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883A -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7883A
KR20180077883A KR1020160182706A KR20160182706A KR20180077883A KR 20180077883 A KR20180077883 A KR 20180077883A KR 1020160182706 A KR1020160182706 A KR 1020160182706A KR 20160182706 A KR20160182706 A KR 20160182706A KR 20180077883 A KR20180077883 A KR 20180077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gnal
speed
ecu
signal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5280B1 (ko
Inventor
김기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모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모바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모바일
Priority to KR1020160182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280B1/ko
Publication of KR20180077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60W30/143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60W30/143Speed control
    • B60W30/146Speed limi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54Approaching an inter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63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 B60W2050/0064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using a remote, e.g. cordless, transmitter or receiver unit, e.g. remote keypad or mobile ph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60W2550/2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5/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exterior condition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52/00, B60W2554/00
    • B60W2555/60Traffic rules, e.g. speed limits or right of 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4Cruise control
    • B60Y2300/143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교통 신호기의 점등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트랜시버와, 신호 제어기의 교통 신호기의 점등 제어신호, 차량과 교통 신호기의 위치정보, 도로의 제한속도 및 속도센서의 차량의 현재 속도를 분석하여, 주행하고자 하는 도로에서 만나는 교통 신호기가 녹색으로 점등되는 동안 해당 교통 신호기가 위치한 교차로를 통과할 수 있는 차량의 속도를 연산하는 ECU 및 ECU의 제어로 차량의 속도를 조절하는 가속 페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시스템{vehicle control system linked to traffic signal}
본 발명은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V2X(Vehicle to everything)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의 안테나 트랜시버를 통해 수신되는 교통 신호기의 점등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교차로를 지나가는 차량이 교통 신호기가 녹색으로 점등되었을 때 지나갈 수 있도록 속도를 조절하는 한편 교차로에서 대기하는 차량의 엔진을 끄고 켤 수 있도록 하는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보급률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차량의 숫자는 기하급수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반면, 도로의 보급률은 이를 따라가질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운전자는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도로사정을 파악하여 정체 구간이나 혼잡한 지역을 우회하거나 피하여 가고자 한다. 이와 같은 교통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각 차량의 현재 위치, 목적지 등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중앙관제센터에서 처리하여, 현재의 도로 상황 및 앞으로의 교통상황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근래 들어서는 지능형교통시스템이라 불리는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지능형교통시스템(이하 'ITS'라 칭함)은 도로, 차량, 신호시스템 등 기존 교통 체계에 전자, 제어, 정보, 통신 등의 관련기술을 부가함으로써, 차량과 도로 간의 정보의 단절 없이 정보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기존 시설의 이용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개념에서 도입된 시스템으로서, 정보통신기술 분야가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능형교통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기술 분야 중에서도 도로와 차량 간 양방향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기술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교통 신호기가 설치되어 있는 교차로에서의 차량의 원활한 소통을 유도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차량이 교차로에서 신호대기를 위해 정지하였을 때 엔진을 꺼서 연료 절약을 유도하고 있으나, 다시 출발 시에는 운전자가 다시 시동을 걸어야 함으로써,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차량의 원활한 흐름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통 신호기가 설치되어 있는 교차로 등에서 차량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고 불필요한 연료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장치의 실시 예는 주행하고자 하는 도로에 위치한 신호 제어기와의 무선 통신으로 교통 신호기의 점등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트랜시버; GPS 수신기나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터 차량과 교통 신호기의 위치정보와 주행하고자 하는 도로의 제한 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차량의 현재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 상기 신호 제어기로부터의 교통 신호기의 점등 제어신호,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차량과 교통 신호기의 위치정보, 도로의 제한속도 및 상기 속도센서의 차량의 현재 속도를 분석하여, 주행하고자 하는 도로에서 만나는 교통 신호기가 녹색으로 점등되는 동안 해당 교통 신호기가 위치한 교차로를 통과할 수 있는 차량의 속도를 연산하는 ECU; 및 상기 ECU의 제어로 차량의 속도를 조절하는 가속 페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장치에서, 상기 ECU의 제어로 조절되는 차량 속도의 