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497A - 푸시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497A
KR20040023497A KR1020030052381A KR20030052381A KR20040023497A KR 20040023497 A KR20040023497 A KR 20040023497A KR 1020030052381 A KR1020030052381 A KR 1020030052381A KR 20030052381 A KR20030052381 A KR 20030052381A KR 20040023497 A KR20040023497 A KR 20040023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fixed contact
tongue piece
movable contact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2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3544B1 (ko
Inventor
하야까와가즈끼
하꼬자끼다께시
즈쯔미죠지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3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5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과제) 주변고정접점의 폭 치수를 작게 설정할 수 있고, 주변고정접점이 포함되는 접점부분의 설계 자유도를 크게 확보할 수 있는 푸시버튼 스위치의 제공.
(해결수단) 하우징(1)에 인서트 성형되는 주변고정접점(2), 중앙고정접점(3)과,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며, 베이스부(4a)와 설편(4b)을 갖는 가동접점판(4)과, 이 가동접점판(4)상에 배치되며, 설편(4b)을 중앙고정접점(3)에 접촉시키는 고무스프링(5)과, 이 고무스프링(5)을 가압조작하는 스템(6)을 구비함과 동시에, 가동접점판(4)의 베이스부에 구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주변고정접점(2)에 항상 접촉하는 볼록부(4c)를 형성하였다.

Description

푸시버튼 스위치 {PUSH BUTTON SWITCH}
본 발명은 각종 전자기기에 장착되며, 베이스부가 주변고정접점에 항상 접촉하는 가동접점판의 설편을, 고무스프링의 가압에 의해 중앙고정접점에 접촉시켜 스위칭을 행하는 1점 개폐접점방식의 푸시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종래기술로서 특허 제2839313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종래기술은 외각을 형성하는 스위치케이스 즉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바닥부 주변에 배치되며, 볼록부를 갖는 코먼고정접점 즉 주변고정접점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고정접점을 구비하고 있다. 주변고정접점과 중앙고정접점은 인서트 성형에 의해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에 수납되며,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주변고정접점에 항상 접촉하는 베이스부 및, 이 베이스부로부터 굽힘발생부를 통해 외팔보형으로 연이어 설치되며, 중앙고정접점과 접촉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설편을 갖는 가동접점판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에 수납되며, 다리부가 가동접점판의 상기 서술한 베이스부상에 배치되고, 가압력을 받아 상기 서술한 설편을 중앙고정접점에 접촉시키는 돔형 스프링체, 즉 고무스프링과, 이 고무스프링을 가압하는 푸시버튼 즉 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이 종래기술은 스템을 가압하면, 고무스프링이 휘어 가동접점판의 설편을 가압하고, 이 설편이 중앙고정접점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중앙고정접점과 주변고정접점이 가동접점판을 통해 도통하고, 폐, 즉 온이 된다.
스템에 가해져 있던 가압력을 제거하면, 고무스프링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고, 가동접점판의 설편에 가해져 있던 가압력이 제거되고, 설편이 자신이 보유하는 탄력에 의해 중앙고정접점으로부터 멀어져 중앙고정접점과 주변고정접점 사이가 차단되고, 개, 즉 오프가 된다.
상기 서술한 종래기술은 주변고정접점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이 볼록부를 통해 주변고정접점과 가동접점판의 베이스부 사이에 안정된 접촉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종래기술에서는 인서트 성형시에 주변고정접점의 볼록부에 수지가 피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볼록부에 적합한 형상의 오목부를 갖는 금형을 사용하여 그 오목부내에 주변고정접점의 볼록부를 수납시키고, 볼록부 이외의 주변고정접점 부분과 금형을 맞닿게 한 상태에서 인서트 성형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오목부를 형성하는 금형의 판두께에 관련된 치수만큼 주변고정접점의 폭 치수를 여분으로 고려해야 한다. 즉, 종래기술에서는 주변고정접점의 폭 치수가 커진다. 이 때문에, 전체 형상의 소형화에 제약을 받는 문제가 있다.
