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486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486B1
KR101186486B1 KR1020110033929A KR20110033929A KR101186486B1 KR 101186486 B1 KR101186486 B1 KR 101186486B1 KR 1020110033929 A KR1020110033929 A KR 1020110033929A KR 20110033929 A KR20110033929 A KR 20110033929A KR 101186486 B1 KR101186486 B1 KR 101186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nector
plug
receptacl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미츠 쿠리모토
Original Assignee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10033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37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specially adapted for accommodating various sized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Abstract

전선을 지지한 플러그 커넥터와 회로기판에 접속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소면적화 및 저배화와, 컨택트 끼리 확실하고 안정되게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게다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견고하게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플러그 커넥터(20)를 리셉터클 커넥터(70)에 장착할 때에, 리셉터클 인슐레이터(71)에 돌출되게 설치한 끼워 맞춤 돌출부(81)가 플러그 인슐레이터(21)에 형성한 끼워 맞춤 오목부(38)에 끼워 맞추어지고, 플러그 컨택트(50)의 접촉부(54)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지지된 리셉터클 컨택트(90)의 탄성 변형부(96)에 의해 끼워져 고정된 커넥터.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전선에 접속하는 플러그 컨택트를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와, 회로기판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기타의 정보 휴대단말의 구성 부품의 일부(예를 들면, 스피커, 마이크, 진동모터)는 회로기판에 납땜 부착 후 행하는 리플로에 대응할 수 없기 때문에 회로기판에 직접 실장할 수 없다. 그 때문에 회로기판에 리셉터클 커넥터를 실장함과 동시에 해당 부품을 전선을 매개하여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하고 이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접속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종류의 커넥터의 종래 예인 특허문헌 1(일본국 특허 제3745318호 공보)의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인슐레이터와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일 방향으로 나란히 고정한 한 쌍의 금속제의 플러그 컨택트, 각 플러그 컨택트에 접속하는 한 쌍의 전선을 구비하고 있다. 각 플러그 컨택트는 상기의 일 방향으로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뻗어있는 접촉부(접촉판)와 접촉부에서 다른 측의 플러그 컨택트 측으로 뻗어있는 연출부(延出部)(연결부, 기부)와, 연출부의 상기 직교 방향의 양 단부에서 리셉터클 커넥터 측으로 향하여 뻗어 있고, 또 전선에 접속하는 한 쌍의 누름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리셉터클 커넥터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상기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고정하며, 회로기판에 접속하는 한 쌍의 금속제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상기 일 방향의 양단부에는 리셉터클 컨택트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측벽이 플러그 커넥트 측으로 향하여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한 쌍의 측벽 사이에는 플러그 커넥트를 끼워 맞추기 위한 오목부로 되어있다. 또한 각 리셉터클 컨택트는 그의 일단이 각 측벽에 고정 상태로 지지되어 있고, 타단측은 탄성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의 오목부에 플러그 커넥터를 끼워 맞추면, 리셉터클 커넥터의 한 쌍의 리셉터클 컨택트의 자유단부가 탄성변형하면서 한 쌍의 플러그 컨택트의 접촉부에 접촉하기 때문에 한 쌍의 전선과 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근년, 기기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커넥터에 대한 저배화와 성면적화의 요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 대응책으로서 특허문헌1의 커넥터에서는 상자 형상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전선을 지지한 플러그 커넥터를 끼워 맞추어서 플러그 커넥터의 측면에 형성한 플러그 컨택트의 접촉부에 리셉터클 컨택트의 자유단부를 한쪽으로부터 접촉시키는 구조로 하여 저배화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컨택트끼리의 접촉 형태가 상기의 형태이기 때문에 리셉터클 컨택트의 소형화에 따라서 그의 탄성력이 저하하면, 전선 진동이나 끼워맞춤 편차에 의한 기울어짐의 영향을 받아서 변위량이 변화하여 접촉저항이 불안정하게 되기 쉽다.
또한 특허문헌 2(일본국 특허 제3059965호 공보)에 개시된 커넥터에서는 리셉터클 컨택트(실장용 컨택트)를 연결기부에서 두 다리 형상으로 뻗어있는 한 쌍의 협지편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한 쌍의 협지편에 의하여 플러그 컨택트의 접촉부를 협지하는 구조로 하여 컨택트 끼리의 접촉 안정화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한 쌍의 협지편은 밑면 측을 고정하여 끼워 맞춤 측으로 늘어나는 외팔보 스프링이고, 탄성변형을 쉽게 하기 위해서는 길이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협지편을 길게 하면 리셉터클 커넥터의 높이 칫수가 커짐과 동시에 플러그 컨택트와의 접촉 위치도 높아지기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의 접촉부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적층구조(서로의 인슐레이터의 대향면에 끼워 맞추는 오목부와 볼록부를 구비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커넥터 전체로서의 저배화가 곤란하다.
또한 적층구조 때문에 커넥터 전체의 성면적화는 실현될 수 있지만, 전선위치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 맞춤 면(위치)과 떨어져 있기(높게 되기)때문에 전선에 가해지는 외력 등에 의해 플러그에 모멘트가 가해지면 플러그 커넥터에 경사나 끼워 맞춤 어긋남이 생기기 쉽다.
