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0497A - 공회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회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0497A
KR20090100497A KR1020080025698A KR20080025698A KR20090100497A KR 20090100497 A KR20090100497 A KR 20090100497A KR 1020080025698 A KR1020080025698 A KR 1020080025698A KR 20080025698 A KR20080025698 A KR 20080025698A KR 20090100497 A KR20090100497 A KR 20090100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le
control
information
idl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명희
조현숙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25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0497A/ko
Priority to PCT/KR2008/004916 priority patent/WO2009116708A1/en
Priority to EP08793426A priority patent/EP2268908A4/en
Publication of KR20090100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4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14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omprising means for controlling automatic idle-start-stop
    • F02N11/0818Conditions for starting or stopping the engine or for deactivating the idle-start-stop mode
    • F02N11/0833Vehicle conditions
    • F02N11/0837Environmental conditions thereof, e.g. traffic, weather or road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8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i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54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at stand still, e.g. engine in idling st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4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stopping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6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for id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0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G08G1/09672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generates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7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exterior
    • F02D2200/701Information about vehicle position, e.g. from navigation system or GPS sig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39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F02D41/1441Plural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00/00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 F02N2200/12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exterior
    • F02N2200/125Information about other vehicles, traffic lights or traffic conge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300/00Control related aspects of engine starting
    • F02N2300/30Control related aspects of engine starting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N2300/302Control related aspects of engine starting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data communication
    • F02N2300/306Control related aspects of engine starting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data communication with external senders or receivers, e.g. receiving signals from traffic lights, other vehicles or base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공회전 상태를 제어하는 공회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GPS 신호와 텔레매틱스 유닛을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에 따라 공회전을 제어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차량 제어 장치를 통해 공회전 상태를 판단한 후, 공회전 제어 장치로 공회전 정보를 제공하고, 공회전 제어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 온 제어신호에 따라 통신 단말 장치를 동작시켜 교통 신호 제어 장치로부터의 교통 신호 정보를 수신하며, 교통 신호 정보와 공회전 정보를 비교하여 신호 대기 시간과 공회전 정지 시간에 따라 차량의 시동 온/오프를 선택 제어하여 공회전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적색, 황색 점멸등에 대한 신호 대기 시간과 공회전 정지 시간에 따라 차량의 시동 온/오프를 선택 제어할 수 있어 차량의 연비 절감 효과와 함께 출발 지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공회전, 신호 대기 시간, 공회전 정지 시간

Description

공회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IDLE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공회전 제어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운행 중 교통 신호에 따른 신호 대기 시 공회전을 제어하는데 적합한 공회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차량 운전자들이 습관적으로 하는 차량의 공회전(idling)은 불필요하게 에너지를 낭비할 뿐만 아니라 밀폐된 공간에서는 질식사를 초래할 수 있고, 대기 오염의 한 원인이 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공회전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회전을 방지하는 차량 제어에 대한 종래 기술에 대해 설명하면, GPS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위치 및 상태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하고, 서버로부터 공회전 제한 구역 정보, 공회전 제한 신호 및 제한 시간, GPS 신호 수신 여부 및 서버와의 통신 상태를 콘트롤러로 전달하고, 제한 구역임을 표시하는 텔레매틱스 유닛과, 차속 센서, 엔진 동작 검출부, 온도 감지 센서, 전원 스위치 차단기, 컨트롤러 등을 이용하여 차량 위치 정보에 따른 공회전을 제어하며, 공회전 제한 구역 정 보와 상태 및 차종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한 신호와 제한 시간을 설정하고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텔레매틱스 유닛을 이용한 공회전 방지 기법이 제안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종래의 공회전 방지 기법은 서버와 차량내 텔레매틱스 유닛간에 양방향 통신에 대한 오버헤드(overhead)가 발생하고, 차량 운행 중 적색, 황색 점멸등의 교통 신호에 따른 신호 대기 시 이러한 기법을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신호 대기 시 공회전 상태에서 공회전 정보와 교통 신호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대기 시간에 따른 연료 절감을 도모하고, 차량의 배기 가스 배출량을 고려하여 공회전을 선택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공회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차량 운행 중 교통 신호 대기 시 공회전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기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전송되는 교통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단말 장치와, 공회전 상태를 판단하여 공회전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 제어 장치와, 상기 공회전 정보에 따라 공회전 제어를 수행하는 