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3832A -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휴대단말 - Google Patents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휴대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3832A
KR20090083832A KR1020080030198A KR20080030198A KR20090083832A KR 20090083832 A KR20090083832 A KR 20090083832A KR 1020080030198 A KR1020080030198 A KR 1020080030198A KR 20080030198 A KR20080030198 A KR 20080030198A KR 20090083832 A KR20090083832 A KR 20090083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receptacle
contact
insulato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미츠 구리모토
Original Assignee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3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8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01R13/055Resilient pins or blades co-operating with socket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37Curved pl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2Comblike retainer for conducto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슐레이터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플러그 컨택트 및 리셉터클 컨택트의 다극화를 도모할 수 있고, 게다가 플러그 컨택트와 리셉터클 컨택트를 안정된 상태에서 접촉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리셉터클 컨택트(50)에 포크형상 접속부(53)를 형성하고, 플러그 컨택트(110)에 포크형상 접속부에 끼워져 들어가는 접촉부(111)를 형성하고, 플러그 인슐레이터(71)의 수납오목부(22)의 바닥면과의 대향부에 전선(100) 및 플러그 컨택트(110)를 일평면상에서 끼워맞추어 보유하는 끼워맞춤 보유홈(78~82, 84~88)을 형성하고, 접촉부(110)를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전선의 타단부측과 반대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일평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판으로 하고, 각 리셉터클 컨택트가 같은 방향을 향하게 한다.
커넥터, 컨택트, 리셉터클, 플러그

Description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휴대단말{Connector, plug connector and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전선에 접속하는 플러그 컨택트를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 이 플러그 커넥터와 기판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및 휴대단말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그 밖의 정보휴대단말의 구성부품의 일부(예를 들어, 스피커, 마이크, 바이브레이션 모터)는, 회로기판에 납땜한 후에 실시하는 리플로우(reflow)에 대응할 수 없기 때문에, 회로기판에 직접 실장할 수 없다.
그 때문에, 회로기판에 리셉터클 커넥터를 실장하는 동시에, 해당 부품을 전선을 통하여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하고, 이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접속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일본특허 제374513호 공보에는, 이러한 형태의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즉, 일본특허 제374513호 공보에 개시된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오목부(104)를 가지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02)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02)의 내 벽(110)과 측벽(116)에 서로 대향하도록 고정되며,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한쌍의 리셉터클 컨택트(132)를 구비하고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10)는, 오목부(104)에 완전히 수납될 수 있는 치수의 플러그 인슐레이터(2)와, 플러그 인슐레이터(2)에 고정된 한쌍의 플러그 컨택트(11)와, 한쌍의 플러그 컨택트(11)에 일단부를 각각 접속하고 타단부에는 상기 부품을 접속한 한쌍의 전선(케이블)(W)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02)의 오목부(104)에 플러그 인슐레이터(2)를 끼워맞추면, 플러그 인슐레이터(2)가 오목부(104)에 완전히 수납되며, 대응하는 플러그 컨택트(11)와 리셉터클 컨택트(132)가 서로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회로기판과 전선(W)이 전기적으로 도통(導通)된다.
일본특허 제374513호 공보에 개시된 커넥터에서는, 한쌍의 플러그 컨택트(11)를 플러그 인슐레이터(2)의 양측부에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11)를 3극 이상으로 다극화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한쌍의 리셉터클 컨택트(132)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02)의 길이방향으로 이간(離間)되어 있는 상태로 서로 마주보고 있기 때문에, 리셉터클 컨택트(132)의 다극화도 어렵다. 가령 리셉터클 컨택트(132)를 전선(W)이 늘어선 방향으로 같은 피치로 다극화하면(예를 들어, 4극),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02)가 리셉터클 컨택트(132)가 늘어선 방향으로 대형화되어 버리고, 마찬가지로 플러그 인슐레이터(2)도 대형화되어 버린다.
또한, 플러그 컨택트(11)와 리셉터클 컨택트(132)는 단순히 한쪽의 일방향에서만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W)을 감아 생기는 굴곡, 흔들림, 인장 등의 외력이 미쳤을 경우에 안정적으로 접촉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특히, 전선(W)이 전선 2개가 늘어선 방향으로 휜 경우에 그러한 위험이 높아진다. 즉, 이러한 경우에는 전선(W)으로부터 힘을 받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02)가 전선(W)이 늘어선 방향으로 흔들리기 때문에, 한쪽 플러그 컨택트(11)와 리셉터클 컨택트(132)의 접촉압력이 높아지는 한편, 다른쪽 플러그 컨택트(11)와 리셉터클 컨택트(132)의 접촉압력은 떨어져 버린다. 즉, 전선(W)에 대한 외력에 의해 접촉저항 등이 쉽게 변동되기 때문에, 커넥터로서의 전기적 특성을 안정시키거나, 전선간 특성차를 억제하는 것이 어려운 경향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슐레이터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플러그 컨택트 및 리셉터클 컨택트의 다극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플러그 컨택트와 리셉터클 컨택트를 안정된 상태로 접촉시킬 수 있는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휴대단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수납오목부를 형성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및 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일방향으로 나란한 상태로 지지되며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복수개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가지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수납오목부에 전체를 수납할 수 있는 치수의 플러그 인슐레이터, 이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상기 일방향으로 나란한 상태로 지지되며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같은 수의 플러그 컨택트, 및 각 플러그 컨택트에 그 일단부를 각각 접속한 복수개의 전선을 가지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착탈가능한 플러그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에 포크형상 접속부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 컨택트에 상기 포크형상 접속부에 끼워져 들어가는 접촉부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상기 수납오목부의 바닥부와의 대향부에, 상기 전선 및 플러그 컨택트를 일평면상에서 끼워맞추어 보유하는 끼워맞춤 보유홈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상기 전선의 타단부측과 반대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일평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판이며, 상기 각 리셉터클 컨택트가 같은 방향을 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러그 컨택트의 상기 접촉부가, 대응하는 상기 전선의 일단부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전선이 늘어선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오프셋 상태를 만들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플러그 컨택트를, 상기 전선의 상기 일단부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고, 상기 전선을 협지(挾持)함으로써 이 전선과 도통하는 포크형상부를 가지는 전선접속부와, 상기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꼬리부, 및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와 일체화되어 있는 금속부재에 형성한 보조실장부를,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는, 수납오목부를 형성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및 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동일 방향을 향한 상태로 일방향으로 나란히 지지되고 포크형상 접속부를 구비하며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복수개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가지고, 리셉터클 커넥터와 접속할 수 있는 플러크 커넥터로서,
상기 수납오목부에 전체를 수납할 수 있는 치수의 플러그 인슐레이터와, 이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상기 일방향으로 나란한 상태로 지지되며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같은 수의 플러그 컨택트와, 각 플러그 컨택트에 그 일단부를 각각 접속한 복수개의 전선을 가지고, 상기 플러그 컨택트에 상기 포크형상 접속부에 끼워져 들어가는 접촉부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상기 수납오목부의 바닥부와의 대향부에, 상기 전선 및 플러그 컨택트를 일평면상에서 끼워맞추어 보유하는 끼워맞춤 보유홈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상기 전선의 타단부측과 반대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일평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 또는 플러그 커넥터는, 예를 들어 휴대단말에 탑재할 수 있다.
