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9680A -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9680A
KR20090109680A KR1020080035046A KR20080035046A KR20090109680A KR 20090109680 A KR20090109680 A KR 20090109680A KR 1020080035046 A KR1020080035046 A KR 1020080035046A KR 20080035046 A KR20080035046 A KR 20080035046A KR 20090109680 A KR20090109680 A KR 20090109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pole
housing
guide
hold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2058B1 (ko
Inventor
육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080035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058B1/ko
Publication of KR20090109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작동방식의 폴투스와 선회 작동방식의 폴투스를 홀더 하우징에 대해 층상으로 배치함과 더불어 상호 연동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폴투스와 섹터투스 하우징의 치형부 사이에서 보다 향상된 치결합 강성의 확보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폴투스(40)의 가이드용 돌기부(12)와 제2폴투스(50)의 폴선회지점용 돌기부(14)를 다수로 구비한 홀더 하우징(10)과, 제1치형부(22)와 제2치형부(24)를 형성하는 섹터투스 하우징(20), 상기 홀더 하우징(10)과 상기 섹터투스 하우징(2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조작축(30), 상기 제1치형부(22)와 치합되는 제1폴투스(40), 상기 제1폴투스(40)를 지지하는 제1캠레버(42), 상기 제2치형부(24)와 치합되는 제2폴투스(50), 상기 제2폴투스(50)를 지지하는 제2캠레버(52) 및, 상기 제1치형부(22)와 상기 제1폴투스(40) 사이의 치합과 상기 제2치형부(24)와 상기 제2폴투스(50) 사이의 치합을 유지하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80035046
시트, 리클라이닝, 폴투스, 캠레버, 홈, 연동

Description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seat reclining device}
본 발명은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작동방식의 폴투스에 대해 선회 작동방식의 폴투스를 층상으로 배치함과 더불어 상호 연동시켜 폴투스와 치형부 사이의 치결합 강성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되는 시트는 승객의 탑승자세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승객의 상체부위를 지지하는 시트백과 하체부위를 지지하는 시트쿠션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시트는 그 골격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시트백 프레임과 시트쿠션 프레임을 갖춘 구조로 이루어지고, 시트백 프레임과 시트쿠션 프레임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시트쿠션에 대한 시트백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승객의 탑승자세를 최적의 상태로 조정하기 위한 리클라이닝 장치가 설치된다.
한편,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는 홀더 하우징에 대해 반경방향의 직선이동 방 식으로 작동하여 섹터투스 하우징의 치형부에 치합되는 슬라이딩 작동방식의 폴투스를 갖춘 구조와, 홀더 하우징에 대해 원주방향의 선회이동 방식으로 작동하여 섹터투스 하우징의 치형부에 치합되는 선회 작동방식의 폴투스를 갖춘 구조로 구분된다.
이 경우, 슬라이딩 작동방식의 폴투스와 선회 작동방식의 폴투스는 각각 회전조작축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캠레버에 의해 섹터투스 하우징의 치형부와 치합 또는 치합이 해제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에 있어, 폴투스와 치형부 사이의 치결합 강성은 시트쿠션에 대한 시트백의 설치각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설계 인자로 작용하게 되는 바, 이를 위해 종래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에서는 폴투스와 치형부 사이의 치결합 부위의 둘레를 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치결합 강성을 향상시키는 구조가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는 장치의 둘레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레이 아웃의 측면에서 불리할 뿐만 아니라, 제조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폴투스와 치형부 사이의 치결합 부위의 둘레를 크게 설정한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는 부품의 중량 증대에 따른 차량의 연비 악화까지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슬라이딩 작동방식의 폴투스와 선회 작동방식의 폴투스를 홀더 하우징에 대해 층상으로 배치함과 더불어 상호 연동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폴투스와 섹터투스 하우징의 치형부 사이에서 보다 향상된 치결합 강성의 확보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 작동방식의 폴투스와 선회 작동방식의 폴투스를 상호 연동시켜 선회 작동방식의 폴투스에 대한 가이드 기능과 슬라이딩 작동방식의 폴투스에 대한 해제 기능을 각각 구현하고, 슬라이딩 작동방식의 폴투스와 캠레버 사이의 잠금해제를 위한 연동부위의 작동요소에 대한 삭제를 통해 슬라이딩 작동방식의 폴투스에 대한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쿠션 프레임에 고정되고 일측면에 방사상으로 이격되게 돌출된 가이드용 돌기부와 선회지점용 돌기부를 다수로 구비한 홀더 하우징과;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되고 일측면에 동심원상으로 이격된 제1치형부와 제2치형부를 형성하는 섹터투스 하우징;
