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4698A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4698A
KR20090074698A KR1020090044613A KR20090044613A KR20090074698A KR 20090074698 A KR20090074698 A KR 20090074698A KR 1020090044613 A KR1020090044613 A KR 1020090044613A KR 20090044613 A KR20090044613 A KR 20090044613A KR 20090074698 A KR20090074698 A KR 20090074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carriage
handle
pair
folded
le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히데 스가
켄타로 모리구치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852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90207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17362A external-priority patent/JP3975431B2/ja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4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46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62B2205/22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remotely controlled, e.g. from the handle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62B2205/24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to hold in the fold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04Carriages supporting a hammock-styl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becoming smaller in all three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유모차는 팔걸이(3), 팔걸이(3)에 각각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뒷다리(1), 팔걸이(3)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5) 및 뒷다리(1)와 핸들(5)을 접속하는 브래킷(4)을 포함한다. 브래킷(4)은 핸들(5)의 사이드 파이프의 하단부에 탑재된 록 부재(6)와 결합한다. 유지 부재(10)는 브래킷(4)이 핀(70)에 의해 사이드 파이프와 접촉하는 사이드 파이프의 측과 대향측의 사이드 파이프의 측에 각각 지지된다. 유모차가 2단으로 접힐 때, 록 부재(6)의 정지부(6b)와 유지 부재(10)의 정지부(10a)가 각각 결합한다.
측방 접속바, 뒷다리, 접힘 몸체, 브래킷

Description

유모차{STROLLER}
본 발명은 접힘식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단 접힘 상태로 록될 수 있는 3단 접힘식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서로를 향해 당겨짐으로써 접힘식 유모차가 밀집 상태로 접혀서 접힘식 유모차의 길이 방향 치수를 줄일 수 있는 전후 구조로 된 보디 프레임을 갖는 접힘식 유모차가 알려져 있다. 이하, 이 접힘식 유모차를 2단 접힘식 유모차라고 칭한다. 다른 공지의 접힘식 유모차는 서로를 향해 당겨짐으로써 접힘식 유모차의 길이 방향 치수를 줄일 수 있고 더욱 내측으로 접음으로써 접힘식 유모차의 폭 치수를 더욱 줄여 접힘식 유모차의 운반을 더욱 용이하게 하도록 전후 구조로 된 보디 프레임을 갖는 접힘식 유모차가 알려져 있다. 이하, 이 접힘식 유모차를 3단 접힘식 유모차라고 칭한다.
종래의 3단 접힘식 유모차에는 접힘식 유모차를 3단 접힘 상태로만 록할 수 있는 록 기구만이 설치되고, 3단 접힘식 유모차를 2단 접힘 상태로 록할 수 있는 록 기구는 설치되지 않았다. 그래서 3단 접힘식 유모차는 2단 접힘 상태로 유지될 수 없다.
따라서 한 손으로는 공지의 접힘식 유모차를 접고, 다른 손으로 아이를 안기가 어려워, 접힘식 유모차로 계단을 오르내리기 위해 접힘식 유모차를 임시적으로 2단으로 접을 때에는, 접힘식 유모차에 접힘식 유모차를 2단 접힘 상태로 록할 수 있는 록 기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접힘식 유모차가 돌발적으로 펼쳐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2단 접힘 상태로 견고히 유지될 수 있는 3단 접힘식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1태양에 의하면, 필수적 구성요소로서, 유모차는 1쌍의 뒷다리와,