가감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장치에서, 상기 ECU는 차량 속도를 해당 도로의 제한속도까지만 가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장치에서, 상기 신호 제어기가 관할하는 구간을 통과하는 차량이 자율주행차이고, 상기 자율주행차에 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고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었을 경우에, 상기 신호 제어기에는 다른 차량 또는 인접한 구간에 설치된 또 다른 신호 제어기에 상기 사고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장치에서, 상기 신호 제어기의 제어로 교통 신호기가 점멸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ECU는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차량의 위치정보와 현재속도를 무선 송출하고, 상기 신호 제어기로부터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해당 교통 신호기가 위치한 교차로의 우선 진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우선 진입에 대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로 표시하고 상기 가속 페달부를 구동시켜 차량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장치에서, 상기 신호 제어기의 제어로 교통 신호기가 적색으로 점등되고 상기 속도센서에 의해 차량이 정지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ECU는 시동장치를 구동시켜 차량의 엔진을 끄고,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신호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교통 신호기 점등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교통 신호기가 녹색으로 점등되기 일정시간 전에 상기 시동장치를 구동시켜 차량의 엔진을 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장치에서, 상기 ECU는 엔진의 꺼짐과 켜짐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방법의 실시 예는 a) ECU가 트랜시버를 매개로 하는 주행하고자 하는 도로에 위치한 신호 제어기와의 무선 통신으로 교통 신호기의 점등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ECU가 수신부를 통해 GPS 수신기나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터 차량과 교통 신호기의 위치정보와 주행하고자 하는 도로의 제한 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ECU가 속도센서를 통해 차량의 현재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d) 상기 ECU가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신호 제어기로부터의 교통 신호기의 점등 제어신호,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차량과 교통 신호기의 위치정보, 도로의 제한속도 및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속도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차량의 현재 속도를 분석하여, 주행하고자 하는 도로에서 만나는 교통 신호기가 녹색으로 점등되는 동안 해당 교통 신호기가 위치한 교차로를 통과할 수 있는 차량의 속도를 연산하는 단계; 및 e) 상기 ECU가 가속 페달부를 구동시켜 차량의 속도로 상기 d) 단계에서 연상된 차량의 속도로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방법에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ECU가 차량의 현재속도에서 가감되는 차량의 속도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방법에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ECU는 차량 속도를 해당 도로의 제한속도까지만 가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방법에서, 상기 신호 제어기의 제어로 교통 신호기가 점멸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ECU는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차량의 위치정보와 현재속도를 무선 송출하고, 상기 신호 제어기로부터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해당 교통 신호기가 위치한 교차로의 우선 진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우선 진입에 대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로 표시하고 상기 가속 페달부를 구동시켜 차량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방법에서, 상기 신호 제어기의 제어로 교통 신호기가 적색으로 점등되고 상기 속도센서에 의해 차량이 정지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ECU는 시동장치를 구동시켜 차량의 엔진을 끄고,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신호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교통 신호기 점등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교통 신호기가 녹색으로 점등되기 일정시간 전에 상기 시동장치를 구동시켜 차량의 엔진을 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방법에서, 상기 ECU는 엔진의 꺼짐과 켜짐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하고자 하는 도로에 설치된 교통 신호기가 녹색으로 점등되는 동안 해당 교통 신호기가 설치된 교차로를 통과할 수 있도록 차량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교차로를 포함하는 도로에서의 차량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통 신호기가 점멸하는 동안 신호 제어기와 차량과의 실시간 통신으로 해당 교통 신호기가 설치된 교차로의 우선 진입 차량을 지정하여 각각의 차량에 알림으로써, 교차로에서의 원활한 차량 흐름과 함께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교차로에서 교통 신호기가 적색으로 점등시 정지한 차량의 시동을 껐다가 차량과 신호 제어기와의 실시간 통신으로 교통 신호기가 녹색으로 점등되기 직전에 해당 차량의 시동을 자동으로 걸어줌으로써, 해당 차량에서 소모되는 불필요한 연료를 줄이고 차량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인접한 신호 제어기에서 관할하는 구간 내에 발생한 차량(자율주행자동차 포함)의 교통사고 정보를 인지하여 해당 신호 제어기가 관할하는 구간 내로 진입 예정이 차량에 사고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통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의해 차량 제어장치에 의해 신호 제어기에 연동해서 차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의해 차량 제어장치에 의해 신호 제어기에 연동해서 차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교통 신호기의 점등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기(2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110), GPS 수신기(310)와 네비게이션 시스템(320)로부터 교통 신호기, 차량 등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120), 속도센서(130), 시동장치(170)의 등과 같은 차량의 각종 구성의 구동을 제어하는 ECU(140), 가속 페달부(150), LCD 등과 같은 표시수단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60) 및 시동장치(170)로 구성된다.
