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294B1 -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미, 검버섯, 주근깨 등의 잡티 제거 및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미, 검버섯, 주근깨 등의 잡티 제거 및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294B1
KR101303294B1 KR1020110073041A KR20110073041A KR101303294B1 KR 101303294 B1 KR101303294 B1 KR 101303294B1 KR 1020110073041 A KR1020110073041 A KR 1020110073041A KR 20110073041 A KR20110073041 A KR 20110073041A KR 101303294 B1 KR101303294 B1 KR 101303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heat germ
cosmetic composition
nasturtium
niacin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2042A (ko
Inventor
이상록
안장균
차은정
김혜종
Original Assignee
이상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록 filed Critical 이상록
Priority to KR1020110073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294B1/ko
Publication of KR20130012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밀싹 추출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미, 검버섯, 주근깨 등의 잡티 제거 및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밀싹 추출물를 유효성분으로 함께 사용함으로써 각질 박리를 촉진하여 검버섯, 주근깨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나이아신아마이드와 혼합하여 사용시 멜라노좀 이동 억제효과 뿐 아니라, 티로시나제 억제 및 박리효가 복합적으로 나타남으로써, 상승적인 미백효과를 달성하여 미백 효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미, 검버섯, 주근깨 등의 잡티 제거 및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The 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melasma, age spot, freckles and promoting desquamation containing Eclipta prostrate, wheat bud and Hovenia dulcia}
본 발명은 각질 박리 촉진 효과 및 미백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몸 속에 있는 여러 가지 장기를 둘러싸고 있는 하나의 막과 같은 것으로서 신체의 전 표면을 덮고 있으며, 각종 외계의 자극으로부터 보호작용을 하여 생체의 제 기관과 동적 평형을 유지하고 내장을 보호하는 기관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피부 상층으로부터 표피, 진피, 피하 지방층의 세 부분으로 분류된다.
이 중 표피는 다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세분되며, 기저층에서 생성된 표피 세포는 14일 걸려 과립층까지 올라오고 과립층에서 케라토히알린 (Keratohyalin)의 작용으로 각질화가 시작된다. 이미 세포 속의 체액은 빠져나가 세포는 납작해진 상태로 각질화가 진행되며 세포의 핵, 세포질과 세포소기관은 퇴화되고 케라토히알린으로 교체되어 엘레이딘(Eleidin)으로 다시 변화되었다가 마지막 단계인 각질로 바뀌면서 세포의 일생은 끝나며 각질층으로 밀려 올라간다.
각질층은 분화된 표피 세포(각질 세포)와 그 사이를 채우고 있는 세포간 지질(skin lipid)로 구성되며 체내 물질이 외부로 나가는 것을 막아주고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방어 기능을 한다. 각질 세포는 데스모좀이라 불리는 단백질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각질층 상부로 올라갈수록 데스모좀은 분해되어 각질 세포간 응집력이 약화되고 최종적으로 각질 세포는피부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져 나간다. 정상 피부의 경우 각질층은 15~20층으로 구성되고 이들이 완전히 분리되는데는 15~20일이 소요된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 구성 성분인 표피, 진피 및 피하조직의 두께가 얇아지고 피부의 수분함량이 급격히 감소하며, 피부에 탄력을 주는 ECM (Extracellular matrix)성분의 변화로 인해 피부가 탄력을 잃고 주름이 지게 되며 각질층의 분리가 정상보다 늦어져 각질층이 두꺼워지고(각질중층화) 피부가 활력을 잃게 된다.
