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640A - Pip 텔레비전에서 pip 화면의 크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Pip 텔레비전에서 pip 화면의 크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640A
KR19990033640A KR1019970055051A KR19970055051A KR19990033640A KR 19990033640 A KR19990033640 A KR 19990033640A KR 1019970055051 A KR1019970055051 A KR 1019970055051A KR 19970055051 A KR19970055051 A KR 19970055051A KR 19990033640 A KR19990033640 A KR 19990033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
signal
screen
siz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준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55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3640A/ko
Publication of KR19990033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640A/ko

Links

Landscapes

  • Studio Circui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IP 텔레비전에서 PIP 화면의 크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텔레비전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PIP 화면의 크기가 사용자가 조작한 키입력부로부터 발생되는 PIP 화면의 확대 및 축소신호에 따라 가변된 후,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종래의 PIP 텔레비전에서는 PIP 화면의 일정한 크기로 고정되어 있는 것에 대해, 상기 PIP 화면의 크기가 확대 및 축소되도록 하는 부화면 크기제어부를 두어, 키입력부로부터 발생된 PIP 화면의 확대 및 축소신호를 수신한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PIP 화면이 확대 및 축소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PIP 텔레비전에서 PIP 화면의 크기 제어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PIP 텔레비전에서 PIP 화면의 크기 제어장치
본 발명은 PIP 텔레비전에서 PIP 화면의 크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텔레비전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PIP 화면의 크기가 사용자가 조작한 키입력부로부터 발생되는 PIP 화면의 확대 및 축소신호에 따라 가변된 후,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IP(PICTURE IN PICTURE) 텔레비전의 화면에는 메인화면 및 PIP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메인화면과 PIP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영상화면신호 처리시스템이 설치된다. 즉 상기 메인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메인복합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제 1튜너부가 구비되고, PIP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PIP 복합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제 2튜너부가 구비되며, 상기의 제 1튜너부 및 제 2튜너부는 방송영상신호인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의 안테나에 접속되어 고주파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화면의 일부분에 PIP 화면이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PIP 화면을 위한 제 2튜너부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화면은 PIP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PIP 화면영역에서는 출력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PIP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는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의 일반적인 PIP 텔레비전에 있어서, 텔레비전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PIP 화면은 그 디스플레이되는 일정한 크기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PIP 화면의 크기를 확대 및 축소하여 시청하고 싶어도 할 수 없게 되어, 사용자가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데 불편함을 주고, 또한 사용자의 능동성이 배제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PIP 텔레비전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PIP 화면의 크기를 사용자의 키입력부의 조작을 통하여 발생되는 확대 및 축소신호에 따라 가변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PIP 텔레비전에서 PIP 화면의 크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IP 텔레비전에서 PIP 화면의 크기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서 PIP 신호처리 기능을 하는 PIP 신호처리부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주요부인 부화면 크기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IP 텔레비전에서 PIP 화면의 크기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안테나 150 : 제 1튜너부
200 : 제 2튜너부 250 : 마이콤
300 : IF증폭부 350 : PIP 모드절환부
400 : 스위칭부 450 : 메인영상신호처리부
500 : 수상관 드라이브 550 : 수상관
601 : 영상증폭부 602 : 제 1 A/D변환부
603 : 영상메모리부 604 : 제 1 D/A변환부