상기 1쌍의 뒷다리에 접속된 핸들과, 상기 핸들과 상기 1쌍의 뒷다리 사이에 설치되고, 유모차를 상기 1쌍의 뒷다리가 상기 핸들에 대하여 접기 위치에 있는 접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1쌍의 뒷다리는 접을 때에 상기 핸들에 대하여 상기 접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는, 상기 뒷다리와 상기 핸들은 브래킷으로 접속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는, 상기 록 수단의 각각은 상기 핸들의 단부에 미끄럼 가능하게 탑재된 록 부재와, 상기 핸들에 대해 상기 브래킷과 함께 회동할 수 있는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록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에는 각각 제 1 정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유모차가 접힐 때에 제 1 정지부가 서로 결합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는, 1쌍의 뒷다리가 접히도록 핸들에 대하여 이동할 때에 유지 부재는 브래킷과 함께 핸들에 대하여 회동하고, 1쌍의 뒷다리가 핸들에 대해 접힐 때에 유지 부재와 록 부재의 각각의 제 1 정지부는 서로 결합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는, 상기 록 부재와 상기 브래킷에는 제 2 정지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유모차가 펼쳐질 때에 상기 제 2 정지부가 서로 결합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는, 상기 록 부재는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유지 부재쪽으로 가압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는,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유지 부재가 회동되는 동안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상기 록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작동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는, 팔걸이는 상기 핸들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1쌍의 뒷다리는 각각 상기 팔걸이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는, 상기 핸들은 중간부와 상기 중간부에 대해 내측으로 회동될 수 있는 대향 측부를 갖고, 상기 핸들은 3단으로 접힐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는, 앞다리는 측방 접속바에 의해 뒷다리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측방 접속바의 후단부에 각각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한 유모차에서는, 3단 접힘식 유모차는 1쌍의 뒷다리와, 상기 1쌍의 뒷다리에 접속되고, 앞으로 회동될 수 있는 대향 측부를 갖는 핸들과, 상기 핸들과 상기 1쌍의 뒷다리 사이에 설치되고, 유모차를 상기 1쌍의 뒷다리가 상기 핸들에 대하여 접기 위치에 있는 접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1쌍의 뒷다리는 접을 때에 상기 핸들에 대하여 상기 접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의한 유모차에서는, 유모차는 1쌍의 앞다리와, 1쌍의 뒷다리와, 상기 1쌍의 뒷다리에 접속되는 핸들과, 상기 우측 앞다리와 상기 우측 뒷다리, 상기 좌측 앞다리와 상기 좌측 뒷다리를 각각 접속하는 1쌍의 측방 접속바와, 상기 측방 접속바를 접속하는 스테이(stay)를 구비하고, 시트에 포함된 바닥이 상기 스테이 상에 지지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는, 상기 스테이에는 상기 스테이로부터 대향 방향에서 길이 방향으로 뻗은 시트 지지 부재가 설치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2단 접힘 상태로 견고히 유지될 수 있는 3단 접힘식 유모차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유모차의 개략을 설명한다.
도 9는 삼단 접힘식 유모차의 전개 상태, 즉 사용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3단으로 접힌 상태의 상기 유모차와 유모차에 내장된 록 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펼침 상태의 펼친 유모차를 도 10의 3단으로 접는 동작을 도 9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 생략의 작동 와이어가 작동 장치(7)로부터 뻗는다. 작동 와이어를 작동하여 도시 생략의 슬라이더가 이동되어 록 부재(6)를 올림으로써 록 부재(6)를 유모차를 펼침 상태로 유지하는 대응하는 브래킷(4)으로부터 해방하게 되어 유모차가 록 해제된다.
그 후, 유모차는 핸들(5)의 대향단부(C)에 의해 유지되고, 앞바퀴 또는 팔걸이(3)가 올려져 화살표X 로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B)쪽으로 회동된다(제1 접힘 단계). 이와 같이 유모차를 2단으로 접음으로써 유모차의 길이 방향 치수를 줄일 수 있다. 그 후, 핸들(5)의 대향단부(C)를 화살표Y 방향으로 구부린다(제2 접힘 단계). 이와 같이 유모차를 3단으로 접음으로써 유모차의 폭 방향 치수를 줄일 수 있다.