각질중층화는 주로 피부의 보습력 감소, 데스모좀 분해 효소의 생성 및 활성 감소, 세포 활성 저하 등에 기인하며 피부 노화, 자외선 노출, 공해 등이 유발 요인이 된다. 이러한 내외적인 요인에 의해 두꺼워진 각질층을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얇게 해주면 각질층 밑에 있는 살아있는 세포의 활성 혹은 재생이 증가되어 피부가 부드러워지며, 주름제거, 여드름 발생 억제 및 치료 등의 효과가 있어 자극이 유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질중층화를 해소하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각질중층화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피부를 물리적으로 문지르거나 화학적 박피술을 이용한다. 특히 화학적 박피는 잔주름 개선, 거친 피부 완화, 잡티 제거 등의 부가적인 효과가 있다. 화학적 박피에 사용되는 물질은 트리클로로아세틱산, 페놀, 알파하이드록시산(AHA)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알파하이드록시산은 낮은 pH로 인하여 따가움을 호소하며 자극이 유발되는 단점도 있어 그 사용이 제한적이다. 그뿐 아니라, 각질제거를 통한 천연 피부색의 미백 효과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KR 10-2011-23410A).
현재까지 개발된 미백제는 멜라닌 생합성에 없어서는 안 될 기본적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하여 멜라닌량을 줄이는 것으로, 상기의 미백제들은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부작용에 의해 사용량이 제한되어 만족할 만한 미백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양을 사용할 수 없었다. 이에 피부자극을 유발하지 않는 생약소재를 선별하여 멜라닌 생성에서부터 각질형성세포로의 이동과정에 주요한 경로에서의 효과로 세포내 항산화 작용, 멜라닌생성억제, 멜라닌 생성세포에서 멜라노좀의 각질형성세포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단계에 관여하는 성분을 이용하여 미백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니코틴아마이드 또는 피리딘-3-카복스아마이드로 지칭되고, 나이아신의 아마이드(비타민 B3)이다. 국소용 성물인 상기한 바와 같은 미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예를 들어 피부컨디셔닝 및 보습 조성물, 피부 미백 조성물 및 검버섯 치료제, 노화방지 또는 재생 조성물, 주름살의 예방, 감소 또는 치료용 조성물, 산화방지 또는 유리 라디칼 포집 조성물, 및 정제, 클린징, 각질제거 또는 탈취 조성물, 또는 여드름방지용 화장료 조성물로 현재 이용되고 있다. 또한, 나이아신아마이드는 국내에서 미백 기능성 성분으로서 인정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나이아신아마이드는 2~5 %의 함량내에서 사용이 허가되고 있는 실정이다(식약청 기능성 고시 성분, 2010년 7월). 따라서, 현재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효능을 증가시키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대한민국 공개 10-2009-39008)
한편, 한련초(Eclipta prostrate)는 높이 10~70 cm되는 국화과의 한해살이 초본이다. 우리 나라 제주도, 남부지방, 중부지방의 콩밭에 많이 발생하는 식물이다. 예로부터 혈류량 촉진, 진통, 면역, 피부염, 모발 성장 촉진 및 피부가 갈라지는 피부염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R 10-2009-0091547A).
