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9840A - 촬상렌즈 - Google Patents

촬상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9840A
KR20090089840A KR1020097005050A KR20097005050A KR20090089840A KR 20090089840 A KR20090089840 A KR 20090089840A KR 1020097005050 A KR1020097005050 A KR 1020097005050A KR 20097005050 A KR20097005050 A KR 20097005050A KR 20090089840 A KR20090089840 A KR 20090089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bject side
image side
refractive index
ab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5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도
Original Assignee
마일스톤 가부시키가이샤
사토시 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일스톤 가부시키가이샤, 사토시 도 filed Critical 마일스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9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8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6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at least one element being a compound optical element, e.g. cemented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wo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ans for compensating for changes in temperature o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rmal stabili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고온환경에서도 광학적 성능이 열화 하지 않으며, 또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되고, 동시에 광학길이가 짧고, 게다가 충분한 백포커스가 확보되는 촬상렌즈로서, 제1조리개(S1)와, 제1접합형 복합렌즈(14)와, 제2조리개(S2)와, 제2접합형 복합렌즈(16)를 구비하고,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1조리개, 제1접합형 복합렌즈, 제2조리개, 제2접합형 복합렌즈의 순서로 배열되어 구성되어 있는 촬상렌즈이다. 제1접합형 복합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1렌즈(L1), 제2렌즈(L2) 및 제3렌즈(L3)의 순서로 배열되고, 제2접합형 복합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4렌즈(L4), 제5렌즈(L5) 및 제6렌즈(L6)의 순서로 배열된다. 제1렌즈 및 제3렌즈, 제4렌즈 및 제6렌즈가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된다. 또, 제2렌즈 및 제5렌즈는, 고연화온도의 광학 글래스재료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촬상렌즈{IMAGING LENS}
본 발명은 촬상렌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전화기 등에 탑재하기에 적합한 촬상렌즈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를 내장하는 휴대전화기는, 촬상렌즈가 프린트 배선기판에 실장되어 있다. 프린트 배선기판에 촬상렌즈를 실장하는 방법으로서, 리플로우 솔더링(Reflow soldering) 처리가 채용되어 있다. 이후, 리플로우 솔더링 처리를, 간단히 「리플로우 처리」라고도 한다. 리플로우 처리란, 프린트 배선기판상에서 전자부품을 접속하는 장소에 미리 솔더볼을 배치하고, 거기에 전자부품을 배치하고 나서 가열하여, 솔더볼을 용융시킨 후 냉각함으로써, 전자부품을 솔더링하는 방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대량생산 공정에서, 프린트 배선기판에 전자소자 또는 촬상렌즈 등의 부품류를 실장하는 방법으로서, 리플로우 처리를 실시하는 리플로우 공정이 채용된다. 리플로우 공정에 의하면, 부품류의 프린트 배선기판으로의 실장 코스트가 낮고, 동시에 제조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촬상렌즈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의 제조공정에서의 리플로우 공정에서는, 전자부품이, 프린트 배선기판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는 것은 물론, 촬상렌즈 그것, 또는 촬상렌즈를 취부 하기 위한 소켓 등이 프린트 배선기판에 배치된다.
휴대전화기에 취부되는 촬상렌즈는, 제조 코스트의 저감 및 렌즈 성능의 확보를 위하여, 그 대부분이 플라스틱을 소재로 하여 제작되고 있다. 이 때문에, 리플로우 공정에서, 촬상렌즈가 고온 환경에 놓임으로써 열변형하여, 그의 광학적 성능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촬상렌즈를 장치하기 위한 내열성 소켓 부품을 이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리플로우 공정에서는, 촬상렌즈를 장치하기 위한 내열성 소켓부품을 휴대전화기의 프린트 배선기판에 취부하고, 리플로우 공정 완료 후에, 촬상렌즈를 그 소켓에 취부함으로써, 촬상렌즈가 리플로우 공정에서 고온에 놓이는 것을 방지하는 방책이 채용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 3 참조). 그러나, 촬상렌즈를 장치하기 위하여 내열성 소켓 부품을 이용하는 것은, 제조 공정을 복잡하게 하고, 그 내열성 소켓의 코스트를 포함하여, 제조 코스트가 높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최근은, 휴대전화기가, 일시적으로 고온 환경이 되는 승용차의 차내 등에 방치되는 것도 고려하여, 휴대전화기 그것이, 150℃ 정도의 고온 환경에 직면하는 경우에서도, 이 휴대전화기에 장치되어 있는 촬상렌즈는, 그의 광학적 성능이 열화하지 않을 것이 요청되고 있다. 종래의,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 촬상렌즈에서는, 이 요청에 완전하게는 부응하지 못한다.
고온 환경에서도 광학적 성능이 유지되는 촬상렌즈를 실현하기 위하여, 촬상렌즈를 고연화 온도의 몰드 글래스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고려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4 참조), 고연화 온도의 몰드 글래스 소재가 연화하는 온도는 수백 도 이상이므로, 이에 의하면, 고온의 환경에 의해 촬상렌즈의 광학적 성능이 열화한다고 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지만, 현시점에서는, 몰드 글래스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촬상렌즈는, 그의 제조 코스트가 매우 높아, 그다지 보급되지 않는다.
휴대전화기 등에 장치되는 촬상렌즈는, 상술의 열적 특성에 더하여 광학적 특성에서도,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즉, 광학길이가 짧을 필요가 있다. 광학길이란, 촬상렌즈의 물체측의 입사면으로부터 결상면(촬상면 이라고도 한다)까지의 거리이다. 바꾸어 말하면, 렌즈 설계에 있어서, 촬상렌즈의 합성초점거리에 대한 광학길이의 비를 작게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휴대전화기를 예를 들면, 적어도 이 광학길이는, 휴대전화기본체의 두께보다 짧지 않으면 안된다.
한편, 촬상렌즈의 상측의 출사면으로부터 촬상면까지의 거리로 정의되는 백포커스는, 가능한 한 긴 것이 좋다. 즉, 렌즈 설계에 있어서, 초점거리에 대한 백포커스의 비는 가능한 만큼 크게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는 촬상렌즈와 촬상면과의 사이에 필터나 카바 글래스 등의 부품을 삽입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이외에도, 촬상렌즈로서, 제수차가, 상의 왜곡이 시각을 통하여 의식되지 않으며, 또 CCD 이미지센서(charge coupled device image sensor) 등의 수광면에 매트릭스상으로 늘어서 있는 광을 검지하는 최소단위의 소자[「화소(pixels)」 라고도 함]의 집적밀도로부터 요청되는 충분할 정도로 작게 보정되는 것이 당연히 요청된다. 즉, 촬상렌즈는,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될 필요가 있다. 이하, 이와 같이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된 화상을 「양호한 화상」이라고도 한다.
특허문헌 1:일본특허공개 2006-121079호 공보(특허 제3799615호 공보)
특허문헌 2:일본특허공개 2004-328474호 공보(특허 제3915733호 공보)
특허문헌 3:일본특허공개 2004-063787호 공보(특허 제3755149호 공보)
특허문헌 4:일본특허공개 제2005-067999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전화기 등에 탑재하기에 적합한 촬상렌즈로서, 리플로우 공정에 있어서도, 또, 휴대전화기 등에 장치되어 일시적으로 설계방법에서 최고의 고온 환경에 직면하는 경우에서도, 광학적 성능이 열화 하지 않는다고 하는 내열성이 보증되는 촬상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휴대전화기 등에 탑재 가능한 정도로 광학길이가 짧고, 백포커스는 촬상렌즈와 촬상면과의 사이에 필터나 카바 글래스 등의 부품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정도로 길며, 또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촬상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촬상렌즈는, 제1조리개와, 제1접합형 복합렌즈와, 제2조리개와, 제2접합형 복합렌즈를 구비하고,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1조리개, 제1접합형 복합렌즈, 제2조리개, 제2접합형 복합렌즈의 순서로 배열되어 구성된다.
제1접합형 복합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1렌즈, 제2렌즈 및 제3렌즈의 순서로 배열되며, 제1렌즈 및 제3렌즈가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된다. 제2접합형 복합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4렌즈, 제5렌즈 및 제6렌즈의 순서로 배열되고, 제4렌즈 및 제6렌즈가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된다. 제2렌즈 및 제5렌즈는, 고연화 온도의 광학 글래스 재료로 형성된다. 제1렌즈와 제2렌즈는 간접 접착되고, 동시에 제2렌즈와 제3렌즈는 간접 접착되어 있다. 또, 제4렌즈와 제5렌즈는 간접 접착되고, 동시에 제5렌즈와 제6렌즈는 간접 접착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1접합형 복합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1렌즈, 제2렌즈 및 제3렌즈의 순서로 배열되고, 제1렌즈, 제2렌즈 및 제3렌즈가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된다. 제2접합형 복합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4렌즈, 제5렌즈 및 제6렌즈의 순서로 배열되고, 제4렌즈, 제5렌즈 및 제6렌즈가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된다. 제1렌즈와 제2렌즈는 직접 접착 또는 간접 접착되고, 동시에 제2렌즈와 제3렌즈는 직접 접착 또는 간접 접착되어 있다. 또한, 제4렌즈와 제5렌즈는 직접 접착 또는 간접 접착되고, 동시에 제5렌즈와 제6렌즈는 직접 접착 또는 간접 접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경화성 수지(Curable Resin) 재료란, 열경화성 수지(Thermosetting resin) 재료 및 자외선 경화수지(UV-Curable Resin) 재료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한다. 또, 고연화 온도의 광학 글래스재료란, 고연화 온도의 몰드 글래스 재료 또는 붕소산 글래스 등의 광학 글래스 재료 등을 지칭한다.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된 제2렌즈와,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된 제1렌즈 또는 제3렌즈의 접착, 및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된 제5렌즈와,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된 제4렌즈 또는 제6렌즈와의 접착은 다음과 같이 실현된다.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된 제2렌즈에, 액체상의 경화성 수지재료를 접촉시켜, 이 경화성 수지재료를 고체화, 즉 경화시킴으로써, 제1렌즈 또는 제3렌즈를 제2렌즈에 접착시킨다. 또한,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된 제5렌즈에, 액체상의 경화성 수지재료를 접촉시켜, 이 경화성 수지재료로를 고체화, 즉 경화시킴으로써, 제4렌즈 또는 제6렌즈를 제5렌즈에 접착시킨다. 이 접착을, 이후, 직접 접착이라고도 한다. 또, 제2렌즈와, 제1렌즈 또는 제3렌즈 사이에 접착제를 개재시켜서 제2렌즈와, 제1렌즈 또는 제3렌즈의 접착을 실현시켜도 좋다. 또한, 제5렌즈와, 제4렌즈 또는 제6렌즈의 사이에 접착제를 개재시켜 제5렌즈와, 제4렌즈 또는 제6렌즈의 접착을 실현시켜도 좋다. 이 접착을, 이후, 간접 접착이라고도 한다.
한편, 고연화 온도의 광학 글래스로 형성된 제2렌즈와,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된 제1렌즈 또는 제3렌즈의 접착, 및 고연화 온도의 광학 글래스로 형성된 제5렌즈와,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된 제4렌즈 또는 제6렌즈의 접착은 간접 접착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2렌즈를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도, 제2렌즈를 고연화 온도의 광학 글래스로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도, 간접 접착에 의해 접합형 복합렌즈를 실현하는 경우, 제2렌즈의 굴절률과, 제1 및 제3렌즈의 굴절률에 관하여, 접착제의 굴절률을 알맞게 선택하는 등, 접착제의 광학적 특성을 적극적으로 이용할 의도를 가지고 접착제를 선택하면, 제2렌즈와, 제1렌즈 또는 제3렌즈의 계면에서의 반사를 저감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동일하게, 제5렌즈를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도, 제5렌즈를 고연화 온도의 광학 글래스로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도, 간접 접착에 의해 접합형 복합렌즈를 실현하는 경우, 제5렌즈와의 굴절률과, 제4 및 제6렌즈의 굴절률에 관하여, 접착제의 굴절률을 알맞게 선택하는 등, 접착제의 광학적 특성을 적극적으로 이용할 의도를 가지고 접착제를 선택하면, 제5렌즈와, 제4렌즈 또는 제6렌즈와의 계면에 있어서의 반사를 저감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접착제를 개재시키던지 아니던지 관계없이, 제2렌즈의, 제1렌즈 또는 제3렌즈에 대향하는 면에, 코팅처리를 실시한 상태로, 양자를 접착하면, 제1렌즈(또는 제3렌즈)와의 계면에 있어서의 반사를 저감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동일하게, 접착제를 개재시키던지 아니던지 관계없이, 제5렌즈의, 제4렌즈 또는 제6렌즈에 대향하는 면에, 코팅처리를 실시한 상태로, 양자를 접착하면, 제4렌즈(또는 제6렌즈)와의 계면에 있어서의 반사를 저감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술의 촬상렌즈에 있어서, 이하의 조건(1)~(8)를 만족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다.