유모차는 좌우로 나뉜 좌판(seat bottom)을 가지고,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결합 기구(D)는 각각 좌우측의 내측단부에 접속된다. 이렇게 해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모차가 3단으로 접히면, 결합 기구가 서로 결합하여 유모차를 3단 접힘 상태로 록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접힘식 유모차를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3단 접힘식 유모차의 펼침 상태의 사시도이다. 유모차는 좌우 뒷다리(1)를 갖는다. 뒷바퀴(2)는 뒷다리(1)의 하단부에 회동하게 각각 지지된다. 뒷바퀴(2)에는 도시 생략의 바퀴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다. 바퀴 스토퍼는 뒷바퀴(2)의 회동을 억제하여 유모차를 일정 시간, 소정의 장소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뒷다리(1)의 상단부는 팔걸이(3)의 거의 중간부에 각각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L자형 브래킷(4)(접속 부재)은 핀(60)에 의해서 일단이 각 뒷다리(1)의 거의 중간부의 외측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핀(70)에 의해 역U자 모양의 핸들(5)의 측부의 하단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2 정지부(4a)와 제 1 정지부(4b)(도 8)가 브래킷(4)에 형성된다. 정지부(4a, 4b)는 소정 각도 간격으로 서로 떨어지게 위치한다. 제 2 정지부(4a)는 록 부재(6)에 형성된 제 2 정지부(6a)와 결합될 수 있다. 제 2 정지부(4a)와 제 2 정지부(6a)가 결합될 때, 유모차는 펼침 상태로 유지된다. 제 1 정지부(4b)는 브래킷(4)의 오목부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 부재(6)는 도시 생략의 와이어에 의해 핸들(5)을 통해 뻗도록 핸들(5)의 중간부에 탑재되는 작동 장치(7)에 연결된다. 록 부재(6)는 작동 장치(7)의 작동에 의해 핸들(5)의 측부를 따라 길이 방향 상방으로 이동되어 록 부재(6)의 제 2 정지부(6a)를 브래킷(4)의 제 2 정지부(4a)로부터 해방시킨다. 록 부재(6)는 핸들(5)의 내측에 위치한 스프링(5a)에 의해 항상 브래킷(4) 쪽으로 가압된다.
각각의 팔걸이(3)는 일단이 핸들(5)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앞다리(8)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앞바퀴(9)는 도시 생략의 스위벨 기구에 의해 앞다리(8)의 하단부에 접속된다. 스위벨 기구는 유모차의 회동을 원활하게 하여 이동 방향을 변경시킨다. 스위벨 기구는 필요에 따라 록 또는 록 해제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부재(10)는 핸들(5)에 대하여 브래킷(4)에 대향하는 핀(70)에 의해 핸들(5)의 각각의 측부의 하단의 내측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부재(10)는 제 1 정지부(6b)를 지름 방향으로 대향하는 록 부재(6)의 제 2 정지부(6a)와 결합시킨다. 각각의 정지부(6a, 6b)는 록 부재(6)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고정 폭의 오목부를 갖는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측방 접속바(11)는 후단이 유지 부재(10)에 부착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12)과 링(13)은 좌우 앞다리(8)의 중간부에 각각 힌지로 연결된다. 측방 접속바(11)의 전단은 훅(12)과 링(13)에 각각 부착된다. 유모차가 3단으로 접힐 때, 훅(12)과 링(13)을 결합하여 유모차를 3단으로 유지한다.
접속바(14a,14b,14c)가 앞다리(8)의 쌍과 측방 접속바(11) 사이와 뒷다리(1)의 쌍 사이로 각각 뻗어 있다. 접속바(14a,14b,14c)의 각각은 거의 3등분되고 각각 인접부가 2조인트로 연결된다. 접속바(14a,14b,14c)와 마찬가지로, 핸들(5)의 중간부가 3등분되고 각각 2조인트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접속바(14a,14b,14c)의 조인트와 핸들(5)의 중간부는 각각 2평행선으로 배치되어 유모차의 본체를 U자 형상으로 접을 수 있다.
앞다리(8)의 쌍과, 측방 접속바(11)의 쌍, 뒷다리(1)의 쌍, 팔걸이(3) 및 접속바(14a,14b,14c)가 유모차의 핵심 부재이며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프레임에 조합된다. 가드(15)가 팔걸이(3)의 전단 사이로 뻗어 유모차의 시트에 착석한 유아를 보호하여 유아가 시트로부터 떨어져 넘어지지 않게 한다.
유모차를 접는 접기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5의 (a)와 도 5의 (b)는 도 1에 나타낸 유모차의 펼침 상태와 접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작동 장치(7)를 작동하여 록 부재(6)를 핸들(5)의 측부를 따라 올려서 록 부재(6)를 브래킷(4)으로부터 해방시킨다. 다음에 팔걸이(3)를 핸들(5)에 대하여 점a을 지점으로 화살표A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 결과 뒷다리(1)의 상단이 핸들(5)을 향해 이동되고 브래킷(4)이 점b를 지점으로 화살표B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와 같이 브래킷(4)이 화살표B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앞다리(8)가 올려져서 점c를 지점으로 화살표C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렇게 해서 유모차는 뒷다리(1)와 앞다리(8)가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5)의 거의 중간부 쪽으로 이동되어 소위 2단 접힘 상태로 접힌다.