또한, 지구자(Hovenia Dulcis Fruit)는 헛개나무의 열매이다. 일명 호깨나무, 지구자나무라고 불린다. 지구자는 간보호 및 사염화메탄 주사로 야기된 간독성 과정을 개선하는 효과가 알려져 있다. 그뿐 아니라 지구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인지개선에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또한, 밀싹은 화본과 외떡잎 식물로서, 밀싹과 같은, 밀, 보리 등 곡류의 새싹은 마디 세포가 생겨 줄기로 자리기 전에는 채소와 같은 영양성분을 갖으며 알곡과 성분이 전혀 다르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밀싹에는 다양한 비타민과 82종의 미네랄과 30종의 효모, 17가지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는 보다 효율적인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도중 우수한 각질 박리 효과를 나타내는 식물 추출물을 발견하였고, 특히 나이아신아마이드와 병행 사용시 우수한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식물 추출물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2009-39008A 초록 KR 10-2010-44502A 초록 KR 10-2009-91547A 초록 KR 10-2011-23410A 초록
본 발명의 목적은 한련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잡티 제거 및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련초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 촉진용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 촉진용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한련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잡티 제거 및/또는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각질 조직"이라는 용어는 피부, 모발, 발톱, 손톱, 표피, 발굽 등을 포함 하지만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 포유류의 가장 바깥 쪽의 보호 외피로서 배치된 케라틴 함유층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잡티"라는 용어는, 기미, 검버섯, 주근깨 등과 같은 여러 환경적 요인이나, 노화로 인해 피부에 생기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라는 용어는 설명되는 조성물 또는 성분들이 과도한 독성, 비상용성, 불안정성, 알러지 반응 등이 없이 사람의 각질 조직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안전하고 유효한 양"이라는 용어는, 독립적이거나 조합적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효과들을 포함하는 긍정적인 효과, 바람직하게는 긍정적인 각질 조직 외양 또는 촉감 상의 효과를 유의하게 유발하기에 충분하지만, 심각한 부작용을 회피하기에 충분히 적은(즉, 숙련자의 타당한 판단의 범주 내에서 합리적인 효과 대 위험 비를 제공하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박리, 박피 및/또는 교체"라는 용어는 피부 각질층(경질층 포함)의 상층의 제거를 의미한다.
상기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련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추출용매로는 예를 들면, 물, 탄소수 C1 내지 C3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 부틸렌 글리콜 등의 추출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상기 추출 용매의 적합한 양은 한련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 건조 중량의 1 내지 15배 정도이며, 5 내지 12배일 수 있으며, 10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추출 방법으로는 열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1회 또는 다수 회 반복하여 추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추출온도는 한련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의 유용성분의 유효활성이 제거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한련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은 각각 단독으로도 기미, 검버섯, 주근깨 등의 잡티 제거 및/또는 각질 박리 촉진 효과를 갖으므로 단독으로 기미, 검버섯, 주근깨 등의 잡티 제거 및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추출물을 혼합할 경우 더욱 우수한 기미, 검버섯, 주근깨 등의 잡티 제거 및 각질 박리 촉진 효과를 갖으므로, 혼합하여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표 2 및 3, 도 1).
상기 한련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1 ~ 10 : 1 ~ 10의 중량비율, 또는 2 ~ 8 : 2 ~ 8의 중량비율, 또는 4 ~ 6 : 4 ~ 6의 중량비율로 함유될 수 있다. 그러나, 함량비율은 제품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한련초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 촉진용 및/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한련초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를 1 ~ 10 : 1 ~ 10 : 1 ~ 10 또는, 2 ~ 8 : 2 ~ 8 : 2 ~ 8의 중량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함량비율은 제품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한련초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가 함께 포함되어 있는 경우, 우수한 미백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표 5 및 도 3).
특히, 나이아신아마이드가 식약청에서 화장품에 2~5 %만이 함유될 수 있도록 정해져 있으므로, 3가지 물질의 혼합물이 최적의 각질 박리 촉진 활성 및/또는 미백 활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련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의 함량을 조절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 촉진용 및/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를 1 ~ 10 : 1 ~ 10 : 1 ~ 10 : 1 ~ 10 또는, 2 ~ 8 : 2 ~ 8 : 2 ~ 8 : 2 ~ 8의 중량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함량비율은 제품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의 4개의 성분이 모두 포함된 경우에는 나이아신아마이드 단독에 비하여 우수한 미백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표 5 및 도 3).
또한,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각질 박리 촉진용 및/또는 미백용 화장품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혼합 추출물을 전체 중량비에서 1 내지 30 중량 %로 함유할 수 있으며, 5 내지 20 중량 %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 이외에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 불안정성 또는 자극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90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제조되는 전술한 바의 제형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 목 등)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헤어토닉, 샴푸, 린스,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련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각질 박리 효과가 우수하여, 기미, 검버섯, 주근깨 등의 잡티 제거에 효과적이다. 특히, 나이아신아마이드와 함께 이용시에는 미백용 화장료로서도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련초 추출물, 밀싹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를 모두 포함할 경우, 나이아신아마이드 단독에 비하여 미백효능을 증가시켜서 미백용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 각각 및 이의 혼합 추출물의 각질 박리효과를 그래프화 한 것이다.
