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8713A - 작업기의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언어 바꿔 쓰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작업기의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언어 바꿔 쓰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8713A
KR20110038713A KR1020117004528A KR20117004528A KR20110038713A KR 20110038713 A KR20110038713 A KR 20110038713A KR 1020117004528 A KR1020117004528 A KR 1020117004528A KR 20117004528 A KR20117004528 A KR 20117004528A KR 20110038713 A KR20110038713 A KR 20110038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national
rewriting
national langu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스께 미우라
아쯔시 마쯔모또
스스무 우메모또
나오히로 사이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23874A external-priority patent/JP50611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23873A external-priority patent/JP506113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10038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7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7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4Multi-language systems; Localisation; Internationa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와 업자와의 사이에서 사용하는 국언어의 형태가 달라도, 작업기에 관한 정보를 간단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작업기(1)를 조작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하여 당해 작업기(1)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과, 사용자용과는 별도로 작업기(1)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은 정보에 대하여 복수의 국언어로 표시 가능해지도록, 당해 정보에 대응한 국언어를 복수 갖고,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은 정보에 대하여 복수의 국언어로 표시 가능해지도록, 당해 정보에 대응한 국언어를 복수 가지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 의한 국언어 표시와, 상기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 의한 국언어 표시가 각각 다른 국언어로 표시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Description

작업기의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언어 바꿔 쓰기 시스템 {DISPLAY DEVICE FOR WORKING MACHINE AND LANGUAGE REPLACEMENT SYSTEM IN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백호우 등의 작업기의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언어 바꿔 쓰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백호우(back hoe) 등의 작업기는, 일본 내를 막론하고 다양한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그로 인해, 작업기의 구동 상태 등, 다양한 작업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는 사용되는 나라의 언어(국언어)에 대응시킬 필요가 있다.
복수의 언어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작업기로서,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것이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표시부에 표시시켜야 할 정보에 대응한 표시 데이터를 기억하는 표시 데이터 기억부를 구비하고,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데이터의 일부를 제어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하고 있는 작업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일본특허출원공개제2007-244208호공보
특허 문헌 1의 작업기에서는, 제어 데이터 기억부에 표시 데이터의 일부를 기억시키고 있으므로, 표시할 수 있는 국언어(National Languages)를 늘릴 수 있어, 대부분의 국언어에 대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작업기는 다양한 나라에 걸쳐 이동하는 경우가 있으며, 작업기의 제조, 관리, 보수를 행하는 업자(딜러, 제조업체)와, 작업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각각의 다른 나라인 경우도 적지 않다. 예를 들어, 사용자 측에 있어서 표시부에 표시한 내용을 알기 쉬워도, 업자측에 있어서는 표시부에 표시한 내용을 알기 어렵다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와 업자와의 양자 간에서의 국언어에 있어서의 격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작업기는 다양한 나라에 걸쳐 이동하는 경우가 있으며, 작업기의 제조, 관리 및 보수 등을 행한 장소와, 작업기를 사용하는 장소가 각각 다른 나라인 경우도 적지 않다. 이러한 경우에는, 복수의 국언어에 대응한 표시 장치라도, 그 표시 장치가 전세계의 국언어에 대응하지 않으면, 작업기를 사용하는 장소에 대응한 국언어로 표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사용자와 업자와의 사이에서 사용하는 국언어의 형태가 달라도, 작업기에 관한 정보를 간단하게 표시할 수 있는 작업기의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기를 사용하는 장소 등에 대응해서 표시 장치에서 표시하는 국언어를 적절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국언어를 적절하게 바꿔 쓸 수 있는 작업기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언어 바꿔 쓰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작업기의 표시 장치는, 작업기를 조작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하여 당해 작업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과, 상기 사용자용과는 별도로 작업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은 상기 정보에 대하여 복수의 국언어로 표시 가능해지도록, 당해 정보에 대응한 국언어를 복수 갖고, 상기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은 상기 정보에 대하여 복수의 국언어로 표시 가능해지도록, 당해 정보에 대응한 국언어를 복수 가지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 의한 국언어 표시와, 상기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 의한 국언어 표시를, 각각 다른 국언어로 표시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 의한 국언어 표시와, 상기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 의한 국언어 표시를, 독립해서 절환하는 국언어 절환 수단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국언어 절환 수단은 상기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 대응하는 국언어의 절환 작업과, 상기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 대응하는 국언어의 절환 작업을 각각의 순서에 의해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보다 상기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 수가 많아지도록 언어 수가 설정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와 업자와의 사이에서, 사용하는 국언어의 형태가 달라도, 작업기에 관한 정보를 간단하게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업기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언어 바꿔 쓰기 시스템은, 작업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정보를 복수의 국언어로 표시 가능해지도록 복수의 국언어를 국언어군으로서 기입하는 언어 기입 장치와, 상기 국언어군이 기입된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기 국언어군 내의 국언어 중 적어도 1개를 다른 국언어로 바꿔 쓰는 바꿔 쓰기 지령을 출력하는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와, 이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의 바꿔 쓰기 지령을 기초로 하여 국언어군 내의 국언어를 다른 국언어로 바꿔 쓰는 언어 바꿔 쓰기 장치를 구비했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는 바꿔 쓰기 후보가 되는 국언어의 조합 패턴을 바꿔 쓰기 지령으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언어 바꿔 쓰기 장치는 상기 조합 패턴을 나타낸 바꿔 쓰기 지령을 기초로 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국언어를 다른 국언어로 바꿔 쓰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작업기를 조작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하여 당해 작업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과, 상기 사용자용과는 별도로 작업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은 상기 정보에 대응한 복수의 국언어를 국언어군으로서 갖고, 상기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은 상기 정보에 대응한 복수의 국언어를 국언어군으로서 가지고 있으며, 상기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는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군에 대한 바꿔 쓰기 지령과,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군에 대한 바꿔 쓰기 지령을 개별로 상기 언어 바꿔 쓰기 장치에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언어 바꿔 쓰기 장치는 상기 바꿔 쓰기 지령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군과,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군을 각각 바꿔 쓰기 가능하다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는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군과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군을 각각 바꿔 쓰는 제1 모드와,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군만을 바꿔 쓰는 제2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모드에 있어서,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군은 그대로이고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군의 국언어를 바꿔 쓰는 지령을 바꿔 쓰기 지령으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언어 바꿔 쓰기 장치는 상기 바꿔 쓰기 지령을 기초로 하여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군은 그대로이고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군의 국언어를 바꿔 쓰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 및 언어 바꿔 쓰기 장치는, 상기 언어 기입 장치와는 다른 나라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기를 사용하는 장소 등에 대응해서 표시 장치에서 표시하는 국언어를 적절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국언어를 적절하게 바꿔 쓸 수 있다.
도 1은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표시 장치의 정면 전체도이다.
도 3은 사용자용 정보를 표시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a)는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b)는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업자용 정보를 표시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a)는 사양을 변경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b)는 보수 등에 구동 상태를 확인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와, 업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를 정리한 도면이다.
도 6은 통상 화면 모드에 있어서의 화면의 절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특별 화면 모드에 있어서의 화면의 절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사용자 절환 모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업자 절환 모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사용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와, 업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를 절환한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표시 장치에 국언어를 기입하는 동시에, 표시 장치에 기입된 국언어를 바꿔 쓸 때까지의 흐름(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바꿔 쓰기 설정 수단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가 출력하는 바꿔 쓰기 지령의 변경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작업기의 전체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작업기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작업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기의 통신 시스템은, 본 실시 형태의 작업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기(백호우)(1)는 하부의 주행 장치(2)와, 상부의 선회체(3)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장치(2)로서, 크롤러식 주행 장치가 채용되어 있다. 크롤러식 주행 장치는 고무로 된 복대(覆帶)를 갖는 좌우 한 쌍의 주행체(4)를 구비하고, 양 주행체(4)가 주행 모터(M)로 구동된다. 또한, 상기 주행 장치(2)의 전방부에는 도저(5)가 설치되어 있다.
