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0235A -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0235A
KR20090100235A KR1020090010867A KR20090010867A KR20090100235A KR 20090100235 A KR20090100235 A KR 20090100235A KR 1020090010867 A KR1020090010867 A KR 1020090010867A KR 20090010867 A KR20090010867 A KR 20090010867A KR 20090100235 A KR20090100235 A KR 20090100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ound
image
display area
local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스케 네기
히로시게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0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2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이미지 처리장치는 복수의 스크린 각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부와, 복수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한 사운드가 서로 떨어져 국부화되는 위치가 되도록 복수의 이미지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운드 신호를 합성하도록 구성된 합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2008년 3월 18일자로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 특허출원 JP 2008-068849에 관련된 주제를 포함하며,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텐츠의 내용이 빠르게 확인될 수 있는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텔레비전 방송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커지고, 1개의 디스플레이에 복수의 스크린이 표시되어도, 유저가 각각의 스크린의 이미지를 충분히 즐길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사운드에 관하여, 대부분의 경우에, 선택된 1개의 스크린의 스테레오 사운드만 청취될 수 있다.
그리고, 먼저 일반적으로 제안된 특허 출원서에서, 1개의 디스플레이에 2개의 스크린을 표시했을 경우에, 좌우 측의 스피커로부터 좌측의 스크린의 모노럴 사운드(monaural sound)와 우측의 스크린의 모노럴 사운드를 각각 출력시켜, 필요에 따라서 2개의 모노럴 사운드의 볼륨의 밸런스가 조정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예를 들면, JP-A-9-307833).
그러나,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하여 그것을 위한 특별한 조작이 요구된다. 또 밸런스가 한편에 조정되고 사운드가 확인된 후, 다른 사운드가 확인될 때, 밸런스는 반대의 방향으로 조작되어야 한다. 그 결과, 유저는 콘텐츠로서 사운드의 내용을 신속히 식별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콘텐츠의 내용을 신속히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복수의 스크린의 각각에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부와, 복수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한 사운드가 서로 떨어져 국부화되는 위치가 되도록 복수의 이미지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운드 신호를 합성하도록 구성된 합성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복수의 스크린 중 제 1스크린과 제 2스크린이 같은 크기로 표시되는 경우에, 상기 제 1스크린에 대응하는 제 1사운드 신호에 근거하는 사운드가 국부화되는 제 1위치와 상기 제 2스크린에 대응하는 제 2사운드 신호에 근거하는 사운드가 국부화되는 제 2위치가, 상기 제 1스크린과 상기 제 2스크린으로부터 같은 거리로 간격을 둔 라인에 관하여 상기 제 1스크린의 방향 및 상기 제 2스크린의 방향으로 각각 변위될 수 있다.
국부화된 위치(localized positions)는 제 1스크린 및 제 2스크린의 제휴 스 케일링(cooperative scaling)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 1스크린과 제 2스크린의 크기가 다른 경우, 보다 큰 스크린의 사운드가 라인에 가까운 위치에 국부화될 수 있다.
제 1스크린과 제 2스크린 중 한편이 최대의 크기가 되었을 경우, 최대 스크린의 사운드가 라인 상에 국부화될 수 있다.
제 1스크린이 제 2스크린에 표시된 복수의 섬네일(thumbnail) 이미지로부터 선택된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고, 제 1스크린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섬네일 이미지가 제 2스크린에 포커스될 때, 제 1스크린의 사운드는 라인 상에 국부화되고, 제 1스크린의 이미지와 다른 섬네일 이미지가 제 2스크린 상에 포커스될 때, 국부화된 위치는 제 1스크린 및 제 2스크린의 제휴 스케일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 1스크린이 제 2스크린에 표시된 복수의 섬네일 이미지로부터 선택된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고, 제 1스크린의 이미지가 포커스될 때, 제 1스크린의 사운드가 라인 상에 국부화될 수 있다.
제 1스크린 및 제 2스크린의 각각의 사운드가 국부화되는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제 1스크린 및 제 2스크린의 각각의 사운드의 볼륨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스크린의 각각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는 사운드가 서로 떨어져 국부화되는 위치가 되도록 복수의 상기 이미지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 운드 신호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스크린의 각각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고, 복수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는 사운드가 서로 떨어져 국부화되는 위치가 되도록 복수의 상기 이미지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운드 신호를 합성하는 컴퓨터에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스크린의 각각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고, 복수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는 사운드가 서로 떨어져 국부화되는 위치가 되도록 복수의 상기 이미지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운드 신호를 합성하는 컴퓨터에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어느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스크린의 각각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부와, 사운드 신호에 근거한 사운드가 서로 떨어져 국부화되는 위치가 되도록 복수의 이미지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운드 신호를 합성하도록 구성된 합성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의 내용이 신속히 식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발명의 실시예의 이미지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이미지 처리장치(1)는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21)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근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고, 표시부(16)에 콘텐츠의 이미지를 표시한다. 조작부(21)는, 예를 들면, 리모트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좌측 버튼(22), 우측 버튼(23), 이동 버튼(24), 결정 버튼(25) 및 다른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갖는다. 물론, 조작부(21)는 이미지 처리장치(1)의 본체에 장착된 각종의 버튼 및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도 괜찮다.
이미지 처리장치(1)는 조작신호 취득부(11), 제어부(12), 콘텐츠 취득부(13), 기록부(14), 이미지 신호 생성부(15), 표시부(16), 볼륨 국부화 계산부(17), 사운드 합성부(18) 및 사운드 출력부(19)를 포함한다. 이 중, 기록부(14), 표시부(16) 및 사운드 출력부(19)는 이미지 처리장치(1)의 본체와는 독립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조작신호 취득부(11)는 유저로부터 조작신호를 취득하는 것으로, 유저에 의해 조작된 조작부(21)로부터 제공된다. 취득된 조작신호는 제어부(12)에 공급된다. 제어부(12)는 조작신호에 근거하여 각부의 조작을 제어한다.