또, 하우징내에 있어서의 주변고정접점의 배치 관계로부터, 상기 서술한 볼록부를 형성하는 위치가 특정위치로 한정된다. 또, 가동접점판과의 접촉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하기 위해, 주변고정접점의 볼록부를 다수 개소에 형성하고자 하면, 주변고정접점의 형상 및, 볼록부에 적합한 오목부의 금형의 형상이 복잡한 것이 된다. 따라서, 주변고정접점에 형성하는 볼록부의 수도 한정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주변고정접점이 포함되는 접점부분의 설계의 자유도에 제약을 받고 있고, 이 때문에 정밀도가 높은 스위칭 성능을 얻는 것이 어려워 신뢰성이 높은 스위치 구조로 하는 것이 곤란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종래기술에서의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주변고정접점의 폭 치수를 작게 설정할 수 있고, 주변고정접점이 포함되는 접점부분의 설계의 자유도를 크게 확보할 수 있는 푸시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푸시버튼 스위치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일 실시 형태에 구비되는 가동접점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C-C 단면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일 실시 형태에 구비되며, 고정접점이 인서트 성형된 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2 : 주변고정접점
3 : 중앙고정접점4 : 가동접점판
4a : 베이스부4b : 설편
4c : 볼록부4d : 볼록부
4e : 볼록부4f : 굽힘발생부
5 : 고무스프링5a : 다리부
5b : 가압부6 : 스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각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바닥부 주변에 배치되는 주변고정접점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고정접점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며,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변고정접점에 항상 접촉하는 베이스부 및, 이 베이스부로부터 굽힘발생부를 통해 외팔보형으로 연이어 설치되며, 상기 중앙고정접점과 접촉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설편을 갖는 가동접점판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며, 다리부가 상기 가동접점판의 상기 베이스부상에 탑재되고, 가압력을 받아 상기 설편을 상기 중앙고정접점에 접촉시키는 고무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고무스프링을 가압조작하는 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가동접점판의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주변고정접점에 접촉하는 볼록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가동접점판의 베이스부에 형성한 볼록부를 통해 이 가동접점판의 베이스부를 주변고정접점에 항상 접촉시킬 수 있다. 즉, 가동접점판의 베이스부와 주변고정접점을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 가동접점판의 베이스부에 볼록부를 형성하도록 했기 때문에, 주변고정접점은 볼록부가 없는 면에 미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고정접점에 형성되는 볼록부를 수납하는 오목부를 금형에 형성할 필요가 없고, 이 오목부를 형성하는 금형의 판두께에 관련된 치수만큼 주변고정접점의 폭 치수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가동접점판의 베이스부에서의 볼록부의 형성은 가동접점판을 제작할 때의 금속 박판의 프레스 가공시에 동시에 형성시킬 수 있어 제작이 간단하다. 또, 가동접점판의 베이스부상의 주변고정접점과 대향하는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수만큼 이 볼록부를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어 이 주변고정접점이 포함되는 접점부분의 설계의 자유도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볼록부를 구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볼록부를 주변고정접점에 항상 점접촉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볼록부를 상기 가동접점판의 상기 굽힘발생부에 대해 상기 설편측에 위치하는 상기 베이스부 부분에 복수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고무스프링에 의해 설편이 중앙고정접점에 접촉하도록 가압되었을 때, 그 가압력의 일부가 가동접점판의 굽힘발생부에 대해 설편측에 위치하는 베이스부 부분에 전달되고, 이 베이스부 부분이 주변고정접점에 눌리는 경향이 있다. 이에 의해, 이 베이스부 부분에 형성한 볼록부와 주변고정접점 사이에 충분한 접촉압을 확보할 수 있어 볼록부를 확실하게 주변고정접점에 접촉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설편의 상기 중앙고정접점에 대향하는 하면 및, 상기 중앙고정접점의 어느 일측에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설편과 중앙고정접점 사이에 진애가 침입해도, 그 진애가 요철부 중의 오목부에 유지되고, 볼록부에 의해 설편과 중앙고정접점을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고무스프링이 상기 가동접점판의 상기 설편을 가압조작하는 가압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설편의 상면에 상기 가압부가 접촉 가능한 볼록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설편의 상면에 형성한 상기 서술한 볼록부에 의해 고무스프링의 가압에 따른 이 고무스프링의 가압부와 설편의 부착을 방지할 수있다. 또, 가압부가 접촉 가능한 상기 서술한 볼록부는 가동접점판을 제작할 때의 금속 박판의 프레스 가공시에 동시에 형성시킬 수 있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푸시버튼 스위치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로, 도 1은 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구비되는 가동접점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4의 C-C 단면 확대도,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구비되며, 고정접점이 인서트 성형된 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각을 형성하는 하우징(1)과, 이 하우징(1)의 바닥부 주변에 배치되며, 코먼고정접점인 주변고정접점(2)과, 하우징(1)의 바닥부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고정접점(3)을 구비하고 있다. 주변고정접점(2)과 중앙고정접점(3)은 도 6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다. 주변고정접점(2)의 상면은 볼록부를 갖지 않는 평탄면으로 미리 형성하고 있다.
