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3976A - 레일 유도장치 궤도상의 물체 및 파편 제거 및 탈선 위험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레일 유도장치 궤도상의 물체 및 파편 제거 및 탈선 위험 감지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3976A
KR20090093976A KR1020097011521A KR20097011521A KR20090093976A KR 20090093976 A KR20090093976 A KR 20090093976A KR 1020097011521 A KR1020097011521 A KR 1020097011521A KR 20097011521 A KR20097011521 A KR 20097011521A KR 20090093976 A KR20090093976 A KR 20090093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induction
electrical
sliding bod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1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럭 안드레
Original Assignee
로르 앵뒤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르 앵뒤스트리 filed Critical 로르 앵뒤스트리
Publication of KR20090093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97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0Power and free systems
    • B61B10/04Power and free systems with vehicles rolling trackless on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24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not vehicle-mounted
    • B62D1/26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not vehicle-mounted mechanical, e.g. by a non-load-bearing guide
    • B62D1/265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not vehicle-mounted mechanical, e.g. by a non-load-bearing guide especially adapted for guiding road vehicles carrying loads or passengers, e.g. in urban networks for public transpor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9/00Wheel guards; Bumper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 B61F19/06Nets, catchers, or the like for catching obstacles or removing them from the track
    • B61F19/08Nets, catchers, or the like for catching obstacles or removing them from the track of the drop-dow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9/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ng derailing, e.g. by use of guid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24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not vehicle-mounted
    • B62D1/26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not vehicle-mounted mechanical, e.g. by a non-load-bearing gu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도장치(5) 상에서 이동하는 레일받침 마찰발생장치(32)를 포함하는 미끄럼 본체(25)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미끄럼 본체는 차량의 이동 방향에 대해 유도장치의 전방에 장착되며 소정의 한계를 초과하는 순간 절단되도록 설계되는 크랭크 암(26)에 의해 상기 조립체와 연동한다. 상기 미끄럼 본체(25)는 상기 본체의 상기 마찰발생장치(32) 및 적어도 하나의 측면 사이에 위치되는 물체 또는 파편을 제거하는 장치(43)를 포함한다. 상기 마찰발생장치 및 레일 사이의 전기적 손실은 탈선의 위험이 감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레일-유도형 차량 제조자에게 적합한 것이다.

Description

레일 유도장치 궤도상의 물체 및 파편 제거 및 탈선 위험 감지 장치{DEVICE FOR DETECTING A RISK OF DERAILMENT AND THE RELEASE OF DEBRIS OR OBJECTS ONTO A VEHICLE RAIL GUIDEWAY}
본 발명은 레일의 운송 차량 유도장치의 궤도상의 물체 또는 파편, 더 일반적으로는, 장애물 제거 및 탈선 위험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일에서 지면으로 이동하면서 롤러 유도장치 세트에 의한 도로 차량의 유도장치는 대중 교통 도로 차량의 도시 순환을 위한 최상의 해결책이 될 것이다.
본 출원인은 압축 응력이 유도장치에 가해지는 두 개의 기울어진 롤러로 바닥에 장착된 유도장치의 단일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유도장치 세트를 실현했다.
이 장치는 소음과 안전 수준에서뿐만 아니라 속도에서도 그 성능을 인정받고 있다. 지면에 장착된 유도장치는 선형 공간의 유도장치 홈이 있는 곳에서는 유도장치의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는바, 이는 탈선까지 부를 수 있는 장애물이 모이는 곳이다.
또한 이 궤도를 따라서 단순한 물체가 유도장치 궤도를 방해하는 것에 관련된다. 이러한 물체는 운행 중 사고를 부르는 파편에서부터 부품 또는 잃어버리거나 버려진 물건까지 다양하다.
또한 레일을 따라서 펼쳐져 있는 홈의 경우에는 겨울에 유도장치의 위험한 걸림돌이 될 수 있는 얼음도 고려해야 한다. 깨진 얼음은 물체, 장애물 또는 파편과 유사하다.
유도장치 궤도를 방해하거나 또는 유도장치를 따라서 홈이 있는 선형의 공간에 존재하는 물체와 파편으로 인한 탈선을 피하기 위해서 제거 또는 배출의 두 가지 중요 방법을 이미 제안했다.
첫 번째 방법은 장애물 제거기(돌 따위를 제거함)라 불리는 보호 장치이고 주기능은 유도장치 궤도에 발견되는 물체를 떼어놓는다.
두 번째 방법은 홈을 부분적으로 메우기 위해서 사용된 물질이다. 이 물질은 탄성의 성질이 있어서 롤러가 통과할 때 오는 압력으로 작은 물체를 그 설비 내부로 받아들이거나 또는 롤러를 통과한 후에 튕기게 하여 물체를 배출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롤러를 전체적으로 넓게 들어올리는 탈선까지 부를 수 있는 특이한 물체는 여전히 남아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 및 제거 장치의 사시도로서, 하나의 유도장치와 기울어진 두 개의 롤러가 유도장치 세트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하나의 유도장치에 조립된 도 1의 감지 및 제거 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다.
도 3은 발명에 따라서 감지 및 제거 장치를 실현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단면도로서, 조립되기 전 유도장치 세트 모양을 도시한다.
도 5는 종단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세트 모양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레일받침 마찰발생장치가 두 개의 연속된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장치의 종단 단면도이다.
