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0300A - 화상처리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0300A
KR20090100300A KR1020090023081A KR20090023081A KR20090100300A KR 20090100300 A KR20090100300 A KR 20090100300A KR 1020090023081 A KR1020090023081 A KR 1020090023081A KR 20090023081 A KR20090023081 A KR 20090023081A KR 20090100300 A KR20090100300 A KR 20090100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screen
displayed
operation signal
scre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1240B1 (ko
Inventor
노부유키 후지와라
토시하루 야베
다이스케 네기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0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e.g. for requesting a higher resolution version of a selected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화상처리장치(image processing apparatus)는, 하나의 표시면(display surface)에 복수의 화면(screen)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신호(image signals)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부(generation unit)와,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신호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조작신호 취득부(operation signal acquisition unit) 및 화면을 스케일링(scale)하기 위해 복수의 화면에 공통인 조작신호가 사용자로부터 취득되었을 경우, 복수의 화면 중 포커스된(focused) 하나의 화면을 스케일링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처리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2008년 3월 18일자로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특허문헌 JP 2008-068850호에 관련된 주제와, 참조로서 여기에 포함된 모든 내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화상처리장치와 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원하는 화면이 신속하게 스케일링될 수 있는 화상처리장치와 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에 있어서, 많은 채널의 화상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많은 채널의 화상신호(image sinals) 중에서 원하는 채널의 화상신호를 선택하고 그 화상을 즐길 수 있다.
일반적으로, 채널의 선택은, 장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함으로써 수행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JP-A-2007-89088)).
리모트 컨트롤러에는 특정한 기능이 할당된 많은 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버튼과 기능이 서로 1대 1로 대응되면, 확실한 조작(reliable operation)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복수의 표시화면(display screen) 중 특정한 화면이 확대되어 표시되는 경우, 각 화면에 대한 전용의 확대버튼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그처럼 하면, 버튼의 수가 많아지고, 리모트 컨트롤러가 커지게 되며,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을 신속하게 확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상기한 상황의 관점에서, 원하는 화면을 신속하게 스케일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표시면(display surface)에 복수의 화면(screen)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신호(image signals)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부(generation unit)와,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신호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조작신호 취득부(operation signal acquisition unit) 및 화면을 스케일링(scale)하기 위해 복수의 화면에 공통인 조작신호가 사용자로부터 취득되었을 경우, 복수의 화면 중 포커스된(focused) 하나의 화면을 스케일링하도록 구성된 제어부(15)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가 제공된다.
상기 공통인 조작신호는, 상기 화면의 전체화면 표시(full-screen display)를 지시(instruct)하기 위한 신호이며, 상기 제어부는, 포커스 되어 있지 않은 화 면을 소거(erase)하고 포커스된 화면을 전체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면은, 복수의 다른 동화상(moving image)의 썸네일 화상(thumnbnail image)을 표시하기 위한 서브 표시영역(sub display area)의 화면 및 상기 서브 표시영역의 화면으로부터 선택된 1개의 서브 표시영역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메인 표시영역(main display area)의 화면을 포함한다.
상기 화면이 전체화면으로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공통인 조작신호가 취득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체화면 표시를 해제하고, 다시 복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화면이 전체화면으로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화상을 스케일링하기 위한 조작신호가 사용자로부터 취득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화상을 스케일링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화면이 전체화면으로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화상을 이동하기 위한 조작신호가 취득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화상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서브 표시영역의 화면이 전체화면으로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1개의 서브 표시영역의 선택을 결정하기 위한 조작신호가 취득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상기 서브 표시영역의 상기 화면을 스케일링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표시영역과 상기 서브 표시영역의 화면을 동기하여(synchronously) 스케일링하기 위한 조작신호가 취득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한쪽의 표시영역의 상기 화면의 확대에 동기하여 다른 쪽의 표시영역의 상기 화면을 축소할 수 있다.
텍스트정보 표시모드(text information display mode)로 전환(switch)하기 위한 조작신호가 취득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텍스트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 상기 메인 표시영역과 상기 서브 표시영역의 양쪽 모두의 화면에 표시되는 모드, 상기 서브 표시영역의 화면에만 표시되는 모드 및 어느 쪽의 화면에도 표시되지 않는 모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프로그레스바(progress bar) 표시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조작신호가 취득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그레스바를 표시하는 영역이 상기 메인 표시영역과 상기 서브 표시영역의 양쪽 모두의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모드,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화면에만 표시되는 모드 및 양쪽 모두의 화면에 표시되는 모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방송신호(broadcast signals)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복수의 썸네일 화상의 근원(origin)으로서 복수의 다른 화상신호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화상신호 취득부(image signal acquisition unit)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1개의 표시면에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부와,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조작신호 취득부가 설치되고, 화면을 스케일링하기 위해 복수의 화면에 공통인 조작신호가 사용자로부터 취득되었을 경우, 상기 복수의 화면 중 포커스된 하나의 화면이 스케일링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하는 화면이 신속하게 스케일링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image processing apparatus)의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화상처리장치(1)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operation unit)(2)로부터의 조작신호(operation signal)에 근거하여 특정한 처리를 수행하고 표시부(display unit)(3)에 화상을 표시한다. 조작부(2)는, 예를 들면,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물론, 조작부(2)는 화상처리장치(1)의 본체에 장착된 각종 버튼 및 스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부(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CRT(Cathode Ray Tube),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또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1개의 표시면(display surface)(4)에 화면을 표시한다. 표시부(3)는 음성(sound)을 출력하는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도 내장(incorporate)하고 있다.
화상처리장치(1) 및 표시부(3)는 텔레비전 수상기와 같이 일체로(integrally) 구성될 수도 있고, 튜너(tuner) 및 디스플레이와 같이 별도로(separately) 구성될 수도 있다.
화상처리장치(1)는 화상신호 취득부(image signal acquisition unit)(11), 처리부(processing unit)(12), 스케일링부(scaling unit)(13), 생성부(generation unit)(14), 제어부(control unit)(15), 조작신호 취득부(operation signal acquisition unit)(16) 및 기록부(recording unit)(17)를 포함한다. 기록부(17)의 전부 또는 일부는 화상신호 처리장치(1)의 본체와는 별체(separate body)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화상신호 취득부(11)는 복수의 수신부(reception unit)(31-1 내지 31-9)와, 복수의 통신부(communication unit)(32-1 내지 32-9)를 포함한다. 처리부(12)는 복수의 인코더/디코더(encoder/decoder)(41-1 내지 41-9)를 포함한다. 이하, 각 부를 각각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이들을 간단히 수신부(31), 통신부(32) 또는 인코더/디코더(41)라 한다. 다른 부분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수신부(31-1 내지 31-9)는, 각각 지상파(ground waves), 위성방송(satellite broadcasting), 통신위성(communication satellites) 또는 케이블(cables)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신호로부터 다른 채널의 화상신호를 독립적으로(independently) 또 동시에(simultaneously) 수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인코더/디코더(41-1 내지 41-9)는 수신부(31-1 내지 31-9)에 의해 수신된 화상신호를 동시에 그리고 독립적으로 디코드하고, 스케일링부(13)에 출력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총 9개 채널의 컨텐츠의 화상신호가 동시에 취득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수는 임의의 것이며, 9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코더/디코더(41-1 내지 41-9)는 또한, 기록부(17)에 기록되는 화상신호를 인코드하는 기능도 가진다. 기록부(17)에 의해 재생된 화상신호는 인코더/디코더(41-1 내지 41-9)에 의해 디코드되어 스케일링부(13)에 출력된다.