제 1 실시예의 접힘식 유모차의 록 기구의 록 동작을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유모차를 펼친 상태의 록 기구를 나타내고, 도 7은 유지 부재(10)가 펼침 상태의 위치로부터 약 30°의 각도로 회동하고 록 부재(6)가 유지 부재(10)의 작동부(10b)에 의해 올려지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8은 유모차가 접히는 록 상태의 록 기구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모차가 펼침 상태에 있을 때, 브래킷(4)의 제 2 정지부(4a)는 록 부재(6)의 제 2 정지부(6a)와 결합하여 유모차를 펼침 상태로 유지한다. 도 6에서, 선(100)은 측방 접속바(11)의 위치와 각도를 나타낸다.
록 부재(6)를 핸들(5)의 측부를 따라 올려서 유모차를 펼침 상태로 하기 위해서 버튼을 누르는 등의 소정의 작업으로 작동 장치(7)를 작동할 때, 록 부재(6)가 브래킷(4)으로부터 해방되어 뒷다리(1)를 회동 가능하게 한다. 다음에 핸들(5)은 그 대향측부에 의해 유지되고, 앞바퀴(9)가 들어올려지거나 팔걸이(3)가 뒤로 회동된다. 그 결과 브래킷(4)이 뒷다리(1)와 함께 회동하므로 핀(70)에 지지된 유지 부재(1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된다.
다음에 유지 부재(10)의 작동부(10b)가 록 부재(6)를 올린다. 유지 부재(10)의 정지부(10a)가 소정 위치에 도달할 때, 록 부재(6)는 스프링(5a)의 탄성에 의해 내려지고 록 부재(6)의 제 1 정지부(6b)와 유지 부재(10)의 정지부(10a)가 결합하여 완전히 유모차를 2단으로 접는다. 록 부재(6)의 제 1 정지부(6b)와 유지 부재(10)의 정지부(10a)가 결합될 때, 록 부재(6)의 부분이 브래킷(4)의 제 1 정지부(4b)에 결합되어 브래킷(4)과 유지 부재(10)가 핸들(5)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해서 유모차는 2단 접힘 상태에 있게 된다. 록 부재(6)의 제 1 정지부(6b)와 유지 부재(10)의 정지부(10a)는 록 기구를 구성한다.
2단으로 접힌 유모차는 평면 U자상의 3단으로 더 접힌다. 핸들(5) (도 1)의 대향측부를 앞으로 회동시킨다. 핸들(5)과 접속바(14a,14b,14c)는 각각 상술한 바와 같이 그 길이를 3등분하는 위치에서 선회 조인트를 가지므로, 핸들(5)과 접속바(14a,14b,14c)의 선회 조인트는 거의 2평행선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핸들(5)의 대향측부가 앞으로 회동될 때, 접속바(14a,14b,14c)의 측부는 함께 앞으로 회동된다. 그 결과 유모차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 U자상의 3단으로 접힐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유모차를 U자상으로 접어 그 폭을 줄일 때, 앞다리(8)와 유지 부재(10) 사이로 뻗은 측방 접속바(11)의 전단이 서로 근접한다. 훅(12)과 링(13)이 접속바의 전단에 각각 접속되므로, 측방 접속바(11)의 전단이 서로 접근하여 유모차를 3단 접힘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될 때에 훅(12)과 링(13)은 자동적으로 결합된다.