콘텐츠 취득부(13)는 복수의 튜너를 내장하고, 위성방송, 통신위성 또는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로부터 다른 채널의 이미지 신호를 독립 및 동시에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콘텐츠 취득부(13)는 튜너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신호를 동시 및 독립으로 디코드하고, 이미지 신호 생성부(15)에 그것들을 출력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합계 9 채널의 이미지 신호가 동시에 취득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수는 임의이고, 9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콘텐츠 취득부(13)는 기록부(14)에 기록된 이미지 신호를 인코드하고, 기록부(14)에 의해 재생된 이미지 신호를 디코드하며, 이미지 신호 생성부(15)에 그것들을 출력한다.
또한, 콘텐츠 취득부(13)는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각종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복수의 이미지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기록부(14)는 하드 디스크, 광디스크, 광학 자기 디스크 또는 솔리드-스테이트(solid-state) 메모리를 포함하고, 콘텐츠 취득부(13)에 의해 취득되고 인코드 된 이미지 신호를 기록한다. 기록부(14)는 또한 필요에 따라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미지 신호 생성부(15)는 표시부(16)에 복수의 스크린을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표시영역와 서브 표시영역의 2개의 스크린의 이미지 신호가 생성된다(표시영역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미지 신호 생성부(15)는, 서브 표시영역의 이미지 신호로써, 콘텐츠 취득부(13)으로부터 공급된 9 채널의 이미지 신호의 각각을 스케일링하고, 동영상의 섬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s)의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며, 서브 표시영역 중 선택된 영역의 이미지 신호를 메인 표시영역의 이미지 신호가 되도록 한다. 이미지 신호 생성부(15)는 생성된 이미지 신호를 표시부(16)에 출력하고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시킨다.
표시부(16)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CRT(Cathode Ray Tube),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또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1개의 표시면에 복수의 스크린을 표시한다.
볼륨 국부화 계산부(volume localization calculation unit)(17)는 볼륨 및 메인 표시영역의 스크린의 사운드의 국부화된 위치와 서브 표시영역의 스크린의 사운드의 사운드의 국부화된 위치를 계산한다. 사운드 합성부(18)는, 볼륨 국부화 계산부(17)에 의해 계산된 볼륨의 사운드가 계산된 위치에서 국부화되도록, 콘텐츠 취득부(13)로부터 공급되는 사운드 신호의 레벨과 위상을 조정하고 그것들을 합성한다.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사운드 출력부(19)는 표시부(16)의 좌우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사운드 합성부(18)로부터 공급된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한다.
다음에, 도 2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이미지 처리장치(1)에 의해 실시되는 제휴 스케일링 처리(cooperative scaling process)가 설명될 것이다. 이 처리는 이미지 표시가 지시될 때 개시된다.
스텝(S1)에서, 이미지 신호 생성부(15)는 디폴트(default)로 표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폴트 상태는, 메인 표시영역(51)이 표시부(16)의 하나의 표시면(16A)의 좌측에 표시되고, 메인 표시영역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그것으로 약간 분리된 서브 표시영역(52)이 우측에 표시되는 상태이다. 콘텐츠 취득부(13)에 의해 동시에 수신되거나 또는 기록부(14)에 의해 재생된 2개의 채널의 이미지 신호는 메인 표시영역(51)과 서브 표시영역(52)의 이미지 신호 이다. 도 3의 예에서, 이미지(V1 및 V2)는 메인 표시영역(51)과 서브 표시영역(52)에 각각 표시된다.
지시가 나왔을 경우, 스텝(S2)에서, 제어부(12)는 왼쪽 스크린이 확대되도록 제휴 스케일링(cooperative scaling)이 지시된 것인지를 판정한다. 즉, 유저가 좌측의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의 비율을 우측의 서브 표시영역의 스크린의 사이즈로 변경하는 경우, 유저는 조작부(21)의 전용의 좌측 버튼(22) 또는 우측 버튼(23)을 조작한다.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크게 될 때, 좌측 버튼(22)이 조작되고, 우측 서브 표시영역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크게 될 때, 우측 버튼(23)이 조작된다.
좌측 스크린을 확대하도록 제휴 스케일링이 지시될 때(즉, 좌측 버튼(22)의 조작신호가 조작신호 취득부(11)에 의해 취득될 때), 스텝(S3)에서, 이미지 신호 생성부(15)는 좌측 스크린을 확대하고 제휴로 우측 스크린을 축소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작고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큰 상태에서 좌측 버튼(23)이 조작될 때, 이미지 신호 생성부(15)는 좌측의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를 크게 하고, 우측의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를 작게 한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이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동일한 상태가 된다.
좌측 버튼(22)이 또한 조작될 때, 이미지 신호 생성부(15)가 좌측의 메인 표 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를 또한 크게 하고, 우측의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를 또한 작게 한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보다 크게 된다. 좌측 버튼(22)이 조작되는 동안, 이상의 조작은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최대가 될 때까지(즉,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최소가 될 때까지) 실행된다. 그 결과, 유저는 좌측 버튼(22)의 조작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를 임의의 사이즈로 변경할 수 있다.
스텝(S3)의 처리의 후, 스텝(S5)에서, 사운드 합성부(18)는 제휴 특성(cooperative characteristic)에 따라서 사운드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최소이고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최대일 때, 표시면(16A)의 중심을 통과하는 라인(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동일할 때, 라인은 2개의 스크린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놓인다)(LNc) 상의 위치(Pv2)에서, 그때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이미지(V2)의 사운드(Lv2 및 Rv2)가 국부화 되도록, 볼륨 국부화 계산부(17)는 사운드(Lv2 및 Rv2)의 사운드 신호의 위상을 계산한다. 계산된 값에 근거하여, 사운드 합성부(18)는 표시면(16A)의 좌측의 단부에 위치되는 사운드 출력부(19L)로부터 출력된 사운드(Lv2)의 사운드 신호의 위상과 우측의 사운드 출력부(19R)로부터 출력된 사운드(Rv2)의 사운드 신호의 위상을 제어한다.
그리고, 볼륨 국부화 계산부(17)는 최소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이미지(V1)의 사운드를 맨 좌측 위치(Pv1)에서 계산하고, 사운드 합성부(18)는 계산된 값에 근거하여 좌측 사운드 출력부(19L)로부터 출력된 사운드(Lv1)의 사운드 신호의 위상과 우측 사운드 출력부(19R)로부터 출력된 사운드(Rv1)의 사운드 신호의 위상을 제어한다.