통신부(communication unit)(32-1 내지 32-9)는, 인터넷으로 대표되는(typified) 각종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화상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다른 9개의 컨텐츠의 화상신호가 취득될 수 있다.
스케일링부(13)는 처리부(12)의 인코더/디코더(41-1 내지 41-9)에 의해 디코드된 9개 채널의 컨텐츠의 화상신호의 각각을 스케일링하고, 동영상의 썸네일 화상의 화상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부(14)는, 1개의 표시면(4)에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표시영역과 서브 표시영역의 2화면의 화상신호가 생성된다(표시영역에 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생성부(14)는, 생성한 화상신호를 표시부(3)에 출력하고, 대응하는 화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15)는, 화상신호 취득부(11), 처리부(12), 스케일링부(13), 생성부(14) 및 기록부(17)의 각 동작을 제어한다.
조작신호 취득부(16)는 사용자가 조작부(2)를 조작할 때 조작부(2)로부터 적외선 신호(infrared signals) 등을 통하여 공급되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신호를 취득한다. 취득된 조작신호는 제어부(15)에 공급된다. 제어부(15)는 이 조작신호에 근거하여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기록부(17)는 하드디스크(hard disk), 광디스크(optical disk), 광학 자기디스크(magneto-optical disk) 또는 고체 메모리(solid-state memory)를 포함하고, 화상신호 취득부(11)에 의해 취득된 화상신호를 기록한다. 기록부(17)는 필요하 면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2)로서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파지부(grip part)(100L, 100R)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된다. 이동버튼(movement button)(101)은 커서와 같은 이동대상(movement object)이 상, 하, 좌, 우로 이동될 때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좌측의 파지부(left grip part)(100L)의 단부(end)에 배치되어 있는 L1 버튼(102)과 우측의 파지부(right grip button)(100R)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R1 버튼(103)은 각각 음량(volume)이 증가 또는 감소될 때 조작된다.
L1 버튼(102)의 아래(below)(도 2에 있어서 지면(paper surface)의 뒷면(back surface) 방향)에 배치되어 있는 L2 버튼(104)과 R1 버튼(103)의 아래(도 2에 있어서 지면의 뒷면 방향)에 배치되어 있는 R2 버튼(105)은 좌우 2화면 사이즈비율 변경버튼(right and left two-screen-size ratio change button)으로서 기능한다. L2 버튼(104)은 표시면의 좌측에 위치되는 메인 표시영역의 화면이 크게 스케일링(scaled up)될 때 조작되고, R2 버튼(105)은 표시면의 우측에 위치되는 서브 표시영역의 화면이 크게 스케일링될 때 조작된다.
셀렉트 버튼(select button)(106)은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 전환버튼(progress bar display mode switching button)으로서 기능하고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가 전환될 때 조작된다. 시작 버튼(start button)(107)은 시나리오가 변경될 때 조작된다. 세모 버튼(triangle mark button)(108)은, 텍스트정보 표시모드 전환버튼으로서 기능하고, 텍스트정보 표시모드가 전환될 때 조작된다. 네 모 버튼(square mark button)(109)은 전체화면표시 전환버튼으로서 기능하고, 메인 표시영역과 서브 표시영역의 화상에 대하여 공통으로 사용되는 버튼이며, 전체화면표시가 지시되거나 또는 그 종료가 지시될 때 조작된다.
X 버튼(x mark button)(110)은 화면이 복귀(return)될 때 조작된다. 동그라미 버튼(circle mark button)(111)은 결정버튼(decision button)으로서 기능하고, 서브 표시영역에서 전체화면으로 표시될 썸네일 화상을 선택할 때 조작된다. 아날로그 스틱(analog stick)(112L)은 좌측에 위치된 메인 표시영역의 화상이 확대(enlarge)될 때 좌측으로 기울이도록 조작되고, 우측에 위치된 서브 표시영역의 화상이 확대될 때 우측으로 기울이도록 조작된다. 또한, 아날로그 스틱(112L)은 메인 표시영역에서 확대된 화상의 중심 위치(center position)가 변경될 때 조작된다. 아날로그 스틱(112R)은 전체화면으로 표시되고 있는 메인 표시영역의 화상의 확대비율(enlargement ratio)이 변경될 때 조작된다.
다음으로, 도 3의 플로차트(flow chart)를 참조하여, 화상처리장치(1)에 의해 수행되는 화상표시 제어처리(image display control process)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처리는 화상신호의 취득이 지시되었을 때 개시된다.
단계(S1)에서, 제어부(15)는 디폴트(default)에 의해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폴트 상태는,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이 표시부(3)의 하나의 표시면(4)의 좌측에 표시되고 같은 크기를 가지는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이 우측에 표시된 상태이다.
서브 표시영역(205)은 매트릭스형태로 9개(3×3개)의 표시 서브영역(display sub area)(204-1 내지 204-9)으로 구분되어(divided) 있고, 독립된 동화상이 각 영역에 멀티 타일 뷰(multi-tile view)(203)로서 표시된다.
즉, 수신부(31-1 내지 31-9)에 의해 동시에 수신된 다른 채널의 화상신호는 인코더/디코더(41-1 내지 41-9)에 의해 디코드 된다. 스케일링부(13)는 이러한 9개의 화상신호를 스케일링(이 경우는, 축소)하고, 썸네일 화상의 화상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스케일링부(13)는 9개의 썸네일 화상으로부터 선택된 썸네일 화상의 채널의 화상신호로부터, 메인 표시영역(202)에 메인 동영상 뷰(main moving image view)(201)로서 표시되는 화상의 화상신호를 형성한다. 이 경우, 디폴트의 위치에서 좌측 위(upper left) 서브 표시영역(204-1)의 화면의 화상신호가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의 화상신호를 구성한다.
생성부(14)는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의 화상신호와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의 화상신호로부터 1개의 표시면(4)의 화상신호를 생성하고, 그것을 표시부(3)에 출력한다. 그 결과, 9개(예를 들면, 아날로그 방송에 있어서, 1, 3, 4, 6, 8, 10, 12, 14, 16 채널)의 다른 동영상의 썸네일 화상이 서브 표시영역(205)에 표시되고, 그 중에서 선택된 1개의 동화상이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의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덧붙여, 기록부(17)에 일단 기록된 9개의 다른 화상신호는 썸네일 화상을 서브 표시영역(204)에 표시하기 위해 재생되고, 그 중에서 선택된 화상이 또한 메인 표시영역(202)에 표시될 수도 있다.
단계(S2)에서, 제어부(15)는 좌우 2화면 사이즈 비율의 변경이 지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즉, 좌측의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의 사이즈와 우측의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의 사이즈의 비율이 변경될 때, 사용자는 L2 버튼(104) 또는 R2 버튼(105)을 조작한다.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의 사이즈가 확대될 때, L2 버튼(104)이 조작되고, 우측의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의 사이즈가 확대될 때, R2 버튼(105)이 조작된다.
좌우 2화면의 사이즈의 비율의 변경이 지시되었을 경우(L2 버튼(104) 또는 R2 버튼(105)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을 경우), 좌우 2화면 사이즈비율 변경처리가 단계(S3)에서 실행된다.
