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2624A - 푸시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2624A
KR20000062624A KR1020000009128A KR20000009128A KR20000062624A KR 20000062624 A KR20000062624 A KR 20000062624A KR 1020000009128 A KR1020000009128 A KR 1020000009128A KR 20000009128 A KR20000009128 A KR 20000009128A KR 20000062624 A KR20000062624 A KR 20000062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stem
contact
housing
contac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9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3467B1 (ko
Inventor
하야까와가즈끼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20000062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4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7/00Connections
    • H01H2207/032Surface mounted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H01H2215/006Only mechanical function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가동접점의 접촉편과 접속부와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어, 안정된 클릭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가동접점 전체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또, 러버스프링과의 조작시에 있어서의 금속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가동접점의 구조를 제공한다. 상자형상의 하우징 (1) 과, 이 하우징 (1) 내에 고착된 1 쌍의 고정단자 (2) 와, 상기 하우징 (1) 의 내측면에 접동가능하게 지지된 스템 (5) 과, 이 스템 (5) 의 이동과 연동하여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단자 (2) 상에 배치된 가동접점 (3) 과, 이 가동접점 (3) 과 상기 스템 (5)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템 (5) 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가동접점 (3) 을 상기 고정단자 (2) 에 접속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템 (5) 을 복귀시키는 러버스프링 (4) 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접점 (3) 은, 외측에 형성된 쐐기부 (3a) 와, 이 쐐기부 (3a) 에 연달아 설치된 접속부 (3c) 와, 이 접속부 (3c) 를 통하여 상기 쐐기부 (3a) 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된 접촉편 (3d)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접점 (3) 에 설치된 상기 접촉편 (3d) 은, 상기 접속부 (3c) 의 연달아 설치된 방향의 길이가, 상기 접속부 (3c) 의 연달아 설치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아지도록 형성했다.

Description

푸시 스위치 {PUSH SWITCH}
본 발명은 각종 전자기기의 조작용 스위치로 사용되는 푸시 스위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우징내에 고착된 고정단자상에 배치되는 가동접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푸시 스위치의 가동접점의 구조로서는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낸 것이 있다. 도 11 은 가동접점의 평면도, 도 12 는 가동접점의 정면도이다.
가동접점 (13) 은, 탄성이 있는 인 청동판 또는 스테인레스 강판 등으로 형성되고, 외형이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측에는 링형상의 쐐기부 (13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쐐기부 (13a) 의 중앙부에는, 원호형상의 구멍 (13b) 이 형성되고, 이 구멍 (13b) 의 중앙부에는, 상기 쐐기부 (13a) 에 그 일단이 접속부 (13c) 에 의해 접속되고, 그 타단이 일체적으로 잘라세워져, 그 선단측이 약간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각도를 갖고 굴곡된 접촉편 (13d)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편 (13d) 은, 상기 접속부 (13c) 를 통하여 상기 쐐기부 (13a) 에 요동가능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접촉편 (13d) 은, 그 형상이 원형으로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원형의 접촉편 (13d) 을 따른 형태로 상기 원호형상의 구멍 (13b) 이 형성되며, 또한 그 외측에 이 원호형상의 구멍 (13b) 을 따라 상기 링형상의 쐐기부 (13a) 가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가동접점 (13) 을 푸시 스위치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이미 공지인 하우징내의 내저부에 고착된 고정단자상으로, 상기 가동접점 (13) 을 배치하고, 또한 도시하지 않은 이것도 이미 공지의 러버스프링 및 스템을 장착함으로써 기존의 푸시 스위치가 완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푸시 스위치의 가동접점의 구조에 있어서는, 가동접점 (13) 에 설치된 접촉편 (13d) 의 형상은, 가로 세로의 치수가 동일하고,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여 대향배치되어 있는 고정단자의, 배열방향의 1 쌍의 접점부의 길이에 대응하여 원형치수를 설정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 때문에 접촉편 (13d) 의 외형이 커져, 가동접점 (13) 이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가동접점 (13) 에 설치된 접촉편 (13d) 은,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 가동접점 (13) 에 맞닿아, 접촉편 (13d) 을 고정단자의 접점부에 접속분리시키는 러버스프링의 맞닿음부도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러버스프링과 접촉편이 서로 접착하여, 조작시에 있어서, 접착, 어긋남에 의한 금속음이 발생하여 조작성이 나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가동접점의 접촉편과 접속부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어, 안정된 클릭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가동접점 전체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또, 러버스프링과의 조작시에 있어서의 금속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가동접점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푸시 스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푸시 스위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도 1 에 있어서의 3-3 선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도 1 에 있어서의 4-4 선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도 4 의 초기상태로부터 스템을 이동시켜 러버스프링이 굴곡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하우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가동접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가동접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스템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도 9 에 있어서의 10-10 선의 단면도이다.