공회전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공회전 제어 장치는, 상기 교통 신호 정보와 상기 공회전 정보를 비교하여 신호 대기 시간에 따라 시동 온/오프 제어신호를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 선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차량 운행 중 교통 신호 대기 시 공회전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공회전 상태로 판단되어 제공되는 공회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통신 단말 장치로부터 교통 신호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공회전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신호 대기 시간에 따른 시동 온/오프 제어신호를 차량 제어 장치로 선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회전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GPS 신호와 텔래매틱스 유닛을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에 따라 공회전 상태를 제어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교통 신호 제어 장치로부터 신호 대기 시간을 포함하는 교통 신호 정보를 수신하고, 공회전 정지 시간을 포함하는 공회전 정보를 교통 신호 정보와 비교 분석한 후, 그 신호 대기 시간과 공회전 정지 시간에 따라 차량의 시동 온/오프를 선택 제어함으로써, 신호 대기 시에 적색, 황색 점멸등의 교통 신호에 따라 야기되는 공회전 상태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호 대기 시에 발생하는 공회전으로 인한 연료 낭비 및 매연 증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안정적인 연비 향상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공회전 제한 구역에서의 공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텔래매틱스 유닛을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에 따라 공회전을 제어하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공회전 제어 기법에서는 적색, 황색 점멸등과 같은 교통 신호에 대한 신호 대기 시간을 포함하는 교통 신호 정보를 통해 신호 대기 시에 발생하는 공회전을 연료 소모량 또는 배기 가스 배출량에 따른 공회전 정지 시간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회전을 제어하여 연료 낭비 및 매연 증가의 문제에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요지는, 차량의 공회전 상태가 되면, 공회전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통신 단말 장치를 동작시켜 교통 신호 정보를 수신하고, 그 교통 신호 정보와 공회전 정보를 비교 분석한 후, 신호 대기 시간과 공회전 정지 시간에 따라 차량의 시동 온/오프를 제어하여 차량의 공회전 상태를 제어한다는 것이며,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신호 대기 시 공회전을 제어하는데 적합한 공회전 제어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로서, 교통 신호 제어 장치(100), 통신 단말 장치(200), 공회전 제어 장치(300) 및 차량 제어 장치(4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교통 신호 제어 장치(100)는 교통 신호등의 점등/점멸을 제어하고, 교통 신호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적색, 황색 점멸등에 따른 신호 대기 시간을 포함하는 교통 신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주기를 설정하여 그 전송 주기 정보를 등록 저장해 둔 상태에서 기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교통 신호 정보를 무선 통신 모듈 등을 통해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으로 전송한다. 이 때, 교통 신호 제어 장치(100)는 표시된 교통 신호에 대한 신호 대기 시간 등의 교통 신호 정보를 기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전송한다.
여기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기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교통 신호 정보를 전송하는데 적합한 교통 신호 제어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교통 신호 제어부(102), 신호 정보 저장부(104) 및 교통 신호 통신부(106)를 포함한다.
이러한 도 2를 참조하여 교통 신호 제어 장치(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교통 신호 제어부(102)는 교통 신호 제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교통 신호등의 점등/점멸을 제어하고, 적색, 황색 점멸등에 대한 신호 대기 시간을 포함하는 교통 신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주기를 설정하여 그 전송 주기 정보(예를 들면, 전송 주기 등)를 신호 정보 저장부(104)에 등록 저장하며, 그 전송 주기 정보에 따라 신호 대기 시간을 산출한 후에, 이러한 신호 대기 시간, 장치 식별 번호 등을 포함하는 교통 신호 정보를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교통 신호 통신부(106)에 전달한다. 이 때, 교통 신호 정보의 전송 주기 정보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서버에서 원격으로 설정하거나 교통 신호 제어부(102)에서 자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신호 대기 시간은 적색 또는 황색 점멸등의 유지 시간에 대응하여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정보 저장부(104)는 해당 교통 신호 제어 장치(100)의 장치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장치 식별 번호 정보, 전송 주기 정보, 전송 방식 정보 등을 저장하며, 이들은 각각 필요에 따라 추출되어 교통 신호 제어부(102)로 제공된다.
또한, 교통 신호 통신부(106)는 무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교통 신호 제어부(102)로부터 전달되는 교통 신호 정보를 전송 주기에 따라 지속적으로 전송한다.
한편, 통신 단말 장치(200)는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능, 무선 통신 기능, 장치 연동 기능 등을 갖는 휴대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이용하여 교통 신호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제공하는 것으로, 차량의 공회전 상태가 될 경우 공회전 제어 장치(30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 온 제어신호에 따라 통신 단말 장치(200)의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활성화시킨 후에, 교통 신호 제어 장치(100)로부터 기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전송되는 교통 신호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공회전 제어 장치(300)로 제공한다.
여기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교통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데 적합한 통신 단말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단말 제어부(202), 단말 전원부(204), 무선 통신부(206) 및 출력부(208)를 포함한다.
이러한 도 3을 참조하여 통신 단말 장치(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단말 제어부(202)는 네비게이션 기능, 무선 통신 기능, 장치 연동 기능 등을 갖는 통신 단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공회전 상태가 될 때 공회전 제어 장치(30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 온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을 위한 제어신호를 단말 전원부(204)로 제공하고, 이에 따라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무선 통신부(206)를 통해 수신되는 교통 신호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공회전 제어 장치(300)에 제공한다. 여기에서, 교통 신호 정보는 출력부(208)로 제공되어 LCD, OLED 등의 표시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전원부(202)는 단말 제어부(202)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통신 단말 장치(200)의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통신 단말 장치(200)의 동작을 활성화시킨다.
또한, 무선 통신부(206)는 단말 전원부(204)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무선 통 신 기능을 활성화시켜 기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되는 교통 신호 정보를 수신하고, 이러한 교통 신호 정보를 단말 제어부(202)로 전달한다.