결국, 저배화 및 성면적화라고 하는 관점에서 보게 되면 특허문헌 1의 커넥터에서는 성면적화와 접촉 신뢰성이 문제가 되고, 특허문헌 2의 커넥터에서는 저배화와 끼워 맞춤 유지력이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선을 지지한 플러그 커넥터와 회로기판에 접속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소면적화 및 저배화와, 컨택트 끼리를 확실하고 또 안정되게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게다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견고하게 접촉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일 방향으로 나란한 상태로 지지하고, 회로기판에 실장 되는 한 쌍의 금속제 리셉터클 컨택트를 가진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인슐레이터, 이 인슐레이터에 상기 일 방향으로 나란한 상태로 지지한 한 쌍의 금속제 플러그 컨택트 및 각 플러그 컨택트에 그의 일단부를 각각 접속한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있는 한 쌍의 전선을 가지며,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붙이고 떼기가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컨택트가 상기 일 방향 및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대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있는 접촉부와, 이 접촉부에서 다른 방향의 플러그 컨택트 측으로 향하여 뻗어 있는 한 쌍의 연결부와, 이 한 쌍의 연결부에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뻗은 후에 다른 쪽의 플러그 컨택트 측으로 향하여 뻗어 있으며, 상기 전선과 접속하는 한 쌍의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와의 대향면에 상기 접촉부를 끼워 맞추어 유지하는 한 쌍의 끼워 맞춤 유지부와, 또 한 쌍의 끼워 맞춤 유지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를 받아들이는 한 쌍의 끼워 맞춤 오목부와, 이 한 쌍의 끼워 맞춤 오목부 사이에 형성한 상기 접속부 및 상기 전선을 받아들이는 수용 오목부와, 상기 수용 오목부에 인접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와 상기 일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또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 측으로 뻗어서 상기 전선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전선 지지구멍을 가지며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 측으로 뻗어있는 벽부를 형성하고,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가 고정부와, 이 고정부에서 다른쪽의 리셉터클 컨택트 측으로 향하여 뻗어있음과 동시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 측이 열려 있는 단면이 대략 U자형을 이루는 부분을 가지고, 또 자유상태에서 대략 U자형을 이루는 부분의 대향 내면의 상기 일 방향의 간격이 상기 접촉부의 상기 일 방향의 칫수보다 좁은 탄성 변형부를 가지며,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플러그 커넥터와의 대향면에 상기 고정부를 끼워 맞추어 유지하는 한 쌍의 고정홈과, 이 한 쌍의 고정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 변형부를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받아들이는 한 쌍의 컨택트용 오목부와, 이 한 쌍의 컨택트용 오목부 사이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측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상기 탄성 변형편의 자유단부와 상기 일 방향으로 대향하고, 또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장착할 때에 상기 끼워 맞춤 오목부에 끼워 맞추는 한 쌍의 끼워 맞춤 돌출부와, 상기 한 쌍의 끼워 맞춤 돌출부 사이에 형성한 상기 한 쌍의 전선을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한 전선 수용공간을 가지고,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플러그 커넥터와의 대향면에, 상기 컨택트용 오목부와 상기 전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나란하면서 상기 접촉부를 걸거나 벗기는 것이 가능한 수용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상기 벽부에서 리셉터클 커넥터 측의 단부에 걸어맞춤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장착할 때에 상기 걸어 맞춤 돌출부를 받아들이는 걸어 맞춤 오목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전선의 단면 형상이 원형이고,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의 대향면에, 상기 전선 수용공간에서 상기 끼워 맞춤 돌출부에 접속하고, 또 상기 대향면 측에서 상기 플러그 컨택트 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끼워 맞춤 돌출부에서의 상기 일 방향의 돌출 량이 서서히 작아지는 보강 리브를 돌출하게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 플러그 컨택트의 상기 접촉부가 하나의 금속판을 절곡함으로써 구성한 2매 판 구조로 하여도 좋다.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지그의 일부를 끼우고 빼기가 가능한 지그 삽입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접촉부와 상기 탄성 변형부의 한 쪽에 걸림 오목부를 형성하고 다른 쪽에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장착할 때에 상기 걸림 오목부에 끼워 맞추는 걸림 오목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접촉부와 상기 탄성 변형부의 한 쪽에 제 1 걸림 오목부를 형성하고, 다른 쪽에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장착할 때에 상기 제 1 걸림 돌출부를 타고 넘어서 이 제 1 걸림 돌출부에 걸리는 제 2 걸림 돌출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외면에 상기 전선의 연장 방향으로 돌출하고 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분리방향 측으로부터 상기 전선과 대향하는 누름용 돌출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리셉터클 컨택트의 탄성 변형부는 커넥터의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있기 때문에, 커넥터가 저배화 하여도 충분한 탄성력과 변형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끼워 맞춤 측에 대략 U자 형상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의 끌어들이는 성질이 뛰어나고 플러그 커넥터의 무리한 접촉에 의한 좌굴,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컨택트는 플러그 컨택트의 접촉부를 협지 가능하기 때문에 접촉 신뢰성이 양호하다.
또한, 플러그 컨택트의 접촉부와 연결부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고, 이 단차부에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벽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벽부의 판 두께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플러그 커낵터를 저배화 및 성면적화 한 경우에도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기계적 강도나 전선 지지의 효과를 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장착할 때에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끼워 맞춤 돌출부가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끼워 맞춤 오목부에 끼워 맞추어지기 때문에 전선 등에 부주의로 외력이 가해진다 하여도 끼워 맞춤 돌출부와 끼워 맞춤 오목부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붙었다 떨어졌다 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의 분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측에 끼워 맞춤 돌출부를 돌출설치하고 있고, 끼워 맞춤 돌출부를 플러그 인슐레이터 측의 끼워 맞춤 오목부에 끼워 맞추기 때문에 커넥터 전체가 고배화 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의 단차에 의해 성면적화를 도모하면서 끼워 맞춤 오목부와 끼워 맞춤 돌출부를 전선의 연장 방향으로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끼워 맞춤 돌출부의 기계적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기계적 강도를 강하게 하면서, 끼워 맞춤 돌출부를 끼워 맞춤 오목부에 끼워 맞추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를 저배화, 성면적화 한 경우에 있어서도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견고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컨택트의 단차에 의해 성면적화를 도모하면서 끼워 맞춤 오목부를 전선의 연장 방향으로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끼워 맞춤 오목부에 끼워 맞추는 리셉터클 컨택트의 폭도 크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커넥터를 성면적화 한 경우에 있어서도 리셉터클 컨택트의 탄성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 2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가 플러그 컨택트의 접촉부를 받아들이는 수용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의 접촉부가 리셉터클 컨택트의 탄성 변형부에 끼워 맞출 때에 수용 오목부가 플러그 컨택트의 가이드로서 (이끌어 들이게) 기능하기 때문에 접촉부의 무리한 자세에서의 끼워 맞춤 동작에 기인하는 리셉터클 컨택트의 좌굴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컨택트와 리셉터클 컨택트의 접촉 후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에 불필요한 힘이 가하여져도 수납 오목부에 의해 플러그 컨택트의 접촉부의 위치 규제가 되기 때문에 접촉 성능이 유지된다.
청구항 제 3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에 걸어 맞춤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벽부의 높이를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저배의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도 큰 직경의 전선 지지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직경이 큰 전선을 사용할 수 있고, 또 전선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장착할 때에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걸어 맞춤 돌출부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걸어 맞춤 오목부에 걸어 맞추어지기 때문에 전선 직경이 큰 경우에 있어서도 커넥터 전체의 저배화가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제 4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보강 리브에 의하여 끼워 맞춤 돌출부의 강도가 높게 되기 때문에 커넥터를 저배화 한 경우에 있어서도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다 견고하게 접속시킬 수 있고, 또 플러그 커넥터의 부주의한 장착 조작을 행한다 하여도 끼워 맞춤 돌출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 리브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서 플러그 커넥터와의 대향면 측에서 플러그 커넥터 측으로 향함에 따라 끼워 맞춤 돌출부에서의 돌출량이 서서히 작게 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강 리브는 단면 형상이 원형인 전선과 간섭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커넥터를 소형화하고(전선 수용공간을 소형화하고), 또 전선의 직경을 크게 한 경우에 있어서도 전선을 전선 수용공간에 보강 리브와 간섭하는 일 없이 수납할 수 있다.
청구항 제 5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의 접촉부를 2매 구성으로 하기 때문에, 커넥터의 저배화 및 성면적화에 수반하여 플러그 컨택트의 판 두께가 얇아진다 하여도 접촉부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어, 리셉터클 컨택트와의 장착할 때 등에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의 두께가 증가한 것으로부터 리셉터클 컨택트의 탄성 변형부의 변위량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 신뢰성이 높아진다.