청구항 1 및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 컨택트의 접촉부가 전선 및 플러그 컨택트가 위치하는 일평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판형상이기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를 상기 일방향으로 같은 피치로 다극화(예를 들어, 4극)하여도, 플러그 인슐레이터가 상기 일방향으로 극단적으로 커지지 않게 된다.
또한, 각 리셉터클 컨택트를 마주보게 하지 않고 같은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늘어놓고 있기 때문에, 리셉터클 컨택트를 상기 일방향으로 같은 피치로 다극화(예를 들어, 4극)하여도, 리셉터클 인슐레이터가 상기 일방향으로 극단적으로 커지지 않는다.
또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리셉터클 컨택트가 포크형상 접속부를 구비하고, 이 포크형상 접속부에 플러그 컨택트의 평판형상 접촉부를 끼워넣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전선이 전선이 늘어선 방향으로 휘어 있는 경우에 그러한 효과가 현저하다. 즉, 전선이 흔들리면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수납오목부 안에서 약간 회전되는데, 리셉터클 컨택트의 포크형상 접속부는 플러그 컨택트의 접촉부를 계속해서 끼워넣는다. 또한, 이 경우의 플러그 커넥터는 포크형상 접속부와 접촉부의 접촉점 부근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해당 접촉점에는 커다란 힘(회전 모멘트)이 실리기 어렵다. 따라서, 전선이 전선이 늘어선 방향으로 휘어도 플러 그 컨택트와 리셉터클 컨택트는 안정적으로 끼워넣어져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을 감는 것 등에 의해 외력이 가해져도, 커넥터로서의 전기적 특성이 안정되며, 전선 사이에서 특성차가 발생하지 않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 및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 컨택트의 접촉부가 대응하는 전선의 일단부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오프셋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플러그 인슐레이터)는 표리(表裏)방향을 정확한 상태로 하지 않으면, 리셉터클 커넥터(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접속할 수 없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잘못 끼워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플러그 컨택트의 접촉부가 전선에 대하여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오프셋 상태에 근거하여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표리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플러그 인슐레이터)의 표리방향을 반대로 하여 리셉터클 커넥터(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접속할 우려가 적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회로기판에 대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실장강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전선이 흔들려도 리셉터클 컨택트와 플러그 컨택트의 접촉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아래의 설명에서 전후, 상하, 및 좌우 방향은 도면에서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10)는, 서로 접속 및 분리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20)와 플러그 커넥터(7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휴대전화(휴대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그 밖의 정보휴대단말에 내장한 구성부품(예를 들어, 스피커, 마이크, 바이브레이션 모터)과 회로기판(CB)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높이 1mm 정도의 로우 프로파일 커넥터(low profile connector)이다.
먼저, 리셉터클 커넥터(20)에 대하여 주로 도 10 내지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리셉터클 커넥터(20)는 커다란 구성요소로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21)와, 한쌍의 리셉터클 컨택트(50)와, 한쌍의 보강금구(금속부재)(60)를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 인슐레이터(21)는, 절연성이며 내열성인 합성수지재료(예를 들어, 나일론, 액정폴리머, 폴리페닐렌설파이드)를 사출성형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부재이다.