도 11 은 종래의 푸시 스위치의 하우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 는 종래의 푸시 스위치의 가동접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a : 걸림 홈부
1b : 접동면부 2 : 고정단자
2a : 구부림부 2b : 기초부
2c : 단자부 2d : 접점부
3 : 가동접점 3a : 쐐기부
3b : 구멍 3c : 접속부
3d : 접촉편 3e : 돌기부
4 : 러버 스프링 4a : 스커트부
4b : 작동부 4c : 작동 돌기부
4d : 굴곡부 5 : 스템
5a : 누름부 5b : 누름 돌기부
5c : 걸림 돌기부 5d : 후크부
5e : 릴리프부 5f : 다리부
5g : 접동면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 1 수단으로서, 상자형상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에 고착된 1 쌍의 고정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동가능하게 지지된 스템과, 이 스템의 이동과 연동하여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단자 상에 배치된 가동접점과, 이 가동접점과 상기 스템간에 배치되어, 상기 스템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고정단자에 접속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템을 복귀시키는 러버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접점은, 외측에 형성된 쐐기부와, 이 쐐기부에 연달아 설치된 접속부와, 이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쐐기부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된 접촉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접점에 설치된 상기 접촉편은, 상기 접속부의 연달아 설치되는 방향의 길이가, 상기 접속부의 연달아 설치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2 수단으로서, 상기 가동접점은, 탄성이 있는 금속판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쐐기부의 중앙부에는 원호형상의 구멍을 설치하고, 이 구멍의 중앙부에는,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금속판 상에 일체적으로 잘라세운 상기 접촉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3 수단으로서, 상기 가동접점의 상기 접촉편은, 형상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4 수단으로서, 상기 가동접점의 상기 접촉편에는, 상기 러버스프링과 대향하는 면에 맞닿음용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0 에 나타낸다. 도 1 은 푸시 스위치의 평면도, 도 2 는 푸시 스위치의 정면도, 도 3 은 도 1 에 있어서의 3-3 선의 단면도, 도 4 는 도 1 에 있어서의 4-4 선의 단면도, 도 5 는 도 4 의 초기상태로부터 스템을 이동시켜 러버스프링이 굴곡된 상태의 설명도, 도 6 은 하우징의 평면도, 도 7 은 가동접점의 평면도, 도 8 은 가동접점의 정면도, 도 9 는 스템의 저면도, 도 10 은 도 9 에 있어서의 10-10 선의 단면도이다.
하우징 (1) 은, 합성수지 등의 성형재로 형성되고, 바닥이 있고 상면이 개구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우징 (1) 의 내저부에는, 황동 등의 도전성의 금속재로 형성된 고정단자 (2) 가, 인서트성형 등의 방법으로 상기 하우징 (1) 에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배치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고정단자 (2) 는, 상기 하우징 (1) 의 내저부에 매설되고, 그 매설부분의 도중에는 복수의 구부림부 (2a) 가 형성된 기초부 (2b) 와, 이 기초부 (2b) 와 일체로, 상기 하우징 (1) 의 외방으로 연달아 설치된 단자부 (2c) 와, 상기 하우징 (1) 의 내저면에 표출되어,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여 배치된 1 쌍의 접점부 (2d) 가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1 쌍의 접점부 (2d) 는, 상기 기초부 (2b) 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는 선 상에, 굴곡되어 대향하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접점부 (2d) 는, 상기 기초부 (2b) 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치수가, 상기 기초부 (2b) 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치수보다도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점부 (2d) 는, 상기 기초부 (2b) 의 배열방향의 중심선 (L) 과 직교하는 선 상에 있어서, 상기 중심선 (L) 을 사이에 두고 각각 서로 반대측으로 어긋나 대향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접점부 (2d) 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하우징 (1) 내의 고정단자 (2) 의 배열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하우징 (1) 의 외방으로 연달아 설치된 단자부 (2c) 는, 상기 기초부 (2b) 에 상기 하우징 (1) 의 내저부에서 복수의 구부림부 (2a) 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하우징 (1) 의 저면과 일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단자부 (2c) 의 선단은, 상기 하우징 (1) 의 외측면을 따르도록 구부러진 J 벤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단자부 (2c) 의 선단이 J 벤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 (1) 을 사용한 푸시 스위치의 회로기판상으로의 표면실장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 경우, 상기 1 쌍의 접점부 (2d) 는, 상기 기초부 (2b) 가 복수의 구부림부 (2a) 의 가공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방향, 즉, 상기 기초부 (2b) 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는 선상에 대향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 (1) 내에 복수의 구부림부 (2a) 가 형성되어 있어도, 이 구부림부 (2a) 의 가공의 불균일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접점간의 간극을 최소로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어, 나아가서는 상기 하우징 (1) 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 상기 하우징 (1) 의 대향하는 1 쌍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스템의 후크부에 설치된 걸림 돌기부가 걸어맞춰지는 걸림 홈부 (1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홈부 (1a) 를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스템의 이동시 및 복귀시에, 이 스템을 상기 하우징 (1) 내에 안내시키고, 또한 위치규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하우징 (1) 의 직사각형상의 내측면의 네 모서리부에는, 평면형상의 접동면부 (1b) 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스템의 접동면부와 접동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1) 의 내측면의 네 모서리부에 상기 접동면부 (1b) 를 형성함으로써, 스템의 모서리를 경사지게 누른 경우에서도, 안정된 스템의 접동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조작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1) 에 형성된 접동면부 (1b) 는 평면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원호면형상이어도 된다.