플러그 커넥터를 저배화 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플러그 커넥터를 잡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작업자가 전선을 끌어올림으로써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무리하게 뽑아서 플러그 커넥터의 파손이나 절단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청구항 제 6항 기재의 발명과 같이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지그의 일부를 끼우고 빼기가 가능한 지그 삽입부를 형성하면, 지그를 이용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파손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청구항 제 7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접촉부와 탄성 변형부의 한 쪽에 형성한 걸림 돌출부가 다른 쪽에 형성한 걸림 오목부에 끼워 맞추어지기(걸리기) 때문에, 리셉터클 컨택트와 플러그 컨택트 사이의 끼워 맞춤 유지 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리셉터클 컨택트와 플러그 컨택트를 접속할 때에 클릭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컨택트가 플러그 컨택트에 접속할 때에 걸림 돌출부가 접촉부 표면에서 걸림 오목부의 근방부에 미끄러져 접한 후에 걸림 오목부에 걸어 맞추어진다. 그 때문에 걸림 돌출부에 의하여 접촉부 표면의 해당 근방부에 부착되어 있던 먼지나 티끌 등의 이물이 제거되기 때문에 리셉터클 컨택트와 플러그 컨택트를 확실하게 도통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청구항 제 8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제 7항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제 9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전선이 굴곡할 때에 억압용 돌출부에 접촉하면서 구부러지는 것에 의해 전선과 플러그 컨택트의 접속부로의 부하가 저감되기 때문에 접속부의 소성변형이나 전선의 절단등을 억제할 수 있어, 저배 소형의 커넥터에서도 전선의 반복되는 굴곡 등이 생겨도 보다 안정된 접속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선에 생긴 구부러지는 힘이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에(그다지 크지 않는 동안),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분리하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나 리셉터클 커넥터가 파손되거나 접속부가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전면에서 경사지게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분리 상태를 전면에서 경사지게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 화살표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분리 상태의 도 5와 마찬가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플러그 커넥터의 후면에서 경사지게 상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플러그 커넥터의 전면에서 경사지게 하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플러그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ⅩⅠ-ⅩⅠ 화살표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전면에서 경사지게 상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탄성 변형부가 자유상태에 있을 때에 리셉터클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ⅩⅣ-ⅩⅣ 화살표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ⅩⅤ-ⅩⅤ 화살표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지그를 후방에서 커넥터에 장착할 때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변형 예의 리셉터클 컨택트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9는 다른 변형예의 플러그 커넥터의 전면에서 경사지게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0은 플러그 커넥터의 후면에서 경사지게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1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전선이 상방에서 구부러질 때에 도 21과 마찬가지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 중의 전후, 상하 및 좌우의 방향은 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는, 서로 접속 및 분리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70)로 이루어진 것이며, 예를 들면, 휴대전화(휴대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기타의 정보 휴대 단말에 내장한 구성 부품(예를 들면, 스피커, 마이크, 진동 모터)와 회로기판(110)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높이 1 mm 정도의 저배화 커넥터이다.
먼저 플러그 커넥터(20)에 대하여 주로 도 7에서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20)는 플러그 인슐레이터(21)와, 한 쌍의 케이블(40)과, 한 쌍의 플러그 컨택트(50)를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 인슐레이터(21)는 절연성의 합성수지재료(예를 들면 폴리카본네이트, 나일론, 폴리페닐렌설페이드, LCP 등)를 사출 성형한 좌우 대칭이고 또 전후 대칭을 이루는 대략 직육면체의 부재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인슐레이터(21)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천정부(22)의 하면의 전후 양 가장자리에는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는 벽부(23)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벽부(23)의 하단부의 중앙부에는 걸어 맞춤 돌출부(24)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전후의 벽부(23)에는 좌우 한 쌍의 전선 지지구멍(25)이 관통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전측의 벽부(23)의 전면과 후측의 벽부(23)의 후면에는 좌우 한 쌍의 지그용 오목부(지그 삽입부)(26)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벽부(23)의 좌우 양 단부에는 슬릿(27)이 형성되어 있고, 슬릿(27)의 측방에는 좌우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고 하단부에 걸림 갈고리(29)를 가진 탄성편(28)이 형성되어 있다. 천정부(22)의 네 모서리 근방에는 합계 4 개의 제 1 유지구멍(31)이 상하 방향으로 뻗어있는 관통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각 제 1 유지구멍(31)의 내측에는 4 개로 1 조를 이루도록 구성된 좌우 2 조의 제 2 유지구멍(32)(합계 8개)이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는 관통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제 1 유지구멍(31)의 외측에는 좌우 한 쌍의 장방형을 이루는 제 3 유지구멍(33)이 상하 방향으로 뻗어있는 관통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천정부(22)의 하면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는 전후의 벽부(23)를 접속하고 전후 방향으로 뻗어있는 칸막이벽(34)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제 2 유지구멍(32)의 하면에서 칸막이벽(34)의 좌우 양측은 전후에 위치하는 전선 지지구멍(25)과 동심이고 또 같은 곡률을 이루는 원호면(35)으로 되어 있고, 천정부(22)의 하면의 원호면(35)에 연결되는 부분은 저면에서 보아서 대략 C자 형상을 이루는 C자면(36)으로 되어 있다. 또한 천정부(22)의 하면에서 좌우의 C자면(36)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C자면(36)보다 한 단 깊은 오목부인 (상방에 위치하는) 끼워 맞춤 오목부(38)로 되어 있고, 끼워 맞춤 오목부(38)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끼워 맞춤 오목부(38)보다 한 단 낮은 오목부인 (하방에 위치하는) 끼워 맞춤 유지부(39)로 되어있다.
좌우 한 쌍의 케이블(40)은 도전성 및 가요성을 가진 재료로 되는 심선(41)(연선이나 단선)의 표면을 튜브 형상의 절연체(42)로 피복한 것이다. 절연체(42)는 플러그 인슐레이터(21)의 전선 지지구멍(25) 및 원호면(35)과 같고 대략 같은 곡률의 원통부재이다.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심선(41) 내의 한 쪽 단부(후단부)는 정보 휴대 단말에 내장한 구성부품(예를 들면 스피커, 마이크, 진동 모터, 배터리)에 접속되어 있다.
서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플러그 컨택트(50)는 동합금(인청동, 베릴륨동, 티탄동)이나 코르손계 동합금 박판을 순차이송 금형(스탬핑)에 의해 도시한 형상이 되도록 성형 가공한 것이며 표면에 니켈 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에 금 도금을 실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컨택트(50)는 전후 방향으로 뻗어있음과 동시에 플러그 인슐레이터(21)와 평행한 평면(도면에서는 수평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판 형상(판 두께 0.12mm)의 제 1 접촉판(51)과, 제 1 접촉판(51)의 상면의 중앙부에서 상방으로 뻗은 후에 하방으로 향하는 절곡부(52)와, 절곡부(52)의 하단에 연결되고 또 제 1 접촉판(51)과 평행한 판 형상부인 제 2 접촉판(53)을 가지고 있다. 제 1 접촉판(51)과 제 2 접촉판(53)의 대향면은 서로 미소거리만큼 떨어져 있고(접촉되어도 좋다), 제 1 접촉판(51)과 절곡부(52)와 제 2 접촉판(53)이 접촉부(54)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좌우의 제 1 접촉판(51)의 외측면에는 측면 형상이 가로 방향으로 긴 장방형을 이루는 걸림 오목부(55)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걸림 오목부(55)의 상부 칫수 및 전후 칫수를 후술하는 접촉 돌출부(102)보다 각각 크다). 제 2 접촉판(53)의 전후 양단부에는 평면으로 보아서 굴곡하면서 다른 쪽의 플러그 컨택트(50)측으로 향하여 뻗어있고, 또 그의 상면이 제 1 접촉판(51)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연결부(56)가 설치되어 있고, 연결부(56)의 상면에는 걸림 돌기(57)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전후의 연결부(56)의 하반부로부터는 일단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만곡한 후에 다른 쪽의 플러그 컨택트(50)측으로 향하여 뻗어있는 접속부(59)가 뻗어있다. 각 접속부(59)의 단면에는 유지용 갈고리(61)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좌우의 케이블(40) 및 플러그 컨택트(50)는 플러그 인슐레이터(21)의 저부에 고정함으로써 플러그 인슐레이터(21)와 일체화한다.
