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5833A - 다기능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5833A
KR20090105833A KR1020090026867A KR20090026867A KR20090105833A KR 20090105833 A KR20090105833 A KR 20090105833A KR 1020090026867 A KR1020090026867 A KR 1020090026867A KR 20090026867 A KR20090026867 A KR 20090026867A KR 20090105833 A KR20090105833 A KR 20090105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medium
external storage
image data
displa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9322B1 (ko
Inventor
히데노부 쯔까다
가즈노리 나까무라
고오지 이시까와
다다또시 시마무라
요오이찌 고와따리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5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표시 장치가 갖는 기억 장치의 한정된 용량 중에서 표시 장치의 다기능화에 대응하여 각종 화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다기능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기능 표시 장치(20)의 화상 기억부(26)는 차체 기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CPU(28)의 표시 제어 처리부(30)로서의 처리 기능은, 화상 기억부(26)에 기억한 제1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유압 셔블의 차체 기본 정보를 표시하는 동시에(제1 표시 제어 장치로서의 처리 기능), 차체 기본 정보보다 사용 빈도가 낮은, 고장 진단, 버전 업, 다운로드 등에 관한 정보에 대해서는, 외부 기억 매체(45)로부터 판독한 제2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당해 정보를 표시한다(제2 표시 제어 장치로서의 처리 기능).
다기능 표시 장치, 화상 기억부, 표시 제어 처리부, CPU, 외부 기억 매체

Description

다기능 표시 장치 {MULTI FUNCTION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압 셔블 등의 작업기에 탑재되는 다기능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기의 차체 기본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동시에, 차체 기본 정보보다 사용 빈도가 낮은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이나, 그 밖의 처리 기능을 갖는 다기능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압 셔블 등의 작업기의 전자 제어화가 진행되고, 그것에 수반하여 작업기에 탑재되는 표시 장치도 진화되고, 액정 모니터를 탑재하여 상세한 정보를 표시하는 등 고기능화가 진행되고 있다. 고기능화 중에는, 연료 잔량, 냉각 수온 등의 차체의 기본 정보를 표시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고장 진단 기능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시키는 다기능화가 포함된다(특허 문헌 1 및 2).
한편, 제어 장치에 다양한 기능을 발휘시키고자 한 경우, 제어 장치에 다수의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해 두는 결과, 기억 장치의 메모리량이 증가하고, 동작 속도가 느려지는 등의 문제를 발생한다. 특허 문헌 3에서는 그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휴대 가능한 외부 기억 장치에 상시 사용하는 일이 없는 검사 프로그램, 고장 진단 프로그램 등의 제어 프로그램의 일부를 기억해 두고, 필요에 따라서 그 외부 기억 장치를 제어 장치에 장착하고, 외부 기억 장치 내의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제어 장치에서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12838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82961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6-20127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다.
표시 장치를 다기능화한 경우, 기능의 수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이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이들 제어 프로그램(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가 필요하게 된다. 데이터량이 많은 것은 제어 프로그램보다도 오히려 화상 데이터이다.
특허 문헌 1, 2에 있어서 명기는 없으나, 화상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의 기억 장치에 저장되어 있다. 그러나, 표시 장치를 다기능화에 따라서 모든 화상 데이터를 표시 장치의 기억부에 기억시키면, 그 데이터량의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기억 장치를 대용량화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기억 장치의 대용량화는 비용이 커진다.
특허 문헌 3에서는, 휴대 가능한 외부 기억 장치에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것뿐이고, 화상 데이터의 증가에는 대응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장치가 갖는 기억 장치의 한정된 용량 중에서 표시 장치의 다기능화에 대응하여 각종 화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다기능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작업기에 탑재되는 다기능 표시 장치에 있어서, 작업기의 차체 기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1 기억 장치와, 제1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작업기의 차체 기본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 제어 장치와, 표시 절환 수단과, 외부 기억 매체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외부 기억 매체 장착부와, 상기 외부 기억 매체 장착부에 상기 외부 기억 매체가 장착되고, 상기 표시 절환 수단이 동작했을 때에, 적어도, 상기 외부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한 제2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차체 기본 정보보다 사용 빈도가 낮은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1 표시 제어 장치와는 별도로 제2 표시 제어 장치를 설치하고, 차체 기본 정보보다 사용 빈도가 낮은 정보에 대해서는, 제2 표시 제어 장치가 외부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한 제2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표시함으로써, 다기능 표시 장치가 갖는 기억 장치(제1 기억 장치)는 차체 기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만으로도 좋게 되어, 기억 장치(제1 기억 장치)의 한정된 용량 중에서 표시 장치의 다기능화에 대응하여 각종 화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2) 상기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표시 제어 장치는,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표시되는 상기 차체 기본 정보보다 사용 빈도가 낮은 정보는, 상기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기억 장치(제1 기억 장치)의 한정된 용량 중에서, 버전 업, 다운 로드 등의 각종 처리를 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여, 당해 처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3) 상기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외부 기억 매체에 기억한 버전 업용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상기 작업기에 탑재된 1개 이상의 컨트롤러를 버전 업하기 위한 버전 업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표시되는 상기 차체 기본 정보보다 사용 빈도가 낮은 정보는, 상기 버전 업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기억 장치(제1 기억 장치)의 한정된 용량 중에서, 작업기에 탑재된 컨트롤러의 버전 업을 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여, 당해 버전 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4) 상기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차체 기본 정보보다 사용 빈도가 낮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기능과, 상기 작업기에 탑재된 정보 컨트롤러로부터 이 정보 컨트롤러에 축적한 차체 정보를 상기 외부 기억 매체에 다운로드하기 위한 다운로드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표시되는 상기 차체 기본 정보보다 사용 빈도가 낮은 정보는, 상기 