선회체(3)는 주행 장치(2) 위에 선회 베어링(11)을 지나 상하 방향의 선회축 주위로 좌우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선회대(12)와, 상기 선회대(12)의 전방부에 구비된 작업 장치(13)(굴삭 장치)를 가지고 있다. 선회대(12) 위에는 엔진, 라디에이터, 운전석(9), 연료 탱크 및 작동유 탱크 등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석(9)의 주위에는 작업기(1)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25)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석(9)은 선회대(12) 위에 설치된 캐빈(14)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작업 장치(13)는, 선회대(12)의 전방부에 좌우 방향의 중앙부보다 약간 오른쪽으로 오프셋하여 설치된 지지 브래킷(16)에 상하 방향의 축심 주위로 좌우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스윙 브래킷(17)과, 상기 스윙 브래킷(17)에 기부측을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부착되어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붐(18)과, 상기 붐(18)의 선단부측에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부착되어 전후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아암(19)과, 상기 아암(19)의 선단부측에 퍼올림과 버림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 버킷(20)을 구비하고 있다.
스윙 브래킷(17)은, 선회대(12) 내에 구비된 스윙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요동된다. 붐(18)은 상기 붐(18)과 스윙 브래킷(17)과의 사이에 개재 장착된 붐 실린더(22)의 신축에 의해 요동된다. 아암(19)은, 상기 아암(19)과 붐(18) 사이에 개재 장착된 아암 실린더(23)의 신축에 의해 요동된다. 버킷(20)은, 상기 버킷(20)과 아암(19) 사이에 개재 장착된 버킷 실린더(21)의 신축에 의해 퍼올림과 버림이 동작된다.
도 1 내지 도 10은, 작업기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다. 이하, 표시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25)는 작업기(1)의 각종 설정 등을 행하기 위한 입력부(26)와, 작업기(1)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7)와, CPU 등으로 구성된 제어부(28)와, 비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 기억부(29)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28)에는, 예를 들어 연료 센서로부터 출력된 연료(잔량), 수온 센서로부터 출력된 수온, 엔진 오일의 부족 유무를 검출하는 엔진 오일 압력 스위치, 입력부(26)로부터 출력된 각종 입력 신호 및 엔진 회전수 등이 입력된다. 또한, 제어부(28)에는, 그 밖의 센서로부터의 신호나 당해 표시 장치(25)에 접속한 그 밖의 제어 기기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27)는 문자나 도형 등을 가변해서 표시하는 가변 표시부(30)와, 점등 및 소등함으로써 작업기(1)의 상태를 나타내는 고정 표시부(31)를 구비하고 있다. 또 가변 표시부(30)는, 예를 들어 문자나 도형 등을 액정 표시하는 것이며, 이후 액정 표시부(30)라고 한다.
고정 표시부(31)는 작업기(1)의 구동 시에 있어서, 점등함으로써 주의나 경고를 촉구하는 경고 주의 램프(31a)와, 점등함으로써 엔진 오일의 부족을 나타내는 오일 램프(31b)와, 점등함으로써 배터리의 전력 부족을 나타내는 배터리 램프(31c)와, 점등함으로써 작업기(1)가 고속으로 주행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주행 램프(31d)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경고 주의 램프(31a), 오일 램프(31b), 배터리 램프(31c) 및 주행 램프(31d)는, 소등에 의해 각각에 대응한 상태가 일어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고정 표시부(31)는 점등 및 소등에 의해 작업기(1)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면, 경고 주의 램프(31a), 오일 램프(31b), 배터리 램프(31c), 주행 램프(31d) 이외의 것이라도 좋다.
액정 표시부(30)는 작업기(1)를 조작하고 있는 사용자(작업자 : 오퍼레이터)를 위한 당해 작업기(1)에 관한 정보(사용자용 정보)와, 사용자용 정보와는 다른 정보이며 딜러 또는 제조업체를 위한 정보(업자용 정보)를 표시한다.
사용자용 정보라 함은, 사용자가 작업기(1)를 조작하는 데 있어서 조작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용 정보라 함은 사용자가 작업기(1)를 조작하고 있을 때에 필요한 작업기(1)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것, 사용자가 작업기(1)를 조작하고 있을 때의 조작 방법에 관한 것 등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용 정보는 엔진을 구동하는 이그니션 스위치(키 스위치)를 단순히 온(ON)했을 때에 표시되는 통상 화면 모드(33)에 있어서, 연료 센서로부터 출력된 연료(잔량), 수온 센서로부터 출력된 수온, 엔진 회전수 등의 작업기(1)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덧붙여서, 사용자용 정보는 부속품 등을 조작하는 조작 부재와 부속품의 동작 방향을 화면에 대응해서 나타내는 것과 같은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액정 표시부(30)에 사용자용 정보를 표시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부(30)의 좌측에는 사용자에게 작업기(1)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연료의 잔량이 그래프에 의해 표시되고, 우측에는 사용자에게 작업기(1)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수온이 그래프에 의해 표시되고 있다. 액정 표시부(30)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는, 아암의 선단부에 부착된 부속품이 도형 및 문자에 의해 표시되고 있다. 이 액정 표시부(30)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표시한 도형 및 문자도, 어떠한 부속품이 장착되어 있는지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으로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사용자용 정보이다.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부(30)에는 사용자에게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조작 부재(레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형과 레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문자 또는 문자열이 표시된다. 이 문자열의 일례로서는, 예를 들어「레버 로크를 올려 주십시오」라고 하는 문자열을 들 수 있다.
업자용 정보라 함은, 딜러 또는 제조업체가 작업기(1)의 구동 상태를 확인하거나, 작업기(1)의 사양 등 다양한 설정을 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업자용 정보라 함은, 딜러나 제조업체가 작업기(1)를 보수할 때에 필요한 정보, 딜러나 제조업체가 작업기(1)의 사양을 변경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등이다.
구체적으로는, 업자용 정보라 함은, 상기 통상 화면 모드(33)와는 다른 특별한 조작에 의해 들어가는 특별 화면 모드(34)에 있어서, 연료, 수온, 엔진 회전수 등의 작업기(1)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덧붙여서, 업자용 정보라 함은, 작업기(1)의 다양한 기능인 유효/무효의 설정에 관한 것이나 작업기(1)의 제어 기기류의 각종 설정을 행하기 위해 필요한 표시이다.
도 4는, 액정 표시부(30)에 업자용 정보를 표시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딜러 또는 제조업체가 작업기(1)의 사양을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암 사양의 형태(표준, 롱)의 선택이 문자 및 커서 K1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부(30)에는 딜러 또는 제조업체에게 작업기(1)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엔진의 회전수 및 배터리의 전압이 수치에 의해 도시되어 있는 동시에, 오일 스위치, 챠지 스위치 및 스타터의 온/오프(ON/OFF) 상태가 도형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입력부(26)는 복수의 버튼 스위치 SW(SW1, SW2, SW3, SW4, SW5)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복수의 버튼 스위치 SW는 액정 표시부(30)에 인접해서 좌우로 병렬해서 마련되고, 각 버튼 스위치는 소정의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버튼 스위치 SW1은 작업기(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부속품의 동작이나 기능 등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버튼 스위치 SW2는 작업 모드를 현수의 작업 모드로 하기 위한 것이다. 버튼 스위치 SW3은 작업 장치(13)의 아암(17)의 요동 범위를 제한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버튼 스위치 SW4는 사용자에게 액정 표시부(30)에 의해 일정한 안내(정보)를 하기 위한 것이다. 버튼 스위치 SW5는 액정 표시부(30)의 표시를 절환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복수의 버튼 스위치 SW는, 액정 표시부(30)의 하부측에 표시된 각 화살표 Y 등에 대응하여, 화살표 Y 등을 선택하는 스위치로서도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버튼 스위치는 상술한 기능을 갖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기능을 갖는 것이라도 좋다.
