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7838A -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 - Google Patents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7838A
KR20090087838A KR1020090011818A KR20090011818A KR20090087838A KR 20090087838 A KR20090087838 A KR 20090087838A KR 1020090011818 A KR1020090011818 A KR 1020090011818A KR 20090011818 A KR20090011818 A KR 20090011818A KR 20090087838 A KR20090087838 A KR 20090087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acid
component
mass
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1663B1 (ko
Inventor
다카유키 오무라
유코 마츠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090087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6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6Dropheads supporting the concrete after removal of the shuttering; Connecting means on beams specially adapted for droph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1Graft copolym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4Mixtures of polym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제로 청량감, 수렴 효과 및 촉촉한 보습 효과, 유연 효과를 피부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며, 수분량이 많고 저점도임에도 불구하고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유백색의 수중 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서, (a)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설폰산 또는 그 염/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메타크릴레이트의 코폴리머, (b) 알킬 변성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및 (c)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함유하고, 25℃의 점도가 10,000 mPa·s 이하(비스트론 점도계)이며, (a) 성분을 0.005~2.0 질량%, (b) 성분을 0.005~1.5 질량%, 및 (c) 성분을 0.005~15.0 질량%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원하는 것에 따라 추가로 (d) 25℃에서의 점도가 100 mPa·s 이하인 상온에서 액상의 유분을 배합해도 좋고, 또 물을 55~80 질량%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OIL-IN-WATER TYPE EMULSIFIED SKIN COSMETICS SHOWING A WHITE CLOUDY PHENOMENON}
본 발명은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화장수와 유액의 일제화를 지향한 피부 화장료로서, 사용감(도포시의 윤기, 끈적임이 없음, 산뜻함, 에몰리엔트감 등),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수는 피부에 수분, 보습 성분을 보충하여 피부를 유연하게 하여 윤기가 나고 매끄럽게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수렴 효과, 피지 분비 억제 효과를 발휘하는 화장수도 기초 화장품으로서는 빠지지 않았다. 화장수에 배합되는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의 보습제, 에스테르유, 올리브유, 호호바 오일 등의 식물유 등으로 이루어진 유연제 또는 에몰리엔트제, HLB 값이 높은 계면 활성제인 가용화제, 화장료의 pH 조정 또는 피부의 pH 밸런스를 위한 구연산, 락트산 등의 완충제, 사용감의 향상 또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증점제 외에 향료, 방부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성분에 의해 구성된 화장수에 또한 유 액에 요구되는 보습, 유연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보습제나 유제의 배합량을 올리면 분리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유액은 피부의 모이스쳐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주로 수분, 보습제, 유분이 배합되고, 피부에 보습 및 유연성을 부여하는 기초 화장품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유액에 상술한 화장수가 발휘하는 효과인 청량감이나 윤기를 부여하기 위해 물이나 에탄올의 배합량을 올리면, 역시 분리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종래, 화장수와 유액은 제제 안정성의 이유 때문에 각각을 별도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최근 화장수와 유액의 사용감을 1개의 제제에 의해 수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화장료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공보 제252146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95845호 참조). 그러나 이들 문헌에 기재된 화장료는 안정성 문제 때문에 유분의 배합량이 비교적 적고, 반투명을 띠는 것이다. 화장료의 외관이 나타내는 시각적 효과로서 일반적인 유액이 갖는 백색은 크리미감을 내는 효과가 있고, 사용감의 만족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화장수로서의 사용감에는 촉촉한 감촉, 즉 수분 함유량이 비교적 많은 저점도의 화장료인 것이 요구된다. 이제까지 화장수와 유액의 사용감을 1개의 제제로 처리할 수 있고, 또한 수분량이 많고 저점도이면서 안정성이 높은 유백색의 백탁 피부 화장료를 조제하는 것은 곤란했다.
또한, 종래 기술 문헌으로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a) 성분 또는 이와 유사한 폴리머를 화장료에 배합하는 것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31552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336095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효과 실감이 높은 화장수와 유액을 1개의 화장료로 제제화할 수 있으면 가볍게 피부에 도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자의 수고를 덜어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화장수와 유액의 양자의 역할을 하는 것이 가능하고, 수분량이 많고 저점도이면서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 유백색 화장료를 개발하는 것은 연구자들의 큰 과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특정의 코폴리머,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및 특정의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조합하여 화장수와 유액의 일제화를 지향한 사용감이 우수하고(도포 시의 윤기, 끈적임이 없음, 산뜻함, 에몰리엔트감 등), 수분량이 많고 저점도이면서 유백색이고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내는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가 수득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을 함유하고, 25℃에서의 점도가 10,000mPa·s 이하(비스트론 점도계)인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를 제공한다.
(a) 성분: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설폰산 또는 그 염/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메타크릴레이트의 코폴리머
Figure 112009009008471-PAT00001
(화학식 1에서, m, n, p는 평균 부가 몰수이고, m/n=4~99의 수를 나타내며, p는 10~50의 정수를 나타낸다. X+는 프로톤, 알칼리 금속 양이온, 알칼리 토류 금속 양이온, 암모늄 이온, 또는 유기 양이온을 나타낸다. R1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 수 5~40의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알킬기를 나타낸다.)
(b) 성분 :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폴리머
(c) 성분: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Figure 112009009008471-PAT00002
(화학식 2에서, AO는 탄소 원자수 3~4의 옥시알킬렌기, EO는 옥시에틸렌기를 나타내고, a, b는 각각 상기 AO, EO의 평균 부가 몰수이며, 1≤a≤70, 1≤b≤70이고, AO와 EO의 합계에 대한 EO의 비율 [EO/(AO+EO)]은 20~80 질량%이다. R2, R3은 탄소 원자수 1~4의 알킬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a) 성분을 0.005~2.0 질량%, (b) 성분을 0.005~1.5 질량% 및 (c) 성분을 0.005~15.0 질량% 함유하는 상기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로 (d) 25℃에서의 점도가 100mPa·s 이하인 상온에서 액상의 유분을 함유하는 상기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d) 성분을 1.0~10.0 질량% 배합하는 상기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을 55~80 질량% 함유하는 상기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1제로 청량감, 수렴 효과 및 촉촉한 보습 효과, 유연 효과를 피부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고, 저점도임에도 불구하고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유백색을 띠는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가 제공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에 대해 상술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의 (a) 성분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설폰산 또는 그 염/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메타크릴레이트의 코폴리머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09008471-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각 치환기, 부호는 이하의 의미를 나타낸다.
m, n, p는 각각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낸다. m은 상기 화학식 1에서 나타내는 코폴리머 중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설폰산 또는 그 염이 80~90 몰%가 되는 값을 나타내고, n은 상기 화학식 1에서 나타내는 코폴리머 중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메타크릴레이트가 1~20 몰%가 되는 값을 나타낸다. 이를 m/n(비율)로 표현하면, m/n=4~99가 된다. m/n의 비가 4 미만인 경우, 즉 화학식 1에서 나타내는 코폴리머 중에 차지하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메타크릴레이트의 비율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설폰산 또는 그 염에 비해 커지는 경우는 수중유형 유화 피부 화장료를 수득할 때의 유제의 유화성은 우수하지만, 피부 화장료의 증점성은 부족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m/n의 비가 99보다 커지는 경우, 즉 화학식 1에서 나타내는 코폴리머 중에 차지하는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설폰산 또는 그 염의 비율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메타크릴레이트에 비해 커지는 경우는 수중유형 유화 피부 화장료를 수득할 때의 유제의 유화성이 부족하고, 안정적인 유화 조성물을 수득할 수 없다.
p는 화학식 1로 나타내는 코폴리머 중의 에틸렌옥시드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p는 10~50의 정수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15~45, 더 바람직하게는 20~30이다. p의 값이 10 미만의 경우, 수중유형 유화 피부 화장료를 수득할 때의 유제의 유화성이 떨어지고, 한편 50을 초과하면 사용감의 면에서 끈적임이 생기게 된다.
