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9905A - 촬상렌즈 - Google Patents

촬상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9905A
KR20080069905A KR1020077026198A KR20077026198A KR20080069905A KR 20080069905 A KR20080069905 A KR 20080069905A KR 1020077026198 A KR1020077026198 A KR 1020077026198A KR 20077026198 A KR20077026198 A KR 20077026198A KR 20080069905 A KR20080069905 A KR 20080069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bject side
image side
faces
paraxi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6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도
Original Assignee
마일스톤 가부시키가이샤
사토시 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일스톤 가부시키가이샤, 사토시 도 filed Critical 마일스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9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9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6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at least one element being a compound optical element, e.g. cemented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six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2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crystals, e.g. rock-salt, semi-condu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wo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0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wo components only
    • G02B9/06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wo components only two + components
    • G02B9/08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wo components only two + components arranged about a sto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enses (AREA)

Abstract

고온 열환경에서도 광학 성능이 열화 하지 않으며, 또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되고, 동시에 광학 길이가 짧고, 게다가 충분한 백포커스가 확보되어 있다.
제 1 조래기(S1)와, 제 1 접합형 복합렌즈(14)와, 제 2 조리개(S2)와, 제 2 접합형 복합렌즈(16)를 구비하고,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 1 조리개, 제 1 접합형 복합렌즈, 제 2 조리개, 제 2 접합형 복합렌즈의 순서로 배열되어 구성된 촬상렌즈이다. 제 1 접합형 복합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 1 렌즈(L1), 제 2 렌즈(L2) 및 제 3 렌즈(L3)의 순서로 배열되고, 제 2 접합형 복합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 4 렌즈(L4), 제 5 렌즈(L5) 및 제 6 렌즈(L6)의 순서로 배열된다. 제 1 렌즈 및 제 3 렌즈, 제 4 렌즈 및 제 6 렌즈가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된다. 또, 제 2 렌즈 및 제 5 렌즈는, 글래스 재료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촬상렌즈{IMAGING LENS}
본 발명은 촬상렌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전화기 등에 탑재하기에 적합한 촬상렌즈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를 내장하는 휴대전화기는, 촬상렌즈가 프린트 배선기판에 실장되어 있다. 프린트 배선기판에 촬상렌즈를 실장하는 방법으로서, 리플로워 솔더링(Reflow soldering) 처리가 채용되어 있다. 이후, 리플로워 솔더링 처리를, 간단히 「리플로워 처리」라고도 한다. 리플로워 처리는, 프린트 배선기판상에서 전자부품을 접속하는 장소에 미리 솔더볼을 배치하고, 거기에 전자부품을 배치하고 나서 가열하여 솔더볼을 용융시킨 후 냉각함으로써, 전자부품을 솔더링하는 방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대량생산 공정에서, 프린트 배선기판에 전자소자 또는 촬상렌즈 등의 부품류를 실장하는 방법으로서, 리플로워 처리를 실시하는 리플로워 공정이 채용된다. 리플로워 공정에 의하면, 부품류의 프린트 배선기판으로의 실장 코스트가 낮고, 동시에 제조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촬상렌즈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의 제조공정에서의 리플로워 공정에서는, 전자부품이, 프린트 배선기판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는 것은 물론, 촬상렌즈 그것, 또는 촬상렌즈를 취부 하기 위한 소켓 등이 프린트 배선기판에 배치된다.
휴대전화기에 취부되는 촬상렌즈는, 제조 코스트의 저감 및 렌즈 성능의 확보를 위하여, 그의 대부분이 플라스틱을 소재로서 제작되고 있다. 이 때문에, 리플로워 공정에서, 촬상렌즈가 고온 분위기에 놓임으로써 열변형하고, 그의 광학 성능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촬상렌즈를 장치하기 위한 내열성 소켓 부품을 이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리플로워 공정에서는, 촬상렌즈를 장치하기 위한 내열성 소켓부품을 휴대전화기의 프린트 배선기판에 취부하고, 리플로워 공정 완료 후에, 촬상렌즈를 그 소켓에 취부함으로써, 촬상렌즈가 리플로워 공정에서 고온의 열환경에 놓이는 것을 방지하는 방책이 채용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 3 참조). 그러나, 촬상렌즈를 장치하기 위하여 내열성 소켓 부품을 이용하는 것은, 제조 공정을 복잡하게 하고, 내열성 소켓의 코스트 등을 포함하여, 제조 코스트가 높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최근은, 휴대전화기가, 일시적으로 고온 환경이 되는 승용차의 차내 등에 방치되는 것도 고려하여, 휴대전화기 그것이, 150℃ 이상의 고온 환경에 직면하는 경우에도, 이 휴대전화기에 장치되어 있는 촬상렌즈는, 그의 광학적 성능이 열화 하지 않을 것이 요청되고 있다. 종래의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 촬상렌즈에서는, 이 요청에 완전하게는 부응하지 못한다.
고온 환경에서도 광학적 성능이 유지되는 촬상렌즈를 실현하기 위하여, 촬상렌즈를 고연화 온도의 몰드 글래스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고려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4 참조), 고연화 온도의 몰드 글래스 소재가 연화하는 온도는 수 백도 이상이므로, 고온의 환경에 의해 촬상렌즈의 광학적 성능이 열화 한다고 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지만, 현시점에서는, 몰드 글래스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촬상렌즈는, 그의 제조 코스트가 대폭적으로 높아, 그다지 보급되지 않는다.
휴대전화기 등에 장치되는 촬상렌즈는, 상술의 열적 특성에 더하여 광학적 특성에서도,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즉, 광학 길이가 짧을 필요가 있다. 광학 길이란, 촬상렌즈의 물체측의 입사면으로부터 결상면(촬상면이라고도 한다)까지의 길이이다. 바꾸어 말하면, 렌즈의 설계에서, 촬상렌즈의 합성초점거리에 대한 광학 길이의 비를 작게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휴대전화기를 예를 들면, 적어도 이 광학 길이는, 휴대전화기본체의 두께보다 짧지 않으면 안된다.
한편, 촬상렌즈의 상측의 출사면으로부터 촬상면까지의 거리로 정의되는 백포커스는, 가능한 한 긴 것이 좋다. 즉, 렌즈 설계에 있어서, 초점거리에 대한 백포커스의 비는 할 수 있는 한 크게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는 촬상렌즈와 촬상면과의 사이에 필터나 카바 글래스 등의 부품을 삽입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이외에도, 촬상렌즈로서, 제수차가, 상의 왜곡이 시각을 통하여 의식되지 않으며, 또 촬상소자[(화소(pixels) 라고도 함]의 집적밀도로부터 요청되는 충분한 정도로 작게 보정되어 있는 것이 당연히 요청된다. 즉,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될 필요가 있으며, 이하, 이와 같은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된 화상을 「양호한 화상」이라고도 한다.
특허문헌 1:일본국 특개 제2006-121079호 공보
특허문헌 2:일본국 특개 제2004-328474호 공보
특허문헌 3:일본국 특허 제3755149호 공보
특허문헌 4:일본국 특개 제2005-067999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전화기 등에 탑재하기에 적합한 촬상렌즈로서, 리플로워 공정에서도, 또, 휴대전화기 등에 장치되어 일시적으로 설계 사의에서 최고의 온도 환경에 직면하는 경우에서도, 광학 성능이 열화 하지 않는다고 하는 내열성이 보증되는 촬상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휴대전화기 등에 탑재 가능한 정도로 광학 길이가 짧고, 백포커스는 촬상렌즈와 촬상면과의 사이에 필터나 카바 글래스 등의 부품을 삽입 가능한 정도로 길며, 동시에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촬상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촬상렌즈는, 제 1 조리개와, 제 1 접합형 복합렌즈와, 제 2 조리개와, 제 2 접합형 복합렌즈를 구비하고,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 1 조리개, 제 1 접합형 복합렌즈, 제 2 조리개, 제 2 접합형 복합렌즈의 순서로 배열되어 구성된다.
제 1 접합형 복합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 1 렌즈, 제 2 렌즈 및 제 3 렌즈의 순서로 배열되고, 제 1 렌즈 및 제 3 렌즈가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된다. 제 2 접합형 복합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 4 렌즈, 제 5 렌즈 및 제 6 렌즈의 순서로 배열되고, 제 4 렌즈 및 제 6 렌즈가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된다. 또, 제 2 렌즈 및 제 5 렌즈는, 고연화 온도의 글래스 재료로 형성된다.
여기서, 경화성 수지(Curable Resin) 재료는, 열경화성 수지(Thermosetting resin) 재료 및 자외선 경화수지(UV-Curable Resin) 재료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한다.
제 1 렌즈와 제 2 렌즈는 직접 접착되고, 동시에 제 2 렌즈와 제 3 렌즈는 직접 접착되어 있다. 또 제 4 렌즈와 제 5 렌즈는 직접 접착되고, 동시에 제 5 렌즈와 제 6 렌즈는 직접 접착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상술의 촬상렌즈에서, 이하의 조건(1)~(8)를 만족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다.
0 ≤| N3 - N2|≤ 0.1 (1)
0 ≤| N3 - N4|≤ 0.1 (2)
0 ≤| ν3 - ν2|≤ 30.0 (3)
0 ≤| ν3 - ν4|≤ 30.0 (4)
0 ≤| N9 - N8|≤ 0.1 (5)
0 ≤| N9 - N10|≤ 0.1 (6)
0 ≤| ν9 - ν8|≤ 30.0 (7)
0 ≤| ν9 - ν10|≤ 30.0 (8)
단,
N2 : 제 1 렌즈의 굴절율
N3 : 제 2 렌즈의 굴절율
N4 : 제 3 렌즈의 굴절율
ν2 : 제 1 렌즈의 아베수
ν3 : 제 2 렌즈의 아베수
ν4 : 제 3 렌즈의 아베수
N8 : 제 4 렌즈의 굴절율
N9 : 제 5 렌즈의 굴절율
N10 : 제 6 렌즈의 굴절율
ν8 : 제 4 렌즈의 아베수
ν9 : 제 5 렌즈의 아베수
ν10 : 제 6 렌즈의 아베수
이다.
제 2 렌즈 및 제 5 렌즈는, 평행평면 글래스판으로 할 수 있다. 평행평면 글래스판은, 옵티컬 패럴 글래스판(Optical-parallel glass plate)으로 불려지는 것이다. 평행평면 글래스판은, 렌즈로는 일반적으로 불려지지 않으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렌즈면의 곡률반경이 무한대인 특별한 경우로서 평행평면 글래스판을 포함하여 렌즈로 부르는 것이다.
제 2 렌즈 및 제 5 렌즈를 평행평면 글래스판으로 한 경우, 제 1 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 1 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평볼록렌즈(planoconvex lens)로 하고, 제 3 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 3 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평오목렌즈(planoconcave lens)로 하며, 제 4 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 4 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면을 향한 평볼록렌즈고 하고, 제 6 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 6 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면을 향한 평오목렌즈로 할 수 있다.
또, 제 2 렌즈를 양 볼록 렌즈(biconvex lens)로 하고, 제 1 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 1 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면을 향한 렌즈로 하며, 제 3 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 3 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면을 향한 렌즈로 하고, 제 5 렌즈를, 양 오목 렌즈(biconcave lens)로 하며, 제 4 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 4 렌즈의 물체측면이 상측면에 볼록면을 향한 렌즈로 하고, 제 6 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 6 렌즈의 상측면이 상측면에 오목면을 향한 렌즈로 할 수 있다.
