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1547A -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1547A
KR20090091547A KR1020080016871A KR20080016871A KR20090091547A KR 20090091547 A KR20090091547 A KR 20090091547A KR 1020080016871 A KR1020080016871 A KR 1020080016871A KR 20080016871 A KR20080016871 A KR 20080016871A KR 20090091547 A KR20090091547 A KR 20090091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sturtium
skin
inflammatory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3278B1 (ko
Inventor
설장호
백남용
김동호
고재건
김동현
이호준
전용석
임남훈
이영희
김명화
박봉수
변상요
송영근
김진형
Original Assignee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주)나노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주)나노젠 filed Critical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6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278B1/ko
Publication of KR20090091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련초(Eclipta prostrate)와 사상자(Cnidium Monnieri Fruit)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민감성 피부에 대하여 상승적인 항염 및 피부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다.
한련초, 사상자, 항염, 피부자극완화, 화장료

Description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 중 가장 큰 기관으로 항상 외부와 접하고 있으면서 여러 가지 자극이나 건조한 환경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보호막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다른 기관에 비하여 새로운 세포의 생성과 소멸이 활발히 일어나는 기관이다. 또한, 물리적인 찰과상으로부터 보호하고, 몸 안에 가지고 있는 물의 손실을 막아주며 태양으로부터 나오는 해로운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해주고, 몸의 체온을 조절해주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아기 피부는 하얗고 부드러우며 여드름 같은 염증이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아기 피부는 결코 여성들이 이상적이라 생각하는 것처럼 좋은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극히 미성숙한 상태로 인해 외부와의 경계를 이루는 각질층이 성인에 비해 얇고 각질층의 수분 함유량 및 각질층이 보유한 가장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인 표피의 보호 장벽 기능이 약한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아기피부는 외부영향에 민감하며, 바이러스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이렇듯 아기 피부는 건조한 피부가 되기 쉽고 이 건조한 피부는 면역기능이 약화되어 아토피 피부염뿐만 아니라 여러 피부 질 환으로 발전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약하고 민감한 피부일수록 항염 및 피부 자극완화 기능의 강화가 절실하다 하겠다.
더욱이 최근 산업사회의 발달로 환경오염 및 과잉영양에 따른 유해산소에 인체가 직간접적으로 노출되어 있다. 유해산소는 활성산소라고도 불리우며 가장 안정한 형태의 산소인 삼중항 산소(triplet oxygen)가 산화, 환원과정에서 환원을 받아 생성되는 단일항 산소(singlet oxygen)인 활성산소(superoxide anion), 과산화수소(hydrogenperoxide; H2O2)와 수산기(hydroxyl radical;·OH)와 같은 자유기(free radical)로서, 이들이 진피의 결합조직인 콜라겐, 엘라스틴, 히아루론산 등을 파괴하여 피부의 일정 부위 침하 현상(주름)을 일으키며 또한 세포막의 지질 부분을 산화시켜 세포의 파괴 현상을 일으켜 피부염, 여드름, 피부암 등의 질병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라디칼은 멜라닌 형성과정 중 자발적인 산화반응에 관여하여 기미, 주근깨 등의 원인 및 주름생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피부에는 세포들을 결합시키는 세라마이드라는 성분이 있는데 이 성분이 있을 때는 세포들이 촘촘하게 붙어 있어서 피부가 탱탱하지만, 부족한 피부는 보호장벽 기능이 저하되어 자외선, 건조함, 스트레스 등에 의한 외부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없으며, 수분증발을 막을 수 없다. 피부 속의 유, 수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피부의 제일 바깥 층에 있는 각질층이다. 건강한 피부는 각질층의 세포들이 촘촘하여 피부를 잘 보호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세라마이드가 부족할 경우에는 세포들이 촘촘하지 않고 열려 있어서 피부 속의 유, 수분을 보호하지 못하게 되고 건조해지면서 탄력을 잃어 버리는 것이다. 