X+는 프로톤, 알칼리 금속 양이온(예를 들면, Na+, K+ 등), 알칼리 토류 금속 양이온(예를 들면, Ca++, Mg++ 등), 암모늄 이온(NH4 +), 또는 유기 양이온(예를 들면 n-알킬암모늄이온, n-알칸올암모늄 이온 등)을 나타낸다.
R1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5~40, 바람직하게는 12~36, 더 바람직하게는 16~22의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알킬기를 나타낸다.
(a) 성분은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설폰산 또는 그 염으로 이루어진 구성 단위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구성 단위를 공중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공중합체는 가교되어도 좋고, 또는 가교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a) 성분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종래 기술 문헌으로서 예로 든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31552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336095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폴리머, 크로스폴리머 제조 방법 등에 준해 제조할 수 있다. 단 이들 제조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a)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INCI명: Ammonium cryloyldimethyltaurate/Beheneth-25 Methacrylate Crosspolymer[(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메타크릴산베헤네스-25)크로스폴리머]나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Steareth-25 Methacrylate Crosspolymer[(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메타크릴산스테아레스-25)크로스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메타크릴산베헤네스-25)크로스폴리머는 「Aristoflex HMB」(Clariant사제) 등으로서 상기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메타크릴산스테아레스-25)크로스폴리머는 「Aristoflex HMS」(Clariant사제) 등으로서 각각 시판되어 있고, 이들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a) 성분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a)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 중의 0.005~2.0 질량%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0.01~1.5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1.0 질량%이다. 0.005 질량% 미만에서는 충분히 피부에 잘 스며들도록 하는 것이 어렵고, 한편, 2.0 질량%를 초과하여 배합하면, 화장료 전체의 점도가 상승하여 윤기나 피부 스며듬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의 (b) 성분으로서의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폴리머는 INCI명: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아크릴산/아크릴산(C10-30)알킬)크로스폴리머] 등으로서 알려진 것으로 시판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시판품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Acritamer 501ED」, 「Acritamer505ED」(이상, 모두 Rita Corporation사제), 「Aqupec HV-501ER」(스미토모 세이카(주)제), 「Carbopol ETD 2020 Polymer」, 「Carbopol 1342 Polymer」, 「Carbopol 1382 Polymer」, 「Carbopol Ultrez 20 Polymer」, 「Carbopol Ultrez 21 Polymer」, 「Pemulen TR-1」, 「Pemulen TR-2」(이상, 모두 Noveon사제), 「Tego Carbomer 341ER」(Degussa Care & Surface Specialties제)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이들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b) 성분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b)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 피부의 화장료 중 0.005~1.5 질량%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0.01~1.0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0.3 질량%이다. 0.005 질량% 미만에서는 유제의 유화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한편 1.5 질량%를 초과해 배합하면 피부로의 스며듬이 나빠지고, 미끄러지는 감촉을 생기게 하거나, 또는 끈적임도 생기게 하는 경향이 보이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의 (c) 성분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09009008471-PAT00004
상기 화학식 2에서, AO는 탄소 원자수 3~4의 옥시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옥시프로필렌기, 옥시부틸렌기, 옥시이소부틸렌기, 옥시트리메틸렌기, 옥시테트라메틴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옥시프로필렌기, 옥시부틸렌기를 예로 들 수 있다. EO는 옥시에틸렌기를 나타낸다.
a는 AO의 평균 부가 몰수이고, 1≤a≤70, 바람직하게는 2≤a≤20이다. b는 EO의 평균 부가 몰수이고, 1≤b≤70, 바람직하게는 2≤b≤20이다. a, b는 1 미만에서는 촉촉함이 떨어지고, 한편 a, b가 70 초과에서는 끈적임이 생기며, 매끄러움이 충분히 수득되지 않는다. 또한, (a+b)는 바람직하게는 8~100이다. (a+b)가 너무 크면 끈적일 수 있다.
AO와 EO의 합계에 대한 EO의 비율 [EO/(AO+EO)]는 20~8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EO의 비율이 20 질량% 미만에서는 촉촉함이 떨어지는 경향이 보이고, 한편 80 질량% 초과에서는 매끄러움이 떨어지는 경향이 보인다.
AO 및 EO가 부가되는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AO와 EO는 블럭 형상으로 부가되어도 좋고, 또는 랜덤 형상으로 부가되어도 좋다. 블럭 형상에는 2단 블럭 뿐만 아니라 3단 이상의 블럭도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랜덤 형상으로 부가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R2, R3은 각각 독립으로 탄소 원자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알킬기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에틸기이다. 탄소 원자수 5 이상의 알킬기에서는 친수성이 저하되고, 촉촉함이 저하된다.
