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0018A - 다층 정보 기록 매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층 정보 기록 매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0018A
KR20090080018A KR1020087032189A KR20087032189A KR20090080018A KR 20090080018 A KR20090080018 A KR 20090080018A KR 1020087032189 A KR1020087032189 A KR 1020087032189A KR 20087032189 A KR20087032189 A KR 20087032189A KR 20090080018 A KR20090080018 A KR 20090080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resin
information recording
substra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2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우코 도메카와
모리오 도미야마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80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3Layer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35Recording layers
    • G11B7/24038Multiple laminated recording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73Tra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improving adhesion between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1Circular sheet or circular bl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Manufacturing Optical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주와 외주를 가지는 기판 위에 3개 이상의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정보 기록층들 사이에 배치된 수지층을 가지는 다층 정보 기록 매체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수지층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있어서,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가 서로 다르고, 적어도 하나의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가 다른 수지층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다층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층, 다층, 기록매체, 수지층

Description

다층 정보 기록 매체 및 그 제조방법{MULTILAYER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재생 또는 기록/재생을 목적으로 한 정보 기록 매체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기기 및 영상 음향 기기 등이 필요로 하는 정보량이 증가하는 것에 따라, 데이터 액세스의 용이함, 대용량 데이터의 축적, 기기의 소형화에 유리한 광 디스크 등의 정보 기록 매체가 주목을 받고 있으며, 그 기록 밀도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면, 광 디스크의 고밀도화의 수단으로서, 레이저 광의 파장이 약 400nm이며, 레이저 광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집광 렌즈가 0.85의 개구수(NA)를 가지는 기록 재생 헤드가 이미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록 재생 헤드를 사용하면, 단층의 정보 기록 매체(기록층을 1개 가지는 매체)에서는 25GB 정도의 용량이 달성된다. 또한, 2개의 기록층을 가지는 광 기록 매체에서는, 50GB 정도의 용량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3개 이상의 기록층을 가지는 다층 정보 기록 매체도 제안되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다층 정보 기록 매체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도면은 디스크 형상의 기록 매체를 지름에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고, 도면 중, 기 판(301)의 좌측 단부(端部)가 내주(內周)에 상당하고, 우측 단부가 외주(外周)에 상당한다. 이 다층 정보 기록 매체는, 단면에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피트(pit) 및/또는 안내 홈 등이 전사(傳寫)에 의하여 형성된 제1기판(201)(이 기판을 "신호 기판"이라고도 함)과, 제1기판(201)의 신호가 형성된 면 위에 배치된 제1박막층(202)과, 제1박막층(202) 위에 형성된 수지층(203)과, 수지층(203) 위에 형성된 제2박막층(204)과, 제2박막층(204) 위에, 투명층(205)에 의하여 부착시킨 투명 기판(206)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지층(203)의 제1박막층(202)과 접착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면(즉, 제2박막층(204)이 형성되어 있는 면)에는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피트 및/또는 안내 홈이 전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기능의 층이 복수로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기판(201)으로부터 보아 가까운 층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제2", … 를 부여한다.
수지층(203)은 제1박막층(202)과 제2박막층(204)을 광학적으로 분리해서, 한 쪽의 박막층에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하고 있는 동안, 다른 쪽의 박막층에 정보가 기록되지 않고, 또한 다른 쪽의 박막층에 기록한 신호가 재생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고 있다. 또한, 수지층(203)에 형성된 피트 및/또는 안내 홈은, 제2박막층(204)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또는 제2박막층(204)으로부터 정보를 재생할 때에 기록 및/또는 재생 광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수지층(203)은 중간층 또는 제2신호 기판이라 부를 수도 있는 것이다.
제1기판은 스탬퍼(stamper)를 사용해서, 사출(射出) 압축 성형 등에 의해 제작한다. 제1기판의 한쪽 면에는, 스탬퍼 표면의 요철 형상이 전사되어서, 피트 및/ 또는 안내 홈 등이 형성되어 있다. 피트 및/또는 안내 홈은 신호의 기록 재생에서의 기본적인 정보를 부여하는 것이며, 이들이 형성된 면은 정보면이라 부를 수 있다. 또한, 피트 및/또는 안내 홈을 가지는 기판은 "신호 기판"이라고도 불린다. 정보면의 위에 기록막 및 반사막을 포함하는, 광에 의한 기록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특성을 가지는 박막층이 형성되어서, 정보 기록층이 형성된다. 제1기판(201)의 두께는 1.1mm 정도이다.
제1박막층(202) 및 제2박막층(204)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이, 기록막 및 반사막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스퍼터링이나 증착(蒸着)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기판(수지층)(203)은 광 경화성 수지의 스핀코트법 또는 스크린 인쇄법 등에 의해 형성된다. 피트 및/또는 안내 홈은 광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기 전에, 형성해야 할 피트 및/또는 안내 홈에 대응한 요철 형상을 표면에 가지는 전사 기판을 요철 형상을 가지는 면을 광 경화성 수지와 접하도록 부착시켜서 형성한다. 피트 및/또는 안내 홈의 형성은 광 경화성 수지를 광 조사에 의하여 경화시킨 후, 전사 기판을 광 경화성 수지로부터 박리함으로써 완료한다.
도시한 광 기록 매체로의 정보의 기록 또는 광 기록 매체로부터의 정보의 재생은, 투명 기판(206) 쪽으로부터 기록 또는 재생용의 레이저 광을 입사시켜 실시한다. 따라서, 투명 기판(206)은 기록 재생 광에 대하여 투명한 (투과성이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한, 투명 기판(206)은 개구수가 큰 기록 재생 헤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두께가 0.1mm 정도이다. 투명층(205)은 2개의 기판(206 및 207)을 서로 접착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있으며, 광 경화성 수지 또는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등의 접착제로 형성되어 있다. 투명 기판(206)과 투명층(205)을 합쳐서 커버층(cover layer)이라고도 한다. 투명 기판을 부착시키지 않고 투명한 수지층만으로 커버층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다층 정보 기록 매체에 있어서는,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이, 수지층 및 커버층은 자외선 경화성 수지 등을 사용해서 일반적으로 스핀코트(spin coat)법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에는 정보 유지층이 2개 이상 있으며, 원환(圓環) 형상이며 내주 가장자리에 환상(環狀) 볼록부를 가지는 적어도 2층의 수지층이 있으며, 이들 각 수지층이 다른 수지층의 상기 환상 볼록부를 피복하지 않도록 계단 형상으로 적층되어 있는 광 정보 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순서대로 스핀코트법으로 수지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계단 형상으로 수지층을 형성하면, 환상 볼록부에 의해, 수지가 흐르는 것을 막을 수 없고, 또한, 디스크 내주 부근에서의 수지층의 두께가 설계 값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5-25933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2-63736호 공보
더욱 고밀도의 기록 매체를 실현하기 위해서, 정보 기록층을 적층하고, 다층 정보 기록 매체(예를 들면, 다층 광 디스크)로 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 매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정보 기록층을 분리하는 수지층을 복수 개 적층해야 된다. 정보 기록층의 수가 많을수록, 그 사이에 형성해야 할 수지층의 수도 많아진다. 그 결과, 수지층의 형성에 따른 전사 기판의 박리 공정에 있어서, 수지층이 전사 기판에 부착되고, 전사 기판과 함께 수지층까지 박리하는 빈도가 높아진다. 수지층이 전사 기판 측에 부착되면, 정보 기록층을 적절하게 분리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상하에 위치하는 2개의 정보 기록층 각각에 신호를 기록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2층 기록 매체의 수지층 형성 프로세스를, 그대로 다층 기록 매체의 수지층 형성 프로세스에 응용하면,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특히, 다층 정보 기록 매체의 제조에서는 수지층을 형성하는 프로세스가 2회 이상 포함되기 때문에, 층의 수가 많을수록, 양질의 제품을 제작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정보 기록층간에 형성되는 수지층에 안내 홈 및/또는 피트가 전면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된 다층 정보 기록 매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주와 외주를 가지는 기판 위에, 3개 이상의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정보 기록층과 정보 기록층과의 사이에 배치된 수지층을 가지는 다층 정보 기록 매체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수지층의 조합 중 적어도 1개의 조합에 있어서,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가 서로 다르고,