또한, 최대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이미지(V2)의 사운드의 볼륨이 최소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이미지(V1)의 사운드의 볼륨보다 커지도록, 볼륨 국부화 계산부(17)는 좌측 사운드 출력부(19L)로부터 출력된 사운드(Lv2)와 우측 사운드 출력부(19R)로부터 출력된 사운드(Rv2)의 사운드 신호의 레벨을 계산한다. 계산된 값에 근거하여 사운드 합성부(18)는 사운드 신호의 레벨을 제어한다. 최소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이미지(V1)의 사운드는 실질적으로 뮤트 상태(mute state)의 레벨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커지고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와 동일해진 상태에서,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이미지(V1)의 사운드가 국부화되는 위치(Pv1)는 라인(LNc)으로부터 좌측(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을 향한 방향)으로 변위된 위치가 되도록, 사운드 합성부(18)는 볼륨 국부화 계산부(17)의 계산 결과에 근거하여 좌측 사운드 출력부(19L)로부터 출력된 사운드(Lv1)의 위상과 우측 사운드 출력부(19R)로부터 출력된 사운드(Rv1)의 위상을 제어한다.
또,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이미지(V2)의 사운드가 국부화되는 위 치(Pv2)는 라인(LNc)으로부터 우측(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을 향한 방향)으로 변위된 위치가 되도록, 사운드 합성부(18)는 볼륨 국부화 계산부(17)의 계산 결과에 근거하여 좌측 사운드 출력부(19L)로부터 출력된 사운드(Lv2)의 위상과 우측 사운드 출력부(19R)로부터 출력된 사운드(Rv2)의 위상을 제어한다.
그리고,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이미지(V1)의 사운드의 볼륨과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이미지(V2)의 사운드의 볼륨이 동일해지도록, 사운드 합성부(18)는 볼륨 국부화 계산부(17)의 계산 결과에 근거하여 좌측 사운드 출력부(19L)로부터 출력된 사운드(Lv1 및 Lv2)와 우측 사운드 출력부(19R)로부터 출력된 사운드(Rv1 및 Rv2)의 사운드 신호의 레벨을 제어한다. 그러나, 이 볼륨은 도 4의 최대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이미지(V2)의 사운드의 볼륨보다 작은 값으로 된다.
따라서, 라인(LNc) 근방의 위치에서, 유저는 그 한편에 집중하거나 좌측 또는 우측으로 몸체를 약간 기울임으로써 특별한 조작을 실행하지 않고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이미지(V1)의 사운드와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이미지(V2)의 사운드 모두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다. 또, 유저는 스테레오로 사운드를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유저는 실제감(sense of realism)으로 사운드를 즐길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의 메인 표시영역(51)이 커지고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최대가 되고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최소가 되는 상태에서, 그때 최대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이미지(V1) 의 사운드가 라인(LNc) 상의 위치(Pv1)에 국부화되도록, 사운드 합성부(18)는 좌측 사운드 출력부(19L)로부터 출력된 사운드(Lv1)의 위상과 우측 사운드 출력부(19R)로부터 출력된 사운드(Rv1)의 위상을 제어한다.
그리고,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이미지(V2)의 사운드가 가장 우단의 위치(Pv2)에 국부화되도록 좌측 사운드 출력부(19L)로부터 출력된 사운드(Lv2)의 위상과 우측 사운드 출력부(19R)로부터 출력된 사운드(Rv2)의 위상이 제어된다.
또한,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이미지(V1)의 사운드의 볼륨이 최소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이미지(V2)의 사운드의 볼륨보다 커지도록, 사운드 합성부(18)는 좌측 사운드 출력부(19L)로부터 출력된 사운드(Lv1)와 우측 사운드 출력부(19R)로부터 출력된 사운드(Rv1)의 사운드 신호의 레벨을 제어한다. 최소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이미지(V2)의 사운드는 실질적으로 뮤트 상태의 레벨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4의 위치(Pv2)에서의 볼륨과 도 5의 위치(Pv1)에서의 볼륨은 동일하고, 도 4의 위치(Pv1)에서의 볼륨과 도 5의 위치(Pv2)에서의 볼륨은 동일하다.
도 6은, 사운드가 국부화되는 위치가 2개의 스크린의 제휴 스케일링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좌측 메인 표시영역(51)의 사이즈가 커질 때, 대응하는 사운드가 국부화되는 위치는 제휴 특성 라인(LNv1)에 따라 화살표(A)의 방향으로, 즉, 위치(Pv11, Pv12 및 Pv13)의 순서로 변경된다. 이 변경에 제휴하여 우측 서브 표시영역(52)의 사이즈가 작아질 때, 대응하는 사운드가 국부화되는 위치는 제휴의 특성 라인(LNv2)에 따라 화살표(B)의 방향으로, 즉, 위치(Pv21, Pv22 및 Pv23)의 순서로 변경된다.
게다가, 좌측 메인 표시영역(51)의 국부화 위치가 Pv11일 때, 대응하는 우측 서브 표시영역(52)의 국부화 위치는 Pv21이다. 좌측 메인 표시영역(51)의 국부화 위치가 Pv12일 때, 대응하는 우측 서브 표시영역(52)의 국부화 위치는 Pv22이다. 좌측 메인 표시영역(51)의 국부화 위치가 Pv13일 때, 대응하는 우측 서브 표시영역(52)의 국부화 위치는 Pv23이다. 보다 큰 스크린의 사운드의 볼륨이 커지고, 그것의 국부화 위치가 라인(LNc)에 가깝게 된다.
국부화 위치와 볼륨이 조정되도록, 사운드 합성부(18)는 볼륨 국부화 계산부(17)의 계산된 값에 근거하여 좌우의 대응하는 사운드(Rv11, Lv11, Lv12, Rv12, Lv13, Rv13, Lv21, Rv21, Lv22, Rv22, Lv23 및 Rv23)의 위상과 레벨(직접적으로는 사운드 신호의 위상과 레벨)을 제어한다.
스텝(S2)에서, 좌측 스크린을 확대하는 제휴 스케일링이 지시되지 않았다고 아니면 판정되었을 경우(즉, 우측 스크린을 확대하는 제휴 스케일링이 지시된 것이 판정되었을 경우), 스텝(S3)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처리가 수행된다.
