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8846A - 일회용 배럴 형태의 음료 토출 장치 - Google Patents

일회용 배럴 형태의 음료 토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8846A
KR20090098846A KR1020097013444A KR20097013444A KR20090098846A KR 20090098846 A KR20090098846 A KR 20090098846A KR 1020097013444 A KR1020097013444 A KR 1020097013444A KR 20097013444 A KR20097013444 A KR 20097013444A KR 20090098846 A KR20090098846 A KR 20090098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container
ring
beverage dispensing
dispen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3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우스 마이케
데르 비엘 카스페르 반
스테판 나데나우
베른트 쉬레프페르
Original Assignee
쉐퍼 베르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쉐퍼 베르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쉐퍼 베르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98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8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29Keg connection means
    • B67D1/0831Keg connection means combined with valves
    • B67D1/0832Keg connection means combined with valves with two valves disposed concentr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5/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14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65D25/18Linings or internal coatings spaced appreciably from containe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62Squeezing collapsible or flexible beverage containers, e.g. bag-in-box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27Bags in box
    • B67D2001/0828Bags in box in pressurised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컨대 CO2 압축 공기를 이용하면서, 맥주, 와인 및 소프트 드링크와 같이 음용 온도로 온도 조절되는 음료를 압축 가스 작동 방식으로 토출하기 위한, 일회용 배럴 형태의 음료 토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음료 토출 장치는 다수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용기(10)와, 용기 상부에 배치되는 안전 피팅(8)과, 용기 내부에 침지되는 피팅 관(10)과, 탈거 가능하고 안전 피팅 상에 안착될 수 있는 탭 헤드 또는 충진 시에 안착될 수 있는 어댑터로 구성된다. 여기서 탭 헤드 또는 어댑터는 레버의 작동 시에, 탄성력에 대항하여 하부 방향을 향해, 안전 피팅의 외부 하우징으로서 용기 몸체와 안전 피팅을 연결하는 그런 외부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실링을, 피팅 관을 통해 상승하는 액체 음료를 위한 액체 경로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본원의 음료 토출 장치는 선택에 따라 베이스 링 및 탑 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생 및 식료품 요건에 상응하는 부식 방지 구조를 보유하면서도 동시에 충진 및 토출 시 안전 피팅(8)을 통한 가변 연결 기술을 제공하고 간단한 강재 박판으로 이루어져 더욱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인 구성을 달성하는 것에 있다. 본원의 목적은, 안전 피팅이 무균 재료로 형성되어 용기(100)의 내벽을 보호할 수 있도록 용기 내부에 제공되는 내부 라이너(9; 9a)를 구비하여 형성됨으로써 달성된다.
Figure 112009038992598-PCT00001
음료 토출 장치, 용기, 안전 피팅, 피팅 관, 탭 헤드, 어댑터, 내부 라이너, 무균 재료.

Description

일회용 배럴 형태의 음료 토출 장치{BEVERAGE POURING DEVICE IN THE FORM OF A DISPOSABLE BARREL}
본 발명은 예컨대 CO2 압축 가스를 이용하면서, 맥주, 와인 및 소프트 드링크와 같이 음용 온도로 온도 조절되는 음료를 압축 가스 작동 방식으로 토출하기 위한 일회용 배럴 형태의 음료 토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음료 토출 장치는 다수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용기와, 이 용기 상부에 배치되는 안전 피팅과, 용기 내부로 침지되는 피팅 관과, 탈거 가능하고 안전 피팅 상에 안착될 수 있는 탭 헤드(tap head) 또는 충진 시에 안착될 수 있는 어댑터로 구성된다. 탭 헤드 또는 어댑터는 레버의 작동 시에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하부 방향을 향해, 안전 피팅의 외부 하우징으로서 용기 몸체와 안전 피팅을 연결하는 그런 외부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실링을, 피팅 관을 통해 상승하는 액체 음료의 액체 경로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본원의 음료 토출 장치는 선택에 따라 베이스 링과 탑 링을 포함한다.
그 외에 EP 1 293 476 B1에 의해 공지되었으며, 통상적으로 안전 피팅 내에 배치되는 음료 및 가스 밸브를 포함하는 음료 토출 장치는 종 모양의 분리 벽에 의 해 바닥 측 음료부와 덮개 측 음료부로 분리된다. 가스 압력 하의 토출은, 공기 산소 입구를 구비한 용기로부터 무압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개방형 배출에 비해서, 용기 내에서 음료가 실제로 더욱 오랜 기간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압축 가스부를 구비하지 않고 형성되는 용기들의 경우, 음료 용기 외부에 배치되어 압력 조절 장치가 직접 장착되는 고압 가스 실린더로부터 가스 공급이 이루어진다. 위의 압력 조절 장치는 충진된 음료의 각각 적합한 압력으로 일정하게 맞추어져 있으며, 예컨대 질소를 함유하는 와인에 대해서는 0.8bar로, CO2를 함유하는 독일산 백맥주에 대해서는 2.1bar로 맞추어져 있다.