적어도 1개의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가 다른 수지층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다층 정보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내주와 외주를 가지는 기판"이라는 것은, 중앙에 개구를 가지는 기판을 가리키고, 일반적으로는 환형 (또는 도넛형)이다. "정보 기록층"이라는 것은, 광의 조사에 의하여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층을 가리키고, 기록층과, 필요에 따라서 설치되는 반사막, 기록층을 보호하는 보호막, 보호막과 기록층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계면층, 반사막과 기록층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광 흡수 보정층 등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정보 기록층이라는 것은, 2개의 수지층 사이에 배치되는 층 전체를 가리킨다. "수지층"은 앞서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1개의 정보 기록층을 이웃하는 정보 기록층으로부터 분리하고, 예를 들면, 1개의 정보 기록층에 정보를 기록하고 있을 때, 다른 정보 기록층에 정보를 기록하지 않도록 한다.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는 수지층의 윤곽 중에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말하고, 수지층이 환형으로 형성될 때에는, 수지층의 내주를 규정하는 선(line)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다층 정보 기록 매체(이하, 간단히 "기록 매체" 또는 "매체"라고도 부른다)는,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를 기판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모두 동일하게 하지 않고, 또한, 적어도 1개의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가 다른 수지층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사 기판의 박리를 매체의 내주측에서 실시할 경우에 있어서,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가 모두 동일한 위치가 되면, 반복해서 수지층을 형성하고 있는 동안에, 전사 기판이 박리할 때에 가해지는 힘이 동일한 장소에 집중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는 이 힘의 집중을 피하기 위해서, 적어도 1개의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 매체에서는 적어도 1개의 수지층(편의상 "A"라고 부른다)의 내주측 단부를, 그 후에 형성되는 다른 수지층(편의상 "B"라고 부른다)이 피복하고 있어서, 수지층 B에 밀착시킨 전사 기판을 박리할 때, 수지층 A가 받는 힘을 더 작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주와 외주를 가지는 기판 위에, 3개 이상의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정보 기록층들 사이에 배치된 수지층을 가지는 다층 정보 기록 매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각 수지층을 형성하는 것은
(ⅰ) 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정보 기록층 위에 도포해서 미(未)경화의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ⅱ) 상기 미경화의 수지층과, 표면에 요철을 가지는 전사 기판을 부착시키는 공정,
(ⅲ) 상기 미경화의 수지층을 경화하는 공정, 및
(ⅳ) 상기 경화된 수지층의 표면으로부터 전사 기판을 박리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공정 (ⅰ)∼(ⅳ)를 (M-1)회(M은 정보 기록층의 수) 반복하여,
적어도 한 번의 공정 (ⅰ)에 있어서, 미경화의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가 전번(前番)에 형성한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와는 상이하도록, 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도포하는 영역을 선택하고,
적어도 한 번의 공정 (ⅰ)에 있어서, 미경화의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가 전번에 형성한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를 피복하도록, 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도포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다층 정보 기록 매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기록 매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사용하는 방사선 경화성 수지는 방사선이 조사되면, 경화하는 수지이며, 방사선은 예를 들면, 자외선, 가시광선, 전자선 및 X선이다. 방사선 경화성 수지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인 것이 비용 및 공정(工程) 면에서 바람직하다. 자외선 경화성 수지는 구체적으로는 아크릴계 수지이다.
수지층의 형성이 몇 번 실시되는 동안, 임의인 한 번 혹은 몇 번, 또는 모든 공정(ⅰ)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성 수지의 도포는 수지가 기판에 접하도록 수지의 도포 영역을 적절하게 선택해서 실시해도 좋다. 이로써, 제k 수지층이 제k-1층(k는 2 이상의 정수)의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를 피복하는 구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정보 기록 매체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중간층인 수지층을 형성할 때, 수지층에 밀착시킨 전사 기판 박리에 기인하는 불량품의 수 또는 비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호하게 대량의 정보의 기록 재생을 실행할 수 있는 다층 정보 기록 매체를 안정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A) 내지 (C)는 본 발명의 기록 매체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전사 기판을 박리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다층 정보 기록 매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층 정보 기록 매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A) 내지 (D)는 스크린 인쇄에 의한 수지층의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A)는 스크린의 모식도이고, (B)는 수지 도포 영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A) 내지 (D)는 수지층과 전사 기판을 부착시키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다층 정보 기록 매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A)는 정보 기록 영역과 비정보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B)는 정보 기록 영역과 비정보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A)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B)는 마스크를 설치한 전사 기판을 나타내는 조감도이다.
도 10 (A) 내지 (F)는 각각 본 발명의 기록 매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기록 매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그 매체의 비정보 기록 영역에 있어서, 자외선 조사량이 다른 영역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레이저 광의 조사에 의하여 기록 재생을 실시하는 디스크 형상의 정보 기록 매체의 구조의 일례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매체의 형상은 디스크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크 제작의 프로세스 및 수지층의 기본적인 구성]
우선, 다층 정보 기록 매체 및 그 제작 방법의 일례로서, 4층 디스크를 작성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에 있어서의 수지층의 기본적인 구성도 여기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4층 정보 기록 매체의 일례의 단면도이다. 4층 정보 기록 매체는 한쪽 면에 요철로 형성된 피트 및/또는 안내 홈 등이 형성된 기판(301)과, 기판(301)의 피트 등이 형성된 면에 배치된 제1정보 기록층(302)과, 제1정보 기록층(320) 위에 배치된 제1수지층(303)과, 제1수지층(303) 위에 배치된 제2정보 기록층(304)과, 제2정보 기록층(304) 위에 배치된 제2수지층(305)과, 제2수지층(305) 위에 배치된 제3정보 기록층(306)과, 제3정보 기록층(306) 위에 형성된 제3수지층(307)과, 제3수지층(307) 위에 배치된 제4정보 기록층(308)과, 제4정보 기록층(308) 위에 배치된 투명층(309)을 포함하고 있다. 제1수지층(303), 제2수지층(305) 및 제3수지층(307)은 각각 기판(301)으로부터 먼 쪽의 면에 피트 및/또는 안내 홈을 구성하는 요철을 가지고, 이 요철을 가지는 면에 각각 제2정보 기록층(304), 제3정보 기록층(306) 및 제4정보 기록층(307)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301)은 기록 및/또는 재생에 필요한 정보를 갖기 때문에, "신호 기판"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정보 기록층은 통상 복수의 얇은 막이 적층되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박막층"이라고도 불린다.
기판(301)은 정보 기록 매체의 휘어짐을 방지하고, 양호한 강성(剛性)을 확보하고, 또한 CD 또는 DVD, Blu-ray Disc 등의 광 디스크와 두께 호환성을 갖는 것 으로 치수 및 재료를 선택해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기판(301)은 외경(外徑)이 120nm, 두께가 1.0∼1.1mm 정도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계 수지의 원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판(301)은 일반적인 스탬퍼를 사용하고, 사출 압축 형성 등과 같은 수지 성형에 의해 제작되어, 한쪽 면에 요철로 형성된 피트나 안내 홈 등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의 중심부에는 플레이어가 신호를 기록 재생할 때에, 디스크를 유지해서 회전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지름 15mm의 중심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 중심 구멍의 지름이 기판의 내주(內周)를 규정하게 된다. 여기서는 기판(301)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해서 제작된 것을 사용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기판(301) 위에는 방사선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303, 305, 307) 또는 투명층(309)이 적층 형성된다. 방사선 경화성 수지로서, 이 형태에 있어서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사용하고 있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다른 방사선 경화성 수지로 수지층을 형성하여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수지 재료가 적층되면, 적층 후의 정보 기록 매체에 있어서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 특유의 광 경화 수축에 의해, 기판(301)의 정보면 측이 오목하게 되는 휘어짐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기판(301)은 미리 정보면 측이 전체로서 볼록하게 되는 휘어짐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그것에 의하여 수지층(303, 305, 307) 및 투명층(309)의 적층 후에 정보 기록 매체의 휘어짐이 평탄해지도록 하고 있다.