도 2는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 각각 및 이의 혼합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를 그래프화 한 것이다.
도 3은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 각각 및 이의 혼합 추출물 인체 피부에 대한 미백 효과를 그래프화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나 시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한련초 추출물의 제조
건조 한련초 500 g에 3차 증류수 5 ℓ를 가하고 75℃에서 24시간 동안 중탕 가열하였다. 이를 종이 필터인 Watman #2로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한 후, 이 여과액을 감압증류기(EYELA, JP/N-1000)를 이용하여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한련초 열수 추출물 62 g을 얻었다. 제조된 추출물을 60Co 감마선(10 kGy/H, 25 kGy)으로 조사 멸균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20 ㎎/㎖의 농도로 3차 증류수에 녹인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제조된 추출물을 60Co 감마선(10 kGy/H, 25 kGy)으로 조사 멸균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20 ㎎/㎖의 농도로 3차 증류수에 녹인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지구자 추출물의 제조
건조 지구자 1 ㎏에 3차 증류수 5ℓ를 가하고 80 내지 85℃에서 3시간 동안 3회 추출한 후 4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0.45㎛의 필터로 여과하고, 이 여과액을 감압증류기(EYELA, JP/N-1000)를 이용하여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지구자 열수 추출물 97 g을 얻었다. 제조된 추출물을 60Co 감마선(10 kGy/H, 25 kGy)으로 조사 멸균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20 ㎎/㎖의 농도로 3차 증류수에 녹인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 실시예 3> 밀싹 추출물의 제조
건조 밀싹 500 g에 증류수 5 ℓ를 가하고 70 내지 75 ℃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여 3회 추출한 후 4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0.45 ㎛의 필터로 여과하고, 이 여과액을 감압증류기(EYELA, JP/N-1000)를 이용하여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밀싹 추출물 52 g을 얻었다. 제조된 추출물을 60Co 감마선(10 kGy/H, 25 kGy)으로 조사 멸균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20 ㎎/㎖의 농도로 3차 증류수에 녹인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 실시예 4 내지 13> 혼합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얻은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2 %)를 표 1에 제시된 것과 같은 중량 비율로 혼합한 혼합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밀싹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4 50 50 - -
5 50 - 50 -
6 - 50 50 -
7 50 - - 50
8 - 50 - 50
9 - - 50 50
10 35 35 - 30
11 35 - 35 30
12 25 25 25 25
< 실험예 1> 키모트립신과 트립신 효소 활성 촉진 효과
실시예 1 내지 3의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밀싹 추출물의 각질층 키
모트립신형 효소(SCCE, stratum corneum chymotrysin enzyme)와 각질층 트립신형 효소(SCTE, stratum corneum trysin enzyme)의 활성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질시트(D-Sqame®)를 이용하였다. 이 방법은 각질시트 내의 잔류 데스모글레인의 백분율을 평가하여, 키모트립신형 효소 및 트립신형 효소에 의한 각질시트 내 데스모글레인의 분해도, 즉 각질 박리도를 평가할 수 있다. 잔류 데스모글레인의 백분율이 낮으면, 전술한 효소의 활성이 우수함을 나타낸다(Br J Dermatol, 134, 3, 460-464, 1996., Arch Dermatol Res, 285, 6, 372-377, 1993). 각질 시트는 20~40세 이상의 건강한 남자 20명(평균연령 27세)을 대상으로 각질시트를 이용하여 각질을 박리하였고, 방부제 및 살균제 용액(카나마이신 60 ㎕/ml 및 0.5% NaN3 함유)에 30 초동안 침지하였다. 