아기피부도 마찬가지로 아기피부에서 대표적인 질병인 아토피를 예로 들면 아토피 피부는 세라마이드 결핍으로 인해 세포가 촘촘하지 않아서 외부의 유해물질을 막아내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염증은 세균과 같은 외부 이물질의 침입과 상처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생리적인 반응이다. 인체는 염증현상을 통하여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 분해효소와 사이토카인(cytokine)등의 세포 생성물을 분비함으로써 치료 및 방어를 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염증작용이 과도하게 일어나면 단백질 분해 효소들에 의해 주변 세포 및 결합조직이 손상을 입고 결합 조직의 손상은 피부의 탄력을 감소시켜 주름의 원인이 될 뿐 아니라 나아가 세포의 재생 및 증식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어 빠른 피부노화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적절한 조건하에서는 염증은 초기 상태가 지난 후에는 정상기능을 되찾게 되지만 염증과정이 지속적 또는 만성적으로 계속되면 심각한 조직의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
염증과 함께 백혈구의 이주를 촉진시키는 매개체의 생성은 아라키돈산을 통한 과정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이 경로는 사이클로옥시게나제에 의한 과정과 리폭시게나제에 의한 과정으로 되어 있으며 이들 효소에 의해 생성된 류코트리엔과 프로스타글란딘이 염증 유발 인자로 작용한다. 따라서 리폭시게나제와 사이클로옥시게나제의 저해제는 염증유발물질의 생성 억제뿐만 아니라 염증 시 생성되는 활성산소에 의한 세포막 파괴와 지질의 과산화반응을 억제하는 물질로서 항염증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과다 염증에 의해 생성되는 단백질 및 지질분해효소들을 억제함으로써 그로 인해 손상되는 세포들을 보호하여 피부노화를 억제할 수 있다.
최근 활성산소를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인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효소계열의 예방적 항산화제인 SOD(superoxide dismutase), 카탈라아제(catalase),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glutathione peroxidase) 등과 천연항산화제인 토코페롤(tocopherol),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카로테노이드(carotenoid), 글루타치온(glutathione) 및 합성항산화제인 BHA, BHT 등 많은 항산화제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들은 고가일 뿐만 아니라 배합 시 안전성 및 안정성이 좋지 못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얻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 아토피 등 여러 피부 질환의 주된 증상인 가려움증이나 피부자극완화에는 스테로이드나 항히스타민제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부작용이 있고 화장품 등 일반적인 피부 외용제에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지금까지의 치료 보조제로 이용되는 외용제 또는 화장품은 피부 건조를 완화하는 제품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자유라디칼과 염증에 의한 피부 트러블의 개선을 위해서는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 효과가 우수하며, 부작용이 없고 비용이 저렴하며 안정성이 우수하여 사용이 용이한 화장료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편 한련초(Eclipta prostrate L.)는 국화과 식물로 우리 나라 제주도, 남부지방, 중부지방의 콩밭에 많이 발생하는 식물이다. 예로부터 혈류량 촉진, 진통, 면역, 피부염, 모발 성장 촉진 및 피부가 갈라지는 피부염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상자(Cnidium Monnieri Fruit)는 미나리과(Umbeliiferae)에 속하는 월년초로서 전국 각지에서 야생하며, 예로부터 남자의 음위, 보신강양, 조습살충, 요슬통, 자궁냉감, 산한거풍, 사지습비 등의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고 사상자 탕에 배합하여 고환염에 사용하여 왔다. 사상자의 달임액은 피부진균 억제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한련초 및 사상자의 혼합 추출물이 매우 우수한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 등의 효능을 나타냄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한련초 및 사상자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한련초와 사상자를 20~70중량%(w/w): 20~70중량%(w/w)로 혼합한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한련초 및 사상자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혼합 추출물은 한련초와 사상자를 45~55중량%(w/w): 45~55중량%(w/w)로 혼합한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고, 한련초와 사상자를 1:1 중량비를 혼합하여 추출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혼합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중량%(w/w) 내지 10.0중량%(w/w)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한련초 및 사상자의 혼합추출물은 