케이블(40) 및 플러그 컨택트(50)를 플러그 인슐레이터(21)에 고정하려면, 먼저 좌우 케이블(40)의 전단부를 플러그 인슐레이터(21)의 후측 벽부(23)의 전선 지지구멍(25)으로부터 원호면(35)에 끼워 맞추고, 또한 전측의 벽부(23)의 전선 지지구멍(25)에 삽입하여 좌우의 케이블(40)을 플러그 인슐레이터(21)의 저부에 임시 유지한다. 이어서, 좌우의 플러그 컨택트(50) 하방에서 플러그 인슐레이터(21)의 하면 측(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플러그 컨택트(50)의 제 1 접촉판(51)을 플러그 인슐레이터(21)의 대응하는 끼워 맞춤 유지부(39)에 각각 끼워 맞추고, 전후의 연결부(56)를 적어도 일부가 인접하는 벽부(23)와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하여 끼워 맞춤 오목부(38)에 끼워 맞추며, 전후의 접속부(59)를 C자면(36) 및 원호면(35)이 전후의 벽부(23) 사이에서 만들어 내는 공간인 수용 오목부(37)에 끼워 맞추어진다. 그리고 좌우의 플러그 컨택트(50)를 더욱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절곡부(52)를 대응하는 제 2 유지구멍(33)에 끼워 맞추고, 각 걸림돌기(57)를 대응하는 제 1 유지구멍(31)에 끼워 맞추어서, 각 누름편(60)의 상단부를 대응하는 제 2 유지구멍(32)에 끼워 맞추면, 각 유지용 갈고리(61)가 칸막이벽(34)으로 먹혀들어가므로(도 5, 도 6 참조), 좌우의 플러그 컨택트(50)가 플러그 인슐레이터(21)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좌우의 플러그 컨택트(50)가 플러그 인슐레이터(21)의 저부에 고정되면, 각 접속부(59)의 좌우의 누름편(60)이 대응하는 절연체(42)의 대응 부분을 찢어내서 절연체(42) 내에 위치하는 심선(41)의 한쪽 단부(전단부)의 근방부를 좌우에서 끼워 고정한다(도 5,도 6참조). 따라서, 좌우의 플러그 컨택트(50)와 심선(41)이 확실히 접촉하고, 또 케이블(40)이 플러그 컨택트(50)를 통하여 플러그 인슐레이터(21)에 완전히 고정된다.
이어서, 리셉터클 커넥터(70)에 대하여 주로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리셉터클 커넥터(70)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71)와 한 쌍의 리셉터클 컨택트(90)를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 인슐레이터(71)는 절연성이고 또 내열성의 합성 수지재로(예를 들면 나일론, 액정 폴리머, 폴리 페닐렌설페이드)를 사출 성형한 것으로서, 전후 대칭이고 또 좌우 대칭을 이루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장방형을 이루는 부재이다.
리셉터클 인슐레이터(71)의 저판부(72)의 전후 양 가장자리 중앙부에는 걸어 맞춤 오목부(73)가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인슐레이터(71)의 좌우 양단부 근방에는 측부벽(74)이 상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좌우의 측벽부(74)의 대향면에는 전후 한 쌍의 걸림 돌기(75)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측벽부(74)의 상면의 중앙부에는 측벽부(74)(저판부(72))보다 좁은 폭의 빠짐 오목부(76)가 하방으로 향하여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71)의 좌우 양단부에는 전후 한 쌍의 컨택트 유지용 돌출부(77)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전후의 컨택트 유지용 돌출부(77)의 대향면에는 각각 상부홈(78)과 대향홈(79)이 형성되어 있다(좌우 양단부의 상부홈(78)과 대향홈(79)이 각각 고정홈의 구성 요소이다). 저판부(72)의 상면에는 좌우 측부벽(74)과 간극을 가지고 대향하여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는 좌우 한 쌍의 끼워 맞춤 돌출부(81)가 상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서로 대향하는 측부벽(74)과 끼워 맞춤 돌출부(81)의 전후 양 단부를 제외한 부분 사이의 공간은 리셉터클 컨택트(90)의 탄성 변형부(96)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 컨택트용 오목부(82)로 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는 측부벽(74)과 끼워 맞춤 돌출부(81)의 전후 양 단부 사이의 공간은 플러그 컨택트(50)의 접촉부(54)의 두께와 같은 좌우 칫수(단, 상 단부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부(54)의 두께보다도 넓은 폭)인 플러그 컨택트용 오목부(수용 오목부)(83)로 되어 있다. 또한, 저판부(72)의 상면에는 좌우의 끼워 맞춤 돌출부(81)의 대향면에 접속하는 보강 리브(84)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리브(84)는 저판부(72) 측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함에 따라 대향하는 끼워 맞춤 돌출부(81)로부터의 좌우 방향으로의 돌출 량을 서서히 줄이는 단면 형상이다. 또한 좌우의 보강 리브(84) 사이가 전선 수용 공간(85)으로 되어 있다.
서로 대칭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리셉터클 컨택트(90)는, 스프링 탄성을 구비한 동합금(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동, 티탄동)이나 코르손계 동합금의 박판을 도시의 형상으로 순차이송 금형(스탬핑)에 의해 성형 가공한 것이며, 표면에 니켈 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에 금 도금을 실시하고 있다.
리셉터클 컨택트(90)는 대략 수평판 형상을 이루는 테일부(91)로부터 상방으로 향하여 뻗어있는 고정부(92)와, 고정부(92)의 상부에서 다른 쪽의 리셉터클 컨택트(90) 측으로 향하여 뻗어있는 탄성 변형부(96)를 가지고 있다. 고정부(92)는 그의 전후 양단부에 받침편(93)을 가지고 있고, 또 이 전후 양단부에서 받침편(93)의 바로 아래에 유지용 갈고리(94)를 가지고 있다. 탄성 변형부(96)는 고정부(92)의 상부에서 대략 수평으로 뻗어 있는 연결기부(97)와, 연결기부(97)의 단부에서 고정부(92) 측으로 되돌아가면서 하방으로 뻗어있는 늘어짐편(98)과, 늘어짐편(98)의 하단부에서 대략 수평으로 뻗어있는 수평편(99)과, 수평편(99)의 단부에서 고정부(92) 측으로 되돌아가면서 상방으로 뻗어있는 입상편(立上片)(100)과, 입상편(100)의 선단부에서 경사지게 상방으로 향하여 뻗어있는 자유단부(101)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기부(97)와 늘어짐편(98)의 접속부와 입상편(100)과 자유단부(101)의 접속부의 2개소가 각각 접속 돌출부(102, 103)로 되어있다. 이와 같이 탄성 변형부(96)의 단면 형상은 대략 U자형이고, 탄성 변형부(96)가 자유상태일 때의 접촉 돌출부(102)와 접촉 돌출부(103)의 좌우 방향 간의 간격은 접촉부(54)의 판 두께(좌우 칫수)보다 약간 좁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리셉터클 컨택트(90)의 탄성 변형부(96)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는 슬릿(104)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리셉터클 컨택트(90)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71)의 측부벽(74)에서 서로 대향하고, 또 좌우 방향으로 나란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리셉터클 컨택트(90)를 리셉터클 인슐레이터(71)의 대응하는 단부 바로 아래에 위치시킨 후에 하방으로 이동시키며, 탄성 변형부(96)를 대응하는 빠짐 오목부(76) 내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테일부(91) 및 고정부(92)를 전후의 대향 홈(79) 사이로 삽입한다. 그리고 전후의 받침편(93)의 하면이 대응하는 상부홈(78)의 저면에 접촉하면 전후의 유지용 갈고리(94)가 대응하는 대향 홈(79)의 표면으로 먹혀들어가기 때문에(도 15 참조), 리셉터클 컨택트(90)의 고정부(92)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71)의 좌우 양단부에 고정된다. 그러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리셉터클 컨택트(90)의 탄성 변형부(96)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71)(저판부(72), 측부벽(74), 끼워 맞춤 돌출부(81))에서 떨어져 있고 자유 상태에서 리셉터클 컨택트용 오목부(82) 내에 수납된다.