3단으로 접힌 유모차를 펴고자 할 때에는, 훅(12)과 링(13)은 사용자가 해방하고,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단계의 역단계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유지 부재(10)가 록 부재(6)와 결합되는 정지부(10a)를 가지므로 유모차는 상술의 간단한 방법으로도 2단 접힘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유모차는 2단 접힘 상태로 유지되므로, 유모차는 2단 접힘 상태에서 용이하게 운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3단 접힘식 유모차의 응용으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2단 접힘식 유모차에 대해서도 응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 1 실시예의 유모차의 2단 접힘 상태로 유모차를 유지하기 위해 브래킷(4)의 제 1 정지부(4b)에 록 부재(6)가 결합하지만, 브래킷(4)에 반드시 제 1 정지부(4b)가 설치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접힘식 유모차는 평면으로 직사각형 의 프레임에 조합된 복수의 구성 부재와, 복수의 구성 부재 간에서 접속 부재에 의해 구성 부재의 1조에 접속하는 핸들로 구성되며, 핸들의 대향측부와 평행 구성 부재가 앞으로 회동될 수 있다. 정지 수단이 핸들의 기부에 형성되어 구성 부재가 핸들을 향해 이동되는 상태로 구성 부재를 유지하므로, 정지 부재는 유모차를 2단 접힘 상태로 유지하고, 유모차는 용이하게 접히며, 유모차가 돌발적으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의 유모차를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해먹(hammock)형 유모차의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유모차는 앞바퀴(111)가 설치된 좌우 앞다리(112)와 뒷바퀴(113)가 설치된 좌우 뒷다리(114)와 거의 U자상의 핸들(115)과, 좌우 팔걸이(116)를 갖는다. 탈착 가능한 가드(117)가 팔걸이(116) 사이로 뻗는다. 핸들(115)은 좌우 사이드 파이프(118)를 갖는다. 팔걸이(116)의 후단은 그 하단 근처의 사이드 파이프(118)의 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앞다리(112)의 상단은 팔걸이(116)의 전단에 각각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뒷다리(114)의 상단은 팔걸이(116)의 중간부에 각각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사이드 파이프(118)의 하단은 브래킷(119)의 중간부에 각각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L자형 브래킷(119)의 하단은 각각 뒷다리(114)의 중간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유모차를 펼칠 때에, 사이드 파이프(118)의 하단부에 축선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탑재된 록 부재(120)는 브래킷(119)의 상단에 형성된 정지부와 결합하여 유모차를 펼침 상태로 유지한다.
전방 접속바(121)가 좌우 앞다리(112) 사이로 뻗는다. 후방 접속바(122)가 좌우 뒷다리(114) 사이로 뻗는다. 측방 접속바(123)의 전단은 앞다리(112)의 중간부에 각각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은 브래킷(119)과 함께 사이드 파이프(118)의 하단에 각각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방 접속바(124)가 좌우 측방 접속바(123)의 중간부 사이로 뻗는다.
사이드 파이프(118)의 하단부에 탑재된 록 부재(120)를 브래킷(119)의 상단부에 형성된 정지부와 결합시킴으로써 유모차는 펼침 상태로 유지된다. 핸들(115)에 탑재된 작동 장치(125)를 작동하여 록 부재(120)를 브래킷(119)으로부터 해방할 때, 팔걸이(116)와 측방 접속바(123)는 팔걸이(116)와 측방 접속바(123)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핀상에서 회동됨으로써, 앞다리(112)와 뒷다리(114)가 회동하여 거의 서로 평행하게 뻗게 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유모차를 접을 수 있게 되어 운반을 간편하게 한다.
핸들(115), 전방 접속바(121), 후방 접속바(122), 상방 접속바(124)의 각각은 3등분되고, 3등분은 각각 1쌍의 선회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다. 핸들(115), 전방 접속바(121), 후방 접속바(122) 및 상방 접속바(124)의 선회 조인트의 쌍은 각각 2개의 수직면에 포함된다. 앞다리(112)와 뒷다리(114)를 서로 평행하게 세트한 후에 대향하는 사이드 파이프(118)가 앞으로 회동하고, 핸들(115), 전방 접속바(121), 후방 접속바(122) 및 스테이(124)의 대향측부가 앞으로 회동함으로써 유모차는 3단으로 접힐 수 있다.
시트(126)는 좌우 사이드 파이프(118)와 측방 접속바(123) 상에 지지된다. 시트(126)의 등받이는 사이드 파이프(118)에 접속되고, 시트(126)의 바닥(126b)은 해먹 모양으로 시트(126)에 매달리게 좌우 측방 접속바(123)에 부착된다. 스테이(124)는 그 위로 바닥(126b)을 지지한다.