위의 실시 예에서 트랜시버(110)는 차량 외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로서, 주행하고자 하는 도로에 위치한 복수의 신호 제어기(200)와의 무선 통신으로 각 교통 신호기의 점등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도로를 주행하는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를 관리하는 관제센터 등으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신하며, 해당 차량에서 취득되는 해당 차량의 주행정보나 기타 긴급상황 등의 정보를 다른 차량이나 관제센터 등을 무선 전송한다.
다른 실시 예는 다른 차량이나 외부인이 트랜시버(110)를 통해 차량에 불법적으로 접속하여 해당 차량을 원격 조정하거나 차량에 탑재된 각종 정보를 가져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랜시버(1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를 암호화 및 복호화하는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 신호 제어기(200)는 도로의 건널목이나 교차로에 설치된 교통 신호기의 점등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교통 신호기의 점등을 제어하거나, 단독 혹은 주변의 신호 제어기와 연동해서 하나 혹은 복수 개로 구성된 하나의 그룹의 교통 신호기의 점등을 제어한다. 또한, 신호 제어기(200)는 도시되지 않은 관제센터와의 통신으로 중앙 통제를 받아 다른 신호 제어기와 연동해서 교통 신호기의 점등을 제어하거나 사전에 등록된 프로그램에 의해 하나 혹은 복수의 교통 신호기의 점등을 제어한다. 또한, 신호 제어기(200)는 이웃하는 신호 제어기는 물론이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과의 실시간 통신으로 도로에서 발생하는 각종 교통정보를 파악하고, 교통 신호기의 점등 제어에 활용한다. 그리고 신호 제어기(200)는 주변의 신호 제어기나 다른 차량으로 교통정보를 수집하면서 해당 신호 제어기가 제어하고 있는 교통 신호기의 점등상태에 대한 정보를 다른 신호 제어기나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에 제공한다.
위의 실시 예에서, 수신부(120)는 GPS 수신기(310)나 네비게이션 시스템(320)과 같은 장치로부터 교통 신호기나 차량 등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경로이다. 여기서, GPS 수신기(310)나 네비게이션 시스템(320)은 각 차량에 탑재된 것으로서 통상의 GPS 수신기와 마찬가지로 위치정보, 즉 위치좌표와 함께 도로 주행 안내서비스를 제공한다.
위의 실시 예서, 속도센서(130)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ECU(140)에 제공하고, 가속 페달부(150)는 차량의 속도를 가감하는 것으로서, 운전자에 의해 차량의 속도를 가감하거나 별도의 구동장치에 차량의 속도를 자동으로 가감한다. 또한, 표시부(160)는 LCD 등과 같은 표시수단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이는 별도의 제품으로 구성되거나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같은 표시수단으로 대처할 수 있다. 그리고 시동장치(170)는 차량의 시동을 끄거나 켜는 장치로서, 통상의 차량에 탑재된 시동장치와 같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시동을 끄거나 켜는 것은 물론이고, 신호 제어기(200)로부터 수신되는 교통 신호기의 점등 제어신호 등과 같은 각종 교통 관련정보를 취득한 ECU(14)의 제어로 자동으로 시동을 끄거나 켤 수 있다.