위와 같은 용기와 EP-A-1 310 627 및 GB-A-2 001 032로부터 공지된 용기는 2개의 부재로, 다시 말해 예컨대 각각 2개의 반쪽 셸로 제조되는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3개의 부재로, 다시 말해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로 구성되고, 그 두 부재 사이에 관 구간이 개재되며, 그 부재들은 용접을 통해 상호 간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용기 또는 통들은, 입출고를 위한 운반 시에 부분적으로 거칠게 다루어지기 때문에, 추락 및 충돌 하중이 발생하더라도 변형되지 않도록 보호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를 위해 틀과 같은 형태의 탑 링과 베이스 링이 이용되며, 이들은 동시에 용기들의 탁월한 적재를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매우 높은 위생 요건을 준수해야 한다. 특히 그 위생 요건과 부식 방지를 위해, 수십 년 전부터 스테인리스강 소재의 몸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스테인리스강 탱크 및 폴리우레탄(PU) 외피부를 포함하는 용기가 이용되고 있지만, 그로 인해 그 구성 비용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음료 토출 장치에 있어서, 부식 방지, 특히 위생 및 식료품 요건에 대한 높은 요구에 간단하게 부합하고, 이와 동시에 안전 피팅을 통해 액체 음료의 충진 및 토출을 위한 가변 연결 기술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음료 토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안전 피팅이 무균 재료로 이루어져 용기의 내벽을 보호할 수 있도록 용기 내부에 삽입 장착되는 내부 라이너를 구비하여 형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안전 피팅과 기밀하게 결합되는, 예컨대 용접 또는 접착 결합되는 내부 라이너는, 용기 부재가 강재 박판으로 이루어진다고 할 때, 예컨대 0.3 내지 0.5㎜만의 두께를 갖는 얇은 벽의 용기 탱크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내부 라이너는 항상, 다시 말하면 경제적인 저합금 또는 비합금 강재로 용기 부재를 제조할 시에도 완전한 위생 및 부식 방지 조건을 제공한다. 왜냐하면, 내부 라이너는 용기의 내벽 표면에 밀착되고, 추가의 도장 또는 유사한 표면 보호 조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용기 내면을 세척하지 않아도 된다.
내부 라이너는 본 발명의 제안에 따라 조립에 이어서 CO2 압축 가스의 방출에 의해 용기의 내벽 표면에 예압된다. 따라서 동시에 용기 내부에 존재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산소는 제거되고, 그에 따라 액체 음료는 유해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대체되는 실시예에 따라, 내부 라이너는 부압 상태에서 용기 내에 장착된다. 이 경우 약 0.4 내지 0.6bar의 압력만으로도 충분하며, 진공화를 통해 내부에서는 위생과 관련하여 완벽한 상태가 달성된다. 그런 다음 초기 상태에서 부대 자루와 같은 형태를 갖는 내부 라이너는 액체 음료의 충진 시에 용기의 내벽 표면에 밀착된다.
내부 라이너는 바람직하게는 탄성 재료로, 예컨대 비코팅되거나, 또는 내확산(diffusion-resistant) 방식으로 코팅된 플라스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내부 라이너를 탄성 재료로 구성하지 않을 시에는, 용기의 충진 체적보다 경계 체적(bounding volume)을 약간 더욱 크게 하는 방식으로 내부 라이너를 형성하는 점이 권장된다. 그에 따라 발생할 수도 있는 균열 위험이 방지된다.
내부 라이너를 포함하여 용기 상부 부재에 내장될 시에 용기 벽부로 최대한 간단하게 압착될 수 있는 안전 피팅의 바람직한 조립을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안전 피팅을 수용하는 용기 개구부는 외측을 향해 플랜지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안전 피팅은 피팅 관 및 내부 라이너를 포함하여 플랜지 결합부(flanging)를 둘러싸는 연결편에 의해 용기에 고정된다. 연결편은 금속 압력 링으로서 형성하고, 그에 따라 고정될 구조 부재와 함께 압착된다. 대체되는 실시예에 따라 연결편은 나사붙이 플라스틱 링일 수 있다.
바람직한 부식 방지를 위해, 용기 부재들을 서로 연결하는 용접 솔기는 피복 스트립을 구비한다. 이런 피복 스트립은 플라스틱 필름, 수축 필름 또는 사전 신장된 필름일 수 있다. 대체되는 실시예에 따라 용접 솔기는 피복 도장층을 구비한다.
베이스 링 및/또는 탑 링은, 본 발명의 제안에 따라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발포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목적에 부합하게는 형상 고정 및/또는 마찰 고정 방식으로 용기와 결합되거나, 또는 용기에 접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 링 및 탑 링은 마찬가지로 강재 박판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용기 부재들과 용접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링 및/또는 탑 링은 튜브 피스로 용기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와 일체를 이루는 방식으로 형성하고, 그에 따라 솔기 없이 계속해서 이어진다.
베이스 링 및 탑 링이 강재 박판으로 제조될 시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안에 따라, 탑 링 및 베이스 링의 자유 단부, 상부 단부 및 하부 단부 각각은 둥근 비드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이 둥근 비드에는 플랜지 결합되고 본질적으로 직립된 단부 칼라가 연결된다. 둥근 비드뿐 아니라, 플랜지 결합부는 용기의 단부 가장자리에서 안정성 증대에 기여한다.
위와 같이 탑 링 및 베이스 링이 구성될 시에, 동시에 용기들의 상하 간 적재가 바람직하게 이루어지며, 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탑 링의 단부 칼라가 베이스 링의 단부 칼라보다 다소 더욱 큰 지름을 가지며, 용기들이 상하 간에 적재될 시에는 단부 칼라들이 이중 층으로 연장됨으로써, 다시 말하면 서로 나란히 평행하게 연장됨으로써 추가로 개선된다. 만일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링의 단부 칼라가 다소 내부 방향을 향해 경사져서, 예컨대 약 5° 만큼 경사져서 연장된다면, 용기들의 상하 간 적재 시에 더욱 개선된 중심 결정이 달성된다. 이에 적재 영역에서 단부 칼라들이 다층으로 배열되는 점은 안정성을 추가로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용기를 충진하고, 이후 사용자가 액체 음료를 토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전 피팅은 피팅 관을 구비한다. 이 피팅 관은 실링의 통합된 구성 부재로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부에서는 외부 하우징의 링 개구부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접시형 관 엔드 플레이트로 밀폐되며, 이 관 엔드 플레이트의 하부에서는 관 외피부에 유출 개구부들을 구비하되, 관 엔드 플레이트는 피팅 관을 둘러싸는 실링 링을 위한 내부 실링 시트를 제공한다. 그리고 실링 링에는 링 개구부 내 외부 실링 시트가 할당되되, 실링 링은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피팅 관에 대해 상대 운동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위치 조정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계단 형태로 위치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실링의 구성 부재로서 피팅 관이 포함되고, 그에 따라 피팅 관이 단독으로 또는 피팅 관 자신과 함께 하부 방향으로 압착될 수 있는 실링 링과 상호 작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맥주 공장에서 충진 시에 어댑터에 의해, 액체 음료를 위한 유입 횡단면만이 개방되는 정도로 실링 링만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압입될 수 있게 된다. 이는 동시에 피팅 관의 유출 개구부들에도 적용되며, 그럼으로써 충진과 더불어 용기 내부로부터 밀려 제거되는 산소 또는 가스, 예컨대 앞서 CO2 압축 가스가 내부 라이너를 향해 방출될 때 내포되었던 것과 같은 산소 또는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액체 음료와 배출되는 산소 및/또는 가스를 위한 흐름 경로들은 어댑터의 부분 중 실링 링을 하부 방향으로 압축하는 부분에 의해 상호 간에 분리된다.