또, 제 2 렌즈를, 당해 제 2 렌즈의 물체측에 볼록면을 향한 매니스커스 렌즈로 하고, 제 1 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 1 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면을 향한 렌즈로 하며, 제 3 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 3 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면을 향한 렌즈로 하고, 제 5 렌즈를, 당해 제 5 렌즈의 물체측에 볼록면을 향한 매니스커스 렌즈로 하며, 제 4 렌즈를, 근축상에서 제 4 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면을 향한 렌즈로 하고, 제 6 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 6 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면을 향한 렌즈로 할 수 있다.
또, 제 2 렌즈를, 양 오목 렌즈로 하고, 제 1 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 1 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면을 향한 렌즈로 하며, 제 3 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 3 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면을 향한 렌즈로 하고, 제 5 렌즈를, 양 볼록 렌즈로 하며, 제 4 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 4 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면을 향한 렌즈로 하고, 제 6 렌즈를, 근축상에서 당해 제 6 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면을 향한 렌즈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촬상렌즈를 형성하기에 좋기로, 제 1 렌즈의 물체측면 및 제 3 렌즈의 상측면을 비구면으로 하고, 제 4 렌즈의 물체측면 및 제 6 렌즈의 상측면을 비구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촬상렌즈를 형성하기에 좋기로, 제 1 렌즈, 제 3 렌즈, 제 4 렌즈 및 제 6 렌즈의 소재인 경화성 수지(Curable Resin)재료는, 투명 접착제를 함유하는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Transparent Curable Silicone resin)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의 한정은, 가시광에 대하여, 실용상의 영향이 없는 정도로 광흡수량이 적은(투명인) 것을 의미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촬상렌즈에 의하면, 이 촬상렌즈를 구성하는 제 1 접합형 복합렌즈는,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된 제 1 및 제 3 렌즈가, 고연화 온도의 글래스 재료로 형성된 제 2 렌즈를 양측에서 감싸는 형태이고, 게다가 직접 접착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접합형 복합렌즈는,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된 제 4 및 제 6 렌즈가, 고연화 온도의 글래스 재료로 형성된 제 5 렌즈를 양측에서 감싸는 형태이며, 게다가 직접 접착되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고연화 온도의 글래스재료란, 리플로워 처리의 온도 및 접합형 복합렌즈의 설계 시방에서의 최고 환경 온도 중 어느 하나의 온도보다, 연화 온도가 높은 글래스 재료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 글래스 재료에 대하여, 열적 성질에 대해 논하는 경우에는 고연화 온도의 글래스 재료라고 말하고, 광학적 성질을 논하는 경우에는, 이를 광학 글래스 재료라고 말하는 것이다.
경화상 수지재료는, 일단 경화 처리가 실시되면, 일정 온도 이상의 고온에서도 연화하는 것은 아니다. 경화상 수지재료가 갖는 이 성질이, 연화 온도라고 불리는(글래스 전이 온도라고도 부른다) 일정의 온도 이상에 놓이면 연화하여 가소화하는, 플라스틱 재료 등의 가소성 수지재료가 갖는 성질과 다른 점이다. 즉, 경화성 수지재료는, 일단 경화 처리가 실시되어 고체화되면, 그의 기하학적 형상은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렌즈, 제 3 렌즈, 제 4 렌즈 및 제 6 렌즈는, 고온 환경에 직면한 경우에서도, 렌즈의 기하학적 형상은 변화하지 않아 그의 광학적 성능이 열화하지 않는다. 또, 제 2 렌즈 및 제 5 렌즈도, 고연화 온도의 글래스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온 환경하에서도 그의 광학적 성능은 열화하지 않는다. 여기서, 고온 환경이란, 리플로워 처리의 온도 및 접합형 복합렌즈의 설계 시방에서 최고 온도 중 어느 하나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 환경을 말한다.
이 때문에, 제 1 접합형 복합렌즈 및 제 2 접합형 복합렌즈는, 리플로워 공정 및 촬상렌즈의 사용시에 상정되는 최고 온도인 고온 환경에서도, 그의 광학적 성능이 보증된다.
또, 일반적으로, 경화성 수지만으로 단일체의 렌즈를 작성한 경우에는, 경화의 과정에서, 렌즈면의 곡면 형상이 변화하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그러나, 제 1 렌즈와 제 2 렌즈는 직접 접착되고, 동시에 제 2 렌즈와 제 3 렌즈는 직접 접착되어 있다. 또, 제 4 렌즈와 제 5 렌즈는 직접 접착되고, 동시에 제 5 렌즈와 제 6 렌즈는 직접 접착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및 제 3 렌즈가, 고연화 온도의 글래스 재료로 형성된 제 2 렌즈를 양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직접 접착시켜 형성되고, 제 4 및 제 6 렌즈가, 고연화 온도의 글래스 재료로 형성된 제 5 렌즈를 양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직접 접착되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 1 렌즈, 제 3 렌즈, 제 4 렌즈 및 제 6 렌즈의 곡면 형상이, 경화 처리 과정에서 변형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여기서, 직접 접착이란, 렌즈 A와 렌즈 B와의 사이에, 불가역적으로 개재하여 버리는 경우를 제외하고, 의도적으로 어떤 것도 개재시키지 않고 렌즈 A와 렌즈 B를 접착시키는 것을 말한다. 렌즈 A 및 렌즈 B와는, 예를 들면, 상술의 제 1 렌즈가 렌즈 A, 제 2 렌즈가 렌즈 B에 대응한다. 제 2 및 제 3 렌즈, 제 4 및 제 5 렌즈, 또는 제 5 렌즈 및 제 6 렌즈 각각의 조합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다음, 본 발명의 촬상렌즈의 광학적 특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촬상렌즈의 광학적인 구성상의 지도원리는, 굴절율 등의 광학적 특성이 가능한 균질인 단일의 접합형 복합렌즈에 의해, 수차 보정 및 결상이라는 2개의 역할을 실현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의 촬상렌즈가 구비한 제 1 접합형 복합렌즈를 구성하는 제 1 ~ 제 3 렌즈 각각의 굴절율 및 아베수는 서로 크게 다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접합형 복합렌즈를 구성하는 제 4 ~ 제 6 렌즈 각각의 굴절율 및 아베스는 서로 크게 다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제 1 ~ 제 3 렌즈 각각의 굴절율 및 아베수는 서로 같은 것이 이상적이다. 또, 제 4 ~ 제 6 렌즈 각각의 굴절율 및 아베수는 서로 같은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현실에는, 굴절율 및 아베수가 완전하게 같은, 광학 글래스 재료와 경화성 수지 재료의 조합을 발견하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제 1 및 제 2 접합형 복합렌즈 각각에 대해서, 구성재료인 광학 글래스 재료와 경화성 수지 재료, 양자의 굴절율 및 아베수의 차가 어떤 정도 이하이면, 양호한 화상이 얻어지는 촬상렌즈를 구성할 수 있는 가를, 수 십번의 시뮬레이션 및 시작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상술의 조건 (1)~(8)를 만족함으로써, 양호한 화상이 얻어지는 촬상렌즈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제 1 렌즈의 굴절율 N2와 제 2 렌즈의 굴절율 N3와의 차, 제 2 렌즈의 굴절율 N3와 제 3 렌즈의 굴절율 N4와의 차, 제 4 렌즈의 굴절율 N8과 제 5 렌즈의 굴절율 N9와의 차 및 제 5 렌즈의 굴절율 N9와 제 6 렌즈의 굴절율 N10와의 차가, 각각 0.1 이내이면 왜곡수차, 비점수차, 및 색·구면수차가, 양호한 화상이 형성될 정도로 충분하게 작은 값이 된다.
또, 제 1 렌즈의 아베수 ν2 와 제 2 렌즈의 아베수ν3 와의 차, 제 2 렌즈의 아베수 ν3 와 제 3 렌즈의 아베수 ν4 와의 차, 제 4 렌즈의 아베수 ν8와 제 5 렌즈의 아베수 ν9와의 차 및 제 5 렌즈의 아베수 ν9와 제 6 렌즈의 아베수ν10와의 차가, 각각 30.0 이내이면, 색수차의 크기를, 양호한 화상이 형성될 정도로 충분하게 작은 값으로 할 수 있고, 게다가 충분한 콘트라스트를 갖는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의 조건 (1) ~(8)을 만족함으로써, 휴대전화기 등에 탑재 가능한 정도로 광학 길이가 짧고, 백포커스는, 촬상렌즈와 촬상면과의 사이에 필터나 카바 글래드 등의 부품을 삽입 가능한 정도로 길며, 동시에 양호한 화상이 얻어지는 촬상렌즈가 실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촬상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촬상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촬상렌즈의 왜곡수차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촬상렌즈의 비점수차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촬상렌즈의 색·구면수차도이다.
도 6은 실시예 2의 촬상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2의 촬상렌즈의 왜곡수차도이다.
도 8은 실시예 2의 촬상렌즈의 비점수차도이다.
도 9는 실시예 2의 촬상렌즈의 색·구면수차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3의 촬상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3의 촬상렌즈의 왜곡수차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3의 촬상렌즈의 비점수차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3의 촬상렌즈의 색·구면수차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4의 촬상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4의 촬상렌즈의 왜곡수차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4의 촬상렌즈의 비점수차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4의 촬상렌즈의 색·구면수차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5의 촬상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19은 실시예 5의 촬상렌즈의 왜곡수차도이다.
도 20은 실시예 5의 촬상렌즈의 비점수차도이다.
도 21는 실시예 5의 촬상렌즈의 색·구면수차도이다.
도 22는 접합형 복합렌즈의 제조공정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촬상소자
12;카바 글래스
14;제 1 접합형 복합렌즈
16;제 2 접합형 복합렌즈
20,30;금형
24,34;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
26;광학 글래스
36;제 1 렌즈의 물체측면
38;제 3 렌즈의 상측면
S1;제 1 조리개
S2;제 2 조리개
L1;제 1 렌즈
L2;제 2 렌즈
L3;제 3 렌즈
L4;제 4 렌즈
L5;제 5 렌즈
L6;제 6 렌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각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일 구성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는 정도로 각 구성요소의 단면 형상이나 배치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도시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특정의 재료 및 조건 등을 이용하는 것이 있으나, 이들 재료 및 조건은 바람직한 예의 하나에 불과하며, 따라서,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촬상렌즈의 구성도이다. 도 1에서 정의되어 있는 면번호(ri(i=1,2,3,...,14) 및 면간격(di(i=1,2,3,...,13) 등의 기호는 도 2, 도 6, 도 10, 도 14, 도 18에서는, 단면이 복잡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략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접합형 복합렌즈(14)를 구성하는 제 1, 제 2 및 제 3 렌즈를 각각 L1, L2 및 L3로 나타낸다. 또, 제 2 접합형 복합렌즈(16)를 구성하는 제 4, 제 5 및 제 6 렌즈를 각각 L4, L5 및 L6로 나타낸다.
제 1 접합형 복합렌즈(14)의 전면(제 1 렌즈의 전면 r2)에 배치되는 제 1 조리개 S1은 개구 조리개로서의 역할을 하여, 입사동의 위치를 확인한다. 또, 제 1 접합형 복합렌즈(14)와 제 2 접합형 복합렌즈(16)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 2 조리개(S2)는,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감소하는 현상인 플레어(flara) 또는, 화상 번짐 현상인 스미어(smear)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오해가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ri(i=1,2,3,...,14)을 광축상 곡률반경의 값을 의미하는 변수로 이용하거나 렌즈나 카바 글래스면 또는 촬상면을 식별하는 기호 (예를 들면, r2을, 제 1 접합형 복합렌즈(14)를 구성하는 제 1 렌즈 L1의 물체측면의 의미로 이용하는 등)로서 이용하는 것도 있다.