605 : 동기분리부 606 : 메모리제어부
651 : 신호수신부 652 : 제 2 A/D변환부
653 : 메모리부 654 : 제 2 D/A변환부
655 : 블랭크 크기변경부 656 : 블랭크 처리부
657 : 혼합부 700 : 키입력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면서 상기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IP 텔레비전에서 PIP 화면의 크기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안테나(100)를 통해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중에서 주화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채널을 선국하고 선국된 채널의 복합영상신호를 고주파 증폭처리함과 더불어 채널이 선국되므로써 발진되는 발진주파수와 혼합하여 증폭하기 쉬운 중간주파수로 변환시키는 제 1튜너부(150)와, 상기 안테나(100)를 통하여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중에서 부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채널을 선국하고 증폭하기 쉬운 중간주파수로 변환시키는 제 2튜너부(200)와, 상기 제 1튜너부(150) 및 제 2튜너부(200)로부터 인가되는 메인복합영상신호 및 PIP 복합영상신호를 중간주파증폭하는 IF증폭부(300)와, 상기 IF증폭부(300)로부터 중간주파증폭되어 인가되는 메인복합영상신호와 PIP 복합영상신호를 후술하는 마이컴(250)의 제어신호에 따라 PIP 모드절환시켜 출력하는 PIP 모드절환부(350)와, 상기 PIP 모드절환부(350) 및 스위칭부(400)로부터 PIP 복합영상신호와 메인복합영상신호를 각각 인가받아 PIP처리하여 출력하는 PIP 신호처리부(600)와, 상기 PIP 모드절환부(300), PIP 신호처리부(600) 및 외부 신호입력부(450)로부터 인가되는 각각의 메인복합영상신호 및 PIP 복합영상신호를 마이컴(3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 처리하는 스위칭부(400)와, 상기 스위칭부(400)로부터 메인복합영상신호 및 외PIP 복합영상신호를 인가받아 복조 및 처리한 후 수상관(55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증폭하여 수상관 구동부(500)에 출력하는 메인영상신호처리부(450)와, 상기 PIP 신호처리부(600)로부터 복합영상신호를 인가받은 후, 마이컴(250)의 제어신호에 따라 PIP 화면의 크기를 조정하는 부화면 크기제어부(650)와, 상기 제 1튜너부(150), 제 2튜너부(200), PIP 모드절환부(350) 및 PIP 신호처리부(350)에 접속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한 키입력부(700)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PIP 화면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부화면 크기제어부(650)에 인가하는 마이컴(2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안테나(100)를 통해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는 상기 제 1튜너부(150) 및 제 2튜너부(200)에 의해 선택되어 중간주파신호로 변환되어 IF증폭부(300)에 출력되며, 상기 IF증폭부(300)는 제 1튜너부(150) 및 제 2튜너부(200)로부터 중간주파신호를 인가받아 중간주파증폭한 후, PIP 모드절환부(350)에 인가하게 된다. 상기 PIP 모드절환부(350)는 마이컴(250)의 PIP 모드절환신호에 의해 텔레비전이 PIP 모드상태로 절환되도록 한 후, 메인복합영상신호는 스위칭부(400)를 통해 메인영상신호처리부(450)에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PIP 복합영상신호는 PIP 신호처리부(600)에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PIP 신호처리부(600)는 스위칭부(400)로부터 PIP 복합영상신호를 인가받아 PIP 신호처리한 후, 상기 마이컴(250)의 제어신호에 의해 부화면 크기제어부(650)에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부화면 크기제어부(650)는 PIP 신호처리부(600)로부터 PIP 복합영상신호를 인가받아 신호처리를 행함과 동시에 상기 PIP 복합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PIP 화면의 크기를 확대 및 축소하여 메인영상신호처리부(450)에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영상신호처리부(450)는 부화면 크기제어부(650)로부터 인가되는 복합영상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확대 및 축소된 PIP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어, 상기 스위칭부(400)로부터 PIP 복합영상신호를 인가받아 PIP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PIP 신호처리부(600)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PIP 신호처리부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영상증폭부(601)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스위칭부(400)로부터 출력되는 PIP 복합영상신호를 증폭하게 되고, 상기 영상증폭부(601)에 접속된 동기분리부(605)는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메모리 제어부(606)에 인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영상증폭부(601)에 접속된 제 1 A/D 변환부(602)는 상기 동기 분리부(605)의 동기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샘플링 클럭(SAMPLE CLOCK)에 의해 상기 PIP 복합영상신호를 샘플링 주기를 크게 하여 압축시키는 디지탈 변환을 수행한 후 영상메모리부(603)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 영상메모리부(603)는 메모리 제어부(606)로부터 인가되는 기록인에이블 신호(RE)에 의해 인에이블(ENABLE)되어 상기 샘플링 클럭과 동일한 기록 속도로 저장하는 한편, 상기 메모리 제어부(606)의 독취인에이블 신호(WE)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독취된 후, 제 1 D/A 변환부(604)에 출력된다. 상기 제 1 D/A 변환부(604)는 영상메모리부(603)로부터 압축된 PIP 복합영상신호를 인가받아 디지탈 변환을 수행한 후 상기 도 1에 도시된 부화면 크기제어부(650)에 출력하게 된다.