충진 과정이 종료되고, 어댑터가 분리되면, 실링 링은 스프링의 힘이 작용하는 조건에서 자동으로 다시 자신의 초기 위치로 복귀하며, 이런 초기 위치에서 안전 피팅과 그에 따른 용기는 외부 방향에 대향하여 다시 밀폐되며, 그럼으로써 용기는 최종 사용자에게 운반될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액체 음료를 사용하거나 토출하는 것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라, 실링 링은 피팅 관에서 제1 위치를 넘어서, 피팅 관을 래칭 위치로 함께 이동시키는 제2 위치로 위치 조정된다. 다시 말해 이는 탭 헤드의 안착 또는 결합 및 작동 시에 이루어진다. 피팅 관이 함께 이동하되, 이는 이동 과정 중에 중단 없이 연속됨으로써, 실링 링이 유출 개구부들을 통과하면 곧바로, 그에 따라 접시형 관 엔드 플레이트는 안전 피팅의 외부 하우징 내에서 링 개구부 내 초기 위치로부터 균일하게 하부 방향으로 하강한다. 액체 음료는 피팅 관 내부에서 압축 가스에 의해 상승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유출 개구부 위쪽에 도달하고, 그에 따라 탭 헤드의 이동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으로부터 자유로운 링 개구부를 통해 토출 위치에 도달한다.
일측에서 실링 링 및 피팅 관을 공동으로 위치 조정할 뿐 아니라, 최종 위치에 피팅 관을 고정하기 위해, 실링 링은 본 발명에 따라 구동 노즈(driving nose)를 포함한다. 이 구동 노즈에는 피팅 관 표면에서 정지 에지가 할당된다. 또한, 피팅 관은 래칭 위치에서 돌출부에 의해 외부 하우징 내부의 고정된 지지 부재 아래쪽으로 이동되되, 이와 동시에 고정된 지지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실링 링을 가압하는 스프링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래칭 위치를 바탕으로 피팅 관은 위의 지정된 위치에서, 용기가 비워지고, 탭 헤드가 안전 피팅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에도 유지된다. 스프링의 힘이 작용하는 조건에서, 탭 헤드의 분리 후에 실링 링만이 접시형 관 엔드 플레이트에 제공된 실링 링 자신의 시트로 복귀하며, 그럼으로써 피팅 관의 관 외피부 내 유출 개구부들이 밀폐된다. 이런 위치에서 용기는 폐기 처리될 수 있으면서도, 잔류 액체가 유출되지 못하며, 그럼에도 경우에 따라 존재하는 잔류 가스는 변경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 및 상세 내용은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한 아래 설명과 청구항들로부터 지시된다.
도 1은 일회용 배럴로서 형성된 음료 토출 장치와 이 음료 토출 장치의 용기로서 탭 헤드 또는 충진 어댑터가 포함되지 않은 상태의 용기의 각각 전체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안전 피팅을 통해 용기 내부에 삽입 장착된 내부 라이너에 있어서, 용기 내벽에 인접하기 전의 상태를 실선으로, 그리고 인접한 상태를 파선으로 상기 내부 라이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상부 용기가 부분적으로만 도시된 하부 용기 상에 적재된 상태로 용기들의 적재 위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X 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자체 구비되는 실링이 밀폐된 상태에 있는 안전 피팅을 상세하게 도 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액체 음료를 충진하기 위한 제1 위치에서 실링이 개방된 상태에 있는 도 5의 안전 피팅을 상세하게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액체 음료를 토출하기 위한 제2 위치에서 실링이 개방된 상태에 있는 도 5의 안전 피팅을 상세하게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용기 내부에 삽입 장착되고 용기에 고정된 도 5의 안전 피팅에 있어서, 이 안전 피팅과 함께 삽입 장착된 내부 라이너를 포함하여 용기의 일부분과 함께 용기 폐기 처리를 위해 실링이 밀폐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 있는 상기 안전 피팅의 종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101: 탑 링
2: 접착점(접착 링, 접착 스트립; 용융 접착제; 2K 접착제 또는 1K 접착제)
3: 피복 스트립/도장층 4; 104: 베이스 링
5: 용기 상부 부재 6: 용기 하부 부재
7: 연결편
8: 피팅(가스 및 액체를 위한 밀폐 가능한 개구부 포함); 안전 피팅
9: 진공화된 내부 라이너 9a: 예압된 내부 라이너
10: 피팅 관/상승 관 10a: 슬리브 관
10b: 단부 관 11: 용접 솔기
12: 플랜지 결합부(피팅(8)을 위한 용기 개구부의 외부 경계부)
13: 외부 하우징 14: 원형으로 연장되는 그루브
15: 지지 부재 15a: 내부 링 벽부
15b: 외부 링 벽부 16: 압축 스프링
17: 실링 링 18: 링 개구부
19: 외부 실링 시트 20: 내부 실링 시트
21: 접시형 관 엔드 플레이트 22: 유출 개구부
23: 충진 어댑터 24; 흐름 화살표(충진)
25: 흐름 경로(배출되는 가스) 26: 탭 헤드
27: 구동 노즈 28: 정지 에지
29: 돌출부 30: 정지 부재
30a: 편향 에지 31: 흐름 화살표
32: 둥근 비드 32a, 32b: 단부 칼라
I: 충진 위치 Ⅱ: 래칭 위치
100: 용기
도 1 내지 도 3과 도 8에 부분도로서 도시된 용기는 동일하게 100의 부재 번호로 표시되어 있지만, 서로 다른 구성 및 윤곽을 각각 보유한다. 그러나 모든 용기(100)에, 다수의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실시예들에 따라서는 용기 상부 부재(5)와, 용기 하부 부재(6)와, 탑 링(1)과, 베이스 링(4)으로 구성되는 점이 공통으로 적용된다. 여기서 탑 링 및 베이스 링은 도 3 및 도 8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금속 으로 제조되며 101 및 104의 부재 번호를 각각 보유한다. 용기(100)의 금속 부재들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용기 상부 부재(5) 및 용기 하부 부재(6)의 용접 솔기(11)에 의해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용접을 통해 상호 간에 결합된다. 모든 용접 솔기(11)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복 도장층 또는 피복 스트립(3)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탑 링(1) 및/또는 베이스 링(4)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발포 재료로 구성된다면, 그 탑 링 및 베이스 링은, 도 2에서 예컨대 접착점(2)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부재들(5, 6)과 형상 고정 및/또는 마찰 고정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접착된다.
