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4401A -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4401A
KR20060094401A KR1020050015531A KR20050015531A KR20060094401A KR 20060094401 A KR20060094401 A KR 20060094401A KR 1020050015531 A KR1020050015531 A KR 1020050015531A KR 20050015531 A KR20050015531 A KR 20050015531A KR 20060094401 A KR20060094401 A KR 20060094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ize
key
scaler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진
고광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5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4401A/ko
Publication of KR20060094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44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1Screw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채널의 주파수 영역에 동조하여 다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 상기 각 방송 신호의 화면 크기 또는 위치를 스케일링하고, 상기 화면 중에서 소정 화면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화면의 크기나 위치 조정시 비선택된 화면의 크기나 위치를 조정하는 스케일러 및 상기 스케일링된 다수의 방송 신호를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합성부를 포함한다.
멀티 디스플레이(multi display), PIP(Picture In Picture), PBP(Picture By Picture), 크기 조정, 위치 조정

Description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displaying}
도 1은 종래 멀티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 장치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 멀티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 장치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의 원격제어기기를 예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의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과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디지털 방송 수신기 310 : 튜너
320 : 신호 처리부 330 : 스케일러
340 : 합성부 350 : 디스플레이부
360 : 제어부 370 : 입력부
380 : 원격제어신호 수신부 390 : 저장부
600 : 원격제어기기 672 : 화면 포커스 모드 키
674 : 위치 조정 모드 키 676 : 크기 조정 모드 키
410 : 제 1 화면 420 : 제 2 화면
430 : 제 3 화면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산업의 급격한 발전과 더불어 영상 표시 장치의 기능 및 성능이 향상되었고, 그 결과 하나의 화면에 적어도 두 개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가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하나의 화면에 두 개의 영상을 표시할 때에는 PIP(Picture In Picture) 방식 또는 PBP(Picture By Picture) 방식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멀티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 장치에서 PIP 방식에 따라 두 개의 화면이 출력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IP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제 1 화면 내의 소정의 위치 예를 들면, 제 1 화면의 오른쪽 상단이나 하단 또는 제 1 화면의 왼쪽 상단이나 하단에 제 2 화면이 중첩되어 표시되도록 한다.
도 2는 종래 멀티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 장치에서 PBP 방식에 따라 두 개의 화면이 출력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BP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전체 화면을 두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두 영역에 각각 제 1 화면과 제 2 화면이 표시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멀티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각 화면의 위치 이동 및 크기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PIP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 장치의 경우, 리모컨과 같은 원격제어기기 등을 이용하여 제 2 화면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멀티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어느 하나의 화면을 선택하여 크기나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 크기나 위치가 변경된 화면에 의해 다른 화면의 일부 영상이 겹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는 겹쳐진 화면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 해당 화면의 크기나 위치를 다시 조정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멀티 플레이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화면을 선택하여 크기나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 비선택된 화면들의 크기나 위치를 동시에 조정함으로써, 다수의 화면을 서로 중첩되지 않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 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채널의 주파수 영역에 동조하여 다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 상기 각 방송 신호의 화면 크기 또는 위치를 스케일링하고, 상기 화면 중에서 소정 화면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화면의 크기나 위치 조정시 비선택된 화면의 크기나 위치를 조정하는 스케일러 및 상기 스케일링된 다수의 방송 신호를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합성부를 포함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다수의 방송 신호 화면 중 소정 화면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화면의 크기 또는 위치 조정에 따라, 상기 선택된 화면의 크기 또는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비선택된 화면의 크기나 위치를 재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디지털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터 장치란,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지털 회로를 가진 장치로서, 컴퓨터, 모니터,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가전기기, 디지털 전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디지털 TV, 디지털 방송 수신기(Set Top Box, STB) 및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DA)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이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적용된 경우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가 선국한 채널의 주파수로 튜닝되어 해당 주파수 대역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즉, MPEG-2 방식에 따라 압축된 영상 데이터(video data), AC-3 방식에 따라 압축된 음성 데이터(audio data) 및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 SI) 데이터가 포함된 MPEG-2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TS)을 수신한다. 이 후,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복조 및 역다중화하고, 역다중화된 신호로부터 분리된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각각 디코딩하여 출력함으로써,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음성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독립된 형태로 구현되거나 디지털 TV화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TV와 복합적으로 구현된 경우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의 구조를 블록도 로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3b는 도 a에 도시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에서 원격제어기기(6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는 원격제어기기(600), 입력부(370), 튜너(310), 신호 처리부(320), 스케일러(330), 합성부(340), 디스플레이부(350), 저장부(390), 원격제어신호 수신부(38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한다.
