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8725A -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8725A
KR20090098725A KR1020090021399A KR20090021399A KR20090098725A KR 20090098725 A KR20090098725 A KR 20090098725A KR 1020090021399 A KR1020090021399 A KR 1020090021399A KR 20090021399 A KR20090021399 A KR 20090021399A KR 20090098725 A KR20090098725 A KR 20090098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operation lever
movable contact
press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9705B1 (ko
Inventor
사토시 야마나카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8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8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01H2013/52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using a return spring acting perpendicular to the actuating direction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위치 이외의 위치에서의 압하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소정위치에서 요동 가능한 동시에 소정위치에서 제 1, 제 2의 압하이동 가능하게 보디(100)에 유지되는 조작레버(200)와, 조작레버(200)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또한 조작레버(200)의 압하이동에 따라서 헤드부(512)가 이동되는 압하부재(500)와,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에 압하됨으로써, 제 1, 제 2의 단계의 스위치가 온(on)이 되는 압하스위치(600)를 구비한다. 보디(100)의 원호벽부(160)(접촉부)에는 오목부(162)가 형성되고, 조작레버(200)가 소정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제 2의 압하이동되면, 조작레버(200)의 돌기부(240)가 원호벽부(160)에 접촉되고, 조작레버(200)가 소정위치에서 제 1, 제 2의 압하이동되면, 돌기부(240)가 원호벽부(160)의 오목부(162)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조작형 입력장치{COMBINED-OPERATION TYPE INPUT DEVICE}
본 발명은, 조작레버가, 소정위치에서 서로 대향하는 두 방향으로 요동조작 가능한 동시에, 압하조작 가능한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는, 조작레버의 소정위치에서 좌우방향으로의 요동조작 또는 아래방향으로의 압하조작에 따라서, 해당 조작레버에 장착된 가동접점부가 이동되고, 보디의 내부벽면에 형성된 4개의 고정접점부 중 2개의 고정접점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요동조작 또는 압하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각각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는, 요동조작 시에, 조작레버의 양측에 형성된 볼록형상의 견부(肩部)가 보디의 개구부의 양측의 가장자리부분에 접촉됨으로써, 요동 시의 압하조작을 방지하는 오조작방지수단을 가지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실개소59-98534호 공보
그러나, 상기 오조작방지수단은, 상기 견부가 보디의 상기 가장자리부분에 접촉됨으로써, 조작레버의 압하조작을 방지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조작레버가 보디의 개구부의 가장자리부분 근방까지 경동(傾動) 조작되어 있지 않은 상태(즉, 조작레버가 상기 소정위치 근방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견부가 상기 가장자리부분에 접촉되지 않고, 조작레버의 압하조작을 방지할 수 없다고 하는 본질적인 결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소정위치 이외의 위치에서의 압하조작을 매우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는, 보디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단면에서 보면 대략 원호형상인 제 1의 가동접점부를 가지는 압하스위치와, 압하스위치의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 위에 설치되는 기부(基部) 및 보디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정상부분을 지점(支點)으로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요동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동시에, 이 요동궤도상의 적어도 하나의 소정위치에서 압하스위치를 향해 압하조작 가능한 조작부를 가지는 조작레버와, 보디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조작레버의 요동에 따라서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보디는 조작레버 대향부에 형성된 대략 원호형상의 접촉부를 가지고 있으며, 조작레버는 상기 요동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돌설되고 또한 상기 접촉부의 위쪽에 배치되는 돌기부를 가지고 있으며, 보디의 접촉부에는, 상기 소정위치에 대응한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가 압하스위치를 향해 형성되어 있으며, 조작레버가 상기 소정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압하이동되면,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고, 조작레버가 상기 소정위치에서 압하이동되면,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접촉부의 오목부에 삽입되어, 상기 기부가 상기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을 압하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1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의한 경우, 조작레버의 돌기부가 보디의 접촉부에 접촉됨으로써, 조작레버의 요동궤도상의 소정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압하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요동궤도상의 소정위치 이외의 위치에서의 잘못된 압하조작 입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레버의 기부가 압하스위치의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을 지점으로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조작레버가 요동궤도상의 소정위치에서 압하이동되면, 상기 기부가 상기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을 압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종래예와 같이 조작레버의 압하이동을 검출하는 고정접점부를 보디 내부에 다시 설치하지 않고, 상기 오목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상기 소정위치를 요동궤도상의 다양한 위치에 설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로서 사용 가능한 범용성이 높은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 복수의 상기 오목부를 상기 접촉부에 형성하는 것만으로, 요동궤도상의 복수의 소정위치에서 압하조작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다양한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로서 사용 가능한 범용성이 높은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요동궤도상의 복수의 소정위치에서 압하조작 가능한 구성으로 했다 해도, 해당 압하조작을 1개의 압하스위치에 의해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소정위치에서의 압하이동에 각각 대응한 복수의 고정접점부를 보디에 형성하는 것에 의한 장치의 내부구성의 복잡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는, 압하스위치 대신에 조작레버의 기부가 설치되는 압하부재를 부가해서 구비하고 있는 경우, 조작레버는 압하스위치가 아니라 압하부재를 향해 압하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압하부재는 조작레버의 압하이동에 따라서 기부에 압하됨으로써, 압하이동방향 및 요동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압하스위치는,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압하부재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해당 압하부재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 1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의한 경우, 조작레버의 기부가 압하부재 위에 설치되고, 압하스위치가,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압하부재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해당 압하부재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압하부재가 조작레버의 기부에 압하되면, 상기 압하부재가 상기 이동방향으로 이동되어,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을 압하한다. 이와 같이 압하부재를 개재해서 압하스위치를 압하하도록 한 것에 의해, 장치의 두께 치수의 증대를 억제하기 때문에 압하스위치 및 압하부재를 조작레버의 압하이동측에 상기 이동방향으로 나열해서 배치했다 해도, 조작레버의 압하이동에 의해 상기 압하스위치를 매우 적합하게 압하할 수 있다. 또, 조작레버의 기부를 압하부재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압하스위치는, 상기 보디에 형성되는 제 1, 제 2, 제 3의 고정접점부와, 제 1의 고정접점부에 접촉하는 상기 제 1의 가동접점부와, 이 제 1의 가동접점부와 보디의 사이에 제 2의 고정접점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단면에서 보면 대략 원호형상의 부재로서,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과 제 3의 고정접점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정상부분을 가지는 제 2의 가동접점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레버는, 상기 기부가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을 직접 또는 압하부재를 개재해서 압하하는 제 1의 압하이동 및 상기 기부가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을 직접 또는 압하부재를 개재해서 압하하는 제 2의 압하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레버의 제 1의 압하이동에 의해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압하되면, 제 1의 가동접점부가 탄성 변형되어서 해당 정상부분이 제 2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에 접촉되고, 조작레버의 제 2의 압하이동에 의해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압하되면,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가 탄성 변형되어서 해당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제 3의 고정접점부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작레버의 제 1의 압하이동에 의해,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제 2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에 접촉되고, 상기 제 1의 압하이동을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되는 한편, 조작레버의 제 2의 압하이동에 의해,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제 3의 고정접점부에 접촉되고, 상기 제 2의 압하이동을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압하스위치가 가동접점부를 1개만 가지는 경우와 비교해서, 조작 입력의 베리에이션(variation)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어서 이점이 있다.
상기 돌기부와 상기 접촉부의 사이의 거리는, 조작레버가 상기 소정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제 1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지 않고, 조작레버가 상기 소정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제 2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는 거리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레버가 상기 소정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제 1의 압하이동조작되면,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조작레버의 기부 또는 압하부재에 의해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압하되고, 해당 정상부분이 제 2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에 접촉되는 한편, 조작레버가 상기 소정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제 2의 압하이동조작되면,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기 때문에, 해당 제 2의 압하이동조작이 저지된다. 환언하면, 조작레버의 요동 시에, 제 2의 압하이동조작을 할 수 없지만, 제 1의 압하이동조작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조작 입력의 베리에이션의 수를 더욱더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어서 이점이 있다.