위의 실시예 에서, ECU(140)는 복수의 신호 제어기(200)로부터 수신되는 해당 신호 제어기가 제어하는 교통 신호기의 점등 제어신호와, 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차량과 교통 신호기의 위치정보, 도로의 제한속도 및 속도센서(130)에 의해 감지되는 차량의 현재 속도를 분석하여, 주행하고자 하는 도로에서 만나는 교통 신호기가 녹색으로 점등되는 동안 해당 교통 신호기가 위치한 교차로를 통과할 수 있는 차량의 속도를 연산하고, 이에 대응되게 가속 페달부(150)를 구동시켜 차량의 속도를 조절한다.
여기서, ECU(140)는 주변 교통상황과 함께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의 제한속도 등을 감안하여 가속 페달부(150)를 구동시켜 차량의 속도를 해당 도로의 제한속도까지만 가속시킴으로써, 차량의 불필요한 가속이나 감속을 줄여 연료 소비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차로를 통과하기 위해 무리하게 과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는 위와 같이 교통 신호기가 녹색으로 점등되는 동안 차량이 해당 교통 신호기가 설치된 교차로를 통과할 수 있도록 속도를 가감할 때 표시부(160)를 통해 가감되는 차량의 속도를 표시해 줌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의 가속 또는 감속을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제어기(200)가 관할하는 구간을 통과하는 차량이 자율주행차이고, 자율주행차에 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고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었을 경우에, 신호 제어기(200)에는 다른 차량 또는 인접한 구간에 설치된 또 다른 신호 제어기에 사고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위의 실시 예에서, ECU(140)는 신호 제어기(200)에 의해 교차로의 교통 신호기가 점멸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트랜시버(110)를 통해 차량의 위치정보와 현재속도를 무선 송출하고, 신호 제어기(200)로부터 트랜시버(110)를 통해 해당 교통 신호기가 위치한 교차로의 우선 진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우선 진입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160)로 표시하고, 가속 페달(150)을 구동시켜 해당 차량이 교차로를 우선적으로 진입 통과할 수 있도록 차량의 속도를 가속하거나, 해당 차량이 교차로를 후순위로 진입 통과할 수 있도록 차량의 속도를 감속한다.
이때 신호 제어기(200)는 교통 신호기를 제어하는 점등 제어신호와 차량과의 통신으로 취득되는 정보에 의해 판단되는 교차로를 진입하는 차량의 유무와 차량과 교차로와의 거리 및 차량의 속도 등에 의해 각 차량의 교차로 진입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위의 실시 예에서, ECU(140)는 신호 제어기(200)에 의해 교차로에 위치한 교통 신호기가 적색으로 점등되고 속도센서(130)에 의해 차량이 정지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시동장치(170)를 구동시켜 차량의 엔진을 끄고, 트랜시버(110)를 통해 신호 제어기(200)로부터 수신되는 교통 신호기 점등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교통 신호기가 녹색으로 바뀌기 3∼4초 전에 상기 시동장치(170)를 구동시켜 차량의 엔진을 켬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다시 걸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통 신호기가 녹색으로 바뀌고 나서 지체 없이 교차로를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어느 한 신호 제어기(200)가 관할하는 구간을 통과하는 차량이 자율주행차이고, 이 자율주행차에 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고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었을 경우에, 신호 제어기(200)에는 다른 차량 또는 인접한 구간에 설치된 또 다른 교통 신호기(200)에 해당 사고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의 자율주행차에는 차량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사고를 인지할 수 있는 장치가 탑재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장치에 의해 신호 제어기에 연동해서 차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 2에 의해 설명한다.