리셉터클 인슐레이터(21)의 뒷부분에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21)의 윗면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오목하고 뒤끝이 개구된 수납오목부(22)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수납오목부(22)의 좌우를 각각 감싸는 좌측벽부(24)와 우측벽부(25)의 내면에는 각각 잠금조각(26)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측벽부(24) 및 우측벽부(25)에는 좌측벽부(24)와 우측벽부(25)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평면에서 볼 때 T자형의 금구 걸어맞춤구멍(27)이 형성되어 있고, 좌우의 금구 걸어맞춤구멍(27)의 앞뒤에는 걸어맞춤면(28)이 형성되어 있다. 수납오목부(22)의 직전에 위치하는 전측벽부(29)에는 좌우 한쌍의 슬릿(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벽부(24)와 우 측벽부(25) 내면의 후단부에는 대략 삼각기둥 형상의 지지기둥부(31)가 돌출설치되어 있고, 좌우의 지지기둥부(31)의 상단부에는 이 상단부의 일부를 잘라냄으로써 성형한 삼각형상의 경사지지면(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측벽부(29)의 직전에는 전측벽부(29)로부터 앞쪽으로 뻗은 칸막이벽(33)에 의해 좌우로 구분된 2개의 컨택트 설치부(34, 35)가 형성되어 있다. 컨택트 설치부(34)와 컨택트 설치부(35)의 후반부의 바닥면을 막는 바닥판부(36,37)의 윗면 전단부에는 수직한 지지벽부(38, 39)가 돌출설치되어 있고, 지지벽부(38, 39)의 뒷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뻗은 간극홈(clearance groove)(40)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벽부(38)와 지지벽부(39)의 직전에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21)의 전단부를 오목하게 설치함으로써 형성한 맞물림 오목부(41, 42)가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컨택트(50)는, 스프링 탄성을 가진 구리합금(예를 들어, 인청동, 베릴륨구리, 티탄구리)이나 코르손계 구리합금의 박판을 도시한 형상으로 순차이송 금형(스탬핑;stamping)에 의해 성형가공한 것으로, 표면에 니켈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에 금도금을 실시하고 있다.
리셉터클 컨택트(50)는, 꼬리부(51)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뻗은 수직부(52)와, 수직부(52)의 상부로부터 뒤쪽을 향하는 포크형상 접속부(53)를 구비하고 있다. 포크형상 접속부(53)는 좌우 한쌍의 파지접속편(54, 55)으로 이루어진다. 우측 파지접속편(54)과 좌측 파지접속편(55)은 모두, 수직부(52)의 상부로부터 뒤쪽으로 뻗은 후에 일단 아래쪽을 향하여 뻗고, 다시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뻗어 있다. 파지접속편(54)과 파지접속편(55)의 후단부(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뻗은 부분)가 접속부(56, 57)를 구성하고 있고, 접속부(56) 및 접속부(57)에는 서로 대향하는 협지용 돌출부(58)가 각각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직부(52)의 좌우양측면에는 한쌍의 걸어맞춤조각(59)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컨택트(50)의 표면에는 도금을 실시하고 있는데, 꼬리부(51), 접속부(56, 57)의 표면에만 금도금을 실시하여도 된다(꼬리부(51)와 접속부(56, 57) 사이의 표면부는 니켈도금을 노출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리셉터클 컨택트(50)에 대한 땜납 위킹(solder wicking)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2개의 리셉터클 컨택트(5)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21)의 컨택트 설치부(34)와 컨택트 설치부(35)에, 서로 같은 방향으로 향하고, 좌우방향으로 나란한 상태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파지접속편(54) 및 파지접속편(55)의 대략 수평한 기단부(수직부(52) 상부에 이어지는 부분)를 지지벽부(38, 39) 윗면에 끼워맞추고, 파지접속편(54) 및 파지접속편(55)의 뒷부분을 바닥판부(36, 37)의 바로 위에 위치시켜, 수직부(52)를 맞물림 오목부(41, 42) 안에 위치시킨다. 그러면, 도 3,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꼬리부(51)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21)의 아래쪽으로 돌출한다. 또한, 좌우의 리셉터클 컨택트(50)의 걸어맞춤조각(59)이 맞물림 오목부(41, 42)의 좌우 양측벽에 맞물리기 때문에, 좌우의 리셉터클 컨택트(50)가 컨택트 설치부(34, 35)에 고정된다.
보강금구(60)는 금속 평판을 가공한 것으로, 그 표면에는 니켈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에 금도금이나 땜납도금을 실시하고 있다. 보강금구(60)는, 그 하단부 를 이루는 납땜부(보강실장부)(61)와, 상단부로부터 앞뒤로 뻗은 한쌍의 맞물림 돌출부(62)와, 맞물림 돌출부(62)의 아래쪽에서 앞쪽과 뒤쪽으로 각각 돌출하는 한쌍의 걸어맞춤조각(63)을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보강금구(60)를 좌우의 금구 걸어맞춤구멍(27)에 위쪽에서부터 끼워맞추면, 전후의 맞물림 돌출부(62)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21)의 전후의 걸어맞춤면(28)에 접촉하여, 도 3,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납땜부(61)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21) 아래쪽으로 돌출한다. 또한, 전후의 걸어맞춤조각(63)이 금구 걸어맞춤구멍(27)의 전벽과 후벽에 맞물리기(압접되기) 때문에, 좌우의 보강금구(60)는 좌우의 금구 걸어맞춤구멍(27)에 각각 고정된다(일체화된다).
이와 같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21), 리셉터클 컨택트(50), 및 보강금구(60)를 일체화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20)를 구성한 후에, 리셉터클 인슐레이터(21)의 아랫면으로 돌출하는 각 꼬리부(51)를 회로기판(CB)(도 1, 도 2 등 참조)의 신호용 패턴(미도시)에 납땜하고, 또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21)의 아랫면으로 돌출하는 각 납땜부(61)를 회로기판(CB)의 접지 등의 패턴(미도시)에 납땜한다.