용기(100)의 상부 측에서 용기는 안전 피팅(8)을 구비하며(도 3에는 미도시), 이런 안전 피팅에는 맥주 공장에서 액체 음료를 충진할 수 있도록 어댑터가 결합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그 액체 음료를 토출할 수 있도록 탭 헤드가 결합된다. 도 2에 따라, 안전 피팅(8)을 고정하기 위해, 용기 개구부는 외측을 향해 플랜지 결합부(12)를 구비하여 형성되며, 이 플랜지 결합부는 연결편(7), 예컨대 금속 압력 링 또는 나사붙이 플라스틱 링에 의해 둘러싸인다. 그에 따라 안전 피팅(8)의 장착과 더불어 내벽 보호를 위해 용기 내부에 삽입 장착되는 내부 라이너(9)가 동시에 고정된다. 여기서 내부 라이너(9)의 위치 중 액체 음료가 충진되거나, 또는 CO2 압축 가스가 방출된 후에 예압되어 용기 내벽 표면에 밀착되는 사용 위치는 도 2에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9a의 부재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도 8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내부 라이너(9a)는 용기 상부 부재(5)의 압착을 통해 즉시 안전 피 팅(8)과 고정된다. 안전 피팅(8) 내에는 상승 관 또는 피팅 관(10)이 배치되며, 이 피팅 관은 거의 바닥 근처에 도달할 때까지 용기(100) 내에 침지 된다.
안전 피팅(8)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5 내지 도 8에 다양한 기능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안전 피팅(8)은 링 모양의 외부 하우징(13)을 보유하며, 이 외부 하우징은 내부 라이너(9; 9a)(도 8 참조)를 동시에 고정하면서 용기 상부 부재(5)의 벽부와의 압착을 위해 원형으로 연장되는 그루브(14)를 구비한다. 그에 따라 용기 벽부와 내부 라이너 사이의 중간 공간으로부터 사전 공기 배출이 이루어진 후에 용기 개구부의 플랜지 결합부(12)가 위의 그루브(14) 내로 말려 삽입되거나, 또는 압입된다. 외부 하우징(13)은 이중 벽의 고정된 지지 부재(15)를 통과하여 하부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지지 부재(15)의 내부 링 벽부(15a)와 외부 링 벽부(15b) 사이에는 흐름 채널들이 형성되며, 이와 동시에 내부 링 벽부(15a)는 길이 방향으로 위치 조정될 수 있는 피팅 관(10)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그 외에도 이중 링 모양의 고정된 지지 부재(15) 내에서는 압축 스프링(16)이 지지된다. 이 압축 스프링은 2가지 재료로 제조되는 2K 실링 링(17)을 가압한다. 2K 실링 링은 외부 하우징(13)의 링 개구부(18)로서 상단 측에서 실링 링(17)을 위한 외부 실링 시트(19)를 형성하는 링 개구부(18) 내에 동심으로 배치된다. 내부 실링 시트(20)는 피팅 관(10)의 상단부를 밀폐하는 접시형 관 엔드 플레이트(21)의 실링 링(17) 용으로 제공된다.
피팅 관(10)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고, 다시 말하면 처음부터 안전 피팅(8) 내로 삽입 장착되고 밀폐하는 관 엔드 플레이트(21)를 포함하는 짧은 길이의 슬리브 관(10a)과, 이 슬리브 관 내에서 경우에 따라 차후에, 다시 말해 현장에서 안전 피팅(8)의 조립 시에 삽입될 수 있는 긴 길이의 단부 관(10b)으로 구성된다. 관 엔드 플레이트(21) 하부에서는 피팅 관(10) 또는 슬리브 관(10a)의 외피부에 유출 개구부들(22)이 배치된다. 이 유출 개구부들은 도 5에 따라 실링 링(17)에 의해 덮인다. 여기서 실링 링은 용기의 충진 후와 그 용기의 운반을 위한 위치를 보여준다.