조작레버가 적어도 2개의 소정위치에서 압하조작 가능한 경우, 보디의 접촉부에는 상기 소정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부분에 적어도 2개의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조작레버가 한쪽의 상기 소정위치에서 제 1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접촉부의 오목부의 바닥부에 접촉되지 않고, 조작레버가 한쪽의 상기 소정위치에서 제 2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접촉부의 오목부의 바닥부에 접촉되는 깊이로 할 수 있다. 다른 쪽의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조작레버가 다른 쪽의 상기 소정위치에서 제 1, 제 2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접촉부의 오목부의 바닥부에 각각 접촉되지 않는 깊이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레버가 한쪽의 상기 소정위치에서 제 1의 압하이동조작되면,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접촉부의 한쪽의 오목부에 삽입되지만, 해당 오목부의 바닥부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조작레버의 기부 또는 압하부재에 의해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압하되고, 해당 정상부분이 제 2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에 접촉된다. 또, 조작레버가 한쪽의 상기 소정위치에서 제 2의 압하이동조작되면,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접촉부의 한쪽의 오목부에 삽입되고, 해당 오목부의 바닥부에 접촉되기 때문에, 해당 제 2의 압하이동이 저지된다. 한편, 조작레버가 다른 쪽의 상기 소정위치에서 제 1의 압하이동조작되면,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접촉부의 다른 쪽의 오목부에 삽입되지만, 해당 오목부의 바닥부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조작레버의 기부 또는 압하부재에 의해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압하되고, 해당 정상부분이 제 2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에 접촉된다. 또, 조작레버가 다른 쪽의 상기 소정위치에서 제 2의 압하이동조작되면,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접촉부의 다른 쪽의 오목부에 삽입되지만, 해당 오목부의 바닥부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조작레버의 기부 또는 압하부재에 의해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압하되고, 해당 정상부분이 제 3의 고정접점부에 접촉된다. 즉, 조작레버의 요동궤도상의 한쪽의 소정위치에서 제 2의 압하이동조작을 할 수 없지만, 제 1의 압하이동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조작레버의 요동궤도상의 다른 쪽의 소정위치에서 제 1, 제 2의 압하이동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입력의 베리에이션의 수를 더욱더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어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는, 보디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단면에서 보면 대략 원호형상인 제 1의 가동접점부를 가지는 압하스위치와, 압하스위치의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 위에 설치되는 기부 및 보디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정상부분을 지점으로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요동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동시에, 이 요동궤도상의 적어도 1개의 소정위치에서 압하스위치를 향해서 압하조작 가능한 조작부를 가지는 조작레버와, 보디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조작레버의 요동에 따라서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보디는 조작레버 대향부에 해당 조작레버를 향해서 돌설된 대략 원호형상의 돌출부인 접촉부를 가지고 있으며, 조작레버는 보디 대향부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접촉부가 삽입되는 노치부를 가지고 있으며, 보디의 접촉부에는, 상기 소정위치에 대응한 부분에 적어도 1개의 오목부가 압하스위치를 향해 형성되어 있으며, 조작레버가 상기 소정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압하이동되면, 상기 노치부의 상부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고, 조작레버가 상기 소정위치에서 압하이동되면, 상기 노치부의 상부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접촉부의 오목부에 삽입되고, 상기 기부가 상기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을 압하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2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의한 경우, 조작레버의 노치부의 상부 가장자리부분이 보디의 접촉부에 접촉됨으로써, 조작레버의 요동궤도상의 소정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압하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요동궤도상의 소정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잘못된 압하조작입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레버의 기부가 압하스위치의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을 지점으로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조작레버가 요동궤도상의 소정위치에서 압하이동되면, 상기 기부가 상기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압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종래예와 같이 조작레버의 압하이동을 검출하는 고정접점부를 보디 내부에 다시 설치하지 않고, 상기 오목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상기 소정위치를 요동궤도상의 다양한 위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로서 사용 가능한 범용성이 높은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 복수의 상기 오목부를 상기 접촉부에 형성하는 것만으로, 요동궤도상의 복수의 소정위치에서 압하조작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다양한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로서 사용 가능한 범용성이 높은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요동궤도상의 복수의 소정위치에서 압하조작 가능한 구성으로 했다 해도, 해당 압하조작을 하나의 압하스위치에 의해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소정위치에서의 압하이동에 각각 대응한 복수의 고정접점부를 보디에 형성하는 것에 의한 장치의 내부구성의 복잡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는, 압하스위치 대신에 조작레버의 기부가 설치되는 압하부재를 부가해서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조작레버는 압하스위 치가 아니라 압하부재를 향해 압하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압하부재는 조작레버의 압하이동에 따라서 기부에 압하됨으로써, 압하이동방향 및 요동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압하스위치는,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압하부재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해당 압하부재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 2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의한 경우, 조작레버의 기부가 압하부재 위에 설치되고, 압하스위치가,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압하부재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해당 압하부재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압하부재가 조작레버의 기부에 압하되면, 상기 압하부재가 상기 이동방향으로 이동되어,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을 압하한다. 이와 같이 압하부재를 개재해서 압하스위치를 압하하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두께 치수의 증대를 억제하기 때문에 압하스위치 및 압하부재를 조작레버의 압하이동측에 상기 이동방향으로 나열해서 배치했다 해도, 조작레버의 압하이동에 의해 상기 압하스위치를 매우 적합하게 압하할 수 있다. 또, 조작레버의 기부가 압하부재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압하스위치는, 상기 보디에 형성되는 제 1, 제 2, 제 3의 고정접점부와, 제 1의 고정접점부에 접촉하는 상기 제 1의 가동접점부와, 제 1의 가동접점부와 보디의 사이에 제 2의 고정접점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단면에서 보면 대략 원호형상의 부재로서,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과 제 3의 고정접점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정상부분을 가지는 제 2의 가동접점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레버는, 상기 기부가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을 직접 또는 압하부재를 개재해서 압하하는 제 1의 압하이동 가능한 동시에, 상기 기부가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을 직접 또는 압하부재를 개재해서 압하하는 제 2의 압하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레버의 제 1의 압하이동에 의해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압하되면, 제 1의 가동접점부가 탄성 변형되어서 해당 정상부분이 제 2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에 접촉되고, 조작레버의 제 2의 압하이동에 의해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압하되면,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가 탄성 변형되어서 해당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제 3의 고정접점부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작레버의 제 1의 압하이동에 의해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제 2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에 접촉되고, 상기 제 1의 압하이동을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되는 한편, 조작레버의 제 2의 압하이동에 의해,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제 3의 고정접점부에 접촉되고, 상기 제 2의 압하이동을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압하스위치가 가동접점부를 1개만 가지는 경우와 비교해서, 조작 입력의 베리에이션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2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어서 이점이 있다.
상기 노치부의 상부 가장자리부분과 상기 접촉부의 사이의 거리는, 조작레버가 상기 소정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제 1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상기 상부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지 않고, 조작레버가 상기 소정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제 2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상기 상부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는 거 리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레버가 상기 소정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제 1의 압하이동조작되면, 상기 상부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조작레버의 기부 또는 압하부재에 의해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압하되고, 해당 정상부분이 제 2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에 접촉되는 한편, 조작레버가 상기 소정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제 2의 압하이동조작되면, 상기 상부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기 때문에, 해당 제 2의 압하이동조작이 저지된다. 환언하면, 조작레버의 요동 시에, 제 2의 압하이동조작을 할 수 없지만, 제 1의 압하이동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입력의 베리에이션의 수를 더욱더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어서 이점이 있다.
상기 제 2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가, 조작레버가 적어도 2개의 소정위치에서 압하조작 가능한 구성인 경우, 보디의 접촉부에는 상기 소정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부분에 적어도 2개의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의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조작레버가 한쪽의 상기 소정위치에서 제 1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상기 노치 부의 상부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접촉부의 오목부의 바닥부에 접촉되지 않고, 조작레버가 한쪽의 상기 소정위치에서 제 2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상기 노치부의 상부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접촉부의 오목부의 바닥부에 접촉되는 깊이로 되어 있으며, 다른 쪽의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조작레버가 다른 쪽의 상기 소정위치에서 제 1, 제 2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상기 노치부의 상부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접촉부의 오목부의 바닥부에 각각 접촉되지 않는 깊이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조작레버가 한쪽의 상기 소정위치에서 제 1의 압하이동조작되면, 상기 상부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접촉부의 한쪽의 오목부에 삽입되지만, 해당 오목부의 바닥부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조작레버의 기부 또는 압하부재에 의해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압하되고, 해당 정상부분이 제 2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에 접촉된다. 또, 조작레버가 한쪽의 상기 소정위치에서 제 2의 압하이동조작되면, 상기 상부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접촉부의 한쪽의 오목부에 삽입되고, 해당 오목부의 바닥부에 접촉되기 때문에, 해당 제 2의 압하이동이 저지된다. 한편, 조작레버가 다른 쪽의 상기 소정위치에서 제 1의 압하이동조작되면, 상기 상부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접촉부의 다른 쪽의 오목부에 삽입되지만, 해당 오목부의 바닥부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조작레버의 기부 또는 압하부재에 의해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압하되고, 해당 정상부분이 제 2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에 접촉된다. 또, 조작레버가 다른 쪽의 상기 소정위치에서 제 2의 압하이동조작되면, 상기 상부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접촉부의 다른 쪽의 오목부에 삽입되지만, 해당 오목부의 바닥부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조작레버의 기부 또는 압하부재에 의해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압하되고, 해당 정상부분이 제 3의 고정접점부에 접촉된다. 즉, 조작레버의 요동궤도상의 한쪽의 소정위치에서 제 2의 압하이동조작을 할 수 없지만, 제 1의 압하이동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조작레버의 요동궤도상의 다른 쪽의 소정위치에서 제 1, 제 2의 압하이동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입력의 베리에이션의 수를 더욱더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2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어서 이점이 있다.
상기 조작레버의 기부 및 압하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상기 조작레버의 압하에 의해, 상기 압하부재를 상기 압하스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경사면에 의해, 상기 압하부재를 상기 조작레버의 압하에 따라서 용이하게 상기 압하스위치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압하부재가 탄성 변형 가능한 경우, 상기 조작레버의 압하에 의해 상기 제 1의 가동접점부가 개방되면, 상기 압하부재 및 제 1의 가동접점부가 복원되고, 해당 조작레버를 밀어올리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압하부재 및 제 1의 가동접점부에 의해 압하조작된 조작레버를 소정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으므로, 장치의 내부구성의 간단화를 도모하는 데에 있어서 이점이 있다.
혹은, 상기 압하부재가 탄성 변형 가능한 경우, 상기 조작레버의 직접 또는 압하부재를 개재한 압하에 의해 상기 제 1의 가동접점부가 개방되면, 상기 압하부재 및 제 1의 가동접점부가 복원되고, 해당 조작레버를 밀어올리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기 조작레버의 직접 또는 압하부재를 개재한 압하에 의해 상기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가 개방되면, 상기 압하부재 및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가 복원되고, 해당 조작레버를 밀어올리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압하부재 및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에 의해 압하조작된 조작레버를 소정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으므로, 장치의 내부구성의 간단화를 도모하는 데에 있어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우선,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1(a)가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정면도, 도 1(b)가 배면도, 도 1(c)가 측면도이고, 도 2는 동일장치의 정면 위쪽에서 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동일장치의 배면 위쪽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동일장치의 압하스위치의 고정접점부 및 이동검출수단의 접점의 노출부분을 나타낸 보디의 모식도이고, 도 5는 동일장치의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5(a)가 조작레버가 소정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 도 5(b)가 조작레버가 제 1의 압하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 도 5(c)가 조작레버가 제 2의 압하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6(a)는 동일장치의 조작레버가 경동한 상태를 나타낸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개략적 정면도 및 배면도, 도 6(b)가 동일장치의 조작레버가 경동상태에서 제 1의 압하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개략적 정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7은 동일장치의 조작레버의 기부, 압하부재 본체 및 압하스위치를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로서, 도 7(a)가 압하스위치의 압하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b)가 압하스위치의 제1 단계의 압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c)가 압하스위치의 제2 단계의 압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는, 보디(100)와, 소정위치에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요동방향을 향해 요동 가능 또한 소정위치에서 아래방향을 향해 2단계의 제 1, 제 2의 압하이동 가능하게 보디(100)에 유지되는 조작레버(200)와, 이 조작레버(200)가 상하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조작레버(200)와 함께 요동하는 대략 원호형상의 로터(300)와, 조작레버(200)의 요동에 따라서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검출수단(400)과, 조작레버(200)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또한 조작레버(200)의 압하이동에 따라서 헤드부(512)가 이동되는 압하부재(500)와,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에 의해 압하됨으로써, 제 1, 제 2의 단계의 스위치가 각각 온(on)이 되는 압하스위치(600)와, 요동된 조작레버(200)를 소정위치로 복귀시키는 원점복귀기구로서의 한 쌍의 코일스프링(700)과, 보디(100)에 장착되는 프레임 그라운드(80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각 부를 상세히 설명한다.
보디(100)는,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제의 사출성형품이다. 이 보디(100)는, 정상부분이 둥글게 된 대략 5각형의 판형상의 베이스부(110)와, 이 베이스부(110)의 내부면의 하측 가장자리부분에 입설된 저벽부(120)와, 베이스부(110)의 내부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스위치수용부(130)와, 베이스부(110)의 내부면의 양측부에 형성된 한 쌍의 스프링수용부(140)와, 베이스부(110)의 내부면의 양측 경사 가장자리부분 위에 각각 입설된 2개의 경사벽부(150)와, 베이스부(110)의 내부면의 상측 가장자리부분 위에 입설된 원호벽부(160)(접촉부)와, 로터(300)를 조작레버(200)와 동일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부(170)를 가지고 있다.
저벽부(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의 하측 부분에 오목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21)에는, 프레임 그라운드(800)의 하측 걸림편(840)을 거는 볼록형상의 걸림볼록부(121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스프링수용부(140)는, 저벽부(120)의 외측 단부와 대략 직교하도록 연설된 대략 직방체의 각기둥부(角柱部)(141)와, 이 각기둥부(141)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코일스프링(700)을 수용하는 수용오목부(142)를 가지고 있다.