0 ≤| N3 - N2|≤ 0.1 (1)
0 ≤| N3 - N4|≤ 0.1 (2)
0 ≤| ν3 - ν2|≤ 30.0 (3)
0 ≤| ν3 - ν4|≤ 30.0 (4)
0 ≤| N9 - N8|≤ 0.1 (5)
0 ≤| N9 - N10|≤ 0.1 (6)
0 ≤| ν9 - ν8|≤ 30.0 (7)
0 ≤| ν9 - ν10|≤ 30.0 (8)
단,
N2 : 상기 제1렌즈의 굴절율
N3 : 상기 제2렌즈의 굴절율
N4 : 상기 제3렌즈의 굴절율
ν2 : 상기 제1렌즈의 아베수
ν3 : 상기 제2렌즈의 아베수
ν4 : 상기 제3렌즈의 아베수
N8 : 상기 제4렌즈의 굴절율
N9 : 상기 제5렌즈의 굴절율
N10 : 상기 제6렌즈의 굴절율
ν8 : 상기 제4렌즈의 아베수
ν9 : 상기 제5렌즈의 아베수
ν10 : 상기 제6렌즈의 아베수
이다.
제 2 렌즈 및 제5렌즈는, 광학평행평면판(Optical-parallel plate)으로 할 수 있다. 광학평행평면판은, 렌즈로는 일반적으로는 호칭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렌즈면의 곡률반경이 무한대인 특별한 경우로서 광학평행평면판을 포함하여 렌즈로 부르는 것이다.
제2렌즈 및 제5렌즈를 광학평행평면판으로 한 경우, 제1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1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평볼록렌즈(planoconvex lens)로 하고, 동시에 제3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3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평오목렌즈(planoconcave kens)로 하며, 또한, 제4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4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평볼록렌즈로 하고, 제6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6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평오목렌즈로 할 수 있다.
또, 제2렌즈를, 양볼록(凸)렌즈(biconvex lens)로 하고, 제1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1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로 하며, 제3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3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로 하고, 제5렌즈를, 양오목(凹)렌즈(biconcave lens)로 하고, 제4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4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으로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로 하고, 제6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6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로 할 수 있다.
또, 제2렌즈를,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매니스커스 렌즈로 하고, 제1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1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로 하며, 제3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3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로 하고, 제5렌즈를,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매니스커스 렌즈로 하며, 제4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4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로 하고, 제6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6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2렌즈를, 양오목(凹)렌즈로 하고, 제1렌즈를, 근축상에서 제1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로 하며, 제3렌즈를, 근축상에서 제3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로 하고, 제5렌즈를, 양볼록(凸) 렌즈로 하고, 제4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4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호 하고, 제6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6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촬상렌즈를 형성하기에 좋기로, 제1렌즈의 물체측면 및 제3렌즈의 상측면을 비구면으로 하고, 제4렌즈의 물체측면 및 제6렌즈의 상측면을 비구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2렌즈의 양면 및 제5렌즈의 양면 합계 4개의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을 코팅 처리하여, 제1렌즈와 제2렌즈를 간접 접착하고, 동시에 제2렌즈와 제3렌즈를 간접 접착하며, 제4렌즈와 제5렌즈를 간접 접착하고, 동시에 제5렌즈와 제6렌즈를 간접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촬상렌즈를 형성하기에 좋기로, 제1렌즈, 제3렌즈, 제4렌즈 및 제6렌즈의 소재인 경화성 수지(Curable Resin) 재료는, 투명 경화성 실리콘수지(Transparent Curable Silicone Resin)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렌즈로부터 제6렌즈의 전체 렌즈를 경화성 수지재료로 실현시킨 경우에 있어서, 이 경화성 수지재료도, 투명 경화성 실리콘수지(Transparent Curable Silicone Resin)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투명의 한정은, 가시광에 대하여, 실용상의 영향이 없는 정도로 광흡수량이 작은(투명인) 것을 의미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촬상렌즈에 의하면, 본 촬상렌즈를 구성하는 제1접합형 복합렌즈는,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한 제1 및 제3렌즈가, 고연화온도의 광학 글래스재료로 형성한 제2렌즈를 양측에서 사이에 두고 형성하고, 게다가 간접 접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제2접합형 복합렌즈는,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한 제4 및 제6렌즈가, 고연화온도의 광학 글래스재료로 형성한 제5렌즈를 양측에서 사이에 두고 형성하며, 게다가 간접 접착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고연화온도의 광학 글래스재료란, 리플로우 처리의 온도 및 접합형 복합렌즈의 설계방법에 있어서 최고 환경온도의 어떤 온도보다, 고연화온도가 높은 광학 글래스재료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 광학 글래스재료에 대하여, 열적 성질에 대하여 논하는 경우에는 고연화온도의 광학 글래스재료로 하며, 광학적 성질을 논하는 경우에는, 이들을 단순하게 광학 글래스라고도 한다.
또, 본 발명의 촬상렌즈는, 제1접합형 복합렌즈를,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1렌즈, 제2렌즈 및 제3렌즈의 순서로 배열하고, 제1렌즈, 제2렌즈 및 제3렌즈를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2접합형 복합렌즈를,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4렌즈, 제5렌즈 및 제6렌즈의 순서로 배열하고, 제4렌즈, 제5렌즈 및 제6렌즈를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렌즈와 제2렌즈는 직접 접착 또는 간접 접착되고, 동시에 제2렌즈와 제3렌즈는 직접 접착 또는 간접 접착되어 있다. 또, 제4렌즈와 제5렌즈는 직접 접착 또는 간접 접착되고, 동시에 제5렌즈와 제6렌즈는 직접 접착 또는 간접 접착되어 형성된다.
경화성 수지재료는, 일단 경화처리가 실시되면, 일정 온도 이상의 고온으로 되어도, 경화하지는 않는다. 경화성 수지재료가 갖는 성질이, 연화온도라고 불리는(글래스 전이온도라고도 불린다) 일정의 온도 이상에 노출되면 연화하여 가소화하는, 플라스틱재료 등의 가소성 수지재료가 갖는 성질과 다른점이다. 즉, 경화성 수지재료는, 일단 경화 치리가 실시되어 고체화 되면, 그 기하학적 형상은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렌즈, 제3렌즈, 제4렌즈 및 제6렌즈는, 고온환경에 직면한 경우에 있어서도, 렌즈의 기하학적 형상은 변화하지 않고, 그 광학적 성능이 열화하지 않는다. 또, 제2렌즈 및 제5렌즈도, 고연화온도의 광학 글래스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온 환경하에서도 그 광학적 성능이 열화하지 않는다. 또, 제2렌즈 및 제5렌즈가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일하게 고온 환경하에서도 그 광학적 성능은 열화하지 않는다. 여기서, 고온 환경이란, 리플러워 처리의 온도 및 접합형 복합렌즈의 설계방법에 있어서 최고온도의 어떤 온도보다 높은 온도환경을 말한다.
이 때문에, 제1접합형 복합렌즈 및 제2접합형 복합렌즈는, 리플러워 공정 및 촬상렌즈의 사용시에 예상되는 최고의 온도인 고온환경에 있어서도, 그 광학적 성능이 보증된다.
제2렌즈 및 제5렌즈를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함으로써, 다음의 효과가 얻어진다. 고연화온도의 광학 글래스재료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2렌즈 및 제5렌즈의 두께의 제조상의 정도가 높다. 즉, 제2렌즈 및 제5렌즈를 고연화온도의 광학 글래스재료로 형성한 경우의 제조상의 두께의 정도는 ±10㎛ 정도인에 대하여,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한 경우의 제조상 두께의 정도는 ±3㎛ 정도까지 높아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2렌즈 및 제5렌즈의 두께의 제조상 정도를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설계상 예상되는 수차 등 제특성으로부터 크게 어긋나는 일 없이 촬상렌즈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의 간접 접착을 실현하기에는, 접착면 사이에 접착제를 개재시켜 수행한다. 접합형 복합렌즈를 간접 접착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는, 제1 내지 제3렌즈를 먼저 형성하고, 접착제를 제2렌즈의 제1렌즈 또는 제3렌즈에 대향하는 면, 또는, 제1렌즈 또는 제3렌즈의 제2렌즈의 대향하는 면에 도포하여, 양자를 밀착시키면 좋다. 동일하게, 제4 내지 제6렌즈를 먼저 형성하고, 접착제를 제5렌즈의 제4렌즈 또는 제6렌즈에 대향하는 면, 또는 제4렌즈 또는 제6렌즈의 제5렌즈에 대향하는 면에 도포하여, 양자를 밀착시키면 좋다.
제2렌즈의, 제1렌즈 또는 제3렌즈에 대향하는 면에, 코팅 처리를 실시한 상태에서, 양자를 간접 접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제5렌즈의, 제4렌즈 또는 제6렌즈에 대향하는 면에, 코팅처리를 실시한 상태에서, 양자를 간접 접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간접 접착을 실현하는 경우, 광학 글래스의 굴절률과, 경화성 수지재료의 굴절률에 관하여, 접착제의 굴절률을 알맞게 선택하는 등, 접착제의 광학적 특성을 적극적으로 이용할 의도를 가지고 접착제를 선택하면, 제2렌즈와, 제1렌즈 또는 제3렌즈의 계면에서의 반사 등의 효과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렌즈의, 제1렌즈 또는 제3렌즈에 대향하는 면에, 코팅 처리를 실시한 상태에서, 양자를 접착하면, 제1렌즈(또는 제3렌즈)와의 계면에서의 반사를 저감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동일하게, 제5렌즈와, 제4렌즈 또는 제6렌즈와의 계면에서의 반사 등의 효과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제5렌즈의, 제4렌즈 또는 제6렌즈에 대향하는 면에, 코팅 처리를 실시한 상태에서, 양자를 접착하면, 제4렌즈(또는 제6렌즈)와의 계면에서의 반사를 저감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본 발명의 촬상렌즈의 광학적 특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촬상렌즈의 광학적인 구성상의 지도원리는, 굴절률 등의 광학적 특성이 가능한 한 균질인 단일의 접합형 복합렌즈에 의해, 수차보정 및 결상이라는 2개의 역할을 실현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촬상렌즈가 구비하는 제1접합형 복합렌즈를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렌즈 각각의 굴절률 및 아베수는 서로 크게 다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2접합형 복합렌즈를 구성하는 제4 내지 제6렌즈 각각의 굴절률 및 아베수는 서로 크게 다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내지 제3렌즈 각각의 굴절률 및 아베수는 서로 동일한 것이 이상적이다. 또, 제4 내지 제6렌즈 각각의 굴절률 및 아베수는 서로 동일한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현실에는, 굴절률 및 아베수가 완전하게 동일하여, 광학 글래스재료와 경화성 수지재료와의 편성을 찾아내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제1 및 제2접합형 복합렌즈의 각각에 있어서, 구성재료인 광학 글래스재료와 경화성 수지재료의, 양자의 굴절률 및 아베수의 차가 어느 정도 이하이면, 양호한 화상이 얻어지는 촬상렌즈를 구성할 수 있는 가를, 여러번의 시뮬레이션 및 시작(試作)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상술이 조건 (1) 내지 (8)를 만족함으로써, 양호한 화상이 얻어지는 촬상렌즈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제1렌즈의 굴절률(N2)과 제2렌즈의 굴절률(N3)과의 차, 제2렌즈의 굴절률(N3)과 제3렌즈의 굴절률(N4)과의 차, 제4렌즈의 굴절률(N8)과 제5렌즈의 굴절률(N9)과의 차, 및 제5렌즈의 굴절률(N9)과 제6렌즈의 굴절률(N10)과의 차가, 각각 0.1이내이면, 왜곡수차, 비점수차, 및 색.구면수차가, 양호한 화상이 얻어지는 정도로 충분하게 작은 값이된다.