운반에 선행하는 충진 위치는 도 6에서 알 수 있다. 이중 링 모양이며, 본원에서는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는 충진 어댑터(23)의 안착 시에, 실링 링(17)을 하부로 압착함으로써, 그 실링 링(17)은 피팅 관(10) 또는 슬리브 관(10a) 상에서 유출 개구부들(22)을 개방하는 제1 충진 위치(I)로 하부 방향을 향해 위치 조정된다. 액체 음료는 화살표(24)로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런 과정 중에, 압축 가스 방출로 팽창되는 내부 라이너(9a)를 바탕으로 내포되 것과 같이 용기 내에 존재하는 산소 및/또는 압축 가스는 동시에 유입되는 액체 음료에 의해 밀려 제거되고, 피팅 관(10)뿐 아니라, 유출 개구부들(22) 및 링 개구부(18)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며, 이런 흐름 경로는 관 엔드 플레이트(21)와, 충진 어댑터(23)의 내부 링에 의해 범위 한정된다(흐름 화살표 25 참조). 여기서 유입 및 충진은 안전 피팅(8)의 하부 단부에 형성되고 실시예에 따라 지지 부재(15)의 내부 링 벽부(15a)에 제공되는 편향 에지(30a)에 의해 최적화된다. 이 편향 에지는 액체 흐름(24)을 목표한 바대로 용기 벽 방향으로 안내한다.
용기가 충진되면 곧바로, 어댑터(23)가 분리되어 안전 피팅(8)으로부터 탈거 되며, 그럼으로써 압축 스프링(16)에 의해 가압된 실링 링(17)은 자동으로 도 5에 도시한 밀폐 및 용기 운반 위치로 복귀한다.
단면도가 도 5 및 도 6에 비해 180° 만큼 회전되어 도시되어 있는 도 7로부터는 토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에 단지 명시만 되어 있는 탭 헤드(26)로서, 그 기능 구성이 맥주 공장에서 이용되고 앞서 설명한 충진 어댑터(23)와 비교될 수 있는 탭 헤드(26)의 안착 시에, 실링 링(17)은 다시금 하부 방향으로 변위되지만, 유출 개구부들(22)을 통과한 후에는 피팅 관(10)을 함께 이동시키면서 래칭 위치(Ⅱ)로 위치 조정한다. 이때 피팅 관(10)을 함께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결과적으로 접시형 관 엔드 플레이트(21)는 그에 상응하게 외부 하우징(13)의 링 개구부(18)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하강하였다.
피팅 관(10)의 종동 및 위치 조정을 위해, 실링 링(17)은 구동 노즈(27)를 포함하고, 이 구동 노즈에는 피팅 관(10)에서 또는 본원의 경우 피팅 관의 슬리브 관(10a)에서 정지 에지(28)(도 5 참조)가 할당된다. 돌출부(29)가 고정된 지지 부재(15)의 정지 부재(30)와 걸림 고정되면 곧바로 실링 링(17)과 피팅 관(10)은 래칭 위치(Ⅱ)를 취하게 된다. 탭 헤드(26)가 안착되어 결합되어 토출되는 점에 한해서, 액체 음료는 피팅 관(10)과 유출 개구부들(22)을 통해 토출 위치에 도달한다. 위와 같은 걸림 고정 위치에서 피팅 관(10)은 더 이상 분리되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탭 헤드(26)가 탈거되면, 압축 스프링(16)이 접지형 관 엔드 플레이트(21)의 내부 실링 시트(20)에 인접할 때까지 실링 링(7)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 킨다. 이처럼 안전 피팅(8)의 실링과 관련하여 사용 후에 부분적으로 밀폐되는 실링의 폐기 처리 위치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실링 링(17)은 유출 개구부들(22)을 밀폐하며, 그럼으로써 용기 내에 남아 있는 잔류 액체는 더 이상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잔류 가스의 경우 흐름 경로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그 잔류 가스는 용기의 폐기 처리 또는 운반 시에 도 8에서 흐름 화살표(31)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용기들(100)의 적재와 관련해서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들이 금속 탑 링 및 베이스 링(101, 104)을 구비하고 있다면, 그 용기들은 자체의 자유 탑 링 단부 또는 베이스 링 단부에 각각 보강용 둥근 비드(32)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런 둥근 비드에는 플랜지 결합되고 본질적으로는 직립된 단부 칼라(32a, 32b)가 연결된다. 여기서 탑 링(101)의 단부 칼라(32a)는 베이스 링(104)의 단부 칼라(32b)보다 다소 더욱 큰 지름을 보유하며, 그럼으로써 단부 칼라들(32a, 32b)은 용기들의 상하 간 적재 시에 이중 층으로, 즉 서로 나란히 평행하게 연장되며, 그에 따라 추가로 안정성 증대가 분명하게 달성된다. 단부 칼라(32b)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소 하부 방향을 향해 경사져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하 간에 적재되는 용기들에 대해 더욱 개선된 중심 결정을 제공한다.