상기 홀더 하우징과 상기 섹터투스 하우징을 관통하여 축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작축;
상기 홀더 하우징에 대해 상기 가이드용 돌기부를 매개로 반경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치형부와 치합되는 다수의 제1폴투스;
상기 회전조작축상에 고정되어 상기 제1폴투스를 상기 홀더 하우징의 반경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캠레버;
상기 홀더 하우징에 대해 상기 선회지점용 돌기부를 매개로 원주방향으로 선회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치형부와 치합되는 다수의 제2폴투스;
상기 회전조작축상에 고정되어 상기 제2폴투스를 상기 홀더 하우징의 원주방향으로 선회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캠레버 및;
상기 제1치형부와 상기 제1폴투스 사이의 치합과 상기 제2치형부와 상기 제2폴투스 사이의 치합을 유지하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2폴투스는 상호 대향되는 일측부에 걸림홈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부는 인접한 위치에서 대향된 다른 걸림홈부와 함께 요형상의 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1폴투스는 상기 요형상의 홈내에 걸리도록 수용된 가이드 엠보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엠보는 상기 제2폴투스의 원주방향으로 선회이동시 가이드하고, 리클라이너에 충격 및 하중 부과시 제2폴투스와 제2치형부의 치합을 지지할 수 있는 가이드가 될 수 있고, 상기 제2폴투스의 잠금해제시 연동되어 상기 제1폴투스의 잠금해제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에 의하면, 홀더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 작동방식의 폴투스와 선회 작동방식의 폴투스를 각각 층상으로 배치하면서 이들 을 상호 연동될 수 있는 구조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폴투스와 섹터투스 하우징의 치형부 사이에서 보다 향상된 치결합 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에 있어 보다 향상된 치결합 강성의 확보를 위해 폴투스와 섹터투스 하우징의 치형부의 둘레를 크게 설정하지 않아도 되고, 이를 통해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의 전체 둘레를 작게 설계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슬라이딩 작동방식의 폴투스와 선회 작동방식의 폴투스를 상호 연동할 수 있으므로, 선회 작동방식의 폴투스에 대한 가이드 기능과 슬라이딩 작동방식의 폴투스에 대한 해제 기능을 각각 구현함에 있어, 슬라이딩 작동방식의 폴투스와 캠레버 사이의 연동부위의 작동요소를 삭제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슬라이딩 작동방식의 폴투스는 연동부위의 작동요소에 대한 삭제를 통해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의 치결합 강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는 시트쿠션의 뼈대를 형성하는 시트쿠션 프레임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홀더 하우징(10)과, 시트백의 뼈대를 형성하는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어 리클라이닝시 회전하는 섹터투스(SECTOR TOOTH) 하우징(20), 상기 홀더 하우징(10)과 상기 섹터투스 하우징(20) 사이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일단에 리클라이닝 조작을 위한 레버(도시안됨)를 장착한 회전조작축(30), 상기 홀더 하우징(10)과 상기 섹터투스 하우징(20)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작동방식의 제1폴투스(PAWL TOOTH;40) 및, 상기 홀더 하우징(10)과 상기 섹터투스 하우징(20) 사이에서 상기 회전조작축(3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폴투스(40)와 층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선회 작동방식의 제2폴투스(50) 등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홀더 하우징(10)과 상기 섹터투스 하우징(20)은 상기와는 반대로 시트백 프레임과 시트쿠션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홀더 하우징(10)은 일측면에 방사상으로 이격되게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폴투스(40)의 반경방향으로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용 돌기부(12)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용 돌기부(12)는 상기 제2폴투스(50)의 선회지점으로 활용되는 선회지점용 돌기부(14)를 갖추고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용 돌기부(12)는 상기 제1폴투스(40)의 양측부를 직선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홀더 하우징(10)의 반경방향으로 향하도록 일측에 대체로 직선의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면(12a)을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선회지점용 