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에 수납되며,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주변고정접점(2)에 항상 접촉하는 베이스부(4a) 및 이 베이스부(4a)로부터 굽힘발생부(4f)를 통해 외팔보형으로 연이어 설치되며, 중앙고정접점(3)과 접촉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설편(4b)을 갖는 가동접점판(4)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가동접점판(4)의 상측의 하우징(1) 내에는 가압력을 받아 설편(4b)을 중앙고정접점(3)에 접촉시키는 고무스프링(5)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고무스프링(5)의 다리부(5a)는 가동접점판(4)의 베이스부(4a)상에 탑재되어 있다. 고무스프링(5)의 중앙부분에는 가동접점판(4)의 설편(4b)을 가압하여 중앙고정접점(3)에 접촉시키는 가압부(5b)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1)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고무스프링(5)을 가압조작하는 스템(6)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는 도 1의 A부를 확대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접점판(4)의 베이스부(4a)의 하면에 주변고정접점(2)에 접촉하는 볼록부, 예컨대 구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설정한 볼록부(4c)를 형성하고 있다. 이 볼록부(4c)가 주변고정접점(2)에 항상 점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볼록부(4c)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접점판(4)의 굽힘발생부(4f)에 대해 설편(4b)측에 위치하는 베이스부(4a) 부분에 복수개, 예컨대 4개 형성되어 있다. 이들 4개의 볼록부(4c) 중의 2개는, 예컨대 가동접점판(4)의 가로방향의 거의 중앙을 통과하는 가상선상에 위치하고 있고, 나머지 2개는 설편(4b)의 선단부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 볼록부(4c)의 모두 또는 일부가 주변고정접점(2)에 항상 점접촉한다.
또, 가동접점판(4)의 설편(4b)의 하면에도, 도 1의 B부를 확대한 도 3,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베이스부(4a)의 볼록부(4c)와 예컨대 동일한 형상의 볼록부(4d)를 3개 형성하고 있다. 이들 볼록부(4d)는 설편(4b)의 중심부를 둘러싸도록, 예컨대 등간격으로 위치되어 있다. 이들 볼록부(4d)의전부 또는 일부가 중앙고정접점(3)에 점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3개의 볼록부(4d)를 형성함으로써, 중앙고정접점(3)에 대향하는 가동접점판(4)의 설편(4b)의 하면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요철부 중의 볼록부는 3개의 볼록부(4d)이고, 요철부 중의 오목부는 볼록부(4d)의 주위에 형성되는 설편(4b)의 하면을 포함하는 공간부분이다.