즉, 도 5의 중단(middle part)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의 사이즈가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의 사이즈와 동일한 상태에서 L2 버튼(104)이 조작되었을 경우는, 상단(upper part)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의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의 사이즈가 확대되고, 그것과 동기하여 우측의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의 사이즈가 축소된다.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의 사이즈가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의 사이즈와 동일한 상태에서 R2 버튼(105)이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하단(lower part)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의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의 사이즈가 확대되고, 그것과 동기하여 좌측의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의 사이즈가 축소된다. 그 상세한 내용은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단계(S3)의 처리 후, 처리는 단계(S2)로 돌아가고,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S2)에서, 좌우 2화면 사이즈 비율의 변경이 지시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단계(S4)에서, 제어부(15)는 텍스트정보 표시모드의 변경이 지시되었는지 아닌 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텍스트정보 표시모드의 변경을 지시하는 텍스트정보 표시모드 전환버튼으로서의 세모 버튼(108)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는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텍스트정보 표시모드의 변경이 지시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단계(S5)에서 텍스트정보 표시모드 변경처리가 수행된다. 즉,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텍스트정보 표시모드는, 텍스트정보 표시영역으로서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content metadata display area)(221)이 메인 표시영역(202)에 표시되고, 텍스트정보 표시영역으로서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222)이 서브 표시영역(205)에 표시되는 모드(도 6의 상단에 나타낸 모드),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이 메인 표시영역(202)에는 표시되지 않고,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222)이 서브 표시영역(205)에만 표시되는 모드(도 6의 중단에 나타낸 모드), 그리고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의 어느 것에도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이 표시되지 않는 모드(도 6의 하단에 나타낸 모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3개의 모드는 세모 버튼(108)의 조작신호가 취득될 때마다 순차적 및 순환적으로 천이(sequentially and circularly transition)한다. 그 상세한 내용은 도 1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단계(S5)의 처리 후, 처리는 단계(S4)로 돌아가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S4)에서, 텍스트정보 표시모드의 변경이 지시되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단계(S6)에서, 제어부(15)는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의 변경이 지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를 지시하기 위한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 전환버튼으로서의 셀렉트 버튼(106)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는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의 변경이 지시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단계(S7)에서,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 변경처리가 수행된다. 즉,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는, 메인 표시영역(202)에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231)이 표시되고, 서브 표시영역(205)에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232)이 표시되는 모드(도 7의 하단에 나타낸 모드),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의 어느 것에도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이 표시되지 않는 모드(도 7의 상단에 나타낸 모드), 그리고 메인 표시영역(202)에는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231)이 표시되고, 서브 표시영역(205)에는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이 표시되지 않는 모드(도 7의 중단에 나타낸 모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3개의 모드는 셀렉트 버튼(106)의 조작신호가 취득될 때마다 순차적 및 순환적으로 천이한다. 그 상세한 내용은,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단계(S7)의 처리 후, 처리는 단계(S6)로 돌아가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S6)에서,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의 변경이 지시되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단계(S8)에서, 제어부(15)는 각 표시영역에 공통인 스케일링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에 공통인 스케일링의 지시에 이용되는 버튼은 전체화면표시 전환버튼 으로서의 네모 버튼(109)이다. 그러므로, 네모 버튼(109)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는지가 판정된다.
네모 버튼(109)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을 경우, 단계(S9)에서, 제어부(15)는 메인 표시영역이 포커스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메인 표시영역(202)이 포커스되어 있는지 아닌지는, 예를 들면, 커서가 메인 표시영역(202)에 위치하고 있는지에 의해 판정될 수 있다. 이 점에 대하여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메인 표시영역(202)이 포커스되어 있는 경우, 단계(S10)에서, 제어부(15)는 메인 표시영역 전체화면 표시 처리를 수행한다. 즉,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202)이 포커스되어 있는 상태로,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에 공통인 스케일링의 지시에 이용되는 네모 버튼(109)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을 경우에는,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의 표시는 소거되고(erased),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이 표시면(4)의 화면 전체에 크게 표시된다. 그 상세한 내용은 도 2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단계(S9)에서, 메인 표시영역(202)이 포커스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단계(S11)에서, 제어부(15)는 서브 표시영역이 포커스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또한, 이 경우에도, 서브 표시영역(205)에 커서가 위치하고 있으면, 서브 표시영역(205)이 포커스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된다.
서브 표시영역(205)이 포커스되어 있는 경우, 단계(S12)에서, 제어부(15)는 서브 표시영역 전체화면 표시 처리를 수행한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표시영역(205)이 포커스되어 있는 상태로,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 역(205)에 공통인 스케일링의 지시에 이용되는 네모 버튼(109)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을 경우에는,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의 표시는 소거되고,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이 표시면(4)의 화면 전체에 크게 표시된다. 그 상세한 내용은 도 2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단계(S8)에서, 각 표시영역에 공통인 스케일링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단계(S10)의 처리 후, 단계(S12)의 처리 후, 또는 단계(S11)에서 서브 표시영역이 포커스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제어부(15)는 단계(S13)에서 전원이 오프 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전원이 오프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단계(S2)로 돌아가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전원이 오프 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종료된다.
여기서,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화상으로부터 사용자가 특정한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도 10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S51)에서, 제어부(15)는 조작신호 취득부(16)로부터 버튼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조작신호가 취득되지 않은 경우, 신호가 취득될 때까지 판정처리가 반복된다. 조작신호가 취득되었을 경우, 제어부(15)는 단계(S52)에서 커서를 표시한다. 도 11은 이러한 방식으로 커서(251)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3×3개의 멀티타일뷰(203)의 중앙의 서브 표시영역(204-5)의 위치가 커서(251)가 표시되는 디폴트 위치이다.
단계(S53)에서, 제어부(15)는 이동버튼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즉, 커서(251)가 이동될 때 이동버튼(101)이 조작되므로, 그 조작신호가 취 득되었는지가 판정된다.
이동버튼(101)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을 경우, 제어부(15)는 단계(S54)에서 커서가 이동 가능한지를 판정한다. 커서가 이동 가능하면, 제어부(15)는 단계(S55)에서 커서를 이동한다. 반면, 커서(251)를 이동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커서(251)는 이동되지 않는다.
단계(S55)의 처리 후, 또는 단계(S54)에서 커서(251)를 이동하는 것이 어렵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S53)로 돌아가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예를 들면, 도 11의 상태에서, 우측 방향으로 커서(251)의 이동이 지시되었을 경우, 커서(251)는 우측의 서브 표시영역(204-6)으로 이동된다. 그 상태에서 오른쪽으로의 이동이 추가로 지시되었을 경우, 우측에는 이동처(movement destination)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커서(251)를 이동하기 어렵다고 판단되고, 커서는 이동되지 않는다.
도 11의 상태에서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지시되면, 커서(251)는 서브 표시영역(204-4)의 위치로 이동되고, 그 위치에서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추가로 지시되면, 커서(251)는 메인 표시영역(202)으로 이동된다. 메인 표시영역(202)의 내부에 상, 하, 좌, 우로의 이동처가 존재하는 경우, 커서는 각각의 위치로 이동된다.
단계(S53)에서, 이동버튼(251)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단계(S56)에서, 제어부(15)는, 결정버튼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결정버튼은 동그라미 버튼(111)이다. 예를 들면, 커서(251)가 특정한 위치까지 이동되고 그 위치의 화상이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는 결정버튼으로서의 동그라미 버튼(111)을 조작하여 선택을 확정한다.