즉, 스텝(S4)에서, 이미지 신호 생성부(15)는 우측 스크린을 확대하고 제휴하여 좌측 스크린을 축소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작고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큰 상태에서 우측 버튼(23)이 조작되었을 경우, 이미지 신호 생성부(15)는 우측의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를 확대하고 좌측의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를 작게 한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표시영 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와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동일한 상태가 된다.
또한, 우측 버튼(23)이 조작되었을 경우, 이미지 신호 생성부(15)는 우측의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를 또한 확대하고, 좌측의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를 또한 작게 한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보다 커진다. 우측 버튼(23)이 조작되는 동안, 이상의 동작은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최대가 될 때까지(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최소가 될 때까지) 실행된다. 그 결과, 유저는 우측 버튼(23)의 조작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를 임의의 사이즈로 변경할 수 있다.
스텝(S4)의 처리 후, 스텝(S5)에서, 사운드 합성부(18)는 제휴 특성에 따라서 사운드를 조정한다. 이 경우의 처리는 스텝(S3)의 처리 후에 실행되는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서, 우측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를 크게 하기 때문에, 도 6에서, 대응하는 사운드가 국부화되는 위치는 특성 라인(LNv2)을 따라서 화살표(C)의 방향, 즉, 위치(Pv23, Pv22 및 Pv21)의 순서로 변경된다. 좌측 메인 표시영역(51)의 사이즈가 이 변경에 제휴하여 작아질 때, 대응하는 사운드가 국부화되는 위치는 특성 라인(LNv1)을 따라서 화살표(D)의 방향, 즉, 위치(Pv13, Pv12 및 Pv11)의 순서로 변경된다.
스텝(S5)의 처리 후, 스텝(S6)에서, 제어부(12)는 종료가 지시되었는지를 판 정한다. 종료가 지시되지 않은 경우, 처리는 스텝(S2)으로 돌아오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종료가 지시되는 경우, 처리는 종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 버튼(22)과 우측 버튼(23) 중 한쪽이 조작되면, 좌측 스크린과 우측 스크린의 한편이 스케일링 될 뿐만 아니라, 다른 편도 제휴하여 스케일링 된다. 따라서, 유저는 2개의 스크린의 각각 표시된 2개의 콘텐츠를 동시에 병행하여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조작으로 필요에 따라 임의의 타이밍에서 한편의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즐길 수 있다.
또, 2개의 콘텐츠의 사운드가 다른 위치에서 국부화된다. 따라서, 2개의 사운드가 단청으로(monaurally) 출력된 경우와 비교하여, 유저는 콘텐츠의 내용으로서 사운드를 간단하고 신속히 식별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사운드의 각각이 스테레오이기 때문에, 유저는 2개의 콘텐츠를 실제의 상태로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제휴 스케일링에 따라서, 사운드의 볼륨과 국부화도 제휴하여 제어된다. 따라서 스크린의 사이즈의 스케일링 조작과 사운드 제어의 조작을 각각 독립한 조작으로 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조작성이 향상한다.
보다 큰 스크린의 볼륨이 커지고 그에 따른 국부화가 중심의 라인(LNc)의 근처가 되도록, 사운드는 스크린의 스케일링에 제휴하여 조정된다. 따라서 동시에 시청하는 2개의 콘텐츠 사이에서, 유저는 보다 주목된 하나의 내용을, 간단하고 신속히 그리고 선택적으로 시청할 수 있다.
한편의 스크린이 최대가 될 때, 최대 스크린의 사운드가 중심에서 국부화된다. 그 결과, 유저는 2개의 스크린의 스케일링을 적당하게 조정함으로써 2개의 콘텐츠 중 하나에 주목하고 간단하게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제 1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다른 이미지(물론, 이미지가 동일하여도 괜찮다)가 각각의 2개의 스크린에 표시된다. 제 2의 실시예에서, 2개의 스크린 사이에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이 분할되고, 분할된 각 영역에 1개의 이미지가 표시되므로, 복수의 이미지가 1개의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에 표시된다. 분할된 영역으로부터 선택된 1개의 이미지는 2개의 스크린 사이에 다른 메인 표시영역(51)에서 표시된다.
제 2의 실시예에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미지 제휴 스케일링 처리가 수행된다. 이 처리는 도 2의 스텝(S1 내지 S4 및 S6)의 처리와 동일하고, 이미지 표시가 지시될 때 개시된다.
스텝(S51)에서, 제어부(12)는 디폴트 표시를 한다. 이 실시예에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폴트 상태는 좌측 메인 표시영역(51)과 우측 서브 표시영역(52)이 동일한 사이즈로 표시된 상태이다.
서브 표시영역(52)은 9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콘텐츠 취득부(13)에 의해 동시에 수신되거나 또는 기록부(14)에 의해 재생된 9개의 채널의 이미지 신호는 서브 표시영역(52)의 각 분할 영역의 이미지 신호이다. 9개의 이미지 신호는 동영상의 9개의 섬네일(thumbnail) 이미지(도 8에서 V1 내지 V9로 나타냄)가 표시될 수 있도록 이미지 신호 생성부(15)에 의해 스케일링 된다.
서브 표시영역(52)의 9개의 분할 영역에 표시된 9개의 섬네일 이미지로부터 선택되고 결정된 영역의 이미지는 메인 표시영역(51)에 표시된다. 디폴트 상태 에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표시영역(52)의 좌상의 영역이 커서(71)에 의해 선택되고 결정되며, 영역과 같은 이미지(V1)가 메인 표시영역(51)에 표시된다. 이미지 처리장치(1)의 전원이 오프되기 직전에 선택된 영역의 이미지가 메인 표시영역(51)에 표시되어도 괜찮다.
유저가 이동 버튼(24)을 조작한 경우, 이미지 신호 생성부(15)는 커서(71)를 조작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유저가 결정 버튼(25)을 조작한 경우, 이미지 신호 생성부(15)는 그때 커서(71)에 의해 선택된 서브 표시영역(52)의 영역의 이미지 신호의 선택을 결정하고, 메인 표시영역(51)의 이미지로서 그것을 표시시킨다.