또한, 고무스프링(5)의 가압부(5b)에 대향하는 가동접점판(4)의 설편(4b)의 상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부(5b)가 접촉 가능한 볼록부(4e)를 형성하고 있다. 이 설편(4b)의 상면에 형성한 볼록부(4e)도, 예컨대 설편(4b)의 하면에 형성한 볼록부(4d)와 동일한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설편(4b)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 형태는 하우징(1)내에 스템(6)으로 규제되도록 수납된 고무스프링(5)의 다리부(5a)의 탄성에 의해 가동접점판(4)의 베이스부(4a)가 주변고정접점(2)에 항상 압접된다. 즉, 베이스부(4a)의 하면에 형성되는 4개의 볼록부(4c) 모두가 또는 일부가 주변고정접점(2)에 항상 점접촉하도록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스템(6)을 가압하면, 고무스프링(5)이 휘어 그 가압부(5b)가 가동접점판(4)의 설편(4b)의 상면에 형성되는 볼록부(4e)를 통해 이 설편(4b)을 가압한다. 이 설편(4b)의 하면에 형성되는 3개의 볼록부(4d) 모두가 또는 일부가 중앙고정접점에 점접촉한다. 이에 의해, 중앙고정접점(3)과 주변고정접점(2)이 가동접점판(4)을 통해 도통하고, 폐, 즉 온이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상태에서 스템(6)에 가해져 있던 가압력을 제거하면, 고무스프링(5)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고, 가동접점판(4)의 설편(4b)에 가해져 있던 가압력이 제거된다. 이에 의해 설편(4b), 즉 설편(4b)의 볼록부(4d)가 설편(4b)이 보유하는 탄력에 의해 중앙고정접점(3)으로부터 멀어져 중앙고정접점(3)과 주변고정접점(2)의 사이가 차단되고, 개, 즉 오프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동접점판(4)의 베이스부(4a)의 하면에 형성한 볼록부(4c)를 주변고정접점(2)에 항상 점접촉시킬 수 있다. 즉, 가동접점판(4)의 베이스부(4a)와 주변고정접점(2)을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 고무스프링(5)에 의해 설편(4b)이 중앙고정접점(3)에 접촉하도록 가압되었을 때, 그 가압력의 일부가 가동접점판(4)의 굽힘발생부(4f)에 대해 설편(4b)측에 위치하는 베이스부(4a) 부분에 전달되어 이 베이스부(4a) 부분이 주변고정접점(2)에 눌리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때 주변고정접점(2)에 눌리는 베이스부(4a) 부분에 위치하도록 4개의 볼록부(4c)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설편(4b)의 가압시라도 볼록부(4c)를 확실하게 주변고정접점(2)에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접점판(4)의 설편(4b)의 하면과 중앙고정접점(3)의 사이에 진애가 침입해도, 그와 같은 진애는 설편(4b)의 하면에 형성한 3개의 볼록부(4d) 주위의 공간부분에 유지된다. 즉, 진애가 침입한 경우에도 볼록부(4d)에 의해 설편(4b)과 중앙고정접점(3)을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접점판(4)의 베이스부(4a)의 하면에형성한 볼록부(4c)에 의해 가동접점판(4)의 베이스부(4a)와 주변고정접점(2)을 항상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고, 또 설편(4b)의 하면에 형성한 볼록부(4d)에 의해 설편(4b)과 중앙고정접점(3)을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는 가동접점판(4)의 베이스부(4a)에 볼록부(4c)를 형성하도록 했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주변고정접점(2)의 상면은 볼록부가 없는 평탄면으로 미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고정접점(2), 중앙고정접점(3)을 하우징(1)에 인서트 성형할 때, 주변고정접점(2)에 형성되는 볼록부를 수납하는 오목부를 금형에 형성할 필요가 없고, 그 오목부를 형성하는 금형의 판두께에 관련된 치수만큼 주변고정접점(2)의 폭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체 형상의 소형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접점판(4)의 베이스부(4a)에서의 볼록부(4c)는 베이스부(4a)와 설편(4b)을 갖는 가동접점판(4)을 제작할 때의 금속 박판의 프레스 가공시에 동시에 형성시킬 수 있어 제작이 간단하다. 또, 볼록부(4c)를 가동접점판(4)의 베이스부(4a)의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수만큼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주변고정접점(2)을 포함하는 접점부분의 설계의 자유도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정밀도가 높은 스위칭 성능을 확보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스위치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편(4b)의 상면에 형성한 볼록부(4e)에 의해 고무스프링(5)의 가압에 따른 이 고무스프링(5)의 가압부(5b)와 설편(4b)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스위치 구조의 확보에 공헌한다. 