한련초 및 사상자를 초임계 전처리하고 추출한 후 농축하여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초임계 전처리 조건은 높은 압력(100~800bar)과 낮은 온도(40~70℃)가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한련초 및 사상자 혼 합추출물은 한련초 및 사상자를 분쇄하여 분말로 만들고, 높은 압력(100~800bar)과 낮은 온도(40~70℃)에서 실시되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전처리 방법으로 멸균 및 농약을 제거한 후에 에탄올로 50~100℃에서 3~24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혼합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매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팩 중 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한련초의 웨델로락톤 성분과 사상자의 에둘틴 성분이 항염과 피부자극 완화에 가장 효과적이고, 항산화, 항염 효과로 말미암아 자유라디칼과 염증에 의한 피부 트러블에 대하여도 우수한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한련초 및 사상자에 함유된 필수 지방산인 감마리놀렌산 성분은 피부보습과 염증현상을 조절하며, 이 감마리놀렌산은 각질층의 세포들을 촘촘하게 하여 피부 속의 유·수분을 보호하여 피부가 건조해지면서 탄력을 잃어버리는 것을 막아 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한련초 및 사상자 혼합추출물은 인체에서 지질과산화, 세포내 자유라디칼 생성, 기타 라디칼 반응을 억제함으로써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련초(Eclipta prostrate L.)와 사상자(Cnidium Monnieri Fruit) 혼합추출물의 초임계 전처리 및 추출방법의 일 예를 도 5에 사진과 함께 나타내었으며, 도 5의 ①은 추출기, ②는 압력조절기(BPR), ③은 분리기, ④는 칠러, ⑤는 액체이산화탄소 저장기, ⑥은 액체 이산화탄소, ⑦은 펌프, ⑧은 히터, ⑨는 추출물, ⑩은 배출, ⑪은 수분을 나타낸다.
약제상으로부터 구입한 한련초를 분쇄하여 분말로 만들고 사상자 잎을 세절한 후 바람직하게는 동일 비율로 즉 1:1로 혼합하여 높은 압력(100~800bar)과 낮은 온도(40~70℃)에서 실시되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전처리 방법으로 불순물을 제거한다. 초임계 전처리 방법의 장점은 고압 공정으로 인한 멸균 효과가 있고 낮은 온도 처리이기 때문에 열에 쉽게 반응하는 유효성분이 쉽게 변성되거나 파괴되지 않으며 별도의 유기용매를 전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잔류 유기용매의 문제도 없다. 또한 문제가 되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보다 피부에 안전한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한련초의 유효성분인 웨델로락톤과 사상자의 유효성분인 에둘틴은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용해성이 없고 100℃ 이하에서 변성이 없기 때문에 초임계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에탄올로 추출하여도 유효성분의 변성이 없다.
초임계 전처리 후에 각각의 시료를 건조한 후 95% 에틸알코올로 추출한다. 예를 들면 시료 200g을 95% 에탄올 2L로 6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여 여과한 후 50℃에서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추출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로션, 영양 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팩 중 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하여 화장료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 효과를 가지며, 정량적인 측면에서 이러한 효과는 기존 사용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련초 및 사상자 추출물의 제조>
비교예1 ) 한련초 추출물의 제조
한련초를 분쇄하여 만든 분말 100g을 100~800bar, 40~70℃ 조건에서 초임계 전처리 한 후, 95% 에탄올 1㎏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60℃로 3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0.45㎛ 필터로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 중량 34.44 g을 얻었다.
비교예2 ) 사상자 추출물의 제조
사상자를 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건조 중량 37.62g을 얻었다.
<한련초 및 사상자 혼합추출물의 제조>
실시 예 1~7
하기 표1의 시료 혼합 비율(한련초:사상자)로 하여 용매는 에탄올을 사용하고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기재하였다.
시료 혼합 비율 (한련초 : 사상자) 수율(g)
실시예 1 1:1(50g:50g) 39.39
실시예 2 1:2(33g:66g) 37.01
실시예 3 1:3(25g:75g) 36.23
실시예 4 1:4(20g:80g) 36.89
실시예 5 2:1(66g:33g) 36.51
실시예 6 3:1(75g:25g) 36.14
실시예 7 4:1(80g:20g) 35.39
실시 예 8~10
상기 실시예들을 근거로 한련초 및 사상자의 조성 비율을 1:1 즉, 50g:50g으로 하여 하기 표2의 용매를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2에 기재하였다.
