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7139A - Pip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Pip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7139A
KR20040067139A KR1020030004124A KR20030004124A KR20040067139A KR 20040067139 A KR20040067139 A KR 20040067139A KR 1020030004124 A KR1020030004124 A KR 1020030004124A KR 20030004124 A KR20030004124 A KR 20030004124A KR 20040067139 A KR20040067139 A KR 20040067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ub
key
size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4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7139A/ko
Publication of KR20040067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13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 B01D33/64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compression
    • B01D33/64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compression by pressur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 B01D33/64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compression
    • B01D33/64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compression by pressu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8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belt or band filters

Abstract

PIP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주화면 및 부화면을 동시에 표시하는 PIP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부화면의 위치조정모드 선택을 위한 위치조정모드키 및 상, 하, 좌, 우 방향 선택을 위한 방향선택키가 마련된 입력부와, 입력된 제1 및 제2영상신호를 각각 설정된 주화면 크기 및 부화면 크기로 스케일링하며, 부화면이 주화면의 소정 영역에 위치하도록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러와, 스케일러로부터 출력된 제1 및 제2영상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합성부 및 위치조정모드키가 선택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방향선택키로부터 상기 상, 하, 좌, 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 대한 제1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1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소정 간격만큼 부화면의 위치를 가변하도록 스케일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PIP 기능 구현시 이미 구비된 다수의 조작키 예를 들어, 채널 및 볼륨 조정키를 이용하여 부화면의 위치 및 크기를 미세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PIP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function PIP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PIP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채널 및/또는 음량 조정버튼과 같은 기능키를 조작하여 PIP 화면 즉, 부화면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PIP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의 기능 및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최근에는 적어도 두 개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하나의 화면에 적어도 두 개의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이 내장된 영상표시장치가 개발되었다.
자세히 말하면, PIP 기능은 큰 화면을 구현하는 주화면에 작은 화면을 구현하는 부화면을 오버랩하여 동시에 표현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기능으로써, 소정의 영상신호에 대한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도중, PIP 기능이 선택되어 다른 영상신호가 수신되면 소정의 영상신호는 주화면에 구현되며 다른 영상신호는 부화면에 구현된다.
이러한 PIP 기능 구현시, 부화면은 주화면의 소정 영역에 소정 크기로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주화면 및 부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신호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PIP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는, PIP 기능 구현 시 동일한 또는 상이한 영상신호를 동시에 제공하는 반면, 주화면의 특정 부분이 부화면에 의해 가려진 경우 부화면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화면과 부화면이 동시에 구현되는 경우, 주화면에 '박완서 작가는 1931년 개풍…'과 같은 자막이 디스플레이될 때 부화면에 의해 주화면의 일부 자막인 '1931년 개'(점선으로 도시됨)가 가려짐으로써 사용자는 주화면의 자막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부화면의 크기가 협소하여 부화면 내의 영상을 정확히 인식할 수 없는 경우, 종래에는 부화면의 크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PIP 기능 구현시 부화면의 위치 및 크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및 크기로 조정할 수 있는 PIP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PIP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에서 주화면에 표시된 자막이 부화면에 의해 가려진 상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IP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도 2의 영상표시장치에서 구현되는 부화면의 위치 및 크기 조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입력부 조작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5는 도 2의 입력부 조작에 따른 부화면의 위치 조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200 : 영상표시장치 210 : 입력부
240 : 신호처리부 250 : 스케일러
260 : 합성부 270 : 표시부