돌기부(14)는 상기 제2폴투스(50)의 선회지점을 형성하기 위해 일측 내측면에 호(弧)형상의 접촉면(14a)을 구비하고, 상기 제2폴투스(50)는 상기 선회지점용 돌기부(14)의 호형상의 접촉면(14a)에 대해 접촉된 상태에서 선회 가능한 선회지점의 형성하도록 일측 외측면에 역시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호(弧)형상의 선회지점용 호형홈부(54)를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선회지점용 돌기부(14)는 상기 가이드용 돌기부(12)상에서 상기 홀더 하우징(10)의 일측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용 돌기부(12)와 상기 선회지점용 돌기부(14)는 상기 홀더 하우징(10)의 일측면에서 각각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바, 이에 따라 상기 제1폴투스(40)는 상기 가이드용 돌기부(12)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홀더 하우징(10)의 일측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폴투스(50)는 상기 선회지점용 돌기부(14)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용 돌기부(12)의 상부면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므로, 상기 제1폴투스(40)와 상기 제2폴투스(50)는 상기 회전조작축(30)을 중심으로 상기 홀더 하우징(10)에 일측면에서 층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상기 섹터투스 하우징(20)은 일측면에 상기 제1폴투스(40)와 치합되는 제1치형부(22)와 상기 제2폴투스(50)와 치합되는 제2치형부(24)를 각각 동심원상으로 이격되게 형성하는 데, 상기 제1치형부(22)와 상기 제2치형부(24)는 상기 섹터투스 하우징(20)의 일측면 가장자리 부위에서 단차진 부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홀더 하우징(10)의 일측면에 층상으로 배치된 상기 제1폴투스(40) 및 상기 제2폴투스(50)와 각각 개별적으로 치합될 수 있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1치형부(22)는 상기 섹터투스 하우징(20)의 중심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치형부(24)는 상기 제1치형부(22)의 내측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1치형부(22)와 상기 제2치형부(24)는 상기 섹터투스 하우징(20)의 가장자리 부위의 전 둘레에 걸쳐 두께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치형부(22)의 피치각과 상기 제2치형부(24)의 피치각은 상기 홀더 하우징(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볼 때 대략 1°내외로 엇갈리도록 설정되어 있어, 상기 제1치형부(22)와 상기 제1폴투스(40)의 선단부에 형성된 치합부(40-1) 사이의 치합과 상기 제2치형부(24)와 상기 제2폴투스(50)의 선단부에 형성된 치합부(50-1) 사이의 치합중 어느 한 군데에서 치합이 이루어지면, 시트쿠션에 대한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각도가 즉시 고정될 수 있으므로, 시트백의 경사각도의 조절이 보다 정교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치형부(22)의 피치각과 상기 제1폴투스(40)의 치합부(40-1)의 피치각은 상호 동일하고, 상기 제2치형부(24)의 피치각과 상기 제2폴투스(50)의 치합부(50-1)의 피치각도 역시 상호 동일하게 설정됨은 물론이다.
상기 회전조작축(30)은 상기 제1폴투스(40)의 직선방향 작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캠레버(42)와 상기 제2폴투스(50)에 선회방향 작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캠레버(52)를 축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장착한다.
상기 제1폴투스(40)는 상기 홀더 하우징(10)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다수로 설치되고, 상기 제1폴투스(40)는 제1캠레버(42)에 의해 상기 홀더 하우징(10)의 반경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2폴투스(50)는 상기 홀더 하우징(10)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선회이동이 가능하게 다수로 설치되고, 상기 제2폴투스(50)는 제2캠레버(52)에 의해 상기 홀더 하우징(10)의 원주방향으로 선회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경우, 상기 회전조작축(30)은 상기 홀더 하우징(10)과 상기 섹터투스 하 우징(20)과 상기 제1캠레버(42) 및 상기 제2캠레버(52)를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사용자에 의한 리클라이닝 조작에 따른 축회동시 상기 제1캠레버(42)와 상기 제2캠레버(52)를 일체로 축회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회전조작축(30)의 축회동시 상기 제1캠레버(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폴투스(40)와 상기 제1치형부(22) 사이의 치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2캠레버(5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폴투스(50)와 상기 제2치형부(24) 사이의 치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다수의 제2폴투스(50)는 상호 대향되는 일측부에 걸림홈부(56)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부(56)는 인접한 위치에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다른 제2폴투스(50)의 일측부에 형성된 걸림홈부(56)와 함께 요형상의 홈(R)을 형성한다.