2 mg 중량의 각질 시트의 양면을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밀싹 추출물 각각 및 이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5 % 수용액 5 ㎕로 도포한다. 또한, 식염수로 도포된 각질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상기와 같이 처리한 각질 시트는 각질교소체(corneodesmosome)의 분해가 불충분한 30 % 이하의 수분함량을 갖는 정도의 조건 하에 두고 37 ℃ 에서 1 주일간 방치하였다. 그 후, 9 M 우레아, 2 % SDS 및 1 % 머캅토에탄올을 함유하는 0.1 M Tris 버퍼 (pH 9) 0.5 ml를 이용하여, 각질 시트 각각을 37 ℃ 에서 15 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어서, SDS-PAGE를 위한 시료 버퍼 0.5 ml를 생성된 추출물에 가하고 15 분간 가열하였다. 이러한 용액 10 ㎕를 취하고 7.5 % 농도의 겔에서 전기영동 한다. 전기영동 후, 단백질은 PVDF 막으로 전사시키고 항-데스모글레인 항체 및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표식 이차 (항-마우스 lg) 항체로 면역학적으로 염색시켰다. 이어서, 표식 된 단백질은 NBT/BCIP 기질로 가시화되었고, 표적 단백질의 양을 측정한다. 결과를 평균값으로 나타내고 하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시험 화합물 잔류 데스모글레인 백분율(%)
대조군 100%
실시예1 74.6%
실시예2 93.4%
실시예3 83.8%
실시예4 86.5%
실시예5 72.2%
실시예6 91.2%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밀싹 추출물 중에서 한련초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지구자 추출물 순으로 상기 키모트립신과 트립신 효소 활성 촉진 효과가 우수하였다. 특히 한련초 및 밀싹 추출물의 혼합추출물의 경우에는 각각의 추출물에 비하여 우수한 키모트립신과 트립신 효소 활성 촉진 효과를 갖음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2> 피부 각질 턴오버 측정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에 의한 피부각질 턴오버 촉진효과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각각의 추출물 및 이의 혼합물에 대하여 20-40세 사이의 건강한 성인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각질 박리 촉진 효과를 측정하였다. 시료 도포 전 피시험자의 팔 상박부 안쪽 색상을 크로마미터(CR300, Minolta, Japan)로 측정한 후, 10 중량 % 농도의 디하이드록시 아세톤(Dihydroxyacetone, DHA)을 힐 탑 챔버(The Hill Top사 제조)에 0.4 ml 가량 넣고 팔 상박부 안쪽에 4시간 동안 부착하였다. 24시간 경과 후 DHA에 의해 갈색으로 착색된 부위의 색상을 측정하여 시료 도포 전과의 색상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후 1일 2회씩 실시예 1 내지 3의 시료를 도포하면서 매일 탈색되는 정도를 크로마미터로 측정하여 원래의 피부색으로 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각질 박리율은 아래의 수학식 1로 계산하였다.
Figure 112011056796829-pat00001
**T (Turnover Time): 기존의 각질층이 새로운 각질층으로 대체되는데 걸리는 시간(상기에서는 DHA에 의해 착색된 피부가 완전히 원상 복귀되는데 걸리는 시간)
시료의 종류 Turnover Time ( days ) 각질 박리율(%)
대조군 18.6 -
실시예 1 14.2 23.66
실시예 2 16.9 9.14
실시예 3 15.5 16.67
실시예 4 15.1 18.82
실시예 5 13.2 29.03
실시예 6 16.1 13.44
***무처리군: DHA로 착색 후 아무 시료도 바르지 않은 군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한련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1 및 3의 경우 기존의 각질층이 새로운 각질층으로 대체되는데 걸리는 시간인 턴오버 시간이 짧을 뿐만 아니라 각질 박리율이 각각 23.66 %, 16.67 %로 대조군에 비해 우수한 각질 박리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한련초 추출물의 경우 박리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3> 멜라닌 합성량 저해 효과
<2-1> B16 멜라노마 세포 배양
B16 멜라노마 세포는 KTCC(The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B16 멜라노마 세포는 멜라닌을 생산하는 세포주로서 일반적으로 미백물질 스크리닝에 사용된다. 상기 세포를 배양하기 위한 배지는 10 % FBS, 1 %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는 DMEM 배지를 제조, 멸균하여 무균상태로 만들었다. 세포 배양은 37 ℃, 5 % CO2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멜라노마 세포를 3일 정도 배양하여 100 ㎜ 패트리 디쉬가 90 % 정도 찼을 때 계대하였다.