각기둥부(141)는, 외측의 벽부가 보디(100)의 측벽부로 되어 있다. 이 각기둥부(141)의 외측의 벽부에는 프레임 그라운드(800)의 측방 걸림편(830)이 끼워지는 걸림오목부(141a)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오목부(142)의 상단부 중앙에는 개구(14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수용오목부(142)의 내부 바닥면의 상단부 중앙에는 개구(142a)에 통하는 대략 원호형상의 가이드홈(142b)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142b)은, 로터(300)의 걸이부(腕部)(330)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경사벽부(150)의 외부면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그라운드(800)의 상측 걸림편(820)을 거는 걸림볼록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110)의 외부면은 전자기기의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면으로 되어 있다. 이 베이스부(110)의 외부면의 양측 경사벽부(150)의 뒤측 부분에는, 도 1(b)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그라운드(800)의 상측 걸림편(820)의 접속편부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상측 수용오목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상측 수용오목부(111)에는, 프레임 그라운드(800)의 상측 걸림편(820)의 접속편부를 상기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땜납이 유입된다.
또, 베이스부(110)의 외부면의 스프링수용부(140)의 뒤측 부분에는, 2개의 걸림오목부(141a)와 각각 연통하고, 프레임 그라운드(800)의 측방 걸림편(830)의 접속편부를 수용하는 2개의 측방 수용오목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측방 수용오목부(112)에는, 프레임 그라운드(800)의 측방 걸림편(830)의 접속편부를 상기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땜납이 유입된다.
또, 베이스부(110)의 외부면의 상측 수용오목부(111)와 측방 수용오목부(112)의 사이에는, 이동검출수단(400)의 접점부(412, 413)의 타단부를 베이스부(110)의 외부면에 각각 도출시키기 위한 2개의 제 1의 측방 도출오목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의 측방 도출오목부(113)에는, 접점부(412, 413)의 타단부를 상기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땜납이 유입된다.
또, 베이스부(110)의 외부면의 측방 수용오목부(112)의 하측부에는, 이동검출수단(400)의 접점부(411) 및 압하스위치(600)의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타단부를 베이스부(110)의 외부면에 각각 도출시키기 위한 2개의 제 2의 측방 도출오목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의 측방 도출오목부(114)에는, 접점부(411) 및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타단부를 상기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땜납이 유입된다.
또한, 베이스부(110)의 외부면의 하단부에는, 압하스위치(600)의 제 1, 제 2의 고정접점부(611, 612, 620)의 타단부를 베이스부(110)의 외부면에 각각 도출시키기 위한 6개의 하측 도출오목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하측 도출오목부(115)에는, 제 1, 제 2의 고정접점부(611, 612, 620)의 타단부를 상기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땜납이 유입된다.
원호벽부(16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중앙부의 내부 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하로 개방된 대략 원호형상의 가이드오목부(161)와, 이 가이드오목부(161)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고 또한 위쪽으로 개방된 오목부(162)를 가진다.
가이드오목부(161)는 조작레버(200)의 축부(210)의 상단부가 요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또, 가이드오목부(161)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이 조작레버(200)의 축부(210)의 요동범위를 규제하고 있다.
오목부(162)는 가이드오목부(161)에 통하는 구멍으로서, 조작레버(200)의 돌기부(240)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오목부(162)에 돌기부(240)가 삽입됨으로써, 조작레버(200)가 소정위치에서 아래쪽을 향해 제 1, 제 2의 압하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이드부(17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벽부(150) 및 원호벽부(160)의 내부측면에 형성되는 대략 반원호형상의 가이드면(171)과, 베이스부(110)의 내부면 위의 스위치수용부(130)의 위쪽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가이드면(171)과의 사이에 로터(300)를 요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대략 반원주형상의 가이드볼록부(172)를 가진다.
스위치수용부(13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벽부(120), 스프링수용부(140)의 각기둥부(141) 및 가이드볼록부(172)에 의해 구획되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수용부 본체(131)와, 수용부 본체(131)의 바닥부의 상측의 양측 모서리부에 각각 형성된 돌기형상의 2개의 제 1의 지지부(132)와, 상기 바닥부의 하측의 양측 모서리부에 각각 형성된 돌기형상의 2개의 제 2의 지지부(133)와, 제 1, 제 2의 지지부(132)의 사이에 각각 형성된 오목형상의 2개의 제 3의 지지부(134)와, 스위치수용부(13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대략 원형의 오목부인 접점재치부(135)를 가지고 있다.
각 제 1, 제 2의 지지부(132, 133)의 면 위에는 제 1의 가동접점부(640)의 제 1의 다리부(642)를 지지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3의 지지부(134)는 제 2의 가동접점부(650)의 제 2의 다리부(652)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조작레버(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판형상의 축부(210)와, 이 축부(210)의 상단부에 형성된 대략 원호형상의 조작암(220)(조작부)과, 축부(210)의 하단부에 형성된 홈 베이스형상의 판상체인 기부(230)와, 축부(210)의 상단부의 이면에 외측(즉, 요동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돌설된 돌기부(240)를 가지고 있다.
축부(210)의 하단부는 로터(300)의 끼워맞춤오목부(31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축부(210)의 상단부는 보디(100)의 가이드오목부(161)에 통과되어, 보디(100) 외부로 돌출한다. 축부(210)는 가이드오목부(161)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에 의해서, 해당 요동범위가 규제된다.
기부(230)는 축부(210)보다도 폭이 넓어서, 해당 상측의 양측 견부가 로터(300)의 끼워맞춤오목부(310)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의 하단부에 접촉된다. 이에 의해, 조작레버(200)의 위쪽으로의 이탈방지를 방지하고 있다.
기부(230)의 하단부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하부재(500)의 헤드 부(512)가 끼워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오목부에 헤드부(512)가 끼워짐으로써, 조작레버(200)가 헤드부(512)를 지점으로서 소정위치에서 상기 요동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오목부의 내부 바닥면은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의 이동방향 및 위쪽을 향해 점차 증대하는 경사면(231)으로 되어 있다. 이 경사면(231)이 조작레버(200)의 압하이동에 따라서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의 만곡면(512a)을 압하함으로써, 해당 압하부재(500)의 축지지부(511)가 경사져, 헤드부(512)가 압하스위치(600)을 향해 이동된다. 이 이동에 의해 헤드부(512)가 압하스위치(600)를 압하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겠지만, 헤드부(512)가 압하스위치(600)의 제 1의 가동접점부(640)의 정상부분을 압하하기 위한 조작레버(200)의 압하이동이 제 1의 압하이동이 되고, 헤드부(512)가 압하스위치(600)의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640, 650)의 정상부분을 압하하기 위한 조작레버(200)의 압하이동이 제 2의 압하이동이 된다.
축부(210) 및 기부(230)의 정면에는 2개의 볼록부(211, 23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211, 232)가 프레임 그라운드(800)의 베이스판(810)에 접촉된다.
돌기부(240)는 조작레버(200)의 제 2의 압하이동에 따라서 원호벽부(160)의 오목부(162)에 삽입된다. 또, 조작레버(200)가 요동된 상태(즉, 소정위치 이외의 요동궤도상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의 돌기부(240)와 원호벽부(160)의 오목 부(162)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의 사이의 거리(X1)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레버(200)가 상기 요동궤도상에서 제 1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돌기부(240)가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분에 접촉되지 않고, 조작레버(200)가 상기 요동궤도상에서 제 2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돌기부(240)가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분에 접촉되는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기부(230)의 하단부가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에 소정위치에서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도 6(a)에 나타낸 돌기부(240)의 위치가 해당 돌기부(240)의 압하이동되기 전의 위치(이하, 초기위치라고 함)이다.
로터(300)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100)의 가이드면(171)과 가이드볼록부(172)의 사이에 요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대략 원호형상인 수지제의 사출성형품이다. 이 로터(300)의 정면의 중앙부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레버(200)의 축부(2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워맞춤오목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오목부(310)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이 조작레버(200)의 축부(210)에 압하됨으로써, 로터(300)가 조작레버(200)의 요동에 따라서 요동한다.
또, 끼워맞춤오목부(310)의 양측면의 중앙부가 각각 움푹 패어져 있다. 이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축부(210)와의 마찰의 저감을 도모하고 있다.
로터(300)의 이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검출수단(400)의 브러시(420)가 장착된 장착오목부(320)가 형성되어 있다.
또, 로터(300)의 양측 단부에는 대략 원호형상으로 만곡된 한 쌍의 걸이부(3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이부(330)는 스프링수용부(140)의 개구(142a)에 삽 입되어, 수용오목부(142) 내의 코일스프링(700)에 각각 접촉한다. 이에 의해, 로터(300)가 가이드부(170)의 중심위치에서 유지되는 동시에, 조작레버(200)가 대략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에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대략 수직으로 기립되고 또한 압하부재(500)에 지지된 상태가 조작레버(200)의 상기 소정위치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또, 걸이부(330)는 로터(300)의 요동에 따라서 수용오목부(142)의 가이드홈(142b)을 따라서 해당 수용오목부(142) 내에 삽입되고, 스프링(700)을 압축시킨다. 이에 의해, 복귀방향으로의 힘이 부여된다.
이동검출수단(40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100)의 베이스부(110)에 매설되는 접점부(411, 412, 413)와, 이 접점부(411, 412, 413)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브러시(420)를 가지고 있다.
접점부(411)의 일단부는 베이스부(110)의 내부면의 가이드면(171)과 가이드볼록부(172)의 사이의 중앙부로부터 노출한다. 접점부(411)의 타단부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의 한쪽의 제 2의 측방 도출오목부(114)에서 해당 베이스부(110)의 외부면으로부터 노출한다.
접점부(412, 413)의 일단부는 베이스부(110)의 내부면의 가이드면(171)과 가이드볼록부(172)의 사이의 접점부(411)의 양측으로부터 노출한다. 접점부(412, 413)의 타단부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의 제 1의 측방 도출오목부(113)에서 해당 베이스부(110)의 외부면으로부터 노출한다.
브러시(420)는, 대략 원호형상의 도전판으로서, 로터(300)의 장착오목부(320)에 장착되는 본체부(421)와, 이 본체부(421)의 양측 단부에 각각 연속되는 2개의 접촉암(422)을 가지고 있다.
각 접촉암(422)의 선단부는 베이스부(110)를 향해서 절곡되어 있다. 이 선단부가 로터(300)의 요동에 따라서 베이스부(110)의 가이드면(171)과 가이드볼록부(172)의 사이의 면 위를 슬라이딩하여, 접점부(411, 412, 413)의 일단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이에 의해, 이동검출수단(400)이 조작레버(200)의 요동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를 향해 출력한다.
압하스위치(6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100)의 베이스부(110)에 매설된 제 1의 고정접점부(611, 612), 제 2의 고정접점부(620) 및 제 3의 고정접점부(630)와, 제 1의 고정접점부(611, 612)에 접촉하는 제 1의 가동접점부(640)와, 제 2의 고정접점부(620)에 접촉하고 또한 보디(100)의 스위치수용부(130)와 제 1의 가동접점부(64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2의 가동접점부(650)를 가지고 있다.