제1정보 기록층(302)은, 예를 들면 Al, Ag, Au, Si, SiO2 등의 금속, 반도체 또는 유전체를 스퍼터링 또는 증착 등의 방법을 사용해서 형성한다. 제2정보 기록층(304), 제3정보 기록층(304) 및 제4정보 기록층(306)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정보 기록층으로서 형성해야 할 층은 매체의 종류에 따라 다르고, 구체적인 층의 형성 방법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수지층(303)은 기록 재생 광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투명(투과성을 가짐)이며,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부터 형성된다. 자외선 경화성 수지는 자외선 대역에서 경화 광 파장을 갖는 수지이다. 자외선 경화성 수지는 자외선 이외의 파장의 광을 조사해도 경화하지 않고, 임의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시킬 수 있으므로, 수지층의 형성 제어에 있어서 형편 좋게 사용된다. 제2수지층(305) 및 제3수지층(307)도 상기 제1수지층(303)과 같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위에서 예시한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투명층(309)은 기록 재생 광에 대하여 거의 투명(투과성을 가짐)으로서, 예를 들면 아크릴을 주성분으로 한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투명층(309)은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액체의 형태로 제4정보 기록층(308) 위에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해서 형성한다. 투명층(309)은 각 수지층 또는 정보 기록층을 피복하고, 내주부와 외주부에 있어서 기판과 접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더욱 구체적인 수지층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지층은 대략 10㎛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다만, 수지층의 두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5∼30㎛이라도 좋다. 그러한 두께의 수지를 도포하는 방법으로서, 스핀코트법, 스크린 인쇄법, 오프셋법 및 잉크젯법 등이 적합하다. 본 발명 의 매체의 제조에 있어서는, 수지가 균일하게 도포 가능하며, 수지 중에 기포 등의 결함이 혼입하지 않는 방법이라면, 수지의 도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매체의 제작에 있어서는 뒤에 서술하는 것 같이,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요구된다. 스핀코트법은 내주측에 수지를 적하(滴下)하고, 원심력에 의하여 수지를 도포하는 공법이다. 이 스핀코트법을 채용할 경우, 수지를 적하하는 위치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오프셋법 및 잉크젯법을 채용할 경우에는 수지의 내주의 적하 위치를 임의로 설계함으로써, 내주측 단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수지의 도포 방법의 바람직한 예로서, 스크린 인쇄법을 도 4를 이용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크린 인쇄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에 따라서 실시된다. 제1정보 기록층(402)이 형성된 기판(401)을 진공 흡착 등의 수단에 의해 턴테이블(403)에 고정시킨다(도 4(A) 참조). 이 위에 스크린 프레임(406)을 고정하고, 구멍이 뚫려 있지 않는 부분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405)를 공급하고, 스크레이퍼(scraper)(407)를 미끄러지게(sliding) 하여, 스크린(404)부에 수지를 충전한다(도 4(B) 참조).
다음으로, 스퀴지 고정 치구(治具)(408)에 의하여 고정된 스퀴지(409)가, 스크린(404) 상부에 압력을 더하면서 미끄러져서 공판(孔版)(스크린)(404)의 개구부로부터 자외선 경화성 수지(405)를 기판(401)에 밀어낸다(도 4(C) 참조). 이러한 동작, 이른바 스크린 인쇄에 의해, 수지가 도포된 기판을 얻을 수 있다(도 4(D) 참조). 또한, 기판(401)을 갈아 넣고, 도 4(A)∼(D)에 나타내는 공정을 반복함으로 써, 표면에 수지가 도포된 복수 개의 기판을 얻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해서, 스크린(504)의 형상과, 형성되는 수지층의 범위를 설명한다. 소정의 영역에만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스크린(504)은 수지층을 형성하지 않아야 할 부분을 막아서 사용한다. 스크린(504)의 소정 부분을 막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스크린 프레임(501)에 스크린 재료가 되는 거즈(gauze)를 설치하고, 그 표면에 감광 유제를 코팅한다. 이어서, 코팅된 스크린용 재료의 소정의 영역(수지층을 형성하는 영역) 이외 부분을 차광 마스크에 의하여 마스킹하고, 스크린용 재료에 노광 장치를 사용해서 자외선을 일정 시간 조사한다. 이어서,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노광된 감광 유제를 물 분사 등에 의해 물로 씻어서 현상한다.
차광 마스크로 노광되지 않았던 부분에는 감광 유제가 남고, 거즈의 구멍을 막고 있다. 이 부분이 도 2에 있어서, 502A 및 502B의 영역에 해당한다. 노광에 의하여 거즈가 노광된 부분이 503에 해당한다.
스크린 프레임(501)은 예를 들면, 목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료를 사용해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경량이고 강성이 높은 알루미늄이 바람직하다. 스크린 재료가 되는 거즈는 실크, 나일론(등록상표), 테트론(등록상표), V-스크린(등록상표) 또는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다. 외압에 대한 복원성의 관점에서 V-스크린이 바람직하다. 감광 유제로서는, 예를 들면, 디아조늄염 또는 중크롬산염을 PVA 또는 초산비닐 에멀션(vinylacetate emulsion)에 혼합하여 용해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스크린 재료의 소정의 위치에서의 메시 수(1인치 당의 선재(線材)의 개수)는 100∼6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시 수가 이 범위 내에 있으면, 수지 함유 도료의 통과 불량 및 도포 얼룩이 생기지 않게 하면서 수지 함유 재료를 도포할 수 있다. 스크린의 구멍은 그물코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는 스크린 프레임(501)으로서 알루미늄을 사용하고, 기판으로의 부하가 작아지도록 V-스크린을 사용한 스크린(504)을 사용하고 있다. 물론,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는 스크린 프레임 및/또는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는 거즈를 사용해도 좋은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스크린 인쇄를 할 때, 수지의 점도가 낮으면, 도포 후의 수지가 유동하고, 기판의 단면(端面)에서 수지가 밀려나오거나, 또는 수지가 솟아오르게 되는 문제가 있다. 수지 점도가 높으면, 스크린을 통하여 수지가 전이하기 어려워진다. 공정 중의 온도 습도의 변화에 의한 수지 점도의 저하의 영향 등을 고려하면, 수지의 점도는 30cps에서 10000cps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린(504)에 있어서, 거즈가 노출한 부분의 위치 및 형상(503)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자외선 경화성 수지의 기판(505) 위로의 도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크린(504)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503과 502A의 경계 위치를 바꾸는 것으로, 형성하는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기판(505) 위에, 스크린(504)을 사용한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수지의 도포를 실행한 경우에는 수지의 도포 영역이 506과 같이 된다.
다음으로, 이 수지층에 안내 홈 및 피트를 형성하는 프로세스를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자외선 경화성 수지(607)의 도포가 완료한 제1기판(608)은 다음으 로 진공조(601) 안으로 반송된다. 이와 동시에 전사 기판(602)도 진공조 안으로 반송된다.
전사 기판(602)은 자외선 경화성 수지(607)와의 박리성이 양호한 재료인 폴리올레핀(polyolefin) 수지를 사용해서 형성된다. 전사 기판(602)의 두께는 0.6mm 정도이다. 이 두께는 두께가 1.1mm의 기판의 제1기판(608)으로부터 전사 기판(602)을 박리할 때에, 기판의 두께가 다른 것에 의한 강성의 차이를 이용하고, 전사 기판(602)을 휘게 해서 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서 선택되어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는 제1기판(608)의 성형 시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스탬퍼를 사용하고, 사출 압축 성형 등의 수지 성형에 의해, 한쪽 면에 요철로 형성된 피트 및/또는 안내 홈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폴리올레핀 수지는 자외선을 양호하게 투과하는 특성도 있다.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외선은 전사 기판(602)을 경유해서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조사되기 때문에,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전사 기판(602)은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효율적으로 경화시킬 수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 수지를 대신하여,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료를 사용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사 기판(602)의 중심부에는 중심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도 6(A) 참조). 이 중심 구멍은 센터 보스(center boss)를 통해, 전사 기판(602)과 제1기판(608)의 중심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설치된다.
