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3194A -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3194A
KR20140123194A KR1020130040064A KR20130040064A KR20140123194A KR 20140123194 A KR20140123194 A KR 20140123194A KR 1020130040064 A KR1020130040064 A KR 1020130040064A KR 20130040064 A KR20130040064 A KR 20130040064A KR 20140123194 A KR20140123194 A KR 20140123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ase
switch
input device
flow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현
백승철
윤병욱
이재량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0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3194A/ko
Priority to EP14162815.6A priority patent/EP2790200B1/en
Priority to US14/243,162 priority patent/US20140305778A1/en
Priority to PCT/KR2014/002911 priority patent/WO2014168382A1/en
Priority to AU2014201990A priority patent/AU2014201990A1/en
Priority to CN201410140159.3A priority patent/CN104103442A/zh
Publication of KR20140123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1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58Actuators to avoid tilting or skewing of contact area or act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물리 방식의 키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입력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성 재질의 키 베이스; 상기 키 베이스의 하단에 위치하며, 일정크기 이상의 힘으로 가압되는 경우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가 실장되는 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키 베이스는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돌기; 및 상기 가압 돌기를 중심으로 양쪽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를 지지하여 상기 몸체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연성 재질의 유동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INPUT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본 개시는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유동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 기기는 통화 기능, 음악 재생 기능, 촬영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Smart phone),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태블릿 PC(Tablet Personnel Computer),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전자 기기는 각종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다양한 입력 장치들 예를 들면, 물리 키와 터치 키, 터치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 방식의 물리 키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기기는 전원 키(Power Key), 홈 키(Home key), 볼륨 키(Volume Key) 등이 물리 키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 기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전자 기기(1)는 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1)는 전면에 표시부(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1)는 표시부(2)의 상단에 조도 센서(3), 스피커(4) 및 카메라(5)가 위치하며, 상기 표시부(2)의 하단에 메뉴 키(6), 홈 키(7), 취소 키(8)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기기(1)의 메뉴 키(6) 및 취소 키(8)는 터치 키로 형성되고, 홈 키(7)는 버튼 방식의 물리 키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원 키 및 볼륨 키 역시 버튼 방식의 물리 키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전자 기기의 물리 키들은 기판에 실장된 돔 스위치를 가압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물리 키들은 하단의 중앙에 상기 돔 스위치를 가압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물리 키들은 중앙 부분이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이로 인하여 상기 물리 키들은 좌우로 흔들리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에 대하여 도면을 통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종래의 전자 기기의 홈 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전자 기기의 홈 키가 우측으로 기울어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홈 키(7)는 전면 케이스(11) 및 후면 케이스(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홈 키(7)는 몸체(body, 14), 키 베이스(key base, 13) 및 스위치(Switch, 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5)는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위치(15)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 PCB, 16) 상의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누름이 해제되면 원래 형태로 복원되어 상기 접점과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몸체(14)는 홈 키(7)의 외관을 형성하며, 단단한 재질(이하 경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4)는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전면 케이스(11)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몸체(14)는 몸체(14)가 전면 케이스(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14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 베이스(13)는 몸체(14)의 하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누르는 힘을 스위치(15)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키 베이스(13)는 연성 재질(예컨대 고무, 실리콘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키 베이스(13)는 하부면에 상기 스위치(15)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돌기(13c)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홈 키(7)는 중앙 부분이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홈 키(7)는 힘이 가해지지 않는 노멀(Normal) 상태에서 좌우로 흔들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홈 키(7)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기울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홈 키(17)는 좌측으로 기울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홈 키(7)는 노멀 상태에서 좌우로 흔들리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입력 장치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유동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는 상기 입력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성 재질의 키 베이스; 상기 키 베이스의 하단에 위치하며, 일정크기 이상의 힘으로 가압되는 경우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가 실장되는 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키 베이스는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돌기; 및 상기 가압 돌기를 중심으로 양쪽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를 