기억부(29)에는 사용자용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다양한 요소(문자, 문자열, 숫자, 도형)나 업자용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다양한 요소(문자, 문자열, 숫자, 도형)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29)에는 액정 표시부(30)에 사용자용 정보와 업자용 정보를 각 처리에 대응해서 표시시키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이 기억부(29)에는 1개의 사용자용 정보에 대하여, 복수의 국언어로 표시 가능해지도록, 1개의 정보에 대응해서 복수의 국언어(국언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엔진 회전수」라고 하는 1개의 사용자용 정보(문자)에 대하여, 이 정보(문자)를 다양한 말로 전달하기 위해, 기억부(29)에는「엔진 회전수」에 대응하는 영어(영어 데이터), 독일어(독일어 데이터), 불어(불어 데이터), 이탈리아어(이탈리아어 데이터) 등의 복수의 국언어(국언어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29)에는 1개의 업자용 정보에 대하여, 복수의 국언어로 표시 가능해지도록, 1개의 정보에 대응하여 복수의 국언어(국언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아암 사양」이라고 하는 1개의 업자용 정보(문자)에 대하여, 이 정보(문자)를 다양한 말로 전달하기 위해, 기억부(29)에는「아암 사양」에 대응하는 영어(영어 데이터), 독일어(독일어 데이터), 불어(불어 데이터) 등의 복수의 국언어(국언어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와, 업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를 정리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도 5에 도시한 「○」는 국언어가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도 5에 도시한 「×」는 국언어가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용 정보를 나타내는 각 문자 또는 각 문자열(항목이라고 함)에 대응하여, 예를 들어 각각의 항목마다 영어, 독일어, 불어, 이탈리아어라고 하는 국언어가 할당되고, 할당된 국언어에 의해 각 항목이 표시 가능해지도록, 기억부(29)에 항목마다의 국언어가 저장되어 있다.
업자용 정보를 나타내는 각 문자 또는 각 문자열(항목이라고 함)에 대응하여, 각각의 항목마다 영어, 독일어, 불어라고 하는 국언어가 할당되고, 할당된 국언어에 의해 각 항목이 표시 가능해지도록, 기억부(29)에 항목마다의 국언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도 5의「설정 완료」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항목과, 업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항목이 동일(동일한 의미)해도 좋지만,「설정 완료」는, 예를 들어 표시하는 화면(사용자용 정보에서는 통상 모드로 표시, 업자용 정보에서는 특별 모드로 표시)이 다르다. 이와 같이, 사용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항목과, 업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항목이 동일해도, 제어 프로그램(기억부에 의한 데이터) 상에서는, 동일한 항목(문자)은 문자로서의 인식 또는 처리는 다른 것이 된다.
일반적으로, 작업기(1)에 있어서는 업자용 정보의 항목 수(문자 또는 문자열의 합계 수)가 사용자용 정보의 항목 수(문자 또는 문자열의 합계 수)에 비해 많고, 업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항목 수는 사용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항목 수보다도 많아진다.
그로 인해, 업자용 정보를 복수의 국언어로 표시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국언어 데이터량은, 국언어 수가 사용자용 정보와 동일해도 당해 사용자용 정보를 표시시키기 위해 필요한 국언어 데이터량보다도 많다. 즉, 기억부(29)에 있어서, 업자용 정보를 국언어로 표시시키기 위해 소비되는 국언어 데이터량은, 사용자용 정보를 국언어로 표시시키기 위해 소비되는 국언어 데이터량에 비해 많고, 국언어 데이터량의 비율은, 예를 들어 7 : 3(업자용 정보에서의 국언어 데이터량 : 사용자용 정보에서의 국언어 데이터량)이다.
표시 장치(25)에 따르면, 표시부(27)에 표시하는 정보에 대해, 사용자용 정보와 업자용 정보로 나눈 다음, 사용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국언어 데이터)와 업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국언어 데이터)로 나누고 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업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국언어 데이터)의 수를 사용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국언어 데이터)보다도 적은 수로 하는 등의 차를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억부(29)에 있어서, 업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국언어 데이터)의 수를 사용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국언어 데이터)보다도 적게 함으로써, 업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국언어 데이터)에 의해 소비되는 데이터량이 적어져, 대폭으로 기억부(29)의 빈 용량(기억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업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국언어 데이터)를 적게 함으로써 얻게 된 기억 용량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사용자용 정보에 대응한 국언어 데이터를 증가시킬 수 있다. 통상, 사용자용 정보가 필요한 사용자의 수가, 업자용 정보를 필요로 하는 딜러나 제조업체의 수보다도 많으므로, 사용자의 요망에 쉽게 대응할 수 있다.
제어부(28)는 입력부(26), 표시부(27) 및 기억부(29) 등을 제어하는 것이며, 기억부(29)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용 정보나 업자용 정보를 액정 표시부(30)의 표시에 맞춰 적절하게 표시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28)는 엔진을 구동하는 키 스위치를 온 해서 작업기(1)의 구동을 개시하면, 액정 표시부(30)에서 표시시키는 제어 모드를 통상 화면 모드(33)로 한다. 통상 화면 모드(33)에서는 버튼 스위치(SW)의 조작이 없으면, 연료, 수온, 시간 등을 나타낸 통상 화면이 된다.
액정 표시부(30)가 통상 화면으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복수의 버튼 스위치 SW(SW1, SW2, SW3, SW4, SW5)를 온으로 함으로써, 제어부(28)는 통상 화면을 다른 화면으로 절환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8)는 버튼 스위치 SW1의 온에 의해 액정 표시부(30)를 사용자 설정 화면으로 절환하고, 버튼 스위치 SW2의 온에 의해 액정 표시부(30)를 크레인 모드 화면으로 절환하고, 버튼 스위치 SW3의 온에 의해 액정 표시부(30)를 아암 제한 화면이나 부속품 절환 화면으로 절환한다. 제어부(28)는, 각 버튼 스위치(SW)의 오프에 의해 통상 화면으로 복귀시킨다.
이와 같은 통상 화면 모드(33)에 있어서의 통상 화면, 사용자 설정 화면, 크레인 모드 화면, 아암 제한 화면이나 부속품 절환 화면에서는, 제어부(28)는 사용자가 작업기(1)를 조작하는 데 있어서 조작을 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 설정 화면은, 예를 들어 작업기(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액정 표시부(30)에 표시하는 시각의 설정이나 후술하는 바와 같은 언어의 설정 등을 행하는 화면이며, 크레인 모드 화면은 작업 모드를 현수의 작업 모드 등으로 하기 위한 화면이다. 또한, 아암 제한 화면은, 예를 들어 작업기(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아암의 각도를 제한하는 등의 설정을 행하거나, 아암의 상황(각도 등)을 나타내는 화면이며, 부속품 절환 화면은 작업기(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아암(19)의 선단부에 부착한 부속품의 동작이나 기능 등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다.
즉, 통상 화면, 사용자 설정 화면, 크레인 모드 화면, 아암 제한 화면이나 부속품 절환 화면에서는 제어부(28), 기억부(29), 액정 표시부(30) 등의 처리에 의해, 작업기(1)를 조작하는 사용자가 작업기(1)의 조작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 즉 사용자용 정보를 표시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 스위치 SW를 누르면서 키 스위치를 오프에서 온으로 하거나, 버튼 스위치 SW를 누르면서 키 스위치를 온에서 오프로 하는, 즉 통상 화면 모드(33)와는 다른 특별한 조작이 행해지면, 제어부(28)는 액정 표시부(30)에서 표시시키는 제어 모드를 특별 화면 모드(34)로 한다. 특별 화면 모드(34)에서는 작업기(1)의 사양(기능)을 설정하는 화면이나 작업기(1)의 보수를 행하기 위한 각종 정보가 표시된다. 즉, 제어부(28)는 특별 화면 모드(34)에서, 딜러 또는 제조업체가 작업기(1)의 구동 상태를 확인하거나, 작업기(1)의 사양 등 다양한 설정을 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즉, 특별 화면 모드(34)에 있어서의 각 화면에서는 제어부(28), 기억부(29), 액정 표시부(30) 등의 처리에 의해 업자용 정보를 표시한다.