또, 설편(4b)의 상면에 형성한 볼록부(4e) 및 상기 서술한 설편(4b)의 하면에 형성한 볼록부(4d)는 모두 가동접점판(4)을 제작할 때의 금속 박판의 프레스 가공시에 동시에 간단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설편(4b)의 상면에 볼록부(4e)를 형성했기 때문에, 고무스프링(5)의 가압시에 고무스프링(5)의 변형에 따라 고무스프링(5)의 가압부(5b)의 중심부와 볼록부(4e)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가압부(5b)가 기울어 이 가압부(5b)의 일부가 설편(4b)에 강하게 가압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가압부(5b)의 일부가 설편(4b)에 강하게 가압되는 위치와 가까운 위치에 있는 볼록부(4d)가 중앙고정접점(3)에 큰 접촉압으로 접촉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해당하는 볼록부(4d)를 중앙고정접점(3)에 강한 힘으로 점접촉시킬 수 있고, 보다 확실하게 설편(4b)과 중앙고정접점(3)을 접촉시킬 수 있어 정밀도가 높은 스위칭 성능의 확보에 공헌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설편(4b)의 하면에 형성한 3개의 볼록부(4d)에 의해 설편(4b)의 하면에 요철부를 형성시키고 있기 때문에, 설편(4)과 중앙고정접점(3) 사이의 진애에 의한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어 정밀도가 높은 스위칭 성능의 확보에 공헌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접점판(4)의 설편(4b)의 하면에 3개의 볼록부(4d)를 형성함으로써 설편(4b)의 하면에 요철부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요철부를 설편(4b)의 하면에 형성하는 대신에, 중앙고정접점(3)의 상면에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설편(4b)과 중앙고정접점(3)의 사이에 침입하는 진애를 요철부 중의 오목부에 유지시킬 수 있고, 요철부 중의 볼록부에 의해 설편(4b)과 중앙고정접점(3)을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주변고정접점(2)에 볼록부를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주변고정접점(2)의 폭 치수를 작게 설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전체 형상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전체 형상을 종래와 동일하게 하는 경우에는 주변고정접점(2)의 폭 치수를 작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중앙고정접점(3)을 종래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가동접점판(4)의 설편(4b)과 중앙고정접점(3)의 접촉영역을 크게 확보할 수 있어 설편(4b)과 중앙고정접점(3)을 보다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가동접점판의 베이스부에 주변고정접점에 접촉하는 볼록부를 형성했기 때문에, 주변고정접점의 폭 치수를 작게 설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종래에 비해 전체 형상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볼록부는 가동접점판의 제작시에 동시에 형성할 수 있어 제작이 간단함과 동시에, 주변고정접점이 포함되는 접점부분의 설계의 자유도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동접점판과 주변고정접점의 접촉을 확실하게 행하게 하고, 정밀도가 높은 스위칭 성능을 확보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해 신뢰성이 높은 스위치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볼록부를, 구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볼록부를 주변고정접점에 항상 점접촉시키고, 가동접점판의 베이스부와 주변고정접점을 확실하게 접촉시켜 정밀도가 높은 스위칭 성능의 확보에 공헌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볼록부를 상기 가동접점판의 굽힘발생부에 대해 설편측에 위치하는 베이스부 부분에 복수개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고무스프링의 가압조작시에 있어서도 주변고정접점에 대한 볼록부의 충분한 접촉압을 얻을 수 있어 정밀도가 높은 스위칭 성능의 확보에 공헌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설편의 중앙고정접점에 대향하는 하면 및 중앙고정접점의 어느 일측에 요철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설편과 중앙고정접점의 사이에 진애가 침입해도, 그 진애가 요철부 중의 오목부에 유지되어 요철부 중의 볼록부에 의해 설편과 중앙고정접점을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즉, 설편과 중앙고정접점 사이의 진애에 의한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어 정밀도가 높은 스위칭 성능의 확보에 공헌한다.