가동접점 (3) 은, 탄성이 있는 인 청동판 또는 스테인레스 강판 등으로 형성되고, 외형이 대략 원형이고, 그 외측에는 링형상의 쐐기부 (3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쐐기부 (3a) 의 중앙부에는, 원호형상의 구멍 (3b) 이 형성되고, 이 구멍 (3b) 의 중앙부에는, 상기 쐐기부 (3a) 에 그 일단이 접속부 (3c) 에 의해 접속되고, 그 타단이 일체적으로 잘라세워진 접촉편 (3d)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편 (3d) 은, 상기 접속부 (3c) 를 통하여 상기 쐐기부 (3a) 에 요동가능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측은 약간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각도를 갖고 굴곡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접촉편 (3d) 은, 그 형상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타원형상의 길이방향이, 상기 1 쌍의 고정단자 (2) 의 상기 접점부 (2d) 의 배치방향과 동일 선상이 되도록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접촉편 (3d) 을 타원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접속부 (3c) 의 길이 (가동 스판) 를 길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접촉편 (3d) 의 접촉 탄성 하중의 설계에 자유도가 확대되어, 안정된 클릭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가동접점 (3) 전체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접촉편 (3d) 에는, 후술하는 러버스프링과 대향하는 면, 즉, 잘라세워져 경사져 굴곡된 상측면에, 이 러버스프링과 맞닿는 맞닿음용의 돌기부 (3e)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 (3e) 는 1개만이 아니라, 복수개 형성할 수 있고, 그 형상도 1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호형상 또는 원고리형상 등의 여러가지 형상의 돌기의 형성이 가능하다. 이 돌기부 (3e) 를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러버 스프링과 상기 접촉편 (3d) 과의 접착이 방지되어, 조작시에 있어서 서로가 어긋날 때의 금속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접촉편 (3d) 의 대략 중앙부가 눌리기 때문에 접촉이 안정적이다.
러버스프링 (4) 은, 가요성이 있는 엘라스토머 또는 실리콘고무 등으로 형성되고, 외형이 하면개구형상의 돔형상으로, 후술하는 스템의 이동 및 복귀시에 굴곡되어 탄성력이 부여되는 스커트부 (4a) 와, 이 스커트부 (4a) 의 상부에 형성된 작동부 (4b) 로 이루어져 있다. 이 작동부 (4b) 의 하면측에는 작동 돌기부 (4c) 가 형성되고, 이 작동 돌기부 (4c) 의 선단이 상기 가동접점 (3) 의 접촉편 (3d) 에 형성된 돌기부 (3e) 와 맞닿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접점 (3) 은 탄성이 있는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단자 (2) 와 러버스프링 (4) 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이미 공지인 카본잉크접점 등을, 상기 러버스프링 (4) 의 작동 돌기부 (4c) 의 하단면에 일체로 형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가동접점 (3) 이 필요없게 되어 부품점수가 삭감된다.
