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7425A -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7425A
KR20090097425A KR1020080022554A KR20080022554A KR20090097425A KR 20090097425 A KR20090097425 A KR 20090097425A KR 1020080022554 A KR1020080022554 A KR 1020080022554A KR 20080022554 A KR20080022554 A KR 20080022554A KR 20090097425 A KR20090097425 A KR 20090097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gate insulating
semiconductor substrate
insulating film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욱
심정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80022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7425A/ko
Publication of KR20090097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4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158Making the insulator
    • H01L21/28167Making the insulator on single crystalline silicon, e.g. using a liquid, i.e. chemical oxid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44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using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62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ate insulating layers, e.g. different gate insulating layer thicknesses, particular gate insulator materials or particular gate insulator imp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보다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이 제공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1 영역 상에 하드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2 영역 상부를 식각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2 영역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1차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2차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기 때문에, 반도체 기판상에 서로 다른 두께의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더라도 게이트 절연막의 표면을 평탄하게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 고전압 영역, 저전압 영역, 플래시 메모리, DRAM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Method of forming a gate oxide of a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기판상에 두께가 서로 다른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는 각각의 영역에 형성되는 소자에 따라 동작전압이 상이하며 이러한 이유로 반도체 기판 상에는 각 영역별로 적절한 두께의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여야 한다. 즉,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소자가 형성되는 영역에는 신뢰성 향상을 위해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되어야 하며 동작속도가 중요시되는 소자가 형성되는 영역에는 얇은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DRAM소자의 경우 캐패시터(capacitor)와 연결되는 셀 영역에는 리프레시(refresh) 특성이 우수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되고 소자의 빠른 동작 속도가 요구되는 주변 영역에는 얇은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된다.
또한, 플래시(flash) 메모리 소자의 경우 고전압을 제어하는 부분과 저전압을 제어하는 부분이 각각 필요한데 저전압을 제어하는 부분은 동작 전압이 낮아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도 매우 얇아야 한다. 하지만, 고전압을 제어하는 부분에서는 매우 얇은 게이트 절연막은 사용할 수가 없다. 따라서, 필요한 부분에 따라 선택적으로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를 다르게 형성하는 공정은 필연적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되는 영역의 반도체 기판 상부를 일부 식각하고 이곳에 선택적으로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한 뒤 반도체 기판 전체 상부에 게이트 절연막을 더욱 형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두께의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더라도 게이트 절연막의 표면을 평탄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은,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보다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이 제공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1 영역 상에 하드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2 영역 상부를 식각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2 영역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1차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2차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2 영역 상에 1차로 형성되는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제2 영역 상부가 식각된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상에 2차로 형성되는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표면은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되는 반도체 소자보다 낮은 전압이 인가되는 반도체 소자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 상부가 식각된 두께는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와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의 차이만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DRAM소자의 주변 회로 영역이며, 상기 제2 영역은 DRAM 소자의 캐패시터와 연결된 셀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주변 회로 영역 중 저전압 NMOS 트랜지스터(LVN)가 형성되는 영역 또는 메모리 셀이 형성되는 셀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주변 회로 영역 중 고전압 NMOS 트랜지스터(HVN)가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에 따르면, 반도체 기판 상에 서로 다른 두께의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더라도 게이트 절연막의 표면을 평탄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게이트 절연막 상에 게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적층막을 형성하고 패터닝하는 공정에서 오차가 발생하지 않아 더욱 신뢰성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임의의 막이 다른 막 또는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임의의 막은 상기 다른 막 또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직접 접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그 사이에 제3의 막이 개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제1 영역(도면부호 A) 및 제2 영역(도면부호 B)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2)이 제공된다. 제1 영역(도면부호 A)에는 제2 영역(도면부호 B)에 형성되는 반도체 소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전압이 인가되거나 빠른 동작 속도가 요구되는 반도체 소자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영역(도면부호 B)에는 제1 영역(도면부호 A)에 형성되는 반도체 소자보다 고전압이 인가되는 반도체 소자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영역(도면부호 A)에는 제2 영역(도면부호 A)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DRAM소자의 경우 제1 영역(도면부호 A)은 빠른 속도로 구동하는 반도체 소자가 형성되는 주변 회로 영역이 될 수 있으며, 제2 영역(도면부호 B)은 캐패시터와 연결된 셀 영역과 같이 리프레시(refresh) 특성이 좋은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경우 제1 영역(도 면부호 A)은 메모리 셀이 형성되는 셀 영역 또는 주변 회로 영역 중 저전압 NMOS 트랜지스터(LVN)가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고, 제2 영역(도면부호 B)은 주변 회로 영역 중 고전압 NMOS 트랜지스터(HVN)가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어서, 반도체 기판(102) 상에는 하드 마스크막(104)이 형성된다. 하드 마스크막(104)은 질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하드 마스크막(104) 상에 포토 레지스트 패턴(106)을 형성한다. 포토 레지스트 패턴(106)은 반도체 기판(102)의 제2 영역(도면부호 B) 상부가 노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c를 참조하면, 포토 레지스트 패턴(106)을 이용한 식각 공정으로 하드 마스크막(104)을 식각하여 반도체 기판(102)의 제2 영역(도면부호 B) 상부가 노출되는 하드 마스크 패턴(104a)을 형성하고 노출된 반도체 기판(102)의 제2 영역(도면부호 B)의 일부를 식각한다. 이로써, 반도체 기판(102)의 제1 영역(도면부호 A)과 제2 영역(도면부호 B)의 경계 부분에는 소정의 단차(도면부호 c)가 형성한다. 단차(도면부호 c)는 제1 영역(도면부호 A)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와 제2 영역(도면부호 B)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의 차이만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에, 포토 레지스트 패턴(106)은 제거된다.