제 2의 고정접점부(620)의 일단부는 두 갈래로 갈라져 있으며, 스위치수용부(130)의 2개의 제 3의 지지부(134)의 오목부의 바닥면 위로 각각 노출한다. 제 2의 고정접점부(620)의 타단부는, 베이스부(110)의 하측 도출오목부(115)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되고, 저벽부(120)의 오목부(121)의 바닥면을 따라서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제 1의 고정접점부(611)의 일단부는 한쪽의 제 1의 지지부(132)의 오목부의 바닥면 위로 노출한다. 제 1의 고정접점부(611)의 타단부는 베이스부(110)의 하측 도출오목부(115)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저벽부(120)의 하부면을 따라서 대략 L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제 1의 고정접점부(612)의 일단부는 다른 쪽의 제 2의 지지부(133)의 오목부의 바닥면 위로 노출한다. 제 1의 고정접점부(612)의 타단부는 베이스부(110)의 하측 도출오목부(115)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저벽부(120)의 하부면을 따라서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일단부는 접점재치부(135)의 중심부로부터 노출한다.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타단부는 베이스부(110)의 제 2의 측방 도출오목부(114)에서 측방으로 돌출하고, 각기둥부(141)의 외벽을 따라서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제 2의 가동접점부(650)는, 탄성 변형 가능한 대략 돔형상(즉, 단면에서 보면 대략 원호형상)의 제 2의 접점부 본체(651)와, 이 제 2의 접점부 본체(651)의 외주부 가장자리부분에 90˚간격으로 형성된 2개의 제 2의 다리부(652)를 가지고 있다. 이 2개의 제 2의 다리부(652)가 스위치수용부(130)의 2개의 제 3의 지지부(134)에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제 2의 접점부 본체(651)가 스위치수용부(130)의 제 3의 지지부(134) 위에 세트되고, 제 2의 고정접점부(620)의 두 갈래 형상의 일단부에 접촉된다. 이와 동시에, 제 2의 접점부 본체(651)의 정상부분이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위쪽에 배치된다.
또, 제 2의 다리부(652)는 양측 단부가 위쪽을 향해 절곡되어 있다. 이 양측 단부의 높이 치수가 2개의 제 3의 지지부(134)의 깊이 치수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제 1의 가동접점부(6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대략 돔형상(즉, 단면에서 보면 대략 원호형상)의 제 1의 접점부 본체(641)와, 이 제 1의 접점부 본체(641)의 외주부 가장자리부분에 대략 90˚간격으로 형성된 4개의 제 1의 다리부(642)를 가지고 있다.
이 4개의 제 1의 다리부(642)가 스위치수용부(130)의 2개의 제 1, 제 2의 지지부(132, 133)의 오목부에 끼워진다. 이에 의해, 4개의 제 1의 다리부(642) 중 2개의 제 1의 다리부(642)가 제 1의 고정접점부(611, 612)의 일단부에 각각 접촉되고, 제 1의 가동접점부(640)가 제 2의 가동접점부(650)에 덮이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해당 제 1의 접점부 본체(641)의 정상부분이 제 2의 접점부 본체(651)의 정상부분의 위쪽에 배치된다.
제 1의 다리부(642)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의 다리부(642)는 선단부가 위쪽을 향해 만곡되어 있다. 상기 선단부의 높이 치수가 제 1, 제 2의 지지부(132, 133)의 오목부의 깊이 치수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제 1의 접점부 본체(641)는, 4개의 제 1의 다리부(642)가 스위치수용부(130)의 2개의 제 1, 제 2의 지지부(132, 133)에 지지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제 1의 접점부 본체(641)의 정상부분이 압하부재(500)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서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에 대향 배치된다.
따라서, 조작레버(200)의 제 1의 압하이동에 의해 제 1의 접점부 본체(641)의 정상부분이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에 압하되면,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제 1의 다리부(642) 및 제 1의 접점부 본체(641)가 탄성 변형되어, 제 1의 접점부 본체(641)의 정상부분이 제 2의 접점부 본체(651)의 정상부분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해서 조작레버(200)의 제 1의 압하이동에 따라서 압하스위치(600)의 제1 단계의 스위치가 온(on)이 된다.
조작레버(200)의 제 2의 압하이동에 의해 제 1, 제 2의 접점부 본체(641, 651)의 정상부분이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에 압하되면,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제 1의 다리부(642), 제 1의 접점부 본체(641) 및 제 2의 접점부 본체(651)가 탄성 변형되어, 제 1의 접점부 본체(641)의 정상부분이 제 2의 접점부 본체(651)를 개재해서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일단부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해서 조작레버(200)의 제 2의 압하이동에 따라서 압하스위치(600)의 제2 단계의 스위치가 온(on)이 된다.
압하부재(500)는, 도 2,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하부재 본체(510)와, 이 압하부재 본체(510)가 내부에 형성된 프레임(520)을 가지는 수지제의 성형품이다.
프레임(520)은 수용부 본체(131)의 내벽의 형상에 대응한 대략 직사각형상으로서, 수용부 본체(131)에 끼워 맞춘다. 이 끼워맞춤상태에서, 프레임(520)의 양측 단부가 수용부 본체(131)의 바닥부의 제 1, 제 2의 지지부(132, 133, 134) 위에 재치된다. 이에 의해, 상기 양측 단부와 제 1, 제 2의 지지부(132, 133, 134)의 사이에 제 1의 가동접점부(640)의 제 1의 다리부(642)의 선단부 및 제 2의 가동접점부(650)의 제 2의 다리부(652)의 양측 단부가 끼워 유지되어서,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640, 650)의 부상을 방지하고 있다.
프레임(520)의 상단부가 막대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압하부 본체(510)의 헤드부(512) 위에 조작레버(200)의 기부(230)가 설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압하부재 본체(510)는, 프레임(520)의 하단부에 형성된 판형상의 축지지부(511)와, 이 축지지부(511)의 선단부에 형성된 헤드부(512)를 가지고 있다.
헤드부(512)는, 프레임(520)이 스위치수용부(130)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해당 스위치수용부(130) 내의 압하스위치(600)의 제 1의 가동접점부(640)의 정상부분에 대향하는 볼록형상의 압하부(512a)와, 이 압하부(512a)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아래쪽을 향해서 점차 증대하는 반원호형상의 만곡형상으로 되어 있는 지지부(512b)를 가지고 있다.
지지부(512b) 위에는 조작레버(200)의 기부(230)가 재치된다. 이 기부(230)의 경사면(231)에 지지부(512b)가 압하됨으로써, 헤드부(512)가 압하스위치(600)를 향해서 이동되어, 해당 압하스위치(600)의 제 1의 접점부 본체(641) 또는 제 1, 제 2의 접점부 본체(641, 651)의 정상부분을 압하한다.
축지지부(511)는, 탄성 변형 가능한 부위로서, 헤드부(512)의 지지부(512b)가 기부(230)의 경사면(231)에 압하됨으로써, 대략 수직인 상태에서 압하스위치(600)를 향해 경사지도록 되어 있다. 이 경사에 의해 헤드부(512)가 압하스위치(600)를 향해 이동된다.
그라운드 프레임(800)은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그라운드 프레임(8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부분이 둥글게 된 대략 5각형의 판형상 의 베이스판(810)과, 이 베이스판(810)의 정상부분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2개의 상측 걸림편(820)과, 베이스판(81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2개의 측방 걸림편(830)과, 베이스판(810)의 하단부 중앙에 형성된 하측 걸림편(840)을 가지고 있다.
각 상측 걸림편(820)은, 보디(100)의 경사벽부(150)의 외부면을 따르는 직사각형상의 판체(板體)와, 이 판체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해당 판체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은행나무잎형상의 접속편부를 가진다. 상기 판체의 중앙부에는 걸림볼록부(151)을 걸기 위한 걸림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편부는 베이스부(110)의 상측 수용오목부(111)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판체의 걸림구멍에 걸림볼록부(151)가 끼워지고, 상기 접속편부가 베이스부(110)의 상측 수용오목부(111)에 수용됨으로써, 상측 걸림편(820)이 보디(100)에 걸리게 된다.
각 측방 걸림편(830)은, 보디(100)의 걸림오목부(141a)에 끼워지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체와, 이 판체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해당 판체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은행나무잎형상의 접속편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접속편부는 베이스부(110)의 측방 수용오목부(112)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판체가 걸림오목부(141a)에 끼워지고, 상기 접속편부가 베이스부(110)의 측방 수용오목부(112)에 수용됨으로써, 측방 걸림편(830)이 보디(100)에 걸리게 된다.
하측 걸림편(840)은, 보디(100)의 오목부(121)에 수용되는 대략 삼각형상의 판체로서, 해당 중앙부에 걸림볼록부(121a)를 걸리게 하기 위한 걸림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걸림구멍에 걸림볼록부(121a)가 끼워짐으로써, 하측 걸림편(840)이 보디(100)의 오목부(121)의 바닥면에 걸리게 된다.
베이스판(810)은, 각 걸림편이 보디(100)에 걸리게 된 상태에서, 해당 보디(100) 내부의 조작레버(200)의 4개의 볼록부(211, 232), 로터(300)의 볼록부 및 압하부재(500)의 프레임(520)에 각각 접촉한다. 이에 의해, 베이스판(810)이, 조작레버(200), 로터(300), 이동검출수단(400)의 브러시(420), 압하부재(500) 및 압하스위치(600)를 보디(100)와의 사이에서 유지한다.
상측, 측방 걸림편(820, 830)의 접속편부 및 하측 걸림편(840)의 선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전자기기의 상기 기판의 접지패턴에 납땜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조작레버(200)에 대전하는 정전기를, 베이스부(110) 및 상측 걸림편(820)에서 수용하고, 상측 걸림편(820) 및 측방 걸림편(830)을 통해서 상기 접지패턴에 흐르도록 되어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조립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압하스위치(600)의 제 2의 가동접점부(650)의 2개의 제 2의 다리부(652)를 스위치수용부(130)의 2개의 제 3의 지지부(134)에 각각 위치맞춤을 하면서 삽입한다. 그러면, 제 2의 다리부(652)가 제 2의 고정접점부(620)의 두 갈래 형상의 일단부에 각각 접촉된다. 이와 동시에, 제 2의 가동접점부(650)의 제 2의 접점부 본체(651)가 스위치수용부(130)의 접점재치부(135) 위에 세트된다.
그 후, 압하스위치(600)의 제 1의 가동접점부(640)의 4개의 제 1의 다리부(642)를 스위치수용부(130)의 2개의 제 1, 제 2의 지지부(132, 133)의 오목부에 각각 위치맞춤을 하면서 삽입한다. 그러면, 2개의 제 1의 다리부(642)가 제 1의 고정접점부(611, 612)의 일단부에 각각 접촉된다. 이에 의해, 제 1의 접점부 본 체(641)가 제 2의 접점부 본체(651)에 덮여지고, 제 1, 제 2의 접점부 본체(641, 651)의 정상부분이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위쪽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그 후, 압하부재(500)의 프레임(520)을 스위치수용부(130)의 수용부 본체(131)에 끼워 맞춘다. 그러면,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가 압하스위치(600)의 제 1의 가동접점부(640)의 정상부분에 접촉된다. 이와 동시에, 프레임(520)의 양측 단부가, 제 1, 제 2, 제 3의 지지부(132, 133, 134) 위에 재치된다. 이에 의해, 제 1의 가동접점부(640)의 제 1의 다리부(642)의 선단부 및 제 2의 가동접점부(650)의 제 1의 다리부(642)의 양측 단부가 프레임(520)의 양측 단부와 제 1, 제 2, 제 3의 지지부(132, 133, 134)와의 사이에 끼워 유지된다.