280 : 저장부 290 : 제어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화면 및 상기 주화면의 소정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부화면을 동시에 표시하는 PIP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화면의 위치조정모드 선택을 위한 위치조정모드키 및 상, 하, 좌, 우 방향 선택을 위한 방향선택키가 마련된 입력부와, 입력된 제1 및 제2영상신호를 각각 설정된 주화면 크기 및 부화면 크기로 스케일링하며, 상기 부화면이 상기 주화면의 상기 소정 영역에 위치하도록 스케일링하여 출력하는 스케일러와 상기 스케일러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및 제2영상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합성부 및 상기 위치조정모드키가 선택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방향선택키로부터 상기 상, 하, 좌, 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 대한 제1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1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소정 간격만큼 상기 부화면의 위치를 가변하도록 상기 스케일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입력부는 상기 부화면의 크기조정모드 선택을 위한 크기조정모드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크기조정모드키가 선택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방향선택키로부터 상기 상, 하, 좌, 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 대한 제2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2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소정 간격만큼 상기 부화면의 크기를 가변하도록 상기 스케일러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화면 및 상기 주화면의 소정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부화면을 동시에 표시하는 PIP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제1 및 제2영상신호를 각각 기설정된 주화면 크기 및 부화면 크기로 스케일링하며, 상기 부화면이 상기 주화면의 상기 소정 영역에 위치하도록 스케일링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주화면 및 상기 부화면이 동시에 표시되도록 상기 스케일링된 제1 및 제2영상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부화면의 위치조정을 위한 위치조정모드키가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위치조정모드키가 선택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상, 하, 좌, 우 방향키 중 소정의 제1방향키가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제1방향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1방향키에 대응하는 소정 간격만큼 상기 부화면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영상신호를 재스케일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부화면의 크기조정을 위한 크기조정모드키가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크기조정모드키가 선택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상, 하, 좌, 우 방향키 중 소정의 제2방향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2방향키에 대응하는 소정 간격만큼 상기 부화면의 크기가 가변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영상신호를 재스케일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IP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도 2의 영상표시장치에서 구현되는 부화면의 위치 및 크기 조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PIP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장치(200)는 입력부(210), 수광부(220), 튜너(230), 신호처리부(240), 스케일러(250), 합성부(260), 표시부(270), 저장부(280) 및 제어부(290)를 갖는다.
입력부(210)는 영상표시장치(200)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선택 또는 조작하기 위한 조작신호를 후술할 제어부(290)로 출력하는 다수의 조작키(미도시)를 구비하며, 영상표시장치(200)의 본체에 마련된다.
또한, 다수의 키(미도시)가 마련된 원격제어기(200a)로부터 사용자 조작신호가 송출되는 경우,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수광부(220)가 본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IP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장치(200)에 있어서, 입력부(210)에는 PIP 모드 선택신호를 제어부(290)로 송출하기 위한 PIP 모드선택키(211), 후술할 부화면의위치조정모드 선택을 위한 위치조정모드키(212), 부화면의 크기조정모드 선택을 위한 크기조정모드키(213)가 마련된다.
또한, 입력부(210)에는 채널선택을 위한 채널 업/다운키(215, 216) 및 음량 조절을 위한 볼륨 업/다운키(217, 218)가 마련되며, 본 발명에서는 각 키(215 내지 218)에 부화면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부화면의 위치 및 크기 조절을 지시하는 상, 하, 좌, 우 방향키로도 이용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PIP 모드로 전환되어 주화면 및 부화면이 구현되는 경우, 부화면을 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동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위치조정모드키(212)를 선택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채널 업키(215)를 선택하면, 채널 업키(215)의 선택회수에 대응하는 간격만큼 부화면은 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채널 다운키(216)를 선택하면 부화면은 아래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동되며, 볼륨 업키(217)를 선택하면 부화면은 오른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동되며, 볼륨 다운키(218)를 선택하면 부화면은 왼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동된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화면의 크기를 위방향(↑)으로 확대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크기조정모드키(213)를 선택한 후 소정 시간이내에 채널 업키(215)를 선택하면, 채널 업키(215)의 선택 회수만큼 부화면의 크기는 위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확대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채널 다운키(216)를 선택하면 부화면은 아래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축소되며, 볼륨 업키(217)를 선택하면 부화면은 오른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축소되며, 볼륨 다운키(218)를 선택하면부화면은 왼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확대된다.