이어, 도 3는 도 1의 주요부인 부화면 크기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상기 부화면 크기제어부(650)는 마이컴(2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PIP 신호처리부(600)로부터 PIP 복합영상신호를 인가받는 신호수신부(651)와, 상기 신호수신부(651)로부터 출력되는 PIP 복합영상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한 후, 메모리부(653)에 일시 저장되도록 하는 제 2 A/D변환부(652)와, 상기 메모리부(653)로부터 변환된 디지탈 신호를 인가받아 원래의 PIP 복합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제 2 D/A변환부(654)와, 상기 마이컴(2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PIP 복합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블랭크의 크기가 확대 및 축소되도록 하는 조정하는 블랭크 크기변경부(655)와, 상기 블랭크 크기변경부(655)에 의해 확대 및 축소된 블랭크로 블랭킹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블랭크 처리부(656)와, 상기 제 2 D/A변환부(654) 및 블랭크 처리부(656)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신호를 혼합하여 메인영상신호처리부(450)에 출력되도록 하는 혼합부(657)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부화면 크기제어부(65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가 수상관(55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PIP 화면의 크기를 확대 및 축소하여 시청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키입력부(700)를 조작하게 되고 상기 키입력부(700)의 조작으로 인해 발생된 PIP 화면의 크기변경신호는 텔레비전의 시스템에 장착된 수신부(도시 안됨)를 통하여 마이컴(250)에 인가되고, 상기 마이컴(250)은 신호수신부(651)가 PIP 신호처리부(600)로부터 PIP 신호처리된 복합영상신호를 인가받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함과 동시에, 블랭크 크기변경부(655)에 상기 PIP 신호처리된 복합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될 블랭크의 크기가 화개 및 축소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신호수신부(651)는 PIP 신호처리된 복합영상신호를 인가받아 제 2 A/D변환부(652)에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A/D변환부(652)는 표본화, 양자화 및 부호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PIP 신호처리된 복합영상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켜 메모리부(653)에 일시 저장되도록 한 후, 제 2 D/A변환부(654)에 출력하여 원래의 PIP 신호처리된 복합영상신호로 변환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마이컴(250)으로부터 블랭크의 크기가 확대 및 축소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인가받은 블랭크 크기변경부(655)는 기존의 블랭크가 표시되는 크기가 가변되도록 조정한 후, 상기 가변된 블랭크의 크기데이타를 마이컴(250)에 인가하게 되고, 상기 마이컴(250)은 블랭크 크기변경부(655)로부터 가변된 블랭크의 크기데이타를 인가받은 후, 상기 블랭크 처리부(656)에서 발생되는 블랭킹 신호가 가변된 크기의 블랭크에 주사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D/A변환부(654) 및 블랭크 처리부(656)로부터 각각 인가되는 PIP 신호처리된 복합영상신호 및 블랭킹 신호는 혼합부(657)에 혼합되어 상기 블랭크 크기변경부(655)에 의해 가변된 크기의 블랭크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IP 텔레비전에서 PIP 화면의 크기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텔레비전의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하여 텔레비전의 전원이 온절환되고 채널이 선국되는 단계(S1)와, 상기 전원 온절환 및 채널선국단계(S1)에서 서로 다른 두 개의 채널이 선국되어, 상기 두 개의 채널 중 하나의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프로그램은 수상관(550)의 주화면에 디스플레이됨과 동시에 나머지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프로그램은 수상관(550)의 PIP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PIP 화면출력단계(S2)와, 상기 PIP 화면출력단계(S2)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PIP 화면의 크기변경신호가 인가되는지의 여부가 판별되는 PIP 화면 크기조정 판별단계(S3)와, 상기 PIP 화면 크기조정 판별단계(S3)에서 PIP 화면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마이컴(250)이 인가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신호수신부(651)가 PIP 신호처리부(600)로부터 PIP 신호처리된 복합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복합영상신호 수신단계(S5)와, 상기 복합영상신호 수신단계(S5)에서 상기 신호수신부(651)로부터 A/D변환부(652)에 복합영상신호가 출력되어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 후, 메모리부(653)에 일시 저장되는 A/D변환 및 저장단계(S6)와, 상기 A/D변환 및 저장단계(S6)에서 메모리부(653)로부터 디지탈 변환된 신호가 D/A변환부(654)에 출력되는 되어 원래의 복합영상신호로 변환되는 D/A변환단계(S7)와, 상기 PIP 화면 크기조정 판별단계(S3)에서 PIP 화면의 크기가 변경되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마이컴(250)이 인가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블랭크 크기변경부(655)가 상기 PIP 신호처리된 복합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블랭크의 크기가 확대 및 축소되도록 하는 PIP 화면크기 변경단계(S8)와, 상기 PIP 화면크기 변경단계(S8)에서 PIP 화면의 크기가 확대 및 축소된 후, 상기 확대 및 축소된 PIP 화면에 블랭킹 신호가 주사되도록 하는 PIP 화면처리단계(S9)와, 상기 PIP 화면처리단계(S9) 후 상기 D/A변환된 복합영상신호 및 블랭크 처리부(656)로부터 발생되는 블랭킹 신호가 혼합되는 혼합단계(S10)와, 상기 혼합단계(S10)에서 혼합된 D/A변환된 복합영상신호 및 블랭킹 신호가 상기 블랭크 크기변경부(655)에 의해 확대 및 축소된 PIP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변경 PIP화면 출력단계(S11)와, 상기 PIP 화면크기조정 판별단계(S3)에서 PIP 화면의 크기가 변경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PIP 복합영상신호는 부화면 크기제어부(650)에 출력되지 않고 메인영상신호처리부(450)로 출력됨으로써 기존에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고정 PIP화면 출력단계(S4)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 PIP 화면 크기조정 판별단계(S3) 이후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한다.