이들의 도면에 나타낸 ri(i=1,2,3,···,14) 및 di(i=1,2,3,···,13) 등의 파라메타는, 이하에 나타낸 표 1 내지 표 5에 구체적 수치로서 부여한다. 첨자 i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조리개(제 1 및 제 2 조리개), 각 렌즈의 면번호 또는 렌즈의 두께 또는 렌즈면 간격 등에 대응시켜 부여한 것이다.
즉,
ri는 i번째 면의 광축상 곡률반경,
di는 i번째 면에서부터 i+1번째 면까지의 거리,
Ni는 i번째 면과 i+1번째 면으로 이루어진 렌즈 소재의 굴절률 및
νi는 i번째 면과 i+1번째 면으로 이루어진 렌즈 소재의 아베수
를 각각 나타낸다.
도 1에서는, 조리개(제 1 및 제 2 조리개)의 개구부를 선분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는, 렌즈면으로부터 조리개면까지의 거리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조리개면과 광축과의 교점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이다. 또, 실시예 1 내지 5의 촬상렌즈 각각의 단면도인, 도 2, 도 6, 도 10, 도 14, 도 18에서는, 상기의 도 1과는 반대로, 조리개의 개구부를 개방하고, 개구부의 단을 시점으로 한 반직선으로 광을 차단하는 조리개의 본체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주광선 등의 광선을 기입 하기 위해서, 조리개의 실태를 반영하여, 조리개의 개구부를 개방하여 나타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제 2 조리개는, 촬상렌즈의 구조상, 그 두께를 무시할 수 없으므로, d6로서 그 두께를 나타내고 있다.
광학 길이(L)는, 제 1 조리개(S1)로부터 촬상면까지의 거리이다. 백포커스(bf)는, 제 2 접합형 복합렌즈(16)를 구성하는 제 6 렌즈(L6)의 상측면에서부터 촬상면까지의 거리이다. 여기서는, 카바 글래스를 제거하고 계측한 제 6 렌즈(L6)의 상측면으로부터 촬상면까지의 길이를, 백포커스(bf)로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비구면 데이타는, 표 1 내지 표 5 각각의 난에 면번호와 함께 나타내었다. 또, 광축상 곡률반경의 값 ri(i=1,2,3,...,14)은, 물체측에 볼록(凸)인 경우를 정의 값, 상측에 볼록(凸)인 경우를 부의 값으로 표시하고 있다.
제 2 렌즈가 평행평면 글래스판인 경우의 양면(r3 및 r4), 제 5 렌즈가 평행평면 글래스판인 경우의 양면(r9 및 r10), 제 1 조리개 S(r1), 제 2 조리개(r6, r7) 및 카바 글래스(또는 필터 등)의 면(r12 및 r13)은, 평면이므로 곡률반경은, ∞로 표시하고 있다. 또, 촬상면(r14)에 대해서는, 평면인 것으로부터 r14=∞이나, 표 1 내지 표 5에서는 그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구면은, 다음 식으로 부여된다.
Z = ch2 / [1 + [1 - (1 + k)c2h2] +1/2] + A0h4 + B0h6 + C0h8 + D0h10
단,
Z: 면정점에 대한 접평면으로부터의 깊이
c: 면의 광축상의 곡률
h: 광축으로터의 높이
k: 원추정수
A0: 4차 비구면계수
B0: 6차 비구면계수
C0: 8차 비구면계수
D0: 10차 비구면계수
이다.
본 명세서 중의 표 1 내지 표 5에서, 비구면계수를 나타낸 수치는 지수 표시이며, 예를 들면 「e - 1」은 「10의 - 1승」을 의미한다. 또 초점거리 f로서 나타낸 값은, 제 1 접합형 복합렌즈와 제 2 접합형 복합렌즈에 의한 합성초점거리이다. 실시예 마다에, 렌즈 밝기의 지표인 개방 F 넘버(개방 F 값으로 부르는 것도 있다)를 Fno로서 표시하고 있다. 개방 F 넘버는, 개구 조리개(제 1 조리개)의 직경을, 설계상 최대 직경으로 한 경우의 F 넘버를 의미한다. 또, 정방형 상면의 대각선 길이 2Y를 상높이로서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 Y는, 정방형의 상면의 대각선 길이의 반분 값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21를 참조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촬상렌즈를 설명한다.
도 3, 도 7, 도 11, 도 15, 도 19에 나타낸 왜곡수차곡선은, 광축으로부터의 거리(종축에 상면 내에서의 광축으로부터의 최대거리를 100으로서 백분율 표시하고 있다)에 대하여, 수차(횡축에 정접조건의 불만족량을 백분율 표시하고 있다)를 나타내었다. 도 4, 도 8, 도 12, 도 16, 도 20에 나타낸 비점수차곡선은, 왜곡수차곡선과 같은 형태로, 종축에 나타낸 광축에서부터의 거리(%)에 대하여, 수차량(mm단위)을 횡축으로 하여 나타내며, 메리져널 면(meridional plane)과 새지털 면(sagittai plane)에서 수차량(mm단위)을 각각 나타내었다.
도 5, 도 9, 도 13, 도 17, 도 21에 나타낸 색·구면수차곡선에서는 종축의 입사높이 h에 대하여, 수차량(mm단위)을 횡축으로 하여 나타내었다. 종축의 입사높이(h)는, F넘버로 환산하여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Fno가 2.9의 렌즈에 대해서는, 종축의 입사높이 H=100%가, f=2.9에 대응한다.
또 색·구면수차곡선에서는, C선 (파장 656.3nm의 광), d선 (파장 587.6nm의 광), e선 (파장 546.1nm의 광), F선 (파장 486.1nm의 광) 및 g선 (파장 435.8nm의 광)에 대한 수차값을 나타내었다.
이하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 관하여 구성 렌즈의 곡률반경(mm단위), 렌즈 면 간격(mm단위), 렌즈 소재의 굴절율, 렌즈 소재의 아베수, 초점거리, F넘버 및 비구면계수를 표 1 내지 표 5에 일람하여 게재한다. 또한, 구성 렌즈의 광축상 곡률반경의 값 및 렌즈의 면 간격은, 촬상렌즈의 합성초점거리의 값을 1.00mm로 정규화한 때의 값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 1 접합형 복합렌즈(14)를 구성하는 제 1 렌즈(L1) 및 제 3 렌즈(L3)의 소재 및 제 2 접합형 복합렌즈(16)를 구성하는 제 4 렌즈(L4) 및 제 6 렌즈(L6)의 소재로, 경화성 수지재료인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를 이용하였다. 또, 제 2 렌즈(L2) 및 제 5 렌즈(L5)의 소재로, 글래스 재료인 광학 글래스 BK7를 이용하였다. 여기서, BK7은, SCHOTT GLAS사가 붕소산 글래스(borosilicate glass)의 그룹에 붙인 명칭이다. 광학 글래스 BK7은, 현재 복수의 글래스 메이커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시판되고 있는 광학 글래스 BK7의 굴절율 및 아베수는, 제조회사 또는 제조 로트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다. 이하에 나타낸 실시예에 이용한, 제 2 렌즈(L2) 및 제 5 렌즈(L5)를 구성하는 광학 글래스 BK7(주식회사(OHARP INC.)제)의 d선(587.6nm의 광)에 대한 굴절율은, 1.5168이고, 아베수는 61.0이다.
여기서, 경화성 수지(Curable Resin)재료란, 열경화성 수지(Thermosetting resin)재료 및 자외선 경화수지(UV-Curable Resin)재료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한다.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란, 가사광에 대하여 투명이고, 동시에 일시적으로 150℃ 정도의 고온 환경으로 되어도, 렌즈의 기하학적 형상은 변하지 않아, 그의 광학적 성능이 열화하지 않는 실리콘 수지를 의미한다. 여기서 말하는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는,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의 공급회사로부터 「투명 고경도 실리콘 수지」라는 명칭으로 시판되고 있는 실리콘 수지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제 1 렌즈(L1)와 제 2 렌즈(L2)와는 직접 접착되고, 동시에 제 2 렌즈(L2)와 제 3 렌즈(L3)와는 직접 접착되어 있다. 또, 제 4 렌즈(L4)와 제 5 렌즈(L5)와는 직접 접착되고, 동시에 제 5 렌즈(L5)와 제 6 레즈(L6)와는 직접 접착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 1 렌즈(L1) 제 3 렌즈(L3), 제 4 렌즈(L4) 및 제 6 렌즈(L6)의 소재인 경화성 수지재료로서, 후지 고분자공업 주식회사(Fuji Polymer Industries Co.,Ltd.)제 SMX-7852, 도레이·다우 코닝사(Dow Corning Toray Co.,Ltd.)제 SR-7010의 열경화성 실리콘 수지를 이용하였다. 이들 열경화성 실리콘 수지의 굴절율 및 아베수는, 제조회사마다 다르며, 또 동일 상품명에 있어서도 굴절율 및 아베수는 다소의 차이가 있다. 한편, 이하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렌즈 소재의 굴절율은, d선(587.6nm의 광)에 대한 값이다.
본 발명의 촬상렌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조리개(S1)와, 제 1 접합형 복합렌즈(14)와, 제 2 조리개(S2)와 제 2 접합형 복합렌즈(16)를 구비하고,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 1 조리개(S1), 제 1 접합형 복합렌즈(14), 제 2 조리개(S2), 제 2 접합형 복합렌즈(16)의 순서로 배열되어 구성된다.
제 1 접합형 복합렌즈(14)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 1 렌 즈(L1), 제 2 렌즈(L2) 및 제 3 렌즈(L3)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또, 제 2 접합형 복합렌즈(16)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 4 렌즈(L4), 제 5 렌즈(L5) 및 제 6 렌즈(L6)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제 2 접합형 복합렌즈(16)와 촬상소자(10)와의 사이에는, 카바 글래스(12)가 삽입되어 있다. 카바 글래스의 소재는, 굴절율이 1.51680, 아베수가, 61인 광학 글래스 BK7(호야 주식회사(HOYA CORPORATION)제)이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촬상렌즈의, 광축상 곡률반경의 값 ri(i=1,2,3,...,14), 면간격 di(i=1,2,3,....,13), 렌즈 구성재료의 굴절율 및 아베수 및 비구면계수를, 각각 표 1 내지 표 5에 나타낸다. 여기서는, 제 1 접합형 복합렌즈와 제 2 접합형 복합렌즈에 의한 합성초점거리를 1.00mm로 규격화하고 있다.
제 1 접합형 복합렌즈(14)를 구성하는 제 1 렌즈(L1)의 물체측면, 및 제 3 렌즈(L3)의 상측면을 비구면으로 하고, 제 2 접합형 복합렌즈(16)를 구성하는 제 4 렌즈(L4)의 물체측면, 및 제 6 렌즈(L6)의 상측면을 비구면으로 하였다.
