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4813A -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4813A
KR20090074813A KR1020097010730A KR20097010730A KR20090074813A KR 20090074813 A KR20090074813 A KR 20090074813A KR 1020097010730 A KR1020097010730 A KR 1020097010730A KR 20097010730 A KR20097010730 A KR 20097010730A KR 20090074813 A KR20090074813 A KR 20090074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ybean extract
encapsulated
solution
fructos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0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최용
Original Assignee
콘 프로덕츠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36484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07481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콘 프로덕츠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콘 프로덕츠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74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48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52Polysaccharides, e.g. alginate,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40Cyclodextr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과당류로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및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대두 추출물 용액과 과당류 용액을 배합하여 대두 추출물을 과당류로 캡슐화하는 단계,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용액을 침전시켜 침전물을 형성시키는 단계, 원심분리하는 단계, 이온 교환하여 이온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에서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은 이소플라본 유도체, 예컨대 다이드진, 글리시틴, 제니스틴, 다이드제인, 글리시테인 및 제니스테인을 포함하고, 이는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γ-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이러한 과당류들의 배합물로 캡슐화될 수 있다.
과당류, 대두 추출물,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사이클로덱스트린

Description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ENCAPSULATED SOY EXTRACTS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관련출원에 대한 참조설명
본 출원은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참고인용된 2006년 11월 3일에 출원된 미국 임시출원번호 60/864,217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는 출원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과당류(oligosaccharide)로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두 추출물을 캡슐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두는 이소플라본류, 사포닌류, 피토스테롤류 및 필수아미노산과 같이 영양적으로 가치있는 다수의 성분을 함유하는 식품이다. 이소플루본 유도체와 같은 대두 추출물은 사람의 음식에 포함되었을 때 유익한 생리적 활성, 예컨대 에스트로겐 작용, 항산화 활성 및 항미생물 활성을 제공한다. 대두 추출물, 특히 이소플라본은 특정 암 종류, 예컨대 유방암 및 전립선암의 가능한 억제제로 생각되고 있다. 이소플라본 유도체는 저 칼슘 음식과 함께 난소절제된 래트의 골밀도 저하를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이에 따라 이소플라본은 골다공증의 예방이나 억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또한, 대두 추출물은 면역 기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 고 사람 음식에 첨가되었을 때 콜레스테롤 수준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모든 부 및 백분율은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중량/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은 1종 이상의 대두 추출물과 1종 이상의 과당류를 포함한다. 대두 추출물은 과당류로 캡슐화된다.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은 불순물을 거의 또는 전혀 함유하지 않으며, 물과 같은 용매에 완전한 또는 거의 완전한 용해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또는 대두 추출물의 캡슐화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대두 추출물 용액과 과당류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그 다음 대두 추출물을 과당류로 호모믹서(homomixer),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 또는 교반기(stirrer)와 같은 캡슐화 수단을 이용하여 캡슐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추가로 침전 단계, 원심분리 단계, 이온 교환 단계 및 분무건조기에서와 같은 건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 다이아그램이다.
본 발명은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및 불순물이 최소이거나 전혀 없는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두 추출물은 일반적으로 이소플라본, 용해성 식이 섬유, 당, 지방, 단백질 등을 포함한다. 대두 추출물 중의 주요 불순물은 단백질 및 지방 등으로서, 대두 추출물의 수중 불용성을 유도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주요 불순물"이란 용어는 단백질, 지방 등을 의미하며, "불순물"이란 용어는 이소플라본 및/또는 이소플라본 유도체가 아닌 다른 물질 및 주요 불순물을 포함할 것이다. 미가공 대두 추출물은 주요 불순물을 약 10% 이상 포함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가공처리(processing) 전의 대두 추출물은 약 9%의 단백질과 약 3%의 지방을 포함할 수 있다. 대두 추출물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방법에 의해 캡슐화된 후,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은 약 1.0% 미만, 예컨대 약 0.7% 미만의 주요 불순물을 포함할 것이다.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은 약 0.1% 내지 약 1.0%의 주요 불순물, 예컨대 약 0.1% 내지 약 0.7%의 주요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은 약 0.1% 내지 약 0.9%의 단백질 및/또는 약 0.1% 내지 약 0.9%의 지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은 완전한 또는 거의 완전한 수용해성이며, 예컨대 약 1% 용액을 기준으로 할 때 약 99% 내지 100%의 수용해성을 나타내며, 이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캡슐화된 산물에 불순물, 특히 주요 불순물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소량이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바람직한 대두 추출물은 이소플라본, 특히 이소플라본 유도체이며, 그 예에는 다이드진(daidzin), 글리시틴(glycitin), 제니스틴(genistin), 다이드제인(daidzein), 글리시테인(glycitein), 제니스테인(genistein) 및 이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다른 대두 추출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대두 추출물, 즉 이소플라본, 예컨대 이소플라본 유도체는 1종 이상의 과당류에 의해 캡슐화된다.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은 분무건조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무건조된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은 영양 보충제로서 또는 식품 품목, 음료, 미용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 소위 본 발명의 몇몇 용도들에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은 청량음료, 차, 주스, 음료, 커피, 양념, 과자, 제과, 알콜성 음료, 검, 초콜릿, 건강식품, 유제품, 소스, 시리얼, 미용제품 등의 성분일 수 있다.