우선, 상기 PIP 화면 크기조정 판별단계(S3)에서 PIP 화면의 크기가 확대 및 축소되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마이컴(250)은 신호수신부(651)에 PIP 신호처리부(600)로부터 PIP 신호처리된 복합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함과 동시에, 블랭크 크기변경부(655)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블랭크의 크기가 확대 및 축소되도록 한다.
즉, 상기 신호수신부(651)는 PIP 신호처리부(600)로부터 PIP 신호처리된 복합영상신호를 수신한 후, 제 2 A/D변환부(652)에 출력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도록 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탈 신호는 메모리부(653)에 일시 저장된 후 제 2 D/A변환부(654)에 출력되어 원래의 복합영상신호로 변환된다. 동시에 상기 마이컴(250)으로부터 블랭크 크기변경 제어신호를 인가받은 블랭크 크기변경부(655)는 기존의 PIP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블랭크의 크기가 확대 및 축소되도록 블랭크의 크기데이타를 조정하게 되고, 블랭크 처리부(656)는 상기 확대 및 축소된 블랭크에 블랭킹 신호가 인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D/A변환부(654) 및 블랭크 처리부(656)로부터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 및 블랭킹 신호가 혼합부(657)에 인가되어 상기 변경된 블랭크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이하, 상기 PIP 화면 크기조정 판별단계(S3) 이후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한다.
우선, 상기 PIP 화면 크기조정 판별단계(S3)에서 PIP 화면의 크기가 확대 및 축소되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마이컴(250)은 신호수신부(651)에 PIP 신호처리부(600)로부터 PIP 신호처리된 복합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함과 동시에, 블랭크 크기변경부(655)에 블랭크의 크기가 확대 및 축소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즉, 상기 신호수신부(651)는 PIP 신호처리부(600)로부터 PIP 신호처리된 복합영상신호를 수신한 후, 제 2 A/D변환부(652)에 출력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도록 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탈 신호는 메모리부(653)에 일시 저장된 후 제 2 D/A변환부(654)에 출력되어 원래의 복합영상신호로 변환된다. 동시에 상기 마이컴(250)으로부터 블랭크의 크기변경 제어신호를 인가받은 블랭크 크기변경부(655)는 기존의 PIP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블랭크의 크기가 확대 및 축소되도록 블랭크의 크기데이타를 조정하게 되고, 블랭크 처리부(656)는 상기 마이컴(250)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확대 및 축소된 블랭크에 블랭킹 신호가 인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D/A변환부(654) 및 블랭크 처리부(656)로부터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 블랭킹 신호가 혼합부(657)에 인가되어 상기 확대 및 축소된 블랭크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PIP 텔레비전에서는 PIP 화면의 일정한 크기로 고정되어 있는 것에 대해, 상기 PIP 화면의 크기가 확대 및 축소되도록 하는 부화면 크기제어부를 두어, 사용자가 희망하는 크기로 상기 PIP 화면이 확대 및 축소된 후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PIP 텔레비전에서 노정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사용자가 두 개의 주화면 및 PIP 화면으로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데 있어, 사용자의 능동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안테나(100)를 통해 메인복합영상신호 및 PIP 복합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메인복합영상신호는 수상관(550)의 메인화면에 출력하고, PIP 복합영상신호는 PIP 신호처리하여 PIP 화면에 출력하는 PIP 텔레비전에 있어서,
    사용자의 키입력부(700) 조작을 통하여 PIP 화면의 위치변경신호가 발생된 경우, 텔레비전의 수신부(도시 안됨)를 통해 이를 수신하여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마이컴(250)과, 상기 마이컴(250)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수상관(550)에 표시되는 PIP 화면의 크기를 확대 및 축소하는 부화면 크기제어부(650)로 이루어지는 PIP 텔레비전에서 PIP 화면의 크기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면 크기제어부(650)는 마이컴(2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PIP 신호처리부(600)로부터 PIP 복합영상신호를 인가받는 신호수신부(651)와,