(c) 성분은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산기를 갖고 있는 화합물에 에틸렌옥시드 및 탄소 원자수 3~4의 알킬렌옥시드를 부가 중합한 후, 할로겐화 알킬을 알칼리 촉매의 존재하에 에테르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되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c) 성분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c)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 중 0.005~15.0 질량%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0.01~12.0 질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5~12.0 질량%이다. 0.005 질량% 미만에서는 배합에 의한 효과의 발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고, 한편, 15.0 질량%를 초과하면 사용 후, 끈적임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필수 배합 성분으로서의 상기 (a)~(c) 성분뿐만 아니라 추가로 유액으로서의 효과인 피부로의 촉촉함, 유연함의 부여 느낌의 향상 등의 점에서, (d) 25℃에서의 점도가 100mPa·s 이하인 상온에서 액상의 유분을 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d) 성분은 통상 화장용 원료로서 사용되면 좋고, 예를 들면 탄화수소유, 분지 지방산, 분지 불포화 알콜, 에스테르유, 에테르유, 실리콘유 등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탄화수소유로서 스쿠알란(25℃에서의 점도 32mPa·s, 이하 동일하게 하여 25℃에서의 점도값만을 기재함), 스쿠알렌(35mPa·s), 유동 파라핀(43mPa·s), α-올레핀올리고머(45mPa·s), 물 첨가 폴리이소부텐(70mPa·s), 이소파라핀(30mPa·s)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분지 지방산, 분지 불포화 알콜로서 이소스테아린산(77mPa·s), 이소스테아릴알콜(56mPa·s), 옥틸도데칸올(57mPa·s), 헥실데칸올(41mPa·s), 데실테트라데칸올(81mPa·s), 올레일알콜(33mPa·s)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에스테르유로서 2-에틸헥산산2-에틸헥실(11mPa·s), 2-에틸헥산산이소노닐(12mPa·s), 아디핀산디이소부틸(6mPa·s), 숙신산디2-에틸헥실(11mPa·s), 2- 에틸헥산산세틸(13mPa·s), 2-에틸헥산산2-헥실데실(11mPa·s), 디2-에틸헥산산네오펜틸글리콜(13mPa·s),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52mPa·s), 트리(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린(25mPa·s),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19mPa·s), 이소노난산2-에틸헥실(5mPa·s), 이소노난산이소노닐(6mPa·s), 이소노난산이소데실(7mPa·s),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12mPa·s), 라우린산헥실(6mPa·s),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5mPa·s), 미리스틴산2-헥실데실(5mPa·s), 미리스틴산2-옥틸도데실(28mPa·s), 팔미틴산이소프로필(7mPa·s), 팔미틴산2-에틸헥실(11mPa·s), 스테아린산2-헥실데실(27mPa·s), 이소스테아린산에틸(8mPa·s), 이소스테아린산이소프로필(10mPa·s), 이소스테아린산2-헥실데실(34mPa·s), 이소스테아린산이소스테아릴(38mPa·s), 네오펜탄산이소데실(4mPa·s), 네오펜탄산이소스테아릴(16mPa·s),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15mPa·s), 디메틸옥탄산2-옥틸도데실(25mPa·s), 히드록시스테아린산2-에틸헥실(64mPa·s), 12-스테아로일스테아린산2-옥틸도데실(89mPa·s), 올레인산올레일(28mPa·s), 살리실산2-에틸헥실(9mPa·s), 탄산디알킬(55mPa·s) 등을 들 수 있다.
에테르유로서 디옥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디메틸에테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실리콘유로서 옥타메틸트리실록산(1mPa·s),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1.5mPa·s),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4mPa·s), 카프릴메티콘(10mPa·s), 메틸폴리실록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d) 성분을 배합하는 경우,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 중에 1.0~10.0 질량% 배 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5.0~10.0 질량%이다. 1.0 질량% 미만이면 유액으로서의 효과인 피부로의 촉촉함, 유연함의 부여 효과의 향상을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정도까지 이르지 않고, 한편 10.0 질량%를 초과하여 배합하면 유화 화장료로서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d) 성분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피부 화장료는 25℃에서의 점도가 10,000mPa·s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9,500mPa·s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000mPa·s 이하이다. 점도가 10,000mPa·s를 초과한 경우, 화장수로서의 촉촉한 감촉이나 윤기가 부족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바람직한 점도 이하로서, 그 중에서도 비교적 저점도의 화장료에서도 크리밍하지 않고, 안정성이 양호한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특히 본 발명의 배합 성분 중 특히 (a) 성분 및 (b) 성분에 의한 유화제로서의 기능과 증점제로서의 기능의 상승 효과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 점도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부득히 말하자면 2,000mPa·s 정도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의 점도(25℃)의 측정은 비스트론 점도계에 의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디지털 비스트론 점도계 VDA2(시바우라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이용하여 측정 용기에 넣은 시험 샘플을 25℃의 항온 수조에 1시간 담근 후에 로터 No.4, 회전수 30rpm으로 그 점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형 피부 화장료는 수분량이 비교적 많고 저점도이면서 유백색이고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에 의해 일반적인 유액이 갖는 유백색 의 크리미감과 함께 화장수로서의 촉촉한 감촉이나 윤기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형 피부 화장료에 있어서 물의 함유량은 화장료 전량 중 55~8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 함유량이 55 질량% 미만에서는 화장수로서의 촉촉한 감촉이나 윤기가 부족한 경우가 있다. 한편, 수분 함유량이 80 질량%를 초과하면 유액으로서 요구되는 에몰리엔트감이 충분히 수득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형 피부 화장료는 상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상 성분을 호모믹서 등으로 혼합·교반하면서 이에 유상 성분을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단, 이 예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형 피부 화장료의 외관은 유백색의 백탁을 띤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백탁은 예를 들면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상기 피부 화장료의 L값(투명도. L값이 100에 가까울수록 투명)의 측정 결과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이 L값의 측정은 통상 색차의 측정에 사용되지만, L값과 백탁도는 상관 관계가 있고, 백탁도의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에서는 L값이 45 이하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정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35 이하 정도이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 외용제에 이용되는 다른 임의 첨가 성분, 예를 들면 분말 성분, 고체 유지, 왁스, 탄화수소,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콜, 에스테르, 실리콘,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증점제, 피막제, 자외선 흡수제, 금속 이온 봉쇄제, 저급 알콜, 다가 알콜, 당, 아미노산, 유기 아민, 고분자 에멀젼, pH 조정제, 피부 영양제, 비타민, 산화방지제, 산화 방지 조제, 향료, 물 등을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분말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기 분말(예를 들면, 탈크, 카오린, 운모, 견운모(세리사이트), 백운모, 금운모, 합성 운모, 홍운모, 흑운모, 퍼미큐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바륨,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마그네슘, 실리카, 제올라이트, 황산바륨, 소성 황산 칼슘(소(燒) 석고), 인산칼슘, 불소 아파타이트,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 파우더, 금속 비누(예를 들면, 미리스틴산 아연, 팔미틴산칼슘, 스테아린산 알루미늄), 질화붕소 등); 유기 분말(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수지 분말(나일론 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분말, 폴리스틸렌 분말, 스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수지 분말, 벤조구아나민 수지 분말, 폴리사불화에틸렌 분말, 셀룰로스 분말 등); 무기 백색 안료(예를 들면,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 무기 적색계 안료(예를 들면, 산화철(벵갈라), 티탄산 철 등); 무기 갈색계 안료(예를 들면, γ-산화철 등); 무기 황색계 안료(예를 들면, 황산화철, 황토 등); 무기 흑색계 안료(예를 들면, 흑산화철, 저차 산화티탄 등); 무기 자색계 안료(예를 들면, 망고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 무기 녹색계 안료(예를 들면,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코발트 등); 무기 청색계 안료(예를 들면, 