과당류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단당류 유니트로 구성된 탄수화물이다. 본 발명에는 다양한 과당류가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과당류는 1종 이상의 환형 과당류, 예컨대 사이클로덱스트린, 구체적으로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γ-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이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인 것이 바람직하다.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1종 이상의 대두 추출물 및 대두 추출물 용매를 함유하는 대두 추출물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1종 이상의 과당류와 과당류 용매를 함유하는 과당류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대두 추출물 용액과 과당류 용액을 배합하여 대두 추출물을 과당류로 캡슐화하는 단계,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용액을 침전시켜 불순물을 함유하는 침전물을 형성시키는 단계, 원심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대두 추출물로부터 추가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이온교환하는 단계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으로부터, 과당류로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예컨대 불순물이 거의 또는 전혀 없고 물에 완전한 용해성인, β-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캡슐화된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을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도 1에 제시했다.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을 제조하는 바람직한 방법에서, 대두 추출물 용액은 1종 이상의 대두 추출물, 예컨대 이소플라본 또는 이소플라본 유도체와 대두 추출물 용매, 예컨대 알콜을 배합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대두 추출물 용매는 물, 에탄올, 메틸 알콜, 아세톤, 에테르, 이소프로필 알콜, 헥산, 이산화탄소 및 이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한다. 에탄올 및 에탄올 수용액이 바람직하다. 대두 추출물과 대두 추출물 용매는 이들을 철저하게 혼합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상온에서 혼합할 수 있다. 하지만, 대두 추출물과 대두 추출물 용매는 약 30℃ 내지 약 105℃의 온도, 예컨대 약 50℃ 내지 약 90℃의 온도에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두 추출물과 대두 추출물 용매는 통상의 혼합기 또는 교반기에서 혼합될 수 있다. 대두 추출물 용액은 주요 불순물을 비롯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불용성 물질을 포함한다. 하지만, 불순물의 일부, 예컨대 주요 불순물, 즉 지방과 단백질은 대두 추출물과 함께 용액에 유입된다. 불용성 물질은 대두 추출물 용액으로부터 불용성 물질을 분리시키는 분리 수단에 의해 대두 추출물 용액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수단의 예는 원심분리와 여과이다. 대두 추출물 용액은 대두 추출물 원심분리 단계에서 통상의 원심분리 장치에 의해 원심분리되어 대두 추출물 용액으로부터 불용성 물질을 분리 및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대두 추출물 용액은 약 500rpm 내지 약 22,500rpm, 예컨대 약 2,000rpm 내지 약 18,000rpm으로 원심분리한다.
또한, 본 방법동안 과당류 용액이 형성되며, 이는 대두 추출물 용액의 제조와 별도로 준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종 이상의 과당류, 예컨대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γ-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이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선택적으로 알칼리, 예컨대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 중탄산나트륨, 산화마그네슘 및 이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알칼리의 존재 하에, 물과 같은 과당류 용매와 혼합된다. 과당류, 용매 및 선택적인 알칼리는 통상의 혼합기 또는 교반기에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과당류 용액은 고체를 용매에 철저하게 용해하기 위한 온도, 예컨대 약 30℃ 내지 약 115℃, 예컨대 약 50℃ 내지 약 100℃에서 용매 중에 과당류와 선택적인 알칼리를 배합 및 혼합하여 제조한다.