이어서, 플러그 커넥터(70)에 대하여 주로 도 14 내지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70)는 커다란 구성요소로서, 플러그 인슐레이터(71)와, 한쌍의 케이블(100)과, 한쌍의 플러그 컨택트(110)를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 인슐레이터(71)는 절연성 합성수지 재료(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등)를 사출성형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부재이며, 리 셉터클 인솔레이터(21)의 수납오목부(22)에 완전히 수납할 수 있는 치수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인슐레이터(71)는, 후벽부(72), 전벽부(73), 우측벽부(74), 좌측벽부(75) 및 후벽부(72)와 전벽부(73)를 접속시키는 중앙벽부(76)를 가지고 있다. 후벽부(72)에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을 이루는 원형오목부(78)가 좌우 한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후벽부(72), 전벽부(73), 우측벽부(74) 및 중앙벽부(76)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의 천장면에는, 모두 원형오목부(78)와 동축이며 같은 곡률의 단면이 원호형상을 이루는 중앙원호면(79) 및 전측원호면(80)이 앞뒤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형오목부(78)와 중앙원호면(79)의 사이에는 이들을 접속시키는 접속원호면(81)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원호면(79)과 전측원호면(80)의 사이에는 이들을 접속시키는 접속원호면(8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원호면(81) 및 접속원호면(82)도 원형오목부(78)와 동축이며 같은 곡률의 단면 원호형상이다. 또한, 상기 천장면에는 좌우 한쌍을 이루는 파지편용 오목부(84)와 파지편용 오목부(85)가 앞뒤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또한 이 천장면에서의 중앙원호면(79), 좌측 파지편용 오목부(84), 및 좌측 파지편용 오목부(85)의 좌측에는 연결부용 오목부(86)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천장면에서의 전측원호면(80)의 우측에는 중간부용 오목부(87)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전벽부(73)에는 중앙부용 오목부(87)와 연속되는 전측관통구멍(8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벽부(73)에서의 전측관통구멍(88)의 바로 위에는 맞물림 오목부(89)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후벽부(72)의 우측 절반부분은 이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고, 후벽부(72)의 좌측 절반부분에도 같은 형상의 원형오목부(78), 중앙원호면(79), 전측원호면(80), 접속원호면(81), 접속원호면(82), 파지편용 오목부(84), 파지편용 오목부(85), 연결부용 오목부(86), 중간부용 오목부(87), 전측관통구멍(88), 및 맞물림 오목부(8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인슐레이터(71) 뒷부분에서의 좌우 상단 각부분에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21)의 경사지지면(32)과 같은 경사각도의 경사맞닿음면(91)이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 인슐레이터(71)의 좌우 양측부에는 잠금용 오목부(92)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좌우 한쌍의 케이블(전선)(100)은, 심지선(101)(리츠와이어(litz wire)나 단선)의 표면을 튜브형상 절연체(102)로 피복한 것이다. 절연체(102)는 플러그 인슐레이터(71)의 원형오목부(78), 중앙원호면(79), 전측원호면(80), 접속원호면(81) 및 접속원호면(82)과 대략 같은 곡률의 원통부재이다.
도시를 생략하였는데, 심지선(101)의 타단부(후단부)는 정보휴대단말에 내장된 구성부품(예를 들어, 스피커, 마이크, 바이브레이션 모터)에 접속되어 있다.
플러그 컨택트(110)는 구리합금(예를 들어, 인청동, 베릴륨구리, 티탄구리)이나 코르손계 구리합금의 박판을 도시한 형상으로 순차이송 금형(스탬핑)에 의해 성형가공한 것으로, 표면에 니켈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에 금도금을 실시하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컨택트(110)는, 전후방향으로 뻗는 동시에 플러그 인슐레이터(71)와 평행한 평면(도면에서는 수평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판형상 접촉부(111)와, 접촉부(111)의 후단으로부터 뒤쪽으로 뻗은 중간부(112)와, 중간부(112)의 후단으로부터 좌측으로 뻗은 전측 전선접속부(113)와, 전측 전선접속부(113)의 우측 단부로부터 뒤쪽으로 뻗은 연결부(114)와, 연결부(114)의 후단으로부터 우측으로 뻗은 후측 전선접속부(11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측 전선접속부(113)의 상부에는 좌우 한쌍의 압접편(117)이 돌출설치되어 있고, 후측 전선접속부(115)의 상부에는 좌우 한쌍의 압접편(118)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111) 윗면의 후단부에는 맞물림 돌출부(120)가 돌출설치되어 있고, 후측 전선접속부(115)의 우측면에는 걸어맞춤조각(121)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좌우의 케이블(100) 및 플러그 컨택트(110)는 플러그 인슐레이터(71)의 바닥부에 고정됨으로써 플러그 인슐레이터(71)와 일체화된다.
케이블(100) 및 플러그 컨택트(110)를 플러그 인슐레이터(71)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좌우 케이블(100)의 전단부(일단부)를 플러그 인슐레이터(71)의 좌우의 원형오목부(78)로 밀어넣으면서 삽입하는 동시에, 접속원호면(81), 중앙원호면(79), 접속원호면(82) 및 전측원호면(80)에 끼워맞춤으로써, 좌우의 케이블(100)을 플러그 인슐레이터(71)의 바닥부에 임시보유시킨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형오목부(78)의 하단개구부 치수가 절연체(102)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임시보유한 후에 자칫 케이블(100)이 원형오목부(78)의 아래쪽으로 빠져버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좌우의 플러그 컨택트(110)의 한쌍의 압접편(118)을 플러그 인슐레이터(71)의 한쌍의 파지편용 오목부(84)에 끼워맞추고, 한쌍의 압접편(117)을 한쌍의 파지편용 오목부(85)에 끼워맞추고, 연결부(114)를 대응하는 연결부용 오목부(86)에 끼 워맞추고, 중간부(112)를 중간부용 오목부(87)에 끼워맞추고, 좌우의 플러그 컨택트(110)의 접촉부(111)를 좌우의 전측관통구멍(88)으로부터 플러그 인슐레이터(71)의 앞쪽으로 돌출시킨다. 그러면, 맞물림 돌출부(120)가 맞물림 오목부(89)의 바닥면(뒷면)에 맞물리고, 걸어맞춤조각(121)이 우측 파지편용 오목부(84)의 우측벽에 맞물리기 때문에, 좌우 플러그 컨택트(110)가 플러그 인슐레이터(71)에 고정된다. 또한, 이와 같이 좌우 플러그 컨택트(110)를 플러그 인슐레이터(71)의 바닥부에 고정하면, 좌우의 압접편(117) 및 압접편(118)이 절연체(102)의 대응부분을 뚫고 절연체(102) 안에 위치하는 심지선(101)을 좌우에서 협지한다. 따라서, 좌우 플러그 컨택트(110)와 심지선(101)이 확실하게 접촉하고, 케이블(100)이 플러그 컨택트(110)를 통하여 플러그 인슐레이터(71)에 완전히 고정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좌우 케이블(100) 및 플러그 컨택트(110)를 플러그 인슐레이터(71)에 고정하면, 각 케이블(100) 및 플러그 컨택트(110)가 하나의 수평면 위에 위치(같은 높이에 위치)되고, 좌우 케이블(100) 및 플러그 컨택트(110)의 하단이 플러그 인슐레이터(71)의 바닥면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또한, 좌우의 접촉부(111)가 대응하는 케이블(100)에 대하여 오른쪽으로 오프셋된다.