먼저, 차량에 탑재된 ECU(140)는 주행하고자 하는 도로에 위치한 신호 제어기(200)와의 무선 통신으로 트랜시버(110)를 통해 교통 신호기의 점등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된다(S11). 이때 ECU(140)는 다른 차량과의 무선 통신으로 해당 차량의 사고 정보, 위치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ECU(140)는 수신부(120)를 통해 해당 차량에 탑재된 GPS 수신기(310)나 네비게이션 시스템(320)으로터 해당 차량의 위치정보와 함께 교통 신호기의 위치정보와 주행하고자 하는 도로의 제한 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S12). 여기서, 주행하고자 하는 도로라 함은 전방의 직진도로 혹은 네비게이션 시스템(320)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도로 등을 말한다.
그리고 ECU(140)는 속도센서(130)에 의해 차량의 현재속도를 감지하게 된다(S13).
이렇게 신호 제어기(200)로부터 교통 신호기의 점등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차량의 위치정보와 교통 신호기의 위치정보, 도로의 제한속도를 수신하며, 속도센서(130)에 의해 차량의 현재 속도를 감지한 ECU(140)는 주행하고자 하는 도로에서 만나는 교통 신호기가 녹색으로 점등되는 동안 해당 교통 신호기가 위치한 교차로를 통과할 수 있는 차량의 속도를 연산하게 된다(S14).
그 결과, 교통 신호기가 녹색으로 점등되어 있는 동안 제한 속도 이내의 속도로 해당 교차로를 통과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ECU(140)는 가속 페달부(150)를 구동시켜 차량의 속도를 가속시키지만, 교통 신호기가 녹색으로 점등되어 있는 동안 해당 교차로를 통과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가속 페달부(150)를 구동시켜 차량의 속도를 연료소비를 줄일 수 있는 속도로 감속시키게 된다(S15).
물론, 차량의 속도를 가속 또는 감속할 때 해당 차량의 주변에서 주행중인 다른 차량을 감안해야 함은 당연하다.
특히, 위와 같이 ECU(140)의 제어로 차량의 속도를 가속 또는 감속시키기 전 혹은 가속 또는 감속시키면서 차량의 가속 또는 감속상태가 표시부(160)를 통해 표시됨으로써, 운전자는 차량의 가속 또는 감속에 대처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차량의 교차로 통과를 위해 속도를 조절하면서 신호 제어기(200)로부터 수신되는 교통 신호기의 점등 제어신호에 의해 진입하고자 하는 교차로의 교통 신호기가 점멸상태를 유지(S17)하는 경우, ECU(140)는 신호 제어기(200)로부터 트랜시버(110)를 통해 해당 교통 신호기가 위치한 교차로의 우선 진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가속 페달(150)을 구동시켜 해당 차량이 교차로를 우선적으로 진입 통과할 수 있도록 차량의 속도를 가속하거나, 해당 차량이 교차로를 후순위로 진입 통과할 수 있도록 차량의 속도를 감속하게 된다(S18).
이때 신호 제어기(200)는 교통 신호기를 제어하는 점등 제어신호와 차량과의 통신으로 취득되는 정보에 의해 판단되는 교차로를 진입하는 차량의 유무와 차량과 교차로와의 거리 및 차량의 속도 등에 의해 각 차량의 교차로 진입 우선 순위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신호 제어기(200)에 의해 교차로에 위치한 교통 신호기가 적색으로 점등되고 속도센서(130)에 의해 차량이 정지한 것으로 판단(S19)되는 경우, ECU(140)는 시동장치(170)를 구동시켜 차량의 엔진을 끄고, 트랜시버(110)를 통해 신호 제어기(200)로부터 수신되는 교통 신호기 점등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교통 신호기가 녹색으로 바뀌기 3∼4초 전(S20)에 상기 시동장치(170)를 구동시켜 차량의 엔진을 켜게 된다(S21).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시스템의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러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해석함에 있어 한정 해석해서는 아니 된다.