용매 수율 (g)
실시예 8 70% 함수 에탄올 36.07
실시예 9 50% 함수 에탄올 32.30
실시예 10 30% 함수 에탄올 32.01
인도메타신(카운터)의 제조
대조예 1
상용화된 인도메타신 결정(Indomethacin Crystalline 7378, Sigma Chemical Co.)을 사용하여 95% 에탄올 1ml에 녹여 1 ㎍/㎖, 10 ㎍/㎖, 100 ㎍/㎖, 1000 ㎍/㎖ 농도별로 인도메타신 용액을 제조하였다.
녹차씨 (카운터) 추출물의 제조
대조예 2
녹차씨를 비교예1의 방법으로 하여 건조 중량 36.94g을 얻었다.
대조예 3~5
대조예 2를 근거로 녹차씨를 표2의 용매를 사용하고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용매 수율 (g)
대조예 3 70% 함수 에탄올 35.07
대조예 4 50% 함수 에탄올 33.15
대조예 5 30% 함수 에탄올 30.01
리포폴리사카라이드 ( LPS ) 정제
대조 예 6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고온 페놀-물 추출방법에 의해 NMB-R6 세포로부터 추출하고, 초원심분리를 통해 정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세포 펠릿들을 5mM EDTA 및 0.02% 나트륨 아지드를 함유하는 포스페이트완충액에 현탁시킨다. 이어서, 리소자임을 2mg/ml 농도로 현탁액에 가한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4℃에서 분해시킨다. 현탁액을 37℃로 되게 하고, 추가로 100ug/ml 농도의 RNAse 및 DNAse로 추가로 3시간 분해시킨다. 이어서 분해물을 70℃로 되게 하고, 이에 페놀을 70℃에서 가한다. 이 혼합물을 15분의 기간 동안 추출하고, 이어서, 현탁액을 4℃로 냉각시키고, 30분 동안 원심분리한다. 수성상을 회수하고, 페놀상을 70℃에서 15분 동안 동량의 물로 재추출한다. 이어서, 이 상을 3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수성상을 분리한다. 나트륨 아세테이트를 5mg/ml의 농도로 합하여 가한다. 이어서, 아세톤 3ml를 이 혼합물에 가하고,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4℃에서 침전시킨다. 침전된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30분동안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한다. 전형적으로, 리포폴리사카라이드 3mg을 NMB-R6 세포 1mg 습윤중량으로부터 정제한다.
실험 예 1 항염증 시험
1)실험방법
상기 추출물에 대하여 RAW 264.7 세포를 페놀 레드가 없는 10% FBS가 함유된 동물세포배양 배지에 현탁하여 24 well plate의 각 well 당 5x105개씩 넣어 37℃, 5% CO2 배양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다. RAW 264.7 세포에 리포폴리사카라이드와 식물 추출물 혹은 디메틸설폭사이드를 동시에 처리하여 20시간 배양 후 상등액 100㎕를 그리에스 시약 180㎕와 반응시켜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 계산식1 >
Figure 112008013746755-PAT00001
상기 방법에 따라 대조예 1과 실시예 1에서 추출한 추출물을95%에탄올 1ml에 녹여1 ㎍/㎖, 10 ㎍/㎖, 100 ㎍/㎖, 1000 ㎍/㎖ 농도별로 항염증 실험을 하였다.
2)실험결과
항염효과는 계산식1에 의해 나타내었고, 그 결과를 표 4와 도 1에 나타내었다.
1 ㎍/㎖ 10 ㎍/㎖ 100 ㎍/㎖ 1000 ㎍/㎖
대조예1 0.18198 5.18918 18.19848 24.19818
비교예1 0.137174 6.433225 24.67386 46.68098
비교예2 2.469136 7.654723 22.47722 45.71779
실시예 1 3.60631 8.967427 41.51559 75.61963
실시예 2 3.60003 8.915634 41.18459 74.24356
실시예 3 3.59536 8.624356 40.96889 73.97813
실시예 4 3.49536 8.619879 40.95782 74.13609
실시예 5 3.51895 8.187325 41.29403 75.20234
실시예 6 3.59798 8.177899 39.55264 72.98465
실시예 7 3.16709 8.124563 39.07880 73.91856
실시예 8 3.60310 8.937274 41.53562 74.65411
실시예 9 3.05623 7.942534 40.69246 72.87615
실시예 10 3.04268 7.873452 40.57341 71.99873
실시예 1~10, 대조예 1, 비교예 1 및 2를 실험예 1의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표 4및 도1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1:1비율로 한 상기의 한련초 및 사상자 혼합추출물(실시예 1)은 단일추출물(비교예 1,2)이나 대조예로 사용한 인도메타신(대조예 1)보다 우수한 항염효과를 나타내었으며, 1 ㎍/㎖, 10 ㎍/㎖, 100 ㎍/㎖, 1000 ㎍/㎖로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두 물질의 혼합으로 인해 시너지효과가 발생하여 높은 항염력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 한련초 및 사상자 혼합추출물(실시예1)이 높은 항염효과를 갖는 원료임이 밝혀졌다.