한편으로, 코일스프링(700)을 스프링수용부(140)의 수용오목부(142)에 압축상태로 수용시킨다.
그 후, 브러시(420)가 장착된 로터(300)를 보디(100)의 가이드부(170)에 위치맞춤을 하면서 삽입한다. 그러면, 브러시(420)가 보디(100)의 베이스부(110)의 내부면에 접촉된다.
그 후, 조작레버(200)의 축부(210)를 로터(300)의 끼워맞춤오목부(310)에 위치맞춤을 하면서 삽입한다. 이와 동시에, 조작레버(200)의 경사면(231)이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에 접촉시킨다.
그 후, 프레임 그라운드(800)의 상측 걸림편(820)을 보디(100)의 걸림볼록부(151)에 각각 걸리게 하는 동시에, 해당 상측 걸림편(820)의 접속편부를 보 디(100)의 상측 수용오목부(111)에 각각 수용시킨다. 프레임 그라운드(800)의 측방 걸림편(830)을 보디(100)의 걸림오목부(141a)에 끼워넣는 동시에, 해당 측방 걸림편(830)의 접속편부를 보디(100)의 측방 수용오목부(112)에 각각 수용시킨다. 프레임 그라운드(800)의 측방 걸림편(840)을 보디(100)의 오목부(121)에 수용시키고 또한 걸림볼록부(121a)를 걸리게 한다.
이에 의해, 프레임 그라운드(800)가 보디(100)에 장착된다. 이때, 프레임 그라운드(800)의 베이스판(810)이 조작레버(200)의 볼록부(211, 232) 및 로터(300)의 볼록부에 접촉되고, 베이스판(810)과 보디(100)의 사이에서 조작레버(200), 로터(300), 이동검출수단(400)의 브러시(420), 압하부재(500) 및 압하스위치(600)의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640, 650)가 유지된다.
그 후, 보디(100)의 외부면을 전자기기의 상기 기판 위에 재치한다. 그리고, 이동검출수단(400)의 접점부(411, 412, 413)의 타단부를 전자기기의 실장용 기판의 전극패턴에, 압하스위치(600)의 제 1의 고정접점부(611, 612), 제2의 고정접점부(620) 및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타단부를 상기 기판의 다른 전극패턴에 각각 납땜 접속한다.
이와 동시에, 프레임 그라운드(800)의 상측, 측방 걸림편(820, 830)의 접속편부 및 하측 걸림편(840)의 선단부를 상기 기판의 접지패턴에 각각 납땜 접속한다.
이하, 이와 같이 해서 조립된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사용방법 및 각 부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레버(200)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위치에서 아래쪽으로 제 1의 압하조작되면, 조작레버(200)의 돌기부(240)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원호벽부(160)의 오목부(162)에 근접하는 동시에,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레버(200)의 경사면(231)이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를 압하한다. 그러면, 압하부재(500)의 축지지부(511)가 탄성 변형되는 동시에, 헤드부(512)가 압하스위치(600)를 향해 이동된다. 그리고, 헤드부(512)가 압하스위치(600)의 제 1의 가동접점부(640)의 제 1의 접점 본체(641)의 정상부분을 압하한다.
그러면, 4개의 제 1의 다리부(642) 및 제 1의 접점부 본체(641)가 탄성 변형되어, 제 1의 접점부 본체(641)의 정상부분이 제 2의 접점부 본체(651)의 정상부분에 접촉된다. 이에 의해, 제 1의 고정접점부(611, 612), 제 2의 고정접점부(620) 및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640, 650)가 도통해서 압하스위치(600)의 제1 단계의 스위치가 온(on)이 되며, 이 신호가 전자기기에 출력된다.
그 후, 조작레버(200)가 개방되면, 제 1의 접점 본체(641), 4개의 제 1의 다리부(642) 및 축지지부(511)가 복원된다. 이 복원력에 의해, 헤드부(512)가 압하스위치(600)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을 향해서 이동되고, 조작레버(200)의 경사면(231)을 소정위치를 향해서 밀어 올린다. 이에 의해, 조작레버(200)가 소정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돌기부(240)가 원호벽부(160)의 오목부(162)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조작레버(200)가,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위치에서 아래쪽으로 제 2의 압하조작되면, 조작레버(200)의 돌기부(240)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원호벽 부(160)의 오목부(162)에 삽입되는 동시에,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레버(200)의 경사면(231)이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를 압하한다. 그러면, 압하부재(500)의 축지지부(511)가 탄성 변형되는 동시에, 헤드부(512)가 압하스위치(600)를 향해 이동된다.
그러면, 헤드부(512)가, 제 1의 접점부 본체(641) 및 제 2의 접점부 본체(651)의 정상부분을 압하한다. 이에 의해, 4개의 제 1의 다리부(642), 제 1의 접점부 본체(641) 및 제 2의 접점부 본체(651)가 탄성 변형되어, 제 1의 접점부 본체(641)의 정상부분이 제 2의 접점부 본체(651)를 개재해서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일단부에 접촉된다. 이에 의해, 제 1의 고정접점부(611, 612), 제 2의 고정접점부(620), 제 3의 고정접점부(630) 및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640, 650)가 도통해서 압하스위치(600)의 제2 단계의 스위치가 온(on)이 되며, 이 신호가 전자기기에 출력된다.
그 후, 조작레버(200)가 개방되면, 제 1의 접점 본체(641), 제 2의 접점 본체(651), 4개의 제 1의 다리부(642) 및 축지지부(511)가 복원된다. 이 복원력에 의해, 헤드부(512)가 압하스위치(600)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을 향해서 이동되고, 조작레버(200)의 경사면(231)을 소정위치를 향해서 밀어 올린다. 이에 의해, 조작레버(200)가 소정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돌기부(240)가 원호벽부(160)의 오목부(162)로부터 위쪽으로 이탈하여, 상기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조작레버(200)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위치에서 한쪽의 요동방향을 향해서 요동 조작되면, 돌기부(240)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원호벽부(160)의 오 목부(162)의 한쪽의 가장자리부분의 위쪽 위치로 이동되는 동시에, 로터(300)가 가이드부(170)에 안내되면서, 조작레버(200)와 함께 상기 한쪽의 요동방향으로 요동한다.
그러면, 브러시(420)의 2개의 접촉암(422)이 접점부(411, 412)에 각각 접촉되고, 이 신호가 전자기기에 출력된다.
이때, 로터(300)의 한쪽의 걸이부(330)가 보디(100)의 가이드홈(142b)을 따라서 수용오목부(142) 내에 삽입되어, 한쪽의 스프링(700)을 압압한다. 이에 의해, 한쪽의 스프링(700)이 압축된다.
그 후, 조작레버(200)가 개방되면, 한쪽의 스프링(700)의 부세력에 의해, 로터(300)의 한쪽의 걸이부(330)가 압압된다. 이에 의해, 조작레버(200) 및 로터(300)가 소정위치로 복귀되고, 돌기부(240)가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조작레버(200)가 소정위치에서 다른 쪽의 요동방향을 향해서 요동조작되면, 브러시(420)의 2개의 접촉암(422)이 접점부(411, 413)에 각각 접촉되는 이외, 한쪽의 요동방향의 요동조작과 마찬가지로 각 부가 동작한다. 따라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편의 요동방향으로 요동조작된 요동궤도상(즉, 소정위치 이외의 요동궤도상의 위치)에서 조작레버(200)가 제 1의 압하조작이 되면, 조작레버(200)의 돌기부(240)가 원호벽부(160)의 오목부(162)의 한쪽의 가장자리부분에 근접하는 동시에, 조작레버(200)의 경사면(231)이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를 압하한다. 그러면, 상술한 소정위치에서 제 1의 압하조작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가 압하스위치(600)의 제 1의 가동접점부(640)의 제 1의 접점 본체(641)의 정상부분을 압하하고, 해당 압하스위치(600)의 제1 단계의 스위치가 온(on)이 되며, 이 신호가 전자기기에 출력된다.
그 후, 조작레버(200)가 개방되면, 제 1의 접점 본체(641), 4개의 제 1의 다리부(642) 및 축지지부(511)가 복원된다. 이 복원력에 의해, 헤드부(512)가 압하스위치(600)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을 향해서 이동되고, 조작레버(200)의 경사면(231)을 위쪽을 향해서 밀어 올린다. 이에 의해, 돌기부(240)가 원호벽부(160)의 오목부(162)의 한쪽의 가장자리부분으로부터 이탈한다. 이와 동시에, 한쪽의 스프링(700)의 부세력에 의해, 로터(300)의 한쪽의 걸이부(330)가 압압된다. 이에 의해, 조작레버(200) 및 로터(300)가 소정위치로 복귀되고, 돌기부(240)가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한쪽의 요동방향으로 요동 조작된 요동궤도상(즉, 소정위치 이외의 요동궤도상의 위치)에서 조작레버(200)가 제 2의 압하조작이 되면, 조작레버(200)의 돌기부(240)가 원호벽부(160)의 오목부(162)의 한쪽의 가장자리부분에 접촉되고, 조작레버(200)가 상기 요동궤도상에서 제 1의 압하이동 이상의 이동(즉, 제 2의 압하이동)이 저지된다.
상기 다른 쪽의 요동방향으로 요동조작된 상태에서, 조작레버(200)가 제 1, 제 2의 압하조작된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의한 경우, 조작레버(200)에 돌기부(240)가 형성되고, 보디(100)의 원호벽부(160)의 대략 중심위치에 돌기부(240)가 삽입 가능한 오목부(16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레버(200)가 소정위치에서 제 1의 압하이동조작되면, 돌기부(240)가 오목부(162)에 근접하는 것 뿐이기 때문에, 조작레버(200)의 제 1의 압하이동이 허용된다. 또, 조작레버(200)가 소정위치에서 제 2의 압하이동조작되면, 돌기부(240)가 오목부(162)에 삽입되기 때문에, 조작레버(200)의 제 2의 압하이동이 허용된다. 한편, 조작레버(200)가 소정위치 이외의 요동궤도상의 위치에서 압하조작되면, 조작레버(200)의 제 1의 압하이동 시에는 돌기부(240)가 보디(100)의 원호벽부(160)의 오목부(162)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해당 제 1의 압하이동이 허용되지만, 조작레버(200)의 제 2의 압하이동 시에는 돌기부(240)가 보디(100)의 원호벽부(160)의 오목부(162)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에 접촉되기 때문에, 해당 제 2의 압하이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조작레버(200)가 소정위치 이외의 요동궤도상에서 제 1의 압하이동조작될 경우에, 잘못해서 제 2의 압하이동조작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는, 조작레버(200)가 압하부재(500)를 개재해서 압하스위치(600)의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640, 650)의 정상부분을 각각 압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보디(100)측의 고정접점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조작레버(200)의 요동궤도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제 1의 압하이동을 검출할 수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의 수 증가에 의한 내부구조의 복잡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조작레버(200)의 요동궤도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제 1의 압하이동입력이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전자기기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본 장치는 범용성이 높은 장치로 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모식적 정면도이고, 도 9는 동일장치의 조작레버의 노치부와 보디의 돌출부와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로서, 도 9(a)가 압하조작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b)가 제 1의 압하조작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c)가 제 2의 압하조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동일장치의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정면도로서, 도 10(a)가 동일장치의 조작레버가 경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b)가 동일장치의 조작레버가 경동상태에서 제 1의 압하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낸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는, 보디(100)에 오목부(162) 대신에 돌출부(163)(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 및 조작레버(200)에 돌기부(240) 대신에 노치부(250)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상이하다. 이하, 그 상이점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 생략한다.