지지하여 상기 몸체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연성 재질의 유동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며,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성 재질의 키 베이스; 상기 키 베이스의 하단에 위치하며, 일정크기 이상의 힘으로 가압되는 경우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가 실장되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키 베이스는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돌기; 및 상기 가압 돌기를 중심으로 양쪽에서 형성되고, 상기 기판과 일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키 베이스의 하부면으로부터 계단 형상으로 신장되어 상기 몸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연성 재질의 유동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는 키 베이스에 연성 재질의 유동 방지부를 추가하여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는 상기 유동 방지부가 스위치가 실장되는 기판에 접촉되어 입력 장치를 지지함에 따라 외부 충격으로부터 스위치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 기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전자 기기의 홈 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전자 기기의 홈 키가 우측으로 기울어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키 베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키 베이스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유동 방지부의 구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키 베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키 베이스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키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키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 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각 구성 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첨부된 도면에 그려진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그리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방식의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로,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Smart phone),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태블릿 PC (Tablet Personnel Computer),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등이 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전자 기기의 홈 키를 이용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홈 키에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키(예를 들어, 볼륨 키, 전원 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키 베이스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키 베이스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유동 방지부의 구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100)는 전면 케이스(110) 및 후면 케이스(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100)는 몸체(body, 140), 키 베이스(key base, 130) 및 스위치(Switch, 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50)는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50)는 돔 스위치(Dome switch)가 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위치(150)는 누름 조작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인쇄회로기판(PCB, 160) 상의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누름이 해제되면 원래 형태로 복원되어 상기 접점과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상기 스위치(150)가 인쇄회로기판(160)에 실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150)는 별도의 기판(예컨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에 실장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140)는 입력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단단한 재질(이하 경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40)는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전면 케이스(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140)는 전면 케이스(110)에 형성되는 홀을 통해 일부가 노출되고, 다른 부분은 전면 케이스(1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40)는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신장되며, 몸체(140)가 전면 케이스(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140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 베이스(130)는 몸체(140)와 스위치(150)사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누르는 힘을 스위치(15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키 베이스(130)는 연성 재질(예컨대 고무, 실리콘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경질의 몸체(140)가 스위치(140)를 직접 가압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150)의 수명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키 베이스(130)는 하부면에 상기 스위치(150)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돌기(130c)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140)의 누름에 의해 발생하는 힘은 상기 가압 돌기(130c)를 통해 상기 스위치(150)에 전달된다. 또한, 상기 키 베이스(130)는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끝에 고정부(130d, 130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30d, 130e)는 입력 장치(10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즉, 상기 고정부(130d, 130e)는 상기 입력 장치(100)가 상하좌우 수평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베이스(130)는 가압 돌기(130c)의 양 측에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 방지부(130a, 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 방지부(130a, 130b)는 상기 가압 돌기(130c)보다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 방지부(130a, 130b)는 하단면 일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60)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유동 방지부(130a, 130b)의 높이(d3)는 가압 돌기(130c)의 높이(d1)와 스위치(150)의 높이(d2)의 합과 동일하거나,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유동 방지부(130a, 130b)의 높이는 수 밀리미터의 오차를 가질 수도 있다. 