군청, 감청 등); 펄 안료(예를 들면, 산화티탄 코팅화 마이카, 산화티탄 코팅화 옥시 염화 비스무트, 산화티탄 코팅화 탈크, 착색 산화티탄 코팅화 마이카, 옥시 염화 비스무트, 생선 비늘박 등); 금 속 분말 안료(예를 들면, 알루미늄 파우더, 카퍼 파우더 등);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 등의 유기 안료(예를 들면,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8호, 적색 405호, 오렌지색 203호, 오렌지색 204호, 황색 205호, 황색 401호, 및 청색 404호 등의 유기 안료,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27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오렌지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녹색 3호 및 청색 1호 등); 천연 색소(예를 들면, 클로로필, β-카로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고체 유지로서는 예를 들면 카카오유, 야자유, 마지, 경화 야자유, 팜유, 우지, 양지, 경화 우지, 팜핵유, 돈지, 우골지, 목랍핵유, 경화유, 우각지, 목랍, 경화 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왁스류로서는 예를 들면, 밀랍, 칸데릴라 왁스, 면랍, 카르나우바 왁스, 베이베리 왁스, 이보타 왁스, 고래 왁스, 몬탄로우, 누카로우, 라놀린, 카복로우, 아세트산 라놀린, 액상 라놀린, 사탕수수 왁스,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우린산 헥실, 환원 라놀린, 죠죠바 왁스, 경질 라놀린, 세락로우, POE 라노린알콜에테르, POE 라놀린알콜아세테이트, POE 콜레스테롤에테르,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POE 수소 첨가 라놀린알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베헨산, 올레인산, 운데실렌산, 톨산, 이소스테아린산, 리놀산, 리놀레인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콜로서는 예를 들면, 직쇄형 알콜(예를 들면, 라우릴알콜,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베헤닐알콜, 미리스틸알콜, 올레일알콜, 세토스테아릴알콜 등); 분지쇄형 알콜(예를 들면,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틸알콜), 2-데실테트라데시놀, 라놀린알콜,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헥실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알콜, 옥틸도데칸올 등)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산 비누(예를 들면, 라우린산 나트륨, 팔미틴산 나트륨 등); 고급 알킬 황산 에스테르염(예를 들면, 라우릴 황산 나트륨, 라우릴 황산 칼륨 등);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예를 들면, POE-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POE-라우릴황산나트륨 등); N-아실사르코신산(예를 들면, 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등); 고급 지방산 아미드설폰산염(예를 들면, N-미리스토일-N-메틸타우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리드나트륨, 라우릴메틸타우리드나트륨 등); 인산에스테르염(POE-올레일에테르인산 나트륨), POE-스테아릴에테르인산 등); 설포숙신산염(예를 들면, 디-2-에틸헥실설포숙신산나트륨,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설폭숙신산나트륨, 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설포숙신산나트륨 등); 알킬벤젠설폰산염(예를 들면, 선형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선형 도데실벤젠설폰산트리에탄올아민, 선형 도데실벤젠설폰산 등);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황산 에스테르염(예를 들면, 경화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린 황산 나트륨 등); N-아실글루타민산염(예를 들면, N-라우로일글루타민산모노나트륨, N-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디나트륨, N-미리스토일-L-글루타민산모노나트륨 등); 황산화유(예를 들면, 로트유 등); POE-알킬에테르카르본산; POE-알킬아릴에테르카르본산염; α-올레핀설폰산염;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설폰산염; 이급 알콜 황산 에스테르염; 고급 지방산 알킬올아미드 황산 에스테르염; 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 숙신산 나트륨; N-팔미토일아스파라긴산 디트리에탄올아민; 카제인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예를 들면,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등); 알킬피리디늄염(예를 들면, 염화세틸피리디늄 등);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염화폴리(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디늄); 알킬 사급 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리호늄염; POE-알킬아민; 알킬아민염; 폴리아민지방산유도체; 아밀알콜지방산 유도체;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미다졸린계 양성 계면활성제(예를 들면, 2-운데실-N,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2-코코일-2-이미다졸늄히드록사이드-1-카르복시에티록시2나트륨염 등); 베타인계 계면활성제(예를 들면,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 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 아세트산 베타인, 알킬베타인, 아미드베타인, 설포베타인 등) 등을 들 수 있다.
친유성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에이트, 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펜타-2-에틸헥실산 디글리세롤소르비탄, 테트라-2-에틸헥실산 디글리세롤소르비탄 등); 글리세린폴리글리세린 지방산류(예를 들 면, 모노 면실유 지방산 글리세린, 모노에루카산글리세린, 세스퀴올레인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α,α'-올레인산 피로글루타민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말산 등);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모노스테아린산 프로필렌글리콜 등);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글리세린알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친수성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POE-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POE-소르비탄테트라올레에이트 등); POE 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소르비트모노라우레이트, POE-소르비트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펜타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모노스테아레이트 등); POE-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POE-모노올레에이트 등); POE-지방산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디스테아레이트, POE-모노디올레에이트, 디스테아린산에틸렌글리콜 등); POE-알킬에테르류(예를 들면, POE-라우릴에테르, POE-올레일에테르, POE-스테아릴에테르, POE-베헤닐에테르, POE-2-옥틸도데실에테르, POE-콜레스탄올에테르 등); 플루로닉형류(예를 들면, 플루로닉 등); POE·POP-알킬에테르류(예를 들면, POE·POP-세틸에테르, POE·POP-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POP-모노부틸에테르, POE·POP-물 첨가 라놀린, POE·POP-글리세린에테르 등); 테트라POE·테트라POP-에틸렌디아민 축합물류(예를 들면, 테트로닉 등); POE-피마자유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예를 들면, POE-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POE- 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프로필글루타민산 모노이소스테아린산디에스테르, POE-경화 피마자유 말레인산 등); POE-밀랍·라놀린 유도체(예를 들면, POE-소르비트 밀랍 등); 알칸올아미드(예를 들면,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라우린산모노에탄올아미드, 지방산 이소프판올아미드 등); POE-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POE-알킬아민; POE-지방산 아미드,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시드; 트리올레일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천연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식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검, 갈락탄, 구아검, 캬로브검, 카라야검, 카라기난, 펙틴, 칸텐, 쿠인스시드(마루메로), 알게코로이드(갈조류 엑기스),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글루틸리틴산); 미생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크산탄검, 덱스트린, 숙시노글루칸, 브루란 등); 동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반합성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전분계 고분자(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 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전분 등); 셀룰로스계 고분자(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셀룰로스 황산나트륨,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나트륨, 결정 셀룰로스, 셀룰로스말(末) 등); 아르긴산계 고분자(예를 들면, 아르긴산 나트륨, 아르긴산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등)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비닐알 콜,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0, 40,000, 60,000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아크릴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라비아검, 카라기난, 카라야검, 트라가칸트검, 캬로브검, 쿠인스시드(마루메로), 카제인, 