또, 제1렌즈의 아베수(v2)와 제2렌즈의 아베수(v3)와의 차, 제2렌즈의 아베수(v3)와 제3렌즈의 아베수(v4)와의 차, 제4렌즈의 아베수(v8)와 제5렌즈의 아베수(v9)와의 차, 및 제5렌즈의 아베수(v9)와 제6렌즈의 아베수(v10)와의 차가 각각 30.0 이내이면, 색수차의 크기를, 양호한 화상이 형성되는 정도로 충분히 작은 값으로 할 수 있고, 게다가 충분한 콘트라스트를 가지는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의 조건 (1) 내지 (8)을 만족하는 것에 의해, 휴대전화기 등에 탑재 가능한 정도로 광학길이가 짧고, 백포커스는, 촬상렌즈와 촬상면 사이에 필터나 카바 글래스 등의 부품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정도로 길고, 동시에 양호한 화상이 얻어지는 촬상렌즈가 실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촬상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촬상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촬상렌즈의 왜곡수차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촬상렌즈의 비점수차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촬상렌즈의 색·구면수차도이다.
도 6은 실시예 2의 촬상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2의 촬상렌즈의 왜곡수차도이다.
도 8은 실시예 2의 촬상렌즈의 비점수차도이다.
도 9는 실시예 2의 촬상렌즈의 색·구면수차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3의 촬상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3의 촬상렌즈의 왜곡수차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3의 촬상렌즈의 비점수차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3의 촬상렌즈의 색·구면수차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4의 촬상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4의 촬상렌즈의 왜곡수차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4의 촬상렌즈의 비점수차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4의 촬상렌즈의 색·구면수차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5의 촬상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19은 실시예 5의 촬상렌즈의 왜곡수차도이다.
도 20은 실시예 5의 촬상렌즈의 비점수차도이다.
도 21는 실시예 5의 촬상렌즈의 색·구면수차도이다.
도 22는 실시예 6의 촬상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실시예 6의 촬상렌즈의 왜곡수차도이다.
도 24는 실시예 6의 촬상렌즈의 비점수차도이다.
도 25은 실시예 6의 촬상렌즈의 색·구면수차도이다.
[부호의 설명]
10;촬상소자
12;카바 글래스
14;제1접합형 복합렌즈
16;제2접합형 복합렌즈
50,52,54,56;접착제
60,62,64,66;코팅막
S1;제1조리개
S2;제2조리개
L1;제1렌즈
L2;제2렌즈
L3;제3렌즈
L4;제4렌즈
L5;제5렌즈
L6;제6렌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각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일 구성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는 정도로 각 구성요소의 단면 형상이나 배치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도시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특정의 재료 및 조건 등을 이용하는 것이 있으나, 이들 재료 및 조건은 바람직한 예의 하나에 불과하며, 따라서,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촬상렌즈의 구성도이다. 도 1에서 정의되어 있는 면번호(ri(i=1,2,3,...,14) 및 면간격(di(i=1,2,3,...,13) 등의 기호는, 도 2, 도 6, 도 10, 도 14, 도 18 및 도 22에서는, 단면이 복잡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략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접합형 복합렌즈(14)를 구성하는 제1, 제2 및 제3렌즈를 각각 L1, L2 및 L3로 나타낸다. 또, 제2접합형 복합렌즈(16)을 구성하는 제4, 제5 및 제6렌즈를 각각 L4, L5 및 L6로 나타낸다.
제1접합형 복합렌즈(14)의 전면(제1렌즈의 전면 r2)에 배치되는 제1조리개(S1)는 개구 조리개로서의 역할을 하며, 입사동의 위치를 확정한다. 또, 제1접합형 복합렌즈(14)와 제2접합형 복합렌즈(16)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조리개(S2)는,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감소하는 현상인 플레어(flare) 또는, 화상 미어짐 현상인 스미어(smear)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오해가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ri(i=1,2,3,...,14)을 광축상 곡률반경의 값을 의미하는 변수로 이용하거나, 렌즈나 카바 글래스면 또는 촬상면을 식별하는 기호(예를 들면, r2을, 제1접합형 복합렌즈(14)를 구성하는 제1렌즈 L1의 물체측면의 의미로 이용하는 등)로서 이용하는 것도 있다.
도 1에 있어서, r3, r4, r9, 및 r10으로 나타낸 계면은, 각각 간접접착을 위한 접착제(50,52,54 및 56)가 존재한다. 또, 제2렌즈(L2)의 양면 또는 편면이 코팅 처 리되어 있는 경우는, 이 코팅막(60) 또는 코팅막(62)가 존재하고 있다. 제5렌즈(L5)의 양면 또는 편면이 코팅처리되어 있는 경우는, 이 코팅막(64) 또는 코팅막(66)가 존재하고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이, 접착제(50,52,54 및 56), 코팅막(60,62,64 및 66)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하여, r3, r4, r9, 및 r10으로 나타낸 계면을 태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도 2, 도 6, 도 10, 도 14, 도 18 및 도 22에 있어서도, r3, r4, r9, 및 r10으로 나타낸 계면은, 간접접착의 경우에는, 접착제 또는 코팅막이 존재하나, 도면이 복잡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r2, r5, r8 및 r11과 동일하게 세선으로 표시하고, 접착제(50, 52, 54 및 56), 코팅막(60, 62, 64 및 66)을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촬상렌즈에 있어서, 접착제의 두께는, 촬상렌즈의 광학적인 성실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정도로 충분히 얇으므로, r3, r4, r9 및 r10으로 나타낸 계면에 접착제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접착제의 두께는 무시되고 있다. 당연하게, 제2렌즈(L2)에 직접 또는 간접접착되는 제1 및 제3렌즈(L1 및 L3)의 접착면은, 제2렌즈(L2)의 접착면에 일치한 형상을 가지고, 제5렌즈(L5)에 직접 또는 간접 접착되는 제4 및 제6렌즈(L4 및 L6)의 접착면은, 제5렌즈(L5)의 접착면에 일치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들의 도면에 나타낸 ri(i=1,2,3,···,14) 및 di(i=1,2,3,···,13) 등 의 파라메타는, 이하에 나타낸 표 1 내지 표 6에 구체적 수치로서 부여한다. 첨자 i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조리개(제1 및 제2조리개), 각 렌즈의 면번호 또는 렌즈의 두께 또는 렌즈면 간격 등에 대응시켜 부여한 것이다. 즉,
ri는 i번째 면의 광축상곡률반경,
di는 i번째 면에서부터 i+1번째 면까지의 거리,
Ni는 i번째 면과 i+1번째 면으로 이루어진 렌즈의 소재의 굴절률, 및
νi는 i번째 면과 i+1번째 면으로 이루어진 렌즈의 소재의 아베수
를 각각 나타낸다.
도 1에서는, 조리개(제1 및 제2조리개)의 개구부를 선분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는, 렌즈면으로부터 조리개면까지의 거리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조리개면과 광축과의 교점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이다. 또, 실시예 1 내지 6의 촬상렌즈 각각의 단면도인, 도 2, 도 6, 도 10, 도 14, 도 18 및 도 22에서는, 상기의 도 1과는 반대로, 조리개의 개구부를 개방하고, 개구부의 단을 시점으로 한 반직선으로 광을 차단하는 조리개의 본체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주광선 등의 광선을 기입하기 위해서, 조리개의 실태를 반영하여, 조리개의 개구부를 개방하여 나타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제2조리개는, 촬상렌즈의 구조상, 그 두께를 무시할 수 없으므로, d6으로서 그 두께를 나타내고 있다.
광학길이(L)는, 제1조리개(S1)로부터 촬상면까지의 거리이다. 백포커스(bf)는, 제2접합형 복합렌즈(16)를 구성하는 제 6 렌즈(L6)의 상측면에서부터 촬상면까지의 거리이다. 여기서는, 카바 글래스를 제거하고 계측한 제 6 렌즈(L6)의 상측면으로부터 촬상면까지의 길이를, 백포커스(bf)로서 나타낸 것으로 한다.
비구면 데이타는, 표 1 내지 표 6 각각의 난에 면번호와 함께 나타내었다. 또, 광축상 곡률반경의 값 ri(i=1,2,3,...,14)은, 물체측에 볼록(凸)인 경우를 정의 값, 상측에 볼록(凸)인 경우를 부의 값으로 표시하고 있다.
제2렌즈가 광학평행평면판인 경우의 양면(r3 및 r4), 제5렌즈가 광학평행평면판인 경우의 양면(r9 및 r10), 제1조리개 S(r1), 제2조리개(r6,r7) 및 카바 글래스(또는 필터 등)의 면(r12 및 r13)은, 평면이므로 곡률반경은, ∞로 표시하고 있다. 또, 촬상면(r14)에 대해서는, 평면이므로 r14=∞이나, 표 1 내지 표 6에서는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구면은, 다음 식으로 부여된다.
Z = ch2 / [1 + [1 - (1 + k)c2h2] +1/2] + A4h4 + A6h6 + A8h8 + A10h10
단,
Z: 면정점에 대한 접평면으로부터의 깊이
c: 면의 광축상의 곡률
h: 광축으로터의 높이
k: 원추정수
A4: 4차 비구면계수
A6: 6차 비구면계수
A8: 8차 비구면계수
A10: 10차 비구면계수
이다.
본 명세서 중의 표 1 내지 표 6에서, 비구면계수를 나타낸 수치는 지수 표시이며, 예를 들면 「e - 1」은, 「10e - 1승」을 의미한다. 또 초점거리 f로서 나타낸 값은, 제1접합형 복합렌즈와 제2접합형 복합렌즈에 의한 합성초점거리이다. 실시예 마다에, 렌즈 밝기의 지표인 개방 F 넘버(개방 F 값으로 부르는 것도 있다)를 Fno로서 표시하고 있다. 개방 F 넘버는, 개구 조리개(제1조리개)의 직경을, 설계상 최대 직경으로 한 경우의 F 넘버를 의미한다. 또, 정방형 상면의 대각선 길이 2Y를 상높이로서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 Y는, 정방형의 상면의 대각선 길이의 반분 값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촬상렌즈를 설명한다.
도 3, 도 7, 도 11, 도 15, 도 19 및 도 23에 나타낸 왜곡수차곡선은, 광축으로부터의 거리(종축에 상면 내에서의 광축으로부터의 최대거리를 100으로서 백분 율 표시하고 있다)에 대하여, 수차(횡축에 정접조건의 불만족량을 백분율 표시하고 있다)를 나타낸다. 도 4, 도 8, 도 12, 도 16, 도 20 및 도 24에 나타낸 비점수차곡선은, 왜곡수차곡선과 같은 형태로, 종축에 나타낸 광축에서부터의 거리(%)에 대하여, 수차량(mm단위)을 횡축으로 하여 나타내며, 매리져널 면(meridional plane)과 새지털 면(sagittai plane)에서의 수차량(mm단위)을, 각각 나타낸다.
도 5, 도 9, 도 13, 도 17, 도 21 및 도 25에 나타낸 색,구면수차곡선에서는, 종축의 입사높이 h에 대하여, 수차량(mm단위)을 횡축으로 하여 나타낸다. 종축의 입사높이(h)는, F넘버로 환산하여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Fno가 2.9의 렌즈에 대해서는, 종축의 입사높이 H=100%가, f=2.9에 대응한다.
또 색,구면수차곡선에서는, C선 (파장 656.3nm의 광), d선 (파장 587.6nm의 광), e선 (파장 546.1nm의 광), F선 (파장 486.1nm의 광) 및 g선 (파장 435.8nm의 광)에 대한 수차값을 나타낸다.
이하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 관하여 구성 렌즈의 곡률반경(mm단위), 렌즈 면 간격(mm단위), 렌즈 소재의 굴절율, 렌즈 소재의 아베수, 초점거리, F넘버 및 비구면계수를 표 1 내지 표 6에 일람하여 게재한다. 또한, 구성 렌즈의 광축상 곡률반경의 값 및 렌즈의 면 간격은, 촬상렌즈의 합성초점거리의 값을 1.00mm로 정규화한 때의 값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 내지 6에 있어서, 제1접합형 복합렌즈(14)를 구성하는 제1렌즈(L1) 및 제 3 렌즈(L3)의 소재, 제2접합형 복합렌즈(16)를 구성하는 제4렌즈(L4) 및 제6 렌즈(L6)의 소재로, 경화성 수지재료인 투명 경화성 실리콘수지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 있어서, 제2렌즈(L2) 및 제5렌즈(L5)의 소재로, 고연화온도의 광학글래스재료인 광학 글래스 BK7를 이용하였다. 여기서, BK7은, SCHOTT GLAS사가 붕소산 글래스(borosilicate glass)의 그룹에 붙인 명칭이다. 광학 글래스 BK7은, 현재, 복수의 글래스 메이커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시판되고 있는 광학 글래스 BK7의 굴절율 및 아베수는, 제조회사 또는 제조 로트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다.
또, 실시예 6에 있어서, 제2렌즈(L2) 및 제5렌즈(L5)의 소재로, 경화성 수지재료인 신일제철화학주식회사(Nippon Steel Chemical Co., Ltd.)제 시르프라스MHD를 열경화성 실리콘수지로서 적절히 이용하였다.