한편, 위치조정모드키(212) 또는 크기조정모드키(213)가 선택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각 키(215 내지 218)가 소정 시간 이내에 선택되지 않으면, 부화면은 위치조정모드키(212) 또는 크기조정모드키(213)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위치 또는 크기만큼 부화면의 위치 또는 크기가 가변된다.
예를 들어, 위치조정모드키(212)가 선택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각 키(215 내지 218)가 선택되지 않으면, 부화면의 위치는 현재 표시부(270)의 하단 오른쪽 모서리 위치에서 하단 왼쪽 모서리 위치로 이동된다. 즉, 위치조정모드키(212)가 한 번 선택될 때마다 부화면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표시부(270)의 각 모서리로 이동한다.
또한, 예를 들어, 크기조정모드키(213)가 선택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각 키(215 내지 218)가 선택되지 않으면, 현재 '작은 화면'의 크기를 갖는 부화면의 크기는 '중간 화면'으로 가변된다. 즉, 크기조정모드키(213)가 한 번 선택될 때마다 부화면은 '작은 화면', '중간 화면', '큰 화면'의 순 또는 역순으로 가변된다.
입력부(210)에 마련된 PIP 모드선택키(211), 위치조정모드키(212) 및 크기조정모드키(213)는 원격제어기(200a)에도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입력부(210)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튜너부(230)는 메인튜너(232) 및 서브튜너(234)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영상표시장치(200)에 온(on)신호가 인가되면 메인튜너(232)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1채널을 선국한다. 서브튜너(234)는 다수개 구비가능하며,PIP 모드선택키(211)에 의해 PIP 기능이 선택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채널을 선국한다. 서브튜너(234)가 다수개 구비될 경우, 부화면은 서브튜너(234)의 개수만큼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주화면 및/또는 부화면에 구현될 채널선택명령을 입력받으면, 메인튜너(232) 및/또는 서브튜너(234)는 각각의 채널선택명령에 대응하는 채널을선국한다.
신호처리부(240)는 주화면 신호처리부(242) 및 부화면 신호처리부(244)를 갖는다.
주화면 신호처리부(242)는 메인튜너(232)에서 선국된 제1채널의 방송신호 중 제1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주화면신호로 출력한다.
부화면 신호처리부(244)는 서브튜너(234)에서 선국된 제2채널의 방송신호 중 제2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여 부화면신호로 출력한다.
또한, 메인튜너(232) 및 서브튜너(234)를 통해 선국된 채널 중 음향신호는 음성신호처리부(미도시)를 거쳐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케일러(250)는 주화면 신호처리부(242)로부터 출력된 제1영상신호를 주화면 크기에 맞게 스케일링하며, 부화면 신호처리부(244)로부터 출력된 제2영상신호를 부화면 크기에 맞게 스케일링하여 출력한다. 또한, 스케일러(250)는 제2영상신호가 표시되는 부화면 위치를 스케일링하여 출력한다.
초기 부화면 위치/크기값은 후술할 저장부(280)에 저장되어 있으며, 스케일러(250)는 저장된 초기 부화면 위치/크기값을 이용하여 스케일링한다.
일반적으로, 주화면 크기는 후술할 표시부(270)의 크기와 동일하며, 부화면의 크기는 주화면보다 작다. 또한, 부화면은 주화면의 소정 영역에 중첩되게 표시된다.
합성부(260)는 스케일러(250)로부터 출력된 제1영상신호 및 제2영상신호를 합성하되, 주화면의 소정 영역에 부화면이 중첩되도록 합성하여 출력한다.
상술한 신호처리부(240)의 신호처리, 입력부(210)의 키조작에 따른 스케일러(250)의 스케일링 및 합성부(260)의 주화면 및 부화면의 합성기능 등은 이미 공지된 기술로서 당업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부(270)는 합성부(260)로부터 출력된 주화면 및 부화면을 표시한다.