이와 같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71)와 리셉터클 컨택트(90)를 일체화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70)를 구성한 후에 저판부(72)의 보강 리브(84) 사이의 상면을 흡착 노즐 등(도시 생략)으로 흡착하고 회로기판(110) 상으로 반송하여 재치하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71)의 하면으로 돌출한 각 테일부(91)를 회로기판(110)(도 5, 도 6 참조)의 신호용 패턴(도시 생략)에 납땜 부착된다.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70)를 결합하려면, 먼저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70)를 도 2에 나타낸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플러그 인슐레이터(21)을 도 6에 나타난 위치까지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플러그 컨택트(50)의 접촉부(54)가 대응하는 플러그 컨택트용 오목부(83)의 상단부(테이퍼부)에 접촉함으로써 안내되면서 더욱 하방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좌우 접촉부(54)의 하단부가 도 6에 나타낸 모양으로 좌우의 리셉터클 컨택트(90)(탄성 변형부(96))의 개구부에 접촉한다. 그리고 이대로 플러그 커넥터(20)를 더욱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탄성 변형부(96)의 상단 개구부가 테이퍼 형상이기 때문에 접촉부(54)는 대응하는 탄성 변형부(96)를 무리하게 탄성 변형시키지 않고 탄성 변형부(96)의 내부로 원활하게 끼워 맞추어져서(리셉터클 컨택트(90)를 좌굴이나 변형 등을 시키지 않고), 도 1, 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70)가 완전하게 접속한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늘어짐편(98)이 측부벽(74)측으로 탄성 변형함과 동시에 입상편(100)이 끼워 맞춤 돌출부(81)측으로 탄성 변형한다(끼워 맞춤 돌출부(81)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접촉 돌출부(102)와 접촉 돌출부(103)에 의하여 접촉부(54)의 양 측면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촉 돌출부(걸림 돌출부)(102)가 제 1 접촉판(51)의 걸림 오목부(55)에 끼워 맞추어져서(걸림 오목부(55)의 저면에 접촉한다), 접촉 돌출부(103)가 제 2 접촉판(53)의 내측면에 접촉한다(도 5 참조). 따라서 대응하는 플러그 컨택트(50)와 리셉터클 컨택트(90)끼리가 전기적으로 도통하기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50)와 리셉터클 컨택트(90)를 통하여 케이블(40)(스피커, 마이크, 진동 모터, 배터리 등의 상기 구성 부품)과 회로기판(110)이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그리고 좌우 접촉부(54)의 전후 양단부가 대응하는 플러그 컨택트용 오목부(83)의 상단 테이퍼부 보다 하방 부분에 끼워진 상태로 끼워 맞추어지고, 플러그 컨택트용 오목부(83)에 의하여 접촉부(54)의 위치 규제가 되기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20)에 외력이 걸려도 플러그 컨택트(50)와 리셉터클 컨택트(90)의 접촉 성능은 유지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20)의 칸막이벽(34) 및 좌우의 케이블(40)이 전선 수용공간(85) 내에 위치하고, 전후의 걸어 맞춤 돌출부(24)가 전후의 걸어 맞춤 오목부(73)에 끼워 맞추어지고, 좌우의 끼워 맞춤 돌출부(81)가 대응하는 끼워 맞춤 오목부(38)에 끼워 맞추어진다. 그리고 플러그 인슐레이터(21)의 4 개의 탄성편(28)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각 걸림 갈고리(29)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71)의 대응하는 걸림 돌기(75)와 걸어 맞추어지기 때문에 도 1, 도 3, 도 5에 도시된 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케이블(40)과 회로기판(110)의 도통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플러그 커넥터(20)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동력을 부여함으로써 각 걸림 갈고리(29)와 대응하는 걸림 돌기(75)의 걸어 맞춤 관계를 해제한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70)에서 분리하면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20)는 극히 소형(전후, 좌우, 상하의 각 칫수가 작다)이기 때문에 작업자가 플러그 커넥터(20)를 손으로 잡기가 어렵다. 그 때문에 이 경우는 도 16 내지 도 17에 나타낸 지그(115)를 이용한다. 이 지그(115)는 금속 또는 수지제이고, 작업자가 손으로 잡는 잡음편(116)과 잡음편(116)의 하단부에 설치하고 그의 하면이 평편한 상부 접촉면으로 되어있는 누름단부(118)과, 누름단부(118)에서 하방으로 뻗어있고, 그의 전면이 상부 접촉면(117)에 대하여 직교하는 편평한 측부 접촉면(120)으로 되어있는 늘어짐부(119)와, 측부 접촉면(120)의 전면에서 전 방향으로 돌출하고, 그의 단면 형상이 지그용 오목부(26)와 대략 동일한 좌우 한 쌍의 삽입돌기(12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측부 접촉면(120)의 아래 가장자리에는 좌우 한 쌍의 반원형 형상(그의 직경은 절연체(42)보다 약간 크다)의 반원 오목부(122)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지그(115)는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부터 커넥터(10)에 장착하여 사용된다. 이 경우는 2 개의 반원 오목부(122)를 2 본의 절연체(42)에 각각 씌운 채로 누름단부(118)의 상부 접촉면(117)을 플러그 인슐레이터(21)의 상면의 후단부에 재치하고, 다시 늘어짐부(119)의 측부 접촉면(120)을 후측의 벽부(23) 후면에 접촉시킨다. 그러면 좌우의 삽입돌기(121)가 플러그 인슐레이터(21)의 후면의 한 쌍 지그용 오목부(26)에 각각 끼워 맞추어져서 일체화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잡음편(116)을 잡으면서 지그(115)를 상방으로 끌어올리면 된다. 그러면 지그(115)에 부여한 상방으로의 이동력이 상부 접촉면(117), 측부 접촉면(120) 및 한 쌍의 삽입돌기(121)로부터 플러그 인슐레이터(21)에 대하여 효율 좋게 전달되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20)를 리셉터클 커넥터(70)로부터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지그(115)는 커넥터(10)의 전부에 장착하여 사용하여도 되며, 이 경우는 누름단부(118)의 상부 접촉면(117)을 플러그 인슐레이터(21)의 상면의 전단부에 재치하고 늘어짐부(119)의 측부 접촉면(120)을 전방의 벽부(23)의 전면에 접촉시켜서 사용한다.