이상과 같이 하여, 메인 표시영역(51)의 콘텐츠를 시청하면서, 유저는 서브 표시영역(52)에 표시된 9개의 콘텐츠를 동시에 병행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표시면(16A)에 1개의 스크린만이 표시되고 스크린에 표시된 이미지를 스위칭함으로써 재핑(zapping)이 수행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그때 주목된 콘텐츠의 내용을 잘못 보는 것 없이 다른 콘텐츠가 확인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커서(71)에 의해 9개의 콘텐츠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콘텐츠의 내용은 사운드에 근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확인될 수 있다. 게다가, 이 점에 대해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지시가 나왔을 경우, 스텝(S52)에서, 제어부(12)는 좌측 스크린을 확대하는 제휴 스케일링이 지시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좌측 스크린을 확대하는 제휴 스케일링이 지시된 경우(좌측 버튼(22)의 조작 신호가 조작신호 취득부(11)에 의해 취득되었을 경우), 스텝(S53)에서, 좌측 스크린을 확대하고 제휴하여 우측 스크린을 축소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이 작고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큰 상태에서 좌측 버튼(22)이 조작되는 경우, 이미지 신호 생성부(15)는 좌측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를 확대하고, 우측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를 축소한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차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과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동일한 상태가 된다.
좌측 버튼(22)이 더 조작되는 경우, 이미지 신호 생성부(15)는 좌측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를 더 확대하고, 우측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를 더 축소한다.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보다 커지게 된다. 좌측 버튼(22)이 조작되는 동안,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최대가 될 때까지(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최소가 될 때까지) 조작이 실행된다. 그 결과, 좌측 버튼(22)의 조작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유저는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을 임의의 사이즈로 변경할 수 있다.
스텝(S52)에서, 좌측 스크린을 확대하는 제휴 스케일링이 지시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우측 스크린을 확대하는 제휴 스케일링이 지시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스텝(S53)에 대향하는 방향의 처리는 스텝(S54)에서 실행된다.
즉, 스텝(S54)에서, 제어부(12)는 우측 스크린을 확대하고 제휴하여 좌측 스크린을 축소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표시영 역(52)의 스크린이 작고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큰 상태에서 우측 버튼(23)이 조작되는 경우, 이미지 신호 생성부(15)는 우측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를 확대하고 좌측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를 축소한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차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과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동일한 상태가 된다.
우측 버튼(23)이 더 조작되는 경우, 이미지 신호 생성부(15)는 우측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를 더 확대하고, 좌측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를 더 축소한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보다 커진다. 우측 버튼(23)이 조작되는 동안,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최대가 될 때까지(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최소가 될 때까지) 조작이 실행된다. 그 결과, 우측 버튼(23)의 조작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유저는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을 임의의 사이즈로 변경할 수 있다.
스텝(S53 및 S54)의 처리 후, 스텝(S55)에서, 제어부(12)는 종료가 지시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종료가 지시되지 않은 경우, 처리는 스텝(S52)으로 돌아오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종료가 지시되는 경우, 처리는 종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 버튼(22)과 우측 버튼(23) 중 한편의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이즈와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제휴하여 스케일링 되는 것으로, 제 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도 11의 플로차트에 나타낸 사운드 제휴 스케일링 처리가 상술한 도 7의 이 미지 제휴 스케일링 처리에 더 제휴하여 실행된다.
스텝(S71)에서, 제어부(12)는 디폴트 사운드를 설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경우에서, 도 8에 나타낸 상태는 디폴트 상태이다. 이 경우, 서브 표시영역(52)의 좌상의 영역이 커서(71)에 의해 선택되고, 좌상 영역의 이미지가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에 표시된다. 따라서, 유저가 시청하려고 하는 이미지는 이미지(V1)이다. 그리고, 국부화 위치가 라인(LNc) 상의 위치(Pv1)가 되도록, 사운드 합성부(18)는 좌측 사운드 출력부(19L)로부터 출력된 사운드(Lv1)와 우측 사운드 출력부(19R)로부터 출력된 사운드(Rv1)의 사운드 신호 위상을 사운드 국부화 계산부(17)의 계산 값에 근거하여 제어한다.
스텝(S72)에서, 제어부(12)는 메인 표시영역의 스크린이 포커스 되는지를 판정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커서(71)가 위치되는 스크린이 포커스되는 것으로 판정된다. 도 8에 나타낸 경우에서, 커서(71)가 서브 표시영역(52)의 좌상 영역에 위치되기 때문에, 메인 표시영역(51)이 아닌 서브 표시영역(52)이 포커스되는 것으로 판정된다.
이 경우, 스텝(S74)에서, 제어부(12)는 서브 표시영역에 포커스 되는 이미지가 메인 표시영역의 이미지로써 선택된 이미지인지를 판정한다. 도 8에 나타낸 경우에서, 커서(71)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V1)가 메인 표시영역(51)에서 이미지(V1)로써 표시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스텝(S73)에서, 사운드 합성부(18)는 사운드 국부화 계산부(17)의 계산된 값에 근거하여 메인 표시영역의 이미지의 사운드를 선택하고, 중앙으로 국부화 위치를 설정한다. 즉,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51)의 이미지(V1)의 사운드가 선택되고, 사운드가 라인(LNc)의 위치(Pv1) 상에 국부화 되도록 위상이 제어되고, 사운드(Lv1)가 좌측 사운드 출력부(19L)로부터 출력되며, 우측 사운드 출력부(19R)로부터 사운드(Rv1)가 출력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나는 경우에서도, 서브 표시영역(52)의 좌상 영역의 이미지(V1)가 커서(71)에 의해 선택되고, 메인 표시영역(51)에 이미지(V1)로써 표시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도, 메인 표시영역(51)의 이미지(V1)의 사운드(Lv1 및 Rv1)가 라인(LNc) 상의 위치(Pv1)에 국부화되도록 출력된다.
이와 같이, 서브 표시영역(52)에서 커서(71)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와 메인 표시영역(51)에 표시된 콘텐츠가 같은 경우에, 유저는 선택된 콘텐츠(즉, 메인 표시영역(51)에 표시된 콘텐츠)에 주목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 메인 표시영역(51)에 표시된 콘텐츠의 사운드만이 출력되므로, 유저에게 불필요한 사운드가 제공되는 것이 방지된다.