유모차의 시트(126)의 상황을 유모차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측방 접속바(123)의 전단은 앞다리(112)의 중간부에 각각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측방 접속바(123)의 후단은 뒷다리(114)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브래킷(119)과 함께 사이드 파이프(118)의 하단에 각각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테이(124)는 좌우 측방 접속바(123)의 중간부 사이로 뻗는다. 스테이(124)는 3등분으로 나뉘고, 3등분은 2개의 선회 조인트(124a, 124b)에 의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스테이(124)의 대향 측부는 선회 조인트(124a, 124b) 상에서 각각 회동할 수 있다. 시트(126)를 지지하는 시트 지지 부재(130)가 선회 조인트(124a, 124b) 외측에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뻗는다. 시트(126)가 유모차의 본체에 장착될 때, 바닥(126b), 특히 바닥(126b)에 일체로 되는 코어(126a)가 스테이(124)와 시트 지지 부재(130)에 의해 지지된다.
시트(126)의 바닥(126b)이 길이 방향으로 뻗은 시트 지지 부재(130) 위에 지지되므로, 시트(126)가 스테이(124) 상에서 요동하지 않음으로써 바닥(126b)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앞다리와 뒷다리를 접속하는 측방 접속바를 접속하는 스테이에 길이 방향 시트 지지 부재가 설치되고, 해먹 모양으로 매달린 시트의 바닥이 길이 방향 시트 지지 부재 위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시트의 바닥이 스테이 상 에서 요동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바닥의 안정성이 향상되고, 유모차를 탄 유아는 편안한 승차감을 느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의 유모차의 펼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유모차의 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도 1에 나타낸 유모차에 포함된 록 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유모차의 외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록 기구의 사시도.
도 4는 록 부재의 사시도.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각각 도 1에 나타낸 유모차의 펼침 상태시와 접힘 상태시의 개략 측면도.
도 6은 록 기구의 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유모차의 펼침 상태시의 부분 측면도.
도 7은 록 기구의 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록 부재를 밀어올리는 유지 부재를 나타내는 유모차의 부분 측면도.
도 8은 록 기구의 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유지 부재의 접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
도 9는 종래의 3단 접힘식 유모차의 펼침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유모차의 접힘 상태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의 유모차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제 2 실시예의 유모차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뒷다리
2 뒷바퀴
3 팔걸이
4 브래킷
5 핸들
6 록 부재
7 작동 장치
8 앞다리
9 앞바퀴
10 유지 부재

Claims (2)

1쌍의 앞다리와,
1쌍의 뒷다리와,
상기 1쌍의 뒷다리에 접속되는 핸들과,
상기 우측 앞다리와 상기 우측 뒷다리, 상기 좌측 앞다리와 상기 좌측 뒷다리를 각각 접속하는 1쌍의 측방 접속바와,
상기 측방 접속바를 접속하는 스테이(stay)를 구비하고,
시트에 포함된 바닥이 상기 스테이 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에는 상기 스테이로부터 대향 방향에서 길이 방향으로 뻗은 시트 지지 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KR1020090044613A 2001-09-19 2009-05-21 유모차 KR200900746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85299A JP4902074B2 (ja) 2001-09-19 2001-09-19 ハンモック型ベビーカー
JPJP-P-2001-285299 2001-09-19
JPJP-P-2001-317362 2001-10-15
JP2001317362A JP3975431B2 (ja) 2001-10-15 2001-10-15 折り畳み式ベビーカーのロック機構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771A Division KR100931568B1 (ko) 2001-09-19 2002-09-18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698A true KR20090074698A (ko) 2009-07-07

Family

ID=266225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771A KR100931568B1 (ko) 2001-09-19 2002-09-18 유모차
KR1020090044613A KR20090074698A (ko) 2001-09-19 2009-05-21 유모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771A KR100931568B1 (ko) 2001-09-19 2002-09-18 유모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964429B2 (ko)
EP (1) EP1295776A3 (ko)
KR (2) KR100931568B1 (ko)
CN (1) CN100379625C (ko)
HK (1) HK1054901A1 (ko)
SG (2) SG109989A1 (ko)
TW (1) TW5892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9016B2 (ja) * 2003-02-04 2009-07-22 グラコ・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折畳式乳母車
US20050275195A1 (en) * 2004-06-10 2005-12-15 Matula Martha R Foldable cart
JP4738919B2 (ja) * 2005-07-08 2011-08-03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TWI391272B (zh) * 2005-07-08 2013-04-01 Combi Corp Baby carriage
JP4942977B2 (ja) * 2005-09-30 2012-05-30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ITVR20050131A1 (it) * 2005-10-18 2007-04-19 L Inglesina Baby Spa Dispositivo di impugnatura, particolarmente per passeggini, carrozzine e simili
NL1030330C2 (nl) 2005-11-01 2007-05-03 Royalty Bugaboo Gmbh Opvouwbare wagen, zoals een buggy, met fixerend dwarsstangsysteem.