110 : 트랜시버 120 : 수신부
130 : 속도센서 140 : ECU
150 : 가속 페달부 160 : 표시부
170 : 시동장치 200 : 신호 제어기
310 : GPS 수신기 320 : 네비게이션 시스템

Claims (13)

  1. 주행하고자 하는 도로에 위치한 신호 제어기와의 무선 통신으로 교통 신호기의 점등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트랜시버;
    GPS 수신기나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터 차량과 교통 신호기의 위치정보와 주행하고자 하는 도로의 제한 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차량의 현재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
    상기 신호 제어기로부터의 교통 신호기의 점등 제어신호,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차량과 교통 신호기의 위치정보, 도로의 제한속도 및 상기 속도센서의 차량의 현재 속도를 분석하여, 주행하고자 하는 도로에서 만나는 교통 신호기가 녹색으로 점등되는 동안 해당 교통 신호기가 위치한 교차로를 통과할 수 있는 차량의 속도를 연산하는 ECU; 및
    상기 ECU의 제어로 차량의 속도를 조절하는 가속 페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CU의 제어로 조절되는 차량 속도의 가감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CU는 차량 속도를 해당 도로의 제한속도까지만 가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기가 관할하는 구간을 통과하는 차량이 자율주행차이고, 상기 자율주행차에 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고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었을 경우에, 상기 신호 제어기에는 다른 차량 또는 인접한 구간에 설치된 또 다른 신호 제어기에 상기 사고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기의 제어로 교통 신호기가 점멸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ECU는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차량의 위치정보와 현재속도를 무선 송출하고, 상기 신호 제어기로부터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해당 교통 신호기가 위치한 교차로의 우선 진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우선 진입에 대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로 표시하고 상기 가속 페달부를 구동시켜 차량의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기의 제어로 교통 신호기가 적색으로 점등되고 상기 속도센서에 의해 차량이 정지한 경우,
    상기 ECU는 시동장치를 구동시켜 차량의 엔진을 끄고,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신호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교통 신호기 점등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교통 신호기가 녹색으로 점등되기 일정시간 전에 상기 시동장치를 구동시켜 차량의 엔진을 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ECU는 엔진의 꺼짐과 켜짐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장치.
  8. a) ECU가 트랜시버를 매개로 하는 주행하고자 하는 도로에 위치한 신호 제어기와의 무선 통신으로 교통 신호기의 점등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ECU가 수신부를 통해 GPS 수신기나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터 차량과 교통 신호기의 위치정보와 주행하고자 하는 도로의 제한 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ECU가 속도센서를 통해 차량의 현재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d) 상기 ECU가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신호 제어기로부터의 교통 신호기의 점등 제어신호,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차량과 교통 신호기의 위치정보, 도로의 제한속도 및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속도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차량의 현재 속도를 분석하여, 주행하고자 하는 도로에서 만나는 교통 신호기가 녹색으로 점등되는 동안 해당 교통 신호기가 위치한 교차로를 통과할 수 있는 차량의 속도를 연산하는 단계; 및
    e) 상기 ECU가 가속 페달부를 구동시켜 차량의 속도로 상기 d) 단계에서 연상된 차량의 속도로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ECU가 차량의 현재속도에서 가감되는 차량의 속도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ECU는 차량 속도를 해당 도로의 제한속도까지만 가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기의 제어로 교통 신호기가 점멸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ECU는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차량의 위치정보와 현재속도를 무선 송출하고, 상기 신호 제어기로부터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해당 교통 신호기가 위치한 교차로의 우선 진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우선 진입에 대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로 표시하고 상기 가속 페달부를 구동시켜 차량의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방법.
  12.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기의 제어로 교통 신호기가 적색으로 점등되고 상기 속도센서에 의해 차량이 정지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ECU는 시동장치를 구동시켜 차량의 엔진을 끄고,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신호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교통 신호기 점등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교통 신호기가 녹색으로 점등되기 일정시간 전에 상기 시동장치를 구동시켜 차량의 엔진을 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ECU는 엔진의 꺼짐과 켜짐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방법.