원호벽부(160)의 가이드오목부(161)의 내부 바닥면(조작레버 대향부)에는, 오목부(162)를 대신해서 조작레버(200)의 요동궤도에 대응한 원호형상의 돌출부(16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63)는 조작레버(200)를 향해서 볼록하게 되어 있으며, 노치부(250)에 삽입된다. 돌출부(163)의 정상부분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오목부(163a)가 형성되어 있다.
축부(210)의 이면에는 돌기부(240) 대신에, 양측이 개방된 대략 직사각형상 의 노치부(2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부(250)의 상부 가장자리부분(251)의 폭치수(즉, 축부(210)의 폭치수)가 돌출부(163)의 오목부(163a)의 폭치수보다도 약간 작게 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상부 가장자리부분(251)은 돌출부(163)의 오목부(163a)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돌출부(163)가 노치부(250)에 삽입되고 또한 조작레버(200)가 요동된 상태(즉, 소정위치 이외의 요동궤도상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부 가장자리부분(251)과 돌출부(163)의 사이의 거리(X2)는, 조작레버(200)가 상기 요동궤도상에서 제 1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상부 가장자리부분(251)이 돌출부(163)의 오목부(163a)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에 접촉되지 않고, 조작레버(200)가 상기 요동궤도상에서 제 2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상부 가장자리부분(251)이 돌출부(163)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에 접촉되는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기부(230)의 하단부가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에 소정위치에서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도 9(a)에 나타낸 상부 가장자리부분(251)의 위치가 해당 상부 가장자리부분(251)의 압하이동되기 전의 위치(이하, 초기위치라고 함)이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사용방법 및 각 부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레버(200)가,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위치에서 아래쪽으로 제 1의 압하조작되면, 조작레버(200)의 노치부(250)의 상부 가장자리부분(251)이 상기 초기위치에서 돌출부(163)의 오목부(163a)에 근접한다. 이와 동시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레버(200)의 경사면(231)이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를 압하 하고, 압하스위치(600)의 제1 단계의 스위치가 온(on)이 된다.
그 후, 조작레버(200)가 개방되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레버(200)가 소정위치로 복귀된다. 이에 의해, 상부 가장자리부분(251)이 돌출부(163)의 오목부(163a)로부터 이탈하여,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조작레버(200)가,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위치에서 아래쪽으로 제 2의 압하조작되면, 조작레버(200)의 노치부(250)의 상부 가장자리부분(251)이 돌출부(163)의 오목부(163a)에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레버(200)의 경사면(231)이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를 압하하고, 압하스위치(600)의 제2 단계의 스위치가 온(on)이 된다.
그 후, 조작레버(200)가 개방되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레버(200)가 소정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상부 가장자리부분(251)이 돌출부(163)의 오목부(163a)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조작레버(200)가,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위치에서 한쪽의 요동방향을 향해서 요동조작되면, 조작레버(200)의 상부 가장자리부분(251)이 상기 초기위치에서 돌출부(163)의 오목부(163a)의 한쪽의 가장자리부분의 위쪽 위치로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로터(300)가 상기 한쪽의 요동방향으로 요동되고, 브러시(420)의 2개의 접촉암(422)이 접점부(411, 412)에 각각 접촉된다.
이때, 로터(300)의 한쪽의 걸이부(330)가 보디(100)의 가이드홈(142b)을 따라서 수용오목부(142) 내에 삽입되어, 한쪽의 스프링(700)을 압압한다. 이에 의해, 한쪽의 스프링(700)이 압축된다.
그 후, 조작레버(200)가 개방되면, 한쪽의 스프링(700)의 부세력에 의해, 로터(300)의 한쪽의 걸이부(330)가 압압된다. 이에 의해, 조작레버(200) 및 로터(300)가 소정위치로 복귀되고, 상부 가장자리부분(251)이 상기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조작레버(200)가 소정위치에서 다른 쪽의 요동방향을 향해서 요동 조작되면, 브러시(420)의 2개의 접촉암(422)이 접점부(411, 413)에 각각 접촉되는 이외, 한쪽의 요동방향의 요동조작과 마찬가지로 각 부가 동작한다. 따라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쪽의 요동방향으로 요동조작된 요동궤도상(즉, 소정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조작레버(200)가 제 1의 압하조작이 되면, 조작레버(200)의 노치부(250)의 상부 가장자리부분(251)이 돌출부(163)의 오목부(163a)의 한쪽의 가장자리부분에 근접한다. 이와 동시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레버(200)의 경사면(231)이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를 압하하고, 해당 압하스위치(600)의 제1 단계의 스위치가 온(on)이 된다.
그 후, 조작레버(200)가 개방되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 1의 접점 본체(641), 4개의 제 1의 다리부(642) 및 축지지부(511)의 복원력에 의해, 조작레버(200)가 밀어 올려진다. 이때, 조작레버(200)의 노치부(250)의 상부 가장자리부분(251)이 돌출부(163)의 오목부(163a)의 한쪽의 가장자리부분으로부터 이탈한다. 이와 동시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한쪽의 스프링(700)의 부세력에 의해, 조작 레버(200) 및 로터(300)가 소정위치로 복귀되고, 해당 조작레버(200)의 상부 가장자리부분(251)도 상기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한쪽의 요동방향으로 요동조작된 요동궤도상(즉, 소정위치 이외의 요동궤도상의 위치)에서 조작레버(200)가 제 2의 압하조작이 되면, 조작레버(200)의 노치부(250)의 상부 가장자리부분(251)이 돌출부(163)의 오목부(163a)의 한쪽의 가장자리부분에 접촉되고, 조작레버(200)가 상기 요동궤도상에서 제 1의 압하이동 이상의 이동(즉, 제 2의 압하이동)이 저지된다.
상기 다른 쪽의 요동방향으로 요동조작된 상태에서, 조작레버(200)가 제 1, 제 2의 압하조작된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의한 경우, 조작레버(200)에 노치부(250)가 형성되고, 보디(100)의 원호벽부(160)의 돌출부(163)의 정상부분에 노치부(250)의 상부 가장자리부분(251)이 삽입 가능한 오목부(163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레버(200)가 소정위치에서 제 1의 압하이동조작되면, 상부 가장자리부분(251)이 돌출부(163)의 오목부(163a)에 근접하는 것 뿐이기 때문에, 조작레버(200)의 제 1의 압하이동이 허용된다. 또, 조작레버(200)가 소정위치에서 제 2의 압하이동조작되면, 상부 가장자리부분(251)이 돌출부(163)의 오목부(163a)에 삽입되기 때문에, 조작레버(200)의 제 2의 압하이동이 허용된다. 한편, 조작레버(200)가 소정위치 이외의 요동궤도상의 위치에서 압하조작되면, 조작레버(200)의 제 1의 압하이동 시에는 상부 가장자리부분(251)이 보디(100)의 원호벽부(160)의 오목부(163a)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해당 제 1의 압하이동이 허용되지만, 조작 레버(200)의 제 2의 압하이동 시에는 상부 가장자리부분(251)이 보디(100)의 원호벽부(160)의 오목부(163a)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에 접촉되기 때문에, 해당 제 2의 압하이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조작레버(200)가 소정위치 이외의 요동궤도상에서 제 1의 압하이동 조작될 경우에, 잘못해서 제 2의 압하이동조작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는, 조작레버(200)가 압하부재(500)를 개재해서 압하스위치(600)의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640, 650)의 정상부분을 각각 압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보디(100)측의 고정접점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조작레버(200)의 요동궤도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제 1의 압하이동을 검출할 수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 수의 증가에 의한 내부구조의 복잡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조작레버(200)의 요동궤도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제 1의 압하이동 입력이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전자기기에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장치는 범용성이 높은 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대해서는, 특허청구의 범위의 취지에 적합한 경우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설계변경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예 1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한 개략도로서, 도 11(a)가 배면도, 도 11(b)가 조작레버의 배면도, 도 11(c)가 보디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동일장치의 다른 설계변경예를 예시한 개략도로서, 도 12(a)가 배면도, 도 12(b)가 조작레버의 배면도, 도 12(C)가 보디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실시예 2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조작레버와 보디의 돌출부와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 적 정면도로서, 도 13(a)가 돌출부의 복수의 오목부가 동일형상인 예를 예시한 도면, 도 13(b)가 돌출부의 복수의 오목부 중 일부의 오목부가 다른 형상인 예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조작레버의 원점복귀기구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한 개략적 정면도로서, 도 14(a)가 조작레버가 소정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b)가 조작레버가 요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조작레버의 원점복귀기구의 다른 설계변경예를 예시한 모식도로서, 도 15(a)가 조작레버가 소정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5(b)가 조작레버가 요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는, 조작레버(200)가 대략 수직으로 기립된 위치가 소정위치라고 했지만, 해당 소정위치는 조작레버(200)의 요동궤도상의 임의의 위치로 설정 가능하다. 이 경우, 보디의 오목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조작레버의 요동궤도상의 소정위치의 변경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조작레버가 경사 45˚로 경사진 위치를 소정위치로 하고, 해당 소정위치에서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를 향해서 압하조작 가능하게 하는 경우, 원호벽부(160)에 있어서의 오목부(162) 또는 오목부(163a)의 위치를 상기 소정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변경하는 것만으로, 상기 소정위치의 변경에 대응 가능하다. 따라서, 본 장치는 범용성이 높아서, 다양한 전자기기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장치는, 조작레버의 요동궤도상에 복수의 소정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벽부(160)에 5개의 오목부(162)를 형성하도록 하면, 조작레버(200)가 이 요동궤도상의 5개의 소정위치에서 압하부재(500) 헤드부(512)를 향해서 제 1, 제 2의 압하이동되고, 압하스위치(600)의 제1 단계, 제2 단계의 스위치를 온(on)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벽부(160)의 돌출부(163)에 5개의 오목부(163a)를 형성하도록 해도, 조작레버(200)가 이 요동궤도상의 5개의 소정위치에서 압하부재(500) 헤드부(512)를 향해서 제 1, 제 2의 압하이동되고, 압하스위치(600)의 제1 단계, 제2 단계의 스위치를 온(on)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레버의 요동궤도상의 복수의 소정위치에서 제 1, 제 2의 압하조작 입력이 가능하게 되므로, 복잡한 압하조작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장치의 범용성이 향상된다.