투명 경화성 실리콘수지란, 가시광에 대한 투명에 있어서, 또 일시적으로 150℃ 정도의 고온 환경으로 되어서도, 렌즈의 기하학적 형상은 변형하지 않고, 그 광학적 성질이 열화하지 않는 실리콘 수지를 의미한다. 여기서 말하는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는,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의 공급회사로부터, 「투명 고경도 실리콘수지」라는 명칭으로 시판되고 있는 실리콘 수지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 있어서, 제1렌즈(L1)와 제2렌즈(L2)는 간접 접착되고, 동시에 제2렌즈(L2)와 제3렌즈(L3)는 간접 접착되어 있다. 또, 제4렌즈(L4)와 제5렌즈(L5)는 간접 접착되고, 동시에 제5렌즈(L5)와 제6렌즈(L6)는 간접 접착되어 있다. 또, 실시예 6에 있어서, 제1렌즈(L1)와 제2렌즈(L2)는 직접 접착 또는 간접 접착되고, 동시에 제2렌즈(L2)와 제3렌즈(L3)는 직접 접착 또는 간접 접착되어 있다. 또, 제4렌즈(L4)와 제5렌즈(L5)는 직접 접착 또는 간접 접착되고, 동시에 제5렌즈(L5)와 제6렌즈(L6)는 직접 접착 또는 간접 접착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렌즈(L1), 제3렌즈(L3), 제4렌즈(L4) 및 제6렌즈(L6)의 소재인 경화성 수지재료로서, 후지 고분자공업 주식회사(Fuji Polymer Industries CO.,lTD.)제 SMX-7852, 및 도레이·다우 코닝사(Dow Corning Toray Co.,Ltd.)제 SR-7010의 열경화성 실리콘 수지를 이용하였다. 이들 열경화성 실리콘 수지의 굴절율 및 아베수는, 제조회사마다 다르며, 또 동일 상품명에 있어서도 굴절율 및 아베수는 다소의 차이가 있다. 또한, 이하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렌즈 소재의 굴절율은, d선(587.6nm의 광)에 대한 값이다.
간접 접착을 위하여 이용되는 접착제로서, 에폭시계 접착제가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굴절율 정합형 광학 접착제(예를 들면, NTT 아트반테크놀리지 주식회사의 <URL:htt://keytech.ntt-at.co.jp/optic2/prd_1001.html> 참조[2007년 5월 7일검색])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굴절률 정합형 광학 접착제는, 열에 대한 내구성이 있고, 일시적으로 고온환경에 되는 환경에 직면한 경우에 있어서도, 녹기 시작하는 등의 형상 변형이 발행하지 않고, 계다가 광학적 성질이 열화하지 않는다. 또, 이 굴절률 정합형 광학 접착제는, 가시광에 대한 투명에 있어서, 굴절 률도 1.33 내지 1.70의 범위에서, ±0.005의 정도로 조정가능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촬상렌즈에 이용되는 접합형 복합렌즈를 구성하는, 제1 내지 제6렌즈는, 그 굴절률이, 1.33 내지 1.70 범위 내에 포함되는 소재가 이용된다. 따라서, 이 굴절률 정합형 광학 접착제는, 그 굴절률을, 제1 내지 제6렌즈의 어떤 굴절률에도 가까운 값으로 제어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의 간접 접착을 위하여 이용되는 접착제로서는, 상술의 굴절률 정합형 광학 접착제의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에 있어서, 굴절률 및 내열성에 관하여 각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면 이용 가능하다. 접착제의 굴절률에 관한 조건이란, 접착제의 굴절률이 접착되는 2개의 렌즈의 어떤 굴절률에도 가까운 것이다. 또, 내열성에 관한 조건이란, 접착제가, 고체화하여 2개의 렌즈를 접착시킨 상태에서, 리플로우 공정에서의 고온 열환경에 직면하여도, 또, 일시적으로 고온환경이 되는 환경에 직면한 경우에 있어서도, 녹기 시작하는 등의 형상 변화가 발생하지 않고, 게다가 광학적 성질이 변화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촬상렌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리개(S1), 제1접합형 복합렌즈(14), 제2조리개(S2), 제2접합형 복합렌즈(16)를 구비하고,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1조리개(S1), 제1접합형 복합렌즈(14), 제2조리개(S2), 제2접합형 복합렌즈(16)의 순으로 배열되어 구성된다.
제1접합형 복합렌즈(14)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1렌즈(L1), 제 2렌즈(L2) 및 제3렌즈(L3)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또, 제2접합형 복합렌즈(16)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4렌즈(L4), 제5렌즈(L5) 및 제6렌즈(L6)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제2접합형 복합렌즈(16)와 촬상소자(10)와의 사이에는, 카바 글래스(12)가 삽입되어 있다. 카바 글래스의 소재는, 굴절률이 1.51680, 아베수가 61.0인 광학 글래스 BK7(HOYA 주식회사(HOYA CORPORATION)제)이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촬상렌즈의, 광축상 곡률반경의 값ri(i=1,2,3,...14), 면간격di(i=1,2,3,...13), 렌즈구성재료의 굴절률 및 아베수 및 비구면게수를, 각각 표 1 내지 표 6에 나타낸다. 여기서는, 제1접합형 복합렌즈와 제2접합형 복합렌즈에 의한 합성초점거리를 1.00mm로 규격화하고 있다.
제1접합형 복합렌즈(14)를 구성하는 제1렌즈(L1)의 물체측면, 및 제3렌즈(L3)의 상측면을 비구면으로하고, 제2접합형 복합렌즈(16)를 구성하는 제4렌즈(L4)의 물체측면, 및 제6렌즈(L6)의 상측면을 비구면으로 하였다.
Figure 112009014726553-PCT00001
Figure 112009014726553-PCT00002
Figure 112009014726553-PCT00003
Figure 112009014726553-PCT00004
Figure 112009014726553-PCT00005
Figure 112009014726553-PCT00006
실시예 1 내지 5에 있어서 이용되는 접합형 복합렌즈는, 렌즈끼리를, 간접 접착함으로써 제조된다. 이 간접 접착은, 렌즈간에 접착제를 개재하여 실현된다. 제1접합형 복합렌즈에서도 제2접합형 복합렌즈에서도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제1접합형 복합렌즈를 예로 설명한다. 이 경우는, 제1 내지 제3렌즈(L1 내지 L3)를 먼저 형성하고, 접착제를 제2렌즈(L2)의 제1렌즈(L1) 또는 제3렌즈(L3)에 대향하는 면, 또는, 제1렌즈(L1) 또는 제3렌즈(L3)의 제2렌즈(L2)에 대향하는 면에 도포하여, 양자를 밀착시키면 좋다.
덧붙여서, 제2렌즈(L2)의, 제1렌즈(L1) 및 제3렌즈(L3)에 대향하는 면 중 적어도 한 면에, 코팅 처리를 실시한 상태에서, 양자를 밀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코팅처리를 실시한 후에, 간접 접착하는 것도, 이하에 설명되는 간접 접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6에 있어서 사용되는 접합형 복합렌즈는, 렌지끼리를, 직접 접착 또는 간접 접착함으로써 제조된다.
직접 접착하는 것에 의해 접합형 복합렌즈를 제조하는 것은, 다음과 같이 수행되면 좋다(상세하게는, 특허 제3926380호 공보를 참조). 여기서도, 제1접합형 복합렌즈에서도 제2접합형 복합렌즈에서도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제1접합형 복합렌즈를 에로 설명한다.
제2렌즈(L2)에 대한 제1렌즈(L1)를 접합하여 형성하기 위한 금형(Die)를 준비한다. 이 금형은, 내면의 측벽이 원주상인 원통이며, 저면이 제1렌즈(L1)의 물체측면과 동일의 곡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금형에 경화하기 전의 액체상의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를 주입하고, 열경화 처리 또는 자외선 경화처리를 하여 제1렌즈(L1)를 형성하고, 제2렌즈(L2)에 대하여 제1렌즈(L1)를 접합시켜 형성한다.
다음, 상술의 제1렌즈(L1)와 제2렌즈(L2)가 접합된 복합렌즈에, 제3렌즈(L3)를 더 접합시켜 형성하기 위한 금형을 준비한다. 이 금형은, 그 저면이 제3렌즈(L3)의 상측면과 동일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금형에 경화하기 전의 액체상의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를 주입하고, 열경화처리 또는 자외선 경화처리를 하여 제3렌즈(L3)를 형성하고, 제1렌즈(L1)가 접합된 제2렌즈(L2)에 대하여 제3렌즈(L3)를 접합시켜서 형성한다. 이와 같이하여 접합형 복합렌즈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의 접합형 복합렌즈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제1렌즈(L1) 및 제3렌즈(L3)를 열결화성 수지재료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는, 금형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및 가공시키기 위한 온도제어장치가 필요하다. 또, 제1렌즈(L1) 및 제3렌즈(L3)를 자외선 경화수지에 의해 형성한 경우에는, 금형의 상부에서부터, 자외선 경화수지에 대하여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접합형 복합렌즈의 제조장치를 설계하면 좋다.
<실시예 1>
실시예 1의 렌즈계는, 제1접합형 복합렌즈의 제1렌즈(L1) 및 제3렌즈(L3)가,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 SMX-7852(후지 고분자공업 주식회사제)로 형성되고, 제2렌즈(L2)가, 광학 글래스 BK7(주식회사 Ohara제)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2접합형 복합렌즈의 제4렌즈(L4), 및 제6렌즈(L6)가, 투명 경화성 실리콘수지SMX-7852(후지 고분자공업 주식회사제)로 형성되고, 제5렌즈(L5)가, 광학 글래스 BK7(주식회사 Ohara제)로 형성되어 있다.
(A) 제 1 렌즈(L1)의 굴절율 N2는, N2 = 1.51000이다.
(B) 제 2 렌즈(L2)의 굴절율 N3는, N3 = 1.51680이다.
(C) 제 3 렌즈(L3)의 굴절율 N4는, N4 = 1.51000이다.
(D) 제 1 렌즈(L1)의 아베수 ν2는, ν2 = 56.0이다.
(E) 제 2 렌즈(L2)의 아베수 ν3는, ν3 = 61.0이다.
(F) 제 3 렌즈(L3)의 아베수 ν4는, ν4 = 56.0이다.
(G) 제 4 렌즈(L4)의 굴절율 N8는, N8 = 1.51000이다.
(H) 제 5 렌즈(L5)의 굴절율 N9는, N9 = 1.51680이다.
(I) 제 6 렌즈(L6)의 굴절율 N10는, N10 = 1.51000이다.
(J) 제 4 렌즈(L4)의 아베수 ν8는, ν8 = 56.0이다.
(K) 제 5 렌즈(L5)의 아베수 ν9는, ν9 = 61.0이다.
(L) 제 6 렌즈(L6)의 아베수 ν10는, ν10 = 56.0이다.
따라서, |N3 - N2| = |N3 - N4| = |N9 - N8| = |N9 - N10|= 0.00680이므로, 하기의 조건 (1), (2), (5) 및 (6)를 만족하고 있다. 또, |ν3 - ν2| = |ν3 - ν4| = |ν9 - ν8| = |ν9 - ν10|= 5.0이므로, 하기의 조건 (3), (4), (7) 및 (8)를 만족하고 있다.
조건 (1), (2), (5) 및 (6)이란, 각각, 이하에 나타낸 식 (1), 식 (2), 식 (5) 및 식 (6)에서 부여되는 조건을 의미한다. 또, 조건 (3), (4), (7) 및 (8)이란, 각각, 이하에 나타낸 식 (3), 식 (4), 식 (7) 및 식 (8)에서 부여되는 조건을 의미한다.
0 ≤|N3 - N2|≤ 0.1 (1)
0 ≤|N3 - N4|≤ 0.1 (2)
0 ≤|ν3 - ν2|≤ 30.0 (3)
0 ≤|ν3 - ν4|≤ 30.0 (4)
0 ≤| N9 - N8|≤ 0.1 (5)
0 ≤| N9 - N10|≤ 0.1 (6)
0 ≤| ν9 - ν8|≤ 30.0 (7)
0 ≤| ν9 - ν10|≤ 30.0 (8)
조건 (1) ~ (8)이란, 각각 식 (1) ~ (8)에서 부여되는 조건을 의미하는 것이란, 이후의 설명(실시예 2 내지 6의 설명)에서도 동일하다.
