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7775B1 - 항공기용 5방향 스위치 - Google Patents

항공기용 5방향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7775B1
KR100377775B1 KR10-2000-0056252A KR20000056252A KR100377775B1 KR 100377775 B1 KR100377775 B1 KR 100377775B1 KR 20000056252 A KR20000056252 A KR 20000056252A KR 100377775 B1 KR100377775 B1 KR 100377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ound generating
confirmation sound
terminal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4480A (ko
Inventor
이계광
이득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진테크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진테크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진테크윈
Priority to KR10-2000-0056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7775B1/ko
Publication of KR20020024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7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H01H2215/02Reversed do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3Sou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8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 H01H2221/012Joy stick type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등에 사용하는 고성능의 5방향 스위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접점을 갖되 그 접점과의 접촉이 확실하면서도 상기 다수의 접점에 접촉되었을때 그 접촉되었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5방향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의 상부 내측에는 사방으로 측방접촉확인음 발생편이 장착된 상부지지구가 형성되며, 몸체의 하부에는 공통단자의 일측이 지지되는 하부지지대가 횡설되며, 버튼의 중앙하부에는 하부기둥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기둥의 하부에는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 고착되는 가동축을 갖되 상기 가동축은 그 상부에 측방압압봉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 측방압압돌기와 하방으로 하방압압돌기가 형성되며, 몸체의 저면으로 삽설되는 접속단자는 그 상부 내측면에 측방접촉편이 설치되는 측방단자와 몸체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며 그 상면에 하방접촉확인음 발생편이 설치된 중앙단자로 이루어 지며,상기 버튼의 가동축은 바깥쪽으로 스프링이 설치되되 스프링의 하단은 공통단자에 의해 접촉지지되고 상단은 가동축의 상부에 형성된 스프링 지지턱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항공기용 5방향 스위치{A 5way-switch for a flying machine}
본 발명은 항공기등에 사용하는 고성능의 5방향 스위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접점을 갖되 그 접점과의 접촉이 확실하면서도 상기 다수의 접점에 접촉되었을때 그 접촉되었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5방향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접점 스위치는 기술상의 어려움 등으로 접촉성능이 뛰어나면서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스위치를 만들기가 곤란했으며, 특히 항공기와 같은 초정밀 접촉을 위한 스위치에 있어서는 그 성능향상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 5방향의 스위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내부 저면에 스위칭 신호의 출력을 위한 공통단자와 다수의 접속단자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되 상기 접속단자가네모서리부분과 중앙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공통단자와 접속된 상태로 존재하며 눌림 압력에 의해 접속단자와 공통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스위칭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다수의 접속판과 상기 접속판의 상측에서 각각의 접속판을 선택적으로 눌러주기 위한 콘택터와 ,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콘택터의 상측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된 조작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다접점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콘택터의 형상을 중앙 몸체의 상측으로 작동부를 돌출시키고, 몸체로 부터 사방으로 누름부를 형성하며, 상기 각각의 누름부저면과 중앙 몸체의 저면에 접속판을 눌러주기 위한 누름돌기를 형성하되, 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누름돌기를 다른 누름돌기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콘택터가 중앙 몸체를 중심으로 사방으로 시이소오 동작하도록 하며, 상기 커버의 구멍과 콘택터의 몸체사이에는 약간의 유격을 갖도록 하면서 몸체의 측면부를 곡면지게 형성하고, 케이스의 내벽면에는 케이스 내부에 안착되어지는 콘택터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스톱퍼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는 상기 콘택터의 몸체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누름돌기와 접촉되는 