그 다음, 대두 추출물 용액과 과당류 용액은 이소플라본 또는 이소플라본 유도체와 같은 대두 추출물이 과당류에 의해 캡슐화되도록 캡슐화 수단 중에서 배합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캡슐화는 교반기, 예컨대 자석 교반기, 진탕기, 혼합기, 프로펠러, 임펠러 또는 다른 혼합 장치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진탕 하에 수행한다. 또한, 캡슐화용 수단은 호노믹서 또는 호모게나이저일 수 있다. 대두 추출물 용액 및 과당류 용액은 약 40℃ 내지 약 130℃, 예컨대 약 50℃ 내지 약 105℃의 온도에서 약 100rpm(분당 회전수) 내지 약 25,000rpm, 예컨대 약 1,000rpm 내지 약 10,000rpm으로, 약 pH 4 내지 약 pH 12, 예컨대 약 pH 6 내지 약 pH 10에서 일정 시간 동안, 예컨대 약 1분 내지 약 10시간 동안, 예컨대 약 10분 내지 약 3시간 동안 배합할 수 있다. 당해 방법 중의 이 단계로부터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과, 대두 추출물 용액의 제조 중에 대두 추출물로부터 대두 추출물 용액으로 용출된 불순물, 예컨대 단백질 및 지방 등과 같은 주요 불순물을 포함하는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이 수득된다.
캡슐화가 완료된 후 캡슐화된 대두 혼합물의 pH를 조정하기 위해 캡슐화된 대두 혼합물에 선택적으로 산을 첨가하여,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로부터 주요 불순물을 비롯한 불순물을 침전시킨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pH는 약 5 이하로 조정할 수 있다. 무기산, 유기산 또는 이의 배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염산, 인산, 황산, 질산, 탄산, 아세트산, 아스코르브산, 구연산, 푸마르산, 젖산, 말산, 타르타르산 및 이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산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염산이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다. pH 조정은 캡슐화 수단 내에서 캡슐화 단계로부터 수득된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로부터 주요 불순물을 비롯한 불순물의 침전물을 형성한다. 침전물은 그 다음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을 원심분리 또는 여과함으로써 분리 및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전된 불순물은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을 약 500rpm 내지 약 25,000rpm, 예컨대 약 1,000rpm 내지 약 17,5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원심분리 후,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을 함유하는 상부 용액이 형성되고, 바닥에는 주요 불순물을 비롯한 불순물을 함유하는 펠릿이 침전물로서 형성되어 제거된다.
가공처리 동안, 특히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의 pH 조정 및 침전된 불순물의 분리 동안에는 최종 산물의 맛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온 성분이 발생된다. 이러한 이온 성분은 이온 교환을 통해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로부터 제거된다.
침전물이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로부터 제거된 후에는 pH를 증가시키기 위해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에 알칼리를 첨가하고, 그 후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로부터 이온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이온 교환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알칼리는 pH를 약 3 이상, 예컨대 약 3.1 내지 약 9의 pH, 예컨대 약 3.5로 증가시키도록 첨가하고, 그 후 이온 교환은 약 30℃ 내지 약 110℃, 예컨대 약 40℃ 내지 약 90℃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이온 교환을 위해 pH를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된 알칼리는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 중탄산나트륨, 산화마그네슘 및 이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온 교환은 이온 교환 수지 또는 다른 통상의 기질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양이온 교환 수지, 음이온 교환 수지 또는 이의 배합물은 이온 교환 수지용으로 사용된다. 양이온 교환 수지의 사용 용량은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의 용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100%, 예컨대 약 1% 내지 약 5%일 수 있다. 음이온 교환 수지의 사용 용량은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의 용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100%, 예컨대 약 2% 내지 약 10%일 수 있다.
이온 교환은 양이온 교환 수지, 음이온 교환 수지 및 이의 배합물이 충진된 이온 교환 컬럼을 통해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을 유동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온 교환 컬럼에서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의 유속은 약 0.1㎖/min 내지 약 1000ℓ/min, 예컨대 약 10ℓ/min 내지 약 50ℓ/min이다.