또한, 지그(115)에 상당하는 부분을 전후에 한 쌍 구비하고(전부와 후부의 지그(115)에 상당하는 부분은 서로 전후 대칭), 또 양 부분의 잡음편(116)에 상당하는 부분의 상단부를 서로 결합하며, 이 결합부분(및 잡음편(116))이 탄성변형 가능한 클립형의 지그(도시 생략)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상기 결합 부분을 탄성변형 시키면서 전부와 후부의 지그(115)에 상당하는 부분 끼리를 서로 떨어지게 한 후에 이 결합 부분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전부와 후부의 지그(115)에 상당하는 부분을 서로 근접시켜서 커넥터(10)의 전후의 지그용 오목부(26)에 각 삽입돌기(121)를 삽입함으로써, 해당 지그에 의하여 플러그 인슐레이터(21)를 전후 방향으로 끼워 고정하여 이용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에서는 리셉터클 컨택트(90)가 플러그 컨택트(50)의 접촉부(54)(제 1 접촉판(51), 제 2 접촉판(53))를 탄성적으로 끼워서 고정 가능한 탄성 변형부(96)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10)의 저배화(상하 칫수의 단소화(短小化))에 따라서 리셉터클 컨택트(90)가 소형화 한 경우에 있어서도 리셉터클 컨택트(90)와의 플러그 컨택트(50)의 접촉부(54)를 확실하게 접촉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리셉터클 컨택트(90)의 접촉 돌출부(102)가 플러그 컨택트(50)의 걸림 오목부(55)에 끼워 맞추어지기(걸리기) 때문에 리셉터클 컨택트(90)와 플러그 컨택트(50) 사이의 끼워 맞춤 유지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컨택트(90)와 플러그 컨택트(50)를 접속할 때 클릭 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클릭 감의 유무에 의해 작업자가 불완전한 끼워 맞춤을 인식할 수 있어 접촉 불량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리셉터클 컨택트(90)가 플러그 컨택트(50)에 접속할 때에, 접촉 돌기(102)는 제 1 접촉판(51)의 외측 면에서 걸림 오목부(55)보다 상방으로 위치하는 부분에 접하여 미끄러진 후에 걸림 오목부(55)에 끼워 맞추어진다. 그 때문에 접촉 돌출부(102)에 의하여 제 1 접촉판(51)의 외측면의 해당 상방 부분에 부착하여 있는 먼지나 티끌 등의 이물이 제거되기 때문에 리셉터클 컨택트(90)와 플러그 컨택트(50)를 확실하게 도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리셉터클 컨택트(90)의 탄성 변형부(96)는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고, 좌우 방향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탄성변형을 쉽게 하는 것(탄성력과 변형량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커넥터(10)의 저배화에 따라서 리셉터클 컨택트(90)(탄성 변형부(96))의 높이가 낮아도 탄성 변형부(96)의 탄성 변형력에 미치는 영향이 작다.
플러그 컨택트(50)의 접촉부(54)를 2 매로 구성하기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50)의 판 두께가 0.12mm의 얇은 두께임에도 불구하고, 접촉부(54)의 강성이 확보되고, 리셉터클 컨택트(90)와의 접촉 시에 있어서의 소성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54)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이어서 리셉터클 컨택트(90)의 탄성 변형부(96)의 변위 량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 신뢰성이 높아진다.
또한, 플러그 컨택트(50)의 접촉부(54)와 연결부(56)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하고, 이 단차부에 플러그 인슐레이터(21)의 벽부(23)를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벽부(23)의 판 두께(전후 칫수)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20)를 저배화 및 성면적화 한 경우에 있어서도, 플러그 인슐레이터(21)의 기계적 강도나 전선 지지구멍(25)에 의한 케이블(40)의 지지 효과를 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70)를 장착할 때에 리셉터클 인슐레이터(71)의 끼워 맞춤 돌출부(81)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21)의 끼워 맞춤 오목부(38)에 끼워 맞추기 때문에 케이블(40) 등에 불의의 외력이 가해진다 하여도 끼워 맞춤 오목부(38)와 끼워 맞춤 돌출부(81)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70)의 수평 방향으로부터의 분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21) 측에 끼워 맞춤 돌출부(81)를 돌출되게 설치하고 있는 것과 끼워 맞춤 돌출부(81)를 플러그 인슐레이터(71) 측의 끼워 맞춤 오목부(38)에 끼워 맞추기 때문에 커넥터(10) 전체의 상하 칫수가 크게 되는 일 또한 없다.
이와 같이 플러그 인슐레이터(21)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끼워 맞춤 돌출부(81)를 끼워 맞춤 오목부(38)에 끼워 맞추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10)를 저배화 한 경우에 있어서도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70)를 견고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차를 설치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20)의 성면적화를 도모하면서 끼워 맞춤 오목부(38)를 전후 방향(리셉터클 컨택트(90)의 폭 방향)으로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끼워 맞춤 오목부(38)에 대하여 끼워 맞추는 리셉터클 컨택트(90)의 폭을 크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커넥터(10)를 성면적화 한 경우에 있어서도 리셉터클 컨택트(90)의 탄성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촉부(54)를 제 1 접촉판(51) 및 제 2 접촉판(53)의 2매 판 구조로 함으로써 그의 기계적 강도를 높임과 동시에 보강 리브(84)에 의하여 끼워 맞춤 돌출부(81)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고 있으며, 그리고 플러그 인슐레이터(21)의 걸어 맞춤 돌출부(24)를 리셉터클 인슐레이터(71)의 걸어 맞춤 오목부(73)에 끼워 맞추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10)를 저배화 한 경우에 있어서도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70)를 보다 견고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게다가 걸어 맞춤 돌출부(24)를 설치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20)의 상하 칫수를 길게 하고 있고, 그의 걸어 맞춤 돌출부(24)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71)의 걸어 맞춤 오목부(73)에 끼워 맞추기 때문에 걸어 맞춤 돌출부(24)가 커넥터(10) 전체의 저배화를 방해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걸어 맞춤 돌출부(24)를 설치함으로써 벽부(23)의 높이를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저배의 플러그 커넥터(20)에 있어서도 큰 직경의 전선 지지구멍(25)을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직경이 큰 케이블(40)을 사용할 수 있고, 또 케이블(40)을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 리브(84)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끼워 맞춤 돌출부(81)의 돌출 량이 서서히 작게 되는 형상이기 때문에 보강 리브(84)를 전선 수용공간(85) 내에서 케이블(40)(절연체(42))과 간섭하기가 어렵다. 그 때문에 커넥터(10)를 소형화하고(전선 수용공간(85)을 소형화하고), 또 케이블(40)의 직경을 크게 한 경우에도, 케이블(40)의 수용공간에 대하여 보강 리브(84)와 간섭하는 일 없이 수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 형태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려가지 변형을 행하면서 실시 가능하다.
예를 들면, 플러그 컨택트(50)의 접촉부(54)를 제 1 접촉판(51)으로, 혹은 제 2 접촉판(53) 만으로 한 1 매 판 구조로 하거나, 3 매 이상의 복수 매 구조로 하여도 된다.