다운로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기억 장치(제1 기억 장치)의 한정된 용량 중에서, 작업기에 탑재된 정보 컨트롤러로부터 차체 정보의 다운로드를 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여, 당해 차체 정보의 다운로드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5) 상기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기억 매체 장착부에 상기 외부 기억 매체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외부 기억 매체 장착부에 상기 외부 기억 매체가 장착된 것이 검출되면, 상기 외부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한 제2 화상 데이터를 소거 가능한 제2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는 외부 기억 매체 접속 검출 처리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기억 장치에 기억한 제2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차체 기본 정보보다 사용 빈도가 낮은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외부 기억 매체에 보존한 제2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차체 기본 정보보다 사용 빈도가 낮은 정보를 신속하게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기능 표시 장치가 갖는 기억 장치의 한정된 용량 중에서 표시 장치의 다기능화에 대응하여 각종 화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기억 장치(제1 기억 장치)의 한정된 용량 중에서, 버전 업, 다운로드 등의 각종 처리를 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여, 당해 처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억 매체에 보존한 제2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차체 기본 정보보다 사용 빈도가 낮은 정보를 신속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다기능 제어 장치를 구비한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 시스템은, 다기능 표시 장치(20)와, 차체 컨트롤러(51)와, 엔진 컨트롤러(52)와, 정보 컨트롤러(53)를 갖고, 이들은 차체 네트워크(50)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건설 기계의 대표예인 유압 셔블(작업기)에 적용한 경우의 것이고, 다기능 표시 장치(20), 차체 컨트롤러(51), 엔진 컨트롤러(52), 정보 컨트롤러(53)는 유압 셔블에 탑재되어 있다(후술). 차체 컨트롤러(51)는 유압 셔블의 유압 구동 장치(15)를 전자 제어하는 것이고, 엔진 컨트롤러(52)는 엔진(16)에 구비된 전자 조속기(governor)를 제어함으로써, 엔진(16)에 공급되는 연료의 분사량을 제어하여 엔진 회전수와 출력 토크를 제어하는 것이다. 유압 구동 장치(15)는 엔진(16)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유압 펌프와, 이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압유에 의해 구동되고, 프론트 작업기 등의 피구동체를 구동하는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와, 유압 펌프로부터 유압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 밸브와, 이 제어 밸브를 조작하여 대응하는 유압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조작 레버 장치 등의 유압 기기를 포함하고 있다. 차체 컨트롤러(51)는, 예를 들어 조작 레버 장치의 조작량을 검출하고, 그 조작량에 따른 유량을 토출하도록 유압 펌프의 틸팅각(용량)을 제어한다.
다기능 표시 장치(20)는, 엔진(16)에 공급하는 연료의 잔량을 검출하는 연료 잔량 센서(41), 엔진(16)의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는 냉각 수온 센서(42), 유압 구동 장치(15)의 작동유의 유온을 검출하는 작동 유온 센서(43)의 검출값을 입력하고, 그들 센서의 검출값이나, 차체 컨트롤러(51) 및 엔진 컨트롤러(52)로부터 차체 네트워크(50)를 통해 송신되는 그 밖의 차체 데이터를 차체 기본 정보로서 표시한다(후술). 정보 컨트롤러(53)는, 다기능 표시 장치(20), 차체 컨트롤러(51), 엔진 컨트롤러(52)로부터 차체 네트워크(50)를 통해 연료 잔량 센서(41), 냉각 수온 센서(42), 작동 유온 센서(43)의 검출값이나 그 밖의 차체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고, 그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수집(보존), 축적한다. 또한, 정보 컨트롤러(53)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예를 들어 1일에 1회), 그 축적한 가동 데이터를 예를 들어 관리 회사의 서버로 통신 장치(64)를 통해 무선으로 송신한다.
다기능 표시 장치(20)는, 상술한 유압 셔블의 차체 기본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과, 차체 기본 정보보다 사용 빈도가 낮은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하에 다기능 표시 장치(20)의 기능의 상세를 설명한다.
다기능 표시 장치(20)는, 입력 인터페이스(21)와, 외부 기억 매체 장착부(22)와, 외부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23)와, 통신부(24)와, 프로그램 기억부(제1 ROM)(25)와, 화상 기억부(제2 ROM)(26)와, RAM(27)과, CPU(28)와, 화상 제어부(31)와, 표시부(32)를 갖고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21)는, 연료 잔량 센서(41), 냉각 수온 센서(42) 및 작동 유온 센서(43)의 검출값을 검출 신호로서 각각 입력하는 동시에, 다기능 표시 장 치(20)가 구비하는 조작 키 스위치부(44)(후술)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입력한다.
외부 기억 매체 장착부(22)는 외부 기억 매체(45)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이고, 외부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23)는 외부 기억 매체 장착부(22)에 외부 기억 매체(45)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동시에, 외부 기억 매체(45)로부터의 데이터의 입력 및 외부 기억 매체(45)로의 데이터의 출력을 행한다. 외부 기억 매체(45)는 예를 들어 USB 메모리이다. 통신부(24)는 차체 네트워크(50)에 대한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한다.
프로그램 기억부(제1 ROM)(25)는, CPU(28)의 연산에서 사용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고, 화상 기억부(제2 ROM)(26)는, 차체 기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제1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RAM(27)은, 연산 도중의 데이터나 외부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23)를 통해 외부 기억 매체(45)로부터 판독한, 차체 기본 정보보다 사용 빈도가 낮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제2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CPU(28)는, 입력 인터페이스(21), 외부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23), 통신부(24), 화상 기억부(26), RAM(27)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하고, 프로그램 기억부(25)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기초로 하여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한다.
화상 제어부(31)는, CPU(28)의 연산 결과를 기초로 하여 표시 데이터를 표시부(32)에 출력하고, 표시부(32)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32)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패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다기능 표시 장치(20)를 구비한 제어 시스템이 탑재되는 유압 셔블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유압 셔블은, 주행체(1)와, 이 주행체(1) 상에 선회 장치(3)를 통해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선회체(2)와, 이 선회체(2)의 전방부 중앙에 부앙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프론트 작업기(6)를 구비하고, 프론트 작업기(6)는 붐(7), 아암(8), 버킷(9)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행체(1)는 좌우의 주행 모터(13a, 13b)에 의해 구동되고, 선회체(2)는 선회 장치(3)에 내장된 선회 모터(14)에 의해 구동되고, 붐(7), 아암(8), 버킷(9)은 붐 실린더(10), 아암 실린더(11), 버킷 실린더(12)에 의해 각각 구동된다. 주행 모터(13a, 13b), 선회 모터(14), 붐 실린더(10), 아암 실린더(11), 버킷 실린더(12)는 상술한 유압 구동 장치(15)의 복수의 액추에이터를 구성한다.