도 8은 커브에서 유도되는 차축 모듈의 일반적 도면이다.
도 9는 유도장치 세트와 감지 및 제거 장치 간에 본 발명에 따라 커브에서 발생 가능한 축 이탈을 보여주는 도 8의 동그라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안전 감지 회로의 예와 같은 작동의 일반적 원리를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행 동안에 유도장치의 롤러의 통과를 방해하는 여러 가지 물체를 제거하는 것이다. 또한 탈선 위험을 감지하고 장치와 알람 및 안전 절차를 개시할 때 가이드 롤러는 가이드 레일에서 항상 작동 중이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유도장치로 안내되는 단일방향 또는 양방향 차량의 유도장치 궤도를 따라서 물체 또는 파편을 제거하고 이 유도장치 위로 운행되는 유도장치 세트 중 하나가 극단에 장착된 장치로 탈선 위험을 감지하는 장치와 관련이 있으며, 상기 장치는
안내되는 차량의 진행 방향에서 유도장치 세트 중 하나 앞에 조립된 상기 유도장치를 따라 그리고 그 위 미끄럼 본체에 링크 크랭크 암으로 유도장치의 지지대에 맞물린 방식으로 연결되며 유도장치의 빈 면 맞은 편에 물체 및 파편을 들어올려서 제거하는 장치; 및
상기 미끄럼 본체와 분리되는 유도장치와 함께 전기 접속(contact)을 구성하며 개방 또는 닫힘 상태의 상기 전기 접속은 전기 회로에 위치해 있으며, 열차의 탈선 위험을 확인하기 위해서 활용된 전기 회로 상태를 발생시키는 상기 전기 접속의 결함을 통제하는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많은 장점을 가진 본 발명은 많이 비싸지 않고 에너지 소비가 적고 유도장치의 안전성을 보장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레일에서 지면으로 유도되는 타이어 차량을 도로 분야에 적용하는 발명의 예를 설명할 것이다. 당연히 많은 기타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지만 특히 두 개의 레일로 된 유도장치에서 레일 홈의 물체 또는 파편 제거와 탈선 위험 감지 장치에 적용된다.
물체로는 자연적 또는 인위적 장애물의 모든 종류와 환경적 기후상 조건에 따른 예를 들면 얼음과 같은 물체가 있다.
차량 유도장치 궤도에 대한 물체 또는 파편 그리고 더 일반적으로는 장애물 제거 및 감지 장치(1)는 도시 및 공동 운송 도로 차량에서 하나의 차축에 적어도 하나의 유도장치 세트(2)가 진행 방향에서 앞 부분에 조립된다.
또한 감지 및 제거 장치(1)는 두 개의 유도장치 세트(2, 3)의 도 8에 도시된 감지 및 제거 장치(1)를 포함하는 양방향 차량의 차축 모듈(4)의 경우에서 뒤쪽 유도장치(3)의 세트 뒷부분에 조립되었다. 물론 한번에 하나의 유도장치 세트만이 사용된다. 이것은 진행 방향으로 안내되는 유도장치에 관련된다.
유도장치는 버섯모양물체(8, 레일 단면)의 윗면 또는 도시된 예시에서 차도 면 또는 그 근처인 도관(7) 속에 고정된 지주(6)를 포함하며 바닥에서 유도장치(5)를 따라서 실행된다.
유도장치(5)의 실시예는 도 1에 설명된다. 상기 버섯모양물체(8)는 홈(9)과 같이 비어 있는 선형 공간에 의해서 도관 가장자리의 양쪽에서 분리되고 가운데 평면 부분(10)과 유도장치의 두 롤러의 운행을 위해서 대칭으로 기울어진 두 트랙(11, 12)의 윗면을 규정한다.
각각의 홈(9)은 유도장치를 방해하는 물체와 파편이 모일 수 있는 집합소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유도장치(2 또는 3)의 세트는 양방향 차량의 경우에 앞쪽에 그리고 차축 모듈(4)의 뒤쪽에 있는 지지대(14)에 연결된 유도장치의 헤드(13)를 포함한다.
가이드 헤드(13)는 아래쪽으로 안내되는 부분에서 V-형으로 기울어져 대칭으로 두 개의 가이드 롤러(15, 16)를 구비한다. 이 가이드 롤러는 롤러 지지대(17)에 조립되며, 각각의 레일(11, 12)의 비스듬한 트랙 중 하나와 접촉 압력으로 회전된다.
유도장치(13) 앞쪽에 유도장치(5)의 중앙에 V-형으로 열려 대칭되는 두 개의 날개(19, 20)로 이루어진 푸시-오픈 안전 보호물(18)을 롤러 지지대(17)에 조립한다. 상기 날개(19, 20)는 바깥쪽으로 휘어져 있고 양단부에 롤러(15, 16)를 보호하기 위해서 이들 앞에 높게 펼쳐진 제거부(23, 24)의 경사 부품에 의해서 각각 내려온 전방 헤드 표면(21, 22)을 형성한다.
이 안전 보호물(18)의 각 전방 헤드 표면은 유도장치 궤도에서 물체 또는 파편 더 일반적으로는 도달하는 장애물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이들을 양쪽 측면으로 강하게 밀어내는 칸막이 벽을 구성한다.