도 2에 실시예 1의 촬상렌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 조리개 역할을 담당하는 제1조리개(S1)는, 제1접합형 복합렌즈(14)를 구성하는 제1렌즈(L1)의 제 1 면(물체측면)과 광축과의 교점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플레어 또는, 스미어를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제2조리개(S2)는, 제1접합형 복합렌즈(14)와 제2접합형 복합렌즈(16)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조리개(S1)의 조리개 면은 평면이므로, 표 1에 r1 = ∞로 나타내고 있다. 제2조리개(S2)는, 평면 r6과 r7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표 1에 r6 = ∞ 및 r7 = ∞로 표시되어 있다. 또 F 넘버 Fno는, 2.9이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r3 = ∞ 및 r4 = ∞인 것으로부터, 제 2 렌즈(L2)는, 광학평행평면으로, r9 = ∞ 및 r10 = ∞인 것으로부터, 제5렌즈(L5)는, 광학평행평면판이다. r2가 정의 값이고 r5가 정의 값인 것으로부터, 제1렌즈(L1)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1렌즈(L1)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평볼록(凸)렌즈이고, 제3렌즈(L3)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3렌즈(L3)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평오목(凹)렌즈이다. 또, r8이 정의 값이고 r11도 정의 값인 것으로부터, 제4렌즈(L4)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4렌즈(L4)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평볼록(凸)렌즈이고, 제6렌즈(L6)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6렌즈(L6)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평오목(凹)렌즈이다.
실시예 1에서는, 초점거리 f=1.00mm에 대하여 광학길이(L)가 1.113mm 이고, 백포커스 bf가 0.492mm이다.
도 3에 나타낸 왜곡수차곡선 1-1, 도 4에 나타낸 비점수차곡선(메리져널면에 대한 수차곡선 1-2 및 새지털면에 대한 수차곡선 1-3), 도 5에 나타낸 색·구면수차곡선(g선에 대한 수차곡선 1-4, F선에 대한 수차곡선 1-5, e선에 대한 수차곡선 1-6, d선에 대한 수차곡선 1-7, 및 C선에 대한 수차곡선 1-8)에 대하여, 각각 그래프로써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상고를 광축으로부터의 거리의 몇 %인가로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 중에서, 100%는 0.623mm에 대응하고 있다. 또, 도 5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입사높이(h)(F-넘버)를 나타내고 있으며, 최대가 2.9에 대응한다. 도 3의 횡축은 수차(%)를 나타내고, 도 4, 도 5의 횡축은, 수차의 크기(mm)를 나타내고 있다.
왜곡수차는, 상고 75%(상고 0.467mm)의 위치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2.5%로 최대로 되어 있고, 상고 0.623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2.5% 이내에 들어가 있다.
비점수차는, 상고 80%(상고 0.498mm)의 위치에서 메리저널면에 대한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9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또 상고 0.623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9mm 이내에 들어가 있다.
색·구면수차는, 입사높이(h)의 100%에서 g선에 대한 수차곡선 1-4의 절대치가 0.0225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25mm 이내에 들어가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촬상렌즈에 의하면, 휴대전화기에 탑재 가능한 정도로
광학길이가 짧고, 촬상렌즈와 촬상면과의 사이에 필터나 카바글래스 등의 부품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정도로 백포커스가 길고, 동시에 양호한 화상이 얻어진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렌즈계는, 제1접합형 복합렌즈의 제1렌즈(L1) 및 제3렌즈(L3)가,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 SR-7010(도레이·다우 코닝사(Dow Corning Toray Co., Ltd.)제)로 형성되고, 제2렌즈(L2)가, 광학 글래스 BK7(주식회사 Ohara제)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2접합형 복합렌즈의 제4렌즈(L4), 및 제6렌즈(L6)가, 투명 경화성 실리콘수지SR-7010(도레이·다우 코닝사(Dow Corning Toray Co., Ltd.)제)로 형성되고, 제5렌즈(L5)가, 광학 글래스 BK7(주식회사 Ohara제)로 형성되어 있다.
(A) 제 1 렌즈(L1)의 굴절율 N2는, N2 = 1.53000이다.
(B) 제 2 렌즈(L2)의 굴절율 N3는, N3 = 1.51680이다.
(C) 제 3 렌즈(L3)의 굴절율 N4는, N4 = 1.53000이다.
(D) 제 1 렌즈(L1)의 아베수 ν2는, ν2 = 35.0이다.
(E) 제 2 렌즈(L2)의 아베수 ν3는, ν3 = 61.0이다.
(F) 제 3 렌즈(L3)의 아베수 ν4는, ν4 = 35.0이다.
(G) 제 4 렌즈(L4)의 굴절율 N8는, N8 = 1.53000이다.
(H) 제 5 렌즈(L5)의 굴절율 N9는, N9 = 1.51680이다.
(I) 제 6 렌즈(L6)의 굴절율 N10는, N10 = 1.53000이다.
(J) 제 4 렌즈(L4)의 아베수 ν8는, ν8 = 35.0이다.
(K) 제 5 렌즈(L5)의 아베수 ν9는, ν9 = 61.0이다.
(L) 제 6 렌즈(L6)의 아베수 ν10는, ν10 = 35.0이다.
따라서, |N3 - N2| = |N3 - N4| = |N9 - N8| = |N9 - N10|= 0.01320이므로, 조건 (1), (2), (5) 및 (6)를 만족하고 있다. 또, |ν3 - ν2| = |ν3 - ν4| = |ν9 - ν8| = |ν9 - ν10|= 26.0이므로, 조건 (3), (4), (7) 및 (8)를 만족하고 있다.
도 6에 실시예 2의 촬상렌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 조리개 역할을 담당하는 제1조리개(S1)는, 제1접합형 복합렌즈(14)를 구성하는 제 1 렌즈(L1)의 제 1 면(물체측면)과 광축과의 교점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플레어 또는, 스미어를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제2조리개(S2)는, 제1접합형 복합렌즈(14)와 제2접합형 복합렌즈(16)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조리개(S1)의 조리개 면은 평면이므로, 표 2에 r1 = ∞로 나타내고 있다. 제2조리개(S2)는, 평면 r6과 r7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표 2에 r6 = ∞ 및 r7 = ∞로 표시되어 있다. 또 F 넘버 Fno는, 2.9이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r3 = ∞ 및 r4 = ∞인 것으로부터, 제 2 렌즈(L2)는, 광학평행평면으로, r9 = ∞ 및 r10 = ∞인 것으로부터, 제5렌즈(L5)는, 광학평행평면판이다. r2가 정의 값이고 r5가 정의 값인 것으로부터, 제 1 렌즈(L1)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 1 렌즈(L1)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평볼록(凸)렌즈이고, 제 3 렌즈(L3)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 3 렌즈(L3)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평오목(凹)렌즈이다. 또, r8이 정의 값이고 r11도 정의 값인 것으로부터, 제4렌즈(L4)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4렌즈(L4)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평볼록(凸)렌즈이고, 제6렌즈(L6)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6렌즈(L6)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평오목(凹)렌즈이다.
실시예 2에서는, 초점거리 f=1.00mm에 대하여 광학길이(L)가 1.120mm 이고, 백포커스 bf가 0.472mm이다.
도 7에 나타낸 왜곡수차곡선 2-1, 도 8에 나타낸 비점수차곡선(메리져널면에 대한 수차곡선 2-2 및 새지털면에 대한 수차곡선 2-3), 도 9에 나타낸 색·구면수차곡선(g선에 대한 수차곡선 2-4, F선에 대한 수차곡선 2-5, e선에 대한 수차곡선 2-6, d선에 대한 수차곡선 2-7, 및 C선에 대한 수차곡선 2-8)에 대하여, 각각 그래프로써 나타내고 있다.
도 7 및 도 8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상고를 광축으로부터의 거리의 몇 %인가로 나타내고 있다. 도 7 및 도 8 중에서, 100%는 0.619mm에 대응하고 있다. 또, 도 9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입사높이(h)(F-넘버)를 나타내고 있으며, 최대가 2.9에 대응한다. 도 7의 횡축은 수차(%)를 나타내고, 도 8, 도 9의 횡축은, 수차의 크기(mm)를 나타내고 있다.
왜곡수차는, 상고 75%(상고 0.464mm)의 위치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2.7%로 최대로 되어 있고, 상고 0.619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2.7% 이내에 들어가 있다.
비점수차는, 상고 70%(상고 0.433mm)의 위치에서 새지털면에 대한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또 상고 0.619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mm 이내에 들어가 있다.
색·구면수차는, 입사높이(h)의 100%에서 g선에 대한 수차곡선 2-4의 절대치가 0.0398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수차량의 절대치가 0.0398mm 이내에 들어가 있다.
따라서, 실시예 2의 촬상렌즈에 의하면, 휴대전화기에 탑재 가능한 정도로 광학길이가 짧고, 촬상렌즈와 촬상면과의 사이에 필터나 카바글래스 등의 부품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정도로 백포커스가 길고, 동시에 양호한 화상이 얻어진다.
<실시예 3>
실시예 3의 렌즈계는, 제1접합형 복합렌즈의 제1렌즈(L1) 및 제3렌즈(L3)가,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 SMX-7852(후지 고분자공업 주식회사제)로 형성되고, 제2렌즈(L2)가, 광학 글래스 BK7(주식회사 Ohara제)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2접합형 복합렌즈의 제4렌즈(L4), 및 제6렌즈(L6)가, 투명 경화성 실리콘수지SMX-7852(후지 고분자공업 주식회사제)로 형성되고, 제5렌즈(L5)가, 광학 글래스 BK7(주식회사 Ohara제)로 형성되어 있다.
(A) 제 1 렌즈(L1)의 굴절율 N2는, N2 = 1.51000이다.
(B) 제 2 렌즈(L2)의 굴절율 N3는, N3 = 1.51680이다.
(C) 제 3 렌즈(L3)의 굴절율 N4는, N4 = 1.51000이다.
(D) 제 1 렌즈(L1)의 아베수 ν2는, ν2 = 56.0이다.
(E) 제 2 렌즈(L2)의 아베수 ν3는, ν3 = 61.0이다.
(F) 제 3 렌즈(L3)의 아베수 ν4는, ν4 = 56.0이다.
(G) 제 4 렌즈(L4)의 굴절율 N8는, N8 = 1.51000이다.
(H) 제 5 렌즈(L5)의 굴절율 N9는, N9 = 1.51680이다.
(I) 제 6 렌즈(L6)의 굴절율 N10는, N10 = 1.51000이다.
(J) 제 4 렌즈(L4)의 아베수 ν8는, ν8 = 56.0이다.
(K) 제 5 렌즈(L5)의 아베수 ν9는, ν9 = 61.0이다.
(L) 제 6 렌즈(L6)의 아베수 ν10는, ν10 = 56.0이다.
따라서, |N3 - N2| = |N3 - N4| = |N9 - N8| = |N9 - N10|= 0.00680이므로, 조건 (1), (2), (5) 및 (6)를 만족하고 있다. 또, |ν3 - ν2| = |ν3 - ν4| = |ν9 - ν8| = |ν9 - ν10|= 5.0이므로, 조건 (3), (4), (7) 및 (8)를 만족하고 있다.
도 10에 실시예 3의 촬상렌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 조리개 역할을 담당하는 제1조리개(S1)는, 제1접합형 복합렌즈(14)를 구성하는 제 1 렌즈(L1)의 제 1 면(물체측면)과 광축과의 교점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플레어 또는, 스미어를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제2조리개(S2)는, 제1접합형 복합렌즈(14)와 제2접합형 복합렌즈(16)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조리개(S1)의 조리개 면은 평면이므로, 표 3에 r1 = ∞로 나타내고 있다. 제2조리개(S2)는, 평면 r6과 r7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표 3에 r6 = ∞ 및 r7 = ∞로 표시되어 있다. 또 F 넘버 Fno는, 2.9이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r3가 정의 값이고 r4가 부의 값인 것으로부터, 제2렌즈(L2)는, 양볼록(凸) 렌즈이고, r9가 부의 값이고, r10이 정의 값인 것으로부터, 제5렌즈(L5)는, 양오목(凹) 렌즈이다. r2가 정의 값이고, r5가 정의 값인 것으로부터, 제1렌즈(L1)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1렌즈(L1)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이고, 제3렌즈(L3)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3렌즈(L3)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이다. 또, r8이 정의 값이고 r11도 정의 값인 것으로부터, 제4렌즈(L4)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4렌즈(L4)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이고, 제6렌즈(L6)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6렌즈(L6)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이다.
실시예 3에서는, 초점거리 f=1.00mm에 대하여 광학길이(L)가 1.111mm 이고, 백포커스 bf가 0.489mm이다.