원격제어기기(600)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로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의 원격제어신호 수신부(380)와 쌍을 이루어 동작한다. 원격제어기기(600)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선택을 위한 다수의 숫자키(620), 채널 조정을 위한 채널 업/다운 키(630, 640) 및 음량 조절을 위한 볼륨 업/다운 키(650, 660), 상, 하, 좌, 우의 방향키 등과 같은 다수의 조작키가 구비된다. 여기서 채널 업/다운 키 및 볼륨 업/다운 키의 기능은 방향키에 구현될 수 있다. 즉, 네 개의 방향키 중에서 좌, 우 방향키에는 각각 볼륨 업 키(660)와 볼륨 다운 키(650)의 기능이 부가되도록 하고, 상, 하 방향키에는 각각 채널 업 키(630)와 채널 다운 키(640)의 기능이 부가되도록 한다.
이외에도 원격제어기기(600)에는 다수의 기능키(67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화면을 선택할 수 있도록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를 포커스 모드로 전환하는 포커스 모드 키(672), 선택된 화면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디지털 방 송 수신기(300)를 크기 조정 모드로 전환하는 크기 조정 모드 키(674), 선택된 화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를 위치 조정 모드로 전환하는 위치 조정 모드 키(676)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키(670)들은 별도의 키로써 독립적으로 구현되거나 원격제어기기(600)에 구비된 기존의 키에 각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원격제어기기(600)에 구비된 키 조작에 따라 특정 화면에 대한 위치 또는 크기를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의 디스플레이부(350)를 통해 적어도 둘 이상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포커스 모드 키(672)가 인가되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는 포커스 모드로 전환된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가 포커스 모드로 전환되면, 사용자는 입력부(370) 또는 원격제어기기(600)에 구비된 방향키 즉, 채널 업/다운 키(630, 640) 및 볼륨 업/다운 키(650, 660)를 조작하여 특정 화면을 선택할 수 있다.
이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위치 조정 모드 키(674)가 인가되면, 사용자는 채널 업/다운 키 및 볼륨 업/다운 키를 이용하여 선택된 화면의 위치를 각각 상, 하, 좌, 우로 조정할 수 있다. 이 때, 선택된 화면은 해당 키가 조작될 때마다 미리 지정된 소정의 간격만큼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위치 이동 간격이 5mm로 지정된 경우, 선택된 화면은 채널 다운 키(640)가 한 번 인가될 때마다 현재의 위치에서 5mm만큼 왼쪽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소정 시간 이내에 크기 조정 모드 키(676)가 인가된 경우, 사용자는 채널 업/다운 키(630, 640) 또는 볼륨 업/다운 키(650, 660)를 조작하여 선택된 화면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륨 업 키(660)를 선택하여 화면이 확대되도록 하거나 볼륨 다운 키(650)를 선택하여 화면이 축소되도록 한다. 이 때, 해당 화면은 키가 조작될 때마다 미리 지정된 소정의 간격만큼 확대/축소 된다.
입력부(37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부분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키가 구비된다. 예를 들면,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 키, 채널 선택을 위한 채널 업/다운 키, 음량 조절을 위한 볼륨 업/다운 키 등이 구비된다. 또한 입력부(370)에는 원격제어기기(600)와 마찬가지로 화면 선택 및 선택된 화면의 크기나 위치 조정 등을 위한 기능키 등이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원격제어신호 수신부(380)는 원격제어기기(600)와 쌍을 이루어 동작한다. 즉, 원격제어기기(600)로부터 원격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6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기기(600)로부터 볼륨 증가에 대한 원격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원격 제어 신호를 복조하여, 볼륨 증가에 대한 명령 신호를 추출하고, 이 명령 신호를 제어부(360)에 제공하여, 볼륨이 한 단계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튜너(3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수신 대역에 동조하는 부분으로 제어부(360)에 의해 동작한다. 이러한 튜너(3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튜너로 구성되는 경우,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는 튜너의 개수와 비례하여 복수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320)는 튜너(310)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즉, 튜너(310)에서 제공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신호로부터 압축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분리한 후, 각각의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신호 처리부(320)는 처리된 신호를 스케일러(330)에 공급한다.