스텝(S72)에서 포커스 된 스크린이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도, 스텝(S73)의 처리가 실행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 사이즈와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 사이즈가 동일하고, 커서(71)에 의해 메인 표시영역(51)의 이미지(V1)가 포커스 된 상태에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이 축소되거나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이 확대된 경우에도, 메인 표시영역(51)의 이미지(V1)의 사운드(Lv1 및 Rv1)는 라인(LNc) 상의 위 치(Pv1)에 국부화 되도록 출력된다.
이와 같이, 커서(71)에 의해 메인 표시영역(51)이 선택되는 경우에도, 유저는 메인 표시영역(51)의 콘텐츠에 주목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 메인 표시영역(51)에 표시된 콘텐츠의 사운드만 출력되므로, 유저에게 불필요한 사운드가 제공되는 것이 방지된다.
스텝(S74)에서, 서브 표시영역(52)에 포커스된 이미지가 메인 표시영역(51)의 이미지로써 선택된 이미지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S75)에서, 사운드 합성부(18)는 제휴 특성에 따라 사운드를 조정한다. 즉, 도 2의 스텝(S5)과 같은 처리가 실행된다.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낸 경우에서, 이미지(V5)가 표시된 중앙 영역은 서브 표시영역(52)에서 커서(71)에 의해 포커스 되고, 메인 표시영역(51)에 표시된 이미지(V1)가 표시된 좌상 영역은 포커스 되지 않는다. 도 15의 경우에서,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은 최소이며,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은 최대이다. 따라서, 커서가 실제로 위치된, 서브 표시영역(52)의 포커스된 영역의 이미지(V5)의 사운드가 선택된다. 좌측 사운드 출력부(19L)로부터의 사운드(Lv5)와 우측 사운드 출력부(19R)로부터의 사운드(Rv5)가 라인(LNc) 상에 국부화되도록 위상이 제어된다. 이미지(V1)의 사운드는 실질적으로 뮤트되고 출력되지 않는다.
도 15의 상태로부터 좌측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이 확대되고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과 같은 사이즈로 되었을 경우,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이미지의 사운드(Lv1 및 Rv1)의 위상이 제어되므로, 라 인(LNc)에 대해서 메인 표시영역(51) 측의 위치(Pv1)에 사운드가 국부화 된다. 유사하게,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이미지(V5)의 사운드(Lv5 및 Rv5)의 위상이 제어되므로, 라인(LNc)에 대해서 서브 표시영역(52) 측의 위치(Pv5)에 사운드가 국부화 된다.
도 16 상태로부터 좌측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이 더 확대되고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대 사이즈로 되었을 경우,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이미지(V1)의 사운드(Lv1 및 Rv1)의 위상이 제어되므로, 라인(LNc) 상의 위치(Pv1)에 사운드가 국부화 된다. 이미지(V5)의 사운드는 실질적으로 뮤트되고 출력되지 않는다.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콘텐츠와는 다른 영역의 콘텐츠의 이미지가 서브 표시영역(52)에 포커스 되는 경우, 유저는 서브 표시영역(52)에서 보여지는 콘텐츠를 찾고 있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서, 도 6에 나타낸 경우와 유사하게, 사운드는 제휴 특성 라인(LNv1 및 LNv2)에 따라 조정된다. 즉,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의 서브 표시영역(52)에서 커서(71)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가 표시되는 경우와 유사하게 사운드가 조정된다.
이것에 의해, 스텝(S75)의 처리에서도, 제 1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좌측 버튼(22)과 우측 버튼(23) 중 어느 하나가 조작되면, 좌측 스크린과 우측 스크린 중 어느 하나가 스케일링 될 뿐만 아니라, 제휴하여 다른 것도 스케일링 된다. 따라서, 메인 표시영역(51)에 표시된 콘텐츠를 확인하면서, 유저 는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으로부터 병행하여 임의의 콘텐츠를 간단하게 찾을 수 있다.
또, 2개의 콘텐츠의 사운드가 각각 다른 위치에 국부화 된다. 따라서, 2개의 사운드가 단청으로 출력된 경우에 비교하여, 유저는 콘텐츠의 내용으로서 사운드를 간단하고 신속히 식별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사운드의 각각이 스테레오이기 때문에, 유저는 임의의 콘텐츠를 실제의 상태로, 따라서 보다 상세하게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의 제휴 스케일링에 따라서, 사운드의 볼륨과 국부화도 제휴하여 제어된다. 따라서, 스크린의 사이즈의 스케일링의 조작과 사운드의 제어의 조작을 각각 독립으로 한 경우에 비교하여 조작성이 향상된다.
사운드가 스크린의 스케일링에 제휴하여 조정되므로, 보다 큰 스크린의 볼륨이 보다 크고 중심의 라인(LNc)의 근처에 국부화된다. 따라서 유저는 동시에 검색된 콘텐츠의 내용을 간단하고 신속히 그리고 선택적으로 시청할 수 있다.
스크린 중 한편이 최대가 되는 경우, 최대 스크린의 사운드가 중앙에 국부화 된다. 그 결과, 유저는 2개의 콘텐츠 중 하나에 주목하고 2개의 스크린의 스케일링을 적당하게 조정만 함으로써 간단히 시청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은 스크린에 사운드가 국부화된 위치와 사운드가 표시된 제 3실시예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51)과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에는, 각각의 표시된 이미지의 사운드가 국부화된 위치는 바(91 및 101)에서 이동부(92 및 102)에 의해 나타낸다. 바(91 및 101)에서 이동부(92 및 102)의 위치는 메인 표시영역(51)과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 사운드가 국부화 되는 위치에 따라 이동된다. 이미지 신호 생성부(15)는 볼륨 국부화 계산부(17)에 의해 계산된 국부화 위치와 볼륨의 값에 따라 이들 표시를 제어한다.
도 18에서,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이미지(V1)의 사운드가 좌측 위치(Pv1)에서 국부화되기 때문에, 이동부(92)는 바(91)의 좌측에 표시된다.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이미지(V2)의 사운드가 라인(LNc) 상의 위치(PV2)에 국부화되기 때문에, 이동부(102)는 서브 표시영역(52)의 사운드가 국부화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바(101)의 중앙에서 표시된다.