상기 오목부는, 조작레버(200)의 제 1, 제 2의 압하이동을 허용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레버(200)의 요동궤도상에 5개의 소정위치에 대응하는 5개의 오목부(162) 중 2개의 오목부(162)의 깊이를 조작레버(200)의 제 1의 압하이동만을 허용하는 깊이로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레버(200)의 요동궤도상에 5개의 소정위치에 대응하는 5개의 오목부(163a) 중 2개의 오목부(163a)의 깊이를 조작레버(200)의 제 1의 압하이동만을 허용하는 깊이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소정위치에 의해서, 다른 압하조작 입력이 가능하게 되므로, 복잡한 압하조작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장치의 범용성이 향상된다.
실시예 1에 있어서 원호벽부(160)가 접촉부라고 했지만, 해당 접촉부는 보디의 조작레버 대향부에 형성된 대략 원호형상의 것인 경우 임의로 설계 변경 가능하 다. 또, 실시예 2에 있어서 돌출부(163)가 접촉부라고 했지만, 해당 접촉부는 보디의 조작레버 대향부에 해당 조작레버를 향해 돌설된 대략 원호형상의 돌출부인 경우 임의로 설계 변경 가능하다.
또, 조작레버(200)가 소정위치 이외의 요동궤도상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의 돌기부(240)와 원호벽부(160)의 오목부(162)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의 사이의 거리는, 조작레버(200)가 상기 요동궤도상에서 제 1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돌기부(240)가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분에 접촉되지 않고, 조작레버(200)가 상기 요동궤도상에서 제 2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돌기부(240)가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분에 접촉되는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고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조작레버(200)가 상기 요동궤도상에서 제 1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돌기부(240)가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분에 접촉되는 거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이어도, 상술한 바와 같이, 보디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위치를 가변하거나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돌출부(163)가 노치부(250)에 삽입되고 또한 조작레버(200)가 소정위치 이외의 요동궤도상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부 가장자리부분(251)과 돌출부(163)의 사이의 거리는, 조작레버(200)가 상기 요동궤도상에서 제 1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상부 가장자리부분(251)이 돌출부(163)의 오목부(163a)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에 접촉되지 않고, 조작레버(200)가 상기 요동궤도상에서 제 2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상부 가장자리부분(251)이 돌출부(163)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에 접촉되는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고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조작레 버(200)가 상기 요동궤도상에서 제 1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상부 가장자리부분(251)이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분에 접촉되는 거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이어도, 상술한 바와 같이, 보디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위치를 가변하거나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작레버(200)에 대해서는, 압하스위치의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 또는 압하부재 위에 설치되는 기부와, 보디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정상부분을 지점으로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요동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동시에, 이 요동궤도상의 적어도 하나의 소정위치에서 압하스위치를 향해 압하조작 가능한 조작부를 가지는 경우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작레버(200)의 경사면(231)에 대해서는, 압하부재를 압하스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호면 등이 있다. 또, 조작레버를 대신해서 상기 경사면 또는 원호면을 압하부재(500)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조작레버 및 압하부재의 쌍방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압하부재(500)에 대해서는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조작레버(200)를 압하스위치(600)의 정상부분 위에 설치하고, 해당 압하스위치를 향해서 압하조작 가능하게 하면 된다. 또, 압하부재(500)는, 조작레버의 압하이동에 따라서 기부에 압하됨으로써, 압하이동방향 및 요동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압하스위치(600)를 압하하는 것인 경우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압하부재로서, 보디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해당 보디의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 능하게 안내되는 이동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레버의 기부의 압하에 의해, 압하스위치를 향해서 이동하여, 해당 압하스위치를 압하하도록 해도 된다.
압하스위치(600)에 대해서는, 단면에서 보면 대략 원호형상인 제 1의 가동접점부와, 이 제 1의 가동접점부에 접촉되는 제 1의 고정접점부와, 제 1의 가동접점부가 가변해서 접촉되는 제 2의 고정접점부를 가지는 경우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다. 즉, 제1 단계의 스위치만으로 할 수 있다.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640, 650)에 대해서는, 단면에서 보면 대략 원호형상이면 된다.
조작레버(200)의 원점복귀기구로서는, 코일스프링(700)을 이용한다고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원점복귀기구로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코일부(710')와, 이 코일부(710')로부터 연신하는 암부(720')를 가지고, 로터(300)의 한 쌍의 걸이부(330)가 암부(720')에 각각 접촉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작레버(200)가 요동조작되면, 로터(300)의 한쪽의 걸이부(330)가 암부(720')를 압하한다. 이에 의해, 코일부(710')가 압축되고, 로터(300)에 암부(720')를 개재해서 복귀력을 부여한다.
또, 다른 원점복귀기구로서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나 코일스프링 등의 원호형상의 탄성체(700")를 수용하는 수용오목부(α)를 로터(300') 또는 도시하지 않은 보디에 형성하는 한편, 상기 보디 또는 로터(300')에 상기 탄성체의 양측 단부에 접촉하는 정지부(β)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조작레버(200)가 요동조작되면, 탄성체(700")가 수용오목부(α)의 일단부와 다 른 쪽의 정지부(β)의 사이에서 압축되어, 로터(300')에 복귀력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원점복귀기구는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로터(300)에 대해서는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조작레버에 코일스프링(700) 또는 암부(720')에 접촉되는 한 쌍의 걸이부나 수용오목부(α)나 정지부(β)를 형성하도록 하면 된다.
이동검출수단(400)에 대해서는, 조작레버(200)의 요동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인 경우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로터에 자성체를 장착하는 한편, 보디에 홀소자를 형성하고, 자성체의 이동에 따른 자계의 변화에 의해 조작레버의 요동을 검출하도록 해도 되고, 보디에 저항패턴을 형성하고, 해당 패턴상을 로터에 장착된 접촉자가 슬라이딩함에 따른 저항치의 변화를 조작레버의 요동으로서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조작레버의 요동뿐만이 아니라, 요동량도 검출이 가능하게 되므로, 장치의 고기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각 부의 형상 및 위치에 대해서는,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경우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1(a)가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정면도, 도 1(b)가 배면도, 도 1(c)가 측면도;
도 2는 동일장치의 정면 위쪽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3은 동일장치의 배면 위쪽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4는 동일장치의 압하스위치의 고정접점부 및 이동검출수단의 접점의 노출부분을 나타낸 보디의 모식도;
도 5는 동일장치의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5(a)가 조작레버가 소정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 도 5(b)가 조작레버가 제 1의 압하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 도 5(c)가 조작레버가 제 2의 압하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
도 6(a)는 동일장치의 조작레버가 경동(傾動)한 상태를 나타낸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개략적 정면도 및 배면도, 도 6(b)가 동일장치의 조작레버가 경동상태에서 제 1의 압하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개략적 정면도 및 배면도;
도 7은 동일장치의 조작레버의 기부, 압하부재본체 및 압하스위치를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로서, 도 7(a)가 압하스위치의 압하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b)가 압하스위치의 제1 단계의 압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c)가 압하스위치의 제2 단계의 압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모식적 정면도;
도 9는 동일장치의 조작레버의 노치부와 보디의 돌출부와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로서, 도 9(a)가 압하조작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b)가 제 1의 압하조작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c)가 제 2의 압하조작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O은 동일장치의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정면도로서, 도 10(a)가 동일장치의 조작레버가 경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b)가 동일장치의 조작레버가 경동상태에서 제 1의 압하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실시예 1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한 개략도로서, 도 11(a)가 배면도, 도 11(b)가 조작레버의 배면도, 도 11(C)가 보디의 정면도;
도 12는 동일장치의 다른 설계변경예를 예시한 개략도로서, 도 12(a)가 배면도, 도 12(b)가 조작레버의 배면도, 도 12(C)가 보디의 정면도;
도 13은 실시예 2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조작레버와 보디의 돌출부와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적 정면도로서, 도 13(a)가 돌출부의 복수의 오목부가 동일 형상인 예를 예시한 도면, 도 13(b)가 돌출부의 복수의 오목부 중 일부의 오목부가 다른 형상인 예를 예시한 도면;
도 14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조작레버의 원점복귀기구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한 개략적 정면도로서, 도 14(a)가 조작레버가 소정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b)가 조작레버가 요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 면;
도 15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조작레버의 원점복귀기구의 다른 설계변경예를 예시한 모식도로서, 도 15(a)가 조작레버가 소정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5(b)가 조작레버가 요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보디 160: 원호벽부(접촉부)
162: 오목부 163: 돌출부(접촉부)
163a: 오목부 200: 조작레버
220: 조작암(조작부) 230: 기부
231: 경사면 240: 돌기부
250: 노치부 251: 상부 가장자리부분
400: 이동검출수단 500: 압하부재
512: 헤드부 600: 압하스위치
611, 612: 제 1의 고정접점부 620: 제 2의 고정접점부
630: 제 3의 고정접점부 640: 제 1의 가동접점부
650: 제 2의 가동접점부

Claims (13)

  1. 보디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단면에서 보면 대략 원호형상인 제 1의 가동접점부를 가지는 압하스위치와,
    압하스위치의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 위에 설치되는 기부(基部)와, 보디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정상부분을 지점(支點)으로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요동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동시에, 이 요동궤도상의 적어도 하나의 소정위치에서 압하스위치를 향해 압하조작 가능한 조작부를 가지는 조작레버와,
    보디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조작레버의 요동에 따라서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검출수단를 구비하고 있으며,
    보디와 조작레버 대향부에 형성된 대략 원호형상의 접촉부를 가지고 있으며,
    조작레버는 상기 요동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서 돌설되고 또한 상기 접촉부의 위쪽에 배치되는 돌기부를 가지고 있으며,
    보디의 접촉부에는, 상기 소정위치에 대응한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가 압하스위치를 향해 형성되어 있으며,
    조작레버가 상기 소정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압하이동되면,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고, 조작레버가 상기 소정위치에서 압하이동되면,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접촉부의 오목부에 삽입되고, 상기 기부가 상기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을 압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압하스위치 대신에 조작레버의 기부가 설치되는 압하부재를 부가해서 구비하고 있으며,
    조작레버는 압하스위치가 아니라 압하부재를 향해 압하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압하부재는 조작레버의 압하이동에 따라서 기부에 압하됨으로써, 압하이동방향 및 요동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압하스위치는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압하부재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해당 압하부재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압하스위치는, 상기 보디에 형성되는 제 1, 제 2, 제 3의 고정접점부와,
    제 1의 고정접점부에 접촉하는 상기 제 1의 가동접점부와,
    이 제 1의 가동접점부와 보디의 사이에 제 2의 고정접점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단면에서 보면 대략 원호형상의 부재로서,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과 제 3의 고정접점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정상부분을 가지는 제 2의 가동접점부를 가지고 있으며,
    조작레버는, 상기 기부가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을 직접 또는 압하부재를 개재해서 압하하는 제 1의 압하이동 가능한 동시에, 상기 기부가 제 1, 제 2 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을 직접 또는 압하부재를 개재해서 압하하는 제 2의 압하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조작레버의 제 1의 압하이동에 의해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압하되면, 제 1의 가동접점부가 탄성 변형되어서 해당 정상부분이 제 2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에 접촉되고,