상기 제1폴투스(40)는 일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요형상의 홈(R)내에 걸리도록 수용되는 가이드 엠보(GUIDE EMBOSSMENT; 44)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어, 상기 가이드 엠보(44)는 상기 제2폴투스(50)의 원주방향으로 선회이동시 상기 걸림홈부(56)와 접촉하여 위치를 가이드하고, 상기 제2폴투스(50)의 잠금해제시 상기 걸림홈부(56)의 선회에 따라 상기 홀더 하우징(10)의 반경방향 중심을 향해 연동되어 상기 제1폴투스(40)와 상기 제1치형부(22) 사이의 잠금해제를 유도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 엠보(44)는 양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단부(44a)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부(56)는 상기 돌출단부(44a)와 걸림작용을 하기 위해 상기 돌출단부(44a)를 감싸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56a)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엠보(44)는 상기 돌출단부(44a)를 중심으로 일측에 상기 제2폴투스(50)의 선회방향을 따라 경사진 형태의 지지면부(44b)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부(56)는 상기 지지면부(44b)와 대응되어 접촉하는 대응지지면부(56b)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폴투스(50)는 상기 제1폴투스(40)에 구비된 상기 가이드 엠보(44)를 매개로 잠금방향으로 선회시, 상기 걸림홈부(56)의 대응지지면부(56b)가 상기 가이드 엠보(44)의 지지면부(44b)에 밀착되므로, 상기 제2치형부(24)와 정확하게 치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합후에도 상기 제2폴투스(50)의 대응지지면부(56b)는 상기 가이드 엠보(44)의 지지면부(44b)에 의해 지지력을 제공받기 때문에 체결상태를 지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폴투스(50)는 잠금해제방향으로 선회시, 상기 걸림홈부(56)의 걸림턱(56a)이 상기 가이드 엠보(44)의 돌출단부(44a)를 상기 홀더 하우징(10)의 중심부를 향해 연동시켜 이동시키게 되므로, 상기 제1폴투스(40)와 상기 제1치형부(22) 사이의 잠금해제는 상기 제2폴투스(50)와 상기 제2치형부(24) 사이의 잠금해제와 연동관계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폴투스(40)와 상기 제2폴투스(50)는 상기 가이드 엠보(44)와 상기 걸림홈부(56)에 의해 형성되는 요형상의 홈(R)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1치형부(22)와 상기 제2치형부(24)에 대해 각각 치합 및 치합해제시 상호 긴밀한 지지관계와 연동관계를 달성할 수 있게 되는 데, 특히, 상기 제2폴투스(50)와 상기 제2캠레버(52) 사이에는 상기 회전조작축(30)의 축선회시 상기 제2폴투스(50)를 상기 제2치형부(24)에 치합되는 기능만이 구비되고, 상기 제2폴투스(50)와 상기 제2치형부(24) 사이의 치합해제를 위해 상기 제2폴투스(50)와 상기 제2캠레버(52) 사이의 연동을 위한 작동요소를 삭제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상기 제1캠레버(42)와 상기 제2캠레버(52)는 각각 상기 제1폴투스(40)와 상기 제2폴투스(50)의 저면부에 작용력을 제공하기 위해 외주면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다수로 돌출된 가압부(42a,52a)만을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부연하자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선회이동식 폴투스(140)에 있어 캠레버(142)와의 연동을 위해 폴투스(140)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홈부(144)와 캠레버(142)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부(146)를 각각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이 결과,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1폴투스(40)와 상기 제1캠레버(42)는 기존 방식에 비해 연동부위의 작동요소인 요홈부(144)와 돌기부(146)를 