도 19에서,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이미지(V1)의 사운드가 좌단보다 중앙에 근접하고 라인(LNc)의 좌측의 위치(Pv1)에 국부화되기 때문에, 이동부(92)는 바(91)의 좌단과 중앙과의 사이에 표시된다.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이미지(V2)의 사운드가 우단보다 중앙에 근접하고 라인(LNc)의 우측의 위치(Pv2)에 국부화되기 때문에, 이동부(102)는 바(101)의 우단과 중앙과의 사이에 표시된다.
도 20에서,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이미지(V1)의 사운드가 라인(LNc) 상의 위치(PV1)에 국부화되기 때문에, 이동부(92)는 메인 표시영역(51)의 스크린의 사운드가 국부화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바(91)의 중앙에서 표시된다. 서브 표시영역(52)의 스크린의 이미지(V2)의 사운드가 우단의 위치(Pv2)에서 국부화되기 때문에, 이동부(102)는 바(101)의 우단에서 표시된다.
또한, 도 18 내지 도 20에서, 메인 표시영역(51)에서, 스크린의 사운드의 볼 륨을 나타내는 바(93)가 표시된다. 바(93)에서, 대응하는 사운드의 볼륨이 점등되는 블록의 수에 의해 나타내진다. 유사하게, 서브 표시영역(52)에서, 스크린의 사운드의 볼륨을 나타내는 바(103)가 표시된다. 바(103)에서도, 대응하는 사운드의 볼륨이 점등되는 블록의 수에 의해 나타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8 내지 도 20의 예에서, 사운드가 국부화되는 위치와 볼륨이 표시되기 때문에, 유저는 국부화 위치와 볼륨을 확실히 인식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8 내지 도 10 및 도 12 내지 도 17에 나타낸 경우에서도, 사운드가 국부화된 위치와 볼륨이 마찬가지로 표시된다.
게다가, 상기에서, 스크린의 수가 2개이지만, 발명은 3개 이상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 복수의 스크린이 1개의 표시면(16A)에 표시되지만, 발명은 각 스크린을 각각 표시하는 별개의 표시부가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공동으로 배열되고 복수의 표시부의 좌우 단부에 사운드 출력부(19L 및 19R)가 배치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거나,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가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전용의 하드웨어에 짜맞추어지거나, 다양한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에 프로그램 기록매체로부터 인스톨 된다.
컴퓨터에 인스톨 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상태로 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기록매체는, 자기 디스크(플렉시블(flexible) 디스크를 포함), 광디스크(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또는 광학 자기(mgneto-optical) 디스크를 포함), 또는 반도체 메모리, 또는 프로그램이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저장된 ROM, 또는 하드디스크와 같은 패키지 매체인 제거가능한 매체이다. 프로그램 기록매체로의 프로그램의 저장은 필요에 따라서 라우터 또는 모뎀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인터넷 또는 디지털 위성방송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실행된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서,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와,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아도 병렬적 혹은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이미지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제휴 스케일링 처리(cooperative scaling process)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3은, 제휴 스케일링에서 좌우 측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서로 동일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휴 스케일링에서 좌측의 스크린이 작은 경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휴 스케일링에서 좌측의 스크린이 큰 경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휴 특성(cooperative characteristic)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이미지 제휴 스케일링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제휴 스케일링에서 좌우 측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서로 동일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휴 스케일링에서 좌측의 스크린이 작은 경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휴 스케일링에서 좌측의 스크린이 큰 경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사운드 제휴 스케일링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제휴 스케일링에서 좌우 측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서로 동일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휴 스케일링에서 좌측의 스크린이 작은 경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휴 스케일링에서 좌측의 스크린이 큰 경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휴 스케일링에서 좌측의 스크린이 작은 경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휴 스케일링에서 좌우 측의 스크린의 사이즈가 서로 동일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휴 스케일링에서 좌측의 스크린이 큰 경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국부화된 위치와 볼륨의 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국부화된 위치와 볼륨의 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국부화된 위치와 볼륨의 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1)

  1. 이미지 처리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스크린의 각각에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부와, 복수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한 사운드가 서로 떨어져 국부화되는 위치가 되도록 복수의 이미지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운드 신호를 합성하도록 구성된 합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스크린 중 제 1스크린과 제 2스크린이 같은 크기로 표시되는 경우에, 상기 제 1스크린에 대응하는 제 1사운드 신호에 근거하는 사운드가 국부화되는 제 1위치와 상기 제 2스크린에 대응하는 제 2사운드 신호에 근거하는 사운드가 국부화되는 제 2위치가, 상기 제 1스크린과 상기 제 2스크린으로부터 같은 거리로 간격을 둔 라인에 관하여 상기 제 1스크린의 방향 및 상기 제 2스크린의 방향으로 각각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화된 위치(localized positions)는 제 1스크린 및 제 2스크린의 제휴 스케일링(cooperative scaling)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스크린 및 상기 제 2스크린의 크기가 다른 경우, 보다 큰 스크린의 사운드가 상기 라인에 가까운 위치에 국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스크린 및 상기 제 2스크린 중 한편이 최대의 크기가 되었을 경우, 최대 스크린의 사운드가 상기 라인 상에 국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스크린이 상기 제 2스크린에 표시된 복수의 섬네일(thumbnail) 이미지로부터 선택된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제 1스크린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기 섬네일 이미지가 상기 제 2스크린에 포커스될 때, 상기 제 1스크린의 사운드는 라인 상에 국부화되고,
    상기 제 1스크린의 이미지와 다른 상기 섬네일 이미지가 상기 제 2스크린 상에 포커스될 때, 국부화된 위치는 상기 제 1스크린 및 상기 제 2스크린의 제휴 스케일링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스크린이 상기 제 2스크린에 표시된 복수의 섬네일 이미지로부터 선택된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제 1스크린의 이미지가 포커스될 때, 상기 제 1스크린의 상기 사운드가 상기 라인 상에 국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스크린 및 상기 제 2스크린의 각각의 상기 사운드가 국부화되는 위치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스크린 및 상기 제 2스크린의 각각의 상기 사운드의 볼륨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10.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처리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스크린의 각각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복수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는 사운드가 서로 떨어져 국부화되는 위치가 되도록 복수의 상기 이미지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운드 신호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방법.