접속판은 다른 부위의 접속판보다 높은 누름압력에 의해 눌려지면서 공통단자와 접속단자가 접속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위치는 하방으로만 접속판을 눌러주게되며, 따라서 콘텍터의 팔은 수직으로 힘을 받게되며 다수의 접속판을 눌러주기 위해서는 콘텍터의 사방의 길이가 길어야 하므로 작용점까지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콘텍터의팔에는 매우 큰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어 오래 사용할 경우 접속판을 눌러주는 힘과 콘텍터에 작용하는 그 탄성력을 쉽게 잃게되어 정확한 접촉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게되며, 상기 접속판이 완전히 눌러져서 접속단자와 접촉되어야만 통전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접속판이 완전히 눌러지지 않으면 통전불가능하게 되어 안정된 접속을 유지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촉후에 원위치로 돌아오게 하는 힘을 접속판 자체의 복원력에만 의지하게 되므로 복원력이 약하며, 나중에는 복원불능이나 접촉불량의 문제가 생기기 쉽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위치는 접촉시에 작은 접속판을 누르는 미세한 소리만이 발생되어 접촉된 것을 확실히 느낄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없어서, 접촉이 되었는지를 스위치의 조작만으로는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상과 같은 문제점들로 인하여 항공기와 같은 정밀하고 정확한 조작을 요하는 곳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고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위치가 갖고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 확실한 저촉을 보장할 수 있는 고성능의 항공기용 5방향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위치를 조작할 때 버튼을 누르는 것 만으로도 그 접촉여부를 확실히 감지할 수 있는 항공기용 5방향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은 측방단자에 설치되는 측방접촉편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측방접촉편을 압압하는 측방압압돌기를 하부에 갖고 상부에는 측방접촉확인음 발생편을 압압하는 측방압압봉을 갖는 가동축을 구비하고 측방단자에 스프링 탄지 설치되는 측방접촉편과 측방접촉확인음 발생편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바, 이하에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체 외부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저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전체 내부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의 측방접촉확인음 발생편의 설치된 단면상태도.
도5는 도4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측방접촉확인음 발생편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7은 도6의 설치 사시도.
도8은 도6의 작동 상태도.
도9는 본 발명의 하방접촉확인음 발생편의 작동상태도.
도10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몸체 2: 버튼
4: 하부기둥 5: 연결부재
6: 만곡부 7: 상부지지구
8: 하부지지대 20: 가동축
21: 측방압압봉 22: 스프링 지지턱
23: 스프링 24: 측방압압돌기
25: 하방압압돌기 30: 공통단자
31: 중앙단자 32: 측방단자
35: 이탈방지턱 40: 측방접촉편
41: 연결봉
44: 평면부
45: 하방접촉확인음 발생편 51,51´: 측방접촉확인음 발생편
도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외부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에 덮개형으로 된 버튼(2)을 갖고 그 하부에 중공의 몸체(1)를 갖으며, 몸체 하단부에 다수의 접속단자(30,31,32)를 갖는 구조(도2참조)를 취하며, 상기 버튼의 상부는 버튼 돌기를 형성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내부 구조를 보여준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1)의 상부 내측에는 수평의 사방으로 측방접촉확인음 발생편(51)이 장착된 상부지지구(7)가 형성되며, 몸체(1)의 하부에는 공통단자(30)의 일측이 지지되는 하부지지대(8)가 횡설되며, 버튼(2)의 중앙하부에는 하부기둥(4)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기둥의 하부에는 연결부재(5)에 의해 연결 고착되는 가동축(20)을 갖되 상기 가동축은 그 상부의 사방 측면에 측방압압봉(21)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수평의 사방으로 측방압압돌기(24)와 하방으로 하방압압돌기(25)가 형성되며, 몸체의 저면으로 삽설되는 접속단자는 그 상부 내측면에 측방접촉편(40)이 설치되는 측방단자(32)와 몸체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며 그 상면에 하방접촉확인음 발생편(45)이 설치된 중앙단자(31)로 이루어 지며,상기 버튼(2)의 가동축(20)은 바깥쪽으로 스프링(23)이 설치되되 스프링의 하단은 공통단자(30)에 의해 접촉지지되고 상단은 가동축의 상부에 형성된 스프링 지지턱(22)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튼(2)의 하부기둥(4)과 연결부재(5) 및 가동축(20)은 서로 고착되어 일체로 움직이도록 한다. 상기 하부지지대(8)와 공통단자(30)의 스프링 지지부에는 가동축(20)의 하부가 통과될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부재(5)의 중앙 외측은 둥글게 형성된 만곡부(6)를 형성하여 버튼의 조작을 부드럽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만곡부(6)의 하단은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향턱(6´)을 형성하며, 상부지지구(7)의 상부 내측면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향턱(6´)을 하방으로 지지하는 하향턱(71)을 형성한다.