KR1020160182706A 2016-12-29 2016-12-29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시스템 KR101945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706A KR101945280B1 (ko) 2016-12-29 2016-12-29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706A KR101945280B1 (ko) 2016-12-29 2016-12-29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883A true KR20180077883A (ko) 2018-07-09
KR101945280B1 KR101945280B1 (ko) 2019-02-07

Family

ID=62919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706A KR101945280B1 (ko) 2016-12-29 2016-12-29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2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73473A (zh) * 2020-11-17 2021-02-19 江苏众星摩托有限公司 一种自动驾驶的电动车
KR20230066132A (ko) * 2020-11-02 2023-05-12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아게 자율주행차량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54722A1 (en) * 2019-05-22 2021-11-18 Lg Electronics Inc. Autonomous vehicle and driv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CN111731288A (zh) * 2020-06-24 2020-10-02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定速控制方法、控制系统及车辆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4294A (ja) * 1991-08-21 1993-03-05 Omron Corp 交差点情報通信装置
JPH0986223A (ja) * 1995-09-22 1997-03-31 Mitsubishi Motors Corp 自動運転装置
KR20090100497A (ko) * 2008-03-20 2009-09-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회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2133450A (ja) * 2010-12-20 2012-07-12 Ud Trucks Corp 車両の走行制御装置
KR101350357B1 (ko) * 2012-09-10 2014-01-24 한국교통연구원 노변 장치 및 그 노변 장치를 이용한 교통신호 제어 방법
JP2014032544A (ja) * 2012-08-03 2014-02-20 Nissan Motor Co Ltd 車両運転支援装置及び車両運転支援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4294A (ja) * 1991-08-21 1993-03-05 Omron Corp 交差点情報通信装置
JPH0986223A (ja) * 1995-09-22 1997-03-31 Mitsubishi Motors Corp 自動運転装置
KR20090100497A (ko) * 2008-03-20 2009-09-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회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2133450A (ja) * 2010-12-20 2012-07-12 Ud Trucks Corp 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2014032544A (ja) * 2012-08-03 2014-02-20 Nissan Motor Co Ltd 車両運転支援装置及び車両運転支援方法
KR101350357B1 (ko) * 2012-09-10 2014-01-24 한국교통연구원 노변 장치 및 그 노변 장치를 이용한 교통신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6132A (ko) * 2020-11-02 2023-05-12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아게 자율주행차량의 제어 방법
CN112373473A (zh) * 2020-11-17 2021-02-19 江苏众星摩托有限公司 一种自动驾驶的电动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280B1 (ko)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509343B (zh) 基于车路协同的路侧式导行方法及系统
JP5003465B2 (ja) 運転支援システム、路上通信装置、および、情報提供装置
EP2088570B1 (en) Driving support device and driving support method
KR101945280B1 (ko) 신호 제어기에 연동되는 차량 제어시스템
JP7276130B2 (ja) 車載制御装置、走行速度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61797B2 (ja) 交通システム、車両および交通信号制御機
US10991246B2 (en) Driving assistance system for vehicle
JP5445371B2 (ja) 運転支援車載装置及び路車間通信システム
JP2011118463A (ja)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988785B2 (ja) 運転支援装置
JP2014032544A (ja) 車両運転支援装置及び車両運転支援方法
JP2008276497A (ja) 路上通信システム、路車間通信システム、車載機、車両および交通信号制御機
JP5486254B2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CN111615478B (zh) 自动驾驶车辆的控制方法以及控制装置
CN111762167B (zh) 车辆用驾驶辅助装置
JP4967990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車両
JP2009086780A (ja) 交通システム、信号制御装置、および、交通信号制御機
JP6860757B2 (ja) 交差点通過制御システム
JP2008269481A (ja) 運転支援システム及び車載運転支援装置
JP5640576B2 (ja) 走行支援装置、及び走行支援システム
JP4715788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車両
JP5664129B2 (ja) 車両位置情報出力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た路側装置
CN115410393B (zh) 警报器控制方法、信息处理装置及非暂时性的计算机可读介质
JP5071893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車両
JP2009205560A (ja) 交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