스케일러(330)는 신호 처리부(320)에서 공급된 영상 신호를 화면 크기에 맞게 스케일링한다. 멀티 디스플레이 기능 예를 들어, PIP 기능 또는 PBP 기능이 실행된 경우, 스케일러(330)는 각각의 영상 신호를 분할된 화면의 크기에 맞게 스케일링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 1 튜너(312)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출력하고 있던 중 멀티 디스플레이 기능이 실행되면, 스케일러(330)는 디스플레이부(350)의 표시 영역을 제 1 화면과 제 2 화면의 두 영역으로 분할한 후, 각각의 영상 신호를 분할된 화면의 크기게 맞게 스케일링하여 출력한다. 또한 스케일러(330)는 선택된 화면의 위치나 크기 변경시, 저장부(390)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조정 정보 또는 크기 조정 정보를 참조하여, 선택된 화면의 위치나 크기를 조정한다. 그리고 스케일러(330)는 비선택된 화면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정하여 복수의 화면이 겹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합성부(340)는 스케일러(330)에서 출력된 복수의 영상 신호를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350)를 통해 출력한다.
저장부(390)에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의 진단 및 초기화에 필요한 프로그램들, 각종 설정 정보 등이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390)에는 선택된 화면의 위치 나 크기 조정시에 필요한 조정 정보가 저장된다. 즉, 이동 간격, 확대 간격 및 축소 간격 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크기 조정 모드가 실행된 경우, 선택된 화면의 크기는 볼륨 업 키(660)가 한번 조작될 때마다 미리 지정된 소정 간격으로 확대된다. 또한 저장부(390)에는 마지막으로 위치 및 크기 조정된 화면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390)는 롬(ROM), 피롬(PROM), 이피롬(EPROM), 이이피롬(EEPROM),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램(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구현되거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와 같은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제어부(36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 내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특정 채널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주파수에 동조하기 위한 명령을 튜너(310)에 보낸다.
또한 제어부(360)는 원격제어기기(600) 또는 입력부(370)로부터 포커스 모드 키(672), 위치 조정 모드 키(674) 및 크기 조정 모드 키(676) 등이 선택 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포커스 모드 키(672)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360)는 저장부(390)의 정보를 참조하여 기본값으로 설정된 화면 예를 들어, 제 1 화면(410)이 하이라이트되도록 한다. 또는 가장 최근에 크기나 위치가 조정된 화면이 하이라이트되도록 한다.
포커스 모드 키(672)가 선택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키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360)는 수신된 키신호의 종류를 판별한다. 그리고 판별 결과에 따라 디 지털 방송 수신기(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크기 조정 모드 키(676)가 선택된 경우, 소정 시간 예를 들어, 2초 이내에 볼륨 업 키(660)가 인가되면, 제어부(360)는 선택된 화면의 크기 및 비선택된 화면의 크기가 조정될 수 있도록 스케일러(330)를 제어한다. 즉, 선택된 화면의 크기는 소정 간격만큼 확대되도록 하고, 비선택된 화면의 크기는 축소되도록 한다. 만약 볼륨 다운 키(650)가 인가된 경우, 제어부(360)는 선택된 화면의 크기가 소정의 간격만큼 축소되도록 하고, 비선택된 화면의 크기는 소정 간격만큼 확대되도록 스케일러(330)를 제어한다.