실험 예 2 항산화 시험
1)실험방법
0.2 mM DPPH 메탄올 용액 150㎕와 희석한 각각의 샘플 용액 150㎕를 각각 96-well plate에 넣고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17㎚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샘플 150㎕와 메탄올 150㎕를 섞어서 블랭크로 하고 DPPH 메탄올 용액 150㎕와 메탄올 150㎕를 섞은 것을 컨트롤로 하여 다음 식에 따라서 항산화 활성을 계산한다.
< 계산식2 >
Figure 112008013746755-PAT00002
(Sabs : 샘플의 흡광도, Babs : 블랭크의 흡광도, Cabs : 컨드롤의 흡광도)
상기 방법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메탄올 1ml에 녹여 0.1 ㎍/㎖, 1 ㎍/㎖, 10 ㎍/㎖, 100 ㎍/㎖, 1000 ㎍/㎖ 농도별로 항산화 실험을 하였다.
2)실험결과
항산화효과는 계산식2에 의해 나타내었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냈고, 도식화하여 도 2에 표시하였다.
0.1 ㎍/㎖ 1 ㎍/㎖ 10 ㎍/㎖ 100 ㎍/㎖ 1000 ㎍/㎖
대조예 2 3.1881 3.16848 3.18919 8.18189 42.1184
비교예 1 3.37993 2.65926 4.04295 14.9538 76.1509
비교예 2 3.20697 3.36552 3.65739 12.8783 75.9166
실시예 1 3.93842 3.20719 10.7266 27.4767 95.7983
실시예 2 3.98342 3.19783 10.3783 26.9241 95.0325
실시예 3 3.85211 3.10983 10.5121 26.8459 94.9423
실시예 4 3.68741 3.19473 10.4698 25.4389 94.4683
실시예 5 3.64283 3.13897 10.4579 25.4017 94.9361
실시예 6 3.48936 3.68794 10.5782 25.5278 94.9245
실시예 7 3.29568 3.05124 10.4685 26.6132 95.6234
실시예 8 3.86815 3.20015 10.6936 26.5151 95.2892
실시예 9 3.38651 3.19652 10.6037 26.4842 94.0945
실시예 10 3.01652 2.91415 9.9214 25.0246 93.1268
대조예 3 3.1268 3.12054 3.17381 8.17282 42.1049
대조예 4 2.9327 2.92743 3.16965 8.01459 41.9363
대조예 5 2.8345 2.64393 2.94524 8.00436 40.8984
실시예 1~10, 대조예 2~5, 및 비교예 1, 2를 실험예2의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표 5및 도 2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1:1비율로 한 상기의 혼합추출물(실시예1)은 단일추출물(비교예1,2)이나 비교예2의 추출물보다 우수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활성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혼합추출물(실시예1)의 경우 단일추출물(비교예1,2)에 비해 시너지 효과에 의해 더욱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리며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고 콘트롤인 녹차추출물(대조예2)에 비해서도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갖고 있음이 증명되었다. 이를 통해 한련초 및 사상자 혼합추출물(실시예1)이 높은 항산화 능력을 갖는 원료임이 밝혀졌다.