<2-2> 흡광도 측정을 통한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 측정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 각각 및 이의 혼합 추출물의 미백효과 측정을 위하여 B16 멜라노마 세포에 실시예 1 내지 3의 추출물, 이의 혼합물((실시예 1 내지 3의 추출물을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이용함)) 또는 알부틴을 각각 동일한 양을 처리한 뒤, 생성된 멜라닌 양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세포를 접종(seeding)하고 24시간 후 실시예 1 내지 8에서 제조한 추출물 또는 알부틴을 일정한 농도로 처리하여 다시 48시간 배양한 후, 트립신-EDTA를 이용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에 10% DMSO(Dimethylsulfoxide)를 포함하는 1N NaOH를 가해 80 ℃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켜 멜라닌이 충분히 녹아나오도록 한 후,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리더(reader)를 이용하여 파장 40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멜라닌 생성도는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 일반적인 미백 물질로 알려진 알부틴의 경우 무처리구와 비교했을 때, 500 ㎍/㎖의 농도에서 멜라닌의 양이 72.2 %이나, 한련초 추출물 및 지구자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이나,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 500 ㎍/㎖의 농도에서 멜라닌의 양이 각각 76.3 %, 및 72.6 %가 생성되었다(표 4 및 도 2)
Figure 112011056796829-pat00002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 측정
함유량 알부틴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나이아신아마이드
멜라닌 생성도(%) 0.5㎎/㎖ 72.2 96.2 88.4 94.2 87.2 94.8 84.4 98.2
1 ㎎/㎖ 48.8 89.1 78.2 87.6 76.3 88.2 72.6 92.1
< 실험예 4> 인체 피부에 대한 미백 효과 시험
피험자로서 건강한 20세 이상의 남녀 8명을 대상으로 피검자의 윗 팔뚝 부위에 직경 1.5 cm의 구멍 6개가 뚫린 불투명 테이프를 부착한 뒤 각 피검자의 최소 홍반량의 1.5 ∼ 2배 정도의 자외선(UVB)을 조사하여 피부의 흑화를 유도한 뒤 시험물질들을 발라서 한달 뒤부터 2주 마다 색차계를 이용하여 피부의 명암을 측정하였다. 각 실시예 1 내지 3 및 나이아신아마이드와 그의 혼합물 시료(1:1 비율로 혼혼합)들은 프로필렌글리콜/에탄올(8/2)의 비이클에 각각이 1 %의 농도가 되게 녹여 하루에 2회씩(아침, 저녁) 매일 바르게 하였다.피부의 명암은 'L' 값으로 표현되며 0(검정)에서 100(순백색) 사이의 값을 나타낸다(한국인은 일반적으로 50 ∼ 70의 값을 나타냄).각 시료를 도포하면 효과가 있는 경우는 L값이 점차 증가하게 되며 시료들 사이의 비교는 ΔL(최종 L값―시료를 도포하기 직전의 값)으로 표현하였다(표 5 및 도 3).