또, 본 발명은 고무스프링이 가동접점판의 설편을 가압조작하는 가압부를 가짐과 동시에, 설편의 상면에 가압부가 접촉 가능한 볼록부를 형성한 것이다. 이 볼록부에 의해 고무스프링의 가압부와 설편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스위치 구조의 확보에 공헌한다.

Claims (5)

  1. 외각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바닥부 주변에 배치되는 주변고정접점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고정접점과,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며,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변고정접점에 항상 접촉하는 베이스부 및, 이 베이스부로부터 굽힘발생부를 통해 외팔보형으로 연이어 설치되며, 상기 중앙고정접점과 접촉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설편을 갖는 가동접점판과,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며, 다리부가 상기 가동접점판의 상기 베이스부상에 탑재되고, 가압력을 받아 상기 설편을 상기 중앙고정접점에 접촉시키는 고무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고무스프링을 가압조작하는 스템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가동접점판의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주변고정접점에 접촉하는 볼록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를, 구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를 상기 가동접점판의 상기 굽힘발생부에 대해 상기 설편측에 위치하는 상기 베이스부 부분에 복수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편의 상기 중앙고정접점에 대향하는 하면 및, 상기 중앙고정접점의 어느 일측에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스프링이 상기 가동접점판의 상기 설편을 가압조작하는 가압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설편의 상면에 상기 가압부가 접촉 가능한 볼록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KR1020030052381A 2002-09-09 2003-07-29 푸시버튼 스위치 KR1005735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63200A JP2004103375A (ja) 2002-09-09 2002-09-09 押釦スイッチ
JPJP-P-2002-00263200 2002-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497A true KR20040023497A (ko) 2004-03-18
KR100573544B1 KR100573544B1 (ko) 2006-04-25

Family

ID=32263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2381A KR100573544B1 (ko) 2002-09-09 2003-07-29 푸시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4103375A (ko)
KR (1) KR100573544B1 (ko)
CN (1) CN1248259C (ko)
TW (1) TWI2287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3194A (ko) * 2013-04-11 2014-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KR101692121B1 (ko) * 2014-12-19 2017-01-02 (주)디앤티 버튼 스위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JP6471076B2 (ja) * 2015-10-14 2019-02-1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用いたキーボ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28737B (en) 2005-03-01
KR100573544B1 (ko) 2006-04-25
CN1248259C (zh) 2006-03-29
CN1495819A (zh) 2004-05-12
TW200414249A (en) 2004-08-01
JP2004103375A (ja) 200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3265B2 (en) Switch
EP2015328B1 (en) Push-button switch
KR20010076393A (ko) 푸시온 스위치, 그것을 장착한 전자기기 및 그 장착 방법
KR20010020821A (ko) 푸시 버튼 스위치
TWI616916B (zh) 按鈕開關以及可動接點構件
KR100298920B1 (ko) 키보드장치
US8431853B2 (en) Metal dome switch for keypad
GB2107523A (en) Multiple membrane switch
KR100573544B1 (ko) 푸시버튼 스위치
JP5284883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CN215451206U (zh) 可动构件以及输入装置
KR100363467B1 (ko) 푸시 스위치
KR100339899B1 (ko) 푸시버튼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EP2363872B1 (en) Electrical switch with a dual action tactile effect
TW514944B (en) Rotary encoder with button swit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331729B1 (ko) 푸시 스위치
KR100595043B1 (ko) 푸시버튼 스위치
KR100357926B1 (ko) 푸시 버튼 스위치와 그 제조방법
KR200393119Y1 (ko) 택트 스위치 단자 구조
JP2008181897A (ja) 押釦スイッチ
JP2007200738A (ja) 押釦スイッチ
JP2001250450A (ja) 押釦スイッチ
KR100382567B1 (ko) 소형 정보단말기용 입력키의 스위칭 장치
JP2007200737A (ja) 押釦スイッチ
JP4105460B2 (ja) 押釦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