단계(S56)에서, 동그라미 버튼(111)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단계(S57)에서, 제어부(15)는, 커서가 위치된 화상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상태에서 동그라미 버튼(111)이 조작되었을 경우, 서브 표시영역(204-5)의 썸네일 화상이 선택되고, 메인 표시영역(202)에 표시된다. 텍스트정보 표시모드 또는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221) 또는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231)에 대응하는 텍스트정보나 프로그레스바가 표시된다. 덧붙여, 서브 표시영역(204-5)의 썸네일 화상의 표시는 그대로 계속된다.
단계(S56)에서, 동그라미 버튼(111)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또는 단계(S57)의 처리 후, 처리는 단계(S53)로 돌아가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제어부(15)는,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 중 커서(251)가 표시되고 있는 것이 사용자에 의해 현재 포커스되어 있는 표시영역인 것으로 판정한다.
다음으로, 도 2의 단계(S3)의 좌우 2화면 사이즈비율 변경처리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L2 버튼(104)은 좌측에 위치된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이 확대되고, 그것과 동기하여 우측에 위치된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이 축소되도록 스케일링이 수행될 때 조작되는 버튼이다. R2 버튼(105)은 우측에 위치된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이 확대되고, 그것과 동기하여 좌측에 위치된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이 축소되도록 스케일링이 수행될 때 조작되는 버튼이다. 즉, L2 버튼(104)의 조작신호는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과 동기하여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을 스케일링하기 위한 개별의(individual) 조작신호이다. R2 버튼(105)의 조작신호는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과 동기하여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을 스케일링하기 위한 개별의 조작신호이다.
단계(S81)에서, 제어부(15)는 L2 버튼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는지를 판정한다. L2 버튼(104)의 개별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을 경우, 단계(S82)에서, 제어부(15)는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이 최대인지를 판정한다. 화면이 최대가 아닌 경우, 단계(S83)에서, 제어부(15)는 왼쪽 화면을 큰 사이즈로 스케일링하고, 그것과 동기하여 오른쪽 화면을 작은 사이즈로 스케일링한다. 구체적으로는, 좌측에 위치된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이 확대되고, 그것과 동기하여 우측에 위치된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이 축소된다.
사용자가 L2 버튼(104)를 조작하고 있는 동안, 스케일링이 수행되고, 조작이 중지되면, 스케일링이 중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L2 버튼(104)의 조작 기간(operation period)을 조정함으로써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의 사이즈를 임의의 크기로 조정할 수 있다.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이 이미 최대인 경우, 화면을 더 이상 확대하기 어려우므로, 단계(S83)의 처리는 수행되지 않는다.
단계(S83)의 처리 후, 또는 단계(S82)에서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이 최 대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S81)로 돌아가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상기 처리는 또한 아날로그 스틱(112L)을 좌측으로 기울이는 조작신호가 취득되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수행된다.
단계(S81)에서, L2 버튼(104)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단계(S84)에서, 제어부(15)는 R2버튼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는지를 판정한다. R2 버튼(105)의 개별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을 경우, 단계(S85)에서, 제어부(15)는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이 최대인지를 판정한다. 화면이 최대가 아닌 경우, 단계(S86)에서, 제어부(15)는 오른쪽 화면을 큰 사이즈로 스케일링하고, 그것과 동기하여 왼쪽 화면을 작은 사이즈로 스케일링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측에 위치된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이 확대되고, 그것과 동기하여 좌측에 위치된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이 축소된다. 사용자가 R2 버튼(105)을 조작하고 있는 동안, 스케일링이 수행되고, 조작이 중지되면, 스케일링이 중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R2 버튼(105)의 조작 기간을 조정함으로써 서브 표시영역(205)의 사이즈를 임의의 크기로 조정할 수 있다.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이 이미 최대인 경우, 더 이상 확대하기 어려우므로, 단계(S86)의 처리는 수행되지 않는다.
단계(S86)의 처리 후, 또는 단계(S85)에서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이 최대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S84)로 돌아가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202)은 최대 사이즈의 메인 표시영역(202A)와 최소 사이즈의 메인 표시영역(202B) 사이의 임의의 사이즈를 가진다. 도 13에 있어서, 서브 표시영역(205)은 생략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표시영역(205)은 최대 사이즈의 서브 표시영역(205B)의 화면과 최소 사이즈의 서브 표시영역(205A)의 화면 사이의 임의의 사이즈를 가진다. 도 14에 있어서, 메인 표시영역(202)은 생략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단계(S84 내지 S86)의 처리는, 아날로그 스틱(112L)을 우측으로 기울이는 조작신호가 취득되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수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과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이 각각의 조작에 따라 독립적으로 스케일링 되는 것뿐만 아니라, 한쪽이 확대되면 다른 쪽이 축소되도록 서로 연동하여 스케일링 된다. 따라서 2개의 서로 화면이 겹쳐서 보기 어려워지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사용자는 2개의 화면에 각각 표시되는 2개의 컨텐츠를 동시에 병행하여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필요할 때 임의의 타이밍에 간단한 조작으로 두 개의 컨텐츠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즐길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도 3의 단계(S5)의 텍스트정보 표시모드 처리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의 처리는 도 3의 단계(S4)에서 텍스트정보 표시모드의 변경이 지시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수행된다.
단계(S101)에서, 제어부(15)는 메인 표시영역과 서브 표시영역의 양쪽 모두의 화면이 텍스트정보 표시모드인지를 판정한다.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의 양쪽 모두의 화면이 텍스트정보 표시모드인 경우,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의 하부에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221)이 표시되고, 서브 표시영역(204-1)의 하부에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222-1)이 표시된다. 대응하는 화상과 관련된 메타데이터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텍스트정보가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221, 222)에 표시된다. 예를 들면, 그 프로그램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프로그램 정보가 표시된다.
도 16과 도 4의 비교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221)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도 4의 경우),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은 그 높이 방향의 중심이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의 높이 방향의 중심과 거의 같은 높이의 위치(수직 방향으로 표시면(4)의 거의 중심 위치)가 되도록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과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을 같은 높이의 시선(line of sight)으로 볼 수 있고,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을 보는 경우와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을 보는 경우의 사이에서 시선을 상하로 이동할 필요가 없게 되어, 보기 쉬워진다.
반면,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221)이 표시되는 경우(도 16의 경우), 메인 표시영역(202)과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221)의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화면의 높이 방향의 중심이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의 높이 방향의 중심과 거의 같은 높이의 위치가 되도록 표시된다. 그 결과, 좌측의 메인 표시영역(202)과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221)의 화면을 보는 경우와 우측의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을 보는 경우의 사이에서 시선을 상하로 이동할 필요가 없게 되어, 보기 쉬워진다.
또한, 도 16에 있어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른 서브 표시영역(204-2 내지 204-9)의 하부에도 대응하는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222-2 내지 222-9)이 표시된다.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의 양쪽 모두의 화면이 텍스트정보 표시모드인 경우, 단계(S102)에서, 제어부(15)는 메인 표시영역의 화면의 텍스트정보 표시모드를 해제한다. 그 결과,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의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221)의 표시는 소거되고, 서브 표시영역(204-1)의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222-1)만이 표시된 상태가 된다.