실험 예 3 안전성 시험
1)실험방법
상기 추출물에 대하여 안전성 실험을 하기 위하여 실험 예 1를 사용하였다. Human fibroblast cell line을 1x103 cell/well의 농도로 접시에 파종 한다. 10% FBS가 함유된 동물세포배양 배지를 이용하여 37℃, 5% CO2 배양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다. 각각의 추출물을 디메틸설폭사이드에 녹여 배지와 혼합한 후 200㎕씩 로딩 한 후 37℃, 5% CO2 배양 조건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한다. 배양이 끝난 후 배지 200㎕에 MTT 용액 50㎕를 로딩하여 5시간 배양한다. 배양 후 MTT 용액을 제거한 다음 디메틸설폭사이드 200㎕를 넣고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상기 방법에 따라 실시예 1 및 대조예 2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95%에탄올 1ml에 녹여 0.1 ㎍/㎖, 1 ㎍/㎖, 10 ㎍/㎖, 100 ㎍/㎖, 1000 ㎍/㎖ 농도별로 안전성을 측정하였다.
2)실험결과
실험예3의 방법에 따른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고, 도식화하여 도 3에 표시하였다.
반응액 중에 함유시킨 시료의 농도(㎍/㎖) 안전성 효과(%)
혼합추출물(실시예1) 녹차씨(대조예2)
0.1 99.32 98.45
1 99.85 97.41
10 99.17 95.18
100 99.41 93.21
1000 99.48 90.18
일반적으로 천연추출물의 농도를 증가함에 따라 안정성은 미미하게 떨어지지만 실시예 1의 안전성 효과는 떨어지지 않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한련초 및 사상자 혼합추출물(실시예 1)이 기존 녹차추출물(대조예 2)과 비교하여 안전성에서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 예 4 피부자극 완화 시험
1)실험방법
누드 마우스[BALB/C sic-nu/nu mouse(12-17g, ♀)]에 0.5%의 컴파운드 48/80(아토피 유도물질)을 오른쪽 어깨에 주사한 후 1 시간 동안 긁는 횟수를 측정한다. 그 다음 24시간 후에 12마리의 쥐에 표 7의 화장료 처방 1, 2, 3, 4를 각각 100 ul를 왼쪽 어깨에 주사하고 10분 뒤에 동일한 자리에 0.5% 컴파운드 48/80을 50 ul 주사하여 한 시간 동안 긁는 횟수를 측정한다. 0.5%의 컴파운드 48/80만을 주사하였을 때의 긁는 횟수를 100%로 환산하여 기준공통 횟수로 하고 이에 대하여 시료 및 컴파운드 48/80을 주사한 후 긁은 횟수를 공통기준횟수에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번호 원료 처방1 처방2 처방3 처방4
1 한련초 추출물(비교예1) 3.0
2 사상자 추출물(비교예2) 3.0
3 한련초 및 사상자 혼합추출물(실시예1) 3.0
4 리포폴리사카라이드(대조예6) 3.0
5 스테아린산 2.0 2.0 2.0 2.0
6 세토스테아릴알콜 1.0 1.0 1.0 1.0
7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2.0 2.0 2.0
8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2 1.2 1.2 1.2
9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3 0.3 0.3 0.3
10 세레신 0.2 0.2 0.2 0.2
11 밀납 1.0 1.0 1.0 1.0
12 유동파라핀 3.0 3.0 3.0 3.0
13 스쿠알란 5.0 5.0 5.0 5.0
14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3.0 3.0 3.0 3.0
1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0.2 0.2 0.2
16 부틸렌글리콜 4.0 4.0 4.0 4.0
17 글리세린 4.0 4.0 4.0 4.0
18 트리에탄올아민 0.5 0.5 0.5 0.5
19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성분 15, 16, 17, 19번을 혼합 교반하면서 80~85℃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성분 5, 6, 7, 8, 9, 10, 11, 12, 13, 14번을 80~85℃사이로 가열하여 용해한 후 성분 18을 투입 교반하여 제조부에 투입하고 유화시킨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35℃까지 냉각하고 성분 1, 2, 3, 4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2)실험결과
실험예4의 실험 방법을 3번 반복하여 그 평균치를 도식화하여 도 4에 표시하였고 누드마우스에 사용 전과 후의 사진은 도 6에 나타내었다. 처방 4의 컨트롤은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처리한 경우이다. 상기 방법에 따라 대조예 6과 실시예1에서 추출한 추출물에 대하여 측정하였고, 각각 1, 3, 5%에 따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와 6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한련초 및 사상자 혼합물추출물인 실시예1의 추출물이 기존 대조예 6과 비교하여 피부자극완화 효과에 탁월한 원료임이 밝혀졌다.