상기 롤러 지지대(17)에서 유도장치(5)의 미끄럼 본체(25)는 가이드 헤드(13)로부터 거리를 두고 앞쪽에 조립된다. 앞쪽이라는 표현은 차량 진행 방향 및 앞(전면)이라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것은 링크 크랭크 암(26)의 기계적 연결을 통해서 가이드 헤드(13) 앞쪽에 연결되어 조립된다. 상기 링크 크랭크 암(26)은 한편으로는 축 회전(27) 기준(reference) 연동장치 예를 들면 측면 탄력운동에 의해서 롤러 지지대(17)의 양 극단 중 하나에 연결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링크 크랭크암은 측면 탄력운동이 있는 축 회전 기준에서 두 번째 연동장치(28)에 의해서 감지 및 제거 장치(1)의 미끄럼 본체(25)에 연결된다.
연동장치(27, 28)는 유도장치(5)에서 가로 축 주변의 축 회전 연동장치의 기준(reference)이다.
아래쪽으로의 압축 응력은 롤러 지지대(17)의 앞쪽과 링크 크랭크 암(26) 사이에 조립된 압축 스프링(29)을 통해서 감지 및 제거 장치(1)의 미끄럼 본체(25)에 가해진다. 링크 크랭크 암은 퓨즈 기능이 있다. 왜냐하면 파열(단절)의 경향을 보이며 퓨즈와 같은 성능의 재료와 방식으로 만들어진 자재로 구성된다. 즉 세로 방향으로 제한된 힘 이상을 가하게 되면 기계적으로 파손된다. 예를 들어 제한 값으로 누르는 힘에서 이미 한정된 기계적 제약에 따라 단절되는 자재로 만들어졌다. 링크 크랭크 암은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커브에서 미끄럼 본체(25)가 유도장치를 따라가기 위해서는 변형될 수 있다.
링크 크랭크 암(26)은 평면에서 측면으로의 탄력운동에도 유연하다. 반대의 경우에 축 회전 연동장치(27, 28)는 레일과 수직인 축 주변에서 탄력운동을 가능케 한다.
미끄럼 본체(25)는 유도장치(5) 위에 위치하며, 유도장치를 따라서 그 위에서 미끄러지는 기계적 세트 또는 블록이다.
이것은 단일 블록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혼합 블록 즉 여러 부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기능상으로 유도장치와 함께 전기 접속을 구성하고 유도장치 궤도에서 파편과 물체의 제거 및 들어올리기 장치를 구비한다.
전기 접속은 해제 가능한 결합 방식으로 미끄럼 본체(25)에 위치해 있다.
이어서, 도면에서 제시된 두 가지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미끄럼 본체(25)는 레일에서 약간 먼 부분(31)에서 내려오는 측면 양 쪽과 레일 맞은편에 있는 본체는 버섯모양물체(8)의 측면에 부분적으로 유도장치를 둘러싸면서 통 모양의 부품(element30)을 구성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 모양 부품(30) 내부에 그 상위 부분 아래 면에, 레일과 전기 접속 부품을 사용하여 레일받침 마찰발생장치(32)를 분리될 수 있게 조립되었다. 그 아래 면(sub-face)(33)은 이 레일에 대한 유도장치의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유도장치(5) 상위 부분 모양에 따른 측면도이다.
이상에서 제거 및 들어올리기 장치와 함께 미끄럼 본체(25)와 레일받침 마찰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기계적 구성을 설명했다. 제거 및 들어올리기 장치와 함께 미끄럼 본체(25)와 레일받침에서 물리적 및/또는 기능적으로 분리된 구성을 설명한다.
전기 접점의 레일받침 마찰발생장치(32)는 차량에 장착된 탈선 위험 감지용 전기 회로에 속한다. 경우에 따라서 장치를 작동시키고 알람과 안전 절차를 개시하는 반면에 가이드 롤러는 항상 유도장치에서 사용된다.
레일받침 마찰발생장치(32)는 탄력있는(잘휘는) 전기 링크(35)로 전기적 연속 부분(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전도체 피복 형태로 변형하면서 미끄럼 본체(25)의 움직임을 따른다. 전기 감지 회로는 링크의 전기 케이블(36)에 의해서 전기 연속 부분(34)에서 운송 차량까지 이어진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유도장치(5)와 감지 및 제거 장치(1)의 레일받침 마찰발생장치(32)의 전기 접속의 고장은 운행과 운송 안전을 위해서 기능 관리 센터 시스템과 연결된 운송 차량 감지 회선에 의해서 알람처럼 사용되는 개방 회선 상태라 불리는 전기 회선의 상태에 해당된다.
미끄럼 본체(25)의 레일받침 마찰발생장치(32)는 단일 블록 또는 복합체로, 예를 들면, 두 부분으로 되어 있다. 두 부분의 실시예는 도 7의 단면에 도시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이를 구성하는 레일받침(37, 38)을 형성하는 두 도체 블록은 적당한 두께의 전기적 절연체 색인카드로서 비어 있는 또는 점유된 간격(39)으로 분리된다.
블록(37)이 더 크다. 왜냐하면 전기적으로 큰 전류량을 갖는 피드백 회로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복합 레일받침 마찰발생장치를 구성하는 두 개의 전기 블록 도체는 두 개의 레일받침 마찰발생장치(37, 38)의 전원이다. 이들은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분리되지만, 분리된 블록 도체의 개별 전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계적으로 유지 및 결합한다.