    상기 신호수신부(651)로부터 출력되는 PIP 복합영상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한 후, 메모리부(653)에 저장되도록 하는 제 1 A/D변환부(652)와,
    상기 메모리부(653)로부터 변환된 디지탈 신호를 인가받아 원래의 PIP 복합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제 2 D/A변환부(654)와,
    상기 마이컴(2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PIP 복합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블랭크의 크기가 확대 및 축소되도록 하는 블랭크 크기변경부(655)와,
    상기 블랭크 크기변경부(655)에 의해 확대 및 축소된 블랭크에 블랭킹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블랭크 처리부(656)와, 그리고
    상기 제 2 D/A변환부(654) 및 블랭크 처리부(656)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신호를 혼합하여 메인영상신호처리부(450)에 출력되도록 하는 혼합부(65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P 텔레비전에서 PIP 화면의 크기 제어장치.
KR1019970055051A 1997-10-25 1997-10-25 Pip 텔레비전에서 pip 화면의 크기 제어장치 KR19990033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051A KR19990033640A (ko) 1997-10-25 1997-10-25 Pip 텔레비전에서 pip 화면의 크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051A KR19990033640A (ko) 1997-10-25 1997-10-25 Pip 텔레비전에서 pip 화면의 크기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640A true KR19990033640A (ko) 1999-05-15

Family

ID=66048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051A KR19990033640A (ko) 1997-10-25 1997-10-25 Pip 텔레비전에서 pip 화면의 크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36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4401A (ko) * 2005-02-24 2006-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843549B1 (ko) * 2006-05-17 2008-07-04 (주)마이위 디엠비 및 지피에스 신호 표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4401A (ko) * 2005-02-24 2006-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843549B1 (ko) * 2006-05-17 2008-07-04 (주)마이위 디엠비 및 지피에스 신호 표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08711A (ko) 방송방식이 서로다른 복수화면의 동시시청 가능한 tv수신 장치
KR100412503B1 (ko) 디지털방송신호의 해상도 설정이 용이한 디지털방송신호수신용 셋톱박스
JPH0775015A (ja) テレビチャンネル切換装置
KR0165403B1 (ko) 더블 와이드 텔레비젼에서의 화면 정지 선택 장치 및 방법
JP2002077834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9990033640A (ko) Pip 텔레비전에서 pip 화면의 크기 제어장치
US20070285565A1 (en) Video display device
KR20060031959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채널 전환 방법
KR100444238B1 (ko) 픽쳐인픽쳐표시방법과그에따른텔레비젼수신기
KR0185315B1 (ko) 두화면 동시 출력이 가능한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기능조정시 메뉴화면표시장치와 메뉴화면표시방법
KR19990033638A (ko) Pip 텔레비전에서 pip 화면의 위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52719B1 (ko) 텔레비전의 전문정보채널 출력장치
KR100227117B1 (ko) 다화면 텔레비전의 자막신호 표시제어장치
KR19990039297A (ko) Pip텔레비전에서 채널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JP2004187121A (ja) チャンネル選択方法と装置、及び映像音声処理装置
JP2006197128A (ja) 多チャンネル入力方式の映像装置、及びそのチャンネル切り替え方法
JPH08111828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4551876B2 (ja) アナログ/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158350Y1 (ko) 동기클럭 공용화 장치
JP3388520B2 (ja) ダイバーシティ受信装置
JPH06303548A (ja) 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装置
KR100542556B1 (ko) 텔레텍스트 표시 기능 내장형 텔레비전 및 상기텔레텍스트 포맷 변환 방법
KR200221132Y1 (ko) 텔레비젼에서의 화면 확대시 해상도 개선 장치
KR100282062B1 (ko) 문자방송의 녹화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의 운영방법
KR19990015087U (ko) 외부 영상신호 입력시 주,부화면 자동절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