다른 양태에서, 이온 교환 수지, 즉 양이온 교환 수지, 음이온 교환 수지 또는 이의 배합물은 이온 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해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의 탱크(또는 저장소)에 첨가되어 교반될 수 있다. 탱크에 이온교환수지를 첨가하는 경우, 교반 시간은 약 1분 내지 약 10시간, 예컨대 약 20분 내지 90분일 수 있다. 이온 교환 성분을 보유한 수지는 그 다음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로부터 추가 원심분리 또는 여과 등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이온 교환후,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은 불순물 또는 주요 불순물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용액 중의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을 포함한다.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은 그 다음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 등에 의해 건조되어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예컨대 캡슐화된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은 용매를 제거하는 임의의 조건 하에서 분무 건조하여 분무 건조된 미립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은 대략 이온 교환 온도로 유지되고, 입구 온도가 약 105℃ 내지 약 250℃, 예컨대 약 160℃이고 출구 온도가 약 60℃ 내지 약 110℃, 예컨대 약 85℃인 분무건조기를 통해 가공처리된다.
본 발명은 1종 이상의 과당류로 캡슐화된 1종 이상의 대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질의 조성물, 예컨대 불순물이 거의 또는 전혀 없고 완전한 또는 거의 완전한 수용해성을 갖춘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캡슐화된 이소플라본을 포함하는 물질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 예로는, 주요 불순물이 거의 또는 전혀 없고 완전한 또는 거의 완전한 수용해성을 갖춘 β-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캡슐화된 이소플라본 유도체가 있다. 일 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을 비롯한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은 과당류, 예컨대 β-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사이클로덱스트린, 이소플라본 및 약 1%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0.7% 미만의 주요 불순물, 예컨대 약 0.1% 내지 약 1.0%의 주요 불순물, 예컨대 0.1% 내지 약 0.7%의 주요 불순물, 예컨대 약 0.1% 내지 약 0.9% 단백질 및 약 0.1% 내지 약 0.9% 지방을 포함한다.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은 수용해성이 약 1% 용액을 기준으로 약 99% 내지 100%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두 추출물 용액과 과당류 용액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캡슐화 수단에서 상기 대두 추출물 용액과 과당류 용액을 배합하여 대두 추출물을 과당류로 캡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1종 이상의 과당류로 1종 이상의 대두 추출물을 캡슐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침전물을 제거하는 단계, 이온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및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대두 추출물 용액과 사이클로덱스트린 용액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대두 추출물 용액과 사이클로덱스트린 용액을 캡슐화 수단 내에서 배합하여 대두 추출물의 이소플라본을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캡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소플라본을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캡슐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임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캡슐화 수단이 교반기인 방법을 포함한다.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캡슐화된, 분무건조된 이소플라본을 제조했다. 먼저, 사이클로덱스트린 용액과 대두 추출물 용액을 제조했다. 사이클로덱스트린 용액은 용기에 물 100g을 넣고 그 다음 사이클로덱스트린 10g과 NaOH 150mg을 첨가한 후 용기를 60℃로 가열하여 사이클로덱스트린과 NaOH를 물에 용해하여 제조했다. 대두 추출물 용액은 에탄올 5g(95% 용액)과 물 5g을 용기에서 배합한 뒤, 50℃로 가열 하여 10g 에틸알콜 용액을 제조하고, 건조중량 기준으로 단백질 함량이 8.9%이고 건조 중량 기준으로 지방 함량이 3.1%인 대두 추출물 1g을 첨가한 후 50℃로 가열 하에 5분 동안 철저하게 혼합한 뒤, 이 혼합물을 12,000rpm에서 원심분리하여 불용성 성분을 제거하고 대두 추출물 용액을 수득함으로써 제조했다.
그 다음, 사이클로덱스트린 용액과 대두 추출물 용액은 교반기에서 혼합하여 대두 추출물을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캡슐화했다. 이 단계는 pH 약 5.5 내지 약 9.5에서 50℃, 500rpm으로 교반기에서 2시간 동안 수행했다. 캡슐화 후,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에 35% HCl 용액을 약 1ml 첨가하여 pH를 4.5 이하로 조정함으로써 불순물의 침전물을 생성시키고 이 침전물을 2,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로부터 제거했다. 그 다음,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에 5mg NaOH를 첨가하여 pH를 4 이상으로 증가시키고 40℃ 내지 75℃에서 이온 교환 방법을 사용하여 이온 성분을 제거했다.