모두 삭제할 수 있으므로,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를 동일한 크기로 설정함에 있어, 상기 제1폴투스(40)의 경우에는 종래 보다 연동부위의 작동요소인 요홈부(144)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의 구조적 강성이 강화될 수 있고, 상기 제1캠레버(42)의 경우에는 종래에 비해 연동부위의 작동요소인 돌기부(146)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가공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치형부(22)와 상기 제1폴투스(40) 사이의 치합과 상기 제2치형부(24)와 상기 제2폴투스(50) 사이의 치합을 유지하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제1치형부(22)와 상기 제1폴투스(40) 사이의 치합을 유지하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60)과 상기 제2치형부(24)와 상기 제2폴투스(50) 사이의 치합을 유지하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70)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섹터투스 하우징(20)의 외주면에는 링형상의 커버 브라켓(80)이 설치되어 상기 섹터투스 하우징(20)의 전 둘레를 마감하게 되는 데, 상기 커버 브라켓(80)은 상기 홀더 하우징(10)과 상기 섹터투스 하우징(20)의 높이를 규제함과 더불어, 상기 홀더 하우징(10)과 상기 섹터투스 하우징(20) 및 내부 부품들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리클라이너 장치의 원활한 작동을 돕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시트백의 리클라이닝시 상기 회전조작축(30)을 잠금해제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회전조작축(30)상에 설치된 상기 제1캠레버(42)와 상기 제2캠레버(52)가 동시에 회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폴투스(50)는 상기 선회지점용 호형홈부(54)가 상기 홀더 하우징(10)의 선회지점용 돌기부(14)를 중심으로 상기 섹터투스 하우징(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중심부를 향해 선회하게 된다.
이때, 상호 대향되어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2폴투스(50)의 걸림홈부(56) 사이에 형성된 요형상의 홈(R)은 상기 제1폴투스(40)에 형성된 가이드 엠보(44)를 연동시켜 상기 섹터투스 하우징(20)의 중심부를 향해 이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걸림홈부(56)의 걸림턱(56a)이 상기 가이드 엠보(44)의 돌출단부(44a)와 접촉되므로, 상기 제1폴투스(40)는 상기 제2폴투스(50)와 연동되는 것이다.
이 결과, 상기 제1폴투스(40)의 치합부(40-1)와 상기 섹터투스 하우징(20)의 제1치형부(22) 사이의 치합과 상기 제2폴투스(50)의 치합부(50-1)와 상기 섹터투스 하우징(20)의 제2치형부(24) 사이의 치합은 동시에 해제되므로, 사용자는 시트쿠션에 대한 시트백의 경사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회전조작축(30)에 가해진 잠금해제방향으로의 조작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1폴투스(40)와 상기 제2폴투스(50)는 각각 상기 제1스프링(60)과 상기 제2스프링(70)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잠금방향으로 동작하게 된다.
즉, 상기 제1폴투스(40)는 상기 제1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홀더 하우징(10)의 가이드용 돌기부(12) 사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직선이동을 하여 상기 제1폴투스(40)의 치합부(40-1)는 상기 섹터투스 하우징(20)의 제1치형부(22)에 치합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2폴투스(50)는 상기 제2스프링(7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홀더 하우징(10)의 선회지점용 돌기부(14)를 중심으로 원주방향 외측으로 선회이동을 하여 상기 제2폴투스(50)의 치합부(50-1)는 상기 섹터투스 하우징(20)의 제2치형부(24)에 치합된다.