리셉터클 커넥터(20)와 플러그 커넥터(70)를 접속하기 위해서는, 먼저 리셉터클 커넥터(20)와 플러그 커넥터(70)를 도 5에 나타내는 자세로 한다. 그리고, 이 자세를 유지한 채로, 플러그 인슐레이터(71)를 수납오목부(22)에 끼워맞추고, 좌우의 접촉부(111)를, 좌우 슬릿(30)과, 좌우 리셉터클 컨택트(50)에서의 접속부(56)(협지용 돌출부(58))와 접속부(57)(협지용 돌출부(58))의 사이에 끼워맞추며, 또한 플러그 컨택트(110)의 전단부를 좌우의 간극홈(40) 안에 위치시킨다(도 4 참조). 그러면, 플러그 인슐레이터(71)의 좌우 경사맞닿음면(91)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21)의 좌우 경사지지면(32)에 접촉된다. 또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21)의 좌우 잠금조각(26)이 플러그 인슐레이터(71)의 좌우 잠금용 오목부(92)에 맞물리기 때문에, 플러그 인슐레이터(71)가 수납오목부(22)로부터 위쪽으로 자칫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납오목부(22)의 후단개구부의 좌우치수(좌우 지지기둥부(31) 사이의 좌우치수)보다 플러그 인슐레이터(71)의 좌우폭이 크기 때문에, 플러그 인슐레이터(71)가 수납오목부(22)로부터 뒤쪽으로 자칫하여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좌우의 접촉부(111)는 자유상태에서의 좌우의 리셉터클 컨택트(50)의 접속부(56)(협지용 돌출부(58))와 접속부(57)(협지용 돌출부(58))보다 약간 폭이 넓기 때문에, 접촉부(111)를 접속부(56)와 접속부(57)의 틈에 삽입하면, 접속부(56)와 접속부(57)가 열림방향으로 약간 탄성변형하고, 접속부(56)와 접속부(57)가 탄성변형한 채 접촉부(111)를 협지한다. 그 때문에, 좌우 접촉부(111)의 양측과 리셉터클 컨택트(50)가 확실하게 2곳에서 접촉하고, 좌우 접촉부(111)와 좌우 리셉터클 컨택트(50)를 통하여 좌우 케이블(100)의 후단부에 접속한 상기 구성부품과 회로기판(CB)이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케이블(100) 및 리셉터클 컨택트(50)를 플러그 인슐레이터(71)에 하나의 수평면 위에 위치하도록(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플러그 인슐레이터(71)를 저배화할 수 있다. 게다가, 리셉터클 커넥터(20)와 플러그 커넥터(70)를 접속하였을 때 리셉터클 인슐레이터(21)의 수납오목부(22)에 플러그 인슐레이터(71) 전체가 수납되기 때문에, 커넥터(10) 전체를 저배화(低背化)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리셉터클 컨택트(50)를 (마주보게 하지 않고) 같은 방향을 향하면서 좌우방향으로 나란하게 리셉터클 인슐레이터(21)에 고정하고, 또한 플러그 컨택트(110)의 접촉부(111)가 케이블(100) 및 플러그 컨택트(110)가 위치하는 수평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판형상이기 때문에, 좌우(폭) 방향으로 같은 피치로 다극화할 수 있으며, 신호선(전선수)가 증가하여도 로우 프로파일이며 소형의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컨택트(50)가 포크형상 접속부(53)를 구비하고, 이 포크형상 접속부(53)로 플러그 컨택트(110)의 접촉부(111)를 파지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전기적 접속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케이블(100)이 좌우방향으로 휜 경우에 그 효과가 현저하다.