또, 특별 모드에 의한 화면의 절환이나 특별 모드에서의 화면 표시는, 복수의 버튼 스위치 SW(SW1, SW2, SW3, SW4, SW5)에 있어서의 온/오프의 조합과, 키 스위치의 온/오프의 조합에 의해,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제어부(28), 액정 표시부(30), 기억부(29)에 의해, 작업기(1)를 조작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하여 당해 작업기(1)에 관한 정보(사용자용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은, 동일한 정보에 대하여 복수의 국언어로 표시 가능해지도록 당해 정보에 대응한 국언어를 복수 가진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제어부(28), 액정 표시부(30), 기억부(29)]에 의해 통상 화면 모드(33)에서 사용자가 작업기(1)를 조작하는데 필요한 사용자용 정보를 적절하게 표시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28), 액정 표시부(30), 기억부(29)에 의해, 사용자용과는 별도로 작업기(1)에 관한 정보(업자용 정보)를 표시하는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은 동일한 정보에 대하여 복수의 국언어로 표시 가능해지도록, 당해 정보에 대응한 국언어를 복수 가진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제어부(28), 액정 표시부(30), 기억부(29)]에 의해 특별 화면 모드(34)에서 딜러 또는 제조업체가 작업기(1)를 조작하는데 필요한 업자용 정보를 적절하게 표시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표시 장치(25)는,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되는 정보의 국언어 표시와,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되는 국언어 표시를, 독립해서 절환하는 국언어 절환 수단(35)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국언어 절환 수단(35)은, 기억부(29)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내장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국언어 절환 수단(35)은 액정 표시부(30) 및 기억부(29)를 제어하는 제어부(2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하, 국언어 절환 수단(35)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25)에 있어서는 사용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와, 업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는 항목마다 복수의 국언어가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국언어 절환 수단(35)은, 사용자용 정보를 나타내는 문자나 문자열에 대하여, 그 정보를 어떤 언어로 표시시킬지를 설정하는 사용자용 절환 모드(36)와, 업자용 정보를 나타내는 문자나 문자열에 대하여, 그 정보를 어떤 언어로 표시시킬지를 설정하는 업자용 절환 모드(37)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국언어 절환 수단(35)은, 사용자용 절환 모드(36)에서 설정된 국언어로 사용자용 정보를 표시시키는 동시에, 업자용 절환 모드(37)에서 설정된 국언어로 업자용 정보의 표시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8은, 사용자용 절환 모드(36)의 설명도이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28)에 의한 액정 표시부(30)의 제어 모드가 통상 화면 모드(33)에서 통상 화면의 상태일 경우에, 버튼 스위치 SW1을 눌러 사용자 설정 화면으로 이행하고, 다시 사용자 설정 화면에 표시된 「언어 선택」을 커서 K2에 의해 결정한 후, 사용자용 절환 모드(36)가 된다.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28)[국언어 절환 수단(35)]는 사용자용 절환 모드(36)로 들어가면, 액정 표시부(30)의 표시가 언어 설정 화면이 되고, 기억부(29)에 저장되어 있는 국언어 데이터(국언어)의 일람표를 표시시킨다. 그리고 사용자용 절환 모드(36)에서는, 제어부(28)[국언어 절환 수단(35)]는 액정 표시부(30)에 표시한 국언어의 일람표 중에서 1개의 국언어를 나타내는 문자에 겹치는 커서 K3 등을 표시시키는 동시에, 그 커서 K3이 버튼 스위치 SW2를 누름으로써 다른 언어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액정 표시부(3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28)[국언어 절환 수단(35)]는 액정 표시부(30)에 표시한 국언어의 일람표 중에서 커서 K3에 의해 1개의 국언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액정 표시부(30)를 제어하고 있다.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용 절환 모드(36)에서는, 제어부(28)[국언어 절환 수단(35)]는 커서 K3이 소정의 위치에 있을 때에, 버튼 스위치 SW5가 눌리면, 커서 K3과 겹쳐 있는 국언어가 설정(결정)된 것이라고 인식한다.
사용자용 절환 모드(36)에서 복수의 국언어 중에서 1개의 국언어가 설정되면, 제어부(28)[국언어 절환 수단(35)]는 통상 화면 모드(33)일 때는 사용자용 절환 모드(36)에서 설정된 국언어 데이터를 기억부(29)로부터 판독하도록 동작시키고, 이후, 통상 화면, 사용자 설정 화면, 크레인 모드 화면, 아암 제한 화면, 부속품 절환 화면에서 표시하는 사용자용 정보는, 사용자용 절환 모드(36)에서 결정된 국언어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용 절환 모드(36)에서 「불어」가 선택되면, 통상 화면, 사용자 설정 화면, 크레인 모드 화면, 아암 제한 화면, 부속품 절환 화면의 문자나 문자열은 불어로 표시된다.
도 9는, 업자용 절환 모드(37)의 설명도이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 스위치 SW5를 누르면서 키 스위치를 오프에서 온으로 하면, 제어부(28)에 의한 액정 표시부(30)의 제어 모드가 특별 화면 모드(34) 중 업자용 절환 모드(37)가 되고, 액정 표시 화면이 언어 설정 화면이 된다.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28)[국언어 절환 수단(35)]는 업자용 절환 모드(37)로 들어가면, 액정 표시부(30)에, 기억부(29)에 저장되어 있는 국언어 데이터(국언어)의 일람표를 표시시킨다. 그리고 이 업자용 절환 모드(37)에서는, 제어부(28)[국언어 절환 수단(35)]는 액정 표시부(30)에 표시한 국언어의 일람표 중에서 1개의 국언어를 나타내는 문자에 겹치는 커서 K4 등을 표시시키는 동시에, 그 커서 K4가 버튼 스위치 SW2를 누름으로써 다른 언어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액정 표시부(3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28)[국언어 절환 수단(35)]는, 액정 표시부(30)에 표시한 국언어의 일람표 중에서 커서 K4에 의해 1개의 국언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액정 표시부(30)를 제어하고 있다.
업자용 절환 모드(37)에서는, 제어부(28)[국언어 절환 수단(35)]는 커서 K4가 소정의 위치에 있을 때에, 버튼 스위치 SW5가 눌리면, 커서 K4와 겹치고 있는 국언어가 설정(결정)된 것이라고 인식한다. 업자용 절환 모드(37)에서 복수의 국언어 중에서 1개의 국언어가 설정되면, 제어부(28)[국언어 절환 수단(35)]는 특별 화면 모드(34)일 때는 업자용 절환 모드(37)에서 설정된 국언어 데이터를 기억부(29)로부터 판독하도록 동작시키고, 이후, 특별 모드에서 표시하는 업자용 정보는 업자용 절환 모드(37)에서 결정된 국언어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업자용 절환 모드(37)에서, 「불어」가 선택되면, 특별 화면 모드에서의 화면에 있어서의 문자나 문자열은 불어가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서의 국언어의 절환과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서의 국언어의 절환은, 각각의 작업(순서)에 의해 개별로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용 정보에 대응한 국언어와 업자용 정보에 대응한 국언어는 연동하고 있지 않아 독립하여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한 패턴 1 내지 패턴 5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용 정보를 액정 표시부(30)에 표시시킬 때의 국언어와, 업자용 정보를 액정 표시부(30)에 표시시킬 때의 국언어를 각각의 국언어로 해서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25)에는 복수의 국언어 데이터가 저장되어, 국언어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작업기(1)에 관한 정보를, 각각의 국언어로 하여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25)에 저장된 복수의 국언어 데이터는, 표시 장치(25)를 제조하는 과정(예를 들어, 공장)에 의해 기입된다. 그리고 복수의 국언어 데이터가 기입된 표시 장치(25)는, 단일 부재 또는 작업기(1)에 내장되어 공장 등으로부터 출하되게 된다. 작업기(1)는, 세계의 다양한 나라(지역)에 의해 사용되고 있으므로, 한번 공장 등에서 국언어 데이터가 기입된 표시 장치(25)의 국언어 데이터는, 바꿔 쓸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도 11은, 표시 장치(25)에 국언어를 기입하는 동시에, 표시 장치(25)에 기입된 국언어를 바꿔 쓸 때까지의 흐름(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표시 장치(25)에 있어서의 언어 바꿔 쓰기 시스템이 포함된 시스템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은 언어 기입 장치(40)와,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와,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를 구비하고 있다.
언어 기입 장치(40)(라이터)는, 표시 장치(25)의 기억부(29)에, 복수의 국언어 데이터를 기입하는 장치이다. 이 언어 기입 장치(40)는 컴퓨터 등에 의해 구성되어 케이블 또는 네트워크 등을 통해서 표시 장치(25)에 접속함으로써, 소정의 국언어 데이터를 표시 장치(25)의 기억부(29)에 기입하는 것이다. 당연히, 언어 기입 장치(40)는 복수의 언어 데이터(예를 들어, 35개국어의 국언어 데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언어 기입 장치(40)는 표시 장치(25)를 제조하는 공장 내(예를 들어, 일본의 공장 내)에 배치되어, 출하처(발송지)에 따라서, 소정 수의 국언어(국언어 데이터)를 메인 언어군(국언어군)으로서 기입한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25)의 출하처(발송처)가 유럽이면, 영어의 국언어 데이터와, 불어의 국언어 데이터와, 독일어의 국언어 데이터의 3개의 국언어 데이터를 메인 언어군으로서 기입한다. 이와 같이 표시 장치(25)의 출하처가 동일하면, 표시 장치(25)에 기입된 국언어 데이터는 동일하다.