이온 교환 후,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은 이후 분무건조되어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캡슐화된 이소플라본, 즉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미립물을 형성하는,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캡슐화된 이소플라본, 즉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용액을 포함한다.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캡슐화된 이소플라본 용액은 50℃로 유지되고 입구 온도가 160℃이고 출구 온도가 85℃인 분무건조기에서 건조된다. 최종 산물의 분석 결과, 단백질 함량은 건조 중량 기준으로 0.6%이고 지방 함량은 건조 중량 기준으로 0.1%인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38)

  1. a) 1종 이상의 대두 추출물 및 대두 추출물 용매를 함유하는 대두 추출물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b) 1종 이상의 과당류와 과당류 용매를 함유하는 과당류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c) 캡슐화 수단 내에서 상기 대두 추출물 용액과 과당류 용액을 배합하여 대두 추출물을 과당류로 캡슐화하고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을 형성시키는 단계;
    d)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로부터 불순물을 침전시키는 단계;
    e) 침전된 불순물을 상기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f)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에 알칼리를 첨가하여 pH를 증가시킨 뒤,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로부터 이온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이온 교환을 수행하는 단계; 및
    g)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대두 추출물 용액이 대두 추출물 용매와 1종 이상의 대두 추출물을 약 30℃ 내지 약 105℃의 온도에서 혼합한 뒤, 혼합된 대두 추출물과 대 두 추출물 용매를 약 500rpm 내지 약 22,500rpm으로 원심분리하는 단계에 의해 수득되는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대두 추출물 용매가 물, 에탄올, 메틸 알콜, 아세톤, 에테르, 이소프로필 알콜, 헥산, 이산화탄소 및 이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과당류 용액이 물과 1종 이상의 과당류를 약 30℃ 내지 약 115℃에서 혼합함으로써 수득되는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알칼리가 과당류 용액에 첨가되는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과당류 용액에 첨가되는 알칼리가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 중탄산나트륨, 산화마그네슘 및 이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대두 추출물이 이소플라본 유도체인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이소플라본 유도체가 다이드진(daidzin), 글리시틴(glycitin), 제니스틴(genistin), 다이드제인(daidzein), 글리시테 인(glycitein), 제니스테인(genistein) 및 이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과당류가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γ-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이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대두 추출물 용액과 과당류 용액이 약 40℃ 내지 약 130℃에서 약 100rpm 내지 약 25,000rpm 및 약 pH 4 내지 약 pH 12 하에 혼합함으로써 배합되는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대두 추출물 용액과 과당류 용액이 약 50℃ 내지 약 105℃에서 약 1,000rpm 내지 약 10,000rpm 및 약 pH 6 내지 약 pH 10 하에 배합되는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대두 추출물 용액과 과당류 용액이 약 1분 내지 약 10시간의 기간 동안 배합되는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캡슐화 수단이 호모믹서, 호모게나이저 및 자성 교반기, 진탕기, 혼합기, 프로펠러, 임펠러 또는 기타 혼합 장치를 포함하는 용기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제조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의 pH가 단계 d)에서 약 5 이하로 조정되는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무기산, 유기산 및 이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산이 pH를 조정하기 위해 첨가되는 제조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산이 염산, 인산, 황산, 질산, 탄산, 아세트산, 아스코르브산, 구연산, 푸마르산, 젖산, 말산, 타르타르산 및 이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무기산이 염산인 제조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이 약 500rpm 내지 약 25,000rpm에서 원심분리되는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이 약 1,000rpm 내지 약 17,500rpm에서 원심분리되는 제조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이온 교환이 pH 약 3 이상 및 약 30℃ 내지 약 110℃의 온 도에서 일어나는 제조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pH가 약 3.1 내지 약 9.0인 제조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온도가 약 40℃ 내지 약 90℃인 제조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이온 교환이 양이온 교환 수지, 음이온 교환 수지 및 이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교환 수지로 충진된 이온 교환 컬럼을 통해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을 유동시킴으로써 수행되는 제조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이온교환컬럼 중의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의 유속이 약 0.1㎖/min 내지 약 1000ℓ/min인 제조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유속이 약 10ℓ/min 내지 약 50ℓ/min인 제조방법.
  26. 제1항에 있어서, 이온교환이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에 이온교환수지를 첨가하는 단계,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과 이온교환수지를 약 1분 내지 약 10시간 동안 교반하여 이온 성분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이온 성분을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혼합물과 이온교환수지가 약 20분 내지 90분 동안 교반되는 제조방법.