단계(S101)에서,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의 양쪽 모두의 화면이 텍스트정보 표시모드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또는 단계(S102)의 처리의 후, 제어부(15)는 단계(S103)에서 서브 표시영역의 화면만이 텍스트정보 표시모드인지를 판정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만이 텍스트정보 표시모드인 경우, 단계(S104)에서, 제어부(15)는 서브 표시영역의 화면의 텍스트정보 표시모드를 해제한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의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221)과 서브 표시영역(204-1)의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222-1)의 양쪽 모두의 표시가 소거된 상태가 된다.
단계(S103)에서,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만이 텍스트 표시모드가 아니라 고 판정되었을 경우, 또는 단계(S104)의 처리 후, 제어부(15)는 단계(S105)에서 메인 표시영역과 서브 표시영역의 양쪽 모두의 화면이 비텍스트정보 표시모드(non-text information display mode)인지를 판정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의 양쪽 모두의 화면이 비텍스트정보 표시모드인 경우, 단계(S106)에서, 제어부(15)는 메인 표시영역과 서브 표시영역의 양쪽 모두의 화면을 텍스트정보 표시모드로 한다. 그 결과,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의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221)과 서브 표시영역(204-1)의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222-1)의 양쪽 모두가 표시된 상태가 된다.
단계(S105)에서,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의 양쪽 모두의 화면이 비텍스트정보 표시모드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또는 단계(S106)의 처리 후, 처리는 도 3의 단계(S5)로 돌아간다.
상기한 처리의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의 양쪽 모두의 화면이 텍스트정보 표시모드인 모드,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만이 텍스트정보 표시모드인 모드 및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의 양쪽 모두의 화면이 비텍스트정보 표시모드인 모드가, 사용자가 텍스트정보 표시모드 전환버튼인 세모 버튼(108)을 조작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전환된다.
다음으로, 도 18을 참조하여, 도 3의 단계(S7)의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 처리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의 처리는, 도 3의 단계(S6)에서 프 로그레스바 표시모드의 변경이 지시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수행된다.
단계(S151)에서, 제어부(15)는 메인 표시영역과 서브 표시영역의 양쪽 모두의 화면이 비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인지를 판정한다.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의 양쪽 모두의 화면이 비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인 경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의 어느 쪽의 화면에도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이 표시되지 않는다.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의 양쪽 모두의 화면이 비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인 경우, 단계(S152)에서, 제어부(15)는 메인 표시영역의 화면을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로 한다. 그 결과,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202)에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231)이 표시된 상태가 된다. 대응하는 화상의 시간적 진행(temporal progress)의 정도(degree)가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231)에 표시된다. 즉, 화상의 시작점(start point)이 프로그레스바의 좌단부(left end)이고, 그 종점(end point)이 우단부(right end)이며, 화상의 현재 위치(present position)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늘어나는(extending) 막대 그래프로(rod-like graph) 지시된다.
단계(S151)에서,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의 양쪽 모두의 화면이 비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또는 단계(S152)의 처리 후, 제어부(15)는 단계(S153)에서 메인 표시영역의 화면만이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인지를 판정한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만이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인 경우, 단계(S154)에서, 제어부(15)는 서브 표시영역 의 화면을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로 한다. 그 결과,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에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231)이 표시되고, 또한 서브 표시영역(204-1 내지 204-9)에도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232-1 내지 232-9)이 표시된 상태가 된다.
단계(S153)에서, 메인 표시영역(202)만이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또는 단계(S154)의 처리 후, 제어부(15)는 단계(S155)에서 메인 표시영역과 서브 표시영역의 양쪽 모두의 화면이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인지를 판정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의 양쪽 모두의 화면이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인 경우, 단계(S156)에서, 제어부(15)는 메인 표시영역과 서브 표시영역의 양쪽 모두의 화면을 비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로 한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의 어느 화면에도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이 표시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단계(S155)에서,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의 양쪽 모두가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또는 단계(S156)의 처리 후, 처리는 도 3의 단계(S7)로 돌아간다.
상기한 처리의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의 양쪽 모두의 화면이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가 아닌 상태,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만이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인 상태 및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의 양쪽 모두의 화면이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인 상태가, 사용 자가 셀렉트 버튼(106)을 조작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전환된다.
다음으로, 도 21을 참조하여, 도 3의 단계(S10)의 메인 표시영역 전체화면 표시처리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처리는 도 3의 단계(S9)에서 메인 표시영역(202)이 포커스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수행된다.
단계(S201)에서, 제어부(15)는 메인 표시영역의 화면을 전체화면 표시로 변경한다. 즉,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은 소거되고,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만이 표시면(4)의 거의 전부에 걸쳐서 메인 동영상 뷰(main moving image view)(201)로서 표시된다.
단계(S202)에서, 제어부(15)는 메인 표시영역의 화상의 스케일링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는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상이 1배 내지 4배의 범위 내에서 스케일링 되는 경우, 사용자는 아날로그 스틱(112R)을 전방(forward)으로 기울인다. 확대한 화상이 원래 상태에 복귀되는 경우, 사용자는 아날로그 스틱(112R)을 후방(backward)으로 기울인다. 아날로그 스틱(112R)의 전방 또는 후방 기울임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을 경우, 제어부(15)는 단계(S203)에서 스케일링이 한계에 도달했는지를 판정한다. 스케일링이 한계(1배 또는 4배)까지 수행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5)는 단계(S204)에서 메인 표시영역의 화상을 스케일링한다.
화상이 한계까지 확대되었을 경우, 더 이상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없다. 그러므로, 단계(S203)에서 화상이 한계까지 스케일링 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또는 단계(S204)의 처리 후, 처리는 단계(S202)로 돌아가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 복된다. 사용자는, 아날로그 스틱(112R)의 조작 시간을 조정하여, 1배 내지 4배의 범위 내에서 원하는 크기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3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상이 확대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작은 메인 표시영역(202C)의 화상이 큰 메인 표시영역(202D)의 화상으로 확대되어 있다.
단계(S202)에서, 메인 표시영역의 화상의 스케일링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단계(S205)에서, 제어부(15)는 이동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사용자가 최대 4배까지 확대된 화상의 중심을 이동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아날로그 스틱(112L)을 조작한다. 아날로그 스틱(112L)의 조작에 대응하여 이동의 조작신호가 취득된다.
이동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을 경우, 단계(S206)에서, 제어부(15)는 확대되어 표시되고 있는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상의 중심을 조작 방향에 대응하여 이동한다. 그 후, 처리는 단계(S205)로 돌아가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즉, 사용자는, 아날로그 스틱(112L)의 조작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확대된 화상의 임의의 위치를 중심에 배치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화상의 확대에 의해 사용자가 보고 싶은 부분이 표시 범위로부터 벗어나서 확인할 수 없게 되는 일이 방지된다.
단계(S205)에서, 이동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단계(S207)에서, 제어부(15)는 전원이 오프 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전원이 오프 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종료된다.
전원이 오프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5)는 단계(S208)에서 각 표시 영역에 공통인 스케일링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즉, 도 3의 단계(S8)의 경우와 같은 판정처리가 수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표시영역에 공통인 스케일링의 조작은 전체화면 표시 전환버튼인 네모 버튼(109)의 조작이므로, 네모 버튼(109)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는지가 판정된다. 네모 버튼(109)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단계(S202)로 돌아가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네모 버튼(109)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을 경우, 단계(S209)에서, 제어부(15)는 메인 표시영역의 화면의 전체화면 표시를 해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이 포커스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네모 버튼(109)을 조작하면,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이 전체화면으로 표시된다. 전체화면 표시가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아날로그 스틱(112R)이 조작되면,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상이 1배 내지 4배의 범위 내에서 확대되어 표시된다. 전체화면 표시상태에서 네모 버튼(109)이 조작되면, 전체화면 상태가 해제되고,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의 2개의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도 24를 참조하여, 도 3의 단계(S12)의 서브 표시영역 전체화면 표시처리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처리는 도 3의 단계(S11)에서 서브 표시영역(205)이 포커스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수행된다.