한편, 출력부(208)는 LCD, OLED 등의 표시 장치와 스피커를 포함하여 각종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으로, 네비게이션 데이터의 출력, 영상 데이터 출력 등을 수행하고, 교통 신호 정보가 출력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 제어부(202)로부터 제공되는 교통 신호 정보를 LCD, OLED 등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신호 대기 시간을 포함하는 교통 신호 정보를 단말 제어부(202)로부터 제공받아 "신호 대기 10초 남았습니다" 등의 안내 메시지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안내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로 출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 공회전 제어 장치(300)는 교통 신호 정보와 공회전 정보를 이용하여 공회전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공회전 상태가 될 경우 차량 제어 장치(400)로부터 제공되는 공회전 정보를 저장하고, 공회전 타이머를 이용하여 공회전 시간을 카운트함과 동시에 교통 신호 정보를 전달받기 위해 통신 단말 장치(200)에 전원 온 제어신호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통신 단말 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교통 신호 정보를 저장된 공회전 정보와 비교한 후, 신호 대기 시간에 따라 차량의 시동 온/오프 제어신호를 차량 제어 장치(400)로 제공한다.
이 때, 공회전 제어 장치(300)는 공회전 정보와 교통 신호 정보로부터 신호 대기 시간이 카운트된 공회전 시간에 따른 공회전 정지 시간(즉, 공회전 지속 시 소모되는 연료소모량과 재시동 시 소모되는 연료소모량이 동일한 값을 갖는 시점) 보다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갖는 경우 재시동 타이머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차량의 시동 오프 제어신호를 차량 제어 장치(400)로 제공하고, 재시동 타이머를 통해 신호 대기 시간에 따른 재시동 시간이 되면 차량의 시동 온 제어신호를 차량 제어 장치(400)로 제공한다. 이 때, 공회전 정지 시간은, 배기 가스 배출량을 고려할 경우 재시동에 의한 배기 가스 배출량과 공회전을 지속함에 따라 증가되는 배기 가스 배출량이 동일하게 되는 시점으로 하여 설명될 수 있으며, 공회전 제어는 연료 소모량과 배기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교통 신호 정보와 공회전 정보에 따라 공회전을 제어하는데 적합한 공회전 제어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장치 연동부(302), 공회전 제어부(304), 공회전 정보 저장부(306) 및 타이머부(308)를 포함한다.
이러한 도 4를 참조하여 공회전 제어 장치(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장치 연동부(302)는 공회전 제어 장치(300)와 차량 제어 장치(400)를 연동시켜 각종 데이터(또는 각종 신호)를 상호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제어 장치(400)로부터 제공되는 공회전 정보를 공회전 제어부(304)로 전달하고, 공회전 제어부(304)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시동 온/오프 제어신호를 차량 제어 장치(400)에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공회전 제어부(304)는 장치 연동부(302)를 통해 전달되는 공회전 정보를 공회전 정보 저장부(306)에 저장함과 동시에 타이머부(308)의 공회전 타이머를 작동시켜 공회전 시간을 카운트하며, 이에 대응하여 교통 신호 정보를 전달받기 위해 통신 단말 장치(200)의 전원을 온시키는 제어신호(즉, 전원 온 제어신호)를 통신 단말 장치(200)로 제공한다.
또한, 공회전 제어부(304)는 통신 단말 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교통 신호 정보를 공회전 정보와 비교한 후, 교통 신호 정보 중 신호 대기 시간이 공회전 정보 중 공회전 정지 시간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값인지를 체크한 후에, 상대적으로 더 큰 값인 경우 타이머부(308)의 재시동 타이머를 동작시켜 재시동 시간을 카운트함과 동시에 차량의 시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시동 오프 제어신호를 차량 제어 장치(400)로 제공하도록 장치 연동부(302)로 전달하고, 타이머부(308)를 통해 카운트된 재시동 시간이 되면, 차량의 시동을 온시키기 위한 시동 온 제어신호를 차량 제어 장치(400)로 제공하도록 장치 연동부(302)로 전달한다. 여기에서, 공회전 정지 시간은, 공회전 지속 시 소모되는 연료소모량과 재시동 시 소모되는 연료소모량이 동일한 값을 갖는 시점을 의미하거나 배기 가스 배출량을 고려할 경우 재시동에 의한 배기 가스 배출량과 공회전을 지속함에 따라 증가되는 배기 가스 배출량이 동일하게 되는 시점을 의미하며, 공회전 제어는 연료 소모량과 배기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신호 대기 시간은 기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른 시점에서의 신호 대기 잔여 시간을 의미한다.
한편, 공회전 정보 저장부(306)는 공회전 제어부(304)로부터 전달되는 공회전 정보, 교통 신호 정보 등을 저장해 두고, 이는 필요에 따라 추출되어 공회전 제어부(304)로 제공된다.
다음에, 타이머부(308)는 공회전 시간, 재시동 시간 등을 카운트하기 위한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으로, 공회전 상태에 따른 공회전 정보가 제공되면 공회전 제 어부(304)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공회전 타이머를 동작시켜 공회전 시간을 카운트하고, 필요에 따라 카운트된 공회전 시간 정보를 공회전 제어부(304)로 제공하며, 차량의 시동 오프 제어신호가 제공될 때, 재시동 타이머를 동작시켜 재시동 시간을 카운트한 후, 재시동 시간이 되면 그 재시동 시간 정보를 공회전 제어부(304)로 제공한다.