즉, 상기 유동 방지부(130a, 130b)의 높이(d3)는 가압 돌기(130c)의 높이(d1)와 스위치(150)의 높이(d2)의 합과 유사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 방지부(130a, 130b)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장치(100)가 흔들리지 않도록 가압 돌기(130c)를 중심으로 양쪽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100)는 좌우 유동의 발생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유동 방지부(130a,130b)는 입력 장치(100)를 지지하기 위한 하나의 구조물(이하 지지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동 방지부(130a, 130b)의 지지부는 상기 도 5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 베이스(130)의 하부면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키 베이스(130)에 형성된 홀의 측벽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와 키 베이스(130)의 하부면 사이에는 빈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는 2층의 계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유동 방지부(130a, 130b)의 지지부는 1층 또는 3층 이상의 계단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동 방지부(130a, 130b)의 지지부는 상기 키 베이스(130)의 하부면으로부터 신장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키 베이스(130)에 홀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유동 방지부(130a, 130b)는 탄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유동 방지부(130a, 130b)는 힘이 가해지지 않은 노멀 상태에서 상기 도 6과 같이 형상을 유지하고,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가압 상태에서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힘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유동 방지부(130a, 130b)는 원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개시의 실시 예는 클릭감의 저하를 최소화하며, 몸체(140)가 가압 돌기(130c)를 중심으로 유동(흔들림)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유동 방지부(130a, 130b)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스위치(150)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설계자는 상기 유동 방지부(130a, 130b)의 폭, 두께, 재질 등을 적절히 변경하여 탄성력을 조절하고, 상기 탄성력 조절을 통해 상기 입력 장치(100)의 클릭감을 조절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동 방지부(130a, 130b)의 탄성력이 강한 경우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입력 장치(100)를 누르기 위해 많은 힘이 필요하므로 클릭감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유동 방지부(130a, 130b)의 탄성력이 약한 경우 입력 장치(100)를 누르기 위해 적은 힘이 필요하므로 클릭감은 향상되지만, 입력 장치(100)를 지지하는 힘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설계자는 상황에 따라 유동 방지부(130a, 130b)의 폭, 두께, 재질 등을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상에서는 상기 유동 방지부(130a, 130b)가 키 베이스(130)와 동일한 재질(예컨대 고무(rubber))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유동 방지부(130a, 130b)는 별도의 구성(예컨대 키 베이스와 다른 재질의 탄성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동 방지부(130a, 130b)는 스프링(spring), 스폰지(예컨대 고탄성 스폰지, 압축 스폰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상기 몸체(140)와 키 베이스(130)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몸체(140)와 키 베이스(130)는 이중 사출 또는 인서트 사출 등을 통해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키 베이스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키 베이스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상기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키 베이스(230)의 유동 방지부(230a, 230b)는 십자(+) 형태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키 베이스(230)의 유동 방지부(230a, 230b)는 2개의 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 방지부(230a, 230b)는 상기 키 베이스(230)에 형성된 홀에 교차 지점이 키 베이스(230)의 하단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는 지지부의 개수를 증가시켜 유동 방지부(230a, 230b)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는 상기 키 베이스 (230)의 형상이 달라졌다는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 4 내지 도 7을 통해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와 유사하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다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키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키 베이스(330)의 유동 방지부(330a, 330b)는 세 개의 지지부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 방지부(330a, 330b)는 세 개의 지지부의 교차 지점이 키 베이스(330)의 하단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키 베이스(330)에 형성된 홀에 연결된다. 즉, 상기 도 8 및 9와 유사하게, 본 개시의 또 다른 입력 장치는 키 베이스(330)의 유동 방지부(330a, 330b)를 구성하는 지지부의 개수를 증가시켜 탄성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4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지지부의 폭, 두께 및 재질 등을 변경하여 클릭감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가 3개의 지지부가 결합된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동 방지부는 4개 이상의 지지부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상기 키 베이스(330)의 형상이 달라졌다는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 4 내지 도 7을 통해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와 유사하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키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유동 방지부(403a, 430b)는 십자 형태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 방지부(403a, 430b)의 각 지지부는 키 베이스(430)의 저면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는 폭을 조절하여 클릭감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는 키 베이스(430)의 형상이 달라졌다는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 4 내지 도 7을 통해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와 유사하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다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개시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입력 장치 110 : 전면 케이스
120 : 후면 케이스 130 : 키 베이스
130a : 가압 돌기 130b,130c : 유동 방지부
140 : 몸체 150 : 스위치
160 : 인쇄회로기판

Claims (11)

  1.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성 재질의 키 베이스;
    상기 키 베이스의 하단에 위치하며, 일정크기 이상의 힘으로 가압되는 경우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가 실장되는 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키 베이스는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돌기; 및
    상기 가압 돌기를 중심으로 양쪽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를 지지하여 상기 몸체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연성 재질의 유동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부의 높이는
    상기 가압 돌기의 높이 및 상기 스위치의 높이의 합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부는
    상기 키 베이스에 형성되는 홀; 및
    상기 키 베이스의 하부면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홀의 측벽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신장되며,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부는