Figure 112007080700488-PCT00001
Figure 112007080700488-PCT00002
Figure 112007080700488-PCT00003
Figure 112007080700488-PCT00004
Figure 112007080700488-PCT00005
<실시예 1>
실시예 1의 렌즈계는, 제 1 접합형 복합렌즈의 제 1 렌즈(L1) 및 제 3 렌즈(L3)가, 투명 접착제를 함유하는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 SMX-7852(후지 고분자공업 주식회사제)로 형성되고, 제 2 렌즈(L2)가, 광학 글래스 BK7(주식회사 Ohara제)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접합형 복합렌즈의 제 4 렌즈(L4) 및 제 6 렌즈(L6)가, 투명 접착제를 함유하는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 SMX-7852(후지 고분자공업 주식회사제)로 형성되고, 제 5 렌즈(L5)가, 광학 글래스 BK7(주식회사 Ohara제)로 형성되어 있다.
(A) 제 1 렌즈(L1)의 굴절율 N2는, N2 = 1.51000이다.
(B) 제 2 렌즈(L2)의 굴절율 N3는, N3 = 1.51680이다.
(C) 제 3 렌즈(L3)의 굴절율 N4는, N4 = 1.51000이다.
(D) 제 1 렌즈(L1)의 아베수 ν2는, ν2 = 56.0이다.
(E) 제 2 렌즈(L2)의 아베수 ν3는, ν3 = 61.0이다.
(F) 제 3 렌즈(L3)의 아베수 ν4는, ν4 = 56.0이다.
(G) 제 4 렌즈(L4)의 굴절율 N8는, N8 = 1.51000이다.
(H) 제 5 렌즈(L5)의 굴절율 N9는, N9 = 1.51680이다.
(I) 제 6 렌즈(L6)의 굴절율 N10는, N10 = 1.51000이다.
(J) 제 4 렌즈(L4)의 아베수 ν8는, ν8 = 56.0이다.
(K) 제 5 렌즈(L5)의 아베수 ν9는, ν9 = 61.0이다.
(L) 제 6 렌즈(L6)의 아베수 ν10는, ν10 = 56.0이다.
따라서, |N3 - N2| = |N3 - N4| = |N9 - N8| = |N9 - N10|= 0.00680이므로, 하기의 조건 (1), (2), (5) 및 (6)를 만족하고 있다. 또, |ν3 - ν2| = |ν3 - ν4| = |ν9 - ν8| = |ν9 - ν10| = 5.0이므로, 하기의 조건 (3), (4), (7) 및 (8)을 만족하고 있다.
조건 (1), (2), (5) 및 (6)이란, 각각, 이하에 나타낸 식(1), 식(2), 식(5) 및 식(6)에서 부여되는 조건을 의미한다. 또, 조건 (3), (4), (7) 및 (8)이란, 각각 이하에 나타낸 식(3), 식(4), 식(7) 및 식(8)에서 부여되는 조건을 의미한다.
0 ≤|N3 - N2|≤ 0.1 (1)
0 ≤|N3 - N4|≤ 0.1 (2)
0 ≤|ν3 - ν2|≤ 30.0 (3)
0 ≤|ν3 - ν4|≤ 30.0 (4)
0 ≤|N9 - N8|≤ 0.1 (5)
0 ≤|N9 - N10|≤ 0.1 (6)
0 ≤|ν9 - ν8|≤ 30.0 (7)
0 ≤|ν9 - ν10|≤ 30.0 (8)
조건 (1) ~ (8)이란, 각각 식 (1) ~ (8)에서 부여되는 조건을 의미한다는 것은, 이후의 설명(실시예 2 내지 5의 설명)에서도 동일하다.
도 2에 실시예 1의 촬상렌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 조리개의 역할을 하는 제 1 조리개(S1)는, 제 1 접합형 복합렌즈(14)를 구성하는 제 1 렌즈(L1)의 제 1 면(물체측면)과 광축과의 교점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플레어 또는 스미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조리개(S2)는, 제 1 접합형 복합렌즈(14)와 제 2 접합형 복합렌즈(16)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조리개(S1)의 조리개 면은 평면이므로, 표 1에 r1 = ∞로 나타내고 있다. 제 2 조리개(S2)는, 평면 r6가 r7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표 1에 r6 = ∞ 및 r7 = ∞로 나타내고 있다. 또 F 넘버 Fno는, 2.9이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r3 = ∞ 및 r4 = ∞인 것으로부터, 제 2 렌즈(L2)는, 평행평면 글래스판이고, r9 = ∞ 및 r10 = ∞인 것으로부터, 제 5 렌즈(L5)는, 평행평면 글래스판이다. r2가 정의 값이고 r5가 정의 값이므로, 제 1 렌즈(L1)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 1 렌즈(L1)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평볼록렌즈이고, 제 3 렌즈(L3)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 3 렌즈(L3)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평오목렌즈이다. 또, r8이 정의 값이고 r11도 정의 값이므로, 제 4 렌즈(L4)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 4 렌즈(L4)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면을 향한 평볼록렌즈이고, 제 6 렌즈(L6)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 6 렌즈(L6)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면을 향한 평오목렌즈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점거리 f=1.00mm에 대한 광학길이 L은 1.113mm이고, 백포커스 bf는 0.492mm 이다.
도 3에 나타낸 왜곡수차곡선 1-1, 도 4에 나타낸 비점수차곡선(메리져널면에 대한 수차곡선 1-2 및 새지털면에 대한 수차곡선 1-3), 도 5에 나타낸 색·구면수차곡선(g선에 대한 수차곡선 1-4, F선에 대한 수차곡선 1-5, e선에 대한 수차곡선 1-6, d선에 대한 수차곡선 1-7, 및 C선에 대한 수차곡선 1-8)에 대하여, 각각 그래프로써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상높이를 광축으로부터의 거리의 몇 %인가로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 중에서, 100%는 0.623mm에 대응하고 있다. 또, 도 5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입사높이(h)(F-넘버)를 나타내고 있으며, 최대가 2.9에 대응한다. 도 3의 횡축은 수차(%)를 나타내고, 도 4, 도 5의 횡축은, 수차의 크기(mm)를 나타내고 있다.
왜곡수차는, 상높이 75%(상높이 0.467mm)의 위치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2.5%로 최대로 되어 있고, 상고 0.623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2.5% 이내에 들어가 있다.
비점수차는, 상높이 80%(상높이 0.498mm)의 위치에서 메리저널면에 대한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9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또 상높이 0.623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9mm 이내에 들어가 있다.
색·구면수차는, 입사높이(h)의 100%에서 g선에 대한 수차곡선 1-4의 절대치가 0.0225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25mm 이내에 들어가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촬상렌즈에 의하면, 휴대전화기 등에 탑재 가능한 정도로 광학 길이가 짧고, 촬상렌즈와 촬상면과의 사이에 필터나 카바 글래스 등의 부품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정도로 백포커스가 길며, 동시에 양호한 화상이 얻어진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렌즈계는, 제 1 접합형 복합렌즈의 제 1 렌즈(L1) 및 제 3 렌즈(L3)가, 투명 접착제를 함유하는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 SR-7010(Dow Corning Toray Co., Ltd제)로 형성되고, 제 2 렌즈(L2)가, 광학 글래스 BK7(주식회사 Ohara제)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접합형 복합렌즈의 제 4 렌즈(L4) 및 제 6 렌즈(L6)가, 투명 접착제를 함유하는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 SR-7010(Dow Corning Toray Co., Ltd제)로 형성되고, 제 5 렌즈(L5)가, 광학 글래스 BK7(주식회사 Ohara제)로 형성되어 있다.
(A) 제 1 렌즈(L1)의 굴절율 N2는, N2 = 1.53000이다.
(B) 제 2 렌즈(L2)의 굴절율 N3는, N3 = 1.51680이다.
(C) 제 3 렌즈(L3)의 굴절율 N4는, N4 = 1.53000이다.
(D) 제 1 렌즈(L1)의 아베수 ν2는, ν2 = 35.0이다.
(E) 제 2 렌즈(L2)의 아베수 ν3는, ν3 = 61.0이다.
(F) 제 3 렌즈(L3)의 아베수 ν4는, ν4 = 35.0이다.
(G) 제 4 렌즈(L4)의 굴절율 N8는, N8 = 1.53000이다.
(H) 제 5 렌즈(L5)의 굴절율 N9는, N9 = 1.51680이다.
(I) 제 6 렌즈(L6)의 굴절율 N10는, N10 = 1.53000이다.
(J) 제 4 렌즈(L4)의 아베수 ν8는, ν8 = 35.0이다.
(K) 제 5 렌즈(L5)의 아베수 ν9는, ν9 = 61.0이다.
(L) 제 6 렌즈(L6)의 아베수 ν10는, ν10 = 35.0이다.
따라서, |N3 - N2| = |N3 - N4| = |N9 - N8| = |N9 - N10|= 0.01320이므로, 하기의 조건 (1), (2), (5) 및 (6)를 만족하고 있다. 또, |ν3 - ν2| = |ν3 - ν4| = |ν9 - ν8| = |ν9 - ν10| = 26.0이므로, 하기의 조건 (3), (4), (7) 및 (8)을 만족하고 있다.
도 6에 실시예 2의 촬상렌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 조리개의 역할을 하는 제 1 조리개(S1)는, 제 1 접합형 복합렌즈(14)를 구성하는 제 1 렌즈(L1)의 제 1 면(물체측면)과 광축과의 교점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플레어 또는 스미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조리개(S2)는, 제 1 접합형 복합렌즈(14)와 제 2 접합형 복합렌즈(16)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조리개(S1)의 조리개 면은 평면이므로, 표 2에 r1 = ∞로 나타내고 있다. 제 2 조리개(S2)는, 평면 r6가 r7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표 2에 r6 = ∞ 및 r7 = ∞로 나타내고 있다. 또 F 넘버 Fno는, 2.9이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r3 = ∞ 및 r4 = ∞인 것으로부터, 제 2 렌즈(L2)는, 평행평면 글래스판이고, r9 = ∞ 및 r10 = ∞인 것으로부터, 제 5 렌즈(L5)는, 평행평면 글래스판이다. r2가 정의 값이고 r5가 정의 값이므로, 제 1 렌즈(L1)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 1 렌즈(L1)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평볼록렌즈이고, 제 3 렌즈(L3)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 3 렌즈(L3)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평오목렌즈이다. 또, r8이 정의 값이고 r11도 정의 값이므로, 제 4 렌즈(L4)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 4 렌즈(L4)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면을 향한 평볼록렌즈이고, 제 6 렌즈(L6)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 6 렌즈(L6)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면을 향한 평오목렌즈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점거리 f=1.00mm에 대한 광학길이 L은 1.120mm이고, 백포커스 bf는 0.472mm 이다.
도 7에 나타낸 왜곡수차곡선 2-1, 도 8에 나타낸 비점수차곡선(메리져널면에 대한 수차곡선 2-2 및 새지털면에 대한 수차곡선 2-3), 도 9에 나타낸 색·구면수차곡선(g선에 대한 수차곡선 2-4, F선에 대한 수차곡선 2-5, e선에 대한 수차곡선 2-6, d선에 대한 수차곡선 2-7, 및 C선에 대한 수차곡선 2-8)에 대하여, 각각 그래프로써 나타내고 있다.
도 7 및 도 8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상높이를 광축으로부터의 거리의 몇 %인가로 나타내고 있다. 도 7 및 도 8 중에서, 100%는 0.619mm에 대응하고 있다. 또, 도 9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입사높이(h)(F-넘버)를 나타내고 있으며, 최대가 2.9에 대응한다. 도 7의 횡축은 수차(%)를 나타내고, 도 8, 도 9의 횡축은, 수차의 크기(mm)를 나타내고 있다.