선회체(2) 상에는 캐빈(5)이 탑재되고, 캐빈(5) 내의 운전실에는 상술한 다기능 표시 장치(20)나 조작 레버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다기능 표시 장치(20)의 표시부(32)를 포함하는 표시 조작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다기능 표시 장치(20)의 표시 조작 부분은 표시부(32)와 조작 키 스위치부(44)를 갖고 있다. 표시부(32)는 액정 등의 표시 패널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도시한 예에서는 통상 화면(100)(후술)이 표시되어 있다. 조작 키 스위치부(44)는 표시부(32)의 하측에 배치되고, F1 내지 F7의 복수의 기능 키(44a 내지 44g)와, 메뉴 키(44h) 및 백 모니터 키(44i)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다기능 표시 장치(20)의 CPU(28)의 연산 처리 내용을 설명한다. CPU(28)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기억 매체 접속 검출 처리부(29)로서의 처리 기능과, 표시 제어 처리부(30)로서의 처리 기능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 처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기억부(25)에 기억되어 있고, 표시부(32)에 표시되는 화상의 데이터는 화상 기억부(26)와 외부 기억 매체(45)로 나누어 기억되어 있다. 프로그램 기억부(25)에 기억된 표시 제어 처리부(30)로서의 처리 기능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그들 화상 데이터[화상 기억부(26)와 외부 기억 매체(45)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소정의 처리(예를 들어 버전 업, 다운로드 등)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에, 그들 상세를 도 4 내지 도 2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CPU(28)의 외부 기억 매체 접속 검출 처리부(29)로서의 처리 기능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23)는 외부 기억 매체 장착부(22)에 외부 기억 매체(45)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있고, CPU(28)는 그 검출 결과를 입력하고, 외부 기억 매체 장착부(22)에 외부 기억 매체(45)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 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는, 그 처리를 반복한다. 판정 결과가 예가 되면, 모니터링 화상 데이터 보존 처리(스텝 S20), 고장 진단 화상 데이터 보존 처리(스텝 S30), 버전 업 화상 데이터 보존 처리(스텝 S40), 다운로드 화상 데이터 보존 처리(스텝 S50)를 실행한다.
도 5는 모니터링 화상 데이터 보존 처리(스텝 S20)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6은 고장 진단 화상 데이터 보존 처리(스텝 S30)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7은 버전 업 화상 데이터 보존 처리(스텝 S40)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 름도이며, 도 8은 다운로드 화상 데이터 보존 처리(스텝 S50)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모니터링 화상 데이터 보존 처리에 있어서, CPU(28)는, 외부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23)를 통해 외부 기억 매체(45)에 액세스하고, 외부 기억 매체(45)에 모니터링 처리의 화상 데이터가 보존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21),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에는, 모니터링 처리의 화상 데이터를 외부 기억 매체(45)로부터 판독하고, RAM(27)에 일시적으로 보존시킨다(스텝 S22). 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23).
도 6에 나타낸 고장 진단 화상 데이터 보존 처리에 있어서, CPU(28)는, 외부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23)를 통해 외부 기억 매체(45)에 액세스하고, 외부 기억 매체(45)에 고장 진단 처리의 화상 데이터가 보존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31),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에는, 고장 진단 처리의 화상 데이터를 외부 기억 매체(45)로부터 판독하고, RAM(27)에 일시적으로 보존시킨다(스텝 S32). 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33).
도 7에 나타낸 버전 업 화상 데이터 보존 처리에 있어서, CPU(28)는, 외부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23)를 통해 외부 기억 매체(45)에 액세스하고, 외부 기억 매체(45)에 버전 업한 프로그램(각 컨트롤러의 최신 버전의 제어 프로그램)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41),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에는, 차체 네트워크(50)를 통해 대상 컨트롤러의 제어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를 입력하고(스텝 S42), 이것을 외부 기억 매체(45) 내의 버전 업의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와 비교하여, 버전 업 처리 가 필요한 컨트롤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43),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에는, 버전 업 처리의 화상 데이터를 외부 기억 매체(45)로부터 판독하고, RAM(27)에 일시적으로 보존시킨다(스텝 S44). 스텝 S41 또는 스텝 S43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45).
도 8에 나타낸 다운로드 화상 데이터 보존 처리에 있어서, CPU(28)는, 외부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23)를 통해 외부 기억 매체(45)에 액세스하고, 외부 기억 매체(45)에 다운로드 처리에 필요한 빈 용량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51),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에는, 다운로드 처리의 화상 데이터를 외부 기억 매체(45)로부터 판독하고, RAM(27)에 일시적으로 보존시킨다(스텝 S52). 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53).
도 9는 CPU(28)의 표시 제어부 처리부(30)로서의 처리 기능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PU(28)는, 우선 화상 기억부(26)의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고, 초기 화면으로서 도 3에 도시한 통상 화면(100)을 표시부(32)에 표시한다(스텝 S61). 계속해서, 메뉴 키(44h)가 눌러졌는지 여부[온(ON)인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62), 판정 결과가 아니오이며, 메뉴 키(44h)가 눌러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 처리를 반복한다. 판정 결과가 예가 되면, 또한 RAM(27)에 외부 기억 매체(45)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보존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63), 판정 결과가 아니오이며 RAM(27)에 외부 기억 매체(45)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보존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화상 기억부(26)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고, 표시부(32)의 화면을 통상 화면(100)으로부터 도 10에 도시한 메뉴 화면 표시 1의 화면(110) 으로 절환하고(스텝 S64),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메뉴 화면 표시 2의 화면(120)으로 절환된다(스텝 S65).