Claims (28)

  1. 예컨대 CO2 압축 가스를 이용하면서, 맥주, 와인 및 소프트 드링크와 같이 음용 온도로 온도 조절되는 음료를 압축 가스 작동 방식으로 토출하기 위한 일회용 배럴 형태의 음료 토출 장치로서, 다수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용기(100)와, 이 용기 상부에 배치되는 안전 피팅(8)과, 용기 내부로 침지되는 피팅 관(10)과, 탈거 가능하고 상기 안전 피팅 상에 안착될 수 있는 탭 헤드(26) 또는 충진 시에 안착될 수 있는 어댑터(23)로 구성되되, 상기 탭 헤드 또는 어댑터는 레버의 작동 시에, 스프링(16)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하부 방향을 향해, 상기 안전 피팅의 외부 하우징(13)으로서 용기 몸체와 상기 안전 피팅을 연결하는 상기 외부 하우징(13) 내에 배치되는 실링을, 상기 피팅 관(10)을 통해 상승하는 액체 음료의 액체 경로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며, 그 외에도 선택에 따라 베어스 링 및 탑 링이 구비되는 상기 음료 토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 피팅(8)은 무균 재료로 이루어져 상기 용기(100)의 내벽을 보호할 수 있도록 용기 내부에 삽입 장착되는 내부 라이너(9; 9a)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라이너(9; 9a)는 상기 안전 피팅(8)과 기밀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피팅(8)을 수용하는 용기 개구부는 외측을 향해 플랜지 결합부(12)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상기 안전 피팅(8)은, 피팅 관(10) 및 내부 라이너(9; 9a)를 포함하여, 상기 플랜지 결합부(12)를 둘러싸는 연결편(7)에 의해 용기(1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7)은 금속 압력 링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7)은 나사붙이 플라스틱 링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라이너(9; 9a)는 조립 후에 CO2 압축 가스의 방출에 의해 용기(100)의 내벽 표면에 예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라이너(9)는 부압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라이너(9; 9a)의 경계 체적은 상기 용기(100)의 충진 체적보다 다소 더욱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라이너(9; 9a)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 부재들(5, 6)을 서로 연결하는 용접 솔기(11)는 피복 스트립(3)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부재들(5, 6)을 서로 연결하는 용접 솔기(11)는 피복 도장층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부재들(5, 6)은 약 0.3 내지 0.5㎜의 두께를 갖는 강재 박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부재들(5, 6)은 도장되어 열간 아연 도금되거나, 또는 아연 전기 도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부재들(5, 6)은 아연 도금된 박판 또는 주석 도금된 박판(주석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 링(1) 및/또는 베이스 링(4)은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 링(1) 및/또는 베이스 링(4)은 발포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 링(101) 및 상기 베이스 링(104)은 강재 박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탑 링(101) 및/또는 상기 베이스 링(104)은 튜브 피스로 상기 용기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와 일체를 이루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탑 링(101) 및 상기 베이스 링(104)의 자유 단부, 상부 단부 및 하부 단부는 각각 둥근 비드(32)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이 둥근 비드에는 플랜지 결합되고 본질적으로 직립된 단부 칼라(32a, 32b)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탑 링(101)의 단부 칼라(32a)는 상기 베이스 링(104)의 단부 칼라(32b)보다 다소 더욱 큰 지름을 보유하며, 상기 단부 칼라들(32a, 32b)은 용기들(100)이 상하 간에 적재될 시에 이중 층으로, 즉 서로 나란히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링(104)의 단부 칼라(32b)는 다소 내부 방향을 향해 경사져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22. 예컨대 CO2 압축 가스를 이용하면서, 맥주, 와인 및 소프트 드링크와 같이 음용 온도로 온도 조절되는 음료를 압축 가스 작동 방식으로 토출하기 위한 일회용 배럴 형태의 음료 토출 장치로서, 다수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용기(100)와, 이 용기 상부에 배치되는 안전 피팅(8)과, 용기 내부로 침지되는 피팅 관(10)과, 탈거 가능하고 상기 안전 피팅 상에 안착될 수 있는 탭 헤드(26) 또는 충진 시에 안착될 수 있는 어댑터(23)로 구성되되, 상기 탭 헤드 또는 어댑터는 레버의 작동 시에, 탄성력(16)에 대항하여 하부 방향을 향해, 상기 안전 피팅의 외부 하우징(13)으로서 용기 몸체와 상기 안전 피팅을 연결하는 상기 외부 하우징(13) 내에 배치되는 실링 을, 상기 피팅 관(10)을 통해 상승하는 액체 음료를 위한 액체 경로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며, 그 외에도 선택에 따라 베어스 링 및 탑 링이 구비되며, 특히 안전 피팅은 제1항에 따라 무균 재료로 이루어진 내부 라이너(9; 9a)를 지지하는, 상기 음료 토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팅 관(10; 10a, 10b)은 실링의 이동 가능한 구성 부분으로서 형성되고, 상부에서는 상기 외부 하우징(13)의 링 개구부(18) 내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접시형 관 엔드 플레이트(21)로 밀폐되며, 이 관 엔드 플레이트(21) 하부에서는 관 외피부에 유출 개구부들(22)을 구비하되, 상기 관 엔드 플레이트(21)는 상기 피팅 관(10; 10a, 10b)을 둘러싸는 실링 링(17)을 위한 내부 실링 시트(20)를 제공하고, 상기 실링 링(17)에는 상기 링 개구부(18) 내의 외부 실링 시트(19)가 할당되며, 그에 따라 상기 실링 링(17)은 스프링(16)의 힘에 대항하여 상기 피팅 관(10; 10a, 10b)에 대해 상대 운동하는 방식으로 위치 조정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계단 형태로 위치 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링(17)은 상기 피팅 관(10; 10a, 10b) 상에서 상기 유출 개구부들(22)을 개방하는 제1 위치(I)와 상기 피팅 관(10; 10a, 10b)을 래칭 위치(Ⅱ)로 함께 이동시키는 제2 위치로 위치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링(17)은 구동 노즈(27)를 포함하고, 이 구동 노즈에는, 피팅 관(10; 10a, 10b)에서, 상기 래칭 위치(Ⅱ)로 상기 피팅 관이 종동될 수 있도록 정지 에지(28)가 할당되되, 상기 피팅 관(10; 10a, 10b)은 상기 래칭 위치(II)에서 돌출부(29)에 의해 상기 외부 하우징(13) 내부의 고정된 지지 부재(15) 아래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15) 내에서는 상기 실링 링(17)을 가압하는 스프링(16)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26.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13) 내에는 원형으로 연장되는 그루브(14)가 배치되며, 그에 따라 상기 외부 하우징(13)을 고정할 수 있도록 용기 개구부의 플랜지 결합부(12)가 상기 그루브 내로 말려 삽입되거나, 또는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결합부(12)가 말려 삽입되거나 압입되는 과정에 앞서서 상기 용기의 벽부(5)와 내부 라이너(9)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28. 제22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피팅(8)의 단부 중 상기 링 개구부(18)로부터 이격된 하부 단부에는, 유입되는 액체 흐름(24)을 상기 용기(5)의 벽부 방향으로 안내하는 편향 에지(30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토출 장치.