왜곡수차는, 상높이 75%(상높이 0.464mm)의 위치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2.7%로 최대로 되어 있고, 상고 0.619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2.7% 이내에 들어가 있다.
비점수차는, 상높이 70%(상높이 0.433mm)의 위치에서 새지털면에 대한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또 상높이 0.619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mm 이내에 들어가 있다.
색·구면수차는, 입사높이(h)의 100%에서 g선에 대한 수차곡선 2-4의 절대치가 0.0398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수차량의 절대치가 0.0398mm 이내에 들어가 있다.
따라서, 실시예 2의 촬상렌즈에 의하면, 휴대전화기 등에 탑재 가능한 정도로 광학 길이가 짧고, 촬상렌즈와 촬상면과의 사이에 필터나 카바 글래스 등의 부품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정도로 백포커스가 길며, 동시에 양호한 화상이 얻어진다.
<실시예 3>
실시예 3의 렌즈계는, 제 1 접합형 복합렌즈의 제 1 렌즈(L1) 및 제 3 렌즈(L3)가, 투명 접착제를 함유하는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 SMX-7852(후지 고분자공업 주식회사제)로 형성되고, 제 2 렌즈(L2)가, 광학 글래스 BK7(주식회사 Ohara제)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접합형 복합렌즈의 제 4 렌즈(L4) 및 제 6 렌즈(L6)가, 투명 접착제를 함유하는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 SMX-7852(후지 고분자공업 주식회사제)로 형성되고, 제 5 렌즈(L5)가, 광학 글래스 BK7(주식회사 Ohara제)로 형성되어 있다.
(A) 제 1 렌즈(L1)의 굴절율 N2는, N2 = 1.51000이다.
(B) 제 2 렌즈(L2)의 굴절율 N3는, N3 = 1.51680이다.
(C) 제 3 렌즈(L3)의 굴절율 N4는, N4 = 1.51000이다.
(D) 제 1 렌즈(L1)의 아베수 ν2는, ν2 = 56.0이다.
(E) 제 2 렌즈(L2)의 아베수 ν3는, ν3 = 61.0이다.
(F) 제 3 렌즈(L3)의 아베수 ν4는, ν4 = 56.0이다.
(G) 제 4 렌즈(L4)의 굴절율 N8는, N8 = 1.51000이다.
(H) 제 5 렌즈(L5)의 굴절율 N9는, N9 = 1.51680이다.
(I) 제 6 렌즈(L6)의 굴절율 N10는, N10 = 1.51000이다.
(J) 제 4 렌즈(L4)의 아베수 ν8는, ν8 = 56.0이다.
(K) 제 5 렌즈(L5)의 아베수 ν9는, ν9 = 61.0이다.
(L) 제 6 렌즈(L6)의 아베수 ν10는, ν10 = 56.0이다.
따라서, |N3 - N2| = |N3 - N4| = |N9 - N8| = |N9 - N10|= 0.00680이므로, 하기의 조건 (1), (2), (5) 및 (6)를 만족하고 있다. 또, |ν3 - ν2| = |ν3 - ν4| = |ν9 - ν8| = |ν9 - ν10| = 5.0이므로, 하기의 조건 (3), (4), (7) 및 (8)을 만족하고 있다.
도 10에 실시예 3의 촬상렌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 조리개의 역할을 하는 제 1 조리개(S1)는, 제 1 접합형 복합렌즈(14)를 구성하는 제 1 렌즈(L1)의 제 1 면(물체측면)과 광축과의 교점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플레어 또는 스미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조리개(S2)는, 제 1 접합형 복합렌즈(14)와 제 2 접합형 복합렌즈(16)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조리개(S1)의 조리개 면은 평면이므로, 표 3에 r1 = ∞로 나타내고 있다. 제 2 조리개(S2)는, 평면 r6가 r7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표 3에 r6 = ∞ 및 r7 = ∞로 나타내고 있다. 또 F 넘버 Fno는, 2.9이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r3가 정의 값이고, r4가 부의 값인 것으로부터, 제 2 렌즈(L2)는, 양볼록렌즈이고, r9가 부의 값이고 r10이 정의 값인 것으로부터, 제 5 렌즈(L5)는, 양오목렌즈이다. r2가 정의 값이고 r5가 정의 값이므로, 제 1 렌즈(L1)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 1 렌즈(L1)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이고, 제 3 렌즈(L3)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 3 렌즈(L3)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이다. 또, r8이 정의 값이고 r11도 정의 값이므로, 제 4 렌즈(L4)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 4 렌즈(L4)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면을 향한 렌즈이고, 제 6 렌즈(L6)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 6 렌즈(L6)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면을 향한 렌즈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점거리 f=1.00mm에 대한 광학길이 L은 1.111mm이고, 백포커스 bf는 0.489mm 이다.
도 11에 나타낸 왜곡수차곡선 3-1, 도 12에 나타낸 비점수차곡선(메리져널면에 대한 수차곡선 3-2 및 새지털면에 대한 수차곡선 3-3), 도 13에 나타낸 색·구면수차곡선(g선에 대한 수차곡선 3-4, F선에 대한 수차곡선 3-5, e선에 대한 수차곡선 3-6, d선에 대한 수차곡선 3-7, 및 C선에 대한 수차곡선 3-8)에 대하여, 각각 그래프로써 나타내고 있다.
도 11 및 도 12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상높이를 광축으로부터의 거리의 몇 %인가로 나타내고 있다. 도 11 및 도 12 중에서, 100%는 0.600mm에 대응하고 있다. 또, 도 13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입사높이(h)(F-넘버)를 나타내고 있으며, 최대가 2.9에 대응한다. 도 11의 횡축은 수차(%)를 나타내고, 도 12, 도 13의 횡축은, 수차의 크기(mm)를 나타내고 있다.
왜곡수차는, 상높이 80%(상높이 0.480mm)의 위치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2.5%로 최대로 되어 있고, 상고 0.600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2.5% 이내에 들어가 있다.
비점수차는, 상높이 80%(상높이 0.480mm)의 위치에서 메리저널면에 대한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17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또 상높이 0.600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17mm 이내에 들어가 있다.
색·구면수차는, 입사높이(h)의 100%에서 g선에 대한 수차곡선 3-4의 절대치가 0.0239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39mm 이내에 들어가 있다.
따라서, 실시예 3의 촬상렌즈에 의하면, 휴대전화기 등에 탑재 가능한 정도로 광학 길이가 짧고, 촬상렌즈와 촬상면과의 사이에 필터나 카바 글래스 등의 부품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정도로 백포커스가 길며, 동시에 양호한 화상이 얻어진다.
<실시예 4>
실시예 4의 렌즈계는, 제 1 접합형 복합렌즈의 제 1 렌즈(L1) 및 제 3 렌즈(L3)가, 투명 접착제를 함유하는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 SMX-7852(후지 고분자공업 주식회사제)로 형성되고, 제 2 렌즈(L2)가, 광학 글래스 BK7(주식회사 Ohara제)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접합형 복합렌즈의 제 4 렌즈(L4) 및 제 6 렌즈(L6)가, 투명 접착제를 함유하는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 SMX-7852(후지 고분자공업 주식회사제)로 형성되고, 제 5 렌즈(L5)가, 광학 글래스 BK7(주식회사 Ohara제)로 형성되어 있다.
(A) 제 1 렌즈(L1)의 굴절율 N2는, N2 = 1.51000이다.
(B) 제 2 렌즈(L2)의 굴절율 N3는, N3 = 1.51680이다.
(C) 제 3 렌즈(L3)의 굴절율 N4는, N4 = 1.51000이다.
(D) 제 1 렌즈(L1)의 아베수 ν2는, ν2 = 56.0이다.
(E) 제 2 렌즈(L2)의 아베수 ν3는, ν3 = 61.0이다.
(F) 제 3 렌즈(L3)의 아베수 ν4는, ν4 = 56.0이다.
(G) 제 4 렌즈(L4)의 굴절율 N8는, N8 = 1.51000이다.
(H) 제 5 렌즈(L5)의 굴절율 N9는, N9 = 1.51680이다.
(I) 제 6 렌즈(L6)의 굴절율 N10는, N10 = 1.51000이다.
(J) 제 4 렌즈(L4)의 아베수 ν8는, ν8 = 56.0이다.
(K) 제 5 렌즈(L5)의 아베수 ν9는, ν9 = 61.0이다.
(L) 제 6 렌즈(L6)의 아베수 ν10는, ν10 = 56.0이다.
따라서, |N3 - N2| = |N3 - N4| = |N9 - N8| = |N9 - N10|= 0.00680이므로, 하기의 조건 (1), (2), (5) 및 (6)를 만족하고 있다. 또, |ν3 - ν2| = |ν3 - ν4| = |ν9 - ν8| = |ν9 - ν10| = 5.0이므로, 하기의 조건 (3), (4), (7) 및 (8)을 만족하고 있다.
도 14에 실시예 4의 촬상렌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 조리개의 역할을 하는 제 1 조리개(S1)는, 제 1 접합형 복합렌즈(14)를 구성하는 제 1 렌즈(L1)의 제 1 면(물체측면)과 광축과의 교점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플레어 또는 스미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조리개(S2)는, 제 1 접합형 복합렌즈(14)와 제 2 접합형 복합렌즈(16)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조리개(S1)의 조리개 면은 평면이므로, 표 4에 r1 = ∞로 나타내고 있다. 제 2 조리개(S2)는, 평면 r6가 r7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표 4에 r6 = ∞ 및 r7 = ∞로 나타내고 있다. 또 F 넘버 Fno는, 2.9이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r3가 정의 값이고, r4도 정의 값인 것으로부터, 제 2 렌즈(L2)는, 물체측에 볼록면을 향한 매니스커스 렌즈이고, r9가 부의 값이고 r10도 부의 값인 것으로부터, 제 5 렌즈(L5)는, 상측에 볼록면을 향한 매니스커스 렌즈이다. r2가 정의 값이고 r5도 정의 값이므로, 제 1 렌즈(L1)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 1 렌즈(L1)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이고, 제 3 렌즈(L3)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 3 렌즈(L3)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이다. 또, r8이 정의 값이고 r11도 정의 값이므로, 제 4 렌즈(L4)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 4 렌즈(L4)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면을 향한 렌즈이고, 제 6 렌즈(L6)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 6 렌즈(L6)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면을 향한 렌즈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점거리 f=1.00mm에 대한 광학길이 L은 1.109mm이고, 백포커스 bf는 0.488mm 이다.
도 15에 나타낸 왜곡수차곡선 4-1, 도 16에 나타낸 비점수차곡선(메리져널면에 대한 수차곡선 4-2 및 새지털면에 대한 수차곡선 4-3), 도 17에 나타낸 색·구면수차곡선(g선에 대한 수차곡선 4-4, F선에 대한 수차곡선 4-5, e선에 대한 수차곡선 4-6, d선에 대한 수차곡선 4-7, 및 C선에 대한 수차곡선 4-8)에 대하여, 각각 그래프로써 나타내고 있다.
도 15 및 도 16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상높이를 광축으로부터의 거리의 몇 %인가로 나타내고 있다. 도 15 및 도 16 중에서, 100%는 0.600mm에 대응하고 있다. 또, 도 17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입사높이(h)(F-넘버)를 나타내고 있으며, 최대가 2.9에 대응한다. 도 15의 횡축은 수차(%)를 나타내고, 도 16, 도 17의 횡축은, 수차의 크기(mm)를 나타내고 있다.