도 10의 화면(110)에서는, 유지 보수 메뉴의 항목(111a)만이 표시되고, 그 항목(111a)에 망점 해칭으로 나타낸 커서(K)가 표시된다. 도 11의 메뉴 화면 표시 2의 화면(120)은,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모니터링 화상 데이터 보존 처리, 고장 진단 화상 데이터 보존 처리, 버전 업 화상 데이터 보존 처리, 다운로드 화상 데이터 보존 처리에 있어서의 판정이 모두 긍정된 경우[외부 기억 매체(45)에 모니터링 처리의 화상 데이터, 고장 진단 처리의 화상 데이터, 버전 업한 프로그램이 보존되어 있고, 또한 제어 시스템에 버전 업 처리가 필요한 컨트롤러가 있고, 외부 기억 매체(45)에 다운로드 처리에 필요한 빈 용량이 있는 경우]의 것이다. 이 화면(120)에서는, 화상 기억부(26)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유지 보수 메뉴의 항목(121a)이 표시되는 동시에, 외부 기억 매체(45)로부터 취득하여 RAM(27)에 보존한 모니터링 처리, 고장 진단 처리, 버전 업 처리, 다운로드 처리의 각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모니터링, 고장 진단, 버전 업, 다운로드의 항목(121b, 121c, 121d, 121e)이 추가 표시된다. 항목 121b는 모니터링이고, 항목 121c는 고장 진단이고, 항목 121d는 버전 업이고, 항목 121e는 다운로드이다. 메뉴 화면 표시 2의 화면(120)으로 절환된 직후의 초기 화면에서는, 유지 보수 메뉴의 항목(121a)에 망점 해칭으로 나타낸 커서(K)가 표시된다. 또한,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모니터링 화상 데이터 보존 처리, 고장 진단 화상 데이터 보존 처리, 버전 업 화상 데이터 보존 처리, 다운로드 화상 데이터 보존 처리에 있어서의 판정의 모두가 긍정되 지 않는 경우에는, 긍정된 판정에 관한 항목만이 화면(120)에 표시된다.
계속해서, CPU(28)는 메뉴 화면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70). 또한, 메뉴 키(44h)가 눌러졌는지 여부(온인지 여부)를 다시 판단하고(스텝 S66), 판정 결과가 아니오이며 메뉴 키(44h)가 눌러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70의 메뉴 화면 처리를 반복하고, 판정 결과가 예가 되면, 스텝 S61로 복귀하여, 표시부(32)의 화면을 통상 화면(100)으로 절환된다.
도 12는 스텝 S70에 있어서의 메뉴 화면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PU(28)는, 메뉴 항목으로서 유지 보수 메뉴의 항목[(111a)(도 10) 또는 (121a)(도 11)]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71). 유지 보수 메뉴의 항목(111a 또는 121a)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메뉴 화면(110, 120)에 있어서, 커서(K)가 유지 보수 메뉴의 항목(111a 또는 121a)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결정」의 기능 키(44f)가 눌러졌는지 여부에 의해 판단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에는 유지 보수 메뉴 처리로 이행하고(스텝 S80), 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는, 또한 메뉴 화면(110, 120)에 유지 보수 메뉴 항목(111a, 121a) 이외의 항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72). 이 판단은, 현재, 표시부(32)에 표시되어 있는 화면이, 메뉴 화면 표시 1의 화면(110)인지 메뉴 화면 표시 2의 화면(120)의 어느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이고, 이 판단은, RAM(27)에 모니터링 처리, 고장 진단 처리, 버전 업 처리, 다운로드 처리의 각 화상 데이터가 보존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행한다. 그리고, 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 는, 유지 보수 메뉴의 항목(111a)만을 갖는 메뉴 화면 표시 1의 화면(110)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이고, 이 경우에는, 스텝 S71의 처리를 반복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에는, 유지 보수 메뉴의 항목(121a) 이외의 항목(121b 내지 121e)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 표시 2의 화면(120)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이고, 이 경우에는 또한, 모니터링의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73).
여기서, 메뉴 화면 표시 2의 화면(120)에 있어서, 커서(K)는「하」의 기능 키(44e)를 누름으로써 하방으로 움직일 수 있고,「상」의 기능 키(44d)를 누름으로써 상방으로 움직일 수 있다. CPU(28)는, 커서(K)가 모니터링의 항목(121b)으로 움직여지고, 이 상태에서「결정」의 기능 키(44f)가 눌러지면, 모니터링의 항목이 선택되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스텝 S73의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에는 모니터링 처리로 이행하고(스텝 S90), 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는, 또한 고장 진단의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여부(스텝 S74), 버전 업의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여부(스텝 S75), 다운로드의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여부(스텝 S76)를 순차 판정하고, 그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에는, 고장 진단 처리(스텝 S100), 버전 업 처리(스텝 S110), 다운로드 처리(스텝 S120)로 이행한다. 또한, 이들 판정 처리에 있어서도, CPU(28)는, 커서(K)가 모니터링의 항목(121c, 121d, 121e)으로 움직여지고, 이 상태에서「결정」의 기능 키(44f)가 눌러지면, 각각의 항목이 선택되었다고 판단한다. 스텝 S76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71의 판단으로 복귀된다.
도 13은 스텝 S80의 유지 보수 메뉴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4는 스텝 S90의 모니터링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5는 스텝 S100의 고장 진단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6은 스텝 S110의 버전 업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7은 스텝 S120의 다운로드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에 나타낸 유지 보수 메뉴 처리에서는, CPU(28)는, 화상 기억부(26)의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고, 도 18에 도시한 유지 보수 항목 화면(130)을 표시부(32)에 표시한다(스텝 S81). 도 18의 유지 보수 항목 화면(130)에서는, 유지 보수 항목(131a 내지 131e)이 표시된다. 유지 보수 항목(131a)은 작동유이고, 유지 보수 항목(131b)은 엔진 오일이고, 유지 보수 항목(131c)은 연료 필터이고, 유지 보수 항목(131d)은 엔진 오일 필터이고, 유지 보수 항목(131e)은 작동유 필터이다. 계속해서, 유지 보수 항목(131a 내지 131e)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유지 보수 상세 화면(140)을 표시부(32)에 표시한다(스텝 S82). 도 19에 도시한 유지 보수 상세 화면(140)은 엔진 오일의 유지 보수 항목(131b)이 선택된 경우의 것이고, 선택된 항목(엔진 오일)의 유지 보수 정보의 상세가 표시된다. 유지 보수 항목(131a 내지 131e)의 선택은, 전술한 메뉴 화면 표시 2의 화면(1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능 키(44d 내지 44f)를 조작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도 14에 나타낸 모니터링 처리에서는, CPU(28)는, 외부 기억 매체(45)로부터 취득하여 RAM(27)에 보존한 모니터링 처리의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고, 도 20에 도시한 모니터링 화면(150)을 표시부(32)에 표시한다(스텝 S91). 도 20의 모니터링 화면(150)에서는, 모니터링 항목(151a 내지 151d)과 함께 모니터링의 상태가 표시된다. 모니터링 항목(151a)은 엔진 회전수이고, 모니터링 항목(151b)은 엔진 목표 회전수이고, 모니터링 항목(151c)은 연료 온도이고, 모니터링 항목(151d)은 냉각수 온도이다.