단계(S251)에서, 제어부(15)는 서브 표시영역을 전체화면으로 표시한다. 즉,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은 소거되고, 서브 표시영역(205)만이 표시면(4)의 거의 전체에 걸쳐서 표시된다. 또한, 실제로는, 서브 표시영역(204-1 내지 204-9) 중에서, 그때 커서(251)에 의해 선택된 서브 표시영역(254)만이 다른 서브 표시영역보다 약간 크게 표시된다. 이 경우, 선택된 서브 표시영역에 인접하는 서브 표시영역의 일부는 선택된 서브 표시영역에 의해 약간 숨겨진(concealed) 상태가 된다.
단계(S252)에서, 제어부(15)는 서브 표시영역의 선택을 결정하는 조작신호가 취득되었는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9개의 서브 표시영역(204)의 화상 중 하나를 확대하는 경우, 커서(251)에 의해 1개의 서브 표시영역(204)을 선택한 후, 사용자는 다시 동그라미 버튼(111)을 조작하여, 조작을 결정한다. 동그라미 버튼(111)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을 경우, 단계(S253)에서, 제어부(15)는 커서에 의해 선택된 서브 표시영역(204)을 스케일링(이 경우, 확대)한다.
단계(S253)의 처리 후, 처리는 단계(S252)로 돌아가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도 26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서브 표시영역(204)의 썸네일 화상이 확대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왼쪽 위(left upper)의 서브 표시영역(204-1A)가 서브 표시영역(204-1B)로 확대된다. 1개의 서브 표시영역(204-1B)이 확대되더라도, 우측단(right end)과 하단부(lower end)에 위치된 서브 표시영역(204-3, 204-6, 204-7, 204-8, 204-9)의 일부는 숨겨지지 않고 표시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메인 표시영역(202)이 아니라, 서브 표시영 역(205)이 지금 전체화면으로 표시되고 있다는 것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그 결과, 오조작(erroneous operation)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단계(S252)에서, 서브 표시영역(204)의 선택을 결정하는 조작신호가 취득되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단계(S254)에서, 제어부(15)는 전원이 오프 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전원이 오프 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종료된다.
전원이 오프 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계(S255)에서, 제어부(15)는 각 표시영역에 공통인 스케일링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즉, 도 3의 단계(S8)에의 경우와 같은 판정처리가 수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표시영역에 공통인 스케일링의 조작은, 네모 버튼(109)의 조작이므로, 네모 버튼(109)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는지가 판정된다. 네모 버튼(109)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단계(S252)로 돌아가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네모 버튼(109)의 조작신호가 취득되었을 경우, 단계(S256)에서, 제어부(15)는 서브 표시영역의 전체화면 표시를 해제한다. 그 후, 처리는 도 3의 단계(S12)로 돌아간다.
서브 표시영역(205)이 포커스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네모 버튼(109)을 조작하면, 서브 표시영역(205)이 전체화면으로 표시된다. 전체화면 표시가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1개의 서브 표시영역(204)이 선택되어 동그라미 버튼(111)이 조작되면, 선택된 서브 표시영역(204)이 확대되어 표시된다. 전체화면표시 상태에서 네모 버튼(109)이 조작되면, 전체화면표시 상태가 해제되고, 메인 표시영 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의 2개의 화면이 표시된 상태로 복귀한다.
상기한 각 기능은 독립적이며(independent), 결합(combination)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7은 메인 표시영역(202)의 프로그레스바(231)가 표시된 모드에서 전체화면 표시가 지시된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는, 또한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이 전체화면으로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가 설정되었을 때, 또는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에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전체화면 표시가 지시되었을 때에도 실현된다. 설명은 생략하나, 이하의 예에서도, 기능 지시(function instructions)의 순서(order)에 관계없이 복수의 기능이 결합될 수 있다.
도 28은 서브 표시영역(204)의 프로그레스바(232)가 표시된 모드에서 전체화면 표시가 지시된 경우의 표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9는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4)에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231, 232) 및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221, 222)이 각각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0은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에 프로그레스바(231)가 표시되고,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232)과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222)이 서브 표시영역(204)에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1은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에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231)이 표시되고,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222)이 서브 표시영역(204)에 표시되는 상태를 나 타내고 있다.
도 32는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에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221)과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231)이 표시되고,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222)이 서브 표시영역(204)에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3은 메인 표시영역(202)에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221)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좌우 2화면 사이즈비율 변경처리가 수행되는 경우의 변화의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당연히, 기능의 결합(combination of the functions)은 상기한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4는 상기한 기능 상태의 천이(transition of the states of the functions)를 나타내고 있다. 화상처리장치(1)가 기동되면,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과 서브 표시영역(204)의 화면이 같은 크기로 표시되고, 그들 각각에 텍스트정보 표시모드가 설정된다. 그러나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는 설정되지 않는다.
좌우 2화면 사이즈비율 변경처리에 있어서, 좌측의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이 작고 우측의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이 큰 상태에서 L2 버튼(104)이 조작되면, 좌측의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이 점차 커지고, 우측의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이 점차 작아져, 두 화면 모두 같은 크기가 된다. 조작이 더 수행되면, 좌측의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이 크고, 우측의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이 작은 상태 된다.
좌측의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이 크고, 우측의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이 작은 상태에서 R2 버튼(105)이 조작되면, 좌측의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이 점차 작아지고, 우측의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이 점차 커져, 두 화면 모두 같은 크기가 된다. 조작이 더 수행되면, 좌측의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이 작고, 우측의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이 큰 상태가 된다.
텍스트정보 표시모드에 있어서, 텍스트정보 표시모드 전환버튼으로서의 세모 버튼(108)이 조작될 때마다, 상태가,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의 양쪽 모두의 화면에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221, 222)이 표시되는 상태,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에만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222)이 표시되는 상태,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의 어느 화면에도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221, 222)이 표시되지 않는 상태,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의 양쪽 모두의 화면에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221, 222)이 표시되는 상태로 순차적 및 순환적으로(sequentially and circularly) 천이한다.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에 있어서,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 전환버튼으로서의 셀렉트 버튼(106)이 조작될 때마다, 상태가,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4)의 양쪽 모두의 화면에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이 표시되지 않는 상태,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에만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231)이 표시되는 상태,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의 양쪽 모두의 화면에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231, 232)이 표시되는 상태,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4)의 양쪽 모두의 화면에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이 표시되지 않는 상태로 순차적 및 순환적으 로 천이한다.