왜곡수차는, 상높이 75%(상높이 0.450mm)의 위치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2.5%로 최대로 되어 있고, 상고 0.600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2.5% 이내에 들어가 있다.
비점수차는, 상높이 80%(상높이 0.480mm)의 위치에서 메리저널면에 대한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42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또 상높이 0.600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42mm 이내에 들어가 있다.
색·구면수차는, 입사높이(h)의 100%에서 g선에 대한 수차곡선 4-4의 절대치가 0.0219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19mm 이내에 들어가 있다.
따라서, 실시예 4의 촬상렌즈에 의하면, 휴대전화기 등에 탑재 가능한 정도로 광학 길이가 짧고, 촬상렌즈와 촬상면과의 사이에 필터나 카바 글래스 등의 부품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정도로 백포커스가 길며, 동시에 양호한 화상이 얻어진다.
<실시예 5>
실시예 5의 렌즈계는, 제 1 접합형 복합렌즈의 제 1 렌즈(L1) 및 제 3 렌즈(L3)가, 투명 접착제를 함유하는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 SMX-7852(후지 고분자공업 주식회사제)로 형성되고, 제 2 렌즈(L2)가, 광학 글래스 BK7(주식회사 Ohara제)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접합형 복합렌즈의 제 4 렌즈(L4) 및 제 6 렌즈(L6)가, 투명 접착제를 함유하는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 SMX-7852(후지 고분자공업 주식회사제)로 형성되고, 제 5 렌즈(L5)가, 광학 글래스 BK7(주식회사 Ohara제)로 형성되어 있다.
(A) 제 1 렌즈(L1)의 굴절율 N2는, N2 = 1.51000이다.
(B) 제 2 렌즈(L2)의 굴절율 N3는, N3 = 1.51680이다.
(C) 제 3 렌즈(L3)의 굴절율 N4는, N4 = 1.51000이다.
(D) 제 1 렌즈(L1)의 아베수 ν2는, ν2 = 56.0이다.
(E) 제 2 렌즈(L2)의 아베수 ν3는, ν3 = 61.0이다.
(F) 제 3 렌즈(L3)의 아베수 ν4는, ν4 = 56.0이다.
(G) 제 4 렌즈(L4)의 굴절율 N8는, N8 = 1.51000이다.
(H) 제 5 렌즈(L5)의 굴절율 N9는, N9 = 1.51680이다.
(I) 제 6 렌즈(L6)의 굴절율 N10는, N10 = 1.51000이다.
(J) 제 4 렌즈(L4)의 아베수 ν8는, ν8 = 56.0이다.
(K) 제 5 렌즈(L5)의 아베수 ν9는, ν9 = 61.0이다.
(L) 제 6 렌즈(L6)의 아베수 ν10는, ν10 = 56.0이다.
따라서, |N3 - N2| = |N3 - N4| = |N9 - N8| = |N9 - N10|= 0.00680이므로, 하기의 조건 (1), (2), (5) 및 (6)를 만족하고 있다. 또, |ν3 - ν2| = |ν3 - ν4| = |ν9 - ν8| = |ν9 - ν10| = 5.0이므로, 하기의 조건 (3), (4), (7) 및 (8)을 만족하고 있다.
도 18에 실시예 5의 촬상렌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 조리개의 역할을 하는 제 1 조리개(S1)는, 제 1 접합형 복합렌즈(14)를 구성하는 제 1 렌즈(L1)의 제 1 면(물체측면)과 광축과의 교점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플레어 또는 스미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조리개(S2)는, 제 1 접합형 복합렌즈(14)와 제 2 접합형 복합렌즈(16)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조리개(S1)의 조리개 면은 평면이므로, 표 5에 r1 = ∞로 나타내고 있다. 제 2 조리개(S2)는, 평면 r6가 r7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표 5에 r6 = ∞ 및 r7 = ∞로 나타내고 있다. 또 F 넘버 Fno는, 2.9이다.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r3가 부의 값이고, r4가 정의 값인 것으로부터, 제 2 렌즈(L2)는, 양오목렌즈이고, r9가 정의 값이고 r10이 부의 값인 것으로부터, 제 5 렌즈(L5)는, 양볼록렌즈이다. r2가 정의 값이고 r5도 정의 값이므로, 제 1 렌즈(L1)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 1 렌즈(L1)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이고, 제 3 렌즈(L3)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 3 렌즈(L3)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이다. 또, r8이 정의 값이고 r11도 정의 값이므로, 제 4 렌즈(L4)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 4 렌즈(L4)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면을 향한 렌즈이고, 제 6 렌즈(L6)는, 근축상에서, 당해 제 6 렌즈(L6)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면을 향한 렌즈이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점거리 f=1.00mm에 대한 광학길이 L은 1.110mm이고, 백포커스 bf는 0.490mm 이다.
도 19에 나타낸 왜곡수차곡선 5-1, 도 20에 나타낸 비점수차곡선(메리져널면에 대한 수차곡선 5-2 및 새지털면에 대한 수차곡선 5-3), 도 21에 나타낸 색·구면수차곡선(g선에 대한 수차곡선 5-4, F선에 대한 수차곡선 5-5, e선에 대한 수차곡선 5-6, d선에 대한 수차곡선 5-7, 및 C선에 대한 수차곡선 5-8)에 대하여, 각각 그래프로써 나타내고 있다.
도 19 및 도 20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상높이를 광축으로부터의 거리의 몇 %인가로 나타내고 있다. 도 19 및 도 20 중에서, 100%는 0.609mm에 대응하고 있다. 또, 도 21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입사높이(h)(F-넘버)를 나타내고 있으며, 최대가 2.9에 대응한다. 도 19의 횡축은 수차(%)를 나타내고, 도 20, 도 21의 횡축은, 수차의 크기(mm)를 나타내고 있다.
왜곡수차는, 상높이 75%(상높이 0.457mm)의 위치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2.5%로 최대로 되어 있고, 상고 0.609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2.5% 이내에 들어가 있다.
비점수차는, 상높이 80%(상높이 0.488mm)의 위치에서 메리저널면에 대한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67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또 상높이 0.609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67mm 이내에 들어가 있다.
색·구면수차는, 입사높이(h)의 100%에서 g선에 대한 수차곡선 5-4의 절대치가 0.0224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24mm 이내에 들어가 있다.
따라서, 실시예 5의 촬상렌즈에 의하면, 휴대전화기 등에 탑재 가능한 정도로 광학 길이가 짧고, 촬상렌즈와 촬상면과의 사이에 필터나 카바 글래스 등의 부품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정도로 백포커스가 길며, 동시에 양호한 화상이 얻어진다.
실시예 1 내지 5의 촬상렌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촬상렌즈의 각 구성 렌즈를 상술한 식 (1) 내지 (8)에 나타낸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계함으로써,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한다. 즉,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되고, 충분한 백포커스가 얻어지며 동시에 광학길이가 짧게 유지된 촬상렌즈가 얻어진다.
이상 설명한 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촬상렌즈는, 휴대전화기, 퍼스널 컴퓨터 또는 디지털 카메라에 내장되는 카메라용 렌즈로서의 이용은 물론, 휴대정보단말(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에 내장되는 카메라용 렌즈, 화상인식 기능을 구비한 완구에 내장되는 카메라용 렌즈, 감시, 검사 또는 방범기기 등에 내장되는 카메라용 렌즈로서 적용하여도 바람직하다.
<접합형 복합렌즈의 제조방법>
도 22(A) ~ (G)를 참조하여, 접합형 복합렌즈의 제조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제 1 접합형 복합렌즈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제 2 접합형 복합렌즈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제 2 접합형 복합렌즈에 대해서는, 이하의 설명에서, 제 1 렌즈(L1), 제 2 렌즈(L2) 및 제 3 렌즈(L3)인 것을, 각각 제 4 렌즈(L4), 제 5 렌즈(L5) 및 제 6 렌즈(L6)로 대체하여 읽으면 좋다. 또, 이하에서 수행하는 접합형 복합렌즈의 제조방법의 설명에서는, 제 1 접합형 복합렌즈를 간단히 접합형 복합렌즈라고 말하는 것으로 한다.
도 22(A)~(G)는, 접합형 복합렌즈의 제조공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2(A)~(F)는, 이하에 기술되는 제 1 렌즈 및 제 3 렌즈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원통상의 금형(Die)의, 원통 중심선을 포함하여, 이 중심선을 따른 방향으로 당해 금형을 절단한 절취구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2(B), (C), (E) 및 (F)에는, 접합형 복합렌즈의 구성재료인 실리콘 수지나 광학 글래스를 포함시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2(G)는, 도 22(A)~(F)를 참조하여 설명한 접합형 복합렌즈의 제조공정을 통하여 형성한 접합형 복합렌즈의 광축을 포함하여, 이 광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당해 접합형 복합렌즈를 절단한 절취구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2(A)는, 제 2 렌즈(L2)에 대하여 제 1 렌즈(L1)를 접합시켜 형성하기 위한, 금형(20)의 절취구의 단면도이다. 금형(20)은, 내면의 측벽이 원기둥 형상인 원통이고, 저면(22)이 제 1 렌즈(L1)의 물체측면(r2)을 정형하기 위하여, 하방향으로 볼록형의 곡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저면(22)의 형상은, 제 1 렌즈(L1)의 물체측면(r2)의 곡면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2(B)는, 금형(20)에 경화하기 전의 액체상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24)를 주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접합형 복합렌즈의 제조공정에서는,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나, 자외선 경화 수지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열경화성 수지란, 일반적으로, 성형시에 고온으로 하는 것에 의해 경화하는 수지를 말한다. 열경화성 수지는, 쇄상(chin type)의 세장(long) 폴리머로부터 가지 형태로 나오는 측쇄(side chains)가, 다른 폴리머의 측쇄와 결합하는 가교반응이 고온에서 진행하여, 폴리머 끼리가 3차원적으로 결합하여 맞춰져 움직이지 못하게 됨으로써 경화한다. 가교반응은 불가역반응이므로, 한 번 경화한 열경화성 수지는 다시 가열하여도 연화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열경화성 수지에는, 충진제 및 밀착부여제가 혼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제 1 렌즈(L1)와 제 2 렌즈(L2)와의 접합 강도, 및 제 2 렌즈(L2)와 제 3 렌즈(L3)와의 접합 강도를, 제조공정에서, 그리고, 촬상렌즈로서의 사용 중에,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강도로서 유지하도록 형성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자외선 경화 수지란, 일반적으로, 모노머(monomers), 올리고머(oligomers)(폴리머와 모노머의 중간적인 물질로 수지의 주성분이다), 광개시제 및 첨가제로 구성되는 수지를 말한다. 이 혼합물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광중합반응에 의해, 광개시제가 액체인 모노머(수지의 희석제로서, 경화후 수지의 일부를 구성한다)의 상태로부터 고체인 폴리머의 상태로 전환된다. 또, 자외선 경화수지에서도, 상술의 열경화성 수지와 동일하게, 충진제 및 밀착부여제가 혼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2(C)는, 제 2 렌즈(L2)가 되는 광학 글래스(26)의 한 쪽 면과, 경화하기 전의 액체상태의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24)의 표면(28)과를 밀착시켜서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금형(20)을,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24)의 경화 온도까지 승온시켜서,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24)를 경화시킨다.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24)가 열경화한 후 금형(20)을 냉각하여, 광학 글래스(26)에, 경화한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24)가 접합된 상태의 복합렌즈를 취출한다. 이 상태의 복합렌즈는, 제 1 렌즈(L1)와 제 2 렌즈(L2)가 직접 접착되어 접합된 2매 1군 렌즈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5에 나타낸 촬상렌즈에서, 제 1 렌즈(L1)와 제 2 렌즈(L2)와의 접합 강도를, 제조공정에서, 그리고, 촬상렌즈로서 의 사용에서, 떨어짐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강도로 유지토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도 22(D)는, 상술의 제 1 렌즈(L1)와 제 2 렌즈(L2)가 접한된 복합렌즈에, 제 3 렌즈(L3)를 더 접합시켜 형성하기 위한 금형(30)의 절취구의 단면도이다. 금형(30)은, 상술의 금형(20)과 동일하게, 내면의 측벽이 원기둥 형상인 원통이고, 저면(32)이 제 3 렌즈(L3)의 상면(r5)을 정형하기 위하여, 상방향으로 볼록 형상의 곡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저면(32)의 형상은, 제 3 렌즈(L3)의 상측면(r5)의 곡면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2(E)는, 금형(30)에 경화하기 전의 액체상태의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34)를 주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34)는, 상술의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24)와 같은 수지를 이용하여도, 또한 다른 수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어느 것으로 하여도, 본 발명에 따른 접합형 복합렌즈의 설계 사정에 따라, 바람직한 실리콘 수지를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하는 것이 좋다.