레일받침 마찰발생장치(37, 38)를 구성하는 두 기계 블록은 분리된 전기 링크(41, 42)에 의해서 분리된 하나의 회로 또는 여러 회로에 적당한 전기 절연(40)에 의해서 보호되며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열차받침 마찰발생장치(37)에 해당되는 전기 링크(41)는 횡단(travers)을 하므로 더 강한 전류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더 강한 구역(secton)이다.
따라서, 상기 레일받침(37)을 통해서 차량의 전원공급인 피드백 전류를 인가한다.
가능한 회선 중에서 두 장치, 즉, 전기 작동 장치와 제어 장치를 구별한다.
이것은 안전과 감시의 단순한 회로 이외에 레일의 전기적 연속성, 차량의 전기 전원공급, 전원 공급 회로 그리고 신호와 기능의 여러 유형을 위해서 다양한 회로 상태에 해당된다.
미끄럼 본체(25)가 두 레일받침 마찰발생장치(37, 38)를 통해서 유도장치(5)와 닿을 경우 이는 세 가지 회로의 가능성을 실현한다. 첫째는 제 1 레일받침 마찰발생장치(37)와 레일 사이이고, 두 번째는 제 2 레일받침 마찰발생장치(38)와 레일 사이이며, 세 번째는 전기적 연속성이 레일과 두 레일받침 마찰발생장치의 동시 접촉으로 이루어지는 두 레일받침 사이이다. 그래서 세 가지 전기적 방식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은 작동 제어에 관련된 특히 유도장치의 안전에 활용된다.
경우에 따라서 즉 미끄럼 본체의 들어올림 정도에 따라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전기적 연속성이 차단될 수 있다. 즉 레일과 레일받침들 중 하나의 전기적 연속성 또는 레일받침 간의 전기적 연속성이 차단될 수 있다. 적어도 두 회로 중에 하나는 열린다.
결국 탈선 위험 감지 회로의 열린 회로 상태를 구성하고 확인하기 위해서 두 개의 레일받침(37, 38) 중 하나의 접점 표면을 유도장치(5)와 비교해서 들어올려 멀어지게 하면 된다. 이 상태는 차량과 특히 차량 안전 관리 센터에 의해서 고려될 것이다.
안전 예방 조치를 작동시키는 감지 회로 또는 감지 회로들 중 하나는 궤도 고정 설비를 통해서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궤도의 고정된 발생기는 전기적 에너지를 가진 접점의 공중 라인과 레일 사이에 전기 주파수 신호를 보낸다. 이 신호는 유도장치 그리고 접점의 공통 라인을 통해서 차량에 도달하고 적합한 감지 모듈에 의해서 차량 내부에서 분석되거나 감지된다.
수신되지 않은 신호는 레일받침에서 벗어난 것에 해당된다. 안전에 대한 예방 조치로 긴급 제동을 걸 수가 있다. 또한 감지 회로는 장착된 설비를 통해서 실행될 수 있다. 감지 회로의 보완적 설명은 도 10에 나와있다.
이 감지 회로는 차량에 조립된 레일받침과 유도장치 간에 전기 접속을 통제한다.
이 회로의 작동에는 적어도 두 개의 레일받침이 필요하다. 적당한 두께의 전기적 절연체 색인카드에 의해서 빈 또는 점유된 인터벌(interval)(39)로 분리된 레일받침 마찰발생장치(37, 38)를 구성하는 두 개의 블록 도체를 포함하며 도 7의 변형예와 호환된다. 그러나 이 감지 회로는 유도장치와 함께 접점에서 적어도 두 개의 레일받침을 포함하는 기타 실현 모드에 적합하다. 이것은 정격 전류의 레일받침과 피드백 전류 레일받침에 관한 것이다.
유도장치에 관하여 레일받침의 상태를 알기 위해서 레일받침과 전기적으로 닿아있는지 아닌지를 알기 위해서 기준(reference)을 만든다. 이를 위해서 전자 감시 시스템(48) 중앙에 제어 루프를 장착한다. 이 루프에서 유도장치(5)는 전기적 관점에서 접지이다.
차량은 전자 감시 시스템(48)의 작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한다. 이 에너지는 접지 즉 유도장치(5)에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야 한다. 또한 감시 시스템(48)은 갈바니(galvanic) 절연(49)을 통해서 차량으로부터 절연되어야 한다.
전자 감시 시스템(48)은 전기 자극 신호 발생기(50)를 포함한다. 이 발생기는 도 10에서 <<레일받침 A>>라 불리는 제 1 레일받침(51) 쪽으로 전기 자극 주파수 신호를 보낸다.
정상적 작동 상태에서 레일받침(A)은 유도장치(5)를 통해서 <<레일받침 B>>라 불리는 제 2 레일받침(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자 감시 시스템(48)은 또한 레일받침(B)에 연결된 제어 장치(53)를 포함한다. 이 제어 장치는 발생기(50)로 보내진 전기 자극 신호가 레일받침(A)과 유도장치(5)를 통해서, 레일받침(B)을 통해 잘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제어 장치(53)가 전기적 자극 신호를 받지 않으면 이는 전기 회로가 레일받침(51, 52) 중 하나로부터 벗어나 중단되었거나 또는 두 개의 레일받침을 포함하는 유도장치(5) 부분의 결함으로 단절된 것을 의미한다.