도 11에 나타낸 왜곡수차곡선 3-1, 도 12에 나타낸 비점수차곡선(메리져널면에 대한 수차곡선 3-2 및 새지털면에 대한 수차곡선 3-3), 도 13에 나타낸 색·구면수차곡선(g선에 대한 수차곡선 3-4, F선에 대한 수차곡선 3-5, e선에 대한 수차곡선 3-6, d선에 대한 수차곡선 3-7, 및 C선에 대한 수차곡선 3-8)에 대하여, 각각 그래프로써 나타내고 있다.
도 11 및 도 12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상고를 광축으로부터의 거리의 몇 %인가로 나타내고 있다. 도 11 및 도 12 중에서, 100%는 0.600mm에 대응하고 있다. 또, 도 13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입사높이(h)(F-넘버)를 나타내고 있으며, 최대가 2.9에 대응한다. 도 11의 횡축은 수차(%)를 나타내고, 도 12, 도 13의 횡축은, 수차의 크기(mm)를 나타내고 있다.
왜곡수차는, 상고 80%(상고 0.480mm)의 위치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2.5%로 최대로 되어 있고, 상고 0.600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2.5% 이내에 들어가 있다.
비점수차는, 상고 80%(상고 0.480mm)의 위치에서 매리저널면에 대한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17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또 상고 0.600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17mm 이내에 들어가 있다.
색·구면수차는, 입사높이(h)의 100%에서 g선에 대한 수차곡선 3-4의 절대치가 0.0239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39mm 이내에 들어가 있다.
따라서, 실시예 3의 촬상렌즈에 의하면, 휴대전화기에 탑재 가능한 정도로 광학길이가 짧고, 촬상렌즈와 촬상면과의 사이에 필터나 카바글래스 등의 부품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정도로 백포커스가 길고, 동시에 양호한 화상이 얻어진다.
<실시예 4>
실시예 4의 렌즈계는, 제1접합형 복합렌즈의 제1렌즈(L1) 및 제3렌즈(L3)가,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 SMX-7852(후지 고분자공업 주식회사제)로 형성되고, 제2렌즈(L2)가, 광학 글래스 BK7(주식회사 Ohara제)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2접합형 복합렌즈의 제4렌즈(L4), 및 제6렌즈(L6)가, 투명 경화성 실리콘수지SMX-7852(후지 고분자공업 주식회사제)로 형성되고, 제5렌즈(L5)가, 광학 글래스 BK7(주식회사 Ohara제)로 형성되어 있다.
(A) 제 1 렌즈(L1)의 굴절율 N2는, N2 = 1.51000이다.
(B) 제 2 렌즈(L2)의 굴절율 N3는, N3 = 1.51680이다.
(C) 제 3 렌즈(L3)의 굴절율 N4는, N4 = 1.51000이다.
(D) 제 1 렌즈(L1)의 아베수 ν2는, ν2 = 56.0이다.
(E) 제 2 렌즈(L2)의 아베수 ν3는, ν3 = 61.0이다.
(F) 제 3 렌즈(L3)의 아베수 ν4는, ν4 = 56.0이다.
(G) 제 4 렌즈(L4)의 굴절율 N8는, N8 = 1.51000이다.
(H) 제 5 렌즈(L5)의 굴절율 N9는, N9 = 1.51680이다.
(I) 제 6 렌즈(L6)의 굴절율 N10는, N10 = 1.51000이다.
(J) 제 4 렌즈(L4)의 아베수 ν8는, ν8 = 56.0이다.
(K) 제 5 렌즈(L5)의 아베수 ν9는, ν9 = 61.0이다.
(L) 제 6 렌즈(L6)의 아베수 ν10는, ν10 = 56.0이다.
따라서, |N3 - N2| = |N3 - N4| = |N9 - N8| = |N9 - N10|= 0.00680이므로, 조건 (1), (2), (5) 및 (6)를 만족하고 있다. 또, |ν3 - ν2| = |ν3 - ν4| = |ν9 - ν8| = |ν9 - ν10|= 5.0이므로, 조건 (3), (4), (7) 및 (8)를 만족하고 있다.
도 14에 실시예 4의 촬상렌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 조리개 역할을 담당하는 제1조리개(S1)는, 제1접합형 복합렌즈(14)를 구성하는 제1렌즈(L1)의 제 1 면(물체측면)과 광축과의 교점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플레어 또는, 스미어를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제2조리개(S2)는, 제1접합형 복합렌즈(14)와 제2접합형 복합렌즈(16)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조리개(S1)의 조리개 면은 평면이므로, 표 4에 r1 = ∞로 나타내고 있다. 제2조리개(S2)는, 평면 r6과 r7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표 4에 r6 = ∞ 및 r7 = ∞로 표시되어 있다. 또 F 넘버 Fno는, 2.9이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r3가 정의 값이고 r4도 정의 값인 것으로부터, 제2렌즈(L2)는,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매니스커스 렌즈이고, r9가 부의 값이고, r10도 부의 값인 것으로부터, 제5렌즈(L5)는, 상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매니스커스 렌즈이다. r2가 정의 값이고, r5도 정의 값인 것으로부터, 제1렌즈(L1)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1렌즈(L1)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이고, 제3렌즈(L3)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3렌즈(L3)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이다. 또, r8이 정의 값이고 r11도 정의 값인 것으로부터, 제4렌즈(L4)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4렌즈(L4)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이고, 제6렌즈(L6)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6렌즈(L6)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이다.
실시예 4에서는, 초점거리 f=1.00mm에 대하여 광학길이(L)가 1.109mm 이고, 백포커스 bf가 0.488mm이다.
도 15에 나타낸 왜곡수차곡선 4-1, 도 16에 나타낸 비점수차곡선(메리져널면에 대한 수차곡선 4-2 및 새지털면에 대한 수차곡선 4-3), 도 17에 나타낸 색·구면수차곡선(g선에 대한 수차곡선 4-4, F선에 대한 수차곡선 4-5, e선에 대한 수차곡선 4-6, d선에 대한 수차곡선 4-7, 및 C선에 대한 수차곡선 4-8)에 대하여, 각각 그래프로써 나타내고 있다.
도 15 및 도 16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상고를 광축으로부터의 거리의 몇 %인가로 나타내고 있다. 도 15 및 도 16 중에서, 100%는 0.600mm에 대응하고 있다. 또, 도 17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입사높이(h)(F-넘버)를 나타내고 있으며, 최대가 2.9에 대응한다. 도 15의 횡축은 수차(%)를 나타내고, 도 16, 도 17의 횡축은, 수차의 크기(mm)를 나타내고 있다.
왜곡수차는, 상고 75%(상고 0.450mm)의 위치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2.5%로 최대로 되어 있고, 상고 0.600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2.5% 이내에 들어가 있다.
비점수차는, 상고 80%(상고 0.480mm)의 위치에서 매리저널면에 대한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42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또 상고 0.600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42mm 이내에 들어가 있다.
색·구면수차는, 입사높이(h)의 100%에서 g선에 대한 수차곡선 4-4의 절대치가 0.0219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19mm 이내에 들어가 있다.
따라서, 실시예 4의 촬상렌즈에 의하면, 휴대전화기에 탑재 가능한 정도로 광학길이가 짧고, 촬상렌즈와 촬상면과의 사이에 필터나 카바글래스 등의 부품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정도로 백포커스가 길고, 동시에 양호한 화상이 얻어진다.
<실시예 5>
실시예 5의 렌즈계는, 제1접합형 복합렌즈의 제1렌즈(L1) 및 제3렌즈(L3)가,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 SMX-7852(후지 고분자공업 주식회사제)로 형성되고, 제2렌즈(L2)가, 광학 글래스 BK7(주식회사 Ohara제)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2접합형 복합렌즈의 제4렌즈(L4), 및 제6렌즈(L6)가, 투명 경화성 실리콘수지SMX-7852(후지 고분자공업 주식회사제)로 형성되고, 제5렌즈(L5)가, 광학 글래스 BK7(주식회사 Ohara제)로 형성되어 있다.
(A) 제 1 렌즈(L1)의 굴절율 N2는, N2 = 1.51000이다.
(B) 제 2 렌즈(L2)의 굴절율 N3는, N3 = 1.51680이다.
(C) 제 3 렌즈(L3)의 굴절율 N4는, N4 = 1.51000이다.
(D) 제 1 렌즈(L1)의 아베수 ν2는, ν2 = 56.0이다.
(E) 제 2 렌즈(L2)의 아베수 ν3는, ν3 = 61.0이다.
(F) 제 3 렌즈(L3)의 아베수 ν4는, ν4 = 56.0이다.
(G) 제 4 렌즈(L4)의 굴절율 N8는, N8 = 1.51000이다.
(H) 제 5 렌즈(L5)의 굴절율 N9는, N9 = 1.51680이다.
(I) 제 6 렌즈(L6)의 굴절율 N10는, N10 = 1.51000이다.
(J) 제 4 렌즈(L4)의 아베수 ν8는, ν8 = 56.0이다.
(K) 제 5 렌즈(L5)의 아베수 ν9는, ν9 = 61.0이다.
(L) 제 6 렌즈(L6)의 아베수 ν10는, ν10 = 56.0이다.
따라서, |N3 - N2| = |N3 - N4| = |N9 - N8| = |N9 - N10|= 0.00680이므로, 조건 (1), (2), (5) 및 (6)를 만족하고 있다. 또, |ν3 - ν2| = |ν3 - ν4| = |ν9 - ν8| = |ν9 - ν10|= 5.0이므로, 조건 (3), (4), (7) 및 (8)를 만족하고 있다.
도 18에 실시예 5의 촬상렌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 조리개 역할을 담당하는 제1조리개(S1)는, 제1접합형 복합렌즈(14)를 구성하는 제1렌즈(L1)의 제 1 면(물체측면)과 광축과의 교점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플레어 또는, 스미어를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제2조리개(S2)는, 제1접합형 복합렌즈(14)와 제2접합형 복합렌즈(16)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조리개(S1)의 조리개 면은 평면이므로, 표 5에 r1 = ∞로 나타내고 있다. 제2조리개(S2)는, 평면 r6과 r7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표 5에 r6 = ∞ 및 r7 = ∞로 표시되어 있다. 또 F 넘버 Fno는, 2.9이다.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r3가 부의 값이고 r4가 정의 값인 것으로부터, 제2렌즈(L2)는, 양오목(凹) 렌즈이고, r9가 정의 값이고, r10이 부의 값인 것으로부터, 제5렌즈(L5)는, 양볼록(凸) 렌즈이다. r2가 정의 값이고, r5도 정의 값인 것으로부터, 제1렌즈(L1)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1렌즈(L1)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이고, 제3렌즈(L3)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3렌즈(L3)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이다. 또, r8이 정의 값이고 r11도 정의 값인 것으로부터, 제4렌즈(L4)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4렌즈(L4)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이고, 제6렌즈(L6)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6렌즈(L6)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이다.
실시예 5에서는, 초점거리 f=1.00mm에 대하여 광학길이(L)가 1.110mm 이고, 백포커스 bf가 0.490mm이다.
도 19에 나타낸 왜곡수차곡선 5-1, 도 20에 나타낸 비점수차곡선(메리져널면에 대한 수차곡선 5-2 및 새지털면에 대한 수차곡선 5-3), 도 21에 나타낸 색·구면수차곡선(g선에 대한 수차곡선 5-4, F선에 대한 수차곡선 5-5, e선에 대한 수차곡선 5-6, d선에 대한 수차곡선 5-7, 및 C선에 대한 수차곡선 5-8)에 대하여, 각각 그래프로써 나타내고 있다.
도 19 및 도 20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상고를 광축으로부터의 거리의 몇 %인가로 나타내고 있다. 도 19 및 도 20 중에서, 100%는 0.609mm에 대응하고 있다. 또, 도 21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입사높이(h)(F-넘버)를 나타내고 있으며, 최대가 2.9에 대응한다. 도 19의 횡축은 수차(%)를 나타내고, 도 20, 도 21의 횡축은, 수차의 크기(mm)를 나타내고 있다.
왜곡수차는, 상고 75%(상고 0.457mm)의 위치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2.5%로 최대로 되어 있고, 상고 0.609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2.5% 이내에 들어가 있다.
비점수차는, 상고 80%(상고 0.488mm)의 위치에서 매리저널면에 대한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67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또 상고 0.609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67mm 이내에 들어가 있다.
색·구면수차는, 입사높이(h)의 100%에서 g선에 대한 수차곡선 5-4의 절대치가 0.0224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24mm 이내에 들어가 있다.
따라서, 실시예 5의 촬상렌즈에 의하면, 휴대전화기에 탑재 가능한 정도로 광학길이가 짧고, 촬상렌즈와 촬상면과의 사이에 필터나 카바글래스 등의 부품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정도로 백포커스가 길고, 동시에 양호한 화상이 얻어진다.