KR1020097013444A 2007-01-25 2008-01-17 일회용 배럴 형태의 음료 토출 장치 KR200900988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04669.5 2007-01-25
DE102007004669 2007-01-25
DE102007036469A DE102007036469A1 (de) 2007-01-25 2007-08-01 Getränke-Ausschankeinrichtung als Einweggebinde
DE102007036469.7 2007-08-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846A true KR20090098846A (ko) 2009-09-17

Family

ID=3956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3444A KR20090098846A (ko) 2007-01-25 2008-01-17 일회용 배럴 형태의 음료 토출 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20100102087A1 (ko)
EP (1) EP2121505B1 (ko)
JP (1) JP2010516570A (ko)
KR (1) KR20090098846A (ko)
AT (1) ATE471913T1 (ko)
AU (1) AU2008209079B9 (ko)
BR (1) BRPI0807797A2 (ko)
CA (1) CA2676792A1 (ko)
DE (2) DE102007036469A1 (ko)
DK (1) DK2121505T3 (ko)
ES (1) ES2347026T3 (ko)
MX (1) MX2009007658A (ko)
PL (1) PL2121505T3 (ko)
PT (1) PT2121505E (ko)
RU (1) RU2009131925A (ko)
SI (1) SI2121505T1 (ko)
WO (1) WO200808990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56813B4 (de) * 2008-11-11 2013-05-29 Khs Gmbh Behälter und Verfahren zum Füllen eines Behälters
DE202009002838U1 (de) * 2009-02-14 2009-05-28 SCHäFER WERKE GMBH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Getränkebehälters mit einem Fitting
US8777056B2 (en) * 2009-04-01 2014-07-15 Thomas W. Bates Reusable beer keg
US9434505B2 (en) * 2010-01-26 2016-09-06 Rehrig Pacific Company Plastic beer keg
GB201005994D0 (en) 2010-04-09 2010-05-26 Petainer Lidkoeping Ab Keg closure with safety mechanism
GB2485528B (en) 2010-11-09 2013-03-06 Petainer Lidkoeping Ab Keg closure with safety mechanism
GB2485529B (en) 2010-11-10 2013-03-06 Petainer Lidkoeping Ab Keg closure with safety mechanism
EP2691314A4 (en) * 2011-03-28 2015-07-29 Atmi Packaging Inc SHIPPING AND OUTDOOR CONTAINERS WITH ONE FEED
DE102011015516A1 (de) 2011-03-30 2012-10-04 SCHäFER WERKE GMBH Behälter zur Aufnahme von unter Druck stehenden Getränkeflüssigkeiten
EP2511226A1 (en) 2011-04-11 2012-10-17 Carlsberg Breweries A/S A method of preventing bacterial growth in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8991928B2 (en) * 2012-09-14 2015-03-31 Kun-Yu Hsieh Constricting member of chair footrest ring
GB201221141D0 (en) * 2012-11-23 2013-01-09 Petainer Large Container Ip Ltd keg closure with venting mechanism
JP6256740B2 (ja) * 2013-09-17 2018-01-10 株式会社エムトリップコーポレーション 飲料用抽出補助具
JP2016008089A (ja) 2014-06-23 2016-01-18 レーリグ パシフィック カンパニー プラスチック製ビア樽
DE102015014276A1 (de) * 2015-11-06 2017-05-11 Cool-System Keg Gmbh Einweg Getränkefass aus Edelstahl
US9878892B2 (en) * 2016-02-05 2018-01-30 Pepsico, Inc. Vertical beverage dispensing manifolds, dispenser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of dispensing a beverage
CN108946640A (zh) 2018-06-08 2018-12-07 邱长富 一种双层酒桶
US11161682B2 (en) * 2019-03-27 2021-11-02 Newco 4 LLC Device for providing a disposable bag in keg or other container
GB2586472B (en) * 2019-08-19 2022-04-20 Reynold John Burden David A bung device
IT202000020182A1 (it) * 2020-10-14 2022-04-14 Daunia Plast S R L “valvola per il riempimento e lo svuotamento di contenitori in pet in pressione”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18858A (en) * 1939-12-06 1940-10-22 Ralph S Rosenbloom Sealing ring for containers
US2568111A (en) * 1946-04-19 1951-09-18 Pure Oil Co Corrosion-resistant storage tank
NL6910931A (ko) * 1969-07-16 1971-01-19
USRE28875E (en) * 1970-12-02 1976-06-22 Fairey Stainless Limited Manufacture of thin-walled containers
DE2104635B2 (de) * 1971-02-01 1973-03-22 Caspary, Rudolf, Dipl.-Ing., 5500 Trier Armaturgehaeuse zum spuelen, fuellen und abzapfen eines fasses, insbesondere eines bierfasses
USRE31934E (en) * 1971-03-12 1985-07-02 Dynatron/Bondo Corporation Disposable putty dispenser
BE767758A (fr) * 1971-05-27 1971-10-18 Weghsteen Pierre J Gaine souple pour un recipient.