제어 장치(53)는 차량 중앙 관리와 운송 안전을 확인하는 총괄 시스템에 감시 시스템(48)의 상태 정보를 보낸다. 이 총괄 시스템은 경우에 따라서 오류 신호가 있을 때 긴급 제동과 같은 안전 예방 조치를 작동시킨다.
유리하게도 감시 시스템(48)은 각 상태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각 레일받침의 벗어남을 완벽하게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이 이 오류를 감지하기 위해서 두 레일받침이 다 벗어날 필요는 없다. 게다가 감시 시스템(48)은 두 레일받침(51, 52) 간의 전기적 회로 차단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레일받침 간에 위치해 있는 유도장치(5) 부분의 오류를 감지한다.
우선순위 실현 모드에 따르면 위에 서술된 전자 감시 시스템(48)은 미끄럼 본체(25)에 대해서 레일받침(51, 52) 위에 조립되는 콤팩트 박스 안에 있다.
미끄럼 본체의 다른 주요 기능은 유도장치 궤도에 있는 물체와 파편을 제거하는 기능이다.
이 때문에 미끄럼 본체의 일반적 형태는 쟁기 날과 같다. 왜냐하면 앞에는 굽은 부분이 형성되고 뒤쪽에서는 확장되기 때문이다.
미끄럼 본체(25)는 그 각 측면에 전향장치(vane)가 있고 미끄럼 본체(25)의 각 측면(31)의 양쪽에 측면 제거 유도등(43)이 있다.
측면 제거(43) 및 들어올리기의 각 유도등은 수평 측판(46)을 따라 전향장치를 구성하며, 아래쪽으로 굽은 부리 모양(45)에서 기울어져 올라가는 들어올리기 전향장치(44)를 구성한다. 유도등은 바깥쪽으로 경사진 횡단 칸막이의 형태로 측면 배출의 비스듬한 굴절기(추력반전장치)(47)를 통해서 규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변형예는 이미 설명된 것과 동일한 일반적 특성을 보여준다. 이는 더 세밀한 변형예를 보여주는데 유도등(43)과 통 모양 같은 기계 세트에 통합되어 있다. 즉 이 부품들은 접힌 금속판과 같은 단일 부품으로 실현될 수 있다.
기계의 취약성 즉 미끄럼 물체를 포함하는 링크 크랭크 암(26)의 절단은 다음과 같이 규정되어 있다. 즉 링크 크랭크 암은 특히 유도장치 측면을 피하면서 가이드 롤러를 너무 위쪽으로 들어올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 들리면서 끊어져야 한다.
발명에 따르면 장치는 유도장치 궤도를 막는 물체 또는 파편의 돌출에 저항하기 위해서 과도한 힘이 적용되는 경우에 조립된 지지대로부터 기계적 연결을 끊는 퓨즈가 있다.
게다가 크랭크 암(26)을 롤러 지지대(17)에 연결하는 축 회전 연동장치(27, 28)의 측면 탄력운동의 이유로 그리고 그 유연성의 특징을 지닌 이유로 미끄럼 본체는 완벽하게 커브에서 언제든지 레일을 쉽게 따라갈 수 있다. 또한 유도장치 세트의 손상과 탈선을 일으킬 수 있는 유도장치의 오작동 발생을 막고 점진적인 편심 및 자동-재정렬의 기능이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은 각각의 제거 및 감지 장치가 구비하는 하나(2)는 앞에 있고 다른 하나(3)는 뒤에 있는 두 개의 유도장치 세트의 한 차축 모듈(4)을 보여주는 도 8 및 도 9에 설명되어 있다. 유도 장치의 두 개의 헤드(head)를 지닌 이 세트는 양방향 차량에서 찾아볼 수 있다. 각각의 A 및 B의 감지 및 제거 장치와 유도 장치 세트의 종단 축은 링크 크랭크 암의 유연성 및/또는 축 회전 연동장치의 측면 탄력운동에 의해서 미끄럼 본체(25)의 정확한 유도장치를 보장하면서 커브에서 각 "α"를 분할한다.
전반적 기능은 아주 단순하다.
작은 물체 또는 파편은 운행에 영향을 주지 않은 미끄럼 본체 아래로 사라진다.
기타 물체 또는 파편 예를 들어 더 큰 덩어리는 측면 제거 유도등(43)이 그 제거 기능을 수행한다. 물체 또는 파편은 비스듬하고 수평인 레일받침으로 인해서 전향장치에 도달하고 유도장치 세트의 전진 움직임에 의해서 궤도 바깥쪽 측면으로 밀어진다.
큰 물체 또는 파편 또는 탈선을 일으킬 수 있는 심각한 장애물로 인해, 미끄럼 본체(25)는 장애물 위로 지나갈 때 그리고 시공(construction)시에 한정된 기계적 제약이 발생하면 들어 올려진다. 링크 크랭크 암(26)은 퓨즈 역할을 하면서 끊어진다. 탈선 위험을 감지하는 미끄럼 본체(25)는 레일에서 떠나지만 가이드 롤러는 아직도 레일 위에서 작동한다.