다른 예로, 위치 조정 모드 키(674)가 선택된 경우, 소정 시간 예를 들어, 2초 이내에 채널 업 키(630)가 인가되면, 제어부(360)는 선택된 화면의 위치가 현재 위치보다 소정 간격만큼 위쪽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스케일러(330)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과정 및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36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동조하도록 제 1 튜너(312)를 제어한다. 이 후, 제어부(360)는 제 1 튜너(312)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가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35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신호 처리부(320)를 제어한다. 한편, 멀티 디스플레이 기능이 실행된 경우, 제어부(360)는 제 2 튜너(314)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동조하도록 한다. 이 후, 제어부(360)는 제 1 튜너(312)를 통해 수신된 신호 및 제 2 튜너(314)를 통해 수신된 신호가 분할된 각 화면의 크기에 맞게 스케일링될 수 있도록 스케일러(330)를 제어한다. 이 후, 제어부(360)는 스케일링된 신호가 합성되어 디스플레이부(35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합성부(34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 복수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S510), 제어부(360)는 포커스 모드의 실행 여부를 판단한다. 즉, 원격제어기기(600) 또는 입력부(370)로부터 화면 포커스 모드 키(672)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20).
판단 결과, 화면 포커스 모드 키(672)가 선택된 경우(S520, 예), 제어부(360)는 저장부(39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참조하여 기본값으로 설정된 화면 또는 가장 최근에 위치 및 크기가 조정된 화면이 하이라이트되도록 한다(S530).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포커스 모드 키(672)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36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값으로 설정된 화면 예를 들어, 제 1 화면(410)이 하이라이트되도록 한다.
포커스 모드 키(672)가 실행된 후, 제어부(360)는 소정 시간 예를 들어, 2초 이내에 키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40). 판단 결과, 2초 이내에 키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S540, 아니오), 제어부(360)는 포커스 모드 실행을 종료한다 (S545). 만약 판단 결과, 2초 이내에 키신호가 수신된 경우(S540, 예), 제어부(360)는 수신된 키신호의 종류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S550).
수신된 키신호의 종류를 판별한 결과, 방향키 즉, 채널 업/다운 키(630, 640) 또는 볼륨 업/다운 키(650, 660)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360)는 키 조작에 따라 소정의 화면을 선택하고, 선택된 화면이 하이라이트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4b에서와 같이, 제 1 화면(410)이 선택된 상태에서 볼륨 업 키(660)에 대한 키신호가 원격제어신호 수신부(380)로 수신되면, 제어부(360)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화면(420)이 하이라이트되도록 한다. 도 4c와 같은 상태에서, 만약 소정 시간 이내에 볼륨 업 키(660)가 재인가되면 제어부(360)는 제 3 화면(430)이 하이라이트되도록 한다. 제 3 화면(430)이 선택된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 내에 볼륨 다운 키(650)가 인가되면 제어부(36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화면(420)이 다시 하이라이트되도록 한다.
한편, 수신된 키신호의 종류를 판별한 결과, 위치 조정 모드 키(674) 또는 크기 조정 모드 키(676)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360)는 키 조작에 따라 선택된 화면의 위치 또는 크기가 조정되도록 스케일러(330)를 제어한다(S570).
예를 들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화면(420)이 선택된 상태에서 크기 조정 모드 키(676)가 선택된 후, 소정의 시간 예를 들어, 2초 이내에 볼륨 업 키(660)가 인가되면, 제어부(360)는 제 2 화면(420)의 크기가 소정 크기만큼 확대될 수 있도록 스케일러(330)를 제어한다.
이 때, 스케일러(330)는 저장부(390)에 저장되어 있는 크기 조정 정보를 참조하여, 제 2 화면(420)의 크기를 확대한다. 예를 들어, 크기 조정 정보가 5mm인 경우, 스케일러(330)는 볼륩 업 키가 인가될 때마다 제 2 화면(420)의 크기를 5mm씩 확대한다. 이 때, 스케일러(330)는 제 2 화면(420)의 중앙점을 기준으로 하여 화면을 확대한다. 또는 중앙점을 기본값으로 하고, 화면 크기 조정시 기준이 되는 지점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스케일러(330)는 제 2 화면(420)의 크기를 조정함과 동시에, 비선택된 화면 즉, 제 1 화면(410) 및 제 3 화면(430)의 크기를 조정한다(S580). 다시 말해, 제 2 화면(420)의 크기를 확대함과 동시에, 제 1 화면(410) 및 제 3 화면(430)의 크기를 축소한다.