즉 상기 연결부재(5)의 상향턱(6´)과 상부지지구(7)의 하향턱(71)이 서로 마주하여 걸리며 서로 지지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측방접촉편(40)은 가동축 하부의 측방압압돌기(24)가 접촉되는 측방접촉편(40)의 접촉면의 뒷면에 연결봉(41)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봉(41)이 측방단자(32)의 상부에 미끄럼 관통삽입되되 상기 측방단자(32)와 측방접촉편(40)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00)에 의해 탄지된다.
상기 중앙단자(31)의 상부에는 하방접촉확인음 발생편(45)의 주위에 하방압압돌기(2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3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는 상기 측방접촉확인음 발생편의 상태와 그 설치된 단면의 상태를 보여주며, 도5는 도4의 설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측방접촉확인음 발생편(51)은 탄성력을 갖는 평판의 중앙을 볼록하게 돌출시켜 돌출부(42)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가 측방압압봉(21)이 누르는 외압에 의해 탄성적으로 안쪽으로 절곡되면서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형성한 것이다.
상기 측방접촉확인음 발생편은 상부지지구(7)의 내면에 홈을 형성하여 상기 홈에 측방접촉확인음 발생편의 가장자리를 삽입하여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방접촉확인음 발생편(45)의 형상 또한 상기 측방접촉확인음 발생편과 동일하며, 중앙단자(31)의 상면에 설치하게 된다.
도6은 측방접촉확인음 발생편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력을 갖는 긴 평판을 반으로 절곡하여 절곡된 일측은 단면이 반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만곡된 돌출부(43)를 가로로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에 연하여 평면부(44)를 갖도록 형성하며, 절곡된 타측은 평판으로 하여 삽입부(46)를 이루도록 한다.
도7은 도6의 측방접촉확인음 발생편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8은 그 작동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측방접촉확인음 발생편의 삽입부(46)를 상부지지구(7)의 삽입홈(72)으로 삽입하여 장착하게 된다. 상부지지구(7)의 삽입홈(72)의 외부로 노출된 돌출부(43)를 갖는 부분은 상부지지구의 내벽면과 일정각도록 갖도록 벌어져서 설치되며, 도8의 가상선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측방압압봉(21)이 상기 돌출부(43)를 누르게 되면 상기 측방압압봉(21)이 상기 돌출부(43)의 표면을 밀면서 그 표면을 타고 미끄러져서 평면부(44)에 순간적으로 부딛히면서 소리를 발생시키며, 동시에 그 탄력으로 강한 촉감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조작자가 용이하게 접촉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버튼(2)을 중앙 하방으로 누르면 상기 버튼의 중앙 하부에 고착되어 있는 상기 버튼과 일체로 움직이게 되는 가동축(20)이 하방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때 가동축의 하단에 형성된 하방접촉확인음 발생편을 압압하기 위한 하방압압돌기(25)가 하강하여 중앙단자의 상부에 설치된 하방접촉확인음 발생편(45)을 눌러주게 되며, 이는 도9에서 잘 살펴볼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하방접촉확인음 발생편(45)이 눌려지게 되면 상기 하방접촉확인음 발생편의 돌출부가 돌출된 반대편으로 눌려지면서 소리를 발생시키게 되며, 상기 돌출부에 하방압압돌기( 25)가 접촉되기만 하여도 공통단자(30)와 중앙단자(31)는 통전되게 된다.
그 이유는 공통단자(30)는 그 일측면에 스프링(23)의 하단이 접촉되어있고 그 스프링의 타단은 가동축(20)의 스프링 지지턱(22)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프링(23)을 통하여 공통단자(30)와 가동축(20)은 항상 통전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버튼(2)과 가동축(20)은 일체로 함께 움직이게 된다. 상기 버튼의 왼쪽을 누르면 상기 도면과 같이 가동축은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가동축의 오른쪽 상부 및 하부의 측방압압봉(21) 및 측방압압돌기(24)가 각각 측방접촉확인음 발생편(51)과 측방 접촉편(40)을 압압하게 되며, 상기 측방접촉확인음 발생편(51)에서는 돌출부가 탄성적으로 휘어져 들어가면서 “딸깍”하는 소리를 발생시키게 되며, 측방 접촉편(40)은 공통단자(30)와 통전되어 있는 가동축의 측방압압돌기(24)와 접촉되면서 마찬가지로 소리를 발생시키면서 공통단자와 통전되며, 이에따라 상기 접촉편과 통전되어있는 측방단자(32)가 공통단자(30)와 통전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측방 접촉편(40)은 스프링(100)에 의하여 탄지되므로 상기 측방접촉편(40)은 이를 가동축의 측방압압돌기(24)가 압압하는 힘과 상기 스프링(100)에 의하여 이와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모두 받음으로 마주보는 두 힘의 작용에 의하여 매우 확실한 접촉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게 된다.