이 링크 크랭크 암(26)은 또한 장애물 위를 지나갈 때 들어 올려지며 같은 방식으로 레일받침에서 벗어남 즉 탈선 위험을 감지한다.
물론, 만약 장애물이 너무 크다면 미끄럼 본체(25)는 앞쪽에 충격을 받게 되고 링크 크랭크 암(26)은 부서질 것이다.
발명에 따르면 제거 및 감지 장치는 대부분의 경우 야기될 수 있는 피해를 막기 위해서 운송 차량 유도장치의 안정을 보장하고 차량 정지를 명령하다.

Claims (23)

  1. 적어도 하나의 유도장치(5)로 안내되는 일 방향 또는 양방향 차량의 유도장치 궤도를 따라가는 물체 또는 파편 제거 및 탈선 위험 감지 장치로서, 일 방향 및 양방향 차량을 위해서 상기 유도장치(5) 위로 운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도장치 세트(2, 3)가 극단에 설치되는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도장치 세트(2, 3) 중 적어도 하나의 세트 앞쪽에 또는 안내된 차량 진행 방향에 설치된 유도장치(5)를 따라서 그리고 그 위에 미끄럼 본체(25)가 위치하며, 상기 미끄럼 본체(25)는 링크 크랭크 암 (26)에 의해서 유도장치(2 또는 3)의 한 세트의 지지대에 맞물려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도장치의 빈면 맞은 편에 위치하는 물체 또는 파편 제거 및 들어올리기 장치; 및
    상기 미끄럼 본체(25)와 분리되며 연속적인 상기 유도장치(5)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속을 구성하며 개방 또는 닫힘 상태의 상기 전기 접속은 전기 회로에 위치해 있으며, 열차 탈선 위험을 확인하기 위해서 활용되는 전기 회로 상태를 구성하는 상기 유도장치(5)와 함께 이 부품의 전기 접속의 결함을 처리하는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 크랭크 암(26)은 상기 미끄럼 본체(25)에 가해진 소정의 힘 이상을 주었을 때 절단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 크랭크 암(26)은 유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크랭크 암(26)은 수평면 측면 탄력운동에서 유연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크랭크 암(26)은 상기 유도장치(2 또는 3) 세트의 일부가 되는 상기 지지대 또는 미끄럼 본체(25)에서 연동장치(27, 28)의 각 양 끝단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연동장치(27, 28)는 축 회전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연동장치(27, 28)는 상기 유도장치(5) 레일을 횡단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링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연동장치(27, 28)는 상기 유도장치(5)와 세로 직각 축 중심으로 축회전하는 연동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 회전 연동장치(27, 28) 중 적어도 하나는 측면 탄력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암(26)은 상기 유도장치 위에 미끄럼 본체(25)의 압력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은 탄성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점 부품은 내부 좁은 측면 또는 아래 면이 유도장치(5) 레일 위쪽 면에 영향을 주는 미끄럼 본체(25)에 위치해 있는 레일받침 마찰발생장치(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받침 마찰발생장치(32)와 유도장치(2 또는 3) 세트 지지대 위의 전기적 연속성 점 간의 전기적 연결은 전기적으로 유연한 연결(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본체(25)의 마찰발생장치는 전기적으로 절연된 인덱스(29) 또는 빈 인터벌(간격)로 분리된 레일받침 마찰발생장치(37, 38)를 형성하는 연속적인 두 개의 블록으로 실현되며, 상기 각각의 레일받침은 적어도 두 개의 전기 회로 안의 유도장치(5)와 함께 상기 레일받침의 전기 접속을 만들기 위해서 전기적 링크(41, 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도장치(5)는 한편으로는 각 블록(37, 38)과 레일 사이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두 블록 (37, 38) 사이에 상기 유도장치가 이것과 동시에 닿았을 때 전기적 연속성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받침 중 하나(37)는 다른 것(38)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두 회선은 한편으로는 상기 레일받침(37)을 위해서 전원공급과 제어에 관련된 회선 장치 또는 전원공급 피드백 회로용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레일받침(38)을 위해서 운행 제어와 안전을 위한 감지 회선 또는 이런 성능에 관련된 회로 장치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선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도장치(5)를 통해서 오는 주파수 신호를 위해서 궤도의 고정 발생기와 상기 레일에 있는 레일받침 접점을 포함하며, 차량의 수신기는 상기 레일받침과 레일이 닿는 경우에 신호를 감지하고, 접점이 닿지 않은 경우에는 감지하지 못하며 이때에는 운송되는 여객과 화물의 안전을 위해서 조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자 감지 회로에 위치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레일받침 마찰발생장치(51, 52)의 형태로 상기 유도장치(5)와 함께 전기 접속의 두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 감지 회로는 차량에 의해서 전원이 공급되며 장착된 전자 감시 시스템(48)을 포함하고 이것은 갈바니(galvanic) 절연되며, 전기 자극 신호 발생기와 상기 유도장치(5)와 두 개의 레일받침 마찰발생장치(51, 52)를 통해서 제어 루프에 연결된 제어 장치(53)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53)는 전기 자극 신호 발생기(50)에 의해서 보내진 전기 자극 신호를 상기 제어 장치(53)가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차량 관리 시스템에 이 정보를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거 및 들어올리기 장치는 상기 미끄럼 본체(25) 측면에 존재하는 장치이고 상기 제거 및 들어올리기의 측면 유도등(43)을 포함하며, 칸막이 아래 측면 배출의 횡단 굴절기(47)에서 끝나는 회전판의 수평 측판과 함께 아래쪽으로 굽은 부리 모양(45) 앞에 기울어져 올라가는 들어올리기 전향장치(44)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도장치 세트의 지지대는 그 끝단에서 상기 유도장치 세트(2 또는 3)의 세로 축을 기준으로 대칭인 양 날개(19, 20) 또는 유도장치(5) 축 중앙에 V자로 날개가 펼쳐지는 안전 루프(18)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날개는 바깥쪽으로 휘어져 있으며 각 끝단에 각각 롤러(15, 16)를 보호하면서 제거 설비(23, 24)에서 끝나는 강화된 전방 헤드 표면(21, 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차량의 차축 모듈(4)의 전/후 유도장치(2, 3) 세트에서 개별적으로 앞쪽과 뒤쪽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공 운송 도시 도로 차량에서 상기 레일은 적어도 하나의 유도장치 세트가 지면에서 운행되는 유일한 레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장치 세트는 기울어진 두 개의 롤러(15, 16) 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97011521A 2006-11-29 2007-11-28 레일 유도장치 궤도상의 물체 및 파편 제거 및 탈선 위험 감지 장치 KR200900939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610435 2006-11-29