또한 접촉부(54)의 표면에 걸림 오목부(55)보다 하방으로 위치하고, 접촉부(54)를 리셉터클 컨택트(90)의 접촉 돌출부(102)와 접촉 돌출부(103)로 지지할 때에 접촉 돌출부(102)와 접촉 돌출부(103)에 하방으로부터 각각 걸어 맞추는 빠짐 방지 돌기를 형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70)를 장착할 때에 플러그 컨택트(50)와 리셉터클 컨택트(90)를 보다 확실하게 접촉시키거나, 클릭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촉부(54)의 표면에 걸림 오목부(55) 대신에 제 1 걸림 돌출부를 형성하고,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70)를 장착할 때에 상기 제 1 걸림 돌출부가 탄성 변형부(96)의 접촉 돌출부(제 2 걸림 돌출부(102))를 타고 넘어서, 하방으로부터 접촉 돌출부(102)에 걸리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도 걸림 오목부(55)를 형성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탄성 변형부(96) 측으로 걸림 오목부(55)(필요에 따라서 상기 빠짐 방지 돌기도) 혹은 상기 제 1 걸림 돌기를 형성하고 접촉부(54) 측에 접촉 돌출부(102)에 상당하는 걸림 돌출부(제 2 걸림 돌출부)를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70)의 적어도 한 쪽에 다른 쪽의 컨택트와의 접촉 시에 집중 하중을 얻기 위한 미소돌기 등의 형상을 형성하여도 된다. 도 18은 그의 한 예이며, 이 변형예의 리셉터클 컨택트(90')의 접촉 돌출부(102)에 상당하는 부분에는 리셉터클 컨택트(90')의 폭 방향(전후 방향)으로 뻗어있는걸림 돌출 갈고리((걸림 돌출부)(125)를 형성하고 있다. 이 걸림 돌출 갈고리(125)는 플러그 컨택트(50)와 리셉터클 컨택트(90')를 접속할 때에 제 1 접촉판(51)의 걸림 오목부(55)에 끼워 맞추어진다.
또한 플러그 인슐레이터(21)에서 슬릿(27)을 생략하여도 되고, 지그용 오목부(26)를 벽부(23)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변경하여도 된다.
또한 도 19내지 도 22에 나타내는 변형예의 양태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변형예의 플러그 커넥터(20')의 플러그 인슐레이터(21')는 슬릿(27)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과 후면의 상단부에 후방(직선 상태에 있는 케이블(40)과 평행한 방향)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상방에서 케이블(40)과 대향하는 누름용 돌출부(30)을 가지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플러그 인슐레이터와 동일한 구조이다. 좌우의 전선 지지구멍(25)의 상반부는 누름용 돌출부(30)의 하부에까지 이르러 있고 누름용 돌출부(30)의 일부가 각 전선 지지구멍(25)의 상반부 좌우 측부를 덮는 벽을 구성하고 있다.
커넥터(10)는 극히 저배의 구조이기 때문에 작업자가 접속 상태에 있는 플러그 커넥터(20')(플러그 커넥터(20))를 리셉터클 커넥터(70)로부터 분리시킬 때에 작업자가 플러그 커넥터(20')(플러그 커넥터(20))를 손으로 잡는 것이 곤란할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손으로 케이블(40)을 상방에서 구부려서 플러그 커넥터(20')를 리셉터클 커넥터(70)에서 분리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휴대 전화나 PDA 등의 좁은 내부 공간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내부 공간에서 케이블(40)에 급격한 각도로 굴곡하거나 비틀어지는 일이 생기며 또한 반복되는 굴곡이 케이블(40)에 가해지기도 한다. 그리고 케이블(40)에 이와 같은 구부림(굴곡, 비틀림)이 생기면 케이블(40)의 장력이 플러그 커넥터(20')로 전달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본 변형예의 경우는 누름용 돌출부(30)에 의해 케이블(40)이 좌우 및 상하로 가이드 되기 때문에 (케이블(40)의 플러그 인슐레이터(21')내에 위치하는 부분의 구부림이 억제되기 때문에, 누름편(60)으로의 장력의 전달을 완화할 수 있고 누름편(60)의 소성변형이나 케이블(40)의 절단 등을 억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저배 소형의 커넥터에 있어서도 보다 안정된 접촉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케이블(40)이 상방으로 구부러지면 전측의 걸림 갈고리(29)와 전측의 걸림 돌기(75)의 접촉부를 "지점(회전 중심)"으로 하는 상방으로의 회전력이 플러그 커넥터(20')의 후부에 생기고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측의 걸림 갈고리(29)와 후측의 걸림 돌기(75)의 걸아 맞춤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누름용 돌출부(30)를 구비하지 않는 상기 실시 형태의 플러그 커넥터(20)에서는 플러그 인슐레이터(21)의 후측의 전선 지지구멍(25)과 케이블(40)의 접촉점이 "역점(力点)" 으로 되며 후측의 걸림 갈고리(29)와 후측의 걸림 돌기(75)의 접촉부가 "작용점"으로 되어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점"에서 "지점"까지의 거리(L1)와 "지점"에서 "작용점”까지의 거리가 거의 변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케이블(40)에 생기는 구부러지는 힘("역점"에 생기는 상방으로의 힘)이 상당 정도로 크게 되지 않으면 (즉, 케이블(40)이 크게 구부러지지 않으면) 후측의 걸림 갈고리(29)에 생기는 상방으로의 회전력이 후측의 걸림 갈고리(29)와 후측의 걸림 돌기(75)의 걸어 맞춤 유지력을 뛰어 넘지 않는다. 즉, 케이블(40)에 생긴 구부러지는 힘이 상당 정도로 크게 될 때에 처음에 후측의 걸림 갈고리(29)와 후측의 걸림 돌기(75)의 걸어 맞춤이 해제 되지만 플러그 커넥터(20)나 리셉터클 커넥터(70)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케이블(40)이 누름용 돌출부(30)에 접촉하면서 상방으로 구부러지는 경우의 "역점"은 누름용 돌출부(30)와 케이블(40)의 접촉부(점A)로 되며,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점"에서 "지점"까지의 거리(L)가 "지점"에서 "작용점"까지의 거리보다 상당히 길게 되기 때문에(거리 L1보다 상당히 길게 되기 때문에), 케이블(40)에 생기는 구부러지는 힘이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에(그다지 크지 않는 동안에) 후측의 걸림 갈고리(29)에 생기는 상방으로의 회전력이 후측의 걸림 갈고리(29)와 후측의 걸림 돌기(75)의 걸어 맞춤 유지력을 뛰어넘어서 후측의 걸림 갈고리(29)와 후측의 걸림 돌기(75)의 걸어 맞춤이 해제된다. 그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20')나 리셉터클 커넥터(70)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10 : 커넥터 20, 20' : 플러그 커넥터
21 : 플러그 인슐레이터 22 : 천정부
23 : 벽부 24 : 걸어 맞춤 돌출부
25 : 전선 지지구멍 26 : 지그용 오목부(지그삽입부)
27 : 슬릿 28 : 탄성
29 : 걸림 갈고리 30 : 누름용 돌출부
31 : 제 1 유지구멍 32 : 제 2 유지구멍
33 : 제 3 유지구멍 34 : 칸막이벽
35 : 원호면 36 : C자면
37 : 수용 오목부 38 : 끼워 맞춤 오목부
39 : 끼워 맞춤 유지부 40 : 케이블(전선)
41 : 심선 42 : 절연체
50 : 플러그 컨택트 51 : 제 1 접촉판(접촉부)
52 : 굴곡부(접촉부) 53 : 제 2 접촉판(접촉부)
54 : 접촉부 55 : 걸림 오목부
56 : 연결부 57 : 걸림 돌기
59 : 접속부 60 : 누름편
61 : 유지용 갈고리 70, 70' : 리셉터클 커넥터
71 :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72 : 저판부
73 : 걸어 맞춤 오목부 74 : 측부벽
75 : 걸림 돌기 76 : 빠짐 오목부
77 : 컨택트 유지용 돌출부 78 : 상부홈(고정홈)
79 : 대향홈(고정홈) 81 : 끼워 맞춤 돌출부
82 : 리셉터클 컨택트용 오목부
83 : 플러그 컨택트용 오목부(수용 오목부)
84 : 보강 리브 85 : 전선 수용공간
90 : 리셉터클 컨택트 91 : 테일부
92 : 고정부 93 : 받침편
94 : 유지용 갈고리 96 : 탄성 변형부
97 : 연결기부 98 : 늘어짐편
99 : 수평편 100 : 입상편
101 : 자유단부 102, 103 : 접촉 돌출부(걸림 돌출부)
104 : 슬릿 110 : 회로기판
115 : 지그 116 : 잡음편
117 : 상부 접촉면 118 : 누름단부
119 : 늘어짐부 120 : 측부 접촉면
121 : 삽입돌기 122 : 반원 오목부
125 : 걸림 돌출 갈고리(걸림 돌출부)

Claims (9)