이때, 상기 제2폴투스(50)의 걸림홈부(56)에 형성된 대응지지면부(56b)는 상기 가이드 엠보(44)에 형성된 지지면부(44b)에 의해 접촉된 상태에서 가이드될 수 있어, 상기 제2폴투스(50)의 치합부(50-1)와 상기 섹터투스 하우징(20)의 제2치형부(24) 사이의 정확한 치합이 유도됨은 물론, 상기 가이드 엠보(44)는 상기 제2폴투스(50)의 선회시 반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스프링(70)의 복원력에 의한 상기 제2폴투스(50)의 치합부(50-1)와 상기 섹터투스 하우징(20)의 제2치형부(24) 사이의 치합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홀더 하우징(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치형부(22)의 피치각과 상기 제2치형부(24)의 피치각이 상호 엇갈리도록 설정되어 있어, 시트 리클라이닝의 종료시 상기 제1치형부(22)와 상기 제1폴투스(40)의 선단부에 형성된 치합부(40-1) 사이의 치합과 상기 제2치형부(24)와 상기 제2폴투스(50)의 선단부에 형성된 치합부(50-1) 사이의 치합중 어느 한 군데에서 치합이 이루어지게 되면, 시트쿠션에 대한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각도가 즉시 고정될 수 있으므로, 시트백의 경사각도의 조절을 보다 정교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과 반대되는 방향에서 도시한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에서 섹터투스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에서 제2폴투스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과 도 7은 각각 도 4와 도 5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과 대응되는 종래 선회이동식 폴투스와 캠레버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홀더 하우징 12-가이드용 돌기부
14-선회지점용 돌기부 20-섹터투스 하우징
22-제1치형부 24-제2치형부
30-회전조작축 40-제1폴투스
42-제1캠레버 44-가이드 엠보
50-제2폴투스 52-제2캠레버
54-호형홈부 56-걸림홈부
60-제1스프링 70-제2스프링

Claims (10)

  1. 방사상으로 이격되게 돌출된 가이드용 돌기부(12)와 선회지점용 돌기부(14)를 구비한 홀더 하우징(10)과;
    동심원상으로 이격된 제1치형부(22)와 제2치형부(24)를 형성하는 섹터투스 하우징(20);
    상기 홀더 하우징(10)과 상기 섹터투스 하우징(20)에 대해 축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작축(30);
    상기 홀더 하우징(10)에 대해 상기 가이드용 돌기부(12)를 매개로 반경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치형부(22)와 치합되는 제1폴투스(40);
    상기 회전조작축(30)상에 고정되어 상기 제1폴투스(40)를 상기 홀더 하우징(10)의 반경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캠레버(42);
    상기 홀더 하우징(10)에 대해 상기 선회지점용 돌기부(14)를 매개로 원주방향으로 선회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치형부(24)와 치합되는 제2폴투스(50);
    상기 회전조작축(30)상에 고정되어 상기 제2폴투스(50)를 상기 홀더 하우징(10)의 원주방향으로 선회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캠레버(52) 및;
    상기 제1치형부(22)와 상기 제1폴투스(40) 사이의 치합과 상기 제2치형부(24)와 상기 제2폴투스(50) 사이의 치합을 유지하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폴투스(50)는 일측부에 걸림홈부(56)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부(56)는 대향된 다른 제2폴투스(50)의 걸림홈부(56)와 함께 요형상의 홈(R)을 형성하며, 상기 제1폴투스(40)는 상기 요형상의 홈(R)내에 걸리는 가이드 엠보(44)를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 엠보(44)는 상기 제2폴투스(50)의 원주방향으로 선회이동시 가이드하고, 상기 제2폴투스(50)의 잠금해제시 연동되어 상기 제1폴투스(40)의 잠금해제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용 돌기부(12)는 상기 제1폴투스(40)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홀더 하우징(10)의 반경방향으로 향한 가이드면(12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회지점용 돌기부(14)는 상기 제2폴투스(50)의 선회지점을 형성하기 위해 호형상의 접촉면(14a)을 구비하고, 상기 제2폴투스(50)는 상기 호형상의 접촉면(14a)과 접촉되어 선회지점을 형성하기 위한 호형홈부(5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선회지점용 돌기부(14)는 상기 가이드용 돌기부(12)상에서 상기 홀더 하우징(10)의 일측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폴투스(40)와 상기 제2폴투스(50)는 상기 홀더 하우징(10)에 일측면에서 층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치형부(22)와 상기 제2치형부(24)는 상기 섹터투스 하우징(20)의 전 둘레에 걸쳐 두께방향을 따라 단차진 부위로 형성되어 상기 제1폴투스(40)와 상기 제2폴투스(50)는 상기 제1치형부(22)와 상기 제2치형부(24)에 각각 개별적으로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캠레버(42)와 상기 제2캠레버(52)는 상기 회전조작축(30)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캠레버(42)와 상기 제2캠레버(52)는 각각 상기 제1폴투스(40)와 상 기 제2폴투스(50)의 저면부에 작용력을 제공하기 위해 돌출된 가압부(42a,52a)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엠보(44)는 양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단부(44a)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부(56)는 상기 돌출단부(44a)와 걸림작용을 하기 위해 상기 돌출단부(44a)를 감싸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56a)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엠보(44)는 