    조작레버의 제 2의 압하이동에 의해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압하되면,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가 탄성 변형되어서 해당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제 3의 고정접점부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상기 접촉부의 사이의 거리는, 조작레버가 상기 소정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제 1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지 않고, 조작레버가 상기 소정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제 2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는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조작레버가 적어도 2개의 소정위치에서 압하조작 가능한 경우에,
    보디의 접촉부에는 상기 소정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부분에 적어도 2개의 상 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의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조작레버가 한쪽의 상기 소정위치에서 제 1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접촉부의 오목부의 바닥부에 접촉되지 않고, 조작레버가 한쪽의 상기 소정위치에서 제 2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접촉부의 오목부의 바닥부에 접촉되는 깊이로 되어 있으며,
    다른 쪽의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조작레버가 다른 쪽의 상기 소정위치에서 제 1, 제 2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접촉부의 오목부의 바닥부에 각각 접촉되지 않는 깊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6. 보디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단면에서 보면 대략 원호형상인 제 1의 가동접점부를 가지는 압하스위치와,
    압하스위치의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 위에 설치되는 기부와, 보디 외부로 돌설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정상부분을 지점으로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요동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동시에, 이 요동궤도상의 적어도 1개의 소정위치에서 압하스위치를 향해 압하조작 가능한 조작부를 가지는 조작레버와,
    보디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조작레버의 요동에 따라서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보디는 조작레버 대향부에 해당 조작레버를 향해서 돌설된 대략 원호형상의 돌출부인 접촉부를 가지고 있으며,
    조작레버는 보디 대향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접촉부가 삽입되는 노 치부를 가지고 있으며,
    보디의 접촉부에는, 상기 소정위치에 대응한 부분에 적어도 1개의 오목부가 압하스위치를 향해 형성되어 있으며,
    조작레버가 상기 소정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압하이동되면, 상기 노치부의 상부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고, 조작레버가 상기 소정위치에서 압하이동되면, 상기 노치부의 상부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접촉부의 오목부에 삽입되고, 상기 기부가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을 압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압하스위치 대신에 조작레버의 기부가 설치되는 압하부재를 부가해서 구비하고 있으며,
    조작레버는 압하스위치가 아니라 압하부재를 향해 압하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압하부재는 조작레버의 압하이동에 따라서 기부에 압하됨으로써, 압하이동방향 및 요동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압하스위치는,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압하부재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해당 압하부재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압하스위치는, 상기 보디에 형성되는 제 1, 제 2, 제 3의 고정접점부와,
    제 1의 고정접점부에 접촉하는 상기 제 1의 가동접점부와,
    이 제 1의 가동접점부와 보디의 사이에 제 2의 고정접점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단면에서 보면 원호형상의 부재로서,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과 제 3의 고정접점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정상부분을 가지는 제 2의 가동접점부를 가지고 있으며,
    조작레버는, 상기 기부가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을 직접 또는 압하부재를 개재해서 압하하는 제 1의 압하이동 가능한 동시에, 상기 기부가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을 직접 또는 압하부재를 개재해서 압하하는 제 2의 압하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조작레버의 제 1의 압하이동에 의해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압하되면, 제 1의 가동접점부가 탄성 변형되어서 해당 정상부분이 제 2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에 접촉되고,
    조작레버의 제 2의 압하이동에 의해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압하되면,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가 탄성 변형되어서 해당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의 정상부분이 제 3의 고정접점부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의 상부 가장자리부분과 상기 접촉부의 사이의 거리는, 조작레버가 상기 소정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제 1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상기 상부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지 않고, 조작레버가 상기 소정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제 2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상기 상부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는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조작레버가 적어도 2개의 소정위치에서 압하조작 가능한 경우에,
    보디의 접촉부에는 상기 소정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부분에 적어도 2개의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의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조작레버가 한쪽의 상기 소정위치에서 제 1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상기 노치부의 상부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접촉부의 오목부의 바닥부에 접촉되지 않고, 조작레버가 한쪽의 상기 소정위치에서 제 2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상기 노치부의 상부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접촉부의 오목부의 바닥부에 접촉되는 깊이로 되어 있으며,
    다른 쪽의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조작레버가 다른 쪽의 상기 소정위치에서 제 1, 제 2의 압하이동될 경우에, 상기 노치부의 상부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접촉부의 오목부의 바닥부에 각각 접촉되지 않는 깊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11. 제 2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의 기부 및 압하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기 조작레버의 압하에 의해, 상기 압하부재를 상기 압하스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12. 제 2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압하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레버의 압하에서 상기 제 1의 가동접점부가 개방되면, 상기 압하부재 및 제 1의 가동접점부가 복원되고, 해당 조작레버를 밀어올리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13. 제 3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압하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레버의 직접 또는 압하부재를 개재한 압하에 의해 상기 제 1의 가동접점부가 개방되면, 상기 압하부재 및 제 1의 가동접점부가 복원되고, 해당 조작레버를 밀어올리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레버의 직접 또는 압하부재를 개재한 압하에 의해 상기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가 개방되면, 상기 압하부재 및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가 복원되고, 해당 조작레버를 밀어올리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KR1020090021399A 2008-03-14 2009-03-13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KR101549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66029 2008-03-14
JP2008066029A JP4521450B2 (ja) 2008-03-14 2008-03-14 複合操作型入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725A true KR20090098725A (ko) 2009-09-17
KR101549705B1 KR101549705B1 (ko) 2015-09-02

Family

ID=40670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399A KR101549705B1 (ko) 2008-03-14 2009-03-13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68808B2 (ko)
EP (1) EP2101341B1 (ko)
JP (1) JP4521450B2 (ko)
KR (1) KR101549705B1 (ko)
CN (1) CN101533734B (ko)
CA (1) CA2651168C (ko)
TW (1) TWI4289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6816B2 (ja) * 2009-06-02 2012-02-29 ホシデン株式会社 複合スイッチ
US9711303B2 (en) 2013-06-27 2017-07-18 Blackberry Limited Dome-shaped assembly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ome-shaped assembly
JP6409398B2 (ja) * 2014-08-08 2018-10-24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
FR3051953A1 (fr) * 2016-05-30 2017-12-01 Bosch Gmbh Robert Dispositif de pivot a compensation de jeu et telecommande ainsi equipee
FR3078819B1 (fr) * 2018-03-08 2020-03-20 Legrand France Manoeuvre synchronise d'un dispositif bistable depuis une multitude de manettes monostables
JP7340490B2 (ja) * 2020-04-15 2023-09-07 ホシデン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着脱検出スイッチ
CN112242259B (zh) * 2020-11-11 2023-09-08 歌尔科技有限公司 按键组件及智能腕戴设备
CN112977060A (zh) * 2021-03-23 2021-06-18 上海东风康斯博格莫尔斯控制系统有限公司 一种电控踏板以及电控踏板模组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8534A (ja) 1982-11-26 1984-06-06 Nec Corp 半導体装置
JPS5998534U (ja) 1982-12-23 1984-07-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ツチ
JPH051125U (ja) * 1991-06-21 1993-01-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釦スイツチ
JPH051125A (ja) 1991-06-24 1993-01-08 Toray Ind Inc オキシメチレンコポリマの製造方法
JP3536435B2 (ja) * 1995-06-22 2004-06-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3793290B2 (ja) * 1996-02-07 2006-07-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複合操作型電気部品
JP3865169B2 (ja) * 1997-11-28 2007-01-10 ソニー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の制御方法
US6775380B2 (en) * 2001-11-27 2004-08-10 Shin Jiuh Corp. Switch capable of generating voices in response to a pressing action
US6642459B2 (en) * 2002-01-15 2003-11-04 Shin Jiuh Corp. Switch
JP4044364B2 (ja) * 2002-05-09 2008-02-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FR2840447B1 (fr) * 2002-05-30 2004-11-26 Itt Mfg Entpr S Inc Commutateur electrique miniaturise a voies multiples de commutation
US6680444B1 (en) * 2002-10-30 2004-01-20 Shin-Jiuh Corp. Structure of a switch for electronic device
JP4375030B2 (ja) * 2003-09-29 2009-12-0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複合操作型スイッチ装置
JP2005108570A (ja) * 2003-09-29 2005-04-21 Mitsumi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スイッチ装置
TWM255993U (en) * 2003-11-14 2005-01-21 Hon Hai Prec Ind Co Ltd Switch
CN2665898Y (zh) * 2003-12-10 2004-12-22 新巨企业股份有限公司 多方向切换开关
JP2005243546A (ja) * 2004-02-27 2005-09-08 Mitsumi Electric Co Ltd 多段操作型スイッチ装置
JP4338722B2 (ja) * 2006-08-28 2009-10-07 ホシデン株式会社 入力装置
CN200983326Y (zh) * 2006-11-24 2007-11-28 华晶科技股份有限公司 旋转开关
JP4315983B2 (ja) * 2007-01-19 2009-08-19 ホシデン株式会社 複合スイッチ
US7572991B2 (en) * 2007-02-26 2009-08-11 Inventec Corporation Knob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01341A2 (en) 2009-09-16
JP2009224127A (ja) 2009-10-01
KR101549705B1 (ko) 2015-09-02
EP2101341A3 (en) 2013-01-09
US20090229963A1 (en) 2009-09-17
JP4521450B2 (ja) 2010-08-11
US7968808B2 (en) 2011-06-28
CN101533734A (zh) 2009-09-16
CA2651168C (en) 2015-03-24
CA2651168A1 (en) 2009-09-14
EP2101341B1 (en) 2014-07-16
TW200943351A (en) 2009-10-16
TWI428946B (zh) 2014-03-01
CN101533734B (zh)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8725A (ko)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JP2006260179A (ja) トラックボール装置
JP2004342496A (ja) スイッチ装置
JP6622628B2 (ja) 入力装置
JP5802078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16001557A (ja) 2段スイッチ装置
JP4531793B2 (ja) 複合操作型入力装置
US10283289B2 (en) Keyswitch structure
JPH0542580Y2 (ko)
JP5428890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KR101270478B1 (ko) 해저드 스위치 유니트
JP2022043622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RE50000E1 (en) Keyswitch structure
KR20020010553A (ko) 스위치 장치
KR200220854Y1 (ko) 항공기용 5방향 스위치
KR100377775B1 (ko) 항공기용 5방향 스위치
JP7383199B2 (ja) スイッチ装置
JP5722738B2 (ja) 多機能型電子部品
KR200319348Y1 (ko) 택트 스위치 구조
JP3198871U (ja) 対向接点スイッチ
JP4619879B2 (ja) 多方向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TWI312523B (en) Multi-directional switch
JP2008066218A (ja) レバースイッチ
JP2018125205A (ja) スイッチ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
JP2013171830A (ja) 接触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