FR2266076A1 (en) * 1974-03-28 1975-10-24 Hopfma Anstalt Valve for draining containers by pressurised gas - connects gas supply and simultaneously opens drain
FI57239C (fi) 1977-06-10 1980-07-10 Hackman Ab Oy Flyttbar distributionsbehaollare foer vaetskor pulver el dyl
JPS5933835Y2 (ja) * 1979-12-18 1984-09-20 麒麟麦酒株式会社 液抽出器
JPS5829996U (ja) * 1981-08-20 1983-02-26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
NZ216147A (en) * 1985-05-20 1989-02-24 Coors Co Adolph Dispens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f a fluid from a container
US4573603A (en) * 1985-06-03 1986-03-04 Worthington Industries, Inc. Fluid container
US4665940A (en) * 1985-11-13 1987-05-19 Johnson Enterprises, Inc. Container fitting
GB0227941D0 (en) * 2002-11-29 2003-01-08 Interbrew Sa Beer line and flow restrictor
DE9007315U1 (ko) * 1990-06-09 1991-10-10 Hirsch, Anton, 7928 Giengen, De
US5277336A (en) * 1990-12-31 1994-01-11 L'oreal Device for the pressurized dispensing of a product, especially a foaming product, and processes for filling a container for a device of this kind
US5469985A (en) * 1993-03-12 1995-11-28 Fujitechno Ltd. Stainless steel container with deformation protecting device
US5657871A (en) * 1996-01-11 1997-08-19 Spartanburg Steel Products, Inc. Container with a stacking ring
US5915595A (en) * 1996-08-21 1999-06-29 U.S. Can Company Aerosol dispensing container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US6820824B1 (en) * 1998-01-14 2004-11-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disposable containers and liners suitable for use therewith
AU751330B2 (en) * 1997-10-01 2002-08-15 Daizo Co., Ltd. Double pressurized container for charging undercup and double pressurized products using the container
GB9904389D0 (en) * 1998-10-06 1999-04-21 Leer Koninklijke Emballage Closure valves
JP2000272696A (ja) * 1999-03-23 2000-10-03 Nas Toa Co Ltd 生ビール樽用フィッティング
AUPQ105099A0 (en) * 1999-06-18 1999-07-08 Carlton And United Breweries Limited Beer container
NL1015368C2 (nl) * 2000-05-31 2001-12-12 Heineken Tech Services Drankafgiftesamenstel alsmede houder voor drank, in het bijzonder koolzuurhoudende drank, en drankafgifteleiding voor toepassing in een dergelijk samenstel.
FR2816599B1 (fr) * 2000-11-10 2003-03-14 Denis Delbarre Fut pour liquide avec moyens de soutirage sous pression
US6925872B2 (en) * 2001-11-19 2005-08-09 Anthony J. Hadala Temperature-sensing device for determining the level of a fluid
JP4472888B2 (ja) * 2001-04-05 2010-06-02 コーンズドッドウェル株式会社 飲料注出装置
DE20115158U1 (de) 2001-09-14 2002-02-14 Schaefer Werke Gmbh Getränke-Ausschankeinrichtung
ATE308659T1 (de) 2001-11-09 2005-11-15 Gabriele Fornasari Fensterladen mit einer haltevorrichtung
GB0210039D0 (en) * 2002-05-02 2002-06-12 Cypherco Ltd Improved valve assembly
WO2004051163A2 (en) * 2002-11-29 2004-06-17 Interbrew S.A. Alcoholic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NL1023429C2 (nl) * 2003-05-14 2004-11-16 Heineken Tech Services Drankafgifte-inrichting.
US7302846B2 (en) * 2004-03-12 2007-12-04 Hadala Anthony J Temperature-sensing device for determining the level of a fluid
CA2609771A1 (en) * 2005-06-02 2006-12-07 Kurt Oberhofer Vessel having co2 compressed gas sou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2121505T3 (da) 2010-10-11
EP2121505B1 (de) 2010-06-23
BRPI0807797A2 (pt) 2014-07-01
ATE471913T1 (de) 2010-07-15
PL2121505T3 (pl) 2010-11-30
AU2008209079B9 (en) 2012-02-02
CA2676792A1 (en) 2008-07-31
DE102007036469A1 (de) 2008-07-31
WO2008089909A2 (de) 2008-07-31
PT2121505E (pt) 2010-09-08
ES2347026T3 (es) 2010-10-22
SI2121505T1 (sl) 2010-11-30
EP2121505A2 (de) 2009-11-25
RU2009131925A (ru) 2011-02-27
JP2010516570A (ja) 2010-05-20
DE502008000836D1 (de) 2010-08-05
AU2008209079A1 (en) 2008-07-31
AU2008209079B2 (en) 2011-12-22
WO2008089909A3 (de) 2008-12-24
US20100102087A1 (en) 2010-04-29
MX2009007658A (es) 2009-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8846A (ko) 일회용 배럴 형태의 음료 토출 장치
KR100597222B1 (ko) 음료수 용기와 이의 밸브조립체 및 이 음료수 용기를채우거나 비우는 방법
US20180118430A1 (en) Mixing/closure device for a container
CA2375227C (en) Beer container
RU2430010C2 (ru) Емкость для напитка и узел в сборе из такой емкости и выдач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EP1888450B1 (en) Liquid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NL1019562C2 (nl) Klepsamenstel voor gebruik bij drankafgifte.
JP5358675B2 (ja) 飲料保持装置
US8444011B2 (en) Tapping apparatus with pressure control means
CZ128295A3 (en) Beverage contain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reof
CA2574257A1 (en) Disposable tap for a pressurized liquid container
WO2004063087A1 (en) Keg filling and dispensing system with valve assembly fitted from exterior
CN101652316A (zh) 作为一次性桶的饮料斟倒装置
WO2014184313A2 (en)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and a method of dispensing beverage
US20170313567A1 (en) Beverage container assembly for holding a beverage
US11661267B2 (en) Dispenser container, dispens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enser container
US3221953A (en) Valve for liquid container
AU2004205049A1 (en) Keg filling and dispensing system with valve assembly fitted from exterior
JP2023507492A (ja) 容器用のシーリングユニット
CA3003204A1 (en) Single-use beverage barrel made of stainless steel
CZ35438U1 (cs) Soudek s vyměnitelnou vložkou pro potravinářské tekutiny
MXPA01000351A (en) Valve assembly for a beverage container, container for beverage and method for filling and emptying a beverage container
AU5201400A (en) Beer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