  1.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및 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일 방향으로 나란한 상태로 지지되고, 회로기판에 실장된 한 쌍의 금속제 리셉터클 컨택트를 가지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인슐레이터, 이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상기 일 방향에 나란한 상태로 지지된 한 쌍의 금속제 플러그 컨택트 및 각 플러그 컨택트에 그의 일단부를 각각 접속하고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있는 한 쌍의 전선을 가지며,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우고 빼기가 가능한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컨택트가, 상기 일 방향 및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대향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있는 접촉부와, 이 접촉부로부터 다른 방향의 플러그 컨택트 측으로 향하여 뻗어있는 한 쌍의 연결부와, 이 한 쌍의 연결부로부터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뻗은 후에 다른 쪽의 플러그 컨택트 측으로 향하여 뻗어있고, 또 상기 전선과 접속하는 한 쌍의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와의 대향면에 상기 접촉부를 끼워 맞추어 유지하는 한 쌍의 끼워 맞춤 유지부와, 이 한 쌍의 끼워 맞춤 유지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를 받아들이는 한 쌍의 끼워 맞춤 오목부와, 이 한 쌍의 끼워 맞춤 오목부 사이에 형성한 상기 접속부 및 상기 전선을 받아들이는 수용 오목부와, 상기 수용 오목부에 인접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와 상기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 측으로 뻗어서 상기 전선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전선 지지구멍을 가진 벽부를 형성하고,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가 고정부와, 이 고정부로부터 다른 쪽의 리셉터클 커넥터 측으로 향하여 뻗어있음과 동시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 측이 열려있는 단면이 U자형을 이루고 상기 접촉부가 끼우고 빼기가 가능한 부분을 가지며, 또 자유 상태에서 U자형을 이루는 부분의 대향 내면의 상기 일 방향의 간격이 상기 접촉부의 상기 일 방향의 칫수보다 좁은 탄성 변형부를 가지며,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플러그 커넥터와의 대향면에 상기 고정부를 끼워 맞추어 유지하는 한 쌍의 고정홈과, 이 한 쌍의 고정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 변형부를 탄성변형 가능하게 받아들이는 한 쌍의 컨택트용 오목부와, 상기 한 쌍의 컨택트용 오목부 사이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측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상기 탄성변형부의 자유단부와 상기 일 방향에 대향하며, 또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 측에 장착할 때에 상기 끼워 맞춤 오목부에 끼워 맞추는 한 쌍의 끼워 맞춤 돌출부와, 상기 한 쌍의 끼워 맞춤 돌출부 사이에 형성한 상기 한 쌍의 전선을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한 전선 수용공간을 가지고,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플러그 커넥터와의 대향면에, 상기 컨택트용 오목부와 상기 전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면서 상기 접촉부를 걸거나 벗기는 것이 가능한 수용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상기 벽부에서 리셉터클 커넥터 측의 단부에 걸어 맞춤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장착할 때에 상기 걸어 맞춤 돌출부를 받아들이는 걸어 맞춤 오목부를 형성한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단면 형상이 원형이고,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의 대향면에, 상기 전선 수용공간에서 상기 끼워맞춤 돌출부에 접속하고, 또 이 대향면 측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커넥터 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상기 끼워 맞춤 돌출부로부터의 상기 일 방향의 돌출 량이 서서히 작아지는 보강 리브를 돌출하게 설치한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컨택트의 상기 접촉부가, 하나의 금속판을 절곡함으로써 구성한 2매 판구조인 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지그의 일부를 끼우고 빼기가 가능한 지그 삽입부를 형성한 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 상기 탄성 변형부의 한 쪽에 걸림 오목부를 형성하고,
    다른 쪽에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장착할 때에 상기 걸림 오목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걸림 돌출부를 형성한 커넥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 상기 탄성 변형부의 한 쪽에 제 1걸림 돌출부를 형성하고,
    다른 쪽에,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장착할 때에 상기 제 1 걸림 돌출부를 타고 넘어서 상기 제 1 걸림 돌출부에 걸리는 제 2 걸림 돌출부를 형성한 커넥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외면에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으로 돌출하고 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분리 방향 측으로부터 상기 전선과 대향하는 누름용 돌출부를 형성한 커넥터.
KR1020110033929A 2011-04-12 2011-04-12 커넥터 KR101186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929A KR101186486B1 (ko) 2011-04-12 2011-04-12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929A KR101186486B1 (ko) 2011-04-12 2011-04-12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6486B1 true KR101186486B1 (ko) 2012-09-27

Family

ID=47114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929A KR101186486B1 (ko) 2011-04-12 2011-04-12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4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733B1 (ko) 2006-03-03 2008-01-15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JP2009181769A (ja) * 2008-01-30 2009-08-13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プラグコネクタ、及び携帯端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733B1 (ko) 2006-03-03 2008-01-15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JP2009181769A (ja) * 2008-01-30 2009-08-13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プラグコネクタ、及び携帯端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223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10608381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an assisting member for guiding
JP4187338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9181769A (ja) コネクタ、プラグコネクタ、及び携帯端末
KR101166230B1 (ko) 커넥터
JP2002033150A (ja) 電気コネクタ及びソケットコネクタ
JP5683284B2 (ja) 基板接続用端子
CN112086792B (zh) 电连接器
JP7039435B2 (ja) コネクタ組立体
KR101370255B1 (ko) 단자 접속 구조
JP2011238558A (ja) 雌端子およびコネクタ
JP6931223B2 (ja) 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US9673542B1 (en) Poke-i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contact with a base extending through an opening in a bottom of a housing
KR101391476B1 (ko) 커넥터 결합장치
KR101186486B1 (ko) 커넥터
JP2019129137A (ja) コネクタ、相手方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KR101095437B1 (ko) 커넥터
US8808022B2 (en) Connector structure
US10122104B2 (en) Connector f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JP5027893B2 (ja) ヘッダー
CN219017947U (zh) 带有护套的接插转接端子及相应的连接器
CN220155781U (zh) 一种线缆电连接器
CN216413320U (zh) 端子及连接器
KR20090073779A (ko) 리셉터클 터미널
KR20100002931A (ko)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