또한, 언어 기입 장치(40)는 출하처에 따라서 복수의 국언어 데이터를 메인 언어군으로서 기입하지만, 사용자용 정보를 나타내는 각 문자 또는 각 문자열에 대응한 메인 언어군 중의 언어 수 및 언어의 종류와, 업자용 정보를 나타내는 각 문자 또는 각 문자열에 대응한 메인 언어군 중의 언어 수 및 언어의 종류는 동일하게 해도 좋다.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는, 미리 언어 기입 장치(40)에 의해 국언어(국언어 데이터)가 메인 언어군으로서 기입된 표시 장치(25)에 대하여, 메인 언어군 중 적어도 1개를 다른 언어로 바꿔 쓰는 지령 S를 출력하는 것이다.
언어 기입 장치(40)는 표시 장치(25)를 제조하는 일본 등의 공장 내에 배치되어 있지만,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는 언어 기입 장치(40)와는 멀리 떨어진 다른 나라(예를 들어, 출하처의 공장이나 출하처의 서비스센터 등)에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는 표시 장치(25)가 제조원(공장)으로부터 출하되는 출하처(발송지)에 배치되어 있어, 언어 기입 장치(40)와는 떨어진 지역에 있다.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는 컴퓨터 등에 의해 구성되고, 표시 장치(25)에 저장된 메인 언어군의 국언어를 설정하는 바꿔 쓰기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바꿔 쓰기 설정 수단은, 컴퓨터에 내장된 CPU 등의 제어부(45), 문자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46)(모니터), 문자, 수치 등을 입력하는 입력부(47)(키보드, 마우스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바꿔 쓰기 설정 수단에 의해, 표시 장치(25)에 저장된 메인 언어군의 바꿔 쓰기를 결정할 수 있다.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바꿔 쓰기 설정 수단)는, 사용자용 정보를 나타내는 각 문자 또는 각 문자열에 대응한 복수의 국언어(메인 언어군)의 바꿔 쓰기를 행하는 것이다. 또한, 바꿔 쓰기 설정 수단은 업자용 정보를 나타내는 각 문자 또는 각 문자열에 대응한 복수의 국언어(메인 언어군)의 바꿔 쓰기를 행하는 것이다. 즉,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는 사용자용 정보에 대응한 국언어군에 대한 바꿔 쓰기 지령과, 업자용 정보에 대응한 국언어군에 대한 바꿔 쓰기 지령을 개별로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에 출력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는 바꿔 쓰기 설정 수단은, 기동하면 제어부(45) 등의 제어에 의해 표시부(46)에, 사용자용 정보에 따른 바꿔 쓰기 후보의 국언어의 일람표(사용자 일람표)를 표시하는 동시에, 업자용 정보에 따른 바꿔 쓰기 후보의 국언어의 일람표(업자 일람표)를 표시한다. 또한, 바꿔 쓰기 설정 수단은 사용자 일람표로부터 임의의 국언어를 입력부(47)에 의해 설정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업자 일람표로부터 임의의 국언어를 입력부(47)에 의해 설정 가능하게 한다.
덧붙여서, 바꿔 쓰기 설정 수단은 사용자 일람표에서 사용자용 정보에 따른 국언어가 입력부(47)에 의해 선택되면, 사용자용 정보에 관해서 선택된 국언어에 있어서의 국언어 데이터를 바꿔 쓰는 바꿔 쓰기 지령 S를 외부로 출력하는 동시에, 업자 일람표에서 업자용 정보에 따른 국언어가 입력부(47)에 의해 선택되면, 업자용 정보에 관해서 선택된 국언어에 있어서의 국언어 데이터를 바꿔 쓰는 바꿔 쓰기 지령 S를 외부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46)의 좌측에 도시한 「●」가, 국언어의 선택(결정)을 나타낸 것으로 하면, 사용자용 정보에 따른 국언어는 「영어」, 「불어」, 「이탈리아어」가 되고, 바꿔 쓰기 설정 수단은 사용자용 정보에 관해서, 이들 3개의 국언어 데이터를 바꿔 쓰는 지령 S를 외부로 출력한다. 한편, 업자용 정보에 따른 국언어는 「일본어」, 「영어」, 「불어」가 되고, 바꿔 쓰기 설정 수단은 업자용 정보에 관해서, 이들 3개의 국언어 데이터를 바꿔 쓰는 지령 S를 외부로 출력한다.
즉,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바꿔 쓰기 설정 수단)는, 사용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메인 언어군에 대하여 바꿔 쓰기를 행하는 바꿔 쓰는 지령 S와, 업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메인 언어군에 대하여 바꿔 쓰기를 행하는 바꿔 쓰는 지령 S를 개별로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후,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용 정보에 관하여, 바꿔 쓰기 지령 S에 의해 지정된 국언어는 영어, 불어, 이탈리아어의 3개의 국언어로 하고, 바꿔 쓰기 전의 표시 장치(25)의 기억부(29)에 저장되어 있는 메인 언어군은 영어, 독일어, 불어로 하여 설명을 진행시킨다.
또한, 업자용 정보에 관하여, 바꿔 쓰기 지령 S에 의해 지정된 국언어는 일본어, 영어, 불어의 3개의 국언어로 하고, 바꿔 쓰기 전의 표시 장치(25)의 기억부(29)에 저장되어 있는 메인 언어군은 영어, 독일어, 불어로 하여 설명을 진행시킨다.
또한, 기입 설정 수단에는 업자용 정보에 대응한 복수의 국언어(메인 언어군)의 바꿔 쓰기의 설정을 유효 또는 무효로 하는 설정 모드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설정 모드에서는 표시부(46)에 표시된 바꿔 쓰기 유효 표시 또는 바꿔 쓰기 무효 표시를 입력부(47)에 의해 선택함으로써, 업자용 정보에 대응한 메인 언어군의 바꿔 쓰기의 설정을 유효(제1 모드) 또는 무효(제1 모드)로 할 수 있다. 업자용 정보에 대응한 메인 언어군의 바꿔 쓰기의 설정이 유효일 때는, 즉 제1 모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46)에 업자 일람표가 표시된다. 업자용 정보에 대응한 메인 언어군의 바꿔 쓰기의 설정이 무효일 때는, 즉 제2 모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46)에 업자 일람표가 표시되지 않는다.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는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의 바꿔 쓰기 지령 S를 기초로 하여 메인 언어군 내의 국언어(국언어 데이터)를 다른 국언어(국언어 데이터)로 바꿔 쓰는 것이다. 이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는,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와 마찬가지로 언어 기입 장치(40)와는 멀리 떨어진 다른 나라(예를 들어, 유럽의 공장이나 유럽의 서비스센터 등)에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는 표시 장치(25)가 제조원(공장)으로부터 출하되는 출하처(발송지)에 배치되어 있어, 언어 기입 장치(40)와는 떨어진 지역에 있다.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는,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와 동일한 공장이나 지역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는 컴퓨터 등에 의해 구성되어, 네트워크를 통해서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에 접속 가능해지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바꿔 쓰기 지령 S 등의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는 케이블 또는 네트워크 등을 통해서 표시 장치(25)에 접속함으로써, 바꿔 쓰기 지령 S를 기초로 하여 지정된 국언어 데이터를 표시 장치(25)에 기입하는 동작을 한다.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는 사용자용 정보에 관한 것으로, 이미 표시 장치(25)에 저장되어 있는 메인국 언어군(영어, 독일어, 불어) 중에서, 바꿔 쓰기 지령 S에 의해 지정된 국언어(영어, 불어, 이탈리아어)와, 일치하고 있는 국언어(영어, 불어)가 당해 표시 장치(25)의 기억부(29)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바꿔 쓰기 지령 S와 동일한 국언어에 대한 표시 장치(25)에의 국언어(영어, 불어)에 대응하는 국언어 데이터(영어 데이터, 불어 데이터)는 표시 장치(25)에 출력하지 않고, 바꿔 쓰기는 행하지 않는다. 즉,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는 사용자용 정보에 관한 것으로, 바꿔 쓰기 지령 S에 의해 지정된 국언어가, 표시 장치(25)의 기억부(29)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경우는 바꿔 쓰기 지령 S에 의해 지정된 국언어와 동일한 표시 장치(25)에 저장되어 있는 국언어는 그대로 하여,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기입 수단)에 의한 바꿔 쓰기 동작은 없다.