즉, 케이블(100)이 흔들리면 플러그 커넥터(70)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21)의 수납오목부(22) 안에서 약간 회전하는데, 리셉터클 컨택트(50)의 포크형상 접속부(53)는 플러그 컨택트(110)의 접촉부(111)를 계속해서 끼워넣는다. 또한, 이 경우의 플러그 커넥터(70)는 포크형상 접속부(53)와 접촉부(111)의 접촉점 부근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해당 접촉점에는 커다란 힘(회전 모멘트)이 실리지 않는다. 따라서, 케이블(100)이 좌우방향으로 휘어도 플러그 컨택트(110)와 리셉터클 컨택트(50)는 안정된 접촉상태를 쉽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100)을 감 는 것 등에 의해 외력이 가해져도, 커넥터(10)로서의 전기적 특성을 안정시켜 좌우의 케이블(100) 사이에서 특성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컨택트(110)의 접촉부(111)가 대응하는 케이블(100)의 전단부의 연장방향(전후방향)에 대하여 오른쪽으로 오프셋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70)(플러그 인슐레이터(71))는 표리 방향을 바른 상태로 하지 않으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21)(리셉터클 커넥터(20))에 접속할 수 없다. 또한, 플러그 인슐레이터(71)에 좌우 한쌍의 경사맞닿음면(91)을 형성하고, 리셉터클 인슐레이터(21)에 좌우 한쌍의 경사지지면(32)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플러그 인슐레이터(71)의 표리를 반대방향으로 하여 수납오목부(22)에 끼워맞추려고 하면, 좌우의 경사맞닿음면(91)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21)의 윗면에 접촉되어, 플러그 인슐레이터(71)를 수납오목부(22)에 끼워맞출 수 없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70)와 리셉터클 커넥터(20)의 끼워맞춤 에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70)와 리셉터클 커넥터(20)를 접속하는 작업자는, 접촉부(111)가 케이블(100)에 대하여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70)(플러그 인슐레이터(71))의 표리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70)(플러그 인슐레이터(71))의 표리방향을 반대로 하여 리셉터클 커넥터(20)(리셉터클 인슐레이터(21))에 접속할 우려가 적다.
또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21)에 좌우 한쌍의 보강금구(60)를 끼워맞추어 고정하고, 그 납땜부(61)를 회로기판(CB)에 납땜하고 있기 때문에, 리셉터클 인슐레이터(21)의 회로기판(CB)에 대한 박리강도가 높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리셉터클 컨택트(50)와 플러그 컨택트(110)를 2극으로 하여 실시하였는데, 3극 이상으로 하여 실시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플러그 컨택트(110)에 2개의 전선접촉부(전측 전선접속부(113), 후측 전선접속부(115))를 형성하였는데, 한쪽 전선접촉부를 생략하여도 된다.
또한, 보조실장부로서 2개의 보강금구(60)를 사용하고 있는데, 보강금구(60)를 이용하는 대신, 리셉터클 컨택트(50)에 꼬리부(51)와는 위치를 다르게 하여 회로기판(CB)에 실장하는 보조실장부를 돌출설치하여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조립했을 때의 뒤쪽을 비스듬히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조립했을 때의 앞쪽을 비스듬히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조립했을 때의 앞쪽을 비스듬히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조립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5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조립하기 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VI-VI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VII-VII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VIII-VIII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IX-IX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리셉터클 커넥터 뒤쪽을 비스듬히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리셉터클 커넥터 뒤쪽을 비스듬히 위쪽에서 본 본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리셉터클 커넥터 앞쪽을 비스듬히 위쪽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플러그 커넥터 뒤쪽을 비스듬히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플러그 커넥터 앞쪽을 비스듬히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플러그 커넥터 뒤쪽을 비스듬히 위쪽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플러그 커넥터 앞쪽을 비스듬히 아래쪽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저면도이다.
도 19는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정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커넥터 20: 리셉터클 커넥터
21: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22: 수납오목부
24: 좌측벽부 25: 우측벽부
26: 잠금조각 27: 금구 걸어맞춤구멍
28: 걸어맞춤면 29: 전측벽부
30: 슬릿 31: 지지기둥부
32: 경사지지면 33: 칸막이벽
34, 35: 컨택트 설치부 36, 37: 바닥판부
38, 39: 지지벽부 40: 간극홈
41, 42: 맞물림 오목부 50: 리셉터클 컨택트
51: 꼬리부 52: 수직부
53: 포크형상 접속부 54, 55: 파지접속편
56, 57: 접속부 58: 협지용 돌출부
59: 걸어맞춤조각 60: 보강금구(금속부재)
61: 납땜부(보조실장부) 62: 맞물림 돌출부
63: 걸어맞춤조각 70: 플러그 커넥터
71: 플러그 인슐레이터 72: 후벽부
73: 전벽부 74: 우측벽부
75: 좌측벽부 76: 중앙벽부
78: 원형오목부(끼워맞춤 보유홈) 79: 중앙원호면(끼워맞춤 보유홈)
80: 전측원호면(끼워맞춤 보유홈) 81, 82: 접속원호면(끼워맞춤 보유홈)
84, 85: 파지편용 오목부(끼워맞춤 보유홈)
86: 연결부용 오목부(끼워맞춤 보유홈)
87: 중간부용 오목부(끼워맞춤 보유홈)
88: 전측관통구멍(끼워맞춤 보유홈)
89: 맞물림 오목부 91: 경사맞닿음면
92: 잠금용 오목부 100: 전선(케이블)
101: 심지선 102: 절연체
110: 플러그 컨택트 111: 접촉부
112: 중간부 113: 전측 전선접속부
114: 연결부 115: 후측 전선접속부
117, 118: 압접편 120: 맞물림 돌출부
121: 걸어맞춤조각 CB: 회로기판

Claims (6)

  1. 수납오목부를 형성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및 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일방향으로 나란한 상태로 지지되며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복수개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가지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수납오목부에 전체를 수납할 수 있는 치수의 플러그 인슐레이터, 이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상기 일방향으로 나란한 상태로 지지되며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같은 수의 플러그 컨택트, 및 각 플러그 컨택트에 그 일단부를 각각 접속한 복수개의 전선을 가지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착탈가능한 플러그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에 포크형상 접속부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 컨택트에 상기 포크형상 접속부에 끼워져 들어가는 접촉부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상기 수납오목부의 바닥부와의 대향부에, 상기 전선 및 플러그 컨택트를 일평면상에서 끼워맞추어 보유하는 끼워맞춤 보유홈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상기 전선의 타단부측과 반대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일평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판이며,
    상기 각 리셉터클 컨택트가 같은 방향을 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컨택트의 상기 접촉부가, 대응하는 상기 전선의 일단부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상기 전선이 늘어선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플러그 컨택트가,
    상기 전선의 상기 일단부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고, 상기 전선을 협지함으로써 이 전선과 도통하는 포크형상부를 가지는 전선접속부와,
    상기 접촉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꼬리부, 및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와 일체화되어 있는 금속부재에 형성한 보조실장부를,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한 커넥터.