도 15에 나타낸 고장 진단 처리에서는, CPU(28)는, 외부 기억 매체(45)로부터 취득하여 RAM(27)에 보존한 고장 진단 처리의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고, 도 21에 도시한 고장 진단 항목 화면(160)을 표시부(32)에 표시한다(스텝 S101). 도 21의 고장 진단 항목 화면(160)에서는, 고장 진단 대상 컨트롤러 항목(161a 내지 161d)과, 고장의 유무(결과)를 표시한다. 고장 진단 대상 컨트롤러 항목(161a)은 차체 컨트롤러(51)이고, 고장 진단 대상 컨트롤러 항목(161b)은 정보 컨트롤러(53)이고, 고장 진단 대상 컨트롤러 항목(161c)은 엔진 컨트롤러(52)이고, 고장 진단 대상 컨트롤러 항목(161d)은 모니터 컨트롤러(다기능 표시 장치)(20)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엔진 컨트롤러(52)의 고장 진단 대상 컨트롤러 항목(161c)에「고장 있음」으로 표시되고, 엔진 컨트롤러(52)에 고장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계속해서 오퍼레이터는「고장 있음」으로 표시된 고장 진단 대상 컨트롤러 항목을 선택하고, 고장 진단을 개시한다(스텝 S102). 도 21에 도시한 예에서는,「결과」의 란에 망점 해칭으로 나타낸 커서(K)가 표시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결정」의 기능 키(44f)를 누르면, 외부 기억 매체(45)로부터 취득하여 RAM(27)에 보존한 고장 진단 처리의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고장 진단 결과 화면(170)을 표시부(32)에 표시한다(스텝 S103). 도 22에 도시한 고장 진단 결과 화 면(170)에서는 엔진 컨트롤러(52)의 회전 센서에 고장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고장 진단 자체는 각 컨트롤러에서 행해지고, 고장 진단의 결과 정보가 차체 네트워크(50)를 통해 다기능 제어 장치(20)에 송신되고, 다기능 제어 장치(20)의 CPU(28)는 그 정보를 RAM(27)에 보존하고 있다.
도 16에 나타낸 버전 업 처리에서는, CPU(28)는, 외부 기억 매체(45)로부터 취득하여 RAM(27)에 보존한 버전 업 처리의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고,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버전 업 항목 화면(180)을 표시부(32)에 표시한다(스텝 S111). 도 23의 버전 업 항목 화면(180)에서는, 각 컨트롤러의 버전 업 항목(181a 내지 181d)과, 버전 업의 필요의 유무를 표시한다. 버전 업 항목(181a)은 차체 컨트롤러(51)이고, 버전 업 항목(181b)은 정보 컨트롤러(53)이고, 버전 업 항목(181c)은 엔진 컨트롤러(52)이고, 버전 업 항목(181d)은 모니터 컨트롤러(다기능 표시 장치)(20)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정보 컨트롤러(53)의 버전 업 항목(181b)에「필요 있음」으로 표시되고, 정보 컨트롤러(53)의 제어 프로그램에 대해 버전 업의 필요가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계속해서 오퍼레이터는「필요 있음」으로 표시된 버전 업 항목을 선택하고, 버전 업을 개시한다. 도 23에 도시한 예에서는,「버전 업」의 란에는 망점 해칭으로 나타낸 커서(K)가 표시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결정」의 기능 키(44f)를 누르면, CPU(28)는, 외부 기억 매체(45)로부터, 대상 컨트롤러의 버전 업의 프로그램(최신 버전의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고(스텝 S112), 차체 네트워크(50)를 통해 대상 컨트롤러로 상기 프로그램을 송신한다(스텝 S113). 계속해서, 버전 업이 정상으로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114), 판정 결과가 예가 되면, 처리를 종료하고(스텝 S115), 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113 및 스텝 S114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대상 컨트롤러에 있어서 버전 업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CPU(28)는, 버전 업 중인 취지를 표시부(32)에 표시한다.
도 17에 나타낸 다운로드 처리에서는, CPU(28)는, 차체 네트워크(50)를 통해 정보 컨트롤러(53)로 다운로드 지시 신호를 발신하고, 가동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한다(스텝 S121). 그리고 차체 네트워크(50)를 통해 정보 컨트롤러(53)로부터 가동 데이터를 수신하고, 외부 기억 매체(45)에 송신한다(스텝 S122). 계속해서, 다운로드가 정상으로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123), 판정 결과가 예가 되면, 처리를 종료하고(스텝 S124), 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122 및 스텝 S123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다운로드가 행해지고 있는 동안, CPU(28)는, 외부 기억 매체(45)로부터 취득하여 RAM(27)에 보존한 다운로드 처리의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고, 다운로드 중인 취지를 표시부(32)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도 21의 고장 진단 항목 화면(160)에서는, 엔진 컨트롤러(52)의 고장 진단 대상 컨트롤러 항목(161c)에만「고장 있음」으로 표시하고, 도 23의 버전 업 항목 화면(180)에서는, 정보 컨트롤러(53)의 버전 업 항목(181b)에만「필요 있음」으로 표시하고, 또한 그들 항목에 커서(K)가 표시되고,「결정」의 기능 키(44f)를 눌러 당해 항목을 즉시 선택하는 것으로 했으나, 복수의 항목에「고장 있음」또는「필요 있음」으로 표시된 경우에는, 커서(K)를 원하는 항목으로 움직여, 기능 키(44f)를 누름으로써, 원하는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이상의 기재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화상 기억 부(26)에 기억한 제1 화상 데이터는, 도 3에 도시한 통상 화면(100), 도 10에 도시한 메뉴 화면 표시 1의 화면(110), 도 11에 도시한 메뉴 화면 표시 2의 화면(120)에 있어서의 유지 보수 메뉴의 항목(121a), 도 18에 도시한 유지 보수 항목 화면(130), 도 19에 도시한 유지 보수 상세 화면(140)을 표시하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해, 통상 화면(100) 