상기 제2폴투스(50)의 선회방향을 따라 경사진 지지면부(44b)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부(56)는 상기 지지면부(44b)와 접촉하는 대응지지면부(56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치형부(22)의 피치각과 상기 제2치형부(24)의 피치각은 상호 엇갈리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KR1020080035046A 2008-04-16 2008-04-16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KR101372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046A KR101372058B1 (ko) 2008-04-16 2008-04-16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046A KR101372058B1 (ko) 2008-04-16 2008-04-16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680A true KR20090109680A (ko) 2009-10-21
KR101372058B1 KR101372058B1 (ko) 2014-03-07

Family

ID=41537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046A KR101372058B1 (ko) 2008-04-16 2008-04-16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05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967B1 (ko) * 2012-11-29 2013-11-13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459280B1 (ko) * 2013-11-21 2014-11-07 대원정밀공업(주) 치합 효율을 개선한 고강도 리클라이너
CN105291907A (zh) * 2014-07-22 2016-02-03 佛吉亚汽车座椅公司 用于车辆座椅的角度调节装置
CN105416112A (zh) * 2014-09-12 2016-03-23 佛吉亚汽车座椅公司 用更小的增量调节汽车座椅倾斜的装置
KR101678416B1 (ko) * 2015-06-29 2016-11-22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5819B2 (ja) 2003-06-02 2008-11-26 富士機工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0627733B1 (ko) 2005-08-18 2006-09-25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KR100627732B1 (ko) 2005-08-18 2006-09-25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KR20070102829A (ko) * 2006-04-17 2007-10-22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용 라운드 리클라이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967B1 (ko) * 2012-11-29 2013-11-13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459280B1 (ko) * 2013-11-21 2014-11-07 대원정밀공업(주) 치합 효율을 개선한 고강도 리클라이너
CN105291907A (zh) * 2014-07-22 2016-02-03 佛吉亚汽车座椅公司 用于车辆座椅的角度调节装置
CN105291907B (zh) * 2014-07-22 2018-08-24 佛吉亚汽车座椅公司 用于车辆座椅的角度调节装置
CN105416112A (zh) * 2014-09-12 2016-03-23 佛吉亚汽车座椅公司 用更小的增量调节汽车座椅倾斜的装置
CN105416112B (zh) * 2014-09-12 2018-01-02 佛吉亚汽车座椅公司 用更小的增量调节汽车座椅倾斜的装置
KR101678416B1 (ko) * 2015-06-29 2016-11-22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058B1 (ko) 201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404B1 (ko) 차량 좌석용 힌지 기구 및 그 힌지 기구를 구비한 좌석
US7364237B2 (en) Seat assembly including a toothed pawl interengageable with a seatback
JP4894192B2 (ja) 車両用シート
CN105416112B (zh) 用更小的增量调节汽车座椅倾斜的装置
KR101372058B1 (ko)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JP3667271B2 (ja) 乗物用シートのヒンジ機構
EP2301387B1 (en) Vehicle seat reclining apparatus
KR20140044331A (ko) 내부 판 스프링을 구비한 디스크 리클라이너
JP2010022471A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09201783A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3434779B2 (ja) 乗り物シート用関節機構
JP5251326B2 (ja) 車両用シート操作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5318484B2 (ja) 車両の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CN103534137A (zh) 双凸轮倾角调节器
JP5281857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0627732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JP5592753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6750471B2 (ja) 乗物用シート
JP5424859B2 (ja) 車両の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08254475A (ja) ヘッドレスト及び該ヘッドレスト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JP2780968B2 (ja) 自動車用のシート構造体
JP2002291563A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5605060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7449553B2 (ja) 腕姿勢保持装置
JP5537923B2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