인체 피부에 대한 미백 효과 측정
L값
0주 4주 6주 8주
대조군(무첨가) 58.25±2.21 58.55±2.46 58.60±2.23 58.90±2.82
나이아신아마이드
( NA )
58.21±2.15 59.83±2.99 61.22±4.21 62.77±2.53
실시예1 58.27±3.11 59.11±2.65 59.74±3.71 60.12±2.31
실시예2 58.32±2.22 58.87±2.41 59.31±2.33 59.52±2.32
실시예3 58.21±2.11 59.21±2.22 59.36±2.87 59.21±2.12
실시예4 58.16±3.21 59.43±3.12 61.02±2.54 62.52±2.31
실시예5 58.22±2.54 59.23±2.65 60.31±2.69 61.12±2.54
실시예6 58.31±5.68 59.21±2.42 59.86±3.49 60.23±2.71
실시예7 58.27±2.78 60.04±3.52 62.18±2.41 63.84±3.61
실시예8 58.22±2.36 60.11±4.32 61.98±3.21 63.27±1.98
실시예9 58.24±2.62 59.97±3.89 61.76±2.85 62.23±3.24
실시예10 58.31±2.54 60.12±2.54 62.78±2.21 64.34±2.54
실시예11 58.26±3.08 60.08±2.54 61.72±3.24 63.82±3.21
실시예12 58.64±2.41 60.98±3.45 63.12±4.21 65.24±4.47
* 상기 수치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5 및 도 3에 기재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밀싹 추출물 중 어느하나의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혼합물은 나이아신아마이드 단독 처리에 비하여 우수한 미백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혼합물은 나이아신아마이드 단독 처리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미백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5> 독성 시험
실시예 1 내지 3의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의 세포 독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세포를 접종하고 24 시간 후,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밀싹 추출물을 일정한 농도로 처리하여 37 ℃, 5 % CO2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48 시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MTT(3-(4,5-dimethy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 bromide) 용액 100 ㎕을 첨가하여 37 ℃에서 4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용액을 제거하고 DMSO 100 ㎕를 첨가하여 염색된 세포를 녹인 후 ELISA 리더(reader)를 이용하여 파장 54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3의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0.5 mg/㎖ 또는 1 mg/㎖)을 처리한 구는 무처리구와 비교하였을 때, 세포 생존율이 97.1 % 내지 98.2 %로 나타났다(표 ).
Figure 112011056796829-pat00003
추출물의 세포 독성 측정
함유량 무처리군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세포 생존율(%) 0.5 ㎎/㎖ 100 99.2 98.2 98.8
1 ㎎/㎖ 100 98.2 97.1 97.4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래와 같은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아래의 제제는 본 발명을 예시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제제예 1> 유연 화장수
상기 실시예 12에 따른, 나이아신아마이드,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연 화장수의 제제예는 다음 표 7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 4.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4
글리신 3.5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1
1,3-부틸렌 글리콜 3.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에탄올 5.0
항산화제 0.1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향료 0.05
정제수 잔량
< 제제예 2> 영양 화장수
상기 실시예 12에 따른, 나이아신아마이드,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 화장수의 제제예는 다음 표 8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 4.0
글리세린 7.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슈크로오즈코코에이트 2.0
미네랄 오일 4.0
트리옥타노인 1.0
스테아릭에씨드 1.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0
디메치콘 0.5
항산화제 0.2
트리에탄올아민 0.1
카보머 0.2
EDTA 0.1
향료 0.05
정제수 잔량
< 제제예 3> 영양 에센스
상기 실시예 12에 따른, 나이아신아마이드,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 에센스의 제제예는 다음 표 9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 7.0
글리세린 5.0
1,3-부틸렌 글리콜 2.0
폴리에틸렌 글리콜 2.0
카보머 1.0
소듐하이루로네이트 0.1
글리신 3.0
폴리아크릴아마이드 2.0
히드록시에칠셀룰로우즈 0.2
에탄올 3.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향료 0.05
정제수 잔량
< 제제예 4> 영양 크림
상기 실시예 12에 따른, 나이아신아마이드,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 크림의 제제예는 다음 표 10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 10.0
1,3-부틸렌 글리콜 3.0
글리세린 3.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친 1.0
옥틸도데카놀 3.0
트리옥타노인 2.0
스테아릭에씨드 1.5
세토스테아릴알콜 2.0
폴리솔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2.0
디메치콘 3.0
항산화제 0.3
산탄검 0.2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향료 0.05
정제수 잔량
< 제제예 5> 팩
상기 실시예 12에 따른, 나이아신아마이드,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팩의 제제예는 다음 표 11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 8.0
글리세린 7.0
1,3-부틸렌 글리콜 3.0
스쿠알렌 3.0
디메치콘 3.0
소듐하이루로네이트 0.1
글리신 2.0
폴리아크릴아마이드 5.0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향료 0.05
정제수 잔량

Claims (9)