및 도 19에 도시한 유지 보수 상세 화면(140)에 표시되는 정보가 차체 기본 정보이고, 외부 기억 매체(45)에 기억한 제2 화상 데이터는, 도 11에 도시한 메뉴 화면 표시 2의 화면(120)에 있어서의 모니터링, 고장 진단, 버전 업, 다운로드의 각 항목(121b, 121c, 121d, 121e), 도 20에 도시한 모니터링 화면(150), 도 21에 도시한 고장 진단 항목 화면(160), 도 22에 도시한 고장 진단 결과 화면(170), 도 23에 도시한 버전 업 항목 화면(180)에 표시되는 정보, 및 도시하지 않은 다운로드 처리 화면을 표시하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이들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가 차체 기본 정보보다 사용 빈도가 낮은 정보이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화상 기억부(제2 ROM)(26)는, 차체 기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1 기억 장치를 구성하고, CPU(28)의 표시 제어 처리부(30)로서의 처리 기능 중, 도 9에 나타낸 스텝 S61, 스텝 S64의 처리 기능과, 스텝 S70의 처리 기능 중 도 12에 나타낸 스텝 S71, 스텝 S80의 처리 기능은, 제1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작업기의 차체 기본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 제어 장치를 구성하고, 메뉴 키(44h)와, CPU(28)의 표시 제어 처리부(30)로서의 처리 기능 중, 도 9에 나타낸 스텝 S62, 스텝 S63, 스텝 S66의 처리 기능은, 표시 절환 수단을 구성하고, 외부 기억 매체 장착부(22)는, 외부 기억 매체(45)가 착탈 가능 하게 장착되는 외부 기억 매체 장착부를 구성하고, CPU(28)의 표시 제어 처리부(30)로서의 처리 기능 중, 도 9에 나타낸 스텝 S65의 처리 기능과, 스텝 S70(도 12에 나타낸 S71 내지 S76, 스텝 S80, 스텝 S90, 스텝 S100, 스텝 S110, 스텝 S120)의 처리 기능은, 외부 기억 매체 장착부(22)에 외부 기억 매체(45)가 장착되고, 표시 절환 수단이 조작되었을 때에, 적어도, 외부 기억 매체(45)로부터 판독한 제2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차체 기본 정보보다 사용 빈도가 낮은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 제어 장치를 구성한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스텝 S110(도 16에 나타낸 스텝 S111 내지 S115), 스텝 S120(도 17에 나타낸 스텝 S121 내지 S124)의 처리 기능(버전 업 처리 및 다운로드 처리의 각 처리 기능)은, 각각, 제2 표시 제어 장치가 갖는 처리 기능 중,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 기능에 해당하고, 도 11에 도시한 메뉴 화면 표시 2의 화면(120)에 있어서의 항목(121d) 및 항목(121e)과, 도 23에 도시한 버전 업 항목 화면(180)에 있어서의 버전 업 항목(181a 내지 181d)은 상기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또한, 외부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23)와, CPU(28)의 외부 기억 매체 접속 검출 처리부(29)로서의 처리 기능(도 4에 나타낸 스텝 S11 내지 S50의 처리 기능)은, 외부 기억 매체 장착부(22)에 외부 기억 매체(45)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외부 기억 매체 장착부(22)에 외부 기억 매체(45)가 장착된 것이 검출되면, 외부 기억 매체(45)로부터 판독한 제2 화상 데이터를 소거 가능한 제2 기억 장치인 RAM(27)에 기억시키는 외부 기억 매체 접속 검출 처리 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제2 표시 제어 장치는, RAM(27)에 기억한 제2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차체 기본 정보보다 사용 빈도가 낮은 정보를 표시한다.
(동작)
<통상시>
통상시에는, 외부 기억 매체(45)는 장착되어 있지 않고, 다기능 표시 장치(20)의 표시부(32)에는, 도 3에 도시한 통상 화면(100)이 표시되어 있다. 유압 셔블의 오퍼레이터는, 이 통상 화면(100)을 보는 것에 의해 연료 잔량, 냉각 수온, 작동 유온 등의 차체 기본 정보를 알 수 있다. 또한, 오퍼레이터는, 통상 화면(100)이 표시된 상태에서, 메뉴 스위치(44h)를 누르면, 표시부(32)의 화면은 도 10에 도시한 메뉴 화면 표시 1의 화면(110)으로 절환된다(스텝 S61 → S62 → S63 → S64). 이 메뉴 화면 표시 1의 화면(110)에는 유지 보수 메뉴 항목(111a)만이 표시되어 있고, 오퍼레이터는 기능 키(44f)를 눌러 유지 보수 메뉴 항목(111a)을 선택하면, 도 18에 도시한 유지 보수 항목 화면(130)으로 절환된다(스텝 S70 → S71 → S80 → S81). 또한 기능 키(44f)를 눌러 유지 보수 항목(131a 내지 131e)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해당하는 항목의 상세가 표시된다(스텝 S82).
<외부 기억 매체(45)의 장착시>
서비스원의 순회시에, 서비스원이 외부 기억 매체(45)를 다기능 표시 장치(20)의 외부 기억 매체 장착부(22)에 장착하면, 외부 기억 매체(45)에 보존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가 판독되고, RAM(27)에 보존된다(스텝 S11 → S20 → S21 → S22, 스텝 S11 → S30 → S31 → S32, 스텝 S11 → S40 → S41 → S42 → S43 → S44, 스텝 S11 → S50 → S51 → S52).
그 후, 서비스원은, 통상 화면(100)이 표시된 상태에서, 메뉴 스위치(44h)를 누르면, 표시부(32)의 화면은 도 11에 도시한 메뉴 화면 표시 2의 화면(120)으로 절환된다(스텝 S61 → S62 → S63 → S65). 이때 메뉴 화면 표시 2의 화면(120)에는 항목(121a 내지 121e)이 표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서비스원은, 기능 키(44d, 44e)를 조작하여 커서(K)를 움직여, 기능 키(44f)를 눌러, 원하는 항목을 선택한다(스텝 S70).
유지 보수 메뉴의 항목(121a)을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유지 보수 항목 화면(130)이 표시된다(스텝 S71 → S80 → S81).
모니터링의 항목(121b)을 선택한 경우에는, 도 20에 도시한 모니터링 화면(150)으로 절환되고(스텝 S71 → S72 → S73 → S90 → S91), 서비스원은 모니터링 화면(150)을 보면서, 엔진 회전수 등의 원하는 차체 정보를 수치로 알 수 있다.