진공조(601) 내부는 로터리 펌프(rotary pump) 또는 메카니컬 부스터 펌프(mechanical booster pump) 등과 같은 진공 펌프(603)에 의하여 배기되고, 단시 간에 진공 분위기가 된다. 진공조(601) 내부가 100Pa 이하의 진공도에 도달하였을 때에, 전사 기판(602)을 제1기판(608) 위에 중합시킨다. 그리고 나서, 전사 기판(60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 플레이트(604)를 사용해서 전사 기판(602)에 압력을 가한다. 이로써, 자외선 경화성 수지(607)에, 전사 기판(602)에 형성되어 있는 신호가 전사된다. 진공조(601) 내부가 진공 분위기이므로, 자외선 경화성 수지(607)와 전사 기판(602)은 그 사이에 기포가 혼입되지 않고 서로 부착시킬 수 있다(도 6(B) 참조).
서로 부착시킨 제1기판(608)과 전사 기판(602)은 진공조(601)로부터 꺼내진다. 그리고 나서, 전사 기판(602)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605)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자외선 경화성 수지의 전면에 조사해서 자외선 경화성 수지(607)를 경화한다. 자외선은 전사 기판(602)을 경유해서 조사된다. 이어서, 전사 기판(602)을 박리하기 위해, 전사 기판(602)과 자외선 경화성 수지(607) 사이에 압축 공기를 불어넣는다. 이러한 공정을 거쳐서 피트 및/또는 안내 홈을 가지는 수지층(606)이 형성된다.
전사 기판을 박리하는 공정으로서는, (a) 기판과 전사 기판의 사이에 치구를 삽입하고, 압축 공기를 불어내어 박리하는 방법, 및 (b) 미리, 전사 기판의 중심 구멍의 지름을 기판의 중심 구멍의 지름보다 작게 해서, 전사 기판의 내주부를 돌출시켜서 돌출부를 박리의 시작부로 하여, 내주부로부터 전사 기판을 박리시키는 방법 등이 제안되어 있다. 박리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 1을 참조해서, (b)의 박리 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테이블(101)에 기판(102)을 두고, 그 상부에서 흡착 암(103)을 설치한다. 기판(102) 위에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104), 전사 기판(105)이 적층되어 있다. 여기서, 자외선 경화성 수지(104)는 이미 경화되어 있다.
테이블(101)에는 기판(102)과 접하는 면에 흡착 구멍이 뚫려 있으며(도시하지 않음), 감압에 의해 테이블(101)에 기판(102)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흡착 암(103)에도 전사 기판(105) 측에 흡착 구멍이 있으며(도시하지 않음), 흡착 암(103)을 전사 기판(105)에 고정할 수 있다. 기판(102)의 내경(內徑)은 15mm, 전사 기판(105)의 내경은 13mm이다. 따라서, 중심 구멍 부분에서는 전사 기판(105)의 구멍이 1mm 돌출하고 있다(도 1(A)). 박리 핀(106)이 테이블 안에 장비되어 있으며, 중심 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박리는 다음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시된다. 먼저, 기판(102)을 테이블(101)에 고정하고, 흡착 암(103)을 전사 기판(105)에 고정한다. 그 후, 박리 핀(106)을 상부로 솟아오르게 한다(도 1(B)). 동시에, 흡착 암(103)도 상승시킨다. 전사 기판(105)의 두께는 제1기판(102)의 두께보다 작고 강성이 낮기 때문에, 도면에서와 같이 전사 기판(105)이 휜다.
다음으로, 도 1(B)의 확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 핀(106)에 설치된 공기 방출구(air blow outlet)(107)로부터 압축 공기를 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분출한다. 이 압축 공기에 의해, 전사 기판(105)을 자외선 경화성 수지(104)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공기 방출구는 박리 핀의 외주 선 위에 2개 이상 설치해도 좋다.
상기의 박리 프로세스에 있어서, 박리의 실패가 발생하기 쉬운 곳이 내주측 단부(108) 부분이다. 경화 후의 자외선 경화성 수지(104)가 제1기판(102) 위에 잔존할 것인지, 전사 기판(105)에 부착할 것인지는 내주측 단부(108)와 제1기판(102)의 밀착력에 따른다. 내주측 단부(108)에서의 밀착력이 약하다면, 자외선 경화성 수지(104)가 전사 기판(105)에 부착해버리기 때문에, 그 매체는 결함품이 된다. 자외선 경화성 수지(104)와 전사 기판(105)의 밀착력은 동일 개소에 여러 번씩 박리력이 가해지면 약해진다. 이것이 다층 정보 기록 매체의 제조를 어렵게 하고 있다.
즉, 다층 정보 기록 매체를 제작할 때에는 수지층을 복수로 적층하기 때문에, 적층할 때마다 신호 전사 기판의 박리 프로세스가 필요하게 된다. 즉, 적층하는 층의 수가 많을수록, 박리 시에 내주측 단부(108)에 더욱 큰 박리력이 가해지게 되고, 박리 프로세스의 반복은 박리 시의 결함을 만들어 내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래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적층할 경우에, 각각의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를 바꾸고, 국부적인 밀착력의 저하를 방지하였다.
도 1(C)에는 제2정보 기록층(도시하지 않음)의 형성, 2번째의 자외선 경화성 수지(109)의 도포, 2층째의 자외선 경화성 수지(109)로의 전사 기판(111)의 부착 및 자외선 조사의 공정이 종료한 기판(112)을, 박리 테이블에 설치하고, 박리 핀(106)으로 솟아오르게 한 모양을 나타낸다. 자외선 경화성 수지(109)의 내주측 단부(110)는, 1층째의 수지층(104)의 내주측 단부(108)보다도, 기판(112)의 내주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 즉, 자외선 경화성 수지(109)에 의해 형성된 수지층 내주의 지름은, 수지층 104의 내주의 지름보다도 작다.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 는 스크린에 도포하는 유제의 패턴을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2층째의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밀착시킨 전사 기판(111)을 박리시킬 때, 박리 핀(106)으로 솟아오르게 한 순간에 박리력이 가장 크게 가해지는 곳은 2층째의 자외선 경화성 수지(109)의 내주측 단부(110)가 된다. 따라서, 제1수지층(104)의 내주측 단부(108)에 가해지는 박리력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효과에 의해, 박리 공정에 있어서 전사 기판(111)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109)가 부착하는 것이 방지되어, 박리 결함의 발생 확률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외선 경화성 수지(109)는 제1수지층(104)의 내주측 단부(108)를 피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수지층의 내주측 단부를 피복함으로써, 자외선 경화성 수지(109)에 밀착시킨 전사 기판(111)을 박리할 때에, 수지층(104)의 내주측 단부(108)에 가해지는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4층 정보 기록 매체를 얻기 위해서는 수지층을 1층 더 형성할 필요가 있다. 3층째의 수지층은 그 내주측 단부의 위치가 2층째의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와 상이하도록 형성해도 좋고, 혹은 2층째의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와 동일하게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웃하는 2개의 수지층의 조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합[도 1(D)에서, 제1수지층과 제2수지층의 조합]에 있어서,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가 서로 다르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수지층[도 1(D)에서의 제1수지층]의 내주측 단부가 다른 수지층[도 1(D)에서의 제2수지층]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음으로써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제2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와 3층째의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가 정렬되어 있어도 좋 다. 도 3에 나타낸 형태에서는, 제3수지층의 내주측 단부가 제1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와 제2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기록 매체에 대해 더욱 구체적인 형태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7(A)에 4층 정보 기록 매체의 하나의 형태를 단면도로 나타내었다. 도면에서는 기판(701) 위에 제1정보 기록층(702), 제1수지층(706), 제2정보 기록층(703), 제2수지층(707), 제3정보 기록층(704), 제3수지층(708), 제4정보 기록층(705) 및 보호층(709)을 이 순서대로 적층한 정보 기록 매체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박리 시의 결함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각 층의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가 모두 다르고, 모든 수지층의 내측 단부가 기판(701)에 접하고 있다. 예를 들면, 기판(701)의 내경(중심 구멍의 지름)이 15mm일 때, 제1수지층(706)의 내경(내주측 단부에 의해 규정되는 원의 지름과 동일함)은 23mm, 제2수지층(707)의 내경은 22mm, 제3수지층(708)의 내경은 21mm가 되도록, 3개의 수지층을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실제적으로는 내주측 단부가 형성하는 원의 중심 위치와 기판의 중심 위치가 어긋날 수 있다. 또는, 내주측 단부의 형상이 정확한 원이 아니라 찌그러지거나 또는 타원 형상으로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내주측 단부의 위치에는 폭이 있고, 약 500㎛ 정도 어긋날 수도 있다. 이러한 어긋남은 허용된다. 소기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웃하는 수지층의 조합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2개의 내주측 단부 끼리의 거리(기판의 반경 방향과 평행한 거리)는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다층 기록 매체를 제작할 경우, 각 수지층을 형성할 때, 전사 기판의 박리에 따라 큰 박리력이 가해진다. 도시한 형태와 같이, 수지층을 형성할 경우에는 박리력이 가해지는 장소는 수지층마다 다르다. 각 층의 박리력이 가장 크게 가해지는 곳을 도 7(A)의 확대도에 나타내었다. 제1수지층(706)의 형성 시에 전사 기판을 박리하는 공정에서는 제1수지층(706)의 내주측 단부(710)에 박리의 부하가 가해진다. 또한, 제2수지층(707)의 형성 시에 전사 기판을 박리하는 공정에서는 제2수지층(707)의 내주측 단부(711)에 부하가 가해진다. 마찬가지로, 제3수지층(708)을 형성할 때, 전사 기판을 박리하는 공정에서는 제3수지층(708)의 내주측 단부(712)에 부하가 가해진다. 이와 같이, 모든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가 각각 다른 구성에 의해, 박리 시에 한 곳에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완화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형태에서는 제1수지층의 내주측 단부(710)가 제2수지층(707)으로 피복되어 있고, 이것과 접착하고 있으며, 제2수지층(707)의 내주측 단부(711)가 제3수지층(708)으로 피복되어 있고, 이것과 접착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수지층(707) 및 제3수지층(708)을 형성할 때, 제1수지층(706)의 내주측 단부에 가해지는 부하가 더욱 작아지고, 제3수지층(708)을 형성할 때에 제2수지층(707)의 내주측 단부에 가해지는 부하가 더욱 감소한다.