  28. 제1항에 있어서, pH를 증가시키기 위해 대두 추출물 혼합물에 첨가된 알칼리가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산화칼슘,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 중탄산나트륨, 산화마그네슘 및 이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제조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알칼리가 수산화나트륨인 제조방법.
  30. 제1항에 있어서, 건조는 입구 온도가 약 105℃ 내지 약 250℃이고 출구 온도가 약 60℃ 내지 약 110℃인 분무건조기에서 수행되는 제조방법.
  31. 제1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32. 과당류로 캡슐화된 1종 이상의 대두 추출물을 포함하되, 주요 불순물이 약 1% 미만이고 약 1%의 용액을 기준으로 수용해성이 약 99% 내지 100%인 캡슐화물.
  33. 제32항에 있어서, 대두 추출물이 이소플라본 유도체인 캡슐화물.
  34. 제33항에 있어서, 이소플라본 유도체가 다이드진, 글리시틴, 제니스틴, 다이드제인, 글리시테인, 제니스테인 및 이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캡슐화물.
  35. 제32항에 있어서, 과당류가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γ-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이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캡슐화물.
  36. 제32항에 있어서, 주요 불순물이 약 0.7% 미만인 캡슐화물.
  37. 제32항에 있어서, 주요 불순물의 양이 약 0.1% 내지 약 1.0%인 캡슐화물.
  38. 제37항에 있어서, 주요 불순물이 약 0.1% 내지 약 0.9% 단백질과 약 0.1% 내지 약 0.9% 지방을 포함하는 캡슐화물.
KR1020097010730A 2006-11-03 2007-11-01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748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6421706P 2006-11-03 2006-11-03
US60/864,217 2006-11-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813A true KR20090074813A (ko) 2009-07-07

Family

ID=39364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730A KR20090074813A (ko) 2006-11-03 2007-11-01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00055172A1 (ko)
EP (1) EP2077820A1 (ko)
JP (1) JP5560040B2 (ko)
KR (1) KR20090074813A (ko)
CN (1) CN101528198A (ko)
AU (1) AU2007317429B2 (ko)
BR (1) BRPI0719164A8 (ko)
MX (1) MX2009003128A (ko)
WO (1) WO20080579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0930A1 (en) * 2011-10-02 2013-04-11 Sinoveda Canada, Inc, Development of a red clover phytoestrogen product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steoporosis
US9333192B2 (en) 2010-02-15 2016-05-10 Sinoveda Canada, Inc Phytoestrogen product of red clover and pharmaceutical uses thereof
JP6494187B2 (ja) * 2014-06-19 2019-04-03 株式会社ファンケル フラボノイド類含有粉末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194858B (en) * 1982-12-03 1988-03-28 Chinoin Gyogyszer Es Vegyeszet Process for producing dibenzo/b,d/piran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HU199444B (en) * 1985-09-10 1990-02-28 Chinoin Gyogyszer Es Vegyeszet Process for producing 7-isopropoxy-isoflavone-cyclodextrene inclusion complex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from
US5321014A (en) * 1991-06-28 1994-06-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Molecular encapsulation and delivery of alkenes alkynes and long chain alkanes, to living mammalian cells
US5472954A (en) * 1992-07-14 1995-12-05 Cyclops H.F. Cyclodextrin complexation
JPH09309902A (ja) * 1996-03-21 1997-12-02 Fujitsuko Kk イソフラボン誘導体の包接物及び該包接物を含む可食性組成物
US5847108A (en) * 1996-03-21 1998-12-08 Fujicco Co., Ltd. Clathrate of isoflavone derivatives and edibl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JPH10298175A (ja) * 1997-05-01 1998-11-10 Sunstar Inc 水易溶性大豆イソフラボンの製造方法
CZ298532B6 (cs) * 1997-07-30 2007-10-31 Indena S. P. A. Sójový extrakt, zpusob jeho prípravy a farmaceutický prostredek, který jej obsahuje
US6369200B2 (en) * 1997-10-15 2002-04-09 Central Soya Company, Inc. Soy isoflavone concentrate process and product
US6320028B1 (en) * 1997-10-15 2001-11-20 Central Soya Company, Inc. Soy isoflavone concentrate process and product