저장부(280)에는 영상표시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저장부(280)에는 표시부(270)에 초기 표시되는 부화면의 위치 및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초기 설정값 및 입력부(210)의 조작에 따라 부화면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가변값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부화면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가변값은 부화면의 위치/크기조정모드에서 채널 업/다운키(215, 216) 또는 볼륨 업/다운키(217, 218)가 한 번 선택될 때마다 조정되는 부화면의 위치 또는 크기 조정폭이다.
이러한 채널 업/다운키(215, 216) 또는 볼륨 업/다운키(217, 218)가 한 번 선택될 때마다 조정되는 조정폭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가능하다. 예를 들어, 공장 출하시에는 채널 업키(215)가 한 번 선택될 때마다 부화면의 위치 또는 크기가 1mm조정되도록 설정되었으나, 사용자에 의해 1mm보다 크거나 작게 조정되도록 조정폭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입력부(210) 및 또는 원격제어기(200a)로부터 인가되는 조작신호를 저장부(280)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영상표시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PIP 모드선택키(211)에 의해 PIP 모드로 전환되어 주화면 및 부화면이 표시되는 경우, 입력부(210)의 키조작과 관련된 제어부(29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위치조정모드키(212)가 선택된 경우, 소정 시간 이내에 채널 업키(215)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90)는 부화면의 위치가 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동하도록 스케일러(250)를 제어하며, 채널 다운키(216)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부화면의 위치가 아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동하도록 스케일러(25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90)는 볼륨 업키(217)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부화면의 위치가 오른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동하도록 스케일러(250)를 제어하며, 볼륨 다운키(218)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부화면의 위치가 왼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동하도록 스케일러(250)를 제어한다.
한편, 크기조정모드키(213)가 선택된 경우, 소정 시간 이내에 채널 업키(215)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90)는 부화면의 크기가 위방향(↑)으로 소정 간격 확대되도록 스케일러(250)를 제어하며, 채널 다운키(216)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부화면의 크기가 아래방향(↓)으로 소정 간격 축소되도록 스케일러(25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90)는 볼륨 업키(217)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부화면의 크기가 오른방향(→)으로 소정 간격 축소되도록 스케일러(250)를 제어하며, 볼륨 다운키(218)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부화면의 크기가 왼방향(←)으로 소정 간격 확대되도록 스케일러(25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90)는 위치조정모드키(212) 또는 크기조정모드키(213)가 선택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각 키(215 내지 218)가 소정 시간 이내에 선택되지 않으면, 위치조정모드키(212) 또는 크기조정모드키(213)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위치 또는 크기만큼 부화면의 위치 또는 크기가 가변되도록 스케일러(250)를 제어한다.
이 때, 각 키(213 내지 218)가 한 번 선택될 때마다 가변되는 소정 간격(즉, 축소, 확대, 이동 간격)은 저장부(280)로부터 독출된다.
도 4는 도 2의 입력부 조작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영상표시장치(200)에 처음 온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290)는 기설정된 제1채널에 대한 제1영상/음향신호를 선국하도록 메인튜너(232)를 제어한다. 메인튜너(232)를 통해 선국된 제1채널에 대한 제1영상신호는 주화면 신호처리부(242) 및 스케일러(250)를 거쳐 표시부(270)의 주화면에 표시된다(S410).
입력부(210)의 PIP 모드선택키(211)에 의해 PIP 모드 선택신호가수신되면(S420), 제어부(290)는 기설정된 제2채널에 대한 제2영상/음향신호를 선국하도록 서브튜너(234)를 제어한다. 서브튜너(234)를 통해 선국된 제2채널에 대한 제2영상/음향신호는 부화면 신호처리부(244) 및 스케일러(250)를 거쳐 표시부(270)의 부화면에 표시된다(S430).
또한, 메인튜너(232)를 통해 선국된 제1채널에 대한 제1음향신호 및 서브튜너(234)를 통해 선국된 제2채널에 대한 제2음향신호는 음향신호처리부(미도시)와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S430단계에 의해 도 3과 같이 주화면 및 주화면의 소정 영역에 부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 입력부(210)에 마련된 위치조정모드키(212) 또는 크기조정모드키(213)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S440), 제어부(290)는 채널 업/다운키(215, 216) 또는 볼륨 업/다운키(217, 218) 중 소정의 키에 대한 선택신호가 소정 시간 이내에 수신되었는지 확인한다(S450).