덱스트린, 젤라틴, 펙틴산나트륨, 아라긴산나트륨,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CM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PVA, PVM, PVP,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로커스트빈검, 구아검, 타마린트검, 디알킬디메틸암모늄 황산 셀룰로스, 크산탄검, 규산 알루미늄마그네슘,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규산 AlMg(비검), 라포나이트, 무수규산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파라아미노 벤조산(이하, PABA라고 함), PABA 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PABA에틸에스테르, N,N-디에톡시PABA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부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에틸에스테르 등);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니레이트 등);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아밀살리실레이트, 멘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페닐살리실레이트 등); 신남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 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p-메톡시신나메이트(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등);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실레이트, 2-히드록시-4-n-옥토시벤조페논, 4-히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등); 3-(4'-메틸벤질리덴)-d,1-캄파, 3-벤질리덴-d,1-캄파; 2-페닐-5-메틸벤조사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자리딘; 디아니조일메탄;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5-(3,3-디메틸-2-노르보르닐리덴)-3-펜탄-2-온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이온 봉쇄제로서는, 예를 들면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사나트륨염,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에데트산사나트륨, 구연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인산, 구연산, 아스코르빈산, 숙신산, 에데트산, 에틸렌디아민히드록시에틸삼아세트산삼나 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저급 알콜로서는, 예를 들면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이소부틸알콜, t-부틸알콜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콜로서는 예를 들면 2가 알콜(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1,2-부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2,3-부틸렌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콜, 2-부텐-1,4-디올, 헥실렌글리콜, 옥틸렌글리콜 등); 3가 알콜(예를 들면,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등); 4가 알콜(예를 들면, 1, 2, 6-헥산트리올 등의 펜타에리스리톨 등); 5가 알콜(예를 들면, 크실리톨 등); 6가 알콜(예를 들면, 소르비톨, 만니톨 등); 다가 알콜 중합체(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글리세린, 테트라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등); 2가 알콜 알킬에테르류(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2-메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이소아밀에테르, 에틸렌글리콜벤질에테르, 에틸렌글리콜이소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레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등); 2가 알콜 알킬에테르류(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 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이소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부틸에테르 등); 2가 알콜 에테르에스테르(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디베이트, 에틸렌글리콜디숙시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세테이트 등); 글리세린모노알킬에테르(예를 들면, 키밀알콜, 세라킬알콜, 바틸알콜 등); 당 알콜(예를 들면, 소르비톨, 말티톨, 말트트리오스, 만니톨, 자당, 에리트리올, 글루코스, 프룩토스, 전분 분해당, 말토스, 크실리토스, 전분 분해당 환원 알콜 등); 글리소리드;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알콜; POE-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알콜; POP-부틸에테르; POP·POE-부틸에테르; 트리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린에테르; POP-글리세린에테르; POP-글리세린에테르인산; POP·POE-펜탄에리스리톨에테르, 폴리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단당으로서는 예를 들면, 삼탄당(예를 들면, D-글리세릴알데히드, 디히드록시아세톤 등); 사탄당(예를 들면, D-에리트로스, D-에리톨로스, D-트레오스, 에리스리톨 등); 오탄당(예를 들면, L-아라비노스, D-크실로스, L-리키소스, D-아라비노스, D-리보스, D-리브로스, D-크실로스, L-크실로스 등); 육탄당(예를 들면, D- 글루코스, D-타로스, D-부시코스, D-갈락토스, D-프룩토스, L-갈락토스, L-만노스, D-타가토스 등); 칠탄당(예를 들면, 아루도헵토스, 헵토스 등); 팔탄당(예를 들면, 오쿠츠로스 등); 데옥시당(예를 들면, 2-데옥시-D-리보스, 6-데옥시-L-갈락토스, 6-데옥시-L-말토스 등); 아미노당(예를 들면, D-글루코사민, D-갈락토사민, 시알산, 아미노우론산, 무라민산 등); 우론산(예를 들면, D-글루쿠론산, D-만누론산, L-글루론산, D-갈락트론산, L-이즈론산 등)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올리고당으로서는, 예를 들면 자당, 군치아노스, 운베리페로스, 락토스, 프란테오스, 이소리쿠노스류, α,α-트레할로스, 라피노스, 리쿠노스류, 운비리신, 스타퀴오스 벨바스코스류 등을 들 수 있다.
다당으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스, 쿠인스시드, 콘드로이틴 황산, 전분, 갈락탄, 델마탄황산, 글리코겐, 아라비아검, 헤파란황산, 히알루론산, 트리간트검, 케라탄황산, 콘드로이틴, 크산탄검, 무코이틴 황산, 구아검, 덱스트린, 케라토황산, 로커스트빈검, 숙시노글루칸, 카로닌산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중성 아미노산(예를 들면, 트레오닌, 시스테인 등); 염기성 아미노산(예를 들면, 히드록시리딘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미노산 유도체로서 예를 들면 아실사르코신나트륨(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아실글루타민산염, 아실β-알라닌나트륨, 글루타티온, 피롤리돈카르본산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아민으로서는 예를 들면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르폴린,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2-아미노- 2-메틸-1-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에멀젼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에멀젼, 폴리아크릴산 에틸에멀젼, 아크릴 레진액, 폴리아크릴알킬에스테르에멀젼, 폴리아세트산비닐수지 에멀젼, 천연고무 라텍스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제제(調製劑)로서는 예를 들면 락트산-락트산 나트륨, 구연산-구연산 나트륨, 숙신산-숙신산 나트륨 등의 완충제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류로서는, 예를 들면 비타민 A, B1, B2, B6, C, E 및 그 유도체, 판토텐산 및 그 유도체, 비오틴 등을 들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토코페롤류,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졸, 몰식자산(沒食子酸)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 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인산, 구연산, 아스코르빈산, 말레인산, 마론산, 숙신산, 푸말산, 케팔린, 헥사메타포스페이트, 피틴산, 에틸렌디아민 사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그외의 배합 가능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방부제(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등); 소염제(예를 들면, 글리틸리틴산 유도체, 글리틸레틴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히녹티올, 산화아연, 알란토인 등); 미백제(예를 들면, 태반 추출물, 범의귀 추출물, 알부틴 등); 각종 추출물(예를 들면, 황벽나무, 황련, 자근, 작약, 월년초, 자작나무, 세지, 비파나무, 인삼, 알로에, 당아욱, 아이리스, 포도, 율무쌀, 수세미, 백합, 사프란, 천궁, 죠유큐, 고추나물, 오토니스, 마늘, 고추, 진피, 두우키, 해조 등), 부활제(예를 들면, 로얄젤리, 감광소, 콜레스테롤 유도체 등); 혈 행 촉진제(예를 들면, 노닐산 바닐릴아미드, 니코틴산벤질에스테르, 니코틴산β-부톡시에틸에스테르, 캅사이신, 진게론, 칸타리스틴키, 이쿠타몰, 탄닌산, α-보르네올, 니코틴산 토코페롤, 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시클란데레이트, 신나리딘, 트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란틴, γ-올리자놀 등); 항지루제(예를 들면, 유황, 티안톨 등); 항염증제(예를 들면, 트라넥삼산, 티오타우린, 히포타우린 등)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배합량은 모두 질량%로 나타낸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 이용한 각 평가 시험 방법, 평가 기준에 대해 설명한다.
〈점도(초기 점도)〉
피검 시료를 디지털 비스트론 점도계 VDA2(시바우라 시스템(주)제)를 이용하여 측정 용기에 넣은 피검 시료를 25℃의 항온 수조에 1 시간 담근 후, 로터 No.4, 회전수 30rpm으로 측정했다.
〈백탁도〉
피검 시료의 백탁도를 적분구 분광 광도계(「Color-Eye7000A」, GretagMacbeth사제)를 이용하여 L값(투명도. L값이 100에 가까울수록 투명)을 측정했다.