한편, 차량 제어 장치(400)는 ECU(Engine Control Unit) 등을 포함하여 차량의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차량 운행 중에 공회전 상태(즉, 시동 온 및 속도 '0'인 상태)가 되는지를 지속적으로 판단한 후에, 이러한 공회전 상태가 되면 해당 차량에 대응하는 공회전 정지 시간을 포함하는 공회전 정보를 연동되고 있는 공회전 제어 장치(300)로 제공한 후에, 공회전 제어 장치(400)로부터 선택 제공되는 차량의 시동 온/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동을 온/오프시킨다.
여기에서,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공회전 상태 시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시동 온/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 시동을 온/오프하는데 적합한 차량 제어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차량 제어부(402) 및 시동부(404)를 포함한다.
이러한 도 5를 참조하여 차량 제어 장치(400)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량 제어부(402)는 ECU 등을 이용하여 차량 엔진 제어 등을 수행하는 것으로, 차량의 엔진 상태 또는 공회전 상태를 판단한 후에, 공회전 상태로 판단될 경우 차량의 공회전 정보(예를 들면, 공회전 정지 시간 등)를 공회전 제어부(300)로 제공한다.
그리고, 시동부(404)는 차량의 시동을 온/오프하는 것으로, 공회전 제어 장치(300)로부터 시동 오프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공회전 상태에서 시동을 오프시키 고, 이 후 시동 온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시동 오프 상태에서 시동 온시킨다.
따라서, 교통 신호 제어 장치, 통신 단말 장치, 공회전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공회전 제어 시스템을 통해 교통 신호의 신호 대기 시간과 공회전 정보의 공회전 정지 시간을 비교 분석하여 시동 온/오프 상태에 따른 연료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재시동 시간에 따른 차량의 재시동을 수행하여 출발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공회전 제어 시스템에서 공회전 상태의 판단에 따라 제공되는 공회전 정보와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되는 교통 신호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그 신호 대기 시간과 공회전 정지 시간에 따라 차량의 시동을 온/오프하도록 제어하여 공회전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신호 대기 시 공회전 정보와 교통 신호 정보에 따라 공회전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의 운행 모드에서(단계602), 차량 제어 장치(400)의 차량 제어부(402)에서는 ECU 등을 통해 신호 대기 등의 이유로 인한 공회전 상태(즉, 시동은 '온(on) 상태이나 속도가 '0'인 상태)인지를 체크한다(단계604).
상기 단계(604)에서의 체크 결과, 공회전 상태인 경우 차량 제어 장치(400)의 차량 제어부(402)에서는 차량의 공회전 정보(예를 들면, 차량별 공회전 정지 시간 등)를 공회전 제어 장치(300)로 제공한다(단계606). 여기에서, 공회전 정지 시간은, 공회전 지속 시 소모되는 연료소모량과 재시동 시 소모되는 연료소모량이 동일한 값을 갖는 시점을 의미하거나 배기 가스 배출량을 고려할 경우 재시동에 의한 배기 가스 배출량과 공회전을 지속함에 따라 증가되는 배기 가스 배출량이 동일하게 되는 시점을 의미하며, 공회전 제어는 연료 소모량과 배기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공회전 제어 장치(300)의 공회전 제어부(304)에서는 장치 연동부(302)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400)로부터 제공되는 공회전 정보에 따라 타이머부(308)의 공회전 타이머를 동작시켜 공회전 시간(즉, 공회전 유지 시간)을 카운트함과 동시에(단계608), 통신 단말 장치(2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 온 제어신호를 통신 단말 장치(200)로 제공한다(단계610). 여기에서, 공회전 제어부(304)에서는 장치 연동부(302)로부터 제공되는 공회전 정보를 공회전 정보 저장부(306)에 저장한다.
다음에, 통신 단말 장치(200)의 단말 제어부(202)에서는 공회전 제어부(304)로부터 제공되는 전원 온 제어신호에 따라 단말 전원부(204)에 전원 공급을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단말 전원부(204)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200)의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킨 후에 무선 통신부(206)로부터 수신되는 교통 신호 제어 장치(100)로부터의 교통 신호 정보를 단말 제어부(202)에 전달하고, 이러한 교통 신호 정보는 공회전 제어 장치(300)의 공회전 제어부(304)로 제공된다(단계612). 여기에서, 교통 신호 정보는 교통 신호 제어 장치(1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기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전송되며, 예를 들어 장치 식별 번호, 신호 대기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 대기 시간은 적색 또는 황색 점멸등의 유지 시간에 대응하여 산출될 수 있다.
한편, 공회전 제어 장치(300)의 공회전 제어부(304)에서는 교통 신호 정보 중 신호 대기 시간이 카운트된 공회전 시간을 고려한 공회전 정보 중 공회전 정지 시간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값인지를 체크한다(단계614). 여기에서, 공회전 정지 시간은 공회전 지속 시 소모되는 연료소모량과 재시동 시 소모되는 연료소모량이 동일한 값을 갖는 시점을 의미하며, 신호 대기 시간은 기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른 시점에서의 신호 대기 잔여 시간을 의미한다.
상기 단계(614)에서의 체크 결과, 신호 대기 시간이 공회전 정지 시간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값인 경우 공회전 제어부(304)에서는 타이머부(308)를 제어하여 차량의 재시동을 위한 재시동 타이머를 동작시켜 재시동 시간을 카운트함과 동시에(단계616), 차량의 시동을 오프하기 위한 시동 오프 제어신호(즉, 시동 정지 신호)를 장치 연동부(302)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400)로 제공한다(단계618). 여기에서, 재시동 시간은 신호 대기 시간에 따라 출발 지연이 없이 재시동하기 위해 시동 온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시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400)의 시동부(404)에서는 제공되는 시동 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의 시동을 오프시킨다(단계620).