도 7(A)에 나타내는 구성이 나타내는 효과는 M의 수(정보 기록층의 수)가 클수록, 더욱 현저하게 달성된다. M의 수가 클수록, 수지층의 수도 많아지기 때문에, 먼저 형성된 수지층(예를 들면, 제1수지층)의 내주측 단부는 반복해서 박리력을 당하게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M-2)수지층까지의 모든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가 피복되어 있고, 또한 모든 내주측 단부의 위치가 기판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일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결함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를 옮김으로써 생기는 단차(段差)를 작게 하거나 없앨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A)에 나타낸 매체에 있어서, 3개의 수지층을 형성한 후에, 수지층이 형성하는 단차는 없다. 후술하는 도 7(B)에 나타낸 매체에 있어서, 3개의 수지층을 형성한 후에, 수지층이 형성하는 단차는 1개이다. 이것에 대하여, 3개의 수지층을 제1수지층의 내경 < 제2수지층의 내경 < 제3수지층의 내경이 되도록 제작하면, 단차가 2개 생기게 된다.
수지층이 형성하는 단차는 커버층을 형성할 때, 커버층의 마무리의 미관에 영향을 준다. 예를 들면, 시트와 시트를 커버층에 접착하는 접착제에 의해 커버층을 형성할 경우, 수지층의 단면(端面)에 단차가 존재하면, 기포가 혼입하기 쉬워진다. 또한, 커버층을 보호층(709)으로 하여, 예를 들면 스핀코트법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중심 구멍 근방에 설치하는 캡(cap)의 안정성이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형상으로 결정된다. 그러므로, 캡을 두기 쉽고 수평으로 유지하기 쉽도록, 수지층은 단차가 더욱 적고 더욱 매끄러운 형상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에 있어서, 이웃하는 수지층은 기판의 내주부 및 외주부에 있어서, 정보 기록층을 개재하지 않고, 직접 접착되어서 일체화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전사 기판을 박리할 때에 전사 기판이 밀착하고 있는 수지층뿐만 아니라, 그것과 일체화하고 있는 하층의 수지층에도 힘이 작용해서, 위의 수지층과 함께 전사 기판 쪽으로 이동(즉, 박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에 있어서는 박리할 때에 부하가 가해지는 위치를 분산시키도록, 2개 이상의 수지층을 구성하기 때문에, 이웃하는 수지층이 접착해서 일체화되어 있어도 수지가 벗겨지는 일이 생기기 어렵다. 수지층은 내주부에서는 예를 들면, 지름 18mm∼34mm까지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지름 18mm∼26mm의 범위 내에 있는 위치로부터 정보 기록층이 개시할 때까지의 위치(지름 약 42mm)까지의 환상 영역에서 서로 접착하고 있으며, 외주부에서는 지름이 119mm으로부터 지름 120mm까지의 환상 영역에서 서로 접착하고 있다.
보호층(709)의 형성에는 요철 및 안내 홈의 전사와, 전사 기판의 박리라고 하는 프로세스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그 내주측 단부의 위치를 한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보호층(709)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수지층(708)의 내주측 단부보다도 기판의 외주에 더 가깝게 해도 좋고, 제3수지층(708)의 내주측 단부보다도 기판의 내주에 더 가깝게 해서, 수지층(706, 707 및 708) 전체를 피복하도록 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기록 매체는 전사용 기판을 중심 구멍으로부터 박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어서,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에 가해지는 부하를 고려해서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를 상기와 같이 구성하였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수지층의 외주측 단부를 동일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것은 뒤에서 설명하는 모든 형태에 대해서 적용된다.
수지층은 앞에 서술한 바와 같이,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형성된다. 혹은 수지층은 스핀코트법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다만, 스핀코트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캡이 수지층의 내주 단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기록 매체와 같이,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가 정렬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캡의 위치 안정성이 저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지층의 형성 방법으로서, 스크린 인쇄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혹은 잉크젯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2)
도 7(B)에 4층 정보 기록 매체의 다른 형태를 단면도로 나타내었다. 도면에서는 기판(713) 위에 제1정보 기록층(714), 제1수지층(718), 제2정보 기록층(715), 제2수지층(719), 제3정보 기록층(716), 제3수지층(720), 제4정보 기록층(717), 보호층(721)을, 이 순서로 적층한 정보 기록 매체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박리 시의 결함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각 층의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가 각각 다르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수지층(718)의 내주측 단부가 기판(713)의 내주에 가장 가깝고, 제2수지층(719)의 내주측 단부는 제1수지층(718)의 내주측 단부보다도 기판의 외주에 가깝고, 제3수지층(720)의 내주측 단부는 제2수지층(719)의 내주측 단부보다 기판의 내주에 가깝고, 제3수지층(720)은 제2수지층(719)의 내주측 단부를 피복하고 있다. 제3수지층(720)의 내주측 단부는 제1수지층의 내주측 단부보다도 기판의 외주에 가깝다. 예를 들면, 기판(701)의 내경이 15mm일 때, 제1수지층(718)의 내경(내주측 단부에 의해 규정되는 원의 지름과 동일함)은 21mm, 제2수지층(719)의 내경은 22mm, 제3수 지층(720)의 내경은 21.5mm로 되는 것 같이, 3개의 수지층을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다층 기록 매체의 제작을 할 때에도, 각 수지층을 형성할 때, 전사 기판의 박리에 따라, 큰 박리력이 가해진다. 박리력이 가해지는 장소를 도 7(B)의 확대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수지층(718)의 형성 시에, 전사 기판을 박리하는 공정에서는 내주측 단부(724)에, 제2수지층(719)의 형성 시에 전사 기판을 박리하는 공정에서는 내주측 단부(723)에, 제3수지층(720)의 형성 시에 전사 기판을 박리하는 공정에서는 내주측 단부(722)에 박리 시의 부하가 가해진다. 이와 같이, 이 형태에 있어서도, 각 수지층을 형성할 때에는 부하가 가해지는 위치는 수지층마다 다르게 되어 있다. 이로써, 박리에 의한 결함을 저감할 수 있다.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수지층(719)의 내주측 단부(723)가 제1수지층(718)에 의해 피복되어 있고, 이것과 접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3수지층(720)이 형성할 때, 제2수지층(719)의 내주측 단부(723)에 가해지는 힘을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이웃하는 수지층이 기판의 내주부에서, 정보 기록층을 통하지 않고, 직접 접착하고 있는 것은 이 형태의 기록 매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형태의 기록 매체에 있어서도 제1형태와 마찬가지로, 이웃하는 수지층의 조합, 즉 제1수지층과 제2수지층과의 조합과, 제2수지층과 제3수지층과의 조합에 있어서, 내주측 단부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되어 있고, 또한 모든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가 각각 다르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전사 기판을 박리하는 공정에서 결함이 생기기 어렵다.