NL1031214C2 (nl) * 2006-02-22 2007-08-24 Maxi Miliaan Bv Wandelwagen.
WO2008031099A1 (en) * 2006-09-09 2008-03-1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torage latch for foldable stroller
CN201082719Y (zh) * 2006-09-21 2008-07-09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可收折婴儿车
GB2442127B (en) * 2006-09-21 2011-08-31 Wonderland Nursery Goods Foldable stroller
US7641216B2 (en) * 2007-03-05 2010-01-05 Dick Cone Industrial Design, Inc. Flat fold stroller
US20090102149A1 (en) * 2007-10-22 2009-04-2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US7900952B2 (en) * 2008-02-08 2011-03-08 Dick Cone Industrial Design, Inc. Folding stroller including locking mechanism
CN102530043B (zh) * 2008-10-30 2015-04-08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车
CN101844574B (zh) * 2009-03-23 2013-02-13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推车
CN102079324B (zh) * 2009-12-01 2015-08-19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车及婴儿车与汽车座椅的组合
USD666948S1 (en) * 2010-06-02 2012-09-11 Lerado (Zhong Shan) Industrial Co., Ltd. Tandem stroller frame
CN102416974B (zh) * 2010-09-27 2013-08-14 宝钜(中国)儿童用品有限公司 可收合式婴儿车
US8641077B2 (en) 2010-10-08 2014-02-04 Baby Trend Inc. Stroller with a receiving frame and support straps for receiving car seats
US8646802B2 (en) 2010-10-08 2014-02-11 Baby Trend Inc. Stroller with a receiving frame and support straps for receiving a car seat
USD654405S1 (en) * 2010-10-08 2012-02-21 Baby Trend Inc. Stroller
USD722541S1 (en) 2010-10-08 2015-02-17 Baby Trend Inc. Double stroller
US8727370B2 (en) 2011-05-12 2014-05-20 Baby Trend Inc. Foldable stroller with rotatable leg rest adapted for receiving a car seat
CN105752146B (zh) * 2011-11-01 2019-07-09 康贝株式会社 婴儿车
DE102013103326B4 (de) * 2012-04-05 2022-11-17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Kindersitzvorrichtung und deren Verwendung
CN103507846B (zh) * 2013-09-05 2016-04-13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
GB2529718A (en) * 2014-09-01 2016-03-02 Stroller Tech Ltd Handle assembly for a folding perambulator and a folding perambulator incorporating the same
CN204580561U (zh) * 2015-04-01 2015-08-26 浙江泰普森创意设计有限公司 一种月亮椅
USD864699S1 (en) 2018-09-24 2019-10-29 Michael P. Blaney Stroller hook
US11679796B2 (en) 2020-01-22 2023-06-20 Jacob Morrise Foldable baby s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80A (en) * 1861-03-26 Device for forming horseshoes
GB1469770A (en) * 1973-11-19 1977-04-06 Lamondine Sa Folding chairs
US4317581A (en) * 1979-10-13 1982-03-02 Kassai Kabushikikaisha Baby carriage
USRE31760E (en) * 1979-10-13 1984-12-11 Kassai Kabushikikaisha Baby carriage
JPS5832064B2 (ja) * 1980-01-30 1983-07-11 葛西株式会社 乳母車
JPS5833148B2 (ja) * 1980-12-02 1983-07-18 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座席
US4538830A (en) * 1982-01-19 1985-09-03 Combi Co., Ltd. Baby carriage
GB2179897B (en) * 1983-07-15 1987-10-28 Aprica Kassai Kk Locking mechanism for folding baby carriage
JPS6216558U (ko) * 1985-07-17 1987-01-31
JPH0511102Y2 (ko) * 1986-08-27 1993-03-18
US4953887A (en) * 1988-07-18 1990-09-04 Combi Co., Ltd. Baby carriage capable of serving as shopping car
JP3040496B2 (ja) * 1991-01-11 2000-05-15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折りたたみ式乳母車およびそこに用いられる折りたたみ機構
US5110150A (en) * 1991-04-23 1992-05-05 Chen Shun Min Collapsible mechanism for a stroller
JP2542450Y2 (ja) * 1992-10-27 1997-07-30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手押し杆に設ける開閉操作機構
CH686368A5 (de) * 1993-07-19 1996-03-15 Sika Ag Zusatzmittel zur Verhinderung der Korrosion von Metallen in Baustof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austoffen unter Verwendung des Korrosionsinhibitors.