S450단계에서 각 키(215 내지 218) 중 소정 키에 대한 방향선택신호가 소정 시간 이내에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290)는 수신된 방향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소정 간격만큼 부화면의 위치 또는 크기를 가변하도록 스케일러(250)를 제어한다(S460).
이 때, 제어부(290)는 소정 키에 대한 방향선택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부화면의 위치 가변값 또는 크기 가변값을 저장부(280)로부터 독출하여, 부화면의 위치 또는 크기를 가변하도록 스케일러(25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채널 업키(215)가 연속적으로 3번 선택되어 제어부(290)에 채널업키(215) 선택신호가 연속적으로 3번 수신되면, 제어부(290)는 채널 업키(215)에 대한 부화면의 위치 또는 크기 가변값을 저장부(280)로부터 3번 독출한 후, 부화면의 위치 또는 크기를 3번에 걸쳐 가변하도록 스케일러(250)를 제어한다. 그러나 스케일러(250)의 가변속도 즉, 스케일링 속도는 단시간에 수행되므로 3번에 걸친 스케일링은 한 번에 수행되는 것처럼 보여진다.
S460단계가 수행되면, 제어부(290)는 제1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주화면 및 제2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위치 또는 크기가 가변된 부화면을 합성하도록 합성부(260)를 제어하며, 합성된 신호는 표시부(270)에 표시되도록 한다(S470).
한편, S450단계에서 각 키(215 내지 218) 중 소정 키에 대한 방향선택신호가 소정 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290)는 S440단계에서 선택된 위치조정모드키(212) 또는 크기조정모드키(213)에 대한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소정 간격만큼 부화면의 위치 또는 크기를 가변하도록 스케일러(250)를 제어한다(S480).
예를 들어, S440단계에서 선택된 위치조정모드키(212)가 선택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각 키(215 내지 218) 중 소정 키에 대한 방향선택신호가 소정 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290)는 S440단계에서 선택된 위치조정모드키(212)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위치만큼 부화면의 위치를 가변하도록 스케일러(26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290)는 현재 표시부(270)의 하단 오른쪽 모서리에 위치하는 부화면이 하단 왼쪽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스케일러(250)를 제어한다.
여기서, S450단계에서와 같이 각 키(215 내지 218)를 이용하여 부화면의 위치 또는 크기를 가변하는 경우는 S480단계와 같이 위치조정모드키(212) 또는 크기조정모드키(213)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부화면의 위치 또는 크기의 미세조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영상표시장치(200)는 PIP 구현시, 입력부(210)에 이미 마련된 채널 업/다운키(215, 216) 및 볼륨 업/다운키(217, 218)를 이용하여 부화면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부화면의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 부화면은 도 4와 같이 주화면을 완전히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주화면의 영역을 벗어날 수 있다. 이로써 주화면에 주요한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보다 정확히 주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영상표시장치(200)는 튜너(230)를 통해 선국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케이블, 위성방송, 인터넷 방송 등으로부터 영상/음향신호를 수신하여 PIP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PIP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PIP 기능 구현시 이미 구비된 다수의 조작키 예를 들어, 채널 및 볼륨 조정키를 이용하여 부화면의 위치 및 크기를 미세조정할 수 있다. 특히, 채널 및 볼륨 조정키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키 구비없이 간단한 조작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부화면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4)

  1. 주화면 및 상기 주화면의 소정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부화면을 동시에 표시하는 PIP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화면의 위치조정모드 선택을 위한 위치조정모드키 및 상, 하, 좌, 우 방향 선택을 위한 방향선택키가 마련된 입력부;
    입력된 제1 및 제2영상신호를 각각 설정된 주화면 크기 및 부화면 크기로 스케일링하며, 상기 부화면이 상기 주화면의 상기 소정 영역에 위치하도록 스케일링하여 출력하는 스케일러;
    상기 스케일러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및 제2영상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합성부; 및
    상기 위치조정모드키가 선택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방향선택키로부터 상기 상, 하, 좌, 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 대한 제1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1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소정 간격만큼 상기 부화면의 위치를 가변하도록 상기 스케일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부화면의 크기조정모드 선택을 위한 크기조정모드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크기조정모드키가 선택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방향선택키로부터 상기 상, 하, 좌, 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 대한 제2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2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소정 간격만큼 상기 부화면의 크기를 가변하도록 상기 스케일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주화면 