좌우 2화면 표시상태에서 전체화면표시 전환버튼으로서의 네모 버튼(109)이 조작되면,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4)의 화면 중 포커스되어 있는 것이 전체화면으로 표시되고, 전체화면 표시상태에서 네모 버튼(109)이 조작되면, 전체화면 표시상태가 해제되어, 좌우 2화면 표시상태로 복귀한다.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의 전체화면 표시상태에서 아날로그 스틱(112R)이 조작되면, 그 조작 각도에 대응하는 1배 내지 4배의 범위의 크기로 확대 표시가 수행된다. 아날로그 스틱(112L)이 조작되면, 확대된 화상의 중심 위치가 이동된다. 그러나, 확대 비율(magnification ration)이 1일 때는 이동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서브 표시영역(205)의 전체화면 표시상태에서 결정 버튼으로서의 동그라미 버튼(111)이 조작되면, 커서(251)에 의한 선택이 결정되고, 선택된 서브 표시영역(204)이 확대되어 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메인 표시영역(202)과 서브 표시영역(205)의 양쪽 모두의 전체화면 표시에 네모 버튼(109)이 공통으로 사용된다. 커서(251)에 의해 포커스된 영역은 전체화면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메인 표시영역(202)의 화면이 확대되는 경우와 서브 표시영역(205)의 화면이 확대되는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전용의 버튼이 제공되는 경우에 비하여, 버튼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사용자는 그것에 의해 많은 버튼 중에서 1개의 버튼을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어, 오조작이 억제되고, 조작성(operationality)이 향상된다.
도 3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2)로서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5에 있어서, 도 2에 대응하는 버튼은 대응하는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은 생략하나, 도 35의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서도 도 2의 리모트 컨트롤러와 동일한 조작이 실현될 수 있다.
이 콘트롤러는 도 2의 콘트롤러와 다른 복수의 버튼을 포함한다. 각각의 버튼은 그 버튼에 할당된 특정한 기능이 실행될 때 조작되나,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계되지 않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고,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서도 또한 실행될 수 있다. 일련의 처리가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의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되거나(assembled), 또는,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범용 퍼스널 컴퓨터(general-purpose personal computer)에 프로그램 기록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컴퓨터에 인스톨 되어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상태로 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는,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플렉시블 디스크(flexible disk)를 포함하는), 광디스크(optical disk)(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또는 광학 자기디스크(magneto-optical disk)를 포함하는)와 같은 패키지 미디어(package medium)로서의 리무버블 미디어(removable medium), 또는, 프로그램이 일시적(temporarily) 또는 영구적(permanently)으로 저장되는 ROM이나 하드디스크이다. 프로그램 기록매체로의 프로그램의 저장은 필요에 따라서 라우터(router)나 모뎀(modem)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인터넷(Internet), 또는 디지털 위성방송(digital satellite broadcast)와 같은, 유선(wired) 또는 무선(wireless) 통신매체(communication medium)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들은 기재된 순서(recited order)에 따라 시계열적으로(in time series) 수행되는 처리와,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아도, 병렬적(parallel) 또는 개별적으로(individually) 수행되는 처리도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modifications)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조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화상표시 제어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4는 좌우의 2 화상이 동시에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좌우 2 화면의 동시 스케일링(synchronous scaling)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텍스트정보 표시모드의 천이(transition)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의 천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메인 표시영역의 전체화면 표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서브 표시영역의 전체화면 표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선택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포커싱(focusing)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좌우 2화면 사이즈 비율 변경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좌우 2화면 동시표시시의 메인 표시영역의 화면의 스케일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좌우 2화면 동시표시시의 서브 표시영역의 화면의 스케일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텍스트정보 표시모드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6은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이 표시된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프로그레스바 표시모드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9는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이 표시된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메인 표시영역 전체화면 표시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메인 표시영역의 화면이 전체화면으로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전체화면 표시모드시에 메인 표시영역의 화면의 확대표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서브 표시영역 전체화면 표시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25는 서브 표시영역의 화면이 전체화면으로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1개의 서브 표시영역의 화면이 확대되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을 표시하는 메인 표시영역의 화면이 전체화면으로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을 표시하는 서브 표시영역의 화면이 전체화면으로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 및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이 메인 표시 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의 화면에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이 메인 표시영역의 화면에 표시되고,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 및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이 서브 표시영역의 화면에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이 메인 표시영역의 화면에 표시되고,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이 서브 표시영역의 화면에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 및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이 메인 표시영역의 화면에 표시되고,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이 서브 표시영역의 화면에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이 메인 표시영역의 화면에 표시되고, 프로그레스바 표시영역 및 컨텐츠 메타데이터 표시영역이 서브 표시영역의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좌우 2화면 사이즈 비율의 변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4는 기능의 상태 천이(state transition)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5는 다른 실시예의 조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화상처리장치 2. 조작부
3. 표시부 4. 표시면
11. 화상신호 취득부 12. 처리부
13. 스케일링부 14. 생성부
15. 제어부 16. 조작신호 취득부
17. 기록부

Claims (13)

  1. 화상처리장치(image processing apparatus)에 있어서,
    하나의 표시면(display surface)에 복수의 화면(screen)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신호(image signals)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부(generation unit)와,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신호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조작신호 취득부(operation signal acquisition unit)와,
    화면을 스케일링(scale)하기 위해 복수의 화면에 공통인 조작신호가 사용자로부터 취득되었을 경우, 복수의 화면 중 포커스된(focused) 하나의 화면을 스케일링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인 조작신호는, 상기 화면의 전체화면 표시(full-screen display)를 지시(instruct)하기 위한 신호이며,
    상기 제어부는, 포커스 되어 있지 않은 화면을 소거하고(erase) 포커스된 화면을 전체화면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면은, 복수의 다른 동화상(moving image)의 썸네일 화상(thumnbnail image)을 표시하기 위한 서브 표시영역(sub display area)의 화면 및 상기 서브 표시영역의 화면으로부터 선택된 1개의 서브 표시영역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메인 표시영역(main display area)의 화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이 전체화면으로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공통인 조작신호가 취득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체화면 표시를 해제하고, 다시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화면이 전체화면으로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화상을 스케일링하기 위한 조작신호가 사용자로부터 취득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화상을 스케일링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화면이 전체화면으로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화상을 이동하기 위한 조작신호가 취득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상기 화상을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표시영역의 화면이 전체화면으로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1개의 서브 표시영역의 선택을 결정하기 위한 조작신호가 취득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상기 서브 표시영역의 상기 화면을 스케일링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표시영역과 상기 서브 표시영역의 화면을 동기하여(synchronously) 스케일링하기 위한 조작신호가 취득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한쪽의 표시영역의 상기 화면의 확대에 동기하여 다른 쪽의 표시영역의 상기 화면을 축소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텍스트정보 표시모드(text information display mode)로 전환(switch)하기 위한 조작신호가 취득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텍스트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 상기 메인 표시영역과 상기 서브 표시영역의 양쪽 모두의 화면에 표시되는 모드, 상기 서브 표시영역의 화면에만 표시되는 모드 및 어느 쪽의 화면에도 표시되지 않는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0. 제 3항에 있어서,
    프로그레스바(progress bar) 표시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조작신호가 취득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그레스바를 표시하는 영역이 상기 메인 표시영역과 상기 서브 표시영역의 양쪽 모두의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모드,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화면에만 표시되는 모드 및 양쪽 모두의 화면에 표시되는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1. 제 3항에 있어서,