    상기 키 베이스의 하부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키 베이스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신장되며,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부는
    상기 키 베이스와 다른 재질의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스프링 및 스폰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부는
    상기 일정 크기 이상의 힘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탄성 변형되며, 상기 힘의 해제 시 원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은
    상기 유동 방지부의 폭, 두께, 재질, 개수 및 형상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베이스는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키 베이스는
    이중 사출 또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11.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며,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성 재질의 키 베이스;
    상기 키 베이스의 하단에 위치하며, 일정크기 이상의 힘으로 가압되는 경우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가 실장되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키 베이스는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돌기; 및
    상기 가압 돌기를 중심으로 양쪽에서 형성되고, 상기 기판과 일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키 베이스의 하부면으로부터 계단 형상으로 신장되어 상기 몸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연성 재질의 유동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KR1020130040064A 2013-04-11 2013-04-11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KR20140123194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064A KR20140123194A (ko) 2013-04-11 2013-04-11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EP14162815.6A EP2790200B1 (en) 2013-04-11 2014-03-31 Input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US14/243,162 US20140305778A1 (en) 2013-04-11 2014-04-02 Input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PCT/KR2014/002911 WO2014168382A1 (en) 2013-04-11 2014-04-04 Input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AU2014201990A AU2014201990A1 (en) 2013-04-11 2014-04-08 Input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CN201410140159.3A CN104103442A (zh) 2013-04-11 2014-04-09 电子设备的输入设备以及电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064A KR20140123194A (ko) 2013-04-11 2013-04-11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194A true KR20140123194A (ko) 2014-10-22

Family

ID=50473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064A KR20140123194A (ko) 2013-04-11 2013-04-11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305778A1 (ko)
EP (1) EP2790200B1 (ko)
KR (1) KR20140123194A (ko)
CN (1) CN104103442A (ko)
AU (1) AU2014201990A1 (ko)
WO (1) WO20141683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789A (ko) * 2017-10-13 2019-04-23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4109Y2 (ja) * 1979-06-22 1984-07-17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携帯用小型機器の押しボタン構造
KR19980027628U (ko) * 1996-11-18 1998-08-05 김광호 전자제품의 버튼
US6774330B2 (en) * 2001-03-27 2004-08-10 Trw Inc. Multi-stage push button switch apparatus
CN1255827C (zh) * 2001-12-28 2006-05-10 株式会社东芝 电梯用按钮开关
CN2550887Y (zh) * 2002-02-04 2003-05-14 旭丽股份有限公司 弹片式按键
CN2548245Y (zh) * 2002-04-22 2003-04-30 神基科技股份有限公司 键盘
JP2004103375A (ja) * 2002-09-09 2004-04-02 Alps Electric Co Ltd 押釦スイッチ
TW568337U (en) * 2003-03-11 2003-12-21 Inventec Multimedia & Telecom Improved button structure
JP2005183306A (ja) * 2003-12-22 2005-07-07 T An T:Kk プッシュスイッチの押しボタン構造
JP2006100084A (ja) * 2004-09-29 2006-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方向操作装置
JP4960779B2 (ja) * 2007-07-02 2012-06-27 ペンタックス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操作部材
TW200908049A (en) * 2007-08-07 2009-02-16 Darfon Electronics Corp A key structure
US7964813B2 (en) * 2009-05-27 2011-06-2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Key structure
EP2282318B1 (en) * 2009-07-29 2016-06-2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Push button switch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789A (ko) * 2017-10-13 2019-04-23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90200A2 (en) 2014-10-15
AU2014201990A1 (en) 2014-10-30
CN104103442A (zh) 2014-10-15
EP2790200A3 (en) 2014-11-19
WO2014168382A1 (en) 2014-10-16
EP2790200B1 (en) 2016-02-03
US20140305778A1 (en)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6713B2 (en) Waterproof butt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10812127B2 (en) Portable terminal case
US9214295B2 (en) Key structure
CN105637574B (zh) 具有弯曲的显示模块的电子设备
CN201392756Y (zh) 移动设备的按键模组
US20020000976A1 (en) Tactile electromechanical data input mechanism
EP2378398A2 (en) Movable touch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2752416B (zh) 移动终端
US20150255231A1 (en) Floating switch assembli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8098494B2 (en) Electronic device
JP2011243476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6100084A (ja) 多方向操作装置
CN111681898A (zh) 电子设备
KR20140123194A (ko)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JP5376026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20160114325A (ko) 전자 장치
TW201349037A (zh) 多向鍵按壓觸發結構
JP2007207473A (ja) 電子機器
JP2008131634A (ja) バッファを備える携帯端末機
JP6292624B2 (ja) 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CN112038143B (zh) 按键帽支撑结构、按键和电子设备
JP2003282168A (ja) コネクタ実装構造および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KR20140118499A (ko)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JP2012104282A (ja) 電子機器およびプリント基板モジュール
KR20080056966A (ko) 버튼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