  5. 수납오목부를 형성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및 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동일 방향을 향한 상태로 일방향으로 나란히 지지되고 포크형상 접속부를 구비하며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복수개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가지고, 리셉터클 커넥터와 접속할 수 있는 플러크 커넥터로서,
    상기 수납오목부에 전체를 수납할 수 있는 치수의 플러그 인슐레이터와,
    이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상기 일방향으로 나란한 상태로 지지되며 상기 리셉 터클 컨택트와 같은 수의 플러그 컨택트와,
    각 플러그 컨택트에 그 일단부를 각각 접속한 복수개의 전선을 가지고,
    상기 플러그 컨택트에 상기 포크형상 접속부에 끼워져 들어가는 접촉부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상기 수납오목부의 바닥부와의 대향부에, 상기 전선 및 플러그 컨택트를 일평면상에서 끼워맞추어 보유하는 끼워맞춤 보유홈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상기 전선의 타단부측과 반대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일평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 또는 제 5 항에 기재된 플러그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KR1020080030198A 2008-01-30 2008-04-01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휴대단말 KR200900838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0018851 2008-01-30
JP2008018851A JP2009181769A (ja) 2008-01-30 2008-01-30 コネクタ、プラグコネクタ、及び携帯端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832A true KR20090083832A (ko) 2009-08-04

Family

ID=40899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198A KR20090083832A (ko) 2008-01-30 2008-04-01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휴대단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28585B2 (ko)
JP (1) JP2009181769A (ko)
KR (1) KR200900838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834A (ko) * 2015-06-25 2017-01-0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케이블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9243B2 (ja) * 2005-06-09 2012-03-0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装置
KR101166230B1 (ko) * 2010-01-27 2012-07-18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JP5557377B2 (ja) * 2010-03-23 2014-07-23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の電線に対する接続構造
CN201667411U (zh) * 2010-03-31 2010-12-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597030B2 (ja) * 2010-05-28 2014-10-0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12003874A (ja) * 2010-06-15 2012-01-05 Fujitsu Ltd 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およびプラグコネクタ
JP5571539B2 (ja) 2010-07-23 2014-08-13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該コネクタを利用したled照明器具
KR101186486B1 (ko) * 2011-04-12 2012-09-27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US20130090018A1 (en) * 2011-10-06 2013-04-1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able connector
DE102011084900A1 (de) * 2011-10-20 2013-04-25 Airbus Operations Gmbh Anbindungsanordnung sowie Halteelement zum Anschluss einer elektrischen Leitung an einen Bauteilabschnitt
DE102012105508B4 (de) * 2012-06-25 2016-11-10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Stiftkontaktelement und Elektronikgehäuse
US9590373B2 (en) * 2012-11-19 2017-03-07 Intel Corporation Providing orientation support in receptacles
JP6005575B2 (ja) * 2013-04-11 2016-10-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51500B2 (ja) * 2013-06-27 2017-12-2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TWI489697B (zh) * 2013-08-09 2015-06-21 Wistron Corp 線對板連接器組合及其板端連接器
JP6249676B2 (ja) * 2013-08-21 2017-12-20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電気コネクタ
CN103811910B (zh) * 2014-02-07 2018-03-09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电连接器
US9306325B2 (en) * 2014-03-18 2016-04-05 Cho-Yao Cheng Plug, socket and their combined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or
US9337573B2 (en) * 2014-07-01 2016-05-10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jumper element assembled thereon
US9270053B2 (en) * 2014-07-01 2016-02-23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jumper element assembled thereon
CN105449403B (zh) * 2014-08-28 2018-03-30 欧普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照明设备用分线连接器及分线连接器组合
JP6254542B2 (ja) * 2015-02-10 2017-12-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US10985479B2 (en) 2016-08-30 2021-04-20 Samtec, Inc. Compression-mounted electrical connector
DE102016120063B4 (de) * 2016-10-20 2018-07-1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ung
EP3396789B1 (en) * 2017-04-27 2021-03-03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for airbag restraint systems
DE102017123080A1 (de) * 2017-10-05 2019-04-11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elektrischen Steckverbinders
JP2019140046A (ja) * 2018-02-15 2019-08-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コネクタ装置
US10916885B2 (en) * 2018-04-17 2021-02-09 Amphenol AssembleTech(Xiamen) Co., Ltd High-speed connector for automobile
CN110611221B (zh) * 2018-06-14 2021-02-26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锁固结构及采用该锁固结构的线缆接头组件
WO2019244549A1 (ja) * 2018-06-22 2019-12-26 株式会社フジクラ 電気コネクタ
JP7042711B2 (ja) * 2018-07-03 2022-03-2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CN116014507A (zh) 2018-07-12 2023-04-25 申泰公司 缆线连接器系统
JP7202937B2 (ja) * 2018-12-19 2023-01-1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TWM601912U (zh) * 2019-03-26 2020-09-21 英屬開曼群島商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插座連接器
US11515655B2 (en) * 2019-04-08 2022-11-29 Amphenol AssembleTech(Xiamen) Co., Ltd High-speed connector for automobile
WO2021001688A1 (en) 2019-07-01 2021-01-07 Amphenol Fci Asia Pte. Ltd. Wire to board connector with low height
CN110635273A (zh) * 2019-10-14 2019-12-31 厦门广泓工贸有限公司 一种便于插接的连接器
CN117293575A (zh) * 2020-03-26 2023-12-26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装置及端子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718A (en) * 1910-03-08 1912-01-16 Isaac Hardy Parsons Electrical coupling.