보호층(721)의 형성에는 요철 및 안내 홈의 전사와, 전사 기판의 박리라고 하는 프로세스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그 내주측 단부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층(721)의 내주측 단부는 제3수지층(720)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보다 기판의 외주에 더욱 가까운 위치로 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실시형태 1 및 2의 변형 예를 설명한다. 수지층이 3층으로 적층될 경우에, 각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가 취할 수 있는 위치를 도 10(A)∼도 10(F)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이들의 도면은 이해를 돕게 위해, 기판의 내주 부근에 구성만을 나타내고, 도면에서는 기판(1000, 1010, 1020, 1030, 1040, 1050), 제1수지층(1001, 1011, 1021, 1031, 1041, 1051), 제2수지층(1002, 1012, 1022, 1032, 1042, 1052), 제3수지층(1003, 1013, 1023, 1033, 1043, 1053), 제1수지층의 내주측 단부(1004, 1014, 1024, 1034, 1044, 1054), 제2수지층의 내주측 단부(1005, 1015, 1025, 1035, 1045, 1055), 제3수지층의 내주측 단부(1006, 1016, 1026, 1036, 1046, 1056)만을 나타내었다.
도 10(A)에 나타내는 구성은 실시형태 1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도 7(A)에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하다. 이웃하는 수지층의 조합 각각에 있어서,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가 서로 다르고, 모든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가 기판의 내경 방향에서 각각 다른 위치에 있으며, 또한 모든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1004, 1005 및 1006)가 기판(1000)에 접하고 있다. 제1수지층(1001)의 내주측 단부(1004)는 제2수지층(1002)에 피복되어 있고, 제2수지층의 내주측 단부(1005)는 제3수지층(1003)에 피복되어 있다.
도 10(B)는 이웃하는 수지층의 조합의 각각에 있어서,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 의 위치가 서로 다르고, 모든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가 기판의 반경 방향에서 각각 다른 위치에 있으며, 또한 제1수지층(1011)의 내주측 단부(1014) 및 제2수지층(1012)의 내주측 단부(1015)가 제3수지층(1013)으로 피복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다. 제3수지층(1013)의 내주측 단부(1016)가 기판(1010)의 내주에 가장 가깝다. 이 구성에서도 3개의 수지층은 단차를 형성하지 않고, 도 9(A)[도 7(A)]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커버층을 형성할 때의 미관을 양호하게 한다.
도 10(C)에 나타내는 구성은 실시형태 2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도 7(B)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하다. 이웃하는 수지층의 조합의 각각에 있어서,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가 서로 다르고, 모든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가 기판의 반경 방향에서 각각 다른 위치에 있으며, 또한 제1수지층(1021)의 내주측 단부(1024)가 기판(1020)의 내주에 가장 가깝고, 제2수지층(1022)의 내주측 단부(1025)가 기판(1020)의 외주에 가장 가깝다. 제3수지층(1023)의 내주측 단부(1026)는 제1수지층(1011)에 접하고 있다. 제2수지층(1022)의 내주측 단부(1025)는 제3수지층(1023)으로 피복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3개의 수지층에 의해 하나의 단차가 형성된다.
도 10(D)은 이웃하는 수지층의 조합 각각에 있어서,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가 서로 다르고, 모든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가 기판의 반경 방향에서 각각 다른 위치에 있으며, 또한 제2수지층(1032)의 내주측 단부(1035)가 기판(1030)의 내주에 가장 가깝고, 제3수지층(1033)의 내주측 단부(1036)가 기판(1030)의 외주에 가장 가까운 구성을 나타낸다. 제1수지층(1031)의 내주측 단부(1034)는 제2수지층(1032)으로 피복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3개의 수지층에 의해 하나의 단차가 형성된다.
도 10(E)은 이웃하는 수지층의 조합 각각에 있어서,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가 서로 다르고, 모든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가 기판의 반경 방향에서 각각 다른 위치에 있으며, 또한 제2수지층(1042)의 내주측 단부(1045)가 기판(1040)의 내주에 가장 가깝고, 제1수지층(1041)의 내주측 단부(1044)가 기판(1040)의 외주에 가장 가까운 구성을 나타낸다. 제1수지층(1041)의 내주측 단부(1044)는 제2수지층(1042)으로 피복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3개의 수지층에 의해 하나의 단차가 형성된다.
도 10(F)은 이웃하는 수지층의 조합 각각에 있어서,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가 서로 다르고, 제1수지층(1051)의 내주측 단부(1054)와, 제3수지층(1053)의 내주측 단부(1056)가 기판의 반경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으며, 또한 제2수지층(1052)의 내주측 단부(1055)가 기판(1050)의 내주에 가장 가깝다. 제1수지층(1051)의 내주측 단부(1054)는 제2수지층(1052)으로 피복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 는 3개의 수지층에 의해 하나의 단차가 형성된다. 또한, 제1수지층의 내주측 단부(1054)와 제3수지층의 내주측 단부(1056)가 동일한 위치에 있으므로, 제3수지층을 형성할 때에 제1수지층에 부하가 가해지기 쉽다. 이 구성은 3개의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가 정렬되어 있는 구성보다도, 수지층의 박리가 발생하기 어렵다고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기록 매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수지층은 실제적으로는 네모난 것이 아니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 선으로 규정되는 윤곽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많은 경우, 수지층은 곡선으로 규정되는 윤곽을 가진다. 도 11은 도 10(A)에 상당한다.
실시형태 1 및 2로서 3개의 수지층을 가진 4층 기록 매체를 설명하였다. 수지층(정보 기록층)의 수는 한정되지 않고, 수지층의 수가 4개 이상이라도 동일한 원리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지층의 수가 4개일 경우에는 도 10(B)에 나타낸 구성을 응용해서 제1수지층 및 제4수지층의 내주측 단부만이 기판에 접하도록 해도 좋다. 혹은 도 10(F)에 나타낸 구성을 응용해서 제1수지층 및 제3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를 동일하게 하여, 제2수지층 및 제4수지층이 내주측 단부의 위치를 동일하게 하고, 제4수지층 및 제2수지층이 각각 제3수지층 및 제1수지층의 내주측 단부를 피복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이웃하는 수지층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있어서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가 서로 다른 구성에 의해, 전사 기판을 박리하는 공정에서 생기는 결함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형성하는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에 위치(즉, 수지층의 안쪽 가장자리)를 적어도 하나의 이웃하는 수지층의 조합에 있어서 서로 다르게 되도록 하는 구성에 의해, 박리 시에 발생하는 결함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각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는 예를 들면,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용이하게 소망의 위치에 설정할 수 있으므로, 추가의 프로세스 및 설비는 특별히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층 정보 기록 매체는 종래의 설비를 그대로 이용해서 제조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3으로서, 수지층을 경화할 때, 영역을 나누어 영역에 따라 자외선 조사량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다층 디스크에 있어서는 기록층이 형성되어 있는 정보 기록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비정보 기록 영역"이라고 부른다)에서는 투과율이 크게 다르다. 이로 인하여, 수지층을 형성할 때마다, 비정보 기록 영역에 서의 수지층은 대량의 자외선에 노출하게 된다.