한련초 및 사상자 혼합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
제제예 1
실시예 1의 한련초 및 사상자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화장수(스킨로션)의 제제예는 다음과 같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한련초 및 사상자 혼합추출물(실시예1) 2.0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글리콜 3.0
4 프로필렌글리콜 1.0
5 피피지-26-부테스-26/피이지-40 히드로게네이티드 캐스터오일 1.1
6 에탄올 8.0
7 트리에탄올아민 0.2
8 방부제 미량
9 색소 미량
10 향료 미량
11 정제수 to 100
<제조방법>
표 8의 성분 11번에 성분 2,3,4 및 8번을 순서대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다. 그 후, 성분 5번을 60℃ 정도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성분 10번을 투입, 교반하여 용해한 후 성분 11번에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성분 1,6,7 및 9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제제 예 2
실시예 1의 한련초 및 사상자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로션의 제제예는 다음과 같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한련초 및 사상자 혼합추출물(실시예1) 2.0
2 시토스테롤 1.5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2
4 세라마이드 0.2
5 세테아레스-4 1.0
6 콜레스테롤 1.2
7 디세틸포스페이트 0.5
8 부틸렌글리콜 5.0
9 선플라워오일 3.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1 산탄검 0.1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to 100
<제조방법>
표 9의 성분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한 것에 1, 7, 8 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 한 후 성분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다. 그 후, 성분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한 다음 숙성시킨다.
제제예 3
실시예 1의 한련초 및 사상자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제제예는 다음과 같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한련초 및 사상자 혼합추출물(실시예1) 2.0
2 시토스테롤 1.5
3 폴리글리세틸 2-올레이트 1.5
4 세라마이드 0.5
5 세테아레스-4 1.8
6 콜레스테롤 2.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5
8 부틸렌를리콜 4.0
9 선플라워오일 8.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4
11 트리에탄올아민 0.4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to 100
<제조방법>
표 10의 성분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한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성분 1, 7, 8, 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 한 후 성분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다. 그 후, 성분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한 다음 숙성시킨다.
제제예 4
실시예 1의 한련초 및 사상자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제제예는 다음과 같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한련초 및 사상자 혼합추출물(실시예1) 2.0
2 시토 스테롤 1.5
3 씨12-20애씨드피이지-8에스텔 1.5
4 세라마이드 0.4
5 세테스-4 1.1
6 콜레스테롤 1.4
7 디세틸포스페이트 0.5
8 부틸렌글리콜 5.0
9 썬플라워씨드오일 12.0
10 사이클로메치콘 0.3
11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2 산탄검 0.1
13 방부제 미량
14 항료 잔량
15 정제수 to 100
<제조방법>
표 11의 성분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한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성분 1, 7, 8 및 15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를 통과하고 이어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에 재차 통과시킨다. 그리고 성분 10, 11, 12, 13, 14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도 1은 한련초(Eclipta prostrate L.)와 사상자(Cnidium Monnieri Fruit) 혼합추출물의 항염효과를 각각의 추출물 및 인도메타신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한련초(Eclipta prostrate L.)와 사상자(Cnidium Monnieri Fruit) 혼합추출물의 항산화효과를 각각의 추출물 및 녹차씨추출물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한련초(Eclipta prostrate L.)와 사상자(Cnidium Monnieri Fruit) 혼합추출물의 안전성을 각각의 추출물 및 녹차씨추출물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한련초(Eclipta prostrate L.)와 사상자(Cnidium Monnieri Fruit) 혼합추출물의 피부자극완화효과를 각각의 추출물 및 리포폴리사카라이드와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은 한련초(Eclipta prostrate L.)와 사상자(Cnidium Monnieri Fruit) 혼합추출물의 초임계 전처리 및 추출방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한련초(Eclipta prostrate L.)와 사상자(Cnidium Monnieri Fruit) 혼합추출물 3%를 함유하는 화장료를 누드마우스에 사용하기 전과 후의 결과사진이다.