고장 진단의 항목(121c)을 선택한 경우에는, 도 21에 도시한 고장 진단 항목 화면(160)으로 절환되고(스텝 S71 → S72 → S73 → S74 → S100 → S101), 또한 고장 진단 대상 컨트롤러 항목(161c) 등의「고장 있음」으로 표시된 컨트롤러를 선택하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고장 진단 결과 화면(170)으로 절환되고(스텝 S102 → S103), 서비스원은 고장 부위 등의 고장 진단 결과의 상세를 알 수 있다.
버전 업의 항목(121d)을 선택한 경우에는, 도 23에 도시한 버전 업 항목 화면(180)으로 절환되고(스텝 S71 → S72 → S73 → S74 → S75 → S110 → S111), 또한 버전 업 항목(181b) 등의「필요 있음」으로 표시된 버전 업 항목을 선택하면, 도시하지 않은 버전 업 중의 화면으로 절환되고, 정보 컨트롤러(53) 등의 대상 컨트롤러의 프로그램의 버전 업이 행해진다(스텝 S112 → S113 → S114 → S115).
다운로드의 항목(121e)을 선택한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다운로드 중의 화면으로 절환되고, 정보 컨트롤러(53)에 보존되어 있는 가동 데이터가 외부 기억 매체(45)에 다운로드된다(스텝 S71 → S72 → S73 → S74 → S75 → S120 → S121 → S122 → S123 → S124).
그 후, 서비스원은 외부 기억 매체(45)를 외부 기억 매체 장착부(22)로부터 제거하여 관리 사무소에 갖고 돌아가고, 사내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회사의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다운로드된 가동 데이터를 서버로 보존한다. 또한, 그 후, 최신의 버전 업의 프로그램의 작성이 완료되면, 그 최신 버전의 제어 프로그램을 외부 기억 매체(45)에 다운로드하고, 다음번의 버전 업 처리에 대비한다.
(효과)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하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다기능 표시 장치(20)의 화상 기억부(제2 ROM)(26)는 차체 기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CPU(28)의 표시 제어 처리부(30)로서의 처리 기능은, 화상 기억부(26)에 기억한 제1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유압 셔블(작업기)의 차체 기본 정보를 표시하는 동시에(제1 표시 제어 장치로서의 처리 기능), 차체 기본 정보보다 사용 빈도가 낮은, 고장 진단, 버전 업, 다운로드 등에 관한 정보에 대해서는, 외부 기억 매체(45)로부터 판독한 제2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당해 정보를 표시(제2 표시 제어 장치로서의 처리 기능)하므로, 다기능 표시 장치(20)가 갖는 화상 기억부(26)(제1 기억 장치)는 차체 기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만으로도 좋게 되어, 화상 기억부(26)의 한정된 용량 중에서 표시 장치의 다기능화에 대응하여 각종 화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2. CPU(28)의 표시 제어 처리부(30)로서 처리 기능은, 버전 업, 다운로드 등의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 기능을 갖고, 외부 기억 매체(45)로부터 판독한 제2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당해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므로, 화상 기억부(26)의 한정된 용량 중에서 버전 업, 다운로드 등의 각종 처리를 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여, 당해 처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3. CPU(28)의 외부 기억 매체 접속 검출 처리부(29)로서의 처리 기능은, 외부 기억 매체 장착부(22)에 외부 기억 매체(45)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외부 기억 매체 장착부(22)에 외부 기억 매체(45)가 장착된 것이 검출되면, 외부 기억 매체(45)로부터 판독한 제2 화상 데이터를 소거 가능한 RAM(27)에 기억시키고, CPU(28)의 표시 제어 처리부(30)로서의 처리 기능은, 그 RAM(27)에 기억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2 표시 제어 장치로서의 처리 기능을 실행하므로, 외부 기억 매체(45)로부터 판독한 제2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차체 기본 정보보다 사용 빈도가 낮은 정보를 신속하게 표시할 수 있다.
(그 밖의 변형)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CPU(28)는, 제2 화상 데이터를 외부 기억 매 체(45)로부터 판독하고, RAM(27)에 일시적으로 보존시키고(스텝 S22, 스텝 S32, 스텝 S44, 스텝 S52), RAM(27)에 보존되어 있는 제2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소정의 화상을 표시부(32)에 표시했으나(스텝 S65, 스텝 S91, 스텝 S101, 스텝 S103, 스텝 S111), 제2 화상 데이터를 RAM(27)에 보존시키는 것이 아니라, 외부 기억 매체(45)로부터 판독한 제2 화상 데이터를 직접 사용하여 표시부(32)에 표시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시 절환 수단으로서 메뉴 키(44h)와 도 9에 나타낸 스텝 S62, 스텝 S63의 처리 기능을 사용하고, 메뉴 키(44h)를 누름으로써 표시부(32)의 화면을 통상 화면(100)으로부터 메뉴 화면 표시 2의 화면(120)으로 절환했으나(스텝 S62), 외부 기억 매체 장착부(22)에 외부 기억 매체(45)가 장착된 것이 검출되면, 자동적으로 화면을 절환하도록 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다기능 제어 장치를 구비한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다기능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제어 시스템이 탑재되는 유압 셔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다기능 표시 장치의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조작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표시부에 통상 화면을 표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CPU의 외부 기억 매체 접속 검출 처리부로서의 처리 기능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모니터링 화상 데이터 보존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고장 진단 화상 데이터 보존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버전 업 화상 데이터 보존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다운로드 화상 데이터 보존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CPU의 표시 제어부 처리부로서의 처리 기능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표시부에 메뉴 화면 표시 1의 화면을 표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표시부에 메뉴 화면 표시 2의 화면을 표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메뉴 화면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은 유지 보수 메뉴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4는 모니터링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5는 고장 진단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6은 버전 업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7은 다운로드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8은 표시부에 유지 보수 항목 화면을 표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표시부에 유지 보수 상세 화면을 표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표시부에 모니터링 화면을 표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표시부에 고장 진단 항목 화면을 표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표시부에 고장 진단 결과 화면을 표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표시부에 버전 업 항목 화면을 표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행체
2 : 선회체
3 : 선회 장치
5 : 캐빈
6 : 프론트 작업기
7 : 붐
8 : 아암
9 : 버킷
10 : 붐 실린더
11 : 아암 실린더
12 : 버킷 실린더
13a, 13b : 주행 모터
14 : 선회 모터
15 : 유압 구동 장치
16 : 엔진
20 : 다기능 표시 장치
21 : 입력 인터페이스
22 : 외부 기억 매체 장착부
23 : 외부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
24 : 통신부
25 : 프로그램 기억부(제1 ROM)
26 : 화상 기억부(제2 ROM)
27 : RAM
28 : CPU
29 : 외부 기억 매체 접속 검출 처리부(외부 기억 매체 검출 처리 장치)