이 후, 공회전 제어 장치(300)의 공회전 제어부(304)에서는 재시동 타이머를 통해 카운트된 재시동 시간 정보를 타이머부(308)로부터 제공받아 차량의 재시동 시간이 되는지를 체크한다(단계622).
상기 단계(622)에서의 체크 결과, 재시동 시간이 되지 않은 경우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로 재시동 시간을 지속적으로 체크하고, 재시동 시간이 될 경우 공회전 제어부(304)에서는 차량의 시동을 온하기 위한 제어신호(즉, 재시동 신호)를 장치 연동부(302)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400)로 제공한다(단계624).
이어서, 차량 제어 장치(400)의 시동부(404)에서는 공회전 제어 장치(300)로부터 제공되는 시동 온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의 시동을 온시킨다(단계626).
따라서, 차량의 운행 중 공회전 상태가 되면 그 공회전 정보를 제공하고, 통신 단말 장치를 동작시켜 수신되는 교통 신호 정보를 공회전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신호 대기 시간과 공회전 정지 시간에 따라 차량의 시동을 선택적으로 온/오프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연비 절감 효과와 함께 출발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공회전 제어 과정에서 교통 신호 제어 장치에서 교통 신호 정보를 기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교통 신호 제어 장치를 통해 기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교통 신호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교통 신호 제어 장치(100)의 대기 모드에서(단계702), 교통 신호 제어부(102)에서는 교통 신호 제어 장치(100)와 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연결된 서버 또는 자체 입력 수단을 통해 교통 신호 정보(예를 들면, 장치 식별 번호, 신호 대기 시간 등)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주기 정보(예를 들면, 장치 식별 번호, 전송 주기 등)를 설정한다(단계704). 이러한 전송 주기 정보는 신호 정보 저장부(104)에 등록 저장된 후, 필요에 따라 추출되어 교통 신호 제어부(102)로 제공된다.
그리고, 교통 신호 제어부(102)에서는 설정된 전송 주기 정보에 따라 그 전송 주기를 카운트한 후에(단계706), 교통 신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주기 시간이 되는지를 체크한다(단계708).
상기 단계(708)에서의 체크 결과, 교통 신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주기 시간이 될 경우 교통 신호 제어부(102)에서는 장치 식별 번호, 신호 대기 시간 등을 포함하는 교통 신호 정보를 검출 및 산출하여 교통 신호 통신부(106)로 전달하고, 교통 신호 통신부(106)에서는 교통 신호 제어부(102)로부터 전달되는 교통 신호 정보를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한다(단계710). 여기에서, 신호 대기 시간은 적색 또는 황색 점멸등의 유지 시간에 대응하여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교통 신호 제어 장치를 통해 교통 신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주기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전송 주기 정보에 따라 그 시점의 신호 대기 시간을 포함하는 교통 신호 정보를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공회전 제어 과정에서 공회전 상태가 될 경우 제공되는 전원 온 제어신호에 따라 통신 단말 장치를 동작시킨 후에 전송되는 교통 신호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공회전 제어 장치에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전송되는 교통 신호 정보를 통신 단말 장치를 통해 수신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통신 단말 장치(200)의 대기 모드에서(단계802), 단말 제어부(202)에서는 공회전 제어 장치(300)로부터 공회전 상태에 따른 전원 온 제어신호가 제공되는지를 체크한다(단계804).
상기 단계(804)에서의 체크 결과, 공회전 제어 장치(300)로부터 전원 온 제어신호가 제공될 경우 단말 제어부(202)에서는 단말 전원부(204)에 통신 단말 장치(200)의 각 구성부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단말 전원부(204)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200)의 각 구성부로 전원을 공급하여 통신 단말 장치(200)를 동작시킨다(단계806).
그리고, 무선 통신부(206)에서는 전원 공급부(204)로부터의 전원을 공급 받아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킨 후에, 교통 신호 제어 장치(100)로부터 기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되는 교통 신호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단말 제어부(202)로 전달한다(단계808).
이어서, 단말 제어부(202)에서는 무선 통신부(206)로부터 전달되는 교통 신호 정보를 공회전 제어 장치(300)로 제공한다(단계810).