  1. 한련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미, 검버섯, 주근깨 등의 잡티 제거 또는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련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1 ~ 10 : 1 ~ 10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잡티 제거 또는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잡티는 기미, 검버섯 및 주근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잡티 제거 또는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4. 한련초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 촉진용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련초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를 1 ~ 10 : 1 ~ 10 : 1 ~ 10 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 촉진용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6.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 촉진용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를 1 ~ 10 : 1 ~ 10 : 1 ~ 10 : 1 ~ 10 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 촉진용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은 물, C1 내지 C3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된 것인 각질 박리 촉진용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밀크 로션, 파운데이션, 비누 및 세안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으로 제제화된 것인 각질 박리 촉진용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073041A 2011-07-22 2011-07-22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미, 검버섯, 주근깨 등의 잡티 제거 및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03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041A KR101303294B1 (ko) 2011-07-22 2011-07-22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미, 검버섯, 주근깨 등의 잡티 제거 및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041A KR101303294B1 (ko) 2011-07-22 2011-07-22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미, 검버섯, 주근깨 등의 잡티 제거 및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042A KR20130012042A (ko) 2013-01-31
KR101303294B1 true KR101303294B1 (ko) 2013-09-03

Family

ID=4784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041A KR101303294B1 (ko) 2011-07-22 2011-07-22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미, 검버섯, 주근깨 등의 잡티 제거 및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2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2151A (zh) * 2015-03-03 2015-07-08 深圳市妍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袪除黑头的香皂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074964A1 (en) * 2021-01-16 2024-03-07 Diabliss Consumer Products Pvt Ltd A nutraceuticals formulation with an enhanced organoleptic properties used for skin ca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3428A (ja) 2000-08-12 2002-02-19 Tadashi Fukiya 皮膚外用剤
JP2006111580A (ja) 2004-10-15 2006-04-27 Intoron:Kk 化粧料
KR20090039008A (ko) * 2007-10-17 2009-04-22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953278B1 (ko) 2008-02-25 2010-04-19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3428A (ja) 2000-08-12 2002-02-19 Tadashi Fukiya 皮膚外用剤
JP2006111580A (ja) 2004-10-15 2006-04-27 Intoron:Kk 化粧料
KR20090039008A (ko) * 2007-10-17 2009-04-22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953278B1 (ko) 2008-02-25 2010-04-19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2151A (zh) * 2015-03-03 2015-07-08 深圳市妍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袪除黑头的香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042A (ko) 201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157B1 (ko)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7557B1 (ko) 백합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201012A (zh) 包含积雪草不定根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皮肤美白及皱纹改善的化妆品组合物
KR101055963B1 (ko)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5195B1 (ko)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63686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082177A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5172A (ko) 중머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303294B1 (ko)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미, 검버섯, 주근깨 등의 잡티 제거 및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03504B1 (ko) 비단나무 추출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210060801A (ko) 식물 복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4B1 (ko) 천궁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30636B1 (ko) 진세노사이드 Rh2 및 진세노사이드 Rg3를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6417A (ko) 참다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100744947B1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7193B1 (ko) 금잔화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41613B1 (ko) 오미자 솔버섯 발효액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27027B1 (ko) 모과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18512B1 (ko) 단삼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82192A (ko) 오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13557B1 (ko) 상지 추출물 및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