제 1 화면(410) 및 제 3 화면(430)의 크기를 축소할 때에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화면의 화면비율 즉, 가로 및 세로 비율을 유지하면서 축소할 수 있다. 또는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화면(410) 및 제 3 화면(430)의 크기를 수평 방향으로만 축소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선택된 화면 및 비선택된 화면의 크기가 조정된 후, 제어부(360)는 각 화면들이 합성될 수 있도록 합성부(340)를 제어한다. 합성부(340)는 각 화면을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350)를 통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표시한다(S590).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된 화면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내에 키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S595, 아니오), 제어부(360)는 크기 조정 모 드를 자동으로 종료한다.
한편, 스케일러(330)는 비선택된 화면의 크기 조정시, 비선택된 화면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비선택된 화면의 현재 크기를 기준으로 현재 화면비율을 유지하면서 화면 크기를 조정한다. 예를 들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 3 화면(430)의 크기가 확대되는 경우, 스케일러(330)는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화면(410) 및 제 2 화면(420)의 화면비율을 유지하면서를 축소하되, 현재 크기를 기준으로 축소한다.
이 때, 스케일러(330)는 화면의 크기에 따라 각 화면의 위치를 재배열할 수도 있다. 즉, 선택된 화면의 크기를 조정한 결과, 각 화면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크기가 가장 큰 화면이 디스플레이부(350)의 중앙에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키 조작에 따라 선택된 화면의 크기를 조정한 결과가 도 4f와 같다면, 각 화면들의 위치를 재조정하여,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화면(430)을 중앙에 배열한다.
또한 도 4g와 같은 상태에서, 만약 멀티 디스플레이 기능이 종료되면, 스케일러(330)는 화면의 크기가 가장 큰 화면 예를 들어, 제 3 화면의 크기를 재조정하여 도 4h와 같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선택된 화면의 위치 조정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포커스 모드 키(672)가 선택되면(S520, 예), 제어부(360)는 저장부(390)의 정보를 참조하여,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에 위치나 크기가 조정된 화면 즉, 제 2 화면(420)이 하이라이트되도록 한다(S530).
이 때, 소정 시간 예를 들어, 2초 이내에 위치 조정 모드 키(674)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360)는 조작 키(630, 640, 650, 660)가 선택될 때마다 제 2 화면(420)의 위치가 소정 간격만큼 이동되도록 스케일러(330)를 제어한다(S570).
이 때, 스케일러(330)는 저장부(390)에 저장된 위치 조정 정보를 참조하여 제 2 화면(420)의 위치를 이동한다. 예를 들어, 위치 조정 간격이 3mm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스케일러(330)는 키가 선택될 때마다 제 2 화면(420)을 해당 방향으로 3mm씩 이동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위치 조정 모드 키가 선택된 후, 볼륨 다운 키(650)가 2회 인가되면, 제어부(360)는 제 2 화면(420)이 왼쪽 수평 방향으로 3mm씩 2회 이동되도록 스케일러(330)를 제어한다.
또한 스케일러(330)는 제 2 화면(420)의 위치 이동에 따라 제 1 화면(410) 및 제 3 화면(430)의 크기 또는 위치를 재조정한다(S580). 예를 들어, 도 5a와 같은 상태에서 제 2 화면(420)의 위치가 왼쪽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스케일러(33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화면(410)의 크기를 수평 방향으로만 축소하되, 제 3 화면(430)의 크기는 수평 방향으로만 확대한다. 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화면(410)의 크기는 수평 방향으로 축소하되, 제 3 화면(430)의 크기는 일정하게 유지한다.
만약, 채널 다운 키(640)가 연속으로 선택되어 제 2 화면(420)의 위치가 왼쪽 수평 방향으로 이동된 결과, 제 1 화면(410)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하가 되면, 스케일러(330)는 제 1 화면(410) 및 제 3 화면(430)의 위치를 재조정한다. 즉,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화면(420)이 출력되는 이외의 영역에 제 1 화면(410) 및 제 3 화면(430)을 재배열하여, 각 화면이 서로 겹치지 않게 한다.