또한 두힘이 서로 같은 작용선상에서 마주치므로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게되어 접촉부의 변형이 최소화 되게된다.
상기 측방압압봉(21)과 측방압압돌기(24)은 모두 동일한 축선상에 위치하며 일체로 움직이게 되므로 측방접촉편이 접촉되게 되면 그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측방접촉확인음 발생편(51) 또한 돌출부가 눌려져서 소리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측방접촉확인음 발생편은 회전축으로 부터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게 되므로 큰 압압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그 크기를 일정정도 이상으로 할 수 있으므로 그 발생되는 소리의 크기를 충분한 음량으로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동 원리에 의하여 상기 가동축의 상부와 하부가 이동하는 거리의 차이를 계산하여 측방접촉확인음 발생편(51)과 측방압압봉(21)과의 간격과, 측방접촉편(40)과 측방압압돌기(24)와의 간격을 적절하게 정함으로써, 어느정도 이상의 측방접촉편과의 접촉압 상태에서만 측방접촉확인음 발생편이 확인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축(20)은 버튼을 누르는 외부의 힘을 제거하면 가동축(20)의 바깥쪽에 설치된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하여 신속히 원위치로 되돌아 오게 되며 순간적으로 단락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 정확도가 매우 뛰어나며, 오차한계가 매우 작으므로 항공기와 같은 높은 정밀도와 내구성을 요하는 기기에 사용이 적합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측방단자 및 중앙단자와 확실하게 접촉된 상태에가 되면 측방접촉확인음 발생편과 하방접촉확인음 발생편의 작용에 의하여 접촉을 확인할 수 있는 소리를 발생하게 되어 조작자가 접촉사실을 쉽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정밀성과 안정성을 요하는 곳, 특히 항공기와 같은 정밀기기에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100)에 의하여 탄지되는 측방 접촉편을 갖으므로 접촉효과가 확실하며, 접촉편의 동일한 작용선상에 스프링(100)의 탄성 복원력과 측방압압돌기(24)의 압력이 서로 작용하므로 말단부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없어서 내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접촉력 또한 뛰어나다는 장점을 갖게된다.
본 발명은 자체의 특이한 구조가 갖는 효과로 인하여 항공기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만 항공기 외에 다른 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며, 특히 정밀성을 요하는 곳에 사용함으로써 그 진가를 더욱 확실히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삭제
  2. 상부에 덮개형으로 된 버튼(2)을 갖고 그 하부에 중공의 몸체(1)를 갖지며, 몸체 하단부에 다수의 접속단자를 갖되,
    몸체(1)의 상부 내측에는 수평의 사방으로 측방접촉확인음 발생편(51)이 장착된 상부지지구(7)가 형성되며, 몸체(1)의 하부에는 공통단자(30)의 일측이 지지되는 하부지지대(8)가 횡설되며, 버튼(2)의 중앙하부에는 하부기둥(4)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기둥의 하부에는 연결부재(5)에 의해 연결 고착되는 가동축(20)을 갖되 상기 가동축은 그 상부의 측면에 측방압압봉(21)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사방으로 측방압압돌기(24)와 하방으로 하방압압돌기(25)가 형성되며, 몸체의 저면으로 삽설되는 접속단자는 그 상부 내측면에 측방접촉편(40)이 설치되는 측방단자(32)와 몸체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며 그 상면에 하방접촉확인음 발생편(45)이 설치된 중앙단자(31)로 이루어 지며,상기 버튼(2)의 가동축(20)은 바깥쪽으로 스프링(23)이 설치되되 스프링의 하단은 공통단자(30)에 의해 접촉지지되고 상단은 가동축의 상부에 형성된 스프링 지지턱(22)에 의해 지지되는 항공기용 5방향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측방접촉편(40)은 가동축 하부의 측방압압돌기(24)가 접촉되는 측방접촉편(40)의 접촉면의 뒷면에 연결봉(41)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봉(41)이 측방단자(32)의 상부에 미끄럼 관통삽입되되 상기 측방단자(32)와 측방접촉편(40)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00)에 의해 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5방향 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측방접촉확인음 발생편(51)과 하방접촉확인음 발생편(45)은 탄성력을 갖는 평판의 중앙을 볼록하게 돌출시켜 돌출부(42)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가 측방압압봉(21)이 누르는 외압에 의해 탄성적으로 안쪽으로 절곡되면서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5방향 스위치.