JP3311160B2 (ja) * 1994-08-19 2002-08-05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座席
JP3311163B2 (ja) * 1994-09-21 2002-08-05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およびその座席のための座板の製造方法
TW280801B (ko) * 1994-12-26 1996-07-11 Aprica Kassai Kk
US5988670A (en) * 1995-02-15 1999-11-23 Jiangsu Goodbaby Group, Inc. Child carrier
US5650029A (en) * 1995-08-09 1997-07-22 Lafond; Luc Method for applying sealant material in an insulated glass assembly
US6155740A (en) * 1998-10-14 2000-12-05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troller and a fold latch assembly thereof
AU710507B3 (en) * 1999-07-07 1999-09-23 Tsung-Ming Huang Folding collapsible baby stroller
JP4416881B2 (ja) * 1999-10-12 2010-02-17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折畳み操作装置
JP3939537B2 (ja) * 2001-02-15 2007-07-04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4812948B2 (ja) * 2001-03-05 2011-11-09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US6464244B1 (en) * 2001-05-14 2002-10-15 Evenflo Company, Inc. Stroller assembly having a foldable frame
GB2380166B (en) * 2001-09-27 2003-09-24 Red Lan Foldable stroller
US6739616B2 (en) * 2002-10-16 2004-05-25 Wan-Hsing Lin Foldable three-wheel baby carriage with a shock-absorb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64429B2 (en) 2005-11-15
EP1295776A3 (en) 2005-10-19
CN100379625C (zh) 2008-04-09
KR100931568B1 (ko) 2009-12-14
HK1054901A1 (en) 2003-12-19
SG109989A1 (en) 2005-04-28
US20050161913A1 (en) 2005-07-28
KR20030025196A (ko) 2003-03-28
TW589262B (en) 2004-06-01
CN1408597A (zh) 2003-04-09
SG135046A1 (en) 2007-09-28
EP1295776A2 (en) 2003-03-26
US20030052475A1 (en) 200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568B1 (ko) 유모차
US9815487B2 (en) Compact foldable stroller with one-handed fold control
JP3986826B2 (ja) リクライニング機構付ベビーカー
US8696015B2 (en) Stroller
US6431579B1 (en) Twin-type baby buggy
EP3299251B1 (en) Child stroller apparatus
EP2017156A2 (en) Stroller
US5833261A (en) Footrest movable between two positions
WO2007045149A1 (fr) Poussette pour enfant
GB2431140A (en) Baby stroller frame
JPH1059189A (ja) 折り畳み着座装置
EP1842760B1 (en) Collapsible stroller frame
JPS6229464A (ja) 乳母車
CN216994468U (zh) 儿童运输系统
JP4738919B2 (ja) ベビーカー
JP4275494B2 (ja) ベビーカー
JP3975431B2 (ja) 折り畳み式ベビーカーのロック機構
CN213199878U (zh) 用于童车的车架和童车
JPH10258741A (ja) ベビーカー用セイフティーロック装置
CN213168250U (zh) 一种婴幼儿推车
JP4159868B2 (ja) ハンモック型ベビーカー
JP4180386B2 (ja) ハンモック型ベビーカー
JPH092281A (ja) ベビーカー
JPS613420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506

Effective date: 20120224