US1835109A (en) * 1928-01-25 1931-12-08 Thomas J Ayres Stage cable connecter
US2258269A (en) * 1940-03-21 1941-10-07 Stoner Mfg Corp Plug and jack construction
US2728060A (en) * 1954-08-13 1955-12-20 America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3078433A (en) * 1959-05-07 1963-02-19 Res Engineering Co Self-retaining electrical cable connector
US3537062A (en) * 1968-07-15 1970-10-27 Shale J Niskin Underwater electrical connector
US3551879A (en) * 1968-12-20 1970-12-29 Edmund M Waller Sr Nonloosening electrical connector
US3602659A (en) * 1969-11-25 1971-08-31 Campbell Soup Co Electric plug connector for the handicapped
US3795883A (en) * 1973-01-02 1974-03-05 Mac Valves Inc Electrical disconnect means
US4195894A (en) * 1977-05-04 1980-04-01 Amerace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employing the same
US4109992A (en) * 1977-08-05 1978-08-29 Amp Incorporated Connector for compressor header
US4289366A (en) * 1979-09-18 1981-09-15 Marks Dale H Bisexual electrical connector
JPS5942785A (ja) * 1982-08-31 1984-03-0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4592611A (en) * 1984-09-27 1986-06-03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intended for use in confined areas
US4655522A (en) * 1984-12-24 1987-04-07 Amp Incorporated Electrical terminal receptacle
US4660913A (en) * 1985-02-11 1987-04-28 Turner Philip R Electrical plug and socket assemblies
CA1288490C (en) * 1987-03-04 1991-09-03 Jitendra P. Tomer Electrical cable connector
JP2729561B2 (ja) * 1993-04-16 1998-03-1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8163812A (ja) * 1994-12-07 1996-06-21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構造
US6319015B1 (en) * 1999-08-23 2001-11-20 Michael J. Faunce Garment electrical connector
JP3386783B2 (ja) * 2000-07-14 2003-03-1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ソケットコネクタ
US6457988B1 (en) * 2000-12-21 2002-10-01 Richard S. Eisen Electrical connector
JP2002231393A (ja) * 2001-01-19 2002-08-16 Molex Inc ライトアングル同軸コネクタ
US6910904B2 (en) * 2001-05-04 2005-06-28 Tecumseh Products Company Compressor with terminal assembly having dielectric material
NZ518704A (en) * 2002-05-03 2004-11-26 Auckland Uniservices Ltd Connector set where the pins are angled, such that a pull force on the cables result in a stronger connection
JP4097513B2 (ja) 2002-11-27 2008-06-11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4349026A (ja) * 2003-05-20 2004-12-09 Yazaki Corp ホルダ及びコネクタ
US6830478B1 (en) * 2003-12-10 2004-12-1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Micro coaxial connector assembly with latching means
JP4124760B2 (ja) * 2003-12-22 2008-07-2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保持具
JP4026605B2 (ja) * 2004-03-01 2007-12-26 松下電工株式会社 電線接続用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06012573A (ja) * 2004-06-25 2006-01-12 Jst Mfg Co Ltd 電気的接続装置
JP4117888B2 (ja) * 2004-10-27 2008-07-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4115983B2 (ja) * 2004-11-01 2008-07-0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ブレードコンタクト
JP2006172738A (ja) 2004-12-13 2006-06-29 Kyocera Elco Corp プラグコネクタ、プラグコンタクト、及びプラグコネクタの組立方法
JP4446930B2 (ja) * 2005-05-24 2010-04-0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光電気複合型コネクタ
JP4563915B2 (ja) * 2005-10-21 2010-10-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605785B2 (ja) * 2005-11-30 2011-01-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882578B2 (ja) * 2005-11-30 2012-02-2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子部品接続用コネクタ
US7261580B1 (en) * 2006-04-27 2007-08-28 General Electric Company Cable connector
JP4917448B2 (ja) 2007-02-02 2012-04-1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7597580B1 (en) * 2008-09-17 2009-10-06 Yazaki North America, Inc. Connector with terminal motion redu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834A (ko) * 2015-06-25 2017-01-0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케이블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28585B2 (en) 2010-11-09
US20090191729A1 (en) 2009-07-30
JP2009181769A (ja) 200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3832A (ko)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휴대단말
US11251548B2 (en) Electrical terminal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thereof
US7794285B1 (en) Audio jack connector
US8485832B2 (en) Electrical connector
JP3753687B2 (ja) コネクタ
KR20120049219A (ko)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JP2004095473A (ja) コネクタ
KR101166230B1 (ko) 커넥터
JPWO2019077840A1 (ja) 電気コネクタ
JPH1022009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CN111527650A (zh) 印刷电路板(pcb)直接连接器
WO2008001453A1 (fr) Connecteur de câble coaxial
KR100710447B1 (ko) 플러그 커넥터, 플러그 컨택트, 및 플러그 커넥터의조립방법
JP5134943B2 (ja) コネクタ
WO2001009985A1 (fr) Connecteur pour montage en surface
JP4530887B2 (ja) コネクタ
JP3157049U (ja) 電気コネクタ
JP2019216096A (ja) 中継コネクタ、及びその中継コネクタを用いたコネクタ組立体
US7677904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s bonded to housing
JP4950817B2 (ja) 電子機器の圧接型コネクタ及びその接続構造
CN216980902U (zh) 一种带有快捷立式接线端子的开关电源模组
US11114787B2 (en) Terminal for connector mounted to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or supporting said terminal
CN212725708U (zh) 电连接器
JP2000299167A (ja) 電気コネクタ
JP2000083313A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