FR0610435A FR2909061B1 (fr) 2006-11-29 2006-11-29 Dispositif de detection du risque de deraillement et d'evacuation de debris ou d'objets sur la voie de guidage par rail d'un vehic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976A true KR20090093976A (ko) 2009-09-02

Family

ID=38191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1521A KR20090093976A (ko) 2006-11-29 2007-11-28 레일 유도장치 궤도상의 물체 및 파편 제거 및 탈선 위험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141496B2 (ko)
EP (1) EP2121413B1 (ko)
JP (1) JP5283630B2 (ko)
KR (1) KR20090093976A (ko)
CN (1) CN101626939B (ko)
AT (1) ATE476348T1 (ko)
DE (1) DE602007008294D1 (ko)
ES (1) ES2349530T3 (ko)
FR (1) FR2909061B1 (ko)
RU (1) RU2450949C2 (ko)
WO (1) WO20080749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3769A (ko) * 2013-12-23 2015-07-01 주식회사 포스코 레일 더스트 제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09061B1 (fr) * 2006-11-29 2009-01-09 Lohr Ind Dispositif de detection du risque de deraillement et d'evacuation de debris ou d'objets sur la voie de guidage par rail d'un vehicule.
KR101565637B1 (ko) 2009-07-13 2015-11-03 지멘스 에스에이에스 안내식 차량을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을 잠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572713B1 (ko) * 2009-07-28 2015-11-27 지멘스 에스에이에스 안내식 차량의 탈선을 감지하는 방법 및 장치
DE102010045568A1 (de) * 2010-09-16 2012-03-22 Knorr-Bremse Systeme für Schienenfahrzeuge GmbH Verfahren zur Entgleisungsdetektion bei einem Wagon
JP5325199B2 (ja) 2010-12-20 2013-10-2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式車両
FR2981904B1 (fr) * 2011-10-28 2013-11-01 Lohr Ind Systeme de controle dynamique du roulage du ou des galets de guidage pour un ensemble de guidage d'un vehicule le long d'au moins un rail.
FR2982827B1 (fr) * 2011-11-22 2013-11-29 Lohr Ind Dispositif de securite anti-extraction a reengagement pour un ensemble de guidage a galets roulant sur un rail de guidage
EP2641806A1 (fr) 2012-03-21 2013-09-25 Siemens S.A.S. Dispositif de maintien d'une trajectoire d'un véhicule guidé en cas de déraillement et/ou déguidage.
EP2676863A1 (fr) * 2012-06-20 2013-12-25 Siemens SAS Méthode et dispositifs de protection contre une perte de guidage d'un véhicule guidé
CN103264703A (zh) * 2013-06-04 2013-08-28 张振宇 向限车轨系统
EP2832622B1 (fr) * 2013-07-29 2016-05-25 Siemens S.A.S. Méthode et dispositifs de contrôle d'un enraillement correct d'un véhicle guidé
US9597969B2 (en) * 2013-08-06 2017-03-21 Amres Network Coalitio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road electric conductivity boxes and on-vehicle descent and pivot contacts for vehicles
FR3014400B1 (fr) * 2013-12-11 2016-02-05 Alstom Transport Sa Vehicule terrestre guide comprenant un dispositif de gestion d'un deraillement du vehicule , et procede de gestion du deraillement associe
CN106184274A (zh) * 2016-09-09 2016-12-07 师伟 一种防止高铁脱轨设置
CN107139959A (zh) * 2017-05-24 2017-09-08 中车四方车辆有限公司 一种防脱轨排障装置
CN107512272A (zh) * 2017-08-30 2017-12-26 中车四方车辆有限公司 非动力走行装置及胶轮导轨电车
CN107512273A (zh) * 2017-08-30 2017-12-26 中车四方车辆有限公司 动力走行装置及胶轮导轨电车
FR3096950B1 (fr) * 2019-06-05 2022-07-22 Newtl Dispositif de surveillance de l’usure d’un flasque de gale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8597A (en) * 1872-07-02 Improvement in railways
DE312193C (ko) * 1915-11-24
GB2085825B (en) * 1980-09-05 1984-03-21 British Railways Board A measuring vehicle for roadways especially railway tracks
US5277285A (en) * 1989-07-20 1994-01-11 Musachio Nicholas R Electrical vehicle transporation system
JP2695976B2 (ja) * 1990-08-29 1998-01-14 株式会社東芝 脱線検出装置
FR2715119B1 (fr) * 1994-01-20 1996-02-23 Lohr Ind Bras perfectionné d'autoguidage d'un véhicule routier le long d'un rail directeur.
