662615A3 (en)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28366B1 (en) Electric connector
US7244139B2 (en) Electric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53437B1 (ko)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US7931489B2 (en) Wire to board connector
US9601854B2 (en) Female terminal
KR20060060622A (ko) 전기 커넥터
JPH10172621A (ja) 電線と端子と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JP2007059304A (ja) 端子付き電線とその製造方法
JP5289154B2 (ja) コネクタ
WO2014068847A1 (ja) 圧接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JP4247180B2 (ja) 電気コネクタ
JP4102295B2 (ja) 同軸ケーブル用ピアシング端子
JPH11121108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601193Y2 (ja) 差込形接続端子
JP2006172738A (ja) プラグコネクタ、プラグコンタクト、及びプラグコネクタの組立方法
US20150351270A1 (en) Electric wire pressure-contact structure
JPH1154217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CN214505784U (zh) 刺破式电连接器和电连接器与线缆接合用治具
JP5195191B2 (ja) 端子金具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
JPH0724783Y2 (ja) 圧接コンタク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線接続用コネクタ
JP2006172979A (ja) 電気コネクタ
JP2552495Y2 (ja) 圧接式電線接続器
JP2004356032A (ja) 電線接続構造及びコネクタ
JP2001204125A (ja) 圧接端子の接続構造
JP2005141984A (ja) ピアシング型コンタクト、ピアシング型コンタクト付き平形ケーブル及びコネクタ付き平形ケーブル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