WO1999035138A1 (fr) * 1998-01-12 1999-07-15 Nichimo Kabushiki Kaisha Procede de preparation de composes d'isoflavone
US6703051B1 (en) * 1998-10-13 2004-03-09 Solae, Llc Process for separating and recovering protein and isoflavones from a plant material
JP4006133B2 (ja) * 1999-05-17 2007-11-14 松谷化学工業株式会社 可溶性イソフラボン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IL131508A (en) * 1999-08-19 2006-12-10 David Cohen Micronexulatory formulations and controlled dispersion of isoflavins from rich masses of sesame and other plants
US7045163B2 (en) * 2000-11-30 2006-05-16 Kraft Foods Holdings, Inc. Method of deflavoring soy-derived materials
CA2463687A1 (en) * 2001-10-18 2003-04-24 Decode Genetics Ehf Cyclodextrin complexes
EP1503632A1 (en) * 2002-05-02 2005-02-09 Volker Kuellmer Coated, agglomerated phytochemicals
CN1232539C (zh) * 2002-05-10 2005-12-21 刘云清 有机药物与倍他环糊精衍生物的配合物及其制备方法
US6884790B2 (en) * 2002-09-09 2005-04-26 Josef Pitha Verifiable absorption drug delivery form based on cyclodextrins
WO2004045541A2 (en) * 2002-11-15 2004-06-03 Cargill, Incorporated Soluble isoflavone compositions
JP4982656B2 (ja) * 2003-05-20 2012-07-25 東洋精糖株式会社 水可溶性イソフラボ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CN100584385C (zh) * 2003-07-10 2010-01-27 协和发酵生化株式会社 片剂及其制备方法
US7718813B2 (en) * 2003-08-15 2010-05-18 Nature Pure Labs Sw, Inc. Hydrolysis and purification of active plant compounds suitable for topical application
US20050175745A1 (en) * 2004-02-06 2005-08-11 Jerzy Zawistowski Method of preservation of a food prodcut and composition comprising one or more phytosterols and/or phytostanols useful for this purpo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28198A (zh) 2009-09-09
AU2007317429B2 (en) 2013-03-28
BRPI0719164A2 (pt) 2014-02-04
BRPI0719164A8 (pt) 2017-11-07
JP5560040B2 (ja) 2014-07-23
US20100055172A1 (en) 2010-03-04
WO2008057934A1 (en) 2008-05-15
AU2007317429A1 (en) 2008-05-15
EP2077820A1 (en) 2009-07-15
JP2010508820A (ja) 2010-03-25
MX2009003128A (es) 200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91688B (en) Vegetable protein composition containing an isoflavone depleted vegetable protein material with an isoflavone containing material
CN103445169B (zh) 一种即食胚芽冲调粉及其制备方法
CN101081858B (zh) 类黄酮糖加成产物、生产方法及其应用
JP2008502320A (ja) 酸性飲料組成物、および水性タンパク質成分を用いるその製造方法
JP4347899B2 (ja) ポリフェノール高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9278986A (ja) 水溶性の豆ベース抽出物
EP1560503A4 (en) COMPOSITIONS BASED ON SOLUBLE ISOFLAVIUM
EP1057416B1 (en) Soluble isoflavon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MX2012001264A (es) Composiciones alimenticias que contienen flavanonas.
KR101665528B1 (ko) 수용성 은행잎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5168458A (ja) 水溶性飲食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7213000A (ja) カカオ抽出物の製造方法
KR20090074813A (ko) 캡슐화된 대두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AU2003296185B2 (en) Composition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 of isoflavone and having high solubilit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WO2005105125A1 (ja) 骨粗鬆症予防または治療剤
KR101630853B1 (ko) 비포접체 정제를 통해 쓴맛이 저감된 녹차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JP5713571B2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およびAGEs生成抑制剤
KR20150032841A (ko) 수용성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나노겔
JP2002034505A (ja) シリマリン配合食品組成物
JP2004267158A (ja) 機能性飲食品の風味劣化防止方法
JPH04207161A (ja) サポニン及びアミノ酸含有組成物
JP6534275B2 (ja) 骨砕補エキス組成物
JP7423179B2 (ja) ポリフェノールを含む食品
JP3405196B2 (ja) 大豆胚軸加工品を含有する食品
JP7062499B2 (ja) いちょう葉エキス含有飲食品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