〈안정성〉
피검 시료를 0℃, 25℃, 50℃의 각 온도에서 1개월간 방치한 후의 외관을 육안 및 현미경 관찰에 의해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판정했다.
(평가 기준)
○:분리·결정 석출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분리·결정 석출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액상(유상 또는 수상)의 분리 또는 결정 석출, 심한 점도 저하(초기 점도에서 1,000mPa·s 이상의 점도 저하)가 보인다.
〈사용감: 사용시 윤기〉
여성 전문 패널(10명)에 의해 실사용 시험을 실시하여 사용시 윤기에 대해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판정했다.
(평가 기준)
◎: 10명 전원이 윤기 있다고 평가했다.
○: 7~9명이 윤기가 있다고 평가했다.
△: 3~6명이 윤기가 있다고 평가했다.
×: 0~2명이 윤기가 있다고 평가했다.
〈사용감: 끈적임이 없음〉
여성 전문 패널(10명)에 의한 실사용 시험을 실시하여 끈적임에 대해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판정했다.
(평가 기준)
◎: 10명 전원이 끈적임이 없고, 촉촉하다고 평가했다.
○: 7~9명이 끈적임이 없고, 촉촉하다고 평가했다.
△: 3~6명이 끈적임이 없고, 촉촉하다고 평가했다.
×: 0~2명이 끈적임이 없고, 촉촉하다고 평가했다.
〈사용감: 산뜻함〉
여성 전문 패널(10명)에 의한 실사용 시험을 실시하여 산뜻함에 대해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판정했다.
(평가 기준)
◎: 10명 전원이 산뜻함이 있다고 평가했다.
○: 7~9명이 산뜻함이 있다고 평가했다.
△: 3~6명이 산뜻함이 있다고 평가했다.
×: 0~2명이 산뜻함이 있다고 평가했다.
〈사용감: 에몰리엔트감(피부에 유연성을 느끼는 사용감)〉
여성 전문 패널(10명)에 의한 실사용 시험을 실시하여 에몰리엔트감에 대해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판정했다.
(평가 기준)
◎: 10명 전원이 에몰리엔트감(피부에 유연성을 느끼는 사용감)이 있다고 평가했다.
○: 7~9명이 에몰리엔트감(피부에 유연성을 느끼는 사용감)이 있다고 평가했다.
△: 3~6명이 에몰리엔트감(피부에 유연성을 느끼는 사용감)이 있다고 평가했 다.
×: 0~2명이 에몰리엔트감(피부에 유연성을 느끼는 사용감)이 있다고 평가했다.
계속해서 본 실시예에서 이용한 각 성분(폴리머, 화합물)은 이하와 같다.
폴리머(a1): 상기 화학식 1에서, m/n=4(m=80몰%, n=20몰%), p=10, R1=C22H45, X+=NH4 +인 코폴리머.
폴리머(a2): 상기 화학식 1에서, m/n=9(m=90몰%, n=10몰%), p=20, R1=C18H37, X+=NH4 +인 코폴리머.
폴리머(a3): 상기 화학식 1에서, m/n=32.3(m=97몰%, n=3몰%), p=25, R1=C22H45, X+=NH4 +인 코폴리머.
폴리머(a4): 상기 화학식 1에서, m/n=49(m=98몰%, n=2몰%), p=30, R1=C22H45, X+=Na+인 코폴리머.
폴리머(a5): 상기 화학식 1에서, m/n=99(m=99몰%, n=1몰%), p=45, R1=C22H45, X+=Na+인 코폴리머.
폴리머(a6): 상기 화학식 1에서, m/n=49(m=98몰%, n=2몰%), p=30, R1=C22H45, X+=Na+인 코폴리머.
비교 폴리머(a1): 상기 화학식 1에서, m/n=1(m=50몰%, n=50몰%), p=25, R1=C22H45, X+=Na+인 코폴리머.
비교 폴리머(a2): 상기 화학식 1에서, m/n=1(m=50몰%, n=50몰%), p=60, R1=C22H45, X+=NH4 +인 코폴리머.
화합물(b1): 「Pemulen TR-2」(Noveon사제)를 이용했다.
화합물(b2): 「Aqupec HV-501ER」(스미토모 세이카 가가쿠(주)제)를 이용했다.
비교 화합물(b1): 카르보머(「Synthalen L」; 3V Group사제)를 이용했다.
화합물(c1): 상기 화학식 2에서, R2=CH3, AO=-CH(CH3)CH2O(옥시프로필렌기), EO=CH2CH2O(옥시에틸렌기), a=10, b=10, R3=CH3인 화합물(AO 및 EO는 랜덤 형상 부가).
화합물(c2): 상기 화학식 2에서, R2=CH3, AO=-CH(CH3)CH2O(옥시프로필렌기), EO=CH2CH2O(옥시에틸렌기), a=5, b=15, R3=CH3인 화합물(AO 및 EO는 랜덤 형상 부가).
화합물(c3): 상기 화학식 2에서, R2=CH3, AO=-CH(CH3CH2)CH2O(옥시부틸렌기), EO=CH2CH2O(옥시에틸렌기), a=7, b=14, R3=CH3인 화합물(AO 및 EO는 랜덤 형상 부가).
비교 화합물(c1): 상기 화학식 2에서, R2=H, AO=-CH(CH3)CH2O(옥시프로필렌기), EO=CH2CH2O(옥시에틸렌기), a=10, b=10, R3=H인 화합물(AO 및 EO는 랜덤 형상 부가).
비교 화합물(c2): 상기 화학식 2에서, R2=C12H25, AO=-CH(CH3)CH2O(옥시프로필렌기), EO=CH2CH2O(옥시에틸렌기), a=10, b=10, R3=CH3인 화합물(AO 및 EO는 랜덤 형상 부가).
(실시예 1~5, 비교예 1~5)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의 피부 화장료를 하기 제조 방법에 의해 조제하고, 이들 피부 화장료를 이용하여 상기 시험법, 평가 기준에 의해 사용성, 점도, 안정성에 대해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제조 방법)
(1)~(19), (23), (25), (26)을 상온에서 균일하게 용해했다(A상). 계속해서 (20)~(22), (24), (27)을 상온에서 균일하게 용해했다(B상). 상온에서 호모믹서로 교반하는 A상에, B상을 서서히 첨가하면서 더하고, 유화하여 목적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를 수득했다.
Figure 112009009008471-PAT00005
상기 표 1에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1)」은 「KF-6017P」(신에츠 가가쿠 고교(주)제. INCI명: PEG-10 DIMETHICONE)을 이용했다. 또한, 「메틸트리메티콘(*2)」은 「상품명: TMF-1.5」(신에츠 가가쿠 고교(주)제 25℃에서의 점도 1.5mPa·s. INCI명: METHYL TRIMETHICONE)을 이용했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는 화장수 및 유액의 양자의 효과가 발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화장수로서 가볍게 촉촉하게 사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비교적 저점도의 조성물인 것이 요구된다. 하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명확해진 바와 같이 실시예 1~5는 사용시의 윤기, 끈적임이 없음, 산뜻함, 에몰리엔트감이 우수하고, 안정성, 백탁도도 우수하다. 특히 실시예 1과 같이 비교적 점도가 낮은 조성물이라도 안정성이 양호하게 유지되었다. 한편, 비교예 1~5에서는 온도 안정성이 부족하거나 사용성 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인 화장수와 유액의 양자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는 화장수 및 유액의 양자의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 명확하다.