및 상기 주화면의 소정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부화면을 동시에 표시하는 PIP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제1 및 제2영상신호를 각각 기설정된 주화면 크기 및 부화면 크기로 스케일링하며, 상기 부화면이 상기 주화면의 상기 소정 영역에 위치하도록 스케일링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주화면 및 상기 부화면이 동시에 표시되도록 상기 스케일링된 제1 및 제2영상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부화면의 위치조정을 위한 위치조정모드키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위치조정모드키가 선택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상, 하, 좌, 우 방향키 중 소정의 제1방향키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제1방향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1방향키에 대응하는 소정 간격만큼 상기 부화면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영상신호를 재스케일링하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면의 크기조정을 위한 크기조정모드키가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크기조정모드키가 선택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상, 하, 좌, 우 방향키 중 소정의 제2방향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2방향키에 대응하는 소정 간격만큼 상기 부화면의 크기가 가변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영상신호를 재스케일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30004124A 2003-01-21 2003-01-21 Pip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671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124A KR20040067139A (ko) 2003-01-21 2003-01-21 Pip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124A KR20040067139A (ko) 2003-01-21 2003-01-21 Pip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139A true KR20040067139A (ko) 2004-07-30

Family

ID=37356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124A KR20040067139A (ko) 2003-01-21 2003-01-21 Pip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713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4401A (ko) * 2005-02-24 2006-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315415B1 (ko) * 2007-12-06 2013-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008190B2 (en) 2009-01-06 2015-04-1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and method thereof
KR20170087269A (ko) * 2016-01-20 2017-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4401A (ko) * 2005-02-24 2006-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315415B1 (ko) * 2007-12-06 2013-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008190B2 (en) 2009-01-06 2015-04-1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and method thereof
KR20170087269A (ko) * 2016-01-20 2017-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9766B2 (ja) 電子機器及びこれに用いるリモコン送信機の操作ボタンガイド方法
KR100788654B1 (ko) 화면 조정 장치 및 방법
JP2007013725A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KR101305507B1 (ko) 차량용 휴대정보단말 및 그 제어방법
KR10076394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21877B1 (ko) 채널 osd 표시방법
KR20040067139A (ko) Pip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66880B1 (ko) 방송 수신기의 화면 제어 방법
KR20060094401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803139B1 (ko) 다이나믹 화면 전환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및 그제어방법
US2003007466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program guide
KR100603764B1 (ko) Pip 디스플레이 장치 및 pip 디스플레이 방법
KR20060031959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채널 전환 방법
KR0176458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 위치 이동 및 저장방법
JPH1155593A (ja) 受信装置
KR100203700B1 (ko) 위성방송 메뉴화면 조절방법
KR100460978B1 (ko) Pip 기능을 가지는 텔레비전과 그것의 영상 표시 방법
KR920003088B1 (ko) 다채널 선국시 자화면 채널 표시방법
KR0176459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 크기 조정 및 저장방법
KR100416551B1 (ko) 부가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및 부가 정보 디스플레이기능을 갖는 영상처리 시스템
JPH0955895A (ja) テレビジョン表示装置
KR19990033065A (ko) 다화면 텔레비전의 화면크기 조정에 의한 화면모드절환제어장치
KR100243036B1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오에스디 표시장치 및 그 방법
JP3111406U (ja) テレビ受信装置
KR100728923B1 (ko) 잔상소거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잔상소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