이 후, 단말 제어부(202)에서는 공회전 제어 장치(300)로 교통 신호 정보의 제공이 완료되면, 단말 전원부(204)에 전원 오프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통신 단말 장치(200)의 전원을 오프시킨다(단계812). 여기에서, 단말 제어부(202)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200)의 전원 오프를 제어하기 전에 출력부(208)에 교통 신호 정보를 전달하여 도시 생략된 LCD, OLED 등의 표시 장치를 통해 그 신호 대기 시간을 문자 또는 음성 안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공회전 제어 장치로부터 전원 온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통신 단말 장치의 전원을 온시켜 동작을 활성화시키고, 전송되는 교통 신호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공회전 제어 장치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교통 신호 정보를 안내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공회전 제어 과정에서 공회전 상태가 될 경우 제공되는 공회전 정보에 따라 통신 단말 장치로 전원 온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통신 단말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교통 신호 정보와 공회전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공회전 제어를 위한 차량의 시동 온/오프 제어신호를 차량 제어 장치에 선택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공회전 정보와 교통 신호 정보를 비교하여 공회전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공회전 제어 장치(300)의 대기 모드에서(단계902), 공회전 제어부(304)에서는 장치 연동부(302)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400)로부터 공회전 정보가 제공되는지를 체크한다(단계904). 여기에서, 공회전 정지 시간은, 공회전 지속 시 소모되는 연료소모량과 재시동 시 소모되는 연료소모량이 동일한 값을 갖는 시점을 의미하거나 배기 가스 배출량을 고려할 경우 재시동에 의한 배기 가스 배출량과 공회전을 지속함에 따라 증가되는 배기 가스 배출량이 동일하게 되는 시점을 의미하며, 공회전 제어는 연료 소모량과 배기 가스 배출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신호 대기 시간은 기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른 시점에서의 신호 대기 잔여 시간을 의미한다.
상기 단계(904)에서의 체크 결과, 공회전 정보가 제공될 경우 공회전 제어부(304)에서는 제공된 공회전 정보를 공회전 정보 저장부(306)에 저장함과 동시에, 타이머부(308)에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공회전 타이머를 동작시킴으로써, 공회전 시 간(즉, 공회전 유지 시간)을 카운트한다(단계906).
그리고, 공회전 제어부(304)에서는 공회전 시간을 카운트하는 시점에 교통 신호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통신 단말 장치(200)에 전원 온 제어신호를 제공한다(단계908).
다음에, 공회전 제어부(304)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200)로부터 신호 대기 시간을 포함하는 교통 신호 정보를 전달받은 후(단계910), 신호 대기 시간이 카운트된 공회전 시간에 따른 공회전 정지 시간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값을 갖는지를 체크한다(단계912).
상기 단계(912)에서의 체크 결과, 신호 대기 시간이 공회전 정지 시간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값을 갖는 경우 공회전 제어부(304)에서는 타이머부(308)에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차량의 재시동을 위한 재시동 타이머를 동작시킴으로써, 재시동 시간을 카운트한다(단계914).
그리고, 공회전 제어부(304)에서는 차량의 공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차량의 시동 정지 신호(즉, 시동 오프 제어신호)를 장치 연동부(302)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400)로 제공한다(단계916).
한편, 공회전 제어부(304)에서는 타이머부(308)의 재시동 타이머를 통해 재시동 시간이 되는지를 지속적으로 체크한다(단계918).
상기 단계(918)에서의 체크 결과, 재시동 시간이 되면 공회전 제어부(304)에서는 차량의 시동을 온시키는 재시동 신호(즉, 시동 온 제어신호)를 장치 연동부(302)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400)로 제공한다(단계920). 즉, 적색 또는 황색 점 멸등의 유지 시간에 따른 신호 대기 시간을 고려한 재시동 시간을 카운트하여 녹색 점멸등의 점등 전에 재시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공회전 정보가 제공되면 통신 단말 장치로 전원 온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이로부터 제공되는 교통 신호 정보를 공회전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신호 대기 시간과 공회전 정지 시간에 따라 공회전 제어를 위해 차량의 시동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공회전 제어 과정에서 공회전 상태가 되는 경우 그 공회전 정보를 공회전 제어 장치에 제공하고, 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차량의 시동 온/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공회전 상태에 따른 공회전 정보를 제공한 후 선택 제공된 시동 온/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 시동을 온/오프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 제어 장치(400)의 차량 운행 모드에서(단계1002), 차량 제어부(402)에서는 교통 신호등의 신호 대기 등의 이유로 공회전 상태(즉, 시동은 온'상태이나 속도가 '0'인 상태)인지를 체크한다(단계1004).
상기 단계(1004)에서의 체크 결과, 차량의 공회전 상태일 경우 차량 제어부(402)에서는 차량의 공회전 정보(예를 들면, 공회전 정지 시간 등)를 공회전 제어 장치(300)로 제공한다(단계1006). 여기에서, 공회전 정보는 차량의 ECU를 통해 제공되거나 별도의 센서 등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공회전 정지 시간은, 공 회전 지속 시 소모되는 연료소모량과 재시동 시 소모되는 연료소모량이 동일한 값을 갖는 시점을 의미하거나 배기 가스 배출량을 고려할 경우 재시동에 의한 배기 가스 배출량과 공회전을 지속함에 따라 증가되는 배기 가스 배출량이 동일하게 되는 시점을 의미한다.
그리고, 차량 제어부(402)에서는 공회전 제어 장치(300)로부터 공회전 상태에 대응하는 특정 제어신호가 제공되는지를 지속적으로 체크하게 되는데, 시동부(404)에서는 차량 제어부(402)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공회전 제어 장치(300)로부터 시동 정지 신호(즉, 시동 오프 제어신호)가 제공되는지를 체크한다(단계1008).
상기 단계(1008)에서의 체크 결과, 시동 정지 신호가 제공될 경우 시동부(404)에서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도록 제어한다(단계1010).
한편,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시동부(404)에서는 차량의 재시동을 위한 재시동 신호(즉, 시동 온 제어신호)가 공회전 제어 장치(300)로부터 제공되는지를 체크한다(단계1012).