<실시예 6>
실시예 6의 렌즈계는, 제1접합형 복합렌즈의 제1렌즈(L1) 및 제3렌즈(L3)가,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 SMX-7852(후지 고분자공업 주식회사제)로 형성되고, 제2렌즈(L2)가, 저열팽창 타입의 투명 고경도 실리콘수지 시르플라스MHD(신일제철화학 주식회사)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2접합형 복합렌즈의 제4렌즈(L4), 및 제6렌즈(L6)가, 투명 경화성 실리콘수지SMX-7852(후지 고분자공업 주식회사제)로 형성되고, 제5렌즈(L5)가, 저열팽창 타입의 투명 고경도 실리콘수지 시르플라스MHD(신일제철화학 주식회사)로 형성되어 있다.
(A) 제 1 렌즈(L1)의 굴절율 N2는, N2 = 1.51000이다.
(B) 제 2 렌즈(L2)의 굴절율 N3는, N3 = 1.51100이다.
(C) 제 3 렌즈(L3)의 굴절율 N4는, N4 = 1.51000이다.
(D) 제 1 렌즈(L1)의 아베수 ν2는, ν2 = 56.0이다.
(E) 제 2 렌즈(L2)의 아베수 ν3는, ν3 = 36.0이다.
(F) 제 3 렌즈(L3)의 아베수 ν4는, ν4 = 56.0이다.
(G) 제 4 렌즈(L4)의 굴절율 N8는, N8 = 1.51000이다.
(H) 제 5 렌즈(L5)의 굴절율 N9는, N9 = 1.51100이다.
(I) 제 6 렌즈(L6)의 굴절율 N10는, N10 = 1.51000이다.
(J) 제 4 렌즈(L4)의 아베수 ν8는, ν8 = 56.0이다.
(K) 제 5 렌즈(L5)의 아베수 ν9는, ν9 = 36.0이다.
(L) 제 6 렌즈(L6)의 아베수 ν10는, ν10 = 56.0이다.
따라서, |N3 - N2| = |N3 - N4| = |N9 - N8| = |N9 - N10|= 0.00100이므로, 조건 (1), (2), (5) 및 (6)를 만족하고 있다. 또, |ν3 - ν2| = |ν3 - ν4| = |ν9 - ν8| = |ν9 - ν10|= 20.0이므로, 조건 (3), (4), (7) 및 (8)를 만족하고 있다.
도 22에 실시예 6의 촬상렌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 조리개 역할을 담당하는 제1조리개(S1)는, 제1접합형 복합렌즈(14)를 구성하는 제1렌즈(L1)의 제 1 면(물체측면)과 광축과의 교점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플레어 또는, 스미어를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제2조리개(S2)는, 제1접합형 복합렌즈(14)와 제2접합형 복합렌즈(16)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조리개(S1)의 조리개 면은 평면이므로, 표 6에 r1 = ∞로 나타내고 있다. 제2조리개(S2)는, 평면 r6과 r7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표 6에 r6 = ∞ 및 r7 = ∞로 표시되어 있다. 또 F 넘버 Fno는, 2.9이다.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r3 = ∞ 및 r4= ∞ 인 것으로부터, 제2렌즈(L2)는, 광학평행평면판이고, r9 = ∞ 및 r10= ∞ 인 것으로부터, 제 5 렌즈(L5)는, 광학평행평면판이다. r2가 정의 값이고, r5가 정의 값인 것으로부터, 제1렌즈(L1)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1렌즈(L1)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평볼록(凸) 렌즈이고, 제3렌즈(L3)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3렌즈(L3)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평오목(凹)렌즈이다. 또, r8이 정의 값이고 r11도 정의 값인 것으로부터, 제4렌즈(L4)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4렌즈(L4)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평볼록(凸)렌즈이고, 제6렌즈(L6)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6렌즈(L6)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평오목(凹)렌즈이다.
실시예 6에서는, 초점거리 f=1.00mm에 대하여 광학길이(L)가 1.112mm 이고, 백포커스 bf가 0.491mm이다.
도 23에 나타낸 왜곡수차곡선 6-1, 도 24에 나타낸 비점수차곡선(메리져널면에 대한 수차곡선 6-2 및 새지털면에 대한 수차곡선 6-3), 도 25에 나타낸 색·구면수차곡선(g선에 대한 수차곡선 6-4, F선에 대한 수차곡선 6-5, e선에 대한 수차곡선 6-6, d선에 대한 수차곡선 6-7, 및 C선에 대한 수차곡선 6-8)에 대하여, 각각 그래프로써 나타내고 있다.
도 23 및 도 24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상고를 광축으로부터의 거리의 몇 %인가로 나타내고 있다. 도 23 및 도 24 중에서, 100%는 0.623mm에 대응하고 있다. 또, 도 25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입사높이(h)(F-넘버)를 나타내고 있으며, 최대가 2.9에 대응한다. 도 23의 횡축은 수차(%)를 나타내고, 도 24, 도 25의 횡축은, 수차의 크기(mm)를 나타내고 있다.
왜곡수차는, 상고 80%(상고 0.498mm)의 위치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2.5%로 최대로 되어 있고, 상고 0.623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2.5% 이내에 들어가 있다.
비점수차는, 상고 80%(상고 0.498mm)의 위치에서 매리저널면에 대한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80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또 상고 0.623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80mm 이내에 들어가 있다.
색·구면수차는, 입사높이(h)의 100%에서 g선에 대한 수차곡선 6-4의 절대치가 0.0212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12mm 이내에 들어가 있다.
따라서, 실시예 6의 촬상렌즈에 의하면, 휴대전화기에 탑재 가능한 정도로 광학길이가 짧고, 촬상렌즈와 촬상면과의 사이에 필터나 카바글래스 등의 부품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정도로 백포커스가 길고, 동시에 양호한 화상이 얻어진다.
실시예 6의 촬상렌즈는, 제2렌즈(L2) 및 제5렌즈(L5)가 경화성 수지재료, 즉 투명고경도 실리콘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점이, 상술의 실시예 1 내지 5의 촬상렌즈와 다르게 되어 있다. 실시예 6의 촬상렌즈를 구성하는 제1접합형 복합렌즈(14)는,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되는 제2렌즈(L2)에, 액체상의 경화성 수지재료를 접촉시키고, 이 경화성 수지재료를 고체화, 즉 경화시킴으로써, 제1렌즈(L1) 또는 제3렌즈(L3)가 제2렌즈(L2)에 접착하는(직접 접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또, 제2접합형 복합렌즈(16)는,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되는 제5렌즈(L5)에, 액체상의 경화성 수지재료를 접촉시키고, 이 경화성 수지재료를 고체화, 즉 경화시킴으로써, 제4렌즈(L4) 또는 제6렌즈(L6)가 제5렌즈(L5)에 접착하는(직접 접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제2렌즈(L2)가 광학 글래스로 형성되는 경우와 동일하게, 먼저 경화성 수지재료로 광학평행평면판을 형성하고, 이 광학평행평면판을 제2렌즈(L2)로 하여,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된 제1렌즈(L1) 또는 제3렌즈(L3)와, 제2렌즈(L2)와를 간접 접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제5렌즈(L5)가 광학 글래스로 형성되는 경우와 동일하게, 먼저 경화성 수지재료로 광학평행평면판을 형성하고, 이 광학평행평면판을 제5렌즈(L5)로 하여,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된 제4렌즈(L4) 또는 제6렌즈(L6)와, 이 제5렌즈(L5)와를 간접 접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촬상렌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촬상렌즈의 각 구성 렌즈를 상술한 식 (1) 내지 (8)에 나타낸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계함으로써,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한다. 즉,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되고, 충분한 백포커스가 얻어지며 동시에 광학길이가 짧게 유지된 촬상렌즈가 얻어진다.
이상 설명한 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촬상렌즈는, 휴대전화기, 퍼스널 컴퓨터 또는 디지털 카메라에 내장되는 카메라용 렌즈로서의 이용은 물론, 휴대정보단말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에 내장되는 카메라용 렌즈, 화상인식 기능을 구비한 완구에 내장되는 카메라용 렌즈, 감시, 검사 또는 방범기기 등에 내장되는 카메라용 렌즈로서 적용하여도 바람직하다.

Claims (17)

  1. 제1조리개와, 제1접합형 복합렌즈와, 제2조리개와, 제2접합형 복합렌즈를 구비하고,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상기 제1조리개, 상기 제1접합형 복합렌즈, 상기 제2조리개, 상기 제2접합형 복합렌즈의 순서로 배열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접합형 복합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1렌즈, 제2렌즈 및 제3렌즈의 순서로 배열되고,
    상기 제2접합형 복합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4렌즈, 제5렌즈 및 제6렌즈의 순서로 배열되고,
    상기 제1렌즈, 상기 제3렌즈, 상기 제4렌즈 및 상기 제6렌즈가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제2렌즈 및 상기 제5렌즈가, 고연화온도의 광학글래스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고, 또 상기 제2렌즈와 상기 제3렌즈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고, 또 상기 제4렌즈와 상기 제5렌즈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고, 또 상기 제5렌즈와 상기 제6렌즈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형성되고,
    이하의 조건(1) 내지 (8)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0 ≤| N3 - N2|≤ 0.1 (1)
    0 ≤| N3 - N4|≤ 0.1 (2)
    0 ≤| ν3 - ν2|≤ 30.0 (3)
    0 ≤| ν3 - ν4|≤ 30.0 (4)
    0 ≤| N9 - N8|≤ 0.1 (5)
    0 ≤| N9 - N10|≤ 0.1 (6)
    0 ≤| ν9 - ν8|≤ 30.0 (7)
    0 ≤| ν9 - ν10|≤ 30.0 (8)
    단,
    N2 : 상기 제1렌즈의 굴절율
    N3 : 상기 제2렌즈의 굴절율
    N4 : 상기 제3렌즈의 굴절율
    ν2 : 상기 제1렌즈의 아베수
    ν3 : 상기 제2렌즈의 아베수
    ν4 : 상기 제3렌즈의 아베수
    N8 : 상기 제4렌즈의 굴절율
    N9 : 상기 제5렌즈의 굴절율
    N10 : 상기 제6렌즈의 굴절율
    ν8 : 상기 제4렌즈의 아베수
    ν9 : 상기 제5렌즈의 아베수
    ν10 : 상기 제6렌즈의 아베수
    이다.
  2. 제1조리개와, 제1접합형 복합렌즈와, 제2조리개와, 제2접합형 복합렌즈를 구비하고,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상기 제1조리개, 상기 제1접합형 복합렌즈, 상기 제2조리개, 상기 제2접합형 복합렌즈의 순서로 배열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접합형 복합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1렌즈, 제2렌즈 및 제3렌즈의 순서로 배열되고,
    상기 제2접합형 복합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4렌즈, 제5렌즈 및 제6렌즈의 순서로 배열되고,
    상기 제1렌즈, 상기 제2렌즈, 상기 제3렌즈, 상기 제4렌즈, 상기 제5렌즈 및 상기 제6렌즈가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는 직접 접착되고, 또 상기 제2렌즈와 상기 제3렌즈는 직접 접착되고, 또 상기 제4렌즈와 상기 제5렌즈는 직접 접착되고, 또 상기 제5렌즈와 상기 제6렌즈는 직접 접착되어 형성되고,
    이하의 조건(1) 내지 (8)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0 ≤| N3 - N2|≤ 0.1 (1)
    0 ≤| N3 - N4|≤ 0.1 (2)
    0 ≤| ν3 - ν2|≤ 30.0 (3)
    0 ≤| ν3 - ν4|≤ 30.0 (4)
    0 ≤| N9 - N8|≤ 0.1 (5)
    0 ≤| N9 - N10|≤ 0.1 (6)
    0 ≤| ν9 - ν8|≤ 30.0 (7)
    0 ≤| ν9 - ν10|≤ 30.0 (8)
    단,
    N2 : 상기 제1렌즈의 굴절율
    N3 : 상기 제2렌즈의 굴절율
    N4 : 상기 제3렌즈의 굴절율
    ν2 : 상기 제1렌즈의 아베수
    ν3 : 상기 제2렌즈의 아베수
    ν4 : 상기 제3렌즈의 아베수
    N8 : 상기 제4렌즈의 굴절율
    N9 : 상기 제5렌즈의 굴절율
    N10 : 상기 제6렌즈의 굴절율
    ν8 : 상기 제4렌즈의 아베수
    ν9 : 상기 제5렌즈의 아베수
    ν10 : 상기 제6렌즈의 아베수
    이다.