도 22(F)는, 상술한 제 1 렌즈(L1)와 제 2 렌즈(L2)가 접합된 복합렌즈의 제 2 렌즈(L2)의 제 1 렌즈(L1)가 형성된 측과 반대측의 면과, 경화하기 전의 액체상태의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34)의 표면(40)과를 밀착시켜서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 1 렌즈(L1)와 제 2 렌즈(L2)가 접합된 복합렌즈란,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24)와 광학 글래스(26)(제 2 렌즈 L2)와로부터 구성된 2매 1군의 접합형 복합렌즈를 의미한다.
도 22(F)에 나타낸 상태에서, 금형(30)을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34)의 경화 온도까지 승온시켜,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34)를 경화시킨다. 이 때,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24)는, 이미 열경화되어 있으므로,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34)의 경화 온도까지 승온되어도, 그 형상은 변화하지 않는다.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34)가 경화한 후, 금형(30)을 냉각하여, 상술한 제 1 렌즈(L1)와 제 2 렌즈(L2)가 접합된 상술의 2매 1군의 접합형 복합렌즈에, 경화한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34)(제 3 렌즈로서 형성된다)가 접합된 상태의, 접합형 복합렌즈(본 발명의 3매 1군의 접합형 복합렌즈)를 취출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5의 촬상렌즈에서, 제 2 렌즈(L2)와 제 3 렌즈(L3)와의 접합 강도를, 제조공정에서, 및 촬상렌즈로서의 사용에서, 떨어짐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강도로 유지토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은 인식하고 있다.
도 22(G)는, 상술의 제조공정을 거쳐 완성된 접합형 복합렌즈의, 광축을 따른 방향으로 절단한 절취구의 단면도이다.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24)가 제 1 렌즈(L1), 광학 글래스(26)가 제 2 렌즈(L2),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34)가 제 3 렌즈(L3)로 되어 있다. 도 22(G)에 나타낸 접합형 복합렌즈는, 제 1 렌즈의 물체측면(36)이 물체측에 볼록면을 향하고 있고, 제 3 렌즈의 상측면(38)이 상측에 오목면을 향한 형상이다.
도 22(A)~(G)를 참조하여 설명한 접합형 복합렌즈의 제조공정은, 제 2 렌즈(L2)를 평행평면 글래스판으로 하고, 제 1 렌즈(L1)를, 당해 제 1 렌즈(L1)의 물체측면(36)이 물체측에 볼록면을 향한 평볼록렌즈로 하며, 제 3 렌즈(L3)를, 당해 제 3 렌즈(L3)의 상측면(38)이 상측에 오목면을 향한 평오목렌즈로 한 접합형 복합렌즈를 제조하는 경우를 상정한 금형을 이용한 경우의 제조공정이다. 그러나, 이들은, 렌즈면의 오목/볼록 방향이 다른 접합형 복합렌즈에서도, 같은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제 1 렌즈(L1)의 물체측면(36)의 형상은, 금형(20)의 저면(22)의 형상으로 결정된다. 또, 제 3 렌즈(L3)의 상측면(38)의 형상은, 금형(30)의 저면(32)의 형상으로 결정된다. 즉, 금형 20 및 30 각각의 저면의 형상을, 제 1 렌즈(L1)의 물체측면(36)의 형상 및 제 3 렌즈(L3)의 상측면(38) 형상과 일치시키면 좋다.
도 22(A)~(G)를 참조하여 설명한 접합형 복합렌즈의 제조공정에서는, 제 1 렌즈 및 제 3 렌즈를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형성하므로, 금형 20 및 금형 30의 온도를 상승 및 가공시키기 위한 온도제어장치가 필요하다. 이 온도제어장치를 어떻게 구성하는 가는, 접합형 복합렌즈의 제조장치의 설계적 사항에 속하는 것이므로, 온도제어장치는, 도 22(A)~(G)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또, 제 1 렌즈(L1) 및 제 3 렌즈(L3)를 자외선 경화수지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금형 20 및 금형 30의 상방으로부터, 자외선 경화 수지에 대하여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접합형 복합렌즈의 제조장치를 설계하면 좋다.

Claims (24)

  1. 제 1 조리개와, 제 1 접합형 복합렌즈와, 제 2 조리개와, 제 2 접합형 복합렌즈를 구비하고,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상기 제 1 조리개, 상기 제 1 접합형 복합렌즈, 상기 제 2 조리개, 상기 제 2 접합형 복합렌즈의 순서로 배열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 1 접합형 복합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 1 렌즈, 제 2 렌즈 및 제 3 렌즈의 순서로 배열되며,
    상기 제 2 접합형 복합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 4 렌즈, 제 5 렌즈 및 제 6 렌즈의 순서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렌즈, 상기 제 3 렌즈, 상기 제 4 렌즈 및 상기 제 6 렌즈가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렌즈 및 상기 제 5 렌즈가, 고연화 온도의 글래스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렌즈와 상기 제 2 렌즈는 직접 접착되고, 동시에 상기 제 2 렌즈와 상기 제 3 렌즈는 직접 접착되며, 또 상기 제 4 렌즈와 상기 제 5 렌즈는 직접 접착되고, 동시에 상기 제 5 렌즈와 상기 제 6 렌즈는 직접 접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이하의 조건(1)~(8)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0 ≤|N3 - N2|≤ 0.1 (1)
    0 ≤|N3 - N4|≤ 0.1 (2)
    0 ≤|ν3 - ν2|≤ 30.0 (3)
    0 ≤|ν3 - ν4|≤ 30.0 (4)
    0 ≤|N9 - N8|≤ 0.1 (5)
    0 ≤|N9 - N10|≤ 0.1 (6)
    0 ≤|ν9 - ν8|≤ 30.0 (7)
    0 ≤|ν9 - ν10|≤ 30.0 (8)
    단,
    N2 : 상기 제 1 렌즈의 굴절율
    N3 : 상기 제 2 렌즈의 굴절율
    N4 : 상기 제 3 렌즈의 굴절율
    ν2 : 상기 제 1 렌즈의 아베수
    ν3 : 상기 제 2 렌즈의 아베수
    ν4 : 상기 제 3 렌즈의 아베수
    N8 : 상기 제 4 렌즈의 굴절율
    N9 : 상기 제 5 렌즈의 굴절율
    N10 : 상기 제 6 렌즈의 굴절율
    ν8 : 상기 제 4 렌즈의 아베수
    ν9 : 상기 제 5 렌즈의 아베수
    ν10 : 상기 제 6 렌즈의 아베수
    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가, 평행평면 글래스판이고,
    상기 제 1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1 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평볼록렌즈이며,
    상기 제 3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3 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평오목렌즈이고,
    상기 제 5 렌즈가, 평행평면 글래스판이며,
    상기 제 4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4 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평볼록렌즈이고,
    상기 제 6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6 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평오목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3. 제 1 조리개와, 제 1 접합형 복합렌즈와, 제 2 조리개와, 제 2 접합형 복합렌즈를 구비하며,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상기 제 1 조리개, 상기 제 1 접합형 복합렌즈, 상기 제 2 조리개, 상기 제 2 접합형 복합렌즈의 순서로 배열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 1 접합형 복합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 1 렌즈, 제 2 렌즈 및 제 3 렌즈의 순서로 배열되며,
    상기 제 2 접합형 복합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 4 렌즈, 제 5 렌즈 및 제 6 렌즈의 순서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렌즈, 상기 제 3 렌즈, 상기 제 4 렌즈 및 상기 제 6 렌즈가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렌즈 및 상기 제 5 렌즈가, 고연화 온도의 글래스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렌즈와 상기 제 2 렌즈는 직접 접착되고, 동시에 상기 제 2 렌즈와 상기 제 3 렌즈는 직접 접착되며, 또 상기 제 4 렌즈와 상기 제 5 렌즈는 직접 접착되고, 동시에 상기 제 5 렌즈와 상기 제 6 렌즈는 직접 접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렌즈가, 양 볼록(凸)렌즈이고,
    상기 제 1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1 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이고,
    상기 제 3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3 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 면을 향한 렌즈이며,
    상기 제 5 렌즈가, 양 오목(凹)렌즈이고,
    상기 제 4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4 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이며,
    상기 제 6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6 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가, 양 볼록(凸)렌즈이고,
    상기 제 1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1 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면(凸)을 향한 렌즈이고,
    상기 제 3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3 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이며,
    상기 제 5 렌즈가, 양 오목(凹)렌즈이고,
    상기 제 4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4 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이며,
    상기 제 6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6 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5. 제 1 조리개와, 제 1 접합형 복합렌즈와, 제 2 조리개와, 제 2 접합형 복합 렌즈를 구비하며,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상기 제 1 조리개, 상기 제 1 접합형 복합렌즈, 상기 제 2 조리개, 상기 제 2 접합형 복합렌즈의 순서로 배열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 1 접합형 복합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 1 렌즈, 제 2 렌즈 및 제 3 렌즈의 순서로 배열되며,
    상기 제 2 접합형 복합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 4 렌즈, 제 5 렌즈 및 제 6 렌즈의 순서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렌즈, 상기 제 3 렌즈, 상기 제 4 렌즈 및 상기 제 6 렌즈가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렌즈 및 상기 제 5 렌즈가, 고연화 온도의 글래스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렌즈와 상기 제 2 렌즈는 직접 접착되고, 동시에 상기 제 2 렌즈와 상기 제 3 렌즈는 직접 접착되며, 또 상기 제 4 렌즈와 상기 제 5 렌즈는 직접 접착되고, 동시에 상기 제 5 렌즈와 상기 제 6 렌즈는 직접 접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렌즈가,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매니스커스 렌즈이고,
    상기 제 1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1 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이고,
    상기 제 3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3 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이며,
    상기 제 5 렌즈가, 상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매니스커스 렌즈이고,
    상기 제 4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4 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이며,
    상기 제 6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6 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가,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매니스커스 렌즈이고,
    상기 제 1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1 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이고,
    상기 제 3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3 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이며,
    상기 제 5 렌즈가, 상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매니스커스 렌즈이고,
    상기 제 4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4 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이며,
    상기 제 6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6 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7. 제 1 조리개와, 제 1 접합형 복합렌즈와, 제 2 조리개와, 제 2 접합형 복합렌즈를 구비하며,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상기 제 1 조리개, 상기 제 1 접합형 복합렌 즈, 상기 제 2 조리개, 상기 제 2 접합형 복합렌즈의 순서로 배열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 1 접합형 복합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 1 렌즈, 제 2 렌즈 및 제 3 렌즈의 순서로 배열되며,
    상기 제 2 접합형 복합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 4 렌즈, 제 5 렌즈 및 제 6 렌즈의 순서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렌즈, 상기 제 3 렌즈, 상기 제 4 렌즈 및 상기 제 6 렌즈가 경화성 수지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렌즈 및 상기 제 5 렌즈가, 고연화 온도의 글래스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렌즈와 상기 제 2 렌즈는 직접 접착되고, 동시에 상기 제 2 렌즈와 상기 제 3 렌즈는 직접 접착되며, 또 상기 제 4 렌즈와 상기 제 5 렌즈는 직접 접착되고, 동시에 상기 제 5 렌즈와 상기 제 6 렌즈는 직접 접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렌즈가, 양 오목(凹)렌즈이고,
    상기 제 1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1 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이고,