상기 단계(1012)에서의 체크 결과, 재시동 신호가 제공될 경우 시동부(404)에서는 차량의 시동이 온되도록 제어한다(단계1014).
따라서, 차량 제어 장치를 통해 공회전 상태를 판단한 후, 공회전 상태가 되면 그 공회전 정보를 공회전 제어 장치로 제공하고, 공회전 정보에 따라 공회전 제어 장치로부터 선택 제공되는 차량의 시동 오프/온 제어신호에 따라 출발 지연을 방지하는 차량의 시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신호 대기 시 공회전을 제어하는데 적합한 공회전 제어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기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교통 신호 정보를 전송하는데 적합한 교통 신호 제어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교통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데 적합한 통신 단말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교통 신호 정보와 공회전 정보에 따라 공회전을 제어하는데 적합한 공회전 제어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공회전 상태 시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시동 온/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 시동을 온/오프하는데 적합한 차량 제어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신호 대기 시 공회전 정보와 교통 신호 정보에 따라 공회전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교통 신호 제어 장치를 통해 기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교통 신호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전송되는 교통 신호 정보를 통신 단말 장치를 통해 수신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공회전 정보와 교통 신호 정보를 비교하여 공회전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공회전 상태에 따른 공회전 정보를 제공한 후 선택 제공된 시동 온/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 시동을 온/오프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교통 신호 제어 장치 102 : 교통 신호 제어부
104 : 신호 정보 저장부 106 : 교통 신호 통신부
200 : 통신 단말 장치 202 : 단말 제어부
204 : 단말 전원부 206 : 무선 통신부
208 : 출력부 300 : 공회전 제어 장치
302 : 장치 연동부 304 : 공회전 제어부
306 : 공회전 정보 저장부 308 : 타이머부
400 : 차량 제어 장치 402 : 차량 제어부
404 : 시동부

Claims (17)

  1. 차량 운행 중 교통 신호 대기 시 공회전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기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전송되는 교통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단말 장치와, 공회전 상태를 판단하여 공회전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 제어 장치와, 상기 공회전 정보에 따라 공회전 제어를 수행하는 공회전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공회전 제어 장치는, 상기 교통 신호 정보와 상기 공회전 정보를 비교하여 신호 대기 시간에 따라 시동 온/오프 제어신호를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 선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공회전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시동 온/오프 제어신호를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 제공하는 장치 연동부와,
    상기 교통 신호 정보와 상기 공회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신호 대기 시간과 공회전 정지 시간에 따라 상기 시동 온/오프 제어신호를 상기 장치 연동부로 제공하는 공회전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 제어 장치는,
    상기 공회전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공회전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공회전 타이머를 동작시키고, 상기 시동 온/오프 제어신호를 위한 재시동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타이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제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 제어부는, 상기 공회전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교통 신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전원 온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제어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 장치가 수신하는 상기 교통 신호 정보는, 교통 신호 제어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제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신호 제어 장치는,
    상기 교통 신호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 주기 정보를 저장하는 신호 정보 저장부와,
    상기 전송 주기 정보에 따라 전송 주기를 카운트하고, 전송 시간이 되면 상기 교통 신호 정보를 제공하는 교통 신호 제어부와,
    상기 교통 신호 정보를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하는 교통 신호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제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전원 온 제어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말 전원부와,
    상기 교통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전원 온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상기 단말 전원부에 제공하고, 상기 수신된 교통 신호 정보를 상기 공회전 제어 장치로 제공하는 단말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제어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공회전 상태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상기 공회전 정보를 상기 공회전 제어 장치로 제공하는 차량 제어부와,
    상기 공회전 제어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시동 온/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의 시동을 온/오프시키는 시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제어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신호 정보는, 상기 신호 대기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제어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 정보는, 공회전 지속 시 소모되는 연료소모량과 재시동 시 소모되는 연료소모량이 동일한 값을 갖는 시점 또는 재시동에 의한 배기 가스 배출량과 공회전을 지속함에 따라 증가되는 배기 가스 배출량이 동일하게 되는 시점인 공회전 정지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제어 시스템.
  11. 차량 운행 중 교통 신호 대기 시 공회전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공회전 상태로 판단되어 제공되는 공회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통신 단말 장치로부터 교통 신호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공회전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신호 대기 시간에 따른 시동 온/오프 제어신호를 차량 제어 장치로 선택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회전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 제어 방법은, 상기 신호 대기 시간과 공회전 지속 시 소모되는 연료소모량과 재시동 시 소모되는 연료소모량이 동일한 값을 갖는 시점 또는 재시동에 의한 배기 가스 배출량과 공회전을 지속함에 따라 증가되는 배기 가스 배출량이 동일하게 되는 시점인 공회전 정지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시동 온/오프 제어신호를 선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 제어 방법은, 상기 신호 대기 시간이 상기 공회전 정지 시간보다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면 상기 시동 온/오프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 제어 방법은, 상기 시동 온/오프 제어신호를 제공할 경우 시동 오프 신호를 제공한 후 재시동 시간이 되면 시동 온 제어신호를 순차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제어 방법.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 제어 방법은, 상기 공회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신호 대기 시간과 비교하기 위한 공회전 시간을 카운트함과 동시에 상기 통신 단말 장치 로 전원 온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 제어 방법은, 상기 전원 온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 단말 장치를 동작시킨 후에 상기 교통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 제어 방법은, 교통 신호 제어 장치를 통해 기 설정된 전송 주기 정보에 따라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상기 교통 신호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제어 방법.