도 1d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2)의 노출된 제2 영역(도면부호 B)의 표면에 게이트 절연막(108)을 형성한다. 게이트 절연막(108)은 산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영역(도면부호 B)의 표면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108)의 두께는 반도체 기판(102)의 제1 영역(도면부호 A)과 제2 영역(도면부호 B)의 경계 부분 에 형성된 단차(도면부호 c)만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반도체 기판(102)의 제1 영역(도면부호 A)의 표면에는 하드 마스크 패턴(104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도체 기판(102)의 제1 영역(도면부호 A)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108)이 형성되지 않는다.
도 1e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2)의 제1 영역(도면부호 A)에 형성된 하드 마스크 패턴(104a)을 제거한다. 그리고, 반도체 기판(102)의 제1 영역(도면부호 A) 및 제2 영역(도면부호 B) 상에 게이트 절연막(108)을 더욱 형성한다. 게이트 절연막(108)은 산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공정에서 반도체 기판(102)의 제2 영역(도면부호 B) 상에는 단차(도면부호 c)만큼 게이트 절연막(108)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반도체 기판(102)의 제1 영역(도면부호 A) 및 제2 영역(도면부호 B)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108)은 두께는 다르지만 동일한 높이로 형성뒬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 절연막(108)은 반도체 기판(102)의 표면에 단차가 발생하더라도 게이트 절연막(108)의 표면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고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달리 반도체 기판(102)의 제1 영역(도면부호 A)과 제2 영역(도면부호 B) 상에 서로 다른 두께의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은, 본 발명과 달리 반도체 기판(102)의 표면에 단차를 형성하지 않고 평탄한 반도체 기판(102) 상에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반도체 기판(102)의 제2 영역(도면부호 B)에 형성될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만큼 반도체 기판(102)의 전체 상부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고, 반도체 기판(102)의 제1 영역(도면부호 A)에 형성된 게이트 절 연막을 제거한 뒤, 제1 영역(도면부호 A)에 적합한 두께의 게이트 절연막을 다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반도체 기판(102)의 제2 영역(도면부호 B)만을 노출시키는 하드 마스크 패턴을 반도체 기판(102) 상에 형성하고 반도체 기판(102)의 제2 영역(도면부호 B)에 적합한 두께의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한 뒤, 하드 마스크 패턴을 제거하고 반도체 기판(102)의 제1 영역(도면부호 A)에 적합한 두께의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로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은 평탄한 반도체 기판(102) 표면에 서로 다른 두께의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반도체 기판(102)의 제1 영역(도면부호 A)과 제2 영역(도면부호 B)의 경계 부분에서 게이트 절연막의 표면에 단차가 발생된다. 이러한 단차는 게이트 절연막 상에 게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적층막을 형성하거나 식각할 때 제1 영역(도면부호 A)과 제2 영역(도면부호 B)에 형성된 적층막 또는 적층막 패턴 사이에 높이차를 발생시킨다. 이로 인하여, 적층막을 형성하는 공정이나 패터닝하는 공정시 오차를 발생시키거나 패턴이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형성 방법은 게이트 절연막(108)의 두께 차이만큼 미리 반도체 기판(102)의 표면에 단차를 형성한 뒤 각 영역에 적합한 두께의 게이트 절연막(108)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1 영역(도면부호 A)과 제2 영역(도면부호 B)에 서로 다른 두께의 게이트 절연막(108)을 형성하더라도 게이트 절연막(108)의 상부는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후속하는 게이트 형성 공정에서 게이트 절연막(108) 표면에 형성되는 단차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 는다. 이에 따라 더욱 신뢰성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가 가능하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2 : 반도체 기판 104 : 하드 마스크막
104a : 하드 마스크 패턴 106 : 포토 레지스트 패턴
108 : 게이트 절연막

Claims (7)

  1.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보다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1 영역 상에 하드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2 영역 상부를 식각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2 영역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1차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2차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2 영역 상에 1차로 형성되는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제2 영역 상부가 식각된 두께로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상에 2차로 형성되는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표면은 평탄하게 형성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되는 반도체 소자보다 낮은 전압이 인가되는 반도체 소자가 형성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 상부가 식각된 두께는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와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의 차이만큼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DRAM소자의 주변 회로 영역이며 상기 제2 영역은 DRAM 소자의 캐패시터와 연결된 셀 영역인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주변 회로 영역 중 저전압 NMOS 트랜지스터(LVN)가 형성되는 영역 또는 메모리 셀이 형성되는 셀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주변 회로 영역 중 고전압 NMOS 트랜지스터(HVN)가 형성되는 영역인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