스템 (5) 은, 합성수지 등의 성형재로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상면부는, 사람의 손가락 등으로 조작되는 평면형상의 누름부 (5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누름부 (5a) 에 대향하는 하면측에는, 상기 러버스프링 (4) 의 작동부 (4b) 상면에 맞닿아, 상기 러버스프링 (4) 을 상기 가동접점 (3) 측으로 굴곡시키는, 하면측으로 돌출된 누름 돌기부 (5b)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스템 (5) 의 대향하는 1 쌍의 측면부에는, 상기 하우징 (1) 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 홈부 (1a) 에 걸어맞춰져, 상기 스템 (5) 의 이동시 및 복귀시에, 상기 스템 (5) 을 상기 하우징 (1) 내에 위치규제시키는 걸림 돌기부 (5c) 를 갖는 1 쌍의 후크부 (5d)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후크부 (5d) 의 내측, 즉, 상기 러버스프링 (4) 의 스커트부 (4a) 와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스커트부 (4a) 가 눌린 때에 굴곡하는 굴곡부 (4d) 를 받아들이는, 상기 스커트부 (4a) 의 외형을 따라 원호형상으로 오목한 릴리프부 (5e)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릴리프부 (5e) 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스템 (5) 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 이 릴리프부 (5e) 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후크부 (5d) 는, 상기 후크부 (5d) 가 연달아 설치된 방향의 중앙부의 두께, 즉, 상기 릴리프부 (5e) 의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상기 후크부 (5d) 의 강도가 저하되게 되는데, 상기 릴리프부 (5e) 에 대하여 양측부의 두께는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양측부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후크부 (5d) 의 릴리프부 (5e) 가 얇게 형성되어 있어도, 상기 후크부 (5e) 전체의 구부림강도가 확보되고, 또한 상기 후크부 (5d) 전체를 크게 (두껍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스템 (5) 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릴리프부 (5e) 는 상기 러버스프링 (4) 의 스커트부 (4a) 의 외형을 따른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릴리프부 (5e) 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스커트부 (4a) 의 굴곡부 (4d) 를 받아들일 수 있는 형상, 예를 들면 각형상의 오목부로 하여도 된다.
또, 상기 스템 (5) 의 직사각형상의 네 모서리부에는, 상기 하우징 (1) 의 내저면측에 신장되는 다리부 (5f)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다리부 (5f) 의 외방의 모서리부에는, 면취가공한 평면형상의 접동면부 (5g) 가 형성되고, 이 다리부 (5f) 의 접동면부 (5g) 가, 상기 하우징 (1) 의 내측면의 네 모서리부에 형성된 접동면부 (1b) 와 접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템 (5) 의 직사각형상의 네 모서리부에, 상기 다리부 (5f) 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우징 (1) 내측면과 상기 스템 (5) 외측면과의 접동이 안정되어, 상기 하우징 (1) 내에서의 상기 스템 (5) 의 접동이 확실한 것으로 된다.
또, 상기 스템 (5) 의 다리부 (5f) 의 외방의 모서리부에 상기 접동면부 (5g) 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스템 (5) 의 모서리를 경사지게 누른 경우에서도, 상기 하우징 (1) 의 내측면의 네 모서리부에 형성된 접동면부 (1b) 와 접동함으로써, 상기 스템 (5) 은 더욱 안정적으로 접동하는 것이 가능해져, 상기 스템 (5) 의 조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템 (5) 에 형성된 접동면부 (5g) 는 평면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원호면형상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가동접점은, 외측에 형성된 쐐기부와, 이 쐐기부에 접속부를 통하여 요동가능하게 설치된 접촉편을 구비하고, 접촉편의 접속부의 연달아 설치된 방향의 길이가, 접속부의 연달아 설치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접속부의 길이 (가동 스판) 를 길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편의 접촉 탄성 하중의 설계에 자유도가 넓어져, 안정된 접촉과 클릭을 얻을 수 있다. 또, 접촉편의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접점 전체의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또, 가동접점은, 탄성이 있는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쐐기부에 원호형상의 구멍을 형성하여, 구멍의 중앙부에 접속부를 통하여 금속판 상에 일체적으로 잘라세워진 접촉편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접점의 외형을 크게 하지 않아도 간이한 형상으로, 안정된 접촉이 가능한 가동접점을 얻을 수 있다.