KR1020080025698A 2008-03-20 2008-03-20 공회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10049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698A KR20090100497A (ko) 2008-03-20 2008-03-20 공회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08/004916 WO2009116708A1 (en) 2008-03-20 2008-08-22 Idl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EP08793426A EP2268908A4 (en) 2008-03-20 2008-08-22 IDL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698A KR20090100497A (ko) 2008-03-20 2008-03-20 공회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497A true KR20090100497A (ko) 2009-09-24

Family

ID=41091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698A KR20090100497A (ko) 2008-03-20 2008-03-20 공회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268908A4 (ko)
KR (1) KR20090100497A (ko)
WO (1) WO200911670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614B1 (ko) * 2009-12-21 2013-08-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노선버스의 능동형 공회전 스탑을 위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378037B1 (ko) * 2009-11-04 2014-03-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의 공회전 스탑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76034B1 (ko) * 2016-06-29 2018-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sg 장치, 원격 제어 서버 및 시스템
KR20180077883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성우모바일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39418A1 (de) * 2010-08-17 2012-02-2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oder Regelung eines Anfahrvorgangs eines Fahrzeugs
CN106571053A (zh) * 2016-11-07 2017-04-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启动启停功能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8974B2 (ja) * 1993-06-16 1999-03-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ンジンの自動始動停止装置
JPH10299531A (ja) * 1997-04-24 1998-11-10 Yazaki Corp アイドルストップスタートシステム
JP3589572B2 (ja) * 1998-08-31 2004-11-1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アイドル制御装置
JP3517609B2 (ja) * 1999-07-14 2004-04-12 交通システム電機株式会社 交通信号機を利用したアイドリング制御信号送信システム
JP2001132525A (ja) * 1999-11-02 2001-05-15 Transportation Systems Electric Corp 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信号表示装置
JP2001055939A (ja) * 1999-08-16 2001-02-27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エンジン自動停止再始動装置
JP2001107770A (ja) * 1999-10-08 2001-04-17 Honda Motor Co Ltd エンジン制御装置
DE10129878A1 (de) * 2001-06-21 2003-02-27 Conti Temic Microelectronic Automatisches Motor-Abschalt-/Anlassersystem für Kraftfahrzeuge sowie Verfahren zu dessen Betrieb
DE10234064B4 (de) * 2002-07-26 2008-01-03 Audi Ag Kraftfahrzeug
KR100559396B1 (ko) * 2003-11-19 2006-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아이들 정지/발전 제어방법
DE602005016730D1 (de) 2005-06-30 2009-10-29 Nokia Corp Einrichtung, modul und verfahren für gemeinsam benutzten antennenbetrieb in einer auf rfid-technologie basierenden kommunikationsumgebu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037B1 (ko) * 2009-11-04 2014-03-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의 공회전 스탑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92614B1 (ko) * 2009-12-21 2013-08-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노선버스의 능동형 공회전 스탑을 위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876034B1 (ko) * 2016-06-29 2018-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sg 장치, 원격 제어 서버 및 시스템
KR20180077883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성우모바일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68908A4 (en) 2011-08-03
EP2268908A1 (en) 2011-01-05
WO2009116708A1 (en)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0497A (ko) 공회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WO2017152671A1 (zh) 车辆控制方法、控制装置、车载系统以及车辆控制系统
CN109649176B (zh) 一种节能控制方法、装置及新能源汽车
EP1076179B1 (en) Engine idling stop apparatus, system thereof and signal display apparatus used in the system
US8410929B2 (en) Remote vehicle starting system providing an audible indication relating to remote starting and associated methods
CN109455175B (zh) 车辆控制方法、车辆控制装置和计算机存储介质
CN108382154B (zh) 远程空气调节启动系统和中央服务器
JP2006170180A (ja) 車輌のエンジンストップ並びにスタート制御装置
KR101567104B1 (ko) 아이에스지 차량의 아이에스지 표시 장치 및 방법
JP2007216817A (ja) 給電制限装置、及び制御装置
US9913081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a vehicle system module while conserving power by using two differen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RWC) protocols
CN107284435A (zh) 基于车辆与交通信息交互的发动机智能起停控制方法及系统
US8258948B2 (en) Remote vehicle starting system providing a tactile indication relating to remote starting and associated methods
US8313039B2 (en) Remote climate control system providing an indication relating to remote climate control operation and associated methods
KR20140031655A (ko) Isg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2303171A (ja) エンジン制御装置
JP2011099441A (ja) 車両のアイドリング制御装置及び方法
JP3294569B2 (ja) 自動車エンジンのアイドリング停止装置及びシステム
JP2000018059A (ja) 情報提供装置、エンジンの自動始動停止装置および媒体
JP2001207883A (ja) エンジンの自動制御システム及び当該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自動制御装置
KR101378037B1 (ko) 차량의 공회전 스탑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00066781A (ko) 디젤 차량의 공회전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900069B1 (ko) 차량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02303173A (ja) エンジン始動装置
KR100372438B1 (ko) 차량의 공회전 정지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312

Effective date: 2012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