한편,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는 사용자용 정보에 관한 것으로, 바꿔 쓰기 지령 S에 의해 지정된 국언어(영어, 불어, 이탈리아어) 중에서, 이미 표시 장치(25)에 저장되어 있는 메인국 언어군(영어, 독일어, 불어)과 일치하지 않는 언어가 있는 경우, 바꿔 쓰기 지령 S 중에서 일치하지 않는 국언어(이탈리아어)를 표시 장치(25)에 출력하고, 표시 장치(25)에 저장되어 있어 바꿔 쓰기 지령 S에 의한 국언어와 일치하지 않는 국언어(독일어)를, 새로운 국언어(이탈리아어)에 덮어 써서, 표시 장치(25) 내의 메인 언어군 중 적어도 1개의 국언어를 갱신한다. 즉, 사용자용 정보에 관해서는 바꿔 쓰기 지령 S에 의해 지정된 국언어가, 표시 장치(25)의 기억부(29)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에 의해, 바꿔 쓰기 지령 S에 의해 지정된 국언어와 일치하지 않는 표시 장치(25)에 저장되어 있는 국언어는 소거하고, 바꿔 쓰기 지령 S와 일치하는 국언어를 제외한 국언어를 표시 장치(25)에 기입한다.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는 업자용 정보에 관한 것으로, 이미 표시 장치(25)에 저장되어 있는 메인국 언어군(영어, 독일어, 불어) 중에서, 바꿔 쓰기 지령 S에 의해 지정된 국언어(일본어, 영어, 불어)와 일치하고 있는 국언어(영어, 불어)가 당해 표시 장치(25)의 기억부(29)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바꿔 쓰기 지령 S와 동일한 국언어에 대한 표시 장치(25)에의 국언어(영어, 불어)에 대응하는 국언어 데이터(영어 데이터, 불어 데이터)는 표시 장치(25)에 출력하지 않고, 바꿔 쓰기는 행하지 않는다. 즉,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는 업자용 정보에 관한 것으로, 바꿔 쓰기 지령 S에 의해 지정된 국언어가, 표시 장치(25)의 기억부(29)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경우는, 바꿔 쓰기 지령 S에 의해 지정된 국언어와 동일한 표시 장치(25)에 저장되어 있는 국언어는 그대로 하여,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기입 수단)에 의한 바꿔 쓰기 동작은 없다.
한편,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는 업자용 정보에 관한 것으로, 바꿔 쓰기 지령 S에 의해 지정된 국언어(일본어, 영어, 불어) 중에서, 이미 표시 장치(25)에 저장되어 있는 메인국 언어군(영어, 독일어, 불어)과 일치하지 않는 언어가 있는 경우, 바꿔 쓰기 지령 S 중에서 일치하지 않는 국언어(일본어)를 표시 장치(25)에 출력하고, 표시 장치(25)에 저장되어 있어 바꿔 쓰기 지령 S에 의한 국언어와 일치하지 않는 국언어(독일어)를, 새로운 국언어(일본어)로 덮어 써서, 표시 장치(25) 내의 메인 언어군 중 적어도 1개의 국언어를 갱신한다. 즉, 업자용 정보에 관해서는, 바꿔 쓰기 지령 S에 의해 지정된 국언어가, 표시 장치(25)의 기억부(29)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에 의해 바꿔 쓰기 지령 S에 의해 지정된 국언어와 일치하지 않는 표시 장치(25)에 저장되어 있는 국언어는 소거하고, 바꿔 쓰기 지령 S와 일치하는 국언어를 제외한 국언어를 표시 장치(25)에 기입한다.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는,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의 기입 설정 수단의 설정 모드에 의해 업자용 정보에 대응한 메인 언어군의 바꿔 쓰기의 설정이 무효가 된 경우에는, 바꿔 쓰기 지령 S에 업자용 정보에 관한 바꿔 쓰기 지령 S가 없으므로, 당연히 표시 장치(25)의 기억부(29)에 저장된 업자용 정보의 메인 언어군은 그대로 바꿔 쓰지 않고, 표시 장치(25)의 기억부(29)에 저장된 사용자용 정보의 메인 언어군은 바꿔 쓰게 된다.
도 13은,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가 출력하는 바꿔 쓰기 지령 S의 변경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는 국언어의 조합 패턴을 복수 가지고 있다. 즉,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에 의해, 국언어의 조합을 나타내는 조합 패턴을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복수의 조합 패턴을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가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에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패턴 1은 유럽용의 기본 패턴이며, 패턴 2 및 패턴 3은 스페인용으로 특화한 경우의 패턴이며, 패턴 4 및 패턴 5는 네덜란드용으로 특화한 경우의 패턴이다.
패턴 2와 패턴 3은, 서로 사용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군의 국언어는 동일하지만, 업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군의 국언어가 다르다. 패턴 4와 패턴 5에 있어서도, 서로 사용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군의 국언어는 동일하지만, 업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군의 국언어가 다르다.
이러한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를 이용해서 표시 장치(25)에 저장되어 있는 국언어를 바꿔 쓰는 경우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제조원인 일본 공장으로부터 출하처인 유럽 공장을 향해 출하된 표시 장치(25)에는, 패턴 1에 나타내는 복수의 국언어가 저장되어 있다고 하자. 이 표시 장치(25)에서는, 사용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의 바꿔 쓰기를 행하는 것을 전제로, 기억부(29)에는 국언어를 바꿔 쓰기 위한 블랭크 영역이 1개 마련되어 있다.
이 표시 장치(25) 또는 표시 장치(25)를 구비한 작업기(1)를, 유럽 공장으로부터 스페인용으로 출하할 경우,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는 국언어의 조합 패턴 중, 스페인어가 포함되어 있는 패턴 2 또는 패턴 3(사용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군 중에서 스페인어가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바꿔 쓰기 지령 S를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에 출력한다. 즉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는, 출하처에 따라서 바꿔 쓰기 후보가 되는 국언어의 조합 패턴을 바꿔 쓰기 지령 S로서 출력한다.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는 바꿔 쓰기 지령 S가 패턴 2라고 하면, 사용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를 영어, 불어, 스페인어의 3개의 국언어로 바꿔 쓰고, 업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를 영어, 불어, 스페인어의 3개의 국언어로 바꿔 쓴다.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는 바꿔 쓰기 지령 S가 패턴 3이라고 하면, 업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는 그대로이고, 사용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를 바꿔 쓴다.
그런데 패턴 1에 나타내는 복수의 국언어가 저장되어 있는 표시 장치(25) 또는 표시 장치(25)를 구비한 작업기(1)를, 유럽 공장으로부터 네덜란드용으로 출하할 경우,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는 국언어의 조합 패턴 중, 네덜란드어가 포함되어 있는 패턴 4 또는 패턴 5(사용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군 중에서 네덜란드어가 포함되어 있음)를 나타내는 바꿔 쓰기 지령 S를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에 출력한다.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는 바꿔 쓰기 지령 S가 패턴 4라고 하면, 사용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를 영어, 불어, 독일어, 네덜란드어의 4개의 국언어로 바꿔 쓴다. 이때,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는 표시 장치(25)에 있어서 바꿔 쓰기를 위해 미리 준비하고 있던 기억부(29)의 블랭크 영역에 네덜란드어를 바꿔 쓴다. 또한,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는 업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를 영어, 불어, 네덜란드어의 3개의 국언어로 바꿔 쓴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는 이미 표시 장치(25)에 저장되어 있는 국언어는 그대로이고 바꿔 쓰기 대상으로 되어 있는 국언어만을, 표시 장치(25)에 기입한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꿔 쓰기 지령 S에 의해 나타낸 국언어가, 이미 표시 장치(25)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는 바꿔 쓰기 지령 S에 의해 나타낸 모든 국언어(국언어 데이터)를 표시 장치(25)로 송신하여, 표시 장치(25)에 저장되어 있는 국언어를 바꿔 쓰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패턴마다 대응해서 설정된 프로그램(패턴에 나타낸 국언어의 모두를 기입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 측에 저장시켜 두고, 바꿔 쓰기 지령 S에 의해 소정의 프로그램(예를 들어, 패턴 1이면 프로그램 A, 패턴 2이면 프로그램 B, 패턴 3이면 프로그램 C, 패턴 4이면 프로그램 D, 패턴 5이면 프로그램 E)이 지정되면,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는 바꿔 쓰기 지령(조합 패턴)에 대응한 프로그램을 기동시킴으로써 바꿔 쓰기 지령(조합 패턴)에 의해 지정된 국언어군을 표시 장치(25)에 기입한다.