도 8을 이용하여, 비정보 기록 영역과 자외선의 조사량을 변경해서 정보 기록 매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판(801) 위에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803, 805, 807)과, 투명층(또는 보호층)(809)이 적층 형성되고, 각 수지층의 사이에는 제1정보 기록층(802), 제2정보 기록층(804), 제3정보 기록층(806), 제4정보 기록층(80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정보 기록층은 금속 또는 유전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퍼터링 장치를 사용해서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이 스퍼터링 장치에 기판(801)을 설치할 경우, 금속 도구로 기판(801)이 고정되고, 정보 기록층이 형성되지 않는 내주 비정보 기록 영역(810), 정보 기록층이 형성되지 않는 외주 비정보 기록 영역(812)이 설치된다. 이들의 비정보 기록 영역은 스퍼터링 장치 내에서 기판(801)을 고정한 결과로서 형성되어, 마스크 영역이라고도 한다. 이들의 비정보 기록 영역에서는 정보 기록층이 각 수지층으로 감싸져서, 정보 기록층이 대기 및 수증기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비정보 기록 영역은 정보 기록층의 열화를 방지하는 역할도 다하고 있다. 비정보 기록 영역은 반경 약 21mm∼약 59mm까지의 환상 영역과, 반경 약 59mm∼약 60mm까지의 환상 영역이다.
다층 정보 기록 매체를 제작하는 프로세스에서는 각 수지층의 영역에 따라 흡수되는 자외선 조사량이 다르다. 예를 들면, 수지층(803)에 있어서의 자외선에 의한 경화의 정도를 고려한다. 수지층(803)을 경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자외선 조사량은 전 영역에서 동일하다. 그 후, 제2정보 기록층(804)을 형성하고, 수지층(805)을 경화하기 위해 자외선을 조사할 때에는 수지층(803) 내에 조사되는 광량은 장소에 따라 바뀐다. 이것은 제2정보 기록층(804)이 마스크가 되고, 수지층(803)의 영역(811)에는 거의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지만, 수지층(803)의 내주측의 영역(810) 및 외주측의 영역(812)에서는 상부에 정보 기록층이 없기 때문에, 많은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수지층(807) 및 투명층(809)을 형성할 때의 자외선 조사량도 각각의 영역에서 다르다. 또한, 정보 기록층의 수가 많을수록, 정보 기록 영역(811)의 투과율은 저하하기 때문에, 정보 기록 영역에 조사되는 자외선 조사량과 비정보 기록 영역에 조사되는 자외선 조사량과의 차이는 더 뒤에 있는 수지층 형성 공정에 있어서 더 커진다.
자외선 경화성 수지는 자외선에 노출되면 가교가 진행되고, 미경화의 액체 형상의 수지가 경화하는 성질을 가진다. 자외선 경화성 수지는 완전히 경화를 마친 후에 과잉의 자외선이 조사되면, 경화 후의 수지가 약해지는 성질도 있다. 특히, 내주부로부터 전사 기판의 박리를 실행할 경우, 영역 810의 수지가 약해지면, 전사 기판을 박리할 때 결함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가 기판으로부터 박리되거나, 전사 기판에 부착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상기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미리 내주측 영역(810)에 자외선이 과도하게 조사되지 않도록, 자외선 조사량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외주부로부터 박리를 실행할 때에는 외주측 영역(812)에 자외선이 과도하게 조사되지 않도록, 자외선 조사량을 조정하면 좋다.
자외선 조사량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사 기판 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할 경우, 전사 기판의 투과율을 부분적으로 작게 함으로써, 비정보 기록 영역으로의 자외선 조사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기판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9(A)에 서, 901은 자외선 조사 장치, 902는 전사 기판, 903은 수지층, 904는 기판을 나타내고 있다. 도 9(B)는 전사 기판(902)을 자외선 조사 장치(901) 측으로부터 본 조감도이다. 내주측 영역(905)과 외주측 영역(907)은 수지층(903)에 조사되는 자외선 조사량을 줄이기 위해 금속막으로 피복되어 있다.
이 금속막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Ag, Al, Ni 또는 Cu를 사용해서 금속막을 형성할 수 있다. 금속막은 수지층(903)을 아크릴계 수지로 형성할 경우에는 파장 280∼340mm의 광의 투과율이 10∼40%의 범위 내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파장 영역은 수지층(903)에 혼입되고 있는 경화 개시제가 작용하는 자외선 파장에 의존한다. 또한, 투과율은 수지층(903)에 혼입되고 있는 경화 개시제의 양에 의존한다. 상기한 수지로 수지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한 파장 영역의 자외선이 상기 투과율로 수지층(903)에 조사되면, 양호한 박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투과율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는 수지층(903)의 경화가 진행되고 약해지기 때문에 결함이 생긴다. 또한, 투과율이 지나치게 낮을 경우는 수지층(903)이 겔 상태가 되고 경화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수지층(903)의 경화 정도에 따라 금속막의 투과율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사 기판에 자외선 조사량을 조정하는 금속막을 형성하였다. 자외선 조사량을 조정하는 수단은 금속막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자외선 조사 장치와 전사 기판의 사이에 다른 부품을 삽입함으로써, 자외선 조사량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자외선 조사 장치 본체에 자외선이 조사되는 영역을 제한하는 부재를 부착해도 좋다.
(실시형태 4)
실시형태 4로서, 상기 비정보 기록 영역에 있어서, 자외선을 조사하는 영역을 더욱 면밀하게 구분해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기록 매체의 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그 매체의 비정보 기록 영역에 있어서, 자외선 조사량이 다른 영역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비정보 기록 영역을 더욱 구분할 필요성을 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낸 구성의 3층의 수지층을 형성할 때는, 제1수지층(2001)의 어느 부분에도 동일한 양의 자외선이 조사된다. 다음으로, 제2수지층(2002)이 되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도포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면 제2수지층이 마스크가 되기 때문에, 도면에서의 영역 A에 조사되는 자외선 조사량의 총량은 도면에서의 영역 B에 조사되는 자외선 조사량의 총량보다도 많아진다. 또한, 제3층 수지층(2003)이 되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도포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면 제2수지층에 더하여 제3수지층도 마스크가 되기 때문에, 도면에서의 영역 C에 조사되는 자외선 조사량의 총량은 가장 적어진다. 도면에서의 영역 A는 수지층의 마스크가 없기 때문에, 제1수지층을 형성할 때에 조사된 자외선 조사량의 3배의 자외선을 조사받게 된다.
각 영역의 자외선 조사량을 도 11에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영역 A, B 및 C에서의 자외선 조사량은 제3수지층을 형성한 단계에서 상당히 다르다. 도 11에 나타내는 그래프는 개념적인 것이며, 각 영역의 자외선 조사량은 제2수지층 및 제3수지층의 두께 및 자외선 투과성에 따라 다르다.
이와 같이, 각 영역의 자외선 조사량이 다르면, 자외선 조사량의 가장 많은 영역 A의 수지가 약해지고 벗겨져서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것은 기록 매체의 결함이 된다. 이 결함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영역 A와 같이 자외선 조사량이 누적적으로 많아지는 부분은 마스크로 피복해서 자외선 조사량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수지층∼제3수지층의 형성이 종료하였을 때, 모든 영역에서 자외선 조사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영역 A의 상방에는 가장 투과율이 낮은 마스크를 사용하고, 영역 B의 상방에는 영역 A의 상방에 있는 마스크보다도 투과성이 높은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각 영역에서의 자외선 조사량을 동일한 레벨로 하면, 자외선이 과도하게 조사되는 영역을 없앨 수 있고, 전체로서 균일한 수지층의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다.
마스크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사 기판에 형성된 금속막이라도 좋다. 혹은 자외선 조사 장치와 전사 기판의 사이에 다른 부품을 삽입함으로써, 자외선 조사량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자외선 조사 장치 본체에 자외선이 조사되는 영역을 제한하는 부재를 부착해도 좋다.