KR1020080022554A 2008-03-11 2008-03-11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 KR200900974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554A KR20090097425A (ko) 2008-03-11 2008-03-11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554A KR20090097425A (ko) 2008-03-11 2008-03-11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425A true KR20090097425A (ko) 2009-09-16

Family

ID=41356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554A KR20090097425A (ko) 2008-03-11 2008-03-11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742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18063A (zh) * 2017-12-05 2020-07-14 硅存储技术股份有限公司 具有集成高k金属控制栅的非易失性分裂栅存储器单元及制造方法
CN111696979A (zh) * 2019-03-14 2020-09-22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半导体封装结构
US10937797B2 (en) 2018-04-03 2021-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US11862578B2 (en) 2017-03-14 2024-01-02 Mediatek Inc. Semiconductor package structure
US11942439B2 (en) 2017-03-14 2024-03-26 Mediatek Inc. Semiconductor package structure
US11948895B2 (en) 2017-03-14 2024-04-02 Mediatek Inc. Semiconductor package structure
US12002742B2 (en) 2022-06-13 2024-06-04 Mediatek Inc. Semiconductor package structur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2578B2 (en) 2017-03-14 2024-01-02 Mediatek Inc. Semiconductor package structure
US11942439B2 (en) 2017-03-14 2024-03-26 Mediatek Inc. Semiconductor package structure
US11948895B2 (en) 2017-03-14 2024-04-02 Mediatek Inc. Semiconductor package structure
CN111418063A (zh) * 2017-12-05 2020-07-14 硅存储技术股份有限公司 具有集成高k金属控制栅的非易失性分裂栅存储器单元及制造方法
JP2021506113A (ja) * 2017-12-05 2021-02-18 シリコン ストーリッジ テクノロー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集積された高k金属制御ゲートを有する不揮発性分割ゲートメモリセル及び製造方法
CN111418063B (zh) * 2017-12-05 2024-01-30 硅存储技术股份有限公司 具有集成高k金属控制栅的非易失性分裂栅存储器单元及制造方法
US10937797B2 (en) 2018-04-03 2021-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CN111696979A (zh) * 2019-03-14 2020-09-22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半导体封装结构
CN111696979B (zh) * 2019-03-14 2024-04-23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半导体封装结构
US12002742B2 (en) 2022-06-13 2024-06-04 Mediatek Inc. Semiconductor package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2960B2 (en) Method for forming gate oxide of semiconductor device
US7183174B2 (en)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90097425A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방법
US8524604B2 (en) Method for forming fine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US9711611B2 (en) Modified self-aligned contact process and semiconductor device
JP2007180478A (ja) フラッシュメモリ素子のレジスタ形成方法
KR100481890B1 (ko) 반도체소자의 게이트 산화막 형성방법
US20090061635A1 (en) Method for forming micro-patterns
KR100258880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JP2008021935A (ja) 電子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25425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JP5331618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390948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 방법
KR100521378B1 (ko) 반도체 장치의 게이트 절연막 및 그 형성 방법
KR100427720B1 (ko) 반도체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20060118734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333652B1 (ko) 반도체소자의콘택홀형성방법
KR100402935B1 (ko)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KR20090029040A (ko) 반도체 패턴의 형성 방법
KR19980048849A (ko) 반도체소자 제조방법
KR20060105291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70075980A (ko) 반도체 소자의 레이아웃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17593A (ko) 리세스 게이트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960001888A (ko) 반도체소자의 콘택 제조방법
US2008022060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ash memo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