  11. 컴퓨터에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복수의 스크린의 각각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복수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는 사운드가 서로 떨어져 국부화되는 위치가 되도록 복수의 상기 이미지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운드 신호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090010867A 2008-03-18 2009-02-11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KR200901002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68849 2008-03-18
JP2008068849A JP4735991B2 (ja) 2008-03-18 2008-03-18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235A true KR20090100235A (ko) 2009-09-23

Family

ID=40672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867A KR20090100235A (ko) 2008-03-18 2009-02-11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61420B2 (ko)
EP (1) EP2104343B1 (ko)
JP (1) JP4735991B2 (ko)
KR (1) KR20090100235A (ko)
CN (1) CN1015408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4418B2 (ja) * 2009-09-15 2014-03-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システム、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プロジェクター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5672862B2 (ja) * 2010-08-27 2015-02-1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方法
JP2012054829A (ja) * 2010-09-02 2012-03-15 Sharp Corp 映像提示装置、映像提示方法、映像提示プログラム、記憶媒体
EP2571280A3 (en) * 2011-09-13 2017-03-22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JP5884348B2 (ja) * 2011-09-13 2016-03-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3051686A (ja) * 2012-09-18 2013-03-14 Sharp Corp 映像提示装置、映像提示方法、映像提示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14188303A (ja) * 2013-03-28 2014-10-06 Nintendo Co Ltd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処理方法、およびゲーム装置
CN104036789B (zh) * 2014-01-03 2018-02-02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多媒体处理方法及多媒体装置
KR20180017944A (ko) * 2016-08-11 2018-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TWI680661B (zh) * 2018-07-20 2019-12-21 茂傑國際股份有限公司 加值遠端顯示服務的無線路由伺服裝置及方法
CN111656275B (zh) * 2018-12-11 2021-07-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确定图像对焦区域的方法及装置
CN110572760B (zh) * 2019-09-05 2021-04-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13573120B (zh) * 2021-06-16 2023-10-27 北京荣耀终端有限公司 音频的处理方法及电子设备、芯片系统及存储介质
CN114296587A (zh) * 2021-12-20 2022-04-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光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7300A (ja) * 1983-04-07 1984-10-24 渡辺 尚道 ピラミツドエネルギ−発生装置
JPS59187300U (ja) * 1983-05-27 1984-12-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聴取室内における音像定位位置の制御装置
JPH06311448A (ja) * 1993-04-27 1994-11-04 Sanyo Electric Co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5548346A (en) * 1993-11-05 1996-08-20 Hitachi, Ltd. Apparatus for integrally controlling audio and video signals in real time and multi-sit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H0851580A (ja) * 1994-08-08 1996-02-20 Fujitsu General Ltd 画面分割表示装置の音声回路
JPH0887397A (ja) * 1994-09-20 1996-04-02 Hitachi Ltd 音量調整装置
JPH0934392A (ja) * 1995-07-13 1997-02-07 Shinsuke Nishida 音とともに画像を提示する装置
JP3508796B2 (ja) * 1995-09-18 2004-03-22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受信機における選局及び表示方法
JPH09307833A (ja) 1996-05-17 1997-11-28 Sony Corp 映像機器の音声制御装置および音声制御方法
JPH10262300A (ja) * 1997-03-19 1998-09-29 Sanyo Electric Co Ltd 音声再生装置
JP3502253B2 (ja) * 1998-02-16 2004-03-02 シャープ株式会社 文字放送特殊再生装置
JP2000069391A (ja) * 1998-08-17 2000-03-03 Toshiba Corp 多画面受像装置
KR100330012B1 (ko) * 1998-09-14 2002-08-08 삼성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전의채널변경방법
EP1073270A1 (en) * 1999-07-30 2001-01-31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on through multimedia presentations
US7558318B2 (en) * 2002-06-11 2009-07-07 Sanyo Electric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mages, and television receiver utilizing the same
CA2528261A1 (en) * 2003-06-07 2004-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organization and interpretation of multimedia data on a recording medium
JP2005117369A (ja) * 2003-10-08 2005-04-28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動画記録装置および動画再生装置並びにデジタルカメラ
JP2006027042A (ja) * 2004-07-15 2006-02-02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6295428A (ja) * 2005-04-08 2006-10-26 Seiko Epson Corp テレビ
JP2007150890A (ja) * 2005-11-29 2007-06-14 Sharp Corp 映像表示装置
WO2007097280A1 (ja) * 2006-02-21 2007-08-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EP1989693B1 (en) * 2006-02-23 2010-08-11 Robert Bosch GmbH Audio module for a video surveillance system,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for keeping a plurality of locations under surveillance
US20070245391A1 (en) * 2006-03-27 2007-10-18 Dalton Pont System and method for an end-to-end IP television interactive broadcasting platform
JP4068119B2 (ja) * 2006-07-25 2008-03-26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方法、映像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895739B2 (ja) 2006-09-16 2012-03-1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バンパー構造体
US20080278628A1 (en) * 2006-10-06 2008-11-13 Sharp Kabushiki Kaisha Content display device, content display method, content display system, content display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61420B2 (en) 2014-06-24
CN101540859B (zh) 2012-03-21
EP2104343B1 (en) 2011-05-18
US20090262243A1 (en) 2009-10-22
JP2009225214A (ja) 2009-10-01
JP4735991B2 (ja) 2011-07-27
EP2104343A1 (en) 2009-09-23
CN101540859A (zh) 200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0235A (ko)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KR100848597B1 (ko) 표시신호 제어장치, 및 표시신호 제어방법
KR20060104811A (ko) 영상표시기기의 화질 조정장치 및 방법
JP2007311942A (ja) コンテンツ表示装置
US20140240472A1 (en) 3d subtitle process device and 3d subtitle process method
JP2000069391A (ja) 多画面受像装置
JP2007013725A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JP2010246135A (ja) Tvの副画面処理方法
US8488058B2 (en) Method for setting frame rate conversion (FRC)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8571380B2 (en) Object image display apparatus, object image display method and object image display program
KR100860964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JP5215077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56362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07104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09267612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0206380A (ja) 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924723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157320B2 (ja) 番組同時視聴システム
KR20060094401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JP4254771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装置
JP6609795B2 (ja) 映像音声処理装置、映像音声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635277B1 (ko) Pip 영상 선택방법
JP2006304156A (ja) 選局方法、選局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12010146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746084B1 (ko) 영상/음성 부분출력 차단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