FR2735728B1 (fr) * 1995-06-23 1997-08-08 Lohr Ind Ensemble d'alimentation electrique et de guidage le long d'un rail au sol pour vehicule sur roues
FR2759340B1 (fr) * 1997-02-11 1999-04-09 Lohr Ind Systeme de guidage le long d'au moins un rail au sol pour un essieu d'un vehicule routier
FR2778161B1 (fr) * 1998-04-30 2000-07-21 Lohr Ind Ensemble bidirectionnel de guidage le long d'un rail autorisant un deport lateral pour un essieu routier
RU2196200C1 (ru) * 2001-05-15 2003-01-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завод "Измерон" Контрольно-измер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рки состояния рельсовых путей
FR2846917B1 (fr) * 2002-11-08 2005-01-07 Lohr Ind Dispositif de controle permanent de la mise a la terre pour un vehicule de transport en commun electrique sur pneus et autoguide
FR2860480B1 (fr) * 2003-10-02 2007-01-26 Eurodim Sa Systeme de guidage pour vehicule le long d'au moins un rail directeur.
FR2865986B1 (fr) * 2004-02-09 2007-04-13 Lohr Ind Galet incline de guidage a utiliser par paire pour un ensemble de guidage le long d'un rail.
JP5071620B2 (ja) * 2005-11-30 2012-11-14 昌人 八川 車両の安全装置、車輪誘導部材および車輪誘導装置
FR2909061B1 (fr) * 2006-11-29 2009-01-09 Lohr Ind Dispositif de detection du risque de deraillement et d'evacuation de debris ou d'objets sur la voie de guidage par rail d'un vehicu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3769A (ko) * 2013-12-23 2015-07-01 주식회사 포스코 레일 더스트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9124474A (ru) 2011-01-10
FR2909061A1 (fr) 2008-05-30
JP2010510932A (ja) 2010-04-08
CN101626939B (zh) 2012-10-24
EP2121413A1 (fr) 2009-11-25
ES2349530T3 (es) 2011-01-04
FR2909061B1 (fr) 2009-01-09
WO2008074942A1 (fr) 2008-06-26
RU2450949C2 (ru) 2012-05-20
JP5283630B2 (ja) 2013-09-04
CN101626939A (zh) 2010-01-13
DE602007008294D1 (de) 2010-09-16
US8141496B2 (en) 2012-03-27
EP2121413B1 (fr) 2010-08-04
US20100065692A1 (en) 2010-03-18
ATE476348T1 (de) 2010-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3976A (ko) 레일 유도장치 궤도상의 물체 및 파편 제거 및 탈선 위험 감지 장치
KR101063086B1 (ko) 궤도계 교통 장치
RU2137643C1 (ru) Устройство идентификации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для системы управления персональной скоростной перевозки
KR101466354B1 (ko) 갠트리형 건널목 이동식 전차선
US20160167532A1 (en) Mounting device and contact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 contact apparatus on a mounting device
KR102146933B1 (ko) 히팅장치가 구비된 산악철도용 분기기
KR20130069606A (ko) 육상 수송수단에 있어서 동기 또는 보조 전기에너지의 일시적 또는 연속적 집전을 위한 상부 측변 구조
MX2011002401A (es) Linea conductora, recolector y sistema de lineas conductoras.
JP5336491B2 (ja) 車両用の案内及び地上での電気エネルギー取り込み装置、ならびにそのような装置を備える都市交通車両
BR112016001806B1 (pt) Conjunto de interruptor elétrico, sistema de monitoramento, trilho de orientação e método de controle automático do correto posicionamento sobre um trilho
CN108482388B (zh) 用于空中轨道列车与站台之间的踏板系统及其控制方法
JP2007508977A (ja) 陸上車両給電用安全強化床付け電気エネルギー引き込み装置
JPS58145532A (ja) 車両の集電装置
KR20110080825A (ko)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EP2964831B1 (en) Rail junction assembly
RU2585397C1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ая станция
KR101137504B1 (ko) 절연기능을 갖는 전동차용 전기공급 장치
DE10225962B4 (de) Stromschiene entlang der Straßenfahrbahn zur Stromversorgung von elektrisch betriebenen Kraftfahrzeugen
KR20220119641A (ko) 전동 철도차량의 운전을 위한 선로구간
CN208615725U (zh) 一种地沟式的移动供电系统
WO2013007305A1 (en) A switch and use of such a switch
KR102509167B1 (ko) 전기 철도의 계통 공급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463734Y1 (ko) 차체 접지장치
KR200425738Y1 (ko) 집전장치 절연기능을 갖는 소음저감장치
CN109955738B (zh) 导电轨过渡装置和具有其的道岔、轨道交通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