  3. 제1조리개와, 제1접합형 복합렌즈와, 제2조리개와, 제2접합형 복합렌즈를 구비하고,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상기 제1조리개, 상기 제1접합형 복합렌즈, 상기 제2조리개, 상기 제2접합형 복합렌즈의 순서로 배열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접합형 복합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1렌즈, 제2렌즈 및 제3렌즈의 순서로 배열되고,
    상기 제2접합형 복합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4렌즈, 제5렌즈 및 제6렌즈의 순서로 배열되고,
    상기 제1렌즈, 상기 제2렌즈, 상기 제3렌즈, 상기 제4렌즈, 상기 제5렌즈 및 상기 제6렌즈가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고, 또 상기 제2렌즈와 상기 제3렌즈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고, 또 상기 제4렌즈와 상기 제5렌즈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고, 또 상기 제5렌즈와 상기 제6렌즈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형성되고,
    이하의 조건(1) 내지 (8)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0 ≤| N3 - N2|≤ 0.1 (1)
    0 ≤| N3 - N4|≤ 0.1 (2)
    0 ≤| ν3 - ν2|≤ 30.0 (3)
    0 ≤| ν3 - ν4|≤ 30.0 (4)
    0 ≤| N9 - N8|≤ 0.1 (5)
    0 ≤| N9 - N10|≤ 0.1 (6)
    0 ≤| ν9 - ν8|≤ 30.0 (7)
    0 ≤| ν9 - ν10|≤ 30.0 (8)
    단,
    N2 : 상기 제1렌즈의 굴절율
    N3 : 상기 제2렌즈의 굴절율
    N4 : 상기 제3렌즈의 굴절율
    ν2 : 상기 제1렌즈의 아베수
    ν3 : 상기 제2렌즈의 아베수
    ν4 : 상기 제3렌즈의 아베수
    N8 : 상기 제4렌즈의 굴절율
    N9 : 상기 제5렌즈의 굴절율
    N10 : 상기 제6렌즈의 굴절율
    ν8 : 상기 제4렌즈의 아베수
    ν9 : 상기 제5렌즈의 아베수
    ν10 : 상기 제6렌즈의 아베수
    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가, 광학평행평면판이고,
    상기 제1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1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평볼록렌즈이고,
    상기 제3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3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평오목렌즈이고,
    상기 제5렌즈가, 광학평행평면판이고,
    상기 제4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4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평볼록렌즈이고,
    상기 제6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6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평오목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가, 광학평행평면판이고,
    상기 제1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1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평볼록렌즈이고,
    상기 제3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3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평오목렌즈이고,
    상기 제5렌즈가, 광학평행평면판이고,
    상기 제4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4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평볼록렌즈이고,
    상기 제6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6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평오목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가, 광학평행평면판이고,
    상기 제1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1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평볼록렌즈이고,
    상기 제3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3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평오목렌즈이고,
    상기 제5렌즈가, 광학평행평면판이고,
    상기 제4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4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평볼록렌즈이고,
    상기 제6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6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평오목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가, 양볼록렌즈이고,
    상기 제1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1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이고,
    상기 제3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3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이고,
    상기 제5렌즈가, 양오목렌즈이고,
    상기 제4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4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이고,
    상기 제6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6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가,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매니스커스 렌즈이고,
    상기 제1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1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이고,
    상기 제3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3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이고,
    상기 제5렌즈가, 상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매니스커스 렌즈이고,
    상기 제4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4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이고,
    상기 제6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6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가, 양오목렌즈이고,
    상기 제1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1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이고,
    상기 제3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3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이고,
    상기 제5렌즈가, 양볼록렌즈이고,
    상기 제4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4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이고,
    상기 제6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6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면 및 상기 제3렌즈의 상측면이 비구면이고, 상기 제4렌즈의 물체측면 및 상기 제6렌즈의 상측면이 비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면 및 상기 제3렌즈의 상측면이 비구면이고, 상기 제4렌즈의 물체측면 및 상기 제6렌즈의 상측면이 비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면 및 상기 제3렌즈의 상측면이 비구면이고, 상기 제4렌즈의 물체측면 및 상기 제6렌즈의 상측면이 비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의 양면 및 상기 제5렌즈의 양면의 합계 4개의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이 코팅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의 양면 및 상기 제5렌즈의 양면의 합계 4개의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이 코팅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수지재료가, 투명 경화성 실리콘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수지재료가, 투명 경화성 실리콘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수지재료가, 투명 경화성 실리콘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KR1020097005050A 2007-05-17 2007-08-29 촬상렌즈 KR200900898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31925 2007-05-17
JP2007131925A JP3976781B1 (ja) 2007-05-17 2007-05-17 撮像レンズ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840A true KR20090089840A (ko) 2009-08-24

Family

ID=38595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050A KR20090089840A (ko) 2007-05-17 2007-08-29 촬상렌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23202B2 (ko)
EP (1) EP2042904A4 (ko)
JP (1) JP3976781B1 (ko)
KR (1) KR20090089840A (ko)
CN (1) CN101490593B (ko)
TW (1) TW200903032A (ko)
WO (1) WO20081428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27898A3 (en) * 2007-02-19 2014-06-25 Konica Minolta Opto, Inc. Image pickup lens, image pickup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US8477437B2 (en) 2008-02-12 2013-07-02 Konica Minolta Opto, Inc. Lens unit, image capturing lens, image captur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US8270098B2 (en) 2008-02-20 2012-09-18 Konica Minolto Opto, Inc. Image pickup lens, image pickup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mage pickup lens
JP2009251210A (ja) * 2008-04-04 2009-10-29 Konica Minolta Opto Inc 撮像レンズ、撮像装置、電子機器、携帯端末、および撮像レンズの製造方法
JP5321954B2 (ja) 2008-08-28 2013-10-2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JP5434093B2 (ja) 2009-01-27 2014-03-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KR20110139230A (ko) 2009-03-23 2011-12-28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접합형 렌즈용 경화성 수지 조성물, 촬상 렌즈, 및 촬상 렌즈의 제조 방법
JP2011017764A (ja) * 2009-07-07 2011-01-27 Konica Minolta Opto Inc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JP5311043B2 (ja) 2009-07-17 2013-10-0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装置、携帯端末、撮像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US8289634B2 (en) * 2009-10-02 2012-10-16 Omnivision Technologies, Inc. Image capture lens modules
US8659839B2 (en) * 2010-02-26 2014-02-25 Konica Minolta Advanced Layers, Inc. Imaging lens and imaging device
US8194334B2 (en) * 2010-04-09 2012-06-05 Visera Technologies Company Limited Image capture lens modules and image capture systems
JP2012027085A (ja) 2010-07-20 2012-02-09 Sony Corp 光学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WO2012033042A1 (ja) * 2010-09-09 2012-03-15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TWI435138B (zh) 2011-06-20 2014-04-21 Largan Precision Co 影像拾取光學系統
TWI438471B (zh) 2011-08-24 2014-05-21 Largan Precision Co Ltd 光學影像擷取鏡頭
TWI449948B (zh) 2012-11-30 2014-08-21 Largan Precision Co Ltd 影像擷取光學鏡組
TWI493217B (zh) 2014-05-02 2015-07-21 Largan Precision Co Ltd 成像用光學鏡頭、取像裝置及可攜裝置
KR102270077B1 (ko) 2014-07-03 2021-06-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TWI534497B (zh) 2014-12-30 2016-05-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攝像透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DE102015007830B4 (de) * 2015-06-18 2017-12-28 e.solutions GmbH Optische Baugruppe, elektronisches Gerät und Kraftfahrzeug mit einer optischen Baugruppe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optischen Baugruppe
KR20180068585A (ko) 2016-12-14 2018-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형성 방법
TWI634360B (zh) 2017-09-29 2018-09-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US10991774B2 (en) * 2018-02-12 2021-04-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TWI706182B (zh) 2018-07-12 2020-10-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光學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CN111142217A (zh) * 2018-11-05 2020-05-12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影像采集装置
CN110007441B (zh) * 2019-04-29 2023-11-28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数字航空测绘彩色相机光学系统
CN113740943A (zh) * 2021-09-10 2021-12-03 江西欧迈斯微电子有限公司 光学镜头、摄像模组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4699A (en) * 1967-05-13 1970-08-18 Nippon Kogaku Kk Symmetrical relay lens of equi-magnification
JPH05157965A (ja) * 1991-12-06 1993-06-25 Nikon Corp 広角レンズ
JP3934197B2 (ja) * 1997-03-07 2007-06-20 フジノン株式会社 色収差の小さい画像読取り用レンズおよび画像読取り装置
US6486262B1 (en) * 1997-06-06 2002-11-26 Nippon Zeon Co., Ltd. Molding material for plastic lens
JP2001242308A (ja) * 2000-03-01 2001-09-07 Canon Electronics Inc 複合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300944A (ja) * 2000-04-20 2001-10-30 Sony Corp 複合レンズの成形方法及び複合レンズ
JP2001305309A (ja) * 2000-04-25 2001-10-31 Sony Corp 複合レンズ
JP2001318309A (ja) * 2000-05-12 2001-11-16 Canon Inc 撮影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2002041451A (ja) 2000-07-28 2002-02-08 Hitachi Ulsi Systems Co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4076047B2 (ja) * 2000-08-11 2008-04-16 フジノン株式会社 光記録媒体用対物レンズ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4443758B2 (ja) * 2000-11-20 2010-03-31 ソニー株式会社 複合レンズ製造装置及び複合レンズ製造方法
JP4467768B2 (ja) 2000-11-20 2010-05-26 ソニー株式会社 複合レンズ製造装置及び複合レンズ製造方法
JP2003005031A (ja) * 2001-06-18 2003-01-08 Milestone Kk 撮像用レンズ
US6816322B2 (en) * 2001-11-01 2004-11-09 Pentax Corporation Cemented lens group
JP4051994B2 (ja) 2002-04-23 2008-02-27 ソニー株式会社 複合レンズの成型方法及び複合レンズ
JP2004053834A (ja) 2002-07-18 2004-02-19 Asahi Glass Co Ltd 対物レンズ
JP3755149B2 (ja) 2002-07-29 2006-03-1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の基板への実装方法
JP3915733B2 (ja) 2003-04-25 2007-05-16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の実装構造
JP2005010197A (ja) 2003-06-16 2005-01-13 Fuji Photo Optical Co Ltd 画像読取用レンズ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4158978B2 (ja) 2003-08-06 2008-10-01 Hoya株式会社 ガラスモールドレンズの製造方法
JP4598379B2 (ja) 2003-09-08 2010-12-15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絞り構造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複合レンズ装置
JP4478428B2 (ja) * 2003-10-07 2010-06-09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及び光学部品
JP2005258329A (ja) 2004-03-15 2005-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合レンズおよびそれの成形金型
JP2005305938A (ja) 2004-04-23 2005-11-04 Seiko Precision Inc 複合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5352266A (ja) 2004-06-11 2005-12-22 Canon Inc 光学系
JP4467388B2 (ja) * 2004-09-07 2010-05-26 三洋電機株式会社 複合レンズ、複合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レンズモジュール
JP2006195053A (ja) 2005-01-12 2006-07-27 Sony Corp 複合レンズ、レンズ保持構造、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4781001B2 (ja) 2005-04-26 2011-09-28 三洋電機株式会社 複合レンズの製造方法
KR100665176B1 (ko) * 2005-05-18 2007-01-09 삼성전기주식회사 웨이퍼 스케일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광학계
JP3799615B2 (ja) 2005-10-17 2006-07-1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の基板への実装方法
KR100764434B1 (ko) * 2006-10-16 2007-10-05 삼성전기주식회사 초소형 촬상 광학계
JP3929479B1 (ja) * 2006-12-21 2007-06-13 マイルストーン株式会社 撮像レンズ
EP2527898A3 (en) * 2007-02-19 2014-06-25 Konica Minolta Opto, Inc. Image pickup lens, image pickup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287006A (ja) 2008-11-27
TW200903032A (en) 2009-01-16
CN101490593A (zh) 2009-07-22
US20100232037A1 (en) 2010-09-16
JP3976781B1 (ja) 2007-09-19
EP2042904A4 (en) 2009-09-23
WO2008142808A1 (ja) 2008-11-27
EP2042904A1 (en) 2009-04-01
US8023202B2 (en) 2011-09-20
CN101490593B (zh)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9840A (ko) 촬상렌즈
KR20090096520A (ko) 촬상렌즈
JP4022246B1 (ja) 撮像レンズ
JP3946245B1 (ja) 撮像レンズ
KR20090012302A (ko) 촬상 렌즈
KR20080069905A (ko) 촬상렌즈
JP3926380B1 (ja) 撮像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