    방송신호(broadcast signals)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복수의 썸네일 화상의 근원(origin)으로서 복수의 다른 화상신호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화상신호 취득부(image signal acquisition unit)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2. 화상처리방법(image processing method)에 있어서,
    1개의 표시면에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신호를 취득하는 단계와,
    화면을 스케일링하기 위해 복수의 화면에 공통인 조작신호가 사용자로부터 취득되었을 경우, 상기 복수의 화면 중 포커스된 하나의 화면을 스케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13. 1개의 표시면에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신호를 취득하는 단계와,
    화면을 스케일링하기 위해 복수의 화면에 공통인 조작신호가 사용자로부터 취득되었을 경우, 상기 복수의 화면 중 포커스된 하나의 화면을 스케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90023081A 2008-03-18 2009-03-18 화상처리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KR1015612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68850 2008-03-18
JP2008068850A JP4535150B2 (ja) 2008-03-18 2008-03-18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300A true KR20090100300A (ko) 2009-09-23
KR101561240B1 KR101561240B1 (ko) 2015-10-16

Family

ID=40810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081A KR101561240B1 (ko) 2008-03-18 2009-03-18 화상처리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23268B2 (ko)
EP (1) EP2104342B1 (ko)
JP (1) JP4535150B2 (ko)
KR (1) KR101561240B1 (ko)
CN (1) CN10154085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0223A (ko) * 2012-12-25 2015-08-05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비디오 재생 방법, 단말 및 시스템
US10845940B2 (en) 2015-12-11 2020-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ethod of electronic device
WO2023095947A1 (ko) * 2021-11-25 2023-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53438T3 (es) * 2009-06-29 2020-04-08 Nokia Technologies Oy Método y aparato para visualizar un contenido
KR101626159B1 (ko) 2009-11-25 2016-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적응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N102117207B (zh) * 2009-12-31 2014-06-0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切换应用显示模式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9395907B2 (en) 2010-08-20 2016-07-1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ng a content package comprising a first content segment from a first content source to display a second content segment from a second content source
JP5740972B2 (ja) * 2010-09-30 2015-07-0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344651B2 (ja) * 2011-07-29 2013-11-20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9696880B2 (en) * 2011-12-26 2017-07-04 Inadev Corporation Screen management system
RU2619892C2 (ru) 2012-08-28 2017-05-19 ЭЙДЗО Корпорейшн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м отображ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м отображения и дисплейная система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KR101472015B1 (ko) * 2012-11-01 2014-12-12 주식회사 케이티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방법
US9172740B1 (en) 2013-01-15 2015-10-27 Google Inc. Adjustable buffer remote access
US9311692B1 (en) 2013-01-25 2016-04-12 Google Inc. Scalable buffer remote access
US9225979B1 (en) 2013-01-30 2015-12-29 Google Inc. Remote access encoding
KR101412048B1 (ko) 2013-02-14 2014-07-02 주식회사 리드텍 하이브리드 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N104036754B (zh) * 2013-03-04 2016-02-10 澜起科技(上海)有限公司 共享行缓存的双缩放器系统
USD751096S1 (en) * 2013-05-10 2016-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EP3197151B1 (en) * 2014-10-28 2019-08-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saic service presentation/delivery method and apparatus
KR102393510B1 (ko) * 2015-08-25 2022-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6223405B2 (ja) * 2015-11-11 2017-11-01 ヤフー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CN106528867A (zh) * 2016-12-02 2017-03-22 北京中交兴路车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图片显示的方法及装置
CN109165366A (zh) * 2018-09-27 2019-01-08 上海哔哩哔哩科技有限公司 基于选中对象的列表显示调整方法、装置和存储介质
JP7115219B2 (ja) * 2018-10-26 2022-08-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3495A (ja) * 1995-02-20 1996-08-30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10174016A (ja) * 1996-12-13 1998-06-26 Sony Corp 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US6427048B2 (en) * 1997-04-28 2002-07-30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reproducing and displaying a video signal received by a signal receiver
JPH11164215A (ja) * 1997-11-28 1999-06-18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11239307A (ja) * 1998-02-24 1999-08-31 Fujitsu General Ltd マルチ画面表示装置
JP4401465B2 (ja) * 1999-02-22 2010-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KR100752621B1 (ko) * 1999-11-04 2007-08-30 톰슨 라이센싱 텔레비전 수신기
JP2002135676A (ja) * 2000-10-27 2002-05-10 Canon Inc 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装置、その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EP1233614B1 (fr) * 2001-02-16 2012-08-08 C.H.I. Development Mgmt. Ltd. XXIX, LLC Système de transmission et de traitement vidéo pour générer une mosaique utilisateur
JP2003116073A (ja) * 2001-10-04 2003-04-18 Mitsubishi Electric Corp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
WO2006074266A2 (en) * 2005-01-05 2006-07-13 Hillcrest Laboratories, Inc. Scaling and layout methods and systems for handling one-to-many objects
JP4779481B2 (ja) * 2005-07-19 2011-09-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060555A (ja) * 2005-08-26 2007-03-08 Canon Inc テレビジョン番組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4982065B2 (ja) 2005-09-26 2012-07-25 株式会社東芝 映像コンテンツ表示システム、映像コンテンツ表示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7129332A (ja) * 2005-11-01 2007-05-24 Canon Inc マルチ画面における各画像に対する操作方法および装置
JP2007142641A (ja) * 2005-11-16 2007-06-07 Sharp Corp 電子番組ガイド映像出力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
CN101485197B (zh) * 2006-02-21 2011-05-1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显示控制装置和显示控制方法以及显示控制系统
KR100827228B1 (ko) * 2006-05-01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기능을 갖는 영역 분할 수단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방법
JP2007311942A (ja) * 2006-05-16 2007-11-29 Toshiba Corp コンテンツ表示装置
JP2007329847A (ja) * 2006-06-09 2007-12-20 Sony Corp 受信装置およびその番組選択方法
EP1956838A3 (en) * 2007-02-07 2009-04-29 The DirecTV Group, Inc. Live video management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0223A (ko) * 2012-12-25 2015-08-05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비디오 재생 방법, 단말 및 시스템
US10845940B2 (en) 2015-12-11 2020-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ethod of electronic device
WO2023095947A1 (ko) * 2021-11-25 2023-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37562A1 (en) 2009-09-24
EP2104342A2 (en) 2009-09-23
US8223268B2 (en) 2012-07-17
EP2104342B1 (en) 2019-04-03
EP2104342A3 (en) 2011-09-14
KR101561240B1 (ko) 2015-10-16
JP2009225215A (ja) 2009-10-01
CN101540858B (zh) 2012-10-03
CN101540858A (zh) 2009-09-23
JP4535150B2 (ja) 201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240B1 (ko) 화상처리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JP2004334058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871733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070022892A (ko) 피아이피를 이용한 줌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방법
JP2005150831A (ja) Tv受信及びリモコン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100661649B1 (ko) 텔레비전의 제어방법
JP5093607B2 (ja) 遠隔装置、遠隔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装置
JP4661386B2 (ja) 受信装置
JP2006108749A (ja) 画像表示装置
KR20060094401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US20120086858A1 (en) Display and multi-view displaying switch method thereof
JPH07274087A (ja) オンスクリーン表示装置
JP2006014061A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
KR100641927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방송채널 탐색 제어방법
JP4470612B2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
JP2006106037A (ja) 画像表示装置
JP2008092527A (ja) 放送受信機能付き携帯端末及びチャネル表示方法
KR100686134B1 (ko) 티브이의 광고 프로그램 스킵 장치 및 방법
KR20110031592A (ko) 방송 수신기 및 채널 전환 방법
JP2009260737A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
JP2006254018A (ja) 電子番組ガイド表示装置
JP2008172346A (ja) テレビジョンおよび映像信号再生装置
CN111295886A (zh) 显示装置和便携式终端
JP2003348477A (ja) 情報表示装置
JP2006293153A (ja) 映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