이하, 또한 처방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6)
(배합 성분) (질량%)
(1) 이온 교환수 잔여
(2) 에탄올 3.0
(3) 글리세린 3.0
(4) 디프로필렌글리콜 2.0
(5) 1,3-부틸렌글리콜 2.0
(6) 화합물(c3) 2.0
(7) 화합물(b1) 0.05
(8) 폴리머(a2) 0.5
(9)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0.01
(10) 수산화나트륨 0.01
(11) 트라넥삼산 2.0
(12) 4-메톡시살리실산칼륨염 1.0
(13) PEG-9메틸에테르디메티콘 0.1
(「KF-6016」;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제)
(14)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4.0
(15) 2-에틸헥산산2-에틸헥실 2.0
(16) 1-피페리딘프로피온산 0.1
(17) 범의귀 추출액 0.01
(18) 에데트산염 0.02
(19) 파라벤 0.1
(20) 페녹시에탄올 0.3
(21) 향료 0.1
〈제법〉
(1)~(12) 및 (16)~(20)을 균일하게 용해한 수상을 호모믹서로 교반하면서, (13)~(15), (21)의 유상을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함으로써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가 수득된다.
(실시예 7)
(배합 성분) (질량%)
(1) 이온 교환수 잔여
(2) 에탄올 3.0
(3) 글리세린 5.0
(4) 1,3-부틸렌글리콜 2.0
(5) 에리스리톨 0.1
(6) 화합물(c1) 5.0
(7) 화합물(b1) 0.02
(8) 폴리머(a3) 0.3
(9)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0.01
(10) 수산화나트륨 0.1
(11) 아스코르빈산글루코시드 2.0
(12) 4-메톡시살리실산칼륨염 1.0
(13) 폴리옥시에틸렌 60몰 부가 경화 피마자유 0.1
(14) 디메틸폴리실록산 3.0
(「KF-96A-6cs」;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제)
(15) 2-에틸헥산산2-에틸헥실 2.0
(16) 가수분해 밀 단밸질 0.01
(17) 로즈애플 잎 추출액 0.01
(18) 에데트산염 0.01
(19) 파라벤 0.1
(20) 페녹시에탄올 0.3
(21) 향료 0.1
〈제법〉
(1)~(12) 및 (16)~(20)을 균일하게 용해한 수상을 호모믹서로 교반하면서, (13)~(15), (21)의 유상을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함으로써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가 수득된다.
(실시예 8)
(배합 성분) (질량%)
(1) 이온 교환수 잔여
(2) 에탄올 3.0
(3) 글리세린 4.0
(4) 1,3-부틸렌글리콜 5.0
(5) 크실리톨 0.5
(6) 화합물(c2) 1.0
(7) 화합물(b1) 0.02
(8) 폴리머(a3) 0.3
(9) 크산탄검 0.01
(10) 수산화칼륨 0.1
(11) 아스코르빈산에틸 0.5
(12) 4-메톡시살리실산칼륨염 1.0
(13) PEG-3디메티콘
(「KF-6015」;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제)
(14) 디메틸폴리실록산 1.0
(「KF-96A-20cs」;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제)
(15) 이소노난산 이소트리데시실 5.0
(16) 가수분해 밀 단밸질 0.01
(17) 로즈애플 잎 추출액 0.01
(18) 에데트산염 0.01
(19) 파라벤 0.1
(20) 페녹시에탄올 0.3
(21) 향료 0.1
〈제법〉
(1)~(12) 및 (16)~(20)을 균일하게 용해한 수상을 호모믹서로 교반하면서, (13)~(15), (21)의 유상을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함으로써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가 수득된다.
(실시예 9)
(배합 성분) (질량%)
(1) 이온 교환수 잔여
(2) 에탄올 10.0
(3) 글리세린 7.0
(4) 디프로필렌글리콜 2.0
(5) 1,3-부틸렌글리콜 1.0
(6) 에리스리톨 1.0
(7) 폴리머(a5) 1.2
(8) 화합물(b2) 0.02
(9) 화합물(c3) 7.0
(10)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0.01
(11) 수산화나트륨 0.15
(12) 트라넥삼산 2.0
(13) 아스코르빈산 글루코시드 0.1
(14) PEG-12디메티콘
(「SH3773M; 도우레·다우·코닝(주)제)
(15) 디메틸폴리실록산 1.0
(「SH200 C Fluid-1cs」; 도우레·다우·코닝(주)제)
(16) 이소노난산 2-에틸헥실 2.0
(17) 녹차 엑기스 0.01
(18) 홍화 엑기스 0.01
(19) 에데트산염 0.01
(20) 파라벤 0.1
(21) 페녹시에탄올 0.3
(22) 향료 0.1
〈제법〉
(1)~(13) 및 (17)~(21)을 균일하게 용해한 수상을 호모믹서로 교반하면서, (14)~(16), (22)의 유상을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함으로써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가 수득된다.

Claims (5)

  1. 하기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을 함유하고, 25℃에서의 점도가 10,000mPa·s 이하(비스트론 점도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
    (a) 성분: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설폰산 또는 그 염/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메타크릴레이트의 코폴리머
    (화학식 1)
    Figure 112009009008471-PAT00006
    (화학식 1에서, m, n, p는 평균 부가 몰수이고, m/n=4~99의 수를 나타내며, p는 10~50의 정수를 나타내고, X+는 프로톤, 알칼리 금속 양이온, 알칼리 토류 금속 양이온, 암모늄 이온 또는 유기 양이온을 나타내며, R1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 수 5~40의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알킬기를 나타냄);
    (b) 성분 :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폴리머;
    (c) 성분: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화학식 2)
    Figure 112009009008471-PAT00007
    (화학식 2에서, AO는 탄소 원자수 3~4의 옥시알킬렌기, EO는 옥시에틸렌기를 나타내고, a, b는 각각 상기 AO, EO의 평균 부가 몰수이고, 1≤a≤70, 1≤b≤70이며, AO와 EO의 합계에 대한 EO의 비율 [EO/(AO+EO)]는 20~80 질량%이며, R2, R3은 탄소 원자수 1~4의 알킬기임).