본 발명의 다층 정보 기록 매체 및 그 제조방법은 결함이 적은 다층 기록 매체를 고속으로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정확하게 대용량 정보를 광학적으로 재생 가능한 다층형의 광 디스크[예를 들면,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및 그 제조방법으로서 유용하다. 또한, 대용량 메모리의 제조 등의 용도에도 응용할 수 있다.

Claims (14)

  1. 내주와 외주를 가지는 기판 위에, 3개 이상의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정보 기록층들 사이에 배치된 수지층을 가지는 다층 정보 기록 매체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수지층의 조합 중 적어도 1개의 조합에서,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端部)의 위치가 서로 다르고,
    적어도 1개의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가 다른 수지층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정보 기록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하는 2개의 수지층의 조합 각각에 있어서, 내주측 단부의 위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정보 기록 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기판에 가장 가까운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가 그 이외의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보다도 기판의 내주에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정보 기록 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모든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가 상기 기판에 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정보 기록 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기판 위에 순서대로 제1수지층∼제m수지층이 형성되어 있으며(m은 정보 기록층의 수보다 1 작은 정수), 제1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와 제m수지층의 내주측 단부만이 기판에 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정보 기록 매체.
  6. 제1항에 있어서,
    모든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가 각각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정보 기록 매체.
  7. 제1항에 있어서,
    정보 기록층의 수가 4개 이상이며, 적어도 2개의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의 위치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정보 기록 매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하는 2개의 수지층의 조합에 있어서, 수지층의 내주부가 서로 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정보 기록 매체.
  9. 내주와 외주를 가지는 기판 위에, 3개 이상의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정보 기 록층들 사이에 배치된 수지층을 가지는 다층 정보 기록 매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각 수지층을 형성하는 것은
    (ⅰ) 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정보 기록층 위에 도포해서 미(未)경화의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ⅱ) 상기 미경화의 수지층과, 표면에 요철을 가지는 전사 기판을 부착시키는 공정,
    (ⅲ) 상기 미경화의 수지층을 경화하는 공정, 및
    (ⅳ) 상기 경화한 수지층의 표면으로부터 전사 기판을 박리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공정 (ⅰ)∼(ⅳ)를 (M-1)회(M은 정보 기록층의 수) 반복해서,
    적어도 한 번의 공정 (ⅰ)에서, 미경화의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가 전번(前番)에 형성한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와는 상이하도록, 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도포하는 영역을 선택하고,
    적어도 한 번의 공정 (ⅰ)에서, 미경화의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가 전번에 형성한 수지층의 내주측 단부를 피복하도록, 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도포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정보 기록 매체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공정 (ⅰ)을 스크린 인쇄법 또는 잉크젯법에 의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각 공정 (ⅰ)에서, 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도포하는 영역을 그 내주측 단부가 기판에 접하도록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기판의 두께가 상기 기판의 두께보다 작고, 또한
    상기 전사 기판을 박리하는 공정 (ⅳ)에서, 전사 기판을 뒤로 젖히면서 수지층의 표면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경화성 수지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이며,
    상기 미경화의 수지층을 경화하는 공정 (ⅲ)에서,
    상기 미경화의 수지층을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시키고,
    상기 정보 기록층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이하, "정보 기록 영역"이라고 부른다)보다도 내주측의 영역 및/또는 상기 정보 기록 영역보다도 외주측의 영역에 위치하는 수지층으로의 자외선 조사량을 상기 정보 기록 영역에 위치하는 수지층으로의 자외선 조사량보다도 적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경화성 수지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이며, 상기 미경화의 수지층을 경화하는 공정 (ⅲ)이,
    수지층의 적층 수가 다른 부분을, 각각 다른 자외선 조사 영역으로서 규정하고,
    수지층의 적층 수가 적은 자외선 조사 영역에 자외선 조사량을 더욱 줄여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087032189A 2006-11-14 2007-10-05 다층 정보 기록 매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800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07426 2006-11-14
JPJP-P-2006-307426 2006-11-14
JPJP-P-2007-110224 2007-04-19
JP2007110224 2007-04-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018A true KR20090080018A (ko) 2009-07-23

Family

ID=39401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2189A KR20090080018A (ko) 2006-11-14 2007-10-05 다층 정보 기록 매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017210B2 (ko)
EP (1) EP2077555B1 (ko)
JP (2) JP4173910B2 (ko)
KR (1) KR20090080018A (ko)
CN (1) CN101490758B (ko)
DE (1) DE602007009280D1 (ko)
RU (1) RU2009103001A (ko)
WO (1) WO20080596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2387B2 (ja) * 2008-02-28 2013-01-16 株式会社リコー 多層光記録媒体
JP4937956B2 (ja) * 2008-03-31 2012-05-23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転写装置及び転写方法
WO2009157203A1 (ja) * 2008-06-26 2009-12-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多層情報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4929262B2 (ja) * 2008-09-29 2012-05-09 株式会社東芝 複製スタンパの製造方法
JP4893777B2 (ja) * 2009-05-11 2012-03-0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再生装置、再生方法、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0785C (zh) * 1996-09-24 2005-02-23 富士写真菲林株式会社 光信息记录盘
JP4043175B2 (ja) * 2000-06-09 2008-02-06 Tdk株式会社 光情報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71956B2 (ja) * 2001-11-13 2008-04-02 Tdk株式会社 多層光記録媒体
TW200505304A (en) * 2003-05-20 2005-0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ultilayer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159972B2 (ja) 2003-11-18 2008-10-01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ディスク
US7859983B2 (en) 2003-07-15 2010-12-28 Sharp Kabushiki Kaisha Optical disk and optical disk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2005071571A (ja) * 2003-08-07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41804A (ja) * 2003-11-05 2005-06-02 Fuji Photo Film Co Ltd 光記録媒体
JP3955867B2 (ja) 2004-02-09 2007-08-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情報記録媒体の製造方法
TWI362664B (en) 2004-02-09 2012-04-21 Panasonic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2005267670A (ja) * 2004-03-16 2005-09-29 Ricoh Co Ltd 2層型光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622454B2 (ja) 2004-10-28 2011-02-02 Tdk株式会社 多層光記録媒体
JP4616914B2 (ja) * 2006-05-18 2011-01-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多層光記録媒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59676A1 (fr) 2008-05-22
DE602007009280D1 (de) 2010-10-28
EP2077555A4 (en) 2009-11-11
JP2008287854A (ja) 2008-11-27
EP2077555A1 (en) 2009-07-08
CN101490758B (zh) 2011-03-23
CN101490758A (zh) 2009-07-22
JPWO2008059676A1 (ja) 2010-02-25
US8017210B2 (en) 2011-09-13
JP4173910B2 (ja) 2008-10-29
EP2077555B1 (en) 2010-09-15
JP4928488B2 (ja) 2012-05-09
US20090280286A1 (en) 2009-11-12
RU2009103001A (ru) 201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04127A (ko) 광 정보 기록매체 및 광 정보 기록매체의 제조방법
WO2008047803A1 (fr) Procédé de fabrication pour support d'enregistrement d'informations multicouche, appareil de fabrication pour support d'enregistrement d'informations multicouche et support d'enregistrement d'informations multicouche
JP4928488B2 (ja) 多層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722164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storage medium and optical storage medium
EP1669991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a multilayer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20090309906A1 (en) Inkjet application device, multi-layere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method of producing the medium
JP4795339B2 (ja) 多層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7844984B2 (e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WO2009066414A1 (ja) 情報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7135907A1 (ja) 多層光記録媒体の製造方法
US2010012956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4360269B2 (ja) 多層光ディスクの製造方法
JPH10275362A (ja) 光学式貼り合わせディスク及びその成形金型
JP5485287B2 (ja) 情報記録媒体の製造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
JP2006127654A (ja) 多層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266911B2 (ja) 光ディスクの製造方法
JP2007265515A (ja) 光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178231A1 (en) Method of producing multilayer optical recording medium
JP2005317054A (ja) 光ディスクの製造方法
JP2007226907A (ja) 多層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42694A (ja) 光学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2005353143A (ja) 貼り合わせ方法および貼り合わせ装置
JP2007305251A (ja) 多層光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2007512654A (ja) 光ディスクスピンコーティング用の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光ディスクの製造方法
JP2011028806A (ja) 多層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