Claims (8)

  1. 한련초 및 사상자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한련초와 사상자를 20~70중량%(w/w): 20~70중량%(w/w)로 혼합한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것인 항염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한련초와 사상자를 45~55중량%(w/w): 45~55중량%(w/w)로 혼합한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것인 항염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한련초와 사상자를 1:1 중량비를 혼합하여 추출한 것인 항염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중량%(w/w) 내지 10.0중량%(w/w) 함유된 항염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한련초 및 사상자를 100~800bar, 40~70℃ 조건에서 초임계 전처리하고 추출한 후 농축하여 제조된 것인 항염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전처리 후 추출은 95% 에탄올로 50~100℃에서 3~24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인 항염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팩 중 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의 제형을 갖는 항염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16871A 2008-02-25 2008-02-25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53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871A KR100953278B1 (ko) 2008-02-25 2008-02-25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871A KR100953278B1 (ko) 2008-02-25 2008-02-25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547A true KR20090091547A (ko) 2009-08-28
KR100953278B1 KR100953278B1 (ko) 2010-04-19

Family

ID=41208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871A KR100953278B1 (ko) 2008-02-25 2008-02-25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2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3260A (ko) * 2010-11-17 2012-05-25 (주)아모레퍼시픽 산뽕나무, 한련초, 지구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97771A (ko) * 2015-02-10 2016-08-18 주식회사 아토큐앤에이 감피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90012818A (ko) 2017-07-28 2019-02-11 코스맥스 주식회사 이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또는 피부염증 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965B1 (ko) * 2011-05-20 2013-09-27 이상록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101303294B1 (ko) 2011-07-22 2013-09-03 이상록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미, 검버섯, 주근깨 등의 잡티 제거 및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22673B1 (ko) 2011-07-22 2013-01-16 이상록 한련초 추출물, 컴프리 추출물, 길경 추출물, 및 카카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또는 두피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435C (zh) * 1996-08-09 2001-05-09 梅晓春 一种治疗脂溢性脱发的高效低副作用的改进型外用药物
JP3793612B2 (ja) 1996-11-28 2006-07-05 花王株式会社 皮膚外用剤
JP4280341B2 (ja) 1998-11-09 2009-06-17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3260A (ko) * 2010-11-17 2012-05-25 (주)아모레퍼시픽 산뽕나무, 한련초, 지구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97771A (ko) * 2015-02-10 2016-08-18 주식회사 아토큐앤에이 감피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90012818A (ko) 2017-07-28 2019-02-11 코스맥스 주식회사 이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또는 피부염증 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278B1 (ko) 2010-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07005886A (es) Composiciones farmaceuticas y terapeuticas derivadas de la planta garcinia mangostana l.
US20230372229A1 (en) Producing a topical solution composition
JP4567278B2 (ja) 皮膚化粧料
KR100953278B1 (ko)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JP2009107983A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並びに抗老化剤及び皮膚外用剤
KR100793019B1 (ko)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46524B1 (ko) 바위솔,부처손,인동덩굴 및 청미래덩굴 혼합추출물을함유하는 항염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49057B1 (ko) 초임계 유체 추출기법을 이용한 오기단 (동충하초, 가시오갈피, 영지버섯, 녹용 및 인삼)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3995693B (zh) 一种具有抗炎功效脂质体的精华液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3667027B2 (ja) 皮膚外用剤
KR100372360B1 (ko) 피부노화 억제 효과를 갖는 무취 마늘추출물 및/또는 가시오갈피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1114636A (ja) ヒアルロン酸産生及びカタラーゼ産生促進剤、線維芽細胞賦活剤、並びに皮膚外用剤
JP2007045733A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JP2001163757A (ja) 皮膚外用剤
KR101367703B1 (ko) 화장료 및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2171924B1 (ko) 개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러지 완화용 피부 외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0096050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KR100451387B1 (ko) 피부 탄력 증가와 피부노화 억제 효과를 갖는 원지, 길경,병풀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물 제조 방법
KR100580858B1 (ko) 십장생(十長生) 관련 천연물(솔싹, 영지버섯, 월귤나무,녹용, 자라, 게르마늄, 로얄제리, 홍삼, 연어알 및레몬)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303255B (zh) 具有抗炎、抗过敏和特应性皮肤改善作用的高粱发酵产物,其制备方法及其化妆料组合物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39658B1 (ko)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
KR100787782B1 (ko) 블루 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20038A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516014B (zh) 一种罗布麻提取物及其制备方法、抗紫外抗氧化美白化妆品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