  2. 제 1 항에 있어서,
    (a) 성분을 0.005~2.0 질량%, (b) 성분을 0.005~1.5 질량% 및 (c) 성분을 0.005~15.0 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d) 25℃에서의 점도가 100mPa·s 이하인 상온에서 액상의 유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
  4. 제 3 항에 있어서,
    (d) 성분을 1.0~10.0 질량%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
  5. 제 1 항에 있어서,
    물을 55~80 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
KR1020090011818A 2008-02-13 2009-02-13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 KR101521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32354 2008-02-13
JPJP-P-2008-032354 2008-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838A true KR20090087838A (ko) 2009-08-18
KR101521663B1 KR101521663B1 (ko) 2015-05-19

Family

ID=40791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818A KR101521663B1 (ko) 2008-02-13 2009-02-13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182828B2 (ko)
EP (1) EP2092931B1 (ko)
JP (1) JP5277011B2 (ko)
KR (1) KR101521663B1 (ko)
CN (1) CN101507691B (ko)
ES (1) ES2393295T3 (ko)
HK (1) HK1134246A1 (ko)
TW (1) TWI4000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9837A (ja) * 2008-05-01 2009-11-19 Noevir Co Ltd 水中油型乳化組成物
GB0822823D0 (en) * 2008-12-15 2009-01-21 Dow Corning Silicone oi-in-water emulsions
CN102481243B (zh) 2009-10-30 2016-06-15 日清奥利友集团株式会社 化妆品用组合物、化妆品、水包油型乳化化妆品的制造方法以及双层分离型化妆品
JP5616645B2 (ja) * 2010-02-05 2014-10-29 花王株式会社 O/w化粧料
JP5689026B2 (ja) * 2010-06-17 2015-03-25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皮膚化粧料
JP5676187B2 (ja) * 2010-09-15 2015-02-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水中油型化粧料
JP5046409B2 (ja) * 2010-12-28 2012-10-10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JP2012158555A (ja) * 2011-02-01 2012-08-23 Mikimoto Pharmaceut Co Ltd 白濁ローション
CN102188329B (zh) * 2011-04-18 2012-12-05 广州环亚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粉扑状收敛型化妆品及其制备方法
KR101847432B1 (ko) * 2011-09-29 2018-04-10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시계 유전자 및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유전자 발현 촉진용 조성물
FR2983722B1 (fr) * 2011-12-08 2014-06-27 Seppic Sa Nouvelles emulsions huile-dans-eau riches en sels, stabilisees avec des gommes naturelles, a viscosite elevee et stables au cours du temps.
JP6071123B2 (ja) 2012-02-10 2017-02-01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皮膚化粧料
CN102793635A (zh) * 2012-08-10 2012-11-28 彭再辉 一种淡斑美白霜化妆品及其制备方法
EP2774603A1 (en) * 2013-03-06 2014-09-10 L'Oréal Colour changing composition in emulsion form comprising an emulsifying hydrophilic gelifying agent
JP6309744B2 (ja) * 2013-11-19 2018-04-11 花王株式会社 化粧料
GB2549431A (en) 2014-12-29 2017-10-18 Kimberly Clark Co Multifunctional base emulsion
US10111824B2 (en) 2014-12-29 2018-10-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smetic emulsions
US20190358327A1 (en) * 2016-12-23 2019-11-28 Klox Technologies Inc. Biophotonic compositions comprising lichen extract and their use to treat skin disorders
EP3664775B1 (en) 2017-08-07 2021-03-17 Unilever N.V. A personal care composition
JP7137924B2 (ja) * 2017-11-17 2022-09-15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水中油乳化組成物
WO2019138345A2 (en) * 2018-01-09 2019-07-18 Servin Lauren Fast-absorbing cosmetic oil through acacia or other tree gum diffusion process
CN112041377A (zh) * 2018-04-27 2020-12-04 高级醇工业株式会社 新型复合物及乳化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1467B2 (ja) 1987-04-17 1996-08-07 株式会社コーセー 半透明化粧水
WO2003024413A1 (fr) * 2001-09-14 2003-03-27 Shin-Etsu Chemical Co., Ltd. Composition et preparation cosmetique contenant ladite composition
JP2003095845A (ja) 2001-09-25 2003-04-03 Club Cosmetics Co Ltd 半透明液状化粧料
JP2003113023A (ja) 2001-09-28 2003-04-18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用基剤及びそれを配合してなる化粧品
FR2853543B1 (fr) * 2003-04-11 2006-07-14 Oreal Composition sous forme d'emulsion h/e contenant des cires, et son utilisation dans le domaine cosmetique
US20050053568A1 (en) * 2003-04-11 2005-03-10 L'oreal Composition containing a wax, and used thereof
KR20070006772A (ko) * 2004-03-11 2007-01-11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항노화제 및 콜라겐 생성 촉진제
DE102004017223A1 (de) * 2004-04-05 2005-10-20 Cognis Ip Man Gmbh O/W-Gel-Zusammensetzungen mit Wachsen
JP2005336095A (ja) 2004-05-26 2005-12-08 Clariant Finance (Bvi) Ltd 外用組成物
JP4688683B2 (ja) * 2006-01-16 2011-05-25 株式会社資生堂 I型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および抗しわ剤
JP2007238521A (ja) * 2006-03-09 2007-09-20 Shiseido Co Ltd 包接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5072245B2 (ja) * 2006-03-24 2012-11-14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白濁皮膚化粧料
JP5089938B2 (ja) 2006-07-31 2012-12-05 株式会社ガスター 熱交換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燃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77011B2 (ja) 2013-08-28
HK1134246A1 (en) 2010-04-23
TWI400093B (zh) 2013-07-01
KR101521663B1 (ko) 2015-05-19
CN101507691B (zh) 2013-11-13
TW200940100A (en) 2009-10-01
JP2009215283A (ja) 2009-09-24
CN101507691A (zh) 2009-08-19
EP2092931A1 (en) 2009-08-26
ES2393295T3 (es) 2012-12-20
US8182828B2 (en) 2012-05-22
EP2092931B1 (en) 2012-08-15
US20090202600A1 (en) 200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1663B1 (ko) 수중유형 유화 백탁 피부 화장료
TWI402081B (zh) 皮膚外用劑
JP7412068B2 (ja) 水中油型組成物
JP2008050271A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KR20200044831A (ko) 비수계용 증점제 및 증점 조성물
KR20190071693A (ko) 세정제 조성물
KR100826503B1 (ko) 피부 외용제
EP3269354A1 (en) Water-based cosmetic
JPWO2014115726A1 (ja) 抗菌性組成物
KR102477212B1 (ko)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90077400A (ko) 수중유형 피부 외용 조성물
JP2006249049A (ja) 皮膚外用組成物
CN112714643B (zh) 油包水型皮肤外用组合物
JP4349883B2 (ja) 皮膚外用組成物
JP5154904B2 (ja) 皮膚外用剤
JP2021020858A (ja) 白濁液状化粧料
JP7368349B2 (ja) 洗浄剤組成物
JP7137924B2 (ja) 水中油乳化組成物
WO2022259877A1 (ja) 化粧料
JP4301499B2 (ja) 皮膚外用組成物
WO2021182367A1 (ja) 洗浄料
WO2021182430A1 (ja) 洗浄料
EP4233835A1 (en) Oil-in-water type composition
WO2020175606A1 (ja) 皮膚外用剤組成物
US20230404877A1 (en) Powder-containing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