이 후, 제어부(360)는 각 화면들이 디스플레이부(35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합성부(340)를 제어한다(S590).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선택된 화면의 크기나 위치 조정시, 비선택된 화면들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복수의 화면들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복수의 화면들이 서로 겹치지 않고 모두 디스플레이되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 과정 없이도 모든 화면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채널의 주파수 영역에 동조하여 다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
    상기 각 방송 신호의 화면 크기 또는 위치를 스케일링하고, 상기 화면 중에서 소정 화면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화면의 크기나 위치 조정시 비선택된 화면의 크기나 위치를 조정하는 스케일러; 및
    상기 스케일링된 다수의 방송 신호를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러는 상기 비선택된 화면의 크기 조정시, 상기 비선택된 화면의 화면비율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러는 비선택된 화면의 크기에 따라 상기 비선택된 화면의 위치를 재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4. 다수의 방송 신호 화면 중 소정 화면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화면의 크기 또는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화면의 크기 또는 위치 조정에 따라, 비선택된 화면의 크기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선택된 화면의 크기나 위치를 재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선택된 화면의 화면비율을 유지하면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KR1020050015531A 2005-02-24 2005-02-24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600944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531A KR20060094401A (ko) 2005-02-24 2005-02-24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531A KR20060094401A (ko) 2005-02-24 2005-02-24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401A true KR20060094401A (ko) 2006-08-29

Family

ID=37602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531A KR20060094401A (ko) 2005-02-24 2005-02-24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440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549B1 (ko) * 2006-05-17 2008-07-04 (주)마이위 디엠비 및 지피에스 신호 표시 방법
WO2010079929A1 (en) * 2009-01-06 2010-07-15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and method thereof
KR101536777B1 (ko) * 2009-01-06 2015-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채널 브라우져
US9237296B2 (en) 2009-06-01 2016-01-12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640A (ko) * 1997-10-25 1999-05-15 전주범 Pip 텔레비전에서 pip 화면의 크기 제어장치
KR20030054017A (ko) * 2001-12-24 2003-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의 다중화면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40067139A (ko) * 2003-01-21 2004-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Pip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01057A (ko) * 2003-06-26 2005-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시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640A (ko) * 1997-10-25 1999-05-15 전주범 Pip 텔레비전에서 pip 화면의 크기 제어장치
KR20030054017A (ko) * 2001-12-24 2003-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의 다중화면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40067139A (ko) * 2003-01-21 2004-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Pip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01057A (ko) * 2003-06-26 2005-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시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549B1 (ko) * 2006-05-17 2008-07-04 (주)마이위 디엠비 및 지피에스 신호 표시 방법
WO2010079929A1 (en) * 2009-01-06 2010-07-15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and method thereof
US9008190B2 (en) 2009-01-06 2015-04-1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and method thereof
KR101536777B1 (ko) * 2009-01-06 2015-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채널 브라우져
US9237296B2 (en) 2009-06-01 2016-01-12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8383E1 (en) Device and method for modifying video image of display apparatus
US822326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4552333B2 (ja) デジタル/アナログ放送受信機のチャンネル選択装置及び同装置を備えたデジタル/アナログ放送受信機
US20050012862A1 (en) Video display appliance having function of varying screen ratio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0021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hannel information and selecting channel on digital television
JP2002232801A (ja) チャンネル情報のオンスクリーン表示機能を有する放送受信装置
KR100648312B1 (ko)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방법에 사용되는 원격 제어기
KR20070022892A (ko) 피아이피를 이용한 줌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방법
KR100661649B1 (ko) 텔레비전의 제어방법
KR20060094401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76394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449996B2 (ja) テレビジョン放送信号受信装置
JP2009044582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866880B1 (ko) 방송 수신기의 화면 제어 방법
WO2010103717A1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映像表示方法
KR100421877B1 (ko) 채널 osd 표시방법
KR100400010B1 (ko) Epg 조작 방법
JP2001215943A (ja) 画像表示装置
JP2006025321A (ja) 放送受信機
KR20060031959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채널 전환 방법
US20090031349A1 (en) Method for selecting channels of main screen/sub-screen,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H07274087A (ja) オンスクリーン表示装置
JP2004511966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によりビデオディスプレイスクリーンの領域を選択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EP1406442A2 (en) Teletext-enabled television apparatus
KR20040067139A (ko) Pip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