30 : 표시 제어 처리부(제1 및 제2 표시 제어 장치)
31 : 화상 제어부
32 : 표시부
41 : 연료 잔량 센서
42 : 냉각 수온 센서
43 : 작동 유온 센서
44 : 조작 키 스위치
50 : 차체 네트워크
51 : 차체 컨트롤러
52 : 엔진 컨트롤러
53 : 정보 컨트롤러
64 : 통신 장치
100 : 통상 화면
110 : 메뉴 화면(표시 1)
120 : 메뉴 화면(표시 2)
130 : 유지 보수 항목 화면
140 : 유지 보수 상세 화면
150 : 모니터링 화면
160 : 고장 진단 항목화면
170 : 고장 진단 결과 화면
180 : 버전 업 항목 화면

Claims (5)

  1. 작업기에 탑재되는 다기능 표시 장치에 있어서,
    작업기의 차체 기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1 기억 장치와,
    제1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작업기의 차체 기본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 제어 장치와,
    표시 절환 수단과,
    외부 기억 매체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외부 기억 매체 장착부와,
    상기 외부 기억 매체 장착부에 상기 외부 기억 매체가 장착되고, 상기 표시 절환 수단이 동작했을 때에, 적어도, 상기 외부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한 제2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차체 기본 정보보다 사용 빈도가 낮은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제어 장치는,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표시되는 상기 차체 기본 정보보다 사용 빈도가 낮은 정보는, 상기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외부 기억 매체에 기억한 버전 업용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상기 작업기에 탑재된 1개 이상의 컨트롤러를 버전 업하기 위한 버전 업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표시되는 상기 차체 기본 정보보다 사용 빈도가 낮은 정보는, 상기 버전 업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차체 기본 정보보다 사용 빈도가 낮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기능과, 상기 작업기에 탑재된 정보 컨트롤러로부터 이 정보 컨트롤러에 축적한 차체 정보를 상기 외부 기억 매체에 다운로드하기 위한 다운로드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표시되는 상기 차체 기본 정보보다 사용 빈도가 낮은 정보는, 상기 다운로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억 매체 장착부에 상기 외부 기억 매체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외부 기억 매체 장착부에 상기 외부 기억 매체가 장착된 것이 검출되면, 상기 외부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한 제2 화상 데이터를 소거 가능한 제2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는 외부 기억 매체 접속 검출 처리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기억 장치에 기억한 제2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차체 기본 정보보다 사용 빈도가 낮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표시 장치.
KR1020090026867A 2008-04-01 2009-03-30 다기능 표시 장치 KR101529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95438 2008-04-01
JP2008095438A JP5002515B2 (ja) 2008-04-01 2008-04-01 多機能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833A true KR20090105833A (ko) 2009-10-07
KR101529322B1 KR101529322B1 (ko) 2015-06-16

Family

ID=41155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867A KR101529322B1 (ko) 2008-04-01 2009-03-30 다기능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02515B2 (ko)
KR (1) KR101529322B1 (ko)
CN (1) CN1015507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1300B2 (ja) * 2010-03-19 2013-08-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5548880B2 (ja) * 2010-04-26 2014-07-16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5363430B2 (ja) * 2010-07-23 2013-12-11 日立建機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式建設機械
JP5341044B2 (ja) * 2010-09-29 2013-11-13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表示システム
KR101640609B1 (ko) * 2010-12-22 2016-07-1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
JP5624108B2 (ja) 2012-11-14 2014-11-1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掘削機械の表示システム及び掘削機械
JP7186270B1 (ja) 2021-08-31 2022-12-08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127A (ja) * 1992-06-30 1994-01-28 Komatsu Ltd 建設機械の制御システム
JP2002317472A (ja) * 2001-04-23 2002-10-31 Komatsu Ltd 作業車両のモニター装置
JP4763148B2 (ja) * 2001-05-08 2011-08-3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2004220474A (ja) * 2003-01-17 2004-08-05 Sony Corp 電子機器、システム復帰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3902168B2 (ja) * 2003-09-04 2007-04-0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診断情報表示システム
JP4310632B2 (ja) * 2003-11-07 2009-08-1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4264733B2 (ja) * 2004-03-08 2009-05-2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4079113B2 (ja) * 2004-04-19 2008-04-2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322B1 (ko) 2015-06-16
CN101550712B (zh) 2012-12-26
CN101550712A (zh) 2009-10-07
JP5002515B2 (ja) 2012-08-15
JP2009249828A (ja) 200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322B1 (ko) 다기능 표시 장치
JP6736492B2 (ja) ショベル
KR101684820B1 (ko) 건설 기계의 이상 정보 제어 장치
US11525244B2 (en) Display device for shovel
KR101698287B1 (ko) 작업 차량
JP5363407B2 (ja)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5586568B2 (ja) 建設機械の情報表示装置、建設機械の情報表示方法及び建設機械の情報表示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4380761B (zh) 挖土机的管理装置及管理方法
CN107542122B (zh) 挖土机的显示装置
DE102005037567A1 (de) Verfahren und System zum Versehen einer Arbeitsmaschine mit einer multifunktionalen Anwenderschnittstelle
JP2008202396A (ja) ビルディングマシン、特に道路ビルディングマシン
JP2018018307A (ja) 建設機械のソフトウェア遠隔更新システム
JP2013023982A (ja) 作業機及び作業機の設定変更システム
KR20110038713A (ko) 작업기의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언어 바꿔 쓰기 시스템
JPH11303151A (ja) 建設機械の表示制御装置
JP2022029703A (ja) 作業機械
JP2011241631A (ja)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5622227B2 (ja) 入力装置
JP2005059773A (ja) 作業車両の制御装置
JP6957384B2 (ja) 作業機及び作業機の表示制御方法
US20220205222A1 (en) Shovel
JP2002067736A (ja) 表示装置
WO2024075650A1 (ja) 作業機械
JP7051674B2 (ja) 表示制御装置、作業機、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WO2022034894A1 (ja) 表示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作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