  4. 제2항에 있어서;
    측방접촉확인음 발생편(51)과 하방접촉확인음 발생편(45)은 탄성력을 갖는 평판의 중앙을 볼록하게 돌출시켜 돌출부(42)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가 측방압압봉(21)이 누르는 외압에 의해 탄성적으로 안쪽으로 절곡되면서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5방향 스위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5)의 중앙 외측은 둥글게 형성된 만곡부(6)를 형성하며, 만곡부(6)의 하단은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향턱(6´)을 형성하며, 상부지지구(7)의 상부 내측면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향턱(6´)을 하방으로 지지하는 하향턱(7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5방향 스위치.
  6. 제2항에 있어서;
    측방접촉확인음 발생편(51)과 하방접촉확인음 발생편(45)은 탄성력을 갖는 긴 평판을 반으로 절곡하여 절곡된 일측은 단면이 반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만곡된 돌출부(43)를 가로로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에 연하여 평면부(44)를 갖도록 형성하며, 절곡된 타측은 평판으로 하여 삽입부(46)를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5방향 스위치.
  7. 제5항에 있어서;
    측방접촉확인음 발생편(51)과 하방접촉확인음 발생편(45)은 탄성력을 갖는 긴 평판을 반으로 절곡하여 절곡된 일측은 단면이 반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만곡된 돌출부(43)를 가로로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에 연하여 평면부(44)를 갖도록 형성하며, 절곡된 타측은 평판으로 하여 삽입부(46)를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5방향 스위치.
KR10-2000-0056252A 2000-09-25 2000-09-25 항공기용 5방향 스위치 KR100377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252A KR100377775B1 (ko) 2000-09-25 2000-09-25 항공기용 5방향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252A KR100377775B1 (ko) 2000-09-25 2000-09-25 항공기용 5방향 스위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861U Division KR200220854Y1 (ko) 2000-09-25 2000-09-25 항공기용 5방향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480A KR20020024480A (ko) 2002-03-30
KR100377775B1 true KR100377775B1 (ko) 2003-03-29

Family

ID=1969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252A KR100377775B1 (ko) 2000-09-25 2000-09-25 항공기용 5방향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777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480A (ko) 200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8966B1 (en) Lever switch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A2651168C (en) Compound operation input device
US3940578A (en) Keyboard structure having panel mounted key actuators with electrical component operating element
US20040240162A1 (en) Housing of electronic device with a side key assembly
WO1999004405A1 (en) Housing and actuator button assembly
CN212277074U (zh) 多方向输入装置、手柄及游戏机
CN212277075U (zh) 多方向输入装置、手柄及游戏机
CN111668056A (zh) 多方向输入装置、手柄及游戏机
CN111668057A (zh) 多方向输入装置、手柄及游戏机
CN111669890A (zh) 电路板、多方向输入装置、手柄及游戏机
KR100377775B1 (ko) 항공기용 5방향 스위치
JP3816664B2 (ja) 多方向スイッチおよびこの多方向スイッチを用いた電子機器
KR200220854Y1 (ko) 항공기용 5방향 스위치
KR20000062624A (ko) 푸시 스위치
KR20070047688A (ko) 슬라이드조작식 스위치
JPH0340320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用の接点薄膜
JP2000188037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CN216133770U (zh) 一种球形凸台触点微动开关
JP2901094B2 (ja) 電気押ボタンスイッチ、特に自動車用危険監視信号スイッチ
CN213031842U (zh) 多方向输入装置、手柄及游戏机
JPH0621150Y2 (ja) 多連スイツチ用ミユ−テイングスイツチ
CN211788756U (zh) 一种机械键盘
CN213070961U (zh) 一种气溶胶发生器的按键安装结构及气溶胶发生器
JPH0528666Y2 (ko)
JPS621330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4 Change of applicant [paten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