또, 가동접점의 접촉편은, 형상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금형의 제작이 용이하여 부품의 가공성도 좋고, 1 쌍의 고정단자의 접점부에 대응하여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접점부의 접촉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가동접점의 접촉편에는, 러버스프링과 대향하는 면에 맞닿음용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러버스프링과 접촉편과의 접착이 방지되어, 조작시의 접착, 어긋남에 의한 금속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 접촉편의 대략 중앙부가 눌림으로써, 안정된 접촉을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상자형상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에 고착된 1 쌍의 고정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동가능하게 지지된 스템과, 이 스템의 이동과 연동하여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단자 상에 배치된 가동접점과, 이 가동접점과 상기 스템간에 배치되어, 상기 스템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고정단자에 접속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템을 복귀시키는 러버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접점은, 외측에 형성된 쐐기부와, 이 쐐기부에 연달아 설치된 접속부와, 이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쐐기부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된 접촉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접점에 설치된 상기 접촉편은, 상기 접속부의 연달아 설치되는 방향의 길이가, 상기 접속부의 연달아 설치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은, 탄성이 있는 금속판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쐐기부의 중앙부에는 원호형상의 구멍을 설치하고, 이 구멍의 중앙부에는,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금속판 상에 일체적으로 잘라세운 상기 접촉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의 상기 접촉편은, 형상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의 상기 접촉편에는, 상기 러버스프링과 대향하는 면에 맞닿음용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KR1020000009128A 1999-03-11 2000-02-24 푸시 스위치 KR1003634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6559799A JP3526775B2 (ja) 1999-03-11 1999-03-11 プッシュスイッチ
JP99-065597 1999-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624A true KR20000062624A (ko) 2000-10-25
KR100363467B1 KR100363467B1 (ko) 2002-11-30

Family

ID=13291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9128A KR100363467B1 (ko) 1999-03-11 2000-02-24 푸시 스위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037226B1 (ko)
JP (1) JP3526775B2 (ko)
KR (1) KR100363467B1 (ko)
CN (1) CN1129157C (ko)
DE (1) DE60020285T2 (ko)
TW (1) TW45421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194B1 (ko) * 2007-01-04 201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버튼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010878A1 (it) * 2001-09-14 2003-03-14 Bitron Spa Interruttore elettrico a lamina a doppio scatto.
FR2872335B1 (fr) * 2004-06-29 2006-08-18 Dav Sa Microcontacteur electrique pour carte a circuits et interrupteur electrique equipee d'un tel microcontacteur
CN101097811B (zh) * 2006-06-26 2013-05-08 华晶科技股份有限公司 金属圆盖开关
WO2008040132A1 (de) * 2006-10-03 2008-04-10 Abatek International Ag Taste für smt-anwendungen
JP5199937B2 (ja) * 2009-04-07 2013-05-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
CN106104670B (zh) * 2014-03-18 2019-11-12 O.M.B.吉他有限公司 地板效果单元
DE102014019248B4 (de) 2014-12-19 2017-05-11 Audi Ag Bedien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einen Personenkraftwagen
CN109671581B (zh) * 2018-01-03 2020-04-10 烟台玛格玛电子有限公司 键盘用金属弹片开关
TWI682412B (zh) 2018-11-05 2020-01-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按鈕模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4068B2 (ja) * 1996-09-17 2006-07-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194B1 (ko) * 2007-01-04 201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버튼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7071A (zh) 2000-09-20
TW454215B (en) 2001-09-11
EP1037226B1 (en) 2005-05-25
DE60020285T2 (de) 2005-11-24
JP2000260256A (ja) 2000-09-22
DE60020285D1 (de) 2005-06-30
EP1037226A2 (en) 2000-09-20
CN1129157C (zh) 2003-11-26
EP1037226A3 (en) 2001-08-29
JP3526775B2 (ja) 2004-05-17
KR100363467B1 (ko) 200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2066B2 (ja) スイッチ装置
US7258561B2 (en) Connector having a pivoting member with enhanced dust proofing
KR100715069B1 (ko) 푸시온 스위치, 그것을 장착한 전자기기 및 그 장착 방법
JP3794068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KR100363467B1 (ko) 푸시 스위치
US20040240162A1 (en) Housing of electronic device with a side key assembly
KR100363468B1 (ko) 푸시 스위치
JP4280761B2 (ja) 横押し型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0513871A (ja) スイッチならびにとくにスイッチに使用されるワイヤ接点
KR100331729B1 (ko) 푸시 스위치
JP2002170615A (ja) 電気接続用端子
JP3827467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100405994B1 (ko) 푸쉬버튼 스위치
KR100357926B1 (ko) 푸시 버튼 스위치와 그 제조방법
US20040238341A1 (en) Tact switch
JP2000100507A (ja) Fpc用コネクタ
JP4008648B2 (ja) 押釦スイッチ
JP2005340061A (ja) スライドスイッチ
JP4209222B2 (ja) 押釦スイッチ
JP2008059962A (ja) 横押し型プッシュスイッチ
KR930000696Y1 (ko) 푸시버튼 스위치의 접점판 구조
KR20040023497A (ko) 푸시버튼 스위치
KR200220854Y1 (ko) 항공기용 5방향 스위치
JP2008053067A (ja) 横押し型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1250451A (ja) 押釦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