    상기 제 3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3 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이며,
    상기 제 5 렌즈가, 양 볼록(凸)렌즈이고,
    상기 제 4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4 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이며,
    상기 제 6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6 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가, 양 오목(凹)렌즈이고,
    상기 제 1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1 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이고,
    상기 제 3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3 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이며,
    상기 제 5 렌즈가, 양 볼록(凸)렌즈이고,
    상기 제 4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4 렌즈의 물체측면이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렌즈이며,
    상기 제 6 렌즈가, 근축상에서 당해 제 6 렌즈의 상측면이 상측에 오목(凹)면을 향한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의 물체측면 및 상기 제 3 렌즈의 상측면이 비구면이고, 상기 제 4 렌즈의 물체측면 및 상기 제 6 렌즈의 상측면이 비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의 물체측면 및 상기 제 3 렌즈의 상측면이 비구면이고, 상기 제 4 렌즈의 물체측면 및 상기 제 6 렌즈의 상측면이 비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의 물체측면 및 상기 제 3 렌즈의 상측면이 비구면이고, 상기 제 4 렌즈의 물체측면 및 상기 제 6 렌즈의 상측면이 비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의 물체측면 및 상기 제 3 렌즈의 상측면이 비구면이고, 상기 제 4 렌즈의 물체측면 및 상기 제 6 렌즈의 상측면이 비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의 물체측면 및 상기 제 3 렌즈의 상측면이 비구면이고, 상기 제 4 렌즈의 물체측면 및 상기 제 6 렌즈의 상측면이 비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의 물체측면 및 상기 제 3 렌즈의 상측면이 비구면이고, 상기 제 4 렌즈의 물체측면 및 상기 제 6 렌즈의 상측면이 비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의 물체측면 및 상기 제 3 렌즈의 상측면이 비구면이고, 상기 제 4 렌즈의 물체측면 및 상기 제 6 렌즈의 상측면이 비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의 물체측면 및 상기 제 3 렌즈의 상측면이 비구면이고, 상기 제 4 렌즈의 물체측면 및 상기 제 6 렌즈의 상측면이 비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수지재료가, 투명 접착제를 함유하는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1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수지재료가, 투명 접착제를 함유하는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1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수지재료가, 투명 접착제를 함유하는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2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수지재료가, 투명 접착제를 함유하는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2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수지재료가, 투명 접착제를 함유하는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2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수지재료가, 투명 접착제를 함유하는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2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수지재료가, 투명 접착제를 함유하는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2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수지재료가, 투명 접착제를 함유하는 투명 경화성 실리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KR1020077026198A 2006-12-21 2007-04-12 촬상렌즈 KR200800699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44222A JP3929479B1 (ja) 2006-12-21 2006-12-21 撮像レンズ
JPJP-P-2006-00344222 2006-1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905A true KR20080069905A (ko) 2008-07-29

Family

ID=38212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6198A KR20080069905A (ko) 2006-12-21 2007-04-12 촬상렌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68720B2 (ko)
EP (1) EP2037304A4 (ko)
JP (1) JP3929479B1 (ko)
KR (1) KR20080069905A (ko)
CN (1) CN101313239B (ko)
WO (1) WO20080754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41675A1 (en) * 2014-10-30 2021-02-1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6380B1 (ja) * 2006-12-07 2007-06-06 マイルストーン株式会社 撮像レンズ
EP2113800A4 (en) * 2007-02-19 2012-03-07 Konica Minolta Opto Inc LENS AND IMAG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WO2008102776A1 (ja) * 2007-02-19 2008-08-28 Konica Minolta Opto, Inc. 撮像レンズ、撮像装置、携帯端末、および撮像レンズの製造方法
JPWO2008102773A1 (ja) * 2007-02-19 2010-05-27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装置、携帯端末、および撮像レンズの製造方法
JP3976781B1 (ja) * 2007-05-17 2007-09-19 マイルストーン株式会社 撮像レンズ
WO2009028391A1 (ja) 2007-08-31 2009-03-05 Konica Minolta Opto, Inc. 成形方法、光学素子製造方法、及びアレイ状光学素子
EP2246723A4 (en) 2008-02-20 2013-07-31 Konica Minolta Opto Inc ILLUMINATING LENS, PICTURE DEVICE,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DUCING AN ILLUMINATION LENS
JP5267773B2 (ja) * 2008-02-22 2013-08-21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装置、デジタル機器、及び撮像レンズの製造方法
WO2009116492A1 (ja) * 2008-03-21 2009-09-24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装置、デジタル機器、及び撮像レンズの製造方法
CN102077121B (zh) * 2008-07-04 2013-10-23 柯尼卡美能达精密光学株式会社 摄像镜头、其制造方法以及摄像单元
JP2010020126A (ja) * 2008-07-11 2010-01-28 Fujinon Corp 撮像レンズおよびその撮像レンズを用いた撮像装置
JP5321954B2 (ja) 2008-08-28 2013-10-2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US7796349B2 (en) * 2008-10-09 2010-09-14 Visera Technologies Company Limited Miniature image capture lens
JP4752978B2 (ja) 2008-10-31 2011-08-17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ウエハレンズ
JP5434093B2 (ja) 2009-01-27 2014-03-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JP5519198B2 (ja) * 2009-02-13 2014-06-11 ソニー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WO2010146899A1 (ja) * 2009-06-16 2010-12-23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JP5311043B2 (ja) * 2009-07-17 2013-10-0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装置、携帯端末、撮像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US8289634B2 (en) * 2009-10-02 2012-10-16 Omnivision Technologies, Inc. Image capture lens modules
US8194334B2 (en) * 2010-04-09 2012-06-05 Visera Technologies Company Limited Image capture lens modules and image capture systems
US20130037976A1 (en) * 2010-04-22 2013-02-14 Takaichi Hayashida Lens Array Production Method and Laminated Lens Array Production Method
WO2012033042A1 (ja) * 2010-09-09 2012-03-15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CN102830486B (zh) * 2011-06-13 2014-11-05 奇景光电股份有限公司 微型镜头模块
WO2012173026A1 (ja) * 2011-06-15 2012-12-20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撮像装置用の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US8861096B2 (en) 2012-09-11 2014-10-14 Himax Technologies Limited Imaging lens
JP6210494B2 (ja) 2013-03-28 2017-10-11 俊博 笹谷 撮像光学系及び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60259A (en) * 1947-08-23 1951-11-07 Wild Surveying Instr Supply Co Optical objectives
JP2652637B2 (ja) * 1987-05-26 1997-09-10 旭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対物レンズ
JPH05157965A (ja) * 1991-12-06 1993-06-25 Nikon Corp 広角レンズ
JP3934197B2 (ja) * 1997-03-07 2007-06-20 フジノン株式会社 色収差の小さい画像読取り用レンズおよび画像読取り装置
JP2001242308A (ja) 2000-03-01 2001-09-07 Canon Electronics Inc 複合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300944A (ja) * 2000-04-20 2001-10-30 Sony Corp 複合レンズの成形方法及び複合レンズ
JP2001305309A (ja) 2000-04-25 2001-10-31 Sony Corp 複合レンズ
JP2001318309A (ja) * 2000-05-12 2001-11-16 Canon Inc 撮影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2002041451A (ja) 2000-07-28 2002-02-08 Hitachi Ulsi Systems Co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4076047B2 (ja) * 2000-08-11 2008-04-16 フジノン株式会社 光記録媒体用対物レンズ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4467768B2 (ja) 2000-11-20 2010-05-26 ソニー株式会社 複合レンズ製造装置及び複合レンズ製造方法
JP4443758B2 (ja) 2000-11-20 2010-03-31 ソニー株式会社 複合レンズ製造装置及び複合レンズ製造方法
JP4051994B2 (ja) 2002-04-23 2008-02-27 ソニー株式会社 複合レンズの成型方法及び複合レンズ
JP2004053834A (ja) 2002-07-18 2004-02-19 Asahi Glass Co Ltd 対物レンズ
JP3755149B2 (ja) * 2002-07-29 2006-03-1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の基板への実装方法
JP3915733B2 (ja) 2003-04-25 2007-05-16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の実装構造
JP2005010197A (ja) * 2003-06-16 2005-01-13 Fuji Photo Optical Co Ltd 画像読取用レンズ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4158978B2 (ja) 2003-08-06 2008-10-01 Hoya株式会社 ガラスモールドレンズの製造方法
JP4598379B2 (ja) 2003-09-08 2010-12-15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絞り構造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複合レンズ装置
JP2005258329A (ja) 2004-03-15 2005-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合レンズおよびそれの成形金型
JP2005305938A (ja) 2004-04-23 2005-11-04 Seiko Precision Inc 複合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5352266A (ja) * 2004-06-11 2005-12-22 Canon Inc 光学系
JP4467388B2 (ja) * 2004-09-07 2010-05-26 三洋電機株式会社 複合レンズ、複合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レンズモジュール
JP2006195053A (ja) 2005-01-12 2006-07-27 Sony Corp 複合レンズ、レンズ保持構造、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4781001B2 (ja) 2005-04-26 2011-09-28 三洋電機株式会社 複合レンズの製造方法
KR100665176B1 (ko) * 2005-05-18 2007-01-09 삼성전기주식회사 웨이퍼 스케일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광학계
JP3799615B2 (ja) 2005-10-17 2006-07-1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の基板への実装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41675A1 (en) * 2014-10-30 2021-02-1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module
US11782243B2 (en) * 2014-10-30 2023-10-1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75469A1 (ja) 2008-06-26
EP2037304A1 (en) 2009-03-18
JP2009236935A (ja) 2009-10-15
US7768720B2 (en) 2010-08-03
CN101313239A (zh) 2008-11-26
JP3929479B1 (ja) 2007-06-13
EP2037304A4 (en) 2009-08-19
CN101313239B (zh) 2010-06-09
US20090290235A1 (en)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9905A (ko) 촬상렌즈
JP3946245B1 (ja) 撮像レンズ
JP4022246B1 (ja) 撮像レンズ
JP3926380B1 (ja) 撮像レンズ
JP3976782B1 (ja) 撮像レンズ
JP3976781B1 (ja) 撮像レンズ
JP3976780B1 (ja) 撮像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