이상, 표시 장치(25)에 따르면,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과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은 정보를 나타내는 문자 또는 문자열(항목)에 대하여 복수의 국언어로 표시 가능해지도록, 당해 정보에 대응한 국언어를 복수 갖고,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은 정보를 나타내는 문자 또는 문자열(항목)에 대하여 복수의 국언어로 표시 가능해지도록 당해 정보에 대응한 국언어를 복수 가지고 있다. 또한, 표시 장치(25)에 따르면,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 의한 국언어 표시와,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 의한 국언어 표시를 각각 다른 언어로 표시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작업기(1)의 제조, 관리, 보수 등을 프랑스에서 업자가 행한 후에, 당해 작업기(1)를 인접한 나라인 이탈리아에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도,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 의한 국언어 표시를 불어로 표시하고, 사용자용 정보 수단에 의한 국언어 표시를 이탈리아어로 해서 표시할 수 있다. 즉, 작업기(1)가 다양한 나라에 걸쳐서 이동하는 경우가 있어도, 업자와 사용자와의 양자에 의해 작업기(1)에 관한 정보를 간단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 의한 국언어 표시와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 의한 국언어 표시를, 독립해서 절환하는 국언어 절환 수단(35)이 마련되고, 국언어 절환 수단(35)은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 대응하는 국언어의 절환 작업과,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 대응하는 국언어의 절환 작업을 각각의 순서에 의해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용 정보에 대한 국언어 표시와 업자용 정보에 대한 국언어 표시와의 절환을 의식해서 행할 수 있어, 사용자가 부주의하게 업자용 정보에 대응하는 국언어 표시를 절환해 버리거나, 업자가 부주의하게 사용자용 정보에 대한 국언어 표시를 절환해 버리는 일은 없다.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보다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 수가 많아지도록 언어 수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작업기(1)가 많은 나라에 걸쳐 이동하는 경우라도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국언어에 대응해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국언어 절환 수단(35)은,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 의한 국언어 표시와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 의한 국언어 표시가 다르도록 국언어를 절환하므로, 작업기(1)의 제조, 관리, 보수 등을 행하는 나라(지역)와 작업기(1)를 사용하는 나라(지역)가 서로 달라도, 업자와 사용자와의 각각이 작업기(1)에 관한 정보를 간단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번 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에서가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상술한 언어 바꿔 쓰기 시스템에서는, 작업기(1)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25)에 대하여, 정보를 복수의 국언어로 표시 가능해지도록 복수의 국언어를 메인 언어군(국언어군)으로서 기입하는 언어 기입 장치(40)와, 메인 언어군이 기입된 표시 장치(25)에 대하여 메인 언어군 내의 국언어 중 적어도 1개를 다른 언어로 바꿔 쓰는 바꿔 쓰기 지령을 출력하는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와, 이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의 바꿔 쓰기 지령을 기초로 하여 메인 언어군 내의 국언어를 다른 국언어로 바꿔 쓰는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표시 장치(25)의 메인 언어군 중, 적어도 1개를 바꿔 쓸 수 있으므로, 주요한 메인 언어를 남기면서, 작업기(1)가 이동하는 장소 또는 작업기(1)를 사용하는 장소에 따른 나라(지역)의 국언어를 표시 장치(25)에 구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기(1)가 유럽 중,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에 걸쳐 이동할 경우, 제조 시에 기입한 메인 언어군 중, 주요가 되는 영어와 불어를 남기면서, 독일어를 이탈리아어로 바꿔 씀으로써, 작업기(1)가 이동하는 장소 또는 작업기(1)를 사용하는 장소에 따른 국언어로 표시부(27)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메인 언어군 중의 국언어를 바꿔 쓴다고 하는 시스템이므로, 국언어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해 준비된 기억부(29) 내의 기억 영역을 유효하게 활용하면서, 적절하게 국언어 데이터(국언어)를 나라(지역)에 맞춘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국언어 데이터(국언어)에 의한 표시를 작업기(1)가 이동하는 나라에 대응시키기 위해, 기억부(29) 내의 용량을 증가시킬 필요도 없다.
상술한 언어 바꿔 쓰기 시스템에서는,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는 바꿔 쓰기 후보가 되는 국언어의 조합 패턴을 바꿔 쓰기 지령 S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는 조합 패턴을 나타낸 바꿔 쓰기 지령 S를 기초로 하여 표시 장치(25)에 저장되어 있는 국언어를 다른 국언어로 바꿔 쓰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이미 표시 장치(25)에 저장되어 있는 국언어군 중의 국언어를, 다른 국언어로 바꿔 쓸 때에, 국언어의 조합 패턴을 미리 설정하여, 그 조합 패턴에 따른 바꿔 쓰기가 행해지므로, 표시 장치(25)에 저장되어 있는 국언어를 바꿔 쓰는 바꿔 쓰기 작업을 매우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 제조된 베이스가 되는 표시 장치(25)를, 소정의 나라에 위치하는 유럽 공장에 입하하여, 다시 당해 유럽 공장에서 베이스인 표시 장치(25)에 대한 국언어군을 재편한 후에 당해 표시 장치(25)를 출하하는 경우, 출하처에 따라서 국언어의 조합 패턴을 결정해 두면, 간단하게 출하처에 따른 국언어를 갖는 표시 장치(25)를 제조(가공)할 수 있다.
상술한 언어 바꿔 쓰기 시스템에서는,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2)는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메인 언어군에 대한 바꿔 쓰기 지령과,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메인 언어군에 대한 바꿔 쓰기 지령을 개별로 언어 바꿔 쓰기 장치(41)에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는 바꿔 쓰기 지령 S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메인 언어군과,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메인 언어군을 각각 바꿔 쓴다.
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작업기(1)의 제조, 관리, 보수 등을 프랑스에서 업자가 행한 후에, 당해 작업기(1)를 인접한 나라인 이탈리아에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도,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 의한 국언어 표시를 불어로 하고, 사용자용 정보 수단에 의한 국언어 표시를 이탈리아어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작업기(1)가 다양한 나라에 걸쳐서 이동하는 경우가 있어도, 업자와 사용자와의 양쪽에 의해 작업기(1)에 관한 정보를 간단하게 이해할 수 있다.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는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군은 그대로이고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군의 국언어를 바꿔 쓰는 지령을 바꿔 쓰기 지령 S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는 바꿔 쓰기 지령 S를 기초로 하여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군은 그대로이고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군의 국언어를 바꿔 쓰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표시 장치(25)의 기억부(29)에 저장된 업자용 정보의 메인 언어군(국언어군)은 그대로 바꿔 쓰지 않고, 표시 장치(25)의 기억부(29)에 저장된 사용자용 정보의 메인 언어군만을 바꿔 쓸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용 정보에 대응한 국언어만을 바꿔 쓰게 되므로, 작업기(1)의 제조, 관리, 보수 등을 행하는 거점을 중심으로 작업기(1)가 이동할 경우에는 표시 장치(25)의 표시를 작업기(1)가 이동하는 곳의 국언어를 중심으로 한 표시체계(사용자용 표시체계)로 할 수 있어, 업자용 정보에 관한 데이터는 취급하지 않으므로, 기억부(29)의 영역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 및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는, 언어 기입 장치(40)와는 다른 나라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언어 기입 장치(40)와는 다른 나라에 배치된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41) 및 언어 바꿔 쓰기 장치(42)에 의해, 표시 장치(25)의 국언어의 재편집(바꿔 쓰기)을 쉽게 할 수 있게 되므로, 일부러 제조원이 되는 언어 기입 장치(40)가 배치된 나라에, 표시 장치(25)의 국언어의 변경을 행하기 위해 당해 표시 장치(25)를 송부할 필요도 없고, 간단하게 표시 장치(25)에 있어서의 국언어의 바꿔 쓰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번 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에서가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은, 작업기의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언어 바꿔 쓰기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1 : 작업기
25 : 표시 장치
27 : 표시부
29 : 기억부
30 : 액정 표시부
31 : 고정 표시부
35 : 국언어 절환 수단

Claims (9)

  1. 작업기를 조작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하여 당해 작업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과, 상기 사용자용과는 별도로 작업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은 상기 정보에 대하여 복수의 국언어로 표시 가능해지도록, 당해 정보에 대응한 국언어를 복수로 갖고, 상기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은, 상기 정보에 대하여 복수의 국언어로 표시 가능해지도록, 당해 정보에 대응한 국언어를 복수로 가지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 의한 국언어 표시와, 상기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 의한 국언어 표시를, 각각 다른 국언어로 표시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작업기의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 의한 국언어 표시와, 상기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 의한 국언어 표시를, 독립해서 절환하는 국언어 절환 수단을 가지고 있는, 작업기의 표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국언어 절환 수단은 상기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 대응하는 국언어의 절환 작업과, 상기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에 대응하는 국언어의 절환 작업을 각각의 순서에 의해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기의 표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보다 상기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 수가 많아지도록 언어 수가 설정되어 있는, 작업기의 표시 장치.
  5. 작업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정보를 복수의 국언어로 표시 가능해지도록 복수의 국언어를 국언어군으로서 기입하는 언어 기입 장치와, 상기 국언어군이 기입된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기 국언어군 내의 국언어 중 적어도 1개를 다른 국언어로 바꿔 쓰는 바꿔 쓰기 지령을 출력하는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와, 이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의 바꿔 쓰기 지령을 기초로 하여 국언어군 내의 국언어를 다른 국언어로 바꿔 쓰는 언어 바꿔 쓰기 장치를 구비한, 작업기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언어 바꿔 쓰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는 바꿔 쓰기 후보가 되는 국언어의 조합 패턴을 바꿔 쓰기 지령으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언어 바꿔 쓰기 장치는 상기 조합 패턴을 나타낸 바꿔 쓰기 지령을 기초로 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국언어를 다른 국언어로 바꿔 쓰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언어 바꿔 쓰기 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작업기를 조작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하여 당해 작업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과, 상기 사용자용과는 별도로 작업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은 상기 정보에 대응한 복수의 국언어를 국언어군으로서 갖고, 상기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은 상기 정보에 대응한 복수의 국언어를 국언어군으로서 가지고 있으며,
    상기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는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군에 대한 바꿔 쓰기 지령과,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군에 대한 바꿔 쓰기 지령을 개별로 상기 언어 바꿔 쓰기 장치에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언어 바꿔 쓰기 장치는 상기 바꿔 쓰기 지령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군과,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군을 각각 바꿔 쓰기 가능한, 작업기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언어 바꿔 쓰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는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군과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군을 각각 바꿔 쓰는 제1 모드와,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군만을 바꿔 쓰는 제2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모드에 있어서,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군은 그대로이고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군의 국언어를 바꿔 쓰는 지령을 바꿔 쓰기 지령으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언어 바꿔 쓰기 장치는 상기 바꿔 쓰기 지령을 기초로 하여 업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군은 그대로이고 사용자용 정보 표시 수단이 갖는 국언어군의 국언어를 바꿔 쓰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기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언어 바꿔 쓰기 시스템.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바꿔 쓰기 지령 장치 및 언어 바꿔 쓰기 장치는, 상기 언어 기입 장치와는 다른 나라에 배치되어 있는, 작업기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언어 바꿔 쓰기 시스템.
KR1020117004528A 2009-02-04 2010-01-15 작업기의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언어 바꿔 쓰기 시스템 KR201100387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23874 2009-02-04
JPJP-P-2009-023873 2009-02-04
JP2009023874A JP5061136B2 (ja) 2009-02-04 2009-02-04 作業機の表示装置
JP2009023873A JP5061135B2 (ja) 2009-02-04 2009-02-04 作業機の表示装置における言語書き換え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713A true KR20110038713A (ko) 2011-04-14

Family

ID=42541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528A KR20110038713A (ko) 2009-02-04 2010-01-15 작업기의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언어 바꿔 쓰기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016659A1 (ko)
EP (1) EP2397935A4 (ko)
KR (1) KR20110038713A (ko)
CN (1) CN101932994A (ko)
WO (1) WO20100900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53480A1 (en) * 2012-03-22 2013-09-26 Cory G. Kimball Surgical instrument usage data management
US20140081618A1 (en) * 2012-09-17 2014-03-20 Salesforce.Com, Inc. Designing a website to be displayed in multiple languages
JP6284302B2 (ja) * 2013-04-02 2018-02-28 株式会社タダノ ブームの伸縮パターン選択装置
GB2526818B (en) * 2014-06-03 2021-01-13 Arm Ip Ltd Methods of accessing and providing access to a remote resource from a data processing device
US9553843B1 (en) 2014-10-08 2017-01-24 Google Inc. Service directory profile for a fabric network
KR102530375B1 (ko) * 2017-06-26 2023-05-09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기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
TWM563000U (zh) * 2018-02-14 2018-07-01 光陽工業股份有限公司 車輛之儀表語系切換系統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50865B2 (en) * 1990-09-07 1994-07-07 Caterpillar Inc. Adaptive vehicle display
US6904401B1 (en) * 2000-11-01 2005-06-07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gional settings for server-based applications
GB0027811D0 (en) * 2000-11-15 2000-12-27 Pace Micro Tech Plc Method for producing a user interface translation tool
US20040073468A1 (en) * 2002-10-10 2004-04-15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a fleet of machines
US7363586B1 (en) * 2003-06-26 2008-04-22 Microsoft Corporation Component localization
US7487499B2 (en) * 2004-10-29 2009-02-03 Caterpillar Inc. Location based software flashing system
US7264151B2 (en) * 2005-07-20 2007-09-04 Goldmine Worl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language user selection for system user interface
JP2007229956A (ja) * 2006-02-27 2007-09-1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7244208A (ja) 2006-03-13 2007-09-27 Yanmar Co Ltd 作業機
JP2007244210A (ja) * 2006-03-13 2007-09-27 Yanmar Co Ltd 作業機
JP4822424B2 (ja) * 2006-03-24 2011-11-24 株式会社リコー 電子装置
US7937162B2 (en) * 2006-10-31 2011-05-03 Caterpillar Inc. Machine operator interface having linked help feature
US20080122656A1 (en) * 2006-11-27 2008-05-29 Carani Sherry L Tracking System and Method with Multiple Language Selector, Dynamic Screens and Multiple Screen Presentations
US20080222148A1 (en) * 2007-03-09 2008-09-11 Ghost Inc. Lexicographical ordering of real numbers
WO2009014538A1 (en) * 2007-07-25 2009-01-29 Goldmine World, Inc. D/B/A World Bankcard Services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language user selection and currency conver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90061A1 (ja) 2010-08-12
US20120016659A1 (en) 2012-01-19
EP2397935A1 (en) 2011-12-21
CN101932994A (zh) 2010-12-29
EP2397935A4 (en)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8713A (ko) 작업기의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언어 바꿔 쓰기 시스템
KR100522374B1 (ko) 건설기계의 정보표시장치 및 표시제어장치
KR101378653B1 (ko) 작업 차량의 모니터 장치
KR101164295B1 (ko) 작업기의 표시 장치
US9945095B2 (en) Control system of excavating machine and excavating machine
KR101090619B1 (ko) 작업기의 표시 장치
JP5100673B2 (ja) 作業機用制御装置
JP6605291B2 (ja) 建設機械の制御パラメータ変更システム
WO2021064776A1 (ja) 疲労管理システム
JP2018018307A (ja) 建設機械のソフトウェア遠隔更新システム
KR20090105833A (ko) 다기능 표시 장치
JP5781454B2 (ja) 建設機械の表示制御装置
JP5061135B2 (ja) 作業機の表示装置における言語書き換えシステム
JP2010176372A (ja) 作業機用制御装置のプログラム更新方法
KR100656036B1 (ko) 건설기계
JP5061136B2 (ja) 作業機の表示装置
JP5154463B2 (ja) 作業機の通信システム
JP4958567B2 (ja) 建設機械の情報収集装置
JP5777966B2 (ja) 作業機及び作業機の機能取得システム
JP5650007B2 (ja) 作業機
WO2012111597A1 (ja) 作業機
JP6487571B1 (ja) 作業車両の集合スイッチ装置、及び集合スイッチ装置を備えた作業車両
JP2012197606A (ja) 作業機
JP2020204160A (ja) 建設機械におけるセンサ自動特定システム及び特定方法
JP2002067736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